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3679B1 - 케이블 조인트 및 이것을 구비한 케이블 조작 기구 - Google Patents

케이블 조인트 및 이것을 구비한 케이블 조작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3679B1
KR102113679B1 KR1020187001703A KR20187001703A KR102113679B1 KR 102113679 B1 KR102113679 B1 KR 102113679B1 KR 1020187001703 A KR1020187001703 A KR 1020187001703A KR 20187001703 A KR20187001703 A KR 20187001703A KR 102113679 B1 KR102113679 B1 KR 1021136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joint
joint piece
sliding surface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017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17202A (ko
Inventor
쇼 요시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하이렉스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하이렉스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하이렉스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800172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72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36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36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00Flexible shafts; Mechanical means for transmitting movement in a flexible sheathing
    • F16C1/10Means for transmitting linear movement in a flexible sheathing, e.g. "Bowden-mechanisms"
    • F16C1/1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movement to or from the flexible member
    • F16C1/14Construction of the end-piece of the flexible member; Attachment thereof to the flexible me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00Flexible shafts; Mechanical means for transmitting movement in a flexible sheathing
    • F16C1/10Means for transmitting linear movement in a flexible sheathing, e.g. "Bowden-mechanisms"
    • F16C1/1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movement to or from the flexible me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00Flexible shafts; Mechanical means for transmitting movement in a flexible sheathing
    • F16C1/10Means for transmitting linear movement in a flexible sheathing, e.g. "Bowden-mechanis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00Flexible shafts; Mechanical means for transmitting movement in a flexible sheathing
    • F16C1/10Means for transmitting linear movement in a flexible sheathing, e.g. "Bowden-mechanisms"
    • F16C1/101Intermediate connectors for joining portions of split flexible shafts and/or sheath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00Flexible shafts; Mechanical means for transmitting movement in a flexible sheathing
    • F16C1/10Means for transmitting linear movement in a flexible sheathing, e.g. "Bowden-mechanisms"
    • F16C1/106Plurality of transmitting means, e.g. two or more parallel "Bowden cab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326/00Articles relating to transporting
    • F16C2326/01Parts of vehicles in general
    • F16C2326/08Vehicle seats, e.g. in linear movable sea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lexible Shaft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슬라이딩성이 양호하고 파손되기 어려운 조인트 피스를 구비한 케이블 조인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조인트 케이스(10)와 조인트 피스(50)를 구비하고, 조인트 피스(50)에, 케이블 엔드의 걸림부와 케이블 도출홈(56)이 형성되어 있다. 조인트 케이스측 주슬라이딩면(21a)은 평탄하게 형성되고, 조인트 피스측 주슬라이딩면(60)에는 볼록부(61)가 형성되어 있다. 볼록부는, 주슬라이딩면(60, 21a)을 향해 주슬라이딩면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고, 볼록부의 꼭대기부(61a)가, 주슬라이딩면과 직교하는 방향에서의 케이블 도출홈(56)에 대응한 위치에 위치하고 있다.

Description

케이블 조인트 및 이것을 구비한 케이블 조작 기구
본 발명은, 케이블 조인트 및 이것을 구비한 케이블 조작 기구에 관한 것이다.
입력 케이블과 출력 케이블을 연결하여, 입력 케이블에 가해진 조작력을 출력 케이블에 전달하는 케이블 조인트가 알려져 있다. 케이블 조인트는, 조인트 케이스와, 조인트 케이스 내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용된 조인트 피스를 구비한다. 조인트 피스에는, 입력측과 출력측의 각 케이블의 단부(케이블 엔드)가 걸리는 복수의 걸림부와, 각 걸림부로부터 연장되는 케이블을 조인트 피스 밖으로 도출하는 복수의 케이블 도출부가 마련되어 있다.
이 케이블 조인트에 있어서는, 케이블 조작부의 조작에 의한 입력 케이블의 이동(인입 및 송출 동작의 적어도 한쪽)에 따라서, 조인트 피스가 조인트 케이스 내부에서 슬라이딩한다. 이것에 의해, 조작력이 출력 케이블에 전달되어, 출력 케이블에 접속된 피조작 부재가 조작되게 된다.
여기서, 조인트 케이스와 조인트 피스의 주슬라이딩면에는, 조인트 피스의 슬라이딩 저항을 경감하기 위해 돌기가 형성되는 경우가 있다(예컨대 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 : 일본 실용 공개 소58-44623호 공보
조인트 피스는, 입력측과 출력측의 각 케이블의 단부가 접속되어 있기 때문에, 각 케이블에 주어진 모든 방향의 하중이 작용한다. 예컨대, 케이블이 3차원적(비평면적)으로 라우팅(routing)되어 있는 경우에는, 조인트 피스가, 주슬라이딩면에 직교하는 방향의 하중을 받게 된다. 그 때문에, 조인트 피스나 조인트 케이스의 주슬라이딩면에, 슬라이딩 저항을 경감시키기 위한 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돌기에 하중이 집중되어 파손되기 쉬워지기 때문에, 돌기를 두껍게 해야 하여 경량화나 소형화가 제한된다.
본 발명은, 이상의 점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슬라이딩성이 양호하고 파손되기 어려운 조인트 피스를 구비한 케이블 조인트 및 이것을 구비한 케이블 조작 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케이블 조인트의 하나의 양태는, 제1 케이블의 조작력을 제2 케이블에 전달하는 케이블 조인트로서, 조인트 케이스와, 상기 각 케이블의 단부가 걸리는 복수의 걸림부와 상기 걸림부로부터 연장되는 케이블이 외부로 도출되는 복수의 케이블 도출부를 가지며, 상기 조인트 케이스의 내부를 슬라이딩하는 조인트 피스를 포함하고, 상기 조인트 케이스는, 상기 조인트 피스가 슬라이딩하는 조인트 케이스측 주슬라이딩면이 평탄하게 형성되고, 상기 조인트 피스는, 상기 조인트 케이스가 슬라이딩하는 조인트 피스측 주슬라이딩면에, 상기 조인트 케이스측 주슬라이딩면을 향해 상기 조인트 케이스측 주슬라이딩면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그 꼭대기부가 상기 조인트 케이스측 주슬라이딩면과 직교하는 방향에서의 상기 케이블 도출부에 대응한 위치에 위치하도록 형성된 볼록부를 갖는다.
