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50689A - 주차장 및 퍼스널 모빌리티 공유 서비스 시스템 및 이의 운용 방법 - Google Patents

주차장 및 퍼스널 모빌리티 공유 서비스 시스템 및 이의 운용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50689A
KR20210150689A KR1020200067439A KR20200067439A KR20210150689A KR 20210150689 A KR20210150689 A KR 20210150689A KR 1020200067439 A KR1020200067439 A KR 1020200067439A KR 20200067439 A KR20200067439 A KR 20200067439A KR 20210150689 A KR20210150689 A KR 202101506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rsonal mobility
parking lot
management server
parking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74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상용
이화진
임창열
Original Assignee
파킹클라우드 주식회사
신상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킹클라우드 주식회사, 신상용 filed Critical 파킹클라우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674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50689A/ko
Publication of KR202101506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5068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4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billing systems
    • G06Q20/145Payments according to the detected use or quant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45Rental transactions; Leasing transa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60Type of objects
    • G06V20/62Text, e.g. of license plates, overlay texts or captions on TV images
    • G06V20/625License plates
    • G06K2209/15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240/00Transportation facility access, e.g. fares, tolls or park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Multimedia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Devices For Checking Fares Or Tickets At Control Points (AREA)

Abstract

주차장 및 퍼스널 모빌리티 공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로컬 주차장 및 복수의 퍼스널 모빌리티; 상기 로컬 주차장에 주차하는 차량을 관리하는 주차장 관리 서버; 및 상기 복수의 퍼스널 모빌리티에 대한 대여 및 반납을 관리하는 퍼스널 모빌리티 관리 서버; 및 상기 주차장 관리 서버에 연결되는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사용자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시스템은 본 개시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와 같이, 퍼스널 모빌리티, 주차장 관리 서버, 퍼스널 모빌리티 관리 서버와 사용자 장치에서 수행되는 일련의 동작들을 통해, 사용자에게 일원화된 주차장과 퍼스널 모빌리티의 이용 및 결제 서비스를 제공하여 사용자 경험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주차장 및 퍼스널 모빌리티 공유 서비스 시스템 및 이의 운용 방법{PARKING SITE GUIDING SYSTEM AND OPERATING METHOD THEROF}
본 개시는 주차장 및 퍼스널 모빌리티 공유 서비스 시스템 및 이의 운용방법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개시는 주차장 이용과 퍼스널 모빌리티의 사용 및 요금 결제를 일원화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시스템 및 이의 운용방법에 관한 것이다.
여기에서 달리 언급하지 않으면 본 섹션에서 기술되는 내용은 본 출원에서의 청구범위의 선행 기술이 아니며, 본 섹션에 기재하였다는 이유로 선행 기술로 인정되어서는 안 된다.
늘어난 자동차 숫자에 비해 주차 여력은 턱없이 부족하여 주차 문제를 겪는 경우가 많다. 특히, 과거에 건설된 상가 건물, 아파트 등의 경우에는 현재와 같은 많은 차량수를 예측하지 못하여 차량대수 대비 주차공간을 확보하지 못한 상태이므로, 사용자는 목적지와 다른 장소에 주차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 경우, 주차한 곳에서부터 목적지까지의 거리가 먼 경우, 많은 거리를 걸어야 하므로 시간 및 체력소모가 큰 불편한 상황이 발생한다.
예컨대, 공개특허 제10-2019-0100083호는 주차장이 다수의 마이크로 모빌리티를 보유하고, 주차장에 입차하는 차량의 번호판을 기초로 마이크로 모빌리티를 대여하는 공유 시스템을 개시하고 있다. 여기에서 마이크로 모빌리티란 전동 킥보드, 자전거, 전기스쿠터, 초소형 전기차, 호버보드 또는 전동휠을 포함한다.
그러나, 선행하는 발명은 마이크로 모빌리티를 주차장에서 보유하고 대여 및 반납을 주차장 측에서 직접 관리하는 것을 전제하여, 마이크로 모빌리티가 주차장 내에 위치하는 상황만을 상정하고 있다. 이에 따라 이러한 서비스는 주차장을 운영하는 주체에 마이크로 모빌리티를 구입하고 관리하는 부담이 부가될 수 있다. 또한, 마이크로 모빌리티가 가지는 기동성이라는 장점을 극대화하여 대여 및 반납의 위치를 지정하지 않고 사용자가 어디에든 반납할 수 있도록 운영되고 있는 마이크로 모빌리티 렌탈 서비스의 최신 서비스 환경을 반영하지 못하여 대여와 반납의 위치가 주차장에 한정된다는 문제점은 여전히 남아있다.
(특허문헌 1) 공개특허 10-2019-0100083
이에 본 개시에 따른 주차장 및 퍼스널 모빌리티 공유 시스템은 주차장을 이용한 사용자가 퍼스널 모빌리티를 용이하기 사용할 수 있는 사용자 환경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개시에 따른 주차장 및 퍼스널 모빌리티 공유 시스템은 기존의 주차장 서비스와 퍼스널 모빌리티 대여 서비스의 융합을 통해 유효한 시너지 효과를 제공하고자 한다. 예를 들어, 주차장 서비스의 운영업체는 주차장을 이용하는 사용자에게 다양한 사용자 경험을 제공하고 서비스 영역의 다각화를 꾀할 수 있으며, 퍼스널 모빌리티 대여 서비스의 운영업체는 주차장 서비스에 가입한 사용자의 흡수를 통해 실질적인 사용자 및 실사용수 증대 효과를 이룰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에 따른 주차장 및 퍼스널 모빌리티 공유 시스템은 단순한 주차장과 퍼스널 모빌리티의 결합뿐만 아니라 각 서비스의 이용 요금의 결제를 일원화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주차장 및 퍼스널 모빌리티 공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로컬 주차장 및 복수의 퍼스널 모빌리티; 상기 로컬 주차장에 주차하는 차량을 관리하는 주차장 관리 서버; 및 상기 복수의 퍼스널 모빌리티에 대한 대여 및 반납을 관리하는 퍼스널 모빌리티 관리 서버; 및 상기 주차장 관리 서버에 연결되는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사용자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로컬 주차장은 입차하는 차량의 이미지를 촬상하고, 상기 주차장 관리 서버는 상기 이미지로부터 확인된 차량번호에 대응하는 상기 사용자 장치를 확인하고, 상기 로컬 주차장의 근처에 위치한 퍼스널 모빌리티에 대한 정보를 상기 사용자 장치에 전송하여 상기 사용자 장치가 상기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상기 로컬 주차장의 근처에 위치한 퍼스널 모빌리티를 표시할 수 있게 하고, 상기 사용자 장치로부터 특정 퍼스널 모빌리티의 대여를 요청하는 요청 신호 및 상기 특정 퍼스널 모빌리티의 식별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요청 신호 및 식별 정보를 상기 퍼스널 모빌리티 관리 서버로 전송하고, 및 상기 퍼스널 모빌리티 관리 서버는 상기 요청 신호 및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특정 퍼스널 모빌리티에 사용을 허여 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주차장 관리 서버는 상기 로컬 주차장이 획득한 출차하는 차량의 이미지로부터 확인한 차량번호에 기초하여 상기 특정 퍼스널 모빌리티를 사용한 사용자의 상기 차량이 출차하는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상기 차량의 주차요금 및 상기 특정 퍼스널 모빌리티의 사용요금의 결제를 통합하여 처리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 장치는 특정 퍼스널 모빌리티의 반납을 요청하는 사용자 입력을 감지하면, 상기 퍼스널 모빌리티의 결제방식을 결정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 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하고, 상기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한 결제 방식을 포함한 반납 요청 신호를 상기 주차장 관리 서버로 전송하되, 상기 결제방식을 결정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주차 요금과 함께 결제하는 통합 결제 방식과 주차 요금과 별도로 결제하는 개별 결제 방식을 각각 나타내는 아이콘을 표시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주차장 관리 서버는: 상기 반납 요청 신호에 포함된 결제 방식이 통합 결제 방식인 경우에, 상기 퍼스널 모빌리티 관리 서버에 상기 특정 퍼스널 모빌리티의 반납을 요청하는 신호를 전송하고, 및 상기 반납 요청 신호에 포함된 결제 방식이 통합 개별 결제 방식인 경우에, 상기 특정 퍼스널 모빌리티의 이용 요금을 결제 처리하고, 상기 퍼스널 모빌리티 관리 서버에 상기 특정 퍼스널 모빌리티의 반납을 요청하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주차장 관리 서버는 상기 로컬 주차장이 획득한 출차하는 차량의 이미지로부터 확인한 차량번호에 기초하여 상기 특정 퍼스널 모빌리티를 사용한 사용자의 상기 차량이 출차하는 것으로 확인하고, 상기 반납 요청 신호에 포함된 결제 방식이 통합 결제 방식인 경우에, 상기 차량의 주차요금 및 상기 특정 퍼스널 모빌리티의 사용요금의 결제를 통합하여 처리하고, 상기 반납 요청 신호에 포함된 결제 방식이 개별 결제 방식인 경우에, 상기 차량의 주차요금의 결제만을 처리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퍼스널 모빌리티의 식별정보는 상기 사용자 장치가 상기 퍼스널 모빌리티에 표시된 식별 정보를 촬상하여 획득된 이미지로부터 획득되거나, 상기 사용자 장치가 근접 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퍼스널 모빌리티로부터 획득될 수 있다.
