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2930B1 - 배열 회수 시스템, 선박 - Google Patents

배열 회수 시스템, 선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2930B1
KR102112930B1 KR1020180137085A KR20180137085A KR102112930B1 KR 102112930 B1 KR102112930 B1 KR 102112930B1 KR 1020180137085 A KR1020180137085 A KR 1020180137085A KR 20180137085 A KR20180137085 A KR 20180137085A KR 102112930 B1 KR102112930 B1 KR 1021129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exchanger
line
state
water
stage h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70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41072A (ko
Inventor
가즈시 구와하타
신야 구로에다
다이스케 야마다
Original Assignee
미츠비시 조우센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츠비시 조우센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츠비시 조우센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1410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410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29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29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JAUXILIARIES ON VESSELS
    • B63J3/00Driving of auxiliaries
    • B63J3/02Driving of auxiliaries from propulsion power pla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2STEAM GENERATION
    • F22BMETHODS OF STEAM GENERATION; STEAM BOILERS
    • F22B1/00Methods of steam generation characterised by form of heating method
    • F22B1/02Methods of steam generation characterised by form of heating method by exploitation of the heat content of hot heat carriers
    • F22B1/18Methods of steam generation characterised by form of heating method by exploitation of the heat content of hot heat carriers the heat carrier being a hot gas, e.g. waste gas such as exhaust gas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2STEAM GENERATION
    • F22BMETHODS OF STEAM GENERATION; STEAM BOILERS
    • F22B1/00Methods of steam generation characterised by form of heating method
    • F22B1/02Methods of steam generation characterised by form of heating method by exploitation of the heat content of hot heat carriers
    • F22B1/18Methods of steam generation characterised by form of heating method by exploitation of the heat content of hot heat carriers the heat carrier being a hot gas, e.g. waste gas such as exhaust gas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22B1/1807Methods of steam generation characterised by form of heating method by exploitation of the heat content of hot heat carriers the heat carrier being a hot gas, e.g. waste gas such as exhaust gas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using the exhaust gases of combustion eng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1/00Use of propulsion power plant or units on vessels
    • B63H21/20Use of propulsion power plant or units on vessels the vessels being powered by combinations of different types of propulsion units
    • B63H2021/202Use of propulsion power plant or units on vessels the vessels being powered by combinations of different types of propulsion units of hybrid electric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JAUXILIARIES ON VESSELS
    • B63J2/00Arrangements of ventilation, heating, cooling, or air-conditioning
    • B63J2/12Heating; Cooling
    • B63J2002/125Heating; Cooling making use of waste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20/00Combustion technologies with mitigation potential
    • Y02E20/30Technologies for a more efficient combustion or heat usag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12Improving ICE efficienc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70/00Maritime or waterways transport
    • Y02T70/50Measures to reduce greenhouse gas emissions related to the propulsion system
    • Y02T70/5281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Engine Equipment That Uses Special Cycles (AREA)

Abstract

배열 회수 시스템 (40) 은, 배기 가스가 유통하는 유로를 형성하는 펀넬과, 유로 내에 형성된 제 2 단 열 교환기 (43) 와, 유로 내에 있어서의 제 2 단 열 교환기 (43) 보다 배기 가스의 흐름 방향 하류측에 형성된 제 3 단 열 교환기 (44) 와, 제 2 단 열 교환기 (43) 와 제 3 단 열 교환기 (44) 에 접속 가능하게 되어, 소정의 유량이 정상적으로 유통하는 저압 라인 (52) 과, 제 3 단 열 교환기 (44) 에 접속 가능하게 된 급수 라인 (53) 과, 저압 라인 (52) 이 제 2 단 열 교환기 (43) 에 접속됨과 함께 급수 라인 (53) 이 제 3 단 열 교환기 (44) 에 접속된 제 1 상태와, 저압 라인 (52) 을 제 2 단 열 교환기 (43) 와 제 3 단 열 교환기 (44) 에 접속한 제 2 상태 사이에서 저압 라인 (52) 및 급수 라인 (53) 의 접속 상태를 전환하는 전환부 (60) 를 구비한다.

Description

배열 회수 시스템, 선박{EXHAUST HEAT RECOVERY SYSTEM AND SHIP}
본 발명은, 배열 회수 시스템, 선박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에는, 시멘트 소성 플랜트, 금속 정련소, 화학 공장, 쓰레기 소각로 보일러 등에서 발생되는 배기 가스의 열 에너지에 의해 물을 가열하여, 증기를 생성하는 절탄기 (節炭器) (이코노마이저) 를 구비한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이 구성에 있어서, 절탄기에는, 펌프 (보일러 급수 펌프) 에 의해 물이 급수된다.
일본 특허공보 제5456525호
그런데, 배기 가스의 유로가 되는 연도 (煙道) 에서는, 예를 들어, 배기 가스에 함유되는 연료의 미연분이나 그을음 등에 착화되어, 이른바 백 파이어가 발생되는 경우가 있다. 통상시에는, 절탄기는, 증기를 생성하기 위해서 공급되고 있는 물에 의해 냉각되기 때문에, 백 파이어에 의한 소손 (燒損) 은 억제되고 있다. 그러나, 어떠한 원인으로, 절탄기에 공급되는 물의 양이 적을 때에 백 파이어가 발생되면 소손되어 버릴 가능성이 있다.
또, 예를 들어, 배기 가스에 황분이 함유되는 경우, 배기 가스 온도가 저하되면 황분이 석출되어, 황산이 생성된다. 이 황산에 의해, 절탄기나 연도가 부식되어 버릴 가능성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백 파이어나 황분의 석출에 의한 손상을 억제할 수 있는 배열 회수 시스템, 선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하의 수단을 채용한다.
본 발명의 제 1 양태에 의하면, 배열 회수 시스템은, 배기 가스가 유통하는 유로를 형성하는 유로 형성부와, 상기 유로 내에 형성된 1 차 열 교환기와, 상기 유로 내에 있어서의 상기 1 차 열 교환기보다 상기 배기 가스의 흐름 방향 하류측에 형성된 2 차 열 교환기와, 상기 1 차 열 교환기와 상기 2 차 열 교환기에 접속 가능하게 되어, 소정의 유량이 정상적으로 유통하는 제 1 라인과, 상기 2 차 열 교환기에 접속 가능하게 된 제 2 라인과, 상기 제 1 라인이 상기 1 차 열 교환기에 접속됨과 함께 상기 제 2 라인이 상기 2 차 열 교환기에 접속된 제 1 상태와, 상기 제 1 라인을 상기 1 차 열 교환기와 상기 2 차 열 교환기에 접속한 제 2 상태 사이에서 상기 제 1 라인 및 상기 제 2 라인의 접속 상태를 전환하는 전환부를 구비한다.
통상적인 상태에 있어서는, 제 1 라인이 1 차 열 교환기에 접속됨과 함께 제 2 라인이 2 차 열 교환기에 접속된 제 1 상태로 한다. 1 차 열 교환기보다 배기 가스의 흐름 방향 하류측에 형성된 2 차 열 교환기에 있어서, 백 파이어나 황분의 석출에 의한 손상이 발생할 것 같은 경우에는, 전환부에서 제 1 라인 및 제 2 라인의 접속 상태를 제 2 상태로 전환한다.
