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1072B1 - 콤바인의 짚 배출장치 - Google Patents

콤바인의 짚 배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1072B1
KR102111072B1 KR1020180136607A KR20180136607A KR102111072B1 KR 102111072 B1 KR102111072 B1 KR 102111072B1 KR 1020180136607 A KR1020180136607 A KR 1020180136607A KR 20180136607 A KR20180136607 A KR 20180136607A KR 102111072 B1 KR102111072 B1 KR 1021110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in
frame
support frame
spring
suppor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66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영선
김동화
김수경
Original Assignee
동양물산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양물산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양물산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366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107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10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10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17/00Straw conveyors for threshing machines or baling presses
    • A01F17/02Mechanical conveyo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1/00Combines, i.e. harvesters or mowers combined with threshing devices
    • A01D41/12Details of combines
    • A01D41/14Mowing tabl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reshing Machine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짚 배출장치 내부의 볏짚 정체를 해소하기 위하여 배출체인을 개폐할 수 있고 열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콤바인의 제안한다. 곡간을 예취하기 위한 예취부와 예취된 곡간을 탈곡하는 탈곡부를 구비하는 콤바인은, 탈곡이 완료된 볏짚을 이송시키기 위한 배출체인(210)과, 상기 배출체인을 지지하기 위한 체인지지 프레임(200), 그리고 체인지지 프레임을 일정 구간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후방 프레임(11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체인지지 프레임의 전방지지축(202) 및 후방지지축(204)이 후방프레임의 전방지지부(112) 및 후방지지부(114)에 삽입되는 것에 의하여, 체인지지 프레임이 후방프레임에 일정 구간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그리고 체인지지 프레임이 후방프레임에 접촉하도록 스프링(S)을 설치하는 것에 의하여, 스프링의 힘에 의하여 체인지지 프레임과 후방프레임 사이의 마찰력을 증가시켜, 체인지지 프레임이 회동한 상태에서도 유지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Description

콤바인의 짚 배출장치{Device for treating straw for combine}
본 발명은 콤바인의 짚 배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탈곡이 완료된 짚이 배출될 때 발생될 수 있는 정체를 풀 수 있도록, 배출 체인을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콤바인의 짚 배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하프 피드형의 콤바인에서 이삭부분의 탈곡이 완료되면, 짚은 후방으로 계속하여 이송된 후 배출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리고 이러한 하프 피드형 콤바인의 짚 배출장치에 대한 종래 기술의 하나로 일본 특허 등록 제4705864호를 들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도 1 및 도 2는 이러한 선행 특허 문헌의 도면인데, 먼저 이들을 참조하면서 선행 기술에 대하여 간략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콤바인은, 곡간을 예취하기 위한 예취부(3)와, 이러한 예취부에 의하여 예취된 곡간을 탈곡하는 탈곡부(20)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예취부에서 예취된 곡간은 피드체인(9)에 의하여 탈곡부(20)를 따라 후방으로 이송되도록 구성되어 있고, 이러한 피드체인(9)의 후단부에는 짚 반송장치(10)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탈곡부(20)를 통하여 탈곡된 곡립은 콤바인 내부의 이송경로를 따라 곡물탱크(13)에 저장된다. 곡물탱크(13)에 저장된 곡립은 필요에 따라서 배출오거(15)를 통하여 외부로 공급될 수 있으며, 상술한 모든 장치의 조작은 운전부(14)에 마련된 조작 장치를 통하여 운전된다.
