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9417B1 - 이동식 리프트 비계 시스템 - Google Patents

이동식 리프트 비계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9417B1
KR102149417B1 KR1020200036575A KR20200036575A KR102149417B1 KR 102149417 B1 KR102149417 B1 KR 102149417B1 KR 1020200036575 A KR1020200036575 A KR 1020200036575A KR 20200036575 A KR20200036575 A KR 20200036575A KR 102149417 B1 KR102149417 B1 KR 1021494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uss
support
vertical moving
movable
sha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65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철효
Original Assignee
유림건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림건설(주) filed Critical 유림건설(주)
Priority to KR10202000365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941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94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94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24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comprising essentially special base constructions; comprising essentially special ground-engaging parts, e.g. inclined struts, whee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18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adjustable in height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24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comprising essentially special base constructions; comprising essentially special ground-engaging parts, e.g. inclined struts, wheels
    • E04G2001/242Scaffolds movable on wheels or tracks
    • E04G2001/244Scaffolds movable on wheels or tracks mechanically opera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ovable Scaffol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식 리프트 비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트러스 형태로 전후방에 한쌍으로 형성되며, 수직으로 설치되고 일측에 제 1래크기어가 형성되는 제 1지지트러스; 상기 제 1지지트러스 하면에 판상으로 제 1몸체가 형성되고, 상기 제 1몸체 바닥면 중앙에 상기 제 1몸체에 수직으로 회전축이 마련되어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는 제 1회전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1회전부와 연결되어 이동 가능한 제 1바퀴부가 마련되는 다수개의 제 1수평이동부; 트러스 형태로 상기 제 1지지트러스 하단에서 서로 다른 상기 제 1지지트러스를 수평으로 연결하는 제 1연결트러스; 상기 제 1지지트러스 일측에 상기 제 1래크기어와 대응되어 회전가능하도록 마련되는 제 1피니언기어와 상기 제 1피니언기어를 구동하는 제 1모터와 상기 제 1지지트러스 전방에 형성되며 트러스 형태로 상부에는 판상으로 발판이 형성되는 제 1-1이동트러스와 상기 제 1지지트러스 후방에 형성되며 트러스 형태로 상부에는 판상으로 발판이 형성되는 제 1-2이동트러스가 마련되는 다수개의 제 1수직이동부; 상기 제 1지지트러스 타측에 마련되며, 트러스 형태로 전후방에 한쌍으로 형성되며, 수직으로 설치되고 타측에 제 2래크기어가 형성되는 제 2지지트러스; 상기 제 2지지트러스 하면에 판상으로 제 2몸체가 형성되고, 상기 제 2몸체 바닥면 중앙에 상기 제 2몸체에 수직으로 회전축이 마련되어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는 제 2회전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2회전부와 연결되어 이동 가능한 제 2바퀴부가 마련되는 다수개의 제 2수평이동부; 트러스 형태로 상기 제 2지지트러스 하단에서 서로 다른 상기 제 2지지트러스를 수평으로 연결하는 제 2연결트러스; 상기 제 2지지트러스 타측에 상기 제 2래크기어와 대응되어 회전가능하도록 마련되는 제 2피니언기어와 상기 제 2피니언기어를 구동하는 제 2모터와 상기 제 2지지트러스 전방에 형성되며 트러스 형태로 상부에는 판상으로 발판이 형성되는 제 2-1이동트러스와 상기 제 2지지트러스 후방에 형성되며 트러스 형태로 상부에는 판상으로 발판이 형성되는 제 2-2이동트러스가 마련되는 다수개의 제 2수직이동부; 상기 제 1수직이동부 상면에서 서로 다른 상기 제 1수직이동부를 수평으로 연결하며, 트러스 형태로 상부에는 판상으로 발판이 형성되는 제 1연결트러스판; 상기 제 2수직이동부 상면에서 서로 다른 상기 제 2수직이동부를 수평으로 연결하며, 트러스 형태로 상부에는 판상으로 발판이 형성되는 제 2연결트러스판; 상기 제 1수직이동부와 상기 제 2수직이동부 사이에 다수개로 마련되며, 상기 제 1수직이동부와 상기 제 2수직이동부 상면에 수평으로 연결되고 트러스 형태로 상부에는 판상으로 발판이 형성되는 제 3연결트러스판; 상기 제 3연결트러스판 상면에서 서로 다른 상기 제 3연결트러스판을 수평으로 연결하는 보강대; 상기 보강대 상부에서 서로 다른 상기 제 3연결트러스판을 수평으로 연결하는 발판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이동식 리프트 비계 시스템{Moving Lift Scaffold System}
