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7486B1 - 비계 리프트 장치 - Google Patents

비계 리프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7486B1
KR102427486B1 KR1020220070515A KR20220070515A KR102427486B1 KR 102427486 B1 KR102427486 B1 KR 102427486B1 KR 1020220070515 A KR1020220070515 A KR 1020220070515A KR 20220070515 A KR20220070515 A KR 20220070515A KR 102427486 B1 KR102427486 B1 KR 1024274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affold
unit
rotational force
ball screw
lif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705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성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충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충력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충력
Priority to KR10202200705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748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74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74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9/00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9/16Mobile or transportable lifts specially adapted to be shifted from one part of a building or other structure to another part or to another building or structure
    • B66B9/187Mobile or transportable lifts specially adapted to be shifted from one part of a building or other structure to another part or to another building or structure with a liftway specially adapted for temporary connection to a building or other stru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9/00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9/02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actuated mechanically otherwise than by rope or cable
    • B66B9/025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actuated mechanically otherwise than by rope or cable by screw-nut driv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3/00Scaffolds essentially supported by building constructions, e.g. adjustable in height
    • E04G3/20Scaffolds essentially supported by building constructions, e.g. adjustable in height supported by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3/00Scaffolds essentially supported by building constructions, e.g. adjustable in height
    • E04G3/24Scaffolds essentially supported by building constructions, e.g. adjustable in height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buildings or for buildings of particular shape, e.g. chimney stacks or pylons
    • E04G3/243Scaffolds essentially supported by building constructions, e.g. adjustable in height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buildings or for buildings of particular shape, e.g. chimney stacks or pylons following the outside contour of a buil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ransportation (AREA)
  • Movable Scaffol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계 리프트장치에 있어서, 지면에 안착되어 비계(50) 리프트장치에 의해 지면에서 조립된 비계(50)를 승강시키는 과정에서 흔들리지 않도록 하는 지지판(10)과, 나사산이 형성되고 지지판(10)에 상부로 돌출되게 다수 설치되어 지지판(10)에 설치된 구동부(11)에 의한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볼스크류(30)와, 상기 다수 설치된 볼스크류(30)와 연결설치되어 구동부(11)에 의한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볼스크류(30)에 의해 승강작동하여 지면에서 조립된 비계(50)를 상하로 이동시키도록 설치되는 승강부(20)로 구성되어 지면에서 미리 조립된 상태의 비계(50)를 고층으로 승강시켜 설치할 수 있어 비계(50)의 설치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고, 그에 따라 공사기간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비계(50)를 지면에서 미리 조립한 상태로 고층으로 운반함에 따라 고층으로 비계(50)의 설치를 위한 구조물을 운반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없고 고층에서 비계(50)를 조립하면서 발생하게 되는 안전사고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비계 리프트 장치{SCAFFOLD LIFT APPARATUS}
본 발명은 지면에서 조립된 비계를 승강시켜 건물 외벽에 비계를 설치함으로써 비계설치에 소요되는 작업시간이 단축되어 공사기간이 줄어들게 되며, 비계설치시 발생할 수 있는 사고의 위험을 줄일 수 있도록 하는 비계 리프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건축물의 신축이나 또는 유지보수작업시에는 작업자의 배치 및 이동을 위한 비계를 설치하여 고공작업이 안전하고 능률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비계는 고소에 임시로 설치된 작업상면 및 그것을 지지하는 구조물이다. 건축공사 때에 높은 곳에서 일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재료운반이나 작업원의 통로 및 작업을 위한 발판이 된다. 특히, 공중 비계 작업은 작업의 특성상 고소 작업인 관계로 설치 및 해체시 상당한 위함 부담이 발생하여 작업시 주의가 필요하다.
