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7302B1 - 가이드 와이어 - Google Patents

가이드 와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7302B1
KR102137302B1 KR1020177001925A KR20177001925A KR102137302B1 KR 102137302 B1 KR102137302 B1 KR 102137302B1 KR 1020177001925 A KR1020177001925 A KR 1020177001925A KR 20177001925 A KR20177001925 A KR 20177001925A KR 102137302 B1 KR102137302 B1 KR 1021373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wire
coil body
core shaft
tip
longitud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019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34305A (ko
Inventor
무네야 후루카와
Original Assignee
아사히 인텍크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사히 인텍크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아사히 인텍크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1343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43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73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73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9Guide wi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umbilical cord
    • A61B17/12022Occluding by internal devices, e.g. balloons or releasable wires
    • A61B17/12099Occluding by internal devices, e.g. balloons or releasable wires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the occluder
    • A61B17/12109Occluding by internal devices, e.g. balloons or releasable wires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the occluder in a blood vesse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umbilical cord
    • A61B17/12022Occluding by internal devices, e.g. balloons or releasable wires
    • A61B17/12099Occluding by internal devices, e.g. balloons or releasable wires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the occluder
    • A61B17/12109Occluding by internal devices, e.g. balloons or releasable wires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the occluder in a blood vessel
    • A61B17/12113Occluding by internal devices, e.g. balloons or releasable wires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the occluder in a blood vessel within an aneurys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umbilical cord
    • A61B17/12022Occluding by internal devices, e.g. balloons or releasable wires
    • A61B2017/1205Introduction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9Guide wires
    • A61M2025/09058Basic structures of guide wires
    • A61M2025/09083Basic structures of guide wires having a coil around a co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9Guide wires
    • A61M2025/09175Guide wires having specific characteristics at the distal ti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9Guide wires
    • A61M2025/09191Guide wires made of twisted wires

Abstract

[과제] 가이드 와이어의 선단 접합부와 코일체의 접합 강도를 향상시켜, 선단 접합부가 코일체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 가이드 와이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해결 수단] 코어 샤프트(5)와, 그 코어 샤프트(5)의 외주를 덮는 코일체(3)와, 코어 샤프트(5)의 선단과 코일체(3)의 선단을 접합하는 접합부(7)를 구비한 가이드 와이어(1)에 있어서, 접합부(7)의 기단은, 길이 방향 기단측으로 돌출되는 사각형 모양의 볼록부(8)와, 길이 방향 선단측으로 돌출되는 사각형 모양의 오목부(9)에 의해서, 횡단면에서 볼 때 외주 방향을 따라서 길이 방향 요철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가이드 와이어{GUIDE WIRE}
본 발명은 혈관, 뇨관 등의 체내관강(體內管腔)으로의 카테터(catheter)의 삽입 및 혈관의 동맥류 형성부로의 체내 유치구(留置具)를 삽입할 때 가이드로서 사용되는 가이드 와이어에 관한 것이다.
혈관, 뇨관 등의 체내관강으로의 카테터의 삽입 및 혈관의 동맥류 형성부로의 체내 유치구를 삽입할 때 가이드로서 사용되는 가이드 와이어는, 일반적으로, 코어 샤프트와, 그 코어 샤프트의 선단(先端)부를 덮는 코일체와, 코어 샤프트의 선단과 코일체의 선단을 접합(接合)하는 선단 접합부와, 코어 샤프트와 코일체의 기단(基端)을 접합하는 기단 접합부를 구비하고 있다.
예를 들면, 특허 문헌 1에는, 코어 와이어(이하, 코어 샤프트라고 기재함)와, 그 코어 샤프트의 선단부를 덮는 코일체와, 코어 샤프트의 선단과 코일체의 선단을 접합하는 선단 접합부를 구비한 가이드 와이어가 기재되고, 선단 접합부가 코일체의 선단에 접합되어 있는 외관이 기재되어 있다(도 12A 및 도 12B 등 참조).
기술자는 카테터를 환자의 체내로 삽입하기 위해, 예를 들면,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가이드 와이어를 환자의 체내에 삽입하고, 환자의 체내에 있는 협착부 등을 향해 나아가게 하고, 그 후 협착부를 관통시킨다. 그런데, 기술자가 가이드 와이어를 협착부에 관통시킬 때, 가이드 와이어가 협착부에 스택(stack)되어 버리는 경우가 있다. 그때, 기술자는 가이드 와이어의 기단부에 고정된 커넥터를 밀고 당기거나, 회전시키거나 하여, 가이드 와이어를 스택 상태로부터 해방시키려고 한다.