이상의 간단한 요약 및 효과에 관한 설명은 단순히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개시에서 의도한 기술적 사항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함으로써, 전술한 예시적인 실시예들과 기술적 특징들에 더하여, 추가적인 실시예와 기술적 특징들이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앞서 설명한 본 개시의 특징들과 기타 추가적인 특징들에 대해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자세하게 설명한다. 이러한 도면들은 본 개시에 따르는 단지 몇 가지의 실시예만을 도시한 것이며,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서는 안 된다.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은 첨부된 도면을 사용하여 더 구체적이고 상세하게 기술될 것이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장 및 퍼스널 모빌리티 공유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주차장 및 퍼스널 모빌리티 공유 시스템에 포함된 주차장 관리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장 및 퍼스널 모빌리티 공유 시스템에 포함된 각 구성들의 동작 및 상호 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장 및 퍼스널 모빌리티 공유 시스템의 사용자 장치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 화면의 예를 도시한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장 및 퍼스널 모빌리티 공유 시스템의 사용자 장치에서 퍼스널 모빌리티의 식별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 화면의 예를 도시한다.
도 6a 및 도 6b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장 및 퍼스널 모빌리티 공유 시스템에서 퍼스널 모빌리티를 반납하기 위해 사용자 장치에서 표시되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도시한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장 및 퍼스널 모빌리티 공유 서비스를 위한 시스템에서 주차장의 이용 요금을 결제하기 위해 수행되는 동작 과정이 설명된 흐름도이다.
도 8a 및 8b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유 시스템이 제공하는 주차장의 이용 요금 및 퍼스널 모빌리티의 이용 요금의 통합 결제가 처리된 경우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 화면을 도시한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주차장 및 퍼스널 모빌리티 공유 시스템에 포함된 엔티티(entity)에서 이용될 수 있는 예시적인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도시한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다른 실시 예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닐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개시에 기재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본 개시에 사용된 용어들 중 일반적인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동일 또는 유사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개시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 본 개시에서 정의된 용어일지라도 본 개시의 실시예들을 배제하도록 해석될 수 없다.
앞서 설명한 본 개시의 특징들과 기타 추가적인 특징들에 대해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이하에서 자세하게 설명한다. 이러한 도면들은 본 개시에 따르는 단지 몇 가지의 실시예만을 도시한 것이며,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서는 안 된다.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은 첨부된 도면을 사용하여 더 구체적이고 상세하게 기술될 것이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장 및 퍼스널 모빌리티 공유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주차장 및 퍼스널 모빌리티 공유 시스템(100)(이하, 공유 시스템으로 지칭함)은 주차장 관리 서버(110), 사용자 장치(120), 퍼스널 모빌리티 관리 서버(130), 복수의 퍼스널 모빌리티(131), 복수의 주차장(140) 및 결제 서버(150)를 포함할 수 있다. 공유 시스템(100)의 엔티티(entity)로서 사용자 장치(120), 퍼스널 모빌리티 관리 서버(130), 복수의 퍼스널 모빌리티(131), 복수의 주차장(140) 및 결제 서버(150)는 주차장 관리 서버(110)를 통하여 통신 연결되고, 정보, 데이터 및 메시지가 송수신될 수 있다. 여기에서 통신 연결이란, 공유 시스템(100) 내에 포함된 주차장 관리 서버(110), 사용자 장치(120), 퍼스널 모빌리티 관리 서버(130), 복수의 퍼스널 모빌리티(131), 복수의 주차장(140) 각각에 포함된, 복수의 단말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통신 연결을 가능하게 하는 네트워크 방식의 일 예에는, RF,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네트워크,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NFC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주차장 관리 서버(110)는 공유 시스템(100)이 사용자에게 주차장 및 퍼스널 모빌리티의 사용 및 요금 결제 기능을 제공하기 위하여 서로 다른 물리적인 위치에 존재하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컴퓨팅 자원이 가상화 기술로 통합된 서비스 환경을 지칭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주차장 관리 서버(11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버를 포함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버는 공유 시스템(100)이 주차장 및 퍼스널 모빌리티의 사용 및 이용 요금 결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일련의 동작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 주차장 관리 서버(110)는 단수로 명명하더라도 주차장 관리 서버(110)를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버 또는 복수의 서버를 포함하는 클라우드 네트워크를 의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장치(120)는 주차장 및/또는 퍼스널 모빌리티를 사용하고자 하는 사용자가 소지한 무선 통신이 가능한 컴퓨팅 장치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장치(120)는 휴대전화, 스마트폰, PDA, 태블릿, 랩탑과 같은 휴대용 장치, 또는 데스크탑, 서버와 같은 휴대용이 아닌 다른 컴퓨팅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장치(120)에는 사용자가 공유 시스템(100)을 이용하여 주차장 및/또는 퍼스널 모빌리티를 사용하고, 각각의 이용 요금을 결제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설치될 수 있다. 즉, 본 개시의 공유 시스템(100)은 사용자 장치(12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통하여 적어도 일부가 구현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사용자 장치(12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통해 실행되는 각종 편리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graphic user interface, GUI)를 이용하여 주차장 및/또는 퍼스널 모빌리티를 사용하고 이용 요금을 결제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공유 시스템(100)은 사용자 장치(120)에서 실행되는 웹 브라우저 어플리케이션을 통해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에서, 웹 브라우저는 웹(WWW: world wide web)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하는 프로그램으로 HTML(hypertext mark-up language)로 서술된 하이퍼 텍스트를 받아서 보여주는 프로그램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넷스케이프(Netscape), 익스플로러(Explorer), 크롬(chrome)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퍼스널 모빌리티 관리 서버(130)는 공유 시스템(100)에서 퍼스널 모빌리티 대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통신망을 통해 복수의 퍼스널 모빌리티(131)와 통신이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퍼스널 모빌리티 관리 서버(130)는 복수의 퍼스널 모빌리티(131)들을 관리하며, 복수의 퍼스널 모빌리티(131) 각각의 위치, 잔여 배터리량, 현재 사용 여부, 사용 가부, 및 이용 요금을 관리할 수 있다. 모빌리티 관리 서버(130)는 주차장 관리 서버(110)와 통신할 수 있고, 이로써, 주차장 관리 서버(110)가 사용자 장치(120)와 퍼스널 모빌리티 관리 서버(130)를 중계하여 사용자가 로컬 주차장(140)과 퍼스널 모빌리티(131)의 동시 사용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퍼스널 모빌리티(131)는 전동 킥보드, 자전거, 전기스쿠터, 초소형 전기차, 호버보드 또는 전동휠을 포함할 수 있다. 퍼스널 모빌리티(131)는 통신 장치 및 컴퓨팅 장치가 설치될 수 있고, 이를 이용하여 퍼스널 모빌리티 관리 서버(130)와 통신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퍼스널 모빌리티(131)는 근접 통신 장치(예를 들어, NFC 장치 또는 블루투스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고, 근접 통신 장치를 이용하여 사용자 장치(120)와 직접적으로 근거리 통신할 수도 있다.
