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85949B1 - 용강래들 탑재용 가변형 수강대차 - Google Patents

용강래들 탑재용 가변형 수강대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85949B1
KR100885949B1 KR1020020043911A KR20020043911A KR100885949B1 KR 100885949 B1 KR100885949 B1 KR 100885949B1 KR 1020020043911 A KR1020020043911 A KR 1020020043911A KR 20020043911 A KR20020043911 A KR 20020043911A KR 100885949 B1 KR100885949 B1 KR 1008859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ten steel
ladle
fixed
slag
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439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10881A (ko
Inventor
박장원
정효철
양병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200439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85949B1/ko
Publication of KR200400108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108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59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59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41/00Casting melt-holding vessels, e.g. ladles, tundishes, cups or the like
    • B22D41/12Travelling ladles or similar containers; Cars for lad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sting Support Devices, Ladles, And Melt Control Thereby (AREA)
  • Carbon Steel Or Casting Steel Manufactu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로에서 취련완료된 용강 출강시 유발되는 슬래그 혹은 용강의 비산에 의한 수강대차의 기계실 손상을 예방할 수 있도록 개선된 용강래들 탑재용 가변형 수강대차에 관한 것으로, 레일을 따라 이동가능한 몸체의 일측면 양측에 고정된 한쌍의 작동실린더와; 상기 작동실린더에 결합된 실린더로드의 각 단부에 고정되고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배치되며 각 단부가 서로 연결간에 의해 일체로 연결된 이동대와; 상기 이동대의 길이 일부 상면에 상하방향으로 탄성작동가능하게 구비된 래들안착대와; 상기 래들안착대와 연동될 수 있도록 연결되고 레일측으로 전달되는 고열을 차단할 수 있는 열차단부재로 이루어지는 방열판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로에서 용강 출강시 비산되는 슬래그 및 용강의 일부가 바닥면으로 곧바로 낙하되기 때문에 수강대차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지 않게 되어 수강대차의 수명이 연장되고, 비산되는 슬래그 및 용강의 고착에 의해 유발되던 지금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Description

용강래들 탑재용 가변형 수강대차{ADJUSTABLE MOVING CAR FOR LOADING LADLE}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용강 출강시 사용되는 수강대차를 보인 개략적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강대차의 개략적인 평면 및 정면 모식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강대차의 개략적인 측단면도 및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강대차의 방열판 설치구조를 보인 일부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 수강대차를 구성하는 방열판의 설치상태도,
도 6a,b는 본 발명 수강대차의 사용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전로 3....용강래들
10....레일 14....중공부
20....수강대차 22....몸체
30....작동실린더 32....실린더로드
40....이동대 42....외부케이스
44....내부케이스 46....래들안착대
50....방열판 52....에어관
54....에어분사구
본 발명은 용강을 수강하는 래들을 탑재하는 수강대차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로에서 취련완료된 용강 출강시 유발되는 슬래그 혹은 용강의 비산에 의한 수강대차의 기계실 손상을 예방할 수 있도록 개선된 용강래들 탑재용 가변형 수강대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로에서 취련이 완료된 용강은 2차 공정에서 작업하기 위하여 출강되게 되며, 용강래들에 수강된 후 수강대차에 의해 후속공정으로 이송되게 된다.
도 1은 이와 같은 용강의 출강과정을 보인 것으로, 취련이 완료되어 용강의 출강시점에 이르면 전로(1)의 하부에 용강래들(3)이 탑재된 수강대차(4)를 위치시킨 후 전로(1)를 경동시켜 상기 용강래들(3)로 용강을 출강하게 된다.
이때, 전로(1)의 출강구(2)로부터 쏟아지는 슬래그 및 용강의 일부는 수강대차(4)의 기계실(5) 상부로 쏟아져 고열로 인한 기계실 내부의 구동장치의 손상을 유발하게 됨은 물론 기계실(5) 상부에 쏟아진 슬래그 및 용강이 고착되면서 지금(8)을 형성하여 후속공정을 위해 수강대차(4)의 이동시 주변설비와의 간섭을 일으키고, 또한 용강래들(3)의 안착작업에 방해요인으로 작용하여 작업지연을 초래하게 된다.