본 발명은 이동식 리프트 비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조립 및 해체의 작업이 간단한 이동식 리프트 비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비계는 고소에 임시로 설치된 작업상면 및 그것을 지지하는 구조물이다. 건축공사 때에 높은 곳에서 일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재료운반이나 작업원의 통로 및 작업을 위한 발판이 된다. 특히, 공중 비계 작업은 작업의 특성상 고소 작업인 관계로 설치 및 해체시 상당한 위함 부담이 발생하여 작업시 주의가 필요하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차량 이동이 많은 교량 하부 보수보강 작업시 기존에는 차량 통제 후 장비 및 많은 인력을 동원해 비계를 설치하고 해체작업을 함으로써 작업시간 및 경제적 측면에서 상당한 비용 및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교량에서 도로폭이 상이하여 이동 및 재설치에도 작업시간 및 경제적 측면에서 상당한 비용 및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특허 10-0725223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현장 상황에 따라 확장 및 축소가 용이하여 시공성 및 경제성을 확보한 이동식 리프트 비계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인 이동식 리프트 비계 시스템은 트러스 형태로 전후방에 한쌍으로 형성되며, 수직으로 설치되고 일측에 제 1래크기어가 형성되는 제 1지지트러스; 상기 제 1지지트러스 하면에 판상으로 제 1몸체가 형성되고, 상기 제 1몸체 바닥면 중앙에 상기 제 1몸체에 수직으로 회전축이 마련되어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는 제 1회전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1회전부와 연결되어 이동 가능한 제 1바퀴부가 마련되는 다수개의 제 1수평이동부; 트러스 형태로 상기 제 1지지트러스 하단에서 서로 다른 상기 제 1지지트러스를 수평으로 연결하는 제 1연결트러스; 상기 제 1지지트러스 일측에 상기 제 1래크기어와 대응되어 회전가능하도록 마련되는 제 1피니언기어와 상기 제 1피니언기어를 구동하는 제 1모터와 상기 제 1지지트러스 전방에 형성되며 트러스 형태로 상부에는 판상으로 발판이 형성되는 제 1-1이동트러스와 상기 제 1지지트러스 후방에 형성되며 트러스 형태로 상부에는 판상으로 발판이 형성되는 제 1-2이동트러스가 마련되는 다수개의 제 1수직이동부; 상기 제 1지지트러스 타측에 마련되며, 트러스 형태로 전후방에 한쌍으로 형성되며, 수직으로 설치되고 타측에 제 2래크기어가 형성되는 제 2지지트러스; 상기 제 2지지트러스 하면에 판상으로 제 2몸체가 형성되고, 상기 제 2몸체 바닥면 중앙에 상기 제 2몸체에 수직으로 회전축이 마련되어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는 제 2회전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2회전부와 연결되어 이동 가능한 제 2바퀴부가 마련되는 다수개의 제 2수평이동부; 트러스 형태로 상기 제 2지지트러스 하단에서 서로 다른 상기 제 2지지트러스를 수평으로 연결하는 제 2연결트러스; 상기 제 2지지트러스 타측에 상기 제 2래크기어와 대응되어 회전가능하도록 마련되는 제 2피니언기어와 상기 제 2피니언기어를 구동하는 제 2모터와 상기 제 2지지트러스 전방에 형성되며 트러스 형태로 상부에는 판상으로 발판이 형성되는 제 2-1이동트러스와 상기 제 2지지트러스 후방에 형성되며 트러스 형태로 상부에는 판상으로 발판이 형성되는 제 2-2이동트러스가 마련되는 다수개의 제 2수직이동부; 상기 제 1수직이동부 상면에서 서로 다른 상기 제 1수직이동부를 수평으로 연결하며, 트러스 형태로 상부에는 판상으로 발판이 형성되는 제 1연결트러스판; 상기 제 2수직이동부 상면에서 서로 다른 상기 제 2수직이동부를 수평으로 연결하며, 트러스 형태로 상부에는 판상으로 발판이 형성되는 제 2연결트러스판; 상기 제 1수직이동부와 상기 제 2수직이동부 사이에 다수개로 마련되며, 상기 제 1수직이동부와 상기 제 2수직이동부 상면에 수평으로 연결되고 트러스 형태로 상부에는 판상으로 발판이 형성되는 제 3연결트러스판; 상기 제 3연결트러스판 상면에서 서로 다른 상기 제 3연결트러스판을 수평으로 연결하는 보강대; 상기 보강대 상부에서 서로 다른 상기 제 3연결트러스판을 수평으로 연결하는 발판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수직이동부에는 상기 제 1-1이동트러스 후방에 고정되고 상기 제 1-2이동트러스 전방에 고정되어 다수개로 마련되는 제 1롤러가 더 마련되며, 상기 제 2수직이동부에는 상기 제 2-1이동트러스에 후방에 고정되고 상기 제 2-2이동트러스 전방에 고정되어 다수개로 마련되는 제 2롤러가 더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수직이동부에는 상기 제 1지지트러스 외면을 감싸도록 형성되며, 전방은 상기 제 1-1이동트러스 후방에 연결되고 후방은 상기 제 1-2이동트러스 전방에 연결되는 제 1지지부; 상기 제 1지지부 전후방에 한쌍으로 마련되어 슬라이딩되는 제 1-1레일부; 상기 제 1-1이동트러스 후방과 상기 제 1-2이동트러스 전방에 상기 제 1-1레일부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련되는 다수개의 제 1-2레일부;가 더 마련되며, 상기 제 2수직이동부는 상기 제 1지지트러스 외면을 감싸도록 형성되며, 전방은 상기 제 2-1이동트러스 후방에 연결되고 후방은 상기 제 2-2이동트러스 전방에 연결되는 제 2지지부; 상기 제 2지지부 전후방에 한쌍으로 마련되어 슬라이딩되는 제 2-1레일부; 상기 제 2-1이동트러스 후방과 상기 제 2-2이동트러스 전방에 상기 제 2-1레일부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련되는 다수개의 제 2-2레일부;가 더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롤러, 상기 제 1지지부, 상기 제 1-1레일부, 상기 제 1-2레일부는 상기 제 1수직이동부 상하방에 한쌍으로 마련되며, 상기 제 2롤러, 상기 제 2지지부, 상기 제 2-1레일부, 상기 제 2-2레일부는 상기 제 2수직이동부 상하방에 한쌍으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지지트러스와 상기 제 2지지트러스 상부에는 트러스 형태로 하방에 센서부가 형성되는 캡트러스; 상기 센서부가 상기 제 1수직이동부 및 상기 제 2수직이동부를 인식하면 상기 제 1모터 및 상기 제 2모터를 정지시키는 제어부;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이동식 리프트 비계 시스템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현장 상황에 따라 확장과 축소가 용이하여 현장 상황에 즉시 대처 가능하다.
교량 하부로 차량이 통행 중인 도로구조에서는 설치 및 해체 작업시 낙하 및 안정성에 많은 문제가 있었으나, 본 발명은 지상에서 장착하여 상, 하향시켜 설치하므로 안전성이 우수하며, 작업효율성이 우수하다.
