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5880B1 - 스마트폰의 식별정보 기반 주차 결제 및 관제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스마트폰의 식별정보 기반 주차 결제 및 관제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5880B1
KR102615880B1 KR1020230069712A KR20230069712A KR102615880B1 KR 102615880 B1 KR102615880 B1 KR 102615880B1 KR 1020230069712 A KR1020230069712 A KR 1020230069712A KR 20230069712 A KR20230069712 A KR 20230069712A KR 102615880 B1 KR102615880 B1 KR 1026158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king lot
information
user
parking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697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교훈
김철희
전주호
Original Assignee
(주)오토게이트
김교훈
김철희
전주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오토게이트, 김교훈, 김철희, 전주호 filed Critical (주)오토게이트
Priority to KR10202300697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588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58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5880B1/ko

Links

Classifications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4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billing systems
    • G06Q20/145Payments according to the detected use or quant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7Short range or proximity payments by means of M-devices
    • G06Q20/3276Short range or proximity payments by means of M-devices using a pictured code, e.g. barcode or QR-code, being read by the M-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4Billing or invoic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BTICKET-ISSUING APPARATUS; FARE-REGISTERING APPARATUS; FRANKING APPARATUS
    • G07B15/00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collecting fares, tolls or entrance fees at one or more control points
    • G07B15/02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collecting fares, tolls or entrance fees at one or more control points taking into account a variable factor such as distance or time, e.g. for passenger transport, parking systems or car rental systems
    • G07B15/04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collecting fares, tolls or entrance fees at one or more control points taking into account a variable factor such as distance or time, e.g. for passenger transport, parking systems or car rental systems comprising devices to free a barrier, turnstile, or the lik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4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 G08G1/141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with means giving the indication of available parking spaces
    • G08G1/144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with means giving the indication of available parking spaces on portable or mobile units,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4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 G08G1/145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where the indication depends on the parking areas
    • G08G1/146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where the indication depends on the parking areas where the parking area is a limited parking space, e.g. parking garage, restricted sp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4Guidance 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arket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ultimedia (AREA)
  • Devices For Checking Fares Or Tickets At Control Points (AREA)

Abstract

일실시예에 따른 장치는 사용자의 단말에서 사용자 정보 및 사용자의 단말을 통해 인식된 제1 주차장의 정보를 수신하고, 제1 주차장의 정보를 이용하여, 제1 주차창의 요금 정보를 확인하고, 사용자의 단말에 제1 주차장의 일일 최대 요금 결제 요청을 송신하고, 결제 서버에서 일일 최대 요금에 대한 결제 요청의 응답을 확인하고, 사용자의 단말을 입차 사용자 단말로 결정하고, 제1 주차장의 차단 장치에 열림 신호를 송신하고, 열림 신호를 송신한 입차 시간을 수신하고, 입차 사용자 단말을 통해 인식된 제2 주차장의 정보를 수신하고, 제1 주차장의 정보와 제2 주차장의 정보가 일치하는지 확인하고, 입차 시간에서 입차 사용자 단말을 통해 제2 주차장의 정보가 인식된 시점까지 경과된 시간을 확인하고, 경과된 시간에 제2 주차장의 요금 정보를 적용하여 실제 요금을 계산하고, 결제 서버에 일일 최대 요금에 대한 환불 요청을 송신하고, 입차 사용자 단말에 실제 요금에 대한 결제 요청을 송신하고, 결제 서버에서 환불 요청에 대한 응답 및 실제 요금에 대한 결제 요청의 응답을 확인하고, 사용자의 단말을 출차 사용자 단말로 결정하고, 제2 주차장의 차단 장치에 열림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Description

스마트폰의 식별정보 기반 주차 결제 및 관제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SMARTPHONE IDENTIFICATION INFORMATION-BASED PARKING PAYMENT AND CONTROL SERVICE PROVISION METHOD, DEVICE AND SYSTEM}
아래 실시예들은 스마트폰 식별정보를 기반으로 주차 결제 및 관제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증가 추세에 따라 주차난이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고, 증가하는 주차난을 해결하기 위해 앞으로도 많은 수의 주차장이 만들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이때, 주차장은 도로의 노면 또는 교통광장의 일정한 영역에 설치된 노상 주차장, 도로의 노면 또는 교통광장 외의 장소에 설치된 노외 주차장, 및 건축물 등 주차수요를 유발하는 시설에 부대하여 설치된 부설 주차장 등으로 분류될 수 있다.
일반적인 주차 관리 시스템은 주차장의 입차 지점과 출차 지점에 각각 차량 인식기와 차단바를 설치하고 차량의 입차 및 출차 시점 간의 시간 차를 이용하여 주차 요금을 산정하고 사용자에게 청구한다.
하지만, 기존 기술의 경우, 입출구에 차량 번호 인식기와 출구 및 사전 요금정산 키오스크 장비 등의 다양한 장비를 설치해야 하여 설치가 복잡하고 설치비가 많이 든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입출구 차량번호 촬영 및 차량에서 요금 정산할 공간이 필요해서 소형 주차장 및 입출구가 확보되지 않은 주차장엔 설치가 불가능하며, 장비 설치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기존 주차 공간을 축소해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스마트폰 식별정보를 기반으로 주차 결제 및 관제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술에 대한 개발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446137호(2022.09.23 공고)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81109 호(2013.07.22 공고)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76557호(2018.08.03 공고)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37805 호(2017.05.19 공고)
실시예들은 스마트폰 식별정보 기반 주차 결제 및 관제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한다.
실시예들은 연속적으로 수신한 주차장의 정보의 일치 여부에 따라 사용자가 주차장을 정상적으로 이용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실제 요금을 부과하고자 한다.
실시예들은 주차장의 혼잡, 위험 상태에 따라 시각적으로 구분이 가능한 주차 관제 페이지를 생성하고자 한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은, 사용자의 단말에서 사용자 정보 및 상기 사용자의 단말을 통해 인식된 제1 주차장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주차장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주차창의 요금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단말에 상기 제1 주차장의 일일 최대 요금 결제 요청을 송신하는 단계; 결제 서버에서 상기 일일 최대 요금에 대한 결제 요청의 응답을 확인하고, 상기 사용자의 단말을 입차 사용자 단말로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1 주차장의 차단 장치에 열림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열림 신호를 송신한 입차 시간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입차 사용자 단말을 통해 인식된 제2 주차장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주차장의 정보와 상기 제2 주차장의 정보가 일치하는지 확인하는 단계; 상기 입차 시간에서 상기 입차 사용자 단말을 통해 상기 제2 주차장의 정보가 인식된 시점까지 경과된 시간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경과된 시간에 상기 제2 주차장의 요금 정보를 적용하여 실제 요금을 계산하는 단계; 상기 결제 서버에 상기 일일 최대 요금에 대한 환불 요청을 송신하는 단계; 상기 입차 사용자 단말에 상기 실제 요금에 대한 결제 요청을 송신하는 단계; 상기 결제 서버에서 상기 환불 요청에 대한 응답 및 상기 실제 요금에 대한 결제 요청의 응답을 확인하고, 상기 사용자의 단말을 출차 사용자 단말로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주차장의 차단 장치에 열림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은, 상기 제1 주차장의 정보와 상기 제2 주차장의 정보가 일치하는지 확인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1 주차장의 정보와 상기 제2 주차장의 정보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1 주차장에 설치된 카메라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카메라 정보에서 상기 입차 시간에 촬영된 영상을 확인하여 차량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카메라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 정보에 해당하는 차량의 출차 시간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입차 시간에서 상기 출차 시간까지 경과한 시간을 확인하고, 상기 경과한 시간에 상기 제1 주차장의 요금 정보를 적용하여 실제 요금을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의 단말에 상기 실제 요금에 대한 결제 요청을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은, 주차 관제 페이지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주차 관제 페이지를 관리자의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의 단말의 위치에 기반하여 안내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주차 관제 페이지를 생성하는 단계는, 주차장에 설치된 카메라로부터, 주차장을 촬영한 주차장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주차장 영상으로부터 차량 객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주차장 영상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기간 동안 주차장에 출입한 차량 객체의 출입 횟수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주차장 영상으로부터 주차장에 출입한 차량 객체의 주차 시간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주차장의 정보로부터 주차장의 주차 가능 개수를 확인하고, 상기 주차 가능 개수에서 상기 추출된 차량 객체의 개수의 비율인 주차 비율이 미리 설정된 기준을 만족하는 기간인 혼잡 기간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주차장의 정보로부터 주차장의 운영 시간을 확인하고, 상기 운영 시간에서 상기 혼잡 기간이 차지하는 비율인 혼잡 비율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출입 횟수 및 상기 주차 시간을 기반으로 주차장의 주차 지수를 결정하고, 상기 주차 지수에 상기 혼잡 비율에 기반하여 결정된 가중치를 적용하여 주차장의 혼잡 지수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혼잡 지수가 미리 설정된 기준을 만족하는 주차장의 구역을 혼잡 구역으로 결정하는 단계, 상기 혼잡 지수가 미리 설정된 기준을 만족하지 않는 주차장의 구역을 비혼잡 구역으로 결정하는 단계, 상기 혼잡 구역에 해당하는 주차장의 영상을 제1 색상으로 표시하고, 상기 비혼잡 구역에 해당하는 주차장의 영상을 제2 색상으로 표시하는 단계, 상기 주차장 영상으로부터 상기 차량 객체의 속도 정보 및 소리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차량 객체의 속도 및 상기 차량 객체의 소리의 세기가 미리 설정된 기준을 각각 만족하는지 여부에 기반하여 위험 가중치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혼잡 지수에 상기 위험 가중치를 적용하여, 주차장의 위험 지수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위험 지수가 미리 설정된 기준을 만족하는 주차장의 구역을 위험 구역으로 결정하는 단계, 상기 위험 지수가 미리 설정된 기준을 만족하지 않는 주차장의 구역을 안전 구역으로 결정하는 단계, 상기 위험 구역에 해당하는 주차장의 영상을 제1 밝기로 표시하고, 상기 안전 구역에 해당하는 주차장의 영상을 제2 밝기로 표시하는 단계, 상기 위험 구역에서 이동하는 차량 객체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위험 구역에서 이동하는 차량 객체의 크기에 제1 비율을 적용한 제1 크기로 표시하는 단계, 상기 안전 구역에서 이동하는 차량 객체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안전 구역에서 이동하는 차량 객체의 크기에 상기 제1 비율보다 작은 제2 비율을 적용한 제2 크기로 표시하는 단계, 상기 위험 구역 및 상기 안전 구역에서 정차한 차량 객체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정차한 차량 객체의 크기를 제2 크기보다 작은 제3 크기로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색상 및 상기 제2 색상 중 어느 하나, 상기 제1 밝기 및 상기 제2 밝기 중 어느 하나가 적용된 주차장의 영상과 상기 제1 크기 내지 상기 제3 크기 중 어느 하나의 크기가 적용된 차량 객체를 결합하여 상기 주차 관제 페이지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의 단말의 위치에 기반하여 안내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단말로부터, 사용자의 위치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위치가 상기 혼잡 구역에 속하면서, 상기 비혼잡 구역에서 미리 설정된 거리 이내에 존재하는 경우, 상기 비혼잡 구역으로 이동하라는 이동 안내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의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위치가 상기 혼잡 구역에 속하면서, 상기 비혼잡 구역에서 미리 설정된 거리 밖에 존재하는 경우, 주차장의 빈 공간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위치 안내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의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의 위치가 상기 비혼잡 구역에 속하는 경우, 주차장의 주차 요금 안내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의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은, 주차장의 마케팅 전략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주차장의 마케팅 전략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미리 설정된 기간 동안의 사용자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정보로부터 주차장의 반복 입차 횟수가 0에 해당하는 차량을 신규 차량으로 결정하는 단계, 상기 신규 차량의 개수가 전체 입차 개수에서 차지하는 비율인 제1 비율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정보로부터 상기 반복 입차 횟수가 0보다 크면서 미리 설정된 기준을 만족하지 않는 차량을 재방문 차량으로 결정하는 단계, 상기 재방문 차량의 개수가 상기 전체 입차 개수에서 차지하는 비율인 제2 비율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정보로부터 상기 반복 입차 횟수가 미리 설정된 기준을 만족하는 차량을 정규 차량으로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정규 차량의 개수가 상기 전체 입차 개수에서 차지하는 비율인 제3 비율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제1 비율이 가장 높은 경우, 주차장의 고객 유치를 위한 마케팅 전략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2 비율이 가장 높은 경우, 주차장의 고객 유지를 위한 마케팅 전략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3 비율이 가장 높은 경우, 주차장의 고객 우대를 위한 마케팅 전략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은, 상기 사용자의 단말로부터 상기 사용자가 원하는 주차장을 보여주기 위해 선택된 이미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이미지가 주차장을 촬영한 이미지로 분석되면, 상기 주차장을 운영한 이력이 있는 관리자를 매칭 후보 그룹으로 분류하는 단계; 상기 매칭 후보 그룹으로 분류된 관리자가 제1 관리자 하나 있는 것으로 확인된 경우, 상기 제1 관리자를 상기 사용자의 매칭 상대로 설정하는 단계; 상기 매칭 후보 그룹으로 분류된 관리자가 둘 이상 있는 것으로 확인된 경우, 상기 주차장을 운영한 운영 횟수 및 상기 주차장을 관리하고 있는 관리량을 고려하여, 상기 매칭 후보 그룹으로 분류된 관리자 별로 매칭 점수를 산출하고, 상기 매칭 후보 그룹으로 분류된 관리자들 중 제1 관리자의 매칭 점수가 가장 높은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1 관리자를 상기 사용자의 매칭 상대로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관리자가 상기 사용자의 매칭 상대로 설정되면, 상기 제1 관리자에 대한 추천 정보와 상기 주차장을 포함하는 안내 페이지의 링크 정보를 상기 사용자의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장치는 하드웨어와 결합되어 상술한 방법들 중 어느 하나의 항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실시예들은 스마트폰 식별정보 기반 주차 결제 및 관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들은 연속적으로 수신한 주차장의 정보의 일치 여부에 따라 사용자가 주차장을 정상적으로 이용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실제 요금을 부과할 수 있다.
