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1855B1 - 조립 상태의 진단 장치 - Google Patents

조립 상태의 진단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1855B1
KR102131855B1 KR1020187013436A KR20187013436A KR102131855B1 KR 102131855 B1 KR102131855 B1 KR 102131855B1 KR 1020187013436 A KR1020187013436 A KR 1020187013436A KR 20187013436 A KR20187013436 A KR 20187013436A KR 102131855 B1 KR102131855 B1 KR 1021318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flux
sensor
heat
flux sensor
assembled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134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64520A (ko
Inventor
노리오 고우코
아츠시 사카이다
도시히사 다니구치
게이지 오카모토
요시히코 시라이시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덴소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덴소
Publication of KR201800645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45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18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18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01M99/002Thermal test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17/00Measuring quantity of heat
    • G01K17/06Measuring quantity of heat conveyed by flowing media, e.g. in heating systems e.g. the quantity of heat in a transporting medium, delivered to or consumed in an expenditure device
    • G01K17/08Measuring quantity of heat conveyed by flowing media, e.g. in heating systems e.g. the quantity of heat in a transporting medium, delivered to or consumed in an expenditure device based upon measurement of temperature difference or of a temperature
    • G01K17/20Measuring quantity of heat conveyed by flowing media, e.g. in heating systems e.g. the quantity of heat in a transporting medium, delivered to or consumed in an expenditure device based upon measurement of temperature difference or of a temperature across a radiating surface, combined with ascertainment of the heat transmission coefficien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1/00Details of thermomet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thermometer
    • G01K1/16Special arrangements for conducting heat from the object to the sensitive elemen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13/00Thermometer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G01K13/04Thermometer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measuring temperature of moving solid bodies
    • G01K13/08Thermometer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measuring temperature of moving solid bodies in rotary movemen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3/00Testing of machine par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3/00Testing of machine parts
    • G01M13/04Bea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9/00Testing; Calibrating; Fault detection or monitoring; Simulation or modelling of fluid-pressure system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9/005Fault detection or monitor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asuring Temperature Or Quantity Of Heat (AREA)
  • Testing Of Devices, Machine Parts, Or Other Structures Thereof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Using Thermal Means (AREA)

Abstract

진단 장치(1)는 슬라이딩부를 가지는 조립 부품의 조립 상태를 진단한다. 진단 장치(1)는 슬라이딩부로부터 외부를 향하여 흐르는 열유속을 검출하는 센서부(2)와, 센서부(2)가 검출한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조립 부품의 조립 상태가 적정한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제어 장치(3)를 구비한다. 슬라이딩부를 가지는 조립 부품의 조립 상태가 적정인 때와 부적정인 때에는 슬라이딩부로부터의 열유속의 크기가 다르다. 이 때문에, 진단 장치(1)에 따르면, 조립 부품의 조립 상태가 적정한지의 여부를 진단할 수 있다.

Description

조립 상태의 진단 장치
본 발명은 슬라이딩부를 가지는 조립 부품의 조립 상태를 진단하는 조립 상태의 진단 장치에 관한 것이다.
열유속을 검출하는 열유속 센서로서, 예를 들면, 특허 문헌 1에 개시된 것이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국 특허 제5376086호 공보
그런데 생산 설비 등의 설비의 신규 설치나 수리 및 관리 등에 있어서, 설비를 구성하는 조립 부품의 조립 작업이 실시된다. 이 조립 작업에서는 조립 후에 조립 부품의 조립 상태가 적정한지의 여부를 판단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조립 상태가 적정한지의 여부를 사람이 판단하는 것은 어렵다. 이 때문에, 조립 상태가 적정한지의 여부를 진단할 수 있는 진단 장치의 실현이 요망된다.
본 발명은 상기 점을 감안하여, 조립 부품의 조립 상태가 적정한지의 여부를 진단할 수 있는 조립 상태의 진단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조립 상태의 진단 장치에 관련되는 제 1 형태는, 슬라이딩부를 가지는 조립 부품의 조립 상태를 진단하는 조립 상태의 진단 장치로서, 슬라이딩부로부터 외부를 향하여 흐르는 열유속을 검출하는 센서부와, 센서부가 검출한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조립 부품의 조립 상태가 적정한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판정부를 구비한다.
슬라이딩부를 가지는 조립 부품의 조립 상태가 적정인 때와 부적정인 때에는 슬라이딩부로부터의 열유속의 크기가 다르다. 이 때문에, 본 발명의 진단 장치에 따르면, 조립 부품의 조립 상태가 적정한지의 여부를 진단할 수 있다.
또한, 특허 청구 범위에서 기재한 각 수단의 괄호 내의 부호는 후술하는 실시 형태에 기재된 구체적 수단과의 대응 관계를 나타내는 일례이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도 1은 제 1 실시 형태에서의 회전축의 지지 기구와 조립 상태의 진단 장치(1)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센서부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한 열유속 센서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한 Ⅳ―Ⅳ선에서의 열유속 센서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베어링의 예압 상태가 적정인 때의 센서부의 출력 파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베어링의 예압 상태가 예압 과잉, 예압 부족인 때의 센서부의 출력 파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제 1 실시 형태에서의 조립 상태의 진단 제어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8은 1개의 열유속 센서를 이용한 제 1 실시 형태의 변형예에 있어서, 예압 적정인 때로서, 환경 온도의 영향을 받았을 때의 열유속 센서의 출력 파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제 2 실시 형태에서의 이송 장치와 조립 상태의 진단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도 9 중의 이송 장치의 X화살 표시도이다.
도 11은 2개의 레일의 조립 상태가 적정인 때의 센서부의 출력 파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2개의 레일의 조립 상태가 부적정인 때의 센서부의 출력 파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제 3 실시 형태에서의 센서부의 단면도이다.
도 14는 제 4 실시 형태에서의 센서부의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면에 기초해서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각 실시 형태 상호에 있어서, 서로 동일 또는 균등한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여서 설명을 실시한다.
(제 1 실시 형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의 조립 상태의 진단 장치(1)는 회전축의 지지 기구(200)의 조립 상태를 진단한다.
지지 기구(200)는 생산 설비 등에 설치된다. 지지 기구(200)는 회전축(201)과, 복수의 베어링(202)과, 하우징(203)과, 커버(204)를 구비한다.
회전축(201)은 축심(CL)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회전축(201)에는 조정용 너트(205)가 부착되어 있다. 조정용 너트(205)는 예압을 조정하기 위한 부재이다.
베어링(202)은 회전축(201)을 지지하는 부품이다. 베어링(202)은 슬라이딩부를 가지는 조립 부품이다. 복수의 베어링(202)은 회전축(201)의 축방향(CL)의 제 1 방향측과 제 2 방향측에 각각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축방향(CL)의 제 1 방향측에 1개의 베어링(202)이 배치되어 있다. 축방향(CL)의 제 2 방향측에 2개의 베어링(202)이 배치되어 있다.
베어링(202)은 내륜(211)과, 외륜(212)과, 전동체로서의 볼(213)을 구비한다. 내륜(211)이 회전축(201)에 고정되어 있다. 외륜(212)이 하우징(203)에 고정되어 있다. 내륜(211)이 회전축(201)과 함께 회전한다. 이때, 내륜(211) 및 외륜(212)과 볼(213)이 스치면서 서로 미끄러진다. 즉, 내륜(211) 및 외륜(212) 중, 볼(213)과 스치면서 서로 미끄러지는 부분이 슬라이딩부로 된다.
