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0541B1 - 현상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 - Google Patents

현상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0541B1
KR102100541B1 KR1020170034508A KR20170034508A KR102100541B1 KR 102100541 B1 KR102100541 B1 KR 102100541B1 KR 1020170034508 A KR1020170034508 A KR 1020170034508A KR 20170034508 A KR20170034508 A KR 20170034508A KR 102100541 B1 KR102100541 B1 KR 1021005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veloping
shaft
developing unit
center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45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10028A (ko
Inventor
츠카사 아베
마사토 타나베
다츠로 하라다
가즈타카 스에시게
다카시 야노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1100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00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05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05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on a donor element, e.g. belt, roller
    • G03G15/0813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on a donor element, e.g. belt, roller characterised by means in the developing zone having an interaction with the image carrying member, e.g. distance holde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on a donor element, e.g. belt, roller
    • G03G15/08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on a donor element, e.g. belt, roller characterised by the developer supplying means, e.g. structure of developer supply roll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77Arrangements for metering and dispensing developer from a developer cartridge into the development unit
    • G03G15/0881Sealing of developer cartridges
    • G03G15/0886Sealing of developer cartridges by mechanical means, e.g. shutter, plu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 G03G21/1803Arrangements or disposition of the complete process cartridge or parts thereof
    • G03G21/1817Arrangements or disposition of the complete process cartridge or parts thereof having a submodular arrangement
    • G03G21/1821Arrangements or disposition of the complete process cartridge or parts thereof having a submodular arrangement means for connecting the different parts of the process cartridge, e.g. attachment, positioning of parts with each other, pressure/distance regulatio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 G03G21/1839Means for handling the process cartridge in the apparatus body
    • G03G21/1842Means for handling the process cartridge in the apparatus body for guiding and mounting the process cartridge, positioning, alignment, lock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 Dry Development In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현상 장치는, 현상제 담지체와 현상제 담지체를 지지하도록 구성된 현상 프레임 부재를 포함하는 현상 유닛을 포함한다. 현상 유닛은 제1 샤프트와 제2 샤프트를 중심으로 피벗 가능하게 지지된다. 제1 샤프트를 바이어싱하도록 구성되는 바이어싱 부재가 제공된다.

Description

현상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 {DEVELOP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본 발명은, 전자 사진 화상 형성 방식(전자 사진 프로세스)을 이용한 화상 형성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에 이용하는 현상 장치에 관한 것이다.
화상 형성 장치는 전자 사진 프로세스를 이용하여 기록재(기록 매체)에 화상을 형성한다. 화상 형성 장치의 예는 프린터(레이저 빔 프린터 또는 발광 다이오드(LED) 프린터), 복사기, 팩시밀리 장치, 워드 프로세서 및 이러한 장치들을 포함하는 복합기(다기능 프린터)를 포함한다.
또한, 현상 장치는 화상 담지체로서의 전자 사진 감광 드럼(이하, “감광체”라 칭함) 상에 형성된 정전 잠상을 현상제를 이용하여 현상하기 위한 장치이다. 현상 장치는 현상 유닛, 현상 유닛을 지지하기 위한 현상 프레임 부재 및 현상 유닛에 관련되는 부품을 포함한다. 현상 유닛의 예는 현상제 담지체로서의 현상 롤러 및 현상제 규제 부재로서의 현상 블레이드를 포함한다.
전자 사진 프로세스를 이용한 프린터와 같은 화상 형성 장치는 감광체를 균등하게 대전시킨다. 그 후, 화상 형성 장치는 대전된 감광체를 선택적으로 노광하여, 감광체 상에 정전 잠상을 형성한다. 그 후, 현상제로서의 토너를 이용하여, 화상 형성 장치는 감광체 상에 형성된 정전 잠상을 토너 화상으로서 가시화한다. 그리고, 화상 형성 장치는 감광체 상에 형성된 토너 화상을 기록 시트 및 플라스틱 시트와 같은 기록재에 전사하고, 기록재 상에 전사된 토너 화상에 열 및 압력을 가하여 토너 화상을 기록재에 정착시켜, 화상이 기록된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화상 형성 장치는, 전자 사진 프로세스에 이용되는 다양한 프로세스 유닛의 유지 보수를 필요로 한다. 프로세스 유닛의 예는, 감광체에 작용하는 대전 유닛, 현상 유닛 및 클리닝 유닛을 포함한다. 이러한 다양한 프로세스 유닛의 유지 보수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감광체, 대전 유닛, 현상 유닛 및 클리닝 유닛을 카트리지에 일체화하여 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하는 방법이 실용화되고 있다. 이러한 카트리지 방식에 따르면, 사용성(usability)이 우수한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카트리지, 감광 드럼을 포함하는 드럼 카트리지, 현상 유닛을 포함하는 현상 장치로서의 현상 카트리지 및 현상제를 공급하기 위한 토너 카트리지의 구성이 알려져 있다.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13-182036호의 공보에 설명된 바와 같이, 현상 롤러를 피벗(pivot)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는 현상 유닛 및 현상 유닛의 양단부를 피벗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는 프레임을 포함하는 현상 카트리지가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 프레임은, 현상 유닛이 피벗할 수 있고, 현상 롤러가 감광 드럼에 접촉 및 이격될 수 있도록 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에 대해 위치 결정된다.
현상 유닛이 피벗하고, 현상제 담지체로서의 현상 롤러가 화상 담지체로서의 감광 드럼에 접촉하는 구성에서, 현상 유닛의 피벗 중심 위치의 시프트(shift)가 감광 드럼에 대한 현상 롤러의 접촉의 안정성에 영향을 주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현상 장치로서, 현상제 담지체와, 상기 현상제 담지체를 지지하도록 구성된 현상 프레임 부재를 포함하는 현상 유닛, 상기 현상제 담지체의 축선 방향으로의 일단 측에서, 상기 현상 유닛을 피벗(pivot)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구성된 단부 지지 부재, 상기 축선 방향으로의 타단 측에서, 상기 현상 유닛을 피벗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구성된 타단부 지지 부재, 상기 현상 유닛에 제공되는 제1 샤프트, 상기 현상 유닛과 상기 타단부 지지 부재 중 어느 한 쪽에 제공되는 제2 샤프트, 상기 단부 지지 부재에 제공되고, 상기 현상 유닛이 상기 제1 샤프트와 상기 제2 샤프트를 중심으로 피벗하도록 상기 제1 샤프트를 지지하도록 구성되고, 또한 상기 제1 샤프트가 상기 축선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구성되는 제1 구멍, 상기 현상 유닛과 상기 타단부 지지 부재 중 다른 한 쪽에 제공되고, 상기 현상 유닛이 상기 제1 샤프트와 상기 제2 샤프트를 중심으로 피벗하도록 상기 제2 샤프트를 지지하도록 구성되고, 또한 상기 제2 샤프트가 상기 축선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규제하도록 구성되는 제2 구멍; 및 상기 축선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상기 제1 샤프트를 바이어싱(biasing)하도록 구성되는 바이어싱 부재를 포함하는 현상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특징은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예시적인 실시예의 후술하는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도 1a는 실시예 1에 따른, 현상 유닛에서 얼라인먼트 시프트(shift in alignment)가 발생했을 때의 현상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b는 현상 유닛이 정규 위치에 위치되었을 때의 현상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실시예 1에 따른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개략도.
도 3은 실시예 1에 따른 드럼 카트리지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실시예 1에 따른 드럼 카트리지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5는 실시예 1에 따른 현상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6은 실시예 1에 따른 드럼 카트리지 및 현상 장치의 장착을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실시예 1에 따른 현상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8a 및 8b는 실시예 1에 따른 지지 구멍을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실시예 1에 따른 현상 장치가 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에 대해 위치 결정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0은 실시예 1에 따른 현상 장치에서 타단(other-end) 지지 부재가 생략된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11a는 실시예 2에 따른, 현상 유닛에서 얼라인먼트 시프트가 발생했을 때의 현상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1b는 현상 유닛이 정규 위치에 있을 때의 현상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12는 실시예 2에 따른 현상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13은 실시예 2에 따른 현상 장치가 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에 대해 위치 결정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4a 및 14b는 실시예 2에 따른 현상 장치의 조립체를 나타내는 도면.
도 15a 및 15b는 제1 구멍과 제2 구멍을 나타내는 도면.
도 16a 및 16b는 제1 구멍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17은 유닛 바이어싱(biasing) 부재를 나타내는 도면.
도 18a 및 18b는 얼라인먼트 시프트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19는 바이어싱 부재의 배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20은 실시예 3에 따른 현상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1a는 실시예 3에 따른, 현상 유닛에서 얼라인먼트 시프트가 발생했을 때의 현상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1b는 현상 유닛이 정규 위치에 있을 때의 현상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22a 및 22b는 실시예 3에 따른 얼라인먼트 시프트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23a 및 23b는 실시예 3에 따른 바이어싱 부재를 나타내는 개략도.
(화상 형성 장치의 전체 구성)
우선, 도 2를 참조하여,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이하, “화상 형성 장치”라고 칭함)의 장치 본체(100)의 전체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장치 본체(100)에는, 화상 담지체로서의 감광 드럼을 갖고 장치 본체(100)로부터 착탈 가능한 4개의 감광 드럼 카트리지(이하, “드럼 카트리지”라고 칭함)(9)(9Y, 9M, 9C, 9K)가 장착된다. 또한, 장치 본체(100)에는, 4개의 현상 장치(이하, “현상 카트리지”라고 칭함)(4)(4Y, 4M, 4C, 4K)가 장착된다. 또한, 드럼 카트리지(9) 및 현상 카트리지(4)는, 장착 부재(미도시)에 의해 장치 본체(100)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다. 또한, 드럼 카트리지(9) 및 현상 카트리지(4)는, 수평 방향에 대해 경사지도록 장치 본체(100) 내에 나란히 설치된다.
각 드럼 카트리지(9)는 감광 드럼(1)(1a, 1b, 1c, 1d)을 갖는다. 감광 드럼(1)의 주위에는, 대전 부재로서의 대전 롤러(2)(2a, 2b, 2c, 2d)와 클리닝 부재로서의 클리닝 부재(6)(6a, 6b, 6c, 6d)와 같은 프로세스 유닛이 일체적으로 배치된다.
각 현상 카트리지(4)(4Y, 4M, 4C, 4K)는 현상제 담지체로서의 현상 롤러(25)(25a, 25b, 25c, 25d)를 갖는다. 현상제 규제 부재로서의 현상 블레이드(35)(35a, 35b, 35c, 35d)와 같은 프로세스 유닛이 일체적으로 배치된다.
