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5759B1 - 운반 장치 및 운반 방법 - Google Patents

운반 장치 및 운반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5759B1
KR102135759B1 KR1020180069752A KR20180069752A KR102135759B1 KR 102135759 B1 KR102135759 B1 KR 102135759B1 KR 1020180069752 A KR1020180069752 A KR 1020180069752A KR 20180069752 A KR20180069752 A KR 20180069752A KR 102135759 B1 KR102135759 B1 KR 1021357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sample
members
lower members
trans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97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42602A (ko
Inventor
김의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800697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5759B1/ko
Publication of KR201901426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426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57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57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04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solid state, e.g. by cut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11/00Hand-propelled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28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including physical details of (bio-)chemical methods covered elsewhere, e.g. G01N33/50, C12Q
    • G01N1/286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including physical details of (bio-)chemical methods covered elsewhere, e.g. G01N33/50, C12Q involving mechanical work, e.g. chopping, disintegrating, compacting, homogenis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2001/002Device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samples to an analysing apparatu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28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including physical details of (bio-)chemical methods covered elsewhere, e.g. G01N33/50, C12Q
    • G01N1/286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including physical details of (bio-)chemical methods covered elsewhere, e.g. G01N33/50, C12Q involving mechanical work, e.g. chopping, disintegrating, compacting, homogenising
    • G01N2001/2873Cutting or cleav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athology (AREA)
  • Immu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운반물을 탑재하여 이동시키는 운반 장치로서, 폭 방향의 일측에 상기 운반물의 반입 및 반출이 가능한 출입구가 마련되고, 출입구 내측에 상기 운반물이 적재되어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을 가지는 탑재부, 탑재부의 상부에서, 출입구와 대응하는 위치에 마련되어, 이동 장치와 체결 가능한 체결부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운반 장치에 의하면, 복수의 샘플 또는 복수의 스크랩을 적재시켜 이송될 때, 운반 장치가 출입구 방향으로 상향 경사 또는 출입구와 반대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도록 한다. 이에, 복수의 1차 샘플 또는 스크랩이 탑재된 상태로 운반 장치를 이송시킬 때, 출입구를 통해 1차 샘플 또는 스크랩이 낙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운반 장치 및 운반 방법{APPARATUS FOR TRANSPORTING AND METHOD FOR TRANSPORTING}
본 발명은 운반 장치 및 운반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운반물을 안전하게 운반할 수 있는 운반 장치 및 운반 방법에 관한 것이다.
연속 주조 설비에 의해 주편이 주조되면, 주편의 크랙 발생 여부 등을 평가하기 위해 주편으로터 샘플을 채취한다.
이하, 샘플을 채취 또는 마련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샘플을 마련하는데 있어서, 연속 주조되어 납품 또는 제품 스펙에 부합하는 소정의 길이로 절단된 주편으로부터 평가할 샘플을 마련한다. 이를 위해, 먼저 토치를 포함하는 제 1 샘플 절단기를 일 방향으로 자동 이동시켜, 소정 길이로 절단되어 있는 주편을 다시 절단한다.
한편, 주편의 결함(crack) 여부를 평가하는데 있어서, 통상적으로 황 프린트(surfur-print)를 샘플에 부착시키는 방법을 이용한다.
그런데, 인화지의 면적은 통상 250mm X 100mm로 아주 작고, 주편의 면적은 상당히 크기 때문에, 일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 1 샘플 절단기를 이용하여 주편을 절단하면, 샘플의 면적은 인화지의 면적(250mm X 100mm)에 비해 상당히 크다. 이에, 작업자가 수동으로 조작이 가능하며, 보다 미세하고, 다양한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한 제 2 절단기를 이용하여 샘플을 다시 절단함으로써, 인화지의 면적에 대응하거나, 인화지의 면적이 비해 작은 면적을 가지는 샘플을 마련한다.
이하에서는 절단된 주편을 제 1 면적을 가지도록 다시 절단한 주편을 1차 샘플이라 명명하고, 상기 1차 샘플을 다시 절단하여 제 2 면적을 가지도록 절단한 주편을 2차 샘플이라 명명한다.
한편 주편을 1차 절단하는 1차 절단 과정에서 불꽃을 이용하는 토치를 이용하여 주편을 절단하기 때문에, 1차 샘플의 온도가 높다. 이에, 작업자가 1차 샘플(SA1)에 대해 2차 절단을 실시할 때, 1차 샘플의 고열에 의해 안전 사고가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1차 샘플을 냉각장으로 이동시켜 냉각시킨 뒤에, 냉각된 1차 샘플을 다시 절단하여 2차 샘플을 마련한다. 그리고, 2차 샘플 마련 후, 잔여물 즉 스크랩은 외부로 운반된다.
이렇게 1차 샘플을 냉각장으로 이동 시키거나, 냉각된 1차 샘플을 다시 2차 절단을 위해 이동시키거나, 스크랩을 외부로 운반할 때, 복수의 1차 샘플의 탑재가 가능한 운반 장치 예컨대 그랩(grab)를 사용한다.
여기서, 운반 장치는 일측에 1차 샘플의 반입 및 반출이 가능한 출입구가 마련되며, 한글 자음의 'ㄷ' 자 형태의 그랩(Grab)일 수 있다. 그리고, 운반 장치의 상부에서 폭 방향의 중심에는 호이스트의 후크의 체결이 가능한 고리가 장착되어 있다.
또한, 운반 장치의 상부에 작업자 손의 파지가 가능한 핸들이 장착된다. 핸들은 운반 장치 상부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운반 장치의 상부와 수평하면서, 높이가 같다.
한편, 운반 장치 내에 1차 샘플을 적재시킨 상태에서 호이스트를 이용하여 운반 장치를 상승 및 이동시키면, 상기 운반 장치의 출입구를 통해 1차 샘플이 반출되어 낙하될 수 있다. 이에, 안전 사고가 발생된다.
또한, 운반 장치의 방향 또는 위치 조정이 필요할 때, 작업자가 손으로 핸들을 파지하여, 작업자가 운반 장치를 잡은 상태에서 상기 운반 장치의 방향 또는 위치를 바꾼다. 그런데, 운반 장치의 상부에 인접하도록 높게 1차 샘플이 쌓이면, 핸들과 1차 샘플 간의 이격 공간이 부족하여, 작업자가 핸들을 용이하게 파지할 수 없어, 조업에 쉽지 않은 문제가 있다.
그리고, 2차 샘플 마련 후, 작업자가 잔여물인 스크랩을 운반 장치에 적재시켜 외부로 운반시키는데, 운반 장치의 상부에 인접하도록 스크랩을 높게 적재시킬 때, 핸들과 최상측 스크랩 간의 이격 간격이 좁아 작업자의 손이 끼거나 찧는 등의 안전 사고가 발생될 수 있다.
