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4429B1 - 주류 생산 부산물의 발효, 추출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한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 주름 개선 및 항노화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주류 생산 부산물의 발효, 추출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한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 주름 개선 및 항노화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4429B1
KR102124429B1 KR1020190028012A KR20190028012A KR102124429B1 KR 102124429 B1 KR102124429 B1 KR 102124429B1 KR 1020190028012 A KR1020190028012 A KR 1020190028012A KR 20190028012 A KR20190028012 A KR 20190028012A KR 102124429 B1 KR102124429 B1 KR 1021244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ducts
extract
extracting
product
ferme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80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욱
이창원
Original Assignee
김상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상욱 filed Critical 김상욱
Priority to KR10201900280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442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44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44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5Products or compounds obtained by fermentation, e.g. yoghurt, beer, win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주류 생산 부산물을 발효, 추출하는 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한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 주름 개선 및 항노화용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방법에 따라 제조된 와인 착즙 고형물 발효 추출물은 미백, 주름 개선 또는 항노화 효과가 뛰어나 화장료 등의 재료로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주류 생산 부산물의 발효, 추출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한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 주름 개선 및 항노화용 조성물{A method for fermenting and extracting a by-product of alcoholic beverage, and a whitening, wrinkling and anti-aging composition comprising the extract by the method}
본 발명은 주류 생산 부산물의 발효, 추출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한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 주름 개선 및 항노화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주류 생산 후 생성되는 부산물을 발효 후 추출하는 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추출된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 주름 개선 및 항노화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술은 제조방법에 따라 발효주, 증류주, 기타주(혼성주)로 나뉜다. 발효주는 과일이나 곡류 및 기타 원료에 들어 있는 당분이나 전분을 곰팡이와 효모의 작용에 의해 발효시켜 만든 술이다. 이 술은 알코올 도수가 비교적 낮고 원료성분에서 나오는 특유의 향기와 부드러운 맛이 있으며, 포도주, 맥주, 막걸리, 약주, 청주 등이 이에 해당한다. 증류주는 발효된 술 또는 술덧을 증류하여 얻는 술로, 알코올 농도가 비교적 높으며, 증류방법에 따라 불순물의 일부 또는 대부분의 제거가 가능하다. 특히 우리나라에서 많이 음용되는 희석식 소주는 불순물을 거의 제거한 주정을 원료로 제조되며 브랜디, 위스키, 보드카, 럼, 데킬라 등이 여기에 속한다. 기타주(혼성주)는 양조주나 증류주에 과실, 향료, 감미료, 약초 등을 첨가하여 침출하거나 증류하여 만든 술로 인삼주, 매실주, 오가피주, 진, 각종 칵테일주 등이 여기에 속한다.
우리나라는 주류 소비량이 매우 높은바, 여러 종류의 주류가 생산, 판매되고 있다. 그러나 주류 생산 이후 발생하는 많은 양의 부산물을 처리하기 쉽지 않은 문제가 있는 바, 주류 생산시 발생하는 부산물을 이용한 고부가가치의 산업으로의 활용 방안이 필요한 실정이다.
