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8879B1 - 흡음성 텍스타일 복합물 - Google Patents

흡음성 텍스타일 복합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8879B1
KR102128879B1 KR1020200042326A KR20200042326A KR102128879B1 KR 102128879 B1 KR102128879 B1 KR 102128879B1 KR 1020200042326 A KR1020200042326 A KR 1020200042326A KR 20200042326 A KR20200042326 A KR 20200042326A KR 102128879 B1 KR102128879 B1 KR 1021288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rier layer
sound
fiber
dtex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23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39640A (ko
Inventor
안젤라 바이크
군터 샤르펜베르거
산드라 필링-팔루시
Original Assignee
칼 프로이덴베르크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칼 프로이덴베르크 카게 filed Critical 칼 프로이덴베르크 카게
Publication of KR202000396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96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88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88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rtain kinds of fibres insofar as this use has no preponderant influence on the consolidation of the flee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022Non-woven fab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024Woven fab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026Knitted fab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08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the fibres or filaments of a layer being of different substances, e.g. conjugate fibres, mixture of different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18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a layer of foamed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18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a layer of foamed material
    • B32B5/2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a layer of foamed material foamed in situ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2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 B32B5/24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245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another layer next to it being a foam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2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 B32B5/24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26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another layer next to it also being fibrous or filamenta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8Insulating elements, e.g. for sound insulation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rtain kinds of fibres insofar as this use has no preponderant influence on the consolidation of the fleece
    • D04H1/437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rtain kinds of fibres insofar as this use has no preponderant influence on the consolidation of the fleece using different kinds of webs, e.g. by layering web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rtain kinds of fibres insofar as this use has no preponderant influence on the consolidation of the fleece
    • D04H1/4382Stretched reticular film fibres; Composite fibres; Mixed fibres; Ultrafine fibres; Fibres for artificial leather
    • D04H1/43825Composite fibres
    • D04H1/43828Composite fibres sheath-core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rtain kinds of fibres insofar as this use has no preponderant influence on the consolidation of the fleece
    • D04H1/4382Stretched reticular film fibres; Composite fibres; Mixed fibres; Ultrafine fibres; Fibres for artificial leather
    • D04H1/43835Mixed fibres, e.g. at least two chemically different fibres or fibre blend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rtain kinds of fibres insofar as this use has no preponderant influence on the consolidation of the fleece
    • D04H1/4382Stretched reticular film fibres; Composite fibres; Mixed fibres; Ultrafine fibres; Fibres for artificial leather
    • D04H1/43838Ultrafine fibres, e.g. microfibr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5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by welding together the fibres, e.g. by partially melting or dissolving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5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by welding together the fibres, e.g. by partially melting or dissolving
    • D04H1/541Composite fibres, e.g. sheath-core, sea-island or side-by-side; Mixed fibr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5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by welding together the fibres, e.g. by partially melting or dissolving
    • D04H1/559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by welding together the fibres, e.g. by partially melting or dissolving the fibres being within layered web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5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by welding together the fibres, e.g. by partially melting or dissolving
    • D04H1/56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by welding together the fibres, e.g. by partially melting or dissolving in association with fibre formation, e.g. immediately following extrusion of staple fibre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1/00Methods or devices for transmitting, conducting or directing sound in 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6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62Selection of materials
    • G10K11/168Plural layers of different materials, e.g. sandwic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022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033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20All layers being fibrous or filamenta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40Symmetrical or sandwich layers, e.g. ABA, ABCBA, ABCCB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0/00Layered product comprising an impregnated, embedded, or bonded layer wherein the layer comprises an impregnation, embedding, or binder material
    • B32B2260/02Composition of the impregnated, bonded or embedded layer
    • B32B2260/021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0/00Layered product comprising an impregnated, embedded, or bonded layer wherein the layer comprises an impregnation, embedding, or binder material
    • B32B2260/04Impregnation, embedding, or binder material
    • B32B2260/046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02Synthetic macromolecular fibres
    • B32B2262/0223Vinyl resin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02Synthetic macromolecular fibres
    • B32B2262/0246Acrylic resin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02Synthetic macromolecular fibres
    • B32B2262/0253Polyolefin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02Synthetic macromolecular fibres
    • B32B2262/0261Polyamide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02Synthetic macromolecular fibres
    • B32B2262/0276Polyester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02Synthetic macromolecular fibres
    • B32B2262/0276Polyester fibres
    • B32B2262/0284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or polybutylene terephthalate [PB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04Cellulosic plastic fibres, e.g. ray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12Conjugate fibres, e.g. core/sheath or side-by-s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14Mixture of at least two fibres made of different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6/00Composition of foam
    • B32B2266/02Organic
    • B32B2266/0214Materials belonging to B32B27/00
    • B32B2266/0221Vinyl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6/00Composition of foam
    • B32B2266/02Organic
    • B32B2266/0214Materials belonging to B32B27/00
    • B32B2266/0242Acryl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6/00Composition of foam
    • B32B2266/02Organic
    • B32B2266/0214Materials belonging to B32B27/00
    • B32B2266/0264Polyes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6/00Composition of foam
    • B32B2266/02Organic
    • B32B2266/0214Materials belonging to B32B27/00
    • B32B2266/0278Polyuretha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6/00Composition of foam
    • B32B2266/06Open cell foa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6/00Composition of foam
    • B32B2266/10Composition of foam characterised by the foam pores
    • B32B2266/104Micropores, i.e. with average diameter in the range from 0.1 µm to 0.1 m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1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acoustical properties
    • B32B2307/102Insul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3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therm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6Damping, energy absorp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18Weight, e.g. weight per square me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32Dimension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32Dimensional properties
    • B32B2307/734Dimensional stabil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605/00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605/00Vehicles
    • B32B2605/003Interior finish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8Insulating elements, e.g. for sound insulation
    • B60R13/0815Acoustic or thermal insulation of passenger compart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3Reducing weigh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9Reducing 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Nonwoven Fabrics (AREA)
  • Vehicle Interior And Exterior Ornaments, Soundproofing, And Insulation (AREA)
  • Woven Fabr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흡음성 텍스타일 복합물과 관련이 있고, 상기 흡음성 텍스타일 복합물은
a) 기초 섬유로서, 3dtex 내지 17dtex의 섬도를 갖는 굵은 스테이플 파이버(staple fiber) 및 0.3dtex 내지 2.9dtex의 섬도를 갖는 가는 스테이플 파이버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개방 기공형 캐리어 층(open-pored carrier layer) 및
b) 미소공성 폼 층(microporous foam layer)을 포함하는 상기 캐리어 층상에 배치된 유동층(flow layer)을 포함하고,
이때 상기 흡음성 텍스타일 복합물의 유동 저항은 250Ns/㎥ 내지 5000Ns/㎥이다.

Description

흡음성 텍스타일 복합물{SOUND-ABSORBING TEXTILE COMPOSITE}
본 발명은 흡음성 텍스타일 복합물과 관련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흡음성 텍스타일 복합물의 제조 방법 및 자동차 분야에서 흡음을 위한 상기 흡음성 텍스타일 복합물의 용도와 관련이 있다.
미국 특허 출원서 US 5298694 A호에는 주름진 벌킹 파이버(crimped bulking fibers) 성분과 혼합된 마이크로파이퍼(meltblown microfibers) 성분을 포함하는 방음성 부직포가 사용되는 흡음을 위한 일 방법이 기술된다. 상기 마이크로파이버는 15㎛ 미만,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0㎛의 평균 섬유 지름을 갖고, 주름진 스테이플 파이버 부직포 내에서 40:60 내지 95:5의 중량 퍼센트 비율로 분포하여 제공된다. 이와 같은 재료 구성에서 음향 효과는, 마이크로파이버의 사용이 증가함으로써 부직포 내에서 더 큰 내부 표면이 달성되고, 그 결과 음파의 운동 에너지가 열 에너지로 더 많이 변환될 수 있음으로써 발생한다. 기술된 부직포에서의 단점은 공기의 유동 저항이 단지 전체 구성물의 조성의 복잡한 변경에 의해서만 조절되거나, 또는 사전 결정될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독일 특허 출원서 DE 10163576 B4호에는 2개의 서로 다른 열가소성 매트릭스 파이버(0.8 내지 1.7dtex의 범위 내의 섬도) 및 하나의 열가소성 멜팅 파이버 성분(2.2dtex의 섬도)으로 구성된, 음파의 흡수를 위한, 그리고 단열을 위한 절연 재료들이 공지되어 있다. 그럼으로써 전체 부직포 내에서 1.3dtex의 평균 섬유 지름이 달성된다. 바인딩 파이버(binding fiber)(섬유 혼합물의 10%)의 사용이 감소함으로써, 우수한 드레이프 특성(drapability)을 구비하고, 추가로 기계적 경화 공정 및 열적 경화 공정에 의해 달성되는 내부 강도를 갖는 부직포가 생성된다는 사실이 분명해진다. 그러나 절연 재료의 음향을 의도적으로 설정하는 것은 공정과 관련하여 불가능하다. 그 밖에, 음파의 흡수가 더 가는 스테이플 파이버를 사용함으로써 더 이상 개선되지 않는데, 그 이유는 현재 선행 기술에 따르면 0.3dtex 미만의 더 가는 섬유가 더는 신뢰할 만하게 카딩기(carding machine) 상에서 전달되지 못하기 때문이다.
유럽 특허 출원서 EP 1058618 B1호는 개방 기공형 캐리어 층(open-pored carrier layer) 및 제2 개방 기공형 섬유층으로 구성된 흡음성 박막 적층물을 기술한다. 상기 개방 기공형 캐리어 층으로는 2000g/㎡ 미만의 단위 면적당 중량 및 50㎜ 미만의 두께를 갖는 부직포가 고려될 수 있거나, 또는 16 내지 32㎏/㎥의 밀도 및 6㎜ 이상의 두께를 갖는 초경량 플라스틱-폼이 고려될 수 있다. 상기 제2 개방 기공형 섬유층은 바람직하게 2 내지 5㎛의 섬유 지름을 갖는 멜트블로운-마이크로파이버(meltblown microfiber)로부터 생성된다. 추가로 500 내지 5000Ns/㎥의 공기 유동 저항이 기술된다. 상기 흡음성 박막 적층물의 적층물 구조에 의해 음향적으로 설정될 수 있는 유동층(flow layer)이 제공된다. 이와 같은 복합물에서의 단점은 상기 캐리어 층이 뚜렷한 음향적 관련성을 나타내지 않는다는 사실이다.
본 발명의 과제는 선행 기술의 단점들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거하는 흡음성 재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음향 흡수율이 간단하게 설정될 수 있어야 하며, 그리고 상기 재료는 낮은 단위 면적당 중량에서 높은 압축률 및 매우 우수한 탄력성을 갖도록 제조될 수 있어야 한다.
그 밖에 상기 흡음성 재료는 자동차 산업에서 중요한 800Hz 내지 2000Hz의 주파수 범위 내에서 매우 우수한 음향적 흡수 특성을 나타내야 한다.
