KR102149544B1 - 암호화 모듈을 이용한 무인 주차 관제 시스템 - Google Patents

암호화 모듈을 이용한 무인 주차 관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9544B1
KR102149544B1 KR1020190123624A KR20190123624A KR102149544B1 KR 102149544 B1 KR102149544 B1 KR 102149544B1 KR 1020190123624 A KR1020190123624 A KR 1020190123624A KR 20190123624 A KR20190123624 A KR 20190123624A KR 102149544 B1 KR102149544 B1 KR 1021495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parking lot
unit
parking
unman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36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봉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아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아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아이티
Priority to KR10201901236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954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95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95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06Q50/3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5/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air flow or gas flow
    • B08B5/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e.g. blowing-out cavi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3/00Vehicle cleaning apparatus not integral with vehicles
    • B60S3/04Vehicle cleaning apparatus not integral with vehicles for exteriors of land vehicl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8Payment architectures involving self-service terminals [SST], vending machines, kiosks or multimedia termin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83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 G06Q30/0284Time or distance, e.g. usage of parking meters or taximeter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BTICKET-ISSUING APPARATUS; FARE-REGISTERING APPARATUS; FRANKING APPARATUS
    • G07B15/00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collecting fares, tolls or entrance fees at one or more control points
    • G07B15/02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collecting fares, tolls or entrance fees at one or more control points taking into account a variable factor such as distance or time, e.g. for passenger transport, parking systems or car rental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17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identifying vehicles
    • G06K2209/15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240/00Transportation facility access, e.g. fares, tolls or par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60Type of objects
    • G06V20/62Text, e.g. of license plates, overlay texts or captions on TV images
    • G06V20/625License plat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Devices For Checking Fares Or Tickets At Control P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암호화 모듈을 이용한 무인 주차 관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암호화 모듈이 마련된 통합 게이트 웨이 유닛을 통해 주차장에 대한 모니터링 정보 및 결제정보를 암호화하여 전송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무인 주차 관제 시스템은 주차장의 모니터링 정보 및 출차하는 차량의 주차비에 대한 정보를 암호화 모듈을 통해 암호화한 다음, 관리서버 및 해당 차량의 운전자의 모바일 단말기에 전송하고, 모바일 단발기 또는 관리서버로부터 제공되는 결제정보를 암호화하여 전송한다.
상술된 본 발명에 따른 암호화 모듈을 이용한 무인 주차 관제 시스템은 암호화모듈이 마련된 통합 게이트 웨이 유닛을 통해 주차장에 대한 모니터링 정보를 암호화하여 전송할 수 있으므로 통신 안전성이 비교적 높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암호화 모듈을 이용한 무인 주차 관제 시스템{An unmanned parking lot management system using encryption module}
본 발명은 암호화 모듈을 이용한 무인 주차 관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통합 게이트 웨이 유닛을 통해 주차장에 대한 모니터링 정보 및 결제정보를 암호화하여 전송할 수 있는 암호화 모듈을 이용한 무인 주차 관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차장의 종류는, 그 형태상으로 보아 빌딩 부설 주차장, 공공건물 주차장, 상가전용 주차장, 호텔, 병원 주차장, 및 아파트, 빌라 및 주거지역 주차장 등으로 구분할 수 있고, 그 운영방식에 따라 일반권, 정액권, 정기권, 면제권 방식이나 유인 또는 무인 운영방식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 중에서도, 주차장 운영방식에서 중요한 구분은 유인 또는 무인 운영방식으로 나누는 것인데, 유인 또는 무인 운영의 여부에 따라 주차장 관리 비용이 매우 달라질 수 있기 때문이다. 유인 요금징수 시스템은 문자 그대로 차량이 출차시에 주차장 관리원에 주차요금을 지불하고 출차하는 방식으로 운영되는 주차장 시스템이고, 무인 요금 징수 시스템은 주차권 및 무인 정산기를 이용하여 주차요금을 지불한 후 출차하는 방식이다.
상기 무인 정산기를 이용하는 방식 중 주류는 사전 무인정산기를 주차장 내에 설치하여 차량에 탑승하기 전에 자동판매기 형식의 사전 무인정산기에 주차요금을 투입하고, 정산완료 주차권을 출구에 있는 출구 판독기에 넣고 출차하는 방식이다. 이러한 무인 정산기를 이용하는 방식은, 주차장에 대한 모니터링 정보를 관리서버에 전송하고, 관리자는 관리서버에 접속하여 각 주차장의 모니터링 정보를 관리한다.
