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5017B1 - 치과용 중합성 조성물 - Google Patents

치과용 중합성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5017B1
KR102125017B1 KR1020187003770A KR20187003770A KR102125017B1 KR 102125017 B1 KR102125017 B1 KR 102125017B1 KR 1020187003770 A KR1020187003770 A KR 1020187003770A KR 20187003770 A KR20187003770 A KR 20187003770A KR 102125017 B1 KR102125017 B1 KR 1021250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h
acrylate
polymerizable composition
monomer
dental polymeriz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037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30590A (ko
Inventor
타카유키 무라타
노부히토 타카기
타카유키 우에노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지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지씨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지씨
Publication of KR201800305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05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50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501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6/00Preparations for dentistry
    • A61K6/80Preparations for artificial teeth, for filling teeth or for capping teeth
    • A61K6/884Preparations for artificial teeth, for filling teeth or for capping teeth comprising natural or synthetic resins
    • A61K6/887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6/00Preparations for dentist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6/00Preparations for dentistry
    • A61K6/70Preparations for dentistry comprising inorganic additives
    • A61K6/71Fill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0/00Homopolymers and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0/10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47/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at least one having two or more carbon-to-carbon double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lastic & Reconstructive Surgery (AREA)
  • Dental Preparation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Abstract

고리화(環化) 중합 가능한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를 포함하는 치과용 중합성 조성물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치과용 중합성 조성물
[0001] 본 발명은, 치과용 중합성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0002] 치아의 결손부나, 치료를 위해 형성한 와동부(窩洞部)를 충전(充塡)할 때의 충전재, 치아의 치료시에 이용하는 접착제 등으로서, 종래부터 치과용 중합성 조성물이 이용되고 있다.
[0003] 치과용 중합성 조성물은, 통상, 경화(硬化) 전에는 페이스트상(狀)이며, 치아의 결손부 등의 구강 내의 소정의 장소에 충전, 배치된다. 그리고, 충전, 배치 후에 경화시킴으로써 치아의 결손부 등을 수복(修復)할 수 있다.
[0004] 이 때문에, 경화 전의 치과용 중합성 조성물에 대해서는, 치아의 결손부 등에 충전, 배치하기 쉽도록, 적절한 점도를 가지며, 조작성이 우수할 것이 요구된다. 그리고, 경화 후의 치과용 중합성 조성물에 대해서는 예컨대 천연 치아와 치환 가능할 정도로 충분한 기계적 강도를 가질 것이 요구된다.
[0005] 이와 같이, 경화 전에는 조작성이 우수하고, 경화 후에는 충분한 기계적 강도를 가지는 치과용 중합성 조성물에 대해, 종래부터 각종 검토가 이루어지고 있었다.
[0006] 예컨대, 특허 문헌 1에는, 중합성 단량체 성분(A), 및 실리카계 미립자와, 해당 실리카계 미립자의 표면을 피복하는, 지르코늄 원자, 규소 원자 및 산소 원자를 함유하는 산화물을 포함하며, 평균 입자직경이 1∼20μm인 비정질의 충전재(B)를 포함하는 치과용 조성물로서, 상기 충전재(B)가, 상기 중합성 단량체 성분(A) 100중량부에 대해 20∼500중량부 포함되어 있고, 또한, 상기 치과용 조성물의 점도가 10∼800Pa·s의 범위 내인, 치과용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0007] 1. 국제 공개 제2009/133912호
[0008] 그러나, 특허 문헌 1에 개시된 치과용 조성물에 있어서도, 경화 전의 조작성, 및 경화 후의 기계적 강도는 충분하다고 할 수 없었다.
[0009]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이 가지는 문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본 발명의 일 측면에서는, 경화 전의 조작성이 우수하고, 또한 경화 후의 기계적 강도가 우수한 치과용 중합성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0010] 본 발명의 하나의 양태에 의하면, 고리화(環化) 중합 가능한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를 포함하는 치과용 중합성 조성물을 제공한다.
[0011] 본 발명의 하나의 양태에 의하면, 경화 전의 조작성이 우수하고, 또한 경화 후의 기계적 강도가 우수한 치과용 중합성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0012]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에 대해 설명하겠으나, 본 발명은, 하기의 실시형태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는 일 없이, 하기의 실시형태에 다양한 변형 및 치환을 가할 수 있다.
[0013] 본 실시형태에서는 치과용 중합성 조성물의 하나의 구성예에 대해 설명한다.
[0014] 본 실시형태의 치과용 중합성 조성물은, 고리화 중합 가능한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를 포함할 수 있다.
[0015] 상술한 바와 같이 치과용 중합성 조성물은, 경화 전에는 조작성이 우수하고, 경화 후에는 충분한 기계적 강도를 가질 것이 요구된다. 이 때문에,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이러한 특성을 가지는 치과용 중합성 조성물에 대해, 열심히 검토하였다. 그리고, 치과용 중합성 조성물이 고리화 중합 가능한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를 함유함으로써, 경화 전에는 페이스트가 적당한 정도의 유동성을 가지며, 즉 조작에 적합한 점도를 가지며, 경화 후에는 충분한 기계적 강도를 발현할 수 있음을 알아내고, 본 발명을 완성시켰다.
[0016] 본 발명의 발명자들의 검토에 의하면, 고리화 중합 가능한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를 함유하는 치과용 중합성 조성물은, 경화 전에는, 고리화 중합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점도의 상승을 억제하여, 적당한 정도의 유동성을 가지는 페이스트로 할 수 있다. 그리고, 경화시킬 때 고리화 중합의 반응에 의해 주쇄(主鎖)에 고리(環) 구조가 형성됨으로써, 이러한 고리 구조에 기인하여, 높은 기계적 강도를 발휘할 수 있다.
[0017] 이 때문에, 본 실시형태의 치과용 중합성 조성물은, 경화 전에는 조작성이 우수한 특성을 가지며, 또한 경화 후에는 기계적 강도가 높다는 특성을 가질 수 있다.
[0018] 본 실시형태의 치과용 중합성 조성물에 포함되는, 고리화 중합 가능한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의 구체적인 구조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것은, 고리화 중합 가능한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라면, 그 구체적인 구조에 상관없이, 경화 전에는 고리 구조가 형성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적당한 정도의 유동성을 가지며, 경화 후에는 고리 구조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기계적 강도를 높일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치과용 중합성 조성물에 포함되는 고리화 중합 가능한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는 1 종류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구조가 상이한 복수 종류의 것을 동시에 포함할 수도 있다.
[0019] 본 실시형태의 치과용 중합성 조성물은, 고리화 중합 가능한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로서, 예컨대 1,6-디엔-2-카르복실산(에스테르) 모노머, 및/또는 1,5-디엔-2-카르복실산(에스테르) 모노머를 포함할 수 있다.