종래의 비계설치는 지면에서부터 층층이 조립하면서 건축공사의 작업 상황에 따라 비계의 설치높이가 높아지는 것임에 따라 고층의 건축공사가 진행될수록 조립되는 비계 자재를 고층높이로 운반하는 어려움이 발생하고 운반된 비계 구조물을 고층 높이에서 조립하여 설치하여야 함에 따라 작업이 더디고 안전사고의 발생우려가 높은 문제가 있었다.
또한, 비계설치에 소요되는 시간이 증대되어 전체 공사기간이 늘어나게 되는 문제가 있는 것이다.
등록특허 제10-2149417호, '이송식 리프트 비계 시스템'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비계설치시 소요되는 작업시간을 줄일 수 있으면서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 비계 리프트 장치를 제공하는데에 있다.
상기의 목적에 따른 본 발명은 비계 리프트장치에 있어서, 지면에 안착되어 비계(50) 리프트장치에 의해 지면에서 조립된 비계(50)를 승강시키는 과정에서 흔들리지 않도록 하는 지지판(10)과, 나사산이 형성되고 지지판(10)에 상부로 돌출되게 다수 설치되어 지지판(10)에 설치된 구동부(11)에 의한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볼스크류(30)와, 상기 다수 설치된 볼스크류(30)와 연결설치되어 구동부(11)에 의한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볼스크류(30)에 의해 승강작동하여 지면에서 조립된 비계(50)를 상하로 이동시키도록 설치되는 승강부(2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지면에서 미리 조립된 상태의 비계를 하단에서 아래로 증설하여 고층으로 승강시켜 설치할 수 있어 비계설치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그에 따라 공사기간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비계를 지면에서 미리 조립한 상태로 하단에서 아래로 증설하여 고층으로 운반함에 따라 고층으로 비계설치를 위한 구조물을 운반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없고 고층에서 비계를 조립하면서 발생하게 되는 안전사고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비계 리프트장치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비계 리프트장치를 이용하여 비계를 승강시키는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승강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승강부의 작동구성을 설명하는 도면,
도 6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비계 리트프장치를 이용하여 지면에서 조립된 비계를 적층설치는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승강부에 설치된 받침판의 작동상태를 설명하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수평조절구의 상세구성도,
도 10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비계 리프트장치를 이용하여 조립된 비계를 건물 외벽에 설치하는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12는 건물 외벽에 설치되는 비계를 고정하는 지지부재의 상세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13 내지 도 14는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본 발명의 비계 리프트장치를 이용하여 조립된 비계를 건물 외벽에 설치하는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비계 리프트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 내지 도 3은 비계 리프트장치를 이용하여 지면에서 조립된 비계를 승강시키는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비계(50) 리프트장치는 지면에 안착되어 비계(50) 리프트장치에 의해 지면에서 조립된 비계(50)를 승강시키는 과정에서 흔들리지 않도록 하는 지지판(10)과, 나사산이 형성되고 지지판(10)에 상부로 돌출되게 다수 설치되어 지지판(10)에 설치된 구동부(11)에 의한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볼스크류(30)와, 상기 다수 설치된 볼스크류(30)와 연결설치되어 구동부(11)에 의한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볼스크류(30)에 의해 승강작동하여 지면에서 조립된 비계(50)를 상하로 이동시키도록 설치되는 승강부(20)로 구성된다.
상기 지지판(10)에는 승강부(20)를 볼스크류(30) 상에서 상하로 이동시키기 위한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부(11)가 설치되며, 구동부(11)의 회전력을 볼스크류(30)로 전달하여 볼스크류(30)를 회전시킴으로써 볼스크류(30)에 설치된 승강부(20)가 상하로 이동하게 된다.
즉, 도 2에서와 같이 비계(50) 리프트장치가 설치된 상태에서 비계(50)를 지면에서 조립하게 되며, 도 3에서와 같이 다층으로 조립된 비계(50)가 승강부(20)에 얻혀져 승강부(20)와 함게 들어올려지게 된다.