그러나, 이러한 무인 정산기는 해당 모니터링 정보를 단순히 무선 통신망을 이용하여 모니터링 정보를 전송하므로 해킹에 대한 대비가 마련되어 있지 않아 통신 안전성이 비교적 낮다는 단점이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0394626호: 복합상업시설 주차장의 칩 코인을 이용한 통합 주차베이시스템 및 그 주차요금 통합 정산방법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통합 게이트 웨이 유닛을 통해 주차장에 대한 모니터링 정보를 암호화하여 전송할 수 있는 암호화 모듈을 이용한 무인 주차 관제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암호화 모듈을 이용한 무인 주차 관제 시스템은 주차장의 입구 측에 설치되어 상기 주차장으로 입차하는 차량의 번호판을 촬영하는 입구측 카메라와, 상기 입구측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에서 상기 주차장에입차하는 차량의 번호를 인식하고, 인식된 차량의 번호와 해당 차량의 입차시간을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는 제1영상처리부가 포함된 입구 관리유닛과, 상기 주차장에서 출차하는 차량의 번호판을 촬영하기 위해 상기 주차장의 출구 측에 설치되는 출구측 카메라와, 상기 출구측 카메라에서 촬영된 촬영 영상에서 상기 주차장에서 출차하는 차량의 번호를 인식하는 제2영상처리부와, 상기 제2영상처리부에서 인식된 차량의 출차시간과,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해당 차량의 입차시간을 토대로 해당 차량의 주차비를 산출하고, 산출된 주차비를 해당 차량의 탑승자에게 청구하며, 해당 차량의 탑승자가 상기 주차비를 결제할 수 있도록 결제수단이 마련된 무인정산모듈과, 상기 주차장의 출구 측에 설치되어 상기 주차장의 출구를 개폐하는 출구 개폐부가 포함된 출구 관리유닛과, 해당 차량의 주차비와, 상기 무인정산모듈을 통해 결제된 결제비가 동일할 경우, 상기 주차장의 출구가 개방되도록 상기 출구 개폐부를 제어하는 제어모듈과, 상기 데이터 베이스 또는 제어모듈에 연결되어 상기 주차장에 대한 모니터링 정보를 생성하는 정보생성부와, 상기 정보생성부에 연결되며, 상기 정보생성부에서 생성된 모니터링 정보를 암호화하여 전송하는 통합 게이트웨이 유닛과, 상기 통합 게이트웨이 유닛으로부터 암호화된 모니터링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모니터링 정보를 복호화하여 저장하는 관리서버를 구비한다.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무인정산모듈로부터 산출된 주차비에 대한 정보를 상기 통합 게이트웨이 유닛을 통해 제공받고, 상기 주차비에 대한 정보를 해당 차량의 탑승자의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하며, 해당 차량의 탑승자로부터 해당 주차비에 대응되는 금액이 입금되면 입금정보 및 상기 주차장의 출구가 개방되게 상기 출구 개폐부가 작동되도록 작동신호를 암호화하여 상기 통합 게이트 웨이 유닛에 전송하고, 상기 통합 게이트 웨이 유닛은 암호화된 상기 입금정보 및 작동신호를 복호화하여 상기 제어모듈에 전달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암호화 모듈을 이용한 무인 주차 관제 시스템은 상기 주차장의 입구 측에 설치되어 상기 주차장의 입구로 입차하는 상기 차량의 번호판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상기 차량의 번호판으로 고압의 공기를 분사하는 송풍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제1영상처리부에서 상기 차량의 번호 중 일부가 미인식될 경우, 상기 차량의 번호판에 이물질이 부착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송풍부를 작동시킨다.
또한, 본 발명의 암호화 모듈을 이용한 무인 주차 관제 시스템은 상기 송풍부에 대해 전방으로 이격된 위치의 상기 주차장의 입구 측 바닥면에 설치되며, 상기 주차장으로 입차하는 차량의 번호판에 부착된 이물질을 간섭할 수 있도록 상기 주차장의 입구측 바닥면에 대해 상방으로 소정길이 연장되며, 소정의 탄성을 갖는 다수의 세척 브러쉬가 마련된 간섭유닛을 더 구비한다.
상기 간섭유닛은 상기 세척 브러쉬에 마련되며, 상기 차량의 번호판에 대한 접촉면적을 확장할 수 있도록 상기 세척 브러쉬의 연장방향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다수의 보조 브러쉬를 더 구비한다.
상기 간섭유닛은 상기 세척 브러쉬에 설치되며, 상기 세척 브러쉬가 상기 차량의 번호판에 접촉시 상기 번호판에 결빙된 얼음을 가열할 수 있도록 발열되는 발열부재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암호화 모듈을 이용한 무인 주차 관제 시스템은 상기 간섭유닛을 상기 주차장의 입구 측에서 상기 차량의 진행방향에 대해 교차되는 교차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간섭유닛에 설치되는 이동유닛과, 상기 주차장의 입구 측에 설치되어 상기 주차장의 입구 측으로 입차하는 차량의 상기 교차방향의 폭을 측정하는 측정유닛과, 상기 측정유닛으로부터 제공되는 측정 데이터를 토대로 상기 차량의 상기 교차방향 폭의 중앙부분을 산출하고, 산출된 상기 차량의 상기 교차방향 폭의 중앙부분에 상기 간섭유닛이 위치하도록 상기 이동유닛을 제어하는 이동 제어부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측정유닛은 상기 주차장의 입구 측으로 입차하는 상기 차량의 좌우 차륜에 접촉될 수 있도록 상기 주차장의 입구 측 바닥면에, 상기 교차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주차장 입구 측 바닥면을 통과하는 상기 차량의 차륜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도록 상기 교차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된 다수의 감지센서가 마련된 복수의 바퀴 감지부와, 상기 바퀴 감지부들에서 제공되는 감지 정보를 토대로 해당 차량의 상기 교차방향의 폭을 산출하는 제1폭 산출모듈을 구비한다.
상기 측정유닛은 상기 주차장의 입구로 입차하는 차량이 통과될 수 있도록 사이 공간이 마련될 수 있게 상기 주차장의 입구 측에, 상기 교차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설치되는 복수의 거치기둥과, 상기 거치기둥들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거치기둥들 사이에 상기 차량이 통과시 상기 거치기둥에서, 상기 거치기둥에 대향되는 상기 차량의 측면까지의 거리를 측정하는 복수의 거리측정센서와, 상기 거리측정센서들에서 제공되는 측정 정보를 토대로 해당 차량의 상기 교차방향의 폭을 산출하는 제2폭 산출모듈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암호화 모듈을 이용한 무인 주차 관제 시스템은 통합 게이트 웨이 유닛을 통해 주차장에 대한 모니터링 정보를 암호화하여 전송할 수 있으므로 통신 안전성이 비교적 높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암호화 모듈을 이용한 무인 주차 관제 시스템에 대한 개념도이고,
도 2는 도 1의 암호화 모듈을 이용한 무인 주차 관제 시스템에 대한 블럭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암호화 모듈을 이용한 무인 주차 관제 시스템에 대한 개념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간섭유닛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간섭유닛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암호화 모듈을 이용한 무인 주차 관제 시스템에 대한 평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측정유닛에 대한 배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암호화 모듈을 이용한 무인 주차 관제 시스템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 및 도 2에는 본 발명에 따른 암호화 모듈을 이용한 무인 주차 관제 시스템이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암호화 모듈을 이용한 무인 주차 관제 시스템은 주차장의 입구 측에 설치되어 주차장으로 입차하는 차량을 감지하는 입구 관리유닛과, 상기 주차장의 출구 측에 설치되어 해당 차량의 주차비를 산출하여 해당 차량의 운전자에게 청구하는 출구 관리유닛과, 해당 차량의 주차비와, 상기 출구 관리유닛을 통해 결제된 결제비가 동일할 경우, 상기 주차장의 출구가 개방되도록 상기 출구 관리유닛을 제어하는 제어모듈(130)과, 상기 주차장에 대한 모니터링 정보를 생성하는 정보생성부(140)와, 상기 정보생성부(140)에 연결되며, 상기 정보생성부(140)에서 생성된 모니터링 정보를 암호화하여 전송하는 통합 게이트웨이 유닛(150)과, 상기 통합 게이트웨이 유닛(150)으로부터 암호화된 모니터링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모니터링 정보를 복호화하여 저장하는 관리서버(160)를 구비한다.