예를 들어, 제 1 상태에서 2 차 열 교환기를 흐르는 물의 유량이 적어진 경우, 제 2 상태로 전환함으로써, 소정의 유량이 정상적으로 유통하는 제 1 라인으로부터 2 차 열 교환기에 물이 보내진다. 이로써, 2 차 열 교환기에서 백 파이어에 의한 소손이 잘 발생되지 않게 된다.
또, 배기 가스는, 1 차 열 교환기, 2 차 열 교환기에서 순차 열 교환을 실시하는 결과, 상류측으로부터 하류측을 향해 배기 가스의 온도가 낮아진다. 이 때문에, 제 1 상태에서는, 1 차 열 교환기보다 배기 가스의 흐름 방향 하류측에 형성된 2 차 열 교환기를 흐르는 물의 온도는, 1 차 열 교환기를 흐르는 물의 온도보다 낮아진다. 이에 반해, 제 2 상태에 있어서, 제 1 라인으로부터 1 차 열 교환기와 2 차 열 교환기에, 제 1 라인보다 높은 온도의 물을 보내면, 2 차 열 교환기를 흐르는 물의 온도가 높아진다. 그러면, 2 차 열 교환기의 주위의 배기 가스 온도의 저하가 억제되어, 황분의 석출을 억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백 파이어나 황분의 석출에 의한 손상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양태에 의하면, 제 1 양태에 관련된 상기 전환부는, 상기 제 2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 2 라인을 상기 2 차 열 교환기로부터 떼어내도록 해도 된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제 2 상태에서는, 2 차 열 교환기에, 제 1 라인으로부터만 물이 공급된다. 이로써, 2 차 열 교환기에 보내지는 물의 양을 보다 많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3 양태에 의하면, 제 1 또는 제 2 양태에 관련된 상기 전환부는, 상기 제 2 상태에 있어서, 상기 2 차 열 교환기를 거친 물을 상기 1 차 열 교환기에 공급하도록 해도 된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제 2 상태에서는, 2 차 열 교환기에서 배기 가스와 열 교환함으로써, 온도가 상승된 물이 1 차 열 교환기에 공급된다. 이로써, 1 차 열 교환기에 있어서, 물을 효율적으로 가열할 수 있어, 열 에너지의 유효 이용이 도모된다.
본 발명의 제 4 양태에 의하면, 제 1 내지 제 3 양태 중 어느 하나의 양태에 관련된 상기 제 2 라인은, 상기 제 2 라인에 접속된 부하 장치에 있어서의 부하량에 따라 유량이 변동되도록 해도 된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부하 장치에 있어서의 부하량에 의해, 제 2 라인에 있어서의 물의 유량이 감소된 경우, 전환부에서 제 2 상태로 전환하여 제 1 라인으로부터 2 차 열 교환기에 물을 공급할 수 있다. 이로써, 2 차 열 교환기에 공급되는 유량을 늘릴 수 있다. 그 결과, 2 차 열 교환기의 소손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5 양태에 의하면, 제 4 양태에 관련된 배열 회수 시스템은, 상기 제 2 라인에 있어서의 물의 유량을 검출하는 유량 검출부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전환부는, 상기 제 1 상태일 때에, 상기 유량 검출부에서 검출되는 상기 제 2 라인에 있어서의 물의 유량이 미리 정한 임계치를 하회한 경우, 상기 제 2 상태로 전환하도록 해도 된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제 1 상태에 있어서, 유량 검출부에서 검출되는 제 2 라인에 있어서의 물의 유량이 미리 정한 임계치를 하회한 경우, 제 2 상태로 전환함으로써, 2 차 열 교환기에 공급되는 유량을 늘릴 수 있다. 그 결과, 2 차 열 교환기의 소손을 보다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6 양태에 의하면, 제 1 내지 제 5 양태 중 어느 하나의 양태에 관련된 상기 전환부는, 상기 배기 가스를 생성하는 배기 가스 생성부에서 사용하는 연료의 종류에 따라, 상기 제 1 상태 및 상기 제 2 상태의 어느 일방을 선택적으로 전환하도록 해도 된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예를 들어, 황분의 함유량이 적은 연료를 사용하는 경우, 제 1 상태를 선택하고, 황분의 함유량이 많은 연료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제 2 상태를 선택할 수 있다. 황분의 함유량이 많은 연료를 사용하는 경우, 배기 가스에 함유되는 황분이 많아진다. 이와 같은 경우에 제 2 상태를 선택함으로써, 2 차 열 교환기에는, 제 1 라인을 통해, 1 차 열 교환기를 흐르는 것보다 고온의 물이 흐른다. 이로써, 2 차 열 교환기의 주위의 배기 가스 온도의 저하가 억제되어, 황분의 석출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7 양태에 의하면, 제 6 양태에 관련된 상기 전환부는, 상기 연료에 함유되는 황분이 미리 정한 기준치를 상회하는 경우, 상기 제 2 상태를 선택하도록 해도 된다.
연료에 함유되는 황분이 미리 정한 기준치를 상회하는 경우, 제 2 상태를 선택함으로써, 2 차 열 교환기의 주위에 있어서의 배기 가스 온도의 저하가 확실하게 억제된다. 이로써, 황분의 석출을 보다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8 양태에 의하면, 제 1 내지 제 7 양태 중 어느 하나의 양태에 관련된 배열 회수 시스템은, 상기 전환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추가로 구비하도록 해도 된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제 2 라인에 있어서의 물의 유량이나, 연료의 종류등에 따라, 전환부에서 제 1 상태와 제 2 상태를 자동적으로 전환할 수 있다. 이로써, 백 파이어나 황분의 석출에 의한 손상을 보다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9 양태에 의하면, 선박은, 제 1 내지 제 8 양태 중 어느 하나의 양태에 관련된 배열 회수 시스템을 구비한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백 파이어나 황분의 석출에 의한 손상을 억제할 수 있는 배열 회수 시스템을 구비한 선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0 양태에 의하면, 제 9 양태에 관련된 선박은, 연료를 연소시킴으로써 발생된 구동력에 의해 구동되는 발전기와, 상기 발전기에서 발생된 전력에 의해 구동되는 전동기와, 상기 전동기의 구동력에 의해 추진력을 발생시키는 제 1 추진력 발생부와, 상기 제 2 라인을 통하여 보내진 물을 가열하여 증기를 생성하는 보일러와, 상기 보일러에서 생성된 증기에 의해 구동되는 증기 터빈과, 상기 증기 터빈의 구동력에 의해 추진력을 발생시킬 때에 제 2 추진력 발생부를 구비하도록 해도 된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제 1 추진력 발생부의 구동원이 되는 발전기에서 구동력을 발생시키기 위해서, 연료를 연소시키면, 배기 가스가 발생된다. 이 발생된 배기 가스의 열 에너지를 이용하여, 배열 회수 시스템의 1 차 열 교환기, 2 차 열 교환기에서 물을 가열한다. 가열된 물을 제 2 추진력 발생부측의 보일러에 보냄으로써, 증기를 효율적으로 생성할 수 있다. 이로써, 제 1 추진력 발생부 및 제 2 추진력 발생부를 구비한 선박에 있어서, 열 에너지를 유효하게 이용하면서, 백 파이어나 황분의 석출에 의한 손상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배열 회수 시스템, 선박에 의하면, 백 파이어나 황분의 석출에 의한 손상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배열 회수 시스템을 구비한 선박의 선미부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는, 도 1 의 A-A 화살표 방향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3 은,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배열 회수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 는, 상기 실시형태의 배열 회수 시스템의 전환부를 제 1 상태로 했을 때의 물의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 는, 상기 실시형태의 배열 회수 시스템의 전환부를 제 2 상태로 했을 때의 물의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 은, 상기 전환부의 전환 제어의 흐름을 나타내는 플로 차트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배열 회수 시스템, 선박을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 은,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배열 회수 시스템을 구비한 선박의 선미부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는, 도 1 의 A-A 화살표 방향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실시형태의 선박 (10) 은, 선체 (11) 와, 제 1 추진 기구 (제 1 추진력 발생부) (20) 와, 제 2 추진 기구 (제 2 추진력 발생부) (30) (도 2 참조) 와, 배열 회수 시스템 (40) 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이 실시형태의 설명에 있어서는, 두 개의 스케그를 가진 트윈 스케그선을 일례로 하여 설명하지만, 트윈 스케그선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선체 (11) 는, 그 선미부 (11b) 의 선저 (12) 에, 경사면 (12s) 을 가지고 있다. 경사면 (12s) 은, 선수 (도시 없음) 측으로부터 선미부 (11b) 측을 향함에 따라, 점차 상방으로 경사져 있다. 도 1,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저 (12) 의 경사면 (12s) 에는, 선폭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좌우 1 쌍의 스케그 (13A, 13B) 가 형성되어 있다. 좌우 1 쌍의 스케그 (13A, 13B) 는, 각각, 경사면 (12s) 으로부터 후방을 향하여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 1 추진 기구 (20) 는, 엔진 (배기 가스 생성부) (21) 과, 발전기 (22) 와, 전동기 (23) 와, 프로펠러축 (24) 과, 프로펠러 (25) 를 구비하고 있다.
