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21320A - 수화물바스켓 회송설비 - Google Patents

수화물바스켓 회송설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21320A
KR20150121320A KR1020140046483A KR20140046483A KR20150121320A KR 20150121320 A KR20150121320 A KR 20150121320A KR 1020140046483 A KR1020140046483 A KR 1020140046483A KR 20140046483 A KR20140046483 A KR 20140046483A KR 20150121320 A KR20150121320 A KR 201501213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conveyor
platform
basket
lugg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64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원기
한창호
Original Assignee
현대로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로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로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464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21320A/ko
Publication of KR201501213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1320A/ko

Links

Images

Landscapes

  • Structure Of Belt Convey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계류장 및 출국장이 직교하는 여객터미널에 설치되어 계류장에서 수거한 빈 수화물바스켓을 출국장으로 되돌려보내기 위한 수화물바스켓 회송설비에 관한 것으로, 특히 양쪽에 나란하게 선회하는 제1벨트를 구비하여 상기 수화물바스켓을 종 방향으로 회송되게 하는 제1컨베이어와, 상기 제1컨베이어의 후단에 전단 일측이 연결되어 상기 제1컨베이어와 직교하며 양쪽에 상기 제1벨트의 후단보다 높이가 낮으며 나란하게 선회하는 제2벨트를 구비하여 상기 수화물바스켓을 횡 방향으로 회송되게 하는 제2컨베이어를 포함하며, 상기 제1컨베이어의 후단이 위치하는 상기 제2컨베이어의 제2벨트 사이에 승강하도록 설치되어 상승시 상기 제1벨트의 후단에서 상기 수화물바스켓을 넘겨받아 두었다가 하강시 상기 수화물바스켓을 상기 제2벨트의 전단 위에 내려놓는 수화물바스켓회송방향전환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수화물바스켓 회송설비{BAGGAGE BASKET RETURN SYSTEM}
본 발명은 수화물바스켓의 회송설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계류장 및 출국장이 직교하는 여객터미널에 설치되어 계류장에서 수거한 빈 수화물바스켓을 출국장으로 되돌려보내기 위한 수화물바스켓 회송설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항의 여객터미널에는 승객의 수화물을 여객기에 싣기 위해 출국장 및 계류장 사이를 연결하는 수화물처리설비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승객이 출국장에서 수화물을 수화물처리설비에 실으면, 수화물은 수화물처리설비를 통해 계류장으로 이송되고, 계류장에 도착한 수화물은 여객기의 화물칸에 실리게 된다.
이때, 승객의 수화물 중에 부피가 작거나 구르기 쉬운 수화물은 수화물바스켓에 별도로 담겨 수화물처리설비에 실리게 되는데, 이는 부피가 작거나 구르기 쉬운 수화물은 수화물처리설비를 통해 이송되는 과정에서 분실의 위험이 있기 때문에 수화물바스켓에 별도로 담겨 이송되는 것이다.
이후, 계류장에서 수화물을 빼낸 빈 수화물바스켓은 출국장에서 재사용할 수 있도록 모두 회수되어 출국장으로 회송된다.
수화물바스켓의 회송은 인력 및 차량을 동원하는 수동방식과, 직선경로의 컨베이어를 이용하는 자동방식으로 구분되는데, 이러한 방식에 수화물바스켓 회송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야기하였다.