한국등록특허 KR0682094B1
본 발명은 운반물의 낙하되는 일 없이 안전하게 운반할 수 있는 운반 장치 및 운반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운반물을 적재시킬 때, 작업자의 안전 사고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운반 장치 및 운반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운반물을 탑재하여 이동시키는 운반 장치로서, 폭 방향의 일측에 상기 운반물의 반입 및 반출이 가능한 출입구가 마련되고, 상기 출입구 내측에 상기 운반물이 적재되어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을 가지는 탑재부; 상기 탑재부의 상부에서, 출입구와 대응하는 위치에 마련되어, 이동 장치와 체결 가능한 체결부;를 포함한다.
상기 탑재부의 상부로부터 상측으로 상향 경사진 형상으로 형성되어, 작업자의 손의 파지가 가능한 핸들을 포함한다.
상기 탑재부는, 각각이 일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연장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나열 배치된 한 쌍의 하부 부재; 한 쌍의 하부 부재와 대향하도록, 상기 한 쌍의 하부 부재의 상측으로 이격 배치된 상부 부재; 각각이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한 쌍의 하부 부재의 나열 방향으로 나열되어 이격 배치되며, 한 쌍의 하부 부재와 상부 부재를 연결하도록 설치된 한 쌍의 측부 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출입구는 상기 한 쌍의 측부 부재와 마주보는 공간이면서, 상기 측부 부재와 연결된 상부 부재의 일단의 반대 위치인 상기 상부 부재의 타단과, 상기 측부 부재와 연결된 상기 한 쌍의 하부 부재의 일단과 반대 위치인 상기 한 쌍의 하부 부재의 타단 사이의 공간이다.
상기 상부 부재 중, 상기 측부 부재와 연결된 일단과 반대 위치인 타단과 인접한 위치에 상기 체결부가 장착된다.
상기 핸들은 복수개로 마련되어 상하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며, 복수의 상기 핸들의 경사각은 상호 상이하고, 하측에 위치된 핸들의 경사각이 상측에 위치된 핸들의 경사각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운반 방법은 폭 방향의 일측에 출입구가 마련된 탑재부의 내측에 운반물을 적재시키는 과정; 상기 출입구 방향으로 상향 경사지도록 상기 탑재부를 기울인 상태에서, 상기 탑재부를 이동시키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 운반물이 적재된 탑재부를 회전시키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탑재부를 회전시키는데 있어서, 상기 탑재부의 상부로부터 상측으로 상향 경사진 핸들을 이용하여 상기 탑재부를 회전시킨다.
상기 탑재부는, 각각이 일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연장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나열 배치된 한 쌍의 하부 부재; 한 쌍의 하부 부재와 대향하도록, 상기 한 쌍의 하부 부재의 상측으로 이격 배치된 상부 부재; 및 각각이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한 쌍의 하부 부재의 나열 방향으로 나열되어 이격 배치되며, 한 쌍의 하부 부재와 상부 부재를 연결하도록 설치된 한 쌍의 측부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탑재부에 상기 운반물을 탑재시키는데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하부 부재의 나열 방향과 나란하도록 상기 운반물을 배치시키거나, 상기 한 쌍의 하부 부재의 나열 방향과 교차하여, 상기 한 쌍의 삽입 부재 사이를 통과하도록 상기 운반물을 배치시킨다.
상기 탑재부에 복수의 운반물이 탑재되고, 복수의 상기 운반물을 상기 탑재부에 탑재시키는데 있어서, 일부의 운반물은 상기 한 쌍의 하부 부재의 나열 방향과 나란하도록 배치되고, 다른 운반물은 상기 한 쌍의 하부 부재의 나열 방향과 교차하여, 상기 한 쌍의 측부 부재 사이를 통과하도록 배치되어, 복수의 상기 운반물이 상호 교차하도록 배치되며, 최하측의 운반물은 상기 한 쌍의 하부 부재의 나열 방향과 나란하도록 배치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운반 장치에 복수의 샘플 또는 복수의 스크랩을 적재시켜 이송될 때, 운반 장치가 출입구 방향으로 상향 경사 또는 출입구와 반대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도록 한다. 이에, 복수의 1차 샘플 또는 스크랩이 탑재된 상태로 운반 장치를 이송시킬 때, 출입구를 통해 1차 샘플 또는 스크랩이 낙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운반 장치의 위치 조정을 위해 작업자의 손이 핸들에 파지될 때, 보다 안정적으로 파지할 수 있다. 그리고, 작업자가 스크랩을 운반 장치에 적재시킬 때, 작업자의 손이 핸들과 최상측 스크랩 사이에 끼이거나 찧는 등의 안전 사고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운반 장치를 이용한 피처리물의 운반 및 피처리물의 처리 방법을 순서대로 나타낸 순서도
도 2는 연속 주조된 주편을 제품 출하를 위한 또는 목표하는 소정의 면적으로 절단하는 것을 개념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3은 절단된 주편을 1차 절단하여 1차 샘플을 마련하는 것을 개념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4 내지 도 9는 복수의 1차 샘플을 실시예에 따른 운반 장치에 탑재시키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운반 장치에 1차 샘플이 탑재된 상태에서, 상기 운반 장치를 상승시키기 전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운반 장치에 1차 샘플이 탑재된 상태에서, 상기 운반 장치를 상승시킨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차 상에 2개의 1차 샘플이 탑재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3은 대차 상에 탑재된 1차 샘플을 제 2 샘플 절단기를 이용하여 절단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피처리물을 운반하는데 있어서, 상기 피처리물의 낙하 및 작업자의 안전 사고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운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실시예에 따른 피처리물은 연속 주조 설비에서 연속으로 주조된 주편으로부터 채취한 샘플(sample)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운반 장치를 이용한 피처리물의 운반 및 피처리물의 처리 방법을 순서대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2는 연속 주조된 주편을 제품 출하를 위한 또는 목표하는 소정의 면적으로 절단하는 것을 개념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절단된 주편을 1차 절단하여 1차 샘플을 마련하는 것을 개념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9는 복수의 1차 샘플을 실시예에 따른 운반 장치에 탑재시키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운반 장치에 1차 샘플이 탑재된 상태에서, 상기 운반 장치를 상승시키기 전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운반 장치에 1차 샘플이 탑재된 상태에서, 상기 운반 장치를 상승시킨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차 상에 2개의 1차 샘플이 탑재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대차 상에 탑재된 1차 샘플을 제 2 샘플 절단기를 이용하여 절단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실시예에 따른 샘플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연속 주조 설비의 몰드로부터 연속으로 인발된 주편(S)을 제품 출하를 위한 또는 목표하는 소정의 면적으로 절단하여 절단된 소정 면적의 주편(S)을 마련한다(도 2 참조). 그리고, 제조된 주편에 대해 크랙 발생 여부와 같은 품질 평가가 이루어지는데, 이를 위해 절단된 주편(S)으로부터 샘플을 채취한다.