엔진 (21) 은, 연료를 연소시킴으로써 출력축 (도시 없음) 을 회전 구동시킨다. 엔진 (21) 의 출력축은, 발전기 (22) 에 연결되어 있다. 엔진 (21) 은, 연료로서, LNG (Liquefied Natural Gas), 연료유 (Fuel oil) 등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엔진 (21) 은, 연료유 중, HFO (Heavy Fuel Oil : 중질 연료유) 를 연료로서 사용할 수 있다. 발전기 (22) 는, 엔진 (21) 의 출력축의 회전이 전달됨으로써 구동되어, 전력을 발생시킨다.
전동기 (23) 는, 발전기 (22) 에서 발생된 전력에 의해, 프로펠러축 (24) 을 그 중심축 둘레로 회전 구동시킨다.
프로펠러축 (24) 은, 스케그 (13A) 에 형성되어 있다. 프로펠러축 (24) 은, 그 일단 (24a) 이 선체 (11) 내에서 전동기 (23) 에 접속되고, 타단 (24b) 이, 선체 (11) 내로부터 스케그 (13A) 의 후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프로펠러 (25) 는, 프로펠러축 (24) 의 타단 (24b) 에 일체로 고정되어, 프로펠러축 (24) 과 일체로 회전한다.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추진 기구 (30) 는, 메인 보일러 (보일러) (31) 와, 증기 터빈 (부하 장치) (32) 과, 프로펠러축 (34) 과, 프로펠러 (35) 를 구비하고 있다.
메인 보일러 (31) 는, 물을 가열함으로써, 증기를 발생시킨다.
증기 터빈 (32) 은, 메인 보일러 (31) 에서 생성된 증기에 의해, 프로펠러축 (34) 을 그 중심축 둘레로 회전 구동시킨다.
프로펠러축 (34) 은, 스케그 (13B) 에 형성되어 있다. 프로펠러축 (34) 은, 그 일단 (34a) 이 선체 (11) 내에서 증기 터빈 (32) 에 접속되고, 타단 (34b) 이, 선체 (11) 내로부터 스케그 (13B) 의 후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프로펠러 (35) 는, 프로펠러축 (34) 의 타단 (34b) 에 일체로 고정되고, 프로펠러축 (34) 과 일체로 회전한다.
이와 같은 제 1 추진 기구 (20), 및 제 2 추진 기구 (30) 는, 전동기 (23) 및 증기 터빈 (32) 에 의해, 프로펠러축 (24, 34) 이 그 중심축 둘레로 회전 구동됨으로써, 프로펠러 (25, 35) 가 소정 방향으로 회전하여, 선박 (10) 의 추진력을 발휘한다.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박 (10) 은, 선체 (11) 의 선미부 (11b) 의 상부에, 펀넬 (유로 형성부) (18) 을 구비하고 있다. 펀넬 (18) 은, 통형상이며,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펀넬 (18) 은, 엔진 (21) 에서 연료를 연소시키는 것에 의해 발생되는 배기 가스의 유로 (18r) 를 형성한다.
도 3 은,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배열 회수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열 회수 시스템 (40) 은, 절탄기 (41) 와, 고압 라인 (51) 과, 저압 라인 (제 1 라인) (52) 과, 급수 라인 (제 2 라인) (53) 과, 전환부 (60) 와, 제어부 (70) 를 구비한다.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절탄기 (41) 는, 예를 들어, 펀넬 (18) 내에 형성되어 있다. 절탄기 (41) 는, 펀넬 (18) 의 유로 (18r) 를 흐르는 배기 가스의 열을 회수하여, 증기를 생성하기 위한 물을 가열한다.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 절탄기 (41) 는, 배기 가스의 흐름 방향 상류측으로부터 하류측을 향해 삼단의 제 1 단 열 교환기 (42), 제 2 단 열 교환기 (1 차 열 교환기) (43), 제 3 단 열 교환기 (2 차 열 교환기) (44) 를 구비하고 있다.
제 1 단 열 교환기 (42), 제 2 단 열 교환기 (43), 제 3 단 열 교환기 (44) 는, 각각, 입구 헤더관 (45), 출구 헤더관 (46), 지관 (枝管) (47) 을 구비하고 있다. 입구 헤더관 (45) 과 출구 헤더관 (46) 은, 물의 흐름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지관 (47) 은, 입구 헤더관 (45) 과 출구 헤더관 (46) 을 연통한다. 지관 (47) 은, 복수 개가 나란히 설치되어 있다. 이로써, 입구 헤더관 (45) 으로 유입된 물은, 복수 개의 지관 (47) 으로 분기되어 흐른다. 복수의 지관 (47) 을 거친 물은, 출구 헤더관 (46) 으로 유입된다.