[0020] 또한, 본 실시형태의 치과용 중합성 조성물은, 고리화 중합 가능한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가, 1,6-디엔-2-카르복실산(에스테르) 모노머, 및/또는 1,5-디엔-2-카르복실산(에스테르) 모노머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0021] 1,6-디엔-2-카르복실산(에스테르) 모노머로서는, 1,6-디엔계 모노머의 2번 위치(2位)의 원자에 카르복실산(에스테르)의 특성기를 포함하는 유기기가 결합하고, 2번 위치 이외의 이중 결합 원자에는 치환기를 가지고 있지 않은 단량체를 이용할 수 있다.
[0022] 또한, 1,5-디엔-2-카르복실산(에스테르) 모노머로서는, 1,5-디엔계 모노머의 2번 위치의 원자에 카르복실산(에스테르)의 특성기를 포함하는 유기기가 결합하고, 2번 위치 이외의 이중 결합 원자에는 치환기를 가지고 있지 않은 단량체를 이용할 수 있다.
[0023] 1,6-디엔-2-카르복실산(에스테르) 모노머, 및 1,5-디엔-2-카르복실산(에스테르) 모노머는, 2번 위치의 카르복실산에스테르기에 의해 1번 위치의 이중결합성이 공역성(共役性)이 된다. 이 때문에, 중합 활성이 높으며, 나아가 2번 위치만 카르복실산에스테르기를 가짐으로써, 모노머 농도가 높은 조건에서 중합을 행하더라도 겔화를 억제할 수 있고, 중합 속도를 빠르게 할 수 있다.
[0024] 1,6-디엔-2-카르복실산(에스테르) 모노머로서는 예컨대 이하의 일반식 (a)에 의해 표시되는 구조의 모노머를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또한 1,5-디엔-2-카르복실산(에스테르) 모노머로서는 예컨대 이하의 일반식 (b)에 의해 표시되는 구조의 모노머를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0025] [화학식 1]
Figure 112018013483585-pct00001
[0026] [화학식 2]
Figure 112018013483585-pct00002
상기 일반식 (a), (b) 중의 R1, R2는,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 이상 20 이하인 탄화수소기로 할 수 있다. 여기서 말하는 탄화수소기에는, 할로겐 원자 등으로 일부가 치환된 탄화수소기도 포함할 수 있다.
[0027] 본 실시형태의 치과용 중합성 조성물이 1,6-디엔-2-카르복실산(에스테르) 모노머, 및 1,5-디엔-2-카르복실산(에스테르) 모노머를 동시에 함유하는 경우, 상기 일반식 (a), (b) 중의 R1과 R2는 동일한 구조를 가지고 있어도 되고, 다른 구조를 가지고 있어도 된다.
[0028] 또한, 상기 일반식 (a), (b) 중의 X1, Y1, Z1, X2, 및 Y2는 각각, 알킬렌기, 산소 원자, 및 이미노기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로 할 수 있다. 단, X1, Y1 및 Z1 중, 적어도 하나는 산소 원자 또는 이미노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X2 및 Y2 중 적어도 하나는 산소 원자 또는 이미노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0029] 상기 일반식 (a)에 나타낸 구조의 1,6-디엔-2-카르복실산(에스테르) 모노머로서는, 예컨대 알릴옥시메틸아크릴산에스테르류나, 2-(N-알릴아미노메틸)아크릴산에스테르류를 바람직하게 이용할 수 있다.
[0030] 알릴옥시메틸아크릴산에스테르류로서, 구체적으로는 예컨대, α-알릴옥시메틸아크릴산메틸, α-알릴옥시메틸아크릴산에틸, α-알릴옥시메틸아크릴산부틸, α-알릴옥시메틸아크릴산t-부틸, α-알릴옥시메틸아크릴산시클로헥실, α-알릴옥시메틸아크릴산디시클로펜타디에닐, α-알릴옥시메틸아크릴산이소보닐, α-알릴옥시메틸아크릴산아다만틸, α-알릴옥시메틸아크릴산벤질 등을 들 수 있다.
[0031] 또한, 2-(N-알릴아미노메틸)아크릴산에스테르류로서는 예컨대, 2-(N-알릴 N-메틸아미노메틸)아크릴산메틸, 2-(N-알릴 N-에틸아미노메틸)아크릴산메틸, 2-(N-알릴 N-t-부틸아미노메틸)아크릴산메틸, 2-(N-알릴 N-시클로헥실아미노메틸)아크릴산메틸, 2-(N-알릴 N-페닐아미노메틸)아크릴산메틸 등을 들 수 있다.
[0032] 상기 일반식 (a)에 나타낸 구조의 1,6-디엔-2-카르복실산(에스테르) 모노머로서는 특히, 알릴옥시메틸아크릴산에스테르류를 보다 바람직하게 이용할 수 있다. 알릴옥시메틸아크릴산에스테르류로서는, α-알릴옥시메틸아크릴산메틸, α-알릴옥시메틸아크릴산에틸, α-알릴옥시메틸아크릴산시클로헥실, α-알릴옥시메틸아크릴산벤질로부터 선택된 1 종류 이상을 더욱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으며, α-알릴옥시메틸아크릴산메틸(AMA)을 특히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0033] 또한, 상기 일반식 (b)에서 나타낸 구조의 1,5-디엔-2-카르복실산(에스테르) 모노머로서는, 예컨대, 비닐옥시메틸아크릴산에스테르류나, N-메틸-N-비닐-2-(메톡시카르보닐)알릴아민류, 2-(N-비닐아미노메틸)아크릴산에스테르류를 바람직하게 이용할 수 있다.
[0034] 비닐옥시메틸아크릴산에스테르류로서, 구체적으로는 예컨대, α-비닐옥시메틸아크릴산메틸, α-비닐옥시메틸아크릴산에틸, α-비닐옥시메틸아크릴산부틸, α-비닐옥시메틸아크릴산t-부틸, α-비닐옥시메틸아크릴산시클로헥실, α-비닐옥시메틸아크릴산디시클로펜타디에닐, α-비닐옥시메틸아크릴산이소보닐, α-비닐옥시메틸아크릴산아다만틸, α-비닐옥시메틸아크릴산벤질 등을 들 수 있다.
[0035] 또한, N-메틸-N-비닐-2-(메톡시카르보닐)알릴아민류로서는 예컨대, N-메틸-N-비닐-2-(메톡시카르보닐)알릴아민, N-에틸-N-비닐-2-(메톡시카르보닐)알릴아민, N-t-부틸-N-비닐-2-(메톡시카르보닐)알릴아민, N-시클로헥실-N-비닐-2-(메톡시카르보닐)알릴아민, N-페닐-N-비닐-2-(메톡시카르보닐)알릴아민 등을 들 수 있다.
[0036] 또한, 2-(N-비닐아미노메틸)아크릴산에스테르류로서는 예컨대, 2-(N-비닐 N-메틸아미노메틸)아크릴산메틸, 2-(N-비닐 N-에틸아미노메틸)아크릴산메틸, 2-(N-비닐 N-t-부틸아미노메틸)아크릴산메틸, 2-(N-비닐 N-시클로헥실아미노메틸)아크릴산메틸, 2-(N-비닐 N-페닐아미노메틸)아크릴산메틸 등을 들 수 있다.