실시예들은 주차장의 혼잡, 위험 상태에 따라 시각적으로 구분이 가능한 주차 관제 페이지를 생성할 수 있다.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의 식별정보 기반 주차 결제 및 관제 서비스의 입차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의 식별정보 기반 주차 결제 및 관제 서비스의 출차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른 제1 주차장의 정보와 제2 주차장의 정보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주차 요금을 결제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5는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단말의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일실시예에 따른 주차 관제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7은 일실시예에 따른 주차장의 혼잡 구역을 결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8은 일실시예에 따른 주차자의 위험 구역을 결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9는 일실시예에 따른 주차장의 구역에 따른 차량 객체의 크기를 결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0은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단말의 위치에 기반하여 안내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1은 일실시예에 따른 주차장의 마케팅 전략을 생성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2는 일실시예에 따른 주차장을 운영한 관리자를 매칭 상대로 추천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3은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의 식별정보 기반 주차 결제 서비스를 이용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4는 일실시예에 따른 차단 장치가 설치된 주차장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5는 일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구성의 예시도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어서 특허출원의 권리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이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들에 대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예시를 위한 목적으로 개시된 것으로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되어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들은 특정한 개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명세서의 범위는 기술적 사상에 포함되는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를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해석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설명을 목적으로 사용된 것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실시예들은 퍼스널 컴퓨터, 랩톱 컴퓨터, 태블릿 컴퓨터, 스마트 폰, 텔레비전, 스마트 가전 기기, 지능형 자동차, 키오스크, 웨어러블 장치 등 다양한 형태의 제품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일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은 통신망을 통해 서로 통신 가능한 사용자의 단말(10), 관리자의 단말(20) 및 장치(3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통신망은 유선 및 무선 등과 같이 그 통신 양태를 가리지 않고 구성될 수 있으며, 서버와 서버 간의 통신과 서버와 단말 간의 통신이 수행되도록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의 단말(10)은 주차장을 이용하고자 하는 사용자가 사용하는 단말일 수 있다. 사용자의 단말(10)은 데스크탑 컴퓨터, 노트북, 태블릿, 스마트폰 등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단말(10)은 스마트폰일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 달리 채용될 수도 있다.
사용자의 단말(10)은 통상의 컴퓨터가 가지는 연산 기능, 저장/참조 기능, 입출력 기능 및 제어 기능을 전부 또는 일부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의 단말(10)은 장치(30)와 유무선으로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의 단말(10)은 장치(30)를 이용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자 내지 단체가 운영하는 웹 페이지에 접속되거나, 장치(30)를 이용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자 내지 단체가 개발·배포한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될 수 있다. 사용자의 단말(10)은 웹 페이지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장치(30)와 연동될 수 있다.
사용자의 단말(10)은 장치(30)에서 제공하는 웹 페이지, 애플리케이션을 등을 통해 장치(30)에 접속할 수 있다.
관리자의 단말(20)은 주차장을 운영하고자 하는 관리자가 사용하는 단말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관리자는 무인 주차장을 운영 및 관리하는 자를 의미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관리자의 단말(20)은 데스크탑 컴퓨터, 노트북, 태블릿, 스마트폰 등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리자의 단말(20)은 스마트폰일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 달리 채용될 수도 있다.
관리자의 단말(20)은 통상의 컴퓨터가 가지는 연산 기능, 저장/참조 기능, 입출력 기능 및 제어 기능을 전부 또는 일부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관리자의 단말(20)은 장치(30)와 유무선으로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관리자의 단말(20)은 장치(30)를 이용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자 내지 단체가 운영하는 웹 페이지에 접속되거나, 장치(30)를 이용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자 내지 단체가 개발·배포한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될 수 있다. 관리자의 단말(20)은 웹 페이지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장치(30)와 연동될 수 있다.
관리자의 단말(20)은 장치(30)에서 제공하는 웹 페이지, 애플리케이션을 등을 통해 장치(30)에 접속할 수 있다.
청구항에 기재된 단수의 표현은 복수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청구항의 사용자는 하나의 사용자 또는 둘 이상의 사용자를 지칭할 수 있다.
장치(30)는 장치(30)를 이용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자 내지 단체가 보유한 자체 서버일수도 있고, 클라우드 서버일 수도 있고, 분산된 노드(node)들의 p2p(peer-to-peer) 집합일 수도 있다. 장치(30)는 통상의 컴퓨터가 가지는 연산 기능, 저장/참조 기능, 입출력 기능 및 제어 기능을 전부 또는 일부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장치(30)는 사용자의 단말(10) 및 관리자의 단말(20)과 유무선으로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단말(10) 및 관리자의 단말(20)의 동작을 제어하고, 사용자의 단말(10) 및 관리자의 단말(20)의 화면에 어느 정보를 표시할 것인지에 대해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1에서는 사용자의 단말(10) 및 관리자의 단말(20)만을 도시하였으나, 단말들의 수는 실시예에 따라 얼마든지 달라질 수 있다. 장치(30)의 처리 용량이 허용하는 한, 단말들의 수 및 프린터 장치들의 수는 특별한 제한이 없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장치(30) 내에는 데이터베이스가 구비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장치(30)와 별도로 데이터베이스가 구성될 수 있다. 장치(30)는 기계 학습 알고리즘의 수행을 위한 다수의 인공 신경망을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장치(30)는 스마트폰의 식별정보를 기반으로 주차장 운영을 위한 주차 결제 및 관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주차 결제 및 관제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의 식별정보 기반 주차 결제 및 관제 서비스의 입차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먼저, S201 단계에서, 장치(30)는 사용자의 단말(10)에서 사용자 정보 및 사용자의 단말(10)을 통해 인식된 제1 주차장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 정보는 사용자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로서, 예를 들어, 사용자의 이름, 휴대폰 번호, 차량 번호, 사용자 인식 코드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사용자 인식 코드는 QR 코드, 바코드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제1 주차장은 관리자가 운영하는 주차장 중 어느 하나의 주차장을 의미할 수 있다. 제1 주차장의 정보는 사용자의 단말(10)을 통해 인식될 수 있다. 제1 주차장의 정보는 주차장의 관리자명, 관리자의 연락처, 제1 주차장의 관리번호, 제1 주차장의 위치, 요금 정보, 운영 시간, 주차 가능 개수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제1 주차장의 출입구에는 제1 주차장의 정보를 포함하는 QR 코드, 바코드 등의 시각적 코드가 구비되어 있을 수 있으며, 장치(30)는 사용자의 단말(10)의 카메라로부터 제1 주차장의 시각적 코드를 촬영하여 인식된 제1 주차장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장치(30)는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단말(10)을 통해 인식된 제1 주차장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주차장에는 NFC 태그가 부착되고, 사용자의 단말(10)의 NFC 기능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사용자의 단말(10)을 제1 주차장의 NFC 태그에 접촉하거나 근접시켜 제1 주차장의 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장치(30)는 블루투스 통신을 기반으로 사용자의 단말(10)을 통해 인식된 제1 주차장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주차장의 시설에는 블루투스 통신을 위한 통신 장비가 구비될 수 있으며, 블루투스 비콘을 사용하여 신호를 발송하고, 사용자의 단말(10)은 해당 비콘을 인식하여 제1 주차장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Wi-Fi Direct, 인터넷 연결을 통한 웹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데이터 통신 등을 활용하여 사용자의 단말(10)을 통해 제1 주차장의 정보를 인식하는 방법도 가능하다.
장치(30)는 사용자의 단말(10)로부터 수신한 사용자 정보 및 제1 주차장의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S202 단계에서, 장치(30)는 제1 주차장의 정보를 이용하여, 제1 주차창의 요금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요금 정보는 주차장의 시간당 요금, 할인 정책, 결제 방법, 일일최대요금, 기본 요금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장치(30)는 사용자의 단말(10)을 통해 인식된 제1 주차장의 정보로부터 일일 최대 요금을 확인할 수 있다.
S203 단계에서, 장치(30)는 사용자의 단말(10)에 제1 주차장의 일일 최대 요금 결제 요청을 송신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장치(30)는 주차 애플리케이션 또는 웹 사이트를 통해 사용자에게 요금 결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제1 주차장의 정보를 인식하고, 주차 애플리케이션 또는 웹 사이트로부터 제1 주차장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며, 장치(30)는 주차 애플리케이션 또는 웹 사이트를 사용자의 단말(10)로 제공하여, 일일 최대 요금을 사용자에게 안내하고, 결제 수단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일일 최대 요금 결제 요청을 송신할 수 있다.
S204 단계에서, 장치(30)는 결제 서버에서 일일 최대 요금에 대한 결제 요청의 응답을 확인하고, 사용자의 단말(10)을 입차 사용자 단말로 결정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사용자의 단말(10)을 이용하여 주차 애플리케이션 또는 웹사이트를 통해 일일 최대 요금 결제를 요청하고, 결제 요청은 결제 서버로 전송될 수 있다. 사용자의 단말(10)은 결제 요청 정보를 암호화하여 결제 서버로 전송하고, 결제 서버에서는 결제 요청을 확인하고 결제를 처리할 수 있다. 결제 서버는 사용자의 일일 최대 요금의 결제 요청을 수신하여 제1 주차장의 일일 최대 요금에 대한 결제 가능 여부를 확인하고, 사용자의 결제 정보와 요청을 검증하고, 결제 수단에 따라 해당 결제 수단의 인증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결제 서버는 사용자의 일일 최대 요금의 결제 요청을 처리한 후, 결제가 성공적으로 이루어졌는지에 대한 응답을 생성할 수 있다. 결제 요청의 응답은 결제 완료 또는 실패와 같은 결과를 포함할 수 있다.