또한, 태풍 등과 같은 기후 변화에도 신속히 대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이동식 리프트 비계 시스템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이동식 리프트 비계 시스템에서 제 1수평이동부와 제 2수평이동부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이동식 리프트 비계 시스템의 일부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이동식 리프트 비계 시스템의 일부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이동식 리프트 비계 시스템에서 제 1지지트러스와 제 2지지트러스의 슬라이딩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이동식 리프트 비계 시스템에서 제 1지지트러스와 제 2지지트러스의 슬라이딩하고난 후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이동식 리프트 비계 시스템에서 레일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이동식 리프트 비계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의한 이동식 리프트 비계 시스템은 트러스 형태로 전후방에 한쌍으로 형성되며, 수직으로 설치되고 일측에 제 1래크기어(11)가 형성되는 제 1지지트러스(100), 상기 제 1지지트러스(100) 하면에 판상으로 제 1몸체(21)가 형성되고, 상기 제 1몸체(21) 바닥면 중앙에 상기 제 1몸체(21)에 수직으로 회전축이 마련되어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는 제 1회전부(22)가 형성되고, 상기 제 1회전부(22)와 연결되어 이동 가능한 제 1바퀴부(23)가 마련되는 다수개의 제 1수평이동부(20), 트러스 형태로 상기 제 1지지트러스(100) 하단에서 서로 다른 상기 제 1지지트러스(100)를 수평으로 연결하는 제 1연결트러스(30), 상기 제 1지지트러스(100) 일측에 상기 제 1래크기어(11)와 대응되어 회전가능하도록 마련되는 제 1피니언기어(41)와 상기 제 1피니언기어(41)를 구동하는 제 1모터(42)와 상기 제 1지지트러스(100) 전방에 형성되며 트러스 형태로 상부에는 판상으로 발판이 형성되는 제 1-1이동트러스(43)와 상기 제 1지지트러스(100) 후방에 형성되며 트러스 형태로 상부에는 판상으로 발판이 형성되는 제 1-2이동트러스(44)가 마련되는 다수개의 제 1수직이동부(40), 상기 제 1지지트러스(100) 타측에 마련되며, 트러스 형태로 전후방에 한쌍으로 형성되며, 수직으로 설치되고 타측에 제 2래크기어(51)가 형성되는 제 2지지트러스(50), 상기 제 2지지트러스(50) 하면에 판상으로 제 2몸체(61)가 형성되고, 상기 제 2몸체(61) 바닥면 중앙에 상기 제 2몸체(61)에 수직으로 회전축이 마련되어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는 제 2회전부(62)가 형성되고, 상기 제 2회전부(62)와 연결되어 이동 가능한 제 2바퀴부(63)가 마련되는 다수개의 제 2수평이동부(60), 트러스 형태로 상기 제 2지지트러스(50) 하단에서 서로 다른 상기 제 2지지트러스(50)를 수평으로 연결하는 제 2연결트러스(70), 상기 제 2지지트러스(50) 타측에 상기 제 2래크기어(51)와 대응되어 회전가능하도록 마련되는 제 2피니언기어(81)와 상기 제 2피니언기어(81)를 구동하는 제 2모터(82)와 상기 제 2지지트러스(50) 전방에 형성되며 트러스 형태로 상부에는 판상으로 발판이 형성되는 제 2-1이동트러스(83)와 상기 제 2지지트러스(50) 후방에 형성되며 트러스 형태로 상부에는 판상으로 발판이 형성되는 제 2-2이동트러스(84)가 마련되는 다수개의 제 2수직이동부(80), 상기 제 1수직이동부(40) 상면에서 서로 다른 상기 제 1수직이동부(40)를 수평으로 연결하며, 트러스 형태로 상부에는 판상으로 발판이 형성되는 제 1연결트러스판(90), 상기 제 2수직이동부(80) 상면에서 서로 다른 상기 제 2수직이동부(80)를 수평으로 연결하며, 트러스 형태로 상부에는 판상으로 발판이 형성되는 제 2연결트러스판(100), 상기 제 1수직이동부(40)와 상기 제 2수직이동부(80) 사이에 다수개로 마련되며, 상기 제 1수직이동부(40)와 상기 제 2수직이동부(80) 상면에 수평으로 연결되고 트러스 형태로 상부에는 판상으로 발판이 형성되는 제 3연결트러스판(110), 상기 제 3연결트러스판(110) 상면에서 서로 다른 상기 제 3연결트러스판(110)을 수평으로 연결하는 보강대(120), 상기 보강대(120) 상부에서 서로 다른 상기 제 3연결트러스판(110)을 수평으로 연결하는 발판부(130)로 구성된다.
먼저, 본 발명인 이동식 리프트 비계 시스템에서는 제 1지지트러스(100)가 마련된다. 제 1지지트러스(100)는 트러스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제 1지지트러스(100)는 전후방에 한쌍으로 형성되며 수직으로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로의 길이 방향으로 한쌍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지지트러스(100) 일측에는 제 1래크기어(11)가 형성된다.
상기 제 1지지트러스(100) 하방에는 제 1수평이동부(20)가 다수개로 마련된다. 상기 제 1수평이동부(20)는 상기 제 1지지트러스(100)를 원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상기 제 1수평이동부(20)에는 제 1몸체(21)가 마련된다. 상기 제 1몸체(21)는 판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 1지지트러스(100) 하단에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제 1몸체(21) 바닥면 중앙에는 제 1회전부(22)가 형성된다. 상기 제 1회전부(22)는 상기 제 1몸체(21)에 수직으로 회전축이 마련되며,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제 1몸체(21)에 대해서 회전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제 1회전부(22)는 베어링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제 1회전부(22)를 회전시키기 위해서 모터를 사용할 수 있으며, 손잡이 등이 마련되어 수동으로 조작할 수도 있다.
