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96017A - 작물 세단 장치 - Google Patents

작물 세단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96017A
KR20160096017A KR1020160009453A KR20160009453A KR20160096017A KR 20160096017 A KR20160096017 A KR 20160096017A KR 1020160009453 A KR1020160009453 A KR 1020160009453A KR 20160009453 A KR20160009453 A KR 20160009453A KR 20160096017 A KR20160096017 A KR 201600960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veying
roller
conveying roller
crop
vari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94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27679B1 (ko
Inventor
다카히사 기타나카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타카키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타카키타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타카키타
Publication of KR201600960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60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76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76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3/00Mowers combined with apparatus performing additional operations while mowing
    • A01D43/08Mowers combined with apparatus performing additional operations while mowing with means for cutting up the mown crop, e.g. forage harvesters
    • A01D43/081Mowers combined with apparatus performing additional operations while mowing with means for cutting up the mown crop, e.g. forage harvesters specially adapted for ensilage of maiz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3/00Mowers combined with apparatus performing additional operations while mowing
    • A01D43/08Mowers combined with apparatus performing additional operations while mowing with means for cutting up the mown crop, e.g. forage harvesters

Landscapes

  • Harvesting Machines For Specific Crop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arvester Elements (AREA)
  • Apparatuses For Bulk Treatment Of Fruits And Vegetables And Apparatuses For Preparing Feeds (AREA)

Abstract

[과제] 베어내어진 작물을 복수의 반송 롤러를 이용하여 세단부로 반송할 때, 안정적으로 그 작물을 반송시킬 수 있도록 한 작물 세단 장치를 제공한다.
[해결 수단] 베어냄부(2)에서 베어내어진 작물을 수평하게 반송하는 반송부(3)를, 가변 롤러(31a)와 고정 롤러(31b)로 구성된 제1 반송 롤러부(31)와, 가변 롤러(32a)와 고정 롤러(32b)로 구성된 제2 반송 롤러부(32)로 구성한다. 그리고, 제1 반송 롤러부(31)의 가변 롤러(31a)를 상부로 퇴피시켜 반송 간극폭을 이간시켰을 때에, 제2 반송 롤러부(32)의 가변 롤러(32a)를 하부로 퇴피시켜 반송 간극폭을 크게 하고, 한편, 작물이 제2 반송 롤러부(32)로 이동해 온 경우는, 링크 부재(73)의 긴 구멍(74)의 범위 내에서 링크 부재(73)의 이동을 허용하고, 이것에 의해서 제1 연결 부재(71)에 축 지지된 제1 반송 롤러부(31)의 가변 롤러(31a)를 하부로 변위시킨다.

Description

작물 세단 장치{CROP CHOPPING DEVICE}
본 발명은, 옥수수 등의 키가 높은 작물을 수확하여 세단(細斷)하는 작물 세단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옥수수 등의 작물을 수확하여 세단하는 장치로서, 하기의 특허 문헌에 나타내어지는 장치가 제안되어 있다. 이러한 장치의 일반적인 구조를 도 9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9에서, 부호 81은 베어냄부로서, 포장(圃場)의 옥수수 등의 작물을 베어내어 수확하는 것이다. 또, 부호 82는, 이 베어냄부(81)에 의해서 베어내어진 작물을 세단부(84)측으로 공급하는 반송부(82)이다. 이 반송부(82)는, 제1 반송 롤러부(82a)와 제2 반송 롤러부(82b)를 마련하여 구성되어 있고, 작물의 폭에 따라서, 제1 반송 롤러부(82a)나 제2 반송 롤러부(82b)의 가동 롤러(83a, 83b)를 상부로 퇴피(退避)시켜지도록 되어 있다. 한편, 부호 84는 세단부로서, 반송부(82)로부터 공급된 작물을 일정 길이로 세단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 세단부(84)는, 회전 가능한 실린더의 외주 부분에 복수의 회전 칼날을 마련하고, 이것과 고정 칼날과의 사이에 작물을 끼워 넣음으로써 일정 길이로 작물을 세단시키도록 되어 있다. 또, 부호 85는 배출부이며, 세단된 작물을, 그 실린더의 축방향 단부에 마련된 개구부로부터 배출하여, 풍압으로 슈터(shooter)측으로 배출하도록 하고 있다.
특허 문헌 1 : 일본특허공개 제2005-185244호 공보
그런데, 이러한 장치를 이용하여, 묶음폭이 굵은 작물을 반송부를 이용하여 반송시키는 경우, 다음과 같은 문제를 일으킨다.   
