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5891B1 - 용기 장치 및 이의 안착방법 - Google Patents

용기 장치 및 이의 안착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5891B1
KR102115891B1 KR1020180086074A KR20180086074A KR102115891B1 KR 102115891 B1 KR102115891 B1 KR 102115891B1 KR 1020180086074 A KR1020180086074 A KR 1020180086074A KR 20180086074 A KR20180086074 A KR 20180086074A KR 102115891 B1 KR102115891 B1 KR 1021158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ing
container
support
container device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60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11231A (ko
Inventor
박희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800860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5891B1/ko
Publication of KR202000112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12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58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58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41/00Casting melt-holding vessels, e.g. ladles, tundishes, cups or the like
    • B22D41/003Casting melt-holding vessels, e.g. ladles, tundishes, cups or the like with impact p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41/00Casting melt-holding vessels, e.g. ladles, tundishes, cups or the like
    • B22D41/12Travelling ladles or similar containers; Cars for lad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운반장치에 의해 운반되어 지지대에 안착될 수 있는 용기 장치로서, 내부에 피처리물이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을 가지는 용기; 상기 용기의 측면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 상기 운반장치가 걸릴 수 있도록, 상기 돌출부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는 걸림부; 및 충격을 완화할 수 있도록, 적어도 일부가 신장 수축 가능하게 상기 돌출부에 설치되는 안착부;를 포함하고, 용기 장치가 지지대에 안착될 때 발생하는 충격을 완화할 수 있다.

Description

용기 장치 및 이의 안착방법{VESSEL APPARATUS AND SEAT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용기 장치 및 이의 안착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용기 장치가 지지대에 안착될 때 발생하는 충격을 완화할 수 있는 용기 장치 및 이의 안착방법에 관한 것이다.
철강공정에서 용강을 운반하는 용기인 래들은, 일반적으로 크레인에 의해 운반된다. 크레인으로 제강공정에서 래들을 대차에 내려놓거나, 연속 주조공정에서 래들을 터렛 암에 내려놓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래들이 대차나 터렛 암과 접촉하면서 충격이 발생할 수 있다. 충격이 심한 경우, 크레인의 로프가 탈선되어 래들이 추락하거나 설비가 파손되어, 공정이 중단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래들이 대차나 터렛 암에 잘못 안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래들이 기울어져 대차나 터렛 암에 안착될 수 있다. 래들이 기울어지는 정도가 심한 경우, 래들 내 용강이 외부로 유출되는 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종래에는 래들에 가해지는 충격을 센서로 측정하고, 측정되는 정보에 따라 크레인의 작동을 제어하였다. 그러나 래들에 충격이 가해진 후에 충격량을 측정하기 때문에, 래들에 가해지는 충격을 실제적으로 완화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따라서, 래들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시키거나, 래들이 잘못 안착되어 기울어지는 것을 억제하거나 방지할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한 실정이다.
KR 2017-0073013 A
본 발명은 용기 장치가 지지대에 안착될 때 발생하는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는 용기 장치 및 이의 안착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내부에 피처리물을 안정적으로 수용할 수 있는 용기 장치 및 이의 안착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운반장치에 의해 운반되어 지지대에 안착될 수 있는 용기 장치로서, 내부에 피처리물이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을 가지는 용기; 상기 용기의 측면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 상기 운반장치가 걸릴 수 있도록, 상기 돌출부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는 걸림부; 및 충격을 완화할 수 있도록, 적어도 일부가 신장 수축 가능하게 상기 돌출부에 설치되는 안착부;를 포함한다.
상기 안착부는, 상기 돌출부의 하부에 연결되고, 상하방향으로 신장수축 가능한 구동부재; 및 상기 지지대와 접촉할 수 있도록, 상기 구동부재의 하부에 연결되는 안착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구동부재는 복수개가 구비되어 서로 이격된다.
상기 안착부는, 상기 구동부재들 사이에 배치되고, 탄성력을 가지는 완충부재를 더 포함한다.
상기 구동부재는, 내부공간을 가지는 몸체; 상기 몸체의 내부공간에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플레이트; 및 일단이 상기 몸체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돌출부와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플레이트에 연결되는 이동체;를 포함한다.
상기 구동부재는, 상기 몸체의 내부공간으로 유체를 공급해주도록, 상기 몸체와 연결되는 공급라인; 및 상기 몸체의 내부공간의 유체를 배출해주도록, 상기 몸체와 연결되는 배출라인;을 더 포함한다.
상기 안착부재는 상기 지지대와 마주보는 부분에 탄성체를 구비한다.
상기 안착부재는 적어도 일부가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진다.