대전 롤러(2)는 감광 드럼(1)의 표면을 균등하게 대전시킨다. 현상 롤러(25)는 감광 드럼(1)에 접촉하여, 감광 드럼(1)에 형성된 정전 잠상을 현상제(이하, “토너”라고 칭함)를 이용하여 현상하여, 정전 잠상이 토너 화상으로서 가시화된다. 그리고, 클리닝 부재(6)는, 감광 드럼(1)에 형성된 토너 화상이 기록 매체 S로 전사된 후에, 감광 드럼(1)에 잔류하는 토너를 제거한다.
또한, 장치 본체(100)에서 드럼 카트리지(9) 및 현상 카트리지(4)의 아래에는, 화상 정보에 기초하여 감광 드럼(1)을 선택적으로 노광하여 감광 드럼(1)에 정전 잠상을 형성하기 위한 노광 장치인 스캐너 유닛(3)이 제공된다.
장치 본체(100)의 하부에는, 기록 매체 S를 수납한 카셋트(17)가 장착된다. 그리고, 기록 매체 S를 2차 전사 롤러(69) 및 정착 유닛(74)을 통과하여 장치 본체(100)의 상부로 반송하도록 기록 매체 반송 유닛이 제공된다. 즉, 급송 롤러(54), 반송 롤러쌍(76) 및 레지스트레이션 롤러쌍(55)이 제공된다. 급송 롤러(54)는 카셋트(17) 내의 기록 매체 S를 1매씩 분리하여 기록 매체 S를 급송한다. 반송 롤러쌍(76)은 급송된 기록 매체 S를 반송한다. 레지스트레이션 롤러쌍(55)은 감광 드럼(1)에 형성되는 정전 잠상과 기록 매체 S를 동기화한다.
또한, 드럼 카트리지(9) 및 현상 카트리지(4)의 윗쪽에는, 각 감광 드럼(1)(1a, 1b, 1c, 1d) 상에 형성된 토너 화상을 전사시키기 위한 중간 전사 수단으로서의 중간 전사 유닛(5)이 제공된다. 중간 전사 유닛(5)은 구동 롤러(56), 종동(從動) 롤러(57), 각 컬러의 감광 드럼(1)에 대향하는 위치에 있는 1차 전사 롤러(58)(58a, 58b, 58c, 58d), 2차 전사 롤러(69)에 대향하는 위치에 있는 대향 롤러(59)를 갖는다. 중간 전사체로서의 전사 벨트(14)가 이러한 롤러 둘레에 걸쳐 있다. 전사 벨트(14)는 모든 감광 드럼(1)에 대향하여 접하도록 화살표 E 방향으로 순환 이동한다. 1차 전사 롤러(58)(58a, 58b, 58c, 58d)에 전압이 인가되어, 감광 드럼(1)으로부터 전사 벨트(14) 상으로 1차 전사된다. 그리고, 전사 벨트(14) 내에 배치된 대향 롤러(59)와 2차 전사 롤러(69)에 전압이 인가되어, 전사 벨트(14) 상의 토너가 기록 매체 S로 전사된다.
화상을 형성함에 있어서, 감광 드럼(1)이 회전되어, 스캐너 유닛(3)이 대전 롤러(2)에 의해 균등하게 대전된 감광 드럼(1)을 선택적으로 노광한다. 따라서, 정전 잠상이 감광 드럼(1)에 형성되어 현상 롤러(25)에 의해 현상된다. 이에 의해, 각 컬러의 토너 화상이 감광 드럼(1)에 형성된다. 이러한 화상 형성과 동기하여, 레지스트레이션 롤러쌍(55)이 기록 매체 S를 대향 롤러(59)와 2차 전사 롤러(69)가 전사 벨트(14)를 개재시켜 서로 접촉하고 있는 2차 전사 위치로 반송한다. 그리고, 2차 전사 롤러(69)에 전사 바이어스 전압이 인가되어, 전사 벨트(14) 상의 각 컬러의 토너 화상이 기록 매체 S로 2차 전사된다. 이에 의해, 기록 매체 S에 컬러 화상이 형성된다. 칼라 화상이 형성된 기록 매체 S는 정착 유닛(74)에 의해 가열 및 가압되어, 토너 화상이 정착된다. 그 후, 기록 매체 S는 배출 롤러(72)에 의해 배출부(75)로 배출된다. 정착 유닛(74)은 장치 본체(100)의 상부에 제공된다.
또한, 각 현상 카트리지(4)의 아래쪽에는, 현상 카트리지(4)에 보유 지지된 현상 롤러(25)를 감광 드럼(1)에 접촉시키기 위해, 장치 본체(100)에 유닛 바이어싱 부재(80)(80a, 80b, 80c, 80d)가 제공된다.
(드럼 카트리지)
다음으로, 실시예 1에 따른 드럼 카트리지(9)에 대해 도 3 및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드럼 카트리지(9)(9Y, 9M, 9C, 9K)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드럼 카트리지(9Y, 9M, 9C, 9K)는 동일 구성을 갖는다. 후술하는 설명에서, 드럼 카트리지(9) 및 현상 카트리지(4)의 삽입 방향에서의 상류측이 가까운 측으로 규정되고, 드럼 카트리지(9) 및 현상 카트리지(4)의 삽입 방향에서의 하류측이 먼 측으로 규정된다.
드럼 카트리지(9)(9Y, 9M, 9C, 9K)의 클리닝 프레임 부재(27)에는, 감광 드럼(1)이 드럼 전방측 베어링(drum front bearing)(10)과 드럼 후방측 베어링(drum rear bearing)(11)을 개재시켜 회전 가능하게 제공된다. 감광 드럼(1)의 축선 방향에서의 일단 측에는, 드럼 커플링(16)과 플랜지가 제공된다.
도 4는 드럼 카트리지(9)의 단면도이다. 도 4의 화살표 D 방향으로 회전하는 감광 드럼(1)의 주위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대전 롤러(2)와 클리닝 부재(6)가 제공된다. 클리닝 부재(6)는 고무 블레이드(7)와 클리닝 지지 부재(8)를 포함한다. 고무 블레이드(7)의 선단부(extremity portion)(7a)는 감광 드럼(1)의 회전 방향에 대해 반대 방향으로 감광 드럼(1)에 접촉되게 배치된다. 클리닝 부재(6)에 의해 감광 드럼(1)의 표면으로부터 제거된 잔류 토너는 제거 토너실(27a)에 낙하한다. 또한, 제거 토너실(27a) 내의 제거 토너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시일링 시트(sealing sheet)(21)가 감광 드럼(1)에 접촉한다. 드럼 카트리지(9)의 드럼 커플링(16)으로 구동원인 본체 구동 모터(미도시)의 구동력이 전달되어, 감광 드럼(1)을 화상 형성 동작에 따라 회전 구동시킨다. 대전 롤러(2)는 대전 롤러 베어링(28)을 개재시켜 드럼 카트리지(9)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대전 롤러 가압 부재(33)에 의해 감광 드럼(1)을 향해 대전 롤러(2)가 가압되어, 감광 드럼(1)에 종동 회전한다.
(현상 카트리지)
다음으로, 현상 카트리지(4)에 대해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토너를 수납하는 현상 카트리지(4)(4Y, 4M, 4C, 4K)의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옐로우 토너를 수납한 현상 카트리지(4Y), 마젠타 토너를 수납한 현상 카트리지(4M), 시안 토너를 수납한 현상 카트리지(4C), 블랙 토너를 수납한 현상 카트리지(4K)가 동일 구성을 갖는다. 각 현상 카트리지(4)의 일부의 구성은 다를 수 있다.
현상 카트리지(4)는 현상 롤러(25)와 현상 프레임 부재(31)를 포함하는 현상 유닛(39)을 포함한다. 현상 프레임 부재(31)는 감광 드럼(1)과 접촉하여 화살표 B 방향으로 회전하는 현상 롤러(25)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또한, 현상 프레임 부재(31)는 현상 롤러(25)에 접촉하여 회전하는 토너 공급 롤러(34)와 현상 롤러(25) 상의 토너층을 규제하는 현상 블레이드(35)를 포함한다. 현상 프레임 부재(31)는 현상 롤러(25)가 배치된 현상실(31c)과, 현상실(31c)의 하부에 제공되는 토너 수납실(31a)을 포함한다. 현상실(31c)과 토너 수납실(31a)은 격벽(31d)에 의해 분할된다. 또한, 격벽(31d)에는, 토너 수납실(31a)로부터 현상실(31c)에 토너가 반송될 때 토너가 통과하는 개구(31b)가 제공된다. 또한, 현상 프레임 부재(31)에는, 장치 본체(100)의 유닛 바이어싱 부재(80)(80a, 80b, 80c, 80d)(도 2 참조)에 의해 바이어싱되는 피바이어싱부(biased portion)(31e)가 제공된다.
현상 롤러(25)와 토너 공급 롤러(34)는 현상 롤러(25)의 축선 방향의 양측에 제공된 현상 유닛 후방측 베어링(12) 및 현상 유닛 전방측 베어링(13)을 개재시켜 현상 프레임 부재(31)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도 7 참조).
현상 프레임 부재(31)의 토너 수납실(31a)에는, 도 5의 화살표 N 방향으로 회전하여 토너 수납실(31a)에 수납된 토너를 교반하고 또한 개구(31b)를 통해 현상실(31c)로 토너를 반송하기 위해 토너 반송 부재(36)가 제공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현상 카트리지(4)에는, 화상 형성시에, 토너 반송 부재(36)의 회전 중심이 개구(31b)의 중력 방향 아래측에 있는 개구 하측부(31b1)보다 중력 방향으로 아래 쪽에 위치하고, 현상 롤러(25)의 중심이 개구 하측부(31b1)보다 중력 방향으로 위 쪽에 위치한다. 토너 반송 부재(36)가 현상실(31c)의 아래에 제공된 토너 수납실(31a)로부터, 토너를 스쿠핑 업(scooping up)한다. 토너 반송 부재(36)가 현상실(31c)에 토너를 공급한다.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로 드럼 카트리지 및 현상 카트리지를 삽입하는 구성)
다음으로, 도 6을 참조하여, 드럼 카트리지(9) 및 현상 카트리지(4)를 장치 본체(100)로 삽입하는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장치 본체(100)에는, 각 드럼 카트리지(9)와 각 현상 카트리지(4)가 장착되는 장착 개구(101)(101a, 101b, 101c, 101d)가 제공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드럼 카트리지(9)가 장착 개구(101)에 대해, 드럼 카트리지(9)의 착/탈 방향이 감광 드럼(1)의 축선 방향이 되도록 착탈된다. 또한, 현상 카트리지(4)는, 장착 개구(101)에 대해, 현상 카트리지(4)의 착/탈 방향이 현상 롤러(25)의 축선 방향이 되도록 착탈된다. 즉, 드럼 카트리지(9)와 현상 카트리지(4)는, 가까운 측으로부터 먼 측으로 삽입되도록 구성된다. 후술하는 설명에서, 이 방향을 “삽입 방향 F”라고 칭한다. 또한,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드럼 카트리지(9)와 현상 카트리지(4)는 각각 독립하여 장치 본체(100)에 착탈 가능하다. 즉, 현상 카트리지(4)는 현상 롤러(25)에 의해 잠상이 현상되는 감광 드럼(1)을 포함하는 장치 본체(100)에 착탈 가능하다. 또한, 현상 카트리지(4)는 현상 롤러(25)에 의해 잠상이 현상되는 감광 드럼(1)을 포함하는 드럼 카트리지(9)가 장치 본체(100)에 장착된 상태로, 장치 본체(100)에 착탈 가능하다.