상기 입구 관리유닛은 주차권 발권기(111), 입구 개폐부(112), 입구측 카메라(113) 및 제1영상처리부(114)를 구비한다.
주차권 발권기(111)는 주차장의 입구 측에 설치되어 상기 주차장의 입구로 차량이 입차시 상기 차량의 입차시간이 포함된 입차정보가 기록된 주차권을 발권한다. 여기서, 입차정보에는 제1영상처리부(114)를 통해 인식된 차량 번호가 포함될 수도 있다. 상기 주차권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하면에 입차정보가 기록될 수 있도록 마그네틱 부분이 형성되어 있다.
주차권 발권기(111)는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주차장으로 입차하는 차량을 감지할 수 있는 차량감지센서(322)를 더 구비한다. 상기 차량감지센서(322)는 주차장으로 입차하는 차량을 감지하기 위해 종래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감지수단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주차권 발권기(111)는 차량감지센서(322)를 통해 주차장으로 입차하는 차량을 감지시 해당 차량의 입차시간이 포함된 입차정보를 주차권의 일측면에 마련된 마그네틱 부분에 기록하되, 상기 마그네틱 부분에 대해 이격된 위치의 주차권의 일측면에 입차정보를 문자 형태로 기록할 수도 있다.
또한, 주차권 발권기(111)는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차량의 운전자가 발권된 주차권을 인출하였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인출센서를 더 구비한다. 상기 인출센서는 발권된 주차권의 인출여부를 감지하기 위해 종래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감지센서(322)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입구 개폐부(112)는 주차장의 차량 진행방향에 대해 상기 주차권 발권기(111) 후방의 주차장 입구 측에 설치되어 주차장의 입구를 개폐한다. 상기 입구 개폐부(112)는 주차장의 입구 가장자리에 설치된 제1본체와, 제1본체에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주차장의 입구로 차량이 인입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타단은 주차장 입구 내측으로 인입되되, 주차장 입구의 차량 진행방향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차단바와, 상기 제1본체에 설치되어 제1차단바를 회동시키는 제1회동유닛(미도시)를 구비한다. 한편, 입구 개페부는 이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주차장의 입구를 개폐할 수 있는 개폐수단이면 무엇이든 적용가능하다.
입구측 카메라(113)는 상기 주차장의 입구로 진입하는 상기 차량의 번호판을 촬영할 수 있도록 상기 주차장의 입구 측에 설치된다. 상기 입구측 카메라(113)는 주차권 발권기(111)에 인접되게 설치되며,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지지대에 의해 주차장의 지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이격된 높이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영상처리부(114)는 입구측 카메라(113)에서 촬영된 촬영 영상에서 상기 주차장에 입차하는 차량의 번호를 인식하고, 인식된 차량의 번호와 해당 차량의 입차시간을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한다. 상기 제1영상처리부(114)는 영상에서 차량의 번호를 인식하기 위해 종래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차량번호인식시스템(LPR:License Plate Recognition)이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제1영상처리부(114)는 인식된 차량의 번호에 대한 정보를 제어모듈(130)로 전달한다.
출구 관리유닛(120)은 출구측 카메라(121), 제2영상처리부(122), 주차권 리더기(123), 무인정산모듈(124) 및 출구 개폐부(125)을 구비한다.
출구측 카메라(121)는 주차장의 출구 측에 설치되어 주차장에서 출차하는 차량의 번호판을 촬영한다. 상기 출구측 카메라(121)는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지지대에 의해 주차장의 지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이격된 높이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영상처리부(122)는 출구측 카메라(121)에서 촬영된 촬영 영상에서 상기 주차장에서 출차하는 차량의 번호를 인식하고, 인식된 차량의 번호와 해당 차량의 출차시간을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한다. 상기 제2영상처리부(122)는 영상에서 차량의 번호를 인식하기 위해 종래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차량번호인식시스템(LPR:License Plate Recognition)이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제2영상처리부(122)는 인식된 차량의 번호에 대한 정보를 제어모듈(130)로 전달한다.
주차권 리더기(123)는 상기 주차장의 출구 측에 설치되어 출차하는 상기 차량의 운전자가 투입하는 상기 주차권으로부터 해당 차량의 입차정보를 획득한다. 상기 주차권 리더기(123)는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차량의 운전자가 주차권을 투입할 수 있도록 투입슬롯(321)이 마련되며, 투입슬롯(321)에 투입된 주차권의 마그네틱 부분에 기록된 입차정보를 읽을 수 있도록 마그네틱 리더모듈(331)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주차권 리더기(123)는 투입된 주차권으로부터 획득한 해당 차량의 입차정보를 제2제어모듈(130)(126) 및 무인정산모듈(124)로 전달한다.