본 발명에 의하면, 슬라이딩성이 양호하고 파손되기 어려운 조인트 피스를 구비한 케이블 조인트 및 이것을 구비한 케이블 조작 기구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케이블 조인트 및 케이블 조작 기구의 일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a)는 케이블 조인트의 덮개를 개방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b)는 케이블 조인트의 덮개를 폐쇄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상기 케이블 조인트의 케이블을 생략하고 덮개를 폐쇄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a)는 위에서 본 평면도, (b)는 (a)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3은 상기 케이블 조인트의 조인트 피스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a)는 상면측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b)는 하면측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상기 케이블 조인트의 조인트 피스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a)는 상면도, (b)는 하면도, (c)는 (a)의 B-B선 단면도, (d)는 (a)의 C-C선 단면도, (e)는 (a)의 D-D선 화살표 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도 5는 상기 케이블 조인트의 조인트 피스와 조인트 케이스의 관계를 나타내는 단면도로서, (a)는 조인트 피스를 조인트 케이스에 수용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b)는 조인트 피스를 조인트 케이스에 수용한 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실시형태의 케이블 조인트 및 케이블 조작 기구가 적용된 차량용 시트의 리클라이닝 장치의 개략 구성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5는, 실시형태의 케이블 조인트 및 케이블 조작 기구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실시형태의 케이블 조인트 및 케이블 조작 기구가 적용된 차량용 시트의 리클라이닝 장치의 개략 구성도이다.
케이블 조인트를 구비한 케이블 조작 기구는, 예컨대 차량의 시트의 리클라이닝 기구나 보닛의 개폐 기구 등에 사용되고 있다. 케이블 조작 기구에서의 케이블 조인트는, 조작측의 컨트롤 케이블(입력 케이블)의 조작력을 피조작측의 컨트롤 케이블(출력 케이블)에 전달하여, 피조작측의 기구 부재(피조작 부재)를 동작시키는 것이며, 조작측(입력측)의 컨트롤 케이블과 피조작측(출력측)의 컨트롤 케이블을 연결하는 연결 수단으로서 마련되어 있다.
<리클라이닝 장치>
본 발명의 일양태에 관한 케이블 조작 기구로서, 도 6의 차량용 시트의 리클라이닝 장치를 적용예를 들어 설명한다. 케이블 조작 기구(M)는, 시트 쿠션(101)과 시트백(103)을 구비한 차량용 시트(100)의 한쪽의 조작부에는 하나의 조작 레버(102)가 마련되어 있다. 한편, 시트(100)의 좌우 양측의 작동 기구부(피조작부)에는 2개의 록해제 레버(104)가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하나의 조작 레버(102)의 조작력을 2개의 록해제 레버(104)에 전달하기 위해, 조작측(입력측)의 1개의 컨트롤 케이블(CA)(제1 케이블)과 피조작측(출력측)의 2개의 컨트롤 케이블(CB1, CB2)(제2 케이블) 사이에 케이블 조인트(1)가 개재되어 있다. 컨트롤 케이블(CA)은 제1 케이블의, 컨트롤 케이블(CB1, CB2)은 제2 케이블의 일양태이다.
케이블 조작 기구(M)는, 이 케이블 조인트(1)와, 조작 레버(102)에 접속된 조작측(입력측)의 컨트롤 케이블(CA)과, 2개의 록해제 레버(104)에 각각 접속된 피조작측(출력측)의 컨트롤 케이블(CB1, CB2)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리클라이닝 장치에 있어서, 조작 레버(102)가 조작되면, 조작측의 컨트롤 케이블(CA)에 입력된 조작력이, 케이블 조인트(1)를 통해 피조작측(출력측)의 컨트롤 케이블(CB1, CB2)에 전달되어, 2개의 록해제 레버(104)가 구동된다. 이것에 의해, 시트백(103)의 록이 좌우 동시에 균형있게 해제되어, 시트백을 리클라이닝 상태(젖힐 수 있는 상태)로 할 수 있게 된다.
<컨트롤 케이블>
각 컨트롤 케이블은, 조작력을 전달하는 주체인 내측 케이블과, 내측 케이블이 안쪽으로 삽입 관통됨으로써 내측 케이블의 양쪽 단부 사이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보호하는 외측 케이싱을 구비하고 있다.
<케이블 조인트>
다음으로,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실시형태에 관한 케이블 조인트(1) 및 케이블 조작 기구(M)에 관해 자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실시형태의 케이블 조인트 및 케이블 조작 기구의 구성도로서, (a)는 케이블 조인트의 덮개를 개방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b)는 케이블 조인트의 덮개를 폐쇄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상기 케이블 조인트의 케이블을 생략하고 덮개를 폐쇄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a)는 위에서 본 평면도, (b)는 (a)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1의 (a),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케이블 조인트(1)는, 내측 케이블(5) 및 외측 케이싱(6)을 구비하는, 1개의 입력측 컨트롤 케이블(CA)과, 2개의 출력측 컨트롤 케이블(CB1, CB2) 사이를 연결하고 있다. 즉, 제1 케이블인 입력측 컨트롤 케이블(CA)의 조작력을, 제2 케이블인 출력측 컨트롤 케이블(CB1, CB2)에 전달한다. 컨트롤 케이블의 갯수는 용도에 따라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하며, 입력측과 출력측을 1개씩으로 해도 좋고, 입력측과 출력측을 2개씩으로 해도 좋다. 또한, 입력측을 2개로 하고, 출력측을 1개로 해도 좋다. 입력측을 2개로 하는 경우는, 2개 중의 어느 것이 조작되었을 때에, 그 조작력을 출력측에 전달할 필요가 있을 때에 적용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입력측과 출력측의 컨트롤 케이블의 갯수를 최대 2개까지 대응할 수 있도록 하고 있지만, 보다 많은 갯수에 대응할 수 있도록 구성을 변경할 수도 있다.