장치(30)는 결제 요청의 응답을 확인하고, 결제 서버로부터의 응답을 수신하여 결제가 성공적으로 이루어졌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장치(30)는 응답에 따라 장치는 결제 완료 메시지를 생성하거나, 결제 실패 시 결제 오류 메시지를 생성하여 사용자의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주차 요금에 대한 결제를 처리하는 과정은 통상의 사용자에게 자명한 사항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장치(30)는 결제 요청의 응답을 확인하여, 사용자의 일일 최대 요금에 대한 결제가 완료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사용자의 단말(10)을 입차 사용자 단말로 결정할 수 있다.
S205 단계에서, 장치(30)는 제1 주차장의 차단 장치에 열림 신호를 송신하고, 열림 신호를 송신한 입차 시간을 수신할 수 있다.
장치(30)는 사용자의 단말(10)이 입차 사용자 단말로 결정되고 나서, 제1 주차장의 차단 장치에 열림 신호를 송신하고, 열림 신호를 송신한 시간인 입차 시간을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사용자의 정보와 매칭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제1 주차장의 출입구에는 차량의 출입을 제어하기 위한 차단 장치가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단 장치는 차단바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차단바는 주차장의 출입구에 수평으로 설치되어 있으며, 장치로부터 수신한 신호에 따라 상승 또는 하강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차량이 출입하려고 할 때는 차단바가 상승하여 통행이 가능하며, 출입 권한이 없는 차량이나 불법 주차 시 차단바가 하강하여 통행을 막도록 설정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차단 장치는 주차장의 출입구에 하나만 설치되여, 차량이 입차하는 경우와 출차하는 경우에 동일한 차단 장치를 통해 사용자가 주차장을 입출차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차단 장치를 주차장에 입출차 공용으로 하나만 설치하는 경우, 입출구가 확보되지 않은 주차장에도 활용이 가능하고, 최소의 공간에 간단하게 설치가 가능하여, 소형 주차장 및 진출입로가 없는 주차장에서도 주차장의 운영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차단기를 하나만 설치하여도 주차장의 운영이 가능하기 때문에 시설비가 저렴하고, 이에 따라 요금을 부과할 수 있는 주차장이 증가할 것이며, 주차장을 찾고자 하는 도로 주행 차량 회전율이 향상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웹 서버를 통해 관리자가 주차 요금, 운영 시간 등을 탄력적으로 운영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주차장 공간을 주간 및 야간 시간대의 주차장의 사용자에 따라 무인 유료 주차장으로 활용할 수 있다.
장치(30)는 사용자의 단말(10)이 입차 사용자 단말로 결정되면, 차단 장치에 열림 신호를 송신하고, 차단 장치는 열림 신호를 수신한 경우, 상승하도록 설정되어, 입차 사용자 단말에 해당하는 사용자가 제1 주차장에 입차하도록 할 수 있다.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의 식별정보 기반 주차 결제 및 관제 서비스의 출차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먼저, S301 단계에서, 장치(30)는 입차 사용자 단말을 통해 인식된 제2 주차장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제2 주차장은 관리자가 운영하는 주차장 중 어느 하나의 주차장을 의미할 수 있다. 제2 주차장의 정보는 입차 사용자 단말을 통해 인식될 수 있다. 제2 주차장의 정보는 주차장의 관리자명, 관리자의 연락처, 제2 주차장의 관리번호, 제2 주차장의 위치, 요금 정보, 운영 시간, 주차 가능 개수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제2 주차장의 출입구에는 제2 주차장의 정보를 포함하는 QR 코드, 바코드 등의 시각적 코드가 구비되어 있을 수 있으며, 장치(30)는 입차 사용자 단말의 카메라로부터 제2 주차장의 시각적 코드를 촬영하여 인식된 제2 주차장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장치(30)는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단말(10)을 통해 인식된 제2 주차장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주차장에는 NFC 태그가 부착되고, 사용자의 단말(10)의 NFC 기능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사용자의 단말(10)을 제2 주차장의 NFC 태그에 접촉하거나 근접시켜 제2 주차장의 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장치(30)는 블루투스 통신을 기반으로 입차 사용자 단말을 통해 인식된 제2 주차장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주차장의 시설에는 블루투스 통신을 위한 통신 장비가 구비될 수 있으며, 블루투스 비콘을 사용하여 신호를 발송하고, 입차 사용자 단말은 해당 비콘을 인식하여 제2 주차장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Wi-Fi Direct, 인터넷 연결을 통한 웹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데이터 통신 등을 활용하여 사용자의 단말(10)을 통해 제2 주차장의 정보를 인식하는 방법도 가능하다.
장치(30)는 입차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사용자 정보 및 제2 주차장의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S302 단계에서, 장치(30)는 제1 주차장의 정보와 제2 주차장의 정보가 일치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장치(30)는 제1 주차장의 정보 및 제2 주차장의 정보가 일치하는 경우, 입차 사용자 단말에 해당하는 사용자가 주차장을 입차 후 정상적으로 출차가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장치(30)는 제1 주차장의 정보 및 제2 주차장의 정보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입차 사용자 단말에 해당하는 사용자가 주차장을 입차 후 비정상적으로 출차가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제1 주차장의 정보와 제2 주차장의 정보가 일치하는지 확인하는 단계에서 제1 주차장의 정보와 제2 주차장의 정보가 일치하지 않는 과정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4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장치(30)는 QR 코드 혹은 바코드와 같이 시각적인 코드를 이용하여 입차와 출차를 구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차 방향의 QR 코드와 출차 방향의 QR 코드를 서로 다른 코드로 제공하면 연속으로 인식된 주차장 정보의 일치 여부를 확인하지 않고 입차와 출차를 구분할 수도 있다.
S303 단계에서, 장치(30)는 입차 시간에서 입차 사용자 단말을 통해 제2 주차장의 정보가 인식된 시점까지 경과된 시간을 확인할 수 있다.
S304 단계에서, 장치(30)는 경과된 시간에 제2 주차장의 요금 정보를 적용하여 실제 요금을 계산할 수 있다.
장치(30)는 입차 시간에서 제2 주차장의 정보가 인식된 시점까지 경과된 시간을 확인하고, 제2 주차장의 요금 정보를 확인하고, 경과된 시간에 제2 주차장의 요금 정보를 적용하여 실제 요금을 계산할 수 있다. 이때, 실제 요금은 사용자가 주차한 시간만큼 주차장의 요금 정책에 따라 사용자가 지불해야 할 주차 요금을 의미할 수 있다.
S305 단계에서, 장치(30)는 결제 서버에 일일 최대 요금에 대한 환불 요청을 송신할 수 있다. 이때, 결제 서버에 환불 요청을 송신하는 과정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사항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S306 단계에서, 장치(30)는 입차 사용자 단말에 실제 요금에 대한 결제 요청을 송신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장치(30)는 주차장에 입차하는 사용자에 대하여 일일 최대 요금을 우선적으로 결제하도록 하고, 출차 시 일일 최대 요금을 환불하고, 실제 요금을 부과함으로써, 사용자가 불법 주차를 방지하여, 수익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이는 주차장의 정상적인 운영을 유지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S307 단계에서, 장치(30)는 결제 서버에서 환불 요청에 대한 응답 및 실제 요금에 대한 결제 요청의 응답을 확인하고, 사용자의 단말(10)을 출차 사용자 단말로 결정할 수 있다.
장치(30)는 결제 서버에서 환불 요청에 대한 응답 및 실제 요금에 대한 결제 요청의 응답
결제 서버는 사용자의 일일 최대 요금의 환불 요청을 처리한 후, 환불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졌는지에 대한 응답을 생성할 수 있다. 환불 요청의 응답은 환불 완료 또는 실패와 같은 결과를 포함할 수 있다.
장치(30)는 환불 요청의 응답을 확인하고, 결제 서버로부터의 응답을 수신하여 환불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졌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장치(30)는 환불 요청의 응답을 확인하여, 사용자의 일일 최대 요금에 대한 환불이 완료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실제 요금에 대한 결제 요청의 응답을 생성할 수 있다. 실제 요금에 대한 결제 요청의 응답은 결제 완료 또는 실패와 같은 결과를 포함할 수 있다.
장치(30)는 실제 요금에 대한 결제 요청의 응답을 확인하고, 결제 서버로부터의 응답을 수신하여 실제 금액에 대한 결제가 성공적으로 이루어졌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장치(30)는 결제 서버에서 환불 요청에 대한 응답 및 실제 요금에 대한 결제 요청의 응답을 확인하여, 사용자의 일일 최대 요금에 대한 환불 및 실제 금액에 대한 결제가 완료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사용자의 단말(10)을 출차 사용자 단말로 결정할 수 있다.
S308 단계에서, 장치(30)는 제2 주차장의 차단 장치에 열림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장치(30)는 사용자의 단말(10)이 출차 사용자 단말로 결정되고 나서, 제2 주차장의 차단 장치에 열림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이때, 제2 주차장의 출입구에는 차량의 출입을 제어하기 위한 차단 장치가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단 장치는 차단바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차단바는 주차장의 출입구에 수평으로 설치되어 있으며, 장치로부터 수신한 신호에 따라 상승 또는 하강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차량이 출입하려고 할 때는 차단바가 상승하여 통행이 가능하며, 출입 권한이 없는 차량이나 불법 주차 시 차단바가 하강하여 통행을 막도록 설정된다.
장치(30)는 사용자의 단말(10)이 출차 사용자 단말로 결정되면, 차단 장치에 열림 신호를 송신하고, 차단 장치는 열림 신호를 수신한 경우, 상승하도록 설정되어, 출차 사용자 단말에 해당하는 사용자가 제2 주차장에서 출차하도록 할 수 있다.
장치(30)는 사용자가 주차장을 이용하는 과정에서, 차량 번호를 인식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의 단말(10)을 통해 인식된 주차장의 정보 및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주차장의 운영을 관리함으로써, 사용자가 자신의 차량 번호를 기억하지 못하는 경우에 대비하여 휴대폰 번호 등의 사용자의 식별 정보를 통해 주차장의 운영을 관리하도록 하여 편리성을 도모할 수 있다.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른 제1 주차장의 정보와 제2 주차장의 정보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주차 요금을 결제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먼저, S401 단계에서, 장치(30)는 제1 주차장의 정보와 제2 주차장의 정보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제1 주차장에 설치된 카메라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장치(30)는 제1 주차장의 정보 및 제2 주차장의 정보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입차 사용자 단말에 해당하는 사용자가 주차장을 입차 후 비정상적으로 출차가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주차장의 정보와 제2 주차장의 정보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사용자가 제1 주차장을 이용한 후, 차단 장치의 고장 혹은 사용자의 악의적 의도 등으로 인해 제1 주차장에서 실제 요금에 대한 결제를 진행하지 않고 제1 주차장에서 출차하고나서 제2 주차장에 입차하여 제2 주차장의 정보를 인식한 경우를 의미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제1 주차장에는 카메라가 설치될 수 있으며, 제1 주차장의 카메라는 장치(30)와 유무선으로 통신하며,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이때, 카메라 정보는 제1 주차장에 설치된 카메라로부터 제1 주차장을 촬영한 영상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주차장에 설치된 카메라는 CCTV일 수 있으며, 카메라 정보는 제1 주차장의 CCTV로부터 촬영된 CCTV 영상을 의미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S402 단계에서, 장치(30)는 카메라 정보에서 입차 시간에 촬영된 영상을 확인하여 차량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장치(30)는 영상 분석 기술을 활용하여 수신한 카메라 정보에서 차량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장치(30)는 번호판 인식 (License Plate Recognition, LPR) 기술을 활용하여, 카메라 정보에서 차량 번호판을 자동으로 식별하고 추출함으로써, 카메라 정보를 통해 차량 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때, LPR 알고리즘은 번호판 영역을 검출하고 문자를 인식하여 번호판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장치(30)는 영상 분석 기술을 활용하여, 입차 시간에 촬영된 영상을 분석하여, 차량의 번호판, 차종 등의 정보를 포함하는 차량 정보를 식별하고 추출할 수 있다.
