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0955B1 - 주차 관리 시스템 및 주차 관리 방법 - Google Patents

주차 관리 시스템 및 주차 관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0955B1
KR102130955B1 KR1020187026324A KR20187026324A KR102130955B1 KR 102130955 B1 KR102130955 B1 KR 102130955B1 KR 1020187026324 A KR1020187026324 A KR 1020187026324A KR 20187026324 A KR20187026324 A KR 20187026324A KR 102130955 B1 KR102130955 B1 KR 1021309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king
vehicle
read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263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10114A (ko
Inventor
다로 다시로
Original Assignee
미츠비시 쥬고 기카이 시스템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츠비시 쥬고 기카이 시스템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츠비시 쥬고 기카이 시스템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1101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01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09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09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4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83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 G06Q30/0284Time or distance, e.g. usage of parking meters or taximeters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BTICKET-ISSUING APPARATUS; FARE-REGISTERING APPARATUS; FRANKING APPARATUS
    • G07B15/00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collecting fares, tolls or entrance fees at one or more control points
    • G07B15/02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collecting fares, tolls or entrance fees at one or more control points taking into account a variable factor such as distance or time, e.g. for passenger transport, parking systems or car rental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15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with provision for distinguishing between two or more types of vehicles, e.g. between motor-cars and cycl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17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identifying vehicl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17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identifying vehicles
    • G08G1/0175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identifying vehicles by photographing vehicles, e.g. when violating traffic rul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4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using optical or ultrasonic detector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4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 G08G1/141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with means giving the indication of available parking spaces
    • G08G1/142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with means giving the indication of available parking spaces external to the vehicl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4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 G08G1/145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where the indication depends on the parking areas
    • G08G1/146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where the indication depends on the parking areas where the parking area is a limited parking space, e.g. parking garage, restricted spa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240/00Transportation facility access, e.g. fares, tolls or parking

Landscapes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Devices For Checking Fares Or Tickets At Control Point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Abstract

주차 관리 시스템은 판독 장치, 차량 검출 장치, 주차 관리 장치를 구비한다. 판독 장치는 하나의 차량을 주차 가능한 주차 스페이스를 갖는 관리 에어리어의 경계에 진입하는 차량에 탑재된 식별체로부터 차량을 식별하는 식별 정보를 판독한다. 차량 검출 장치는 주차 스페이스 각각에 존재하는 차량을 검출한다. 주차 관리 장치는, 동일한 식별 정보가 판독 장치에 의해 최초로 판독된 시각부터 통과 판정 시간 동안에 다시 판독되지 않고, 또한 통과 판정 시간 동안에 차량 검출 장치에 의해 주차 스페이스에 새로운 차량이 검출되었을 경우에, 식별 정보가 나타내는 차량이 주차 스페이스에 주차했다고 판정한다.

Description

주차 관리 시스템 및 주차 관리 방법
본 발명은 주차 관리 시스템 및 주차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원은 2016년 03월 31일에 일본에 출원된 일본 특허출원 제 2016-073498호에 대하여 우선권을 주장하고, 그 내용을 여기에 원용(賭痰)한다.
특허문헌 1에는, DSRC(Dedicated Short Range Communications) 통신에 의해 주차장에 대한 입장 및 퇴장을 검출하고, 입장 시각부터 퇴장 시각까지의 시간에 근거하여 과금액(課金額)을 산출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일본 공개 특허 공보 제 2013-73339호
주차 관리 방식으로서는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것을 포함하여 여러 가지 것을 생각할 수 있지만, 간이한 구조에 의해 실현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간이한 구조에 의해, 주차 관리가 가능한 주차 관리 시스템 및 주차 관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제 1 양태에 의하면, 주차 관리 시스템(1)은, 하나의 차량(C)을 주차 가능한 주차 스페이스(PS)를 갖는 관리 에어리어(MA, PA)의 경계에 설치되고, 상기 관리 에어리어의 상기 경계를 통과하는 차량에 탑재된 식별체(CE, CT)로부터 차량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 정보를 판독하는 판독 장치(101, 104, 501)와, 상기 주차 스페이스 각각에 위치하는 차량을 검출하는 차량 검출 장치(106)와, 상기 판독 장치로부터 상기 식별 정보를 취득하는 동시에 상기 차량 검출 장치로부터 차량의 검출 결과를 취득하는 주차 관리 장치(107)를 구비한다. 상기 주차 관리 장치는, 동일한 상기 식별 정보가 상기 판독 장치에 의해 최초로 판독된 시각부터 계측 개시되는, 소정의 통과 판정 시간 동안에 다시 판독되지 않고, 또한 상기 통과 판정 시간 동안에 상기 차량 검출 장치에 의해 상기 주차 스페이스에 새로운 차량이 검출되었을 경우에, 상기 식별 정보가 나타내는 차량이 상기 주차 스페이스에 주차했다고 판정하는 주차 판정부(203)를 구비한다.
동일한 식별 정보가 판독 장치에 의해 최초로 판독된 시각부터 통과 판정 시간 동안에 다시 판독되는 경우, 당해 식별 정보가 나타내는 차량은 관리 에어리어에 들어간 후, 관리 에어리어 내에서 주차하지 않고 관리 에어리어로부터 퇴출하고 있다고 판정된다. 한편, 통과 판정 시간 동안에 주차 스페이스에 차량이 검출되었을 경우에는, 당해 차량은 주차 스페이스에 주차하고 있다고 판정된다. 따라서, 간이한 구조에 의해 주차 관리가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제 2 양태에 의하면, 제 1 양태에 관한 주차 관리 시스템은, 상기 주차 관리 장치가, 상기 주차 판정부에 의해 상기 주차 스페이스에 주차했다고 판정된 상기 차량의 주차 요금을, 상기 판독 장치에 의해 최초로 판독된 시각부터 다시 판독된 시각까지의 시간에 근거하여 특정하는 과금액 특정부(205)를 더 구비한다.
이것에 의해, 제 2 양태에 관한 주차 관리 시스템은 주차 스페이스에 주차되었다고 판정된 차량에 대해 입장 시각부터 퇴장 시각까지의 시간에 따른 주차 요금을 과금(課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3 양태에 의하면, 제 1 또는 제 2 양태에 관한 주차 관리 시스템은 상기 주차 에어리어의 경계에 설치되고, 상기 주차 에어리어의 상기 경계에 진입하는 차량에 탑재된 식별체로부터 상기 식별 정보를 판독하는 부판독 장치(副讀取裝置)(801)를 더 구비하고, 상기 관리 에어리어가 하나의 차량을 주차 가능한 주차 스페이스를 갖는 복수의 주차 에어리어(PA1, PA2)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주차 관리 장치가 상기 부판독 장치에 의한, 상기 주차 판정부에 의해 주차했다고 판정된 차량의 상기 식별 정보의 판독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차량이 주차한 주차 스페이스를 갖는 상기 주차 에어리어를 특정하는 주차 에어리어 특정부(901)를 더 구비한다.
이것에 의해, 제 3 양태에 관한 주차 관리 시스템은, 관리 에어리어 중 차량이 주차하는 주차 에어리어를 특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4 양태에 의하면, 제 1 내지 제 3 중 어느 하나의 양태에 관한 주차 관리 시스템은, 상기 주차 관리 장치가 상기 판독 장치에 의해 최초로 판독된 시각부터 통과 판정 시간 동안에 다시 판독되지 않은 상기 식별 정보의 수를 특정하는 체류수 특정부(滯留數特定部)(208)와, 상기 차량 검출 장치에 의해 차량이 검출된 상기 주차 스페이스의 수를 특정하는 주차수 특정부(207)와, 상기 체류수 특정부에 의해 특정된 상기 식별 정보의 수와 상기 주차수 특정부에 의해 특정된 상기 주차 스페이스의 수가 소정의 이상 판정 시간(異常判定時間) 이상 계속하여 상이한 경우에, 이상이 발생하고 있다고 판정하는 이상 판정부(209)를 더 구비한다.
이것에 의해, 제 4 양태에 관한 주차 관리 시스템은, 판독 장치에 의해 식별 정보를 판독할 수 없는 차량이 주차 스페이스에 주차하고 있는 경우, 및 차량이 주차 스페이스 이외의 장소에 주차하고 있는 경우에, 이상이 발생하고 있다고 판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5 양태에 의하면, 제 1 내지 제 4 중 어느 하나의 양태에 관한 주차 관리 시스템은, 상기 관리 에어리어가 복수의 경계를 갖고, 상기 판독 장치가 상기 관리 에어리어의 상기 경계 각각에 설치되고, 상기 주차 판정부가, 동일한 상기 식별 정보가 하나의 상기 판독 장치에 의해 최초로 판독된 시각부터 통과 판정 시간 동안에 다른 상기 판독 장치에 의해 판독되지 않고, 또한 상기 통과 판정 시간 동안에 상기 차량 검출 장치에 의해 상기 주차 스페이스에 차량이 검출되었을 경우에, 상기 식별 정보가 나타내는 차량이 상기 주차 스페이스에 주차했다고 판정한다.
이것에 의해, 제 5 양태에 관한 주차 관리 시스템은, 차량이 하나의 경계에서 유입되고 다른 경계에서 유출되는 관리 에어리어에 있어서, 주차 스페이스에 대한 주차 유무를 적절히 판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6 양태에 의하면, 제 1 내지 제 5 중 어느 하나의 양태에 관한 주차 관리 시스템은, 상기 관리 에어리어가 차도(L1)의 한 구획(區畵)이며, 상기 주차 스페이스가 상기 구획의 일부이며, 상기 판독 장치가 상기 구획의 상류 측 경계와 상기 구획의 하류 측 경계에 설치된다.