퍼스널 모빌리티(131) 각각은 고유의 식별 정보를 가질 수 있다. 식별 정보는 예를 들어, QR코드 또는 바코드 형식을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식별 정보는 퍼스널 모빌리티(131)의 외관에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 장치(120)는 퍼스널 모빌리티(131)의 외관에 표시된 식별 정보를 촬상함으로써, 대여하고자 하는 퍼스널 모빌리티(131)를 특정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사용자 장치(120)는 퍼스널 모빌리티(131)와 근거리 통신을 통하여 해당 퍼스널 모빌리티(131)의 식별 정보를 획득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로컬 주차장(140)은 사용자에게 공유 시스템(100)의 주차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공유 시스템(100)에 가입된 가맹 주차장일 수 있다. 로컬 주차장(140) 각각은 공유 시스템(100)에 주차장에 대한 가용 주차공간, 주차 요금 등의 주차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로컬 주차장(140) 각각은 입차 또는 출차하는 차량에 대한 정보(예: 차량 번호)를 확인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진입출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진입출 장치는 진출하는 차량을 촬상할 수 있는 촬상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공유 시스템(100)에 포함된 주차장 관리 서버(110)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주차장 관리 서버(110)는, 주차장 관리부(210), 퍼스널 모빌리티 관리부(220), 요금 관리부(230) 및 가입 회원 데이터베이스(240)를 포함할 수 있다. 주차장 관리 서버(110)는 적어도 하나의 서버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주차장 관리부(210), 퍼스널 모빌리티 관리부(220), 요금 관리부(230) 및 가입 회원 데이터베이스(240)와 같은 구성들은 하나의 서버 내에 구성되거나, 복수의 서버에 분산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성들은 복수의 서버에 각각에 모두 포함될 수 있으므로, 주차장 관리 서버(110)는 상기 구성들 중 적어도 하나를 복수개 포함할 수 있으며, 각 구성들이 수행하는 동작들은 예를 들어 서버의 가용자원에 따라 분산되어 수행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주차장 관리부(210)는 로컬 주차장(예: 도 1의 140)에 포함된 진입출 장치와 관련되어 수행될 수 있는 모든 프로세스를 처리할 수 있다. 주차장 관리부(210)는 로컬 주차장(140) 각각의 위치, 주차장의 종류(지하주차장, 노상주차장, 엘리베이터 기계식 주차장 등), 전체 주차공간의 수, 가용 주차공간의 수 및 위치, 요금체계 및 할인 요소를 관리할 수 있다.
주차장 관리부(210)는 로컬 주차장 동작적으로 연결되어 어떤 차량이 어떤 로컬 주차장에 입차 또는 출차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차장 관리부(210)는 로컬 주차장(140)의 진입출 장치에 의해 획득된 이미지로부터 입차하는 차량의 차량번호를 확인할 수 있다. 주차장 관리부(210)는 확인한 차량번호에 기초하여 해당 차량의 가입 정보 및 사용자 장치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주차장 관리부(210)는 출차하는 차량의 주차장 이용 요금 및/또는 퍼스널 모빌리티의 이용 요금의 결제를 처리하기 위하여, 로컬 주차장(140)의 진입출 장치에 의해 획득된 이미지로부터 출차하는 차량의 차량번호를 확인할 수 있다.
퍼스널 모빌리티 관리부(220)는 로컬 주차장(140)의 근처에 위치한 퍼스널 모빌리티에 대한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여기에서 로컬 주차장(140)의 근처는 기설정된 거리, 예를 들어 반경 100m 이내를 의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퍼스널 모빌리티 관리부(220)는 퍼스널 모빌리티에 대한 정보를 퍼스널 모빌리티 관리 서버(130)로부터 주기적으로 수신받음으로써 최신 현황을 갱신할 수 있다. 퍼스널 모빌리티 관리부(220)는 사용자 장치(120)로부터 퍼스널 모빌리티의 대여를 요청하는 신호를 수신함에 따라, 해당 사용자 장치(120)의 사용자가 주차한 로컬 주차장의 근처에 위치한 퍼스널 모빌리티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 장치(120)에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퍼스널 모빌리티 관리부(220)는 사용자 장치(120)로부터 퍼스널 모빌리티의 대여를 요청하는 신호를 수신함에 따라, 해당 사용자 장치(120)의 사용자가 주차한 로컬 주차장의 근처에 위치한 퍼스널 모빌리티에 대한 정보를 퍼스널 모빌리티 관리 서버(130)에 요청하고 이를 사용자 장치(120)에 제공할 수도 있다.
요금 관리부(230)는 예를 들어, 출차하는 차량 정보 또는 회원 정보에 기초하여, 차량의 결제 요금을 정산할 수 있다. 차량의 결제 요금은 주차장 이용 요금 및 퍼스널 모빌리티의 이용 요금을 포함할 수 있다. 요금 관리부(230)는 주차장 이용 요금 및 퍼스널 모빌리티의 이용 요금을 사용 시간에 기반하여 결정할 수 있다. 요금 관리부(230)는 퍼스널 모빌리티의 사용 여부에 기초하여 결제 요금을 결제할 수 있다. 요금 관리부(230)는 퍼스널 모빌리티와 주차장 이용 요금을 통합하여 결제할 것인지, 별도로 결제할 것인지에 기초하여 결제 요금을 결정할 수 있다. 요금 관리부(230)는 회원 정보에 기초하여 주차장의 이용 요금 또는 퍼스널 모빌리티의 이용 요금에 대한 할인 요금을 결정할 수동 있다.