하우징(203)은 복수의 베어링(202)을 지지하는 지지 부재이다. 하우징(203)의 내부에 복수의 베어링(202)이 수납되어 있다. 커버(204)는 하우징(203)의 개구부를 덮고 있다. 커버(204)는 고정용 너트(206)에 의하여 하우징(203)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지지 기구(200)는 내륜측 스페이서(207)와 외륜측 스페이서(208)를 구비한다. 내륜측 스페이서(207)는 축방향(CL)의 제 1 방향측에 위치하는 내륜(211)과 제 2 방향측에 위치하는 내륜(211)의 사이에 끼워져 있다. 외륜측 스페이서(208)는 축방향(CL)의 제 1 방향측에 위치하는 외륜(212)과 제 2 방향측에 위치하는 외륜(212)의 사이에 끼워져 있다.
지지 기구(200)의 조립에서는 상기한 회전축(201), 베어링(202), 하우징(203) 등의 지지 기구(200)의 각 부품이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합된 후에, 예압 조정이 실시된다. 예압은 베어링(202)의 내부 틈을 없애기 위해, 베어링(202)에 미리 가하는 하중을 말한다. 예압 조정은 예를 들면, 축방향(CL)의 제 1 방향측과 제 2 방향측에 위치하는 내륜(211)끼리를 압박하도록 조정용 너트(205)를 조임으로써 실시된다. 내륜(211)과 외륜(212)을 축심(CL)의 방향으로 어긋나게 함으로써 내륜(211)과 외륜(212)의 사이에서 볼(213)이 압박된 상태로 된다.
진단 장치(1)는 센서부(2)와, 제어 장치(3)와, 표시 장치(4)를 구비하고 있다.
센서부(2)는 베어링(202)으로부터 외부를 향하는 열유속을 검출한다. 센서부(2)는 베어링(202)으로부터 외부를 향하는 열유속에 따른 센서 신호를 제어 장치(3)를 향하여 출력한다. 센서부(2)는 하우징(203)의 표면에 부착되어 있다. 센서부(2)의 구조의 상세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센서부(2)로서, 2개의 센서부(2a, 2b)가 이용되고 있다. 제 1 센서부(2a)는 축심(CL) 방향의 제 1 방향측의 베어링(202)에 대응하여 배치되어 있다. 제 2 센서부(2b)는 축심(CL) 방향의 제 2 방향측의 베어링(202)에 대응하여 배치되어 있다.
제어 장치(3)의 입력측에 센서부(2)가 접속되어 있다. 제어 장치(3)는 베어링(202)의 조립 상태의 진단 제어를 실시한다. 여기에서 말하는 베어링(202)의 조립 상태란, 베어링(202)의 예압 상태이다. 이 진단 제어는 센서부(2)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베어링(202)의 조립 상태가 적정한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제어이다. 따라서, 제어 장치(3)가 열유속 센서(10)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베어링(202)의 조립 상태가 적정한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판정부를 구성하고 있다.
제어 장치(3)의 출력측에는 표시 장치(4)가 접속되어 있다. 제어 장치(3)는 판정 결과를 표시 장치(4)에 표시시킨다. 제어 장치(3)는 마이크로컴퓨터, 기억 장치 등을 가지고 구성된다.
표시 장치(4)는 판정 결과를 사용자에게 통지하기 위한 통지 장치이다. 표시 장치(4)로서는, 액정 디스플레이 등이 이용된다.
다음으로, 센서부(2)의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센서부(2)는 2개의 열유속 센서(10)와, 열완충체(11)와, 방열체(12)를 구비하고 있다. 2개의 열유속 센서(10), 열완충체(11) 및 방열체(12)는 모두 평판 형상이다.
2개의 열유속 센서(10)의 내부 구조는 같다. 2개의 열유속 센서(10)의 한쪽이 제 1 열유속 센서(10a)이다. 2개의 열유속 센서(10)의 다른쪽이 제 2 열유속 센서(10b)이다.
제 1 열유속 센서(10a)는 하우징(203)의 외면에 접하여 배치되어 있다. 제 2 열유속 센서(10b)는 제 1 열유속 센서(10a)에 대하여 하우징(203), 즉, 베어링(202)으로부터 이격된 측에 배치되어 있다. 열완충체(11)는 제 1 열유속 센서(10a)와 제 2 열유속 센서(10b)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방열체(12)는 제 2 열유속 센서(10b)에 대하여 베어링(202)으로부터 이격된 측에 배치되어 있다. 즉, 센서부(2)는 베어링(202)에 가까운 측에서 베어링(202)으로부터 이격된 측을 향하여 제 1 열유속 센서(10a), 열완충체(11), 제 2 열유속 센서(10b), 방열체(12)가 차례로 배치되어 있다.
제 1 열유속 센서(10a)는 제 1 열유속 센서(10a)의 베어링(202)측으로부터 열완충체(11)측을 향하여 제 1 열유속 센서(10a)를 통과하는 열유속에 따른 제 1 센서 신호를 출력한다. 제 2 열유속 센서(10b)는 제 2 열유속 센서(10b)의 열완충체(11)측으로부터 그 반대측을 향하여 제 2 열유속 센서(10b)를 통과하는 열유속에 따른 제 2 센서 신호를 출력한다. 제 1 열유속 센서(10a)와 제 2 열유속 센서(10b)의 각각의 평면 형상은 형태와 크기가 같은 직사각형이다.
열완충체(11)는 사전에 결정된 열용량을 가지고 있다. 열완충체(11)는 금속 재료 또는 수지 재료로 구성된다. 열완충체(11)는 후술하는 대로, 베어링(202)으로부터 외부를 향하여 방출되는 열유속의 변화를 검출할 수 있는 열용량으로 되도록 재질이나 두께가 설정되어 있다. 열완충체(11)의 평면 형상은 제 1 열유속 센서(10a)의 평면 형상과 형태와 크기가 같다. 또한, 열완충체(11)의 평면 형상은 제 1 열유속 센서(10a)의 평면 형상과 형태와 크기가 달라 있어도 좋다.
방열체(12)는 사전에 결정된 열용량을 가지고 있다. 방열체(12)는 금속 재료 또는 수지 재료로 구성되어 있다. 방열체(12)는, 그 열용량이 열완충체(11)의 열용량보다도 커지도록 재질이나 두께가 설정되어 있다. 방열체(12)의 평면 형상은 제 1 열유속 센서(10a), 열완충체(11), 제 2 열유속 센서(10b)의 평면 형상보다도 커져 있다. 방열체(12)는 제 1 열유속 센서(10a), 열완충체(11), 제 2 열유속 센서(10b)를 끼운 상태에서 하우징(203)에 고정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방열체(12)의 외주부에 나사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나사 구멍에 삽입된 나사(13)에 의하여 방열체(12)가 하우징(203)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하우징(203)과 방열체(12)의 사이에는 스페이서(14)가 배치되어 있다. 나사(13)는 스페이서(14)의 내부를 관통하고 있다.
도 3,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1개의 열유속 센서(10)는 절연 기재(100), 표면 보호 부재(110), 이면 보호 부재(120)가 일체화되고, 이 일체화된 것의 내부에서 제 1, 제 2 열전 부재(130, 140)가 번갈아 직렬로 접속된 구조를 가진다. 또한, 도 3에서는 표면 보호 부재(110)를 생략하고 있다. 절연 기재(100), 표면 보호 부재(110), 이면 보호 부재(120)는 필름 형상으로서, 열가소성 수지 등의 가요성을 가지는 수지 재료로 구성되어 있다. 절연 기재(100)는, 그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복수의 제 1, 제 2 비아홀(101, 102)이 형성되어 있다. 제 1, 제 2 비아홀(101, 102)에 서로 다른 금속이나 반도체 등의 열전 재료로 구성된 제 1, 제 2 열전 부재(130, 140)가 매립되어 있다. 절연 기재(100)의 표면(100a)에 배치된 표면 도체 패턴(111)에 의하여 제 1, 제 2 열전 부재(130, 140)의 제 1 접속부가 구성되어 있다. 절연 기재(100)의 이면(100b)에 배치된 이면 도체 패턴(121)에 의하여 제 1, 제 2 열전 부재(130, 140)의 제 2 접속부가 구성되어 있다.