무인정산모듈(124)은 주차권 리더기(123) 후방의 주차장의 출구 가장자리에 설치되며,주차권 리더기(123)를 통해 획득한 해당 차량의 입차정보를 토대로 해당 차량의 주차비를 계산하고, 계산된 주차비를 해당 차량의 운전자에게 청구하며, 해당 차량의 운전자가 상기 주차비를 결제할 수 있도록 결제수단이 마련된다. 무인정산모듈(124)은 산출된 주차비를 표시하기 위해 디스플레이 패널(미도시)이 상부 외측면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무인정산모듈(124)의 결제수단은 현금 또는 신용카드를 이용하여 차량의 탑승자가 결제를 수행할 수 있는 결제수단이면 무엇이든 적용가능하다.
한편, 무인정산모듈(124)은 상기 제2영상처리부에서 인식된 차량의 출차시간과,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해당 차량의 입차시간을 토대로 해당 차량의 주차비를 산출하고, 산출된 주차비를 해당 차량의 탑승자에게 청구할 수도 있다.
출구 개폐부(125)는 상기 주차장의 출구를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무인정산모듈(124) 후방의 상기 주차장의 출구 측에 설치된다. 상기 출구 개폐부(125)는 주차장의 출구 가장자리에 설치된 제2본체와, 제2본체에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주차장의 출구로 차량이 출차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타단은 주차장 출구 내측으로 인입되되, 주차장 출구의 차량 진행방향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차단바와, 상기 제2본체에 설치되어 제2차단바를 회동시키는 제2회동유닛(미도시)을 구비한다. 한편, 출구 개페부는 이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주차장의 출구를 개폐할 수 있는 개폐수단이면 무엇이든 적용가능하다.
제어모듈(130)은 입구 관리유닛의 입구 개폐부 및 출구 관리유닛의 출구 개폐부를 제어한다.
제어모듈(130)은 주차권 발권기(111) 및 제1영상처리부(114)에서 제공되는 정보를 토대로 입구 개폐부(112)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모듈(130)은 주차권을 상기 차량의 운전자가 상기 주차권 발권기(111)로부터 인출하거나 상기 제1영상처리부(114)에서 인식된 차량의 번호가 기등록된 정액주차 대상차량의 번호일 경우, 상기 주차장의 입구가 개방되도록 상기 입구 개폐부(112)를 제어한다.
또한, 제어모듈(130)은 해당 차량의 운전자가 주차권 발권기(111)로부터 주차권을 인출하지 않더라도 입구 개폐부(112)에 해당 차량이 인접될 경우, 상기 주차장의 입구가 개방되도록 상기 입구 개폐부(112)를 제어할 수도 있다. 이때, 무인정산모듈(124)은 상차량의 출차시간과,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해당 차량의 입차시간을 토대로 해당 차량의 주차비를 산출하고, 산출된 주차비를 해당 차량의 탑승자에게 청구할 수도 있다.
한편, 제어모듈(130)은 상기 주차장의 입구에 진입한 차량이 상기 정액주차 대상차량일 경우, 상기 주차권이 미발권되도록 상기 주차권 발권기(111)를 제어할 수도 있다.
여기서, 제어모듈(130)은 출구 개폐부를 하기와 같이 제어할 수 있다. 제어모듈(130)은 주차장의 출구 측으로 이동한 해당 차량의 주차비와, 상기 무인정산모듈(124)을 통해 결제된 운전자의 결제비가 동일하거나, 상기 제2영상처리부(122)에서 인식된 상기 차량의 번호가 기등록된 정액주차 대상차량의 번호일 경우, 상기 주차장의 출구가 개방되도록 상기 출구 개폐부(125)를 제어한다.
정보생성부(140)는 상기 데이터 베이스 또는 제어모듈(130)에 연결되어 상기 주차장에 대한 모니터링 정보를 생성한다. 여기서, 모니터링 정보는 해당 주차장에 입차된 차량의 수, 주차 가능한 차량의 수, 결제된 주차비 등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다.
통합 게이트 웨이 유닛(150)은 정보생성부(140)에 연결되며, 상기 정보생성부(140)에서 생성된 모니터링 정보를 암호화하여 전송한다. 상기 통합 게이트 웨이 유닛은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정보생성부(140)에 연결되며, 상기 정보생성부(140)로부터 수신된 모니터링 정보를 암호화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보안 알고리즘을 저장하는 암호화 모듈과, 암호화 모듈에 의해 암호화된 모니터링 정보를 상기 관리서버(160)에 전달하기 위한 통신부를 구비한다.
관리서버(160)는 상기 통합 게이트웨이 유닛(150)으로부터 암호화된 모니터링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모니터링 정보를 복호화하여 저장한다. 이때, 관리서버(160)는 H/W보안침의 보안 알고리즘이 저장되어 있어 상기 보안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모니터링 정보를 복호화한다. 또한, 관리서버(160)는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모니터링 정보를 저장하기 위해 저장부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관리서버(160)는 상기 무인정산모듈로부터 산출된 주차비에 대한 정보를 상기 통합 게이트웨이 유닛(150)을 통해 제공받고, 상기 주차비에 대한 정보를 해당 차량의 탑승자의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하며, 해당 차량의 탑승자로부터 해당 주차비에 대응되는 금액이 입금되면 입금정보 및 상기 주차장의 출구가 개방되게 상기 출구 개폐부가 작동되도록 작동신호를 암호화하여 상기 통합 게이트 웨이 유닛(150)에 전송한다. 여기서, 통합 게이트 웨이 유닛(150)은 암호화된 입금정보 및 작동신호를 복호화하여 제어모듈(130)에 전달한다.
이때, 탑승자가 소지한 모바일 단말기는 휴대폰, 스마트폰과 같은 이동통신 단말기가 적용된다. 여기서, 모바일 단말기는 관리서버(160)에서 전송된 주차비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고, 금융기관의 서버와 통신하여 해당 주차비에 대응되는 금액을 송금할 수 있는 처리모듈이 어플리케이션 형태로 마련되어 있다.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암호화 모듈을 이용한 무인 주차 관제 시스템은 통합 게이트 웨이 유닛을 통해 주차장에 대한 모니터링 정보를 암호화하여 전송할 수 있으므로 통신 안전성이 비교적 높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도 3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암호화 모듈을 이용한 무인 주차 관제 시스템(200)가 도시되어 있다.