장치 본체(100)의 위 쪽에는, 제3 본체 가이드부인 드럼 카트리지 상부(upper) 가이드부(103)(103a, 103b, 103c, 103d)가 제공된다. 장치 본체(100)의 아래 쪽에는, 제4 본체 가이드부인 드럼 카트리지 하부(lower) 가이드부(102)(102a, 102b, 102c, 102d)가 제공된다. 드럼 카트리지 상부 가이드부(103)와 드럼 카트리지 하부 가이드부(102)는 각각 드럼 카트리지(9)의 삽입 방향 F를 따라 연장된다.
또한, 장치 본체(100)의 위 쪽에는, 제1 본체 가이드부인 현상 카트리지 상부 가이드부(105)(105a, 105b, 105c, 105d)가 제공된다. 장치 본체(100)의 아래 쪽에는, 제2 본체 가이드부인 현상 카트리지 하부 가이드부(104)(104a, 104b, 104c, 104d)가 제공된다. 현상 카트리지 상부 가이드부(103)와 현상 카트리지 하부 가이드부(104)는 각각 현상 카트리지(4)의 삽입 방향 F를 따라 연장된다.
드럼 카트리지(9)가 삽입될 때, 드럼 카트리지 하부 가이드부(102)와 드럼 카트리지 상부 가이드부(103)의 장착 방향의 가까운 측에 드럼 카트리지(9)가 배치된다. 그리고, 드럼 카트리지(9)가 드럼 카트리지 상부 가이드부(103)와 드럼 카트리지 하부 가이드부(102)를 따라 삽입 방향 F로 이동되어, 장치 본체(100)로 삽입된다.
현상 카트리지(4)가 마찬가지로 드럼 카트리지(9)로 삽입된다. 현상 카트리지 상부 가이드부(105)와 현상 카트리지 하부 가이드부(104)의 장착 방향의 가까운 측에 현상 카트리지(4)가 배치된다. 그리고, 현상 카트리지(4)가 현상 카트리지 상부 가이드부(105)와 현상 카트리지 하부 가이드부(104)를 따라 삽입 방향 F로 이동되어 장치 본체(100)로 삽입된다.
(현상 카트리지 구성의 상세)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현상 카트리지(4)의 구성의 상세를 도 1a, 1b, 7, 8a, 8b 및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현상 롤러(25)의 축선 방향으로 현상 유닛(39)의 일단 측의 단부를 피벗 가능하게 지지하는 단부 지지 부재(제1 단부 지지 부재)(38)가 제공된다. 한편, 현상 롤러(25)의 축선 방향으로 현상 유닛(39)의 타단 측의 단부(단부 지지 부재(38)가 제공되는 단부의 반대 측의 단부)를 피벗 가능하게 지지하는 타단부 지지 부재(제2 단부 지지 부재)(37)가 제공된다. 즉, 단부 지지 부재(38)와 타단부 지지 부재(37)는 단부 지지 부재(38)와 타단부 지지 부재(37) 사이에 배치된 현상 유닛(39)을 사이에 두고 현상 유닛(39)의 양단 측에 제공된다.
타단부 지지 부재(37)에는, 현상 유닛(39)을 피벗 가능하게 지지하여, 현상 롤러(25)의 축선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현상 유닛(39)의 위치를 규제하기 위한 위치 결정 구멍으로서의 제2 구멍(37a)이 제공된다. 또한, 단부 지지 부재(38)에는, 현상 유닛(39)을 피벗 가능하게 지지하여 현상 롤러(25)의 축선과 교차하는 방향(바람직하게는 직교하는 방향)으로 현상 유닛(39)이 이동 가능하도록 현상 유닛(39)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 구멍으로서의 제1 구멍(38a)이 제공된다.
또한, 현상 유닛(39)에는, 제1 구멍(38a)에 의해 피벗 가능하게 지지되는 지지 샤프트로서 보스(13a)(제1 샤프트에 대응)가 제공된다. 현상 유닛(39)의 보스(13a)에 반대로, 현상 롤러(25)의 축선 방향의 타단 측에는, 제2 구멍(37a)에 의해 피벗 가능하게 지지되는 위치 결정 샤프트로서 보스(12a)(제2 샤프트에 대응)가 제공된다. 보스(12a, 13a)는 원통 형상을 갖는다. 본 실시예에서는, 보스(12a, 13a)는 서로 동심이며, 현상 롤러(25)의 축선에 평행하게 제공된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구멍(38a)과 보스(13a)가 서로 결합하고, 제2 구멍(37a)과 보스(12a)가 서로 결합한다. 그리고, 단부 지지 부재(38)와 타단부 지지 부재(37)는 제1 구멍(38a)과 제2 구멍(37a)에 의해 피벗 가능하게 각각 지지되는 보스(13a, 12a)를 중심으로 현상 유닛(39)에 대해 피벗 가능하다. 또한, 단부 지지 부재(38)와 타단부 지지 부재(37)는 현상 유닛(39)에 대해 각각 독립하여 이동 가능(피벗 가능)하다. 즉, 단부 지지 부재(38)는 현상 롤러(25)의 축선 방향으로 일단 측의 현상 유닛(39)의 단부를 지지하도록 구성되고, 현상 롤러(25)의 축선 방향으로 타단 측의 현상 유닛(39)의 단부를 지지하지 않도록 구성된다. 반대로, 타단부 지지 부재(37)는 현상 롤러(25)의 축선 방향으로 타단 측의 현상 유닛(39)의 단부를 지지하도록 구성되고, 현상 롤러(25)의 축선 방향으로 일단 측의 현상 유닛(39)의 단부를 지지하지 않도록 구성된다. 즉, 타단부 지지 부재(37)는 현상 유닛(39)과 단부 지지 부재(38)에 대해 피벗 가능하다. 단부 지지 부재(38)는 현상 유닛(39)과 타단부 지지 부재(37)에 대해 피벗 가능하다. 환언하면, 타단부 지지 부재(37)가 현상 유닛(39)에 대해 피벗할 때, 단부 지지 부재(38)는 현상 유닛(39)과 타단부 지지 부재(37)에 대해 그 이동을 정지할 수 있다. 또한, 단부 지지 부재(38)가 현상 유닛(39)에 대해 피벗할 때, 타단부 지지 부재(37)는 현상 유닛(39)과 단부 지지 부재(38)에 대해 그 이동을 정지할 수 있다.
제2 구멍(37a)은 원형의 구멍 형상이다. 즉, 보스(12a)는 제2 구멍(37a)에 의해 피벗 가능하게 지지되고 현상 롤러(25)의 축선과 교차하는 방향으로의 이동이 규제되는 위치 결정부이다.
한편, 도 8a 및 8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구멍(38a)은 보스(13a)를 피벗 가능하게 지지하고, 보스(13a)가 현상 롤러(25)의 축선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긴 구멍으로 형성된다. 즉, 제1 구멍(38a)은 보스(13a)의 직경 방향을 규제하는 제1 규제부(38a1)와, 제1 규제부(38a1)와 교차하고 제1 규제부(38a1)보다 큰 제2 규제부(38a2)를 갖는 긴 구멍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구멍(38a)이 긴 구멍이므로, 현상 롤러(25)의 축선과 보스(13a, 12a)의 중심이 치수 공차 등으로 인해 시프트되는 영향을 흡수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구멍(38a)은 긴 원형의 구멍 형상을 갖는다. 하지만, 제1 구멍(38a)의 구멍 형상은 긴 원형 구멍에 한정되지 않는다. 대안적으로, 제1 구멍(38a)의 구멍 형상은 각진(angular) 구멍일 수도 있다.
제1 구멍(38a)과 제2 구멍(37a)에 대해, 도 15a 및 15b를 참조하여 추가로 설명한다. 도 15a는 제1 구멍(38a)과 보스(13a)가 서로 결합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5b는 제2 구멍(37a)과 보스(12a)가 서로 결합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각 도면은 현상 롤러(25)의 축선 방향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현상 롤러(25)의 축선에 교차(바람직하게는 직교)하는 방향으로 제1 구멍(38a)의 제1 규제부(38a1)에 의해 보스(13a)가 이동하는 것이 규제되는 방향이 제1 방향 V1로 규정된다. 현상 롤러(25)의 축선에 교차(바람직하게는 직교)하고, 또한 제1 방향 V1에 직교하는 방향(제2 규제부(38a2)를 향하는 방향)이 제2 방향 V2로 규정된다. 긴 구멍인 제1 구멍(38a)은, 보스(13a)가 제2 방향 V2로 이동하는 것을 허용한다. 한편, 원형 구멍인 제2 구멍(37a)은 제1 방향 V1과 제2 방향 V2로 보스(12a)가 이동하는 것을 규제한다. 적어도 제2 방향 V2에서, 제1 구멍(38a)에서 보스(13a)가 이동할 수 있는 거리 D2는 제2 구멍(37a)에서 보스(12a)가 이동할 수 있는 거리보다 더 길다.  도 16a 및 16b를 참조하여, 제1 구멍(38a)에 대해 추가로 설명한다. 도 16a 및 16b는 본 실시예에 따른 제1 구멍(38a)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a 및 16b는 현상 카트리지(4)가 화상 형성 장치에 장착된 상태에서, 현상 롤러(25)의 축선 방향으로부터 보았을 때의 현상 카트리지(4)를 나타내고 있다.