본 발명은 운반장치에 의해 운반되는 용기 장치를 지지대에 안착시키는 방법으로서, 내부에 피처리물을 수용하는 용기, 상기 용기에 연결되는 돌출부, 및 상기 돌출부에 설치되는 안착부를 구비하는 상기 용기 장치를 마련하는 과정; 상기 용기 장치를 상기 지지대의 상측에 위치시키고, 상기 용기 장치를 하측으로 이동시키는 과정; 및 상기 용기 장치를 상기 지지대에 안착시키면서 발생하는 충격을 상기 안착부로 완화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 용기 장치를 상기 지지대에 안착시키면서 발생하는 충격을 상기 안착부가 완화하는 과정은, 상기 안착부가 상하방향 및 수평방향 중 적어도 어느 한 방향으로 이동 또는 신장수축하여 충격량을 흡수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 운반장치는 크레인을 포함하고, 상기 피처리물은 용강을 포함하며, 상기 지지대는 대차에 구비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르면, 용기 장치가 안착될 때 발생하는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다. 이에, 설비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용기 장치를 이용한 공정이 중단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수행될 수 있기 때문에, 공정의 효율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용기 장치가 잘못 안착되거나 충격으로 인해, 용기 장치 내부에 수용된 피처리물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억제하거나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용기 장치 내부에 피처리물을 안정적으로 수용할 수 있고, 피처리물의 유출로 인한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용기 장치, 운반장치, 및 대차의 구조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용기 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돌출부와 안착부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안착부재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용기 장치의 안착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용기 장치를 대차에 안착시키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 도면은 과장될 수 있고,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용기 장치, 운반장치, 및 대차의 구조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하기에서는 본 발명을 이해하기 위해, 운반장치와 대차의 구조에 대해 먼저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운반장치는 용기 장치(100)를 지지하거나 운반하는 역할을 한다. 운반장치는 주권후크(51)와 보권후크(5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운반장치는 천장크레인일 수 있다.
주권후크(51)는 갈고리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주권후크(51)는 와이어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주권후크(51)는 한 쌍이 구비되어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주권후크(51)들은 용기 장치(100)에 구비되는 한 쌍의 제1 걸림부(130)에 각각 걸릴 수 있다. 운반장치의 작동으로 주권후크(51)가 제1 걸림부(130)에 걸린 상태에서 상측으로 이동하면 용기 장치(100)도 상측으로 이동하고, 주권후크(51)가 하측으로 이동하면 용기 장치(100)도 하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에, 주권후크(51)를 이용하여 용기 장치(100)를 원하는 위치에 안착시킬 수 있다.
보권후크(52)는 갈고리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보권후크(52)는 와이어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보권후크(52)는 용기 장치(100)에 구비되는 제2 걸림부(140)에 걸릴 수 있다. 보권후크(52)가 제2 걸림부(140)에 걸린 상태에서 상하로 이동하면, 제2 걸림부(140)도 상하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보권후크(52)는 주권후크(51)와 별도로 상하로 이동할 수 있다. 이에, 주권후크(51)와 보권후크(52)가 용기 장치(100)에 걸린 상태에서, 주권후크(51)의 위치를 고정하고 보권후크(52)를 상하로 이동시키면, 용기 장치(100)의 기울기가 조절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대차(10)는 용기 장치(100)를 싣고 이동하는 역할을 한다. 대차(10)는 프레임(11), 구동휠(12), 및 지지대(13)를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11)은 지지대(13)를 지지해주는 역할을 한다. 프레임(11)은 사각 링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프레임(11)의 중심부에는 사각형의 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구멍의 면적은 용기 장치(100)에 구비되는 용기(110)의 평면 면적보다 클 수 있다. 따라서, 용기 장치(100)에 구비되는 안착부(150)가 지지대(13)에 안착되면, 용기(110)가 구멍 내에 위치할 수 있다. 그러나 프레임(11)과 구멍의 구조 및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구동휠(12)은 프레임(11)을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구동휠(12)은 프레임(11)의 하부에 설치된다. 구동휠(12)은 복수개가 구비되어 한 쌍의 레일 상에 배치된다. 따라서, 프레임(11)이 구동휠(12)에 의해 레일의 연장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지지대(13)는 대차(10)에 안착되는 용기 장치(100)를 지지해주는 역할을 한다. 지지대(13)는 이동부(11)에 설치될 수 있다. 지지대(13)는 용기 장치(100)에 구비되는 안착부(150)들과 접촉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지지대(13)는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대(13)는 한 쌍이 구비될 수 있다. 한 쌍의 지지대(13)는 프레임(11)에 형성된 구멍을 사이에 두고 서로 이격될 수 있다. 따라서, 지지대(13)들은 최소 구멍의 길이만큼 이격될 수 있다. 이에, 지지대(13)들은 서로 다른 위치의 안착부(150)들과 각각 접촉할 수 있다. 그러나 지지대(13)가 배치되는 방법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지지대(13)는 이동부(11)의 상부면에서 상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지지대(13)는 사각 박스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지지대(13)의 상부면은 용기 장치(100)의 안착부(150)와 접촉할 수 있다.