이것에 의해, 제 6 양태에 관한 주차 관리 시스템은 차도의 일부를 노상 주차장으로서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7 양태에 의하면, 주차 관리 방법은, 하나의 차량을 주차 가능한 주차 스페이스를 갖는 관리 에어리어의 경계에 진입하는 차량에 탑재된 식별체로부터 차량을 식별하는 식별 정보를 판독하는 판독 단계와, 상기 주차 스페이스 각각에 존재하는 차량을 검출하는 차량 검출 단계와, 동일한 상기 식별 정보가 최초로 판독된 시각부터 통과 판정 시간 동안에 다시 판독되지 않고, 또한 상기 통과 판정 시간 동안에 상기 주차 스페이스에 차량이 검출되었을 경우에, 상기 식별 정보가 나타내는 차량이 상기 주차 스페이스에 주차했다고 판정하는 주차 판정 단계를 갖는다.
상기 양태 중 적어도 하나의 양태에 의하면, 간이한 구조에 의해 주차 관리가 가능해진다.
도 1은 제 1 실시 형태에 관한 주차 관리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제 1 실시 형태에 관한 주차 관리 장치의 기능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 블록도이다.
도 3은 제 1 실시 형태에 관한 주차 판정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flow chart)이다.
도 4는 제 1 실시 형태에 관한 이상 판정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5는 제 2 실시 형태에 관한 주차 관리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제 2 실시 형태에 관한 주차 관리 장치의 기능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 블록도이다.
도 7은 제 2 실시 형태에 관한 주차 판정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8은 제 3 실시 형태에 관한 주차 관리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제 3 실시 형태에 관한 주차 관리 장치의 기능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 블록도이다.
도 10은 제 3 실시 형태에 관한 에어리어 통지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1은 적어도 하나의 실시 형태에 관한 컴퓨터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 블록도이다.
《제 1 실시 형태》
이하, 제 1 실시 형태에 관한 주차 관리 시스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제 1 실시 형태에 관한 주차 관리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 1 실시 형태에 관한 주차 관리 시스템(1)은, 제 1 차선(L1) 및 제 2 차선(L2)으로 이루어지는 편도 2차선(片側二車線)의 차도 중 제 1 차선(L1)의 한 구획에 설정된 주차 에어리어(PA)에 있어서, 주차 에어리어(PA) 내의 주차 스페이스(PS)에 주차한 차량(C)에 대해 주차 요금을 과금하는 시스템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주차 관리 시스템(1)의 관리 에어리어가 1개의 주차 에어리어(PA)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관리 에어리어와 주차 에어리어(PA)가 일치한다. 제 1 실시 형태에 관한 주차 관리 시스템(1)은 차량 ID를 격납(格納)하는 차재기(車載器)(CE)가 탑재된 차량(C)의 주차를 허가한다.
각 주차 스페이스(PS)는 구획선에 의해 구획되어 있다. 구획선은, 제 1 차선(L1)이 노상 주차장으로서 기능하고 있을 때에 강조된다. 구획선의 강조는, 예를 들어 구획선에 지향성(指向性)이 향해진 라이트에 의한 조사, EL(Electroluminescence) 발광체 등의 발광체에 의해 형성된 구획선의 발광 등에 의해 실시된다. 제 1 차선(L1)은 노상 주차장으로서 기능하고 있지 않은 경우, 통행 차선으로서 기능한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주차 관리 시스템(1)은, 제 1 안테나(101), 제 1 카메라(102), 도로 측 표시 장치(103), 제 2 안테나(104), 제 2 카메라(105), 차량 검출 장치(106), 주차 관리 장치(107), 중앙 결제 처리 장치(108)를 구비한다.
제 1 안테나(101), 제 1 카메라(102) 및 도로 측 표시 장치(103)는 주차 에어리어(PA)의 상류 측(진행 방향 앞쪽(手前側), 도 1에서의 -Y 방향 측) 경계(입구 측 경계) 근방에 설치된 폴(pole)에 설치된다. 제 2 안테나(104) 및 제 2 카메라(105)는 주차 에어리어(PA)의 하류 측(진행 방향 안쪽(奧側), 도 1에서의 +Y 방향 측) 경계(출구 측 경계) 근방에 설치된 폴에 설치된다. 차량 검출 장치(106)는 주차 에어리어(PA)에 구분된 각 주차 스페이스(PS)의 중앙에 설치된다. 주차 관리 장치(107)는 주차 에어리어(PA)의 도로 측에 설치된 유인(有人) 부스(B) 내에 설치된다. 또한, 다른 실시 형태에 있어서 도로 측에 유인 부스(B)가 설치되지 않는 경우, 주차 관리 장치(107)가 도로 측 에어리어, 도로 측 구조물, 또는 원격지(I)에 설치될 수도 있다. 중앙 결제 처리 장치(108)는 원격지(I)에 설치된다.
제 1 안테나(101)는 주차 에어리어(PA)의 상류 측 경계를 통과하는 차량(C)에 탑재된 차재기(CE)와의 무선 통신을 수행한다. 즉, 제 1 안테나(101)는 통신 범위(R1)에 주차 에어리어(PA)의 상류 측 경계가 포함되도록 설치된다. 제 1 안테나(101)는 차재기(CE)로부터 차량(C)을 식별하는 차량 ID를 판독한다. 제 1 안테나(101)는 관리 에어리어의 경계에 진입하는 차량(C)에 탑재된 식별체(차재기(CE))로부터 차량(C)을 식별하는 식별 정보를 판독하는 판독 장치의 일례이다. 또한, 차량 ID로서는 1대의 차량당 복수 종류의 ID(예를 들어, 차재기 관리 번호 및 차량 번호)를 갖고 있을 수도 있지만, 본 실시 형태에서는 그 중에서 한 종류의 ID(예를 들어, 차재기 관리 번호)에 주목하고 있는 것으로 한다.
제 1 카메라(102)는 주차 에어리어(PA) 내의 주차 스페이스(PS) 및 통행 차선을 주차 에어리어(PA)의 상류 측에서 촬영한다.
도로 측 표시 장치(103)는 제 1 차선(L1)의 노상 주차장으로서의 운용 상황을 나타내는 정보를 표시한다. 운용 상황을 나타내는 정보의 예로서는, 제 1 차선(L1)이 노상 주차장으로서 기능하고 있는지 아닌지, 및 주차 스페이스(PS)의 빈자리 수를 들 수 있다. 도로 측 표시 장치(103)는, 예를 들어 VMS(Variable Message Sign) 등에 의해 실현된다.
제 2 안테나(104)는 주차 에어리어(PA)의 하류 측 경계를 통과하는 차량(C)에 탑재된 차재기(CE)와의 무선 통신을 수행한다. 즉, 제 2 안테나(104)는 통신 범위(R2)에 주차 에어리어(PA)의 하류 측 경계가 포함되도록 설치된다. 제 2 안테나(104)는 차재기(CE)로부터 차량(C)을 식별하는 차량 ID를 판독한다. 제 2 안테나(104)는 관리 에어리어의 경계에 진입하는 차량(C)에 탑재된 식별체(차재기(CE))로부터 차량(C)을 식별하는 식별 정보를 판독하는 판독 장치의 일례이다.
제 2 카메라(105)는 주차 에어리어(PA) 내의 주차 스페이스(PS) 및 통행 차선을 주차 에어리어(PA)의 하류 측에서 촬영한다.
차량 검출 장치(106)는 자신이 설치된 주차 스페이스(PS)에 존재하는 차량(C)을 검출한다. 차량 검출 장치(106)는, 예를 들어 초음파 센서, 자기 센서(루프 코일) 등에 의해 실현된다.
주차 관리 장치(107)는 제 1 안테나(101), 제 2 안테나(104) 및 차량 검출 장치(106)로부터 정보를 취득하고, 주차 스페이스(PS)에 주차하고 있는 차량(C)에 대해 과금 처리를 수행한다. 또한 주차 관리 장치(107)는 주차 스페이스(PS)에 부적절한 차량(C)이 주차하고 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판정 결과는 주차 관리 장치(107)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됨으로써, 유인 부스(B)에서 대기하는 담당자(係員)에게 통지된다. 또한, 주차 관리 장치(107)는 제 1 카메라(102) 및 제 2 카메라(105)가 촬영한 영상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한다. 담당자는 제 1 카메라(102) 및 제 2 카메라(105)의 영상을 감시함으로써, 주차 스페이스(PS)에 대한 물체의 투기(投棄) 및 이륜차의 진입, 및 제 2 차선(L2)에 대한 차량(C)의 정차를 감시한다.
중앙 결제 처리 장치(108)는 신용 카드(credit card) 회사 등을 통해, 주차 관리 장치(107)로부터 접수한 주차 요금에 따른 전자 결제 처리를 수행한다.
(기능 구성)
도 2는 제 1 실시 형태에 관한 주차 관리 장치의 기능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 블록도이다. 주차 관리 장치(107)는, ID 취득부(201), 검출 결과 취득부(202), 주차 판정부(203), 체류 리스트 기억부(204), 과금액 특정부(205), 과금 처리부(206), 주차수 특정부(207), 체류수 특정부(208), 이상 판정부(209), 알람 통지부(210), 운용 설정부(211)를 구비한다.
ID 취득부(201)는 제 1 안테나(101) 및 제 2 안테나(104)로부터 차재기(CE)와의 통신에 의해 판독된 차량 ID를 취득한다.
검출 결과 취득부(202)는 각 차량 검출 장치(106)로부터 차량(C)의 검출 결과를 취득한다. 주차 판정부(203)는, ID 취득부(201)가 취득한 차량 ID와 검출 결과 취득부(202)가 취득한 차량 검출 장치(106)의 검출 결과에 근거하여, 주차 스페이스(PS)에 차량(C)이 주차하고 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체류 리스트 기억부(204)는 주차 에어리어(PA)에 체류하고 있는 차량(C)의 차량 ID를 기억한다. 여기서, 「주차 에어리어(PA)에 체류한다」란, 차량(C)이 주차 에어리어(PA)를 통과하지 않고 주차 에어리어(PA) 내에 남아 있는 상태를 말한다. 주차는 체류의 한 형태이다.