S403 단계에서, 장치(30)는 카메라 정보를 이용하여 차량 정보에 해당하는 차량의 출차 시간을 획득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장치(30)는 차량 정보에 해당하는 차량의 번호판, 차종 등의 정보를 포함하는 차량 정보를 이용하여, 카메라 정보로부터 제1 주차장의 정보와 제2 주차장의 정보가 일치하지 않는 차량의 출차 시간을 획득할 수 있다.
S404 단계에서, 장치(30)는 입차 시간에서 출차 시간까지 경과한 시간을 확인하고, 경과한 시간에 제1 주차장의 요금 정보를 적용하여 실제 요금을 계산할 수 있다.
제1 주차장의 요금 정보는 입차 시간에서 시간이 얼마나 경과했는지에 따라 요금을 얼마나 부과할 것인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장치(30)는 입차 시간에서 출차 시간까지 경과한 시간을 확인하고, 경과한 시간에 제1 주차장의 요금을 적용하여, 제1 주차장의 정보와 제2 주차장의 정보가 일치하지 않는 차량의 사용자에게 부과할 주차 요금인 실제 요금을 계산할 수 있다.
S405 단계에서, 장치(30)는 사용자의 단말(10)에 실제 요금에 대한 결제 요청을 송신할 수 있다. 이때, 결제 요청을 송신하는 과정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사항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장치(30)는 연속적으로 사용자로부터 수신한 주차장의 정보가 불일치하는 경우, 즉, 비정상적으로 주차장을 이용한 차량이 발생한 경우에, 카메라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차량의 주차장 경과 시간을 분석하여, 실제 요금을 산출함으로써, 비정상적인 주차 상황을 감지할 수 있고, 실제 요금을 산출하여 정상적인 주차 요금을 부과함으로써, 사용자에게 공정한 요금을 부과할 수 있으며, 주차장의 운영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주차장에 설치된 카메라 정보를 지속적으로 획득하는 것이 아니라, 비정상적인 주차 상황을 감지한 경우, 즉 특정 상황에서만 카메라 정보를 이용함으로써, 메모리의 사용을 절약할 수 있으며, 카메라 정보를 계속적으로 감시하고 분석하는 상황에 비하여 시간과 노력 또한 줄일 수 있다.
도 5는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단말(10)의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의 (a)를 참조하면, 장치(30)는 사용자의 단말(10)을 통해 제1 주차장의 정보를 수신한 경우, 사용자의 단말(10)로 입차 안내 페이지가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입차 안내 페이지는, 입차 접속 화면, 제1 결제 선택 화면, 입차 요금 결제 화면 및 제1 차단 장치 열림 화면을 포함할 수 있다.
입차 접속 화면은 주차장의 정보의 일일 최대 요금을 표시하는 요금 정보 및 일일 최대 요금의 결제를 요청하는 제1 결제 요청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결제 선택 화면은 제1 결제 요청 버튼의 입력에 기반하여, 결제 수단을 선택하는 제1 결제 수단 선택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결제 수단은 신용카드, 체크카드, 무통장 입금, 휴대폰 소액 결제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장치(30)는 제1 결제 요청 버튼으로부터, 일일 최대 요금의 결제의 요청을 수신한 경우, 제1 결제 수단 선택 버튼을 포함하는 제1 결제 선택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입차 요금 결제 화면은 제1 결제 수단 선택 버튼의 입력에 기반하여, 일일 최대 요금을 결제하는 제1 결제 승인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장치(30)는 제1 결제 수단 선택 버튼이 입력된 경우, 일일 최대 요금을 결제하는 제1 결제 승인 버튼을 포함하는 입차 요금 결제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제1 차단 장치 열림 화면은 제1 결제 승인 버튼의 입력에 기반하여, 차단 장치의 열림 알림 메시지 및 출차시 재결제 알림 메시지를 포함할 수 있다.
장치(30)는 제1 결제 승인 버튼이 입력된 경우, 차단 장치의 열림 알림 메시지 및 출차시 재결제 알림 메시지를 포함하는 제1 차단 장치 열림 화면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5의 (b)를 참조하면, 장치(30)는 사용자의 단말(10)을 통해 제2 주차장의 정보를 수신한 경우, 사용자의 단말(10)로 출차 안내 페이지가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출차 안내 페이지는, 출차 접속 화면, 제2 결제 선택 화면, 주차요금 결제 화면, 및 제2 차단 장치 열림 화면을 포함할 수 있다.
출차 접속 화면은 주차장의 정보의 일일 최대 요금의 결제 취소 정보를 표시하는 취소 정보, 일일 최대 요금에서 실제 요금을 차감한 값인 결제 취소 금액 및 실제 요금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고, 실제 요금의 결제를 요청하는 제2 결제 요청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결제 선택 화면은 제2 결제 요청 버튼의 입력에 기반하여, 결제 수단을 선택하는 제2 결제 수단 선택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장치(30)는 제2 결제 요청 버튼이 입력되면, 결제 수단을 선택하는 제2 결제 수단 선택 버튼을 포함하는 제2 결제 선택 화면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주차요금 결제 화면은 제2 결제 수단 선택 버튼의 입력에 기반하여, 실제 요금을 결제하는 제2 결제 승인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차단 장치 열림 화면은 제2 결제 승인 버튼의 입력에 기반하여, 차단 장치의 열림 알림 메시지, 실제 요금의 결제 알림 메시지 및 일일 최대 요금의 결제 취소 알림 메시지를 포함할 수 있다.
장치(30)는 제2 결제 승인 버튼의 입력되면, 차단 장치의 열림 알림 메시지, 실제 요금의 결제 알림 메시지 및 일일 최대 요금의 결제 취소 알림 메시지를 포함하는 제2 차단 장치 열림 화면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장치(30)는 차단 장치를 하나만 설치해도 주차장의 운영이 가능하여, 설치비가 적고 요금을 부과하기 위한 차단 장치 설치 공간을 최소화하고, 사용자의 편의를 극대화한 UI를 구축하여 사용자가 주차장을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주차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6은 일실시예에 따른 주차 관제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6를 참조하면, 먼저, S601 단계에서, 장치(30)는 주차 관제 페이지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주차 관제 페이지를 생성하는 과정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S602 단계에서, 장치(30)는 생성된 주차 관제 페이지를 관리자의 단말(20)로 전송할 수 있다.
S603 단계에서, 장치(30)는 사용자의 단말(10)의 위치에 기반하여 안내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의 단말의 위치에 기반하여 안내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10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도 7은 일실시예에 따른 주차장의 혼잡 구역을 결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먼저, S701 단계에서, 장치(30)는 주차장에 설치된 카메라로부터, 주차장을 촬영한 주차장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주차장에는 주차장 및 주차장의 출입차 차량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가 설치될 수 있으며, 장치(30)는 카메라로부터 촬영된 주차장 영상을 수신할 수 있다. 주차장에 설치된 카메라는 장치(30)와 유무선으로 통신할 수 있으며,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S702 단계에서, 장치(30)는 주차장 영상으로부터 차량 객체를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장치(30)는 객체 검출(Object Detection) 기술, 객체 추적(Object Tracking) 기술 및 차량 번호판 인식(License Plate Recognition) 기술 등을 활용하여 주차장 영상으로부터 차량 객체를 추출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객체 검출 기술은 주어진 이미지나 영상에서 특정 객체를 탐지하고 경계 상자(Bounding Box)로 표시하는 기술로서, 주차장 영상에서 차량을 탐지하여 차량 객체를 추출할 수 있으며, 주요한 객체 검출 알고리즘으로는 R-CNN, Fast R-CNN, Faster R-CNN, YOLO (You Only Look Once), SSD (Single Shot MultiBox Detector) 등이 있다.
객체 추적 기술은 영상에서 특정 객체를 실시간으로 추적하는 기술로서, 차량이 주차장에서 움직이는 동안 해당 차량 객체를 추적하여 추출할 수 있으며, 주요한 객체 추적 알고리즘으로는 Kalman 필터, Particle 필터, MeanShift, CamShift 등이 있다.
차량 번호판 인식 기술은 영상에서 차량 번호판을 자동으로 인식하는 기술로, 번호판 인식을 통해 번호판에 기록된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번호판 인식 기술로는 OCR (Optical Character Recognition)을 활용하는 알고리즘이 주로 사용될 수 있다.
S703 단계에서, 장치(30)는 주차장 영상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기간 동안 주차장에 출입한 차량 객체의 출입 횟수를 산출할 수 있다. 이때, 미리 설정된 기간은 실시예에 따라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장치(30)는 차량 객체의 출입 횟수의 평균 값을 산출할 수 있다.
S704 단계에서, 장치(30)는 주차장 영상으로부터 주차장에 출입한 차량 객체의 주차 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
장치(30)는 주차장 영상으로부터 차량 객체를 추출하고, 차량 객체의 입치 시간 및 출차 시간을 추출하여 추출한 차량 객체의 주차 시간을 산출하고, 추출한 차량 객체의 주차 시간의 평균 값을 산출할 수 있다.
S705 단계에서, 장치(30)는 주차 지수 및 혼잡 지수를 결정할 수 있다.
장치(30)는 출입 횟수 및 주차 시간을 기반으로 주차장의 주차 지수를 결정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장치(30)는 출입 횟수의 평균 값이 높을수록, 주차 시간의 평균 값이 높을수록, 주차 지수를 높게 결정하고, 출입 횟수의 평균 값이 낮을수록, 주차 시간의 평균 값이 낮을수록, 주차 지수를 낮게 결정할 수 있다.
장치(30)는 주차장의 정보로부터 주차장의 주차 가능 개수를 확인하고, 주차 가능 개수에서 추출된 차량 객체의 개수의 비율인 주차 비율이 미리 설정된 기준을 만족하는 기간인 혼잡 기간을 결정할 수 있다. 이때, 미리 설정된 기준은 실시예에 따라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장치(30)는 주차장의 정보로부터 주차장의 운영 시간을 확인하고, 운영 시간에서 혼잡 기간이 차지하는 비율인 혼잡 비율을 산출할 수 있다.
장치(30)는 주차 지수에 혼잡 비율에 기반하여 결정된 가중치를 적용하여 주차장의 혼잡 지수를 결정할 수 있다.
이때, 장치(30)는 혼잡 비율이 높을수록 가중치를 높게 결정하고, 혼잡 비율이 낮을수록 가중치를 낮게 결정할 수 있다.
S706 단계에서, 장치(30)는 혼잡 지수가 미리 설정된 기준을 만족하는 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때, 미리 설정된 기준은 실시예에 따라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S707 단계에서, 장치(30)는 혼잡 지수가 미리 설정된 기준을 만족하는 주차장의 구역을 혼잡 구역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때, 혼잡 구역은 주차장 내에서 주차가 많이 이루어져 있거나 차량 이동이 제한적인 구역을 의미할 수 있다.
S708 단계에서, 장치(30)는 혼잡 구역에 해당하는 주차장의 영상을 제1 색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제1 색상은 실시예에 따라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S709 단계에서, 장치(30)는 혼잡 지수가 미리 설정된 기준을 만족하지 않는 주차장의 구역을 비혼잡 구역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때, 비혼잡 구역은 주차장 내에서 주차가 많이 이루어져 있지 않아, 주차가 자유로운 구역이거나 차량 이동이 원활한 구역을 의미할 수 있다.
S710 단계에서, 장치(30)는 비혼잡 구역에 해당하는 주차장의 영상을 제2 색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제2 색상은 제1 색상과 상이한 색상으로 설정될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혼잡 구역에 해당되는 영상은 빨간색으로, 비혼잡 구역에 해당되는 영상은 초록색으로 표시될 수 있다.