즉, 이러한 반송부 중, 제1 반송 롤러부(82a)는, 베어내어진 작물을 거두어들이도록 하기 위해서, 외주 부분에 간헐적으로 돌기를 마련하도록 하고 있는 한편, 제2 반송 롤러부(82b)에 대해서는, 그 하류측의 세단부(84)와의 간극을 없게 하여 작물의 누락을 줄이기 위해서, 외주 부분을 매끄러운 상태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런데, 이러한 구성으로 묶음폭이 굵은 작물을 반송시키는 경우, 제1 반송 롤러부(82a)에서는 가동 롤러(83a)가 상부로 퇴피하여 작물을 반송시킬 수 있기는 하지만, 이것을 제2 반송 롤러부(82b)에 주고 받을 때, 돌기가 없는 제2 반송 롤러부(82b)의 입구 부분에서 미끄러짐을 일으켜, 안정적으로 작물을 세단부(84)로 공급할 수 없게 된다. 한편, 이 제2 반송 롤러부(82b)에 돌기를 마련하도록 하면, 이번에는 세단부(84)와의 사이(화살표의 방향)에 간극이 생겨 버려, 그 간극에 작물이 들어가, 세단부(84)에 공급되지 않게 되어 버린다.  
그래서,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베어내어진 작물을 복수의 반송 롤러를 이용하여 세단부로 반송할 때, 안정적으로 그 작물을 반송시킬 수 있도록 한 작물 세단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작물을 베어내는 베어냄부와, 해당 베어냄부에서 베어내어진 작물을 반송하는 반송부와, 해당 반송부에서 반송된 작물을 세단(細斷)하는 세단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작물 세단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반송부를, 작물의 굵기에 따라 반송 간극폭을 이간시키는 가변 롤러를 구비한 제1 반송 롤러부와, 해당 제1 반송 롤러부의 하류측에 마련되며, 작물의 굵기에 따라 반송 간극폭을 이간시키는 가변 롤러를 구비한 제2 반송 롤러부와, 상기 제1 반송 롤러부의 반송 간극폭을 이간시켰을 때에, 상기 제2 반송 롤러부의 반송 간극폭을 연동시켜 이간시키는 연동 기구를 마련하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제1 반송 롤러부로부터 제2 반송 롤러부로 묶음폭이 굵은 작물을 주고 받는 경우라도, 스무스(smooth)하게 작물을 주고 받을 수 있어, 세단부측에 안정적으로 작물을 공급할 수 있게 된다.  
또, 이러한 발명에서, 상기 연동 기구를, 제1 반송 롤러부의 반송 간극폭을 크게 했을 때에, 제2 반송 롤러부의 반송 간극폭을 연동시켜 크게 하고, 작물이 제1 반송 롤러부를 통과하여 제2 반송 롤러부에 반송된 경우에, 제1 반송 롤러부의 반송 간극폭을 작게 하도록 구성한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작물이 제2 반송 롤러부에 주고 받아졌을 때에 제1 반송 롤러부의 반송 간극폭을 작게 할 수 있으므로, 다음의 작물을 끼워 넣어 확실히 반송시킬 수 있게 된다.   
게다가, 상기 제1 반송 롤러부를 고정 롤러와 가변 롤러를 마련하여 구성함과 아울러, 상기 제2 반송 롤러부를 고정 롤러와 가변 롤러를 마련하여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연동 기구를, 제2 반송 롤러부에서의 고정 롤러를 중심으로 하여 제1 반송 롤러부의 가변 롤러를 회동시키는 제1 연결 부재와, 제1 반송 롤러부에서의 고정 롤러를 중심으로 하여 제2 반송 롤러부의 가변 롤러를 회동시키는 제2 연결 부재와, 상기 제1 연결 부재와 제2 연결 부재를 연결하는 링크 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제1 연결 부재에 의해서 제1 반송 롤러부의 가변 롤러를 이간 방향으로 회동시킨 경우에, 상기 링크 부재에 의해서, 제2 연결 부재에 의해서 제2 반송 롤러부의 가변 롤러를 이간 방향으로 변위시키도록 구성한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인접하는 반송 롤러부의 고정 롤러를 중심으로 가변 롤러를 퇴피시킬 수 있기 때문에, 가변 롤러를 반송 방향에 대해서 거의 직각으로 회피시킬 수 있도록 된다.   
게다가, 제2 반송 롤러부의 반송 간극폭이 크게 되어 있는 상태에서, 제1 반송 롤러부의 반송 간극폭을 작게 하도록, 상기 링크 부재와 제1 연결 부재 혹은 제2 연결 부재와의 연결 부분에 긴 구멍을 마련하여 연결시키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긴 구멍에 의해서 제1 반송 롤러부의 반송 간극폭을 작게 할 수 있기 때문에, 간단한 구성으로 제1 반송 롤러부의 가변 롤러만을 이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작물을 베어내는 베어냄부와, 해당 베어냄부에서 베어내어진 작물을 반송하는 반송부와, 해당 반송부에서 반송된 작물을 세단하는 세단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작물 세단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반송부를, 작물의 굵기에 따라 반송 간극폭을 이간시키는 가변 롤러를 구비한 제1 반송 롤러부와, 해당 제1 반송 롤러부의 하류측에 마련되며, 작물의 굵기에 따라 반송 간극폭을 이간시키는 가변 롤러를 구비한 제2 반송 롤러부와, 상기 제1 반송 롤러부의 반송 간극폭을 이간시켰을 때에, 상기 제2 반송 롤러부의 반송 간극폭을 연동시켜 이간시키는 연동 기구를 마련하도록 했으므로, 제1 반송 롤러부로부터 제2 반송 롤러부로 묶음폭이 굵은 작물을 주고 받는 경우라도, 스무스하게 작물을 주고 받을 수 있어, 세단부측으로 안정적으로 작물을 공급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작물 세단 장치의 개략도.