이 케이블 조인트(1)는, 조인트 케이스(10)와, 조인트 케이스(10)의 내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용된 조인트 피스(50)를 구비한다. 이들 조인트 케이스(10)와 조인트 피스(50)는 모두 합성 수지의 사출 성형체로 이루어지지만, 다른 재료로 구성되어 있어도 좋으며, 강도나 슬라이딩성 등의 케이블 조인트로서의 요구를 만족시키는 한 재료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이후의 설명을 알기 쉽게 하기 위해, 우선, 도 1에 있어서 케이블 조인트(1)의 방향성에 관해 설명한다. 여기서는, 케이블 조인트(1)의 폭방향을 X 방향, 길이 방향을 Y 방향, 높이 방향을 Z 방향으로 한다. X 방향과 Y 방향과 Z 방향은 서로 직교하는 방향이다. 케이블 조인트(1)의 형상은, Y 방향으로 긴 대략 직방체형상이며, 케이블 조인트(1)에 있어서 연결되는 입력측과 출력측의 컨트롤 케이블(CA, CB1, CB2)의 연장 방향과 Y 방향이 일치하고 있다. 또한, 조인트 피스(50)의 슬라이딩 방향(슬라이드 방향)은 Y 방향으로 설정되어 있다. X 방향은, 2개의 출력측 컨트롤 케이블(CB1, CB2)의 배열 방향에 일치하고 있다. 또, Z 방향은 상하 방향으로 설정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이 방향을 상하 방향이라고도 한다. 단, 케이블 조인트(1)가 차체 등의 부착 대상물에 부착되었을 때의 상하만을 말하는 것은 아니다.
<조인트 케이스>
도 1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인트 케이스(10)는 내부에, 조인트 피스(50)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용하는 수용 공간(S)을 구비하고 있다. 조인트 케이스(10)는, 수용 공간(S)을 형성하는 저벽(21)과 좌우의 측벽(22)을 가지며 상면이 개방되고 단면이 U자형인 케이스 본체(11)와, 케이스 본체(11)의 한쪽 측벽(22)에 힌지(12)를 통해 연결되어, 케이스 본체(11)의 상면 개구를 개폐하는 덮개(13)를 구비한다. 케이스 본체(11)의 다른쪽 측벽(22)과 덮개(13)의 서로 대응하는 개소에는, 도 1의 (b) 및 도 2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덮개(13)를 폐쇄했을 때에 서로 걸어 맞춰 덮개(13)를 폐쇄 위치에 록하는 록부(14, 15)가 각각 마련되어 있다.
케이스 본체(11)의 수용 공간(S)의 Y 방향(길이 방향)의 양쪽 단부에는, 컨트롤 케이블(CA, CB1, CB2)의 각 외측 케이싱(6)의 단부(7)를 고정하는 외측 케이싱 고정부(23)(컨트롤 케이블의 도입출부에 해당)가 마련되어 있다. 이들 각 외측 케이싱 고정부(23)는, 각 외측 케이싱(6)의 단부(7)를 고정하면서, 외측 케이싱(6)의 단부(7)로부터 그 단부(7)의 연장선상으로 돌출하는 내측 케이블(5)을, 수용 공간(S)의 내부로 도입하는 역할을 한다.
외측 케이싱 고정부(23)는, 케이스 본체(11)의 Y 방향의 양쪽 단부에, 각각 X 방향(폭방향)으로 나란히 2개씩 마련되어 있다. 하나의 외측 케이싱 고정부(23)에 대응하여, Y 방향으로 마련된 다른 외측 케이싱 고정부(23)는, Y 방향으로 평행한 동일 직선상에 배치되어 있다. 각 외측 케이싱 고정부(23)는, 상측(덮개가 배치되는 방향)으로부터 외측 케이싱(6)의 단부(7)를 삽입할 수 있도록 U홈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X 방향으로 나열된 2개의 U홈형의 외측 케이싱 고정부(23)의 공통의 가장자리에, 일단 삽입한 외측 케이싱(6)의 단부(7)가 쉽게 이탈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이탈 방지편(24)이 마련되어 있다.
케이스 본체(11)의 수용 공간(S)의 Y 방향의 길이는, 조인트 피스(50)의 슬라이딩폭(즉, 조작의 스트로크량)을 충분히 커버할 수 있는 치수로 설정되어 있다. 도 2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덮개(13)의 내면에는, 조인트 피스(50)가 닿은 상태로 슬라이딩한 경우에 조인트 피스(50)의 슬라이딩성을 좋게 하기 위한 레일형의 볼록 라인(25)이 X 방향으로 나란히 2개 마련되어 있다. 2개의 볼록 라인(25)은, 수용 공간(S)의 양 단부 사이의 길이에 대응시켜 Y 방향으로 평행하게 연속하여 연장되어 있다.