종래에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크레인과 같은 수단을 이용하여 기계실(5) 커버를 들어올린 후 고착된 지금(8)을 제거하는 작업을 병행하였다.
따라서, 출강작업에 따른 작업시간의 과다소요에 의해 생산성이 현격히 저하됨은 물론 대형중량물의 열간상태에서의 작업이므로 작업자의 안전에 위해를 가하는 요인이 상존하여 작업상 난점이 많았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이 갖는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한 것으로, 수강용 용강래들을 탑재하는 수강대차의 길이 일부가 가변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출강시 비산되는 슬래그 및 용강의 비산폭으로부터 수강대차의 기계실이 벗어날 수 있도록 하여 이들의 비산에 따른 손상을 예방하고, 비산후 고착된 지금의 제거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 용강래들 탑재용 가변형 수강대차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상기한 목적은,
레일을 따라 이동가능한 몸체의 일측면 양측에 고정된 한쌍의 작동실린더와;
상기 작동실린더에 결합된 실린더로드의 각 단부에 고정되고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배치되며 각 단부가 서로 연결간에 의해 일체로 연결된 이동대와;
상기 이동대의 길이 일부 상면에 상하방향으로 탄성작동가능하게 구비된 래들안착대와;
상기 래들안착대와 연동될 수 있도록 연결되고 레일측으로 전달되는 고열을 차단할 수 있는 열차단부재로 이루어지는 방열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강래들 탑재용 가변형 수강대차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강대차의 개략적인 평면 및 정면 모식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강대차의 개략적인 측단면도 및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따르면, 전로측으로 배설된 레일(10)상에 수강대차(20)가 안착된다.
수강대차(20)는 몸체(22)가 구비되고, 상기 몸체(22) 내부에는 기계실(24)이 구비되며, 상기 몸체(22)의 일측면 양측에는 한쌍의 작동실린더(30)가 고정되고, 상기 작동실린더(30)의 실린더로드(32)는 전방으로 뻗어 배치된 후 그 단부에는 이동대(40)가 각각 고정된다.
몸체(22)의 일측에는 전원공급용 케이블(12)이 배설되고, 상기 이동대(40)의 각 하단에는 차륜(미도시)이 부설되어 있어 레일(10)을 따라 용이하게 이동될 수 있게 구성된다.
또한, 각 이동대(40)는 서로 마주보는 면에 연결간(16)이 설치되어 동체를 이루도록 구성된다.
상기 이동대(40)의 후단, 즉 상기 작동실린더(30)측을 향한 단부에는 일정길이 실린더형태의 외부케이스(42)가 형성되고, 상기 외부케이스(42) 내부로는 그와 대응되는 형상을 갖고 직경이 작은 내부케이스(44)가 인출입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 내부케이스(44)의 일단은 몸체(22)에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외부케이스(42)는 상기 작동실린더(30)의 전후진동작에 따라 상기 내부케이스(44)를 감싸는 형태로 출몰작동되게 된다.
이들 내,외부케이스(42,44)는 사각형태를 가짐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본 발명의 수강대차(20)는 몸체(22) 및 이동대(40)에 의해 이들이 연결된 부위를 제외한 중앙부위는 비어있는 중공부(14)를 이루게 된다.
한편, 상기 이동대(40)의 길이 중앙 상면에는 래들안착대(46)가 구비되고, 상기 래들안착대(46)에는 방열판(50)이 구비되며, 상기 방열판(50)의 하단에는 외부에어공급원과 연결된 에어관(52)이 구비되고, 상기 에어관(52)에는 다수의 에어분사구(54)가 형성된다.
도 4 및 도 5는 상기 래들안착대(46) 및 방열판(50), 그리고 에어관(52)의 설치관계를 상세히 보인 것으로, 도면에 따르면 방열판(50)의 상단은 연결판(49)에 고정되고 상기 연결판(49)은 고정핀(47) 혹은 용접에 의해 래들안착대(46)의 상단면에 고정된다.
래들안착대(46)는 외부케이스(42)의 상면에 고정된 안내포스트(46a)와, 상기 안내포스트(46a)에 끼워져 승하강가능하게 배치되면서 이탈되지 않도록 구비된 안내실린더(46b) 및 상기 안내실린더(46b)와 안내포스트(46a) 외부에 권취배설된 탄성스프링(46c)으로 구성되며, 상기 안내실린더(46b)의 상단은 상술하였듯이 연결판(49)과 고정핀(47) 혹은 용접과 같은 방식에 의해 상호 견고히 고정된다.