여기서 종래 기술의 짚 반송장치(10)를 도 2를 참고하여 살펴보면, 엔진의 동력이 입력케이스(22)로 전달되면, 출력축(22a)이 회전하고 이에 따라서 구동스프라켓(17a)이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체인(17c)를 통하여 종동스프라켓(17b)도 같이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종동스프라켓(17b)와 연결된 종동축(23a)은 구동스프라켓(18a)를 회전시키게 되고, 구동스프라켓(18a)와 종동스프라켓(18b) 사이에는 타인(18c)이 걸려 있다. 여기서 타인(18c)은 이삭부분을 보조적으로 반송시키는 것이라고 할 수 있고, 체인과 러그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짚 반송장치(10)가 구동되면, 체인(17c)과 타인(18c)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는데, 체인(17c)은 탈곡이 끝난 곡간의 줄기부분을 클램핑하여 이송시키고, 타인(18c)은 곡간의 이삭부분을 잡고 이송시키게 된다. 여기서 반송장치(10)의 하부에는 선형의 가이드와이어서 설치되어 있어서, 그 사이를 통하여 짚이 반송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짚 배출(반송) 구조에서 정체가 발생하기도 하는데, 이러한 정체의 해소를 위하여 반송장치(10)를 프레임에 대하여 상방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회동 가능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종래의 구조에 의하면, 짚 반송장치(10)와 후방 프레임(27) 사이에는 스프링을 개재시켜서, 반송장치(10)를 항상 상방으로 탄성적으로 지지하도록 하여, 사용자가 작은 힘으로도 반송장치(10)를 상부로 열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다. 그러나 스프링을 통하여 반송장치(10)가 프레임에 대하여 상방으로 탄성적으로 지지되는 경우에는, 열기는 편하지만 닫기가 어렵다는 불편함이 제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짚 반송(배출)장치의 개폐시 개폐 정도를 정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즉, 사용자가 원하는 개폐 정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곡간을 예취하기 위한 예취부와 예취된 곡간을 탈곡하는 탈곡부를 구비하는 콤바인은, 탈곡이 완료된 볏짚을 이송시키기 위한 배출체인과, 상기 배출체인을 지지하기 위한 체인지지 프레임, 그리고 체인지지 프레임을 일정 구간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후방 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체인지지 프레임의 전방지지축 및 후방지지축이 후방프레임의 전방지지부 및 후방지지부에 삽입되는 것에 의하여, 체인지지 프레임이 후방프레임에 일정 구간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그리고 체인지지 프레임이 후방프레임에 접촉하도록 스프링을 설치하는 것에 의하여, 스프링의 힘에 의하여 체인지지 프레임과 후방프레임 사이의 마찰력을 증가시켜, 체인지지 프레임이 회동한 상태에서도 유지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구체적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후방지지축은 체인지지 프레임에 고정되는 브라켓에 의하여 일단부가 지지되고, 후방지지부에 삽입된 후방지지축의 단부에 스프링이 설치되며, 후방지지축의 단부에는 너트가 나사 결합된다. 이와 같이 너트와 후방지지부 사이에 개재된 스프링은, 후방지지축의 일부와 체인지지 프레임에 설치되는 브라켓의 일부를 서로 접촉시켜 마찰력을 증가시켜 원하는 각도로 회동한 상태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스프링의 복원력은, 체인지지 프레임을 후방프레임에 밀착되는 힘을 발생시켜서, 그 사이의 마찰력을 증가시키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스프링의 힘에 의하여, 체인지지 프레임은 사용자가 조작한 만큼 회동한 상태의 각도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정체된 곡간의 해소는 물론, 그 부분과 관련된 구성 부품의 관리도 편리하게 되는 장점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콤바인의 평면도.
도 2는 종래의 짚 배출장치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 짚 배출장치의 후방에서 본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 짚 배출장치의 평면 예시도.
도 5는 도 3의 화살표(A)에서 본 것으로, 부품의 일부를 단면으로 보인 요부 확대도
도 6는 도 3의 화살표(A)에서 본 요부 확대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에서 배출체인이 닫힌 상태 및 열린 상태를 비교한 예시 설명도.
다음에는 도면에 도시한 실시 예에 기초하면서 본 발명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짚 배출장치는, 콤바인의 후방측에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후방 프레임(110)에 설치되는 것으로, 탈곡이 완료된 짚 배출을 위한 배출체인(210)을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배출체인(210)은 그 양측에 설치되어 있는 한 쌍의 스프라켓(구동스프라켓 및 종동스프라켓)에 의하여 구동되는 것이고, 기어케이싱(240)을 통하여 전달되는 동력에 의하여 구동되는 구조는 종래와 동일하다.