제 1 단 열 교환기 (42), 제 2 단 열 교환기 (43), 제 3 단 열 교환기 (44) 는, 각각, 펀넬 (18) 의 유로 (18r) 를 흐르는 배기 가스의 열 에너지에 의해, 입구 헤더관 (45) 으로부터 복수의 지관 (47) 을 거쳐 출구 헤더관 (46) 으로 흐르는 물을 가열한다. 여기서, 제 1 단 열 교환기 (42), 제 2 단 열 교환기 (43), 제 3 단 열 교환기 (44) 의 각각에서 물과의 열 교환을 실시하는 것에 의해, 펀넬 (18) 의 유로 (18r) 내의 배기 가스는, 그 온도가 서서히 저하된다. 즉, 제 1 단 열 교환기 (42), 제 2 단 열 교환기 (43), 제 3 단 열 교환기 (44) 는, 배기 가스의 흐름 방향 최상류측의 제 1 단 열 교환기 (42) 가 고온측, 흐름 방향 최하류측의 제 3 단 열 교환기 (44) 가 저온측이 된다.
고압 라인 (51) 은, 고압 입구측 라인 (51A) 과, 고압 출구측 라인 (51B) 을 구비하고 있다. 고압 입구측 라인 (51A) 은, 세퍼레이터 (19) 에서 증기와 분리된 물을, 펌프 (19p) 를 통하여 제 1 단 열 교환기 (42) 의 입구 헤더관 (45) 에 공급한다.
고압 출구측 라인 (51B) 은, 제 1 단 열 교환기 (42) 에서 배기 가스와 열 교환함으로써 가열되어 증기와 물이 혼재한 물을 출구 헤더관 (46) 으로부터 세퍼레이터 (19) 에 공급한다. 세퍼레이터 (19) 는, 제 1 단 열 교환기 (42) 에서 가열된 물과 증기를 분리한다. 세퍼레이터 (19) 에서 분리된 증기는, 선내 증기로서 공급된다. 이와 같이, 제 1 단 열 교환기 (42) 에서 가열된 물을 세퍼레이터 (19) 에 공급함으로써, 세퍼레이터 (19) 에서 증기를 생성하는 데에 필요한 에너지량이 억제된다. 또한, 상기 세퍼레이터 (19) 대신에, 보조 보일러를 사용하도록 해도 된다.
저압 라인 (52) 은, 저압 입구측 라인 (52A) 과, 저압 출구측 라인 (52B) 을 구비하고 있다.
저압 입구측 라인 (52A) 은, 세퍼레이터 (55) 에서 증기와 분리된 물을, 펌프 (56) 를 통하여 제 2 단 열 교환기 (43) 의 입구 헤더관 (45) 에 공급한다.
저압 출구측 라인 (52B) 은, 제 2 단 열 교환기 (43) 에서 가열됨으로써 증기와 물이 혼재한 물을 출구 헤더관 (46) 으로부터 세퍼레이터 (55) 에 공급한다. 세퍼레이터 (55) 는, 제 2 단 열 교환기 (43) 에서 가열된 물과 증기를 분리한다. 이와 같이 하여, 세퍼레이터 (55) 에서 분리된 증기는, 증기 터빈 (32) 이나 선내 증기로서 공급된다. 또, 증기의 생성에 따라 감소한 만큼의 물은, 외부로부터의 급수에 의해 보급된다.
급수 라인 (53) 은, 급수 입구측 라인 (53A) 과, 급수 출구측 라인 (53B) 을 구비한다.
급수 입구측 라인 (53A) 은, 증기 터빈 (32) 으로부터 배출되어, 복수기 (復水器) (33), 히터 (도시 없음) 를 거친 물을 제 3 단 열 교환기 (44) 의 입구 헤더관 (45) 에 보낸다. 히터 (도시 없음) 는, 예를 들어, 제 2 단 열 교환기 (43) 에서 가열된 물 (증기) 을 열원으로 하여, 급수 입구측 라인 (53A) 의 물을 가열한다.
급수 출구측 라인 (53B) 은, 제 3 단 열 교환기 (44) 에서 배기 가스와 열 교환함으로써 가열된 물을 탈기기 (36) 에 공급한다. 탈기기 (36) 에서는, 제 3 단 열 교환기 (44) 에서 가열된 물로부터 산소를 제거한다. 탈기기 (36) 를 거친 물은, 펌프 (38), 히터 (39) 를 거쳐, 메인 보일러 (31) 에 공급된다. 히터 (39) 는, 제 1 단 열 교환기 (42) 에서 가열된 물 (증기) 을 열원으로 하여, 급수 출구측 라인 (53B) 의 물을 가열한다. 이와 같이, 제 3 단 열 교환기 (44) 에서 가열된 물을 메인 보일러 (31) 에 공급함으로써, 메인 보일러 (31) 에서 증기를 생성하는 데에 필요한 에너지량이 억제된다.
전환부 (60) 는, 저압 라인 (52) 과, 급수 라인 (53) 의 접속 상태를 전환한다. 전환부 (60) 는, 제 1 삼방 밸브 (61) 와, 제 2 삼방 밸브 (62) 와, 제 3 삼방 밸브 (63) 와, 제 1 바이패스 라인 (64) 과, 제 2 바이패스 라인 (65) 과, 제 3 바이패스 라인 (66) 을 구비하고 있다.
제 1 삼방 밸브 (61) 는, 저압 입구측 라인 (52A) 에 형성되어 있다. 제 2 삼방 밸브 (62) 는, 급수 입구측 라인 (53A) 에 형성되어 있다. 제 3 삼방 밸브 (63) 는, 급수 출구측 라인 (53B) 에 형성되어 있다.
제 1 바이패스 라인 (64) 은, 제 1 삼방 밸브 (61) 와 제 2 단 열 교환기 (43) 의 입구 헤더관 (45) 사이의 저압 입구측 라인 (52A) 과, 급수 입구측 라인 (53A) 에 형성된 제 2 삼방 밸브 (62) 를 접속하고 있다.
제 2 바이패스 라인 (65) 은, 제 3 삼방 밸브 (63) 와 제 3 단 열 교환기 (44) 의 출구 헤더관 (46) 사이의 급수 출구측 라인 (53B) 과, 저압 입구측 라인 (52A) 에 형성된 제 1 삼방 밸브 (61) 를 접속하고 있다.
제 3 바이패스 라인 (66) 은, 제 2 삼방 밸브 (62) 보다 증기 터빈 (32) 측에 위치하는 급수 입구측 라인 (53A) 과, 급수 출구측 라인 (53B) 에 형성된 제 3 삼방 밸브 (63) 를 접속하고 있다.
전환부 (60) 는, 제 1 삼방 밸브 (61), 제 2 삼방 밸브 (62), 및 제 3 삼방 밸브 (63) 를 전환함으로써, 저압 라인 (52) 과 급수 라인 (53) 의 접속 상태를 제 1 상태와 제 2 상태로 전환한다.