그렇지만, 종래의 가이드 와이어에 있어서는, 가이드 와이어가 협착부 등에 스택되어, 기술자가 가이드 와이어를 밀고 당기거나 또는 회전시킬 때, 가이드 와이어의 선단 접합부가 코일체로부터 이탈할 가능성이 있었다. 선단 접합부가 코일체로부터 이탈되면, 선단 접합부 단체가 환자의 체내에 잔존하여, 그 후의 처치가 매우 곤란해진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특허 문헌 1: 미국 특허 출원 공개 제2007/0185415호 명세서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가이드 와이어의 선단 접합부와 코일체의 접합 강도를 향상시켜, 선단 접합부가 코일체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 가이드 와이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제1 양태는 코어 샤프트와, 그 코어 샤프트의 외주(外周)를 덮는 코일체와, 상기 코어 샤프트의 선단과 상기 코일체의 선단을 접합하는 접합부를 구비한 가이드 와이어에 있어서, 상기 접합부의 기단은 횡단면에서 볼 때 외주 방향을 따라서 길이 방향 요철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제2 양태는, 제1 양태의 발명에 있어서, 길이 방향 선단측으로 돌출된 볼록부가, 만곡(灣曲)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추가로, 본 발명의 제3 양태는, 제1 양태의 발명 또는 제2 양태의 발명에 있어서, 코일체가 복수의 소선(素線)을 꼰 연선(撚線)을 복수 개 나선 모양으로 권회(卷回)하여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 양태의 가이드 와이어에 의하면, 코어 샤프트와, 그 코어 샤프트의 외주를 덮는 코일체와, 코어 샤프트의 선단과 코일체의 선단을 접합하는 접합부를 구비하고, 접합부의 기단은 횡단면에서 볼 때 외주 방향을 따라서 길이 방향 요철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접합부와 코일체의 접합 강도를 향상시켜, 접합부가 코일체로부터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달성한다.
또, 제2 양태의 가이드 와이어에 의하면, 제1 양태의 가이드 와이어에 있어서, 길이 방향 선단측으로 돌출된 볼록부는 만곡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제1 양태의 가이드 와이어의 효과에 더하여, 가이드 와이어가 만곡된 경우의 접합부로의 응력(應力) 집중을 방지하여, 접합부가 코일체로부터 빠지는 것을 추가로 방지하는 효과를 달성한다.
추가로, 제3 양태의 가이드 와이어에 의하면, 제1 양태의 가이드 와이어 또는 제2 양태의 가이드 와이어에 있어서, 코일체가 복수의 소선을 꼰 연선을 복수 개 나선 모양으로 권회하여 형성되어 있으므로, 제1 양태의 가이드 와이어 또는 제2 양태의 가이드 와이어의 효과를 보다 간단하게 실현하는 효과를 달성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가이드 와이어의 전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선단 확대도이다.
도 3은 도 2의 종단면도이다.
도 4는 제2 실시 형태의 가이드 와이어의 선단 확대도이다.
도 5는 도 4의 종단면도이다.
도 6은 제3 실시 형태의 가이드 와이어의 선단 확대도이다.
도 7은 도 6에 있어서의 종단면도이다.
도 8은 제4 실시 형태의 가이드 와이어의 전체도이다.
도 9는 도 8의 선단 확대도이다.
이하,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1 실시 형태)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가이드 와이어의 전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선단 확대도이고, 도 3은 도 2의 종단면도이다.
도 1에 있어서, 가이드 와이어(1)는 코어 샤프트(5)와, 그 코어 샤프트(5)의 선단부에 고착된 코일체(3)와, 그 코일체(3)의 선단과 코어 샤프트(5)의 선단을 접합하는 선단 접합부(7)와, 코일체(3)의 기단과 코어 샤프트(5)를 접합하는 기단 접합부(6)를 구비하고 있다.