이러한 배출체인(210)의 하부에는 가이드파이프(230)이 후방프레임(110)에 의하여 고정된 상태로 지지되고 있는데, 볏짚은 이러한 배출체인(210)과 가이드파이프(230) 사이에서 클램핑된 상태로 배출체인(210)의 이송에 따라서 후방으로 배송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볏짚의 배출상태에서 정체, 엉킴이 발생하는 것은 실질적으로 배출체인(210)과 가이드파이프(230) 사이에서 일어나는 것이어서, 이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배출체인(210)을 상방으로 들어올려서 가이드파이프(230)와 이격시켜야 한다. 여기서 후방프레임(110)은 콤바인의 후방을 형성하는 고정된 프레임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짚 배출장치의 배출체인(210)은 실질적으로 볏짚의 줄기부분을 이송시키는 줄기이송부라고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짚 배출장치에는 줄기이송부인 배출체인(210) 이외에도, 볏짚의 이삭부분을 이송시키는 내부이송체인(220)을 더 구비하고 있으며, 이러한 내부이송체인(220)은 체인 및 러그(lug)로 구성되는데, 이러한 구성 역시 종래부터 사용되는 것이다. 그리고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내부이송체인(220)도 배출체인(210)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며 이를 위한 동력 전달 구조도 종래의 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기 때문에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와 같은 배출체인(210) 및 내부이송체인(220)은, 체인지지 프레임(200)에 의하여 지지되고 있다. 여기서 콤바인의 후방 프레임(110)은 콤바인의 기체에 고정된 상태로 지지되는 것이고, 체인지지 프레임(200)은 이러한 후방프레임(110)에 대하여 일정 구간 회동 가능하게 지지됨으로써, 배출체인(210)에 대한 볏짚의 정체를 해소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여기서 배출체인(210)을 지지하는 구동스프라켓과 종동스프라켓은 상기 체인지지 프레임(200)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있는 상태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체인지지 프레임은 짚 배출장치를 구성하는 부품을 지지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체인지지 프레임(200)은 지지축을 중심으로 일정 구간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있는데, 여기서 지지축은 전방지지축(202)와 후방지지축(204)로 구성된다.
이러한 전방지지축(202) 및 후방지지축(204)는 고정된 상태로 지지되고 있는 후방 프레임(110)에 의하여 지지된다. 도시한 실시 예에 의하면, 전방지지축(202)는 전방지지부(112)에 의하여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있으며, 후방지지축(204)는 후방지지부(114)에 의하여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있다.
다음에는 도 5를 중심으로 후방지지축(204) 주변의 구성, 즉 체인지지 프레임(200)이 일정하게 회동한 위치에서 정지상태 유지를 위한 구성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체인지시 프레임(200)의 후방지지축(204)은 후방 프레임(110)의 후방지지부(114)에 의하여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후방지지축(204)는 원기둥 형상이고 후방지지부(114)는 원통형상이어서, 후방지지축(204)는 후방지지부(114) 속으로 들어간 상태에서 지지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전방지지부 및 전방지지축도 동일하다.
그리고 후방지지축(204)의 외측부분(도면에서는 우측단부)에는 스프링(S)이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스프링은(S)은 실질적으로 후방지지부(114)와 너트(B) 사이의 후방지지축(204)에 설치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여기서 너트(B)는 후방지지축(204)의 외측 단부에 나사 결합되는 것이라고 할 수 있고, 너트(B)가 회전하여 도면 상 우측으로 이동하면 스프링(S)은 더 압축되어 탄성 복원력이 더 커진 상태라고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후방지지축(204)의 내측단부(도면에서는 좌측단부)는 체인지지 프레임(200)에 연결되어 있는데, 더욱 구체적으로는 체인지지 프레임(200)에 부착되어 있는 연결브라켓(C)과 연결되어 있다. 도시한 실시 예에서는 체인지지 프레임(200)에 면접촉된 브라켓(C)에서 수직으로 절곡된 연결부(Ba)를 통하여, 후방지지축(204)은 체인지지 프레임(200)과 연결되어 있는 것이다. 따라서 고정된 후방프레임(110)의 일부라고 할 수 있는 후방지지부(114)가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스프링(S)의 복원력은 후방지지축(204)를 외측(도면상 우측)으로 더욱 밀어내게 된다.
이러한 방향으로 스프링의 복원력이 작용하게 되면, 후방지지부(114)의 좌측단부에 브라켓(C)의 연결부(Ba)가 복원력에 대응하는 힘으로 밀착된다. 이와 같이 스프링(S)의 힘이 브라켓(C)을 후방프레임(110)의 후방지지부(114)에 밀착시키게 되면, 체인지지 프레임(200)에 고정된 브라켓(C)과 후방브라켓(110)에 고정된 후방지지부(114) 사이의 마찰력이 더욱 커지게 되어, 고정된 상태의 후방지지부(114)[또는 후방프레임(110)]에 대하여 체인지지 프레임(200)은 회동하기 힘들게 된다.