또한, 지지대(13)에는 지지홈(13a)이 구비될 수 있다. 지지홈(13a)은 지지대(13)의 상부면에서 하측으로 파여져 형성될 수 있다. 지지홈(13a)은 지지대(13)의 중심부에 위치할 수 있다. 지지홈(13a)의 전후방향 길이는 안착부(150)의 전후방향 길이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안착부(150)가 지지홈(13a) 내에 용이하게 진입하여 안착될 수 있다.
한편, 지지홈(13a)에 의해 지지대(13)의 전단부와 후단부 각각에 상부면에서 상측으로 돌출되는 한 쌍의 돌기(13b)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돌기(13b)들에 사이에서 안착부(150)가 지지홈(13a)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억제하거나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지지홈(13a)은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폭(또는, 전후방향 길이)이 좁아지게 형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지지홈(13a)에 경사면이 형성되거나 곡률을 가지는 면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안착부(150)가 지지홈(13a) 내에 진입할 때, 경사면이나 곡률을 가지는 면에 의해 지지홈(13a)의 중심부로 유도될 수 있다. 그러나 지지대(13)의 구조와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용기 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돌출부와 안착부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안착부재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하기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용기 장치의 구조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용기 장치(100)는 용기(110), 돌출부(120), 제1 걸림부(130), 및 안착부(150)를 포함한다. 용기 장치(100)는 제2 걸림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운반장치는 크레인일 수 있다. 용기(110)에 수용될 수 있는 피처리물은 용강일 수 있다. 지지대(13)는 대차(10)에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용강을 수용한 용기 장치(100)가 운반장치에 의해 운반되어 대차(10)에 구비되는 지지대(13)에 안착될 수 있다. 그러나 운반장치와 피처리물의 종류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며, 지지대(13)가 구비되는 설비도 래들을 지지하는 터렛 암 등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용기(110)는 내부에 피처리물이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을 가진다. 용기(110)는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용기(110)의 상부는 개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용기(110)는 래들일 수 있다. 용기(110)는 외피와 내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외피는 철피일 수 있고, 외피의 내부에 내화물이 축조될 수 있다. 따라서, 용기(110) 내부에 고온의 용강이 수용될 수 있다. 그러나 용기(110)의 구조와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돌출부(120)는 용기(110)의 측면에서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예를 들어, 돌출부(120)는 용기(110)의 외피에서 좌측 또는 우측을 향하여 돌출될 수 있다. 돌출부(120)는 박스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돌출부(120)의 하부면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또한, 돌출부(120)는 한 쌍이 구비되어 용기(110)의 양측 각각에 설치될 수 있다. 한 쌍의 돌출부(120)는 용기(110)에서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하여 돌출될 수 있다. 그러나 돌출부(120)의 구조와 형상 및 구비되는 개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제1 걸림부(130)는 돌출부(120)에서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이에, 운반장치가 제1 걸림부(130)에 용이하게 걸릴 수 있고, 운반장치가 용기 장치(100)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면서 운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걸림부(130)는 돌출부(120)의 표면에서 좌측 또는 우측을 향하여 돌출될 수 있다. 제1 걸림부(130)는 원형의 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운반장치의 주권후크(51)가 제1 걸림부(130)에 안정적으로 걸릴 수 있다.
이때, 제1 걸림부(130)의 단면 면적은 돌출부(120)의 단면 면적보다 작을 수 있다. 제1 걸림부(130)의 크기가 돌출부(120)의 크기보다 작기 때문에, 돌출부(120)에 제1 걸림부(130)가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따라서, 돌출부(120)와 제1 걸림부(130)가 안정적으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걸림부(130)는 한 쌍이 구비되어 한 쌍의 돌출부(120) 각각에 설치될 수 있다. 한 쌍의 돌출부(120)는 각 돌출부(120)에서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하여 돌출될 수 있다. 이에, 한 쌍의 주권후크(51)가 한 쌍의 제1 걸림부(130) 각각에 걸릴 수 있고, 주권후크(51)들이 용기 장치(100)의 양측을 지지하여, 용기 장치(100)가 안정적으로 운반될 수 있다.
제2 걸림부(140)는 용기(110)의 하부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걸림부(140)는 제1 걸림부(130)가 위치하지 않은 용기(110)의 후단의 하부에 설치될 수 있다. 제2 걸림부(140)는 운반장치의 보권후크(52)가 걸릴 수 있게 형성된다. 제2 걸림부(140)는 경동암, 링크, 및 탈착바를 포함할 수 있다.
경동암은 탈착바에 지지되어 링크를 지탱해준다. 경동암은 마주보는 두 개의 판 사이를 샤프트로 연결한 구조를 갖는다. 이에, 운반장치의 보권후크(52)가 샤프트에 걸릴 수 있다.
링크는 용기(110)의 바닥 저면과 경동암을 힌지 연결할 수 있다. 즉, 링크의 일단은 용기(110)의 바닥 저면에 결합되고, 타단은 경동암과 힌지 결합한다.