<조인트 피스>
다음으로 조인트 피스(50)에 관해 설명한다. 도 3 및 도 4는, 조인트 피스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3의 (a)는 상면측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b)는 하면측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4의 (a)는 평면도, (b)는 하면도, (c)는 (a)의 B-B선 단면도, (d)는 (a)의 C-C선 단면도, (e)는 (a)의 D-D선 화살표 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조인트 피스(50)는, 도 1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컨트롤 케이블(CA, CB1, CB2)의 외측 케이싱(6)으로부터 돌출된 내측 케이블(5)의 단부끼리를 연결하는 부재이다. 각 내측 케이블(5)의 단부에는, 조인트 피스(50)에 걸어 맞출 수 있도록 내측 케이블(5)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 구체형의 케이블 엔드(8)가 마련되어 있다. 케이블 엔드(8)의 형상은, 조인트 피스(50)에 걸릴 수 있는 형상이라면, 구형 이외의 형상(예컨대 원기둥형 등)이어도 좋으며,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인트 피스(50)는, 슬라이딩 방향인 Y 방향으로 긴 대략 직방체판형의 부재로서 형성되어 있다. 이 조인트 피스(50)는, 외형을 규정하는 외면으로서, X-Y 평면에 평행한 상면(51) 및 하면(52)과, Y-Z 평면에 평행한 좌우 측면(53)과, X-Z 평면에 평행한 Y 방향의 양 단부면(54)을 갖고 있다. 도 3의 Z 방향에 있어서, Z1 방향은 상측, Z2 방향은 하측을 나타내고 있다.
조인트 피스(50)에는, 길이 방향(Y 방향)의 중앙을 사이에 두고 양측에, X 방향으로 나란히 2개씩의 케이블 엔드 수납부(55)가 마련되어 있다. 케이블 엔드 수납부(55)는, 조인트 피스(50)의 내부에 Y 방향을 길이 방향으로 하는 긴 구멍형의 공동부로서 마련되어 있다. 각 케이블 엔드 수납부(55)는, 도 4의 (d)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면이 저면벽(55a)에 의해 막혀 있고, 상면이 조인트 피스(50)의 상면(51)에 상측 개구(55b)로서 개방되어 있다. 그리고, 도 1의 (a) 및 도 3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Y 방향의 외측 단부(Y 방향으로 나열된 2개의 케이블 엔드 수납부(55)의 서로 먼 쪽의 단부)가, 각 케이블의 단부인 케이블 엔드(8)가 걸리는 걸림부(55c)로서 형성되어 있다. 또, 걸림부(55c)는, 구체 피스형의 케이블 엔드(8)를 안정적으로 받치는 오목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조인트 피스(50)의 Y 방향의 양 단부면(54)에는, 걸림부(55c)로부터 연장되는 내측 케이블(5)을 조인트 피스(50)의 외부로 도출시키는 케이블 도출부로서, 케이블 도출홈(56)이 형성되어 있다. 케이블 도출홈(56)은, Y 방향으로 평행한 길이를 가지며, 조인트 피스(50)의 단부면(54)으로부터 케이블 엔드 수납부(55)에 연통하고, 조인트 피스(50)의 상면(51)으로부터 하면(52)으로 향하는 도중까지의 홈깊이를 갖는 단면이 U자형인 홈으로서 형성되어 있다(도 3 참조).
다음으로, 조인트 피스(50)의 하면(52)측의 구성에 관해,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서 자세히 설명한다. 도 5는, 조인트 피스(50)와 조인트 케이스(10)의 관계를 나타내는 단면도로서, (a)는 조인트 피스(50)를 조인트 케이스(10)에 수용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b)는 조인트 피스(50)를 조인트 케이스(10)에 수용한 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조인트 피스(50)의 하면(52)은, 조인트 케이스측 주슬라이딩면(21a)에 슬라이딩하는 조인트 피스측 주슬라이딩면(60)으로 되어 있다. 조인트 피스측 주슬라이딩면(60)에는, 도 5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인트 케이스측 주슬라이딩면(21a)을 향하여 조인트 케이스측 주슬라이딩면(21a)과 직교하는 방향(Z2 방향=하측)으로 약간 돌출된 볼록부(61)가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의 볼록부(61)는, 도 5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케이블 엔드 수납부(55)나 케이블 도출홈(56)이 형성된 조인트 피스 본체부(베이스부)(50A)로부터, 완만하게 팽창된 산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아래에서 본 경우, 조인트 피스 본체부(50A) 측(베이스부측)이 대면적이 되고, 선단측인 꼭대기부(61a)로 향할수록 소면적으로 되어 있다.
이 산형상의 각 볼록부(61)는, Y 방향을 따라서 동일 횡단면에서 연속하여 볼록 라인으로서 형성되어 있고, 4개의 케이블 엔드 수납부(55) 및 4개의 케이블 도출홈(56)에 각각 대응하여 동일한 형상으로 4개 형성되어 있다. 즉, Y 방향으로 나열된 2개의 볼록부(61)는, 조인트 피스(50)의 하면(52)의 Y 방향 중앙에 형성된 직사각형의 하측 개구(58)를 사이에 두고 배치되어 있고, 하측 개구(58)에 의해 이격되어 있음으로써 Y 방향으로 비연속으로 되어 있다. 또한, X 방향으로 나열된 2개의 볼록부(61)는, Y 방향의 위치가 서로 일치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조인트 피스(50)의 폭방향(X 방향) 중앙에 대하여 좌우 대칭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산형상의 각 볼록부(61)의 꼭대기부(61a)가, 조인트 케이스측 주슬라이딩면(21a)과 직교하는 방향(Z 방향)에서의 케이블 도출홈(56)에 대응한 위치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들 꼭대기부(61a)는, Y 방향을 따라서 각각 동일한 단면으로 연속하는 4개의 산형상의 볼록부(61)의 능선을 각각에 이루고 있다. 따라서, 4개의 볼록부(61)의 꼭대기부(61a)는, 조인트 피스(50)의 슬라이딩 방향인 Y 방향과 직교하고 또한 조인트 케이스측 주슬라이딩면(21a)을 따르는 X 방향으로 나열됨과 함께, 조인트 피스(50)의 슬라이딩 방향인 Y 방향으로도 나열된다.