이때, 상기 안내실린더(46b)의 승하강폭은 상기 방열판(50)의 하단이 바닥면 에 닿지 않을 정도의 범위내라면 무방하다.
아울러, 상기 방열판(50)의 하단에는 그 폭방향으로 에어관(52)이 배관되고, 상기 에어관(52)에는 그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의 에어분사구(54)가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작동관계를 상술한 도면 및 도 6a,b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용강을 수강하기 위해 용강래들(3)이 래들안착대(46)에 안착되게 되면 용강래들(3)의 자중에 의해 탄성스프링(46c)이 탄압되면서 안내실린더(46b)가 안내포스트(46a)를 따라 하강하게 된다.
동시에, 상기 안내실린더(46b)와 연결된 방열판(50)도 하강하게 되며 안내실린더(46b)가 하사점까지 하강하게 되면 자동적으로 도시설명하지 않은 밸브가 개방되면서 에어관(52)측으로 고압의 에어가 공급되게 된다.
따라서, 방열판(50) 및 에어분사구(54)를 통해 고압분사되는 에어는 레일(10) 및 외부케이스(42)를 고열로부터 보호하게 된다.
용강래들(3)의 안착이 완료되면 작동실린더(30)가 전진작동되면서 이동대(40)를 전로(1)측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이동대(40)와 동시에 이동되던 용강래들(3)이 전로(1)의 출강구(2) 직하방에 위치하게 되면 작동실린더(30)의 동작을 멈추고 전로(1)를 경동시켜 용강을 출강하게 된다.
용강 출강중에 비산되는 슬래그 및 용강 일부는 기존과 같이 포물선을 그리면서 몸체(22)측으로 낙하되기는 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그 낙하되는 부위가 중공되 어 있기 때문에 비산되는 슬래그 및 용강은 곧바로 바닥면으로 떨어지게 된다.
따라서, 몸체(22)에 지금이 쌓이거나 고열에 의해 몸체(22) 내부에 설치된 기계장치들이 고열에 의해 열화되거나 손상되는 문제가 현격히 줄어들게 된다.
출강이 완료되면 전진동작되어 있던 작동실린더(30)를 복귀시킨 후 수강대차를 구동하여 후속공정으로 용강래들(3)을 이송시키도록 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 수강대차는 다음과 같은 작용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전로에서 용강 출강시 비산되는 슬래그 및 용강의 일부가 바닥면으로 곧바로 낙하되기 때문에 수강대차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지 않게 되어 수강대차의 수명이 연장된다.
둘째, 비산되는 슬래그 및 용강의 고착에 의해 유발되던 지금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세째, 전로의 용강 출강작업이 원활하여 생산성향상에 기여한다.

Claims (3)

  1. 레일(10)을 따라 이동가능한 몸체(22)의 일측면 양측에 고정된 한쌍의 작동실린더(30)와;
    상기 작동실린더(30)에 결합된 실린더로드(32)의 각 단부에 고정되고 상기 레일(10)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배치되며 각 단부가 서로 연결간(16)에 의해 일체로 연결된 이동대(40)와;
    상기 이동대(40)의 길이 일부 상면에 상하방향으로 탄성작동가능하게 구비된 래들안착대(46)와;
    상기 래들안착대(46)의 상단면에 고정된 연결판(49)에 고정되고, 레일(10)측으로 전달되는 고열을 차단할 수 있는 열차단부재로 이루어지는 방열판(5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강래들 탑재용 가변형 수강대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22)에는 상기 실린더로드(32)를 내장하는 사각형상의 내부케이스(44)가 고정되고,
    상기 이동대(40)에는 상기 내부케이스(44)를 감싸면서 출몰작동가능한 사각형상의 외부케이스(42)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강래들 탑재용 가변형 수강대차.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판(50)은 그 하단에 폭방향으로 에어관(52)이 배관되고, 상기 에어관(52)의 외주면에는 그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의 에어분사구(54)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강래들 탑재용 가변형 수강대차.