탈착바는 용기(110)의 측면에 설치되고, 링크보다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탈착바는 경동암이 안착될 수 있는 탈착홈을 가진다. 이에, 경동암이 보권후크(52)에 의해 상측으로 이동하는 경우 경동암이 탈착홈에서 이탈하고, 경동암이 탈착바에 안착되는 경우 경동암이 탈착홈에 안착될 수 있다. 그러나 제2 걸림부(140)의 구조와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안착부(150)는 적어도 일부가 신장 수축 가능하게 돌출부(120)에 설치된다. 이에, 안착부(150)는 용기 장치(100)가 지지대(13)에 안착될 때, 지지대(13)와 충돌하여 발생하는 충격을 완화할 수 있다.
또한, 안착부(150)는 한 쌍이 구비되어 한 쌍의 돌출부(120) 각각에 설치될 수 있다. 이에, 각각의 안착부(150)가 한 쌍의 지지대(13) 각각에 접촉하여 안착될 수 있다. 따라서, 각각의 안착부(150)가 지지대(13)에 안착될 때, 각각의 돌출부(120)로 전달되는 충격을 완화시켜줄 수 있다.
안착부(150)는 구동부재(151), 및 안착부재(152)를 포함한다. 안착부(150)는 완충부재(15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동부재(151)는 돌출부의 하부에 연결된다. 구동부재(151)는 상하방향으로 신장수축할 수 있다. 이에, 구동부재(151)가 돌출부(120)의 하측에서 상하방향으로 신장수축하면서, 상하방향으로 발생하는 충격량을 흡수할 수 있다. 즉, 돌출부(120)와 안착부재(152) 사이의 충격량을 흡수할 수 있다. 따라서, 구동부재(151)가 돌출부(120)와 용기(110) 등에 가해지는 충격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도 3의 (a)와 같이 구동부재(151)는 몸체(151a), 플레이트(151b), 및 이동체(151c)를 포함한다. 구동부재(151)는 실링체(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구동부재(151)는 실린더일 수 있다.
몸체(151a)는 안착부재(152)의 상부에 설치되어 고정될 수 있다. 몸체(151a)는 내부공간을 가진다. 예를 들어, 몸체(151a)는 원통 또는 사각통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고, 내부에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몸체(151a)의 상부에 개구가 형성될 수 있다. 또는, 몸체(151a)가, 내부공간을 가지고 상부가 개방되는 제1 몸체, 및 제1 몸체의 상부를 개폐하도록 제1 몸체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부에 개구가 형성되는 제2 몸체를 포함할 수도 있다. 그러나 몸체(151a)의 구조와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플레이트(151b)는 몸체(151a)의 내부공간에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플레이트(151b)는 몸체(151a) 내부공간의 평면 형상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레이트(151b)는 피스톤일 수 있다. 이에, 플레이트(151b)는 몸체(151a)의 내부공간을 상부공간과 하부공간을 나눌 수 있다. 플레이트(151b)가 상측으로 이동하면 상부공간의 부피는 감소하고, 하부공간의 부피는 증가할 수 있다. 플레이트(151b)가 하측으로 이동하면 상부공간의 부피는 증가하고, 하부공간의 부피는 감소할 수 있다.
이동체(151c)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막대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체(151c)는 실린더 로드일 수 있다. 이에, 이동체(151c)의 일단(또는, 상단)은 몸체(151a)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돌출부(120)와 연결되고, 타단(또는, 하단)은 몸체(151a) 내부의 플레이트(151b)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이동체(151c)는 몸체(151a)의 개구를 관통하여 설치될 수 있고, 플레이트(151b)의 이동에 의해 상하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이동체(151c)의 상단은 돌출부(120)의 하부와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될 수도 있다. 그러나 이동체(151c)의 구조와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실링체는 이동체(151c)와 몸체(151a)의 개구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링체는 O링일 수 있고, 이동체(151c)와 몸체(151a)의 개구 사이를 실링할 수 있다.
이때, 몸체(151a)의 하부공간은 유체(예를 들어, 기름)(F)로 채워질 수 있고, 이동체(151c)는 몸체(151a)의 하단부는 몸체(151a)의 상부공간에서 상하로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이동체(151c)는 유체의 압력과 돌출부(120)에서 가하는 하중에 의해 상하로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용기 장치(100)가 운반장치에 의해 지지되는 경우, 돌출부(120)가 이동체(151c)에 가하는 하중이 감소할 수 있다. 따라서, 몸체(151a) 내부의 유체(F)가 팽창된 상태를 유지하여, 플레이트(151b)를 상측으로 밀어낼 수 있다. 따라서, 이동체(151c)가 상측으로 이동하여 구동부재(151)가 신장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반대로, 용기 장치(100)를 하측으로 이동시켜 안착부재(152)가 지지대(13)와 접촉하면, 안착부재(152)는 하측으로 더 이상 이동하지 못할 수 있다. 운반장치가 돌출부(120)와 용기(110)의 하중을 지지하는 힘이 감소하면서, 안착부(150)에 돌출부(120)와 용기(110)의 하중이 가해질 수 있다. 따라서, 돌출부(120)와 연결된 이동체(151c)가 하측으로 눌릴 수 있고, 이동체(151c)와 연결된 플레이트(151b)가 몸체(151a) 내부의 유체(F)를 하측으로 가압할 수 있다. 이에, 유체(F)가 압축되면서 플레이트(151b)가 하측으로 이동하고, 구동부재(151)가 수축하면서 충격량을 흡수할 수 있다.