[0037] 상기 일반식 (b)에서 나타낸 구조의 1,5-디엔-2-카르복실산(에스테르) 모노머로서는, 특히, α-비닐옥시메틸아크릴산메틸, α-비닐옥시메틸아크릴산에틸, α-비닐옥시메틸아크릴산시클로헥실, α-비닐옥시메틸아크릴산벤질을 보다 바람직하게 이용할 수 있으며, α-비닐옥시메틸아크릴산메틸을 더욱 바람직하게 이용할 수 있다.
[0038] 특히, 본 실시형태의 치과용 중합성 조성물은, 고리화 중합 가능한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로서, 상기 일반식 (a)에 나타낸 구조의 1,6-디엔-2-카르복실산(에스테르) 모노머를 함유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그리고, 1,6-디엔-2-카르복실산(에스테르) 모노머로서는,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알릴옥시메틸아크릴산에스테르류를 보다 바람직하게 이용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본 실시형태의 치과용 중합성 조성물은, 고리화 중합 가능한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로서, 이하의 식 (a′)로 표시되는 구조를 가지는 모노머를 함유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0039] [화학식 3]
Figure 112018013483585-pct00003
식 (a′) 중, R은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가 1 이상 20 이하인 탄화수소기로 할 수 있다. 또한, 여기서 말하는 탄화수소기에는, 할로겐 원자 등으로 일부가 치환된 탄화수소기도 포함할 수 있다.
[0040] 본 실시형태의 치과용 중합성 조성물 중의 고리화 중합 가능한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의 배합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컨대 5중량% 이상 60중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0중량% 이상 55중량% 이하이다.
[0041] 지금까지 본 실시형태의 치과용 중합성 조성물에 포함되는, 고리화 중합 가능한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에 대해 설명해 왔는데, 이러한 고리화 중합 가능한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는, 중합 반응을 행함으로써, 구조 중에 고리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이 점에 대해 이하에 설명한다.
[0042] 상기 일반식 (a)에 나타낸 구조의 1,6-디엔-2-카르복실산(에스테르) 모노머의 경우, 고리화 중합함으로써, 이하의 일반식 (A1) 및/또는 일반식 (A2)에서 나타낸 구조 단위를 형성할 수 있다.
[0043] [화학식 4]
Figure 112018013483585-pct00004
[0044] [화학식 5]
Figure 112018013483585-pct00005
또한, 상기 일반식 (b)에 나타낸 구조의 1,5-디엔-2-카르복실산(에스테르) 모노머의 경우, 고리화 중합함으로써, 이하의 일반식 (B1) 및/또는 일반식 (B2)에서 나타낸 구조 단위를 형성할 수 있다.
[0045] [화학식 6]
Figure 112018013483585-pct00006
[0046] [화학식 7]
Figure 112018013483585-pct00007
본 실시형태의 치과용 중합성 조성물에 포함되는, 고리화 중합 가능한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는, 예컨대 일반식 (A1), (A2), (B1), (B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리화 중합에 의해 구조 중에 고리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경화할 때 구조 중에 고리 구조를 형성함으로써, 경화된 치과용 중합성 조성물의 기계적 강도를 높일 수 있다.
[0047] 본 실시형태의 치과용 중합성 조성물은, 고리화 중합 가능한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 이외에도 필요에 따라서 임의의 성분을 함유할 수 있다.
[0048] 이하에서는, 임의의 성분의 예에 대해 설명한다.
[0049] 본 실시형태의 치과용 중합성 조성물은 더욱이, 상기의 고리화 중합 가능한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 이외의 (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을 함유할 수도 있다. 여기서 말하는, 고리화 중합 가능한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 이외의 (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이란, 아크릴레이트 또는 메타크릴레이트의 각종 모노머, 올리고머, 프리폴리머를 의미하고 있다.
[0050] 본 실시형태의 치과용 중합성 조성물에서 사용 가능한, 고리화 중합 가능한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 이외의 (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로서, 구체적으로는,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n-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테트라히드로푸르푸릴(메타)아크릴레이트, 글리시딜(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3-히드록시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2-메톡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2-에톡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2-메톡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벤질(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1,3-디(메타)아크릴옥시프로판, 에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부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1,3-부탄디올디(메타)아크릴레이트, 1,4-부탄디올디(메타)아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디(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에탄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메탄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부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비스페놀A디글리시딜(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의 모노머 혹은 올리고머 혹은 프리폴리머가 적합하게 사용될 수 있다.
[0051] 또한, 본 실시형태의 치과용 중합성 조성물에서는, 고리화 중합 가능한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 이외의 (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로서, 우레탄 결합을 가지는 (메타)아크릴레이트를 사용할 수도 있다. 우레탄 결합을 가지는 (메타)아크릴레이트로서, 디-2-(메타)아크릴옥시에틸-2,2,4-트리메틸헥사메틸렌디카바메이트, 1,3,5-트리스[1,3-비스{(메타)아크릴로일옥시}-2-프로폭시카르보닐아미노헥산]-1,3,5-(1H, 3H, 5H)트리아진-2,4,6-트리온, 2,2-비스-4-(3-(메타)아크릴옥시-2-히드록시프로필)-페닐프로판 등이 있으며, 기타 2,2’-디(4-히드록시시클로헥실)프로판과 2-옥시판온과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와 2-히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우레탄 올리고머의 (메타)아크릴레이트, 1,3-부탄디올과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와 2-히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우레탄 올리고머의 (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 또는 2 종류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0052] 본 실시형태의 치과용 중합성 조성물에서는, 고리화 중합 가능한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 이외의 (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로서, 산기를 가지는 (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을 사용할 수도 있다. 산기를 가지는 (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은 본 실시형태의 치과용 중합성 조성물에, 치질(齒質)이나, 치과용 수복물의 재료인 지르코니아 및 알루미나 등의 세라믹스, 또한 귀금속을 포함하는 합금에 대한 접착성을 부여하는 효과가 있다.
[0053] 산기를 가지는 (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은 인산기 또는 카르복실기를 가지는 (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며, 1 분자 중에 인산기 또는 카르복실기를 1개 또는 복수개 가지는 (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0054] 인산기는 카르복실기보다 강한 산성을 나타내기 때문에, 치면(齒面)의 도말층(smear layer)의 용해나 치질 탈회의 효과가 높고, 특히 에나멜질에 대해 높은 접착성 향상 효과를 발휘한다. 인산기를 가지는 (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로서는, 2-(메타)아크릴로일옥시에틸디하이드로젠포스페이트, 비스[2-(메타)아크릴로일옥시에틸]하이드로젠포스페이트, 2-(메타)아크릴로일옥시에틸페닐하이드로젠포스페이트, 6-(메타)아크릴로일옥시헥실디하이드로젠포스페이트, 6-(메타)아크릴로일옥시헥실페닐하이드로젠포스페이트, 10-(메타)아크릴로일옥시데실디하이드로젠포스페이트, 1,3-디(메타)아크릴로일프로판-2-디하이드로젠포스페이트, 1,3-디(메타)아크릴로일프로판-2-페닐하이드로젠포스페이트, 비스[5-{2-(메타)아크릴로일옥시에톡시카르보닐}헵틸]하이드로젠포스페이트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10-(메타)아크릴로일옥시데실디하이드로젠포스페이트가 접착성의 향상, 및 (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 자체의 안정성의 면에서 특히 바람직하다. 이들의 인산기를 가지는 (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은, 단독 혹은 2 종류 이상을 혼합하여 이용해도 된다.