또, 조인트 피스(50)의 하면(52)에 형성된 X 방향으로 나열된 2개의 하측 개구(58)는, 각각 케이블 엔드 수납부(55)에 연통하고 있다. 이와 같이 하측 개구(58)가 형성되는 것에 의해, 조인트 피스(50)의 접촉 면적의 저감에 의한 경량화와 슬라이딩성의 향상이 도모되고 있다. 또한, 조인트 피스(50)의 좌우 측면(53)의 Y 방향의 양쪽 단부에는, 조인트 케이스(10)의 측벽(22)의 내면에 조인트 피스(50)의 좌우 측면(53)이 슬라이딩했을 때에 슬라이딩 저항을 줄이기 위한 미소 볼록부(53a)가 형성되어 있다.
<케이블 조작 기구>
이상과 같이 구성된 케이블 조인트(1)를 이용하여 케이블 조작 기구(M)를 구성하는 경우는, 도 1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케이블 조인트(1)의 길이 방향(Y 방향)의 일단측(도 1의 (a)의 우단측)에 입력측의 1개의 컨트롤 케이블(CA)을 접속하고, 케이블 조인트(1)의 길이 방향(Y 방향)의 타단측(도 1의 (a)의 좌단측)에 출력측의 2개의 컨트롤 케이블(CB1, CB2)을 접속한다. 케이블 조인트(1)의 일단측과 타단측은 반대이어도 좋다.
부착 순서로는, 우선, 케이블 조인트(1)의 조인트 케이스(10)의 덮개(13)를 개방한 상태로 유지하고, 케이스 본체(11)의 수용 공간(S)에 조인트 피스(50)를 삽입한다. 그 때, 조인트 피스측 주슬라이딩면(60)이 조인트 케이스측 주슬라이딩면(21a)에 대면하도록, 상하의 방향을 적정하게 설정한 상태로, 케이스 본체(11)에 조인트 피스(50)를 삽입한다.
다음으로, 각 컨트롤 케이블(CA, CB1, CB2)의 외측 케이싱(6)으로부터 돌출된 내측 케이블(5)의 케이블 엔드(8)를, 조인트 피스(50)의 각 대응하는 케이블 엔드 수납부(55)에 상측 개구(55b)로부터 삽입한다. 즉, 입력측의 1개의 컨트롤 케이블(CA)의 내측 케이블(5)의 케이블 엔드(8)를, 조인트 피스(50)의 Y 방향 일방측의 2개의 케이블 엔드 수납부(55) 중 하나에 삽입하고, 출력측의 2개의 컨트롤 케이블(CB1, CB2)의 각 내측 케이블(5)의 케이블 엔드(8)를, 조인트 피스(50)의 Y 방향 타방측의 2개의 케이블 엔드 수납부(55)에 각각 삽입한다.
삽입된 케이블 엔드(8)는, 케이블 엔드 수납부(55)에 저면벽(55a)이 있는 것에 의해, 저면벽(55a)의 위에 실린 상태로 유지된다. 또한, 케이블 엔드(8)로부터 연장되는 내측 케이블(5)은, 케이블 도출홈(56)에 위로부터 삽입한다.
케이블 엔드(8)를 조인트 피스(50)의 케이블 엔드 수납부(55)에 삽입함에 따라, 동시에, 각 컨트롤 케이블(CA, CB1, CB2)의 외측 케이싱(6)의 단부(7)를, 케이스 본체(11)의 외측 케이싱 고정부(23)에 각각 고정한다.
이 상태에서, 각 컨트롤 케이블(CA, CB1, CB2)의 내측 케이블(5)에 인장력을 부여하면, 케이블 엔드(8)가 케이블 엔드 수납부(55) 내에서 이동하여 걸림부(55c)에 닿음으로써 조인트 피스(50)에 걸린다. 이 단계(또는 그 전의 단계)에서, 덮개(13)를 폐쇄하고, 록부(14, 15)로 덮개(13)를 폐쇄 위치에 록한다. 그렇게 함으로써, 케이블 조작 기구(M)가 완성된다. 도 5의 (b)는 그 때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케이블 조작 기구(M)에 있어서, 조작측의 컨트롤 케이블(CA)의 내측 케이블(5)이 잡아 당겨져 이동되면, 그 움직임이 조인트 피스(50)에 전달되고, 조인트 피스(50)가 이동함으로써, 2개의 피조작측의 컨트롤 케이블(CB1, CB2)의 내측 케이블(5)이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것에 의해, 조작측으로부터 피조작측으로 잡아 당기는 방향의 조작력이 전달되게 된다. 또한, 조작측의 컨트롤 케이블(CA)의 내측 케이블(5)이 밀려서 이동되면, 조인트 피스(50)가 반대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2개의 피조작측의 컨트롤 케이블(CB1, CB2)의 내측 케이블(5)이 조인트 피스(50)와 동일한 방향으로 밀려서 이동된다. 이것에 의해, 조작측으로부터 피조작측으로 밀어 내는 방향의 조작력이 전달되게 된다.
이러한 조작이 행해진 경우, 조인트 피스(50)는 조인트 케이스(10)의 내부에서 Y 방향으로 이동하고, 조인트 피스측 주슬라이딩면(60)이 조인트 케이스측 주슬라이딩면(21a)에 대하여 슬라이딩한다.
<효과>
실시형태의 조인트 케이스(10)에서는, 조인트 피스측 주슬라이딩면(60)에 볼록부(61)가 형성되고, 평탄한 조인트 케이스측 주슬라이딩면(21a)에 대하여 그 볼록부(61)가 슬라이딩하기 때문에, 평탄면끼리의 접촉에 의한 슬라이딩에 비교해서, 조인트 케이스(10)에 대한 조인트 피스(50)의 양호한 슬라이딩성이 확보된다.