한편 최근 한류열풍에 의해 한국 화장품의 인기가 증가하고 있으며, 시장규모가 확대되어 가고 있는 상황이다. 그러나 화장품 기술의 선도국가인 프랑스, 미국 등의 기술장벽이 높아 이들 국가 제품의 장벽을 넘기는 쉽지 않다. 따라서 상기 국가 제품의 장벽을 뛰어넘기 위해서는 기능성 화장품 또는 이의 원료 개발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주류 생산 시 발생하는 부산물을 이용한 종래 기술에는 등록특허공보 제10-0737862호(주류생산부산물인 주박과 신규한 바실러스 속 균주를 함유한 기능성 유기질비료),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103751호(토마토 발효주의 발효 및 발효 부산물을 이용한 액상사료 제조방법), 등록특허공보 제10-1438587호(와인 부산물 증류주의 제조 방법), 등록특허공보 제10-1438587호(와인 부산물 막걸리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막걸리) 및 등록특허공보 제10-1763358호(막걸리 또는 이의 부산물을 이용한 배지 조성물 및 제조 방법) 등이 공지되어 있으나, 주류 생산시 발생하는 부산물을 이용한 고기능성 화장품 원료로 제공할 수 있는 기술에 대한 공지는 없어 상기 기술에 대한 개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0737862호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103751호 등록특허공보 제10-1402568호 등록특허공보 제10-1438587호 등록특허공보 제10-1763358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주류 생산시 발생하는 부산물을 이용한 고부가가치 산업 발전을 위해 상기 부산물을 이용한 고기능성 원료의 제조방법 및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주류 생산 부산물을 발효, 추출하는 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한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 주름 개선 및 항노화용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1) 주류 생산 부산물을 냉풍 건조하는 단계;
(2) 건조된 부산물을 파쇄하는 단계;
(3) 파쇄된 부산물의 발효 단계; 및
(4) 발효된 부산물을 추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주류 생산 부산물을 발효, 추출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 주름개선 및 항노화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조 방법 중 (4)의 추출단계에서 생성되는 부산물을 마이크로 비드화시킨 스크럽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의 주류 생산 시 발생하는 부산물은 주류의 원재료인 과실 이외에 씨, 줄기, 껍질 등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주류는 발효주, 증류주, 기타주(혼성주)을 포함한다.
상기 주류의 원재료가 될 수 있는 과실에는 사과, 포도, 딸기, 복분자, 매실, 레몬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1)의 냉풍 건조 단계는 15 내지 35℃에서 건조시킬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30℃에서 할 수 있다.
상기 온도범위보다 낮은 온도에서 건조시킬 경우, 건조 시간의 증가로 인해 원료의 산화가 발생할 우려가 있으며, 상기 온도범위보다 높은 온도에서 건조시키면 원료 내 기능성 성분인 페놀성 화합물의 열 손상을 야기할 수 있다.
또한, 건조시간은 12 내지 60시간 가능하나, 바람직하게는 24 내지 48시간 동안 할 수 있다.
상기 (2)의 파쇄 단계에서 부산물의 입도는 0.1 내지 3mm이하로,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2 mm 이하의 입도로 파쇄할 수 있다.
입도가 상기 범위를 벗어나면 원료 내 효능 성분이 충분히 용출되지 못하거나 미세 입자가 안정적으로 여과되지 않을 우려가 있다.
상기 (3)의 발효 단계에서 원활한 발효 진행을 위해 부산물의 전체 중량 대비 1 내지 20중량%로 보당할 수 있으며, 보당은 바람직하게는 자당 또는 포도당을 이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보당 후, 발효 균주 투입 후 상기 부산물에 증류수를 가수하고, 25 내지 40℃에서, 24 내지 72 시간 정치 배양, 또는 진탕 배양하여 발효시킨다.
발효 균주는 제한되지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와이셀라 시바리아(Weissella cibaria), 이사첸키아 오리엔탈리스(Issatchenkia orientalis),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애(Saccharomyces cerevisiae)를, 더욱 바람직하게는 이사첸키아 오리엔탈리스(Issatchenkia orientalis),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애(Saccharomyces cerevisiae)를 투입할 수 있다.
상기 (4)의 추출 단계는 제한되지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물, 또는 70%(v/v) 에탄올을 사용하여 추출할 수 있다.
상기 추출시 사용하는 물, 또는 에탄올은 발효된 부산물의 전체 부피 대비 3 내지 10배 추가하여 추출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5배 추가하며, 실온에서 12 내지 36시간, 바람직하게는 24시간 동안 추출한다.