장치(30)는 주차장의 혼잡 상태를 혼잡 구역 및 비혼잡 구역으로 명확히 구분하고, 혼잡 구역 및 비혼잡 구역의 색상을 다르게 표시함으로써, 주차장의 혼잡 상태를 시각화 할 수 있으며, 이는 주차장 관리자가 주차장의 상황을 빠르게 파악하고 대응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또한, 사고 발생 위험이 상대적으로 높은 혼잡 구역을 구분하여 표시함으로써, 혼잡 구역을 더 자세히 살필 수 있으며, 혼잡 구역에 해당되는 구역에서 사고가 발생한 경우, 주차장의 관리자들이 빠르게 발견하여 신속하게 대응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하여, 주차장의 안전성을 향상시키고, 사고 발생 위험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8은 일실시예에 따른 주차자의 위험 구역을 결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먼저, S801 단계에서, 장치(30)는 주차장 영상으로부터 차량 객체의 속도 정보 및 소리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속도 정보는 차량 객체의 속도, 정차 여부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때, 소리 정보는 차량 객체의 소리의 세기, 높낮이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장치(30)는 주차장 영상으로부터, 차량 객체의 속도 정보 및 소리 정보를 획득하고, 속도 정보 및 소리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S802 단계에서, 장치(30)는 차량 객체의 속도 및 차량 객체의 소리의 세기가 미리 설정된 기준을 각각 만족하는지 여부에 기반하여 위험 가중치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미리 설정된 기준은 실시예에 따라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장치(30)는 차량 객체의 속도와 소리의 세기가 모두 미리 설정된 기준을 만족하는 경우, 위험 가중치를 제1 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제1 값은 실시예에 따라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장치(30)는 차량 객체의 속도와 소리의 세기 중 어느 하나가 미리 설정된 기준을 만족하는 경우, 위험 가중치를 제1 값보다 작은 제2 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장치(30)는 차량 객체의 속도와 소리의 세가가 모두 미리 설정된 기준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 위험 가중치를 제2 값보다 작은 제3 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S803 단계에서, 장치(30)는 혼잡 지수에 위험 가중치를 적용하여, 주차장의 위험 지수를 결정할 수 있다.
S804 단계에서, 장치(30)는 위험 지수가 미리 설정된 기준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때, 미리 설정된 기준은 실시예에 따라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S805 단계에서, 장치(30)는 위험 지수가 미리 설정된 기준을 만족하는 주차장의 구역을 위험 구역으로 결정할 수 있다.
장치(30)는 혼잡 지수에 차량 객체의 속도 정보 및 소리 정보를 기반으로 결정된 가중치를 적용하여, 주차장의 위험 자수를 산출하고, 위험 지수를 기반으로 주차장의 위험 상태를 위험 구역 및 안전 구역으로 구분할 수 있다.
장치(30)는 주차장의 혼잡도가 상대적으로 높으면서, 차량이 주차장에서 상대적으로 빠르게 이동하거나, 경적이 울리는 상황이 상대적으로 빈번하게 발생하는 경우에 해당되는 주차장의 구역을 위험하다고 판단하여, 해당 구역을 위험 구역으로 결정할 수 있다.
S806 단계에서, 장치(30)는 위험 구역에 해당하는 주차장의 영상을 제1 밝기로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제1 밝기는 실시예에 따라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S807 단계에서, 장치(30)는 위험 지수가 미리 설정된 기준을 만족하지 않는 주차장의 구역을 안전 구역으로 결정할 수 있다.
장치(30)는 주차장의 혼잡도가 상대적으로 낮으면서, 차량이 주차장에서 상대적으로 천천히 이동하거나, 경적이 울리는 상황이 상대적으로 적게 발생하는 경우에 해당되는 주차장의 구역을 상대적으로 안전하다고 판단하여, 해당 구역을 안전 구역으로 결정할 수 있다.
S808 단계에서, 장치(30)는 안전 구역에 해당하는 주차장의 영상을 제2 밝기로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제1 밝기는 제2 밝기와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장치(30)는 주차장의 위험 상태를 위험 구역 및 안전 구역으로 명확히 구분하고, 위험 구역 및 안전 구역의 밝기를 다르게 표시함으로써, 주차장의 위험 상태를 시각화 할 수 있으며, 이는 주차장의 관리자가 주차장의 상황을 빠르게 파악하고 대응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또한, 사고 발생 위험이 상대적으로 높은 위험 구역을 구분하여 표시함으로써, 위험 구역을 더 자세히 살필 수 있으며, 위험 구역에 해당되는 구역에서 사고가 발생한 경우, 주차장의 관리자들이 빠르게 발견하여 신속하게 대응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하여, 주차장의 안전성을 향상시키고, 사고 발생 위험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9는 일실시예에 따른 주차장의 구역에 따른 차량 객체의 크기를 결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먼저, S901 단계에서, 장치(30)는 위험 구역에서 이동하는 차량 객체가 존재하는 경우, 위험 구역에서 이동하는 차량 객체의 크기에 제1 비율을 적용한 제1 크기로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제1 비율은 실시예에 따라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S902 단계에서, 장치(30)는 안전 구역에서 이동하는 차량 객체가 존재하는 경우, 안전 구역에서 이동하는 차량 객체의 크기에 제2 비율을 적용한 제2 크기로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제2 비율은 제1 비율보다 낮게 설정될 수 있다.
S903 단계에서, 장치(30)는 위험 구역 및 안전 구역에서 정차한 차량 객체가 존재하는 경우, 정차한 차량 객체의 크기를 제3 크기로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제3 비율은 제2 비율보다 낮게 설정될 수 있다.
장치(30)는 위험 구역에서 이동하는 차량 객체의 크기에 제1 비율을 적용한 제1 크기로 표시하고, 안전 구역에서 이동하는 차량 객체의 크기에 제1 비율보다 작은 제2 비율을 적용한 제2 크기로 표시하여, 각각의 구역에서 이동하는 차량의 시각적인 구분을 통해 주차장의 위험 구역과 안전 구역에서 이동하는 차량을 명확하게 표시하여 관리자에게 시각적인 정보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이를 통해 관리자는 주차장의 상황을 빠르게 파악하고 위험 상황에 대한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다.
또한, 장치(30)는 정차한 차량의 크기를 제3 크기로 제공하여, 주차장 내 정차한 차량을 시각적으로 구분하고, 정차 차량의 위치와 상태를 신속하게 파악하여 주차장의 효율적인 운영과 관리를 하도록 할 수 있다.
장치(30)는 위험 구역, 안전 구역 및 정차한 차량에 대한 차량 객체를 시각적으로 구분하고, 크기에 따른 표시를 제공함으로써, 관리자에게 실시간으로 주차장 상황을 전달하고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줄 수 있다.
S904 단계에서, 장치(30)는 주차 관제 페이지를 생성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장치(30)는 제1 색상 및 제2 색상 중 어느 하나, 제1 밝기 및 제2 밝기 중 어느 하나가 적용된 주차장의 영상과 제1 크기 내지 제3 크기 중 어느 하나의 크기가 적용된 차량 객체를 결합하여 주차 관제 페이지를 생성할 수 있다.
장치(30)는 제1 밝기 또는 제2 밝기를 적용하여 주차장의 영상을 표시함으로써, 관리자가 주차 상황을 더욱 명확하게 파악할 수 있고, 제1 색상 또는 제2 색상을 적용하여 주차장의 영상을 표시함으로써, 주차장 내 구역 및 차량을 시각적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다른 색상을 사용함으로써 관리자는 구역 및 차량 객체를 빠르게 식별하고, 주차 상황을 더욱 정확하게 평가할 수 있다.
장치(30)는 제1 크기부터 제3 크기 중 하나를 선택하여 차량 객체를 표시함으로써, 관리자에게 차량의 상대적인 크기 정보를 제공하고, 크기에 따라 차량의 상태나 위치를 파악할 수 있으며, 주차 상황을 보다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장치(30)는 주차 관제 페이지를 생성하고, 관리자에게 제공함으로써, 관리자는 시각적으로 주차장 상황을 파악하고, 주차 구역의 혼잡도, 차량 이동 패턴 등을 빠르게 파악할 수 있고, 이는 주차장 운영 및 관리에 대한 효율성을 향상시키고, 사고 예방 및 원활한 차량 이동을 도모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도 10은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단말(10)의 위치에 기반하여 안내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먼저, S1001 단계에서, 장치(30)는 사용자의 위치가 혼잡 구역에 속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장치(30)는 사용자의 단말(10)의 위치 센서로부터,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고, 사용자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장치(30)는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S1002 단계에서, 장치(30)는 사용자의 위치가 비혼잡 구역에 속하는 경우, 주차장의 주차 요금 안내 메시지를 사용자의 단말(10)로 전송할 수 있다. 장치(30)는 사용자의 위치가 비혼잡 구역에 속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사용자가 속한 주차장의 요금 정보를 획득하고, 요금 정보를 포함하는 주차장의 주차 요금 안내 메시지를 사용자의 단말(10)로 전송할 수 있다.
S1003 단계에서, 장치(30)는 비혼잡 구역에서 미리 설정된 거리 이내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때, 미리 설정된 거리는 실시예에 따라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S1004 단계에서, 장치(30)는 사용자의 위치가 혼잡 구역에 속하면서, 비혼잡 구역에서 미리 설정된 거리 이내에 존재하는 경우, 비혼잡 구역으로 이동하라는 이동 안내 메시지를 사용자의 단말(10)로 전송할 수 있다.
장치(30)는 사용자의 위치가 혼잡 구역에 속하면서, 비혼잡 구역에서 미리 설정된 거리 이내에 존재하는 경우, 비혼잡 구역으로 이동하라는 이동 안내 메시지를 통해 사용자에게 혼잡 구역에서 비혼잡 구역으로 이동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사용자는 이동 안내 메시지를 통해 해당 안내에 따라 비혼잡 구역으로 이동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인 주차 공간 활용과 혼잡 지역의 회피가 가능해진다. 또한, 사용자가 혼잡 구역에 존재하지만, 비혼잡 구역에 가까이 있는 경우, 비혼잡 구역으로 이동하도록 함으로써, 주차장 내에서의 주차 공간 탐색 시간이 감소하고, 이동 거리가 줄어드는 장점이 있으며, 이는 사용자가 보다 짧은 시간과 적은 연료로 주차 공간을 찾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혼잡 구역은 사고 발생 가능성이 높거나 주차 공간의 이용이 어려울 수 있으므로, 사용자를 비혼잡 구역으로 안내함으로써 사고 예방 및 원활한 주차 환경 조성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사용자의 단말(10)로 이동 안내 메시지를 전송함으로써 개인화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동 안내 메시지는 사용자의 현재 위치와 주차장 상황을 고려하여 맞춤화된 정보를 제공하므로, 사용자는 자신의 위치에 따른 필요한 정보를 받을 수 있다.
S1005 단계에서, 장치(30)는 사용자의 위치가 혼잡 구역에 속하면서, 비혼잡 구역에서 미리 설정된 거리 밖에 존재하는 경우, 주차장의 빈 공간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위치 안내 메시지를 사용자의 단말(10)로 전송할 수 있다.
장치(30)는 위치 안내 메시지를 통해 주차장의 빈 공간 위치 정보를 제공하면서, 사용자는 주차 가능한 공간을 빠르게 찾아 활용할 수 있고, 이는 주차장의 공간 활용도를 증가시키고, 혼잡 구역의 주차 혼잡도를 완화시킬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주차 장소를 더 빠르게 찾을 수 있고, 혼잡 구역의 주차 어려움을 피할 수 있으므로 만족도가 향상될 수 있다.
도 11은 일실시예에 따른 주차장의 마케팅 전략을 생성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먼저, S1101 단계에서, 장치(30)는 미리 설정된 기간 동안의 사용자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이때, 미리 설정된 기간은 실시예에 따라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정보는 사용자의 차량이 주차장에 입차한 횟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S1102 단계에서, 장치(30)는 사용자 정보로부터 차량의 주차장의 반복 입차 횟수가 0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S1103 단계에서, 장치(30)는 사용자 정보로부터 주차장의 반복 입차 횟수가 0에 해당하는 차량을 신규 차량으로 결정할 수 있다.