가입 회원 데이터베이스(240)는 주차장 및 퍼스널 모빌리티 공유 서비스에 가입된 회원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회원 정보는 사용자의 개인 정보 및 차량번호를 매칭하여 관리할 수 있다. 또한 회원 정보는 사용자가 주차장 이용 요금과 퍼스널 모빌리티의 이용 요금을 온라인에서 결제할 수 있게 하는, 결제 정보를 미리 수집하여 저장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장의 이용 요금 및 퍼스널 모빌리티의 이용 요금은 가입 회원 데이터베이스(240)에 저장된 결제 정보에 기초하여 온라인, 또는 사용자 장치(12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 상에서 결제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유 시스템(100)은 주차장 관리 서버(110)에 포함된 복수의 구성들이 수행하는 동작에 의하여, 로컬 주차장 서비스 및 퍼스널 모빌리티 서비스를 연동하고, 주차장의 이용 요금 및 퍼스널 모빌리티의 이용 요금을 결제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유 시스템(100)이 주차장 및 퍼스널 모빌리티 공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수행되는 동작 과정을 도 3 내지 도 8을 이용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실시예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 중 어느 하나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자명하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유 시스템에 포함된 각 구성들의 동작 및 상호 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여, 이하,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유 시스템이 주차장 및 퍼스널 모빌리티 공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수행되는 동작 과정을 설명하고자 한다.
먼저 주차장 및 퍼스널 모빌리티 공유 서비스는 로컬 주차장(140)에 입차하는 차량의 차량번호를 획득하는 단계 S301에서 시작할 수 있다.
로컬 주차장(140)은 진입출 장치에 포함된 촬상 장치를 이용하여, 로컬 주차장(140)을 이용하기 위해 입차하는 차량의 이미지를 촬상할 수 있다. 로컬 주차장(140)은 촬상된 이미지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입차하는 차량의 차량번호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로컬 주차장(140)에 포함된 진입출 장치는, 촬상한 이미지로부터 번호판 영역을 추출할 수 있고, 추출된 번호판 영역에서 OCR 엔진(예: Tesseract OCR engine)을 이용하여 차량번호를 인식할 수 있다. 이는 차량번호판 인식의 기본적인 과정을 예시할 뿐이며, 영상처리 라이브러리 OpenCV를 활용한 특징점 검출, 매칭, 추적, 필터, 삼차원 투영변환 등 영상처리의 다양한 방법이 적용된 검출인식 알고리즘이 부가될 수 있다.
로컬 주차장(140)에서 획득된 차량번호는 주차장 관리 서버(110)로 전송된다.
다음으로, 공유 서비스는 주차장 관리 서버(110)가 로컬 주차장(140)으로부터 수신한 차량번호에 대응하는 사용자 장치(120)를 확인하는 단계 S303로 이어질 수 있다. 주차장 관리 서버(110)는 수신한 차량번호에 대응하는 차량에 대한 주차 관리뿐만 아니라, 차량의 사용자가 퍼스널 모빌리티를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차량의 사용자의 사용자 장치(120)를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주차장 관리 서버(110)는 주차 서비스에 가입한 가입 회원 데이터베이스(예: 도 2의 240)에서 차량번호와 대응되는 사용자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사용자 정보는 사용자 장치(120)의 식별정보(예를 들어, 전화번호, 가입 아이디, 사용자 장치(12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의 고유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로컬 주차장(140)이 입차하는 차량을 촬상하고, 촬상된 이미지를 주차장 관리 서버(110)로 전송하여, 주차장 관리 서버(110)가 촬상된 이미지를 분석하여 차량번호를 인식할 수도 있다.
그 다음으로, 주차장 관리 서버(110)는 로컬 주차장(140)의 근처에 위치한 퍼스널 모빌리티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주차장 관리 서버(110)는 퍼스널 모빌리티 관리 서버(130)로부터 주기적으로 갱신되는 퍼스널 모빌리티의 위치에 대한 정보들로부터 로컬 주차장(140)의 근처에 위치한 퍼스널 모빌리티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주차장 관리 서버(110)는 로컬 주차장(140)에 대한 새로운 주차가 확인될 때, 다시 말하면, 로컬 주차장(140)으로부터 차량번호를 수신할 대, 해당 로컬 주차장(140)의 근처에 위치한 퍼스널 모빌리티에 대한 정보를 퍼스널 모빌리티 관리 서버(130)에 요청할 수 있다. 주차장 관리 서버(110)는 상기 요청에 응답하여 퍼스널 모빌리티 관리 서버(130)로부터 수신한 정보에 기초하여 로컬 주차장(140)의 근처에 위치한 퍼스널 모빌리티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주차장 관리 서버(110)는 확인된 퍼스널 모빌리티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 장치(120)에 전송할 수 있다.
그 다음, 사용자 장치(120)는 주차장 관리 서버(110)로부터 수신한 퍼스널 모빌리티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 장치(12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으로 통하여 표시하는 단계 S307로 이어질 수 있다.
도 4a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르는 사용자 장치(120)는 실행되어 있는 어플리케이션 화면(410)에서, 로컬 주차장(140)의 위치(411)를 표시하고, 로컬 주차장(140)의 근처에 위치하는 퍼스널 모빌리티의 위치(412)를 표시할 수 있다. 퍼스널 모빌리티의 위치(412)에 대한 표시는 퍼스널 모빌리티의 운영업체를 더 표시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화면(410)은 퍼스널 모빌리티의 종류를 변경할 수 있는 아이콘(413)을 더 표시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퍼스널 모빌리티의 위치(412)는 퍼스널 모빌리티가 전동 킥보드인 경우에 해당하고, 도시되진 않았지만, 퍼스널 모빌리티를 자전거 또는 그 밖의 다른 종류로 변경할 수도 있으며, 이에 해당하는 아이콘(413)을 선택하여, 퍼스널 모빌리티의 종류를 변경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화면(410)은 퍼스널 모빌리티의 상세 정보(414)를 더 표시할 수 있다. 퍼스널 모빌리티의 상세 정보(414)는 해당 퍼스널 모빌리티의 운영업체, 고유 식별 정보, 잔여 배터리량, 요금 정보등 사용자가 퍼스널 모빌리티를 이용하는데 고려할 필요정보를 더 표시할 수 있다.
도 4b를 참조하면, 추가 실시예에 따르는 사용자 장치(120)는,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유발하는 알림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 장치(120)는 주차장 관리 서버(110)로부터 로컬 주차장(140) 근처에 위치한 퍼스널 모빌리티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사용자 장치(120)의 화면(420)에 알림 메시지(421)를 표시하게 할 수 있다. 공유 서비스는 사용자 장치(120)에서 알림 메시지(421)를 표시하게 하여 로컬 주차장(140)을 이용한 사용자로 하여금, 로컬 주차장(140) 근처의 퍼스널 모빌리티의 이용에 대한 동기를 부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알림 메시지(421)를 선택하게 되면, 사용자 장치(120)는 도 4a에 표시된 어플리케이션 화면(410)을 표시할 수 있다.