과금액 특정부(205)는 주차 판정부(203)에 의해 주차 스페이스(PS)에 주차하고 있다고 판정된 차량(C)의 주차 요금을 산출한다. 예를 들어, 과금액 특정부(205)는 특정한 시간에 단위 시간당 단위 주차 요금을 곱함으로써, 주차 요금을 산출한다. 단위 주차 요금은 주차 스페이스(PS)의 빈자리 상황 또는 시간대에 따라 변동할 수도 있다.
과금 처리부(206)는 중앙 결제 처리 장치(108)와 통신하여, 과금액 특정부(205)가 특정한 주차 요금의 과금 처리를 수행한다.
주차수 특정부(207)는, 각 차량 검출 장치(106)의 검출 결과에 근거하여, 주차 스페이스(PS)에 주차하고 있는 차량(C)의 수를 산출한다.
체류수 특정부(208)는, 체류 리스트 기억부(204)가 기억하는 차량 ID의 수(즉, 차량 ID에 관한 차량의 수)를 산출한다.
이상 판정부(209)는 미리 정해진 이상 판정 시간 동안, 주차수 특정부(207)가 특정한 차량(C)의 수와 체류수 특정부(208)가 특정한 차량 ID의 수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 이상이 발생하고 있다고 판정한다. 또한, 「차량 ID의 수」로서는, 종류가 상이한 복수의 차량 ID가 검출되었다고 해도, 그 중의 한 종류의 차량 ID에 주목하여 취급하는 것으로 하고, 그것이 동일한 차량에 관한 것이면 1개로 카운트한다. 또한, 차량 ID로서, 종류가 상이한 복수의 차량 ID가 존재하는 경우에 있어서, 그것의 모든 종류의 차량 ID에 주목하는 취급으로 할 수도 있고, 그 경우에 있어서, 그들의 복수 종류의 차량 ID를, 동일 차량에 관한 것에 대해, 통합하여 하나로 카운트할 수도 있다.
알람 통지부(210)는 디스플레이에 알람을 표시함으로써, 담당자에게 이상의 발생을 통지한다.
운용 설정부(211)는 제 1 차선(L1)을 노상 주차장으로서 기능시킬지 아닌지의 설정의 입력을 접수한다. 운용 설정부(211)는, 제 1 차선(L1)을 노상 주차장으로서 기능시키는 것을 나타내는 설정이 입력되었을 경우, 구획선을 강조시켜, 도로 측 표시 장치(103)에 제 1 차선(L1)이 노상 주차장으로서 기능하고 있다는 뜻을 표시하게 한다. 한편, 운용 설정부(211)는, 제 1 차선(L1)을 노상 주차장으로서 기능시키지 않는 것을 나타내는 설정이 입력되었을 경우, 구획선의 강조를 해제하여, 도로 측 표시 장치(103)에 제 1 차선(L1)이 노상 주차장으로서 기능하고 있지 않다는 뜻을 표시하게 한다. 또한, 운용 설정부(211)는, 제 1 차선(L1)을 노상 주차장으로서 기능시키지 않는 것을 나타내는 설정이 입력되었을 경우에, 이하에 나타내는 주차 판정 동작 및 이상 판정 동작의 실행 개시를 허가한다. 한편, 운용 설정부(211)는, 제 1 차선(L1)을 노상 주차장으로서 기능시키지 않는 것을 나타내는 설정이 입력되었을 경우에, 이하에 나타내는 주차 판정 동작 및 이상 판정 동작의 실행 개시를 금지한다.
(주차 관리 장치에 의한 주차 판정 동작)
여기서, 주차 관리 장치(107)에 의한 주차 판정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주차 판정 동작이란, 주차 관리 장치(107)가, 차량(C)이 주차 스페이스(PS)에 주차하고 있는지 아닌지를 판정하고, 주차 스페이스(PS)에 주차하고 있는 차량(C)에 과금 처리를 수행하는 동작이다.
도 3은 제 1 실시 형태에 관한 주차 판정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주차 관리 장치(107)는, ID 취득부(201)가 제 1 안테나(101)로부터 차량 ID를 취득했을 때에, 도 3에 나타내는 주차 판정 동작을 개시한다. 주차 판정 동작은, 제 1 안테나(101)가 판독한 차량 ID 각각에 대하여 병렬로 실행된다. 즉, 주차 관리 장치(107)가 이미 제 1 차량 ID에 대한 주차 판정 동작을 실행하고 있을 때에, 제 1 안테나(101)가 제 2 차량 ID를 판독했을 경우, 주차 관리 장치(107)는 제 1 차량 ID에 대한 주차 판정 동작과 제 2 차량 ID에 대한 주차 판정 동작을 병렬하여 실행한다.
주차 관리 장치(107)의 ID 취득부(201)는 제 1 안테나(101)로부터 차량 ID를 취득한다(단계 S301). 다음에, 주차 판정부(203)는 ID 취득부(201)가 차량 ID를 취득한 시각부터의 경과 시간의 계측을 개시한다(단계 S302). 그러고 나서, 주차 판정부(203)는 계측하고 있는 경과 시간이 미리 정해진 통과 판정 시간(예를 들어, 5분)을 초과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단계 S303).
차량 ID를 취득한 시각부터의 경과 시간이 통과 판정 시간을 초과하지 않을 경우(단계 S303: 아니오), 주차 판정부(203)는 ID 취득부(201)가 제 2 안테나(104)로부터 동일한 차량 ID를 취득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단계 S304). 즉, 주차 판정부(203)는, 제 1 안테나(101)가 차량 ID를 판독한 시각부터 통과 판정 시간 동안에, 제 2 안테나(104)에 의해 동일한 차량 ID가 다시 판독되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ID 취득부(201)가 통과 판정 시간 동안에 제 2 안테나(104)로부터 동일한 차량 ID를 취득했을 경우(단계 S304: 예), 주차 관리 장치(107)는 과금 처리를 수행하지 않고 주차 판정 동작을 종료한다. 이것은, 차량(C)이 주차 에어리어(PA)에 주차하지 않고 주차 에어리어(PA)를 통과했기 때문이다.
한편, ID 취득부(201)가 제 2 안테나(104)로부터 동일한 차량 ID를 취득하고 있지 않은 경우(단계 S304: 아니오), 주차 판정부(203)는, 검출 결과 취득부(202)가 취득한 검출 결과에 근거하여, 주차 스페이스(PS)에 새로운 차량(C)이 검출되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단계 S305). 구체적으로는, 주차 판정부(203)는, 복수의 차량 검출 장치(106) 중, 지난번 검출 결과가 차량 없음을 나타내고, 또한 이번 검출 결과가 차량 있음을 나타내는 경우에, 주차 스페이스(PS)에 새로운 차량(C)이 검출되었다고 판정한다. 주차 스페이스(PS)에 새로운 차량(C)이 검출되지 않는 경우(단계 S305: 아니오), 주차 관리 장치(107)는 단계 S303으로 처리를 되돌려, 다시, 통과 판정 시간이 경과했는지 아닌지의 판정을 수행한다.
한편, 주차 스페이스(PS)에 새로운 차량(C)이 검출되었을 경우(단계 S305: 예), 주차 판정부(203)는 단계 S301에서 취득한 차량 ID가 나타내는 차량(C)이 주차 스페이스(PS)에 주차했다고 판정한다. 주차 판정부(203)는, 당해 차량 ID와, 당해 차량 ID가 제 1 안테나(101)에 의해 판독된 시간을 관련지어 체류 리스트 기억부(204)에 추가한다(단계 S306).
다음에, 과금액 특정부(205)는 ID 취득부(201)가 제 2 안테나(104)로부터 단계 S301과 동일한 차량 ID를 취득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단계 S307). ID 취득부(201)가 제 2 안테나(104)로부터 동일한 차량 ID를 취득하고 있지 않은 경우(단계 S307: 아니오), 과금액 특정부(205)는 동일한 차량 ID가 취득될 때까지 단계 S307의 판정을 반복한다. 한편, ID 취득부(201)가 제 2 안테나(104)로부터 동일한 차량 ID를 취득했을 경우(단계 S307: 예), 과금액 특정부(205)는 체류 리스트 기억부(204)가 당해 차량 ID에 관련지어 기억하는 제 1 안테나(101)에 의한 차량 ID의 판독 시각부터 제 2 안테나(104)에 의한 차량 ID의 판독 시각까지의 시간을 특정한다. 과금액 특정부(205)는 특정한 시간에 근거하여 주차 요금을 산출한다(단계 S308). 다음에, 과금 처리부(206)는 중앙 결제 처리 장치(108)와 통신하여, 과금액 특정부(205)가 산출한 주차 요금에 근거하여 과금 처리를 실행한다(단계 S309). 그리고 과금액 특정부(205)는 단계 S301에서 취득한 차량 ID를 체류 리스트 기억부(204)에서 삭제하고(단계 S310), 주차 판정 동작을 종료한다.
한편, 단계 S303에 있어서, ID 취득부(201)가 차량 ID를 취득한 시각부터의 경과 시간이 통과 판정 시간을 초과했을 경우(단계 S303: 예), 알람 통지부(210)는 담당자에게 알람을 통지한다(단계 S311). 즉, 알람 통지부(210)는, 통과 판정 시간 내에 제 2 안테나(104)에 의해 단계 S301과 동일한 차량 ID가 판독되지 않고, 또한 주차 스페이스(PS)에 새로운 차량(C)이 검출되지 않는 경우에, 알람을 통지한다. 이것은, 차량(C)이 주차 스페이스(PS)에 주차하지 않고 주차 에어리어(PA)에 체류하고 있기 때문이다. 차량(C)이 주차 스페이스(PS)에 주차하지 않고 주차 에어리어(PA)에 체류하고 있는 상태의 예로서는 차량(C)이 주차 스페이스(PS) 이외의 장소에 주차하고 있는 상태, 빈자리의 주차 스페이스(PS)가 없기 때문에 차량(C)이 주차 에어리어(PA) 내를 계속 주행하고 있는 상태 등을 들 수 있다. 차량(C)이 주차 스페이스(PS) 이외의 장소에 주차하고 있는 경우, 당해 차량(C)에 의해 다른 차량(C)의 통행이 방해받을 가능성이 있다. 한편, 차량(C)이 주차 에어리어(PA) 내를 계속 주행하고 있는 경우, 담당자가 운전사로부터 사정 설명을 받을 필요가 있다.