도 2는 일 실시 형태에서의 베어냄부의 평면도.
도 3은 일 실시 형태에서의 반송부와 세단부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일 실시 형태에서의 반송부의 연동 기구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일 실시 형태에서의 반송부의 제1 반송 롤러부만을 하강시키는 상태도.
도 6은 일 실시 형태에서의 반송부의 동력을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다른 형태에서의 반송부의 연동 기구를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다른 형태에서의 반송부의 연동 기구를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종래예를 나타내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이 실시 형태에서의 작물 세단 장치(1)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옥수수 등의 작물의 그루터기 부분을 베어내는 베어냄부(2)와, 이 베어냄부(2)에서 베어내어진 작물을 수평 상태로 하여 하류측으로 반송하는 반송부(3)(도 3 참조)와, 이 반송부(3)에서 반송된 작물을 그루터기 부분으로부터 세단(細斷)하는 세단부(4) 등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특징적으로,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베어냄부(2)에서 베어내어진 작물의 묶음폭에 따라서, 반송부(3)에서의 제1 반송 롤러부(31)의 반송 간극폭이 크게 된 경우에, 이것에 연동시켜 하류측의 제2 반송 롤러부(32)의 반송 간극폭을 크게 하고, 한편, 제2 반송 롤러부(32)에 그 작물이 주고 받아진 경우에, 제1 반송 롤러부(31)의 반송 간극폭을 작게 하여, 다음의 작물의 끼워 넣음을 행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하, 본 실시의 형태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베어냄부(2)는, 도 1이나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차체의 전방측에 마련되는 것으로서, 좌우 한 쌍의 드럼(21)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다. 이들 드럼(21)은 서로 내향으로 회전하도록 되어 있고, 각각 드럼(21)의 외주 부분의 하단에 마련된 복수의 칼날(22)에 의해서 작물을 베어내고, 그 베어낸 작물을 내측으로 끌여들이도록 하고 있다. 이 드럼(21)의 칼날(22)의 외주 부분 상측에는, 간헐적인 작물 유지용 클로(claw, 23)가 마련되어 있고, 이것에 작물의 그루터기 부분 부근을 끼워 넣어 내측으로 끌여들이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이 작물이 내측으로 끌여들여지면, 드럼(21)의 상측(도 1 참조)에 마련된 바(24)에 작물이 닿아, 작물이 수평한 상태에서 그루터기 부분으로부터 내측으로 끌여들여져 간다.   
반송부(3)는, 이 베어냄부(2)에서 베어내어진 작물을 수평한 상태로 하여 하류측의 세단부(4)까지 반송하는 것으로서, 도 3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여기에서는 제1 반송 롤러부(31)와 제2 반송 롤러부(32)를 마련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 중, 제1 반송 롤러부(31)는, 하측의 고정 롤러(31b)와 상측의 가변 롤러(31a)를 마련하여 구성되어 있고, 이들 고정 롤러(31b)와 가변 롤러(31a)의 사이인 반송 간극폭에 작물을 끼워 넣어 반송하도록 하고 있다. 이들 고정 롤러(31b)와 가변 롤러(31a)에는, 베어냄부(2)에서 베어내어진 작물을 확실히 거두어 들이도록, 간헐적인 돌기가 외주면의 축방향으로 마련되어 있다.   
한편, 제2 반송 롤러부(32)는, 제1 반송 롤러부(31)와 마찬가지로, 상측의 고정 롤러(32b)와 하측의 가변 롤러(32a)를 마련하여 구성되어 있으며, 이들 고정 롤러(32b)와 가변 롤러(32a)의 사이인 반송 간극폭에 작물을 끼워 넣음으로써 , 제1 반송 롤러부(31)에 끼워진 작물을 수평한 상태에서 반송하도록 하고 있다. 여기서, 이 제2 반송 롤러부(32) 중, 후술하는 세단부(4)의 회전 방향 하류측에 위치하는 고정 롤러(32b)에는, 외주면에 요철을 가지지 않는 매끄러운 상태로 하고 있다. 즉, 세단부(4)의 회전 방향의 하류측에 위치하는 고정 롤러(32b)에 요철을 마련하면, 그 요철을 퇴피하기 위한 간극이 생기게 되어, 세단부(4)와의 사이에 작물이 들어가 버린다. 그래서, 여기에서는 세단부(4)의 회전 방향 하류측에 마련된 고정 롤러(32b)를 매끄러운 상태로 해 두고, 세단부(4)와의 사이의 간극을 작게 함으로써 확실히 작물을 세단부(4)로 반송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세단부(4)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반송부(3)에 의해서 수평한 상태에서 반송된 작물을 일정 폭씩 세단하도록 구성된다. 이 세단부(4)는, 실린더(42)의 외주 부분에 마련된 복수의 회전 칼날(43)과, 제2 반송 롤러부(32)의 근방에 마련된 고정 칼날(41)과의 사이에 작물을 끼워 넣어 세단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 이 실린더(42)에는, 세단된 작물을 들어 올리기 위한 복수의 날개(44)가 마련되어 있으며, 실린더(42)를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서 세단된 작물을 상부로 들어 올리도록 되어 있다.   