코어 샤프트(5)는 기단으로부터 선단측을 향해 끝이 가늘어지는 환봉(還奉) 형상이다. 코어 샤프트(5)의 재료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본 실시 형태에서는, 스텐레스강이 사용되고 있으며, 그 외 Ni-Ti 합금 등의 초탄성 합금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코일체(3)는 코어 샤프트(5)의 둘레에 나선 모양으로 권회되어, 중공(中空) 원통 형상을 이루고 있다. 코일체(3)의 재료도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본 실시 형태에서는, 스텐레스강이 사용되어 있으며, 그 외 텅스텐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코일체(3)는, 한 개의 금속 소선에 의해서 형성되고, 가이드 와이어(1)의 길이 방향에 대한 꼬임각이 비교적 큰 상태로 되어 있다.
선단 접합부(7)는 가이드 와이어(1)의 선단을 구성하고, 대략 반구(半球) 형상을 이루고 있으며, 선단 접합부(7)의 기단부의 외경은 코일체(3)의 외경과 대략 동일하게 되어 있다. 선단 접합부(7)의 재료도,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본 실시 형태에서는, Ag-Sn계 납땜재가 사용되고 있으며, 그 외 Au-Sn계 납땜재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선단 접합부(7)는, 그 기단 형상이 가이드 와이어(1)의 길이 방향 기단측으로 돌출되는 사각형 모양의 볼록부(8)와, 길이 방향 선단측으로 돌출되는 사각형 모양의 오목부(9)를 가지도록 되어 있다. 즉, 선단 접합부(7)는, 선단 접합부(7)를 도 2의 지면에 대해서 수직인 방향으로 절단(가이드 와이어(1)의 길이 방향에 대해서 수직인 방향으로 절단)했을 때의 단면을 보았을 때(본 발명의 「횡단면에서 볼 때」에 상당함), 그 단면의 외주 방향을 따라서 가이드 와이어(1)의 길이 방향의 길이가 상이하고, 길이 방향 기단측으로 돌출되는 사각형 모양의 볼록부(8)와, 길이 방향 선단측으로 돌출되는 사각형 모양의 오목부(9)에 의해서, 길이 방향 요철 형상이 형성되어 있다.
기단 접합부(6)는 그 선단부의 외경이 코일체(3)의 외경과 대략 동일하게 되어 있다. 기단 접합부(6)의 재료도,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본 실시 형태에서는, Ag-Sn계 납땜재가 사용되고 있으며, 그 외 Au-Sn계 납땜재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실시 형태의 가이드 와이어(1)에 의하면, 선단 접합부(7)의 기단을, 횡단면에서 볼 때 외주 방향을 따라서 길이 방향 요철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가이드 와이어(1)가 만곡된 경우의 코일체(3)의 변형을, 길이 방향 기단측으로 돌출되는 사각형 모양의 볼록부(8)와, 길이 방향 선단측으로 돌출되는 사각형 모양의 오목부(9)에 의해서 형성되는 간극(2)에 의해서 완화시킬 수 있고, 나아가서는, 가이드 와이어(1)의 선단 접합부(7)와 코일체(3)의 접합 강도를 향상시켜, 선단 접합부(7)가 코일체(3)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2에 있어서는, 길이 방향 기단측으로 돌출되는 사각형 모양의 볼록부(8)의 단부가 코일체(3)의 소선을 따르고 있지 않지만, 볼록부(8)의 단부를 코일체(3)의 소선을 따르도록 하여, 볼록부(8)의 길이를 상이하게 하도록 하면, 선단 접합부(7)와 코일체(3)의 접합 강도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도 3에 도시하는 것처럼, 본 실시 형태의 가이드 와이어(1)에 의하면, 가이드 와이어(1)가 만곡된 경우의 코일체(3)의 변형을, 길이 방향 기단측으로 돌출되는 사각형 모양의 볼록부(8)와 코어 샤프트(5)에 의해서 형성되는 간극(4)에 의해서 완화시킬 수도 있고, 나아가서는, 선단 접합부(7)와 코일체(3)의 접합 강도를 향상시켜, 선단 접합부(7)가 코일체(3)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2 실시 형태)
이하, 제2 실시 형태를 설명하지만, 제1 실시 형태와 공통되는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고, 도면 중에서는 같은 부호를 부여하는 것으로 한다.
도 4는 제2 실시 형태의 가이드 와이어의 선단 확대도이고, 도 5는 도 4의 종단면도이다.