그 다음, 사용자 장치(120)가 사용자가 이용하고자 하는 퍼스널 모빌리티에 대한 식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S309로 이어질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장치(120)에 표시된 퍼스널 모빌리티의 위치(412)를 참고하여, 이용하고 싶은 퍼스널 모빌리티로 이동하여 해당 퍼스널 모빌리티를 이용하고자 할 수 있다. 사용자 장치(120)는 이용하고자 하는 퍼스널 모빌리티의 식별 정보를 획득함으로서, 사용자가 어떤 퍼스널 모빌리티를 이용하려는지 특정할 수 있다.
사용자 장치(120)가 퍼스널 모빌리티의 식별 정보를 획득하는 예로서, 사용자 장치(120)에 포함된 촬상 장치를 이용하여 퍼스널 모빌리티에 부착된 식별 정보를 나타내는 표지에 대한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 장치(120)는 식별 정보를 나타내는 표지로서, 퍼스널 모빌리티에 표시된 QR코드(510)에 대한 촬상을 가이드 하는 GUI 화면(500)을 표시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QR코드가 아닌 바코드 등과 같은 식별 정보를 나타내는 표지가 퍼스널 모빌리티에 부착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도시된 바와 달리 퍼스널 모빌리티 각각은 NFC 또는 블루투스와 같은 근거리 무선통신이 가능하게 구성되고, 사용자 장치(120)와 퍼스널 모빌리티 간의 근거리 무선통신의 수립을 통하여 사용자 장치(120)가 해당 퍼스널 모빌리티의 식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그 밖의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하다.
사용자 장치(120)는 획득한 퍼스널 모빌리티의 식별정보를 주차장 관리 서버(110)로 전송할 수 있다. 주차장 관리 서버(110)는 사용자 장치(120)로부터 획득한 퍼스널 모빌리티에 대한 정보 및, 사용자 장치(120)에 대응하는 사용자 정보를 퍼스널 모빌리티 관리 서버(130)에 전송할 수 있다.
그 다음, 퍼스널 모빌리티 관리 서버(130)는 주차장 관리 서버(110)로부터 수신한 퍼스널 모빌리티에 대한 정보 및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퍼스널 모빌리티의 대여를 허여하는 단계 S311로 이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퍼스널 모빌리티의 대여를 허여하는 것은, 퍼스널 모빌리티 관리 서버(130)가 해당 퍼스널 모빌리티와 통신하여 이용이 가능하게끔 퍼스널 모빌리티의 잠금을 해제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퍼스널 모빌리티가 스테이션 장치에 잠금되어 있는 경우에는 퍼스널 모빌리티 관리 서버(130)와 스테이션 장치가 통신하여, 이용이 가능하게끔 스테이션 장치가 퍼스널 모빌리티의 잠금을 해제하게 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그 밖의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실시예를 통하여, 본 개시에 따른 주차장 및 퍼스널 모빌리티 공유 시스템은 주차장을 이용한 사용자가 퍼스널 모빌리티를 용이하기 사용할 수 있는 사용자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로컬 주차장에 주차를 완료한 사용자는, 주차 서비스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별도의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없이 쉽게 퍼스널 모빌리티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장 및 퍼스널 모빌리티 공유 시스템은 기존의 주차장 서비스와 퍼스널 모빌리티 대여 서비스의 융합을 통해, 주차장 서비스의 운영업체에게는 주차장을 이용하는 사용자에게 다양한 사용자 경험을 제공하고 서비스 영역의 다각화 제공하며 퍼스널 모빌리티 대여 서비스의 운영업체에게는 주차장 서비스에 가입한 사용자의 흡수를 통해 실질적인 사용자 및 실사용수 증대 효과를 이룰 수 있다.
도 6a 및 도 6b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장 및 퍼스널 모빌리티 공유 시스템에서 퍼스널 모빌리티를 반납하기 위해 사용자 장치에서 표시되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도시한다.
도 6a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공유 시스템에서 퍼스널 모빌리티를 대여중인 사용자의 사용자 장치(120)는 퍼스널 모빌리티의 이용중 화면(610)을 표시할 수 있다. 이용중 화면(610)에는 현재 퍼스널 모빌리티의 위치(611) 및 사용 시간 및 퍼스널 모빌리티의 잔여 배터리량을 표시하는 상태창(612)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장치(120)는 이용중 화면(610)에 퍼스널 모빌리티의 이용을 중지하고 대여를 반납하기 위한 반납 버튼(613)을 더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 장치(120)는 반납 버튼(613)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감지하면, 퍼스널 모빌리티의 반납을 요청하는 신호를 주차장 관리 서버(110)에 송신할 수 있다. 퍼스널 모빌리티의 반납은 사용자 장치(120), 주차장 관리 서버(110) 및 퍼스널 모빌리티 관리 서버(130) 사이의 일련의 신호 교환을 통하여 이뤄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주차장 관리 서버(110)는 퍼스널 모빌리티의 이용 요금을 결정할 수 있고, 반납 요청 사실을 퍼스널 모빌리티 관리 서버(130)에 통보하여 반납을 처리하도록 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사용자 장치(120)는 반납 버튼(613)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감지하면, 퍼스널 모빌리티의 반납을 요청하는 신호를 퍼스널 모빌리티 관리 서버(130)에 송신하여 반납 절차를 진행할 수 있다. 사용자 장치(120)가 직접 퍼스널 모빌리티 관리 서버(130)에 반납 요청을 나타내는 신호를 전송하면, 퍼스널 모빌리티 관리 서버(130)는 해당 퍼스널 모빌리티의 현재 위치를 확인하고 이용요금 및 반납을 결정할 수 있다. 여기에서 퍼스널 모빌리티의 반납은 퍼스널 모빌리티의 동작을 잠그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퍼스널 모빌리티 관리 서버(130)는 결정된 이용요금에 대한 정보를 주차장 관리 서버(110)에 전송하여, 퍼스널 모빌리티의 이용 요금을 결제할 수 있게끔 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주차장 및 퍼스널 모빌리티 공유 서비스를 위한 공유 시스템은, 퍼스널 모빌리티의 이용요금 및 주차 요금을 동시에 결제하는 통합 결제 또는 각각 결제하는 개별 결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선택 또는 서비스의 기설정된 설정에 따라서, 퍼스널 모빌리티의 이용 요금이 먼저 결제되고, 주차장 이용 요금은 추후에 주차장 사용이 완료된 후 결제되는 개별 결제가 이뤄질 수 있거나, 퍼스널 모빌리티의 이용 요금 및 주차장 이용 요금이 주차장 이용이 완료된 후에 함께 결제되는 통합 결제가 이뤄질 수도 있다. 도 6b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통합 결제 혹은 개별 결제를 선택할 수 있는 결제 방법 선택 화면(620)을 표시한다. 결제 방법 선택 화면(620)은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는 통합 결제 버튼(621) 및 개별 결제 버튼(622)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장치(120)는 반납 버튼(613)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감지하면, 결제 방법 선택 화면(620)을 표시할 수 있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장 및 퍼스널 모빌리티 공유 서비스를 위한 시스템에서 주차장의 이용 요금을 결제하기 위해 수행되는 동작 과정이 설명된 흐름도이다.