또한, 도 5의 (a),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볼록부(61)의 꼭대기부(61a)가 조인트 케이스측 주슬라이딩면(21a)과 직교하는 방향에서의 조인트 피스(50)의 케이블 도출홈(56)에 대응한 위치에 형성되기 때문에, 케이블 도출홈(56)의 위치에서의 주슬라이딩면(60)측의 두께(T)를 꼭대기부(61a)의 높이(T1)만큼 크게 확보할 수 있다. 즉, 케이블 도출홈(56)이 있는 것에 의해, 조인트 케이스(10)는, 케이블 도출홈(56)의 위치에서의 주슬라이딩면(60)측의 두께(즉, 홈바닥부와 주슬라이딩면(60) 사이의 두께)(T0)가 국부적으로 작아지는 것이지만, 그 위치에 볼록부(61)의 꼭대기부(61a)가 위치하고 있는 것에 의해, 국부적으로 두께가 작아지는 부분이기는 하지만, 그 부분의 두께가 크게(꼭대기부(61a)의 높이(T1)만큼) 확보되게 된다. 또한, 케이블 도출홈(56)이, Y방향, 즉 케이블의 축방향과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기 때문에, 케이블에 Y 방향으로 힘이 가해지더라도 두께(T) 부분에서 힘을 받고, 나아가 그 힘이 꼭대기부(61a)로부터 조인트 케이스측 주슬라이딩면(21a)에서 받기 때문에, 조인트 케이스(10)는 안정적으로 케이블의 Y 방향의 힘을 받을 수 있다.
따라서, 케이블 도출홈(56)에 내측 케이블(5)이 삽입 관통된 상태에서, 내측 케이블(5)에 주슬라이딩면(60)측으로 압박되는 방향의 하중이 작용한 경우라 하더라도, 충분한 두께(T)가 확보되어 있는 것에 의해, 국부적으로 두께가 작아진 부분(두께(T) 부분)의 파손을 억제할 수 있게 된다.
참고로, 조인트 피스측 주슬라이딩면(60) 및 조인트 케이스측 주슬라이딩면(21a)에 직교하는 방향(Z2 방향=하측)으로 조인트 피스(50)가 압박 하중을 받는 경우로는, 컨트롤 케이블(CA, CB1, CB2)이 3차원적(비평면적)으로 라우팅되어 있는 경우를 생각할 수 있다. 예컨대, 컨트롤 케이블(CA, CB1, CB2)의 조인트 케이스(10) 외의 부분이 Z1 방향(상측)을 향해 만곡되어 있는 경우, 케이블 엔드(8)에, 조인트 피스(50)를 조인트 케이스측 주슬라이딩면(21a)에 압박하는 방향의 힘이 작용할 가능성이 있다.
그런데, 각 컨트롤 케이블(CA, CB1, CB2)의 외측 케이싱(6)의 단부(7)는, 외측 케이싱 고정부(23)에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그 관계에 따라, 컨트롤 케이블(CA, CB1, CB2)이 전술한 바와 같이 만곡되어 있는 경우라 하더라도, 내측 케이블(5)의 케이블 엔드(8)에는, 주슬라이딩면(60, 21a)에 직교하는 방향의 힘은 가해지기 어렵게 되어 있다.
그러나, 외측 케이싱(6)의 안쪽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 관통된 내측 케이블(5)과 외측 케이싱(6)의 사이에는 조금이나마 슬라이딩을 원활하게 유지하기 위한 간극이 존재한다. 그 때문에 그 간극으로 인해, 가령 외측 케이싱(6)의 단부(7)가 외측 케이싱 고정부(23)에 확실하게 고정되어 있는 경우라 하더라도, 내측 케이블(5)의 케이블 엔드(8)에는, 컨트롤 케이블(CA, CB1, CB2)의 만곡의 영향에 의한, 주슬라이딩면(60, 21a)에 직교하는 방향의 하중이 작용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또한, 외측 케이싱(6)의 단부(7)의 외측 케이싱 고정부(23)에 대한 고정이 느슨하거나 하면, 그 영향은 보다 크게 케이블 엔드(8)에 나타나기 쉬워진다.
본 실시형태의 조인트 케이스(10)에 의하면, 전술한 설명과 같이, 그와 같은 하중이 작용하는 경우라 하더라도, 그 하중의 영향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케이블 조인트(1)에 의하면, 조인트 피스(50)의 주슬라이딩면(60)의 볼록부(61)의 꼭대기부(61a)가, 조인트 피스(50)의 슬라이딩 방향과 직교하고, 또한, 조인트 피스측 주슬라이딩면(60) 및 조인트 케이스측 주슬라이딩면(21a)을 따르는 방향(X 방향)으로 복수 나열되어 있기 때문에, 조인트 피스(50)의 안정된 슬라이딩 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케이블 조인트(1)에 의하면, 조인트 피스측 주슬라이딩면(60)의 볼록부(61)의 꼭대기부(61a)가 하측 개구(58)를 개재함으로써, 슬라이딩 방향(Y 방향)으로 떨어져 비연속으로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슬라이딩 면적의 저감에 의한 슬라이딩 저항의 저감 효과를 더욱 발휘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케이블 조인트(1)에 의하면, 조인트 피스측 주슬라이딩면(60)의 볼록부(61)가 산형상으로 팽창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돌기형으로 형성된 볼록부에 비교해서 높은 강도를 발휘할 수 있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조인트 피스(50) 및 조인트 케이스(10)의 주슬라이딩면(60, 21a)이, 조인트 피스(50)의 하면(52) 및 케이스 본체(11)의 저벽(21)의 상면에 형성되어 있는 경우를 설명했지만, 주슬라이딩면이 그 밖의 부분에 형성되는 경우에도 본 발명은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본 발명의 케이블 조인트(1) 및 케이블 조작 기구(M)가, 차량 시트의 리클라이닝 장치에 적용된 경우를 상정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그 밖에 보닛의 개폐 장치나 연료 주입구의 개폐 기구 등에 적용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은, 복수의 케이블을 연결하고, 이들 복수의 케이블을 통해 조작력을 전달하는 것이라면, 특별히 용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차량 이외의 용도, 예컨대 주택의 창이나 도어의 개폐 기구에 이용해도 좋다.