도 16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제1 구멍(38a)이, 보스(13a)가 이동하는 것을 허용하는 방향(제1 구멍(38a)에서 보스(13a)가 이동할 수 있는 방향)이 L1로 규정된다. 또한, 감광 드럼(1)의 중심과 동일한 중심을 갖고 제1 구멍(38a)의 중심을 통과하는 원이 L2로 규정된다. 그리고, 감광 드럼(1)의 중심과 제1 구멍(38a)의 중심을 연결하는 선이 L3으로 규정된다. 이 상태에서, L1은 L2와 교차한다. 또한, L1은 L3에 대해 경사진다. L1의 방향은 도 16a에 나타내는 방향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도 16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현상 카트리지(4)가 화상 형성 장치에 장착된 상태에서 L1이 수평 방향이 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구멍(38a)과 보스(13a)가 서로 결합하고, 제2 구멍(37a)과 보스(12a)가 서로 결합한다. 제1 구멍(38a)은, 보스(13a)가 현상 롤러(25)의 축선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허용한다. 따라서, 현상 유닛(39)은 단부 지지 부재(38)에 의해 피벗 가능하게 지지되어, 현상 롤러(25)의 축선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허용된다. 제2 구멍(37a)은, 보스(12a)가 현상 롤러(25)의 축선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규제한다. 따라서, 현상 유닛(39)은 타단부 지지 부재(37)에 의해 피벗 가능하게 지지되어, 현상 롤러(25)의 축선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규제된다. 그리고, 현상 유닛(39)은 보스(12a)와 보스(13a)를 중심으로, 각각 단부 지지 부재(38)와 타단부 지지 부재(37)에 대해 피벗한다.
다음으로,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타단부 지지 부재(37)에는, 제3 피결합부(37b)와 제4 피결합부(37c)가 제공된다. 장치 본체(100)에의 현상 카트리지(4)의 삽입이 완료된 후에, 제3 피결합부(37b)와 제4 피결합부(37c)는 장치 본체(100)에 제공된 제3 본체 결합부(98a)와 제4 본체 결합부(98b)와 각각 결합한다. 따라서, 타단부 지지 부재(37)는 장치 본체(100)에 대해 위치 결정된다. 또한, 타단부 지지 부재(37)에는, 현상 카트리지(4)가 장착될 때 현상 카트리지 상부 가이드부(105)와 현상 카트리지 하부 가이드부(104)에 의해 각각 가이드되는 제3 피가이드부(37d)와 제4 피가이드부(37e)가 제공된다(도 7 참조).
또한, 단부 지지 부재(38)에는, 제1 피결합부(38b)와 제2 피결합부(38c)가 제공된다. 장치 본체(100)에의 현상 카트리지(4)의 삽입이 완료된 후에, 제1 피결합부(38b)와 제2 피결합부(38c)는 장치 본체(100)에 제공된 제1 본체 결합부(99a)와 제2 본체 결합부(104e)에 각각 결합한다. 따라서, 단부 지지 부재(38)는 장치 본체(100)에 대해 위치 결정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2 본체 결합부(104e)와 현상 카트리지 하부 가이드부(104)가 동일 부품이다. 또한, 제1 피결합부(38b)와 제2 피결합부(38c)는 현상 카트리지 상부 가이드부(105)와 현상 카트리지 하부 가이드부(104)에 의해 각각 가이드되는 제1 피가이드부와 제2 피가이드부로서도 기능한다.
단부 지지 부재(38)와 타단부 지지 부재(37)가 화상 형성 장치에 대해 위치 결정된 상태에서, 제2 구멍(37a)과 제1 구멍(38a)은 현상 롤러(25)의 축선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제공되며, 서로 중첩된다. 즉, 현상 롤러(25)의 축선 방향으로부터 보았을 때, 제1 구멍(38a)과 제2 구멍(37a)은 서로 중첩하도록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구멍(38a)의 중심은 제2 구멍(37a)의 중심과 일치한다(도 8 참조).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보스(12a, 13a)는 서로 동심이며, 현상 롤러(25)의 축선과 평행하게 제공된다. 즉, 단부 지지 부재(38)와 타단부 지지 부재(37)가 화상 형성 장치에 대해 위치 결정된 상태에서, 보스(13a)가 제1 구멍(38a)의 중심에 위치했을 때, 현상 롤러(25)의 축선은 감광 드럼(1)의 축선과 평행하다.
도 1a 및 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타단부 지지 부재(37)와 단부 지지 부재(38)가 각각 장치 본체(100)에 대해 위치 결정된 상태에서, 보스(12a, 13a)는 모두 현상 유닛(39)의 피벗 중심을 형성한다. 현상 유닛(39)은 보스(12a, 13a)를 중심으로 피벗하여, 현상 롤러(25)가 감광 드럼(1)에 접촉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보스(12a), 보스(13a), 제2 구멍(37a) 및 제1 구멍(38a)은 현상 유닛(39) 자체의 중량에 의해 감광 드럼(1)에 현상 롤러(25)가 접촉하는 방향으로 모멘트가 발생되는 위치에 제공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화상이 형성될 때, 현상 카트리지(4)의 현상 롤러(25)가 감광 드럼(1)에 접촉하여 화상을 가시화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현상 프레임 부재(31)의 피바이어싱부(biased portion)(31e)(힘 수용부에 대응)가 장치 본체(100)의 유닛 바이어싱 부재(80)(힘 부여부에 대응)(도 2 참조)에 의해 현상 유닛 바이어싱 방향 A로 바이어싱되어, 현상 롤러(25)가 감광 드럼(1)에 접촉한다. 즉, 피바이어싱부(31e)는, 피바이어싱부(31e)가 유닛 바이어싱 부재(80)에 바이어싱되었을 때, 현상 롤러(25)가 감광 드럼(1)에 접촉하는 방향으로 현상 롤러(25)가 이동하도록 제공된다.
도 17은 유닛 바이어싱 부재(80)의 구조를 나타낸다. 도 17은 현상 롤러(25)의 축선 방향으로부터 보았을 때 현상 카트리지(4)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지면의 먼 측에, 현상 유닛(39)이 위치된다. 지면 가까운 측에, 단부 지지 부재(38)가 위치된다. 현상 프레임 부재(31)의 피바이어싱부(31e)가 유닛 바이어싱 부재(80)에 의해 현상 유닛 바이어싱 방향 A1(방향 A와 동일)로 바이어싱된다. 그 결과, 현상 유닛(39)은 방향 R1로 피벗하고, 현상 롤러(25)는 감광 드럼(1)에 접촉한다. 또한, 현상 프레임 부재(31)의 피바이어싱부(31e)가 유닛 바이어싱 부재(80)에 의해, 현상 유닛 바이어싱 방향 A1과 역방향인 방향 A2로 바이어싱되면, 현상 유닛은 방향 R2로 피벗하고, 현상 롤러(25)는 감광 드럼(1)으로부터 이격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피바이어싱부(31e)는, 현상 롤러(25)의 중심으로부터 피바이어싱부(31e)까지의 거리가 현상 롤러(25)의 중심으로부터 보스(13a)의 중심까지의 거리보다 길어지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현상 롤러(25)의 중심과 보스(13a)의 중심을 연결하는 직선 Q1과 직선 Q1에 직교하는 직선 Q2가 보스(13a)의 중심을 통과하도록 그려졌을 때, 피바이어싱부(31e)는 직선 Q2에 대하여 현상 롤러(25)와 반대측의 영역에 배치된다.
피바이어싱부(31e)가 현상 유닛 바이어싱 방향 A로 바이어싱되면, 현상 롤러(25)가 감광 드럼(1)에 접촉하려고 한다. 이러한 프로세스에서, 긴 구멍인 제1 구멍(38a) 내에서, 보스(13a)는 제2 규제부(38a2)를 향해 감광 드럼(1)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한편, 반대측의 보스(12a)는 원형 구멍인 제2 구멍(37a)에 의해, 현상 롤러(25)의 축선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규제된다. 따라서, 보스(12a)는 보스(12a)와 제2 구멍(37a)과의 사이의 작은 갭을 넘어 이동할 수 없다. 그 결과, 현상 카트리지(4)는 현상 롤러(25)의 축선이 감광 드럼(1)의 축선으로부터 시프트된 상태, 즉 현상 유닛(39)에서 얼라인먼트 시프트가 발생한 상태에 있다. 또한, 현상 유닛(39) 내의 토너의 소비의 결과로 현상 유닛(39)의 무게 중심 위치가 G1로부터 G2로 이동하면, 현상 카트리지(4)는 유사한 상태에 있을 수 있다. 도 18a 및 18b는 상술한 얼라인먼트 시프트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8a는 현상 롤러(25)의 축선이 감광 드럼(1)의 축선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18b는 현상 롤러(25)의 축선이 감광 드럼(1)의 축선에 평행하지 않는 상태, 즉 얼라인먼트 시프트가 발생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18a 및 18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스(13a)는 긴 구멍인 제1 구멍(38a)에 의해, 감광 드럼(1)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허용된다. 한편, 보스(12a)는 원형 구멍인 제2 구멍(37a)에 의해, 현상 롤러(25)의 축선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규제되고 있다. 따라서, 현상 카트리지(4)는, 감광 드럼(1)의 축선에 대해 현상 롤러(25)의 축선이 평행하지 않은 상태(얼라인먼트 시프트가 발생한 상태)가 될 수 있다. 이러한 얼라인먼트 시프트가 발생한 상태에서는, 현상 롤러(25)가 감광 드럼(1)에 접촉할 수 없을 수도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현상 카트리지(4)는 단부 지지 부재(38)에서 바이어싱부 또는 바이어싱 부재로서의 탄성 부재인 인장 스프링(40)을 포함한다. 또한, 단부 지지 부재(38)는 인장 스프링(40)을 지지하기 위한 탄성 부재 지지부인 스프링 고정 보스(38d)를 포함한다. 인장 스프링(40)의 일단은 단부 지지 부재(38)의 탄성 부재 지지부인 스프링 고정 보스(38d)에 의해 지지되고, 타단은 보스(13a)에 의해 지지된다.
인장 스프링(바이어싱 부재)(40)은 보스(13a)를 현상 롤러(25)의 축선과 교차하는 방향(바람직하게는 직교하는 방향)으로 바이어싱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도 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스(13a)가 현상 유닛 바이어싱 방향 A와 역방향으로 바이어싱된다. 즉, 보스(13a)의 중심이 감광 드럼(1)의 중심으로 근접하는 방향(보스(13a)의 중심과 감광 드럼(1)의 중심 사이의 거리가 단축되는 방향)으로 보스(13A)가 바이어싱된다. 본 실시예에서, 이 방향은, 보스(13a)의 중심이 제2 구멍(37a)의 중심과 일치하는 방향이다. 그 결과, 보스(13a)의 중심으로부터 감광 드럼(1)의 중심까지의 거리가 보스(12a)의 중심으로부터 감광 드럼(1)의 중심까지의 거리와 동일하도록 보스(13a)의 중심이 감광 드럼(1)의 중심에 근접한다. 즉, 바이어싱부인 인장 스프링(40)이 이용되지 않는 경우보다, 보스(13a)의 중심으로부터 감광 드럼(1)의 중심까지의 거리와, 보스(12a)의 중심으로부터 감광 드럼(1)의 중심까지의 거리 사이의 차이가 더 작다. 따라서, 현상 롤러(25)의 축선은 감광 드럼(1)의 축선에 평행한 것에 가까워진다. 즉, 바이어싱부인 인장 스프링(40)이 이용되지 않는 경우보다, 현상 롤러(25)의 축선과 감광 드럼(1)의 축선 사이의 각도가 더 작다. 따라서, 안정되게 현상 롤러(25)를 감광 드럼(1)에 접촉시킬 수 있다.