장치(30)는 주차장의 반복 입차 횟수가 0 인 차량에 대하여, 해당 주차장을 처음으로 방문한 차량인 신규 차량으로 결정할 수 있다.
S1104 단계에서, 장치(30)는 신규 차량의 개수가 전체 입차 개수에서 차지하는 비율인 제1 비율을 산출할 수 있다.
장치(30)는 미리 설정된 기간 동안 주차장에 설치된 카메라의 영상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기간 동안 입차한 차량의 개수인 전차 입차 개수를 확인할 수 있다.
S1105 단계에서, 장치(30)는 반복 입차 횟수가 미리 설정된 기준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때, 미리 설정된 기준은 실시예에 따라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S1106 단계에서, 장치(30)는 사용자 정보로부터 반복 입차 횟수가 0보다 크면서 미리 설정된 기준을 만족하지 않는 차량을 재방문 차량으로 결정할 수 있다.
S1107 단계에서, 장치(30)는 재방문 차량의 개수가 전체 입차 개수에서 차지하는 비율인 제2 비율을 산출할 수 있다.
S1108 단계에서, 장치(30)는 사용자 정보로부터 반복 입차 횟수가 미리 설정된 기준을 만족하는 차량을 정규 차량으로 결정할 수 있다.
S1109 단계에서, 장치(30)는 정규 차량의 개수가 전체 입차 개수에서 차지하는 비율인 제3 비율을 산출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장치(30)는 제1 비율, 제2 비율 및 제3 비율을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따라 주차장의 마케팅 전략을 생성할 수 있다.
S1110 단계에서, 장치(30)는 제1 비율이 가장 높은 경우, 주차장의 고객 유치를 위한 마케팅 전략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객 유치를 위한 마케팅 전략은 웹사이트, 소셜 미디어, 모바일 앱 등을 활용하여 주차장의 서비스와 혜택을 알리거나, 예를 들어, 구글 광고, 소셜 미디어 광고, 검색 엔진 최적화를 활용하여 주차장의 가시성을 높이는 방법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S1111 단계에서, 장치(30)는 제2 비율이 가장 높은 경우, 주차장의 고객 유지를 위한 마케팅 전략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객 유지를 위한 마케팅 전략은 이메일, 문자 메시지, 푸시 알림 등을 활용하여 사용자에게 특별 할인, 이벤트 등을 알리고 재방문을 유도하거나, 포인트 적립, 할인 혜택, 무료 주차 등을 통해 고객의 충성도를 유지하고 재방문을 장려하도록 하는 방법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S1112 단계에서, 장치(30)는 제3 비율이 가장 높은 경우, 주차장의 고객 우대를 위한 마케팅 전략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객 우대를 위한 마케팅 전략은 정규 차량에 해당하는 사용자인 정기 고객을 위한 멤버십 프로그램을 구축하고 특별 혜택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할인된 주차 요금, 주차 우선 예약, 특별 서비스 등을 통해 고객의 충성도를 높이고 유지하는 방법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도 12는 일실시예에 따른 주차장을 운영한 관리자를 매칭 상대로 추천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장치(30)는 이미지를 기초로 특정 주차장이 사용자의 니즈로 파악되면, 해당 주차장을 추천하는 추천 페이지를 제공하면서, 해당 주차장을 운영한 관리자를 찾아 매칭한 후, 매칭된 관리자를 사용자에게 추천해줄 수 있다. 여기서, 관리자는 주차장을 운영하는 관리자를 의미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먼저, S1201 단계에서, 장치(30)는 사용자의 단말(10)로부터 사용자가 원하는 주차장을 보여주기 위해 선택된 이미지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이미지는 사용자의 단말(10)을 통해 촬영되어 생성된 이미지일 수 있고, 외부에서 획득되어 사용자의 단말(10)의 메모리에 저장된 이미지일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사용자의 단말(10)을 통해 자신이 원하는 주차장을 보여주기 위해 이미지를 선택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단말(10)은 이미지가 선택되면, 이미지를 장치(30)로 전송할 수 있다.
S1202 단계에서, 장치(30)는 이미지를 특정 주차장을 촬영한 이미지로 분석할 수 있다.
즉, 장치(30)는 이미지가 수신되면, 이미지가 무엇을 촬영한 이미지인지 분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장치(30)는 주차장 별로 학습된 이미지와 이미지를 비교한 결과, 특정 주차장의 이미지들과 이미지가 어느 정도 일치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이미지를 특정 주차장을 촬영한 이미지로 분석할 수 있다.
또한, 장치(30)는 주차장 별로 학습된 이미지와 이미지를 비교한 결과, 제1 주차장 이미지들과 이미지가 어느 정도 일치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이미지를 제1 주차장을 촬영한 이미지로 분석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장치(30)는 미리 학습된 이미지에 기초하여, 이미지가 특정 주차장을 촬영한 이미지인지 분석하거나, 특정 주차장을 촬영한 이미지인지 분석할 수 있다.
또한, 장치(30)는 이미지를 분석한 결과, 이미지 내에서 특정 주차장이 인식되면, 이미지를 특정 주차장을 촬영한 이미지로 분석할 수 있다.
S1203 단계에서, 장치(30)는 이미지가 특정 주차장을 촬영한 이미지로 분석되면, 특정 주차장을 운영한 이력이 있는 관리자를 매칭 후보 그룹으로 분류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관리자들은 주차장 운영 시 운영한 주차장을 운영 이력에 등록할 수 있으며, 장치(30)는 데이터베이스에 관리자 별로 구분된 운영 이력을 저장하여 관리할 수 있다. 운영 이력은 관리자가 수행하여 완료된 운영 업무 내역이 누적된 정보로, 운영한 주차장, 주차장 운영일, 운영 장소, 운영 사이트, 운영 결과물 등을 포함하는 정보가 리스트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관리자가 특정 주차장을 운영한 경우, 관리자는 단말을 통해 주차장의 운영이 완료된 현장을 촬영하여 운영 결과물인 제1 결과물을 생성할 수 있고, 생성된 제1 결과물의 등록 요청을 장치(30)로 전송할 수 있으며, 장치(30)는 제1 결과물에서 특정 주차장을 인식한 후, 특정 주차장을 운영 시 운영한 주차장으로 운영 이력에 등록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관리자가 주차장 운영을 완료하면, 주차장 운영이 완료된 현장을 촬영하여 운영 결과물이 생성될 수 있고, 생성된 운영 결과물을 통해 운영 시 사용된 주차장이 인식되어 인식된 주차장이 운영 시 사용한 주차장으로 운영 이력에 등록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과정이 관리자 별로 수행되면, 관리자들의 운영 이력이 각각 갱신될 수 있다.
장치(30)는 관리자들의 운영 이력을 기반으로, 관리자의 운영 이력에 특정 주차장이 운영 시 사용한 주차장으로 등록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특정 주차장을 이용하여 운영을 수행한 이력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으며, 특정 주차장을 이용하여 운영을 수행한 이력이 있는 관리자를 매칭 후보 그룹으로 분류할 수 있다.
S1204 단계에서, 장치(30)는 매칭 후보 그룹으로 분류된 관리자가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S1204 단계에서 매칭 후보 그룹으로 분류된 관리자가 없는 것으로 확인되면, 장치(30)는 이미지를 통해 사용자 및 관리자 매칭 서비스가 제공될 수 없으므로, 다른 이미지의 선택을 요청하는 알림 메시지를 사용자의 단말(10)로 전송할 수 있으며, 알림 메시지의 확인을 통해 이미지를 대체하는 다른 이미지가 선택되면, S1201 단계로 되돌아가, 장치(30)는 선택된 다른 이미지를 수신하는 과정부터 다시 수행할 수 있다.
S1204 단계에서 매칭 후보 그룹으로 분류된 관리자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S1205 단계에서, 장치(30)는 매칭 후보 그룹으로 분류된 관리자가 하나만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S1205 단계에서 매칭 후보 그룹으로 분류된 관리자가 제1 관리자 하나만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S1207 단계에서, 장치(30)는 제1 관리자를 사용자의 매칭 상대로 설정할 수 있다.
즉, 장치(30)는 매칭 후보 그룹으로 분류된 관리자가 제1 관리자 하나 있는 것으로 확인된 경우, 제1 관리자를 사용자의 매칭 상대로 설정할 수 있다.
S1205 단계에서 매칭 후보 그룹으로 분류된 관리자가 하나가 아닌 둘 이상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S1206 단계에서, 장치(30)는 매칭 후보 그룹으로 분류된 관리자 별로 매칭 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이때, 장치(30)는 특정 주차장을 이용하여 운영을 수행한 운영 횟수 및 특정 주차장을 관리하고 있는 관리량을 고려하여, 매칭 후보 그룹으로 분류된 관리자 별로 매칭 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특정 주차장을 이용하여 운영을 수행한 운영 횟수는 운영 이력을 통해 확인될 수 있고, 특정 주차장을 관리하고 있는 관리량은 관리 내역을 통해 확인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장치(30)는 데이터베이스에 관리자 별로 구분된 관리 내역을 저장하여 관리할 수 있다. 관리 내역은 관리자의 창고에 보관되어 있는 주차장들 각각의 관리 현황을 나타낼 수 있으며, 관리자 요청에 의해 갱신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장치(30)는 특정 주차장을 이용하여 운영을 수행한 운영 횟수가 많을수록 제1 점수를 높은 점수로 설정하고, 특정 주차장을 관리하고 있는 관리량이 많을수록 제2 점수를 높은 점수로 설정한 후, 제1 점수 및 제2 점수를 합산하여 매칭 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관리자 및 제2 관리자가 매칭 후보 그룹으로 분류되어 있고, 제1 관리자의 운영 이력에 특정 주차장을 이용하여 운영을 수행한 횟수가 5회 등록되어 있고, 제1 관리자의 관리 내역에 특정 주차장의 관리량이 10개로 등록되어 있고, 제2 관리자의 운영 이력에 특정 주차장을 이용하여 운영을 수행한 횟수가 3회 등록되어 있고, 제2 관리자의 관리 내역에 특정 주차장의 관리량이 8개로 등록되어 있는 경우, 장치(30)는 제1 관리자에 대해서 특정 주차장을 이용하여 운영을 수행한 운영 횟수 5회를 통해 제1 점수를 50점으로 산출하고 특정 주차장의 관리량 10개를 통해 제2 점수를 100점으로 산출한 후, 50점 및 100점을 합산하여 제2 관리자의 매칭 점수를 150점으로 산출할 수 있으며, 제2 관리자에 대해서 특정 주차장을 이용하여 운영을 수행한 운영 횟수 3회를 통해 제1 점수를 30점으로 산출하고 특정 주차장의 관리량 8개를 통해 제2 점수를 80점으로 산출한 후, 30점 및 80점을 합산하여 제2 관리자의 매칭 점수를 110점으로 산출할 수 있다.
즉, 장치(30)는 매칭 후보 그룹으로 분류된 관리자가 둘 이상 있는 것으로 확인된 경우, 특정 주차장을 이용하여 운영을 수행한 운영 횟수 및 특정 주차장을 관리하고 있는 관리량을 고려하여, 매칭 후보 그룹으로 분류된 관리자 별로 매칭 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장치(30)는 매칭 후보 그룹으로 분류된 관리자 별로 매칭 점수가 산출되면, 산출된 매칭 점수를 비교하여 어느 관리자의 매칭 점수가 가장 높은지 확인할 수 있다.
매칭 후보 그룹으로 분류된 관리자들 중 제1 관리자의 매칭 점수가 가장 높은 것으로 확인되면, S1207 단계에서, 장치(30)는 제1 관리자를 사용자의 매칭 상대로 설정할 수 있다.
S1208 단계에서, 장치(30)는 제1 관리자가 사용자의 매칭 상대로 설정되면, 제1 관리자에 대한 추천 정보와 특정 주차장을 추천하는 추천 페이지의 링크 정보를 사용자의 단말(10)로 제공할 수 있다.