열유속 센서(10)의 두께 방향에서 열유속이 열유속 센서(10)를 통과하면, 제 1, 제 2 열전 부재(130, 140)의 제 1 접속부와 제 2 접속부에 온도차가 발생한다. 이에 따라, 제벡(seebeck) 효과에 의하여 제 1, 제 2 열전 부재(130, 140)에 열기전력이 발생한다. 열유속 센서(10)는, 이 열기전력, 구체적으로는, 전압을 센서 신호로서 출력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 제 1 열유속 센서(10a)와 제 2 열유속 센서(10b)는 각각 통과하는 열유속이 같은 크기일 때, 절대값이 같은 크기의 센서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열유속 센서(10a)와 제 2 열유속 센서(10b)는 서로 직렬로 접속된 상태에서 제어 장치(3)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제 1 열유속 센서(10a)와 제 2 열유속 센서(10b)는 베어링(202)으로부터의 열유속이 제 1 열유속 센서(10a)와 제 2 열유속 센서(10b)를 차례로 통과했을 때에 극성이 반대인 관계를 가지는 제 1 센서 신호와 제 2 센서 신호를 출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제 1, 제 2 열유속 센서(10a, 10b)는 서로의 표면 보호 부재(110)가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제 1, 제 2 열유속 센서(10a, 10b)의 표면 도체 패턴(111)끼리가 외부 배선(151)을 통하여 접속되어 있다. 제 1, 제 2 열유속 센서(10a, 10b)의 각각의 이면 도체 패턴(121)이 외부 배선(152)을 통하여 제어 장치(3)와 접속되어 있다. 이에 따라, 열유속이 제 1 열유속 센서(10a)를 이면 보호 부재(120)측으로부터 표면 보호 부재(110)측으로 통과하는 경우에는, 해당 열유속이 제 2 열유속 센서(10b)를 표면 보호 부재(110)측으로부터 이면 보호 부재(120)측으로 통과한다. 그 때문에, 제 1, 제 2 열유속 센서(10a, 10b)로부터 출력되는 제 1, 제 2 센서 신호의 극성이 반대로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 제 1, 제 2 열유속 센서(10a, 10b)는 이면 보호 부재(120)측으로부터 표면 보호 부재(110)측을 향하여 열유속이 통과했을 때, 플러스의 센서 신호를 출력한다. 이 때문에, 베어링(202)측으로부터 방열체(12)측을 향하여 열유속이 흐르면, 제 1 열유속 센서(10a)로부터 플러스의 센서 신호가 출력되고, 제 2 열유속 센서(10b)로부터 마이너스의 센서 신호가 출력된다.
그리고 센서부(2)는 제 1 센서 신호와 제 2 센서 신호를 합친 센서 신호를 제어 장치(3)를 향하여 출력한다. 이때, 제 1, 제 2 열유속 센서(10a, 10b)를 통과하는 열유속끼리의 차가 크면, 센서부(2)로부터 출력되는 센서 신호가 커진다. 이와 같은 경우로서는 예를 들면, 대상물로부터 방출되는 열유속이 급증했을 때가 해당된다. 한편, 제 1, 제 2 열유속 센서(10a, 10b)를 통과하는 열유속끼리의 차가 작으면, 센서부(2)로부터 출력되는 출력이 작아진다. 이와 같은 경우로서는 예를 들면, 대상물로부터 방출되는 열유속이 감소했을 때나 대상물로부터 방출되는 열유속이 일정하고, 사전에 결정된 시간이 경과했을 때가 해당된다.
다음으로, 제어 장치(3)가 실시하는 베어링(202)의 조립 상태의 진단 제어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센서부(2)를 통과하는 열유속 및 센서부(2)로부터 출력되는 센서 신호에 대하여 설명한다.
지지 기구(200)에 있어서, 회전축(201)이 회전하면, 베어링(202)의 슬라이딩부가 발열한다. 회전축(201)의 회전이 정지하면, 베어링(202)의 슬라이딩부는 발열하지 않는다. 따라서, 회전축(201)이 회전과 정지를 반복하면, 베어링(202)의 슬라이딩부로부터 외부를 향하는 열유속은 증대와 감소를 반복한다. 이 때문에, 베어링(202)이 예압 적정의 상태인 때, 시간 경과에 동반하는 센서부(2)의 출력값의 변화를 나타내는 파형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축(201)의 회전과 정지의 사이클에 따라서 규칙적으로 증감하는 파형으로 된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 상기와 같이, 회전축(201)이 회전과 정지를 반복할 때, 베어링(202)의 슬라이딩부로부터 외부를 향하는 열유속은 증대와 감소를 반복한다. 이때,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열유속 센서(10a)는 하우징(203)으로부터 열유속을 차단하는 것이 아니다. 이 때문에, 제 1 열유속 센서(10a)를 통과하는 열유속은 하우징(203)을 흐르는 열유속과 동일하게 증감한다. 한편,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2 열유속 센서(10b)는 제 1 열유속 센서(10a)측에 열완충체(11)가 배치되어 있다. 열완충체(11)는 축열과 방열을 실시한다. 이 때문에, 제 2 열유속 센서(10b)를 열유속이 통과하지 않는다. 또는, 제 2 열유속 센서(10b)를 통과하는 열유속은 제 1 열유속 센서(10a)를 통과하는 열유속에 비해 지연되어 완만하게 증감한다. 센서부(2)로부터 제어 장치(3)를 향하여 출력되는 센서 신호는 제 1 센서 신호와 제 2 센서 신호를 합친 것이다. 이 때문에, 센서부(2)의 출력값은 회전축(201)의 회전과 정지의 사이클에 따라서 규칙적으로 증감한다.
베어링(202)이 예압 과잉의 상태인 때, 베어링(202)의 슬라이딩부에서의 마찰이 커진다. 이 때문에, 회전축(201)의 회전 시에는 베어링(202)의 슬라이딩부의 발열량이 커진다. 따라서, 베어링(202)이 예압 과잉의 상태인 때에는 도 6 중의 실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파선으로 나타내는 예압 적정인 때의 센서부(2)의 출력값과 비교하여 회전 시에서의 센서부(2)의 출력값이 커진다.
또한, 베어링(202)이 예압 부족의 상태인 때, 베어링(202)의 슬라이딩부에서의 마찰이 작아진다. 이 때문에, 회전축(201)의 회전 시에는 베어링(202)의 슬라이딩부의 발열량이 작아진다. 따라서, 베어링(202)이 예압 부족의 상태인 때에는 도 6 중의 일점쇄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파선으로 나타내는 예압 적정인 때의 센서부(2)의 출력값과 비교하여 회전 시에서의 센서부(2)의 출력값이 작아진다.
이와 같이, 베어링(202)의 예압 상태가 예압 적정, 예압 과잉, 예압 부족의 각각인 때에 따라서 센서부(2)의 출력값이 다르다. 이로부터, 예압 적정의 상태와 예압 과잉의 상태를 판별하기 위한 상한 한계값과, 예압 적정의 상태와 예압 부족의 상태를 판별하기 위한 하한 한계값을 미리 설정해 둔다. 그리고 센서부(2)의 출력값과 상한 한계값, 하한 한계값을 비교한다. 이에 따라, 베어링(202)의 예압 상태가 적정한지의 여부를 판정할 수 있다.
그래서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 장치(3)는 센서부(2)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조립 상태의 진단을 실시한다. 또한, 도 7 중에 나타낸 각 단계는 각종 기능을 실현하는 기능 실현부를 구성하는 것이다. 또한, 이 진단은 센서부(2a)와 센서부(2b)의 각각의 검출 결과마다 실시된다.
구체적으로, 단계 S1에서 제어 장치(3)는 센서부(2)의 검출값을 취득한다. 여기에서는 사전에 결정된 시각에서의 센서부(2)의 출력값(구체적으로는, 전압값)을 취득한다. 또한, 센서부(2)의 출력값을 그대로 이용하는 대신에, 출력값을 보정한 보정값을 검출값으로서 취득해도 좋다.