[0055] 카르복실기를 가지는 (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로서는, 4-(메타)아크릴옥시에틸트리멜리트산, 4-(메타)아크릴옥시에틸트리멜리트산 무수물, 4-(메타)아크릴옥시데실트리멜리트산, 4-(메타)아크릴옥시데실트리멜리트산 무수물, 11-(메타)아크릴로일옥시-1,1-운데칸디카르복실산, 1,4-디(메타)아크릴로일옥시피로멜리트산, 2-(메타)아크릴로일옥시에틸말레산, 2-(메타)아크릴로일옥시에틸프탈산, 2-(메타)아크릴로일옥시에틸헥사히드로프탈산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4-(메타)아크릴옥시에틸트리멜리트산, 4-(메타)아크릴옥시에틸트리멜리트산 무수물이 접착성 향상의 면에서 특히 바람직하다.
[0056] 본 실시형태의 치과용 중합성 조성물 중의 고리화 중합 가능한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 및, 고리화 중합 가능한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 이외의 (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의 합계의 배합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컨대 5중량% 이상 90중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30중량% 이상 70중량% 이하이다.
[0057] 본 실시형태의 치과용 중합성 조성물은 추가로 필러를 함유할 수도 있다. 필러를 함유함으로써, 치과용 중합성 조성물이 경화되었을 때의 기계적 강도를 더욱 높일 수 있다.
[0058] 종래의 치과용 중합성 조성물에 필러를 첨가한 경우, 경화 전의 치과용 중합성 조성물의 점도가 높아져, 조작성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었다. 그러나, 본 실시형태의 치과용 중합성 조성물에 있어서는, 고리화 중합 가능한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를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필러를 첨가한 경우라 하더라도, 경화 전의 치과용 중합성 조성물의 점도를 적절한 범위로 유지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조작성이 저하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0059] 본 실시형태의 치과용 중합성 조성물에 이용하는 필러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컨대, 무수(無水)규산, 칼슘 유리, 스트론튬 유리, 바륨 유리 등의 알칼리 토류 금속 원자를 포함하는 유리, 아연 유리, 납 유리, 알루미나 유리, 칼륨 유리, 플루오로알루미노실리케이트 유리 등의 유리류, 합성 제올라이트, 인산칼슘, 장석, 콜로이달 실리카, 흄드 실리카(fumed silica), 규산알루미늄, 규산칼슘, 탄산마그네슘, 함수(含水)규산, 함수규산칼슘, 함수규산알루미늄, 석영 등의 분말을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0060] 또한, 이들 필러는, 본 실시형태의 치과용 중합성 조성물에 포함되는 (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과 결합시키기 위해, 표면을 유기 규소 화합물을 이용하여 실란화하고 나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표면처리제로서 γ-메타크릴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비닐트리클로로실란, 비닐트리에톡시실란, 비닐트리메톡시실란, 비닐트리아세톡시실란, 비닐트리(메톡시에톡시)실란 등의 유기 규소 화합물을 이용하여, 실란화하고 나서 이용할 수 있다.
[0061] 또한, 필러로서는, 상술한 필러를 미리, 본 실시형태의 치과용 중합성 조성물에 이용하는 (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의 모노머나 올리고머와 혼합하여 경화시킨 후, 분쇄하여 제작한 유기무기 복합 필러도 사용할 수 있다. 이들 필러는 단독 또는 2 종류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0062] 본 실시형태의 치과용 중합성 조성물에 필러를 첨가하는 경우, 그 배합량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용도나, 치과용 중합성 조성물에 요구되는 기계적 강도 등에 따라 임의로 선택할 수 있다. 예컨대 치과용 중합성 조성물 중에 필러를 20중량% 이상 90중량% 이하의 비율로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한 것은, 30중량% 이상 80중량% 이하이다.
[0063] 또한 필러의 평균 입자직경에 대해서도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0.005μm 이상 100μ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한 것은, 0.01μm 이상 50μm 이하이다. 참고로, 평균 입자직경은, 레이저 회절·산란법에 의해 구한 입도 분포에 있어서의 적산치 50%에서의 입자 직경을 의미한다.
[0064] 또한, 본 실시형태의 치과용 중합성 조성물은, 예컨대 중합개시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도 있다.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의 중합 개시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예컨대, 열이나 가시광, 전자파(적외선, 자외선, X선 등), 전자선 등에 의해, 중합 개시에 필요한 에너지를 본 실시형태의 치과용 중합성 조성물에 공급하면 된다. 단, 중합을 개시하는 방법에 상관없이, 본 실시형태의 치과용 중합성 조성물이 중합개시제를 함유함으로써,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의 중합 개시에 필요한 에너지를 크게 낮출 수 있으며, 또한 반응 제어가 용이해진다. 이 때문에, 중합개시제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0065] 중합개시제로서는 예컨대 과산화물이나 아조 화합물 등을 바람직하게 이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컨대, 쿠멘하이드로퍼옥사이드, 디이소프로필벤젠하이드로퍼옥사이드, 디-t-부틸퍼옥사이드, 라우로일퍼옥사이드, 벤조일퍼옥사이드, t-부틸퍼옥시이소프로필카보네이트, t-부틸퍼옥시-2-에틸헥사노에이트,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1,1’-아조비스(시클로헥산카르보니트릴), 2,2’-아조비스(2,4-디메틸발레로니트릴), 디메틸2,2’-아조비스(2-메틸프로피오네이트), 과산화수소, 과황산염, 과산화벤조일 등으로부터 선택된 1 종류 이상을 바람직하게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중합개시제와 함께, 천이금속염이나, 아민류 등의 환원제를 함께 이용할 수도 있다.
[0066] 본 실시형태의 치과용 중합성 조성물은, 스스로 경화하는 특성을 부여하기 위해, 추가로 광중합개시제를 포함할 수도 있다. 예컨대, α-디케톤계 화합물, 케탈계 화합물, 안트라퀴논계 화합물, 티오크산톤계 화합물, 벤조인알킬에테르계 화합물 등이 유효하다. 또한, 아실포스핀옥사이드계 화합물 등을 병용해도 된다.
[0067] α-디케톤계 화합물로서는, 예컨대 캄퍼퀴논, 벤질, 디아세틸, 아세나프텐퀴논, 9,10-페난트라퀴논 등을 들 수 있다.
[0068] 케탈계 화합물로서는, 예컨대, 벤질디메틸케탈, 벤질디에틸케탈, 벤질디(β-페닐에틸)케탈, 벤질디(2-메톡시에틸)케탈 등을 들 수 있다.