보스(13a)의 중심으로부터 감광 드럼(1)의 중심까지의 거리가 보스(12a)의 중심으로부터 감광 드럼(1)의 중심까지의 거리와 같은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 거리는 완전하게 같을 필요는 없다. 또한, 현상 롤러(25)의 축선이 감광 드럼(1)의 축선과 평행한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러한 축들은 완전하게 평행할 필요는 없다.
도 19는 바이어싱 부재로서의 인장 스프링(40)의 배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과 마찬가지로, 도 19는 현상 롤러(25)의 축선 방향으로부터 본 현상 카트리지(4)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지면의 먼 측에, 현상 유닛(39)이 위치된다. 지면의 가까운 측에 단부 지지 부재(38)가 위치된다. 예를 들면,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현상 유닛(39)의 일부로서의 돌출부(13c1 또는 13c2)가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스프링 고정 보스(38d)와 돌출부(13c1) 사이에 인장 스프링(40)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스프링 고정 보스(38d)와 돌출부(13c2) 사이에 인장 스프링(40)이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도, 현상 롤러(25)의 축선과 교차하는 방향(바람직하게는 직교 방향)으로 보스(13a)가 바이어싱될 수 있다. 그리고, 현상 롤러(25)의 축선과 교차하는 방향(바람직하게는 직교 방향)으로 보스(13a)가 감광 드럼(1)의 중심으로 근접할 수 있다. 따라서, 안정되게 현상 롤러(25)를 감광 드럼(1)에 접촉시킬 수 있다.
한편, 인장 스프링(40)이 보스(13a)를 직접 바이어싱하는 구성에서는, 인장 스프링(40)은 현상 유닛(39)을 회전시키는 힘(모멘트)을 거의 생성하지 않는다. 따라서, 현상 롤러(25)가 감광 드럼(1)에 접촉될 때, 큰 부하가 유닛 바이어싱 부재(80)에 인가되기 어렵다. 예를 들면, 돌출부(13c2)에 인장 스프링(40)이 걸린(hooked) 경우에는, 현상 롤러(25)가 감광 드럼(1)에 접촉하는 움직임에 대해 반대 방향으로 힘이 인가된다. 또한, 돌출부(13c1)에 인장 스프링이 걸린 경우에는, 현상 롤러(25)를 감광 드럼(1)으로부터 이격시키는 움직임에 대해 반대 방향으로 힘이 인가된다. 따라서, 보스(13a)가 직접 바이어싱되어, 큰 부하가 유닛 바이어싱 부재(80)에 인가되기 어렵다.
또한, 돌출부(13c1)에 인장 스프링(40)이 걸려 현상 롤러(25)가 감광 드럼(1)에 접촉하도록 현상 유닛(39)이 도 19의 방향 R1로 피벗하는 것을 상정한다. 그 결과, 돌출부(13c1)는 또한 도 19의 방향 R1로 피벗한다. 한편, 스프링 고정 보스(38d)는 단부 지지 부재(38)에 제공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단부 지지 부재(38)는 화상 형성 장치에 고정된다. 따라서, 현상 유닛(39)이 도 19의 방향 R1로 피벗하면, 돌출부(13c1)와 스프링 고정 보스(38d) 사이의 거리가 단축된다. 그 결과, 인장 스프링(40)이 돌출부(13c1)를 당기는 힘이 감소한다. 따라서, 인장 스프링(40)의 힘을 강하게 할 필요가 있다.
한편, 보스(13a)가 직접 바이어싱되는 구성에서는, 현상 유닛(39)이 피벗하는 경우에도, 보스(13a)와 스프링 고정 보스(38d) 사이의 거리가 변하지 않는다. 따라서, 인장 스프링(40)이 보스(13a)를 당기는 힘이 감소되기 어렵다.
즉, 인장 스프링(40)이 현상 유닛(39)을 바이어싱할 수 있지만, 인장 스프링(40)이 보스(13a)를 바이어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요약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현상 유닛(39)과 단부 지지 부재(38) 중에, 인장 스프링(40)은 단부 지지 부재(38)에 제공된다. 인장 스프링(40)은 현상 롤러(25)의 축선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현상 유닛(39)과 단부 지지 부재(38) 중에 현상 유닛(39)을 바이어싱하는 바이어싱 부재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단부 지지 부재(38)와 타단부 지지 부재(37)가 현상 유닛(39)의 단부들에 제공된다. 하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타단부 지지 부재(37)는 생략될 수도 있다. 즉, 현상 롤러(25)의 축선 방향으로의 타단 측(단부 지지 부재(38)가 제공되는 단부의 반대 측의 단부)의 현상 유닛(39)의 단부에 대해, 현상 유닛(39)을 피벗 가능하게 지지하는 장치측 지지부(137)가 제공된다. 장치측 지지부(137)는 장치 본체(100)의 먼 측에 고정되어 제공된다. 보스(12a)가 피지지부(위치 결정 샤프트)가 되도록 하여, 장치측 지지부(137)에 본 실시예에 따른 제2 구멍(37a)에 상당하는 구멍(137a)(위치 결정 구멍)이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보스(12a)가 구멍(137a)에 의해 피벗 가능하게 지지되고, 또한 현상 롤러(25)의 축선과 교차하는 방향으로의 이동이 구멍(137a)에 의해 규제되는 위치 결정부이다.
이 경우, 보스(12a)는 구멍(137a)에 착탈 가능하고, 현상 카트리지(4)는 보스(12a)를 개재시켜 구멍(137a)에 의해 피벗 가능하게 지지된다. 단부 지지 부재(38)는 장치측 지지부(137)에 독립적이므로, 장치측 지지부(137)로부터 독립하여 현상 카트리지(4)에 대해 피벗 가능하다. 장치측 지지부(137)의 기능은, 현상 카트리지(4)가 장치 본체(100)에 장착된 상태에서의 타단부 지지 부재(37)의 기능과 유사하므로, 여기에서 설명하지 않는다.
장치측 지지부(137)는 드럼 카트리지(9)의 먼 측의 벽면을 연장함으로써 얻어진 부분의 일부에 고정되어 제공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현상 유닛(39)의 위치 결정부로서 제2 구멍(37a)이 타단부 지지 부재(37)에 제공되고, 보스(12a)가 현상 유닛(39)에 제공되었다. 하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제2 구멍(37a)(위치 결정 구멍)에 상당하는 구멍은 현상 유닛(39)과 타단부 지지 부재(37) 중 어느 한 쪽에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에, 본 실시예에 따른 보스(12a)에 상당하는 위치 결정 샤프트는 현상 유닛(39)과 타단부 지지 부재(37) 중 다른 한 쪽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타단부 지지 부재(37)가 생략된 구성에서는, 보스(12a)에 상당하는 위치 결정 샤프트가 현상 유닛(39)과 장치측 지지부(137) 중 어느 한 쪽에 제공될 수 있으며, 제2 구멍(37a)에 상당하는 구멍은 현상 유닛(39)과 장치측 지지부(137) 중 다른 한 쪽에 제공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현상 카트리지(4)의 구성에 대해, 도 11a, 11b, 12 및 1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실시예 1의 구성 요소와 상이한 구성 요소에 대해 특별히 설명하며, 기본적으로 실시예 1의 구성 요소와 유사한 구성 요소는 여기에서 설명하지 않는다.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현상 롤러(25)의 축선 방향으로의 현상 유닛(39)의 일단 측에는, 단부 지지 부재(48)(실시예 1에서의 단부 지지 부재(38)에 대응)가 제공된다. 단부 지지 부재(48)에는, 현상 유닛(39)에 제공된 보스(13a)와 결합하는 제1 구멍(48a)이 제공된다. 제1 구멍(48a)은 실시예 1에서의 제1 구멍(38a)과 유사하며, 보스(13a)를 피벗 가능하게 지지한다. 또한, 단부 지지 부재(48)에는, 제1 피결합부(48b)와 제2 피결합부(48c)가 제공된다.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장치 본체(100)에의 현상 카트리지(4)의 삽입이 완료된 후에, 제1 피결합부(48b)와 제2 피결합부(48c)는, 장치 본체(100)에 제공된 제1 본체 결합부(99a)와 제2 본체 결합부(104a)와 각각 결합한다(도 13 참조).
본 실시예에서는, 보스(13a)를 바이어싱하는 바이어싱부로서 가압 부재로서의 가압 레버(41)가 이용되고, 가압 레버(41)를 보스(13a)를 향해 바이어싱하는 레버 바이어싱 부재로서 인장 스프링(140)이 이용된다.
도 11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부 지지 부재(48)는 가압 레버(41)를 포함한다. 가압 레버(41)에서, 가압 피지지부로서 레버 피지지부(41b)와, 레버 피지지부(41b)에 대향하는 위치에 바이어싱 부재 계지부(locking portion)로서 스프링 고정부(41a)가 형성된다. 또한, 단부 지지 부재(48)는 가압 지지부로서 레버 지지 보스(48e)와 바이어싱 부재 피계지부로서 스프링 고정 보스(48d)를 포함한다. 레버 지지 보스(48e)는, 가압 레버(41)가 보스(13a)를 이동시키는 방향에 대해 제1 구멍(48a)의 중심보다 반대측에 위치되도록 제공된다. 레버 피지지부(41b)는 레버 지지 보스(48e)에 의해 피벗 가능하게 지지된다. 인장 스프링(140)의 일단은 스프링 고정부(41a)에 의해 지지되고, 타단은 스프링 고정 보스(48d)에 의해 지지된다. 또한, 가압 레버(41)는 단부 지지 부재(48)에 의해 지지되는 위치인 레버 피지지부(41b)와, 인장 스프링(140)에 의해 바이어싱되는 위치인 스프링 고정부(41a) 사이에서 보스(13a)를 바이어싱하도록 구성된다.