즉, 제품 출하를 위한 또는 목표하는 소정의 면적으로 절단된 주편(S)을 다시 소정의 면적으로 절단한 것을 샘플이라 하며, 샘플은 모재가 되는 주편의 품질을 평가하는데 사용된다.
제품 출하를 위한 또는 목표하는 소정의 면적으로 절단된 주편(S)으로부터 샘플을 마련하는데 있어서, 평가가 용이한 면적으로 샘플을 마련하기 위해, 2 차례의 절단 과정을 거칠 수 있다.
예컨대, 연속 주조 설비로부터 절단된 주편(S)은 예컨대 천정 크레인을 통해 샘플 마련 작업장으로 이동된다. 그리고, 절단된 주편(S)을 샘플 마련 장업장에서, 소정의 면적(이하, 제 1 면적)으로 절단하고(S100), 제 1 면적을 가지는 샘플을 상기 제 1 면적에 비해 작은 면적(이하, 제 2 면적)으로 절단한다(S700).
이하에서는 절단된 주편(S)을 제 1 면적을 가지도록 절단한 주편을 1차 샘플(SA1)이라 명명하고, 상기 1차 샘플(SA1)을 다시 절단하여 제 2 면적을 가지도록 절단한 주편을 2차 샘플(SA2)이라 명명한다.
또한, 연속 주조 설비에서 주조된 주편을 제품 출하를 목적으로 하는 길이로 절단하는 절단기를 주편 절단기(C), 절단된 주편(S)을 다시 절단하여 제 1 면적을 가지는 1차 샘플(SA1)을 마련하는 절단기를 제 1 샘플 절단기(SC1), 1차 샘플(SA1)을 절단하여 제 2 면적을 가지는 2차 샘플(SA2)을 마련하는 절단기를 제 2 샘플 절단기(SC2)라 명명한다.
여기서, 주편 절단기(C), 제 1 및 제 2 샘플 절단기(SC1, SC2) 각각은 불꽃을 이용하여 절단하는 토치일 수 있다. 제 1 샘플 절단기(SC1)는 주편(S)에 대해 일 방향으로 자동 이동이 가능한 토치일 수 있고, 제 2 샘플 절단기(SC2)는 제 1 샘플 절단기(SC1)에 비해 미세하게 이동 가능하며, 다양한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고, 작업자에 의해 조작이 가능한 토치일 수 있다.
또한, 절단된 주편(S)으로부터 샘플을 마련하기 위해 상기 주편을 절단하는 과정에 있어서, 제 1 샘플 절단기(SC1)를 이용하여 주편(S)을 절단하여 제 1 면적을 가지는 1차 샘플(SA1)을 마련하는 과정을 1차 절단 과정이라 명명하고(S100), 제 2 샘플 절단기(SC2)를 이용하여 1차 샘플(SA1)을 절단하여 제 2 면적을 가지는 2차 샘플(SA2)을 마련하는 과정을 2차 절단 과정이라 명명한다(S700).
샘플 마련 작업장으로 이동된 주편(S)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 샘플 절단기(SC1)에 의해 1차 절단이 실시되며, 1차 절단된 주편 즉, 1차 샘플(SA1)은 그 아래에 놓여 있는 대차(100) 상에 놓이게 된다(도 4 참조).
한편, 주편의 결함(crack) 여부를 평가하는데 있어서, 통상적으로 황 프린트(surfur-print) 방법을 이용한다. 황 프린트(S-Print) 법은 샘플 중에 황화철(FeS), 황화망간(MnS)의 형태로 존재하는 설퍼(sulfur)를 황산(H2SO4)으로 적신 브롬화물(bromide) 인화지에다 검출해내는 방법으로서, 이에 따른 주요 화학 반응식은 아래의 화학식 1, 2와 같다.
화학식1) MnS + H2SO4 → MnSO4 + H2S↑
화학식2) AgBr2 + H2S → AgS + 2HBr
화학식 1에서 발생한 황화수소(H2S)는 브롬화물 인화지와 상기 화학식 2와 같이 반응 결과, 유황이 많은 곳에 접한 인화지는 황화수소(H2S)가 많이 나와 흑색으로 변하게 되며, 이를 이용하여 샘플에 내부 균열(crack)이 발생되었는지의 여부와 내부 개재물 내포여부, 중심 균열 발생여부, 중심 편석 발생여부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인화지의 면적은 통상 250mm X 100mm로 아주 작고, 주편(S)의 면적은 상당히 크기 때문에, 일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 1 샘플 절단기(SC1)를 이용하여 주편(S)을 절단하면, 1차 샘플(SA1)의 면적은 인화지의 면적(250mm X 100mm)에 비해 상당히 크다. 이에, 작업자가 수동으로 조작이 가능하며, 보다 미세하고, 다양한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한 제 2 샘플 절단기(SC2)를 이용하여 1차 샘플(SA1)을 절단함으로써, 인화지의 면적에 대응하거나, 인화지의 면적이 비해 작은 제 2 면적을 가지는 2차 샘플(SA2)을 마련한다.
그런데, 1차 절단 과정(S100)에서 불꽃을 이용하는 토치를 이용하여 주편(S)을 절단하기 때문에, 1차 샘플(SA1)은 온도가 높다. 이에, 1차 샘플(SA1)의 고열에 의해 작업자가 제 2 샘플 절단기(SC2)를 이용하여 상기 1차 샘플(SA1)을 절단하기가 용이하지 않거나, 안전 사고가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제 1 샘플 절단기(SC1)를 통해 1차 샘플(SA1)이 마련되면, 상기 1차 샘플을 냉각장으로 이동시켜 냉각시킨 뒤에(S500), 냉각된 1차 샘플(SA1)을 절단하여 2차 샘플(SA2)을 마련한다(S700). 마련된 2차 샘플(SA2)은 평가에 활용되고(S800), 2차 절단 후 2차 샘플(SA2) 외에 남은 잔여물 즉, 스크랩은 외부로 이동시킨다(S900).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운반 장치(2000)는 1차 샘플(SA1)을 냉각장으로 이동시키거나(S400), 냉각장에서 냉각된 1차 샘플(SA1)을 2차 절단을 위해 이동시키거나(S600), 2차 절단 뒤 남은 스크랩을 외부로 운반(S900)시키는데 활용되는 장치일 수 있다.