이와 같은 과제는
a) 기초 섬유로서, 3dtex 내지 17dtex의 섬도를 갖는 굵은 스테이플 파이버 및 0.3dtex 내지 2.9dtex의 섬도를 갖는 가는 스테이플 파이버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개방 기공형 캐리어 층 및
b) 미소공성 폼 층(microporous foam layer)을 포함하는 상기 캐리어 층상에 배치된 유동층을 포함하는 흡음성 텍스타일 복합물에 의해 해결되고,
이때 상기 흡음성 텍스타일 복합물의 유동 저항은 250Ns/㎥ 내지 5000Ns/㎥이다.
놀랍게도, 본 발명에 따른 텍스타일 복합물에 의해 선행 기술의 위에 기술된 단점들이 방지될 수 있다는 사실이 확인되었다. 또한, 위의 구조를 갖는 텍스타일 복합물이 자동차 산업에서 중요한 800Hz 내지 2000Hz의 주파수 범위 내에서 뛰어난 음향적 흡수 특성을 나타낸다는 사실이 확인되었다.
본 발명에 따라 하나의 매커니즘에 고정되지 않으면서, 확인된 놀랍도록 높은 흡음률(sound absorption coefficient)이 유동층과 결합된 캐리어 층의 가는 섬유와 굵은 섬유 사이의 상승적인 상호작용에서 비롯되는 것으로 추정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캐리어 층 내에서 0.3dtex 내지 2.9dtex의 섬도를 갖는 가는 스테이플 파이버 및 3dtex 내지 17dtex의 섬도를 갖는 굵은 스테이플 파이버의 특별한 선택이 직접 음파를 흡수하는, 흡음을 위해 특히 적합한 기초 구조의 형성을 야기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왜냐하면, 가는, 그리고 굵은 스테이플 파이버의 적합한 선택에 의해 캐리어 층에 높은 압축률 및 높은 탄력성을 장착하는 것이 가능하고, 그럼으로써 상기 캐리어 층상의 유동층은 최적으로 진동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유연한 플레이트 흡수체"의 작용 방식에 따라, 음 에너지(sound energy)가 특히 효과적으로 흡수될 수 있기 때문이다.
그 밖에 개방 기공형 캐리어 층과 미소공성 유동층의 결합은 텍스타일 복합물의 음향 특성의 간단하면서 의도적인 설정 및 변경을 구현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텍스타일 복합물이 낮은 단위 면적당 중량에서 높은 압축률 및 우수한 탄력성을 갖도록 제조될 수 있다는 사실이 확인되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형태에서 텍스타일 복합물은 70% 내지 100%, 더 바람직하게는 75% 내지 100% 및 특히 80% 내지 100%의 압축률 및/또는 70% 내지 100%, 더 바람직하게는 75% 내지 100% 및 특히 80% 내지 100%의 탄력성을 갖는다. 그럼으로써, 상기 텍스타일 복합물은 쉽게 압축될 수 있고, 그에 따라 동시에 매우 우수하게 사전 결정된 설치 공간들 안에 위치할 수 있는데, 그 이유는 상기 텍스타일 복합물이 우수한 탄력성에 의해 매우 우수하게 설치 공간 안에서 다시 팽창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는 복잡한 구조 및 서로 다른 두께 치수를 갖는 설치 공간들 안에서의 설치도 구현한다.
캐리어 층은 원칙적으로 직물, 편물 및/또는 부직포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바람직하게 캐리어 층은 DIN EN ISO 9092에 따른 부직포이다.
캐리어 층의 굵은 스테이플 파이버의 섬도는 3dtex 내지 17dtex이다. 바람직한 일 실시 형태에서 섬도는 3dtex 내지 12dtex 및 특히 3dtex 내지 9dtex이다. 굵은 스테이플 파이버는 텍스타일 복합물에 필요한 구조를 제공하고, 그에 따라 설치 상태에서도 상기 텍스타일 복합물이 치수 안정적으로 유지되도록 보장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형태에서 캐리어 층은 굵은 스테이플 파이버를 각각 상기 캐리어 층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5중량% 내지 90중량%, 더 바람직하게는 10중량% 내지 90중량%, 더 바람직하게는 20중량% 내지 90중량%, 더 바람직하게는 30중량% 내지 90중량%, 40중량% 내지 90중량%, 더 바람직하게는 50중량% 내지 90중량% 및 특히 60중량% 내지 90중량%의 비율로 함유한다. 캐리어 층이 바인딩 파이버를 추가 섬유로 함유하고 있는 경우에 한해, 굵은 스테이플 파이버의 비율은 각각 상기 캐리어 층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바람직하게 5중량% 내지 85중량%, 더 바람직하게는 10중량% 내지 85중량%, 더 바람직하게는 20중량% 내지 80중량% 및 특히 30중량% 내지 75중량%이다. 캐리어 층이 바인딩 파이버를 추가 섬유로 함유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 한해, 굵은 스테이플 파이버의 비율은 각각 상기 캐리어 층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바람직하게 10중량% 내지 90중량%, 더 바람직하게는 20중량% 내지 90중량%, 더 바람직하게는 30중량% 내지 90중량%, 더 바람직하게는 40중량% 내지 90중량%, 더 바람직하게는 50중량% 내지 90중량%, 더 바람직하게는 60중량% 내지 90중량% 및 특히 70중량% 내지 90중량%이다.
본 발명에 따른 텍스타일 복합물의 캐리어 층의 가는 스테이플 파이버의 섬도는 0.3dtex 내지 2.9dtex이다. 바람직한 일 실시 형태에서 가는 스테이플 파이버의 섬도는 0.5dtex 내지 2.9dtex, 더 바람직하게는 0.5dtex 내지 2.5dtex 및 특히 0.5dtex 내지 2.0dtex이다. 캐리어 층 내에 가는 스테이플 파이버를 사용함으로써, 상기 캐리어 층의 더 큰 내부 표면으로 인해 이와 같은 층에서도 음 에너지가 열 에너지로 변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형태에서 캐리어 층은 가는 스테이플 파이버를 각각 상기 캐리어 층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10중량% 내지 90중량%, 더 바람직하게는 10중량% 내지 80중량%, 더 바람직하게는 10중량% 내지 70중량%, 더 바람직하게는 10중량% 내지 60중량%, 10중량% 내지 50중량%, 더 바람직하게는 10중량% 내지 40중량% 및 특히 10중량% 내지 30중량%의 비율로 함유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초 섬유는 스테이플 파이버이다. 경우에 따라 캐리어 층 내에 함유된 바인딩 파이버와 다르게, 상기 기초 섬유는 전혀 융합되어 있지 않거나, 또는 단지 약간만 융합되어 있다. 스테이플 파이버는 이론적으로 무한한 길이를 갖는 필라멘트와 다르게, 규정된 섬유 길이를 갖는다. 본 발명에 따라 바람직하게 기초 섬유로 사용된 가는, 그리고 굵은 스테이플 파이버는 서로 독립적으로 20㎜ 내지 80㎜, 더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80㎜, 특히 30㎜ 내지 80㎜의 섬유 길이(staple length)를 갖는다. 기초 섬유로는 천연 섬유, 합성 섬유 또는 이들의 혼합물들이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합성 섬유가 사용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형태에서 기초 섬유로 사용된 가는, 그리고 굵은 스테이플 파이버는 서로 독립적으로, 폴리아크릴로니트릴, 폴리비닐알코올, 비스코스-, 폴리아미드들, 특히 폴리아미드 6 및 폴리아미드 6.6, 바람직하게는 폴리올레핀들 및 매우 특히 바람직하게 폴리에스테르, 특히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및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이들의 혼합물들 및/또는 코폴리머들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폴리머를 함유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기초 섬유는 상기 하나 이상의 폴리머를 90중량%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95중량% 이상, 특히 97중량% 이상의 비율로 함유한다.
본 발명의 특히 바람직한 일 실시 형태에서 기초 섬유는, 폴리에스테르, 특히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아미드 및 이들의 혼합물들 또는 코폴리머들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폴리머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특히 바람직한 일 실시 형태에서 기초 섬유는 특히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로 이루어진 폴리에스테르 섬유이다. 이때 장점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의 자기 소화성 연소 특성이며, 이는 재차 자동차 분야에서 텍스타일 복합물의 사용에 중요하다.
캐리어 층은 가는 스테이플 파이버 및 굵은 스테이플 파이버 이외에 추가 섬유를 더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바람직하게 캐리어 층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융합된 바인딩 파이버를 추가 섬유로 함유한다. 바인딩 파이버로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열적으로 융합될 수 있는 경우에 한해, 이와 같은 목적을 위해 사용되는 일반적인 섬유가 사용될 수 있다. 바인딩 파이버는 통일된 섬유이거나, 또는 다성분 섬유일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라 특히 적합한 바인딩 파이버는 결합 작용하는 성분이 결합될 기초 섬유의 용융점 아래, 바람직하게는 5℃ 이상, 예컨대 5℃ 내지 300℃, 더 바람직하게는 5℃ 내지 250℃, 더 바람직하게는 5℃ 내지 200℃ 및/또는 바람직하게는 10℃ 이상, 예컨대 10℃ 내지 300℃, 더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250℃, 더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200℃ 및/또는 바람직하게는 15℃ 이상, 예컨대 15℃ 내지 300℃, 더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250℃, 더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200℃ 및/또는 바람직하게는 20℃ 이상, 예컨대 20℃ 내지 300℃, 더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250℃, 더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200℃ 및/또는 바람직하게는 25℃ 이상, 예컨대 25℃ 내지 300℃, 더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250℃, 더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200℃만큼 결합될 기초 섬유의 용융점 아래의 용융점을 갖는 섬유이다. 계속해서 바람직하게 바인딩 파이버는 결합 작용하는 성분이 250℃ 미만, 더 바람직하게는 70 내지 235℃, 더 바람직하게는 125 내지 225℃, 특히 바람직하게는 150 내지 225℃의 용융점을 갖는 섬유이다. 적합한 바인딩 파이버는 특히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및/또는 코폴리에스테르, 특히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올레핀들, 특히 폴리프로필렌, 폴리아미드들, 폴리비닐알코올 그리고 그 코폴리머들 및 혼합물들을 함유하고, 그리고/또는 이와 같은 폴리머들로 구성된 섬유이다.
본 발명에 따라 특히 적합한 바인딩 섬유는 다성분 섬유, 바람직하게는 이성분 섬유, 특히 코어/재킷-섬유(core/jacket fiber)이다. 코어/재킷-섬유는 서로 다른 연화 온도 및/또는 용융 온도를 갖는 2개 이상의 섬유 폴리머를 함유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코어/재킷-섬유는 이와 같은 2개의 섬유 폴리머로 구성된다. 이 경우, 더 낮은 연화 온도 및/또는 용융 온도를 갖는 성분은 섬유 표면(재킷)에 위치하고, 더 높은 연화 온도 및/또는 용융 온도를 갖는 성분은 코어에 위치한다.