도 4에 있어서, 가이드 와이어(11)는 코어 샤프트(5)와, 그 코어 샤프트(5)의 선단부에 고착된 코일체(13)와, 그 코일체(13)의 선단과 코어 샤프트(5)의 선단을 접합하는 선단 접합부(17)를 구비하고 있다.
코일체(13)는 코어 샤프트(5)의 둘레에 나선 모양으로 권회되어, 중공 원통 형상을 이루고 있다. 코일체(13)의 재료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본 실시 형태에서는 스텐레스강이 사용되고 있으며, 그 외 텅스텐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코일체(13)는 복수 개(본 실시 형태에서는 10개)의 금속 소선을 중공 원통 모양으로 꼼으로써 형성되고, 가이드 와이어의 장축 방향에 대한 꼬임각이 비교적 작은 상태로 되어 있다.
선단 접합부(17)는 가이드 와이어(11)의 선단을 구성하며, 대략 반구체 모양을 이루고 있다. 선단 접합부(17)의 재료도,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본 실시 형태에서는, Ag-Sn계 납땜재가 사용되고 있으며, 그 외 Au-Sn계 납땜재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선단 접합부(17)는, 그 기단 형상이 가이드 와이어(11)의 길이 방향 기단측으로 돌출되는 사각형 모양의 볼록부(18)와, 길이 방향 선단측으로 돌출되는 만곡 형상의 오목부(19)를 가지도록 되어 있다. 즉, 선단 접합부(17)는 선단 접합부(17)를 도 4의 지면에 대해서 수직인 방향으로 절단(가이드 와이어(11)의 길이 방향에 대해서 수직인 방향으로 절단)했을 때의 단면을 보았을 때(본 발명의 「횡단면에서 볼 때」에 상당함), 그 단면의 외주 방향을 따라서 가이드 와이어(11)의 길이 방향의 길이가 상이하고, 길이 방향 기단측으로 돌출되는 사각형 모양의 볼록부(18)와, 길이 방향 선단측으로 돌출되는 만곡 형상의 오목부(19)에 의해서, 길이 방향 요철 형상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의 가이드 와이어(11)에 의하면, 선단 접합부(17)의 기단을, 횡단면에서 볼 때 외주 방향을 따라서 길이 방향 요철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가이드 와이어(11)가 만곡된 경우의 코일체(13)의 변형을, 길이 방향 기단측으로 돌출되는 사각형 모양의 볼록부(18)와 길이 방향 선단측으로 돌출되는 만곡 형상의 오목부(19)에 의해서 형성되는 간극(12)에 의해서 완화시킬 수 있음과 아울러, 가이드 와이어(11)가 만곡된 경우의 선단 접합부(17)로의 응력 집중을 방지하여, 코일체(13)로부터 선단 접합부(17)가 이탈하는 것을 더욱 방지할 수 있다.
또, 도 5에 도시하는 것처럼, 본 실시 형태의 가이드 와이어(11)에 의하면, 가이드 와이어(11)가 만곡된 경우의 코일체(13)의 변형을, 길이 방향 기단측으로 돌출되는 사각형 모양의 볼록부(18)와 코어 샤프트(5)에 의해서 형성되는 간극(14)에 의해서도 완화시킬 수 있고, 나아가서는, 선단 접합부(17)와 코일체(13)의 접합 강도를 향상시켜, 선단 접합부(17)가 코일체(13)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3 실시 형태)
이하, 제3 실시 형태를 설명하지만, 제1 실시 형태와 공통되는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고, 도면 중에서는 같은 부호를 부여하는 것으로 한다.
도 6은 제3 실시 형태의 가이드 와이어의 선단 확대도이고, 도 7은 도 6에 있어서의 종단면도이다.
도 6에 있어서, 가이드 와이어(21)는 코어 샤프트(5)와, 그 코어 샤프트(5)의 선단부에 고착된 코일체(23)와, 그 코일체(23)의 선단과 코어 샤프트(5)의 선단을 접합하는 선단 접합부(27)를 구비하고 있다.