대차(100) 1차 샘플을 다음 작업 위치로 이동시키거나, 2차 절단하는데 활용될 수 있다. 즉, 1차 샘플(SA1)이 대차(100) 상에 적재되면, 대차(100)를 운반 장치(2000)가 위치된 방향으로 이동시킨 후에, 대차(100) 상의 1차 샘플(SA1)을 운반 장치(2000)에 탑재시킨다. 그리고 냉각된 1차 샘플(SA1)을 2차 절단하는데 있어서, 대차(100) 상에서 절단을 실시한다.
실시예에 따른 대차(100)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에 1차 샘플이 적재 가능한 지지부(110) 및 지지부(110)가 이동되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이동 부재(120)를 포함한다. 여기서, 이동 부재(120)는 회전이 가능한 바퀴(wheel)일 수 있다.
지지부(110)는, 각각이 일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연장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나열되어 상호 이격 배치된 복수의 지지 부재(111), 복수의 지지 부재(111)의 나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복수의 지지 부재(111)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 부재(112)를 포함한다.
대차(100)는 별도의 이동 장치(제 1 이동 장치)와 체결될 수 있고, 제 1 이동 장치의 구동력 및 이에 따른 이동 부재(120)의 동작에 의해 대차(100)가 이후 작업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예컨대, 제 1 이동 장치는 대차의 지지부(110)에 체결되는 후크, 후크에 연결되며 감김 및 풀림이 가능한 와이어를 포함하는 수단 예컨대 크레인 장치일 수 있다.
도 4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운반 장치(2000)는, 폭 방향 또는 좌우 방향에 있어서 일측에 1차 샘플(SA1)의 반입 및 반출이 가능한 출입구(2100a)가 마련되며, 상기 출입구(2100a)의 내측에 복수의 1차 샘플(SA1)의 수용이 가능한 공간이 마련된 탑재부(2100), 탑재부(2100)의 상부에서 출입구(2100a)와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운반 장치(2000)를 이송시키는 이동 장치(이하, 제 2 이동 장치(300))와 체결 가능한 체결부(2200), 탑재부(2100)의 상부로부터 외측으로 상향 경사진 형상이며, 작업자의 손으로 파지가 가능한 핸들(2300)을 포함한다.
제 2 이동 장치(300)는 운반 장치(2000)를 이동시키는 수단으로서, 예컨대 체결부(2200)에 체결 가능한 후크(310), 후크에 연결되며 감김 및 풀림이 가능한 로프를 구비하는 호이스트(320)를 포함하는 크레인 장치일 수 있다.
탑재부(2100)는 운반시키고자 하는 운반물 예컨대 1차 샘플(SA1) 및 스크랩을 적재 도는 탑재시키는 수단이다. 실시예에 따른 탑재부(21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폭 방향에 있어서 일측에 1차 샘플(SA1)의 반입 및 반출이 가능한 출입구(2100a)가 마련되며, 출입구(2100a)의 내측에는 1차 샘플의 수용이 가능한 수용 공간이 마련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실시예에 따른 탑재부(2100)는 각각이 대차(100)의 지지 부재(111)의 연장으로 연장 형성되며, 복수의 지지 부재(111)의 나열 방향으로 나열되어 이격 배치된 한 쌍의 하부 부재(2110a, 2110b), 한 쌍의 하부 부재(2110a, 2110b)와 대향하도록, 상기 한 쌍의 하부 부재(2110a, 2110b)의 상측으로 이격 배치된 상부 부재(2120), 각각이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복수의 지지 부재(111)의 나열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며, 한 쌍의 하부 부재(2110a, 2110b)와 상부 부재(2120)를 연결하도록 설치된 한 쌍의 측부 부재(2130a, 2130b)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부 부재(2120)의 하부면에는 요철이 마련될 수 있다.
한 쌍의 측부 부재(2130a, 2130b) 각각은 상술한 바와 같이 하부 부재(2110a, 2110b)와 상부 부재(2120) 사이를 연결하도록 설치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일 측부 부재(2130a)는 일 하부 부재(2110a)의 연장 방향의 양 끝단 중 일단과 상기 일 하부 부재(2110a)의 일단과 마주보는 상부 부재(2120)의 일단이 연결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다른 일 측부 부재(2130b)는 다른 일 하부 부재(2110b)의 연장 방향의 양 끝단 중 일단과 상기 다른 일 하부 부재(2110b)의 일단과 마주보는 상부 부재(2120)의 일단이 연결되도록 설치된다.
여기서, 한 쌍의 측부 부재(2130a, 2130b)와 마주보는 위치 또는 상부 부재(2120)의 타단과 하부 부재(2110a, 2110b)의 타단 사이의 공간이 운반물의 반출 빛 반입이 가능한 출입구(2100a)이다. 그리고, 상부 부재(2120)와 하부 부재(2110a, 2110b) 사이의 공간은 운반물이 적재되어 수용되는 공간(수용 공간)이다. 또한, 한 쌍의 측부 부재(2130a, 2130b) 사이의 공간은 한 쌍의 하부 부재(2110a, 2110b)의 나열 방향과 교차 또는 직교하는 운반물의 적어도 일부가 통과하는 공간이다.
체결부(2200)는 제 2 이동 장치(300)의 후크(310)가 체결되는 수단으로서, 후크(310)와 체결이 가능하도록 중앙이 빈 중공형일 수 있다. 체결부(2200)는 탑재부(2100)의 상부 부재(2120) 상에 장착되는데, 실시예에 따른 체결부(2200)는 측부 부재(2130a, 2130b)로부터 일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상부 부재에 있어서, 연장 방향의 양 끝단 중 측부 부재(2130a, 2130b)가 연결된 일단의 반대 위치인 타단에 고정 설치된다. 다른 말로 하면, 상부 부재(2120) 중, 측부 부재(2130a, 2130b)로부터 연장 형성된 연장 방향의 중심 또는 측부 부재(2130a, 2130b)와 대응하는 위치에 체결부(2200)가 연결되지 않고, 출입구(2100a)의 상측에 대응하는 위치에 체결부(2200)가 설치된다.