코어/재킷-섬유의 경우, 결합 기능은 섬유의 표면에 배치되어 있는 재료들에 의해 발휘될 수 있다. 재킷을 위해서는 다양한 재료들이 사용될 수 있다. 재킷을 위해 바람직한 재료들은 본 발명에 따라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아미드, 폴리에틸렌, 코폴리아미드들 및/또는 코폴리에스테르이다. 코어를 위해서도 마찬가지로 다양한 재료들이 사용될 수 있다. 코어를 위해 바람직한 재료들은 본 발명에 따라 폴리에스테르, 특히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및/또는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및/또는 폴리올레핀들이다.
코어/재킷-바인딩 파이버를 사용하는 것은 본 발명에 따라 바람직한데, 그 이유는 이와 같은 방식으로 부직포 내에서 결합제 성분의 특히 균일한 분포가 달성될 수 있기 때문이다.
캐리어 층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융합된 바인딩 파이버를 함유하고 있는 경우에 한해, 상기 캐리어 층은 바람직하게 상기 바인딩 파이버를 각각 상기 캐리어 층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10중량% 내지 50중량%, 더 바람직하게는 10중량% 내지 40중량%, 특히 10중량% 내지 30중량%의 비율로 함유하는 섬유 혼합물에 기초하여 제조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추가 실시 형태에서 결합 작용하는 성분의 비율은 각각 캐리어 층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5중량% 이상, 예컨대 5중량% 내지 50중량%이다.
본 발명에 따라 바람직하게 캐리어 층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융합된 바인딩 파이버에 의해 결합 및 경화되어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부분적으로 융합된 바인딩 파이버는 기계적 응력 없이 융합되어 있는데, 예를 들어 연속로(continuous furnace)에 의해 융합되어 있다. 이때 부직포가 매우 큰 부피로 제조될 수 있고, 기계적 작용에 의해 부피가 변경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추가 실시 형태에서 캐리어 층 내에서 공기 대 섬유의 부피비는 50:1 내지 250:1, 더 바람직하게는 100:1 내지 225:1, 특히 125:1 내지 200:1이다.
본 발명의 추가 실시 형태에서 캐리어 층은 바람직하게 바인딩 파이버에 의한 경화 공정에 대해 추가적으로 결합제에 의해 결합되어 있다. 결합제로는 폴리아크릴레이트들, 폴리스티렌들, 폴리비닐아세테이트에틸렌들, 폴리우레탄들, 그리고 그 혼합물들 및 코폴리머들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바람직하게, 흡음성 텍스타일 복합물이 쉽게 주름지고 압축되며, 그에 따라 다양한 설치 공간들 내에 삽입될 수 있도록 캐리어 층은 가볍게 경화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유동층은 특히 200Ns/㎥ 이상, 예컨대 200Ns/㎥ 내지 5000Ns/㎥, 더 바람직하게는 250Ns/㎥ 내지 5000Ns/㎥, 더 바람직하게는 350Ns/㎥ 내지 5000Ns/㎥ 및 특히 450Ns/㎥ 내지 5000Ns/㎥의 특수한 유동 저항을 갖는 미소공성 층으로 이해된다. 캐리어 층에 유동층을 제공하는 것의 장점은 상기 캐리어 층의 흡음 특성이 개선될 수 있다는 사실이다. 그럼으로써 상기 캐리어 층의 단위 면적당 중량이 낮게 유지될 수 있으면서도 뛰어난 음향 특성을 갖는 제품이 얻어질 수 있다. 유동층의 유동 저항의 설정은 당업자에게 공지된 방식으로 기공 치수 또는 밀도의 의도적인 설정에 의해 얻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유동층은 미소공성 폼 층을 포함한다. 이 경우, 미소공성 폼 층은 100㎛ 미만의 평균 기공 지름을 갖는 셀 구조물로 이해된다.
미소공성 폼 층을 사용하는 것의 장점은 다수의 작은 기공에 의해 상기 폼 층 내에, 음 에너지가 특히 우수하게 흡수될 수 있는 매우 큰 내부 표면이 제공된다는 사실이다. 그에 상응하게 상기 미소공성 폼 층은 바람직하게 1㎛ 내지 30㎛, 바람직하게는 1㎛ 내지 25㎛ 및 특히 1㎛ 내지 20㎛의 평균 기공 지름을 갖는다.
바람직하게 상기 미소공성 폼 층은 개방 기공형이다. 이는 셀 벽들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폐쇄되어 있지 않음으로써, 결과적으로 음 에너지가 상기 폼 층의 내부에서도 흡수될 수 있다는 사실로 이해된다.
상기 미소공성 폼 층은 다양한 폼 형성 재료들(foaming materials)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상기 미소공성 폼 층이 비닐아세테이트-코폴리머 및/또는 폴리아크릴레이트 및/또는 폴리우레탄을 함유하는 경우가 특히 적합한 것으로 증명되었다. 이 경우, 상기 미소공성 폼 층은 전술된 폴리머들을 바람직하게 90중량%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95중량%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97중량% 이상의 비율로 함유한다. 특히 상기 미소공성 폼 층은 전술된 폴리머들 중 하나 또는 다수의 폴리머로 구성되고, 이때 일반적인 첨가물들이 함유될 수 있다.
상기 폼 층은 종래의 방식으로 폴리머 디스퍼전(polymeric dispersion) 또는 폴리머 에멀전(polymeric emulsion)의 발포 공정에 의해, 예를 들어 기계적 작용에 의해 제조될 수 있고, 일반적인 도포 방법들, 예를 들어 코팅 공정에 의해 도포될 수 있다.
비닐아세테이트-코폴리머들을 사용하는 것의 장점은 이와 같은 비닐아세테이트-코폴리머들이 간단하면서 비용 저렴하게 제조될 수 있다는 사실이다. 또한, 상기 비닐아세테이트-코폴리머들에 의해 제조된 폼 층들은 특히 낮은 황화 경향을 갖는다. 그 밖에 상기 폼 층들은 특히 낮은 수축률을 나타낸다.
바람직한 비닐아세테이트-코폴리머들은 비닐아세테이트-에틸렌-코폴리머들이다. 이와 같은 비닐아세테이트-에틸렌-코폴리머들은 예를 들어 에멀전 중합 방법(emulsion polymerisation)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라 바람직하게 비닐아세테이트-코폴리머는 65 내지 98중량%의 비닐아세테이트를 함유하는 수성 비닐아세테이트-에멀전 및/또는 비닐아세테이트-디스퍼전, 특히 비닐아세테이트-에틸렌-에멀전 및/또는 비닐아세테이트-에틸렌-디스퍼전에 기초하여 제조된다. 비닐아세테이트-에틸렌-에멀전 및/또는 비닐아세테이트-에틸렌-디스퍼전은 각각 모노머들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수성 매질 내에 바람직하게 65 내지 98중량%의 비닐아세테이트 및 2 내지 30중량%의 에틸렌, 바람직하게는 75 내지 95중량%의 비닐아세테이트 및 5 내지 25중량%의 에틸렌을 함유한다.
경우에 따라 비닐아세테이트-에멀전 및/또는 비닐아세테이트-디스퍼전은 각각 모노머들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10중량%까지,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0중량%의 추가 코모노머들을 함유할 수 있다.
상기 비닐아세테이트-에멀전 및/또는 비닐아세테이트-디스퍼전을 위해 적합한 추가 코모노머들은 예를 들어 비닐프로피오네이트, 비닐라우레이트와 같이 카복실산 잔기 내에 3개 내지 12개의 C-원자를 구비한 비닐에스테르, 8개 내지 11개의 C-원자를 구비한 알파-분지성 카복실산의 비닐에스테르의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코모노머들이다. 메틸아크릴레이트,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에틸아크릴레이트, 에틸메타크릴레이트, 프로필아크릴레이트, 프로필메타크릴레이트, n-부틸아크릴레이트, n-부틸메타크릴레이트,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노보닐아크릴레이트와 같이 1개 내지 15개의 C-원자를 구비한 비분지성 또는 분지성 알코올들의 메타크릴산에스테르 또는 아크릴산에스테르도 적합하다. 비닐클로라이드와 같이 비닐할로게나이드들도 적합하다.
또한, 적합한 추가 코모노머들은 에틸렌 불포화성 모노- 및 디카복실산들, 바람직하게는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푸마르산 및 말레산; 에틸렌 불포화성 카복실산아미드들 및 -니트릴들, 바람직하게는 아크릴아미드 및 아크릴로니트릴; 디에틸- 및 디이소프로필에스테르와 같이 푸마르산 및 말레산의 모노- 및 디에스테르, 그리고 말레산 무수물, 에틸렌 불포화성 설폰산들 또는 그 염들, 바람직하게는 비닐설폰산, 2-아크릴아미도-2-메틸-프로판설폰산이다. 추가 예시들은 다중 에틸렌 불포화성 코모노머들과 같은 사전 가교 작용하는 코모노머들, 예를 들어 디비닐아디페이트, 디알릴말리에이트, 알릴메타크릴레이트 또는 트리알릴시아누레이트, 또는 추후 가교 작용하는 코모노머들, 예를 들어 아크릴아미도글리콜산(AGA), 메틸아크릴아미도글리콜산메틸에스테르(MAGME), N-메틸롤아크릴아미드(NMA), N-메틸롤메타크릴아미드(NMMA), N-메틸롤알릴카바메이트, N-메틸롤아크릴아미드, N-메틸롤메타크릴아미드 및 N-메틸롤알릴카바메이트의 이소부톡시에테르 또는 에스테르와 같은 알킬에테르이다. 예를 들어 히드록시에틸-, 히드록시프로필- 또는 히드록시부틸아크릴레이트 또는 -메타크릴레이트와 같은 메타크릴산- 및 아크릴산히드록시알킬에스테르, 그리고 아세트아세톡시에틸아크릴레이트, 아세트아세톡시프로필메타크릴레이트, 아세트아세톡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 아세트아세톡시부틸메타크릴레이트, 2, 3-디(아세트아세톡시)프로필메트-폴리아크릴레이트 및 아세트아세트산알릴에스테르와 같은 1, 3-디카보닐 화합물들과 같이 히드록시기들 또는 카복실기들을 구비한 모노머들도 적합하다.
이 경우, 모노머 선택은 바람직하게 비닐아세테이트-코폴리머, 특히 비닐아세테이트-에틸렌-코폴리머가 -20℃ 내지 +20℃,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0℃, 더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10℃의 유리 전이 온도(glass transition temperature)(Tg)를 갖도록 이루어진다.
폴리머들의 유리 전이 온도(Tg)는 공지된 방식으로 DSC(시차 주사 열량 분석, DIN EN ISO 11357)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매우 특히 바람직하게 Celanese Emulsions(社)의 Vinamul®Elite 25 상표명의 비닐아세테이트-코폴리머가 사용된다.