먼저, 인력 및 차량을 동원하는 수동방식은 인건비와 차량유지비 등에 경비가 많이 소요되고, 출국장에 제때 수화물바스켓이 회송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직선경로의 컨베이어를 이용하는 자동방식은 수동방식보다 수화물바스켓의 회송능력이 탁월하지만, 계류장 및 출국장 사이의 경로가 직선일 경우에만 적용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계류장 및 출국장이 직교하여 수화물바스켓의 회송시 90도 회송방향전환이 요구되는 여객터미널에서는 기존에 직선경로의 컨베이어를 이용할 수 없어, 인력 및 차량을 동원하는 수동방식으로만 수화물바스켓을 회송할 수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계류장 및 출국장이 직교하여 수화물바스켓의 회송시 90도 회송방향전환이 요구되는 여객터미널에도 적용 가능한 수화물바스켓 회송설비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계류장 및 출국장이 직교하는 여객터미널에 설치되어 계류장에서 회수한 빈 수화물바스켓을 출국장으로 되돌려보내기 위한 수화물바스켓 회송설비로서, 양쪽에 나란하게 선회하는 제1벨트를 구비하여 상기 수화물바스켓을 횡 방향으로 회송되게 하는 제1컨베이어와, 상기 제1컨베이어의 후단에 전단 일측이 연결되어 상기 제1컨베이어와 직교하며 양쪽에 상기 제1벨트의 후단보다 높이가 낮으며 나란하게 선회하는 제2벨트를 구비하여 상기 수화물바스켓을 종 방향으로 회송되게 하는 제2컨베이어를 포함하며, 상기 제1컨베이어의 후단이 위치하는 상기 제2컨베이어의 제2벨트 사이에 승강하도록 설치되어 상승시 상기 제1벨트의 후단에서 상기 수화물바스켓을 넘겨받아 두었다가 하강시 상기 수화물바스켓을 상기 제2벨트의 전단 위에 내려놓는 수화물바스켓회송방향전환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수화물바스켓회송방향전환부는 하부에 형성되는 받침대와, 상기 받침대의 상부에 위치하여 승강수단에 의해 상하로 이동하는 승강대와, 상기 승강대의 전방에 횡 방향을 이루며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제1롤러와, 상기 승강대의 후방에 횡 방향을 이루며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제2롤러와, 상기 승강대에 일측에 고정되어 상기 제1롤러를 회전시키는 제1구동모터와, 상기 제1롤러와 상기 제2롤러의 양단에 각각 회전하도록 감겨 상기 제1롤러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1벨트와 같은 방향으로 나란하게 선회하며 상기 수화물바스켓이 실리는 제3벨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승강수단은 상기 받침대의 상부에 횡 방향을 이루며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메인축과 상기 메인축에 측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메인축의 회전중심과 편심되어 회전하는 편심축으로 이루어지는 크랭크와, 상기 크랭크의 편심축에 일단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승강대의 하부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크랭크의 회전운동을 상하방향 직선운동으로 변환하는 연결링크와, 상기 받침대의 일측에 고정되어 상기 크랭크를 회전시키는 제2구동모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승강대의 하부에는 각각 고정되어 상기 연결링크의 타단을 회전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핀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받침대 및 승강대 사이에는 상기 승강대를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수단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가이드수단은 상기 받침대의 상부 둘레에 각각 고정되며 내측이 상하방향으로 관통되는 부싱부와, 상기 승강대의 하부 둘레에 일단이 각각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부싱부의 내측에 각각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어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로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2컨베이어의 전단 타측에는 상부방향으로 세워져 상기 제1벨트에서 상기 제3벨트로 실린 상기 수화물바스켓을 추락을 막고 머물게 하는 막음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수화물바스켓의 회송방향이 90도 전환이 가능함에 따라, 계류장 및 출국장이 직교하는 여객터미널에 적용이 가능하고, 수화물바스켓의 회송능력이 탁월하여 출국장에 제때 수화물바스켓을 회송할 수 있고, 수화물바스켓의 회송에 따른 비용도 기존보다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화물바스켓 회송설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3,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화물바스켓 회송설비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6, 7은 본 발명에 따른 수화물바스켓 회송설비에 수화물바스켓회송방향전환부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수화물바스켓 회송설비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여기서, 하기의 모든 도면에서 동일한 기능을 갖는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하며, 아울러, 후술 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것으로서, 이것은 고유의 통용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함을 명시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화물바스켓 회송설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 3,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화물바스켓 회송설비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 6, 7은 본 발명에 따른 수화물바스켓 회송설비에 수화물바스켓회송방향전환부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계류장(10) 및 출국장(20)이 직교하는 여객터미널에 설치되어 계류장(10)에서 회수한 빈 수화물바스켓(1)을 출국장(20)으로 되돌려보내기 위한 수화물바스켓 회송설비로서, 그 구성은 다음과 같다.
먼저, 양쪽에 나란하게 선회하는 제1벨트(110)를 구비하여 상기 수화물바스켓(1)을 횡 방향으로 회송되게 하는 제1컨베이어(100)가 형성된다.