운반장치가 용기 장치(100)를 상측으로 다시 이동시키면, 이동체(151c)를 하측으로 누르는 힘이 감소하여, 유체가 팽창하면서 이동체(151c)를 상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구동부재(151)가 다시 신장될 수 있다.
한편, 구동부재(151)는 복수개가 구비되어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한 쌍의 구동부재(151)가 구비되어 안착부재(152)의 상부면 양측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각 구동부재(151)는 서로 다른 위치에서, 서로 다른 영역으로 가해지는 충격량을 흡수할 수 있다. 그러나 구동부재(151)가 구비되는 개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이때, 도 3의 (b)와 같이 구동부재(151)는 공급라인(155), 및 배출라인(156)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 따라서, 몸체(151a) 내부에 수용되는 유체(F)의 양을 조절하여, 이동체(151c)를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다.
공급라인(155)은 몸체(151a)의 내부공간으로 유체(F)를 공급해주는 역할을 한다. 공급라인(155)은 유체(F)가 이동하는 경로를 형성한다. 공급라인(155)의 일단은 유체(F)가 저장되는 저장용기(미도시)와 연결되고, 타단은 몸체(151a)의 하부공간과 연결될 수 있다. 이에, 저장용기에 저장된 유체(F)가 공급라인(155)을 통해 몸체(151a)의 하부공간으로 공급될 수 있다. 따라서, 몸체(151a)의 하부공간으로 유체(F)가 공급되면, 하부공간에 수용되는 유체(F)의 양이 증가하면서 플레이트(151b)를 상측으로 밀어내 이동체(151c)를 상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공급라인(155)은 공급밸브(155a)가 구비될 수 있다. 공급밸브(155a)의 작동을 제어하면, 몸체(151a)로 유체(F)를 공급하거나 중단할 수 있고, 몸체(151a)로 공급되는 유체(F)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배출라인(156)에 몸체(151a)의 내부공간에 수용된 유체(F)를 외부로 배출해주는 역할을 한다. 배출라인(156)은 유체(F)가 이동하는 경로를 형성한다. 배출라인(156)의 일단은 유체(F)가 저장되는 저장용기와 연결되고, 타단은 몸체(151a)의 하부공간과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몸체(151a) 내부의 유체(F)가 배출라인(156)을 통해 저장용기로 배출될 수 있다. 따라서, 몸체(151a)의 하부공간의 유체(F)를 외부로 배출하면, 하부공간에 수용되는 유체(F)의 양이 감소하면서 플레이트(151b)가 하측으로 이동하여 이동체(151c)가 하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배출라인(156)에 배출밸브(156a)가 구비될 수 있다. 배출밸브(156a)의 작동을 제어하면, 몸체(151a) 내부에 수용된 유체(F)의 양을 감소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안착부재(152)가 지지대(13)에 올바른 위치에 안착되지 못할 수 있다. 이에, 안착부재(152)의 일측은 지지홈(13a) 내에 안착되고, 타측은 돌기(13b) 상에 안착될 수 있다. 따라서, 안착부재(152)가 기울어진 상태로 지지대(13)에 안착되면서, 용기(110)도 기울어질 위험이 있다.
이때, 공급라인(155)과 배출라인(156)의 작동을 제어하여 용기(110)가 기울어지는 것을 억제하거나 방지할 수 있다. 즉, 안착부재(152)의 일측과 대응하는 구동부재(151)에는 유체를 공급해줄 수 있고, 타측과 대응하는 구동부재(151)에서는 유체를 배출시킬 수 있다. 따라서, 안착부재(152)의 일측과 대응하는 구동부재(151)는 신장하면서 돌출부(120)의 일측을 상측으로 들어올릴 수 있고, 타측과 대응하는 구동부재(151)는 수축하면서 돌출부(120)의 타측을 하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에, 안착부재(152)가 기울어져 일측과 타측의 균형이 맞지 않던 돌출부(120)의 균형이 맞춰질 수 있고, 용기(110)의 균형도 맞춰져 용기(110)가 기울어지는 것을 억제하거나 방지할 수 있다.