상기 제 1회전부(22)와 연결되어 제 1바퀴부(23)가 마련된다. 이동하고자 하는 방향으로 상기 제 1회전부(22)를 회전시킨 다음 상기 제 1바퀴부(23)를 움직여 상기 제 1지지트러스(100)를 원하는 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제 1지지트러스(100) 하단에는 제 1연결트러스(30)가 마련된다. 상기 제 1연결트러스(30)는 상기 제 1지지트러스(100) 하단에서 서로 다른 상기 제 1지지트러스(100)를 수평으로 연결한다. 구체적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로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연결트러스(30)는 트러스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 1지지트러스(100)를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제 1지지트러스(100)와 연결되어 제 1수직이동부(40)가 다수개로 마련된다. 상기 제 1수직이동부(40)는 상기 제 1지지트러스(100)를 따라 상하로 이동가능하다.
상기 제 1수직이동부(40)에는 상기 제 1지지트러스(100) 일측에 상기 제 1래크기어(11)와 대응되어 회전가능하도록 제 1피니언기어(41)가 마련된다. 상기 제 1피니언기어(41)가 회전하면 상기 제 1수직이동부(40)가 상기 제 1레크기어를 따라 상하로 이동한다.
상기 제 1피니언기어(41)를 구동시키는 제 1모터(42)가 마련된다. 상기 제 1모터(42)는 상기 제 1피니언기어(41)가 회전할 수 있도록 동력을 전달한다.
상기 제 1지지트러스(100) 전방에는 상기 제 1모터(42)와 연결되어 제 1-1이동트러스(43)가 마련된다. 상기 제 1-1이동트러스(43)는 트러스 형태로 상부에는 발판이 형성된다. 상기 제 1-1이동트러스(43) 상부에서는 작업자들이 이동하고 각종 작업을 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상기 제 1지지트러스(100) 후방에는 상기 제 1모터(42)와 연결되어 제 1-2이동트러스(44)가 마련된다. 상기 제 1-2이동트러스(44)는 트러스 형태로 상부에는 발판이 형성된다. 상기 제 1-2이동트러스(44) 상부에서는 작업자들이 이동하고 각종 작업을 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상기 제 1수직이동부(40)에는 다수개의 제 1롤러(45)가 더 마련된다. 상기 제 1롤러(45)는 상기 제 1지지트러스(100)와 상기 제 1-1이동트러스(43) 사이에 마련되며, 상기 제 1지지트러스(100)와 상기 제 1-2이동트러스(44) 사이에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 1롤러(45)는 상기 제 1-1이동트러스(43) 후방에 고정되고, 상기 제 1-2이동트러스(44) 전방에 고정되어 마련된다. 상기 제 1-1이동트러스(43)와 상기 제 1-2이동트러스(44)가 상기 제 1롤러(45)에 의해 상기 제 1지지트러스(100) 전면과 후면을 견고하게 지지하며 이동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롤러(45)는 상기 제 1-1이동트러스(43)와 상기 제 1-2이동트러스(44) 상하방에 한쌍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수직이동부(40)에는 제 1지지부(46)가 더 마련된다. 상기 제 1지지부(46)는 상기 제 1지지트러스(100)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상기 제 1지지트러스(100) 외면을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지지부(46)는 사각 기둥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제 1지지부(46) 전방은 상기 제 1-1이동트러스(43) 후방에 연결되며, 상기 제 1지지부(46) 후방은 상기 제 1-2이동트러스(44) 전방에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제 1지지부(46)는 상하방에 한쌍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 1-1이동트러스(43)와 상기 제 1-2이동트러스(44)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 1수직이동부(40)에는 제 1-1레일부(47)가 더 마련된다. 상기 제 1-1레일부(47)는 상기 제 1지지부(46) 전후방에 한쌍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 1-1레일부(47)는 하기에서 설명될 제 1-2레일부(48)를 따라 슬라이딩되며, 도로 폭방향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 1-1레일부(47)는 서로 다른 상기 제 1지지부(46) 상하방에 한쌍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수직이동부(40)에는 제 1-2레일부(48)가 더 마련된다. 상기 제 1-2레일부(48)는 상기 제 1-1이동트러스(43) 후방과 상기 제 1-2이동트러스(44) 전방에 마련되며, 상기 제 1-2레일부(48)는 상기 제 1-1레일부(47)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 1-2레일부(48)는 상하방에 한쌍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 1-1이동트러스(43)와 상기 제 1-2이동트러스(44)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 1수평이동부(20)가 일측 또는 타측으로 이동되면 상기 제 1-1레일부(47)가 상기 제 1-2레일부(48)를 따라 슬라이딩되며 상기 제 1지지트러스(100)가 도로 폭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제 1지지부(46)는 상기 제 1-1레일부(47)가 상기 제 1-2레일부(48)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제 1지지트러스(100) 타측에는 제 2지지트러스(50)가 마련된다. 제 2지지트러스(50)는 트러스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제 2지지트러스(50)는 전후방에 한쌍으로 형성되며 수직으로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로의 길이 방향으로 한쌍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지지트러스(50) 타측에는 제 2래크기어(51)가 형성된다.
상기 제 2지지트러스(50) 하방에는 제 2수평이동부(60)가 다수개로 마련된다. 상기 제 2수평이동부(60)는 상기 제 2지지트러스(50)를 원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상기 제 2수평이동부(60)에는 제 2몸체(61)가 마련된다. 상기 제 2몸체(61)는 판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 2지지트러스(50) 하단에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제 2몸체(61) 바닥면 중앙에는 제 2회전부(62)가 형성된다. 상기 제 2회전부(62)는 상기 제 2몸체(61)에 수직으로 회전축이 마련되며,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제 2몸체(61)에 대해서 회전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제 2회전부(62)는 베어링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제 2회전부(62)를 회전시키기 위해서 모터를 사용할 수 있으며, 손잡이 등이 마련되어 수동으로 조작할 수도 있다.