이렇게 체결부(2200)를 측부 부재(2130a, 2130b)와 마주보는 위치이면서, 상부 부재(2120)의 타단에 연결하는 것은, 제 2 이동 장치(300)의 후크(310)를 체결부(2200)에 걸어 운반 장치(2000)를 상승 및 이동시켰을 때, 운반 장치(2000)의 무게 중심이 측부 부재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다른 말로 하면, 제 2 이동 장치(300)의 후크(310)를 체결부(2200)에 걸어 운반 장치를 상승시켰을 때, 운반 장치(2000)가 측부 부재(2130a, 2130b) 방향으로 하향 경사 또는 출입구(2100a) 방향으로 상향 경사지게 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에, 운반 장치(2000)에 운반물이 탑재된 상태에서 실시예에 따른 체결부(2200)에 제 2 이동 장치(300)를 연결하여 운반 장치(2000)를 들어 올리면, 운반 장치(2000)의 측부 부재(2130a, 2130b) 방향으로 무게 중심이 이동하여, 상기 측부 부재(2130a, 2130b)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된다. 이에, 운반 장치(2000) 내 운반물 역시 출입구(2100a)측이 아닌, 측부 부재(2130a, 2130b) 방향으로 무게 중심이 이동한다. 따라서, 제 2 이동 장치(300)를 이용하여 1차 샘플(SA1)이 탑재된 운반 장치(2000)를 냉각장으로 이동하거나, 냉각된 1차 샘플(SA1)을 대차(100)로 이동시키거나, 스크랩이 탑재된 운반 장치(2000)를 이동시킬 때, 상기 운반 장치(2000)에 탑재된 운반물이 출입구(2100a)를 통해 외부로 낙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종래에는 체결부가 상부 부재의 중심에 연결되었다. 이에, 제 2 이동 장치의 후크를 체결부에 체결한 후, 운반 장치를 이동시키면, 1차 샘플 또는 스크랩이 출입구를 통해 반출되어 낙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체결부(2200)가 출입구(2100a)와 대응하는 위치에 장착됨에 따라, 운반 장치(2000)의 상승 및 이동시에 무게 중심이 출입구(2100a)와 반대되는 위치로 쏠리거나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운반 장치(2000)에 탑재된 운반물이 출입구(2100a)를 통해 반출되어 낙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부 부재(2120)의 하부면에는 요철이 마련될 수 있는데, 이 요철은 최상측에 탑재된 운반물과의 마찰력을 증가시켜, 상기 운반물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핸들(2300)은 작업자의 손으로 파지 가능한 수단으로, 탑재부(2100)의 상부에 장착된다. 실시예에 따른 핸들(2300)은 상부 부재(2120)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데, 상부 부재로부터 상향 경사지도록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인 예로, 실시예에 따른 핸들(2300)은 작압자의 손(h)으로 파지할 수 있는 형상으로서, 핸들(2300)의 양 끝단 각각이 상부 부재(2120)와 연결되고, 상기 양 끝단을 제외한 나머지가 상부 부재(2120)와 연결되지 않고 이격된 형상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핸들(2300)의 일측 끝단이 상부 부재(2120) 일단의 일측 가장자리에 연결되고, 핸들(2300)의 타측 끝단이 상부 부재(2120) 일단의 타측 가장자리에 연결되며, 상기 핸들(2300)의 일측 끝단과 타측 끝단 사이 영역은 상부 부재(2120)와 연결되지 않고 상기 상부 부재(2120)와 이격되어 있다. 여기서, 핸들(2300)과 상부 부재(2120) 간의 이격 공간은 작업자의 손(h)이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공간으로서, 이에 따라 작업자가 핸들(2300)을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핸들(2300)은 상부 부재(2120)로부터 상측으로 상향 경사진 형상이다. 이는 운반 장치(2000)의 수용 공간 내에 복수의 운반물이 적재되더라도, 운반 장치(2000)를 회전 또는 위치 조정을 위해 작업자가 핸들(2300)을 파지하기가 용이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복수의 운반물을 운반 장치(2000)에 탑재할 때, 복수의 운반물이 상호 교차하도록 탑재시키며, 그 형태는 예컨대 십자 형태일 수 있다. 즉, 일부 운반물은 한 쌍의 하부 부재(2110a, 2110b)의 나열 방향으로 배치시키고, 다른 일부 운반물은 한 쌍의 하부 부재(2110a, 2110b)의 연장 방향으로 배치시켜, 한 쌍의 측부 부재(2130a, 2130b) 사이의 이격 공간을 통과하도록 배치시켜 탑재시킨다. 이때, 최하측에 탑재되는 운반물은 한 쌍의 하부 부재(2110a, 2110b)의 나열 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한 쌍의 하부 부재(2110a, 2110b) 상에 적재된다. 그리고, 상부 부재(2120)의 하부면과 가까운 높이까지 운반물을 탑재시키는데, 최상측의 운반물은 한 쌍의 측부 부재(2130a, 2130b) 사이를 통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최상측의 운반물이 한 쌍의 측부 부재(2130a, 2130b) 사이를 통과하도록 배치되면, 핸들(2300)과 상부 부재(2120) 사이의 이격 공간의 하측에 상기 최상측의 운반물의 상부면의 적어도 일부가 배치된다.
이렇게, 최상측의 운반물이 상부 부재(2120)와 가까운 높이까지 적재되더라도, 핸들과 최상측 운반물 사이의 이격 공간이 충분히 넓다. 이는 실시예에 따른 핸들(2300)이 상부 부재로부터 상향 경사진 형상이기 때문이다. 이에, 복수의 운반물이 상부 부재(2120)의 하부면과 인접하도록 적재되어 탑재되더라도, 운반 장치(2000)의 회전 또는 위치 조정을 위해 작업자가 핸들(2300)을 파지할 때, 작업자의 손(h)과 최상측의 운반물이 맞닿는 일 없이 안정적으로 파지할 수 있다.
1차 샘플(SA1)을 절단하는 2차 절단이 종료되면, 2차 샘플(SA2) 외 남은 잔여물 즉 스크랩을 운반 장치(2000)에 탑재시켜 외부로 이동시킨다. 이를 위해, 작업자가 복수의 스크랩을 운반 장치(2000) 상에 상하 방향으로 적재하여 탑재시키는데, 스크랩을 한 쌍의 측부 부재(2130a, 2130b) 사이와 핸들(2300)의 하측 공간을 통과하도록 배치시켜, 상부 부재(2120) 하부면 가까운 높이까지 적재시킬 때, 작업자의 손(h)이 핸들(2300)과 스크랩 사이에 찌이거나 끼는 일 없이 안전하게 적재시킬 수 있다.
이는 실시예에 따른 핸들(2300)이 상부 부재(2120)로부터 상향 경사진 형상이기 때문에, 운반 장치(2000)의 상부 부재(2120) 하부면과 가깝도록 스크랩을 적재시키더라도, 핸들(2300)과 최상측 스크랩 간의 이격 공간이 넓기 때문이다.