도 4 는, 상기 실시형태의 배열 회수 시스템의 전환부를 제 1 상태로 했을 때의 물의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 는, 상기 전환부를 제 2 상태로 했을 때의 물의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상태에서는, 제 1 삼방 밸브 (61), 제 2 삼방 밸브 (62), 제 3 삼방 밸브 (63) 는, 저압 입구측 라인 (52A), 급수 입구측 라인 (53A), 급수 출구측 라인 (53B) 을 연통시켜 통수 가능한 상태로 한다. 즉, 제 1 삼방 밸브 (61), 제 2 삼방 밸브 (62), 제 3 삼방 밸브 (63) 는, 제 1 바이패스 라인 (64), 제 2 바이패스 라인 (65) 을 저압 입구측 라인 (52A), 급수 입구측 라인 (53A), 급수 출구측 라인 (53B) 으로부터 차단한다. 이로써, 저압 라인 (52) 에 있어서는, 펌프 (56) 에 의해 소정의 유량이 정상적으로, 세퍼레이터 (55) 로부터 저압 입구측 라인 (52A) 을 거쳐 제 2 단 열 교환기 (43) 에 공급된다. 제 2 단 열 교환기 (43) 에서 가열된 물 (증기) 은, 저압 출구측 라인 (52B) 을 거쳐 세퍼레이터 (55) 에 공급된다. 또, 급수 라인 (53) 에 있어서는, 급수 입구측 라인 (53A) 으로부터 제 3 단 열 교환기 (44) 에 보내져 가열된 물은, 급수 출구측 라인 (53B) 을 거쳐 탈기기 (36) 에 공급된다.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상태에서는, 제 1 삼방 밸브 (61), 제 2 삼방 밸브 (62), 제 3 삼방 밸브 (63) 는, 제 1 바이패스 라인 (64) 을 저압 입구측 라인 (52A) 과 급수 입구측 라인 (53A) 에 연통시키고, 제 2 바이패스 라인 (65) 을 급수 출구측 라인 (53B) 과 저압 입구측 라인 (52A) 에 연통시킨다. 이로써, 펌프 (56) 에 의해 세퍼레이터 (55) 로부터 소정의 유량으로 송출되는 물은, 저압 입구측 라인 (52A), 제 1 삼방 밸브 (61), 제 2 바이패스 라인 (65), 급수 출구측 라인 (53B) 을 거쳐, 제 3 단 열 교환기 (44) 의 출구 헤더관 (46) 에 보내진다. 제 3 단 열 교환기 (44) 에서 배기 가스와 열 교환함으로써 가열된 물은, 제 3 단 열 교환기 (44) 의 입구 헤더관 (45) 으로부터, 급수 입구측 라인 (53A), 제 2 삼방 밸브 (62), 제 1 바이패스 라인 (64), 저압 입구측 라인 (52A) 을 거쳐, 제 2 단 열 교환기 (43) 의 입구 헤더관 (45) 에 보내진다. 제 2 단 열 교환기 (43) 에서 배기 가스와 열 교환함으로써 가열된 물은, 제 2 단 열 교환기 (43) 의 출구 헤더관 (46) 으로부터 저압 출구측 라인 (52B) 을 거쳐 세퍼레이터 (55) 에 공급된다. 또, 이 제 2 상태에 있어서, 증기 터빈 (32) 으로부터 복수기 (33) 를 거쳐 급수 입구측 라인 (53A) 에 보내진 물은, 제 3 단 열 교환기 (44) 를 통과하지 않고, 제 3 바이패스 라인 (66) 으로부터 급수 출구측 라인 (53B) 에 보내져, 그대로 탈기기 (36) 에 공급된다.
제어부 (70) 는, 제 1 삼방 밸브 (61), 제 2 삼방 밸브 (62), 및 제 3 삼방 밸브 (63) 의 전환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저압 라인 (52) 과 급수 라인 (53) 의 접속 상태를 전환한다.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어부 (70) 는, 예를 들어, 급수 출구측 라인 (53B) 에 형성된 유량 센서 (유량 검출부) (71) 에서 검출되는, 급수 출구측 라인 (53B) 의 유량에 기초하여, 제 1 상태 또는 제 2 상태를 선택한다. 제어부 (70) 는, 통상시에는, 저압 라인 (52) 과 급수 라인 (53) 의 접속 상태가 상기 제 1 상태가 되도록, 제 1 삼방 밸브 (61), 제 2 삼방 밸브 (62), 및 제 3 삼방 밸브 (63) 의 전환 동작을 제어한다. 유량 센서 (71) 에서 검출되는 급수 출구측 라인 (53B) 의 유량이, 미리 정한 임계치를 하회한 경우, 제어부 (70) 는, 제 1 삼방 밸브 (61), 제 2 삼방 밸브 (62), 및 제 3 삼방 밸브 (63) 의 전환 동작을 제어하고, 저압 라인 (52) 과 급수 라인 (53) 의 접속 상태가 제 2 상태가 되도록 한다. 이 제 2 상태에 있어서, 제 3 단 열 교환기 (44) 에는, 펌프 (56) 에 의해 소정의 유량의 물이 공급된다. 이 때문에, 제 3 단 열 교환기 (44) 에 있어서, 물의 유량이 부족한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급수 출구측 라인 (53B) 의 유량은, 상기와 같이 유량 센서 (71) 에서 검출해도 되지만, 메인 보일러 (31) 의 급수량, 증기 발생량의 데이터에 기초하여 취득해도 된다.
제어부 (70) 는, 예를 들어, 엔진 (21) 에서 연소시키는 연료의 종류에 따라, 제 1 상태 또는 제 2 상태를 선택한다. 구체적으로는, 엔진 (21) 에서 연소시키는 연료에 함유되는 황분의 양 (농도) 에 따라, 제어부 (70) 는, 제 1 상태 또는 제 2 상태를 선택한다. 그 때문에, 제어부 (70) 에서는, 엔진 (21) 에서 연소시키는 연료의 종류를 미리 외부로부터 등록된 연료 정보 등으로부터 취득한다. 제어부 (70) 는, 통상시 (황분이 적은 연료를 사용하는 경우) 에는, 저압 라인 (52) 과 급수 라인 (53) 의 접속 상태가 상기 제 1 상태가 되도록, 제 1 삼방 밸브 (61), 제 2 삼방 밸브 (62), 및 제 3 삼방 밸브 (63) 의 전환 동작을 제어한다. 또, HFO 등, 황분이 미리 정해진 기준치 이상인 연료를 사용하는 경우, 제어부 (70) 는, 제 1 삼방 밸브 (61), 제 2 삼방 밸브 (62), 및 제 3 삼방 밸브 (63) 의 전환 동작을 제어하고, 저압 라인 (52) 과 급수 라인 (53) 의 접속 상태가 제 2 상태가 되도록 한다. 이 제 2 상태에 있어서, 제 3 단 열 교환기 (44) 에는, 세퍼레이터 (55) 로부터 물이 공급된다. 세퍼레이터 (55) 로부터는, 제 2 단 열 교환기 (43) 에서 가열된 고온의 물이 공급된다. 따라서, 제 3 단 열 교환기 (44) 의 온도가 과도하게 낮아지는 것을 억제하고, 제 3 단 열 교환기 (44) 의 주위에서, 배기 가스의 온도 저하에 의한 황분의 석출을 억제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제어부 (70) 에 있어서의 전환부 (60) 의 전환 제어의 흐름에 대해 설명한다.
도 6 은, 상기 전환부의 전환 제어의 흐름을 나타내는 플로 차트이다.