이어서, 단계 S2에서 제어 장치(3)는 검출값과 미리 기억 장치에 기억된 상한 한계값, 하한 한계값을 비교하여, 검출값이 적정 범위 내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검출값이 상한 한계값과 하한 한계값의 사이의 값인 경우, 즉, 검출값이 적정 범위 내인 경우, 제어 장치(3)는 YES 판정하여 단계 S3으로 진행한다. 단계 S3에서 제어 장치(3)는 표시 장치(4)에 예압 상태가 적정하다는 표시를 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이에 따라, 표시 장치(4)에 예압 상태가 적정하다는 취지가 표시된다.
한편, 단계 S2에서 검출값이 상한 한계값을 넘은 경우, 또는 검출값이 하한 한계값보다도 낮은 경우, 즉, 검출값이 적정 범위 밖인 경우, 제어 장치(3)는 NO 판정하여 단계 S4로 진행한다. 단계 S4에서 제어 장치(3)는 표시 장치(4)에 예압 상태가 부적정하다는 표시를 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이에 따라, 표시 장치(4)에 예압 상태가 부적정하다는 취지가 표시된다. 또한, 검출값이 적정 범위 밖인 경우, 예압 상태가 예압 과잉의 상태 또는 예압 부족의 상태인 취지를 표시하도록 해도 좋다.
이상의 설명대로, 본 실시 형태의 진단 장치(1)에 따르면, 베어링(202)의 예압 상태가 적정한지의 여부를 진단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진단 장치(1)에 있어서, 센서부(2)는 제 1 열유속 센서(10a)와 제 2 열유속 센서(10b)의 사이에 열완충체(11)가 배치되어 있다. 제어 장치(3)는 제 1 열유속 센서(10a)가 출력하는 제 1 센서 신호와 제 2 열유속 센서(10b)가 출력하는 제 2 센서 신호에 기초하여 베어링(202)의 예압 상태가 적정한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열완충체(11)는 열의 축적과 방출을 실시한다. 이 때문에, 베어링(202)의 슬라이딩부로부터 방출되는 열유속이 변화했을 때, 제 2 열유속 센서(10b)를 통과하는 열유속은 제 1 열유속 센서(10a)를 통과하는 열유속보다도 지연되어 완만하게 변화한다. 따라서, 제 1 센서 신호와 제 2 센서 신호의 차이로부터, 베어링(202)의 슬라이딩부로부터 방출되는 열유속의 변화를 검출할 수 있다.
그런데 본 실시 형태의 센서부(2) 대신에, 1개의 열유속 센서(10)만을 이용해도, 베어링(202)의 슬라이딩부로부터 방출되는 열유속을 검출할 수 있다.
그러나 이 경우, 회전축의 지지 기구(200) 주위의 환경 온도가 변화하면, 환경 온도의 영향을 받아서 열유속 센서(10)를 통과하는 열유속도 변화한다. 즉, 베어링(202)의 슬라이딩부에서의 발열량이 같아도, 환경 온도가 높은 때와 낮은 때에는 환경 온도가 낮은 때쪽이 열유속 센서(10)를 통과하는 열유속이 커진다.
이 때문에,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어링(202)의 예압 상태가 적정한 상태이어도, 하루의 환경 온도의 변동에 따라서 센서부(2)의 출력값이 한계값을 넘어 버리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제어 장치(3)는 베어링(202)의 예압 상태가 적정하지 않다고 오판정해 버린다. 또한, 이 오판정을 회피하기 위해, 환경 온도의 변동을 고려하여, 상한 한계값을 높게 설정하는 것이 생각된다. 그러나 이 경우에는 베어링(202)의 예압 상태가 예압 과잉 상태임에도 적정하다고 오판정해 버린다.
이에 대하여, 본 실시 형태의 센서부(2)의 제 1 열유속 센서(10a)와 제 2 열유속 센서(10b)는 열완충체(11)의 양측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양자는 비교적 가까운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센서부(2) 주위의 환경 온도의 변화는 통상, 하루라는 장기간에 걸쳐서 완만하게 발생한다. 이 때문에, 제 1 열유속 센서(10a)와 제 2 열유속 센서(10b)의 사이에 열완충체(11)가 배치되어 있어도, 제 1 열유속 센서(10a)와 제 2 열유속 센서(10b)가 환경 온도로부터 받는 영향은 같거나 또는 거의 같다. 제 1 열유속 센서(10a)와 제 2 열유속 센서(10b)의 각각은 같은 환경 온도의 영향을 받은 열유속에 따른 센서 신호를 출력한다. 제 1 열유속 센서(10a)와 제 2 열유속 센서(10b)에 있어서, 같은 열유속의 크기에 대한 출력의 절대값은 같다. 따라서, 제 1 열유속 센서(10a)와 제 2 열유속 센서(10b)의 출력의 합을 이용함으로써 센서부(2)의 검출 결과에 대한 환경 온도의 영향을 제외(즉, 캔슬)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베어링(202)이 예압 적정의 상태인 때의 센서부(2)의 출력 파형은 도 5에 도시한 예압 적정인 때의 출력 파형과 같이, 환경 온도의 영향이 제외된 것으로 된다. 이에 따라, 하루의 환경 온도의 변동에 의한 오판정을 회피할 수 있다. 또한, 환경 온도의 변동을 고려하여 상한 한계값을 높게 설정할 필요가 없어진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의 진단 장치(1)에 따르면, 베어링(202)의 조립 상태의 진단을 고정밀도로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제 1 열유속 센서(10a)와 제 2 열유속 센서(10b)에 있어서, 같은 열유속의 크기에 대한 출력의 절대값은 반드시 같지 않아도 좋다. 양자의 출력의 절대값이 가까우면 좋다. 이 경우에도 제 1 열유속 센서(10a)와 제 2 열유속 센서(10b)의 출력의 합을 이용함으로써 센서부(2)의 검출 결과에 대한 환경 온도의 영향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센서부(2)에 있어서, 제 1 열유속 센서(10a)와 제 2 열유속 센서(10b)는 베어링(202)의 슬라이딩부로부터의 열유속이 제 1 열유속 센서(10a)와 제 2 열유속 센서(10b)를 차례로 통과했을 때에, 극성이 반대인 관계를 가지는 제 1 센서 신호와 제 2 센서 신호를 출력한다. 제 1 열유속 센서(10a)와 제 2 열유속 센서(10b)는 서로 직렬로 접속된 상태에서 제어 장치(3)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이에 따라, 제 1 센서 신호와 제 2 센서 신호를 합친 센서 신호를 센서부(2)로부터 제어 장치(3)를 향하여 출력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제어 장치(3)에서의 제 1 센서 신호와 제 2 센서 신호의 합의 연산을 생략할 수 있다. 즉, 제어 장치(3)의 연산 처리를 간소화할 수 있다.
그런데 센서부(2)는 방열체(12)를 가지지 않는 구성이어도 좋다. 그러나 센서부(2)가 방열체(12)를 가지지 않는 경우, 제 2 열유속 센서(10b)의 표면에 바람이 닿는 등의 이유에 의해, 제 2 열유속 센서(10b)의 표면 온도가 순간적으로 변화해 버린다. 이것이 센서부(2)를 통과하는 열유속에 영향을 미친다. 이 때문에, 센서부(2)의 열유속의 검출 정밀도가 저하해 버린다.