배출부(5)는, 이 실린더(42)에 의해서 들어 올려진 작물을 차체 후방을 향해서 배출한다. 이 배출부(5)는, 실린더(42)의 날개(44)의 회전에 의한 들어 올림에 의해서, 세단부(4)의 고정 칼날(41)의 상부에 마련된 입구부(51)로부터 작물을 받아들이고, 그곳으로부터 작물을 배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배출된 작물은, 차체 후방에 마련된 롤 성형실(6)(도 1 참조)로 배출된다. 또, 여기에서는 차체 후방을 롤 성형실(6)로 구성하도록 하고 있지만, 차체 후방을 짐받이로 해 두고, 그곳에 세단된 작물을 싣도록 해도 괜찮다.   
이러한 구성에서, 이 실시 형태에서는, 베어내어진 작물의 묶음폭의 크기에 따라서, 반송부(3)에서의 제1 반송 롤러부(31)의 반송 간극폭이 크게 된 경우에, 제2 반송 롤러부(32)의 반송 간극폭을 크게 하여 용이하게 받아들일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그 작물이 제2 반송 롤러부(32)로 이동했을 때에, 제1 반송 롤러부(31)의 반송 간극폭을 작게 하여 다음의 작물을 사이에 끼워 넣도록 한 연동 기구(7)를 마련하도록 하고 있다. 이하에, 도 4 내지 도 5를 이용하여, 이 연동 기구(7)의 구성과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제1 반송 롤러부(31)나 제2 반송 롤러부(32)는, 일방측을 고정 롤러(31b, 32b)로 하고, 이것에 대향하는 측을 가변 롤러(31a, 32a)로서 구성하고 있다. 이들 가변 롤러(31a) 중, 제1 반송 롤러부(31)측의 가변 롤러(31a)는, 그 반송 방향의 하류측에 마련되어 있는 제2 반송 롤러부(32)의 고정 롤러(32b)를 중심으로 하여 회동하는 제1 연결 부재(71)에 지지되어 있고, 이것을 축으로 하여 상부로 퇴피시켜지도록 되어 있다. 또, 제2 반송 롤러부(32)의 하측의 가변 롤러(32a)는, 반대로, 그 반송 방향의 상류측에 인접하는 제1 반송 롤러부(31)의 고정 롤러(31b)에 연결된 제2 연결 부재(72)에 지지되어 있으며, 이것을 축으로 하여 하부로 가변 롤러(32a)를 퇴피시키도록 되어 있다. 이들 제1 연결 부재(71)나 제2 연결 부재(72)는, 스프링(71a, 72a)을 매개로 하여 각각의 반송 간극폭이 작게 되는 힘이 부여되고 있고, 이것에 의해서 스프링(71a, 72a)의 힘에 의해서 항상 작물을 고정 롤러(31b)와 가변 롤러(31a)와의 사이에 끼워 넣도록 하고 있다. 또, 이 제1 연결 부재(71)와 제2 연결 부재(72)와의 사이에는, 링크 부재(73)가 마련된다. 이 링크 부재(73)의 상단측은, 제1 연결 부재(71)의 회전축과 가변 롤러(31a)와의 사이에 연결되어 있고, 하단측은, 긴 구멍(74)이나 핀(75)을 매개로 하여, 제2 연결 부재(72)의 회전축의 전방측에 연결되어 있다. 이 긴 구멍(74)은, 제1 반송 롤러부(31)의 반송 간극폭이 최소로 되어 있는 상태에서 제2 연결 부재(72)와의 핀(75)이 하부 가장자리에 닿도록 되어 있으며, 이것에 의해서 제1 연결 부재(71)가 상부로 들어 올려졌을 때에, 긴 구멍(74)의 하부 가장자리 부분과 제2 연결 부재(72)의 핀(75)을 맞닿게 하여 제2 연결 부재(72)를 회동시킨다.   