한편, 종래의 운반 장치의 경우, 핸들이 경사진 형상이 아니며, 상부 부재와 평행 또는 수평 상태이다. 이에, 상부 부재의 하부면에 가까운 높이까지 1차 샘플을 적재시키고, 최상측의 1차 샘플이 한 쌍의 측부 부재 및 핸들의 하측 공간을 통과하도록 적재되면, 핸들과 최상측 1차 샘플 간의 이격 거리가 좁거나 없다. 이에, 1차 샘플이 적재된 운반 장치의 회전 및 위치 조정을 위해 작업자가 핸들을 파지할 때, 최상측의 1차 샘플과 손이 맞닿아 안정적으로 파지할 수 없게 되고, 이는 조업 사로고 이어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2차 절단 후 남은 스크랩을 이동시키기 위해, 운반 장치의 상부 부재의 하부면에 가까운 높이까지 적재하고, 최상측의 스크랩이 한 쌍의 측부 부재 및 핸들의 하측 공간을 통과하도록 적재시킬 때, 최상측의 스크랩과 핸들 간의 간격이 좁아, 작업자의 손이 핸들 및 최상측 스크랩 중 적어도 하나에 찌이거나 그 사이에 끼는 등의 안전 사고가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부 부재(2120)로부터 상측 방향으로 경사진 형상으로 핸들(2300)을 마련한다.
실시예에 따른 운반 장치(2000)는 복수의 핸들(2300a, 2300b)을 구비할 수 있다. 각각이 상부 부재(2120)로부터 상향 경사진 복수의 핸들(2300a, 2300b)을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핸들(2300a, 2300b)의 경사각은 서로 다르며, 상하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대적으로 하측에 위치하는 핸들(2300a)이 상측에 위치하는 핸들(2300b)에 비해 그 경사각이 작도록 한다. 예컨대, 2개의 핸들(2300a, 2300b)이 마련될 때, 하측에 위치되는 핸들(즉, 하부 핸들(2300a))이 상측에 위치되는 핸들(이하, 상부 핸들(2300b))에 비해 경사각이 작다.
이렇게 상부 부재(2120)로부터 상향 경사지되, 서로 경사각이 다른 복수의 핸들(2300a, 2300b)이 마련되는 경우, 운반 장치(2000)에 적재된 최상측 운반물의 높이, 운반 장치(2000)의 높이, 작업자의 신장에 따라 작업이 용이한 핸들(2300)을 선택적으로 파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실시예에 따른 탑재부(2100) 및 운반 장치(2000)의 동작과, 1차 샘플(SA1) 및 2차 샘플(SA2)의 마련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이때, 2개의 1차 샘플(SA1)을 이용하여 2차 샘플(SA2)을 마련하는 경우를 설명하며,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2개의 1차 샘플(SA1)중 하나를 제 1의 1차 샘플(SA1), 다른 하나의 1차 샘플(SA1)을 제 2의 1차 샘플(SA1)이라 명명한다.
먼저, 주조되어 제품 출하를 위한 또는 목적하는 면적으로 절단된 주편(S)을 제 1 샘플 절단기(SC1)를 이용하여 절단하여(S100), 1차 샘플(SA1)을 마련한다(도 3 참조). 이때, 서로 다른 절단된 주편(S) 각각을 절단하여 2개의 1차 샘플을 마련한다. 2개의 1차 샘플(SA1)은 대차(100) 상에 탑재시키는데, 제 1 및 제 2의 1차 샘플(SA1) 각각은 복수의 지지 부재(111) 나열 방향으로 대차 상에 적재되고, 제 1의 1차 샘플(SA1)과 제 2의 1차 샘플(SA1)이 복수의 지지 부재(111)의 나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나열, 이격되도록 적재한다.
이후, 2개의 1차 샘플(SA1) 중, 제 1의 1차 샘플(SA1)을 먼저 운반 장치(2000) 상에 탑재시킨다. 이를 위해, 먼저 운반 장치(2000)의 한 쌍의 하부 부재(2110a, 2110b)가 제 1의 1차 샘플(SA1)의 하측에 위치하도록 한다.
이를 위해, 먼저 한 쌍의 하부 부재(2110a, 2110b)의 나열 방향이 제 1의 1차 샘플(SA1)의 연장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한 쌍의 하부 부재(2110a, 2110b)가 제 1의 1차 샘플(SA1)의 하측에 위치하도록 한다. 즉, 제 1의 1차 샘플(SA1)의 하측 위치에서 한 쌍의 하부 부재(2110a, 2110b) 사이의 이격 공간에 지지 부재(111)가 위치되도록 운반 장치(2000)의 위치를 조정한다. 그리고, 운반 장치(2000)를 제 1의 1차 샘플(SA1)을 향해 전진 이동시키면, 제 1의 1차 샘플(SA1)이 운반 장치(2000)의 출입구(2100a)를 통해 수용 공간으로 인입되어 수용된다.
다음으로, 제 2 이동 장치(300)를 이용하여 운반 장치(2000)를 상승시키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차(100) 상에 탑재되어 있던 제 1의 1차 샘플(SA1)이 한 쌍의 하부 부재(2110a, 2110b) 상에 탑재된다. 그리고, 작업자는 핸들(2300)을 파지하여, 운반 장치(2000)를 회전 또는 위치 조정하여, 도 6과 같이 운반 장치(2000)가 제 2의 1차 샘플(SA1)에 대향 위치하면서, 상기 운반 장치 상에 탑재되어 있는 제 1의 1차 샘플(SA1)이 제 2의 1차 샘플(SA1)과 교차 또는 직교하도록 한다.
여기서, 운반 장치(2000)가 제 2의 1차 샘플(SA1)에 대향하도록 위치시키는데 있어서, 운반 장치(2000)의 회전뿐만 아니라, 제 2 이동 장치(300)를 이용한 운반 장치의 이동을 실시하여 위치 조정할 수 있다.
이후, 제 2 이동 장치(300)를 이용하여 운반 장치(2000)를 하강시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운반 장치(2000) 상에 탑재되어 있는 제 1의 1차 샘플(SA1)을 대차 상에 놓여 있는 제 2의 1차 샘플(SA1)에 적재시킨다. 이때, 제 1의 1차 샘플(SA1)과 제 2의 1차 샘플(SA1)이 적재된 형태는 상호 직교하는 십자 형태일 수 있다.
그리고, 작업자는 핸들(2300)을 파지하여 운반 장치(2000)를 회전 및 위치 조정하여, 상기 운반 장치(2000)의 출입구(2100a)가 적재된 제 1 및 제 2의 1차 샘플(SA1)과 대향하면서, 한 쌍의 하부 부재(2110a, 2110b)의 나열 방향이 제 2의 1차 샘플(SA1)의 연장 방향과 대향하고, 제 1의 제 1 샘플(SA1)과는 교차하도록 한다. 즉, 한 쌍의 하부 부재(2110a, 2110b) 사이의 이격 공간에 제 1의 1차 샘플(SA1)이 대향 위치하도록 한다.