알람이 통지되면, 담당자는 주차 관리 장치(107)의 디스플레이에 나타나는 제 1 카메라(102) 및 제 2 카메라(105)의 영상을 확인하고, 주차 에어리어(PA)에 나가서 해당하는 차량(C)의 운전사와의 접촉을 도모한다.
(주차 관리 장치에 의한 이상 판정 동작)
여기서, 주차 관리 장치(107)에 의한 이상 판정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상 판정 동작이란, 주차 관리 장치(107)가 주차 스페이스(PS)에 부적절한 차량(C)이 주차하고 있는 상태, 주차 스페이스(PS) 이외의 장소에 차량(C)이 주차하고 있는 상태 등의 이상한 상태를 검출하여 알람을 통지하는 동작이다.
도 4는 제 1 실시 형태에 관한 이상 판정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주차 관리 장치(107)는 미리 정해진 주차 판정 동작의 실행 주기에 따라, 도 4에 나타내는 이상 판정 동작을 개시한다. 주차 관리 장치(107)가 이상 판정 동작을 개시하면, 이상 판정부(209)는 이상 판정 동작의 개시 시각부터의 경과 시간의 계측을 개시한다(단계 S401). 체류수 특정부(208)는 체류 리스트 기억부(204)가 기억하는 차량 ID의 수를 산출한다(단계 S402). 또한 주차수 특정부(207)는, 각 차량 검출 장치(106)의 검출 결과에 근거하여, 주차 스페이스(PS)에 주차하고 있는 차량(C)의 수를 산출한다(단계 S403). 구체적으로는, 주차수 특정부(207)는, 복수의 차량 검출 장치(106) 중, 검출 결과가 차량 있음을 나타내는 것의 수를 주차하고 있는 차량(C)의 수로서 산출한다.
다음에, 이상 판정부(209)는 체류수 특정부(208)가 산출한 차량 ID의 수와 주차수 특정부(207)가 산출한 차량(C)의 수가 일치하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단계 S404). 차량 ID의 수와 차량(C)의 수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단계 S404: 아니오), 이상 판정부(209)는 이상 판정 동작의 개시 시각부터의 경과 시간이 미리 정해진 이상 판정 시간(예를 들어, 5분)을 초과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단계 S405). 이상 판정 동작의 개시 시각부터의 경과 시간이 이상 판정 시간을 초과하지 않는 경우(단계 S405: 아니오), 주차 관리 장치(107)는 처리를 단계 S404로 되돌려, 다시, 차량 ID의 수와 차량(C)의 수의 비교를 수행한다. 한편, 차량 ID의 수와 차량(C)의 수가 일치하지 않은 채 이상 판정 동작의 개시 시각부터의 경과 시간이 이상 판정 시간을 초과했을 경우(단계 S405: 예), 이상 판정부(209)는 이상이 발생하고 있다고 판정한다. 그리고 알람 통지부(210)는 담당자에게 알람을 통지한다(단계 S406).
체류 리스트 기억부(204)가 기억하는 차량 ID의 수와 주차 스페이스(PS)의 차량(C)의 수가 일치하지 않는 상태는, 차량 ID의 수가 차량(C)의 수보다 많은 상태이거나, 차량 ID의 수가 차량(C)의 수보다 적은 상태 중 어느 하나이다.
차량 ID의 수가 차량(C)의 수보다 많은 상태는, 주차 스페이스(PS)에 주차하지 않고 주차 에어리어(PA)에 체류하고 있는 차량(C)이 존재하는 상태이다. 이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당해 차량(C)에 의해 다른 차량(C)의 통행이 방해받을 가능성이 있다.
한편, 차량 ID의 수가 차량(C)의 수보다 적은 상태는, 차재기(CE)를 갖지 않는 차량(C)이 주차 스페이스(PS)에 주차하고 있는 상태이다. 이 경우, 중앙 결제 처리 장치(108)에 의한 결제 처리가 불가능하고, 또한 차량 ID의 판독 시각에 근거하는 과금액의 산출이 불가능하므로, 당해 차량(C)으로부터 주차 요금을 징수할 수 없을 가능성이 있다. 그리고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주차 관리 시스템(1)은 차재기(CE)를 구비하는 차량(C)에만 주차 스페이스(PS)에 대한 주차를 허가한다. 즉, 차재기(CE)를 구비하지 않고 주차 스페이스(PS)에 주차하는 차량(C)은 부정 주차 차량이다.
알람이 통지되면, 담당자는 주차 관리 장치(107)의 디스플레이에 나타나는 제 1 카메라(102) 및 제 2 카메라(105)의 영상을 확인하고, 주차 에어리어(PA)에 나가서 해당하는 차량(C)의 운전사와의 접촉을 도모한다.
(작용 효과)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주차 관리 시스템(1)은, 동일한 차량 ID(동일한 차량에 관한 ID)가 최초로 판독된 시각부터 통과 판정 시간 동안에 다시 판독되지 않고, 또한 통과 판정 시간 동안에 주차 스페이스(PS)에 새로운 차량(C)이 검출되었을 경우에, 당해 차량 ID가 나타내는 차량(C)이 주차 스페이스(PS)에 주차했다고 판정한다. 이것에 의해, 주차 관리 시스템(1)은 주차 에어리어(PA)에 입장한 차량(C)이 적절한 주차 스페이스(PS)에 주차하고 있는지 아닌지를 판정할 수 있다.
그러나, 일반적인 주차장에는, 미리 주차 스페이스가 규정되어 있다. 이러한 주차장에 있어서, 차량(C)에는 주차 스페이스에 들어가도록 주차하는 것이 요구된다. 이것은, 차량(C)이 규정된 주차 스페이스 이외의 장소에 주차함으로써, 다른 차량의 통행이 방해받을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상기의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기술처럼 주차장의 입장 및 퇴장만을 감시하는 경우, 차량이 규정된 주차 스페이스에 주차하고 있는지 아닌지를 인식할 수 없다. 이에 반해,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주차 관리 시스템(1)은 차량(C)이 적절한 주차 스페이스(PS)에 주차하고 있는지 아닌지를 판정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주차 관리 시스템(1)은 주차 스페이스(PS)에 주차했다고 판정된 차량(C)의 주차 요금을 최초로 판독된 시각부터 다시(그 다음에 한번 더) 판독된 시각까지의 시간에 근거하여 특정한다. 이것에 의해, 주차 관리 시스템(1)은 주차 스페이스(PS)에 주차되었다고 판정된 차량(C)에 대해 주차 에어리어(PA)에 대한 입장 시각부터 퇴장 시각까지의 시간에 따른 주차 요금을 과금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주차 관리 시스템(1)은, 최초로 판독된 시각부터 통과 판정 시간 동안에 다시 판독되지 않는 차량 ID의 수와 차량(C)이 검출된 주차 스페이스(PS)의 수가 이상 판정 시간 이상 상이한 경우에, 이상이 발생하고 있다고 판정한다. 이것에 의해, 주차 관리 시스템(1)은, 차량 ID를 판독할 수 없는 차량(C)이 주차 스페이스(PS)에 주차하고 있는 경우, 및 차량(C)이 주차 스페이스(PS) 이외의 장소에 주차하고 있는 경우에, 이상이 발생하고 있다고 판정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주차 에어리어(PA)가 차도의 한 구획이며, 주차 스페이스(PS)가 당해 구획의 일부이며, 구획의 상류 측 경계에 제 1 안테나(101)가 설치되고, 구획의 하류 측 경계에 제 2 안테나(104)가 설치된다. 이것에 의해, 주차 관리 시스템(1)은 차도의 일부를 노상 주차장으로 전용(轉用)할 수 있다.
(변형예)
또한,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주차 관리 시스템(1)은 차량(C)에 대해 주차 에어리어(PA)에 대한 입장 시각부터 퇴장 시각까지의 시간에 따른 주차 요금을 과금하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다른 실시 형태에 관한 주차 관리 시스템(1)은 주차 시간에 관계없이 일정한 주차 요금을 과금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주차 관리 시스템(1)은 체류 리스트 기억부(204)가 기억하는 차량 ID의 수와 차량 검출 장치(106)가 검출한 차량(C)의 수에 근거하여 이상 유무를 판정하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다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담당자가 제 1 카메라(102) 및 제 2 카메라(105)의 영상을 항상 감시함으로써, 이상이 발생하고 있는 것을 특정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주차 관리 시스템(1)은 차재기(CE)가 설치된 차량(C)의 주차를 허가하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다른 실시 형태에 관한 주차 관리 시스템(1)은 미리 주차 관리 장치(107)에 등록된 차량 ID가 나타내는 차량(C)만의 주차를 허가할 수도 있다. 제 1 안테나(101)에 의해 판독된 차량 ID가 미리 등록된 차량 ID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주차 관리 장치(107)는 단계 S311로 처리를 진행시키고, 담당자에게 알람을 통지한다. 주차 에어리어(PA)의 이용 신청은 이용자가 차재기(CE)를 이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주차 관리 시스템(1)은 제 1 카메라(102) 및 제 2 카메라(105)에 의해 차선을 감시하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다른 실시 형태에 관한 주차 관리 시스템(1)은 제 1 카메라(102) 및 제 2 카메라(105)뿐 아니라, PTZ(Pan Tilt Zoom) 카메라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PTZ 카메라는, 미리 각 주차 공간에 화각(畵角)이 프리셋(pre-set)되고 주차 판정부(203)에 의해 주차 스페이스(PS)에 차량(C)이 주차했다고 판정되었을 경우, 및 이상 판정부(209)에 의해 이상이 발생했다고 판정되었을 경우에, 차량(C)에 초점을 맞춰(focussing), 번호판(number plate), 차종 및 차량 색을 조합(照合)한다. 또한, 다른 실시 형태에 관한 주차 관리 시스템(1)은 제 1 카메라(102) 및 제 2 카메라(105)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하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주차 관리 장치(107)는 제 1 카메라(102), 제 2 카메라(105), 또는 PTZ 카메라의 화상 처리에 의해, 주차 스페이스(PS) 이외의 장소에 일정 시간 이상 체류하고 있는 차량(C)을 검출할 수도 있다. 주차 관리 장치(107)는 담당자에게 차량(C)의 체류를 통지한다. 이것에 의해, 주차 관리 장치(107)는 차재기(CE)를 갖지 않는 차량의 체류를 검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주차 관리 시스템(1)에 있어서, 담당자가 유인 부스(B)에 상주(常駐)하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른 실시 형태에 있어서, 담당자가 유인 부스(B)에 상주하지 않는 경우, 알람 통지부(210)에 의한 알람은 담당자가 휴대하는 통신 단말에 통지된다. 또한, 담당자가 복수의 관리 에어리어를 순회하는 경우에 있어서, 복수의 관리 에어리어에서 이상이 발생했을 때, 알람은 담당자의 현재 위치에 가까운 순서, 또는 심각도 순서로 통지될 수도 있다.