코일체(23)는 코어 샤프트(5)의 둘레에 나선 모양으로 권회되어, 중공 원통 형상을 이루고 있다. 코일체(23)의 재료도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본 실시 형태에서는, 스텐레스강이 사용되고 있으며, 그 외 텅스텐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코일체(23)는, 7개의 금속 소선(도 7 참조)을 꼼으로써 형성된 연선(25)을 10개, 코어 샤프트(5)의 둘레에 나선 모양으로 권회하여 형성된 것이다.
선단 접합부(27)는 가이드 와이어(21)의 선단을 구성하며, 대략 반구체 모양을 이루고 있다. 선단 접합부(27)의 재료도,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본 실시 형태에서는, Ag-Sn계 납땜재가 사용되고 있으며, 그 외 Au-Sn계 납땜재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선단 접합부(27)는 그 기단 형상이, 가이드 와이어(21)의 길이 방향 기단측으로 돌출되는 쐐기 형상의 볼록부(28)와, 길이 방향 선단측으로 돌출되는 사각형 모양의 오목부(29)를 가지도록 되어 있다. 즉, 선단 접합부(27)는 선단 접합부(27)를 도 6의 지면에 대해서 수직인 방향으로 절단(가이드 와이어(21)의 길이 방향에 대해서 수직인 방향으로 절단)했을 때의 단면을 보았을 때(본 발명의 「횡단면에서 볼 때」에 상당함), 그 단면의 외주 방향을 따라서 가이드 와이어(21)의 길이 방향의 길이가 상이하고, 길이 방향 기단측으로 돌출되는 쐐기 형상의 볼록부(28)와, 길이 방향 선단측으로 돌출되는 사각형 모양의 오목부(29)에 의해서, 길이 방향 요철 형상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의 가이드 와이어(21)에 의하면, 선단 접합부(27)의 기단을, 횡단면에서 볼 때 외주 방향을 따라서 길이 방향 요철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가이드 와이어(21)가 만곡된 경우의 코일체(23)의 변형을, 길이 방향 기단측으로 돌출되는 쐐기 형상의 볼록부(28)와 길이 방향 선단측으로 돌출되는 사각형 모양의 오목부(29)에 의해서 형성되는 간극(22)에 의해서 완화시킬 수 있음과 아울러, 선단 접합부(27)를 구성하는 납땜재를, 연선(25)을 구성하는 금속 소선 사이에 침투시켜서, 가이드 와이어(21)의 선단 접합부(27)와 코일체(23)의 접합 강도를 향상시켜, 선단 접합부(27)가 코일체(23)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추가로 방지할 수 있다.
또, 도 7에 도시하는 것처럼, 본 실시 형태의 가이드 와이어(21)에 의하면, 가이드 와이어(21)가 만곡된 경우의 코일체(23)의 변형을, 길이 방향 기단측으로 돌출되는 쐐기 형상의 볼록부(28)와 코어 샤프트(5)에 의해서 형성되는 간극(24)에 의해서도 완화시킬 수 있고, 나아가서는, 선단 접합부(27)와 코일체(23)의 접합 강도를 향상시켜, 선단 접합부(27)가 코일체(23)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4 실시 형태)
이하, 제4 실시 형태를 설명하지만, 제1 실시 형태와 공통되는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고, 도면 중에서는 같은 부호를 부여하는 것으로 한다.
도 8은 제4 실시 형태의 가이드 와이어의 전체도이고, 도 9는 도 8의 선단 확대도이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종단면도는, 도 7과 같으므로 생략한다.
도 8에 있어서, 가이드 와이어(31)는 코어 샤프트(5)와, 그 코어 샤프트(5)의 선단부에 고착된 코일체(33)와, 그 코일체(33)의 선단과 코어 샤프트(5)의 선단을 접합하는 선단 접합부(37)와, 코일체(33)의 기단과 코어 샤프트(5)를 접합하는 기단 접합부(36)를 구비하고 있다.
코일체(33)는 코어 샤프트(5)의 둘레에 나선 모양으로 권회되어, 중공 원통 형상을 이루고 있다. 코일체(33)의 재료도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본 실시 형태에서는, 스텐레스강이 사용되고 있으며, 그 외 텅스텐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코일체(33)는, 제3 실시 형태의 코일체(23)와 마찬가지로, 7개의 금속 소선을 꼼으로써 형성된 연선(35)을 10개, 코어 샤프트(5)의 둘레에 나선 모양으로 권회하여 형성된 것이다.