조립된 비계(50)의 상하이동시 승강부(20)의 최대 승강높이가 최저 하강높이를 제한스하게 되며, 이를 위해 볼스크의 상,하단부에는 승강부(20)의 상하 이동높이를 제한하는 상승제한부(41)와 하강제한부(42)가 설치될 수 있다.
볼스크류(30)의 회전에 의해 승강부(20)가 비계(50)를 들어올려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승강부(20)가 볼스크류(30)의 상단부에 설치된 상승제한부(41)에 닿게 되면 구동모터(12)에 제어신호를 전송하여 볼스크류(30)의 회전을 정지시키게 된다.
반대로 비계(50)를 내리는 과정에서는 승강부(20)가 하강하면서 볼스크류(30)의 하단부에 설치된 하강제한부(42)에 닿게 되면 역시 구동모터(12)에 제어신호를 전송하여 볼스크류(30)의 회전을 정지시키게 된다.
볼스크류(30)에 상승,하강제한부(41)(42)의 설치됨에 따라 승강부(20)에 상하작동에 의해 비계(50)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경우 작업자가 일일이 구동모터(12)의 회전을 ON/OFF하여야 하는 것이며, 작업자의 숙련도에 따라 구동모터(12)를 제어하지 못해 발생하게 되는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일 예로서 상기 상승, 하강제한부(41)(42)는 리밋스위치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지지판(10)에는 다수 설치된 볼스크류(30)의 흔들림을 방지하는 가이드바(40)가 설치될 수 있으며, 볼스크규의 하단부가 고정된 상태에서 볼스크류(30)의 상단부가 가이드바(40)에 고정설치되어 승강부(20)에 의한 비계(50)의 상하이동시 비계(50)가 흔들리지 않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볼스크류(30)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부(11)의 작동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구동부(11)는 지지판(10)의 상부에 설치되어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모터(12)와, 상기 구동모터(12)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볼스크류(30)를 회전시키기 위한 속도로 감속시키는 감속모터(13)와, 감속모터(13)에 의해 감속된 회전력을 양측으로 분기되도록 하여 볼스크류(30)의 회전을 위해 회전축(15)에 의해 회전력을 전달하는 회전력전달부(14)와, 회전축(15)에 의해 전달되는 수평방향의 회전력을 볼스크류(30)를 회전시키기 위한 수직방향 회전력으로 변환하여 볼스크류(30)를 회전시키도록 하는 구동기어(16)로 구성된다.
상기 구동모터(12)는 볼스크류(30)의 회전에 의해 승강부(20)를 상하이동시키기 위한 회전력을 제공하게 된다.
구동모터(12)의 회전력은 감속모터(13)에 의해 회전속도가 감속되어 승강부(20)에 의한 비계(50)의 상하이동속도에 맞도록 조절되며, 감속모터(13)를 통해 회전력이 감속된 후 양측에 설치된 회전력전달부(14)로 분기되어 전달된다.
상기 회전력전달부(14)는 다시 양측으로 분기되어 볼스크류(30)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력을 회전축(15)에 의해 각각 전달하게 되며, 회전력에 의해 전달되는 수평방향의 회전력을 구동기어(16)를 통해 수직방향의 회전력으로 변환시켜 볼스크류(30)가 회전하도록 한다.
일 실시 예로서 상기 구동기어(16)는 베벨기어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볼스크류(30)의 회전에 의해 승하로 이동하는 승강부(20)의 상세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승강부(20)는 볼스크류(30)의 회전에 의해 승강부(20)가 상하로 이동가능하도록 내측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볼스크류(30)가 끼워져 결합되는 승강홀(21)과, 승강부(20)의 상하이동시 지면에서 조립된 비계(50)의 수평바(52)를 하부에서 지지하도록 설치되어 승강부(20)의 상승시 비계(50)가 들어올려질 수 있도록 하는 받침부(22)와, 받침부(22)가 설치된 상태에서 받침부(22)에 의해 비계(50)를 들어올리는 과정에서 비계(50)의 무게를 지지하도록 승강홀(21)을 가로질러 연결하도록 설치되는 지지바(24)와, 지지바(24)에 설치된 받침부(22)가 수평방향으로 지지되게 설치된 상태에서 수직방향으로 회전작동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힌지축(23)으로 구성된다.