상기 제 2회전부(62)와 연결되어 제 2바퀴부(63)가 마련된다. 이동하고자 하는 방향으로 상기 제 2회전부(62)를 회전시킨 다음 상기 제 2바퀴부(63)를 움직여 상기 제 2지지트러스(50)를 원하는 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제 2지지트러스(50) 하단에는 제 2연결트러스(70)가 마련된다. 상기 제 2연결트러스(70)는 상기 제 2지지트러스(50) 하단에서 서로 다른 상기 제 2지지트러스(50)를 수평으로 연결한다. 구체적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로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연결트러스(70)는 트러스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 2지지트러스(50)를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제 2지지트러스(50)와 연결되어 제 2수직이동부(80)가 다수개로 마련된다. 상기 제 2수직이동부(80)는 상기 제 2지지트러스(50)를 따라 상하로 이동가능하다.
상기 제 2수직이동부(80)에는 상기 제 2지지트러스(50) 타측에 상기 제 2래크기어(51)와 대응되어 회전가능하도록 제 2피니언기어(81)가 마련된다. 상기 제 2피니언기어(81)가 회전하면 상기 제 2수직이동부(80)가 상기 제 2레크기어를 따라 상하로 이동한다.
상기 제 2피니언기어(81)를 구동시키는 제 2모터(82)가 마련된다. 상기 제 2모터(82)는 상기 제 2피니언기어(81)가 회전할 수 있도록 동력을 전달한다.
상기 제 2지지트러스(50) 전방에는 상기 제 2모터(82)와 연결되어 제 2-1이동트러스(83)가 마련된다. 상기 제 2-1이동트러스(83)는 트러스 형태로 상부에는 발판이 형성된다. 상기 제 2-1이동트러스(83) 상부에서는 작업자들이 이동하고 각종 작업을 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상기 제 2지지트러스(50) 후방에는 상기 제 2모터(82)와 연결되어 제 2-2이동트러스(84)가 마련된다. 상기 제 2-2이동트러스(84)는 트러스 형태로 상부에는 발판이 형성된다. 상기 제 2-2이동트러스(84) 상부에서는 작업자들이 이동하고 각종 작업을 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상기 제 2수직이동부(80)에는 다수개의 제 2롤러(85)가 더 마련된다. 상기 제 2롤러(85)는 상기 제 2지지트러스(50)와 상기 제 2-1이동트러스(83) 사이에 마련되며, 상기 제 2지지트러스(50)와 상기 제 2-2이동트러스(84) 사이에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 2롤러(85)는 상기 제 2-1이동트러스(83) 후방에 고정되고, 상기 제 2-2이동트러스(84) 전방에 고정되어 마련된다. 상기 제 2-1이동트러스(83)와 상기 제 2-2이동트러스(84)가 상기 제 2롤러(85)에 의해 상기 제 2지지트러스(50) 전면과 후면을 지지하며 이동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 2롤러(85)는 상기 제 2-1이동트러스(83) 및 상기 제 2-2이동트러스(84) 상하방에 한쌍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수직이동부(80)에는 제 2지지부(86)가 더 마련된다. 상기 제 2지지부(86)는 상기 제 2지지트러스(50)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상기 제 2지지트러스(50) 외면을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지지부(86)는 사각 기둥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제 2지지부(86) 전방은 상기 제 2-1이동트러스(83) 후방에 연결되며, 상기 제 2지지부(86) 후방은 상기 제 2-2이동트러스(84) 전방에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제 2지지부(86)는 상하방에 한쌍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 2-1이동트러스(83)와 상기 제 2-2이동트러스(84)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 2수직이동부(80)에는 제 2-1레일부(87)가 더 마련된다. 상기 제 2-1레일부(87)는 상기 제 2지지부(86) 전후방에 한쌍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 2-1레일부(87)는 하기에서 설명될 제 2-2레일부(88)를 따라 슬라이딩되며, 도로 폭 방향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 2-1레일부(87)는 서로 다른 상기 제 2지지부(86) 상하방에 한쌍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수직이동부(80)에는 제 2-2레일부(88)가 더 마련된다. 상기 제 2-2레일부(88)는 상기 제 2-1이동트러스(83) 후방과 상기 제 2-2이동트러스(84) 전방에 마련되며, 상기 제 2-2레일부(88)는 상기 제 2-1레일부(87)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 2-2레일부(88)는 상하방에 한쌍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 2-1이동트러스(83)와 상기 제 2-2이동트러스(84)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 2수평이동부(60)가 일측 또는 타측으로 이동되면 상기 제 2-1레일부(87)가 상기 제 2-2레일부(88)와 슬라이딩되며 상기 제 2지지트러스(50)가 도로 폭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제 2지지부(86)는 상기 제 2-1레일부(87)가 제 2-2레일부(88)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제 1수직이동부(40) 상면에서 서로 다른 상기 제 1수직이동부(40)를 수평으로 연결하는 제 1연결트러스판(90)이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로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연결트러스판(90)은 상기 제 1-2이동트러스(44) 후방과 서로 다른 상기 제 1-1이동트러스(43) 전방을 연결한다. 상기 제 1연결트러스판(90)은 트러스 형태로 상부에는 판상으로 발판이 형성된다. 