선단 접합부(37)는 가이드 와이어(31)의 선단을 구성하며, 대략 반구체 모양을 이루고 있다. 선단 접합부(37)의 재료도,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본 실시 형태에서는, Ag-Sn계 납땜재가 사용되고 있으며, 그 외 Au-Sn계 납땜재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선단 접합부(37)는, 그 기단 형상이 가이드 와이어(31)의 길이 방향 기단측으로 돌출되는 쐐기 형상의 볼록부(38)와, 길이 방향 선단측으로 돌출되는 만곡 형상의 오목부(39)를 가지도록 되어 있다. 즉, 선단 접합부(37)는, 선단 접합부(37)를 도 9의 지면에 대해서 수직인 방향으로 절단(가이드 와이어(31)의 길이 방향에 대해서 수직인 방향으로 절단)했을 때의 단면을 보았을 때(본 발명의 「횡단면에서 볼 때」에 상당함), 그 단면의 외주 방향을 따라서 가이드 와이어(31)의 길이 방향의 길이가 상이하고, 길이 방향 기단측으로 돌출되는 쐐기 형상의 볼록부(38)와 길이 방향 선단측으로 돌출되는 만곡 형상의 오목부(39)에 의해서, 길이 방향 요철 형상이 형성되어 있다.
기단 접합부(36)는 그 선단부의 외경이 코일체(33)의 외경과 대략 동일하게 되어 있다. 기단 접합부(36)의 재료도,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본 실시 형태에서는, Ag-Sn계 납땜재가 사용되고 있으며, 그 외 Au-Sn계 납땜재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실시 형태의 가이드 와이어(31)에 의하면, 선단 접합부(37)의 기단을, 횡단면에서 볼 때 외주 방향을 따라서 길이 방향 요철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가이드 와이어(31)가 만곡된 경우의 코일체(33)의 변형을, 길이 방향 기단측으로 돌출되는 쐐기 형상의 볼록부(38)와 길이 방향 선단측으로 돌출되는 만곡 형상의 오목부(39)에 의해서 형성되는 간극(32)에 의해서 완화시킬 수 있다.
또, 선단 접합부(37)를 구성하는 납땜재를, 연선(35)을 구성하는 금속 소선 사이에 침투시키고, 가이드 와이어(31)의 선단 접합부(37)와 코일체(33)의 접합 강도를 더욱 향상시킴과 아울러, 만곡 형상의 오목부(39)에 의해서, 가이드 와이어(31)가 만곡된 경우의 선단 접합부(37)로의 응력 집중을 방지하여, 선단 접합부(37)가 코일체(33)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추가로 방지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각종 실시 형태의 가이드 와이어에 대해 설명해 왔지만,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그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여러 가지 변경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술한 실시 형태의 가이드 와이어에서는, 코일체를 금속 소선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했지만, 수지 소선으로 형성되도록 해도 된다. 단, 선단 접합부를 납땜재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면, 금속 소선으로 형성하는 쪽이 접합의 관계에서 좋다.
또, 상술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선단 접합부를 Ag-Sn계 납땜재 또는 Au-Sn계 납땜재로 했지만, 접착제를 사용하여 코어 샤프트와 코일체를 고착시켜도 된다. 단, 종래의 실적을 참조하면, Ag-Sn계 납땜재 또는 Au-Sn계 납땜재의 쪽이 고착 강도가 보다 양호하다.
1, 11, 21, 31 … 가이드 와이어
2, 4, 12, 14, 22, 24,32 … 간극
3, 13, 23, 33 … 코일체
5 … 코어 샤프트
6, 36 … 기단 접합부
7, 17, 27, 37 … 선단 접합부
8, 18, 28, 38 … 볼록부
9, 19, 29, 39 … 오목부
25, 35 … 연선

Claims (3)

  1. 코어 샤프트와,
    그 코어 샤프트의 외주(外周)를 덮는 코일체와,
    상기 코어 샤프트의 선단과 상기 코일체의 선단을 접합(接合)하는 접합부를 구비한 가이드 와이어에 있어서,
    상기 접합부의 기단은, 횡단면에서 볼 때 외주 방향을 따라서 길이 방향 요철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길이 방향 요철 형상은, 길이 방향 기단측으로 돌출된 볼록부와, 길이 방향 선단측으로 돌출된 오목부와, 상기 볼록부와 상기 오목부에 의해 형성된 간극을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와이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요철 형상으로 형성된 상기 기단 중, 길이 방향 선단측으로 돌출된 오목부는, 만곡(灣曲)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와이어.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코일체는 복수의 소선을 꼰 연선(撚線)을 복수 개 나선 모양으로 권회(卷回)하여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와이어.