상기 승강홀(21)은 볼스크류(30)가 결합된 상태에서 볼스크류(30)의 회전으로 인해 나사산이 맞물리면서 승강부(20)를 상하로 이동시키도록 하며,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서 지지판(10)에는 4개의 볼스크류(30)가 설치됨에 따라 승강부(20)에도 각각의 볼스크류(30)가 결합되는 4개의 승강홀(21)이 형성될 수 있다.
전체적으로 사각모양으로 형성된 승강부(20)는 각 모서리부분에 승강홀(21)이 형성되며, 각각의 승강홀(21)은 지지바(24)에 의해 연결설치된다.
본 발명에서는 사각 모양의 승강부(20)의 각 모서리에 승강홀(21)이 형성되고 볼스크류(30)가 각각 끼워져 승강부(20)가 상하 이동함에 따라 승강부(20)가 좌우 흔들림없이 승강작동하게 되며, 그에 따라 조립된 비계(50)도 안전하게 상하로 이송시킬 수 있게 된다.
지지바(24) 상에는 승강부(20)가 상하로 이동함에 따라 지면에서 미리 조립된 비계(50)를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받쳐주는 받침부(22)가 설치되며, 상기 받침부(22)는 서로 마주하는 위치에 설치된 지지바(24)에 한쌍이 설치된다.
이때, 지지바(24)에 설치된 받침부(22)는 지지바(24)에 의해 지지되어 하부로는 쳐지지 않도록 고정되면서 상부로는 힌지작동할 수 있도록 힌지축(23)이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비계(50) 리프트장치는 건물의 외벽 높이에 맞게 비계(50)를 층층이 설치하기 위해 지면에서 조립된 비계(50)를 들어올린 후 도 6에서와 같이 들어올려진 비계(50)의 하부에 다시 비계(50)를 연결설치하게 되며, 하단의 비계(50)를 연결설치한 후에는 상승한 승강부(20)를 내려 하단의 비계(50)를 들어올리게 된다.
이 경우 비계(50)의 수평바(52)를 받치는 받침부(22)가 승강부(20)의 하강작동에 의해 수평바(52)에 부딪히게 되며, 받침부(22)가 하강하면서 수평바(52)와 부딪히는 순간에 수평바(52)에 밀려 상부로 회전함으로써 승강부(20)가 자연스럽게 하강할 수 있게 된다.
도 8을 참조하여 이를 설명하면, 승강부(20)가 하단의 비계(50)를 들어올리기 위해 하강하게 되면 도 8의 (a)와 같이 이미 조립된 비계(50)의 수평바(52)에 부딪히게 되며, 하강하면서 비계(50)에 부딪힌 받침부(22)가 도 8의 (b)와 같이 비계(50)에 밀려나 상부로 회전하게 된다.
계속적으로 받침부(22)가 하강하면 비계(50)의 수평바(52)를 통과한 후 받침부(22)가 다시 수평방향으로 놓여지도록 하중에 의해 아래로 회전하게 되면서 비계(50)의 최하단 층까지 승강부(20)가 내려오게 되면 다시 비계(50)를 받쳐 들어올려질 수 있도록 받침부(22)가 위치하게 된다.
다시 도 6을 참조하면, 승강부(20)에 의해 비계(50)를 1차로 들어올린 후에 비계(50)의 하단에 비계(50)를 증설하여 설치하게 되며, 이때 설치되는 비계(50)의 하단에는 비계(50)가 수평이 유지된 상태로 조립될 수 있도록 하는 수평조절부(6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수평조절부(60)는 비계(50)의 설치시 비계(50)의 하단부에 끼워져 수평을 조절한 후 설치가 완료된 비계(50)를 들어올리는 경우에는 끼워진 수평조절부(60)를 비계(50)와 분리하게 된다.