앞서 도시된 도면에서와 동일한 기능을 하는 요소는 동일 참조부호로 표기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무인 주차요금 징수장치(200)는 상기 주차장의 입구 측에 설치되어 상기 주차장의 입구로 진입하는 상기 차량의 번호판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상기 차량의 번호판으로 외기를 강제 송풍시키는 제1송풍부(210)와, 상기 주차장의 출구 측에 설치되어 상기 주차장의 출구로 출차하는 상기 차량의 번호판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상기 차량으로 번호판으로 외기를 강제 송풍시키는 제2송풍부(220)와, 제1송풍부(210)에 대해 전방으로 이격된 위치의 주차장 입구 측 바닥면에 설치되어 주차장으로 입차하는 차량의 번호판에 부착된 이물질을 간섭하는 간섭유닛(230)을 더 구비한다. 여기서, 도면부호 116, 117, 127, 128은 각각 제1본체, 제1차단바, 제2본체, 제2차단바이다.
제1송풍부(210)는 입구 개폐부(112)에 대해 전방으로 이격된 위치의 주차장 지면에 설치되어 상방으로 외기를 강제 분사하는 다수의 제1분사노즐(211)과, 상기 제1분사노즐(211)로 고압의 공기를 공급하는 제1외기공급부(212)를 구비한다.
상기 제1분사노즐(211)은 다수개가 상기 주차장 입구의 폭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배열되며, 입구 개폐부(112)의 전방에 정차한 차량의 번호판에 공기가 분사될 수 있도록 공기가 분사되는 분사공이 상측 전방을 향하도록 경사지게 주차장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외기공급부(212)는 상기 제1분사노즐(211)들에 연결된 제1공급관(213)과, 상기 제1공급관(213)에 설치되어 상기 제1공급관(213)으로 고압의 공기를 공급하는 제1콤프레셔(214)를 구비한다. 상기 제1콤프레셔(214)는 제어모듈(130)에 의해 제어된다.
여기서, 제어모듈(130)은 상기 제1영상처리부(114)에서 상기 차량의 번호 중 일부가 미인식될 경우, 상기 차량의 번호판에 이물질이 부착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제1송풍부(210)를 작동시킨다. 즉, 제어모듈(130)은 주차장에 입차하는 차량의 번호 중 일부만 제1영상처리부(114)를 통해 인식될 경우, 제1콤프레셔(214)를 작동시키고, 제1콤프레셔(214)를 통해 공급된 고압의 공기는 제1분사노즐(211)을 통해 분사되어 해당 차량의 번호판에 부착된 낙엽과 같은 이물질을 제거한다.
제2송풍부(220)는 출구 개폐부(125)에 대해 전방으로 이격된 위치의 주차장 지면에 설치되어 상방으로 외기를 강제 분사하는 다수의 제2분사노즐(221)과, 상기 제2분사노즐(221)로 고압의 공기를 공급하는 제2외기공급부(222)를 구비한다.
상기 제2분사노즐(221)은 다수개가 상기 주차장 출구의 폭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배열되며, 출구 개폐부(125)의 전방에 정차한 차량의 번호판에 공기가 분사될 수 있도록 공기가 분사되는 분사공이 상측 전방을 향하도록 경사지게 주차장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외기공급부(222)는 상기 제2분사노즐(221)들에 연결된 제2공급관(223)과, 상기 제2공급관(223)에 설치되어 상기 제2공급관(223)으로 고압의 공기를 공급하는 제2콤프레셔(224)를 구비한다. 상기 제2콤프레셔(224)는 제어모듈(130)에 의해 제어된다.
여기서, 제어모듈(130)(126)은 상기 제2영상처리부(122)에서 상기 차량의 번호 중 일부가 미인식될 경우, 상기 차량의 번호판에 이물질이 부착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제2송풍부(220)를 작동시킨다. 즉, 제어모듈(130)(126)은 주차장에 출차하는 차량의 번호 중 일부만 제2영상처리부(122)를 통해 인식될 경우, 제2콤프레셔(224)를 작동시키고, 제2콤프레셔(224)를 통해 공급된 고압의 공기는 제2분사노즐(221)을 통해 분사되어 해당 차량의 번호판에 부착된 낙엽과 같은 이물질을 제거한다.
간섭유닛(230)은 상기 송풍부에 대해 전방으로 이격된 위치의 상기 주차장의 입구 측 바닥면에 설치되며, 상기 주차장으로 입차하는 차량의 번호판에 부착된 이물질을 간섭할 수 있도록 상기 주차장의 입구측 바닥면에 대해 상방으로 소정길이 연장되며, 소정의 탄성을 갖는 다수의 세척 브러쉬(231)가 마련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세척 브러쉬(231)는 주차장의 입구로 입차하는 차량의 번호판에 간섭될 수 있도록 주차장의 바닥면에 대해 상방으로 소정길이로 연장된다. 또한, 세척 브러쉬(231)는 차량에 접촉시 차량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플렉시블한 소재로 형성된다. 그리고,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상기 간섭유닛(230)은 세척 브러쉬(231)가 번호판을 제외한 차량의 전방부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주차장의 입구 측 중앙부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차량이 주차장로 입차시 간섭유닛(230)을 통과하는데, 간섭유닛(230)의 세척 브러쉬(231)가 번호판을 접촉하여 번호판에 고착된 이물질을 간섭하므로 제1송풍부에 대한 세척효율이 보다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이 구성된 상기 무인 주차요금 징수장치(200)는 제1 및 제2송풍부(220), 간섭유닛(230)을 통해 차량의 번호판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으므로 영상처리부에 의해 차량의 번호의 인식율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한편, 도 4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간섭유닛(240)이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간섭유닛(240)은 상기 세척 브러쉬(231)에 마련되며, 상기 차량의 번호판에 대한 접촉면적을 확장할 수 있는 다수의 보조 브러쉬(241)를 더 구비한다.