[0069] 안트라퀴논계 화합물로서는, 예컨대, 안트라퀴논, β-메틸안트라퀴논, β-에틸안트라퀴논 등을 들 수 있다.
[0070] 또한 티오크산톤계 화합물로서는, 예컨대, 2-에틸티오크산톤, 2-클로로티오크산톤, 2-히드록시-3-(3,4-디메틸-9-옥소-9H-티오크산텐-2-일옥시)-N,N,N-트리메틸-1-프로판아미늄클로라이드 등을 들 수 있다.
[0071] 벤조인알킬에테르계 화합물로서는, 예컨대, 벤조인메틸에테르, 벤조인에틸에테르, 벤조인프로필에테르 등을 들 수 있다.
[0072] 이들 광중합개시제 중에서도, 캄퍼퀴논이나, 벤질을 특히 바람직하게 이용할 수 있다.
[0073] 또한, 아실포스핀옥사이드계 화합물로서는, 예컨대, 2,4,6-트리메틸벤조일디페닐포스핀옥사이드, 2,6-디메틸벤조일디페닐포스핀옥사이드, 2,6-디메톡시벤조일디페닐포스핀옥사이드 등을 들 수 있다.
[0074] 또한, 본 실시형태의 치과용 중합성 조성물은 예컨대 증점제를 함유할 수도 있다. 증점제를 첨가함으로써, 경화 전의 치과용 중합성 조성물의 점도를, 용도에 따라 조정하여, 조작성을 특히 높일 수가 있다.
[0075] 증점제로서는 무기계 증점제, 유기계 증점제 중 어느 것을 이용해도 된다. 이들 증점제는 단독 또는 2 종류 이상을 혼합하여 이용해도 된다.
[0076] 무기계 증점제로서는 예컨대, 흄드 실리카, 지르코니아, 실리카알루미나, 알루미나, 유리, 티타니아, 탄산칼슘, 카올린, 점토(clay), 운모, 황산알루미늄, 황산바륨, 황산칼슘, 산화티탄, 인산칼슘 등을 들 수 있다.
[0077] 또한, 유기계 증점제로서는 예컨대,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칼슘,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 전분, 전분글리콜산나트륨, 전분인산에스테르나트륨, 메틸셀룰로오스, 폴리아크릴산나트륨, 알긴산, 알긴산나트륨, 알긴산프로필렌글리콜에스테르, 카제인, 카제인나트륨, 폴리에틸렌글리콜, 에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글루텐, 로커스트빈검, 젤라틴 등을 들 수 있다.
[0078] 증점제의 첨가량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용도 등에 따라 본 실시형태의 치과용 중합성 조성물의 점도가 원하는 점도가 되도록, 임의로 선택할 수 있다.
[0079] 본 실시형태의 치과용 중합성 조성물에는, 추가로, 중합금지제, 산화방지제, 변색방지제, 자외선흡수제, 계면활성제, 안료, 향료, 항균제 등을 첨가해도 된다.
[0080] 본 실시형태의 치과용 중합성 조성물에 의하면, 경화 전의 조작성이 우수하고, 또한 경화 후의 기계적 강도가 우수한 치과용 중합성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0081] 여기서 치과용 중합성 조성물의 조작성의 지표로서는, 조도(稠度, consistency)를 들 수 있다.
[0082] 조도의 구체적인 시험 방법에 대해서는 실시예에서 상세히 기술하겠지만, 예컨대 셀로판 사이에 치과용 중합성 조성물을 소정량 배치한 후, 셀로판 상에 판형상체(板狀體)를 개재(介在)시키고 추(錘)를 둔다. 그리고, 소정 시간이 경과한 후에 판형상체와 추를 제거한 후, 넓게 펴진 치과용 중합성 조성물의 장변(長邊)과 단변(短邊)의 길이의 평균치를 조도로 할 수 있다.
[0083] 본 실시형태의 치과용 중합성 조성물의 조도는, 50mm 이상 100m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며, 60mm 이상 100mm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0084] 조도는 상술한 시험 방법의 개요로부터도 알 수 있듯이, 치과용 중합성 조성물에 힘을 가했을 때의, 치과용 중합성 조성물의 넓게 펴진 정도(degree of spread)를 수치화한 것이다. 그리고, 조도가 50mm 이상 100mm 이하인 경우, 치과용 중합성 조성물은 적당한 점도와 유동성을 가져, 조작성이 우수한 치과용 중합성 조성물이라 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0085] 또한, 치과용 중합성 조성물의 경화 후의 기계적 강도의 구체적인 시험 방법에 대해서는 실시예에서 상세히 기술하겠지만, 3점 굽힘 시험에 의해 평가할 수 있다.
[0086] 본 실시형태의 치과용 중합성 조성물의 경화 후의 기계적 강도는, 180MPa 이상 350MPa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며, 190MPa 이상 350MPa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0087] 이것은 180MPa 이상인 경우에는, 천연 치아와 비교해도 충분한 기계적 강도를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고, 천연 치아와 치환 가능할 정도로 충분한 기계적 강도를 가진다고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단, 기계적 강도를 과도하게 높게 할 필요는 없기 때문에, 상술한 바와 같이 350MPa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0088] 지금까지, 본 실시형태의 치과용 중합성 조성물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실시형태의 치과용 중합성 조성물의 용도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치아의 결손부나, 치료를 위해 형성한 와동부를 충전하는 등의 용도나, 치료시의 고정용 접착제 등으로서 이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컨대, 컴퍼짓(composite) 레진, 경질 레진, 레진 시멘트, 본딩재, 동요치아(動搖齒) 고정용 접착재, 즉시중합 레진, 레진 강화형 글라스 이오노머 시멘트(glass ionomer cement), 코어재, 표면 코팅제, 임시치아(temporary crown)(TEK)재, 기계 가공용 레진 블록, 의치상용(義齒床用) 레진 블록 등의 각종 용도로 이용할 수 있다.
[0089] 본 실시형태의 치과용 중합성 조성물에 의하면, 경화 전의 조작성이 우수하고, 또한 경화 후의 기계적 강도가 우수하다. 이 때문에, 몰드(型)로의 충전이 용이하며, 경화 후의 기계적 강도를 높이기 때문에, 예컨대 기계 가공용 레진 블록에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0090] 참고로, 기계 가공용 레진 블록이란, 인레이(inlay), 크라운 등의 치과용 보철물을 CAD/CAM 장치에 의한 절삭 가공으로 제작할 때 이용하는 치과용 레진 블록을 의미한다.
[0091] 기계 가공용 레진 블록의 제조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기계 가공용 레진 블록의 제조 방법은, 이하의 공정을 가질 수 있다.
[0092] 본 실시형태의 치과용 중합성 조성물을 원하는 형상을 가지는 몰드에 주입하는 공정.
본 실시형태의 치과용 중합성 조성물을 주입한 몰드를, 1.0MPa 이상 8.0MPa 이하의 범위에서 가압하고, 승압(昇壓) 완료와 함께 60℃ 이상 200℃ 이하의 범위에서 가열하는 가압, 가열 공정.