실시예 1에서 설명한 인장 스프링(40)과 마찬가지로, 현상 롤러(25)의 얼라인먼트 시프트의 영향을 저감시키기 위해, 가압 레버(41)가 보스(13a)를 현상 롤러(25)의 축선과 교차하는 방향(바람직하게는 직교하는 방향)으로 바이어싱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가압 레버(41)의 레버 피지지부(41b)로부터 프레스 레버(41)가 보스(13a)를 바이어싱하는 위치까지의 거리보다, 가압 레버(41)의 레버 피지지부(41b)로부터 스프링 고정부(41a)까지의 거리가 더 길다. 따라서, 보스(13a)를 바이어싱하는 데 필요한 힘을 얻기 위한 인장 스프링(140)의 스프링 압력을 저감할 수 있다. 따라서, 안정되게 현상 롤러(25)를 감광 드럼(1)에 접촉시킬 수 있다.
즉, 도 1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스(13a)가 현상 유닛 바이어싱 방향 A와 역방향으로 바이어싱된다. 즉, 현상 롤러(25)의 축선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보스(13a)의 중심이 감광 드럼(1)의 중심으로 근접하는 방향(보스(13a)의 중심과 감광 드럼(1)의 중심의 거리가 단축되는 방향)으로 제1 구멍(48a)에서 바이어싱된다. 본 실시예에서, 이 방향은, 보스(13a)의 중심이 제2 구멍(37a)의 중심과 일치하는 방향이다. 그 결과, 보스(13a)의 중심으로부터 감광 드럼(1)의 중심까지의 거리가 보스(12a)의 중심으로부터 감광 드럼(1)의 중심까지의 거리와 같게 되도록, 보스(13a)의 중심이 감광 드럼(1)의 중심에 근접한다. 즉, 바이어싱부인 가압 레버(41)가 이용되지 않는 경우보다, 보스(13a)의 중심으로부터 감광 드럼(1)의 중심까지의 거리와, 보스(12a)의 중심으로부터 감광 드럼(1)의 중심까지의 거리 사이의 차이가 더 작다. 현상 롤러(25)의 축선은 감광 드럼(1)의 축선과 평행에 가까워진다. 즉, 바이어싱부인 가압 레버(41)가 이용되지 않는 경우보다, 현상 롤러(25)의 축선과 감광 드럼(1)의 축선 사이의 각도가 더 작다. 따라서, 안정되게 현상 롤러(25)를 감광 드럼(1)에 접촉시킬 수 있다.
보스(13a)의 중심으로부터 감광 드럼(1)의 중심까지의 거리가 보스(12a)의 중심으로부터 감광 드럼(1)의 중심까지의 거리와 같은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러한 거리는 완전하게 같을 필요는 없다. 또한, 현상 롤러(25)의 축선이 감광 드럼(1)의 축선과 평행한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러한 축선은 완전하게 평행할 필요는 없다.
또한, 실시예 1과 유사하게, 가압 레버(41)가 현상 유닛(39)을 바이어싱할 수 있지만, 가압 레버(41)가 보스(13a)를 바이어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요약하면, 본 실시예에서, 현상 유닛(39)과 단부 지지 부재(48) 중에 가압 레버(41)와 인장 스프링(140)은 단부 지지 부재(48)에 제공된다. 그리고, 가압 레버(41) 및 인장 스프링(140)은 현상 롤러(25)의 축선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현상 유닛(39)과 단부 지지 부재(48) 중에 현상 유닛(39)을 바이어싱하는 바이어싱 부재이다.
도 14a 및 14b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서 설명된 현상 카트리지(4)를 조립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한다.
우선, 현상 프레임 부재(31)가 토너로 충전되고, 토너 공급 롤러(34)와 현상 롤러(25)가 조립된다. 따라서, 현상 유닛(39)이 조립된다(제1 공정).
다음으로, 미리 가압 레버(41)가 레버 지지 보스(48e)에 장착되고, 미리 인장 스프링(140)이 스프링 고정부(41a)와 스프링 고정 보스(48d)에 추가로 장착된 상태에서, 단부 지지 부재(48)가 제1 공정을 거친 현상 유닛(39)에 장착된다(제2 공정).
이러한 방식으로, 현상 카트리지(4)가 조립된다. 타단부 지지 부재(37)가 이용되는 경우, 타단부 지지 부재(37)는 다른 공정에서 현상 유닛(39)에 장착될 수 있다.
이러한 조립 방법에 따르면, 단부 지지 부재(48)가 현상 유닛(39)에 조립된 후에, 인장 스프링(140)을 조립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현상 카트리지(4)의 조립의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현상 카트리지(4)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실시예 1 및 2의 구성 요소와 상이한 구성 요소에 대해 특별히 설명하며, 기본적으로 실시예 1 및 2의 구성 요소와 유사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여기에서 설명하지 않는다.
실시예 1 및 2에서는, 현상 유닛(39)이 보스(13a)를 포함한다. 제1 구멍(38a, 48a)은 각각 단부 지지 부재(38, 48)에 포함된다. 그러나, 지지 샤프트로서의 제1 샤프트(보스(13a)에 상당함)는 현상 유닛과 단부 지지 부재 중 어느 한 쪽에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지지 샤프트로서의 제1 샤프트와 결합되는 제1 구멍은 현상 유닛과 단부 지지 부재 중 다른 한 쪽에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보스(12a)는 현상 유닛(39)과 타단부 지지 부재(37) 중 어느 한 쪽에 제공될 수 있다. 보스(12a)와 결합되는 제2 구멍(37a)은 현상 유닛(39)과 타단부 지지 부재(37) 중 다른 한 쪽에 제공될 수 있다.
도 20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20은 본 실시예에 따른 현상 카트리지(4)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20은 현상 롤러(25)의 축선과 직교하는 방향으로부터 본 현상 카트리지(4)의 단면도이다.
도 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지지 샤프트(제1 샤프트)로서의 보스(138a)(실시예 1 및 2의 보스(13a)에 상당함)가 단부 지지 부재(138)(실시예 1 및 2의 단부 지지 부재(38, 48)에 상당함)에 제공된다. 또한, 현상 유닛(139)에는, 지지 구멍으로서의 제1 구멍(139a)(실시예 1 및 2의 제1 구멍(38a)에 상당함)이 제공된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스(12a)는 현상 유닛(39)과 타단부 지지 부재(37) 중 어느 한 쪽에 제공된다. 보스(12a)와 결합되는 제2 구멍(37a)은 현상 유닛(139)과 타단부 지지 부재(37) 중 다른 한 쪽에 제공된다.
다른 실시예와 유사하게, 제1 구멍(139a)과 보스(138a)가 서로 결합하고, 제2 구멍(37a)과 보스(12a)가 서로 결합한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1 구멍(139a)은 보스(138a)에 대해 현상 롤러(25)의 축선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허용된다. 따라서, 현상 유닛(139)은 단부 지지 부재(138)에 의해 피벗 가능하게 지지되고, 현상 롤러(25)의 축선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허용된다. 제2 구멍(37a)은, 보스(12a)가 현상 롤러(25)의 축선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규제한다. 따라서, 현상 유닛(139)은 타단부 지지 부재(37)에 의해 피벗 가능하게 지지되고, 현상 롤러(25)의 축선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규제된다. 따라서, 실시예 1과 유사하게, 현상 유닛(139)은 보스(12a, 138a)를 연결한 선이 피벗 중심이 되도록, 보스(12a, 138a)를 중심으로 피벗한다. 따라서, 현상 롤러(25)가 감광 드럼(1)에 접촉할 수 있고, 감광 드럼(1)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도 21a 및 21b는 현상 롤러(25)의 축선 방향으로부터 본 본 실시예에 따른 현상 카트리지(4)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실시예 1과 유사하게, 단부 지지 부재(138)와 타단부 지지 부재(37)는 현상 유닛(139)에 대해 각각 독립적으로 피벗 가능하다. 또한, 현상 카트리지(4)가 화상 형성 장치에 장착된 상태에서, 단부 지지 부재(138)와 타단부 지지 부재(37)는 화상 형성 장치에 대해 위치 결정된다. 또한, 감광 드럼(1)도 드럼 카트리지(9)를 개재시켜 화상 형성 장치에 대해 위치 결정된다. 현상 프레임 부재(31)의 피바이어싱부(31e)는 장치 본체(100)의 유닛 바이어싱 부재(80)에 의해, 현상 유닛 바이어싱 방향 A1로 바이어싱된다. 그리고, 현상 유닛(139)이 화살표 R1 방향으로 피벗하여, 현상 롤러(25)가 감광 드럼(1)에 접촉한다. 다른 실시예와 유사하게, 피바이어싱부(31e)가 현상 유닛 바이어싱 방향 A2로 바이어싱되면, 현상 롤러(25)가 감광 드럼(1)으로부터 이격된다.
실시예 1과 유사하게, 현상 롤러(25)의 중심과 보스(138a)의 중심을 연결하는 직선 Q1과, 직선 Q1에 직교하는 직선 Q2가 보스(138a)의 중심을 통과하도록 그려졌을 때, 피바이어싱부(31e)는 직선 Q2에 대하여 현상 롤러(25)와 반대측의 영역에 배치된다.
피바이어싱부(31e)가 현상 유닛 바이어싱 방향 A1로 바이어싱되면, 현상 유닛(139)이 피벗하여, 현상 롤러(25)가 감광 드럼(1)에 접촉하려고 한다. 이러한 프로세스에서, 현상 롤러(25)의 축선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긴 구멍인 제1 구멍(139a)은 감광 드럼(1)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한편, 보스(138a)는 단부 지지 부재(138)에 제공되기 때문에, 감광 드럼(1)에 대한 보스(138a)의 위치는 변하지 않는다.
한편, 반대측에 있는 보스(12a)와 원형 구멍인 제2 구멍(37a)은 현상 롤러(25)의 축선과 교차하는 방향으로의 이동이 규제된다. 그 결과, 실시예 1과 유사하게, 현상 카트리지(4)는 감광 드럼(1)의 축선에 대해 현상 롤러(25)의 축선이 비스듬한 상태, 즉 현상 유닛(39)에서 얼라인먼트 시프트가 발생한 상태가 된다. 도 22a 및 22b는, 실시예 1에 있어서의 도 18a 및 18b와 유사하게, 상술한 얼라인먼트 시프트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2a는 현상 롤러(25)의 축선이 감광 드럼(1)의 축선과 실질적으로 평행한 상태를 나타낸다. 도 22b는 현상 롤러(25)의 축선이 감광 드럼(1)의 축선과 평행하지 않은 상태, 즉 얼라인먼트 시프트가 발생한 상태를 나타낸다. 도 22a 및 2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긴 구멍인 제1 구멍(139a)은 보스(138a)와 결합되면서 감광 드럼(1)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한편, 보스(12a)와 원형 구멍인 제2 구멍(37a)은 현상 롤러(25)의 축선과 교차하는 방향으로의 이동이 규제된다. 따라서, 감광 카트리지(4)는 현상 롤러(25)의 축선이 감광 드럼(1)의 축선과 평행하지 않은 상태에 있다. 얼라인먼트 시프트가 발생한 상태에서는, 현상 롤러(25)가 감광 드럼(1)에 접촉하지 못할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도 23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현상 카트리지(4)는 현상 유닛(139)에 바이어싱부로서의 탄성 부재인 인장 스프링(240)을 포함한다. 또한, 현상 유닛(139)은 인장 스프링(240)을 지지하는 탄성 부재 지지부인 스프링 고정 보스(239d)를 포함한다. 인장 스프링(240)의 일단은 현상 유닛(139)의 탄성 부재 지지부인 스프링 고정 보스(239d)에 의해 지지되고, 타단은 단부 지지 부재(138)의 보스(138a)에 의해 지지된다.