상기 (4)에서 추출물을 추출하고 남은 발효액 여과 부산물은 100 내지 500μm, 바람직하게는 200 내지 400μm의 입자로 분쇄(마이크로 비드(bead))화 하여 스크럽용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조방법에 (5) 상기 추출물을 여과한 후 농축하는 단계 및 (6) 상기 추출 농축액을 분말화하는 단계
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고형화된 와인 착즙 발효 추출물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5)의 여과 및 농축 단계에서 상기 여과는 filter paper, membrane filter, centrifugation 등 조건에 따라 변경가능하다. 농축은 감압회전농축기를 이용하며, 45 내지 65℃에서,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60℃에서 농축할 수 있다.
고형분은 50 내지 95 brix°, 바람직하게는 60 brix° 내지 80 brix°로 농축한다.
상기 범위보다 낮은 농도로 농축하면, 내당성 균주에 의한 2차 발효가 우려되며, 상기 범위보다 고농도로 농축하면 제조과정 중 손실률이 높아질 우려가 있다.
상기 (6) 단계에서 분말화는 동결건조 및 분무건조 모두 가능하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주류 생산 부산물을 발효, 추출하는 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한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 주름 개선 및 항노화용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방법에 따라 제조된 와인 착즙 고형물 발효 추출물은 미백, 주름 개선 또는 항노화 효과가 뛰어나 화장료 등의 재료로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세포 배양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세포 독성을 측정하기 위한 MTT assay 측정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세포 독성 실험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Tyrosinase 저해 활성 측정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Tyrosinase 저해 활성 측정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멜라닌 생성 저해 측정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멜라닌 생성 저해 측정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B16F10 멜라닌 세포 및 CCRF S-180II 섬유아세포에 대한 활성산소 억제효능 평가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의 MMP1, MMP8 발현량을 통한 주름개선 효과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내지 3, 비교예 1 내지 3>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와인 생산 부산물인 와인 착즙 고형물을 이용하였다. 상기 부산물을 15 내지 35도에서 24 내지 48시간 냉풍 건조시키고, 냉풍 건조 시킨 부산물을 2 mm 이하의 입도로 파쇄하였고, 자당 또는 포도당을 이용하여 부산물의 전체 중량 대비 10중량% 보당하였다.
파쇄된 부산물에 실시예 1은 와이셀라 시바리아(Weissella cibaria) 균주, 실시예 2는 이사첸키아 오리엔탈리스(Issatchenkia orientalis) 균주, 실시예 3은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애(Saccharomyces cerevisiae) 균주를 처리하였다. 상기 부산물 부피의 10배 증류수를 가수하여 25 내지 40℃에서, 24 내지 72 시간 정치 배양, 또는 진탕 배양하여 발효를 진행하였다.
비교예 1은 아무런 처리하지 않은 정상군, 비교예 2는 자극제를 처리한 음성대조군, 비교예 3은 일반 포도 추출물로 처리한 것이다. 발효된 부산물에 부산물 부피 5배의 증류수를 가수하여, 실온에서 24시간 동안 추출 과정을 진행하여 추출물을 얻었다.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 3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무처리군 음성대조군
(자극제 처리)
일반 포도추출물 처리 Weissella cibaria 처리 Issatchenkia orientalis 처리 Saccharomyces cerevisiae 처리
<실험예 1> 와인 발효 추출물의 세포 독성 측정
1-1. 세포 배양
세포는 mouse melanoma B16F10 cell로 한국세포주은행(KCLB)에서 분양 받았으며, 배지는 10% FBS (fetal bovine serum, gibco, USA)와 Sodium bicarbonate(Sigma, USA), 1% Penicilin이 첨가된 DMEM (Dulbecco’s Modified Eagle Medium, gibco, USA)을 사용하여 37℃, 5% CO2 조건하에 incubator에서 배양하였고 배양과정은 도 1에 나타내었다.
1-2. 세포 독성 측정
세포에 대한 시료의 세포 독성을 확인하기 위해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3을 각각 400, 500, 800ppm 농도로 처리하였다. 이후 발효된 와인 착즙 고형물의 전체 부피 대비 5배 부피의 70%(v/v) 에탄올을 추가하여 실온에서 24시간 동안 추출하여 MTT assay로 측정하였고, 구체적인 방법은 다음과 같다.