도 9를 참조하여 수평조절부(60)의 구성을 보면, 지면과 평편하도록 맞닿게 되는 바닥판(61)과, 상기 바닥판(61)의 상부로 고정설치되어 나사산이 형성된 높이조절축(62)과, 높이조절축(62)에 끼워진 상태에서 높이조절축(62)의 나사산과 맞물려 회전하면서 높이조절축(62) 상에서 상하로 높이조절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높이조절판(63)으로 구성된다.
상기 바닥판(61)은 지면에 놓여진 상태로 높이조절축(62)이 수직방향으로 위치할 수 있도록 하며, 높이조절축(62)의 상부는 비계(50)의 수직바(51) 하부에 끼워지게 된다.
높이조절축(62)의 상부가 비계(50)의 수직바(51)에 끼워지면 비계(50)의 수직바(51)은 더이상 끼워지지 않고 높이조절판(63)에 의해 걸리게 되며, 높이조절판(63)에 수직바(51)이 걸린 상태에서 높이조절판(63)을 회전시켜 높이조절축(62) 상에서 상하로 높이가 조절되도록 함으로써 수직바(51)의 높이도 조절하게 된다.
본 발명의 수평조절부(60)는 비계(50)의 각 모서리 수직바(51)에 모두 설치된 상태에서 높이조절이 가능한 것이며, 각각의 수평조절부(60)의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조립된 비계(50)의 전체수평 상태를 조절한 후 승강부(20)에 의해 들려지게 된다.
도 10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비계(50) 리프트장치에 의해 지면에서 조립된 비계(50)를 순차적으로 상승시켜 건물 외벽에 비계(50)를 설치하는 형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건물 외벽에 설치되는 비계(50)는 건물의 높이에 맞게 높게 설치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설치된 비계(50)가 건물 외벽으로부터 기울어져 작업자들의 낙하사고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건물 외벽의 수직방향으로 레일(70)이 고정설치되고, 설치된 레일(70)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건물 외벽에 설치된 비계(50)가 기울어지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지지부재(80)가 설치된다.
상기 레일(70)은 건물 외벽을 따라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며, 승강부(20)에 의해 조립된 비계(50)가 상승하여 건물 외벽을 따라 설치높이가 높아짐에 따라 지지부재(80)가 비계(50)의 설치높이에 맞게 레일(70)을 따라 상승하면서 비계(50)를 고정시키게 된다.
이때, 레일(70)에 설치되는 지지부재(80)는 설치되는 비계(50)의 무게에 따라 다수 설치될 수 있으며, 다수 설치된 지지부재(80)에 의해 견고하게 비계(50)를 고정시킬 수 있는 것이다.
도 12를 참고하여 지지부재(80)의 구성을 설명하면, 건물 외벽에 고정설치된 레일(70)을 따라 지지부재(80)가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한 쌍의 롤러(81)과, 한 쌍의 롤러(81) 사이를 연결하도록 설치되는 지지축(82)과, 상기 지지축(82)에 연결설치되어 건물 외벽에서 돌출되는 연결부(83)와, 상기 연결부(83)의 끝단에 설치되어 설치된 비계(50)의 수평바(52)에 걸려 비계(50)가 건물 외벽으로 부터 기울어지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걸이부(84)로 구성된다.
상기 롤러(81)는 지지축(82)에 의해 양측에 한 쌍이 설치된 상태에서 지지축(82)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도록 베어링에 의해 설치될 수 있으며, 비계(50)의 설치높이가 높아짐에 따라 레일(70)을 따라 롤러(81)가 회전하면서 상승되도록 한다.