바람직한 폴리아크릴레이트들은 폴리부틸아크릴레이트들인데, 다음에서 축약해서 부틸아크릴레이트들로도 언급된다. 부틸아크릴레이트들도 마찬가지로 에멀전 중합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따라서 바람직하게 폴리아크릴레이트는 폴리아크릴레이트-에멀전 및/또는 폴리아크릴레이트-디스퍼전, 특히 바람직하게 40중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50중량%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 60중량% 이상의 n-부틸아크릴레이트 또는 n-부틸메타크릴레이트(축약해서 n-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바람직하게는 n-부틸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하는 부틸아크릴레이트-에멀전 및/또는 부틸아크릴레이트-디스퍼전에 기초하여 제조된다.
폴리아크릴레이트-에멀전 및/또는 폴리아크릴레이트-디스퍼전은 전술된 부틸아크릴레이트들 이외에, 바람직하게 C1 내지 C20의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들, 20개까지의 C-원자를 함유하는 카복실산들의 비닐에스테르들, 20개까지의 C-원자를 구비한 비닐 방향족 화합물들, 에틸렌 불포화성 니트릴들, 비닐할로게나이드들, 1개 내지 10개의 C-원자를 함유하는 알코올들의 비닐에테르들, 2개 내지 8개의 C-원자를 구비한 지방족 탄화수소들 및 이와 같은 모노머들의 1개 또는 2개의 이중 결합들 또는 혼합물들로부터 선택된 추가 코모노머들을 함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틸메타크릴레이트, 메틸아크릴레이트, 에틸아크릴레이트 및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와 같은 C1-C10-알킬 잔기를 구비한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가 언급된다.
특히 바람직한 코모노머들은 추후 가교 작용하는 코모노머들, 예를 들어 아크릴아미도글리콜산(AGA), 메틸아크릴아미도글리콜산메틸에스테르(MAGME), N-메틸롤아크릴아미드(NMA), N-메틸롤메타크릴아미드(NMMA), N-메틸롤알릴카바메이트, N-메틸롤아크릴아미드, N-메틸롤메타크릴아미드 및 N-메틸롤알릴카바메이트의 이소부톡시에테르 또는 에스테르와 같은 알킬에테르이다.
이 경우, 모노머 선택은 바람직하게 폴리아크릴레이트, 특히 부틸아크릴레이트가 <-25℃, 예컨대 -50℃ 내지 -25℃, 바람직하게는 -45℃ 내지 -25℃, 더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25℃의 유리 전이 온도(Tg)를 갖도록 이루어진다.
매우 특히 바람직하게 Archroma(社)의 Appretan®N 92100 상표명의 폴리아크릴레이트가 사용된다.
또한, 유동층을 위해서 다양한 폴리우레탄들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지방족 폴리우레탄들이 바람직한데, 그 이유는 이와 같은 지방족 폴리우레탄들이 단지 낮은 황화 경향을 갖기 때문이다. 폴리에스테르폴리우레탄들이 특히 바람직하다. 마찬가지로 수성 폴리머 디스퍼전으로부터 제조된 폴리우레탄들도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라 특히 바람직하게 폴리우레탄들의 제조는
Ⅰ. 용매 존재하에 폴리우레탄으로
a) 하나 이상의 지방족 또는 방향족 다가 이소시아네이트,
b) b1) 디올들(b)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10 내지 100mol-%은 500 내지 5000g/mol의 분자량(molecular weight)을 갖고, b2) 디올들(b)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0 내지 90mol-%는 60 내지 500g/mol의 분자량을 갖는 디올들,
c) 하나 이상의 친수기 또는 잠재적 친수기를 가짐으로써, 폴리우레탄들의 수분산성(water dispersibility)이 야기되는, 하나 이상의 이소시아네이트기 또는 이소시아네이트기에 대하여 반응성의 하나 이상의 기를 구비한 (a), (b)의 모노머들과 다른 모노머들의 반응 및
Ⅱ. 물 안에서 상기 폴리우레탄의 후속하는 분산에 의해 이루어진다.
전체 이소시아네이트기들이 지방족 사슬(aliphatic chain)에 결합되어 있는 지방족 이소시아네이트들이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라 바람직한 지방족 이소시아네이트들은 4개 내지 12개의 탄소 원자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지방족 이소시아네이트들은 테트라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1,6-디이소시아나토헥산), 옥타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데카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도데카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테트라데카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리신디이소시아네이트의 에스테르, 테트라메틸크실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트리메틸헥산디이소시아네이트 또는 테트라메틸헥산디이소시아네이트인데, 특히 바람직하게 1,6-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이다.
본 발명에 따라 바람직한 방향족 이소시아네이트들은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 톨루일렌디이소시아네이트, 디시클로헥실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페닐렌디이소시아네이트, 2,4- 및 2,6-톨루일렌디이소시아네이트, 페닐이소시아네이트, 디페닐메탄 열의 이소시아네이트들, 1,5-나프탈렌디이소시아네이트, p-클로르페닐이소시아네이트, 카보디이미드화 트리이소프로필페닐렌디이소시아네이트이다.
디올들(b)로는 대략 500 내지 5000g/mol, 바람직하게는 대략 700 내지 3000g/mol, 특히 바람직하게는 800 내지 2500g/mol의 평균 분자량(Mn)을 갖는 특히 더 높은 분자량의 디올들(b1)이 고려된다.
상기 디올들(b1)로는 본 발명에 따라 폴리에스테르폴리올들이 고려된다. 디올들(b)로는 상기 디올들(b1) 이외에, 대략 50 내지 500g/mol,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200g/mol의 분자량을 갖는 낮은 분자량의 디올들(b2)도 사용될 수 있다.
모노머들(b2)로는 무엇보다 폴리에스테르폴리올들을 제조하기 위해 언급된 단쇄 알칸디올들의 구성 성분들이 사용되는데, 예를 들어 에틸렌글리콜, 1,2-프로판디올, 1,3-프로판디올, 1,1-디메틸에탄-1,2-디올, 2-부틸-2-에틸-1,3-프로판디올, 2-에틸-1,3-프로판디올, 2-메틸-1,3-프로판디올, 네오펜틸글리콜, 히드록시피발산네오펜틸글리콜에스테르, 1,2-, 1,3- 또는 1,4-부탄디올, 1,6-헥산디올, 1,10-데칸디올, 비스-(4-히드록시시클로헥산)이소프로필리덴, 테트라메틸시클로부탄디올, 1,2-, 1,3- 또는 1,4-시클로헥산디올, 시클로옥탄디올, 노르보난디올, 피난디올, 데칼린디올, 2-에틸-1,3-헥산디올, 2,4-디에틸-옥탄-1,3-디올, 히드로퀴논, 비스페놀 A, 비스페놀 F, 비스페놀 B, 비스페놀 S, 2,2-비스(4-히드록시시클로헥실)프로판, 1,1-, 1,2-, 1,3- 및 1,4-시클로헥산디메타놀, 1,2-, 1,3- 또는 1,4-시클로헥산디올이 사용되고, 이때 2개 내지 12개의 C-원자 및 짝수개의 C-원자를 구비한 비분지성 디올들 및 펜탄디올-1,5 및 네오펜틸글리콜이 바람직하다.
폴리우레탄들의 수분산성을 달성하기 위해, 상기 폴리우레탄들은 성분들 (a) 및 (b) 이외에, 하나 이상의 이소시아네이트기 또는 이소시아네이트기들에 대하여 반응성의 하나 이상의 기, 그리고 그 밖에 하나 이상의 친수기 또는 친수기들로 변환되는 기를 구비한 바람직하게 상기 성분들 (a) 및 (b)와 다른 모노머들(c)로 구성되어 있다. 다음 텍스트에서는 "친수기들 또는 잠재적 친수기들"의 용어가 "(잠재적) 친수기들"로 축약된다. 상기 (잠재적) 친수기들은 폴리머 주 사슬을 구성하기 위해 이용되는 모노머들의 작용기들에 비해 이소시아네이트들과 현저히 더 느리게 반응한다. 상기 (잠재적) 친수기들로는 비이온성 또는 바람직하게는 이온성의, 다시 말해 양이온성 또는 음이온성의 친수기들 또는 잠재적 이온성 친수기들 및 특히 바람직하게는 음이온성 친수기들 또는 잠재적 음이온성 친수기들이 고려될 수 있다.
비이온성 친수기들로는 예를 들어 바람직하게 5개 내지 100개, 바람직하게는 10개 내지 80개의 에틸렌옥시드-반복 단위로 이루어진 혼합된, 또는 순수한 폴리에틸렌글리콜에테르가 고려된다. 상기 폴리에틸렌글리콜에테르는 프로필렌옥시드-단위들도 함유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필렌옥시드-단위들의 함량은 상기 혼합된 폴리에틸렌글리콜에테르를 기준으로 50중량%, 바람직하게는 30중량%를 초과하지 않는다.
이 경우, 모노머 선택은 바람직하게 폴리우레탄, 특히 지방족 폴리우레탄이 0℃ 내지 -65℃,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20℃, 더 바람직하게는 -55℃ 내지 -30℃의 유리 전이 온도(Tg)를 갖도록 이루어진다. 적합한 폴리우레탄들은 예를 들어 국제 특허 출원서 WO2016/169752 A1호에 기술되어 있으며, 그에 따라 상기 출원서는 참조에 의해 본 출원서에 포함된다.
매우 특히 바람직하게 CHT R. BEITLICH GMBH의 Tubicoat PUS 상표명의 폴리우레탄이 사용된다.
본 발명에 따른 텍스타일 복합물은 단지 캐리어 층 및 유동층으로만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마찬가지로 상기 텍스타일 복합물이 추가 층들, 특히 유동층 상에 배치된 하나 이상의 커버 층을 더 포함하는 것도 고려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커버 층은 바람직하게 상기 캐리어 층을 등지는 상기 유동층의 측면 상에 배치되어 있다. 이때 장점은 상기 유동층이 손상에 대하여 더 우수하게 보호될 수 있다는 사실이다. 커버 층으로 멜트-스펀 부직포(melt-spun nonwoven)의 사용이 특히 적합한 것으로 입증되었다. 바람직하게 상기 커버 층의 단위 면적당 중량은 25g/㎡ 미만, 예컨대 12g/㎡ 내지 17g/㎡이다. 마찬가지로 바람직하게 상기 커버 층은 열가소성 필라멘트, 특히 폴리프로필렌-필라멘트로 구성된다.