《제 2 실시 형태》
이하, 제 2 실시 형태에 관한 주차 관리 시스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 1 실시 형태에 관한 주차 관리 시스템(1)은, 진행 방향이 한 방향의 차도에 설치된 주차 에어리어(PA)를 관리하는 시스템이다. 이에 반해, 제 2 실시 형태에 관한 주차 관리 시스템(1)은, 출입구가 한 장소에만 설치된 주차 에어리어(PA)를 관리하는 시스템이다.
(전체 구성)
도 5는 제 2 실시 형태에 관한 주차 관리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 2 실시 형태에 관한 주차 관리 시스템(1)은, 도로 밖에 설치된 주차 에어리어(PA)에 있어서, 주차 에어리어(PA) 내의 주차 스페이스(PS)에 주차한 차량(C)에 대해 주차 요금을 과금하는 시스템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주차 관리 시스템(1)의 관리 에어리어가 1개의 주차 에어리어(PA)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관리 에어리어와 주차 에어리어(PA)가 일치한다. 각 주차 스페이스(PS)는 구획선에 의해 구획되어 있다. 제 2 실시 형태에 관한 주차 관리 시스템(1)은 이용자 ID를 격납하는 RFID 태그(CT)(Radio Frequency IDentifier)가 구비된 차량(C)의 주차를 허가한다. RFID 태그(CT)는 주차 관리 시스템(1)의 관리자와의 계약에 의해 대여 또는 양도되는 태그이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주차 관리 시스템(1)은, RFID 안테나(501), 카메라(502), 차량 검출 장치(106), 주차 관리 장치(107)를 구비한다.
RFID 안테나(501) 및 카메라(502)는 주차 에어리어(PA)의 출입구 경계의 근방에 설치된 폴에 설치된다. 차량 검출 장치(106)는 주차 에어리어(PA)에 구분된 각 주차 스페이스(PS)의 중앙에 설치된다.
RFID 안테나(501)는 주차 에어리어(PA)에 진입 또는 퇴출하는 차량(C)에 구비된 RFID 태그(CT)와의 무선 통신을 수행한다. 즉, RFID 안테나(501)는, 통신 범위(R3)에 출입구에서의 주차 에어리어(PA)의 경계가 포함되도록 설치된다. 또한, RFID 태그(CT)는 판독 전용 장치로서, RFID 안테나(501)에 의한 정보의 기록이 불가능하다. RFID 안테나(501)는 RFID 태그(CT)로부터 이용자 ID를 판독한다. RFID 안테나(501)는 관리 에어리어의 경계에 진입하는 차량(C)에 탑재된 식별체(RFID 태그(CT))로부터 차량(C)을 식별하는 식별 정보를 판독하는 판독 장치의 일례이다. 카메라(502)는 주차 에어리어(PA) 내의 주차 스페이스(PS)를 촬영한다.
차량 검출 장치(106)는 자신이 설치된 주차 스페이스(PS)에 존재하는 차량(C)을 검출한다.
주차 관리 장치(107)는 RFID 안테나(501) 및 차량 검출 장치(106)로부터 정보를 취득하고, 주차 스페이스(PS)에 주차하고 있는 차량(C)에 대해 과금 처리를 수행한다.
또한 주차 관리 장치(107)는 주차 스페이스(PS)에 부적절한 차량(C)이 주차하고 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판정 결과는 주차 관리 시스템(1)의 관리자가 휴대하는 통신 단말에 표시된다. 또한, 주차 관리 장치(107)는 관리자의 요구에 따라, 카메라(502)가 촬영한 영상을 통신 단말에 표시하게 한다.
(기능 구성)
도 6은 제 2 실시 형태에 관한 주차 관리 장치의 기능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 블록도이다. 제 2 실시 형태에 관한 주차 관리 장치(107)는 제 1 실시 형태의 구성뿐 아니라, 추가로 진입 리스트 기억부(601) 및 과금 방법 기억부(602)를 구비한다.
진입 리스트 기억부(601)는 주차 에어리어(PA)에 진입한 차량(C)으로서, 체류하고 있다고 판단되어 있지 않은 차량(C)의 이용자 ID를 기억한다.
과금 방법 기억부(602)는, 주차 계약을 주고받은 이용자를 식별하는 이용자 ID와, 당해 이용자에 대한 과금 방법을 관련지어 기억한다. 과금 방법의 예로서는 신용 카드 번호(신용 카드 지불), 은행 계좌 번호(은행 이체) 및 주소(납입 청구서 송부)를 들 수 있다.
또한 제 2 실시 형태에 관한 주차 관리 장치(107)는 제 1 실시 형태와 ID 취득부(201), 주차 판정부(203), 과금 처리부(206)의 동작이 상이하다.
ID 취득부(201)는 RFID 안테나(501)로부터 RFID 태그(CT)와의 통신에 의해 판독된 이용자 ID를 취득한다.
주차 판정부(203)는, ID 취득부(201)가 취득한 이용자 ID와 검출 결과 취득부(202)가 취득한 차량 검출 장치(106)의 검출 결과에 근거하여, 주차 스페이스(PS)에 차량(C)이 주차하고 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과금 처리부(206)는, 과금 방법 기억부(602)가 기억하는 과금 방법에 따라, 과금액 특정부(205)가 특정한 주차 요금의 과금 처리를 수행한다.
(주차 관리 장치에 의한 주차 판정 동작)
여기서, 주차 관리 장치(107)에 의한 주차 판정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7은 제 2 실시 형태에 관한 주차 판정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주차 관리 장치(107)는 미리 정해진 주차 판정 동작의 실행 주기에 따라, 도 7에 나타내는 주차 판정 동작을 실행한다.
주차 관리 장치(107)가 주차 판정 동작을 개시하면, 주차 판정부(203)는 ID 취득부(201)가 RFID 안테나(501)로부터 이용자 ID를 취득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단계 S701). ID 취득부(201)가 이용자 ID를 취득했을 경우(단계 S701: 예), 주차 판정부(203)는 당해 이용자 ID가 이미 체류 리스트 기억부(204)에 기록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단계 S702). 취득된 이용자 ID가 체류 리스트 기억부(204)에 기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단계 S702: 아니오), 주차 판정부(203)는 당해 이용자 ID가 이미 진입 리스트 기억부(601)에 기록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단계 S703). 즉, 주차 판정부(203)는, 단계 S702 및 단계 S703의 판정에 의해, 취득된 이용자 ID가 처음 판독된 것인지, 다시 판독된 것인지를 판정한다.
취득된 이용자 ID가 체류 리스트 기억부(204) 및 진입 리스트 기억부(601)의 어느 것에도 기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단계 S703: 아니오), 주차 판정부(203)는 당해 이용자 ID를 판독 시각에 관련지어 진입 리스트 기억부(601)에 기록한다(단계 S704).
다음에, 주차 판정부(203)는, 검출 결과 취득부(202)가 취득한 검출 결과에 근거하여, 주차 스페이스(PS)에 새로운 차량(C)이 검출되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단계 S705). 주차 스페이스(PS)에 새로운 차량(C)이 검출되었을 경우(단계 S705: 예), 주차 판정부(203)는 진입 리스트 기억부(601)에 이용자 ID가 기억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단계 S706). 상술한 바와 같이, 진입 리스트 기억부(601)는 주차 에어리어(PA)에 진입하고, 또한 체류하고 있지 않은 차량(C)의 이용자 ID를 기억하기 때문에, 주차 판정부(203)는, 진입 리스트 기억부(601)에 이용자 ID가 기억되어 있을 때 주차 스페이스(PS)에 새로운 차량(C)이 검출되었을 경우에, 당해 이용자 ID에 관한 차량(C)이 주차 스페이스(PS)에 주차했다고 판정한다. 주차 스페이스(PS)에 새로운 차량(C)이 검출되고, 또한 진입 리스트 기억부(601)에 이용자 ID가 기억되어 있는 경우(단계 S706: 예), 주차 판정부(203)는, 진입 리스트 기억부(601)가 기억하는 이용자 ID 중, 관련지어진 판독 시각이 가장 오래된 것을 체류 리스트 기억부(204)로 이동시킨다(단계 S707). 여기서, 진입 리스트 기억부(601)로부터 체류 리스트 기억부(204)로 「이용자 ID를 이동시킨다」란, 진입 리스트 기억부(601)가 기억하는 이용자 ID 및 판독 시각의 조합을 삭제하고, 당해 조합을 체류 리스트 기억부(204)에 기록하는 것을 말한다.