Mouse melanoma B16F10 cell을 96 well plate에 5×103cells/well가 되도록 10% FBS가 포함된 DMEM 배지를 사용하여 100μL씩 분주하고 37℃, 5% CO2 조건하에 incubator에서 배양하였다. 세포 부착을 위해 24시간 배양 후, 5% FBS가 첨가된 배지로 희석한 시료를 150μL씩 처리하여 교환해주고, 3시간 후 2nM α-MSH 자극제를 주었다. 72시간 배양 후 5 mg/mL의 MTT 시약을 각 well에 7.5μL씩 처리하고 3시간 후 배지를 제거하고 DMSO 100μL를 첨가하여 570/63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도 2). 세포 독성은 대조군에 대한 백분율로 나타내어 비교하여 도 3에 나타내었다.
실험결과, 비교예 2, 3 및 실시예 1 내지 3으로 처리한 경우 모두 정상군과 유사한 세포 독성도를 나타냈는바, 실시예 1 내지 3을 처리하여 인체에 적용할 경우, 유해하지 않을 것으로 판단된다.
<실험예 2> Tyrosinase 저해 활성 측정을 통한 미백 효과 평가
본 발명의 미백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비교예 2, 실시예 1 내지 3, 비교예 1 내지 2를 각각 400, 800ppm으로 처리하여 Tyrosinase 저해 활성 측정을 진행하였으며, 구체적인 방법은 하기와 같다.
Tyrosinase 저해 활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Mouse melanoma B16F10 cell을 96 well plate에 각 well당 5×103 cells가 되도록 10% FBS가 포함된 배지를 사용하여 100 μL씩 분주하고 37℃, 5% CO2 incubator에서 24시간 배양하였다.
이 후, 5% FBS가 첨가된 배지로 희석한 시료를 150 μL씩 처리하여 배지를 교환해주고, 3시간 후 2nM α-MSH 자극제 처리하여 37℃, 5% CO2 incubator에서 3일간 배양하였다. 배양 후, 배지를 제거하고 1% sodium deoxycholate, Triton X-100, 100 mM PMSF를 첨가한 Lysis buffer을 25 μL씩 처리하고 30분 동안 shaking 해주었다.
30분 후 Solution A (2% N,N-dimethyl formamide in 100 mM sodium phosphate)와 Solution B (5 mM L-DOPA in 100 mM sodium phosphate), Solution C (20 mM MBTH in H2O)를 2:1:1의 비율로 혼합한 mix buffer를 140μL씩 각 well당 처리하여 반응시키고, 50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결과를 하기 표 2 및 도 5에 나타냈다.
비교예1 비교예2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발효균주 -
(정상군)
음성대조군
(자극제 처리)
Weissella cibaria Issatchenkia orientalis Saccharomyces cerevisiae
처리농도
(ppm)
- 400 800 400 800 400 800 400 800
Tyrosinase
활성(%)
100 576 638 609 640 281 225 468 399
실험결과, B16F10 melanoma cell에 자극제 투여 후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3을 처리한 결과,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에서 tyrosinase 활성이 억제됨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특히 실시예 2를 800 ppm 농도로 처리하였을 경우, 음성대조군인 비교예 2를 동일 농도로 처리하였을 때에 비해 tyrosinase 활성이 억제되어 약 1/3 수준으로 측정된 바, 본 발명의 현저한 tyrosinase 저해 활성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3> 멜라닌 생성 저해 능력 측정을 통한 미백 효과 평가
Melanin 생성 저해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Mouse melanoma B16F10 cell을 6well plate에 1×105 cell이 되도록 분주하고 37℃, 5% CO2 incubator에서 24시간 배양한다. 배양 배지를 제거하고 실시예 1 내지 3, 비교예 1 내지 3을 각각 40 ppm과 80 ppm으로 투입한 배지를 2mL 첨가하여 3시간 배양 후, 후 2nM α-MSH 자극제를 처리하여 3일간 배양하였고, 과정은 도 6에 나타내었다.