이에 대하여, 본 실시 형태의 센서부(2)는 사전에 결정된 열용량을 가지는 방열체(12)를 구비하고 있다. 이에 따라, 단기간에 센서부(2)의 표면 온도가 변화하는 경우이어도, 방열체(12)에서의 축열과 방열에 의하여 제 2 열유속 센서(10b)의 온도 변화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센서부(2)의 열유속의 검출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센서부(2)에 있어서, 방열체(12)의 열용량은 열완충체(11)의 열용량보다도 커져 있다. 이에 따라, 베어링(202)의 슬라이딩부로부터 큰 열이 방출되었을 때에도 베어링(202)의 슬라이딩부로부터 방열체(12)를 향하여 열을 흘릴 수 있다. 이 때문에, 센서부(2)의 내부에 열이 가득 차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제 2 실시 형태)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의 조립 상태의 진단 장치(1)는 이송 장치(300)의 조립 상태를 진단한다.
도 9,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송 장치(300)는 볼 나사(301)와, 지지 부재(302)와, 모터(303)와, 받침대(304)와, 레일(305)과, 가이드 블록(306)을 구비한다. 또한, 도 10에서는 이해하기 쉽게 하기 위해, 지지 부재(302)를 생략하여 도시하고 있다.
볼 나사(301)는 회전 운동을 직선 운동으로 변환하는 기계 요소 부품이다. 볼 나사(301)는 나사 축(311)과, 너트(312)와, 볼(313)을 가지고 있다. 나사 축(311)과 너트(312)의 사이에 볼(313)이 삽입되어 있다. 나사 축(311)이 회전하면, 너트(312)가 직선 운동을 한다. 지지 부재(302)는 나사 축(311)의 축방향의 양단부를 지지하고 있다. 모터(303)는 나사 축(311)을 회전시키는 동력원이다.
받침대(304)는 이송하고 싶은 장치 등을 탑재하기 위한 것이다. 받침대(304)는 나사 축(311)의 축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즉, 도 9의 상하 방향)을 세로 방향으로 하는 평면 직사각형상으로 되어 있다. 받침대(304)는 세로 방향의 대략 중앙부가 너트(312)와 연결되어 있다. 받침대(304)는 세로 방향의 양단부가 가이드 블록(306)과 연결되어 있다.
레일(305)은 직선 형상 부재이다. 레일(305)은 2개 이용되고 있고,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이스 플레이트(307)에 고정되어 있다. 가이드 블록(306)은 레일(305)에 걸어 맞추어져 있다. 가이드 블록(306)은 레일(305)을 따라서 이동하는 가이드 부재이다. 가이드 블록(306)이 레일(305) 상을 이동할 때, 레일(305)과 가이드 블록(306)은 서로 스친다. 레일(305) 중, 가이드 블록(306)과 서로 스치는 부분이 슬라이딩부이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2개의 레일(305)이 슬라이딩부를 가지는 조립 부품을 구성하고 있다.
이와 같은 이송 장치(300)는 모터(303)에 의하여 나사 축(311)이 회전하면, 받침대(304)가 너트(312)와 함께 레일(305)을 따라서 주행한다. 이에 따라, 원하는 부분으로 받침대(304)를 이송할 수 있다.
이송 장치(300)의 조립에서는 상기한 레일(305), 가이드 블록(306) 등의 이송 장치(300)의 각 구성 부품이 도 9,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립된다. 이때, 2개의 레일(305)은 평행하게 설치된다.
본 실시 형태의 진단 장치(1)의 구성은 제 1 실시 형태의 진단 장치(1)와 같다. 센서부(2)는 이송 장치(300)의 가이드 블록(306)의 표면에 부착되어 있다. 센서부(2)는,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가이드 블록(306)에 가까운 측에서 가이드 블록(306)으로부터 이격된 측을 향하여 제 1 열유속 센서(10a), 열완충체(11), 제 2 열유속 센서(10b), 방열체(12)가 차례로 배치되어 있다.
제어 장치(3)는 2개의 레일(305)의 조립 상태가 적정한지의 여부를 진단한다. 여기에서 말하는 2개의 레일(305)의 조립 상태란, 2개의 레일(305)의 설치 상태이다. 제어 장치(3)는 2개의 레일(305)의 설치 상태가 적정한지의 여부, 즉, 2개의 레일(305)의 평행성이 좋은지 나쁜지를 진단한다.
다음으로, 본 실시 형태의 조립 상태의 진단 제어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센서부(2)로부터 출력되는 센서 신호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송 장치(300)는 받침대(304)의 주행과 정지를 1사이클로 하는 가동 사이클을 반복한다. 받침대(304)의 주행 중에는 레일(305)의 슬라이딩부와 가이드 블록(306)의 슬라이딩부의 마찰에 의하여 센서부(2)의 출력값이 증가한다. 받침대(304)의 정지 중에는 센서부(2)의 출력값이 저하한다.
이 때문에, 2개의 레일(305)의 평행성이 좋은 상태인 때의 시간 경과에 동반하는 센서부(2)의 출력값의 변화를 나타내는 파형은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송 장치(300)의 가동 사이클에 따라서 규칙적으로 증감하는 파형으로 된다.
2개의 레일(305)의 적어도 일부가 꾸불꾸불해 있거나, 들떠 있는 것 등의 이유에 의하여, 2개의 레일(305)에 국부적으로 평행하지 않은 부분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이, 2개의 레일(305)의 평행성이 나쁜 상태에서는 슬라이딩부의 마찰이 커져서, 슬라이딩부로부터의 열유속이 커진다. 이 때문에, 평행성이 나쁜 상태인 때의 시간 경과에 동반하는 센서부(2)의 출력값의 변화를 나타내는 파형은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평행성이 좋은 상태인 때보다도 출력의 피크값이 큰 파형으로 된다.
이와 같이, 2개의 레일(305)의 평행성이 좋은 상태인 때와 나쁜 상태인 때에는 센서부(2)의 출력값이 다르다. 이로부터, 2개의 레일(305)의 평행성이 좋은 상태와 나쁜 상태를 판별하기 위한 한계값을 미리 설정해 두고, 센서부(2)의 출력값과 한계값을 비교한다. 이에 따라, 2개의 레일(305)의 조립 상태가 적정한지의 여부를 판정할 수 있다.
그래서 본 실시 형태의 진단 장치(1)에 있어서도 제 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제어 장치(3)는 센서부(2)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조립 상태의 진단을 실시한다. 구체적으로, 제어 장치(3)는 센서부(2)의 검출값과 한계값을 비교한다. 도 12 중의 파선과 같이, 검출값이 한계값을 넘지 않은 경우, 제어 장치(3)는 조립 상태가 적정하다고 판정한다. 한편, 도 12 중의 실선과 같이, 검출값이 한계값을 넘는 경우, 제어 장치(3)는 조립 상태가 적정하지 않다고 판정한다. 이와 같이 하여, 본 실시 형태의 진단 장치(1)에 따르면, 2개의 레일(305)의 조립 상태가 적정한지의 여부를 진단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진단 장치(1)에 이용하는 센서부(2)는 제 1 실시 형태의 센서부(2)와 같은 구성의 것이다. 이 때문에, 본 실시 형태의 진단 장치(1)에 있어서도 제 1 실시 형태의 진단 장치(1)와 동일한 효과를 이룬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진단 장치(1)에 이용하는 센서부(2)로서, 제 1 열유속 센서(10)만을 이용해도 좋다.
(제 3 실시 형태)
본 실시 형태는 제 1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센서부(2)의 구성을 변경한 것이다. 진단 장치(1)의 그 밖의 구성은 제 1 실시 형태와 같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센서부(2)는 평판 형상의 수열체(16)를 가지고 있다. 수열체(16)는 제 1 열유속 센서(10a)보다도 하우징(203)측, 즉, 베어링(202)측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수열체(16)는 베어링(202)과 제 1 열유속 센서(10a)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수열체(16)는 열완충체(11)나 방열체(12)와 마찬가지로, 사전에 결정된 열용량을 가지고 있다. 수열체(16)는 금속 재료 또는 수지 재료로 구성된다. 수열체(16)는, 그 열용량이 열완충체(11) 및 방열체(12)보다 작아지도록 재질이나 두께가 설정되어 있다. 수열체(16)의 평면 형상은 제 1 열유속 센서(10a)의 평면 형상과 형태와 크기가 같다. 또한, 수열체(16)의 평면 형상은 제 1 열유속 센서(10a)의 평면 형상과 형태와 크기가 달라도 좋다.