M : 케이블 조작 기구
CA : 입력측(조작측)의 컨트롤 케이블(제1 케이블)
CB1, CB2 : 출력측(피조작측)의 컨트롤 케이블(제2 케이블)
1 : 케이블 조인트
5 : 내측 케이블(케이블)
6 : 외측 케이싱
7 : 단부
8 : 케이블 엔드
10 : 조인트 케이스
11 : 케이스 본체
12 : 힌지
13 : 덮개
14, 15 : 록부
21 : 저벽
21a : 조인트 케이스측 주슬라이딩면
22 : 측벽
23 : 외측 케이싱 고정부
24 : 이탈 방지편
25 : 볼록 라인
50 : 조인트 피스
50A : 조인트 피스 본체부(베이스부)
51 : 상면
52 : 하면
53 : 측면
53a : 미소 볼록부
54 : 단부면
55 : 케이블 엔드 수납부
55a : 저면벽
55b : 상측 개구
55c : 걸림부
56 : 케이블 도출홈(케이블 도출부)
58 : 하측 개구
60 : 조인트 피스측 주슬라이딩면
61 : 볼록부
61a : 꼭대기부
100 : 시트
101 : 시트 쿠션
102 : 조작 레버(조작부)
103 : 시트백
104 : 록해제 레버(피조작부)

Claims (5)

  1. 제1 케이블의 조작력을 제2 케이블에 전달하는 케이블 조인트로서,
    케이스 본체를 갖는 조인트 케이스와,
    상기 각 케이블의 단부가 걸리는 복수의 걸림부와, 상기 걸림부로부터 연장되는 케이블이 외부로 도출되는 복수의 케이블 도출부를 가지며, 상기 조인트 케이스의 내부를 슬라이딩하는 조인트 피스
    를 포함하고,
    상기 조인트 케이스는, 상기 조인트 피스가 슬라이딩하는 조인트 케이스측 주슬라이딩면이 평탄하게 형성되고,
    상기 케이블 도출부는, 상기 케이블의 축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케이블 도출홈을 구비하고,
    상기 수직한 방향은, 상기 조인트 케이스측 주슬라이딩면과 직교하는 방향이고,
    상기 조인트 피스는, 상기 조인트 케이스가 슬라이딩하는 조인트 피스측 주슬라이딩면에, 상기 조인트 케이스측 주슬라이딩면을 향해 상기 조인트 케이스측 주슬라이딩면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돌출하도록 마련된 볼록부를 갖고,
    상기 케이블에는, 상기 케이블이 안쪽으로 삽입 관통됨으로써, 상기 케이블의 양 단부 사이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보호하는 외측 케이싱이 마련되고,
    상기 케이스 본체는, 상기 조인트 피스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용하는 수용 공간과, 상기 수용 공간의 길이 방향의 양 단부에 마련되어, 상기 외측 케이싱의 단부를 고정하는 외측 케이싱 고정부를 가지며,
    상기 케이블과 상기 외측 케이싱 사이에는 간극이 마련되고,
    상기 볼록부의 꼭대기부가,
    상기 조인트 케이스측 주슬라이딩면과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 상기 케이블 도출홈의 홈바닥부와 상기 조인트 피스측 주슬라이딩면 사이의 두께 부분에 위치하고,
    상기 케이블 도출홈에 상기 케이블이 삽입 관통된 상태에서, 상기 케이블에, 상기 조인트 피스측 주슬라이딩면측에 압박되는 방향의 하중이 작용한 경우에, 상기 두께 부분이 상기 케이블로부터 상기 하중을 받아 상기 조인트 케이스측 주슬라이딩면이 상기 꼭대기부로부터 상기 하중을 받도록 마련되는 것인 케이블 조인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인트 피스는, 슬라이딩 방향과 직교하고 또한 상기 조인트 케이스측 주슬라이딩면을 따르는 방향으로 복수의 상기 꼭대기부를 갖는 것인 케이블 조인트.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꼭대기부는 슬라이딩 방향으로 비연속으로 형성되는 것인 케이블 조인트.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인트 피스는 상기 케이블 도출부가 형성되는 베이스부를 가지며,
    상기 볼록부는,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팽창하여, 상기 베이스부측이 대면적이고 선단측이 소면적인 산형상인 것인 케이블 조인트.
  5. 제1항 또는 제2항 중에 기재된 케이블 조인트와, 조작부에 접속되는 상기 제1 케이블과, 피조작부에 접속되는 상기 제2 케이블을 구비한 케이블 조작 기구.