배양액을 제거하고 PBS로 세척한 후, scrapping 하여 4℃, 14000 rpm에서 20분간 원심분리하였다. 펠렛에 1N NaOH 용액 50μL를 첨가하여 60℃에서 1시간 반응시키고 40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고, 측정결과는 도 7에 나타내었다.
실험결과, 비교예 2는 비교예 1 대비 126%의 멜라닌이 생성되었으며, 비교예 3은 40ppm으로 처리한 경우, 비교예 1 대비 약 130%, 80ppm으로 처리한 경우 약 120%의 멜라닌이 생성되었다. 실시예 1 내지 3은 비교예 1 내지 3보다 멜라닌 생성율이 낮게 나타났으며, 특히 실시예 2는 40ppm으로 처리한 경우, 비교예 1보다는 높지만 다른 비교예 및 실시예보다 멜라닌 생성율이 현저히 낮게 나타났으며, 80ppm으로 처리한 경우 비교예 1 대비 81%의 멜라닌을 생성시켜 비교예 2와 대비하여 46%, 무처리군 비교예 1과 대비하여 20% 수준으로 멜라닌 생성을 현저히 억제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예 4> 항노화 효과 평가
본 발명의 항노화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H2O2로 활성산소를 유발하고 이에 대한 생성억제효과 실험을 진행하였으며, 구체적인 실험방법은 하기와 같다.
B16F10 멜라닌 세포 및 CCRF S-180II cell을 96 well plate에 1×104 cells/well 이 되도록 분주하고 37℃, 5% CO2 incubator에서 24시간 배양하였다. 농도별로 희석한 시료를 처리하여 12시간 배양한 후, 배지를 제거하여 PBS로 세척하고 10 μM의 DCFDA 용액을 처리하여 30분간 배양하였다.
이후, 1mM H2O2를 처리하여 3시간 배양하고 형광분석기를 이용하여 세포내 ROS 생성 정도를 측정하였다(Excitation 485 nm/Emission 530 nm).
본 실험에서는 비교예 1 내지 3 및 실시예 1 내지 3을 각각 200, 400 ppm 또는, 400, 800 ppm 농도로 처리하여 실험을 실시하였다.
멜라닌 세포 및 섬유아세포에 대한 실시예의 활성산소 억제효능을 살펴본 결과, H2O2 자극에 의해 증가된 활성산소를 현저히 감소시켜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도 8a 및 도 8b).
<실험예 5> 주름개선 효과 평가
본 발명의 주름개선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내지 3을 각 400 ppm 농도로 처리하여 MMP1 및 MMP8의 발현량을 측정하여 합성 저해 효과를 측정하였다. MMP1와 MMP8는 collagenase로 콜라겐을 분해하여 피부 노화에 작용하는 것으로 알려진 MMP(matrix metalloproteinase)의 일종이며, 이에 대한 구체적인 실험방법은 하기와 같다.
(1) RT-PCR
CCRF S-180II cell 을 6well plate에 1×105 cells/well 이 되도록 분주하고 37℃, 5% CO2 incubator에서 24시간 배양한다. 농도별로 희석한 시료를 처리하여 12시간 배양한 후, 1mM H2O2를 처리하여 배양하였다. 배양액을 제거하고 PBS로 세척한 후, trizol 1ml 처리하여 total RNA를 분리/추출하고 DEPC water에 용해시켜 260nm에서 농도를 측정하였다.