상기 보조 브러쉬(241)는 상기 세척 브러쉬(231)의 연장방향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된다. 여기서, 보조 브러쉬(241)는 차량에 접촉시 차량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플렉시블하고, 소정의 탄성을 갖는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조 브러쉬(241)는 다수개가 상하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상기 세척 브러쉬(231)에 설치된다.
상술된 바와 같이 구성된 상기 세척 브러쉬(231)에 의해 간섭유닛(240)은 차량의 번호판에 대한 접촉면적이 확장되어 번호판의 이물질 제거효율이 향상된다.
한편, 도 5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간섭유닛(250)이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간섭유닛(250)은 상기 세척 브러쉬(231)에 설치되며, 상기 세척 브러쉬(231)가 상기 차량의 번호판에 접촉시 상기 번호판에 결빙된 얼음을 가열할 수 있도록 발열되는 발열부재(251)를 더 구비한다.
상기 발열부재(251)는 세척 브러쉬(231)의 내부에 인입되게 설치되며,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에 발열하는 전열선이 적용된다. 여기서, 발열부재(251)는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세척 브러쉬(231)에 대응되게 상하방향으로 소정길이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된 바와 같이 구성된 상기 간섭유닛(250)은 상기 발열부재(251)에 의해 고온으로 세척 브러쉬(231)가 가열되므로 번호판에 얼음이 결빙되더라도 보다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도 6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암호화 모듈을 이용한 무인 주차 관제 시스템(300)이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암호화 모듈을 이용한 무인 주차 관제 시스템은 상기 간섭유닛(230)을 상기 주차장의 입구 측에서 상기 차량의 진행방향에 대해 교차되는 교차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간섭유닛(230)에 설치되는 이동유닛(310)과, 상기 주차장의 입구 측에 설치되어 상기 주차장의 입구 측으로 입차하는 차량의 상기 교차방향의 폭을 측정하는 측정유닛(320)과, 상기 측정유닛(320)으로부터 제공되는 측정 데이터를 토대로 상기 차량의 상기 교차방향 폭의 중앙부분을 산출하고, 산출된 상기 차량의 상기 교차방향 폭의 중앙부분에 상기 간섭유닛(230)이 위치하도록 상기 이동유닛(310)을 제어하는 이동 제어부(미도시)를 구비한다.
상기 이동유닛(310)은 제1송풍부(210)의 제1분사노즐(211)에 대해 전방으로 이격된 위치의 주차장의 입구측 바닥면에 설치되며, 주차장의 입구 측 좌우 폭방향으로 소정길이 연장된 이동레일(311)과, 상기 이동레일(311)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간섭유닛(230)이 상부에 설치된 이동블럭(312)과, 상기 이동레일(311)을 따라 상기 이동블럭(312)을 이동시키는 블럭이동부(미도시)를 구비한다.
상기 이동레일(311)은 주차장의 입구 측 중앙부에서 좌우측 가장자리로 소정길이 연장된다.
상기 블럭이동부는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이동레일(311)에, 좌우방향을 따라 배열된 다수의 기어이가 마련된 이동기어부와, 상기 이동기어부에 치합될 수 있도록 상기 이동블럭(312)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구동기어와, 상기 구동기어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상기 구동기어에 설치된 구동모터를 구비한다.
측정유닛(320)은 상기 주차장의 입구 측으로 입차하는 상기 차량의 좌우 차륜에 접촉될 수 있도록 상기 주차장의 입구 측 바닥면에, 상기 교차방향인 좌우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는 복수의 바퀴 감지부(321)와, 상기 바퀴 감지부(321)들에서 제공되는 감지 정보를 토대로 해당 차량의 상기 교차방향의 폭을 산출하는 제1폭 산출모듈(미도시)을 구비한다.
바퀴 감지부(321)는 각각 주차장의 입구 측 바닥면의 좌우측 가장자리에 인접되게 마련된다. 여기서, 상기 바퀴 감지부(321)는 상기 주차장 입구 측 바닥면을 통과하는 상기 차량의 차륜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도록 다수의 감지센서(322)를 구비한다. 상기 감지센서(322)들은 상기 교차방향 즉, 좌우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주차장의 바닥면에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감지센서(322)는 바퀴의 접촉 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접촉 감지센싱 수단이 적용된다.
제1폭 산출모듈은 바퀴 감지부(321)의 감지센서(322)들로부터 감지정보를 제공받아 해당 차량의 교차방향 즉, 좌우방향 폭을 산출한다. 이때, 제1폭 산출모듈은 주차장 바닥면에 대한 차량의 각 바퀴의 위치에 대한 정보도 산출하여 이동 제어부에 제공한다.
이동 제어부는 측정유닛(320)으로부터 제공되는 차량의 좌우방향 폭 및 주차장 바닥면에 대한 차량의 각 바퀴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토대로 상기 차량의 상기 교차방향 폭의 중앙부분을 산출한다. 이때, 이동 제어부는 해당 차량의 중앙부분의 주차장 바닥면에 대한 위치도 산출한다. 다음, 이동 제어부는 산출된 상기 차량의 상기 교차방향 폭의 중앙부분에 상기 간섭유닛(230)이 위치하도록 상기 이동유닛(310)을 제어한다.
상술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암호화 모듈을 이용한 무인 주차 관제 시스템은 측정유닛(320)으로부터 제공되는 정보를 토대로 간섭유닛(230)을 차량의 중앙부에 위치시키므로 간섭유닛(230)의 세척 브러쉬(231)가 번호판 외의 차량에 접촉되어 차량을 손상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7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측정유닛(350)이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측정유닛(350)은 상기 주차장의 입구로 입차하는 차량이 통과될 수 있도록 사이 공간이 마련될 수 있게 상기 주차장의 입구 측에, 상기 교차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설치되는 복수의 거치기둥(351)과, 상기 거치기둥(351)들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거치기둥(351)들 사이에 상기 차량이 통과시 상기 거치기둥(351)에서, 상기 거치기둥(351)에 대향되는 상기 차량의 측면까지의 거리를 측정하는 복수의 거리측정센서(352)와, 상기 거리측정센서(352)들에서 제공되는 측정 정보를 토대로 해당 차량의 상기 교차방향의 폭을 산출하는 제2폭 산출모듈(미도시)을 구비한다.