상기 제1컨베이어(100)의 후단에는 전단 일측이 연결되어 상기 제1컨베이어(100)와 직교하며, 양쪽에 상기 제1벨트(110)의 후단보다 높이(H)가 낮으며 나란하게 선회하는 제2벨트(210)를 구비하여 상기 수화물바스켓(1)을 종 방향으로 회송되게 하는 제2컨베이어(200)가 형성된다.
상기 제1컨베이어(100)의 후단이 위치하는 상기 제2컨베이어(200)의 제2벨트(210) 사이에는 상승 하강하도록 설치되어 상승시 상기 제1벨트(110)의 후단에 인접하여 상기 제1벨트(110)의 후단에서 상기 수화물바스켓(1)을 넘겨받아 두었다가, 하강시 상기 제2벨트(210)보다 아래로 내려가 상기 수화물바스켓(1)을 상기 제2벨트(210)의 전단 위에 내려놓으며, 상기 수화물바스켓(1)의 회송방향을 90도 전환하는 수화물바스켓회송방향전환부(300)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수화물바스켓회송방향전환부(300)의 구성을 설명하면, 하부에 상기 수화물바스켓회송방향전환부(300)를 지지하는 받침대(310)가 형성되고, 상기 받침대(310)에는 상부에 위치하여 승강수단(320)에 의해 상하로 이동하는 승강대(330)가 형성된다.
상기 승강대(330)의 전방에는 횡 방향을 이루며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제1롤러(340)가 형성되고, 상기 승강대(330)의 후방에는 횡 방향을 이루며 상기 제1롤러(340)와 마주하여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제2롤러(350)가 형성된다.
상기 승강대(330)에 일측에는 고정되어 상기 제1롤러(340)를 회전시키는 제1구동모터(360)가 형성된다.
상기 제1롤러(340)와 상기 제2롤러(350)의 양단에는 각각 회전하도록 감겨 상기 제1롤러(340)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1벨트(110)와 같은 방향으로 나란하게 선회하며 상기 수화물바스켓(1)이 실리는 제3벨트(370)가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이어서, 상기 승강수단(320)의 구성을 설명하면, 먼저 상기 받침대(310)의 상부에 횡 방향을 이루며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메인축(321a)과, 상기 메인축(321a)에 측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메인축(321a)의 회전중심과 편심되어 회전하는 편심축(321b)으로 이루어지는 크랭크(321)가 형성된다.
상기 크랭크(321)의 편심축(321b)에는 일단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승강대(330)의 하부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크랭크(321)의 회전운동을 상하방향 직선운동으로 변환하는 연결링크(322)가 형성된다.
상기 받침대(310)의 일측에는 고정되어 상기 크랭크(321)를 회전시키는 제2구동모터(323)가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승강대(330)의 하부에는 각각 고정되어 상기 연결링크(322)의 타단을 회전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핀(331)이 형성되고, 상기 받침대(310) 및 승강대 (330)사이에는 상기 승강대(330)를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수단(380)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수단(380)의 구성은 상기 받침대(310)의 상부 둘레에 각각 고정되며 내측이 상하방향으로 관통되는 부싱부(381)와, 상기 승강대(330)의 하부 둘레에 일단이 각각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부싱부(381)의 내측에 각각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어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로드부(382)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제1컨베이어(100)의 후단이 위치하는 상기 제2컨베이어(200)의 전단 타측에는 상부방향으로 세워져 상기 제1벨트(110)에서 상기 제3벨트(370)로 실린 상기 수화물바스켓(1)을 추락을 막고 머물게 하는 막음부(400)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 상태를 도면을 통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계류장(10) 쪽의 횡 방향 경로구간에는 제1컨베이어(100)가 설치되고, 출국장(20) 쪽의 종 방향 경로구간에는 제1컨베이어(100)의 제1벨트(110)보다 높이(H)가 낮은 제2벨트(210)를 구비하는 제2컨베이어(200)가 설치되고, 계류장(10) 및 출국장(20) 사이의 90도 방향전환되는 곳에는 제1컨베이어(100)의 후단과 제2컨베이어(200)의 전단 일측이 연결되고, 제2컨베이어(200)의 제2벨트(210) 사이에는 수화물바스켓회송방향전환부(300)가 설치됨으로써, 제1컨베이어(100) 및 제2컨베이어(200)가 직교하는 계류장(10) 및 출국장(20) 사이를 연결하게 된다.