제1 관리자가 사용자의 매칭 상대로 설정되면, 제1 관리자에 대한 추천 정보와 해당 주차장을 추천하는 추천 페이지의 링크 정보를 사용자의 단말(10)로 제공하는 과정은 사용자의 편의성과 개인화된 경험을 개선하여 주차장 선택 과정을 원활하게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장치(30)의 관리자에 대한 추천 정보와 특정 주차장의 추천 페이지의 링크 정보를 제공하는 과정은 사용자에게 편의성과 접근성을 개선해줄 수 있으며, 사용자는 제1 관리자와 관련된 추천 정보와 주차장을 쉽게 얻을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더욱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원하는 주차장을 구매할 수 있다.
또한, 장치(30)는 추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맞는 제1 관리자와 관련된 주차장을 발견하고 선택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자신의 선호도를 더욱 정확하게 반영한 주차장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장치(30)는 추천 페이지의 링크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는 제1 관리자의 주차장 추천 페이지로 바로 이동하여 주차장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더불어, 주차장의 운영이 활발하도록 유도하는 효과가 있다.
도 13은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의 식별정보 기반 주차 결제 서비스를 이용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장치(30)는 사용자의 단말(10)에서 사용자 정보 및 사용자의 단말(10)을 통해 인식된 제1 주차장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 정보는 사용자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로서, 예를 들어, 사용자의 이름, 휴대폰 번호, 차량 번호, 사용자 인식 코드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사용자 인식 코드는 QR 코드, 바코드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제1 주차장은 관리자가 운영하는 주차장 중 어느 하나의 주차장을 의미할 수 있다. 제1 주차장의 정보는 사용자의 단말(10)을 통해 인식될 수 있다. 제1 주차장의 정보는 주차장의 관리자명, 관리자의 연락처, 제1 주차장의 관리번호, 제1 주차장의 위치, 요금 정보, 운영 시간, 주차 가능 개수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제1 주차장의 출입구에는 제1 주차장의 정보를 포함하는 QR 코드가 구비되어 있을 수 있으며, 장치(30)는 사용자의 단말(10)의 카메라로부터 제1 주차장의 QR 코드를 촬영하여 인식된 제1 주차장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장치(30)는 제1 주차장의 정보를 이용하여, 제1 주차창의 요금 정보를 확인하고, 사용자의 단말(10)에 제1 주차장의 일일 최대 요금 결제 요청을 송신할 수 있다.
장치(30)는 사용자의 단말(10)을 통해 제1 주차장의 정보를 수신한 경우, 사용자의 단말(10)로 입차 안내 페이지가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장치(30)는 사용자의 단말(10)을 통해 제1 주차장의 정보를 수신한 경우, 사용자의 단말(10)이 웹 서버를 통해 입차 안내 페이지에 접속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입차 안내 페이지는, 입차 접속 화면, 제1 결제 선택 화면, 입차 요금 결제 화면 및 제1 차단 장치 열림 화면을 포함할 수 있다.
입차 접속 화면은 주차장의 정보의 일일 최대 요금을 표시하는 요금 정보 및 일일 최대 요금의 결제를 요청하는 제1 결제 요청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결제 선택 화면은 제1 결제 요청 버튼의 입력에 기반하여, 결제 수단을 선택하는 제1 결제 수단 선택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결제 수단은 신용카드, 체크카드, 무통장 입금, 휴대폰 소액 결제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장치(30)는 제1 결제 요청 버튼으로부터, 일일 최대 요금의 결제의 요청을 수신한 경우, 제1 결제 수단 선택 버튼을 포함하는 제1 결제 선택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입차 요금 결제 화면은 제1 결제 수단 선택 버튼의 입력에 기반하여, 일일 최대 요금을 결제하는 제1 결제 승인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장치(30)는 제1 결제 수단 선택 버튼이 입력된 경우, 일일 최대 요금을 결제하는 제1 결제 승인 버튼을 포함하는 입차 요금 결제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제1 차단 장치 열림 화면은 제1 결제 승인 버튼의 입력에 기반하여, 차단 장치의 열림 알림 메시지 및 출차시 재결제 알림 메시지를 포함할 수 있다.
장치(30)는 제1 결제 승인 버튼이 입력된 경우, 차단 장치의 열림 알림 메시지 및 출차시 재결제 알림 메시지를 포함하는 제1 차단 장치 열림 화면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장치(30)는 결제 서버에서 일일 최대 요금에 대한 결제 요청의 응답을 확인하고, 사용자의 단말(10)을 입차 사용자 단말로 결정하고, 제1 주차장의 차단 장치에 열림 신호를 송신하고, 열림 신호를 송신한 입차 시간을 수신할 수 있다.
장치(30)는 입차 사용자 단말을 통해 인식된 제2 주차장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제2 주차장은 관리자가 운영하는 주차장 중 어느 하나의 주차장을 의미할 수 있다. 제2 주차장의 정보는 사용자의 단말(10)을 통해 인식될 수 있다. 제2 주차장의 정보는 주차장의 관리자명, 관리자의 연락처, 제2 주차장의 관리번호, 제2 주차장의 위치, 요금 정보, 운영 시간, 주차 가능 개수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제2 주차장의 출입구에는 제2 주차장의 정보를 포함하는 QR 코드가 구비되어 있을 수 있으며, 장치(30)는 사용자의 단말(10)의 카메라로부터 제2 주차장의 QR 코드를 촬영하여 인식된 제2 주차장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장치(30)는 입차 사용자 단말을 통해 제2 주차장의 정보를 수신한 경우, 입차 사용자 단말로 출차 안내 페이지가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장치(30)는 입차 사용자 단말을 통해 제2 주차장의 정보를 수신한 경우, 입차 사용자 단말이 웹 서버를 통해 출차 안내 페이지에 접속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출차 안내 페이지는, 출차 접속 화면, 제2 결제 선택 화면, 주차요금 결제 화면, 및 제2 차단 장치 열림 화면을 포함할 수 있다.
출차 접속 화면은 주차장의 정보의 일일 최대 요금의 결제 취소 정보를 표시하는 취소 정보, 일일 최대 요금에서 실제 요금을 차감한 값인 결제 취소 금액 및 실제 요금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고, 실제 요금의 결제를 요청하는 제2 결제 요청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결제 선택 화면은 제2 결제 요청 버튼의 입력에 기반하여, 결제 수단을 선택하는 제2 결제 수단 선택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장치(30)는 제2 결제 요청 버튼이 입력되면, 결제 수단을 선택하는 제2 결제 수단 선택 버튼을 포함하는 제2 결제 선택 화면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주차요금 결제 화면은 제2 결제 수단 선택 버튼의 입력에 기반하여, 실제 요금을 결제하는 제2 결제 승인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차단 장치 열림 화면은 제2 결제 승인 버튼의 입력에 기반하여, 차단 장치의 열림 알림 메시지, 실제 요금의 결제 알림 메시지 및 일일 최대 요금의 결제 취소 알림 메시지를 포함할 수 있다.
장치(30)는 제2 결제 승인 버튼의 입력되면, 차단 장치의 열림 알림 메시지, 실제 요금의 결제 알림 메시지 및 일일 최대 요금의 결제 취소 알림 메시지를 포함하는 제2 차단 장치 열림 화면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장치(30)는 제1 주차장의 정보와 제2 주차장의 정보가 일치하는지 확인하고, 제1 주차장의 정보와 제2 주차장의 정보가 일치하는 경우, 입차 시간에서 입차 사용자 단말을 통해 제2 주차장의 정보가 인식된 시점까지 경과된 시간을 확인할 수 있다.
장치(30)는 경과된 시간에 제2 주차장의 요금 정보를 적용하여 실제 요금을 계산하고, 결제 서버에 일일 최대 요금에 대한 환불 요청을 송신할 수 있다.
장치(30)는 입차 사용자 단말에 실제 요금에 대한 결제 요청을 송신하고, 결제 서버에서 환불 요청에 대한 응답 및 실제 요금에 대한 결제 요청의 응답을 확인하고, 사용자의 단말(10)을 출차 사용자 단말로 결정할 수 있다.
장치(30)는 제2 주차장의 차단 장치에 열림 신호를 송신하여, 출차 사용자 단말에 해당하는 사용자가 주차장 이용 후 주차장에서 출차하는 과정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4는 일실시예에 따른 차단 장치가 설치된 주차장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4의 (a) 및 (b)는 기존의 주차장에 설치된 차단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의 (a) 및 (b)를 참조하면, 기존의 주차장의 경우, 주차장의 입구와 출구에 차량 번호를 인식하기 위한 차량 번호 인식기와 주차 요금을 정산하기 위한 사전 요금 정산 키오스크 장비 및 로컬에 배치된 요금 정산 컴퓨터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기존의 주차장은 주차장의 입구와 출구에 2개의 차단 장치, 차량 번호 인식기, 사전 요금 정산 키오스크 장비 및 로컬에 배치된 요금 정산 컴퓨터 등의 복수개의 장비를 설치해야 하기 때문에, 주차장의 입출구에 차량번호 촬영 및 사용자가 차량에서 주차 요금을 정산해야 할 공간이 필요해서 소형 주차장 및 입출구가 확보되지 않은 주차장에는 설치가 불가능하며, 장비의 설치 공간이 있다고 하더라도, 복수개의 장비의 설치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기존의 주차 공간을 축소해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도 14의 (c) 및 (d)는 본 발명에 따른 주차장에 설치된 차단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의 (c) 및 (d)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주차장의 경우, 스마트폰의 식별 번호를 기반으로 차량의 주차 결제 및 관제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입출구 공용의 하나의 차단기를 설치해도 주차창의 운영이 가능하며, 차량 번호 인식기, 사전 요금 정산 키오스크 장비의 설치가 필요 없다. 따라서, 최소의 공간에 차단기와 식별 정보를 인식하기 위한 시각적 코드 만을 주차장에 간단히 설치하여, 웹 서버를 통해 주차 요금의 결제 및 차단기의 열림 및 닫힘 제어가 가능하도록 하여, 소형 주차장 및 진입로와 출입로가 없는 주차장에서도 주차 요금의 결제가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특정 공간에 차단 장치만 설치가 가능하면, 요금의 부과가 가능하고, 시설비가 상대적으로 저렴하기 때문에, 요금 부과 주차장이 증가하는 효과를 도출할 수 있으며, 요금 부과 주차장이 증가함에 따라 주차장을 찾고자 하는 도로 주행 차량의 회전율이 향상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관리자가 웹 서버 접속을 통해 주차 요금 운영 시간대를 탄력적으로 조절이 가능하여, 주간에는 빌라 주차장 등의 빈 개인 주차장을, 야간에는 퇴근 후 시간대의 빌딩 주차장 등의 야간 회사 주차장을 무인 유료 주차장으로도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따라, 주차장의 자원을 최대한 활용함으로써, 주차장에 대한 추가 수익을 확보할 수 있고, 수익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는 웹 서버를 통해 주차 요금 운영 시간대를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관리자는 시장 상황이나 수요 변화에 따라 유연하게 운영 전략을 조정할 수 있어, 경제적인 측면에서도 유리하며, 사용자들의 다양한 요구와 시간대별 주차 수요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5는 일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구성의 예시도이다.
일실시예에 따른 장치(30)는 프로세서(31) 및 메모리(32)를 포함한다. 일실시예에 따른 장치(30)는 상술한 서버 또는 단말일 수 있다. 프로세서(31)는 도 1 내지 도 14를 통하여 전술한 적어도 하나의 장치들을 포함하거나, 도 1 내지 도 14를 통하여 전술한 적어도 하나의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메모리(32)는 상술한 방법과 관련된 정보를 저장하거나 상술한 방법이 구현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32)는 휘발성 메모리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일 수 있다.