먼저, 주차장의 이용 요금을 결제하기 위한 과정은, 주차장 관리 서버(110)가 로컬 주차장(140)으로부터 출차하는 차량의 차량번호를 획득하는 단계 S701에서 시작할 수 있다.
그 다음, 주차장 관리 서버(110)가 해당 차량 번호에 대응하는 사용자가 퍼스널 모빌리티를 대여한 사실이 있는지 확인하는 단계S703으로 이어질 수 있다. 사용자가 퍼스널 모빌리티를 대여한 사실이 없는 경우에는, 결제할 퍼스널 모빌리티의 이용 요금이 없기 때문에, 주차장 관리 서버(110)는 해당 차량의 주차 요금만을 결정하여 주차 요금을 결제 처리하는 단계 S705로 이어질 수 있다. 사용자가 퍼스널 모빌리티를 대여한 사실이 있는 경우에는, 해당 사용자가 통합 결제 대상인지, 또는 개별 결제 대상인지 확인하는 단계 S707로 이어질 수 있다.
해당 사용자가 통합 결제 대상인지 여부는,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설정 값에 의해 결정되거나, 사용자가 사용자 장치에 대한 입력(예를 들어, 도 6b에 표시된 결제 방법 선택 화면(620)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사용자가 통합 결제 대상이 아닌 경우, 또는 사용자가 개별 결제 대상인 경우, 사용자가 퍼스널 모빌리티의 이용을 완료하였을 때 이미 퍼스널 모빌리티의 이용 요금의 결제를 완료하였기 ‹š문에 해당 차량의 주차 요금만을 결정하여 주차 요금을 결제 처리하는 단계 S705로 이어질 수 있다.
사용자가 통합 결제 대상인 경우, 퍼스널 모빌리티의 이용 요금의 결제가 이뤄지지 않았기 때문에, 해당 차량의 주차장 이용 요금 및 퍼스널 모빌리티의 이용 요금을 합산하여 결제 요금을 결제하는 단계 S709로 이어질 수 있다.
도 8a 및 8b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유 시스템이 제공하는 주차장의 이용 요금 및 퍼스널 모빌리티의 이용 요금의 통합 결제가 처리된 경우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 화면을 도시한다.
도 8a를 참조하면, 사용자 장치(120)는 결제 처리된 이용 요금의 내역 화면(810)을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장치(120)의 사용자는 2020년 3월 9일에 '양평역 파킹클라우드'의 주차장을 이용하여 9000원이 결제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8b를 참조하여 상세 이용 내역을 확인해보자.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공유 시스템이 제공하는 통합 결제를 통해 주차장의 이용 요금 및 퍼스널 모빌리티의 이용요금을 지불한 경우, 사용자 장치(120)는 그 상세 내역 화면(820)을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개시에 따른 주차장 및 퍼스널 모빌리티 공유 시스템은 단순한 주차장과 퍼스널 모빌리티의 결합 뿐만 아니라 각 서비스의 이용 요금의 결제를 일원화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제공하고자 한다.
도 9는 본 개시의 적어도 일부 실시예에 따라, 주차장 및 퍼스널 모빌리티 공유 시스템에 포함된 엔티티(entity)에서 이용될 수 있는 예시적인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900)을 도시한다. 예시적인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900)은 예컨대, 신호 포함 매체(902)를 이용하여 제공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900)의 신호 포함 매체(902)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906), 기록 가능 매체(908) 및/또는 통신 매체(910)를 포함할 수 있다.
신호 포함 매체(902)에 포함된 명령어(instructions)(904)는, 예컨대, 도 1에 예시된, 주차장 관리 서버(110), 사용자 장치(120), 퍼스널 모빌리티 관리 서버(130), 복수의 퍼스널 모빌리티(131), 복수의 주차장(140) 및 결제 서버(150) 각각에 포함된 컴퓨팅 장치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명령어(904)는 실행되면, 컴퓨팅 장치로 하여금 주차공간 예약 및 유도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동작들을 수행하게 할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원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도 있다.
이상, 본 개시에서 청구하고자 하는 대상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본 개시에서 청구된 대상은 앞서 기술한 특정 구현예로 그 범위가 제한되지 않는다. 예컨대, 어떤 구현예에서는 장치 또는 장치의 조합 상에서 동작 가능하게 사용되는 하드웨어의 형태일 수 있으며, 다른 구현예에서는 소프트웨어 및/또는 펌웨어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또 다른 구현예에서는 신호 베어링 매체, 저장 매체와 같은 하나 이상의 물품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CD-ROM, 컴퓨터 디스크,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저장 매체는, 예컨대 컴퓨팅 시스템, 컴퓨팅 플랫폼 또는 기타 시스템과 같은 컴퓨팅 장치에 의하여 실행될 때 앞서 설명한 구현예에 따라 해당 프로세서의 실행을 야기시킬 수 있는 명령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컴퓨팅 장치는 하나 이상의 처리 유닛 또는 프로세서, 디스플레이, 키보드 및/또는 마우스와 같은 하나 이상의 입/출력 장치, 및 정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및/또는 하드 드라이브와 같은 하나 이상의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시스템을 하드웨어로 구현할 것인지 아니면 소프트웨어로 구현할 것인지는, 일반적으로 비용 대비 효율의 트레이드오프를 나타내는 설계상 선택 문제이다. 본 개시에서는 프로세스, 시스템, 기타 다른 기술들의 영향을 받을 수 있는 다양한 수단(예를 들어,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및/또는 펌웨어)이 있으며, 선호되는 수단은 프로세스 및/또는 시스템 및/또는 다른 기술이 사용되는 맥락(context)에 따라 변경될 것이다. 예를 들어, 구현자가 속도 및 정확성이 가장 중요하다고 결정한다면, 구현자는 주로 하드웨어 및/또는 펌웨어 수단을 선택할 수 있으며, 유연성이 가장 중요하다면, 구현자는 주로 소프트웨어 구현을 선택할 수 있으며; 또는, 다른 대안으로서, 구현자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및/또는 펌웨어의 어떤 결합을 선택할 수 있다.
전술한 상세한 설명에서는 블록도, 흐름도 및/또는 기타 예시를 통해 장치 및/또는 프로세스의 다양한 실시예를 설명하였다. 그러한 블록도, 흐름도, 및/또는 기타 예시는 하나 이상의 기능 및/또는 동작을 포함하게 되며, 당업자라면 블록도, 흐름도 및/또는 기타 예시 내의 각각의 기능 및/또는 동작이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에 의해 개별적으로 혹은 집합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일 실시예에서, 본 개시에 기재된 대상의 몇몇 부분은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DSP(Digital Signal Processor) 또는 다른 집적의 형태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이와 달리, 본 개시의 실시예의 일부 양상은 하나 이상의 컴퓨터 상에 실행되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컴퓨터 시스템 상에 실행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상에서 실행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 상에서 실행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 펌웨어 또는 이들의 실질적으로 임의의 조합으로써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균등하게 집적 회로에서 구현될 수도 있으며, 소프트웨어 및/또는 펌웨어를 위한 코드의 작성 및/또는 회로의 설계는 본 개시에 비추어 당업자의 기술 범위 내에 속하는 것이다. 또한, 당업자라면, 본 개시의 대상의 매커니즘들이 다양한 형태의 프로그램 제품으로 분배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며, 본 개시의 대상의 예시는 분배를 실제로 수행하는데 사용되는 신호 베어링 매체의 특정 유형과 무관하게 적용됨을 이해할 것이다.