추출한 total RNA는 10 mM dNTP mixture, oligo dT를 넣고 Thermo cycler(PC-320, ASTEC, Japan) 65 ℃에서 5분간 반응시켰다. 여기에 10×RT buffer, 20 mM MgCl2, 0.1MDTT, RNaseout이 첨가된 reaction mixture를 첨가하여 42℃에서 2분간 반응시키고, superscript Ⅲ를 첨가하여 42℃에서 50분, 70℃에서 15분간 반응시켜 cDNA를 합성하였다. 여기에 RNase H를 superscript Ⅲ와 동량으로 첨가하여 남아있는 RNA를 제거하고, 합성된 cDNA는 -20℃에 보관하며 PCR실험에 사용하였다. PCR 반응을 위한 reaction mixture는 MQ-water, 15 mM MgCl2를 포함하는 10ⅩPCR buffer, sense-primer, antisense-primer, 2.5 mM dNTP mixture, Taq polymerase를 첨가하여 제조하였다. cDNA에 reaction mixture를 첨가하여 혼합한 후 Thermocycler 를 이용하여 증폭시켰다. PCR products는 agarose gel 상에서 전기영동(Mupid-2plus, Advance, Japan)하고, GelDoc-It imaging system(UVP, USA)와 image acquisition & analysis software(UVP, USA)를 이용해 비교 분석하였다.
(2) Western Blot
CCRF S-180II cell 을 6well plate에 1×105 cells/well 이 되도록 분주하고 37℃, 5% CO2 incubator에서 24시간 배양하였다. 농도별로 희석한 시료를 처리하여 12시간 배양한 후, 1mM H2O2를 처리하여 배양하였다. 배양액을 제거하고 PBS로 세척한 후, scrapping 하여 RIPA lysis buffer(50 mM Tris-HCl, 150 mM NaCl, 1 mM EDTA, 1% Triton X-100, 1% sodium deoxycholate, 0.1% SDS, pH 7.4, 1 mM PMSF and protease inhibitors)를 첨가한다. 세포를 lysis buffer로 용해하고 4℃, 14000 rpm에서 20분간 원심 분리하고, 이후 상등액을 BCA (bicinchoninic acid) protein assay(pierce BCA protein assay kit, Thermo)로 단백질 정량하고, SDS-PAGE(sodium dodecyl sulfate-poly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 전기영동을 통해 단백질을 분리하였다.
분리된 단백질을 PVDF(polyvinylidene difluoride) membrane에 이전시키고, 1시간 동안 blocking(5% skim milk in 1×TBST) 하였다. Primary antibody(1:1000)를 첨가하여 4℃에서 overnight한 다음 1×TBST로 15분간 3회 washing한 후 secondary antibody(1:2000)를 첨가하여 실온에서 2시간 반응시켰다. 암실에서 ECL 용액으로 반응시켜 나타나는 형광을 X-ray필름에 노출시켜 각각의 band를 동정, 확인하였다.
본 발명의 실시예가 CCRF S-180 II 세포에서 H2O2 자극에 의한 MMP1과 MMP8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 결과, H2O2를 처리한 음성대조군은 물론, 시료 무처리군과 비교하여서도 MMP1와 MMP8 발현을 현저히 억제시켜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도 9a 및 도 9b).

Claims (14)

  1. (1) 주류 생산 부산물을 냉풍 건조하는 단계;
    (2) 건조된 부산물을 파쇄하는 단계;
    (3) 파쇄된 부산물의 발효 단계; 및
    (4) 발효된 부산물을 추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주류 생산 부산물을 발효, 추출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1)의 주류 생산 부산물은 발효주 생산 후 남은 부산물이며, 냉풍 건조 단계는 건조온도는 15 내지 35℃, 건조시간은 24 내지 48시간이고,
    상기 (3)의 부산물의 발효 단계에서 사용되는 균주는 이사첸키아 오리엔탈리스(Issatchenkia orientalis) 또는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애(Saccharomyces cerevisia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류 생산 부산물을 발효, 추출하는 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2)의 파쇄 단계에서 파쇄된 부산물의 입도는 0.1 내지 3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류 생산 부산물을 발효, 추출하는 방법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3)의 발효 단계에서 부산물의 전체 중량 대비 1 내지 20중량%를 보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류 생산 부산물을 발효, 추출하는 방법
  6. 제1항에 있이서, 상기 (3)의 발효 단계는 25 내지 40℃, 24 내지 72시간 동안 발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류 생산 부산물을 발효, 추출하는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4)의 추출 단계에서 물 또는 70%(v/v) 에탄올로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류 생산 부산물을 발효, 추출하는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4)의 단계를 거쳐 추출된 추출물을 (5) 여과한 후 농축하는 단계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주류 생산 부산물을 발효, 추출하는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된 추출물을 50 내지 60℃에서, 60 brix° 내지 80brix°로 농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류 생산 부산물을 발효, 추출하는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6) 상기 추출 농축액을 분말화하는 단계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류 생산 부산물을 발효, 추출하는 방법