KR1020177001925A 2016-03-10 2016-03-10 가이드 와이어 KR10213730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6/057539 WO2017154164A1 (ja) 2016-03-10 2016-03-10 ガイドワイ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4305A KR20170134305A (ko) 2017-12-06
KR102137302B1 true KR102137302B1 (ko) 2020-07-23

Family

ID=597879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01925A KR102137302B1 (ko) 2016-03-10 2016-03-10 가이드 와이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493245B2 (ko)
EP (1) EP3248644B1 (ko)
JP (1) JP6233997B1 (ko)
KR (1) KR102137302B1 (ko)
CN (2) CN107683161B (ko)
WO (1) WO201715416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906104B2 (ja) * 2018-05-09 2021-07-21 朝日インテック株式会社 医療用チューブ
CN112312955B (zh) * 2018-06-29 2022-12-20 朝日英达科株式会社 导丝
JP7261879B2 (ja) * 2019-06-28 2023-04-20 朝日インテック株式会社 ガイドワイヤ
JP6994287B2 (ja) 2020-02-27 2022-01-14 朝日インテック株式会社 ガイドワイヤ
WO2022113233A1 (ja) * 2020-11-26 2022-06-02 朝日インテック株式会社 ガイドワイヤ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281230A1 (en) 2007-05-11 2008-11-13 Terumo Kabushiki Kaisha Guide Wire
JP2014161705A (ja) * 2013-02-28 2014-09-08 Asahi Intecc Co Ltd ガイドワイヤ

Family Cites Families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73556A (en) * 1975-06-20 1976-08-10 Lake Region Manufacturing Company, Inc. Smoothened coil spring wire guide
US4456017A (en) * 1982-11-22 1984-06-26 Cordis Corporation Coil spring guide with deflectable tip
US4721117A (en) * 1986-04-25 1988-01-26 Advanced Cardiovascular Systems, Inc. Torsionally stabilized guide wire with outer jacket
US6251086B1 (en) * 1999-07-27 2001-06-26 Scimed Life Systems, Inc. Guide wire with hydrophilically coated tip
US6306105B1 (en) * 1998-05-14 2001-10-23 Scimed Life Systems, Inc. High performance coil wire
US20040082879A1 (en) * 2000-01-28 2004-04-29 Klint Henrik S. Endovascular medical device with plurality of wires
US6638267B1 (en) * 2000-12-01 2003-10-28 Advanced Cardiovascular Systems, Inc. Guidewire with hypotube and internal insert
JP2002275774A (ja) * 2001-03-21 2002-09-25 Asahi Intecc Co Ltd 医療用チューブ体、バルーンカテーテルおよび医療用ガイドワイヤ
US6881194B2 (en) * 2001-03-21 2005-04-19 Asahi Intec Co., Ltd. Wire-stranded medical hollow tube, and a medical guide wire
US7532920B1 (en) * 2001-05-31 2009-05-12 Advanced Cardiovascular Systems, Inc. Guidewire with optical fiber
US7025734B1 (en) * 2001-09-28 2006-04-11 Advanced Cardiovascular Systmes, Inc. Guidewire with chemical sensing capabilities
EP1338298B1 (en) * 2001-10-25 2006-12-06 Nipro Corporation Guide wire
US7169118B2 (en) * 2003-02-26 2007-01-30 Scimed Life Systems, Inc. Elongate medical device with distal cap
ATE495782T1 (de) * 2004-03-26 2011-02-15 Lake Region Medical R & D Ltd Medizinischer führungsdraht mit distalen kante
US8702626B1 (en) * 2004-04-21 2014-04-22 Acclarent, Inc. Guidewires for performing image guided procedures
