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7707B1 - 콘크리트 파손 방지를 위한 허니컴 신축이음장치 - Google Patents

콘크리트 파손 방지를 위한 허니컴 신축이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7707B1
KR102107707B1 KR1020190115111A KR20190115111A KR102107707B1 KR 102107707 B1 KR102107707 B1 KR 102107707B1 KR 1020190115111 A KR1020190115111 A KR 1020190115111A KR 20190115111 A KR20190115111 A KR 20190115111A KR 102107707 B1 KR102107707 B1 KR 1021077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concrete
reinforcing
pair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51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택
Original Assignee
(주)올바른이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올바른이엔씨 filed Critical (주)올바른이엔씨
Priority to KR10201901151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770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77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77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6Arrangement, construction or bridging of expansion join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2/00Methods or apparatus for repairing or strengthening existing bridges ; Methods or apparatus for dismantling bri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한 쌍의 슬래브 사이에 배치되는 허니컴 신축이음장치에 있어서, 좌우로 연장 형성되는 유격홈(101)을 중심으로 전후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한 쌍의 플레이트(110), 상기 한 쌍의 플레이트(110)의 외측에 각각 매설되는 콘크리트(120) 및 일부가 하나의 플레이트(110) 상측에 배치되고, 다른 일부가 하나의 콘크리트(120) 상측에 배치되어 고정되는 보강부(2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 방향 신장에 의한 콘크리트 파손을 방지를 위한 허니컴 신축이음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콘크리트 파손 방지를 위한 허니컴 신축이음장치{HONEYCOMB TYPE EXPANSION JOINT TO PREVENT CONCRETE BREAKAGE}
본 발명은 콘크리트 파손 방지를 위한 허니컴 신축이음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교량의 슬래브(Slab) 사이에 설치되어 횡 응력에 의해 콘크리트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허니컴 신축이음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량을 이루는 상판 구조물의 이음부는 온도변화, 크리프, 건조수축 및 차량통행 시 활 하중에 의해 신축이 발생하며, 이러한 이음부에는 대개 신축이음장치가 설치된다.
신축이음장치는 교량구조물에 설치되어 콘크리트 온도변화에 따른 건조수축 및 크리프, 활하중 등에 의해 발생하는 교량의 변위를 수용하고 차륜을 지지하여 원활한 차량운행이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구조적으로 안전하고 설치 및 유지보수가 용이함과 동시에 방수성능 향상으로 하자발생 가능성을 최소화하여야 한다.
신축이음장치는 공공안전과 직접적으로 연관되어 있는 교량구조물에 적용되는 장치로서 지속적인 유지보수 및 교체작업에 많은 비용이 지출되고 있는 실정이다.
신축이음장치의 구조형태에 따른 파손원인으로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신축작용에서 발생하는 균열, 차량 진동과 충격하중에 의한 파손, 방수재 파손 및 누수로 인한 교대 및 교각의 열화 심화, 반복된 하중에 의한 피로균열, 누수와 결빙 등에 의한 접합부 파손이 있다.
이에 대한 개선방안으로는 분절 연결부 강화, 2중 방수로 물의 원천적인 차단, 자재 품질관리 강화, 우수 보수공법 발굴 및 확대 적용 등이 있으나 현재까지 구체적인 해결방안은 미흡한 실정이다.
신축이음장치의 대표적인 일예로는 모노셀형 신축이음장치가 제안되고 있는데, 상기 모노셀형 신축이음장치는 주행면이 고무로 되어 있어 충격의 흡수가 매우 좋고, 유간이 좁아 주행성이 뛰어난 효과를 제공하는 특성이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084668호(“콘크리트와의 부착력이 우수한 모노셀형 신축이음장치”, 2011.11.22. 공고)는 모노셀형 신축이음장치를 개시하고 있으며, 도 1을 참조하여 해당 신축이음장치를 간략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모노셀형 신축이음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결합된 한 쌍의 하부측판(32) 및 앙카바(35) 사이에 고무와 같은 신축재가 삽입되어 슬래브 간의 신축이 발생하여도 교량의 안전성이 유지되도록 구성된다.