상기 제 1연결트러스판(90) 상부에서는 작업자들이 이동하고 각종 작업을 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상기 제 2수직이동부(80) 상면에서 서로 다른 상기 제 2수직이동부(80)를 수평으로 연결하는 제 2연결트러스판(100)이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로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연결트러스판(100)은 상기 제 2-2이동트러스(84) 후방과 서로 다른 상기 제 2-1이동트러스(83) 전방을 연결한다. 상기 제 2연결트러스판(100)은 트러스 형태로 상부에는 판상으로 발판이 형성된다, 상기 제 2연결트러스판(100) 상부에서는 작업자들이 이동하고 각종 작업을 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상기 제 1수직이동부(40)와 상기 제 2수직이동부(80) 사이에 다수개로 제 3연결트러스판(110)이 마련된다. 상기 제 3연결트러스판(110)은 상기 제 1수직이동부(40)와 상기 제 2수직이동부(80) 상면에 수평으로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로의 폭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도로의 폭에 맞춰서 다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3연결트러스판(110)은 상기 제 1-1이동트러스(43) 및 상기 제 1-2이동트러스(44) 타단과 상기 제 2-1이동트러스(83) 및 상기 제 2-2이동트러스(84) 일단을 연결한다. 상기 제 3연결트러스판(110)은 트러스 형태로 상부에는 판상으로 발판이 형성된다. 상기 제 3연결트러스판(110) 상부에서는 작업자들이 이동하고 각종 작업을 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상기 제 3연결트러스판(110) 상면에서 서로 다른 상기 제 3연결트러스판(110)을 연결하는 대수개의 보강대(120)가 마련된다. 상기 보강대(120)는 상기 제 3연결트러스판(110) 후방과 서로 다른 상기 제 3연결트러스판(110) 전방을 연결한다. 상기 보강대(120)는 서로 다른 상기 제 3연결트러스판(110)을 수평으로 연결한다. 상기 보강대(120)는 상기 제 3연결트러스를 견고하게 연결하며, 하기에서 설명하는 발판부(13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보강대(120) 상부에서 서로 다른 상기 제 3연결트러스판(110)을 연결하는 다수개의 발판부(130)가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로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발판부(130)는 판상으로 형성되며, 서로 다른 상기 제 3연결트러스판(110)을 수평으로 연결한다. 상기 발판부(130) 상부에서는 작업자들이 이동하고 각종 작업을 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상기 제 1지지트러스(100)와 상기 제 2지지트러스(50) 상부에는 다수개의 캡트러스(140)가 더 마련된다. 상기 캡트러스(140)는 트러스 형태로 상면은 판상으로 커버가 형성되어 상기 제 1수직이동부(40)나 상기 제 2수직이동부(80)가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캡트러스(140) 하방에는 센서부(141)가 마련되어, 상기 제 1수직이동부(40)와 상기 제 2수직이동부(80)의 움직임을 인식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150)가 더 마련된다.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센서부(141)가 상기 제 1수직이동부(40) 및 상기 제 2수직이동부(80)를 인식하면 상기 제 1모터(42) 및 상기 제 2모터(82)를 정지시킨다. 이에 따라 상기 제 1수직이동부(40) 및 상기 제 2수직이동부(8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이동식 리프트 비계 시스템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한쌍의 제 1수평이동부(20)를 원하는 위치에 위치키시고, 전도를 방지하기 위해 아웃트리거로 상기 제 1수평이동부(20)를 고정시킨다. 그리고 상기 제 1몸체(21) 상부에 상기 제 1지지트러스(100)를 각각 설치한다. 상기 제 1지지트러스(100) 일측에 상기 제 1수직이동부(40)를 설치한다. 여기서, 상기 제 1지지트러스(100) 상방에는 캡트러스(140)를 설치한다. 서로 다른 상기 제 1수직이동부(40) 사이에는 제 1연결트러스판(90)을 설치한다.
한쌍의 제 2수평이동부(60)를 상기 제 1수평이동부(20)와 대응되는 위치에 위치시키고, 전도를 방지하기 위해 아웃트리거로 상기 제 2수평이동부(60)를 고정시킨다. 그리고 상기 제 2몸체(61) 상부에 상기 제 2지지트러스(50)를 각각 설치한다. 상기 제 2지지트러스(50) 타측에 상기 제 2수직이동부(80)를 설치한다. 여기서, 상기 제 2지지트러스(50) 상방에는 캡트러스(140)를 설치한다. 서로 다른 상기 제 2수직이동부(80) 사이에는 제 2연결트러스판(100)을 설치한다.
상기 제 1수직이동부(40)와 상기 제 2수직이동부(80) 사이에는 도로의 폭에 맞춰 상기 제 3연결트러스판(110)을 반복하여 설치하고, 서로 다른 제 3연결트러스판(110) 사이에는 상기 보강대(120)와 상기 발판부(130)를 반복하여 설치한다.
또한, 상기 제 1수직이동부(40), 상기 제 2수직이동부(80), 상기 제 1 연결트러스판, 상기 제 2연결트러스판(100)의 외주면에는 난간을 설치한다.
상기 제 1모터(42) 및 상기 제 2모터(82)를 동작시켜 상기 제 1래크기어(11)를 따라 상기 제 1수직이동부(40)가 상방으로 이동하고, 상기 제 2래크기어(51)를 따라 상기 제 2수직이동부(80)가 상방으로 이동한다. 여기서, 상기 제 1지지트러스(100) 전후방을 상기 제 1롤러(45)가 지지하고 상기 제 2지지트러스(50) 전후방을 상기 제 2롤러(85)가 지지하여 안정감있게 상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상기 제 2연결트러스판(100), 상기 제 3연결트러스판(110), 보강대(120) 및 발판부(130)도 상방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서로 다른 상기 제 1지지트러스(100) 사이에 제 1연결트러스(30)를 설치하고, 상기 제 2지지트러스(50) 사이에 상기 제 2연결트러스(70)를 설치한다.