캐리어 층, 유동층 및 경우에 따라 제공된 커버 층은 다양한 방식으로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상기 층들이 접착성 재료들에 의해 서로 접착되어 있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형태에서 유동층에 의한 연결은 폼 층이 캐리어 층상에 직접 발포됨으로써 이루어진다. 그럼으로써, 캐리어 층과 유동층 사이에 규정된 상 경계가 확인되지 않는 텍스타일 복합물이 얻어질 수 있다. 이는 캐리어 층과 유동층의 경계 영역 내에서 밀도 구배의 설정을 구현하는데, 이는 음향 특성에 대하여 바람직하게 작용한다. 그 밖에 추가적인 접착층이 생략될 수 있는데, 이는 마찬가지로 음향 특성에 대하여 바람직하게 작용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텍스타일 복합물은 250Ns/㎥ 내지 5000Ns/㎥, 더 바람직하게는 350Ns/㎥ 내지 5000Ns/㎥, 더 바람직하게는 450Ns/㎥ 내지 5000Ns/㎥ 및 특히 550Ns/㎥ 내지 5000Ns/㎥의 유동 저항을 갖는다. 텍스타일 복합물의 유동 저항은 캐리어 층 및 유동층의 유동 저항들로 이루어진다. 이 경우, 상기 유동층은 일반적으로 유동 저항에 대하여 현저히 더 높은 비율로 기여한다. 때문에, 유동 저항의 설정은 간단한 방식으로 목표한 유동 저항을 갖는 적합한 유동층을 선택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텍스타일 복합물에 의해 각각 1000Hz에서 DIN EN ISO 10534-1에 따라 측정된, 예를 들어 30% 내지 100%, 더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100%, 더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100%의 뛰어난 흡음률들이 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높은 흡음률들은 당업자에게 놀라웠는데, 그 이유는 단독적으로 측정되는 경우에 유동층 및 캐리어 층의 흡음률들의 총합보다 상기 흡음률들이 더 높기 때문이다.
텍스타일 복합물의 단위 면적당 중량은 바람직하게 50g/㎡ 내지 350g/㎡, 더 바람직하게는 100g/㎡ 내지 300g/㎡ 및 특히 150g/㎡ 내지 250g/㎡이다. 이와 같은 단위 면적당 중량의 경우, 경량의 텍스타일 복합물이 제공될 수 있고, 그 결과 재차 자동차에서 중량 절약으로 인해 배기가스가 감소할 수 있다는 사실이 바람직하다.
텍스타일 복합물의 두께는 바람직하게 5㎜ 내지 35㎜, 더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30㎜ 및 특히 15㎜ 내지 25㎜이다. 두께가 10㎜ 이상인 경우, 이미 텍스타일 복합물 단독에 의해서도 높은 벽 간격이 생성됨으로써, 결과적으로 평균 주파수의 평균 길이의 음파 및 저주파의 긴 음파도 상기 텍스타일 복합물 내부에서 흡수될 수 있다는 사실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추가 대상은 250Ns/㎥ 내지 5000Ns/㎥의 유동 저항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텍스타일 복합물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이며, 상기 방법은 다음 단계들을 포함한다.
a) 기초 섬유로서, 3dtex 내지 17dtex의 섬도를 갖는 굵은 스테이플 파이버 및 0.3dtex 내지 2.9dtex의 섬도를 갖는 가는 스테이플 파이버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개방 기공형 캐리어 층을 제공 및/또는 제조하는 단계;
b) 미소공성 폼 층을 포함하는 유동층을 제공 및/또는 제조하는 단계;
c) 상기 유동층을 상기 캐리어 층상에 배치하는 단계;
d) 상기 캐리어 층과 상기 유동층을 연결하는 단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추가 실시 형태에서 유동층에 의한 연결은 폼 층이 캐리어 층상에 직접 형성됨으로써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추가 대상은 250Ns/㎥ 내지 5000Ns/㎥의 유동 저항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텍스타일 복합물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이며, 상기 방법은 다음 단계들을 포함한다.
a') 기초 섬유로서, 3dtex 내지 17dtex의 섬도를 갖는 굵은 스테이플 파이버 및 0.3dtex 내지 2.9dtex의 섬도를 갖는 가는 스테이플 파이버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개방 기공형 캐리어 층을 제공 및/또는 제조하는 단계;
b') 유동층의 형성하에 상기 캐리어 층상에 미소공성 폼 층을 형성하는 단계.
하나 이상의 개방 기공형 캐리어 층의 제공 및/또는 제조 공정은 당업자에게 공지된 제조 공정들을 통해, 예를 들어 건조 상태로 놓인 스테이플 파이버 부직포의 제조 공정들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캐리어 층을 위해 본 발명에 따라 적합한 제조 방법들은 예를 들어 카딩 방법, 그리고 에어레이 방법(airlay method) 및 에어레이드 방법(airlaid method)과 같은 공기 역학적 방법이다. 전형적인 카딩 방법의 경우, 일반적으로 스테이플 파이버가 작업자-턴 롤러에 의해 개별 섬유로 해체되고, 냅(nap)으로서 배치된다. 이와 같은 냅은 후속하여, 단층 또는 다층 부직포를 형성하기 위해, 예를 들어 크로스 스택커(cross stacker)에 의해 겹쳐질 수 있다. 불규칙 배향의 섬유 배치를 갖는 부직포가 제조되어야 하는 경우, 특히 공기 역학적 방법이 적합하다. 불규칙 배향은 바람직한데, 그 이유는 상기 불규칙 배향에 의해 낮은 밀도에서 큰 부피의 압축 탄성적인 부직포가 얻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바인딩 파이버가 사용되면, 이와 같은 바인딩 파이버는 예를 들어 순환로 내에서 용융점까지 가열될 수 있고, 그에 따라 부직포의 경화 공정에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열적 경화 공정은 캐리어 층과 유동층의 연결 공정 이전 및/또는 이후에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결합제 도포 공정과 같은 추가 비접촉 경화 공정 유형들도 가능하다. 특히 바람직하게 상기 부직포는 기계적 경화 방법 없이 경화되는데, 그 이유는 그럼으로써 캐리어 층의 부피가 악영향을 받지 않기 때문이다.
폼 층은 종래의 방식으로 폴리머 디스퍼전 또는 폴리머 에멀전의 발포 공정에 의해, 예를 들어 기계적 작용에 의해 제조될 수 있고, 일반적인 도포 방법들, 예를 들어 중간 캐리어를 통해 도포될 수 있다.
캐리어 층과 유동층의 연결 공정은 당업자에게 공지된 방식으로, 예를 들어 핫 멜트(hot melt) 또는 감압 접착제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추가적인 접착제 없이도 캐리어 층과 연결될 수 있기 위해, 바람직하게 충분한 점착성을 지닌 폼 층이 사용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형태에서 유동층은 캐리어 층 및/또는 커버 층 상에 직접 형성된다. 이는 예를 들어 각각의 층 상에서 직접적인 발포 공정에 의해 야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실시 형태에서 캐리어 층/커버 층과 유동층 사이에 규정된 상 경계의 형성을 방지할 수 있다는 사실이 바람직하다. 이는 캐리어 층/커버 층과 유동층의 경계 영역 내에서 재료 구배의 설정을 구현하는데, 이는 재차 음향 특성에 대하여 바람직하게 작용한다. 그 밖에 추가적인 접착층이 생략될 수 있는데, 이는 재차 음향 특성에 대하여 바람직하게 작용한다.
유동층을 보호하기 위해 이와 같은 유동층에는 선택적으로 위에 기술된 것과 같은 커버 층이 제공될 수 있다. 이는 특히 민감한 폼들을 위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텍스타일 복합물은 자동차 분야에서 흡음을 위해 뛰어나게 적합한데, 예를 들어 자동차 내부 공간을 위한 음향 부품으로서, 그리고 특히 자동차 하우징 부품들의 흡음성 인터라이닝으로서 뛰어나게 적합하다.
다음에서 본 발명은 다수의 예시에 의해 더 상세하게 설명된다.
본 발명에 따른 텍스타일 복합물(예시 1)
200g/㎡의 단위 면적당 중량 및 21㎜의 두께를 갖는 스테이플 파이버 부직포가 제공되는데, 상기 스테이플 파이버 부직포는 1.7dtex의 섬도 및 38㎜의 섬유 길이를 갖는 가는 PET-스테이플 파이버 및 3.3dtex의 섬도 및 64㎜의 섬유 길이를 갖는 굵은 PET-스테이플 파이버, 그리고 4.4dtex의 섬도 및 51㎜의 섬유 길이를 갖는 PET/Co-PET 이성분 섬유로 구성된다. 상기 스테이플 파이버 부직포는 열적으로, 그리고 결합제에 의해서도 결합되어 있다. 이와 같은 스테이플 파이버 부직포 상으로 17g/㎡의 단위 면적당 중량, 0.1㎜의 두께 및 11.1㎛의 평균 기공 지름을 갖는 미소공성 폴리우레탄 폼 층이 적용된다.
비교 예시 2: 최적화되지 않은 캐리어 층을 구비한 유동층
300g/㎡의 단위 면적당 중량 및 20㎜의 두께를 갖는 스테이플 파이버 부직포가 제공되는데, 상기 스테이플 파이버 부직포는 28dtex의 섬도를 갖는 굵은 PET-스테이플 파이버 및 10dtex의 섬도를 갖는 PET/Co-PET 이성분 섬유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스테이플 파이버 부직포 상으로 17g/㎡의 단위 면적당 중량, 0.1㎜의 두께 및 11.1㎛의 평균 기공 지름을 갖는 미소공성 폴리우레탄 폼 층이 적용된다.
예시 1 및 비교 예시 2와 관련하여 캐리어 층들 및 유동층들의 유동 저항들이 DIN EN 29053에 따라, 서로 독립적으로 그리고 서로 결합된 상태로도 측정되었다.
유동층으로 단독적으로는 충분한 강도를 갖지 않는 미소공성 폼 층이 고려되기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른 미소공성 PU-폼 층은 가벼운 스펀-본디드 부직포(spun-bonded fabric) 상에 적용되는데, 상기 스펀-본디드 부직포는 유동 저항 측정 공정에 최대한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도 상기 측정 공정을 보장할 수 있기 위해, 자체적으로 매우 낮은 유동 저항, 말하자면 23Ns/㎥의 유동 저항을 갖는다.
측정 표본 두께(㎜) 유동 저항(Ns/㎥)
예시 1의 캐리어 층 21.0 67
비교 예시 2의 캐리어 층 20.0 25
예시 1 및 비교 예시 2의 유동층(스펀-본디드 부직포 포함) 0.20 2614
예시 1 21.2 2749
비교 예시2 20.2 2989
높은 유동 저항들이 거의 오로지 유동층에 의해서만 달성되고, 캐리어 층은 유동 저항 설정에 대하여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사실이 드러난다. 또한, 예시 1 및 비교 예시 2의 전체 유동 저항들이 유사한 범위에 놓인다는 사실이 드러난다.
비교 예시 3: 3M 신슐레이트(TAI3027)
330g/㎡의 단위 면적당 중량 및 21㎜의 두께를 갖는 스테이플 파이버 부직포가 제공되는데, 상기 스테이플 파이버 부직포는 65중량%까지 가는 폴리프로필렌-멜트블로운-섬유 및 35중량%까지 굵은 PET-스테이플 파이버로 구성된다. 추가적으로 상기 스테이플 파이버 부직포의 하나의 측면 상에 100중량%의 폴리프로필렌으로 이루어진 커버 층이 위치한다.