이들 제1 반송 롤러부(31)의 고정 롤러(31b) 및 가변 롤러(31a), 제2 반송 롤러부(32)의 고정 롤러(32b) 및 가변 롤러(32a)는, 도 6과 같은 구동원에 의해서 구동된다. 이 구동 기구는, 각 롤러(31a, 31b, 32a, 32b)의 타단측에는 스프로켓(310a, 310b, 320a, 320b)이 장착되어 있고, 이것에 체인(310, 311, 312)을 걸어 걸쳐서 회전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각 롤러(31a, 31b, 32a, 32b)를 회전시키는 경우, 구동 스프로켓(300)과 각 고정 롤러(31b, 32b)의 스프로켓(310b, 320b)과의 사이에 체인(310)을 걸어 걸치고, 구동 스프로켓(300)을 회전시킴으로써 고정 롤러(31b, 32b)를 구동시킨다. 또, 고정 롤러(31b, 32b)의 스프로켓(310b, 320b)과 인접하는 가변 롤러(31a, 32a)의 스프로켓(310a, 320a)과의 사이에도 체인(311, 312)을 걸어 걸치며, 이것에 의해서 가변 롤러(31a, 32a)를 퇴피시킨 상태에서 구동시켜지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반송부(3)와 연동 기구(7)의 작용에 대해서, 도 4 내지 도 5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반송 롤러부(31)의 사이에 작물이 끼워 넣어지면(도 4의 (b)), 스프링(71a)의 힘에 저항하여 제1 반송 롤러부(31)의 가변 롤러(31a)가 상측으로 이동한다. 이 때, 이 가변 롤러(31a)의 이동에 따라서 제1 연결 부재(71)가 제2 반송 롤러부(32)의 고정 롤러(31b)를 중심으로 하여 상부로 들어 올려지며, 이것에 따라서, 링크 부재(73)가 상부로 들어 올려진다. 그리고, 이와 같이 링크 부재(73)가 들어 올려지면, 긴 구멍(74)의 하부 가장자리에 맞닿는 핀(75)에 의해서 제2 연결 부재(72)가 왼쪽 방향으로 회동하게 된다. 그리고, 이 회동에 따라서, 제2 연결 부재(72)의 선단측에 장착되어 있는 제2 반송 롤러부(32)의 가변 롤러(32a)가 하부로 이동한다. 즉, 제1 반송 롤러부(31)의 가변 롤러(31a)가 상부로 들어 올려지는 것에 연동하여, 제2 반송 롤러부(32)의 가변 롤러(32a)가 하부로 이동하여 반송 간극폭이 크게 되어, 스무스하게 작물을 제2 반송 롤러부(32)의 반송 간극폭 내에 주고 받을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작물이 제2 반송 롤러부(32)에 반송되어 오면(도 5의 상태), 제1 반송 롤러부(31)의 가변 롤러(31a)가 스프링(71a)에 의해 끌려 당겨져 하측으로 이동하려고 한다. 이 때, 제1 연결 부재(71)에 연결된 링크 부재(73)의 긴 구멍(74)은, 하부로의 이동이 허용되어 있기 때문에, 스프링(71a)의 힘에 의해서 링크 부재(73) 및 제1 연결 부재(71)를 하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이것에 의해서, 제1 반송 롤러부(31)의 반송 간극폭만을 작게 할 수 있어, 다음의 작물을 끼워 넣을 수 있게 된다.   
또, 여기에서는 링크 부재(73)의 긴 구멍(74)을 하단측에 마련하여 제2 연결 부재(72)와 연결하도록 하고 있지만, 이 긴 구멍(74)에 대해서는 상측에 마련하여 제1 연결 부재(71)와 연결하도록 해도 괜찮다.   
즉,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반송 롤러부(31)의 가변 롤러(31a)와 제2 반송 롤러부(32)의 고정 롤러(32b)를 제1 연결 부재(71)에 의해 연결하고, 제2 반송 롤러부(32)의 고정 롤러(32b)를 중심으로 하여 회동할 수 있도록 해 둔다. 또, 이것과 마찬가지로, 제2 반송 롤러부(32)의 가변 롤러(32a)와 제1 반송 롤러부(31)의 고정 롤러(31b)를 제2 연결 부재(72)에 의해 연결하고, 제1 반송 롤러부(31)의 고정 롤러(31b)를 중심으로 하여 회동할 수 있도록 해 둔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제1 연결 부재(71)와 제2 연결 부재(72)를 링크 부재(73)에 의해 연결한다. 이 때, 제1 연결 부재(71)와 링크 부재(73)와의 연결 부분에 대해서는, 핀(75a)을 매개로 하여 긴 구멍(74a)에 의해 연결하도록 해 두고, 제1 반송 롤러부(31)의 반송 간극폭이 작게 되어 있는 상태에서 긴 구멍(74a)의 상부 가장자리에 핀(75a)이 닿도록 해 둔다(도 7의 (a)). 한편, 제2 연결 부재(72)와의 연결 부분에 대해서는, 도 4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제2 연결 부재(72)의 회전축과 반대측(가변 롤러(32a)측과 반대측)에 연결하도록 해 둔다.   