본 실시 형태의 센서부(2)에서는 수열체(16)의 축열과 방열에 의하여 검출 목적은 아닌 노이즈 등의 단기적으로 발생하는 열유속의 변화가 제 1, 제 2 열유속 센서(10a, 10b)에 영향을 주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센서부(2)에서는 수열체(16)의 열용량을 작게 설정하고 있다. 이 때문에, 본 실시 형태의 센서부(2)는 검출 목적인 회전축(201)의 회전과 정지에 의한 열유속 변화를 검출할 수 있다. 즉, 본 실시 형태의 센서부(2)에서 수열체(16)의 열용량은 회전축(201)의 회전과 정지에 의한 열유속 변화를 검출할 수 있는 크기로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의 진단 장치(1)는 베어링(202)의 예압 상태가 적정한지의 여부의 진단을 고정밀도로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제 2 실시 형태에 있어서도, 센서부(2)가 수열체(16)를 가지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이에 따라, 본 실시 형태와 동일한 효과를 이룬다.
(제 4 실시 형태)
본 실시 형태는 제 1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센서부(2)의 구성을 변경한 것이다. 진단 장치(1)의 그 밖의 구성은 제 1 실시 형태와 같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센서부(2)는 제 1, 제 2 열유속 센서(10a, 10b)가 접어 구부러진 형상을 가지는 굴곡 형상부(10c)를 통하여 연결되어 있다. 굴곡 형상부(10c)는 제 1, 제 2 열유속 센서(10a, 10b)와 마찬가지로, 절연 기재(100), 표면 보호 부재(110), 이면 보호 부재(120)가 적층된 구조이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센서부(2)는 제 1, 제 2 열유속 센서(10a, 10b)가 일체화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본 실시 형태의 센서부(2)는 1개의 열유속 센서(10)가 열완충체(11)를 끼우도록 접어 구부러진 구조를 가진다. 열유속 센서(10)는 상기와 같이, 절연 기재(100), 표면 보호 부재(110), 이면 보호 부재(120)가 각각 가요성을 가지는 수지 재료로 구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열유속 센서(10)를 용이하게 접어 구부릴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 열유속 센서(10a)와 제 2 열유속 센서(10b)의 사이에 열완충체(11)가 배치된 구성이 실현된다.
제 1, 제 2 열유속 센서(10a, 10b)는 서로의 이면 도체 패턴(121)끼리가 연결되어 있다. 제 1, 제 2 열유속 센서(10a, 10b)는 외부 배선(151)은 아니고, 열유속 센서(10)의 내부의 배선 패턴에 의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또한, 제 1, 제 2 열유속 센서(10a, 10b)는 서로의 표면 도체 패턴(111)끼리가 연결되어 있어도 좋다.
이에 따르면, 제 1, 제 2 열유속 센서(10a, 10b)를 1개의 열유속 센서(10)로 구성하고 있고, 제 1 열유속 센서(10a)와 제 2 열유속 센서(10b)를 접속하기 위한 외부 배선(151)을 없앨 수 있다. 따라서, 부품수의 삭감을 도모할 수 있다.
(다른 실시 형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하기와 같이,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한 범위 내에서 적절히 변경이 가능하다.
(1) 제 1 실시 형태의 진단 장치(1)는 베어링(202)의 조립 상태를 진단 대상으로 하고 있었다. 제 2 실시 형태의 진단 장치(1)는 2개의 레일(305)의 조립 상태를 진단 대상으로 하고 있었다. 진단 장치(1)의 진단 대상은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진단 장치(1)는 다른 조립 부품의 조립 상태를 진단 대상으로 할 수 있다. 다만, 다른 조립 부품은 조립 상태가 적정인 때와 부적정인 때에서 슬라이딩부로부터의 열유속의 크기가 다른 것이다.
(2) 제 1∼제 3 실시 형태의 센서부(2)에서는 제 1 열유속 센서(10a)와 제 2 열유속 센서(10b)가 서로 직렬로 접속된 상태에서 제어 장치(3)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었지만, 제어 장치(3)에 대하여 병렬로 접속되어 있어도 좋다.
(3) 제 1∼제 3 실시 형태의 센서부(2)에서는 극성이 반대의 관계를 가지는 제 1 센서 신호와 제 2 센서 신호를 출력하도록 제 1 열유속 센서(10a)와 제 2 열유속 센서(10b)가 배치되어 있었지만, 제 1 열유속 센서(10a)와 제 2 열유속 센서(10b)의 배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극성이 같은 제 1 센서 신호와 제 2 센서 신호를 출력하도록 제 1 열유속 센서(10a)와 제 2 열유속 센서(10b)가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이 경우, 제 1 열유속 센서(10a)와 제 2 열유속 센서(10b)는 제어 장치(3)에 대하여 병렬로 접속된다. 또한, 진단 제어에 있어서, 제어 장치(3)는 제 1 센서 신호와 제 2 센서 신호의 차를 연산한다. 이에 따라, 제 1, 제 2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진단 제어를 실시할 수 있다.
(4) 제 1∼제 3 실시 형태의 센서부(2)에 있어서는, 열유속 센서(10)의 절연 기재(100), 표면 보호 부재(110), 이면 보호 부재(120)가 수지 재료 이외의 가요성을 가지는 절연 재료로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절연 기재(100), 표면 보호 부재(110), 이면 보호 부재(120)가 가요성을 가지지 않는 절연 재료로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열유속 센서(10)가 표면 보호 부재(110), 이면 보호 부재(120)를 가지지 않는 구조이어도 좋다. 또한, 열유속 센서(10)로서, 상기한 구성과는 별도의 구성의 것을 이용해도 좋다.
(5) 제 4 실시 형태의 센서부(2)에 있어서는, 열유속 센서(10)의 절연 기재(100), 표면 보호 부재(110), 이면 보호 부재(120)가 수지 재료 이외의 가요성을 가지는 절연 재료로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열유속 센서(10)가 표면 보호 부재(110), 이면 보호 부재(120)를 가지지 않는 구조이어도 좋다. 이 경우, 제 1 열유속 센서(10a)와 제 2 열유속 센서(10b)는 절연 기재(100)로 구성된 굴곡 형상부(10c)를 통하여 연결되어 있는 구조로 된다. 요컨대, 굴곡 형상부(10c)는 절연 기재(100)와 같은 절연 재료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으면 좋다.
(6) 상기 각 실시 형태의 센서부(2)는 2개의 열유속 센서(10)와, 열완충체(11)와, 방열체(12)를 구비하고 있었지만, 방열체(12)를 구비하고 있지 않아도 좋다. 이 경우, 센서부(2)의 고정은 다른 고정 부재를 이용하거나, 접착제를 이용하여 실시된다.
(7) 상기 각 실시 형태에서는 센서부(2)의 센서 신호로서 전압을 이용했지만, 전류를 이용해도 좋다.
(8) 상기 각 실시 형태는 서로 관계 없는 것은 아니고, 조합이 명백히 불가한 경우를 제외하고, 적절히 조합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각 실시 형태에 있어서, 실시 형태를 구성하는 요소는 특별히 필수라고 명시한 경우 및 원리적으로 명백히 필수라고 생각되는 경우 등을 제외하고, 반드시 필수의 것이 아닌 것은 말할 것도 없다.