종래 기술은 일자형의 앙카바가 하부측판의 측면에 수직되도록 결합이 되며, 상기 앙카바의 상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철근이 지지하되, 상기 철근의 상측에는 “ㄷ”자 형상의 형강이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고정 작업이 완료되면 콘크리트가 타설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신축이음장치(1)는 한 쌍의 슬래브의 상부에 종 방향의 변위에 대응하기 위해 신축홈(2a)을 기준으로 서로 이격되는 한 쌍의 상부플레이트(2)가 형성되고, 그 외측에는 후타콘크리트(7)가 매설된다.
종래에는 교량 상의 길이방향인 종 방향의 신축이 유연하도록 다양한 기술이 접목되어 있지만,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횡 방향에 따른 변형을 방지하는 것은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따라 신축홈을 기준으로 서로 이격된 상부플레이트의 외측에 매설된 콘크리트는 횡 방향 신축에 의해서 균열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교량의 횡 방향을 따라 다수개의 신축이음장치가 연결되는 경우, 분절부 또는 연결부에서 균열, 단차, 파손 등이 발생하여, 플레이트, 콘크리트 및 고무가 파손되거나 누수가 발생할 수 있다(도 4).
또한 상기 플레이트, 콘크리트 및 고무의 균열, 단차 및 파손으로 인하여 교량의 사고 발생 가능성이 높아지고, 균열로 유체가 침투하여 내부 조인트나 앙카 등을 부식시키는 문제점으로 이어졌다.
KR 10-1084668 B1 (“콘크리트와의 부착력이 우수한 모노셀형 신축이음장치”) 2011.11.22. 공고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플레이트와 콘크리트 상면에 설치되는 보강부를 통해 횡 방향 하중에 의한 플레이트, 콘크리트 및 고무의 변형, 단차발생, 누수발생, 파손 및 균열을 방지할 수 있는 콘크리트 파손 방지를 위한 허니컴 신축이음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신축이음장치의 분절부 상부에 허니컴 보강부를 이용하여 차량에 의한 반복 피로하중을 분산시키며, 횡방향의 신축을 최소화하여 제품 및 후타재의 일체화로 균열을 방지하고 주행성능을 향상시켜 내구성능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분절부의 연결은 고장력 볼트를 이용한 기계식 접합으로 유지보수 시 보강부의 조립 해체가 용이하여 시공성 및 신속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스틱형 탄성부재는 우수의 유입량이 증가될 때 2중 방수로 물의 원천적인 차단이 가능하여 누수로 인한 교대 및 교각의 파손을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한 쌍의 슬래브 사이에 배치되는 신축이음장치에 있어서, 좌우로 연장 형성되는 유격홈(101)을 중심으로 전후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한 쌍의 플레이트(110); 상기 한 쌍의 플레이트(110)의 외측에 각각 매설되는 콘크리트(120); 및 일부가 하나의 플레이트(110) 상측에 배치되고, 다른 일부가 하나의 콘크리트(120) 상측에 배치되어 고정되는 보강부(2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플레이트(110)는 횡 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배치되고, 횡 방향으로 배치된 복수의 상기 플레이트(110) 중 적어도 한 쌍의 상기 플레이트(110) 사이에는 연결부분(102)이 형성되며, 상기 보강부(200)는 상기 연결부분(102)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강부(200)는 한 쌍으로 이루어져, 하나의 상기 보강부(200)는 하나의 플레이트(110) 및 콘크리트(120)의 상측에 배치되되, 다른 하나의 상기 보강부(200)는 다른 하나의 플레이트(110) 및 콘크리트(120)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한 쌍의 상기 보강부(200)는, 일정 영역 내의 한 쌍의 플레이트(110)를 기준으로, 하나의 보강부(200)의 일부가 하나의 플레이트(110)의 상부면과 대응하도록 형성되고, 다른 하나의 보강부(200)의 일부가 다른 하나의 플레이트(110)의 상부면과 대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보강부(200)는 마름모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보강부(200)는 복수로 이루어져 좌우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상기 보강부(200) 중 일부는, 주행하는 차량의 타이어와 접하도록 차선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상기 보강부(200) 중 일부는, 교량 내 도로의 차선에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보강부(200)를 상기 플레이트(110) 또는 콘크리트(120)에 고정하는 체결부(230);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보강부(200)는 상기 플레이트(110) 