지지축(82)에서 수평방향으로 돌출된 연결부(83)의 끝단에 설치된 걸이부(84)는 지지부재(80)가 비계(50)의 높이에 맞게 상하로 이동된 후 비계(50)의 수평바(52)를 걸어 비계(50)가 건물 외벽에서 기울어지지 않도록 잡아주게 되며, 필요에 따라 걸이부(84)에 별도의 잠금수단을 구비하여 더욱 안전하게 비계(50)를 고정시킬 수 있는 것이다.
도 13 내지 도 14는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비계(50)의 설치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으로, 건물 외벽이 원통형의 형태인 경우에는 건물 외벽에 레일(70)을 설치할 필요없이 비계(50)의 설치 높이에 맞게 지지부재(80)만을 설치함으로써 지지부재(80)가 건물 외벽에 직접 지지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건물 외벽에 설치된 비계(50)는 수직, 수평방향으로 모두 연결되어 고정설치되는 형태임에 따라 원통형 건물의 경우 일측으로 비계(50)가 기울어지는 경우 반대편에 설치된 지지부재(80)가 건물 외벽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게 됨에 따라 설치된 비계(50)가 어느 방향으로도 기울어지지 않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 및 그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 져야 한다.
(10)-- 지지판 (11)-- 구동부
(12)-- 구동모터 (13)-- 감속모터
(14)-- 회전력전달부 (15)-- 회전축
(16)-- 구동기어
(20)-- 승강부 (21)-- 승강홀
(22)-- 받침부 (23)-- 힌지축
(24)-- 지지바
(30)-- 볼스크류
(40)-- 가이드바 (41)-- 상승제한부
(42)-- 하강제한부
(50)-- 비계 (51)-- 수직바
(52)-- 수평바
(60)-- 수평조절부 (61)-- 바닥판
(62)-- 높이조절축 (63)-- 높이조절판
(70)-- 레일
(80)-- 지지부재 (81)-- 롤러
(82)-- 지지축 (83)-- 연결부
(84)-- 걸이부

Claims (5)

  1. 비계 리프트장치에 있어서,
    지면에 안착되는 지지판(10)과,
    나사산이 형성되고 지지판(10)에 상부로 돌출되게 다수 설치되어 지지판(10)에 설치된 구동부(11)에 의한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볼스크류(30)와,
    상기 다수 설치된 볼스크류(30)와 연결설치되어 구동부(11)에 의한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볼스크류(30)에 의해 승강작동하여 지면에서 조립된 비계(50)를 상하로 이동시키도록 설치되는 승강부(20)로 구성되며,
    상기 승강부(20)는,
    볼스크류(30)의 회전에 의해 승강부(20)가 상하로 이동가능하도록 내측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볼스크류(30)가 끼워져 결합되는 승강홀(21)과,
    승강부(20)의 상하이동시 지면에서 조립된 비계(50)의 수평바(52)를 하부에서 지지하도록 설치되어 승강부(20)의 상승시 비계(50)가 들어올려질 수 있도록 하는 받침부(22)와,
    받침부(22)가 설치된 상태에서 받침부(22)에 의해 비계(50)를 들어올리는 과정에서 비계(50)의 무게를 지지하도록 승강홀(21)을 가로질러 연결하도록 설치되는 지지바(24)와,
    지지바(24)에 설치된 받침부(22)가 수평방향으로 지지되게 설치된 상태에서 수직방향으로 회전작동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힌지축(23)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비계 리프트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볼스크류(30)의 상하단부에는 조립된 비계(50)의 상하이동시 승강부(20)의 최대 승강높이가 최저 하강높이를 제한하는 상승제한부(41)와 하강제한부(42)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비계 리프트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구동부(11)는,
    지지판(10)의 상부에 설치되어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모터(12)와,
    상기 구동모터(12)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볼스크류(30)를 회전시키기 위한 속도로 감속시키는 감속모터(13)와,
    감속모터(13)에 의해 감속된 회전력을 양측으로 분기되도록 하여 회전축(15)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회전력전달부(14)와,
    회전축(15)에 의해 전달되는 수평방향의 회전력을 볼스크류(30)를 회전시키기 위한 수직방향 회전력으로 변환하여 볼스크류(30)를 회전시키도록 하는 구동기어(16)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비계 리프트장치.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승강부(20) 하단에 증설되는 비계(50)의 수평유지를 위해 수평조절부(60)가 설치되며,
    상기 수평조절부(60)는,
    지면과 평편하도록 맞닿게 되는 바닥판(61)과,
    상기 바닥판(61)의 상부로 고정설치되어 나사산이 형성된 높이조절축(62)과,
    높이조절축(62)에 끼워진 상태에서 높이조절축(62)의 나사산과 맞물려 회전하면서 높이조절축(62) 상에서 상하로 높이조절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높이조절판(63)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비계 리프트장치.