(정리)
상기 각 실시 형태의 일부 또는 전부로 나타난 제 1 관점에 따르면, 조립 상태의 진단 장치는 센서부와 판정부를 구비한다. 센서부는 슬라이딩부로부터 외부를 향하여 흐르는 열유속을 검출한다. 판정부는 센서부가 검출한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조립 부품의 조립 상태가 적정한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또한, 제 2 관점에 따르면, 센서부는 제 1 열유속 센서와, 제 2 열유속 센서와, 제 1 열유속 센서와 제 2 열유속 센서의 사이에 배치된 열완충체를 가진다. 제 1 열유속 센서는 제 1 열유속 센서를 통과하는 열유속에 따른 제 1 센서 신호를 출력한다. 제 2 열유속 센서는 제 2 열유속 센서를 통과하는 열유속에 따른 제 2 센서 신호를 출력한다. 판정부는 제 1 센서 신호와 제 2 센서 신호에 기초하여 대상 장치의 이상의 유무를 판정한다.
제 2 관점에 따르면, 센서부는 제 1 열유속 센서와 제 2 열유속 센서의 사이에 열완충체가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슬라이딩부로부터 방출되는 열유속이 변화했을 때, 제 2 열유속 센서를 통과하는 열유속은 제 1 열유속 센서를 통과하는 열유속보다도 지연되어 완만하게 변화한다. 따라서, 제 1 센서 신호와 제 2 센서 신호의 차이로부터, 슬라이딩부로부터 방출되는 열유속의 변화를 검출할 수 있다.
그리고 제 1 열유속 센서와 제 2 열유속 센서는 열완충체의 양측에 배치되어 있고, 양자는 비교적 가까운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센서부가 설치되는 환경의 온도인 환경 온도의 변화는 통상, 장기간에 걸쳐서 완만하게 발생한다. 이 때문에, 제 1 열유속 센서와 제 2 열유속 센서가 환경 온도로부터 받는 영향은 같거나 또는 거의 같다. 제 1 열유속 센서와 제 2 열유속 센서의 각각은 같거나 또는 거의 같은 환경 온도의 영향을 받은 열유속에 따른 센서 신호를 출력한다. 따라서, 양자의 센서 신호를 이용함으로써 센서부의 검출 결과에 대한 환경 온도의 영향을 제외 또는 저감할 수 있다. 따라서, 제 2 관점의 진단 장치에 따르면, 조립 부품의 조립 상태의 진단을 고정밀도로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제 3 관점에 따르면, 센서부는 제 2 열유속 센서보다도 조립 부품으로부터 이격된 측에 배치되고, 사전에 결정된 열용량을 가지는 방열체를 가진다.
이에 따르면, 단기간에 센서부의 표면 온도가 변화하는 경우이어도, 방열체에서의 축열과 방열에 의하여 제 2 열유속 센서의 온도 변화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센서부의 열유속의 검출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 4 관점에 따르면, 방열체의 열용량은 열완충체의 열용량보다도 커져 있다. 이에 따르면, 슬라이딩부로부터 큰 열이 방출되었을 때에도 슬라이딩부로부터 방열체를 향하여 열을 흘릴 수 있다. 이 때문에, 센서부의 내부에 열이 가득 차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제 5 관점에 따르면, 센서부는 제 1 열유속 센서보다도 조립 부품측에 배치된 수열체를 가지고 있다. 수열체의 열용량은 열완충체의 열용량보다도 작아져 있다.
이에 따르면, 수열체의 축열과 방열에 의하여 검출 목적은 아닌 노이즈 등의 단기적으로 발생하는 열유속의 변화가 제 1, 제 2 열유속 센서에 영향을 주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수열체의 열용량을 작게 설정함으로써 센서부에 의하여 검출 목적인 슬라이딩부로부터 방출되는 열유속의 변화를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제 6 관점에 따르면, 센서부는 슬라이딩부로부터의 열유속이 제 1 열유속 센서와 제 2 열유속 센서를 차례로 통과했을 때에, 제 1 센서 신호와 제 2 센서 신호의 극성이 반대로 되도록 제 1 열유속 센서와 제 2 열유속 센서가 배치되어 있다. 제 1 열유속 센서와 제 2 열유속 센서는 전기적으로 직렬로 접속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센서부는 제 1 센서 신호와 제 2 센서 신호를 합친 센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제 1 센서 신호와 제 2 센서 신호의 합의 연산 처리를 불필요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제 7 관점에 따르면, 제 1 열유속 센서와 제 2 열유속 센서의 각각은 가요성을 가지는 필름 형상의 절연 기재와, 복수의 제 1 열전 부재와, 복수의 제 2 열전 부재를 가지고 구성된다. 복수의 제 1 열전 부재와 복수의 제 2 열전 부재는 제 1 열전 부재와 제 2 열전 부재가 번갈아 직렬로 접속되어 있다. 제 1 열유속 센서와 제 2 열유속 센서는 절연 재료를 포함하여 구성된 굴곡 형상부를 통하여 연결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제 1 열유속 센서와 제 2 열유속 센서를 접속하기 위한 외부 배선을 불필요하게 할 수 있다.
1: 조립 상태의 진단 장치
2: 센서부
3: 제어 장치
10a: 제 1 열유속 센서
10b: 제 2 열유속 센서
11: 열완충체
12: 방열체
16: 수열체
202: 베어링
305: 레일

Claims (7)

  1. 삭제
  2. 슬라이딩부를 가지는 조립 부품(202, 305)의 조립 상태를 진단하는 조립 상태의 진단 장치로서,
    상기 슬라이딩부로부터 외부를 향하여 흐르는 열유속을 검출하는 센서부(2)와,
    상기 센서부가 검출한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조립 부품의 조립 상태가 적정한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판정부(3)를 구비하되,
    상기 센서부는,
    제 1 열유속 센서(10a)와,
    상기 제 1 열유속 센서보다도 상기 조립 부품으로부터 이격된 측에 배치된 제 2 열유속 센서(10b)와,
    상기 제 1 열유속 센서와 상기 제 2 열유속 센서의 사이에 배치되어, 사전에 결정된 열용량을 가지는 열완충체(11)를 가지고,
    상기 제 1 열유속 센서는 상기 조립 부품측으로부터 상기 열완충체를 향하여 상기 제 1 열유속 센서를 통과하는 열유속에 따른 제 1 센서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제 2 열유속 센서는 상기 열완충체로부터 상기 열완충체측의 반대측을 향하여 상기 제 2 열유속 센서를 통과하는 열유속에 따른 제 2 센서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판정부는 상기 제 1 센서 신호와 상기 제 2 센서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조립 부품의 조립 상태가 적정한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조립 상태의 진단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제 2 열유속 센서보다도 상기 조립 부품으로부터 이격된 측에 배치되어, 사전에 결정된 열용량을 가지는 방열체(12)를 가지는
    조립 상태의 진단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체의 열용량은 상기 열완충체의 열용량보다도 커져 있는
    조립 상태의 진단 장치.
  5.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제 1 열유속 센서보다도 상기 조립 부품측에 배치된 수열체(16)를 가지고,
    상기 수열체의 열용량은 상기 열완충체의 열용량보다도 작아져 있는
    조립 상태의 진단 장치.
  6.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슬라이딩부로부터의 열유속이 상기 제 1 열유속 센서와 상기 제 2 열유속 센서를 차례로 통과했을 때에, 상기 제 1 센서 신호와 상기 제 2 센서 신호의 극성이 반대로 되도록 상기 제 1 열유속 센서와 상기 제 2 열유속 센서가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 1 열유속 센서와 상기 제 2 열유속 센서는 전기적으로 직렬로 접속되어 있는
    조립 상태의 진단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열유속 센서와 상기 제 2 열유속 센서의 각각은,
    적어도 절연 재료로 구성되고, 가요성을 가지는 필름 형상의 절연 기재(100)와,
    상기 절연 기재에 형성되어, 열전 재료로 구성된 복수의 제 1 열전 부재(130)와,
    상기 절연 기재에 형성되어, 상기 제 1 열전 부재와 다른 열전 재료로 구성된 복수의 제 2 열전 부재(140)를 가지고,
    상기 복수의 제 1 열전 부재와 복수의 상기 제 2 열전 부재는 상기 제 1 열전 부재와 상기 제 2 열전 부재가 번갈아 직렬로 접속되어 있고,
    상기 제 1 열유속 센서와 상기 제 2 열유속 센서는 상기 절연 재료를 포함하여 구성된 굴곡 형상부(10c)를 통하여 연결되어 있는
    조립 상태의 진단 장치.