및 콘크리트(120)와 탈부착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체결부(230)는 보강부(200)를 콘크리트(120) 상에 고정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허니컴 보강부를 플레이트와 콘크리트의 상측에 설치하여, 교량에 횡 방향 신축이 발생하여도 플레이트, 콘트리트 및 고무의 변형, 단차발생, 누수발생, 파손, 균열 등이 발생하지 않도록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균열로 인하여 외부 유체가 침투하는 것을 방지함과 더불어, 신축이음장치의 부식을 막아 내구성과 강성을 장기간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교량의 횡 방향을 따라 다수개의 신축이음장치가 연결되는 경우, 연결부분에 상기 보강부를 설치함으로써, 플레이트, 콘트리트 및 고무의 변형, 균열, 단차발생, 누수발생, 파손 등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차량의 타이어에 접하는 지점에 보강부를 설치하여 외력에 의한 신축이음장치의 파손을 방지하고, 주행성능을 보다 향상시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보강부가 탈부착 가능하게 형성되되, 응력이 보강부로 집중하도록 형성하여 횡 방향 신축이나 외력에 의한 파손이 발생하여도 보강부의 교체를 통해 유지 보수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신축이음장치의 분절부 상부에 허니컴 보강부를 이용하여 차량에 의한 반복 피로하중을 분산시키며, 횡방향의 신축을 최소화하여 제품 및 후타재의 일체화로 균열을 방지하고 주행성능을 향상시켜 내구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분절부의 연결은 고장력 볼트를 이용한 기계식 접합으로 유지보수 시 보강부의 조립 해체가 용이하여 시공성 및 신속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스틱형 탄성부재는 우수의 유입량이 증가될 때 2중 방수로 물의 원천적인 차단이 가능하여 누수로 인한 교대 및 교각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신축이음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신축이음장치의 평면도
도 3 및 4는 종래 기술에 따른 신축이음장치에 발생되는 균열을 도시한 도면
도 5 및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허니컴 신축이음장치의 평면도
도 7 및 8은 종래기술에 따른 플레이트 간 연결부분에 결합되는 부재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레이트 간 연결부분에 결합되는 보강부를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축이음장치의 정단면도 및 부분확대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강부가 탈부착 되는 것을 도시한 신축이음장치의 정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강부가 탈부착 되는 것을 도시한 신축이음장치의 정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허니컴 신축이음장치의 평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허니컴 신축이음장치의 평면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허니컴 신축이음장치의 측면도.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파손 방지를 위한 허니컴 신축이음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도면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제시되는 도면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또한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이때 사용되는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에 있어서 다른 정의가 없다면,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가지며, 하기의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5 및 6은 본 발명인 콘크리트 파손 방지를 위한 허니컴 신축이음장치에 관한 것으로, 도 5 및 6은 허니컴 신축이음장치의 평면도를 나타낸다.
먼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복수의 슬래브가 길이 방향을 따라 연결되는 교량에서, 상기 복수의 슬래브 사이에 설치되는 신축이음장치(100)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신축이음장치(100)는 횡 방향의 신장에 의한 균열을 방지하는 보강부(2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횡 방향은 차량(10)의 주행방향 또는 교량의 길이 방향과 수직된 방향일 수 있으며, 상기 교량 내에 상기 차량(10)이 주행하는 것을 가이드 하는 차선(20)이 형성되는 것을 예거하여 후술한다.