다음으로, 운반 장치(2000)를 하강시켜, 한 쌍의 하부 부재(2110a, 2110b) 사이의 이격 공간에 대차의 일 지지 부재(111)가 위치하도록 한 후, 상기 운반 장치(2000)를 1차 샘플(SA1)을 향해 전진시킨다. 이때,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의 1차 샘플(SA1)은 한 쌍의 하부 부재(2110a, 2110b)의 나열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고, 제 1의 1차 샘플(SA1)은 적어도 일부가 한 쌍의 측부 부재(2130a, 2130b) 사이의 이격 공간을 통과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후, 제 2 이동 장치(300)를 이용하여 운반 장치(2000)를 상승시키면, 대차(100) 상에 적재되어 있던 2개의 1차 샘플(SA1)이 상기 대차(100)로부터 분리되고, 운반 장치(2000)에 탑재된 상태로 상승한다(도 9 참조).
제 2 이동 장치(300)를 운반 장치(2000)를 상승시키면, 운반 장치(2000)가 출입구(2100a)와 반대 위치로 하향 경사 또는 출입구(2100a) 방향으로 상향 경사지게 된다. 이는, 탑재부(2100)와 제 2 이동 장치(300)의 후크(310)를 연결하는 체결부(2200)가 출입구(2100a)의 상측에 대응하는 위치에 장착되어 있어, 후크(310)를 체결부(2200)에 체결할 때, 그 무게 중심이 출입구(2100a)와 반대 위치 즉, 측부 부재(2130a, 2130b) 방향으로 무게 중심이 이동하기 때문이다.
이에, 복수의 1차 샘플(SA1)이 탑재된 운반 장치(2000)를 제 2 이동 장치(300)를 이용하여 이동시킬 때, 상기 운반 장치(2000)에 탑재된 1차 샘플(SA1)이 출입구(2100a)를 통해 외부로 낙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운반 장치(2000)가 제 2 이동 장치(300)에 체결되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이동 장치(300)를 이용하여 운반 장치(2000)를 냉각장으로 이동시켜, 복수의 1차 샘플(SA1)을 냉각시킨다.
그리고, 냉각된 1차 샘플(SA1)을 대차(100)로 다시 옮긴다. 이 과정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아래와 간다. 이때, 냉각된 1차 샘플(SA1)을 대차(100) 상에 탑재시키는데 있어서, 운반 장치(2000)를 이용하여 대차(100) 상의 1차 샘플을 냉각 장치로 이동시키는 과정을 역순으로 하므로, 별도의 도면으로 도시하지 않았다.
먼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반 장치(2000)의 냉각된 2개의 1차 샘플(SA1) 중, 하측에 적재된 제 2의 1차 샘플(SA1)이 대차(100)의 복수의 지지 부재의 나열 방향과 나란하거나, 한 쌍의 하부 부재(2110a, 2110b)의 나열 방향과 복수의 지지 부재(111)의 나열 방향이 나란하도록, 상기 운반 장치(2000)의 위치를 조정한다. 이때, 한 쌍의 하부 부재(2110a, 2110b) 사이에 하나의 지지 부재(111)가 위치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제 2 이동 장치(300)를 이용하여 운반 장치(2000)를 하강시키고, 운반 장치(2000)를 대차(100)를 향해 전진 이동시킨다. 이후, 운반 장치(2000)를 후진시키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반 장치 상에 탑재되어 있던 복수의 1차 샘플(SA1)이 대차 상에 놓이게 된다. 이때, 제 2의 1차 샘플(SA1)이 복수의 지지 부재(111)가 나열된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고, 그 상부에 적재된 제 1의 1차 샘플(SA1)은 복수의 지지 부재(111)가 나열된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다음으로, 운반 장치(2000)를 이동 및 회전시켜, 상기 운반 장치(2000)가 대차(100) 상측에 위치하면서, 한 쌍의 하부 부재(2110a, 2110b)의 나열 방향이 상측에 위치된 제 1의 1차 샘플(SA1)의 연장 방향과 나란하도록 한다.
그리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하부 부재(2110a, 2110b)가 제 1의 1차 샘플(SA1)의 하측에 위치되도록 한 상태에서, 운반 장치(2000)를 상기 제 1의 1차 샘플(SA1)을 향해 전진 이동시킨다.
이어서, 제 2 이동 장치(300)를 이용하여 운반 장치(2000)를 상승시키면, 제 2의 1차 샘플(SA1) 상에 적재되어 있던 제 1의 1차 샘플(SA1)이 운반 장치(2000)에 탑재된다. 다음으로, 도 5와 같이, 운반 장치(2000)를 제 2의 1차 샘플(SA1)이 탑재되어 있지 않은 빈 공간으로 이동시키고, 운반 장치(2000)를 회전시켜, 제 1의 1차 샘플(SA1)이 복수의 지지 부재(111)의 나열 방향과 나란하도록 한다.
이후, 도 4와 같이 운반 장치(2000)를 하강시켜, 한 쌍의 하부 부재(2110a, 2110b) 상에 지지 부재(111)가 위치되도록 한 상태에서, 운반 장치(2000)를 대차(100)를 향해 전진 이동시킨다. 그리고, 운반 장치(2000)를 후진이동 시킨 후 상승시키면, 운반 장치(2000) 상에 있던 제 1의 1차 샘플(SA1)이 대차(100) 상에 탑재된다.
이렇게 대차(100) 상에 2개의 1차 샘플(SA1)이 모두 탑재되면(S600), 제 2 샘플 절단기(SC2)를 이용하여, 도 13과 같이, 대차(100) 상에서 2개의 1차 샘플 각각의 2차 절단을 실시하여 2개의 2차 샘플을 마련한다(S700). 이때, 2차 샘플은 250mm X 100mm의 면적을 가지도록 마련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방법으로 준비된 2개의 2차 샘플(SA2)은 이후 평가를 위해 이송된다(S800).
그리고, 2차 샘플 마련 후 남은 잔여물 즉 스크랩을 운반 장치에 탑재시켜 외부로 운반한다(S900).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운반 장치(2000)에 복수의 샘플(SA1)또는 복수의 스크랩을 적재시켜 이송될 때, 운반 장치(2000)가 출입구 방향으로 상향 경사 또는 출입구와 반대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도록 한다. 이에, 복수의 1차 샘플(SA1)또는 스크랩이 탑재된 상태로 운반 장치(2000)를 이송시킬 때, 출입구(2100a)를 통해 1차 샘플(SA1) 또는 스크랩이 낙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운반 장치(2000)의 위치 조정을 위해 작업자의 손이 핸들(2300)에 파지될 때, 보다 안정적으로 파지할 수 있다. 그리고, 작업자가 스크랩을 운반 장치(2000)에 적재시킬 때, 작업자의 손이 핸들(2300)과 최상측 스크랩 사이에 끼이거나 찧는 등의 안전 사고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이는, 핸들(2300)이 운반 장치(2000)의 상부로부터 상향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핸들(2300)과 최상측 1차 샘플 또는 스크랩 사이의 공간이 넓기 때문이다.