예시 4:
200g/㎡의 단위 면적당 중량 및 10㎜의 두께를 갖는 스테이플 파이버 부직포가 제공되는데, 상기 스테이플 파이버 부직포는 0.6dtex의 섬도를 갖는 50중량%의 가는 PET-스테이플 파이버 및 4.4dtex의 섬도를 갖는 50중량%의 굵은 PET-스테이플 파이버로 구성된다.
예시 5:
200g/㎡의 단위 면적당 중량 및 10㎜의 두께를 갖는 스테이플 파이버 부직포가 제공되는데, 상기 스테이플 파이버 부직포는 0.6dtex의 섬도를 갖는 80중량%의 가는 PET-스테이플 파이버 및 4.4dtex의 섬도를 갖는 20중량%의 굵은 PET-스테이플 파이버로 구성된다.
도 1은 비교 예시 2 및 비교 예시 3과 본 발명에 따른 예시 1의 임피던스 튜브(impedance tube)(DIN EN ISO 10534) 내의 흡음률을 비교하는 그래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예시 1에서 사용된 캐리어 층 및 비교 예시 2에서 사용된 캐리어 층과 본 발명에 따른 예시 1 및 비교 예시 2에서 사용된 유동층(음향적으로 작용하지 않는 캐리어 상에 적용됨)의 임피던스 튜브(DIN EN ISO 10534) 내의 흡음률을 비교하는 그래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예시 1, 비교 예시 2 및 독립된 유동층(음향적으로 작용하지 않는 캐리어 상에 적용됨)의 임피던스 튜브(DIN EN ISO 10534) 내의 흡음률을 비교하는 그래프이고,
도 4는 예시 5와 예시 4의 임피던스 튜브(DIN EN ISO 10534) 내의 흡음률을 비교하는 그래프이다.
예시 1, 비교 예시 2 및 비교 예시 3의 흡음률들은 DIN EN ISO 10534-1, 제1부에 따라 측정되었다. 결과들은 도 1에 나타나 있다.
예시 1이 자동차 산업에서 중요한 800Hz 내지 2000Hz의 주파수 범위 내에서 뛰어난 음향적 흡수 특성을 나타낸다는 사실이 드러난다. 1000Hz에서는 50%의 흡음률이 달성되었는데, 이는 놀랍도록 높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비교 예시 2의 경우, 1000Hz에서 단지 24%의 값만이 측정되었고, 비교 예시 3의 경우, 1000Hz에서 단지 25%의 값만이 측정되었다. 전체적으로, 예시 1의 단위 면적당 중량이 비교 예시 2 및 비교 예시 3과 비교하여 더 적은데도 불구하고, 본 발명에 따른 텍스타일 복합물의 경우, 대략 800Hz 내지 2500Hz의 주파수 범위 내에서 놀랍도록 더 높은 흡음률이 관찰된다.
공지된 방식으로 유동 저항을 통한 기공성 흡수체의 흡수성은 벽 간격과 결부되어 설정된다. 모든 예시들에서 벽 간격들은 동일하게 선택됨으로써, 결과적으로 상기 벽 간격들은 결과에 대하여 전혀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예시 1 및 비교 예시 2를 관찰하면, 예시 1 및 비교 예시 2의 전체 유동 저항들이 매우 유사하다(위에서 부호 3 참조)는 사실이 드러나고, 그 결과 이와 같은 파라미터는 흡음률의 예기치 않은 개선에 기여하지 못한다.
본 발명에 따라 하나의 매커니즘에 고정되지 않으면서, 이와 같은 놀랍도록 더 높은 흡음률이 유동층과 결합된 캐리어 층의 가는 섬유와 굵은 섬유 사이의 상승적인 상호작용에서 비롯되는 것으로 추정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캐리어 층 내에서 0.3dtex 내지 2.9dtex의 섬도를 갖는 가는 스테이플 파이버 및 3dtex 내지 17dtex의 섬도를 갖는 굵은 스테이플 파이버의 특별한 선택이 직접 음파를 흡수하는, 흡음을 위해 특히 적합한 기초 구조의 형성을 야기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왜냐하면, 가는, 그리고 굵은 스테이플 파이버의 적합한 선택에 의해 캐리어 층에 높은 압축률 및 높은 탄력성을 장착하는 것이 가능하고, 그럼으로써 상기 캐리어 층은 음파에 의해 최적으로 진동을 야기하며, 그에 따라 음 에너지가 특히 효과적으로 흡수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 경우, 본 발명에 따른 텍스타일 복합물은 유연한 플레이트 흡수체와 같이 작용한다. 플레이트 흡수체들은 목표한 주파수 범위에 정확하게 설정될 수 있는 고효율성 흡수체들이다. 진동 질량은 필름 또는 박막 플레이트의 질량에 의해 구현된다. 본 발명에 따른 텍스타일 복합물의 경우, 진동 질량은 유동층에 의해 구현된다. 플레이트 흡수체에서 공진계의 스프링 시스템은 대부분 필름 또는 플레이트와 후벽 사이의 에어쿠션(air cushion)의 스프링 시스템이다. 본 발명에 따른 텍스타일 복합물의 경우, 캐리어 층이 스프링 시스템으로 기능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본 발명에 따른 텍스타일 복합물을 위해 바람직하게 다음의 구조가 선택된다: 유동층-캐리어 층-벽. 이 경우, 캐리어 층의 정확하게 규정된 매우 우수한 압축성 및 탄성에 의해 유동층은 상기 캐리어 층상에서 최적으로 진동할 수 있고, 이와 같은 방식으로 추가적으로 스프링 볼륨 내에서, 다시 말해 상기 캐리어 층 내부에서 내부 손실이 발생한다.
요약하면 이는, 높은 압축률 및 높은 탄력성을 갖는 특수한 캐리어 층의 본 발명에 따른 선택에 의해 기공성 흡수체로서 유동층의 작동 방식이 상기 캐리어 층 내에서의 추가 댐핑에 의해 연장되고, 그에 따라 특히 자동차 산업에서 중요한 800Hz 내지 2000Hz의 주파수 범위 내에서 흡음률이 기공성 흡수체와 유연한 플레이트 흡수체의 작동 방식들의 상호작용에 의해 증가할 수 있다는 사실을 의미한다.
위에서 기술된 음향적 작동 방식의 놀라운 시너지 효과는 도 2 및 도 3의 비교에 의해서도 증명된다.
도 2에서는 우선 단지 예시들에서 사용된 개별 층들만이 관찰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예시 1에서 사용된 캐리어 층 및 비교 예시 2에서 사용된 캐리어 층과 본 발명에 따른 예시 1 및 비교 예시 2에서 사용된 유동층의 임피던스 튜브(DIN EN ISO 10534) 내의 흡음률이 비교된다. 검사를 실시할 수 있기 위해, 유동 저항의 측정 공정들에서와 같이, 임피던스 튜브 내의 측정 공정들을 위해서도 미소공성 폼 층이 가벼운 스펀-본디드 부직포 상에 적용된다. 상기 캐리어 층들이 대략 필적할 만한 흡음률들을 갖는다는 사실이 드러난다. 반면 상기 유동층은 더 높은 흡음률을 갖는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예시 1의 캐리어 층은 1000Hz에서 대략 11%의 흡음률을 나타내고, 비교 예시 2의 캐리어 층은 대략 8%의 흡음률을 나타내며, 유동층은 대략 17%의 흡음률을 나타낸다.
도 3에서는 예시 1에 따른 텍스타일 복합물, 비교 예시 2 및 독립된 유동층의 임피던스 튜브(DIN EN ISO 10534) 내의 흡음률이 비교된다. 본 발명에 따른 예시 1이 독립된 유동층 및 비교 예시 2보다도 현저히 더 높은 흡음률을 갖는다는 사실이 드러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본 발명에 따른 예시 1은 1000Hz에서 대략 50%의 흡음률을 나타내고, 비교 예시 2는 대략 24%의 흡음률을 나타내며, 유동층은 대략 17%의 흡음률을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른 예시 1에 대하여 검출된 값은 놀랍도록 높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본 발명은 개별 층들의 흡음률들이 대체로 서로 가산될 수 있다는 사실에 기초한다. 이는 비교 예시 2에 대하여: 8%[캐리어 층]+17%[유동층]=25%를 나타내는데, 이는 24%의 측정값과 매우 유사하다. 그에 따라 캐리어 층과 유동층 사이에서 시너지 효과가 확인되지 않는다. 이와 다르게, 예시 1에 대하여 계산상으로 (11%[캐리어 층]+17%[유동층]=28%)의 흡음률이 나타난다. 그러나 50%의 값이 측정되었는데, 이는 계산된 값보다 22%-포인트 위에 놓이며, 유동층과 캐리어 층, 그리고 상기 층들의 특별한 기초 구조의 위에 기술된 시너지 효과에서 비롯되는 것으로 추정된다.
도 4에는 예시 5와 예시 4의 임피던스 튜브(DIN EN ISO 10534) 내의 흡음률을 비교한 그래프가 나타나 있다. 예시 4(80중량%의 가는 섬유 비율)가 1000Hz에서 예시 5(50중량%의 가는 섬유 비율)보다 더 높은 흡음률을 갖는다는 사실이 드러난다.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된 파라미터들을 결정하기 위해 다음 측정법들이 사용된다.
단위 면적당 중량을 결정하기 위한 부직포의 검사 방법
ISO 9073-1에 따라 측정되고, 이때 측정 표본의 면적은 100㎜×100㎜이다.
두께를 결정하기 위한 부직포의 검사 방법
DIN EN ISO 9073-2, 방법 B 및 방법 C에 따라 측정된다.
섬도의 결정
DIN 53810(스테이플 파이버의 섬도-용어 및 측정 원리)에 따라, 현미경 및 섬유 지름을 결정하기 위한 상응하는 소프트웨어에 의해 측정된다. 총 >20개의 개별 섬유로 이루어진 4개의 현미경 슬라이드가 제공되어야 한다. 현미경 슬라이드당 섬유는 가위에 의해 대략 2 내지 3㎜의 길이로 축소되고, 니들에 의해 물체 캐리어 상에 제공된다. 후속하여 섬유 지름(㎛)이 상응하는 소프트웨어에 의해 검출 및 결정된다. 결정된 섬유 지름은 후속하여 다음 식에 의해 섬도
Figure 112020036195954-pat00001
로 환산될 수 있다.
Figure 112020036195954-pat00002
Figure 112020036195954-pat00003
섬유 지름(㎛)
Figure 112020036195954-pat00004
섬유 밀도(g/㎤)
폼 층의 기공 크기 분포의 결정
미소공성 폼 층의 기공 크기 분포는 ASTME 1294(1989)에 따라 측정된다.
검사 데이터:
검사 장치: PMI.01.01
표본 개수: 3
표본 크기: 21㎜의 지름
표본 두께: 1㎜
검액: Galden HT230
작용 시간: >1min.