특정 예시적 기법이 다양한 방법 및 시스템을 이용하여 여기에서 기술되고 도시되었으나, 당업자라면, 청구된 대상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기타의 수정 또는 등가물로의 치환 가능성을 이해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여기에 기술된 중심 개념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특정 상황을 청구된 대상의 교시로 적응시키도록 많은 수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청구된 대상이 개시된 특정 예시로 제한되지 않으나, 그러한 청구된 대상은 또한 첨부된 청구범위 및 그 균등의 범위 내에 들어가는 모든 구현예를 포함할 수 있음이 의도된다.
본 개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본 개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나아가, 본 개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원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개시의 범위는 전술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원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4)

  1. 주차장 및 퍼스널 모빌리티 공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복수의 로컬 주차장에 주차하는 차량을 관리하는 주차장 관리 서버; 및
    복수의 퍼스널 모빌리티에 대한 대여 및 반납을 관리하는 퍼스널 모빌리티 관리 서버
    를 포함하고,
    상기 로컬 주차장은 입차하는 차량의 이미지를 촬상하고,
    상기 주차장 관리 서버는, 상기 복수의 로컬 주차장 중 어느 하나의 로컬 주차장으로부터 해당 로컬 주차장에 입차하는 차량의 이미지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이미지로부터 확인된 차량번호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사용자 장치로서 상기 주차장 관리 서버에 연결되는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사용자 장치를 확인하고, 상기 복수의 퍼스널 모빌리티 중에서 상기 로컬 주차장의 근처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퍼스널 모빌리티에 대한 정보를 상기 사용자 장치에 전송하여 상기 사용자 장치가 상기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상기 로컬 주차장의 근처에 위치한 퍼스널 모빌리티를 표시할 수 있게 하고, 상기 사용자 장치로부터 특정 퍼스널 모빌리티의 대여를 요청하는 요청 신호 및 상기 특정 퍼스널 모빌리티의 식별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요청 신호 및 식별 정보를 상기 퍼스널 모빌리티 관리 서버로 전송하고, 그리고
    상기 퍼스널 모빌리티 관리 서버는 상기 요청 신호 및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특정 퍼스널 모빌리티에 사용을 허여하는
    주차장 및 퍼스널 모빌리티 공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장 관리 서버는 상기 로컬 주차장이 획득한 출차하는 차량의 이미지로부터 확인한 차량번호에 기초하여 상기 특정 퍼스널 모빌리티를 사용한 사용자의 상기 차량이 출차하는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상기 차량의 주차요금 및 상기 특정 퍼스널 모빌리티의 사용요금의 결제를 통합하여 처리하는
    주차장 및 퍼스널 모빌리티 공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장치는 특정 퍼스널 모빌리티의 반납을 요청하는 사용자 입력을 감지하면, 상기 퍼스널 모빌리티의 결제방식을 결정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 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하고, 상기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한 결제 방식을 포함한 반납 요청 신호를 상기 주차장 관리 서버로 전송하되,
    상기 결제방식을 결정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주차 요금과 함께 결제하는 통합 결제 방식과 주차 요금과 별도로 결제하는 개별 결제 방식을 각각 나타내는 아이콘을 표시하는
    주차장 및 퍼스널 모빌리티 공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장 관리 서버는:
    상기 반납 요청 신호에 포함된 결제 방식이 통합 결제 방식인 경우에, 상기 퍼스널 모빌리티 관리 서버에 상기 특정 퍼스널 모빌리티의 반납을 요청하는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반납 요청 신호에 포함된 결제 방식이 통합 개별 결제 방식인 경우에, 상기 특정 퍼스널 모빌리티의 이용 요금을 결제 처리하고, 상기 퍼스널 모빌리티 관리 서버에 상기 특정 퍼스널 모빌리티의 반납을 요청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주차장 및 퍼스널 모빌리티 공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장 관리 서버는 상기 로컬 주차장이 획득한 출차하는 차량의 이미지로부터 확인한 차량번호에 기초하여 상기 특정 퍼스널 모빌리티를 사용한 사용자의 상기 차량이 출차하는 것으로 확인하고,
    상기 반납 요청 신호에 포함된 결제 방식이 통합 결제 방식인 경우에, 상기 차량의 주차요금 및 상기 특정 퍼스널 모빌리티의 사용요금의 결제를 통합하여 처리하고, 상기 반납 요청 신호에 포함된 결제 방식이 개별 결제 방식인 경우에, 상기 차량의 주차요금의 결제만을 처리하는
    주차장 및 퍼스널 모빌리티 공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퍼스널 모빌리티의 식별정보는 상기 사용자 장치가 상기 퍼스널 모빌리티에 표시된 식별 정보를 촬상하여 획득된 이미지로부터 획득되거나, 상기 사용자 장치가 근접 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퍼스널 모빌리티로부터 획득되는
    주차장 및 퍼스널 모빌리티 공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7. 주차장 및 퍼스널 모빌리티 공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주차장 관리 서버에서 수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주차장 관리 서버는 복수의 로컬 주차장에 주차하는 차량을 관리하며, 상기 방법은,
    상기 복수의 로컬 주차장 중 어느 하나의 로컬 주차장으로부터 해당 로컬 주차장에 입차하는 차량의 이미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이미지로부터 확인된 차량번호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사용자 장치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장치로 하여금 상기 사용자 장치에 설치된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로컬 주차장의 근처에 위치한 퍼스널 모빌리티를 표시하도록, 상기 로컬 주차장의 근처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퍼스널 모빌리티에 대한 정보를 상기 사용자 장치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장치로부터 특정 퍼스널 모빌리티의 대여를 요청하는 요청 신호 및 상기 특정 퍼스널 모빌리티의 식별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요청 신호 및 식별 정보를, 상기 퍼스널 모빌리티에 대한 대여 및 반납을 관리하는 퍼스널 모빌리티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주차장 및 퍼스널 모빌리티 공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주차장 관리 서버에서 수행되는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로컬 주차장이 획득한 출차하는 차량의 이미지로부터 확인한 차량번호에 기초하여 상기 특정 퍼스널 모빌리티를 사용한 사용자의 상기 차량이 출차하는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상기 차량의 주차요금 및 상기 특정 퍼스널 모빌리티의 사용요금의 결제를 통합하여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주차장 및 퍼스널 모빌리티 공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주차장 관리 서버에서 수행되는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장치는, 상기 특정 퍼스널 모빌리티의 반납을 요청하는 사용자 입력을 감지하면, 상기 퍼스널 모빌리티의 결제방식을 결정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 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하고, 상기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한 결제 방식을 포함한 반납 요청 신호를 상기 주차장 관리 서버로 전송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결제방식을 결정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주차 요금과 함께 결제하는 통합 결제 방식과 주차 요금과 별도로 결제하는 개별 결제 방식을 각각 나타내는 아이콘을 표시하는
    주차장 및 퍼스널 모빌리티 공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주차장 관리 서버에서 수행되는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반납 요청 신호에 포함된 결제 방식이 통합 결제 방식인 경우에는, 상기 퍼스널 모빌리티 관리 서버에 상기 특정 퍼스널 모빌리티의 반납을 요청하는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반납 요청 신호에 포함된 결제 방식이 통합 개별 결제 방식인 경우에는, 상기 특정 퍼스널 모빌리티의 이용 요금을 결제 처리하고 상기 퍼스널 모빌리티 관리 서버에 상기 특정 퍼스널 모빌리티의 반납을 요청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주차장 및 퍼스널 모빌리티 공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주차장 관리 서버에서 수행되는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로컬 주차장이 획득한 출차하는 차량의 이미지로부터 확인한 차량번호에 기초하여 상기 특정 퍼스널 모빌리티를 사용한 사용자의 상기 차량이 출차하는 것으로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주차장 관리 서버가 상기 반납 요청 신호에 포함된 결제 방식이 통합 결제 방식인 경우에, 상기 차량의 주차요금 및 상기 특정 퍼스널 모빌리티의 사용요금의 결제를 통합하여 처리하고, 상기 반납 요청 신호에 포함된 결제 방식이 개별 결제 방식인 경우에, 상기 차량의 주차요금의 결제만을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주차장 및 퍼스널 모빌리티 공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주차장 관리 서버에서 수행되는 방법.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퍼스널 모빌리티의 식별정보는 상기 사용자 장치가 상기 퍼스널 모빌리티에 표시된 식별 정보를 촬상하여 획득된 이미지로부터 획득되거나, 상기 사용자 장치가 근접 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퍼스널 모빌리티로부터 획득되는
    주차장 및 퍼스널 모빌리티 공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주차장 관리 서버에서 수행되는 방법.