도 6을 참조하면, 한 쌍의 슬래브가 서로 연결되는 구역의 상부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신축이음장치(10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신축이음장치(100)에는 길이방향의 신축에 따라 서로 간의 거리가 가변될 수 있도록 유격홈(101)이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유격홈(101)의 전방(도면상으로는 상측방향)에는 하나의 슬래브와 연결되는 신축이음장치가, 상기 유격홈의 후방에는 다른 하나의 슬래브와 연결되는 신축이음장치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신축이음장치는 상기 유격홈(101)을 기준으로 전후방으로 배치되는 플레이트(110)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상기 플레이트(110) 각각의 외측에는 콘크리트(120)가 타설될 수 있으며, 상기 콘크리트(120)에 대해서 부가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신축이음장치는 한 쌍의 슬래브와 연결하기 위해서, 신축이음장치의 앙카 또는 조인트가 슬래브의 철근 상에 고정하는 시공이 포함된다. 이때 상기 신축이음장치의 앙카볼트는 일반적으로 플레이트(110)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며, 고정하는 시공이 마무리되면 해당 영역에는 후타콘크리트가 타설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보강부(200)에 대한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유격홈(101)을 기준으로 전방측에는 하나의 플레이트(110) 및 콘크리트(120)가 배치되고, 후방측에는 다른 하나의 플레이트(110) 및 콘크리트(120)가 배치되는 것으로 정의한다.
본 발명의 보강부(200)는 일정한 넓이를 가지되, 넓이 기준으로 일부가 하나의 플레이트(110)의 상측에 배치되고, 다른 일부는 하나의 콘크리트(120) 상측에 배치된다. 즉, 상기 보강부(200)는 상기 플레이트(110) 및 콘트리트(120)의 경계면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강부(200)는 한 쌍의 제1보강부(210) 및 제2보강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보강부(210)는 하나의 플레이트(110) 및 콘크리트(120)의 상측에 배치 고정될 수 있고, 상기 제2보강부(220)는 다른 하나의 플레이트(110) 및 콘크리트(120)의 상측에 배치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보강부(200)는 횡 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은 상기 보강부(200)의 허용응력에 따라 배치되는 지점을 설정할 수 있다. 일예로 상기 보강부(200)의 허용응력이 상기 플레이트(110) 및 콘크리트(120)보다 높은 경우에는, 차량의 타이어가 접하는 지면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일예로, 차량의 주행 범위를 결정하는 차선이 있는 경우, 상기 차선 내에 배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는, 상기 보강부(200)의 허용응력이 상기 플레이트(110) 보다 낮은 경우에는 차선과 겹치도록 형성하거나, 주행범위를 벗어난 갓길에 배치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보강부(200)는 신축이음장치(100)의 일정 영역을 기준으로, 상기 플레이트(110)의 형상과 대응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유격홈(101)이 횡 방향을 따라 파형 또는 일정한 패턴으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보강부(200)의 일면은 상기 패턴과 대응토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일정 영역에서는, 제1보강부(210) 및 제2보강부(220)가 유격홈(101)을 기준으로 서로 이격 배치된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보강부(200)의 타면 또한 상기 패턴과 대응하도록 구성되어 마름모 형태 또는 허니컴 형태로 이루어져, 교량의 횡 방향의 신축에 대해서 보다 효과적으로 균열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1보강부(210) 및 제2보강부(220)를 상기 플레이트(110) 또는 콘크리트(120)에 고정하는 체결부(23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후술되는 도면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7 내지 9는 플레이트 간의 연결부분에 결합되는 부재를 서로 비교한 도면으로, 도 7 및 8은 종래 기술에 따른 연결부분에 결합되는 부재를,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분에 결합되는 보강부를 각각 나타낸다.