검사 온도: 22℃
섬유 길이의 결정
제공된 섬유 표본으로부터 10개의 섬유 묶음이 선택되는데, 이때 10개의 섬유 묶음 각각으로부터 개별 섬유가 핀셋에 의해 취해지고, 섬유의 일 자유 단부가 2개의 고정 클램프 중 하나의 고정 클램프 내에 고정되고, 제2 섬유 단부가 나머지 고정 클램프 내에 고정됨으로써 상기 10개의 개별 섬유의 섬유 길이가 검출된다. 수동 핸들을 회전함으로써 섬유는 펴질 때까지 연장된다. 섬유의 길이는 측정 장치의 눈금으로부터 판독되고 ㎜로 기록된다. 검출된 모든 결과들의 평균값이 섬유 길이를 나타낸다.
Figure 112020036195954-pat00005
Figure 112020036195954-pat00006
개별 섬유 길이들의 총합
Figure 112020036195954-pat00007
샘플의 개수
용융점의 결정
DIN EN ISO 11357-3, 시차 주사 열량 분석(DSC)-제3부: 용융 온도 및 결정화 온도의 결정 그리고 용융 엔탈피 및 결정화 엔탈피의 결정에 따라 측정되고, 이때 10K/min의 가열 속도가 사용된다.
압축률의 결정
DIN 53885(텍스타일 및 텍스타일 제품들의 압축성의 결정)에 따라 측정되고, 이때 압축성의 결정은 규격에 기술된 것과 다른 검사 장치에 의해 실시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100㎜×100㎜의 치수를 갖는 측정 표본, 길이 눈금(㎜)을 갖는 계기판, 120㎜×120㎜의 치수를 갖는 금속판 및 55㎜의 지름 및 1㎏의 질량을 갖는 원통형 저울추가 제공된다.
측정 표본의 두께는 측정 공정 이전에 하중을 받지 않은 상태에서 계기판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 이와 같은 값은 출발 두께(d0)(㎜)를 나타낸다. 하중을 받지 않은 상태의 상기 출발 두께가 결정된 다음에, 다음 단계에서 금속판(100g)이 상기 측정 표본 상에 놓이고 중앙으로 정렬된다. 그 직후에 원통형 저울추가 측정 플레이트의 원형 마크 상으로 놓이고, 그에 따라 상기 측정 표본은 대략 1.1㎏의 하중을 받는다. 상기 측정 표본의 절대 압축률은 다음 식에 의해 검출되고, 하중을 받는 상태의 두께에 대하여 출발 두께의 차이를 나타낸다.
Figure 112020036195954-pat00008
Figure 112020036195954-pat00009
검사체의 출발 두께(㎜)
Figure 112020036195954-pat00010
상응하는 하중에서 검사체의 최종 두께(㎜)
상대 압축률(Kr)(%)은 다음과 같다.
Figure 112020036195954-pat00011
탄력성의 결정
DIN EN ISO 1856(유연하고 탄성적인 폴리머 폼 재료-압축 변형의 결정)에 따라 측정된다. 측정 기구로는 이미 "압축률의 결정" 섹션에서 기술된 것과 같은 동일한 구조가 사용된다. 탄력성을 결정하는 경우, 재료의 출발 두께와 최종 두께의 차이는 특정 온도 및 정해진 회복 시간에서 특정 시간에 걸친 압축 변형 이후에 검출된다.
측정 표본의 두께는 측정 공정 이전에 하중을 받지 않는 상태에서 계기판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 이와 같은 값은 출발 두께(d0)(㎜)를 나타낸다. 하중을 받지 않은 상태의 상기 출발 두께가 결정된 다음에, 다음 단계에서 금속판(100g)이 상기 측정 표본 상에 놓이고 중앙으로 정렬된다. 그 직후에 원통형 저울추가 측정 플레이트의 원형 마크 상으로 놓이고, 그에 따라 상기 측정 표본은 실온(23℃±2℃)에서 24시간의 시간에 걸쳐서 대략 1.1㎏의 하중을 받는다. 24시간의 하중이 가해진 이후에 상기 저울추 및 상기 금속판이 측정 표본으로부터 제거되고, 상기 측정 표본의 두께는 30분의 회복 시간 이후에 새로 측정되며, 압축 변형은 다음과 같이 결정된다.
Figure 112020036195954-pat00012
Figure 112020036195954-pat00013
검사체의 출발 두께(㎜)
Figure 112020036195954-pat00014
회복 이후에 검사체의 두께
상기 압축 변형으로부터 재료의 탄력성이 다음 식에 의해 계산될 수 있다.
Figure 112020036195954-pat00015
공기:섬유의 부피비의 결정
공기 대 섬유의 부피비는 재료의 기공성이 얼마나 높은지 설명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본 발명은 섬유와 비교하여 공기 비율이 높은 경우, 재료가 높은 공극률을 갖는다는 사실에 기초한다.
Figure 112020036195954-pat00016
Figure 112020036195954-pat00017
의 부피비는 다음과 같이 검출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우선 검사체의 부피가 다음 식에 의해 계산된다.
Figure 112020036195954-pat00018
Figure 112020036195954-pat00019
검사체의 길이(㎜)
Figure 112020036195954-pat00020
검사체의 폭(㎜)
Figure 112020036195954-pat00021
DIN EN ISO 9073-2, 방법 B 및 방법 C에 따라 측정된 검사체의 두께(㎜)
검사체의 부피가 결정된 다음에, 다음 단계에서 부직포 내에 함유된 섬유의 부피가 다음 식에 의해 검출된다.
Figure 112020036195954-pat00022
Figure 112020036195954-pat00023
검사체의 섬유 질량(g)
Figure 112020036195954-pat00024
섬유 폴리머의 밀도(g/㎤)
이 경우, 캐리어 층 내에서 바람직하게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의 폴리머로 이루어진 스테이플 파이버가 사용되고, 그에 따라 대략 1.38g/㎤의 섬유 밀도에 기초할 수 있다. 섬유 부피가 계산된 이후에, 추가 단계에서 공기 부피의 결정이 다음 식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Figure 112020036195954-pat00025
검사체의 공기 부피 및 섬유 부피가 결정된 경우에 한해서, 이와 같은 2개의 부피값의 서로에 대한 비율이 결정될 수 있다.
유동 저항을 결정하기 위한 검사 방법
DIN EN 29053, 방법 A(공기 직류법)에 따라 측정되고, 이때 유효 표본 지름은 100㎜이고, 공기압은 1000mbar에 상응한다.
임피던스 튜브 내의 흡음률 및 임피던스를 결정하기 위한 검사 방법
DIN EN ISO 10534-1, 제1부: 정재파비(ISO 10534-1:2001-10)에 의한 방법에 따라 측정되고, 이때 튜브 길이 A는 100㎝에 상응하고, 튜브 횡단면 A는 77㎠에 상응하며, 튜브 길이 B는 30㎝이고, 튜브 횡단면 B는 6.6㎡이다. 텍스타일 복합물 및 캐리어 층의 검사체들은 비흡음성 벽에 직접 접하도록 놓이고 측정된다. 유동층은 비흡음성 벽에 대하여 20㎜의 간격을 두고 측정된다.

Claims (15)

  1. 250Ns/㎥ 내지 5000Ns/㎥의 유동 저항을 갖는 흡음성 텍스타일 복합물로서,
    a) 기초 섬유로서, 3dtex 내지 17dtex의 섬도를 갖는 굵은 스테이플 파이버(staple fiber) 및 0.3dtex 내지 2.9dtex의 섬도를 갖는 가는 스테이플 파이버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개방 기공형 캐리어 층(open-pore carrier layer); 및
    b) 미소공성 폼 층(microporous foam layer)을 포함하는 상기 캐리어 층상에 배치된 유동층(flow layer)을 포함하고,
    상기 캐리어 층은 50:1 내지 250:1의 공기 대 섬유의 부피비를 갖고,
    상기 미소공성 폼 층은 1㎛ 내지 30㎛ 범위의 평균 기공 지름을 갖는,
    흡음성 텍스타일 복합물.
  2. 제1항에 있어서,
    70% 내지 100%의 압축률 및/또는 70% 내지 100%의 탄력성을 특징으로 하는,
    흡음성 텍스타일 복합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 층은 부직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음성 텍스타일 복합물.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 층은 추가 섬유로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융합된 바인딩 파이버(binding fiber)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음성 텍스타일 복합물.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 층은 굵은 스테이플 파이버를 상기 캐리어 층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5중량% 내지 90중량%의 비율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음성 텍스타일 복합물.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 층은 가는 스테이플 파이버를 상기 캐리어 층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10중량% 내지 90중량%의 비율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음성 텍스타일 복합물.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기초 섬유로 사용된 상기 가는 스테이플 파이버 및 굵은 스테이플 파이버는 서로 독립적으로 20㎜ 내지 80㎜의 스테이플 길이(staple length)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음성 텍스타일 복합물.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 층은 결합제에 의해 결합되어 있고, 폴리아크릴레이트(polyacrylates), 폴리스티렌(polystyrenes), 폴리비닐아세테이트에틸렌(polyvinyl acetate-ethylene), 폴리우레탄(polyurethanes), 및 이의 혼합물들 및 코폴리머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결합제가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음성 텍스타일 복합물.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1000Hz에서 30% 내지 100%의 흡음률(sound absorption coefficient)을 특징으로 하는,
    흡음성 텍스타일 복합물.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50g/㎡ 내지 350g/㎡의 단위 면적당 중량을 특징으로 하는,
    흡음성 텍스타일 복합물.
  11.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5㎜ 내지 35㎜의 두께를 특징으로 하는,
    흡음성 텍스타일 복합물.
  12. 250Ns/㎥ 내지 5000Ns/㎥의 유동 저항을 갖는 텍스타일 복합물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이
    e) 기초 섬유로서, 3dtex 내지 17dtex의 섬도를 갖는 굵은 스테이플 파이버 및 0.3dtex 내지 2.9dtex의 섬도를 갖는 가는 스테이플 파이버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개방 기공형 캐리어 층을 제공 및/또는 제조하는 단계;
    f) 미소공성 폼 층을 포함하는 유동층을 제공 및/또는 제조하는 단계;
    g) 상기 유동층을 상기 캐리어 층상에 배치하는 단계; 및
    h) 상기 캐리어 층과 상기 유동층을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거나,
    상기 방법이
    c') 기초 섬유로서, 3dtex 내지 17dtex의 섬도를 갖는 굵은 스테이플 파이버 및 0.3dtex 내지 2.9dtex의 섬도를 갖는 가는 스테이플 파이버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개방 기공형 캐리어 층을 제공 및/또는 제조하는 단계; 및
    d') 유동층의 형성으로 상기 캐리어 층상에 미소공성 폼 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캐리어 층은 50:1 내지 250:1의 공기 대 섬유의 부피비를 갖고,
    상기 미소공성 폼 층은 1㎛ 내지 30㎛ 범위의 평균 기공 지름을 갖는,
    텍스타일 복합물의 제조 방법.