따라서 계류장(10)에서 회수된 수화물바스켓(1)이 제1컨베이어(100)의 전단에 시간차(수화물바스켓회송방향전환부의 승강대가 하강하고 다시 상승하는 시간)를 두고 실려, 제1벨트(110)를 통해 제1컨베이어(100)의 후단으로 회송되면, 수화물바스켓회송방향전환부(300)가 제1컨베이어(100)의 후단에서 수화물바스켓(1)을 받아두었다가 수화물바스켓(1)의 회송방향을 90도 전환하여 제2컨베이어(200)의 전단으로 넘김으로써, 제2컨베이어(200)의 전단에 실린 수화물바스켓(1)은 제2벨트(210)를 통해 제2컨베이어(200)의 후단으로 회송되어 출국장(20)으로 보내진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화물바스켓(1)이 제1컨베이어(100)의 후단으로 회송되면, 그 직전에 수화물바스켓회송방향전환부(300)의 승강대(330)가 승강수단(320)에 의해 제2컨베이어(200)의 제2벨트(210) 사이에서 상승함으로써, 승강대(330) 상부에 제3벨트(370)가 제1벨트(110) 후단과 같은 높이를 이루며 제1컨베이어(100)의 후단에 인접하게 된다.
그리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벨트(110)의 후단에 회송된 수화물바스켓(1)은 제1벨트(110)와 같은 방향으로 선회하는 제3벨트(370)에 전달되어 실리게 된다.
이때, 수화물바스켓(1)은 제3벨트(370)에 실리는 과정에서 선회하는 제3벨트(370)에 의해 가속도가 붙어 제2컨베이어(200)의 전단 타측 쪽으로 빠르게 이동하지만, 제1컨베이어(100)의 전단 타측에 세워진 막음부(400)가 수화물바스켓(1)이 제3벨트(370)에 실린 상태에서 더 이상 이동하지 못하도록 막음으로써, 수화물바스켓(1)은 제2컨베이어(200)의 측면으로 추락하지 않고, 제2벨트(210)에 실릴 때까지 제3벨트(370) 위에 머물게 된다.
이후,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화물바스켓(1)은 제3벨트(370)에 실린 상태에서 수화물바스켓회송방향전환부(300)의 승강대(330)가 승강수단(320)에 의해 하강하게 되는데, 승강대(330)의 하강은 상부에 제3벨트(370)가 제2벨트(210)보다 아래에 위치할 때까지 하강하게 되므로, 제3벨트(370) 위에 수화물바스켓(1)은 제3벨트(370)가 하강하는 과정에서 하부 양편이 제2컨베이어(200)의 전단 양쪽 제2벨트(210)에 걸려 실리게 되고, 제2벨트(210)에 실린 수화물바스켓(1)은 제2컨베이어(200)의 후단으로 회송된다.
한편, 도 5,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화물회송방향전환부(300)에 승강수단(320)의 작동을 설명하면, 제2구동모터(323)의 회전으로, 받침대(310)의 상부에 메인축(321a)과 편심축(321b)으로 이루어진 크랭크(321)가 회전하게 되는데, 편심축(321b)은 메인축(321a)의 회전중심과 편심되어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편심축(321b)과 승강대(330)의 연결핀(331) 사이에 연결된 연결링크(322)는 크랭크(321)의 회전운동을 상하방향 직선운동으로 변환하여 편심축(321b)의 상사점에서는 연결링크(322)가 상부방향으로 이동하여 승강대(330) 및 제3벨트(370)를 상승시키고, 반대로 편심축(321b)의 하사점에서는 연결링크(322)가 하부방향으로 이동하여 승강대(330) 및 제3벨트(370)를 하강시키게 된다.