도로의 폭이 좁아지는 경우, 상기 제 1수평이동부(20)를 도로 폭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제 1수평이동부(20)를 타측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제 1지지부(46)가 타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제 1-1레일부(47)가 상기 제 1-2레일부(48)에서 타측으로 슬라이딩되면서 상기 제 1지지트러스(100)도 타측으로 이동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제 2수평이동부(60)를 도로 폭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제 2수평이동부(60)를 일측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제 2지지부(86)가 일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제 2-1레일부(87)가 상기 제 2-2레일부(88)에서 일측으로 슬라이딩되면서 상기 제 2지지트러스(50)도 일측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도록의 폭이 넓어지는 경우에는 상기 제 1수평이동부(20)를 일측으로 이동시키며 상기 제 1-1레일부(47)가 상기 제 1-2레일부(48)에서 일측으로 슬라이딩되면서 상기 제 1지지트러스(100)도 일측으로 이동한다. 또한, 상기 제 2수평이동부(60)를 타측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제 2-1레일부(87)가 상기 제 2-2레일부(88)에서 타측으로 슬라이딩되면서 상기 제 2지지트러스(50)도 타측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본 발명인 이동식 리프트 비계 시스템을 이동시켜야하는 경우, 상기 제 1회전부(22)를 원하는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상기 제 2회전부(62)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시킨 다음 상기 제 1바퀴부(23)와 상기 제 2바퀴부(63)를 움직여 이동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나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제 1지지트러스 11 : 제 1래크기어
20 : 제 1수평이동부 21 : 제 1몸체
22 : 제 1회전부 23 : 제 1바퀴부
30 : 제 1연결트러스 40 : 제 1수직이동부
41 : 제 1피니언기어 42 : 제 1모터
43 : 제 1-1이동트러스 44 : 제 1-2이동트러스
45 : 제 1롤러 46 : 제 1지지부
47 : 제 1-1레일부 48 : 제 1-2레일부
50 : 제 2지지트러스 51 : 제 2래크기어
60 : 제 2수평이동부 61 : 제 2몸체
62 : 제 2회전부 63 : 제 2바퀴부
70 : 제 2연결트러스 80 : 제 2수직이동부
81 : 제 2피니언기어 82 : 제 2모터
83 : 제 2-1이동트러스 84 : 제 2-2이동트러스
85 : 제 2롤러 86 : 제 2지지부
87 : 제 2-1레일부 88 : 제 2-2레일부
90 : 제 1연결트러스판 100 : 제 2연결트러스판
110 : 제 3연결트러스판 120 : 보강대
130 : 발판부 140 : 캡트러스
141 : 센서부 150 : 제어부

Claims (5)

  1. 트러스 형태로 전후방에 한쌍으로 형성되며, 수직으로 설치되고 일측에 제 1래크기어가 형성되는 제 1지지트러스;
    상기 제 1지지트러스 하면에 판상으로 제 1몸체가 형성되고, 상기 제 1몸체 바닥면 중앙에 상기 제 1몸체에 수직으로 회전축이 마련되어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는 제 1회전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1회전부와 연결되어 이동 가능한 제 1바퀴부가 마련되는 다수개의 제 1수평이동부;
    트러스 형태로 상기 제 1지지트러스 하단에서 서로 다른 상기 제 1지지트러스를 수평으로 연결하는 제 1연결트러스;
    상기 제 1지지트러스 일측에 상기 제 1래크기어와 대응되어 회전가능하도록 마련되는 제 1피니언기어와 상기 제 1피니언기어를 구동하는 제 1모터와 상기 제 1지지트러스 전방에 형성되며 트러스 형태로 상부에는 판상으로 발판이 형성되는 제 1-1이동트러스와 상기 제 1지지트러스 후방에 형성되며 트러스 형태로 상부에는 판상으로 발판이 형성되는 제 1-2이동트러스가 마련되는 다수개의 제 1수직이동부;
    상기 제 1지지트러스 타측에 마련되며, 트러스 형태로 전후방에 한쌍으로 형성되며, 수직으로 설치되고 타측에 제 2래크기어가 형성되는 제 2지지트러스;
    상기 제 2지지트러스 하면에 판상으로 제 2몸체가 형성되고, 상기 제 2몸체 바닥면 중앙에 상기 제 2몸체에 수직으로 회전축이 마련되어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는 제 2회전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2회전부와 연결되어 이동 가능한 제 2바퀴부가 마련되는 다수개의 제 2수평이동부;
    트러스 형태로 상기 제 2지지트러스 하단에서 서로 다른 상기 제 2지지트러스를 수평으로 연결하는 제 2연결트러스;
    상기 제 2지지트러스 타측에 상기 제 2래크기어와 대응되어 회전가능하도록 마련되는 제 2피니언기어와 상기 제 2피니언기어를 구동하는 제 2모터와 상기 제 2지지트러스 전방에 형성되며 트러스 형태로 상부에는 판상으로 발판이 형성되는 제 2-1이동트러스와 상기 제 2지지트러스 후방에 형성되며 트러스 형태로 상부에는 판상으로 발판이 형성되는 제 2-2이동트러스가 마련되는 다수개의 제 2수직이동부;
    상기 제 1수직이동부 상면에서 서로 다른 상기 제 1수직이동부를 수평으로 연결하며, 트러스 형태로 상부에는 판상으로 발판이 형성되는 제 1연결트러스판;
    상기 제 2수직이동부 상면에서 서로 다른 상기 제 2수직이동부를 수평으로 연결하며, 트러스 형태로 상부에는 판상으로 발판이 형성되는 제 2연결트러스판;
    상기 제 1수직이동부와 상기 제 2수직이동부 사이에 다수개로 마련되며, 상기 제 1수직이동부와 상기 제 2수직이동부 상면에 수평으로 연결되고 트러스 형태로 상부에는 판상으로 발판이 형성되는 제 3연결트러스판;
    상기 제 3연결트러스판 상면에서 서로 다른 상기 제 3연결트러스판을 수평으로 연결하는 보강대;
    상기 보강대 상부에서 서로 다른 상기 제 3연결트러스판을 수평으로 연결하는 발판부;로 구성되며,
    상기 제 1수직이동부에는
    상기 제 1-1이동트러스 후방에 고정되고 상기 제 1-2이동트러스 전방에 고정되어 다수개로 마련되는 제 1롤러가 더 마련되며,
    상기 제 2수직이동부에는
    상기 제 2-1이동트러스에 후방에 고정되고 상기 제 2-2이동트러스 전방에 고정되어 다수개로 마련되는 제 2롤러가 더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리프트 비계 시스템.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수직이동부에는