완충부재(153)는 탄성력을 가진다. 예를 들어, 완충부재(153)는 스프링일 수 있다. 이에, 완충부재(153)는 상하방향으로 압축되거나 신장될 수 있다. 완충부재(153)를 압축하면, 탄성력에 의해 신장하려는 힘을 발생시킬 수 있다. 완충부재(153)는 구동부재(151)들 사이에 배치된다. 완충부재(153)의 상부는 돌출부(120)의 하부면과 연결되고, 하부는 안착부재(152)의 상부면과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완충부재(153)는 돌출부(120)와 안착부재(152) 사이의 충격량을 흡수할 수 있고, 구동부재(151)들에 가해지는 부하를 감소시켜 구동부재(151)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완충부재(153)는 구동부재(151)들 사이에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완충부재(153)가 구비되는 개수가 증가할수록, 구동부재(151)에 가해지는 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에, 구동부재(151)들 사이의 거리에 따라 구동부재(151)들 사이에 구비되는 완충부재(153)의 개수를 조절할 수 있다. 그러나 완충부재(153)의 구조와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안착부재(152)는 구동부재(151)의 하부에 연결된다. 안착부재(152)는 도 4의 (a)와 같이 사각 박스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안착부재(152)의 상부면에 구동부재(151) 또는 완충부재(153)가 설치될 수 있고, 안착부재(152)의 하부면은 지지대(13)에 직접 접촉하여 안착될 수 있다.
이때, 안착부재(152)는 도 4의 (b)와 같이 지지대(13)와 마주보는 부분에 탄성체(152a)를 구비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탄성체(152a)는 고무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안착부재(152)의 탄성체(152a)가 지지대(13)에 안착될 때 충격량을 흡수할 수 있다. 이에, 구동부재(151), 완충부재(153), 및 탄성체(152a)가 삼중으로 충격량을 흡수하여 설비의 손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안착부재(152)는 도 4의 (c)와 같이 적어도 일부가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질 수 있다. 즉, 안착부재(152)의 하부 모서리들을 테이퍼 가공하여, 안착부재(152)의 하부에 경사면(152b)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안착부재(152)가 잘못 안착되어 지지대(13)의 돌기(13b)와 접촉하더라도, 안착부재(152)에 형성된 경사면(152b)이 돌기(13b)에 형성된 경사를 타고 이동하여, 안착부재(152)가 지지홈(13a) 내에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다. 이때, 안착부재(152)가 돌기(13b)를 따라 이동하면서 충격이 발생하더라도, 구동부재(151) 등이 충격량을 흡수할 수 있어 설비의 손상을 억제하거나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안착부재(152)의 구조와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으며, 실시 예들 간에 다양한 조합이 가능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용기 장치의 안착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용기 장치를 대차에 안착시키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하기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용기 장치의 안착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용기 장치의 안착방법은, 운반장치에 의해 운반되는 용기 장치를 지지대에 안착시키는 방법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용기 장치의 안착방법은, 용기 장치를 마련하는 과정(S110), 용기 장치를 지지대의 상측에 위치시키고, 용기 장치를 하측으로 이동시키는 과정(S120), 및 용기 장치를 지지대에 안착시키면서 발생하는 충격을 안착부로 완화하는 과정(S130)을 포함한다. 이때, 운반장치는 크레인일 수 있다. 용기 장치 내부에 수용되는 피처리물은 용강일 수 있다. 그러나 운반장치와 피처리물의 종류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도 6과 같이, 운반장치로 운반되는 용기 장치(100)를 대차(10)에 구비되는 지지대(13) 상에 안착시키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먼저, 용기 장치(100)를 마련할 수 있다. 용기 장치(100)는 내부에 피처리물을 수용하는 용기(110), 용기(110)에 연결되는 돌출부(120), 및 돌출부(120)에 설치되는 안착부(152)를 구비한다. 용기 장치(100)는 돌출부(120)에 설치되어 운반장치의 주권후크(51)에 걸릴 수 있는 제1 걸림부(130), 및 용기(110)에 설치되어 운반장치의 보권후크(52)에 걸릴 수 있는 제2 걸림부(14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그 다음, 도 6의 (a)와 같이 운반장치로 용기 장치(100)를 대차(10) 상에 위치시킬 수 있다. 이에, 용기 장치(100)가 대차(10)의 상측에 위치하여, 용기 장치(100)의 하부가 대차(10)의 상부와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용기 장치(100)가 대차(10)의 상측에 위치하면, 운반장치의 작동을 제어하여 용기 장치(100)를 하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용기 장치(100)는 서서히 내려가면서, 용기 장치(100)의 안착부재(152)가 지지대(13)와 접촉할 수 있다.
이때, 용기 장치(100)를 대차(10)의 지지대(13)에 안착시키면서 발생하는 충격을, 용기 장치(100)에 구비되는 안착부(152)가 완화할 수 있다. 안착부(152)가 상하방향 및 수평방향 중 적어도 어느 한 방향으로 이동 또는 신장수축하여 충격량을 흡수할 수 있다. 충격량은 용기 장치(100)(또는, 안착부(152))와 지지대(13)가 충돌하여 발생하는 물리량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안착부재(152)와 지지대(13)의 위치가 맞지 않는 경우, 도 6의 (b)와 같이 안착부재(152)의 일부는 지지대(13)에 형성된 지지홈(13a) 내에 안착되고, 다른 일부는 지지대(13)의 돌기(13b) 상에 안착될 수 있다. 지지홈(13a)의 바닥면과 돌기(13b)의 상부면 상하방향 위치가 다르기 때문에, 안착부(152)의 안착부재(152)가 기울어진 상태로 안착될 수 있다.