KR1020187013436A 2015-11-12 2016-11-09 조립 상태의 진단 장치 KR10213185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5222444A JP6358233B2 (ja) 2015-11-12 2015-11-12 組付状態の診断装置
JPJP-P-2015-222444 2015-11-12
PCT/JP2016/083239 WO2017082298A1 (ja) 2015-11-12 2016-11-09 組付状態の診断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4520A KR20180064520A (ko) 2018-06-14
KR102131855B1 true KR102131855B1 (ko) 2020-07-08

Family

ID=586953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13436A KR102131855B1 (ko) 2015-11-12 2016-11-09 조립 상태의 진단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0845256B2 (ko)
EP (2) EP3376197A4 (ko)
JP (1) JP6358233B2 (ko)
KR (1) KR102131855B1 (ko)
CN (1) CN108291855B (ko)
TW (1) TWI639819B (ko)
WO (1) WO201708229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358233B2 (ja) * 2015-11-12 2018-07-18 株式会社デンソー 組付状態の診断装置
JP6358234B2 (ja) 2015-11-12 2018-07-18 株式会社デンソー 稼働状態の診断装置
JP6249009B2 (ja) * 2015-11-12 2017-12-20 株式会社デンソー 異常診断装置
JP6500825B2 (ja) * 2016-04-08 2019-04-17 株式会社デンソー 監視装置
JP6743772B2 (ja) * 2017-06-27 2020-08-19 株式会社デンソー 位置検出装置
JP6950427B2 (ja) * 2017-10-03 2021-10-13 株式会社デンソー 位置検出装置
WO2019159838A1 (ja) * 2018-02-13 2019-08-22 Ntn株式会社 軸受装置およびスピンドル装置
JP6967495B2 (ja) * 2018-09-03 2021-11-17 Ntn株式会社 軸受装置
CN113056620B (zh) 2018-10-31 2023-02-21 Ntn株式会社 轴承装置
JP7206141B2 (ja) * 2019-03-25 2023-01-17 Ntn株式会社 軸受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223473A1 (en) 2012-02-29 2013-08-29 Yong Weon Kim Heat flux gauge with micro-scale temperature sensors
JP2015015013A (ja) * 2013-06-04 2015-01-22 株式会社デンソー 発熱量制御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97614A (ja) * 1981-12-08 1983-06-10 Agency Of Ind Science & Technol 製品検査装置
JPS60201224A (ja) * 1984-03-27 1985-10-11 Kyushu Daigaku 多層薄膜熱伝達ゲ−ジ
JPS63247628A (ja) * 1987-04-02 1988-10-14 Keio Teito Dentetsu Kk 車輪温度検出装置
US4779994A (en) * 1987-10-15 1988-10-25 Virginia Polytechnic Institute And State University Heat flux gage
US5216625A (en) * 1989-11-01 1993-06-01 Luxtron Corporation Autocalibrating dual sensor non-contact temperature measuring device
JPH03213249A (ja) * 1990-01-16 1991-09-18 Omron Corp 熱流計測を利用した工具のモニタリング方法
JPH0478933A (ja) * 1990-07-20 1992-03-12 Fujitsu Ltd 仮想プロセッサによるプログラム処理方式
JPH05301144A (ja) 1992-04-23 1993-11-16 Suzuki Motor Corp 工作機械の暖機装置
US5464284A (en) * 1994-04-06 1995-11-07 Luxtron Corporation Autocalibrating non-contact temperature measuring technique employing dual recessed heat flow sensors
US6392431B1 (en) * 1996-10-23 2002-05-21 Aetrium, Inc. Flexibly suspended heat exchange head for a DUT
JP4172576B2 (ja) * 2001-08-31 2008-10-29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湿度センサの温度制御装置
DE102006016956B4 (de) * 2006-04-11 2009-10-08 Electrolux Home Products Corp. N.V. Verfahren zum Bestimmen der von einem Gargut aufgenommenen Wärme in einem Gargerät und Gargerät zur Durchführung des Verfahrens
JP5656674B2 (ja) * 2011-02-02 2015-01-21 三菱重工業株式会社 伝熱管の検査装置および検査方法
CN102879419B (zh) * 2011-07-15 2014-04-09 郭晓明 一种建筑保温材料的监控系统
KR101436234B1 (ko) * 2012-01-31 2014-08-29 도시바 기카이 가부시키가이샤 절삭 가공 온도의 측정 방법
JP5376087B1 (ja) 2012-05-30 2013-12-25 株式会社デンソー 熱電変換装置の製造方法
EP2949957A4 (en) * 2013-01-24 2016-08-31 Jatco Ltd TEMPERATURE ESTIMATION CALCULATION DEVICE FOR FRICTION TAKE-OFF ELEMENT
JP5987811B2 (ja) 2013-06-04 2016-09-07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の異常判定装置
JP5761302B2 (ja) * 2013-06-04 2015-08-12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の快適温調制御装置
JP6303973B2 (ja) * 2014-10-20 2018-04-04 株式会社デンソー 状態検出センサ
JP6451484B2 (ja) * 2015-05-11 2019-01-16 株式会社デンソー 熱流束センサの製造方法およびそれに用いる熱流発生装置
JP6358234B2 (ja) * 2015-11-12 2018-07-18 株式会社デンソー 稼働状態の診断装置
JP6249009B2 (ja) 2015-11-12 2017-12-20 株式会社デンソー 異常診断装置
JP6358233B2 (ja) * 2015-11-12 2018-07-18 株式会社デンソー 組付状態の診断装置
JP6274246B2 (ja) * 2016-04-08 2018-02-07 株式会社デンソー 監視装置
JP6673306B2 (ja) * 2017-03-03 2020-03-25 株式会社デンソー 診断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223473A1 (en) 2012-02-29 2013-08-29 Yong Weon Kim Heat flux gauge with micro-scale temperature sensors
JP2015015013A (ja) * 2013-06-04 2015-01-22 株式会社デンソー 発熱量制御装置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일본 특허공보 특허 제4078933호(1992.12.14.)*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845256B2 (en) 2020-11-24
TWI639819B (zh) 2018-11-01
CN108291855B (zh) 2020-03-27
JP6358233B2 (ja) 2018-07-18
EP3734250A1 (en) 2020-11-04
TW201732254A (zh) 2017-09-16
CN108291855A (zh) 2018-07-17
JP2017090318A (ja) 2017-05-25
US20180328796A1 (en) 2018-11-15
EP3376197A4 (en) 2018-11-14
KR20180064520A (ko) 2018-06-14
WO2017082298A1 (ja) 2017-05-18
EP3376197A1 (en) 2018-09-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31855B1 (ko) 조립 상태의 진단 장치
CN108351277B (zh) 异常诊断装置
JP2017187451A (ja) 監視装置
WO2017175850A1 (ja) 熱流束計および異常診断装置
US10589431B2 (en) Strain sensor, multi-axial force sensor and robot
KR102134003B1 (ko) 가동 상태의 진단 장치
US10197376B2 (en) Runout detection device configured to detect runout of the rotating member based on the heat flux detected by the heat
JP2008019897A (ja) 軸受装置
JP2018091627A (ja) 歪み検出装置
JP2019168396A (ja) ボールねじ装置の異常検出装置
JP5234365B2 (ja) 温度センサ
JP2018072192A (ja) 角度検出装置
JP2020020385A (ja) 潤滑剤劣化検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