100: 대차 2000: 운반 장치
2100a: 출입구 2100: 탑재부
2200: 체결부 2300: 핸들

Claims (10)

  1. 운반물을 탑재하여 이동시키는 운반 장치로서,
    폭 방향의 일측에 상기 운반물의 반입 및 반출이 가능한 출입구가 마련되고, 상기 출입구 내측에 상기 운반물이 적재되어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을 가지는 탑재부;
    상기 탑재부의 상부에서, 출입구와 대응하는 위치에 마련되어, 이동 장치와 체결 가능한 체결부;
    상기 탑재부의 상부에 마련되며, 작업자의 손의 파지가 가능한 핸들;
    을 포함하며,
    상기 핸들은 복수개로 마련되어 상하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며, 복수의 상기 핸들의 경사각은 상호 상이하고,
    하측에 위치된 핸들의 경사각이 상측에 위치된 핸들의 경사각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운반 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탑재부는,
    각각이 일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연장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나열 배치된 한 쌍의 하부 부재;
    한 쌍의 하부 부재와 대향하도록, 상기 한 쌍의 하부 부재의 상측으로 이격 배치된 상부 부재;
    각각이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한 쌍의 하부 부재의 나열 방향으로 나열되어 이격 배치되며, 한 쌍의 하부 부재와 상부 부재를 연결하도록 설치된 한 쌍의 측부 부재;
    를 포함하는 운반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출입구는 상기 한 쌍의 측부 부재와 마주보는 공간이면서, 상기 측부 부재와 연결된 상부 부재의 일단의 반대 위치인 상기 상부 부재의 타단과, 상기 측부 부재와 연결된 상기 한 쌍의 하부 부재의 일단과 반대 위치인 상기 한 쌍의 하부 부재의 타단 사이의 공간인 운반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상부 부재 중, 상기 측부 부재와 연결된 일단과 반대 위치인 타단과 인접한 위치에 상기 체결부가 장착되는 운반 장치.
  6. 삭제
  7. 폭 방향의 일측에 출입구가 마련된 탑재부의 내측에 운반물을 적재시키는 과정;
    상기 출입구 방향으로 상향 경사지도록 상기 탑재부를 기울인 상태에서, 상기 탑재부를 이동시키는 과정;
    을 포함하고,
    각각이 일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연장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나열 배치된 한 쌍의 하부 부재;
    상기 한 쌍의 하부 부재와 대향하도록, 상기 한 쌍의 하부 부재의 상측으로 이격 배치된 상부 부재; 및
    각각이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한 쌍의 하부 부재의 나열 방향으로 나열되어 이격 배치되며, 상기 한 쌍의 하부 부재와 상부 부재를 연결하도록 설치된 한 쌍의 측부 부재;
    를 포함하며,
    복수의 상기 운반물을 상기 탑재부에 탑재시키는데 있어서,
    일부의 운반물은 상기 한 쌍의 하부 부재의 나열 방향과 나란하도록 배치되고, 다른 운반물은 상기 한 쌍의 하부 부재의 나열 방향과 교차하여, 상기 한 쌍의 측부 부재 사이를 통과하도록 배치되어, 복수의 상기 운반물이 상호 교차하도록 배치되며,
    최하측의 운반물은 상기 한 쌍의 하부 부재의 나열 방향과 나란하도록 배치되는 운반 방법.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운반물이 적재된 탑재부를 회전시키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탑재부를 회전시키는데 있어서, 상기 탑재부의 상부로부터 상측으로 상향 경사진 핸들을 이용하여 상기 탑재부를 회전시키는 운반 방법.
  9. 삭제
  10. 삭제
KR1020180069752A 2018-06-18 2018-06-18 운반 장치 및 운반 방법 KR1021357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9752A KR102135759B1 (ko) 2018-06-18 2018-06-18 운반 장치 및 운반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9752A KR102135759B1 (ko) 2018-06-18 2018-06-18 운반 장치 및 운반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42602A KR20190142602A (ko) 2019-12-27
KR102135759B1 true KR102135759B1 (ko) 2020-07-20

Family

ID=690626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9752A KR102135759B1 (ko) 2018-06-18 2018-06-18 운반 장치 및 운반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5759B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97077A (ko) * 2002-06-19 2003-12-31 오후근 파레트용 중량물 운반장치
KR100682094B1 (ko) 2006-04-06 2007-02-12 주식회사 포스코 천정 기중기용 슬라브 낙하 방지장치
KR20130019661A (ko) * 2011-08-17 2013-02-27 주식회사 포스코 전극봉 운반장치
KR101353722B1 (ko) * 2011-11-21 2014-01-21 주식회사 포스코 열처리용 소재 운송장치
KR101504724B1 (ko) * 2013-09-09 2015-03-20 (주) 성원애드피아 운반용 카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42602A (ko) 2019-1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08929B1 (ko) 메인 롤러용 리프터 및 메인 롤러의 운반방법
JP5468270B2 (ja) 柱上変圧器の空ケース吊り装置
KR102135759B1 (ko) 운반 장치 및 운반 방법
KR100810878B1 (ko) 용접비드의 슬래그 제거장치
JP2008156039A (ja) ハンドリフター
KR101631167B1 (ko) 웨이퍼 운반 대차 및 웨이퍼 운반 방법
KR102121412B1 (ko) 인출유닛을 갖는 목재 가공장치
KR20220059029A (ko) Srd 전단보강재 제조용 평철 절단장치
KR101380592B1 (ko) 보안검색용 수하물박스 공급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하물박스의 공급방법
KR101974100B1 (ko) 크롭이송장치
KR101840007B1 (ko) 엘리베이터용 천장조립체 제작시스템의 보조부재 절단 및 분류 장치
KR102360149B1 (ko) 슬링 재단을 위한 이송 및 리프트장치
KR101599215B1 (ko) 무충격 슬래브통 시스템 및 운반방법
KR20150121320A (ko) 수화물바스켓 회송설비
KR100794561B1 (ko) 연속주조설비의 쉬라우드 노즐 이송장치
CN210340233U (zh) 一种工件托运装置
KR101253848B1 (ko) 컨베이어 샤틀 설비
JPH09315520A (ja) 物品保管棚用の物品搬送装置
JP4887987B2 (ja) 天井走行台車の移載機位置決め装置
KR101050201B1 (ko) 고로의 내화물 축조용 장치
KR102575335B1 (ko) 코일 이동 방지 장치
JPS62249816A (ja) コイル用スキツド敷込みアツプエンダ−装置
KR100895090B1 (ko) 시편 절단장치
JP2000280117A (ja) 金属管の切断装置
KR101518548B1 (ko) 워크롤 이송용 지그 및 이를 이용한 워크롤 이송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