[0093] 이상의 공정을 실시함으로써 치과용 중합성 조성물을 중합·경화시켜 블록체 형상으로 성형(成型)함으로써, 기계 가공용 레진 블록을 얻을 수 있다.
[0094] 여기서, 몰드를 구성하는 재료는, 금속 이외의 재료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몰드로서의 사이즈 정밀도나 성형성의 관점에서 보았을 때 합성 수지를 재료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특히, 몰드를 구성하는 재료는, 열가소성 수지, 또는 실리콘 수지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것은, 몰드의 재료로서 금속 이외의 재료를 이용함으로써, 제조되는 기계 가공용 레진 블록에 균열이 발생하는 것을 대폭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0095] 또한, 몰드를 구성하는 재료로서 열가소성 수지를 이용하는 경우, 열가소성 수지로서는 예컨대,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염화비닐, 폴리스티렌, 폴리초산비닐,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수지, 아크릴 수지 등을 바람직하게 이용할 수 있다.
[0096] 또한, 몰드는 다공질체 등의 구조물이어도 된다. 예컨대 세라믹스 등으로 구성되는 연통성(連通性)의 다공질체에 합성 수지를 주입 혹은 함침시키는 경우에 있어서, 본 실시형태의 치과용 중합성 조성물은 중합 전의 조성물의 점도가 낮기 때문에, 해당 합성 수지로서 본 실시형태의 치과용 중합성 조성물을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0097] 몰드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제작할 기계 가공용 레진 블록에 대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기계 가공용 레진 블록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예컨대 직육면체 또는 원기둥체(圓柱體)일 수 있다. 단, 기계 가공용 레진 블록의 형상을, 미리 인레이나 크라운의 형상에 근사시킨 형상으로 해 두면 절삭 가공시의 절삭량을 적게 억제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이 때문에, 제작할 기계 가공용 레진 블록의 형상을 인레이 등의 형상에 근사시킨 형상으로 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제작할 기계 가공용 레진 블록의 형상에 맞추어 몰드의 형상을 선택할 수 있다.
[0098] 또한, 가압·가열 공정에 있어서의 가압력에 대해서는, 가압력을 1.0MPa 이상으로 함으로써, 성형체 중에 기포가 혼입되는 것을 충분히 억제하여, 치핑(chipping)의 원인이 되는 기포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가압력이 8.0MPa를 초과하더라도 치과용 레진 블록의 성능 자체에 영향은 없지만, 가압력을 높임에 의한 효과의 추가적인 향상은 인정되지 않으며 또한 고압을 유지하는 것이 어려워지기 때문에, 8.0MPa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0099] 가압·가열 공정에 있어서 가압할 때에는, 오토클레이브(autoclave) 등의 내압성을 가지는 가열로(加熱爐) 내에 기체를 공급함으로써 가압할 수 있다. 이때, 이용하는 기체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불활성 가스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예컨대 질소 가스를 바람직하게 이용할 수 있다. 이때, 기체를 가열로 내에 공급하기 전에, 미리 해당 가열로 내부를 가압용 기체에 의해 치환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0100] 가압·가열 공정에 있어서의 가열 온도에 대해서는, 가열 온도를 60℃ 이상으로 함으로써, 모노머의 중합을 충분히 촉진시킬 수 있어, 미(未)중합의 모노머가 잔류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단, 중합 시간이 길어지는 것을 회피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보았을 때 80℃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200℃를 초과하는 경우는, 가압 및 가열을 행하기 위해 이용하는 오토클레이브 등의 장치에 사용하는 패킹의 재질이 제한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200℃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0101] 가압·가열 공정을 행하는 시간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컨대, 제작할 기계 가공용 레진 블록의 사이즈 등에 따라 임의로 선택할 수 있지만, 예컨대 가압 및 가열을 함께 10분 이상 90분 이하로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승압, 및 승온을 행하여, 소정의 압력, 및 온도에 도달하고 나서, 10분 이상 90분 이하로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10분 이상 90분 이하로 가압 및 가열을 실시함으로써, 품질과 생산성을 양립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0102] 이상과 같은 조건으로 기계 가공용 레진 블록을 제조함으로써, 성형성이 양호하고, 균열이나 기포가 적은 기계 가공용 레진 블록을 얻을 수 있다. 특히, 본 실시형태의 치과용 중합성 조성물을 경화시켜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기계적 강도가 우수한 기계 가공용 레진 블록으로 할 수 있다.
[0103] 얻어진 기계 가공용 레진 블록은, 환자의 구강으로부터 채취한 인상(印象)의 형상을 바탕으로 제작된 삼차원 좌표 데이터에 근거하여, NC 제어된 가공기 등에 의해 절삭 가공함으로써 인레이나 크라운으로 할 수 있다.
[0104] 참고로, 여기서는 기계 가공용 레진 블록의 경우에 대해, 본 실시형태의 치과용 중합성 조성물의 사용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실시형태의 치과용 중합성 조성물의 용도는 이러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치과용 중합성 조성물은 각종 용도에 이용할 수 있으며, 각종 용도의 용법에 따라 사용할 수 있다.
[실시예]
[0105] 이하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 및 비교예를 들어 설명하겠으나,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0106] 우선, 이하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작한 페이스트상(狀)의 치과용 중합성 조성물의 평가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1) 조도
이하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작한 페이스트상의 치과용 중합성 조성물을 주사기(syringe)에 충전하고, 셀로판 상에 치과용 중합성 조성물 0.5ml를 압출(押出)한다.
[0107] 압출한 치과용 중합성 조성물 상에 조용히 셀로판을 씌운 후, 총 중량 840g으로 한 커버 유리와 추를 조용히 올려놓고, 60초간 정치(靜置)하였다. 60초 경과 후 즉시 커버 유리와 추를 제거하고, 넓게 펴진 페이스트의 장변과 단변의 길이를 측정하여, 장변의 길이와 단변의 길이의 평균치를 조도로 하였다.
(2) 성형성
이하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작한 페이스트상의 치과용 중합성 조성물을 주사기에 충전하고, 12mm×14mm×20mm의 폴리프로필렌 몰드에 주입하였다.
[0108] 치과용 중합성 조성물이 채워진 몰드를 오토클레이브(KYOSIN ENGINEERING COOPERATION 제조) 내에 고정시켰다. 그리고, 농도 99.9%의 질소를 0.3MPa가 될 때까지, 해당 오토클레이브 내에 도입한 후, 배기함으로써, 오토클레이브 내부를 치환하였다. 마찬가지로 하여, 상기의 1회를 포함하여 오토클레이브 내부를 총 3회 질소로 치환하여 오토클레이브 내의 산소 농도를 1.0% 미만으로 하였다.