  11. 제1항, 제3항, 제5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주류 생산 부산물의 추출물
  12. 제11항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 또는 주름 개선용 조성물
  13. (1) 발효주 생산 후 남은 부산물을 15 내지 35℃에서, 24 내지 48시간 냉풍 건조하는 단계;
    (2) 건조된 부산물을 파쇄하는 단계;
    (3) 파쇄된 부산물을 이사첸키아 오리엔탈리스(Issatchenkia orientalis) 또는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애(Saccharomyces cerevisiae)로 발효하는 단계;
    (4) 발효된 부산물을 추출하는 단계; 및
    (5) 상기 (4) 단계에서 추출하고 남은 부산물을 100 내지 500μm의 입자로 분쇄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스크럽용 조성물 제조방법
  14. 제13항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스크럽용 조성물
KR1020190028012A 2019-03-12 2019-03-12 주류 생산 부산물의 발효, 추출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한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 주름 개선 및 항노화용 조성물 KR1021244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8012A KR102124429B1 (ko) 2019-03-12 2019-03-12 주류 생산 부산물의 발효, 추출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한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 주름 개선 및 항노화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8012A KR102124429B1 (ko) 2019-03-12 2019-03-12 주류 생산 부산물의 발효, 추출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한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 주름 개선 및 항노화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4429B1 true KR102124429B1 (ko) 2020-06-18

Family

ID=711428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8012A KR102124429B1 (ko) 2019-03-12 2019-03-12 주류 생산 부산물의 발효, 추출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한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 주름 개선 및 항노화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442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51508A1 (ko) * 2020-06-08 2021-12-16 김상욱 주류 생산 부산물 추출물의 추출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한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 주름 개선 및 항노화용 조성물
KR102414305B1 (ko) 2021-10-22 2022-06-30 주식회사 디캔트 과일 발효산물과 이를 이용한 향장용 조성물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35925A (ko) * 2000-11-07 2002-05-16 이세복 분말 상의 포도 발효액 추출물을 함유하고 미백 및 주름방지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100737862B1 (ko) 2006-07-07 2007-07-12 학교법인 계명대학교 주류생산부산물인 주박과 신규한 바실러스 속 균주를함유한 기능성 유기질비료
KR20100103751A (ko) 2009-03-14 2010-09-28 하늘농장주식회사 토마토 발효주의 발효 및 발효 부산물을 이용한 액상사료 제조방법
JP4990297B2 (ja) * 2007-02-01 2012-08-01 株式会社Tkバイオ研究所 ブドウ果皮・種子乳酸菌発酵物及びそれを利用した医薬
KR101402568B1 (ko) 2012-06-04 2014-05-30 조옥구 와인 부산물 증류주의 제조 방법
KR101438587B1 (ko) 2014-03-14 2014-09-12 농업회사법인 (주)두레양조 와인 부산물 막걸리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막걸리
KR101489365B1 (ko) * 2014-03-14 2015-02-03 농업회사법인 (주)두레양조 피부 개선능이 있는 와인 부산물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