스프링(S)의 작용에 대한 설명을 정리하면, 후방지지부(114)와 후방지지축(204)에 결합된 너트(B) 사이에 개재된 스프링(S)은 너트(B)를 외측으로 밀어내는 것에 의하여 실질적으로 체인지지 프레임(200)을 후방프레임(110) 측으로 밀착시키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작용에 의하여, 체인지지프레임(200)과 이에 접촉하는 후방프레임의 접촉부분 사이에서 마찰력이 커지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마찰력은 체인지지 프레임(200)이 회동된 어느 위치에서도 후방프레임(110)에 대하여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후방프레임(110)은 콤바인의 기체에 고정된 것이고, 체인지지 프레임(200)은 지지축(202,204)을 중심으로 일정 각도 회동하는 것에 의하여, 배출체인(210)을 가이드파이프(230)에서 이격시켜 볏짚의 정체를 해소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7에서 실선으로 도시한 것은 배출체인(110)이 닫힌 상태이고, 일점 쇄선으로 도시한 것은 배출체인(110)이 열린 상태이다.
여기서 일점쇄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배출체인(110)의 열린 상태라는 것은, 도 3에 도시한 가이드파이프(230)와 배출체인(110)이 이격되어 그 사이에서 엉켜 있는 볏짚을 꺼집어 낼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와 같이 배출체인(110)이 열릴 때의 회동 중심은, 체인지지 프레임(200)의 지지축(202,204)임은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콤바인에서 고정된 상태로 지지되고 있는 후방프레임(110)에 대하여, 배출체인(210)을 지지하고 있는 체인지지 프레임(200)을, 볏짚의 이송 방향에 대하여 배출체인(210)과 가이드 파이프(230) 사이가 멀리 이격되도록 일정 각도 회동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더욱이 이러한 회동 가능한 상태에서, 스프링(S)이 탄성 복원력이 체인지지 프레임(200)을 후방프레임(110) 측으로 가압함으로써, 마찰력에 의하여 회동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도 7에서 일점 쇄선으로 도시한 체인지지 프레임(200)은 일정 구간 회동한 상태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스프링(S)은 체인지지 프레임(200)을 고정프레임(110) 측으로 가압하여 마찰력을 더욱 크게 함으로써, 이러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는 것이다. 보다 구체적인 실시 예에서는, 체인지지 프레임(200)의 브라켓(C)을 후방지지부(114)의 내측단부에 밀착시킴으로써, 충분한 마찰력을 발생시켜 회동한 상태의 배출체인(210)을 그 상태로 유지시키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전방지지축(202) 및 후방지지축(204)으로 구성되는 지지축은, 실질적으로 배출체인(210)과 거의 평행한 방향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체인지지 프레임(200)이 지지축(202,204)을 중심으로 회동하면, 배출체인(210)은 가이드파이프(230)에서 이격되어 멀어져서, 그 사이에 정체된 볏짐을 충분히 빼어낼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스프링의 탄성 복원력은 상기 지지축(202,204)과 동일한 방향으로 작용하는 것임도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적 범주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당연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술한 스프링(S)의 복원력에 의하여 체인지지 프레임(200) 및 후방프레임(110)의 어떠한 부분이 서로 접촉하도록 구성할 것인가에 대해서는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수 있을 것임은 당연하다.
110 ..... 후방프레임
112 ..... 전방지지부
114 ..... 후방지지부
200 ..... 체인지지 프레임
202 ..... 전방지지축
204 ..... 후방지지축
210 ..... 배출체인
220 ..... 내부이송체인
230...... 가이드 파이프
S ..... 스프링

Claims (2)

  1. 곡간을 예취하기 위한 예취부와 예취된 곡간을 탈곡하는 탈곡부를 구비하는 콤바인에 있어서;
    탈곡이 완료된 볏짚을 이송시키기 위한 배출체인과, 상기 배출체인을 지지하기 위한 체인지지 프레임, 그리고 체인지지 프레임을 일정 구간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후방 프레임을 포함하고;
    체인지지 프레임의 전방지지축 및 후방지지축이 후방프레임의 전방지지부 및 후방지지부에 삽입되는 것에 의하여, 체인지지 프레임이 후방프레임에 일정 구간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체인지지 프레임이 후방프레임에 접촉하도록 스프링을 설치하는 것에 의하여, 스프링의 힘에 의하여 체인지지 프레임과 후방프레임 사이의 마찰력을 증가시켜, 체인지지 프레임이 회동한 상태에서도 유지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의 짚 배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지지축은 체인지지 프레임에 고정되는 브라켓에 의하여 일단부가 지지되고, 후방지지부에 삽입된 후방지지축의 단부에 스프링이 설치되며, 후방지지축의 단부에는 너트가 나사 결합되며;
    상기 너트와 후방지지부 사이에 개재된 스프링은, 후방지지축의 일부와 체인지지 프레임에 설치되는 브라켓의 일부를 서로 접촉시켜 마찰력을 증가시키는 콤바인의 짚 배출장치.