  1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흡음성 텍스타일 복합물이 자동차 분야에서 흡음을 위해 사용됨을 특징으로 하는,
    흡음성 텍스타일 복합물.
  14. 삭제
  15. 삭제
KR1020200042326A 2017-03-17 2020-04-07 흡음성 텍스타일 복합물 KR10212887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7002552.5A DE102017002552A1 (de) 2017-03-17 2017-03-17 Schallabsorbierendes Textilkomposit
DE102017002552.5 2017-03-17
EP17179654.3A EP3375602B1 (de) 2017-03-17 2017-07-04 Schallabsorbierendes textilkomposit
EP17179654.3 2017-07-04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9007A Division KR20180106831A (ko) 2017-03-17 2017-11-09 흡음성 텍스타일 복합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9640A KR20200039640A (ko) 2020-04-16
KR102128879B1 true KR102128879B1 (ko) 2020-07-01

Family

ID=5936621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9007A KR20180106831A (ko) 2017-03-17 2017-11-09 흡음성 텍스타일 복합물
KR1020200042326A KR102128879B1 (ko) 2017-03-17 2020-04-07 흡음성 텍스타일 복합물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9007A KR20180106831A (ko) 2017-03-17 2017-11-09 흡음성 텍스타일 복합물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10789931B2 (ko)
EP (1) EP3375602B1 (ko)
JP (1) JP6702924B2 (ko)
KR (2) KR20180106831A (ko)
CN (1) CN108625039B (ko)
BR (1) BR102017022275B1 (ko)
DE (1) DE102017002552A1 (ko)
ES (1) ES2794998T3 (ko)
MX (1) MX2018003336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8202771A1 (de) * 2018-02-23 2019-08-29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Verdeckelement und Verdeck für ein Cabriolet-Fahrzeug und Cabriolet-Fahrzeug
DE102018120713A1 (de) * 2018-08-24 2020-02-27 Carl Freudenberg Kg Wärmetransportmaterial mit guten Schallabsorptionseigenschaften
CN113474835B (zh) * 2019-03-07 2024-05-10 东丽株式会社 吸音材料用无纺布、吸音材料和吸音材料用无纺布的制造方法
DE102019110494A1 (de) * 2019-04-23 2020-10-29 Adler Pelzer Holding Gmbh Absorptiver vernadelter Schichtverbund
FR3097803B1 (fr) * 2019-06-25 2021-07-16 Treves Products Services & Innovation Panneau de protection acoustique pour véhicule automobile
WO2021043669A1 (de) 2019-09-04 2021-03-11 Carl Freudenberg Kg Fasermischung aus man-made cellulose-fasern und deren verwendung
CN112810268B (zh) * 2019-11-15 2023-08-22 科德宝两合公司 吸声纺织复合材料
CN114901882B (zh) * 2019-12-27 2023-09-08 韩国商东丽先端素材股份有限公司 汽车内饰材料用纤维集合体及包括其的汽车内饰材料
KR20210111927A (ko) * 2020-03-03 2021-09-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흡음재 제조방법
CN113046911B (zh) * 2021-01-29 2023-09-12 科德宝两合公司 弹性无纺织物和其制造方法
CN117461077A (zh) 2021-06-09 2024-01-26 旭化成株式会社 复合成型体及其制造方法、以及复合吸音材料
EP4124684B1 (en) 2021-07-26 2024-04-03 Carl Freudenberg KG Fiberball padding with different fiberball shape for higher insulation
US20240046909A1 (en) * 2022-08-05 2024-02-08 O.R.V. Manufacturing S.P.A. Sound-absorbing material and method of making such a sound-absorbing material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21246A (ja) * 2002-06-14 2004-01-22 Junsei:Kk 発泡体の粒子構造特定による吸音構造体
JP2012136803A (ja) * 2010-12-27 2012-07-19 Nagoya Oil Chem Co Ltd クッション性シート、吸音材及びフィルター、並びに上記クッション性シートの製造方法
JP2015121631A (ja) * 2013-12-23 2015-07-02 日本バイリーン株式会社 吸音材
JP2016045450A (ja) * 2014-08-26 2016-04-04 太進工業株式会社 複合吸音材料および吸音性内装材

Family Cites Families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250479A (ko) 1968-02-29 1971-10-20
US4283457A (en) * 1979-11-05 1981-08-11 Huyck Corporation Laminate structures for acoustical applications and method of making them
US5298694A (en) 1993-01-21 1994-03-29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Acoustical insulating web
FR2708777B1 (fr) 1993-08-06 1995-09-22 Roth Sa Freres Panneau absorbant l'énergie acoustique dans les basses, moyennes et hautes fréquences, en particulier dans les fréquences comprises entre 400 Hz et 5000 Hz.
JPH08311759A (ja) 1995-05-12 1996-11-26 Kanebo Ltd 内装材用不織布
JP3304264B2 (ja) * 1996-09-25 2002-07-22 カネボウ株式会社 自動車用車体パネルインシュレータ
DE19654246B4 (de) * 1996-12-23 2014-03-06 Eldra Kunststofftechnik Gmbh Innenausstattungsteil für Kraftfahrzeuge
CH693409A5 (de) 1998-11-12 2003-07-31 Rieter Automotive Int Ag Schallabsorbierendes Dünnschichtlaminat.
WO1999044817A1 (de) 1998-03-03 1999-09-10 Rieter Automotive (International) Ag Schallabsorbierendes dünnschichtlaminat
DE19821532A1 (de) 1998-05-14 1999-11-25 Hp Chemie Pelzer Res & Dev Wärme- und schalldämmende Verkleidung für den Motorraum von Kraftfahrzeugen sowie ein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US6160028A (en) * 1998-07-17 2000-12-1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Flame retardant microporous polymeric foams
JP2000239954A (ja) * 1999-02-18 2000-09-05 Nissan Motor Co Ltd 吸音材、これを用いた内装材及びその製造方法
JP3783827B2 (ja) 2000-01-26 2006-06-07 東洋紡績株式会社 掃除機用吸音不織布積層構造体
AUPQ883000A0 (en) * 2000-07-19 2000-08-10 I.N.C. Corporation Pty Ltd A thermoformable acoustic sheet
JP3705419B2 (ja) 2000-11-27 2005-10-12 東洋紡績株式会社 軽量吸音材
JP3613727B2 (ja) 2001-09-06 2005-01-26 東洋紡績株式会社 成形性に優れた吸音材
DE10163576B4 (de) 2001-12-21 2006-07-20 Sandler Ag Isolations-Material
US20050026527A1 (en) 2002-08-05 2005-02-03 Schmidt Richard John Nonwoven containing acoustical insulation laminate
EP1428656A1 (en) * 2002-12-09 2004-06-16 Rieter Technologies A.G. Ultralight trim composite
WO2004054795A1 (ja) * 2002-12-18 2004-07-01 Kaneka Corporation 積層表皮材および内装材用積層体
US20060128246A1 (en) 2003-03-31 2006-06-15 Peter Anderegg Acoustically effective nonwoven material for vehicle liners
WO2004107314A1 (de) * 2003-05-28 2004-12-09 Clion Ireland Holding Ltd. Schallabsorber
GB2407296B (en) 2003-10-22 2006-03-08 Auto Insulations Ltd Composite insulation
JP2006039379A (ja) * 2004-07-29 2006-02-09 Nishikawa Rubber Co Ltd 遮音性シート
JP2007279649A (ja) 2006-03-14 2007-10-25 Du Pont Toray Co Ltd 吸音材
US20080003907A1 (en) * 2006-06-28 2008-01-03 Samuel Keith Black Facing Product for Vehicular Trim
JP2009184296A (ja) 2008-02-08 2009-08-20 Kurashiki Seni Kako Kk 吸音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DE202009010969U1 (de) * 2009-07-16 2010-12-02 Odenwald-Chemie Gmbh Schalldämpfelement
CN202925279U (zh) * 2012-08-31 2013-05-08 温州市亿得宝化纤有限公司 高性能吸音隔热材料生产线
DE102012216500A1 (de) 2012-09-17 2014-03-20 Hp Pelzer Holding Gmbh Mehrlagiger gelochter Schallabsorber
KR101289129B1 (ko) * 2012-09-28 2013-07-23 웅진케미칼 주식회사 흡음성능이 우수한 흡음재 및 그 제조방법
KR101432522B1 (ko) * 2012-12-28 2014-08-21 도레이케미칼 주식회사 흡음성능이 우수한 흡음재 및 그 제조방법
DE102015005089A1 (de) 2015-04-22 2016-10-27 Carl Freudenberg Kg Thermisch fixierbares Flächengebild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21246A (ja) * 2002-06-14 2004-01-22 Junsei:Kk 発泡体の粒子構造特定による吸音構造体
JP2012136803A (ja) * 2010-12-27 2012-07-19 Nagoya Oil Chem Co Ltd クッション性シート、吸音材及びフィルター、並びに上記クッション性シートの製造方法
JP2015121631A (ja) * 2013-12-23 2015-07-02 日本バイリーン株式会社 吸音材
JP2016045450A (ja) * 2014-08-26 2016-04-04 太進工業株式会社 複合吸音材料および吸音性内装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80268801A1 (en) 2018-09-20
EP3375602B1 (de) 2020-04-22
KR20200039640A (ko) 2020-04-16
JP2018154113A (ja) 2018-10-04
BR102017022275A2 (pt) 2018-10-30
JP6702924B2 (ja) 2020-06-03
ES2794998T3 (es) 2020-11-20
DE102017002552A1 (de) 2018-09-20
KR20180106831A (ko) 2018-10-01
CN108625039A (zh) 2018-10-09
US10789931B2 (en) 2020-09-29
BR102017022275A8 (pt) 2022-09-13
EP3375602A1 (de) 2018-09-19
BR102017022275B1 (pt) 2023-04-11
MX2018003336A (es) 2019-09-11
CN108625039B (zh) 2022-0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28879B1 (ko) 흡음성 텍스타일 복합물
KR102115163B1 (ko) 흡음성 텍스타일 복합물
US20210095405A1 (en) Ceramic-coated fibers including a flame-retarding polymer, and methods of making nonwoven structures
WO2005104812A2 (en) Moldable composite article
US20210331444A1 (en) Flame-resistant nonwoven fiber assembly
JP6349019B1 (ja) メルトブローン不織布及びその用途ならびにその製造方法
JP2009185396A (ja) エアーフィルター用補強材
JP2008290642A (ja) 吸音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494332B2 (ja) 防音材料
CN113891965B (zh) 非织造纤维幅材
US20220396903A1 (en) Flame-retardant non-woven fibrous webs
CN112810268B (zh) 吸声纺织复合材料
JP2003345362A (ja) 吸音材
EP3990278B1 (en) Nonwoven fibrous web
Kim et al. Characteristics of Eco-friendly Kenaf Fiber-Imbedded Nonwoven for Automotive Application
JPH0130018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