상기 거치기둥(351)은 주차장 바닥면에 대해 상방으로 소정길이 연장되며, 복수개가 주차장의 입구측 좌우 가장자리에 각각 설치되어 있다.
거리측정센서(352)는 거치기둥(351)의 상호 대향되는 외측면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거치기둥(351)에 대향되는 상기 차량의 측면까지의 거리를 측정한다. 여기서, 거리측정센서(352)는 초음파를 차량으로 조사하고, 반사되는 초음파를 수신하여 거리를 측정하는 종래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거리측정 수단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2폭 산출모듈은 거리측정센서(352)들로부터 감지정보를 제공받아 해당 차량의 교차방향 즉, 좌우방향 폭을 산출한다. 이때, 제1폭 산출모듈은 주차장 바닥면에 대한 차량의 각 바퀴의 위치에 대한 정보도 산출하여 이동 제어부에 제공한다.
제시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임의의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 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최광의의 범위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암호화 모듈을 이용한 무인 주차 관제 시스템
110: 입구 관리유닛
113: 입구측 카메라
114: 제1영상처리부
120: 출구 관리유닛
121: 출구측 카메라
122: 제2영상처리부
124: 무인정산모듈
125: 출구 개폐부
130: 제어모듈
140: 정보생성부
150: 통합 게이트웨이 유닛
160: 관리서버

Claims (9)

  1. 주차장의 입구 측에 설치되어 상기 주차장으로 입차하는 차량의 번호판을 촬영하는 입구측 카메라와, 상기 입구측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에서 상기 주차장에입차하는 차량의 번호를 인식하고, 인식된 차량의 번호와 해당 차량의 입차시간을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는 제1영상처리부가 포함된 입구 관리유닛;
    상기 주차장에서 출차하는 차량의 번호판을 촬영하기 위해 상기 주차장의 출구 측에 설치되는 출구측 카메라와, 상기 출구측 카메라에서 촬영된 촬영 영상에서 상기 주차장에서 출차하는 차량의 번호를 인식하는 제2영상처리부와, 상기 제2영상처리부에서 인식된 차량의 출차시간과,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해당 차량의 입차시간을 토대로 해당 차량의 주차비를 산출하고, 산출된 주차비를 해당 차량의 탑승자에게 청구하며, 해당 차량의 탑승자가 상기 주차비를 결제할 수 있도록 결제수단이 마련된 무인정산모듈과, 상기 주차장의 출구 측에 설치되어 상기 주차장의 출구를 개폐하는 출구 개폐부가 포함된 출구 관리유닛;
    해당 차량의 주차비와, 상기 무인정산모듈을 통해 결제된 결제비가 동일할 경우, 상기 주차장의 출구가 개방되도록 상기 출구 개폐부를 제어하는 제어모듈;
    상기 데이터 베이스 또는 제어모듈에 연결되어 상기 주차장에 대한 모니터링 정보를 생성하는 정보생성부;
    상기 정보생성부에 연결되며, 상기 정보생성부에서 생성된 모니터링 정보를 암호화하여 전송할 수 있도록 암호화 모듈이 마련된 통합 게이트웨이 유닛;
    상기 통합 게이트웨이 유닛으로부터 암호화된 모니터링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모니터링 정보를 복호화하여 저장하는 관리서버;
    상기 주차장의 입구 측에 설치되어 상기 주차장의 입구로 입차하는 상기 차량의 번호판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상기 차량의 번호판으로 고압의 공기를 분사하는 송풍부;
    상기 송풍부에 대해 전방으로 이격된 위치의 상기 주차장의 입구 측 바닥면에 설치되며, 상기 주차장으로 입차하는 차량의 번호판에 부착된 이물질을 간섭할 수 있도록 상기 주차장의 입구측 바닥면에 대해 상방으로 소정길이 연장되며, 소정의 탄성을 갖는 다수의 세척 브러쉬가 마련된 간섭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제1영상처리부에서 상기 차량의 번호 중 일부가 미인식될 경우, 상기 차량의 번호판에 이물질이 부착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송풍부를 작동시키는,
    암호화 모듈을 이용한 무인 주차 관제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무인정산모듈로부터 산출된 주차비에 대한 정보를 상기 통합 게이트웨이 유닛을 통해 제공받고, 상기 주차비에 대한 정보를 해당 차량의 탑승자의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하며, 해당 차량의 탑승자로부터 해당 주차비에 대응되는 금액이 입금되면 입금정보 및 상기 주차장의 출구가 개방되게 상기 출구 개폐부가 작동되도록 작동신호를 암호화하여 상기 통합 게이트 웨이 유닛에 전송하고,
    상기 통합 게이트 웨이 유닛은 암호화된 상기 입금정보 및 작동신호를 복호화하여 상기 제어모듈에 전달하는
    암호화 모듈을 이용한 무인 주차 관제 시스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간섭유닛은 상기 세척 브러쉬에 마련되며, 상기 차량의 번호판에 대한 접촉면적을 확장할 수 있도록 상기 세척 브러쉬의 연장방향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다수의 보조 브러쉬;를 더 구비하는,
    암호화 모듈을 이용한 무인 주차 관제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간섭유닛은
    상기 세척 브러쉬에 설치되며, 상기 세척 브러쉬가 상기 차량의 번호판에 접촉시 상기 번호판에 결빙된 얼음을 가열할 수 있도록 발열되는 발열부재;를 더 구비하는,
    암호화 모듈을 이용한 무인 주차 관제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간섭유닛을 상기 주차장의 입구 측에서 상기 차량의 진행방향에 대해 교차되는 교차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간섭유닛에 설치되는 이동유닛;
    상기 주차장의 입구 측에 설치되어 상기 주차장의 입구 측으로 입차하는 차량의 상기 교차방향의 폭을 측정하는 측정유닛; 및
    상기 측정유닛으로부터 제공되는 측정 데이터를 토대로 상기 차량의 상기 교차방향 폭의 중앙부분을 산출하고, 산출된 상기 차량의 상기 교차방향 폭의 중앙부분에 상기 간섭유닛이 위치하도록 상기 이동유닛을 제어하는 이동 제어부;를 더 구비하는,
    암호화 모듈을 이용한 무인 주차 관제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유닛은