인장 스프링(240)은 보스(138a)를 현상 롤러(25)의 축선과 교차하는 방향(바람직하게는 직교하는 방향)으로 바이어싱한다. 즉, 도 23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구멍(139a)이 현상 유닛 바이어싱 방향 A1과 역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인장 스프링(240)에 의해 보스(138a)가 가압된다.
현상 롤러(25)의 축선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에 있어서, 인장 스프링(240)은, 제1 구멍(139a)의 중심이 현상 유닛 바이어싱 방향 A1과 역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보스(138a)를 바이어싱한다. 그리고, 제1 구멍(139a)의 중심이 감광 드럼(1)의 중심에 근접하는 방향(제1 구멍(139a)의 중심과 감광 드럼(1)의 중심 사이의 거리가 단축되는 방향)으로 제1 구멍(139a)의 중심이 이동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 방향은, 제1 구멍(139a)의 중심이 제2 구멍(37a) 또는 보스(12a)의 중심과 일치하는 방향이다. 그 결과, 제1 구멍(139a)의 중심으로부터 감광 드럼(1)의 중심까지의 거리가 제2 구멍(37a) 또는 보스(12a)의 중심으로부터 감광 드럼(1)의 중심까지의 거리와 같아지도록 제1 구멍(139a)의 중심이 감광 드럼(1)의 중심에 근접한다. 즉, 바이어싱부인 인장 스프링(240)이 이용되지 않는 경우보다, 제1 구멍(139a)의 중심으로부터 감광 드럼(1)의 중심까지의 거리와 제2 구멍(37a) 또는 보스(12a)의 중심으로부터 감광 드럼(1)의 중심까지의 거리 사이의 차이가 더 작다. 그리고, 현상 롤러(25)의 축선은 감광 드럼(1)의 축선과 평행이 되도록 가까워진다. 즉, 바이어싱부인 인장 스프링(240)이 이용되지 않는 경우보다, 현상 롤러(25)의 축선과 감광 드럼(1)의 축선 사이의 각이 더 작다. 따라서, 안정되게 현상 롤러(25)를 감광 드럼(1)에 접촉시킬 수 있다.
제1 구멍(139a)의 중심으로부터 감광 드럼(1)의 중심까지의 거리가 제2 구멍(37a) 또는 보스(12a)의 중심으로부터 감광 드럼(1)의 중심까지의 거리와 같은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러한 거리는 완전하게 같을 필요는 없다. 또한, 현상 롤러(25)의 축선은 감광 드럼(1)의 축선과 평행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들 축은 완전하게 평행일 필요는 없다.
또한, 실시예 1과 유사하게, 인장 스프링(240)이 단부 지지 부재(138)를 바이어싱할 수 있지만, 인장 스프링(240)이 보스(138a)를 바이어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구성에서, 현상 유닛(139)과 단부 지지 부재(138) 중에, 인장 스프링(240)은 현상 유닛(139)에 제공된다. 따라서, 인장 스프링(240)은 현상 롤러(25)의 축선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현상 유닛(39)과 단부 지지 부재(138) 중에 단부 지지 부재(138)를 바이어싱하는 바이어싱 부재이다.
또한, 다른 구성에서, 도 2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인장 스프링(240) 대신 실시예 2에서 설명된 바이어싱 부재로서의 가압 레버와 레버 바이어싱 부재가 이용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보스(138a)를 바이어싱하는 바이어싱부로서, 가압 레버(241)와 가압 레버(241)를 보스(138a)를 향해 바이어싱하는 인장 스프링(340)이 이용된다.
현상 유닛(139)은 가압 레버(241)를 포함한다. 가압 레버(241)는 가압 피지지부로서의 레버 피지지부(241b)와, 레버 피지지부(241b)에 대향하는 위치에 있는 바이어싱 부재 계지부로서의 스프링 고정부(241a)를 포함한다. 또한, 현상 유닛(139)은 가압 지지부로서의 레버 지지 보스(139e)와, 바이어싱 부재 피계지부로서의 스프링 고정 보스(139d)를 포함한다. 레버 지지 보스(139e)는, 가압 레버(241)가 보스(138a)를 가압하여 현상 유닛(139)이 이동하는 방향에 대해, 보스(138a)의 중심보다 반대측에 위치되도록 제공된다. 레버 피지지부(241b)는 레버 지지 보스(139e)에 의해 피벗 가능하게 지지된다. 인장 스프링(340)의 일단은 스프링 고정부(241a)에 의해 지지되고, 타단은 스프링 고정 보스(139d)에 의해 지지된다. 또한, 가압 레버(241)는 현상 유닛(139)에 의해 지지되는 위치에 있는 레버 피지지부(241b)와, 인장 스프링(340)에 의해 바이어싱되는 위치에 있는 스프링 고정부(241a) 사이에서 보스(138a)를 바이어싱하도록 구성된다.
인장 스프링(240)과 유사하게, 현상 롤러(25)의 얼라인먼트 시프트의 영향을 저감시키기 위해, 가압 레버(241)는 보스(138a)를 현상 롤러(25)의 축선과 교차하는 방향(바람직하게는 직교하는 방향)으로 바이어싱한다.
현상 롤러(25)의 축선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가압 레버(241)와 인장 스프링(340)은, 제1 구멍(139a)의 중심이 현상 유닛 바이어싱 방향 A1과 역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보스(138a)를 바이어싱한다. 현상 롤러(25)의 축선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제1 구멍(139a)의 중심이 감광 드럼(1)의 중심에 근접하는 방향(제1 구멍(139a)의 중심과 감광 드럼(1)의 중심 사이의 거리가 단축되는 방향)으로 제1 구멍(139a)의 중심이 가압 레버(241)와 인장 스프링(340)에 의해 이동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 방향은, 제1 구멍(139a)의 중심이 제2 구멍(37a) 또는 보스(12a)의 중심과 일치하는 방향이다. 그 결과, 제1 구멍(139a)의 중심으로부터 감광 드럼(1)의 중심까지의 거리가 제2 구멍(37a) 또는 보스(12a)의 중심으로부터 감광 드럼(1)의 중심까지의 거리와 같도록, 제1 구멍(139a)의 중심이 감광 드럼(1)의 중심에 근접한다. 즉, 바이어싱부인 가압 레버(241)가 이용되지 않는 경우보다, 제1 구멍(139a)의 중심으로부터 감광 드럼(1)의 중심까지의 거리와, 제2 구멍(37a) 또는 보스(12a)의 중심으로부터 감광 드럼(1)의 중심까지의 거리 사이의 차이가 더 작다. 그리고, 현상 롤러(25)의 축선은 감광 드럼(1)의 축선과 평행하도록 가까워진다. 즉, 가압 레버(241)가 이용되지 않는 경우보다, 현상 롤러(25)의 축선과 감광 드럼(1)의 축선 사이의 각도가 더 작다. 따라서, 안정되게 현상 롤러(25)를 감광 드럼(1)에 접촉시킬 수 있다.
제1 구멍(139a) 중심으로부터 감광 드럼(1)의 중심까지의 거리가 제2 구멍(37a) 또는 보스(12a)의 중심으로부터 감광 드럼(1)의 중심까지의 거리와 같은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들 거리는 완전하게 같을 필요는 없다. 또한, 현상 롤러(25)의 축선은 감광 드럼(1)의 축선과 평행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러한 축선은 완전하게 평행일 필요는 없다.
또한, 실시예 2와 유사하게, 가압 레버(241)가 단부 지지 부재(138)를 바이어싱할 수 있지만, 가압 레버(241)가 보스(138a)를 바이어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구성에서, 현상 유닛(139)과 단부 지지 부재(138) 중에, 가압 레버(241)와 인장 스프링(340)은 현상 유닛(139)에 제공된다. 가압 레버(241)와 인장 스프링(340)은 현상 롤러(25)의 축선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현상 유닛(39)과 단부 지지 부재(138) 중에 단부 지지 부재(138)를 바이어싱하는 바이어싱 부재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화상 담지체로서의 감광 드럼에 대한 현상제 담지체로서의 현상 롤러의 접촉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이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은 개시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의 청구항의 범위는 이러한 모든 변형 및 동등한 구성 및 기능을 포함하도록 최광의 해석에 따라야 한다.