도 7을 참조하면, 교량의 신축이음장치는, 복수의 플레이트(31)가 교량의 횡 방향을 따라 서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상기 플레이트(31)는 서로 연속적으로 배치되기 때문에 서로 접하는 연결부분(32)이 발생된다. 이때 상기 연결부분(32)에는 서로 인접한 한 쌍의 플레이트(31)에서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플레이트가 배치되고, 한 쌍의 상기 플레이트(31)를 서로 연결하도록 체결부재(33)가 횡 방향으로 관통하여 결합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도 8). 이때 상기 체결부재(33)는 최초 시공 시에 고정된 상태로 형성되기 때문에, 해당 부분에서 파손이 일어나면 유지보수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으며, 파손으로 인하여 교량의 안전성이 저해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 신축이음장치의 분절부 이음은 하부 빔에 단순 연결철물로 적용되고 있으며, 이는 접합성능 및 내구성능 저하로 인한 응력집중으로 강재 및 후타재의 파손이 집중될 수 있다.
또한 신축이음장치의 보수 시 후타재의 하부까지 모두 해체해야 하므로 시공성 및 신속성이 저하되며, 탄성부재는 플레이트와의 단순 접합으로 장마철 우수의 유입량이 증가될 때 분절부의 시공오차로 인하여 누수가 발생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교량의 신축이음장치(100)는, 횡 방향을 따라 서로 연결되는 복수의 플레이트(110)를 포함할 수 있으며, 횡 방향을 따라 배치된 적어도 한 쌍의 상기 플레이트(110) 사이에는 연결부분(102)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보강부(200)는 한 쌍의 상기 플레이트(110) 간의 연결부분(102)의 상측에 배치되어, 연결부분(102)으로 외부의 유체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강부(200)는, 한 쌍의 상기 플레이트(110) 상측과 상기 콘크리트(120)가 매설된 영역의 상측에 배치되어, 횡 방향의 신축 시에도 플레이트, 콘크리트 및 고무의 변형, 균열, 누수발생, 단차발생 및 파손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플레이트(110)와 콘크리트(120) 사이의 틈이나, 한 쌍의 상기 플레이트(110) 사이의 연결부분(102)으로 유체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신축이음장치의 시공 이음 시 상부 강재의 분절부에 허니컴 보강부를 이용함으로써, 차량 통행으로 인한 피로하중의 분산효과를 통해 신축이음장치 간 접합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고 유지보수 시 상부의 보강부의 조립 및 해체가 용이하여 시공이 간편하고 공기단축이 가능하다.
또한 노면과 연속성이 확보되어 주행성이 우수하고 구조물에 가해지는 진동을 저감시켜 후타재 파손을 방지하여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0 및 11은 본 발명인 콘크리트 파손 방지를 위한 허니컴 신축이음장치에 관한 것으로, 도 10은 도 6의 A-A`선에 따른 허니컴 신축이음장치의 정면도 및 부분확대도를, 도 11은 보강부가 탈부착 되는 것을 도시한 허니컴 신축이음장치의 정단면도를 각각 나타낸다.
도 10을 참조하면, 상술한 상기 보강부(200)는 콘크리트(120)가 위치한 영역에 고정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평평한 상태의 노면이 유지되도록 상기 신축이음장치(100)에는 보강부(200)의 두께 및 면적과 대응되는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제1보강부(210)를 기준으로 설명하자면 다음과 같다.
도 1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콘크리트(120)가 위치한 영역에는 보강플레이트(13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보강플레이트(130)는, 상기 슬래브의 철근 상에 고정되거나, 신축이음장치의 철근 상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1보강부(210)는 상기 보강플레이트(130)의 상측에 안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콘크리트(120)가 매설된 영역에 홀을 형성하여 상기 제1보강부(210)가 안착되거나, 상기 제1보강부(210)가 안착되는 영역의 콘크리트(120)에 상기 제1보강부(210)의 상하 두께와 대응하는 홈이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1보강부(210)는 체결부(230)를 통해 상기 보강플레이트(130)에 고정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보강부(210)에는 관통홀(211)이 형성되어 상기 체결부(230)의 삽입부재(231)가 상기 관통홀(211)을 관통하여 상기 보강플레이트(130)와 결합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체결부(230)는 상기 삽입부재(231)가 상기 보강플레이트(130)에 결합되면, 상기 삽입부재(231)를 고정하는 고정부재(23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고정부재(232)는 보강플레이트(130)에 일체로 고정된 형태로 구성되거나, 외부에서 별도로 고정하는 형태 등 여러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기 체결부(230)를 통해 상기 제1보강부(210)가 탈부착 가능하게 형성되어, 제1보강부(210)가 파손된 경우 작업자가 새로운 제1보강부(210)로 교체하는 것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보강부(210)가 안착된 영역은 콘크리트가 매설된 영역인데, 매립된 다른 구성이나 콘크리트에 직접 고정될 수도 있으므로, 이를 통칭하여 콘크리트 상에 고정되는 것으로 정의한다.