US9974930B2 (en) * 2005-03-24 2018-05-22 Brivant Research & Development Limited Guide wire for use in re-canalising a vascular occlusion in a human or animal subject
US20070185415A1 (en) 2005-07-07 2007-08-09 Ressemann Thomas V Steerable guide wire with torsionally stable tip
US8043232B2 (en) * 2005-08-05 2011-10-25 Cook Medical Technologies Llc High performance wire guide
US9095685B2 (en) * 2008-01-23 2015-08-04 Mediguide Ltd. Sensor mounted flexible guidewire
JP4889062B2 (ja) * 2010-02-19 2012-02-29 朝日インテック株式会社 ガイドワイヤ
JP5240948B2 (ja) * 2010-08-02 2013-07-17 朝日インテック株式会社 ガイドワイヤ
JP5273820B2 (ja) * 2010-08-10 2013-08-28 朝日インテック株式会社 ガイドワイヤ
JP5448200B2 (ja) * 2011-03-01 2014-03-19 朝日インテック株式会社 ガイドワイヤ
JP2012200290A (ja) * 2011-03-23 2012-10-22 Asahi Intecc Co Ltd ガイドワイヤ
JP2014236757A (ja) * 2011-09-29 2014-12-18 テルモ・クリニカルサプライ株式会社 ガイドワイヤ
JP2013094343A (ja) * 2011-10-31 2013-05-20 Asahi Intecc Co Ltd ガイドワイヤ
US20140350568A1 (en) * 2012-02-12 2014-11-27 CardioSert Ltd. Guide wire for use with cardiovascular lesions
US8574170B2 (en) * 2012-04-06 2013-11-05 Covidien Lp Guidewire
US9138566B2 (en) * 2012-05-13 2015-09-22 Bendit Technologies Ltd. Steering tool
JP5448125B1 (ja) * 2013-05-31 2014-03-19 株式会社エフエムディ 医療用ガイドワイヤ
JP6294211B2 (ja) * 2014-02-24 2018-03-14 朝日インテック株式会社 ガイドワイヤ
JP6482766B2 (ja) * 2014-03-19 2019-03-13 朝日インテック株式会社 ガイドワイヤ
JP5875200B2 (ja) * 2014-10-14 2016-03-02 朝日インテック株式会社 ガイドワイヤ
CA2983341A1 (en) * 2015-05-06 2016-11-10 Rotation Medical, Inc. Medical implant delivery system and related methods
EP3294160B1 (en) * 2015-05-14 2022-04-20 Cook Medical Technologies, LLC Endoscopic needle stylet with enhanced-flexibility lengths
JP6813243B2 (ja) * 2016-05-27 2021-01-13 朝日インテック株式会社 ガイドワイヤ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281230A1 (en) 2007-05-11 2008-11-13 Terumo Kabushiki Kaisha Guide Wire
JP2014161705A (ja) * 2013-02-28 2014-09-08 Asahi Intecc Co Ltd ガイドワイ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493245B2 (en) 2019-12-03
EP3248644A1 (en) 2017-11-29
EP3248644B1 (en) 2020-08-12
CN113181513A (zh) 2021-07-30
KR20170134305A (ko) 2017-12-06
CN113181513B (zh) 2023-05-12
US20170259040A1 (en) 2017-09-14
CN107683161B (zh) 2021-04-27
JPWO2017154164A1 (ja) 2018-03-22
CN107683161A (zh) 2018-02-09
JP6233997B1 (ja) 2017-11-22
WO2017154164A1 (ja) 2017-09-14
EP3248644A4 (en) 2018-05-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37302B1 (ko) 가이드 와이어
JP5273820B2 (ja) ガイドワイヤ
US10493234B2 (en) Catheter
US11247027B2 (en) Guidewire having a distal-end brazing member formed with different brazing portions
US11432808B2 (en) Guide wire
EP2921195A1 (en) Guide wire
JP6624600B2 (ja) カテーテル
JP6671072B2 (ja) ガイドワイヤ
JP6994287B2 (ja) ガイドワイヤ
JP6515012B2 (ja) ガイドワイヤ
JP6813243B2 (ja) ガイドワイヤ
JP6534606B2 (ja) ガイドワイヤ
JP5780532B2 (ja) 医療用ガイドワイヤ
EP4360688A1 (en) Guide wire
JP7021464B2 (ja) セパレータおよび吸引システム
JP6313183B2 (ja) ガイドワイヤ
JP5376542B2 (ja) 医療用ガイドワイヤ
JP2012179204A (ja) 医療用ガイドワイ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