한편, 주차 스페이스(PS)에 새로운 차량(C)이 검출되지 않는 경우(단계 S705: 아니오), 진입 리스트 기억부(601)에 이용자 ID가 기억되어 있지 않은 경우(단계 S706: 아니오), 또는 체류 리스트 기억부(204)에 이용자 ID를 이동시켰을 경우, 주차 판정부(203)는 진입 리스트 기억부(601)에 현재 시각부터 통과 판정 시간 이상 전의 판독 시각에 관련지어진 이용자 ID가 존재하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단계 S708). 진입 리스트 기억부(601)에 현재 시각부터 통과 판정 시간 이상 전의 판독 시각에 관련지어진 이용자 ID가 존재하는 경우(단계 S708: 예), 알람 통지부(210)는 관리자에게 알람을 통지한다(단계 S709). 즉, 알람 통지부(210)는, RFID 안테나(501)가 처음 이용자 ID를 판독한 시각부터 통과 판정 시간 내에 동일한 차량 ID가 다시 판독되지 않고, 또한 주차 스페이스(PS)에 새로운 차량(C)이 검출되지 않는 경우에, 알람을 통지한다. 이것은, 차량(C)이 주차 스페이스(PS)에 주차하지 않고 주차 에어리어(PA)에 체류하고 있기 때문이다. 다음에, 주차 판정부(203)는 진입 리스트 기억부(601)에서 당해 이용자 ID를 삭제한다(단계 S710).
진입 리스트 기억부(601)에 현재 시각부터 통과 판정 시간 이상 전의 판독 시각에 관련지어진 이용자 ID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단계 S708: 아니오), 또는 단계 S710에서 진입 리스트 기억부(601)에서 이용자 ID를 삭제했을 경우, 주차 관리 장치(107)는 주차 판정 동작을 종료한다.
한편, 단계 S702에 있어서, 단계 S701에서 취득된 이용자 ID가 체류 리스트 기억부(204)에 기록되어 있는 경우(단계 S702: 예), 과금액 특정부(205)는, 체류 리스트 기억부(204)가 당해 이용자 ID에 관련지어 기억하는 판독 시각부터 단계 S701에서 취득한 이용자 ID의 판독 시각까지의 시간을 특정한다. 과금액 특정부(205)는 특정한 시간에 근거하여 주차 요금을 산출한다(단계 S711). 다음에, 과금 처리부(206)는 과금 방법 기억부(602)로부터 이용자 ID에 관련지어진 과금 방법을 판독하고, 당해 과금 방법에 따라, 과금액 특정부(205)가 산출한 주차 요금에서의 과금 처리를 실행한다(단계 S712). 그리고 과금액 특정부(205)는 단계 S701에서 취득한 차량 ID를 체류 리스트 기억부(204)에서 삭제하고(단계 S713), 단계 S705로 처리를 진행시킨다.
또한, 단계 S703에 있어서, 단계 S701에서 취득된 이용자 ID가 진입 리스트 기억부(601)에 기록되어 있는 경우(단계 S703: 예), 주차 판정부(203)는 당해 이용자 ID를 진입 리스트 기억부(601)에서 삭제하고(단계 S714), 단계 S705로 처리를 진행시킨다.
(주차 관리 장치에 의한 이상 판정 동작)
제 2 실시 형태에 관한 이상 판정 동작은 제 1 실시 형태와 동일하다.
(작용 효과)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주차 관리 시스템(1)은 처음 판독되고 나서 통과 판정 시간이 경과하지 않은 이용자 ID를 진입 리스트 기억부(601)에 기록한다. 상술한 단계 S710에서, 처음 판독되고 나서 주차 스페이스(PS)에 새로운 차량(C)이 검출되지 않은 채 주차 판정 시간이 경과한 이용자 ID는 진입 리스트 기억부(601)에서 삭제된다. 또한, 상술한 단계 S714에서, 처음 판독되고 나서 주차 판정 시간이 경과하기 전에 다시 판독된 이용자 ID는 진입 리스트 기억부(601)에서 삭제된다. 그리고 상술한 단계 S707에서, 처음 판독되고 나서 주차 판정 시간 동안에, 주차 스페이스(PS)에 새로운 차량(C)이 검출된 이용자 ID는 진입 리스트 기억부(601)에서 체류 리스트 기억부(204)로 이동된다.
이것에 의해, 주차 에어리어(PA)의 경계에서의 차량(C)의 진행 방향이 한 방향이 아닌 경우에 있어서도, 주차 에어리어(PA)에 입장한 차량(C)이 적절한 주차 스페이스(PS)에 주차하고 있는지 아닌지를 판정할 수 있다.
(변형예)
그리고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주차 에어리어(PA)는 도로 밖에 설치되고, 또한 출입구가 한 장소에만 설치된 것이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다른 실시 형태에 관한 주차 에어리어(PA)는 차도 중 분기(分岐)를 갖는 구획, 즉 경계가 3개 이상 존재하는 주차 에어리어(PA)에 설치될 수도 있다. 이 경우, 각 경계에 통신 범위를 갖는 안테나를 각각 설치함으로써,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주차 판정 동작에 의해, 주차 에어리어(PA)에 진입한 차량(C)이 적절한 주차 스페이스(PS)에 주차하고 있는지 아닌지를 판정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 형태에 관한 주차 에어리어(PA)는 왕복 4차선(兩側四車線) 차도의 한 구획에 설치되는 것일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주차 관리 시스템(1)은 RFID 안테나(501)를 구비하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다른 실시 형태에 관한 주차 관리 시스템(1)은 RFID 안테나(501) 대신 DSRC 통신에 관한 안테나, BLE(Bluetooth Low Energy, Bluetooth는 등록 상표)를 구비할 수도 있다. 즉, 주차 관리 시스템(1)과 차량(C)의 통신 방식은 RFID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 3 실시 형태》
이하, 제 3 실시 형태에 관한 주차 관리 시스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8은 제 3 실시 형태에 관한 주차 관리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 1 실시 형태 및 제 2 실시 형태에서는, 주차 관리 시스템(1)의 관리 에어리어가 1개의 주차 에어리어(PA)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관리 에어리어와 주차 에어리어(PA)가 일치한다. 이에 반해, 제 3 실시 형태는,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주차 관리 시스템(1)의 관리 에어리어(MA)가 2개의 주차 에어리어(PA)에 의해 구성된다. 구체적으로는, 관리 에어리어(MA)는 상류 측 주차 에어리어인 제 1 주차 에어리어(PA1)와 하류 측 주차 에어리어인 제 2 주차 에어리어(PA2)에 의해 구성된다.
(전체 구성)
제 3 실시 형태에 관한 주차 관리 시스템(1)은 제 1 실시 형태의 구성뿐 아니라, 추가로 제 3 안테나(801)를 구비한다.
제 3 안테나(801)는 제 1 주차 에어리어(PA1)와 제 2 주차 에어리어(PA2)의 경계 근방에 설치된 폴에 설치된다. 제 3 안테나(801)는 제 1 주차 에어리어(PA1)에서 제 2 주차 에어리어(PA2)로 이동하는 차량(C)에 탑재된 차재기(CE)와의 무선 통신을 수행한다. 즉, 제 3 안테나(801)는, 통신 범위(R4)에 제 1 주차 에어리어(PA1)와 제 2 주차 에어리어(PA2)의 경계가 포함되도록 설치된다. 제 3 안테나(801)는 주차 에어리어(PA)의 경계에 진입하는 차량(C)에 탑재된 식별체(차재기(CE))로부터 식별 정보를 판독하는 부판독 장치의 일례이다.
또한, 제 1 안테나(101)의 통신 범위(R1)에는, 관리 에어리어(MA)의 상류 측 경계, 즉 제 1 주차 에어리어(PA1)의 상류 측 경계가 포함된다. 또한, 제 2 안테나(104)의 통신 범위(R2)에는, 관리 에어리어(MA)의 하류 측 경계, 즉 제 2 주차 에어리어(PA2)의 하류 측 경계가 포함된다.
(기능 구성)
도 9는 제 3 실시 형태에 관한 주차 관리 장치의 기능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 블록도이다. 제 3 실시 형태에 관한 주차 관리 장치(107)는 제 1 실시 형태의 구성뿐 아니라, 추가로 주차 에어리어 특정부(901), 통지처 기억부(902), 주차 에어리어 통지부(903)를 구비한다.
주차 에어리어 특정부(901)는, 주차 판정부(203)에 의해 주차했다고 판정된 차량(C)의 차량 ID가 제 3 안테나(801)에 의해 판독되었는지 아닌지에 근거하여, 차량(C)이 주차한 주차 스페이스(PS)를 갖는 주차 에어리어(PA)를 특정한다.
통지처 기억부(902)는, 차량 ID와, 당해 차량 ID가 나타내는 차량(C)의 운전자의 연락처(예를 들어, 메일 주소)를 관련지어 기억한다.
주차 에어리어 통지부(903)는, 주차 에어리어 특정부(901)가 특정한 주차 에어리어(PA)의 식별 정보를, 통지처 기억부(902)가 기억하는 연락처에 통지한다.
(주차 관리 장치에 의한 에어리어 통지 동작)
제 3 실시 형태에 관한 주차 판정 동작 및 이상 판정 동작은 제 1 실시 형태와 동일하다. 한편, 제 3 실시 형태에 관한 주차 관리 장치(107)는, 제 1 실시 형태에 관한 주차 판정 동작에 있어서, 단계 S306에서 차량 ID를 체류 리스트 기억부(204)에 기록했을 때에, 이하에 나타내는 에어리어 통지 동작을 실행한다.
도 10은 제 3 실시 형태에 관한 에어리어 통지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주차 관리 장치(107)가 에어리어 통지 동작을 개시하면, 주차 에어리어 특정부(901)는, ID 취득부(201)가 단계 S306보다 전에, 주차 판정부(203)에 의해 주차했다고 판정된 차량(C)의 차량 ID를 제 3 안테나(801)로부터 취득하고 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단계 S1001). 즉, 주차 에어리어 특정부(901)는, 제 1 안테나(101)가 차량 ID를 판독한 시각부터 통과 판정 시간 동안에 제 3 안테나(801)에 의해 동일한 차량 ID가 다시 판독되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ID 취득부(201)가 당해 차량 ID를 제 3 안테나(801)로부터 취득하고 있지 않은 경우(단계 S1001: 아니오), 주차 에어리어 특정부(901)는, 차량(C)이 제 1 주차 에어리어(PA1)에 주차하고 있다고 판정한다(단계 S1002). 한편, ID 취득부(201)가 당해 차량 ID를 제 3 안테나(801)로부터 취득하고 있는 경우(단계 S1001: 예), 주차 에어리어 특정부(901)는, 차량(C)이 제 2 주차 에어리어(PA2)에 주차하고 있다고 판정한다(단계 S1003).