도 12는 도 10의 B-B`단면에 따른 신축이음장치의 측면도를 나타낸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삽입부재(231)를 통해, 하나의 상기 플레이트(110)와 상기 제1보강부(210)가 서로 결합되고, 다른 하나의 상기 플레이트(110)와 제2보강부(220)가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삽입부재(231)는 상기 제1보강부(210) 및 제2보강부(220)를 관통하여 상기 플레이트(110)에 고정된 보강플레이트(130)와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보강플레이트(130)는 적어도 한 쌍으로 구성되어, 한 쌍의 상기 플레이트(110)에 각각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제1보강부(210)는 하나의 상기 플레이트(110)와 연결되고, 상기 제2보강부(220)는 다른 하나의 상기 플레이트(110)와 연결되며, 한 쌍의 상기 플레이트(110)가 탄성부재(300)를 통해 연결됨에 따라 보다 안정적인 구조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제1보강부(210)는 체결부(230)를 통해 상기 보강플레이트(130) 및 플레이트(110)에 고정되며, 이때 상기 제1보강부(210)에는 관통홀(211)이 형성되어 상기 체결부(230)의 삽입부재(231)가 상기 관통홀(211)을 관통하여 상기 보강플레이트(130)와 결합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체결부(230)는 상기 삽입부재(231)가 상기 보강플레이트(130)에 결합되면, 상기 삽입부재(231)를 고정하는 고정부재(23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보강부(220)는 제1보강부(210)와 동일한 방법으로 상기 보강플레이트(130) 및 플레이트(110)에 고정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보강플레이트(130)가 제1보강플레이트(131) 및 제2보강플레이트(13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보강플레이트(131)는 상기 제1보강부(210) 및 제2보강부(220) 상에 고정 결합되고, 상기 제2보강플레이트(132)는 상기 플레이트(110) 상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삽입부재(231)가 나사산이 형성되는 경우에는 상기 제1보강플레이트(131) 및 제2보강플레이트(132) 각각의 관통홀에는 이와 체결되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삽입부재(231)는 머리 부분이 나사산이 형성된 몸체보다 크게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1보강부(210) 및 제2보강부(220)에는 상기 삽입부재(231)의 머리 부분이 수용되도록 대응되는 형상의 홈이 형성될 수 있다.
도 13 및 14는 본 발명인 콘크리트 파손 방지를 위한 허니컴 신축이음장치에 관한 것으로, 도 13 및 14는 보강부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허니컴 신축이음장치의 평면도를 각각 나타낸다.