이러한 상태에서, 제1 반송 롤러부(31)의 가변 롤러(31a)가 상측으로 이동하면, 이것에 따라서 제1 연결 부재(71)가 들어 올려진다. 이 때, 링크 부재(73)는, 긴 구멍(74a)의 상부 가장자리에 핀(75a)이 닿도록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상측으로 들어 올려지게 된다. 그리고, 이 링크 부재(73)의 들어 올림에 따라서, 제2 연결 부재(72)가 제1 반송 롤러부(31)의 고정 롤러(31b)를 중심으로 하측으로 회동하여, 제2 반송 롤러부(32)의 반송 간극폭을 크게 하게 된다.   
한편, 작물이 제2 반송 롤러부(32)로 이동해 온 경우(도 7의 (b)), 제1 반송 롤러부(31)의 가변 롤러(31a)는 스프링(71a)의 힘에 의해서 하측으로 이동하려고 한다. 이 때, 가변 롤러(31a)에 연결된 제1 연결 부재(71)는, 링크 부재(73)의 긴 구멍(74a)의 범위 내에서 하부로의 이동이 허용되고, 이것에 의해서 제1 반송 롤러부(31)의 가변 롤러(31a)만을 하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제2 반송 롤러부(32)에 의해서 수평인 상태에서 반송되어 온 작물은, 세단부(4)(도 3 참조)까지 반송되고, 그곳에서 아래로부터 회전해 온 회전 칼날(43)과 고정 칼날(41)과의 사이에 끼워져 세단된다. 이 때, 세단부(4)의 실린더(42)는 고속으로 회전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그 실린더(42)에 마련된 날개(44)에 의해서 상승 기류가 발생하고, 세단된 작물이 배출부(5)로 배출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배출된 작물을 롤 성형실(6)로 배출하여, 그곳에서 원통 모양의 롤 베일(roll bale)을 성형한다.  
이와 같이 상기 실시 형태에 의하면, 작물을 베어내는 베어냄부(2)와, 해당 베어냄부(2)에서 베어내어진 작물을 반송하는 반송부(3)와, 해당 반송부(3)에서 반송된 작물을 세단하는 세단부(4)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작물 세단 장치(1)에 있어서, 상기 반송부(3)를, 작물의 굵기에 따라 반송 간극폭을 이간시키는 가변 롤러(31a)를 구비한 제1 반송 롤러부(31)와, 해당 제1 반송 롤러부(31)의 하류측에 마련되며, 작물의 굵기에 따라 반송 간극폭을 이간시키는 가변 롤러(32a)를 구비한 제2 반송 롤러부(32)와, 상기 제1 반송 롤러부(31)의 반송 간극폭을 이간시켰을 때에, 상기 제2 반송 롤러부(32)의 반송 간극폭을 연동시켜 이간시키는 연동 기구(7)를 마련하도록 했으므로, 제1 반송 롤러부(31)로부터 제2 반송 롤러부(32)로 묶음폭이 굵은 작물을 주고 받는 경우라도, 스무스하게 작물을 주고 받을 수 있어, 세단부(4)에 안정적으로 작물을 공급할 수 있게 된다.   
또, 연동 기구(7)를, 제1 반송 롤러부(31)의 반송 간극폭을 크게 했을 때에, 제2 반송 롤러부(32)의 반송 간극폭을 연동시켜 크게 하고, 작물이 제1 반송 롤러부(31)를 통과하여 제2 반송 롤러부(32)로 반송된 경우에, 제1 반송 롤러부(31)의 반송 간극폭을 작게 하도록 구성했으므로, 작물이 제2 반송 롤러부(32)에 주고 받아졌을 때에 제1 반송 롤러부(31)의 반송 간극폭을 작게 할 수 있어, 다음의 작물을 끼워 넣어 확실히 반송시킬 수 있게 된다.   
게다가, 상기 제1 반송 롤러부(31)를 고정 롤러(31b)와 가변 롤러(31a)를 마련하여 구성함과 아울러, 상기 제2 반송 롤러부(32)를 고정 롤러(32b)와 가변 롤러(32a)를 마련하여 구성하고, 상기 연동 기구(7)를, 제2 반송 롤러부(32)에서의 고정 롤러(32b)를 중심으로 하여 제1 반송 롤러부(31)의 가변 롤러(31a)를 회동시키는 제1 연결 부재(71)와, 제1 반송 롤러부(31)에서의 고정 롤러(31b)를 중심으로 하여 제2 반송 롤러부(32)의 가변 롤러(32a)를 회동시키는 제2 연결 부재(72)와, 상기 제1 연결 부재(71)와 제2 연결 부재(72)를 연결하는 링크 부재(73)를 구비하며, 상기 제1 연결 부재(71)에 의해서 제1 반송 롤러부(31)의 가변 롤러(31a)를 이간 방향으로 회동시킨 경우에, 상기 링크 부재(73)에 의해서, 제2 연결 부재(72)에 의해서 제2 반송 롤러부(32)의 가변 롤러(32a)를 이간 방향으로 변위시키도록 했으므로, 인접하는 반송 롤러부(31(32))의 고정 롤러(31b(32b))를 중심으로 가변 롤러(32a(31a))를 퇴피시킬 수 있어, 가변 롤러(31a(32a))를 반송 방향에 대해서 거의 직각으로 퇴피시킬 수 있게 된다.   