KR1020220070515A 2022-06-10 2022-06-10 비계 리프트 장치 KR1024274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0515A KR102427486B1 (ko) 2022-06-10 2022-06-10 비계 리프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0515A KR102427486B1 (ko) 2022-06-10 2022-06-10 비계 리프트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27486B1 true KR102427486B1 (ko) 2022-08-01

Family

ID=828442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0515A KR102427486B1 (ko) 2022-06-10 2022-06-10 비계 리프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748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12559A (ja) * 1988-10-20 1990-04-25 Nippon Bisoo Kk 足場の組立解体方法
KR20060040556A (ko) * 2005-02-22 2006-05-10 최석봉 조립식 비계장치의 호환형 잭
KR102149417B1 (ko) 2020-03-26 2020-08-31 유림건설(주) 이동식 리프트 비계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12559A (ja) * 1988-10-20 1990-04-25 Nippon Bisoo Kk 足場の組立解体方法
KR20060040556A (ko) * 2005-02-22 2006-05-10 최석봉 조립식 비계장치의 호환형 잭
KR102149417B1 (ko) 2020-03-26 2020-08-31 유림건설(주) 이동식 리프트 비계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732114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stalling an elevator without machine room during construction of a building, and use of a hoisting machine
KR102151293B1 (ko) 리프트의 설치 방법
EP2043938B1 (en) Elevators
US9388018B2 (en) Supply of rope to an elevator speed limiter
KR102427486B1 (ko) 비계 리프트 장치
KR102504093B1 (ko) 추락방지 기능을 갖는 산업용 리프트
KR20220125633A (ko) 포설용 말비계탑승장치
AU2021208843A1 (en) Mobile transport device and method for introducing an installation frame into a shaft
KR101167931B1 (ko) 건축물용 리프트
CN110685431A (zh) 爬升式电梯井道施工操作平台及其施工方法
KR101923925B1 (ko) 크레인 장착형 마스트 구조물에 구비되는 고층빌딩 건설용 고속 고하중 로프식 엘리베이터 장치
JP2001097649A (ja) エレベーター装置
KR20190080023A (ko) 다목적 자동 인양시스템
WO2021038629A1 (ja) 工事用エレベーター装置
AU2021351853A1 (en) Elevator system
EP3553013A2 (en) Lifting system
KR102446299B1 (ko) 고소작업대탑승장치
KR20200098059A (ko) 건설 현장의 승강기 도어 안전장치
KR102446293B1 (ko) 사다리차 탑승장치
JP7446194B2 (ja) 搬器の昇降駆動システムとそれを備えたエレベータ式駐車設備
JPH061562A (ja) 油圧エレベーターのガイドレール据付け方法
KR102286398B1 (ko) 타워 크레인 케이지 승강용 구동 어셈블리
AU2021106237A4 (en) A novel elevator for lifting building materials
KR20190012506A (ko) 엘리베이터 승강로 가이드 레일의 설치방법
JP4872255B2 (ja) エレベー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