도 13을 참조하면, 슬래브 간의 유격홈(101)이 일정한 주기로 반복되는 패턴이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보강부(200)의 일면은 하나의 주기 형태 또는 복수의 주기 형태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보강부(200)의 타면(타측 모서리)은 상기 보강부(200)의 일면과 대응하는 형상이 아닌, 좌우방향으로 연장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체결부(230)는 좌우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체결부(230)는 적어도 한 쌍 이상으로 형성되어, 하나의 체결부(230)가 상술한 연결부분(102)의 횡 방향 일측에 배치되고, 다른 하나의 체결부(230)가 상기 연결부분(102)의 횡 방향 타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체결부(230)는 상기 보강부(200)와 플레이트(100)를 서로 연결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상기 유격홈(101)은 삼각파나 방형파, 정현파 등 주기적으로 반복되는 다양한 패턴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보강부(200)는 상기 유격홈(101)의 패턴에 대응되도록 일면 또는 일측 모서리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보강부는 좌우로 연장되는 플레이트(110)가 중간에 일정 영역만큼 절단되고, 절단된 영역에 상기 보강부(200)가 설치되되, 콘크리트(120)가 설치된 영역까지 외측으로 연장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기존 플레이트(110) 및 콘크리트(120) 사이의 접합면에서 균열이 발생되는 것을 억제하고, 탈부착 가능한 보강부(200)가 횡 방향의 신축에 대응토록 제공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인 콘크리트 파손 방지를 위한 허니컴 신축이음장치에 관한 것으로, 도 15는 허니컴 신축이음장치의 측면도를 나타낸다.
도 15를 참조하면, 서로 이격 배치되는 한 쌍의 플레이트(110)의 하부(111)사이에는 탄성부재(300)가 형성되어 교량의 길이방향으로의 신축을 대응토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은 상기 탄성부재(300)의 단면이 M자 형으로 형성되되, 사이 영역이 격벽 형태로 이루어져 유체가이드부(301)가 형성될 수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은 상기 제1보강부(210) 및 제2보강부(220)와 상기 탄성부재(300) 사이에 방수부재(400)가 형성되어, 상기 보강부(200) 및 플레이트(110) 사이의 틈으로 유체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 쌍의 상기 플레이트(110)의 하부는 상술한 바와 같이 앙카나 조인트 등을 통해 각 교량의 철근 상에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탄성부재(300)는 한 쌍의 상기 플레이트(110) 사이에 배치되어, 양단이 한 쌍의 상기 플레이트(110)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10 : 차량
20 : 차선
100 : 신축이음장치
101 : 유격홈
102 : 연결부분
110 : 플레이트
120 : 콘크리트
130 : 보강플레이트
200 : 보강부
210 : 제1보강부
211 : 관통홀
220 : 제2보강부
230 : 체결부
231 : 삽입부재
232 : 고정부재
300 : 탄성부재
301 : 유체가이드부
400 : 방수부재

Claims (7)

  1. 한 쌍의 슬래브 사이에 배치되는 신축이음장치에 있어서,
    좌우로 연장 형성되는 유격홈(101)을 중심으로 전후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한 쌍의 플레이트(110);
    상기 한 쌍의 플레이트(110)의 외측에 각각 매설되는 콘크리트(120); 및
    일부가 하나의 플레이트(110) 상측에 배치되고, 다른 일부가 하나의 콘크리트(120) 상측에 배치되어 고정되는 보강부(200);를 포함하고,
    상기 플레이트(110)는 횡 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배치되고,
    횡 방향으로 배치된 복수의 상기 플레이트(110) 중 적어도 한 쌍의 상기 플레이트(110) 사이에는 연결부분(102)이 형성되며,
    상기 보강부(200)는 상기 연결부분(102)의 상측에 배치되며,
    상기 보강부(200)는 한 쌍으로 이루어져,
    하나의 상기 보강부(200)는 하나의 플레이트(110) 및 콘크리트(120)의 상측에 배치되고,
    다른 하나의 상기 보강부(200)는 다른 하나의 플레이트(110) 및 콘크리트(120)의 상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이음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한 쌍의 상기 보강부(200)는,
    일정 영역 내의 한 쌍의 플레이트(110)를 기준으로,
    하나의 보강부(200)의 일부는 하나의 플레이트(110)의 상부면과 대응하도록 형성되고,
    다른 하나의 보강부(200)의 일부는 다른 하나의 플레이트(110)의 상부면과 대응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이음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200)는, 마름모 형상 또는 허니컴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이음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200)는 복수로 이루어져 좌우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이음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200)를 상기 플레이트(110) 또는 콘크리트(120)에 고정하는 체결부(230);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보강부(200)는 상기 플레이트(110) 및 콘크리트(120)와 탈부착 가능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이음장치.