[0109] 상기 치환 조작이 종료된 후, 오토클레이브 내에 농도 99.9%의 질소를 추가로 공급하여 1.0MPa까지 승압하고, 승압 완료와 동시에 로(爐) 내부를 110℃로 승온시켜 1시간 동안 중합 경화시켰다. 1시간이 경과된 후, 압력을 대기압까지 강하시켜, 로 내부가 60℃ 이하로 식고 나서 몰드를 꺼내어, 중합한 치과용 레진 블록을 해당 몰드로부터 빼내었다.
[0110] 성형한 치과용 레진 블록에 공극이 없고 몰드의 내면 형상을 따르고 있고, 형상이 적정한지를 확인하였다. 그리고, 성형한 치과용 레진 블록에 공극이 없고, 몰드의 내면 형상을 따르고 있고, 형상이 적정한 경우에는 '양호'로 평가하였다. 또한, 공극이 생겨 있는 경우에는 '공극있음'으로 평가하였다.
(3) 기계적 강도
성형성의 평가에 있어서 성형한 치과용 레진 블록을 1.2mm×4.0mm×14.0mm로 절단하고, 표면을 내수(耐水) 연마지 1000번으로 균일화하고 나서 굽힘강도 시험 장치(오토그래프(autograph), Shimadzu Corporation 제조)에 부착하였다. 그리고, 크로스 헤드 스피드(crosshead speed) 1mm/min., 지점 간 거리 12mm의 조건으로 3점 굽힘 강도를 측정하여, 측정 결과를 기계적 강도로 하였다.
[실시예 1]
표 1에 나타낸 배합이 되도록 원료를 칭량하고, 혼합반죽(混練)하여, 페이스트상의 치과용 중합성 조성물을 제작하였다.
[0111] 구체적으로는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와, 필러와, 중합개시제를 칭량하고, 혼합반죽하여, 페이스트상의 치과용 중합성 조성물을 제작하였다.
[0112] 또한,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로서, UDMA(디-2-메타크릴옥시에틸-2,2,4-트리메틸헥사메틸렌디카바메이트) 25중량%와, AMA(α-알릴옥시메틸아크릴산메틸) 12중량%를 이용하였다.
[0113] 또한, 필러로서는, MPTS 6질량% 처리 바륨 유리를 60중량% 이용하였다.
[0114] 여기서, MPTS란 γ-메타크릴옥시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을 의미하고 있다. 그리고, MPTS 6질량% 처리 바륨 유리의 필러란, 바륨 유리 분말을, 실란커플링제인 γ-메타크릴옥시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이 바륨 유리 분말에 대해 6질량%가 되도록 처리한 필러임을 의미하고 있다.
[0115] 또한, 이용한 필러는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평균 입자직경이 0.4μm였다. 평균 입자직경은, 레이저 회절·산란법에 의해 구한 입도 분포에 있어서의 적산치 50%에서의 입자 직경을 의미한다. 참고로, 표 1 중, 실시예 1에서 이용한 필러 이외에 대해서도 평균 입자직경을 나타내고 있는데, 이들 평균 입자직경은 상술한 설명과 마찬가지로, 레이저 회절·산란법에 의해 구한 입도 분포에 있어서의 적산치 50%에서의 입자 직경을 의미한다.
[0116] 그리고, 중합개시제로서는 BPO(과산화벤조일)를 1중량% 이용하였다.
[0117] 얻어진 치과용 중합성 조성물에 대해 상술한 방법에 의해 평가를 행하였다.
[0118]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2∼실시예 8]
원료의 배합 비율을 표 1에 나타낸 비율로 한 점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페이스트상의 치과용 중합성 조성물을 제작하고, 평가를 행하였다.
[0119]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0120] 참고로, 표 1 중의 배합 재료에 대한 수치의 단위는 중량%이다.
[0121] 또한, 표 1 중에서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에 관하여 이용한 약칭은 각각 다음의 화학물질을 의미한다.
UDMA: 디-2-메타크릴옥시에틸-2,2,4-트리메틸헥사메틸렌디카바메이트
Bis-GMA: 비스페놀A디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NPG: 네오펜틸글리콜디메타크릴레이트
3G: 트리에틸렌글리콜디메타크릴레이트
AMA: α-알릴옥시메틸아크릴산메틸
상기한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 중, AMA가 고리화 중합 가능한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에 해당된다.
[0122] 또한, 중합개시제로서 이용한 BPO란, 과산화벤조일을 나타내고 있다.
[0123] 또한, 표 1 중, 필러로서 유기무기 복합 충전재라고 기재하고 있는 것은 이하의 순서에 의해 제작한 필러를 의미하고 있다.
[0124] UDMA와 3G를 1:1의 중량비로 혼합하고, 추가로 아조이소부티로니트릴을 첨가하여 혼합액을 조제하였다. 참고로, 아조이소부티로니트릴은, 얻어질 혼합액 중의 배합량이 1중량%가 되도록 첨가하였다.
[0125] 얻어진 혼합액과, 평균 입자직경 2μm의 바륨 유리 분말을 1: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110℃에서 열경화시켰다. 경화 후의 중합물을 평균 입자직경 10μm로 분쇄하여, 이것을 유기무기 복합 충전재로 하였다.
[0126] 또한, 표 1 중의 MPTS 6질량% 처리 스트론튬 유리란, 스트론튬 유리 분말을, 실란커플링제인 γ-메타크릴옥시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이 스트론튬 유리 분말에 대해 6질량%가 되도록 처리한 필러임을 의미하고 있다.
[비교예 1∼비교예 3]
원료의 배합 비율을 표 1에 나타낸 비율로 한 점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페이스트상의 치과용 중합성 조성물을 제작하고, 평가를 행하였다.
[0127]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0128] [표 1]
Figure 112018013483585-pct00008
고리화 중합 가능한 AMA가 배합된 실시예 1∼실시예 8은, 조도, 성형성, 기계적 강도가 모두 양호하였다. 즉, 경화 전의 조작성이 우수하고, 또한 경화 후의 기계적 강도가 우수한 치과용 중합성 조성물이 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0129] 이에 반해, 비교예 1은 기계적 강도가 226MPa로 양호한 값을 나타내었지만, 조도가 35mm로 낮은 값이어서 유동성이 낮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경화 전의 조작성이 뒤떨어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더욱이, 성형 후의 치과용 레진 블록의 표면에 공극이 확인되었다.
[0130] 또한, 비교예 2는, 조도가 55mm로 양호한 값을 나타내고 성형성도 양호하였으나, 기계적 강도가 153MPa로 낮은 값이어서, 경화 후의 기계적 강도가 뒤떨어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0131] 비교예 3은, 조도, 기계적 강도가 낮고, 성형 후의 블록 표면에 공극의 발생이 확인되었다. 즉, 경화 전의 조작성, 및 경화 후의 기계적 강도에 대해 뒤떨어져 있음이 확인되었다.
[0132] 이것은, 비교예 1∼비교예 3에서는, 고리화 중합 가능한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가 배합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경화 전의 조작성과, 경화 후의 기계적 강도가 양립된 치과용 중합성 조성물로 할 수 없었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0133] 이상, 치과용 중합성 조성물을, 실시형태, 실시예 등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형태, 실시예 등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요지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변경이 가능하다.