KR1020187001703A 2015-07-23 2016-07-21 케이블 조인트 및 이것을 구비한 케이블 조작 기구 KR10211367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5145422A JP6598293B2 (ja) 2015-07-23 2015-07-23 ケーブルジョイント、および、これを備えたケーブル操作機構
JPJP-P-2015-145422 2015-07-23
PCT/JP2016/071337 WO2017014250A1 (ja) 2015-07-23 2016-07-21 ケーブルジョイント、および、これを備えたケーブル操作機構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7202A KR20180017202A (ko) 2018-02-20
KR102113679B1 true KR102113679B1 (ko) 2020-05-22

Family

ID=578344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01703A KR102113679B1 (ko) 2015-07-23 2016-07-21 케이블 조인트 및 이것을 구비한 케이블 조작 기구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550877B2 (ko)
JP (1) JP6598293B2 (ko)
KR (1) KR102113679B1 (ko)
CN (1) CN107636326B (ko)
WO (1) WO201701425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920820B2 (en) * 2018-10-26 2021-02-16 Leggett & Platt Canada Co. Noise reducing cable splitter
AU2019384923B2 (en) * 2018-11-20 2020-12-03 Husqvarna Ab Cable accumulator
CN113296204A (zh) * 2021-05-14 2021-08-24 扬州港信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光纤器件用封装的散热防护壳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75303A (ja) * 2007-01-18 2008-07-31 Toyota Motor Corp 車両用電動パーキングブレーキ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765877A (en) * 1954-02-24 1957-01-16 Truvox Lt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coupling devices for bowden type cables
JPS5222780A (en) 1975-08-11 1977-02-21 Tektronix Inc Rotary switch device
JPS5844623U (ja) * 1981-09-14 1983-03-25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イコライザ装置
JPS5915819U (ja) * 1982-07-20 1984-01-31 山田機械工業株式会社 二重ワイヤ−の連結装置
JPS6220015A (ja) * 1985-07-19 1987-01-2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集積回路の制御回路
US5138898A (en) * 1991-08-19 1992-08-18 Teleflex Incorporated Core element junction box
JP3066352B2 (ja) * 1997-11-07 2000-07-17 川崎重工業株式会社 コントロールケーブルの連結装置
JP2001208036A (ja) * 2000-01-28 2001-08-03 Maruyama Mfg Co Ltd ワイヤ装置及びスロットルワイヤ装置
DE10008963C1 (de) * 2000-02-25 2001-05-10 Faure Bertrand Sitztech Gmbh Vorrichtung zum gleichzeitigen Betätigen mehrerer Kraftfahrzeug-Sitzelementbereiche
JP4025710B2 (ja) * 2003-10-31 2007-12-26 三井金属鉱業株式会社 ケーブルの取付構造
US7350870B2 (en) * 2003-12-12 2008-04-01 Capro, Ltd. Integrated compensator module
JP4538793B2 (ja) * 2004-07-20 2010-09-08 株式会社ハイレックスコーポレーション コントロールケーブルの分岐装置
DE102008034770B4 (de) * 2008-07-25 2012-11-08 Audi Ag Fernbedienbare Seilkupplung für Fahrzeuge
ES2389886T3 (es) * 2010-06-24 2012-11-02 Dura Automotive Systems Gmbh Dispositivo de maniobra y puerta de vehículo con un dispositivo de maniobra de esta clase
JP5846850B2 (ja) * 2011-10-21 2016-01-20 株式会社ハイレックスコーポレーション コントロールケーブルの連結機構
JP2013177936A (ja) * 2012-02-28 2013-09-09 Hi-Lex Corporation アタッチメント部材およびコントロールケーブル連結構造
AT513601B1 (de) * 2013-02-06 2014-06-15 Siemens Ag Oesterreich Anschlußeinrichtung
JP6466639B2 (ja) * 2014-01-31 2019-02-06 株式会社ハイレックスコーポレーション 連結機構
JP6479522B2 (ja) * 2015-03-23 2019-03-06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ケーブル連結機構
JP6498136B2 (ja) * 2016-02-19 2019-04-10 株式会社ハイレックスコーポレーション ケーブル連結機構
BR102017004050B1 (pt) * 2016-03-03 2023-12-12 Southco, Inc Dispositivo e conjunto divisor de cabo e método de divisão de cabos
EP3267054B1 (en) * 2016-07-07 2019-02-20 Goodrich Actuation Systems Limited Control cable quick disconnect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75303A (ja) * 2007-01-18 2008-07-31 Toyota Motor Corp 車両用電動パーキングブレーキ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636326A (zh) 2018-01-26
KR20180017202A (ko) 2018-02-20
WO2017014250A1 (ja) 2017-01-26
JP6598293B2 (ja) 2019-10-30
JP2017026041A (ja) 2017-02-02
US20180216657A1 (en) 2018-08-02
CN107636326B (zh) 2021-07-30
US10550877B2 (en) 2020-0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13679B1 (ko) 케이블 조인트 및 이것을 구비한 케이블 조작 기구
JP5846850B2 (ja) コントロールケーブルの連結機構
WO2015019843A1 (ja) ワイヤハーネス及びコネクタ
CN108496015B (zh) 线缆连结机构
WO2015019841A1 (ja) コネクタ及びワイヤハーネス
JP6456720B2 (ja) ロック機構付き蓋
US20150147902A1 (en) Connector and mating connector
JP2019140046A (ja) コネクタ、コネクタ装置
JP2018114931A (ja) 車両用シートおよび車両
JP2011234474A (ja) プロテクタ
US10573995B2 (en) Connector assembly with dual secondary lock
JP2017112003A (ja) コネクタ
KR100802727B1 (ko) 시트 더블 폴딩 제한장치
JP6442335B2 (ja) ロック装置
KR101823383B1 (ko) 글로브박스
WO2017163519A1 (ja) 車両用シートスライド装置
WO2017110284A1 (ja) ケーブル操作構造
US11859655B2 (en) Linking mechanism
JP7175561B2 (ja) コンセントユニット
WO2021039609A1 (ja) 位置調整機構
JP5483580B2 (ja) 光コネクタ
JP4806795B2 (ja) ロック装置、什器
JP4787975B2 (ja) ロック装置、什器
US9640909B2 (en) Connector device
JP2019008967A (ja) コネクタハウジング、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治具セ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