    상기 주차장의 입구 측으로 입차하는 상기 차량의 좌우 차륜에 접촉될 수 있도록 상기 주차장의 입구 측 바닥면에, 상기 교차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주차장 입구 측 바닥면을 통과하는 상기 차량의 차륜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도록 상기 교차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된 다수의 감지센서가 마련된 복수의 바퀴 감지부; 및
    상기 바퀴 감지부들에서 제공되는 감지 정보를 토대로 해당 차량의 상기 교차방향의 폭을 산출하는 제1폭 산출모듈;을 구비하는,
    암호화 모듈을 이용한 무인 주차 관제 시스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유닛은
    상기 주차장의 입구로 입차하는 차량이 통과될 수 있도록 사이 공간이 마련될 수 있게 상기 주차장의 입구 측에, 상기 교차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설치되는 복수의 거치기둥;
    상기 거치기둥들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거치기둥들 사이에 상기 차량이 통과시 상기 거치기둥에서, 상기 거치기둥에 대향되는 상기 차량의 측면까지의 거리를 측정하는 복수의 거리측정센서; 및
    상기 거리측정센서들에서 제공되는 측정 정보를 토대로 해당 차량의 상기 교차방향의 폭을 산출하는 제2폭 산출모듈;을 구비하는,
    암호화 모듈을 이용한 무인 주차 관제 시스템.
KR1020190123624A 2019-10-07 2019-10-07 암호화 모듈을 이용한 무인 주차 관제 시스템 KR1021495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3624A KR102149544B1 (ko) 2019-10-07 2019-10-07 암호화 모듈을 이용한 무인 주차 관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3624A KR102149544B1 (ko) 2019-10-07 2019-10-07 암호화 모듈을 이용한 무인 주차 관제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9544B1 true KR102149544B1 (ko) 2020-08-28

Family

ID=722921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3624A KR102149544B1 (ko) 2019-10-07 2019-10-07 암호화 모듈을 이용한 무인 주차 관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954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5880B1 (ko) * 2023-05-31 2023-12-21 (주)오토게이트 스마트폰의 식별정보 기반 주차 결제 및 관제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4626B1 (ko) 2000-12-05 2003-08-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삼중 질량 진동 감쇠 플라이휠
KR20050075773A (ko) * 2004-01-17 2005-07-21 미래산전 주식회사 주차 시스템
KR20110133755A (ko) * 2010-06-07 2011-12-14 아마노코리아 주식회사 유저단말기를 이용한 주차요금 결제시스템
KR20140126611A (ko) * 2013-04-23 2014-10-31 주식회사 다래파크텍 무인 정산이 용이한 주차관리장치
KR102019390B1 (ko) * 2019-01-14 2019-09-09 주식회사 에스아이티 무인 주차요금 징수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4626B1 (ko) 2000-12-05 2003-08-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삼중 질량 진동 감쇠 플라이휠
KR20050075773A (ko) * 2004-01-17 2005-07-21 미래산전 주식회사 주차 시스템
KR20110133755A (ko) * 2010-06-07 2011-12-14 아마노코리아 주식회사 유저단말기를 이용한 주차요금 결제시스템
KR20140126611A (ko) * 2013-04-23 2014-10-31 주식회사 다래파크텍 무인 정산이 용이한 주차관리장치
KR102019390B1 (ko) * 2019-01-14 2019-09-09 주식회사 에스아이티 무인 주차요금 징수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5880B1 (ko) * 2023-05-31 2023-12-21 (주)오토게이트 스마트폰의 식별정보 기반 주차 결제 및 관제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999947B (zh) 一种卡机和停车场收费系统
WO2016062261A1 (zh) 一种无卡停车方法以及系统
CN108038999B (zh) 智能无人超市防盗系统及其控制方法
KR102019390B1 (ko) 무인 주차요금 징수장치
KR102149544B1 (ko) 암호화 모듈을 이용한 무인 주차 관제 시스템
JP5214352B2 (ja) リーダライタユニット、リーダライタユニットの通信制御方法、リーダライタユニットの通信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駐車料金精算機
KR102064522B1 (ko) 무인 주차요금 징수장치
US20160163122A1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a parking process of a vehicle in a parking zone which is subject to charges, and for managing a counting process for paying parking charges
KR20080023178A (ko) 자동주차관리시스템
JP5781587B2 (ja) 料金収受システム、料金収受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9064461A (ja) 料金収受システム、カード処理方法
JP2017004132A (ja) 料金収受設備、料金収受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7058299A (ja) 料金収受システムおよび料金収受方法
KR101249450B1 (ko) 주차요금 징수 시스템
JP2006236224A (ja) 料金収受システム、車載器、icカード、料金収受方法
JP4237509B2 (ja) 料金収受システム、料金収受方法
JP2010020746A (ja) 駐車場管理システム
JP4064166B2 (ja) 駐車場管理システム
JP4856964B2 (ja) 駐車場管理装置
KR102064518B1 (ko) 무인 주차요금 징수장치
KR102064524B1 (ko) 무인 주차요금 징수장치
JPH10105874A (ja) 車両阻止装置
JP2003323649A (ja) 自動料金収受システム
CN218041395U (zh) 一种基于蓝牙sim卡的近场通信系统
KR102170438B1 (ko) 주차장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