KR1020190115111A 2019-09-19 2019-09-19 콘크리트 파손 방지를 위한 허니컴 신축이음장치 KR1021077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5111A KR102107707B1 (ko) 2019-09-19 2019-09-19 콘크리트 파손 방지를 위한 허니컴 신축이음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5111A KR102107707B1 (ko) 2019-09-19 2019-09-19 콘크리트 파손 방지를 위한 허니컴 신축이음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07707B1 true KR102107707B1 (ko) 2020-05-07

Family

ID=707333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5111A KR102107707B1 (ko) 2019-09-19 2019-09-19 콘크리트 파손 방지를 위한 허니컴 신축이음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770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71Y1 (ko) * 2002-05-30 2003-01-14 강명석 신축이음장치 상부 수평유지 장치
KR101084668B1 (ko) 2011-06-21 2011-11-22 (주)에스코알티에스 콘크리트와의 부착력이 우수한 모노셀형 신축이음장치
KR101579046B1 (ko) * 2015-11-04 2015-12-18 주식회사 대일휀스 누수방지 기능이 향상된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및 이의 설치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71Y1 (ko) * 2002-05-30 2003-01-14 강명석 신축이음장치 상부 수평유지 장치
KR101084668B1 (ko) 2011-06-21 2011-11-22 (주)에스코알티에스 콘크리트와의 부착력이 우수한 모노셀형 신축이음장치
KR101579046B1 (ko) * 2015-11-04 2015-12-18 주식회사 대일휀스 누수방지 기능이 향상된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및 이의 설치방법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국내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00671호(2003.01.014) 1부.*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1579046호(2015.12.18.) 1부. 끝.*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53485B1 (ko) ㄷ자형 플레이트를 이용한 조립식 신축이음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신설/보수 시공공법
JP2012082622A (ja) 橋梁床版の施工方法とプレキャスト床版の継手構造
KR20130095093A (ko) 모노셀형 교량 신축 이음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교량 이음부의 보수방법
KR101607996B1 (ko) 블럭 아웃 깊이 낮춤 가능형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KR100845088B1 (ko) 스틸 교량의 외장재 설치구조
KR101784721B1 (ko) 배수시트 교체가 용이한 도로교 핑거형 신축이음장치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107707B1 (ko) 콘크리트 파손 방지를 위한 허니컴 신축이음장치
KR20090092105A (ko) 피에스씨 거더 교량 및 이의 시공방법
JP4650255B2 (ja) 鋼床版の補強構造及び既設鋼床版の補強方法
KR100427908B1 (ko) 콘크리트 비 해체 조립형 신축이음 보수공법
CN112281663A (zh) 一种新、旧桥上部结构连接拓宽的施工方法
JPH06101212A (ja) 鉄筋コンクリート床版の補強構造
KR100622008B1 (ko) 일체식 교대 교량의 합성구조
JP6360769B2 (ja) 既設道路橋の拡幅方法
KR100841685B1 (ko) 철도교용 거더와 그 제조방법, 그리고 그의 시공 방법
KR20200072986A (ko) 단부확장 돌출플랜지와 받침 콘크리트 블럭을 갖는 강거더 및 이를 이용한 무조인트교량 시공방법
KR20200081951A (ko) 설치 시공성이 향상된 신축이음장치 및 그 시공방법
KR200233610Y1 (ko) 교량 상부구조 보강장치
JP6905709B2 (ja) 床版更新方法、床版接合構造および道路橋
KR200376197Y1 (ko) 일체식 교대 교량의 합성구조
KR20060074048A (ko) 교량의 레일 신축이음 장치
KR20100026917A (ko) 신축이음장치가 설치된 교량 및 시공방법
JP2021147884A (ja) 床版接合方法、床版更新方法
JP2001164504A (ja) 高架橋の目地部の補修施工工法
KR101376517B1 (ko) 교량용 방호벽 일체형 바닥판 및 교량용 바닥판 구조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