  13. 주차장 및 퍼스널 모빌리티 공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주차장 관리 서버에서 수행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한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로서, 상기 주차장 관리 서버는 복수의 로컬 주차장에 주차하는 차량을 관리하며,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상기 복수의 로컬 주차장 중 어느 하나의 로컬 주차장으로부터 해당 로컬 주차장에 입차하는 차량의 이미지를 수신하는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
    상기 수신된 이미지로부터 확인된 차량번호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사용자 장치를 확인하는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
    상기 사용자 장치로 하여금 상기 사용자 장치에 설치된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로컬 주차장의 근처에 위치한 퍼스널 모빌리티를 표시하도록, 상기 로컬 주차장의 근처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퍼스널 모빌리티에 대한 정보를 상기 사용자 장치에 전송하는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
    상기 사용자 장치로부터 특정 퍼스널 모빌리티의 대여를 요청하는 요청 신호 및 상기 특정 퍼스널 모빌리티의 식별정보를 수신하는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 및
    상기 수신된 요청 신호 및 식별 정보를, 상기 퍼스널 모빌리티에 대한 대여 및 반납을 관리하는 퍼스널 모빌리티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
    를 포함하는, 주차장 및 퍼스널 모빌리티 공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주차장 관리 서버에서 수행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한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로컬 주차장이 획득한 출차하는 차량의 이미지로부터 확인한 차량번호에 기초하여 상기 특정 퍼스널 모빌리티를 사용한 사용자의 상기 차량이 출차하는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상기 차량의 주차요금 및 상기 특정 퍼스널 모빌리티의 사용요금의 결제를 통합하여 처리하는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를 더 포함하는
    주차장 및 퍼스널 모빌리티 공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주차장 관리 서버에서 수행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한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KR1020200067439A 2020-06-04 2020-06-04 주차장 및 퍼스널 모빌리티 공유 서비스 시스템 및 이의 운용 방법 KR2021015068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7439A KR20210150689A (ko) 2020-06-04 2020-06-04 주차장 및 퍼스널 모빌리티 공유 서비스 시스템 및 이의 운용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7439A KR20210150689A (ko) 2020-06-04 2020-06-04 주차장 및 퍼스널 모빌리티 공유 서비스 시스템 및 이의 운용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0689A true KR20210150689A (ko) 2021-12-13

Family

ID=788319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7439A KR20210150689A (ko) 2020-06-04 2020-06-04 주차장 및 퍼스널 모빌리티 공유 서비스 시스템 및 이의 운용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5068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051512A1 (en) * 2020-08-11 2022-02-17 Safemark Systems, L.P. Method of and system for providing guest users with wireless access control to wireless-networked electric convenience vehicles within an environment
US11995943B2 (en) 2020-08-11 2024-05-28 ScooterBug, Inc. Methods of and systems for controlling access to networked devices provided with machine-readable codes scanned by mobile phones and computing device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0083A (ko) 2019-08-02 2019-08-28 워터베어캐피탈 주식회사 주차장 기반 마이크로모빌리티 공유 서비스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0083A (ko) 2019-08-02 2019-08-28 워터베어캐피탈 주식회사 주차장 기반 마이크로모빌리티 공유 서비스 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051512A1 (en) * 2020-08-11 2022-02-17 Safemark Systems, L.P. Method of and system for providing guest users with wireless access control to wireless-networked electric convenience vehicles within an environment
US11854336B2 (en) * 2020-08-11 2023-12-26 ScooterBug, Inc. Wireless access control network for enabling contact-less access control or wireless-networked electric convenience vehicles (ECVs) available for rental access and use in an environment, by scanning multi-level machine-readable codes displayed in the environment using web-enabled mobile phones
US11995943B2 (en) 2020-08-11 2024-05-28 ScooterBug, Inc. Methods of and systems for controlling access to networked devices provided with machine-readable codes scanned by mobile phones and computing device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54073B2 (en) On-demand rental of electric vehicles
JP5895079B1 (ja) 相乗り支援システム、携帯端末、プログラム、相乗り支援方法、および賃貸借支援システム
US9483944B2 (en) Prediction of free parking spaces in a parking area
US10970756B2 (en) Non-stop charging methods, apparatuses, and electronic devices
EP3716222A1 (en) Parking fee collection method and apparatus and electronic device
JP2016045949A (ja) 車両管理サーバ、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20150154669A1 (en) Actual time based parking management methods, systems and processor-readable media
KR20210150689A (ko) 주차장 및 퍼스널 모빌리티 공유 서비스 시스템 및 이의 운용 방법
JP2019061686A5 (ja) 駐車場管理システム
Kabir et al. An IoT based intelligent parking system for the unutilized parking area with real-time monitoring using mobile and web application
JP6401849B1 (ja) 駐車場管理システムおよびその制御方法
KR101783305B1 (ko) 주차 요금 결제 시스템 및 방법
US10043388B1 (en) Parking system
WO2017078612A1 (en) System and methods thereof for managing a parking session
CN113034707A (zh) 支付停车费的方法以及相应的计算机程序产品
KR102224777B1 (ko)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주차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Sarangi et al. IoT aware automatic smart parking system for smart city
KR102350456B1 (ko) 주차 요금 안내 장치 및 방법
KR102320495B1 (ko) 주차장 자동결제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US20150269554A1 (en) Car park time management and payment method for automobile vehicles
KR102615880B1 (ko) 스마트폰의 식별정보 기반 주차 결제 및 관제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Porle et al. Android-based Booking Application for Smart Parking System
Shufian et al. Smart Car Parking Technique for Metropolitan City
Yougesh Raj et al. Collaborative Smart Parking System
KR20190082347A (ko) 주차시설 결제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