KR101763358B1 (ko) 2015-11-17 2017-08-04 한국과학기술원 막걸리 또는 이의 부산물을 이용한 배지 조성물 및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35925A (ko) * 2000-11-07 2002-05-16 이세복 분말 상의 포도 발효액 추출물을 함유하고 미백 및 주름방지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100737862B1 (ko) 2006-07-07 2007-07-12 학교법인 계명대학교 주류생산부산물인 주박과 신규한 바실러스 속 균주를함유한 기능성 유기질비료
JP4990297B2 (ja) * 2007-02-01 2012-08-01 株式会社Tkバイオ研究所 ブドウ果皮・種子乳酸菌発酵物及びそれを利用した医薬
KR20100103751A (ko) 2009-03-14 2010-09-28 하늘농장주식회사 토마토 발효주의 발효 및 발효 부산물을 이용한 액상사료 제조방법
KR101402568B1 (ko) 2012-06-04 2014-05-30 조옥구 와인 부산물 증류주의 제조 방법
KR101438587B1 (ko) 2014-03-14 2014-09-12 농업회사법인 (주)두레양조 와인 부산물 막걸리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막걸리
KR101489365B1 (ko) * 2014-03-14 2015-02-03 농업회사법인 (주)두레양조 피부 개선능이 있는 와인 부산물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
KR101763358B1 (ko) 2015-11-17 2017-08-04 한국과학기술원 막걸리 또는 이의 부산물을 이용한 배지 조성물 및 제조 방법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KSBB Journal 2009. vol.24, pp.277~482(2009.10.01.) 1부.* *
경북대학교 농업생명융합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와인양조 부산물의 폴리페놀 함량 및 항상화 활성 측정"(2013.08.31.) 1부.* *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51508A1 (ko) * 2020-06-08 2021-12-16 김상욱 주류 생산 부산물 추출물의 추출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한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 주름 개선 및 항노화용 조성물
KR102414305B1 (ko) 2021-10-22 2022-06-30 주식회사 디캔트 과일 발효산물과 이를 이용한 향장용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67106B2 (ja) 緑豆発酵−酵素抽出液を含む皮膚老化防止用化粧料組成物
CN103757084B (zh) 一种米酒酒糟提取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03876144A (zh) 一种含有益生菌的复合植物酵素的制备方法
KR102124429B1 (ko) 주류 생산 부산물의 발효, 추출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한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 주름 개선 및 항노화용 조성물
CN103981054A (zh) 一种生物酶酿造油茶酒的方法
CN109843263B (zh) 包含利用黑酵母菌及乳酸菌发酵的人参果发酵产物的化妆品组合物
WO2018123828A1 (ja) 発酵物及びその製造方法
Arjun et al. Method of preparation and biochemical analysis of local tribal wine Judima: an indegenous alcohol used by Dimasa tribe of North Cachhar Hills district of Assam, India.
KR101366498B1 (ko) 자극완화 및 미백능이 있는 인삼꽃 발효물의 제조방법
TWI388343B (zh) 含有經發酵及酵素作用綠豆萃取液之抗皮膚衰老化妝品成分及其使用方法
JP2009029788A (ja) 海水由来酵母培養物含有皮膚外用用組成物
JP5420136B2 (ja) 抗老化剤
JP5925414B2 (ja) 高圧酵素分解技法を利用した植物抽出物の製造方法
EP4162926A1 (en) Method for extracting extract of liquor production by-product and composition for whitening, wrinkle improvement and anti-aging comprising the extract according to the method
CN109206336B (zh) 一种发酵法从米糠中制备神经酰胺的方法
JP2010090065A (ja) 化粧料
CN111973525A (zh) 含有红曲米发酵物的提取物的皮肤外用剂组合物
US20220378691A1 (en)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fermented product of Nuruk
KR101510418B1 (ko) 향기효모가 첨가된 냉동 발효제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386957B1 (ko) 막걸리 지게미 복합 발효물, 그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
KR102218224B1 (ko) 곤달비잎의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염증 또는 피부노화의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JP2004043505A (ja) 発酵組成物及び該発酵組成物を含有する抗酸化性組成物
TW202118480A (zh) 紅葡萄發酵汁液用於製備改善皮膚狀態的組合物的用途
KR20200000571A (ko) 저분자 진세노사이드 함량이 증가된 인삼베리 발효물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인삼베리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CN112546107A (zh) 佛手柑发酵汁液用于制备改善皮肤老化组合物的用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