게다가, 제2 반송 롤러부(32)의 반송 간극폭이 크게 되어 있는 상태에서, 제1 반송 롤러부(31)의 반송 간극폭을 작게 하도록, 링크 부재(73)와 제1 연결 부재(71) 혹은 제2 연결 부재(72)와의 연결 부분에 긴 구멍(74)을 마련하여 링크 부재(73)를 연결하도록 했으므로, 긴 구멍(74)에 의해서 제1 반송 롤러부(31)의 반송 간극폭을 작게 할 수 있어, 간단한 구성으로 제1 반송 롤러부(31)의 가변 롤러(31a)만을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또, 본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여러 가지의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제1 연결 부재(71)나 제2 연결 부재(72), 링크 부재(73) 등을 이용하여 연동 기구(7)를 구성하도록 했지만, 이것 이외의 구성으로 각각의 가변 롤러(31a, 32a)를 퇴피시키도록 해도 괜찮다. 이러한 퇴피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각의 가변 롤러(31a, 32a)를 동일 방향으로 마련하여 T자 모양의 연결 부재(91)에 의해 연결해 두고, 이 연결 부재(91)를 상부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해 둔다. 그리고, 일방의 상류측의 가변 롤러(31a)가 퇴피한 경우에, T자 모양의 연결 부재(91)를 구성하는 세로 부재(92)를 벽면(93)을 따라서 상부로 이동시키고, 이것에 의해서, 하류측의 가변 롤러(31a)도 상부로 퇴피시킨다. 한편, 작물이 하류측으로 이동해 온 경우(도 8의 (b), T자 모양의 연결 부재(91)를 구성하는 세로 부재(92)를 벽면(93)의 전방 공간(94) 내에서 전방으로 경도(傾倒)시키도록 하고, 이것에 의해서 상류측의 가변 롤러(31a)를 하부로 이동시키도록 해도 괜찮다.   
또,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연직축을 따라 회전하는 드럼(21)에 의해서 작물을 베어내도록 하고 있지만, 이것 이외의 방법으로 작물을 베어내어 반송부(3)로 반송하도록 해도 괜찮다.  
게다가,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세단부(4)로서 실린더(42)에 날개(44)를 마련하여 들어 올림을 행하도록 하고 있지만, 이것 이외의 방법으로 들어 올림을 행하도록 해도 괜찮다.  
또,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반송부(3)의 일방을 가변 롤러(31a(32a)), 타방을 고정 롤러(31b(32b))로 했지만, 양쪽 모두 가변 롤러로 해도 좋다.
1 - 작물 세단 장치 2 - 베어냄부
21 - 드럼 22 - 칼날
23 - 클로 24 - 바
3 - 반송부 31 - 제1 반송 롤러부
31a - 가변 롤러 31b - 고정 롤러
32 - 제2 반송 롤러부 32a - 가변 롤러
32b - 고정 롤러 4 - 세단부
41 - 고정 칼날 42 - 실린더
43 - 회전 칼날 44 - 날개
5 - 배출부 51 - 입구부
6 - 롤 성형실 7 - 연동 기구
71 - 제1 연결 부재 71a - 스프링
72 - 제2 연결 부재 72a - 스프링
73 - 링크 부재 74 - 긴 구멍
75 - 핀

Claims (4)

  1. 작물을 베어내는 베어냄부와,
    해당 베어냄부에서 베어내어진 작물을 반송하는 반송부와,
    해당 반송부에서 반송된 작물을 세단(細斷)하는 세단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작물 세단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반송부를,
    작물의 굵기에 따라 반송 간극폭을 이간시키는 가변 롤러를 구비한 제1 반송 롤러부와,
    해당 제1 반송 롤러부의 하류측에 마련되며, 작물의 굵기에 따라 반송 간극폭을 이간시키는 가변 롤러를 구비한 제2 반송 롤러부와,
    상기 제1 반송 롤러부의 반송 간극폭을 이간시켰을 때에, 상기 제2 반송 롤러부의 반송 간극폭을 연동시켜 이간시키는 연동 기구를 마련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물 세단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동 기구가, 제1 반송 롤러부의 반송 간극폭을 크게 했을 때에, 제2 반송 롤러부의 반송 간극폭을 연동시켜 크게 하며, 작물이 제1 반송 롤러부를 통과하여 제2 반송 롤러부로 반송된 경우에, 제1 반송 롤러부의 반송 간극폭을 작게 하도록 한 것인 작물 세단 장치.