단계 S1002 또는 단계 S1003에 있어서 주차 에어리어 특정부(901)가 주차 에어리어(PA)를 특정하면, 주차 에어리어 통지부(903)는 당해 차량 ID에 관련지어진 연락처를 통지처 기억부(902)로부터 판독한다(단계 S1004). 주차 에어리어 통지부(903)는, 판독한 연락처에 주차 에어리어 특정부(901)가 특정한 주차 에어리어(PA)의 식별 정보를 통지한다(단계 S1005).
(작용 효과)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주차 관리 시스템(1)이, 복수의 주차 에어리어의 경계에 설치된 제 3 안테나(801)에 의한 차량 ID의 판독 결과에 근거하여, 차량(C)이 주차한 주차 에어리어(PA)를 특정한다. 이것에 의해, 주차 관리 시스템(1)의 이용자는 주차 관리 시스템(1)이 특정한 주차 에어리어(PA)의 통지를 받음으로써, 자신의 차량(C)이 어느 주차 에어리어(PA)에 주차했는지를 인식할 수 있다.
또한, 통지처로서 이용자의 통신 단말의 메일 주소가 지정되어 있는 경우, 주차 시스템의 사업자 및 서비스 가맹점은 당해 통신 단말이 수신한 주차 에어리어(PA)의 식별 정보의 통지의 제시에 의해 할인 등의 주차장 우대 서비스를 제공할 수도 있다.
(변형예)
또한, 본 실시 형태에 관한 관리 에어리어(MA)는 2개의 주차 에어리어(PA)에 의해 구성되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다른 실시 형태에 관한 관리 에어리어(MA)는 3개 이상의 주차 에어리어(PA)에 의해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각 주차 에어리어(PA)의 경계에, 제 3 안테나(801)에 상당하는 부판독 장치가 설치된다. 또한, 주차 에어리어(PA)가 3개 이상 존재하는 경우, 주차 에어리어 특정부(901)는 판독 유무가 아니라, 부판독 장치에 의한 판독 횟수에 근거하여, 주차 에어리어(PA)를 특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부판독 장치가 동일한 차량 ID를 2회 판독했을 경우, 주차 에어리어 특정부(901)는, 당해 차량 ID가 나타내는 차량(C)이 상류에서 3번째의 주차 에어리어(PA)에 주차하고 있다고 판정한다.
또한, 다른 실시 형태에 관한 주차 에어리어 특정부(901)는 부판독 장치에 의한 판독 횟수가 아니라, 마지막으로 동일한 차량 ID를 판독한 부판독 장치의 식별 정보에 근거하여, 주차 에어리어(PA)를 특정할 수도 있다.
《다른 실시 형태》
이상, 도면을 참조하여 일 실시 형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해 왔으나, 구체적인 구성은 상술한 것에 한정되지 않고, 여러 가지 설계 변경 등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다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주차 스페이스(PS)에는 EV(Electric Vehicle)용 비접촉 충전기가 매설(埋設)되어 있을 수도 있다. 이것에 의해, 차량(C)이 EV인 경우에, 당해 차량(C)이 주차 스페이스(PS)에 주차하고 있는 동안,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다. 주차 스페이스(PS)가 통행 차선으로서 기능하고 있는 경우, 당해 비접촉 충전기가 주행 중 충전에 이용될 수도 있다.
또한, 다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주차 관리 시스템(1)은 ETC(Electronic Toll Collection System(등록 상표), 「전자식 요금 수수 시스템」, 「자동 요금 수수 시스템」이라고도 한다), ERP(Electronic Road Pricing), 또는 기타 유료 도로의 과금 시스템과 연동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주차 관리 시스템(1)은 차량(C)의 주차 시간을 다른 과금 시스템에 통지하고, 당해 다른 과금 시스템에 있어서, 주차 시간에 따른 할인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다른 과금 시스템에 있어서, 주차 관리 시스템(1)에서 과금된 주차 요금의 일부가 유료 도로의 주차 요금으로 이용될 수도 있다. 이것은, 주차 에어리어(PA)에 대한 주차가 유료 도로의 정체 완화에 대한 공헌으로 간주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주차 관리 시스템(1)은 안테나(제 1 안테나(101), 제 2 안테나(104), 제 3 안테나(801), RFID 안테나(501))를 구비하고, 차재기(CE) 또는 RFID 태그(CT)로부터 식별 정보를 취득하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다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안테나 대신 번호판 인식 장치를 구비할 수도 있다. 이 경우, 과금 처리부(206)는 번호판의 번호에 미리 관련지어진 과금 방법에 따라, 과금 처리를 수행한다. 즉, 번호판의 번호는 식별 정보의 일례이다.
또한, 다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주차 관리 시스템(1)은 자동 운전에 의한 차고(車庫) 넣기 기능을 갖는 차량(C)과 협조하는 것일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는, 주차 관리 시스템(1)은 제 1 안테나(101)를 통해 주차 스페이스(PS)의 빈자리 상황 및 주차장 내의 정보를 차량(C)에 송신한다. 차량(C)은 제 1 안테나(101)와의 통신이 이루어진 후, 수신한 정보에 근거하여, 자동 운전에 의해 주차 스페이스(PS)에 주차한다. 이것에 의해, 주차 관리 시스템(1)은 무인 발레파킹 기능을 실현할 수 있다.
《컴퓨터 구성》
도 11은 적어도 하나의 실시 형태에 관한 컴퓨터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 블록도이다.
컴퓨터(1100)는, CPU(1101), 주 기억 장치(1102), 보조 기억 장치(1103), 인터페이스(1104)를 구비한다.
상술한 주차 관리 장치(107)는 컴퓨터(1100)에 실장된다. 그리고 상술한 각 처리부의 동작은 프로그램의 형식으로 보조 기억 장치(1103)에 기억되어 있다. CPU(1101)는 프로그램을 보조 기억 장치(1103)로부터 판독하여 주 기억 장치(1102)에 전개(展開)하고, 당해 프로그램에 따라 상기 처리를 실행한다. 또한, CPU(1101)는 프로그램에 따라, 상술한 각 기억부에 대응하는 기억 영역을 주 기억 장치(1102)에 확보한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 보조 기억 장치(1103)는 일시적이 아닌 유형 매체(有形媒體)의 일례이다. 일시적이 아닌 유형 매체의 다른 예로서는 인터페이스(1104)를 통해 접속되는 자기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CD-ROM(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DVD-ROM(Digital Versatile Disc Read Only Memory), 반도체 메모리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이 프로그램이 통신 회선에 의해 컴퓨터(1100)에 배신(配信)되는 경우, 배신을 받은 컴퓨터(1100)가 당해 프로그램을 주 기억 장치(1102)에 전개하고, 상기 처리를 실행할 수도 있다.
또한, 당해 프로그램은 상술한 기능의 일부를 실현하기 위한 것일 수도 있다. 또한, 당해 프로그램은 상술한 기능을 보조 기억 장치(1103)에 이미 기억되어 있는 다른 프로그램과의 조합으로 실현하는 것, 이른바 차분(差分) 파일(차분 프로그램)일 수도 있다.
산업상 이용 가능성
상술한 실시 형태에 관한 주차 관리 시스템에 의하면, 간이한 구조에 의해 주차 관리가 가능해진다.
1: 주차 관리 시스템
101: 제 1 안테나
104: 제 2 안테나
106: 차량 검출 장치
107: 주차 관리 장치
201: ID 취득부
202: 검출 결과 취득부
203: 주차 판정부
204: 체류 리스트 기억부
205: 과금액 특정부
206: 과금 처리부
207: 주차수 특정부
208: 체류수 특정부
209: 이상 판정부
210: 알람 통지부
211: 운용 설정부

Claims (7)

  1. 하나의 차량을 주차 가능한 주차 스페이스를 갖는 복수의 주차 에어리어에 의해 구성되는 관리 에어리어의 경계를 통과하는 차량에 탑재된 식별체로부터 차량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 정보를 판독하는 판독 장치와,
    상기 주차 에어리어의 경계에 진입하는 차량에 탑재된 식별체로부터 상기 식별 정보를 판독하는 부판독 장치와,
    상기 주차 스페이스 각각에 위치하는 차량을 검출하는 차량 검출 장치와,
    상기 판독 장치로부터 상기 식별 정보를 취득하는 동시에 상기 차량 검출 장치로부터 차량의 검출 결과를 취득하는 주차 관리 장치
    를 구비하고,
    상기 주차 관리 장치가,
    동일한 상기 식별 정보가 상기 판독 장치에 의해 최초로 판독된 시각부터 계측 개시되는, 소정의 통과 판정 시간 동안에 다시 판독되지 않고, 또한 상기 통과 판정 시간 동안에 상기 차량 검출 장치에 의해 상기 주차 스페이스에 새로운 차량이 검출되었을 경우에, 상기 식별 정보가 나타내는 차량이 상기 주차 스페이스에 주차했다고 판정하는 주차 판정부와,
    상기 부판독 장치에 의한, 상기 주차 판정부에 의해 주차했다고 판정된 차량의 상기 식별 정보의 판독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차량이 주차한 주차 스페이스를 갖는 상기 주차 에어리어를 특정하는 주차 에어리어 특정부를 구비하는
    주차 관리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 관리 장치가,
    상기 주차 판정부에 의해 상기 주차 스페이스에 주차했다고 판정된 상기 차량의 주차 요금을, 상기 판독 장치에 의해 최초로 판독된 시각부터 다시 판독된 시각까지의 시간에 근거하여 특정하는 과금액 특정부를 더 구비하는
    주차 관리 시스템.