안착부재(152)가 지지대(13)에 안착되면서 발생하는 충격은 안착부(152)에 구비되는 구동부재(151)와 완충부재(153)가 수축하면서 완화될 수 있다. 따라서, 설비들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고, 용기 장치(100)에 충격으로 인한 진동이 발생하여, 용기 장치(100) 내부의 용강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한 쌍의 구동부재(151)가 서로 다르게 작동할 수 있다. 즉, 돌기(13b)의 상측에 위치한 구동부재(151)가 지지홈(13a)의 하측에 위치한 구동부재(151)가 더 많이 수축될 수 있다. 따라서, 안착부재(152)가 기울어진 양에 비해, 돌출부(120)가 기울어지는 양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에, 구동부재(151)들이 상하방향 및 수평방향으로도 이동하여 충격량을 흡수할 수 있고, 돌출부(120)와 연결된 용기(110)가 기울어지는 것을 최소화하여 용기(110) 내부에 수용된 용강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완충부재(153)들도 수축하면서 구동부재(151)에 가해지는 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다. 완충부재(153)들도 위치에 따라 수축되는 양이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완충부재(153)들도 상하방향 및 수평방향으로 이동하여 충격량을 흡수할 수 있다. 이에, 안착부재(152)가 잘못 안착되어 기울어지더라도, 용기(110)가 기울어지는 양을 감소시켜 용기(110)가 평평한 상태에 가깝게 지지될 수 있다.
운반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는 작업자가 안착부재(152)와 지지대(13)의 위치가 맞지 않는 것을 감지하면, 운반장치의 작동을 제어하여 용기 장치(100)를 상측으로 끌어올릴 수 있다. 이에, 용기 장치(100)가 지지대(13)의 상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그 다음, 도 6의 (c)와 같이 운반장치로 용기 장치(100)의 전후좌우 중 적어도 어느 한 방향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이에, 안착부재(152) 전체가 지지홈(13a) 내에 안착될 수 있도록 용기 장치(100)의 위치가 조절될 수 있다.
용기 장치(100)의 위치가 조절되면, 주권후크(51)와 보권후크(52)의 작동을 제어하여, 용기 장치(100)를 하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용기 장치(100)는 서서히 내려갈 수 있고, 안착부재(152) 전체가 지지홈(13a) 내로 진입하여, 지지홈(13a)의 바닥면과 접촉할 수 있다. 따라서, 안착부재(152)가 기울어지지 않을 수 있고, 돌출부(120), 및 용기(110)도 기울어지지 않을 수 있다.
이때, 도 5의 (d)와 같이 구동부재(151)들이 동일하게 가압되어 동일한 양으로 수축될 수 있다. 따라서, 돌출부(120) 양측에 가해지는 충격량이 함께 흡수될 수 있다. 구동부재(151)들 사이의 완충부재(153)들도 동일하게 가압되어 수축될 수 있고, 용기 장치(100)가 안착되면서 발생하는 충격량을 구동부재(151)와 함께 흡수할 수 있다.
이처럼 용기 장치(100)가 안착될 때 발생하는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다. 이에, 설비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용기 장치(100)를 이용한 공정이 중단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수행될 수 있기 때문에, 공정의 효율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용기 장치(100)가 잘못 안착되거나 충격으로 인해, 용기 장치(100) 내부에 수용된 피처리물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억제하거나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용기 장치(100) 내부에 피처리물을 안정적으로 수용할 수 있고, 피처리물의 유출로 인한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 대차 13: 지지대
13a: 안착홈 13b: 돌기
51: 주권후크 52: 보권후크
100: 용기 장치 110: 용기
120: 돌출부 130: 제1 걸림부
140: 제2 걸림부 150: 안착부
151: 구동부재 152: 안착부재
153: 완충부재

Claims (11)

  1. 운반장치에 의해 운반되어 지지대에 안착될 수 있는 용기 장치로서,
    내부에 피처리물이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을 가지는 용기;
    상기 용기의 측면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
    상기 운반장치가 걸릴 수 있도록, 상기 돌출부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는 걸림부; 및
    충격을 완화할 수 있도록, 적어도 일부가 신장 수축 가능하게 상기 돌출부에 설치되는 안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안착부는,
    상기 돌출부의 하부에 연결되고, 상하방향으로 신장수축 가능한 구동부재, 및
    상기 지지대와 접촉할 수 있도록, 상기 구동부재의 하부에 연결되는 안착부재를 포함하는 용기 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재는 복수개가 구비되어 서로 이격되는 용기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는,
    상기 구동부재들 사이에 배치되고, 탄성력을 가지는 완충부재를 더 포함하는 용기 장치.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재는,
    내부공간을 가지는 몸체;
    상기 몸체의 내부공간에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플레이트; 및
    일단이 상기 몸체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돌출부와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플레이트에 연결되는 이동체;를 포함하는 용기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재는,
    상기 몸체의 내부공간으로 유체를 공급해주도록, 상기 몸체와 연결되는 공급라인; 및
    상기 몸체의 내부공간의 유체를 배출해주도록, 상기 몸체와 연결되는 배출라인;을 더 포함하는 용기 장치.