KR1020020043911A 2002-07-25 2002-07-25 용강래들 탑재용 가변형 수강대차 KR1008859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3911A KR100885949B1 (ko) 2002-07-25 2002-07-25 용강래들 탑재용 가변형 수강대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3911A KR100885949B1 (ko) 2002-07-25 2002-07-25 용강래들 탑재용 가변형 수강대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0881A KR20040010881A (ko) 2004-02-05
KR100885949B1 true KR100885949B1 (ko) 2009-03-03

Family

ID=373192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43911A KR100885949B1 (ko) 2002-07-25 2002-07-25 용강래들 탑재용 가변형 수강대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8594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8391A (ko) 2018-03-14 2019-09-24 주식회사 포스코 운반장치 및 운반방법
KR20220008077A (ko) 2020-07-13 2022-01-20 주식회사 포스코 운반장치 및 운반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8615B1 (ko) * 2005-10-28 2007-08-14 임현정 쓰레기 운반용 카트
KR101248165B1 (ko) * 2006-05-04 2013-03-27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전화 및 그 데이터 검색방법
WO2008025126A1 (en) 2006-09-01 2008-03-06 Research In Motion Limited Integrated dialing
KR102326879B1 (ko) * 2017-03-08 2021-11-17 주식회사 포스코 용기 이송 장치
KR102115891B1 (ko) * 2018-07-24 2020-05-27 주식회사 포스코 용기 장치 및 이의 안착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43112A (ja) * 1985-04-17 1986-10-29 Daido Steel Co Ltd レ−ドル台車
JPH0550213A (ja) * 1991-08-23 1993-03-02 Daido Steel Co Ltd 鋼塊鋳造設備のレードル台車装置
KR20020004456A (ko) * 2000-07-05 2002-01-16 이구택 슬래그 제거 및 용강유출 방지형 수강대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43112A (ja) * 1985-04-17 1986-10-29 Daido Steel Co Ltd レ−ドル台車
JPH0550213A (ja) * 1991-08-23 1993-03-02 Daido Steel Co Ltd 鋼塊鋳造設備のレードル台車装置
KR20020004456A (ko) * 2000-07-05 2002-01-16 이구택 슬래그 제거 및 용강유출 방지형 수강대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8391A (ko) 2018-03-14 2019-09-24 주식회사 포스코 운반장치 및 운반방법
KR20220008077A (ko) 2020-07-13 2022-01-20 주식회사 포스코 운반장치 및 운반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0881A (ko) 2004-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625102B (zh) 一种铁合金全自动圆盘浇铸系统
US20190091763A1 (en) Method for trasporting molten metal
KR100885949B1 (ko) 용강래들 탑재용 가변형 수강대차
CN102814493A (zh) 环保型铁水倒罐系统
CN216441606U (zh) 一种连续铸造模具
CN211545808U (zh) 一种汽车维修用升降装置
KR200175956Y1 (ko) 수평 또는 수직 이동식 자동 용접장치용 보조장치
US4786250A (en) Installation for evacuating emanations in the taphole region of shaft furnaces
CN211284423U (zh) 一种转炉炉下活动挡渣板装置
TWI527907B (zh) 防止爐渣流出用噴槍及其裝置
CN110656216B (zh) 一种炼钢转炉平台清渣装置
KR20200000406U (ko) 전기로 출강구 연와 견인용 지그
CN217290337U (zh) 一种自动化冲渣包装置
WO2003095685A9 (en) Scrap charger
KR100519257B1 (ko) 수직외판 자동곡직장치
CN219508042U (zh) 自动伸缩机构
CN220243416U (zh) 一种用于导流罩搭装的工艺装备
CN212823533U (zh) 一种具有升降防护板的焊接台
CN114057093B (zh) 一种电炉更换出钢孔的专用平台
CN210973723U (zh) 一种泵用铸造升降台
CN218569061U (zh) 箱式电池架以及箱式电池系统
CN214250527U (zh) 一种电熔白刚玉生产电弧炉水冷循环装置
CN110777228B (zh) 一种转炉炉口防护装置
JP3379635B2 (ja) 浸漬ノズル交換装置の排熱装置
KR20080036459A (ko) 로봇 자동이송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3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