  3. 상기 제1 반송 롤러부가 고정 롤러와 가변 롤러를 마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2 반송 롤러부가 고정 롤러와 가변 롤러를 마련하여 구성되며,
    상기 연동 기구가,
    제2 반송 롤러부에서의 고정 롤러를 중심으로 하여 제1 반송 롤러부의 가변 롤러를 회동시키는 제1 연결 부재와,
    제1 반송 롤러부에서의 고정 롤러를 중심으로 하여 제2 반송 롤러부의 가변 롤러를 회동시키는 제2 연결 부재와,
    상기 제1 연결 부재와 제2 연결 부재를 연결하는 링크 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제1 연결 부재에 의해서 제1 반송 롤러부의 가변 롤러를 이간 방향으로 회동시킨 경우에, 상기 링크 부재에 의해서, 제2 연결 부재에 의해서 제2 반송 롤러부의 가변 롤러를 이간 방향으로 변위시키도록 한 작물 세단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제2 반송 롤러부의 반송 간극폭이 크게 되어 있는 상태에서, 제1 반송 롤러부의 반송 간극폭을 작게 하도록, 링크 부재와 제1 연결 부재 혹은 제2 연결 부재와의 연결 부분에 긴 구멍을 마련하여 링크 부재를 연결시키도록 한 작물 세단 장치.
KR1020160009453A 2015-02-04 2016-01-26 작물 세단 장치 KR10252767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5020767A JP6501541B2 (ja) 2015-02-04 2015-02-04 作物細断装置
JPJP-P-2015-020767 2015-02-0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6017A true KR20160096017A (ko) 2016-08-12
KR102527679B1 KR102527679B1 (ko) 2023-05-03

Family

ID=565679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9453A KR102527679B1 (ko) 2015-02-04 2016-01-26 작물 세단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6501541B2 (ko)
KR (1) KR102527679B1 (ko)
CN (1) CN205454637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41777A (zh) * 2018-10-18 2018-12-21 陈时明 用于玉米茎穗兼收机的过桥总成装置
CN109258094A (zh) * 2018-10-18 2019-01-25 陈时明 玉米茎穗兼收机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23959U (ko) * 1975-08-06 1977-02-19
JPS6186340A (ja) * 1984-10-04 1986-05-01 Canon Inc シ−ト原稿搬送装置
US5157904A (en) * 1990-05-17 1992-10-27 Claas Ohg Sugar-cane harvesting machine
JP2005185244A (ja) 2003-12-26 2005-07-14 Kobashi Kogyo Co Ltd 切断装置
US8984850B2 (en) * 2012-12-20 2015-03-24 Cnh Industrial America Llc Row insensitive biomass harvesting and billeting system and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6642B2 (ja) * 1986-12-16 1994-03-09 文明農機株式会社 たばこ残幹ハ−ベスタ
JP3338191B2 (ja) * 1994-07-29 2002-10-28 桂川電機株式会社 ブック原稿搬送装置
US6996961B2 (en) * 2003-11-19 2006-02-14 Acco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ditioning crop materials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23959U (ko) * 1975-08-06 1977-02-19
JPS6186340A (ja) * 1984-10-04 1986-05-01 Canon Inc シ−ト原稿搬送装置
US5157904A (en) * 1990-05-17 1992-10-27 Claas Ohg Sugar-cane harvesting machine
JP2005185244A (ja) 2003-12-26 2005-07-14 Kobashi Kogyo Co Ltd 切断装置
US8984850B2 (en) * 2012-12-20 2015-03-24 Cnh Industrial America Llc Row insensitive biomass harvesting and billeting system and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6140333A (ja) 2016-08-08
CN205454637U (zh) 2016-08-17
JP6501541B2 (ja) 2019-04-17
KR102527679B1 (ko) 2023-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92747B2 (en) Finger drive for a crop feed roller
AU2012202714B2 (en) Conveyor belt for a tubular conveyor and conveyor assembly
KR20160096017A (ko) 작물 세단 장치
US20180332772A1 (en) Header
KR20150045270A (ko) 땅속작물 수확기
JP5770613B2 (ja) 自走式ロールベーラ
CN107333532B (zh) 滚筒式输送器和农业收割割台
KR100319303B1 (ko) 유자망 어구용 자동 멸치분리기
JP2014147352A (ja) 作物収穫機
JP2016220673A (ja) 普通型コンバイン
KR101291534B1 (ko) 원료내 이물질 제거장치
US11919714B2 (en) Veneer sheet feed device for multistage veneer sheet dryer
JP2013118835A (ja) 自走式ロールベーラ
JP4874619B2 (ja) コンバイン
JP5439829B2 (ja) 整列搬送装置
JP2019142695A (ja) 多段式ベニヤドライヤの単板送入装置
JP3708988B2 (ja) 長軸方向に搬送されたワークを横方向に移送する装置
JP7504047B2 (ja) 農作物収穫作業機
KR101670168B1 (ko) 선재 컨베이어 장치
KR200305488Y1 (ko) 계란이송장치용 이송부재
JP5836515B1 (ja) サンドイッチの切断システム
JPH0543820U (ja) コンバインの刈取り搬送装置
US9266680B2 (en) Conveyor system for forage bales and machine for handling forage bales including said system
JP2009296963A (ja) コンバインの刈取装置
JP2005006664A (ja) コンバインの前処理装置における穀稈搬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