프로세서(31)는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장치(30)를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31)에 의하여 실행되는 프로그램의 코드는 메모리(32)에 저장될 수 있다. 장치(30)는 입출력 장치(도면 미 표시)를 통하여 외부 장치(예를 들어, 퍼스널 컴퓨터 또는 네트워크)에 연결되고,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은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방법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를 기초로 다양한 기술적 수정 및 변형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3)

  1.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의 단말에서 사용자 정보 및 상기 사용자의 단말을 통해 인식된 제1 주차장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주차장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주차장의 요금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단말에 상기 제1 주차장의 일일 최대 요금 결제 요청을 송신하는 단계;
    결제 서버에서 상기 일일 최대 요금에 대한 결제 요청의 응답을 확인하고, 상기 사용자의 단말을 입차 사용자 단말로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1 주차장의 차단 장치에 열림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열림 신호를 송신한 입차 시간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입차 사용자 단말을 통해 인식된 제2 주차장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주차장의 정보와 상기 제2 주차장의 정보가 일치하는지 확인하는 단계;
    상기 입차 시간에서 상기 입차 사용자 단말을 통해 상기 제2 주차장의 정보가 인식된 시점까지 경과된 시간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경과된 시간에 상기 제2 주차장의 요금 정보를 적용하여 실제 요금을 계산하는 단계;
    상기 결제 서버에 상기 일일 최대 요금에 대한 환불 요청을 송신하는 단계;
    상기 입차 사용자 단말에 상기 실제 요금에 대한 결제 요청을 송신하는 단계;
    상기 결제 서버에서 상기 환불 요청에 대한 응답 및 상기 실제 요금에 대한 결제 요청의 응답을 확인하고, 상기 사용자의 단말을 출차 사용자 단말로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주차장의 차단 장치에 열림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주차 관제 페이지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주차 관제 페이지를 관리자의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의 단말의 위치에 기반하여 안내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주차 관제 페이지를 생성하는 단계는,
    주차장에 설치된 카메라로부터, 주차장을 촬영한 주차장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주차장 영상으로부터 차량 객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주차장 영상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기간 동안 주차장에 출입한 차량 객체의 출입 횟수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주차장 영상으로부터 주차장에 출입한 차량 객체의 주차 시간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주차장의 정보로부터 주차장의 주차 가능 개수를 확인하고, 상기 주차 가능 개수에서 상기 추출된 차량 객체의 개수의 비율인 주차 비율이 미리 설정된 기준을 만족하는 기간인 혼잡 기간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주차장의 정보로부터 주차장의 운영 시간을 확인하고, 상기 운영 시간에서 상기 혼잡 기간이 차지하는 비율인 혼잡 비율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출입 횟수 및 상기 주차 시간을 기반으로 주차장의 주차 지수를 결정하고, 상기 주차 지수에 상기 혼잡 비율에 기반하여 결정된 가중치를 적용하여 주차장의 혼잡 지수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혼잡 지수가 미리 설정된 기준을 만족하는 주차장의 구역을 혼잡 구역으로 결정하는 단계,
    상기 혼잡 지수가 미리 설정된 기준을 만족하지 않는 주차장의 구역을 비혼잡 구역으로 결정하는 단계,
    상기 혼잡 구역에 해당하는 주차장의 영상을 제1 색상으로 표시하고, 상기 비혼잡 구역에 해당하는 주차장의 영상을 제2 색상으로 표시하는 단계,
    상기 주차장 영상으로부터 상기 차량 객체의 속도 정보 및 소리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차량 객체의 속도 및 상기 차량 객체의 소리의 세기가 미리 설정된 기준을 각각 만족하는지 여부에 기반하여 위험 가중치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혼잡 지수에 상기 위험 가중치를 적용하여, 주차장의 위험 지수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위험 지수가 미리 설정된 기준을 만족하는 주차장의 구역을 위험 구역으로 결정하는 단계,
    상기 위험 지수가 미리 설정된 기준을 만족하지 않는 주차장의 구역을 안전 구역으로 결정하는 단계,
    상기 위험 구역에 해당하는 주차장의 영상을 제1 밝기로 표시하고, 상기 안전 구역에 해당하는 주차장의 영상을 제2 밝기로 표시하는 단계,
    상기 위험 구역에서 이동하는 차량 객체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위험 구역에서 이동하는 차량 객체의 크기에 제1 비율을 적용한 제1 크기로 표시하는 단계,
    상기 안전 구역에서 이동하는 차량 객체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안전 구역에서 이동하는 차량 객체의 크기에 상기 제1 비율보다 작은 제2 비율을 적용한 제2 크기로 표시하는 단계,
    상기 위험 구역 및 상기 안전 구역에서 정차한 차량 객체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정차한 차량 객체의 크기를 제2 크기보다 작은 제3 크기로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색상 및 상기 제2 색상 중 어느 하나, 상기 제1 밝기 및 상기 제2 밝기 중 어느 하나가 적용된 주차장의 영상과 상기 제1 크기 내지 상기 제3 크기 중 어느 하나의 크기가 적용된 차량 객체를 결합하여 상기 주차 관제 페이지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의 단말의 위치에 기반하여 안내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단말로부터, 사용자의 위치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위치가 상기 혼잡 구역에 속하면서, 상기 비혼잡 구역에서 미리 설정된 거리 이내에 존재하는 경우, 상기 비혼잡 구역으로 이동하라는 이동 안내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의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위치가 상기 혼잡 구역에 속하면서, 상기 비혼잡 구역에서 미리 설정된 거리 밖에 존재하는 경우, 주차장의 빈 공간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위치 안내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의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의 위치가 상기 비혼잡 구역에 속하는 경우, 주차장의 주차 요금 안내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의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마트폰의 식별정보 기반 주차 결제 및 관제 서비스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주차장의 정보와 상기 제2 주차장의 정보가 일치하는지 확인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1 주차장의 정보와 상기 제2 주차장의 정보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1 주차장에 설치된 카메라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카메라 정보에서 상기 입차 시간에 촬영된 영상을 확인하여 차량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카메라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 정보에 해당하는 차량의 출차 시간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입차 시간에서 상기 출차 시간까지 경과한 시간을 확인하고, 상기 경과한 시간에 상기 제1 주차장의 요금 정보를 적용하여 실제 요금을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의 단말에 상기 실제 요금에 대한 결제 요청을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스마트폰의 식별정보 기반 주차 결제 및 관제 서비스 제공 방법.
  3. 삭제
KR1020230069712A 2023-05-31 2023-05-31 스마트폰의 식별정보 기반 주차 결제 및 관제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26158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69712A KR102615880B1 (ko) 2023-05-31 2023-05-31 스마트폰의 식별정보 기반 주차 결제 및 관제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69712A KR102615880B1 (ko) 2023-05-31 2023-05-31 스마트폰의 식별정보 기반 주차 결제 및 관제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15880B1 true KR102615880B1 (ko) 2023-12-21

Family

ID=893206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69712A KR102615880B1 (ko) 2023-05-31 2023-05-31 스마트폰의 식별정보 기반 주차 결제 및 관제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5880B1 (ko)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6804A (ko) * 2001-07-16 2003-01-23 다래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주차 관리 시스템
KR101281109B1 (ko) 2011-08-24 2013-07-22 (주)에스디시스템 모바일폰의 근접통신을 이용한 주차요금 정산시스템
KR20150065127A (ko) * 2013-12-03 2015-06-12 (주) 심플릿 스마트폰 앱을 이용한 주차장 안내 시스템 및 방법
KR101737805B1 (ko) 2017-03-28 2017-05-19 렉스젠(주) 스마트 주차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876557B1 (ko) 2016-11-22 2018-08-03 탑라이트 주식회사 IoT 융합형 집합건물 주차장 통합관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2149544B1 (ko) * 2019-10-07 2020-08-28 주식회사 에스아이티 암호화 모듈을 이용한 무인 주차 관제 시스템
JP6931500B1 (ja) * 2021-01-26 2021-09-08 アイテック株式会社 駐車場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JP6999206B2 (ja) * 2018-06-11 2022-01-18 株式会社ワイティーエム 駐車場管理システム
KR20220022689A (ko) * 2020-08-19 2022-02-28 이지섭 Qr 코드를 통한 전자 주차권 발급 시스템
KR102446137B1 (ko) 2015-12-07 2022-09-23 렉스젠(주) 주차장 교환이용 방법, 이를 이용한 주차관제장치 및 주차장 교환이용 시스템
JP2023061756A (ja) * 2021-10-20 2023-05-02 三菱重工業株式会社 駐車料金管理装置及び駐車料金管理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6804A (ko) * 2001-07-16 2003-01-23 다래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주차 관리 시스템
KR101281109B1 (ko) 2011-08-24 2013-07-22 (주)에스디시스템 모바일폰의 근접통신을 이용한 주차요금 정산시스템
KR20150065127A (ko) * 2013-12-03 2015-06-12 (주) 심플릿 스마트폰 앱을 이용한 주차장 안내 시스템 및 방법
KR102446137B1 (ko) 2015-12-07 2022-09-23 렉스젠(주) 주차장 교환이용 방법, 이를 이용한 주차관제장치 및 주차장 교환이용 시스템
KR101876557B1 (ko) 2016-11-22 2018-08-03 탑라이트 주식회사 IoT 융합형 집합건물 주차장 통합관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737805B1 (ko) 2017-03-28 2017-05-19 렉스젠(주) 스마트 주차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JP6999206B2 (ja) * 2018-06-11 2022-01-18 株式会社ワイティーエム 駐車場管理システム
KR102149544B1 (ko) * 2019-10-07 2020-08-28 주식회사 에스아이티 암호화 모듈을 이용한 무인 주차 관제 시스템
KR20220022689A (ko) * 2020-08-19 2022-02-28 이지섭 Qr 코드를 통한 전자 주차권 발급 시스템
JP6931500B1 (ja) * 2021-01-26 2021-09-08 アイテック株式会社 駐車場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JP2023061756A (ja) * 2021-10-20 2023-05-02 三菱重工業株式会社 駐車料金管理装置及び駐車料金管理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719759B1 (en) Open road tolling method, apparatus and electronic device
KR101556947B1 (ko) 주차장 관리 방법, 주차장 관리 서버 및 주차장 관리 시스템
US20160140846A1 (en) System and Method for Parking Management Based on Location Tracking
KR101343102B1 (ko) 지능형 주차장 관리 시스템 및 방법
US11514463B2 (en) Instant personal electronic parking system and method
WO2017070350A1 (en) Method and system for an automated parking system
US10970756B2 (en) Non-stop charging methods, apparatuses, and electronic devices
KR101150750B1 (ko) 주차 분산을 유도하는 무인 주차 관제 시스템 및 무인 주차 관제 방법
CN114446056B (zh) 车辆信息码的生成以及车辆通行控制方法、装置及设备
US20160300489A1 (en) Parking assignment system
KR101766858B1 (ko) 가상화폐를 이용한 주차장 공유 관리 시스템 및 방법
US11120370B2 (en) Parking management system
JP6928339B2 (ja) 施設管理装置、施設管理方法、プログラム、及び施設管理システム
KR101556934B1 (ko) 휴대폰을 이용한 스마트 주차시스템
JP2017157036A (ja) 駐車誘導システムおよび駐車誘導方法
Kabir et al. An IoT based intelligent parking system for the unutilized parking area with real-time monitoring using mobile and web application
Nithya et al. A smart parking system: an IoT based computer vision approach for free parking spot detection using faster R-CNN with YOLOv3 method
CN113034707A (zh) 支付停车费的方法以及相应的计算机程序产品
KR102615880B1 (ko) 스마트폰의 식별정보 기반 주차 결제 및 관제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20210150689A (ko) 주차장 및 퍼스널 모빌리티 공유 서비스 시스템 및 이의 운용 방법
KR20170132105A (ko) 사전 예약에 의한 주차장 관리 시스템
KR102320495B1 (ko) 주차장 자동결제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KR102499885B1 (ko) 단속 기능을 갖는 무인 주차 관리 장치
KR20200037587A (ko) 개인 단말을 이용하여 주차 위치 및 주차장 평가를 기록하고 기록된 정보를 활용하는 방법 및 시스템
US10891806B1 (en) Mobile phone and cloud based virtualized parking meter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