이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먼저, 제어부 (70) 는, 엔진 (21) 에서 연소시키는 연료의 종류를 나타내는 정보를, 미리 외부로부터 등록된 연료 정보 등으로부터 취득한다 (스텝 S1). 취득한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되는 연료가, 황분의 미리 정한 기준치 이상의 재료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스텝 S2). 그 결과, 황분이 미리 정한 기준치 이상이 아니면, 제어부 (70) 는, 저압 라인 (52) 과 급수 라인 (53) 의 접속 상태를 제 1 상태로 한다 (스텝 S3).
한편, 스텝 S2 에 있어서, 사용되는 연료의 황분의 양이, 미리 정해진 기준치 이상의 것인 경우, 제어부 (70) 는, 저압 라인 (52) 과 급수 라인 (53) 의 접속 상태를 제 2 상태로 전환한다 (스텝 S4). 이로써, 제 2 단 열 교환기 (43) 에서 가열됨으로써 생성된 증기와 함께 혼재하는 고온의 물이 세퍼레이터 (55) 로부터 제 3 단 열 교환기 (44) 에 공급된다. 따라서, 황분이 많은 연료를 연소시킨 경우에도, 제 3 단 열 교환기 (44) 의 온도가 과도하게 낮아지는 것이 억제되어, 제 3 단 열 교환기 (44) 의 주위에서, 배기 가스의 온도 저하에 의해 황분이 석출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스텝 S2, S3 에 의해, 저압 라인 (52) 과 급수 라인 (53) 의 접속 상태가 제 1 상태가 된 경우, 제어부 (70) 는, 유량 센서 (71) 에 의해 급수 출구측 라인 (53B) 의 물의 유량을 감시한다 (스텝 S5).
여기서, 급수 출구측 라인 (53B) 의 유량은, 급수 출구측 라인 (53B) 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이용하여 증기를 생성하는 메인 보일러 (31) 의 부하에 따라 변동된다. 예를 들어, 선박 (10) 의 항행 속도를 저하시키도록 제 2 추진 기구 (30) 에서 발생되는 추진력을 낮게 할 때, 프로펠러축 (34) 의 회전 수를 저하시킨다. 프로펠러축 (34) 의 회전 수가 저하되면, 이것에 수반하여, 증기 터빈 (32) 의 부하가 저하되고, 메인 보일러 (31) 의 부하도 저하된다.
제어부 (70) 는, 유량 센서 (71) 에 의해 검출된 급수 출구측 라인 (53B) 의 유량이, 미리 정한 임계치를 하회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스텝 S6). 이 판정의 결과, 급수 출구측 라인 (53B) 의 유량이, 미리 정한 임계치를 하회하지 않으면 (스텝 S6 에서 No), 스텝 S5 로 되돌아와, 유량의 감시를 일정 시간마다 반복한다.
한편, 스텝 S6 에 있어서, 급수 출구측 라인 (53B) 의 유량이, 미리 정한 임계치를 하회한 경우 (스텝 S6 에서 Yes), 제어부 (70) 는, 저압 라인 (52) 과 급수 라인 (53) 의 접속 상태를 제 2 상태로 전환한다 (스텝 S7). 이로써, 제 3 단 열 교환기 (44) 에는, 펌프 (56) 에 의해 소정의 유량의 물이 공급된다. 그 결과, 제 3 단 열 교환기 (44) 에 있어서, 물의 유량이 부족한 것이 억제된다.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의 배열 회수 시스템 (40) 에서는, 저압 라인 (52) 이 제 2 단 열 교환기 (43) 에 접속됨과 함께 급수 라인 (53) 이 제 3 단 열 교환기 (44) 에 접속된 제 1 상태와, 저압 라인 (52) 을 제 2 단 열 교환기 (43) 와 제 3 단 열 교환기 (44) 에 접속한 제 2 상태 사이에서 저압 라인 (52) 및 급수 라인 (53) 의 접속 상태를 전환하는 전환부 (60) 를 구비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통상적인 상태에 있어서는, 저압 라인 (52) 이 제 2 단 열 교환기 (43) 에 접속됨과 함께 급수 라인 (53) 이 제 3 단 열 교환기 (44) 에 접속된 제 1 상태로 할 수 있다.
한편, 제 2 단 열 교환기 (43) 보다 배기 가스의 흐름 방향 하류측에 형성된 제 3 단 열 교환기 (44) 에 있어서, 백 파이어나 황분의 석출에 의한 손상이 발생할 것 같은 경우에는, 전환부 (60) 에서 저압 라인 (52) 및 급수 라인 (53) 의 접속 상태를 제 2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예를 들어, 제 1 상태에서 제 3 단 열 교환기 (44) 를 흐르는 물의 유량이 적어진 경우, 제 2 상태로 전환함으로써, 소정의 유량이 정상적으로 유통되는 저압 라인 (52) 으로부터 제 3 단 열 교환기 (44) 에 물이 보내진다. 이로써, 제 3 단 열 교환기 (44) 에서 백 파이어에 의한 소손이 잘 발생되지 않게 된다.
또, 배기 가스는, 제 2 단 열 교환기 (43), 제 3 단 열 교환기 (44) 에서 순차 열 교환을 실시하는 결과, 상류측으로부터 하류측을 향해 배기 가스의 온도가 낮아진다. 그 때문에, 제 1 상태에서는, 제 2 단 열 교환기 (43) 보다 배기 가스의 흐름 방향 하류측에 형성된 제 3 단 열 교환기 (44) 를 흐르는 물의 온도가, 제 2 단 열 교환기 (43) 를 흐르는 물의 온도보다 낮아진다. 이로써, 배기 가스에 함유되는 황분의 농도가 높은 경우, 저온측의 제 3 단 열 교환기 (44) 에서 황분이 석출되어, 황산 부식이 발생되기 쉬워진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이와 같은 상황에서, 전환부 (60) 에서 저압 라인 (52) 및 급수 라인 (53) 의 접속 상태를 제 2 상태로 전환한다. 그 때문에, 제 3 단 열 교환기 (44) 에는, 급수 라인 (53) 을 통해, 세퍼레이터 (55) 로부터 공급되는 고온 (예를 들어, 150 ℃ 정도) 의 물을 흘릴 수 있다. 따라서, 제 3 단 열 교환기 (44) 의 주위의 배기 가스 온도의 저하가 억제되어, 황분의 석출을 억제할 수 있다.
그 결과, 백 파이어나 황분의 석출에 의한 손상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의 전환부 (60) 는, 제 2 상태에 있어서, 급수 라인 (53) 을 제 3 단 열 교환기 (44) 로부터 떼어낸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제 2 상태에서는, 제 3 단 열 교환기 (44) 에, 저압 라인 (52) 으로부터만 물이 공급된다. 이로써, 제 3 단 열 교환기 (44) 에는, 보다 고온의 물이 흐르게 된다. 따라서, 특히, 배기 가스에 함유되는 황분의 농도가 높은 경우, 제 2 상태로 전환함으로써, 저온측의 제 3 단 열 교환기 (44) 의 온도를 보다 유효하게 높일 수 있어, 황분의 석출을 억제할 수 있다.