Claims (23)

  1. 현상 장치로서,
    현상제 담지체와, 상기 현상제 담지체를 지지하도록 구성된 현상 프레임 부재를 포함하는 현상 유닛;
    상기 현상제 담지체의 축선 방향으로의 일단 측에서, 상기 현상 유닛을 피벗(pivot)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구성된 단부 지지 부재;
    상기 축선 방향으로의 타단 측에서, 상기 현상 유닛을 피벗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구성된 타단부 지지 부재;
    상기 현상 유닛에서 상기 현상 프레임 부재의 외주면에 제공되는 제1 샤프트;
    상기 현상 유닛과 상기 타단부 지지 부재 중 어느 한 쪽에 제공되는 제2 샤프트;
    상기 단부 지지 부재에 제공되고, 상기 현상 유닛이 상기 제1 샤프트와 상기 제2 샤프트를 중심으로 피벗하도록 상기 제1 샤프트를 지지하도록 구성되고, 또한 상기 제1 샤프트가 상기 축선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구성되는 제1 구멍;
    상기 현상 유닛과 상기 타단부 지지 부재 중 다른 한 쪽에 제공되고, 상기 현상 유닛이 상기 제1 샤프트와 상기 제2 샤프트를 중심으로 피벗하도록 상기 제2 샤프트를 지지하도록 구성되고, 또한 상기 제2 샤프트가 상기 축선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규제하도록 구성되는 제2 구멍; 및
    상기 축선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상기 제1 샤프트를 바이어싱(biasing)하도록 구성되는 바이어싱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현상 장치는 임의의 화상 담지체와 독립하여 화상 형성 장치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도록 구성되는, 현상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어싱 부재는, 상기 제1 샤프트의 중심이 화상 담지체의 중심에 근접하도록, 상기 제1 샤프트를 상기 축선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바이어싱하는, 현상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 유닛에 제공되고, 상기 현상제 담지체가 화상 담지체에 접촉하게 바이어싱되도록 구성되는 힘 수용부를 더 포함하는, 현상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힘 수용부가 바이어싱되었을 때, 상기 제1 샤프트는 상기 화상 담지체의 중심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현상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힘 수용부는 상기 현상제 담지체의 중심과 상기 제1 샤프트의 중심을 연결하는 제2 직선에 직교하고 상기 제1 샤프트의 중심을 통과하는 제1 직선에 대해, 상기 현상제 담지체와 반대 측의 영역에 제공되는, 현상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힘 수용부는 화상 형성 장치에 제공된 힘 부여부에 의해 바이어싱되는, 현상 장치.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어싱 부재는, 일단이 상기 단부 지지 부재에 의해 지지되고, 타단이 상기 제1 샤프트에 의해 지지되는 탄성 부재인, 현상 장치.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어싱 부재는,
    상기 단부 지지 부재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레버 부재; 및
    상기 레버 부재를 상기 제1 샤프트를 향해 바이어싱하도록 구성되는 레버 바이어싱 부재를 포함하는, 현상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 부재는 상기 레버 바이어싱 부재에 의해 바이어싱되는 위치와 상기 단부 지지 부재에 의해 지지되는 위치 사이에서, 상기 제1 샤프트를 바이어싱하는, 현상 장치.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멍은 상기 제1 샤프트의 직경 방향으로의 상기 제1 샤프트의 위치를 규제하도록 구성되는 제1 규제부와, 상기 제1 규제부가 상기 제1 샤프트의 상기 직경 방향으로의 상기 제1 샤프트의 상기 위치를 규제하는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의 상기 제1 샤프트의 위치를 규제하도록 구성되는 제2 규제부를 포함하는 긴 구멍이고, 상기 제2 규제부는 상기 제1 규제부보다 더 큰, 현상 장치.
  11.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부 지지 부재와 상기 타단부 지지 부재는 상기 현상 유닛에 대해 독립적으로 피벗 가능한, 현상 장치.
  12.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 장치는 장치 본체로부터 상기 축선 방향으로 착탈 가능한, 현상 장치.
  1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 장치는, 상기 현상제 담지체가 접촉하는 화상 담지체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로부터 착탈 가능한, 현상 장치.
  14. 현상 장치로서,
    현상제 담지체와, 상기 현상제 담지체를 지지하도록 구성된 현상 프레임 부재를 포함하는 현상 유닛;
    상기 현상제 담지체의 축선 방향으로의 일단 측에서, 상기 현상 유닛을 피벗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구성된 단부 지지 부재;
    상기 축선 방향으로의 타단 측에서, 상기 현상 유닛을 피벗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구성된 타단부 지지 부재;
    상기 단부 지지 부재에 제공되는 제1 샤프트;
    상기 타단부 지지 부재에 제공되는 제2 샤프트;
    상기 현상 유닛의 일단부에서 상기 현상 프레임에 제공되고, 상기 현상 유닛이 상기 제1 샤프트와 상기 제2 샤프트를 중심으로 피벗하도록 상기 제1 샤프트를 지지하고, 또한 상기 현상 유닛이 상기 축선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상기 제1 샤프트에 대해 이동하는 것이 허용되도록 구성되는 제1 구멍;
    상기 현상 유닛의 타단부에서 상기 현상 프레임에 제공되고, 상기 현상 유닛이 상기 제1 샤프트와 상기 제2 샤프트를 중심으로 피벗하도록 상기 제2 샤프트를 지지하도록 구성되고, 또한 상기 제2 샤프트가 상기 축선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규제하도록 구성되는 제2 구멍; 및
    상기 축선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상기 제1 샤프트를 바이어싱하도록 구성되는 바이어싱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현상 장치는 임의의 화상 담지체와 독립하여 화상 형성 장치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도록 구성되는, 현상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어싱 부재는, 상기 제1 구멍의 중심이 화상 담지체의 중심에 접근하도록, 상기 제1 샤프트를 상기 축선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바이어싱하는, 현상 장치.
  16. 제14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 유닛에 제공되고, 상기 현상제 담지체가 화상 담지체에 접촉하게 바이어싱되도록 구성되는 힘 수용부를 더 포함하는, 현상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힘 수용부가 바이어싱되었을 때, 상기 제1 구멍은 상기 화상 담지체의 중심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현상 장치.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힘 수용부는 상기 현상제 담지체의 중심과 상기 제1 샤프트의 중심을 연결하는 제2 직선에 직교하고 상기 제1 샤프트의 중심을 통과하는 제1 직선에 대해, 상기 현상제 담지체와 반대 측의 영역에 제공되는, 현상 장치.
  19. 현상제 담지체와, 상기 현상제 담지체를 지지하도록 구성된 현상 프레임 부재를 포함하는 현상 유닛;
    상기 현상제 담지체의 축선 방향으로의 일단 측에서, 상기 현상 유닛을 피벗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구성된 단부 지지 부재;
    상기 축선 방향으로의 타단 측에서, 상기 현상 유닛을 피벗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구성된 타단부 지지 부재;
    상기 현상 유닛과 상기 단부 지지 부재 중 어느 한 쪽에 제공되는 제1 샤프트;
    상기 현상 유닛과 상기 타단부 지지 부재 중 어느 한 쪽에 제공되는 제2 샤프트;
    상기 현상 유닛과 상기 단부 지지 부재 중 다른 한 쪽에 제공되고, 상기 현상 유닛이 상기 제1 샤프트와 상기 제2 샤프트를 중심으로 피벗하도록 상기 제1 샤프트와 결합되고, 또한 상기 현상 유닛이 상기 축선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구성되는 제1 구멍;
    상기 현상 유닛과 상기 타단부 지지 부재 중 다른 한 쪽에 제공되고, 상기 현상 유닛이 상기 제1 샤프트와 상기 제2 샤프트를 중심으로 피벗하도록 상기 제2 샤프트와 결합되고, 또한 상기 현상 유닛이 상기 축선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규제하도록 구성되는 제2 구멍; 및
    상기 현상 유닛과 상기 단부 지지 부재 중 어느 한 쪽에 제공되고, 상기 축선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상기 현상 유닛과 상기 단부 지지 부재 중 다른 한 쪽을 바이어싱하도록 구성되는 바이어싱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단부 지지 부재와 상기 타단부 지지 부재는 상기 현상 유닛에 대해 독립적으로 피벗 가능하고,
    현상 장치는 임의의 화상 담지체와 독립하여 화상 형성 장치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도록 구성되는, 현상 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어싱 부재는 상기 제1 샤프트를 바이어싱하는, 현상 장치.
  21. 제19항 또는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 유닛에 제공되고, 상기 현상제 담지체가 화상 담지체에 접촉하도록 바이어싱되는 힘 수용부를 더 포함하는, 현상 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힘 수용부는 상기 현상제 담지체의 중심과 상기 제1 샤프트의 중심을 연결하는 제2 직선에 직교하고 상기 제1 샤프트의 중심을 통과하는 제1 직선에 대해, 상기 현상제 담지체와 반대 측의 영역에 제공되는, 현상 장치.
  23. 화상 형성 장치로서,
    제1항에 따른 현상 장치; 및
    화상 담지체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
KR1020170034508A 2016-03-22 2017-03-20 현상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 KR10210054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056987 2016-03-22
JP2016056987 2016-03-22
JPJP-P-2017-031355 2017-02-22
JP2017031355A JP7076945B2 (ja) 2016-03-22 2017-02-22 現像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0028A KR20170110028A (ko) 2017-10-10
KR102100541B1 true KR102100541B1 (ko) 2020-05-15

Family

ID=599729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4508A KR102100541B1 (ko) 2016-03-22 2017-03-20 현상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7076945B2 (ko)
KR (1) KR10210054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921699B2 (ja) * 2017-09-29 2021-08-18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7106300B2 (ja) * 2018-03-06 2022-07-26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2020052358A (ja) * 2018-09-28 2020-04-02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63391A (ja) 2010-09-14 2012-03-29 Canon Inc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2014102425A (ja) * 2012-11-21 2014-06-05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JP2015169876A (ja) * 2014-03-10 2015-09-28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72675A (ja) * 1993-06-28 1995-03-17 Matsushita Graphic Commun Syst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H08254867A (ja) * 1995-03-16 1996-10-01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JPH09230694A (ja) * 1996-02-27 1997-09-05 Canon Inc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4677093B2 (ja) 2000-12-25 2011-04-27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2005043538A (ja) * 2003-07-25 2005-02-17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画像形成装置
KR20060014973A (ko) * 2004-08-13 2006-02-16 삼성전자주식회사 현상기 및 이를 구비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JP5935391B2 (ja) * 2012-02-29 2016-06-15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6164935B2 (ja) * 2013-05-27 2017-07-19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63391A (ja) 2010-09-14 2012-03-29 Canon Inc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2014102425A (ja) * 2012-11-21 2014-06-05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JP2015169876A (ja) * 2014-03-10 2015-09-28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7076945B2 (ja) 2022-05-30
JP2017173806A (ja) 2017-09-28
KR20170110028A (ko) 2017-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13671B2 (en) Process cartridge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US8280279B2 (en) Process cartridge with first, second, and third portions-to-be-positioned by corresponding portions of image forming apparatus
JP7250883B2 (ja)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画像形成装置
US8934828B2 (en) Image-forming device having waste developer material accommodating part and developer material unit having the same
KR20210053866A (ko) 화상형성장치의 본체에 장착가능한 현상 카트리지
KR102100541B1 (ko) 현상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
CN107219742B (zh) 显影设备及图像形成装置
JP4882516B2 (ja) プロセスユニットおよび現像カートリッジ
JP6921545B2 (ja) 画像形成装置
JP2017201389A (ja) 画像形成装置
JP5950676B2 (ja) クリーニングユニット、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7214419B2 (ja) 画像形成装置、現像カートリッジ
KR102574239B1 (ko) 화상 형성 장치 및 현상 카트리지
KR102312589B1 (ko) 현상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
JP7297419B2 (ja) 画像形成装置、現像カートリッジ
JP4775514B2 (ja) 画像形成装置
KR102131649B1 (ko) 현상장치 및 화상형성장치
JP2019066615A (ja) 現像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10181765A (ja) 現像剤収容器および現像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