이때, 가이드수단(380)은 승강대(330)가 상하방향으로만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받침대(310)의 부싱부(381)는 내측이 상하방향으로만 관통됨에 따라, 상기 부싱부(381)의 내측에 슬라이딩하도록 삽입된 승강대(330)의 로드부(382)도 부싱부(381)의 내측에서 상하방향으로만 이동하기 때문이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화물바스켓회송방향전환부(300)에 제3벨트(370)의 작동을 설명하면, 제1구동모터(360)의 회전으로, 제1구동모터(360)와 연결된 제1롤러(340)가 회전하게 되고, 제1롤러(340)와 제2롤러(350)의 양단에 감긴 제3벨트(370)는 제2롤러(350)에 제1롤러(340)의 회전력을 전달하며 선회하게 된다. 이때, 제3벨트(370)는 제1벨트(110)와 같은 방향으로 선회함으로써, 제1벨트(110)로부터 수화물바스켓(1)을 넘겨받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계류장(10)에서 회수된 수화물바스켓(1)을 시간차를 두고 제1컨베이어(100)에 실으면, 수화물바스켓(1)이 수화물바스켓회송방향전환부(300)에 의해 제1컨베이어(100)에서 직교하는 제2컨베이어(200)로 옮겨 실림에 따라, 계류장(10) 및 출국장(20)이 직교하는 여객터미널에 적용이 가능하고, 수화물바스켓(1)의 회송능력이 탁월하여 출국장(20)에 제때 수화물바스켓(1)을 회송할 수 있고, 수화물바스켓(1)의 회송에 따른 비용도 기존보다 절감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한 기술 사상을 첨부 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1: 수화물바스켓 10: 계류장
20: 출국장 100: 제1컨베이어
110: 제1벨트 200: 제2컨베이어
210: 제2벨트 300: 수화물바스켓회송방향전환부
310: 받침대 320: 승강수단
321: 크랭크 321a: 메인축
321b: 편심축 322: 연결링크
323: 제2구동모터 330: 승강대
331: 연결핀 340: 제1롤러
350: 제2롤러 360: 제1구동모터
370: 제3벨트 380: 가이드수단
381: 부싱부 382: 로드부
400: 막음부

Claims (7)

  1. 계류장 및 출국장이 직교하는 여객터미널에 설치되어 계류장에서 회수한 빈 수화물바스켓을 출국장으로 되돌려보내기 위한 수화물바스켓 회송설비로서,
    양쪽에 나란하게 선회하는 제1벨트를 구비하여 상기 수화물바스켓을 횡 방향으로 회송되게 하는 제1컨베이어와,
    상기 제1컨베이어의 후단에 전단 일측이 연결되어 상기 제1컨베이어와 직교하며 양쪽에 상기 제1벨트의 후단보다 높이가 낮으며 나란하게 선회하는 제2벨트를 구비하여 상기 수화물바스켓을 종 방향으로 회송되게 하는 제2컨베이어를 포함하며,
    상기 제1컨베이어의 후단이 위치하는 상기 제2컨베이어의 제2벨트 사이에 승강하도록 설치되어 상승시 상기 제1벨트의 후단에서 상기 수화물바스켓을 넘겨받아 두었다가 하강시 상기 수화물바스켓을 상기 제2벨트의 전단 위에 내려놓는 수화물바스켓회송방향전환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화물바스켓 회송설비.
  2.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수화물바스켓회송방향전환부는,
    하부에 형성되는 받침대;
    상기 받침대의 상부에 위치하여 승강수단에 의해 상하로 이동하는 승강대;
    상기 승강대의 전방에 횡 방향을 이루며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제1롤러;
    상기 승강대의 후방에 횡 방향을 이루며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제2롤러;
    상기 승강대에 일측에 고정되어 상기 제1롤러를 회전시키는 제1구동모터; 및
    상기 제1롤러와 상기 제2롤러의 양단에 각각 회전하도록 감겨 상기 제1롤러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1벨트와 같은 방향으로 나란하게 선회하며 상기 수화물바스켓이 실리는 제3벨트;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화물바스켓 회송설비.