전환부 (60) 는, 추가로, 제 2 상태에 있어서, 제 3 단 열 교환기 (44) 를 거친 물을 제 2 단 열 교환기 (43) 에 공급한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제 2 상태에서는, 제 3 단 열 교환기 (44) 에서 배기 가스와 열 교환함으로써 온도가 상승된 물이 제 2 단 열 교환기 (43) 에 공급된다. 이로써, 제 2 단 열 교환기 (43) 에 있어서, 물을 효율적으로 가열할 수 있어, 열 에너지의 유효 이용이 도모된다.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의 급수 라인 (53) 은, 급수 라인 (53) 에 접속된 증기 터빈 (32) 에 있어서의 부하량에 따라 유량이 변동된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증기 터빈 (32) 에 있어서의 부하량에 의해, 급수 라인 (53) 의 유량이 감소한 경우, 전환부 (60) 에서 제 2 상태로 전환하여 저압 라인 (52) 으로부터 제 3 단 열 교환기 (44) 에 물을 공급할 수 있다. 이로써, 제 3 단 열 교환기 (44) 에 공급되는 유량을 늘릴 수 있다. 그 결과, 특히, 제 3 단 열 교환기 (44) 의 소손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의 배열 회수 시스템 (40) 은, 급수 라인 (53) 의 유량을 검출하는 유량 센서 (71) 를 추가로 구비하고, 전환부 (60) 는, 제 1 상태일 때에, 유량 센서 (71) 에서 검출되는 급수 라인 (53) 의 유량이 미리 정한 임계치를 하회한 경우, 제 2 상태로 전환한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제 1 상태에 있어서, 유량 센서 (71) 에서 검출되는 급수 라인 (53) 의 유량이 미리 정한 임계치를 하회한 경우에, 제 2 상태로 전환함으로써, 제 3 단 열 교환기 (44) 에 공급되는 유량을 늘릴 수 있다. 그 결과, 제 3 단 열 교환기 (44) 의 소손을 보다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의 전환부 (60) 는, 추가로, 배기 가스를 생성하는 엔진 (21) 에서 사용하는 연료의 종류에 따라, 제 1 상태 및 제 2 상태의 어느 일방을 선택적으로 전환한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예를 들어, 황분의 함유량이 적은 연료를 사용하는 경우, 제 1 상태를 선택하고, 황분의 함유량이 많은 연료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제 2 상태를 선택할 수 있다. 황분의 함유량이 많은 연료를 사용하는 경우, 배기 가스에 함유되는 황분이 많아진다. 이와 같은 경우에 제 2 상태를 선택함으로써, 제 3 단 열 교환기 (44) 에는, 급수 라인 (53) 을 통해, 보다 고온의 물이 흐른다. 이로써, 제 3 단 열 교환기 (44) 의 주위의 배기 가스 온도의 저하가 억제되어, 황분의 석출을 억제할 수 있다.
전환부 (60) 는, 추가로, 연료에 함유되는 황분이 미리 정한 기준치를 상회하는 경우, 제 2 상태를 선택한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연료에 함유되는 황분이 미리 정한 기준치를 상회하는 경우, 제 2 상태를 선택함으로써, 제 3 단 열 교환기 (44) 의 주위의 배기 가스 온도의 저하를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어, 황분의 석출을 보다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의 배열 회수 시스템 (40) 은, 전환부 (60) 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70) 를 추가로 구비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급수 라인 (53) 의 유량이나, 연료의 종류 등에 따라, 전환부 (60) 에서 제 1 상태와 제 2 상태를 적절히 전환할 수 있다. 이로써, 백 파이어나 황분의 석출에 의한 손상을 보다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의 선박 (10) 은, 제 1 추진 기구 (20) 의 구동원이 되는 엔진 (21) 에서 연료를 연소시키는 것에 의해 발생된 배기 가스의 열 에너지를 이용하여, 배열 회수 시스템 (40) 의 제 2 단 열 교환기 (43), 제 3 단 열 교환기 (44) 에서 물을 가열한다. 가열된 물을 제 2 추진 기구 (30) 측의 메인 보일러 (31) 에 보냄으로써, 증기를 효율적으로 생성할 수 있다. 이로써, 제 1 추진 기구 (20) 및 제 2 추진 기구 (30) 를 구비한 선박에 있어서, 열 에너지를 유효하게 이용하면서, 백 파이어나 황분의 석출에 의한 손상을 억제할 수 있다.
(그 밖의 변형예)
본 발명은,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에 여러 가지의 변경을 더한 것을 포함한다. 즉, 실시형태에서 든 구체적인 형상이나 구성 등은 일례에 불과하고, 적절히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제 2 상태에 있어서, 저압 라인 (52) 에, 제 2 단 열 교환기 (43), 제 3 단 열 교환기 (44) 를 직접 접속하도록 했지만, 제 2 단 열 교환기 (43), 제 3 단 열 교환기 (44) 를 병렬로 접속해도 된다.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제 2 상태에 있어서, 급수 라인 (53) 을 제 3 단 열 교환기 (44) 로부터 떼어내도록 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 2 상태에 있어서, 급수 라인 (53) 을 제 3 단 열 교환기 (44) 에 접속한 채로 하여, 급수 라인 (53) 에 있어서의 물의 유량의 부족분을 저압 라인 (52) 으로부터 공급하도록 해도 된다.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제 1 상태에서부터 제 2 상태로의 전환은, 제어부 (70) 의 제어에 의해 자동적으로 실시하도록 했지만, 수동으로 전환 작업을 실시해도 된다.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에서는, 배열 회수 시스템 (40) 을, 선박 (10) 의 절탄기 (41) 를 대상으로 하여 구비하도록 했지만, 선박 (10) 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은, 다른 플랜트 등의 배열 회수 시스템에 적용할 수도 있다.