  7. 청구항 3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재는 상기 지지대와 마주보는 부분에 탄성체를 구비하는 용기 장치.
  8. 청구항 3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재는 적어도 일부가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용기 장치.
  9. 운반장치에 의해 운반되는 용기 장치를 지지대에 안착시키는 방법으로서,
    내부에 피처리물을 수용하는 용기, 상기 용기에 연결되는 돌출부, 및 상기 돌출부에 설치되는 안착부를 구비하는 상기 용기 장치를 마련하는 과정;
    상기 용기 장치를 상기 지지대의 상측에 위치시키고, 상기 용기 장치를 하측으로 이동시키는 과정; 및
    상기 용기 장치를 상기 지지대에 안착시키면서 발생하는 충격을 상기 안착부로 완화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충격을 상기 안착부로 완화하는 과정은,
    상기 안착부에 구비되는 안착부재를 상기 지지대에 안착시켜 접촉시키는 과정, 및
    상기 안착부에 구비되는 구동부재를 상하방향으로 신장수축시켜, 상기 돌출부와 상기 안착부재 사이의 충격을 흡수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용기 장치의 안착방법.
  10. 삭제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운반장치는 크레인을 포함하고, 상기 피처리물은 용강을 포함하며, 상기 지지대는 대차에 구비되는 용기 장치의 안착방법.
KR1020180086074A 2018-07-24 2018-07-24 용기 장치 및 이의 안착방법 KR1021158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6074A KR102115891B1 (ko) 2018-07-24 2018-07-24 용기 장치 및 이의 안착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6074A KR102115891B1 (ko) 2018-07-24 2018-07-24 용기 장치 및 이의 안착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1231A KR20200011231A (ko) 2020-02-03
KR102115891B1 true KR102115891B1 (ko) 2020-05-27

Family

ID=696270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6074A KR102115891B1 (ko) 2018-07-24 2018-07-24 용기 장치 및 이의 안착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5891B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8086B1 (ko) * 2002-05-29 2008-11-10 주식회사 포스코 래들의 리프팅 러그 고정장치
KR100885949B1 (ko) * 2002-07-25 2009-03-03 주식회사 포스코 용강래들 탑재용 가변형 수강대차
KR20050015313A (ko) * 2003-08-05 2005-02-21 주식회사 포스코 조절 가능한 러그 수용부를 갖는 레이들 안착장치
KR101377495B1 (ko) * 2012-01-31 2014-03-25 현대제철 주식회사 래들 커플러
KR101799652B1 (ko) 2015-12-17 2017-11-21 주식회사 포스코 래들 안착시 충격량 제어 방법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1231A (ko) 2020-0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211813B2 (ja) コンテナ荷役車両
KR102115891B1 (ko) 용기 장치 및 이의 안착방법
CN104291129B (zh) 升降式货物装卸台
CN207390936U (zh) 一种带升降限位缓冲装置的叉车
KR101858537B1 (ko) 이동식 크레인 차량의 전복 방지 장치
US2798758A (en) Self-dumping bucket-and-bail container
KR101088128B1 (ko) 자재 이동 및 인양 대차
KR101324543B1 (ko) 하역기의 주행 제동장치
CN205203885U (zh) 罐式集装箱及其端框
KR101722404B1 (ko) 중량 측정 오차를 방지할 수 있는 대차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140052494A (ko) 로로선의 리프터블 카 데크 설치방법
JP6025593B2 (ja) レードルターレット
KR101243130B1 (ko) 이탈 방지용 경동고리
CN209259202U (zh) 一种移动式登车桥用防滑装置
JP5320515B1 (ja) 真空槽交換装置
KR101961832B1 (ko) 제품 이동 설비
KR20100000616A (ko) 컨테이너선의 컨테이너 데몬스트레이션을 위한해치커버상단용 지그
KR20090003229U (ko) 레일 클램핑 장치
US2144637A (en) Hot metal car
CN211731190U (zh) 垫板放置架和臂架设备
JP2018065189A (ja) タンディッシュカー
CN210176065U (zh) 一种液体集装箱装卸装置
FI129305B (en) Lifting device for lifting empty containers
KR200205376Y1 (ko) 컨테이너 야드 샤시의 프레임 구조
US20220388262A1 (en) Device and method for handling tyres and tyre curing pres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