[0134] 본 출원은, 2015년 8월 11일에 일본특허청에 출원된 일본특허출원 제2015-158918호에 근거한 우선권을 주장하는 것이며, 일본 특허출원 제2015-158918호의 모든 내용을 본 국제출원에 원용한다.

Claims (4)

  1.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와, 필러를 포함하고,
    상기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는, 1,6-디엔-2-카르복실산 모노머, 1,6-디엔-2-카르복실산에스테르 모노머, 1,5-디엔-2-카르복실산 모노머, 1,5-디엔-2-카르복실산에스테르 모노머, 및 이들의 2 종류 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상기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의 함유량이 5 중량% 이상 60 중량% 이하이며,
    상기 필러는, 레이저 회절·산란법에 의해 구한 입도 분포에 있어서의 적산치 50%에서의 입자 직경이 0.005μm 이상 100μm 이하이며,
    상기 필러의 함유량이 20 중량% 이상 90 중량% 이하이며,
    조도(稠度)가 50mm 이상 100mm 이하인, 페이스트상(狀)의 치과용 중합성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로서, 이하의 식 (1)로 표시되는 구조를 가지는 모노머를 함유하는 치과용 중합성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112019088956303-pct00009

    (R은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가 1 이상 20 이하인 탄화수소기)
  3. 삭제
  4. 삭제
KR1020187003770A 2015-08-11 2016-06-29 치과용 중합성 조성물 KR10212501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5158918 2015-08-11
JPJP-P-2015-158918 2015-08-11
PCT/JP2016/069317 WO2017026187A1 (ja) 2015-08-11 2016-06-29 歯科用重合性組成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0590A KR20180030590A (ko) 2018-03-23
KR102125017B1 true KR102125017B1 (ko) 2020-06-19

Family

ID=579829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03770A KR102125017B1 (ko) 2015-08-11 2016-06-29 치과용 중합성 조성물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449124B2 (ko)
EP (1) EP3335688A4 (ko)
JP (1) JP6585719B2 (ko)
KR (1) KR102125017B1 (ko)
CN (1) CN107920959B (ko)
WO (1) WO201702618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137620A (ja) * 2018-02-07 2019-08-22 株式会社ジーシー 歯科用組成物
EP3861976B1 (de) 2020-02-05 2022-03-30 Ivoclar Vivadent AG Dentalmaterialien auf basis von cyclopolymerisierbaren vernetzern
EP4162920A4 (en) * 2020-07-09 2024-10-09 Mitsui Chemicals Inc DENTAL ADHESIVE COMPOSITION AND DENTAL MATERIAL
JP2024517102A (ja) 2021-05-07 2024-04-19 スリーディー システムズ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造形材料のための添加剤および関連するプリントされた3d物品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45374A (en) 1989-10-03 1992-09-08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Commerce Synthetic dental compositions formed from cyclopolymerizable bis-acrylate and multi-functional oligomer and bonding method
US20120016095A1 (en) * 2009-03-31 2012-01-19 Nippon Shokubai Co., Ltd. a-(UNSATURATED ALKOXYALKYL) ACRYLATE COMPOSITION AND PROCESS FOR PRODUCTION THEREOF
US8497332B2 (en) 2008-12-26 2013-07-30 Nippon Shokubai Co., Ltd. α-Allyloxymethylacrylic acid-based copolymer, resin compositions, and use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277847C (zh) 2002-03-28 2006-10-04 太阳医疗株式会社 聚合引发剂糊状组合物、牙科或外科用粘合剂及粘合剂组件
JP5154126B2 (ja) 2007-03-30 2013-02-27 株式会社ジーシー 支台歯築造用コンポジットレジン
JP5407138B2 (ja) 2007-11-28 2014-02-05 ソニー株式会社 表示装置とそ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
CN102083403B (zh) 2008-04-28 2013-10-09 可乐丽则武齿科株式会社 牙科用组合物及复合树脂
EP2316407B1 (en) 2009-10-30 2021-04-28 Dentsply DeTrey GmbH Dental composition
JP5730061B2 (ja) 2011-02-18 2015-06-03 クラレノリタケデンタル株式会社 重合収縮力を低減した接着性の歯科用修復材料
JP5475173B2 (ja) 2012-07-25 2014-04-16 株式会社日本触媒 光硬化性組成物
JP6255144B2 (ja) 2013-09-26 2017-12-27 Yamakin株式会社 歯科切削加工用複合レジン材料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45374A (en) 1989-10-03 1992-09-08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Commerce Synthetic dental compositions formed from cyclopolymerizable bis-acrylate and multi-functional oligomer and bonding method
US8497332B2 (en) 2008-12-26 2013-07-30 Nippon Shokubai Co., Ltd. α-Allyloxymethylacrylic acid-based copolymer, resin compositions, and use thereof
US20120016095A1 (en) * 2009-03-31 2012-01-19 Nippon Shokubai Co., Ltd. a-(UNSATURATED ALKOXYALKYL) ACRYLATE COMPOSITION AND PROCESS FOR PRODUCTION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80221251A1 (en) 2018-08-09
US10449124B2 (en) 2019-10-22
JP6585719B2 (ja) 2019-10-02
CN107920959B (zh) 2020-10-02
EP3335688A4 (en) 2019-02-13
KR20180030590A (ko) 2018-03-23
EP3335688A1 (en) 2018-06-20
WO2017026187A1 (ja) 2017-02-16
JPWO2017026187A1 (ja) 2018-05-17
CN107920959A (zh) 2018-04-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642967B1 (en) High strength dental material
KR102125017B1 (ko) 치과용 중합성 조성물
US11707346B2 (en) Dental mill blank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US20070100019A1 (en) Catalyst system for dental compositions
JP6112887B2 (ja) 歯科用硬化性組成物
WO2015045698A1 (ja) 歯科用レジンブロックの製造方法
KR102602088B1 (ko) 치과용 시멘트 조성물 및 사용 방법
JP2017113224A (ja) 歯科用ミルブランクの製造方法
JPWO2017154850A1 (ja) 歯科用ミルブランク及びその製造方法
CN106535949B (zh) 可自聚合的假体材料以及具有改进的颜色稳定性的聚合的、断裂韧性的假体材料
JP2022119841A (ja) 歯科用ミルブランク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613097B1 (ko) 치과용 간접 수복을 위한 중공 기둥 형태의 컴포지트 블랭크
JP6806547B2 (ja) 歯科用硬化性組成物
JP6369932B2 (ja) 歯科用補綴物の作製方法
KR102182670B1 (ko) 치과용 재료를 제조하기 위한 단량체 혼합물
JP6286352B2 (ja) 歯科用硬化性組成物
JP7125260B2 (ja) 歯科用ミルブランク製造用の無機充填材複合体
Jabar Composite Polymerization Problems and Solution
JP2019065000A (ja) 接着性を向上させた歯科切削用レジン硬化体
JPH05170619A (ja) 歯科用接着組成物
JP2017007954A (ja) 歯科用仮封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