10 : 선박
11 : 선체
11b : 선미부
12 : 선저
12s : 경사면
13A, 13B : 스케그
18 : 펀넬 (유로 형성부)
18r : 유로
19 : 세퍼레이터
20 : 제 1 추진 기구 (제 1 추진력 발생부)
21 : 엔진 (배기 가스 생성부)
22 : 발전기
23 : 전동기
24 : 프로펠러축
24a : 일단
24b : 타단
25 : 프로펠러
30 : 제 2 추진 기구 (제 2 추진력 발생부)
31 : 메인 보일러 (보일러)
32 : 증기 터빈 (부하 장치)
33 : 복수기
34 : 프로펠러축
34a : 일단
34b : 타단
35 : 프로펠러
36 : 탈기기
38 : 펌프
39 : 히터
40 : 배열 회수 시스템
41 : 절탄기
42 : 제 1 단 열 교환기
43 : 제 2 단 열 교환기 (1 차 열 교환기)
44 : 제 3 단 열 교환기 (2 차 열 교환기)
45 : 입구 헤더관
46 : 출구 헤더관
47 : 지관
51 : 고압 라인
51A : 고압 입구측 라인
51B : 고압 출구측 라인
52 : 저압 라인 (제 1 라인)
52A : 저압 입구측 라인
52B : 저압 출구측 라인
53 : 급수 라인 (제 2 라인)
53A : 급수 입구측 라인
53B : 급수 출구측 라인
55 : 세퍼레이터
56 : 펌프
60 : 전환부
61 : 제 1 삼방 밸브
62 : 제 2 삼방 밸브
63 : 제 3 삼방 밸브
64 : 제 1 바이패스 라인
65 : 제 2 바이패스 라인
66 : 제 3 바이패스 라인
70 : 제어부
71 : 유량 센서 (수량 검출부)

Claims (10)

  1. 배기 가스가 유통하는 유로를 형성하는 유로 형성부와,
    상기 유로 내에 형성된 1 차 열 교환기와,
    상기 유로 내에 있어서의 상기 1 차 열 교환기보다 상기 배기 가스의 흐름 방향 하류측에 형성된 2 차 열 교환기와,
    상기 1 차 열 교환기와 상기 2 차 열 교환기에 접속 가능하게 되어, 소정의 유량이 정상적으로 유통하는 제 1 라인과,
    상기 2 차 열 교환기에 접속 가능하게 된 제 2 라인과,
    상기 제 1 라인이 상기 1 차 열 교환기에 접속됨과 함께 상기 제 2 라인이 상기 2 차 열 교환기에 접속된 제 1 상태와, 상기 제 1 라인을 상기 1 차 열 교환기와 상기 2 차 열 교환기에 접속한 제 2 상태 사이에서 상기 제 1 라인 및 상기 제 2 라인의 접속 상태를 전환하는 전환부를 구비하는, 배열 회수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부는, 상기 제 2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 2 라인을 상기 2 차 열 교환기로부터 떼어내는, 배열 회수 시스템.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부는, 상기 제 2 상태에 있어서, 상기 2 차 열 교환기를 거친 물을 상기 1 차 열 교환기에 공급하는, 배열 회수 시스템.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라인은, 상기 제 2 라인에 접속된 부하 장치에 있어서의 부하량에 따라 유량이 변동되는, 배열 회수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라인에 있어서의 물의 유량을 검출하는 유량 검출부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전환부는, 상기 제 1 상태일 때에, 상기 유량 검출부에서 검출되는 상기 제 2 라인에 있어서의 물의 유량이 미리 정한 임계치를 하회한 경우, 상기 제 2 상태로 전환하는, 배열 회수 시스템.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부는, 상기 배기 가스를 생성하는 배기 가스 생성부에서 사용하는 연료의 종류에 따라, 상기 제 1 상태 및 상기 제 2 상태의 어느 일방을 선택적으로 전환하는, 배열 회수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부는,
    상기 연료에 함유되는 황분이 미리 정한 기준치를 상회하는 경우, 상기 제 2 상태를 선택하는, 배열 회수 시스템.
  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추가로 구비하는, 배열 회수 시스템.
  9.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기재된 배열 회수 시스템을 구비하는, 선박.
  10. 제 9 항에 있어서,
    연료를 연소시킴으로써 발생된 구동력에 의해 구동되는 발전기와,
    상기 발전기에서 발생된 전력에 의해 구동되는 전동기와,
    상기 전동기의 구동력에 의해 추진력을 발생시키는 제 1 추진력 발생부와,
    상기 제 2 라인을 통하여 보내진 물을 가열하여 증기를 생성하는 보일러와,
    상기 보일러에서 생성된 증기에 의해 구동되는 증기 터빈과,
    상기 증기 터빈의 구동력에 의해 추진력을 발생시킬 때에 제 2 추진력 발생부를 구비하는, 선박.
KR1020180137085A 2018-06-13 2018-11-09 배열 회수 시스템, 선박 KR10211293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8-112855 2018-06-13
JP2018112855A JP6620843B2 (ja) 2018-06-13 2018-06-13 排熱回収システム、船舶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41072A KR20190141072A (ko) 2019-12-23
KR102112930B1 true KR102112930B1 (ko) 2020-05-19

Family

ID=688496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7085A KR102112930B1 (ko) 2018-06-13 2018-11-09 배열 회수 시스템, 선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6620843B2 (ko)
KR (1) KR102112930B1 (ko)
CN (1) CN110594717B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3718B1 (ko) * 2014-02-28 2015-10-27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해상구조물의 폐열 회수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456525B2 (ja) 2010-03-17 2014-04-02 川崎重工業株式会社 排熱回収装置
JP5717998B2 (ja) * 2010-08-04 2015-05-13 川崎重工業株式会社 熱回収ユニット、排ガスエコノマイザ及び廃熱回収システム
KR101271188B1 (ko) * 2011-05-13 2013-06-0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용 폐열 회수 시스템
JP6125415B2 (ja) * 2013-11-27 2017-05-10 三菱重工業株式会社 廃熱回収システム、舶用推進システム、船舶及び廃熱回収方法
CN203685327U (zh) * 2013-12-13 2014-07-02 昆明理工大学 一种垃圾填埋气发电内燃机余热梯级利用分布式冷热电联供系统
JP6415997B2 (ja) * 2015-01-23 2018-10-31 三菱重工業株式会社 船舶の統合制御装置、それを備えた船舶、及び統合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WO2017051450A1 (ja) * 2015-09-24 2017-03-30 三菱重工業株式会社 排熱回収装置、内燃機関システムおよび船舶、並びに排熱回収方法
JP6596320B2 (ja) * 2015-12-15 2019-10-23 三菱日立パワーシステムズ株式会社 プラント設備、プラント設備の運転方法及びプラント設備の制御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3718B1 (ko) * 2014-02-28 2015-10-27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해상구조물의 폐열 회수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0594717B (zh) 2022-01-11
JP6620843B2 (ja) 2019-12-18
CN110594717A (zh) 2019-12-20
JP2019214973A (ja) 2019-12-19
KR20190141072A (ko) 2019-1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86142B2 (en) Systems and method for controlling stack temperature
JP4592508B2 (ja) 船舶の内燃機関廃熱回収プラントおよびこれを用いた船舶
JP6125415B2 (ja) 廃熱回収システム、舶用推進システム、船舶及び廃熱回収方法
JP6498433B2 (ja) 排熱回収システム及びこれを備えた船舶ならびに排熱回収方法
JP6053839B2 (ja) ボイラ給水システム及びそれを備えたボイラ、並びにボイラ給水システムの制御方法
KR102112930B1 (ko) 배열 회수 시스템, 선박
JP5967977B2 (ja) 再熱ボイラ、舶用推進プラント、船舶、舶用推進プラントの制御方法
CN108138603A (zh) 联合循环设备及联合循环设备的运行控制方法
JP5951593B2 (ja) 排熱回収装置、排熱回収型船舶推進装置および排熱回収方法
JP6513602B2 (ja) 排熱回収システム及びこれを備えた船舶ならびに排熱回収方法
JP2017223440A (ja) ボイラプラント及びボイラプラント運転方法
JP6736501B2 (ja) 舶用発電システム、舶用発電システムの発電方法及び発電プラント
JP7319769B2 (ja) 排熱回収システム及び船舶並びに排熱回収装置の運転方法
JP6719371B2 (ja) ガス処理システム
JP6219742B2 (ja) ボイラプラント及びボイラプラント運転方法
JP5246849B2 (ja) 排ガスエコノマイザのすす燃焼予測検知方法及び同システム
JP2006017007A (ja) 舶用蒸気タービンプラント
EP4225637A1 (en) Marine boiler and method of operating a marine boiler
JP2019007704A (ja) 廃熱ボイラ及び廃熱回収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