  3. 청구항 2 에 있어서,
    상기 승강수단은,
    상기 받침대의 상부에 횡 방향을 이루며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메인축과 상기 메인축에 측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메인축의 회전중심과 편심되어 회전하는 편심축으로 이루어지는 크랭크;
    상기 크랭크의 편심축에 일단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승강대의 하부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크랭크의 회전운동을 상하방향 직선운동으로 변환하는 연결링크; 및
    상기 받침대의 일측에 고정되어 상기 크랭크를 회전시키는 제2구동모터;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화물바스켓 회송설비.
  4. 청구항 3 에 있어서,
    상기 승강대의 하부에는 각각 고정되어 상기 연결링크의 타단을 회전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화물바스켓 회송설비.
  5. 청구항 2 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 및 승강대 사이에는 상기 승강대를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수단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화물바스켓 회송설비.
  6. 청구항 5 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수단은,
    상기 받침대의 상부 둘레에 각각 고정되며 내측이 상하방향으로 관통되는 부싱부;
    상기 승강대의 하부 둘레에 일단이 각각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부싱부의 내측에 각각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어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로드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화물바스켓 회송설비.
  7.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제2컨베이어의 전단 타측에는 상부방향으로 세워져 상기 제1벨트에서 상기 제3벨트로 실린 상기 수화물바스켓을 추락을 막고 머물게 하는 막음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화물바스켓 회송설비.
KR1020140046483A 2014-04-18 2014-04-18 수화물바스켓 회송설비 KR2015012132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6483A KR20150121320A (ko) 2014-04-18 2014-04-18 수화물바스켓 회송설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6483A KR20150121320A (ko) 2014-04-18 2014-04-18 수화물바스켓 회송설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1320A true KR20150121320A (ko) 2015-10-29

Family

ID=544303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6483A KR20150121320A (ko) 2014-04-18 2014-04-18 수화물바스켓 회송설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121320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484824A (zh) * 2018-12-28 2019-03-19 苏州范瑞机电科技有限公司 滚筒分拣线
CN109709117A (zh) * 2018-02-24 2019-05-03 北京首都机场航空安保有限公司 行李安检装置
CN110589410A (zh) * 2019-09-24 2019-12-20 云南昆船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行李筐自动分离降落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709117A (zh) * 2018-02-24 2019-05-03 北京首都机场航空安保有限公司 行李安检装置
CN109484824A (zh) * 2018-12-28 2019-03-19 苏州范瑞机电科技有限公司 滚筒分拣线
CN110589410A (zh) * 2019-09-24 2019-12-20 云南昆船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行李筐自动分离降落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629138B (zh) 整垛箱体同步自动装车系统的使用方法
CN107381122B (zh) 一种物流卸货装置
US10968047B2 (en) Self-adaptive luggage transfer device and system
CN107187899B (zh) 半自动卸货装置以及卸货设备
KR20150121320A (ko) 수화물바스켓 회송설비
CN105502011A (zh) 一种提升翻转卸料机构
KR101429092B1 (ko) 컨테이너 이송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컨테이너 이송 방법
CN110697397A (zh) 一种可双向转移物料的输送线
CN209683520U (zh) 集装箱装卸车月台及集装箱装卸车系统
JP5671910B2 (ja) 積込装置および積込システム
EP3072838B1 (en) An apparatus for unloading baggage from a baggage cart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apparatus
CN208746869U (zh) 一种自动化物流搬运装置
KR102263341B1 (ko) 톰슨박스 반전 공급장치
CN106853788B (zh) 货物卸载机以及运输货车
CN113650834A (zh) 卷料传送装置
CN113233124A (zh) 一种拆垛码垛两用机
CN111301966B (zh) 一种装载设备移动平台和自动装载系统
CN105905609B (zh) 一种重型及易碎快递件传送运输装置
CN209740220U (zh) 行李筐的输送设备及行李安检系统
CN108569571A (zh) 一种货物输送装置
CN109153518A (zh) 用于运输集装箱的支架和鞍座转移装置及操作方法
KR101936718B1 (ko) 완충 효과를 갖는 언로딩 장치
CN109795394A (zh) 集装箱装卸车月台、集装箱装卸车系统及装卸方法
EP2208694B1 (en) An apparatus for transferring a container
US20160039620A1 (en) Unloading a Cylindrical Body from a Pall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