KR1020180136607A 2018-11-08 2018-11-08 콤바인의 짚 배출장치 KR1021110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6607A KR102111072B1 (ko) 2018-11-08 2018-11-08 콤바인의 짚 배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6607A KR102111072B1 (ko) 2018-11-08 2018-11-08 콤바인의 짚 배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11072B1 true KR102111072B1 (ko) 2020-05-14

Family

ID=707369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6607A KR102111072B1 (ko) 2018-11-08 2018-11-08 콤바인의 짚 배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107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1185783A (ja) * 2020-05-27 2021-12-13 株式会社クボタ コンバイン
JP2022098186A (ja) * 2020-12-21 2022-07-01 株式会社クボタ コンバイン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1119U (ja) * 1993-08-02 1995-02-21 株式会社クボタ コンバインのドロッパ構造
KR100227968B1 (ko) * 1996-08-09 1999-11-01 미쯔이 고오헤이 콤바인
JP2007236305A (ja) * 2006-03-09 2007-09-20 Yanmar Co Ltd コンバインの排藁搬送装置
JP2008245544A (ja) * 2007-03-29 2008-10-16 Mitsubishi Agricult Mach Co Ltd コンバインのドロッパ装置
KR101745984B1 (ko) * 2009-07-22 2017-06-12 얀마 가부시키가이샤 콤바인의 폐짚 반송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1119U (ja) * 1993-08-02 1995-02-21 株式会社クボタ コンバインのドロッパ構造
KR100227968B1 (ko) * 1996-08-09 1999-11-01 미쯔이 고오헤이 콤바인
JP2007236305A (ja) * 2006-03-09 2007-09-20 Yanmar Co Ltd コンバインの排藁搬送装置
JP2008245544A (ja) * 2007-03-29 2008-10-16 Mitsubishi Agricult Mach Co Ltd コンバインのドロッパ装置
KR101745984B1 (ko) * 2009-07-22 2017-06-12 얀마 가부시키가이샤 콤바인의 폐짚 반송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1185783A (ja) * 2020-05-27 2021-12-13 株式会社クボタ コンバイン
JP2022098186A (ja) * 2020-12-21 2022-07-01 株式会社クボタ コンバイン
JP7407696B2 (ja) 2020-12-21 2024-01-04 株式会社クボタ コンバイン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11072B1 (ko) 콤바인의 짚 배출장치
US9408348B2 (en) Adjustable row unit deck plate for a header of an agricultural harvester
JP5995768B2 (ja) 普通型コンバイン
JP6224554B2 (ja) 収穫機
US11140828B2 (en) Grain feeding and conveying assembly for a combine
JP2015053883A (ja) コンバイン
JP4935958B2 (ja) コンバイン
JP2011160813A5 (ko)
KR20160096017A (ko) 작물 세단 장치
JP2543002Y2 (ja) 刈取収穫機
JP5452129B2 (ja) コンバイン
JP2005143356A (ja) コンバインの穀稈搬送装置
JP4874619B2 (ja) コンバイン
JP4935949B2 (ja) コンバイン
JP2011160813A (ja) コンバイン
JP2830678B2 (ja) コンバインの脱穀フィードチエン
JP5129580B2 (ja) コンバイン
JPH0851848A (ja) コンバインの主伝動装置
JP2001095356A (ja) 扱深さ搬送装置
JP2020014399A (ja) コンバイン
KR101767499B1 (ko) 총탄 이송장치
JP2013066387A (ja) 脱穀装置
JP2007185120A (ja) コンバイン
JPH05153844A (ja) コンバイン
JP2020000092A (ja) コンバイ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