  3. 삭제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 관리 장치가,
    상기 판독 장치에 의해 최초로 판독된 시각부터 통과 판정 시간 동안에 다시 판독되지 않은 상기 식별 정보의 수를 특정하는 체류수 특정부와,
    상기 차량 검출 장치에 의해 차량이 검출된 상기 주차 스페이스의 수를 특정하는 주차수 특정부와,
    상기 체류수 특정부에 의해 특정된 상기 식별 정보의 수와 상기 주차수 특정부에 의해 특정된 상기 주차 스페이스의 수가 소정의 이상 판정 시간 이상 계속하여 상이한 경우에, 이상이 발생하고 있다고 판정하는 이상 판정부
    를 더 구비하는
    주차 관리 시스템.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에어리어가 복수의 경계를 갖고,
    상기 판독 장치가 상기 관리 에어리어의 상기 경계 각각에 설치되고,
    상기 주차 판정부가, 동일한 상기 식별 정보가 하나의 상기 판독 장치에 의해 최초로 판독된 시각부터 통과 판정 시간 동안에 다른 상기 판독 장치에 의해 판독되지 않고, 또한 상기 통과 판정 시간 동안에 상기 차량 검출 장치에 의해 상기 주차 스페이스에 새로운 차량이 검출되었을 경우에, 상기 식별 정보가 나타내는 차량이 상기 주차 스페이스에 주차했다고 판정하는
    주차 관리 시스템.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에어리어가 차도의 한 구획이며,
    상기 주차 스페이스가 상기 구획의 일부이며,
    상기 판독 장치가 상기 구획의 상류 측 경계와 상기 구획의 하류 측 경계에 설치되는
    주차 관리 시스템.
  7. 하나의 차량을 주차 가능한 주차 스페이스를 갖는 복수의 주차 에어리어에 의해 구성되는 관리 에어리어의 경계에 진입하는 차량에 탑재된 식별체로부터 차량을 식별하는 식별 정보를 판독하는 판독 단계와,
    상기 주차 에어리어의 경계에 진입하는 차량에 탑재된 식별체로부터 상기 식별 정보를 판독하는 부판독 단계와,
    상기 주차 스페이스 각각에 존재하는 차량을 검출하는 차량 검출 단계와,
    동일한 상기 식별 정보가 최초로 판독된 시각부터 통과 판정 시간 동안에 다시 판독되지 않고, 또한 상기 통과 판정 시간 동안에 상기 주차 스페이스에 새로운 차량이 검출되었을 경우에, 상기 식별 정보가 나타내는 차량이 상기 주차 스페이스에 주차했다고 판정하는 주차 판정 단계와,
    상기 부판독 단계에 의한, 주차했다고 판정된 차량의 상기 식별 정보의 판독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차량이 주차한 주차 스페이스를 갖는 상기 주차 에어리어를 특정하는 주차 에어리어 특정 단계
    를 갖는 주차 관리 방법.


KR1020187026324A 2016-03-31 2017-02-17 주차 관리 시스템 및 주차 관리 방법 KR10213095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073498A JP6644621B2 (ja) 2016-03-31 2016-03-31 駐車管理システムおよび駐車管理方法
JPJP-P-2016-073498 2016-03-31
PCT/JP2017/005886 WO2017169266A1 (ja) 2016-03-31 2017-02-17 駐車管理システムおよび駐車管理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0114A KR20180110114A (ko) 2018-10-08
KR102130955B1 true KR102130955B1 (ko) 2020-07-07

Family

ID=599641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26324A KR102130955B1 (ko) 2016-03-31 2017-02-17 주차 관리 시스템 및 주차 관리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1295357B2 (ko)
JP (1) JP6644621B2 (ko)
KR (1) KR102130955B1 (ko)
GB (1) GB2564311B (ko)
MY (1) MY194751A (ko)
SG (1) SG11201807647WA (ko)
WO (1) WO201716926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6223171A1 (de) * 2016-11-23 2018-05-24 Robert Bosch Gmbh Verfahren und System zum Detektieren eines sich innerhalb eines Parkplatzes befindenden erhabenen Objekts
US10665100B2 (en) * 2018-02-15 2020-05-26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and tracking space availability
KR102656049B1 (ko) * 2018-12-31 2024-04-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율 발렛 주차를 지원하는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를 위한 인프라 및 차량
US10957199B2 (en) 2019-06-14 2021-03-23 Toyota Motor North America, Inc. Parking monitoring and assistance for transports
US11514544B2 (en) * 2019-06-14 2022-11-29 Toyota Motor North America, Inc. Parking monitoring and assistance for transports
CN111583703B (zh) * 2020-04-29 2022-03-08 济南博观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停车场出入控制系统及方法
TWI746008B (zh) * 2020-06-12 2021-11-11 綠創新科技股份有限公司 停車計費暨繳費系統及其備援方法
CN111739173A (zh) * 2020-06-19 2020-10-02 博泰车联网(南京)有限公司 停车收费方案的推送方法、系统
TWI755787B (zh) * 2020-07-13 2022-02-21 劉哲安 埋入式停車收費系統及其控制方法
TWI764289B (zh) * 2020-09-23 2022-05-11 綠創新科技股份有限公司 停車感測裝置
JP7468398B2 (ja) * 2021-02-17 2024-04-1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プログラム及び情報処理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4394B1 (ko) 2006-03-30 2006-12-06 주식회사 디앤에스 테크놀로지 Rfid태그와 매립센서를 이용한 거주자우선 주차장의 유휴시간 유료주차 관리 및 도난방지 방법
JP2008210018A (ja) 2007-02-23 2008-09-11 Chuo Electronics Co Ltd 駐車場管理システム
JP2013073339A (ja) * 2011-09-27 2013-04-22 Mitsubishi Heavy Ind Ltd 課金システム、課金装置、課金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3218679A (ja) * 2012-04-06 2013-10-24 Xerox Corp 短時間の駐車違反を取り締まるための、ビデオベースの検知装置及び通知装置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45207A (ja) * 1996-03-08 1997-09-19 Mitsubishi Heavy Ind Ltd 料金収受システム
EP1163129A4 (en) 1999-02-05 2003-08-06 Brett Hall COMPUTER CONTROLLED MANAGEMENT SYSTEM FOR PARKING HOUSES
JP4544580B2 (ja) * 2004-11-16 2010-09-15 株式会社トモ 駐車場管理装置
EP1860616A1 (en) * 2006-05-22 2007-11-28 Triangle invest II ApS under foundation System for monitoring and administration of a parking facility
GB2441382B (en) 2006-08-29 2009-10-14 Ranger Services Ltd Automated parking system
JP5525473B2 (ja) * 2011-03-29 2014-06-18 株式会社日立パワーソリューションズ タクシー配車方法、プログラム、タクシー配車システム、およびサーバ
US9697506B2 (en) * 2011-05-10 2017-07-04 Duncan Parking Technologies, Inc. Wireless communication parking meter system and method
WO2014072971A1 (en) * 2012-11-06 2014-05-15 Givon Assaf Method of determining a license plate of a vehicle tracked by a surveillance system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4394B1 (ko) 2006-03-30 2006-12-06 주식회사 디앤에스 테크놀로지 Rfid태그와 매립센서를 이용한 거주자우선 주차장의 유휴시간 유료주차 관리 및 도난방지 방법
JP2008210018A (ja) 2007-02-23 2008-09-11 Chuo Electronics Co Ltd 駐車場管理システム
JP2013073339A (ja) * 2011-09-27 2013-04-22 Mitsubishi Heavy Ind Ltd 課金システム、課金装置、課金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3218679A (ja) * 2012-04-06 2013-10-24 Xerox Corp 短時間の駐車違反を取り締まるための、ビデオベースの検知装置及び通知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0114A (ko) 2018-10-08
US11295357B2 (en) 2022-04-05
US20190087877A1 (en) 2019-03-21
JP2017182743A (ja) 2017-10-05
GB201815198D0 (en) 2018-10-31
SG11201807647WA (en) 2018-10-30
MY194751A (en) 2022-12-15
JP6644621B2 (ja) 2020-02-12
WO2017169266A1 (ja) 2017-10-05
GB2564311B (en) 2021-11-17
GB2564311A (en) 2019-0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30955B1 (ko) 주차 관리 시스템 및 주차 관리 방법
JP6622047B2 (ja) 通信処理装置、及び通信処理方法
KR101368109B1 (ko) 요금 징수 시스템
CN102436760A (zh) 智能停车场管理方法及系统
KR100895846B1 (ko) 주차정보제공및 불법주차와 불법차량의 무인단속시스템
CN107111940B (zh) 交通违章管理系统和交通违章管理方法
CN113744420B (zh) 一种道路停车收费管理方法、系统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EP2402912A1 (en) Charging system, charging method, controller and program
CN107004352B (zh) 交通违章管理系统和交通违章管理方法
CN112053567A (zh) 路侧停车管理方法及电子设备
CN106652064B (zh) 停车场付费方法及系统
CN110630071A (zh) 停车场防跟车装置及控制方法
CN106205194A (zh) 一种车位预约停车系统
JP5781587B2 (ja) 料金収受システム、料金収受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932693B2 (ja) 料金収受システム
CN110738741B (zh) 停车场车辆缴费方法、介质、设备及系统
JP2014056412A (ja) 車両通行制御システム、車載器、通行料金処理装置
JP7219771B2 (ja) 違反者特定装置、違反者特定システム、違反者特定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140035666A (ko) 다차로 서비스를 위한 자동 요금 징수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024786B1 (ko) 차량 탑재기
JP5868645B2 (ja) 課金システム、課金装置、課金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4326410A (ja) 自動料金収受システムの料金所端末装置、etc車載機、退場可否判定方法
KR101096580B1 (ko) 휴게소용 다기능 카메라 시스템, 그 제어방법, 이를 이용한 통합운영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JP3626918B2 (ja) 駐車課金システム、駐車課金装置及び方法並びに駐車設備
US20200302700A1 (en) Transit range evaluation device, transit range evaluation system, transit range evaluation method, and progra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