    상기 제 1지지트러스 외면을 감싸도록 형성되며, 전방은 상기 제 1-1이동트러스 후방에 연결되고 후방은 상기 제 1-2이동트러스 전방에 연결되는 제 1지지부;
    상기 제 1지지부 전후방에 한쌍으로 마련되어 슬라이딩되는 제 1-1레일부;
    상기 제 1-1이동트러스 후방과 상기 제 1-2이동트러스 전방에 상기 제 1-1레일부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련되는 다수개의 제 1-2레일부;가 더 마련되며,
    상기 제 2수직이동부는
    상기 제 1지지트러스 외면을 감싸도록 형성되며, 전방은 상기 제 2-1이동트러스 후방에 연결되고 후방은 상기 제 2-2이동트러스 전방에 연결되는 제 2지지부;
    상기 제 2지지부 전후방에 한쌍으로 마련되어 슬라이딩되는 제 2-1레일부;
    상기 제 2-1이동트러스 후방과 상기 제 2-2이동트러스 전방에 상기 제 2-1레일부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련되는 다수개의 제 2-2레일부;가 더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리프트 비계 시스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롤러, 상기 제 1지지부, 상기 제 1-1레일부, 상기 제 1-2레일부는 상기 제 1수직이동부 상하방에 한쌍으로 마련되며,
    상기 제 2롤러, 상기 제 2지지부, 상기 제 2-1레일부, 상기 제 2-2레일부는 상기 제 2수직이동부 상하방에 한쌍으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리프트 비계 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지지트러스와 상기 제 2지지트러스 상부에는 트러스 형태로 하방에 센서부가 형성되는 캡트러스;
    상기 센서부가 상기 제 1수직이동부 및 상기 제 2수직이동부를 인식하면 상기 제 1모터 및 상기 제 2모터를 정지시키는 제어부;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리프트 비계 시스템.
KR1020200036575A 2020-03-26 2020-03-26 이동식 리프트 비계 시스템 KR1021494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6575A KR102149417B1 (ko) 2020-03-26 2020-03-26 이동식 리프트 비계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6575A KR102149417B1 (ko) 2020-03-26 2020-03-26 이동식 리프트 비계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9417B1 true KR102149417B1 (ko) 2020-08-31

Family

ID=722344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6575A KR102149417B1 (ko) 2020-03-26 2020-03-26 이동식 리프트 비계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941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7486B1 (ko) 2022-06-10 2022-08-01 주식회사 충력 비계 리프트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34121B1 (ko) * 1998-09-15 2002-11-22 백수곤 신속조립용작업틀및설치방법
JP2005016180A (ja) * 2003-06-26 2005-01-20 Sumitomo Metal Steel Products Inc 昇降式移動足場
KR100725223B1 (ko) 2005-05-16 2007-06-07 에이앤텍건설 주식회사 이동식비계의 비계보
KR101757193B1 (ko) * 2016-07-25 2017-07-26 김기영 Lng 운반선 화물창 작업용 리프트 장치
KR20180028815A (ko) * 2016-09-09 2018-03-19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발판구조물 및 발판구조물의 설치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34121B1 (ko) * 1998-09-15 2002-11-22 백수곤 신속조립용작업틀및설치방법
JP2005016180A (ja) * 2003-06-26 2005-01-20 Sumitomo Metal Steel Products Inc 昇降式移動足場
KR100725223B1 (ko) 2005-05-16 2007-06-07 에이앤텍건설 주식회사 이동식비계의 비계보
KR101757193B1 (ko) * 2016-07-25 2017-07-26 김기영 Lng 운반선 화물창 작업용 리프트 장치
KR20180028815A (ko) * 2016-09-09 2018-03-19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발판구조물 및 발판구조물의 설치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7486B1 (ko) 2022-06-10 2022-08-01 주식회사 충력 비계 리프트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95989B2 (ja) 橋脚の張出し梁部施工用回転支持構造
JP2023164952A (ja) 重量物移動装置を用いた重量物の移動方法及び重量物移動装置
JPH07259322A (ja) 昇降足場
KR102149417B1 (ko) 이동식 리프트 비계 시스템
KR101149877B1 (ko) 자주식 교량용 고소 작업차
JP2017048635A (ja) 架設桁を用いた橋梁の解体工法
JP3901657B2 (ja) 自走式プレキャスト床版架設機
JP6712501B2 (ja) 高層建物の解体システム及び解体方法
JP2008050811A (ja) 移動式吊り足場装置
JP2004150228A (ja) 橋梁メンテナンス用の移動足場
JP2971042B2 (ja) 桁運搬機及び桁運搬方法
CN114165040B (zh) 一种钢结构建筑工程施工现场用安全装置
CN210764202U (zh) 一种建筑用双升降工作平台车
JP2007002472A (ja) 吊足場
JP2668217B2 (ja) アーチ状大空間屋根の構築方法
JP4650762B2 (ja) 塔状建造物の構築解体用足場装置及び該装置を使用した塔状建造物の解体方法
JPS589221B2 (ja) 移動作業台装置
JP7213515B2 (ja) 塔上可動足場用構造、塔上可動足場および塔上作業方法
JPH0445440B2 (ko)
CN211142802U (zh) 一种移动式悬挂装置
CN216239633U (zh) 一种钢结构厂房墙面板安装移动操作平台
KR20020009830A (ko) 교량의 시공 및 유지관리겸용 자주식 작업대
JP3245221U (ja) 階下作業車
CN220954504U (zh) 一种可移动安全操作平台
CN211713713U (zh) 一种公路桥梁施工吊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