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3305B1 - 화상형성장치의 본체에 장착가능한 현상 카트리지 - Google Patents

화상형성장치의 본체에 장착가능한 현상 카트리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3305B1
KR102333305B1 KR1020210058577A KR20210058577A KR102333305B1 KR 102333305 B1 KR102333305 B1 KR 102333305B1 KR 1020210058577 A KR1020210058577 A KR 1020210058577A KR 20210058577 A KR20210058577 A KR 20210058577A KR 102333305 B1 KR102333305 B1 KR 1023333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veloping
end member
image forming
developing cartridge
cartri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85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53866A (ko
Inventor
마사토 타나베
카즈타카 수에시게
테루히코 사사키
츠카사 아베
오사무 아난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7025935A external-priority patent/JP6465906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7026341A external-priority patent/JP6942482B2/ja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100538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3866A/ko
Priority to KR10202101622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642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33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33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for immersio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on a donor element, e.g. belt, roll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42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the different parts of the apparatus
    • G03G21/1647Mechanical connection mea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61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means for handling parts of the apparatus in the apparatus
    • G03G21/167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means for handling parts of the apparatus in the apparatus for the developer uni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 G03G21/1803Arrangements or disposition of the complete process cartridge or parts thereof
    • G03G21/1814Details of parts of process cartridge, e.g. for charging, transfer, cleaning, develop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 G03G21/1803Arrangements or disposition of the complete process cartridge or parts thereof
    • G03G21/1817Arrangements or disposition of the complete process cartridge or parts thereof having a submodular arrangement
    • G03G21/1821Arrangements or disposition of the complete process cartridge or parts thereof having a submodular arrangement means for connecting the different parts of the process cartridge, e.g. attachment, positioning of parts with each other, pressure/distance regulatio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 G03G21/1803Arrangements or disposition of the complete process cartridge or parts thereof
    • G03G21/1817Arrangements or disposition of the complete process cartridge or parts thereof having a submodular arrangement
    • G03G21/1825Pivotable subunit connectio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 G03G21/1839Means for handling the process cartridge in the apparatus body
    • G03G21/1842Means for handling the process cartridge in the apparatus body for guiding and mounting the process cartridge, positioning, alignment, locks
    • G03G21/1846Means for handling the process cartridge in the apparatus body for guiding and mounting the process cartridge, positioning, alignment, locks using a handle for carrying or pulling out of the main machine, legs of casing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 G03G21/1839Means for handling the process cartridge in the apparatus body
    • G03G21/1842Means for handling the process cartridge in the apparatus body for guiding and mounting the process cartridge, positioning, alignment, locks
    • G03G21/185Means for handling the process cartridge in the apparatus body for guiding and mounting the process cartridge, positioning, alignment, locks the process cartridge being mounted parallel to the axis of the photosensitive memb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63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for the developer uni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651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for connecting the different parts
    • G03G2221/1657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for connecting the different parts transmitting mechanical drive power

Abstract

현상제를 가지고 있는 현상제 담지체; 상기 현상제 담지체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현상 프레임체; 상기 현상제 담지체의 상기 현상제 담지체의 축방향으로 상기 현상 프레임체의 일단측을 지지하는 일단측 단부부재; 및 상기 현상제 담지체의 축방향으로 상기 현상 프레임체의 타단측을 지지하는 타단측 단부부재를 구비한 현상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일단측 단부부재와 상기 타단측 단부부재 각각은, 상기 현상 프레임체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회전 가능하다.

Description

화상형성장치의 본체에 장착가능한 현상 카트리지{DEVELOPING CARTRIDGE MOUNTABLE TO MAIN ASSEMBLY OF IMAGE FORMING APPARATUS}
본 발명은, 감광 드럼에 형성된 정전 잠상을 현상함과 아울러, 화상형성장치의 장치본체에/로부터 착/탈가능한 현상장치와, 감광 드럼에 현상제 상(image)을 형성함과 아울러, 화상형성장치의 장치본체에 착/탈가능한 프로세스 카트리지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전자 사진기술을 사용해서 기록 매체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전자 사진기술을 사용해서 시트 등의 기록 매체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형성장치가 알려져 있다. 그 화상형성장치로서는, 예를 들면, 프린터(레이저 빔 프린터나 LED 프린터 등), 복사기, 팩시밀리 장치, 워드 프로세서, 복합기(멀티펑션 프린터) 등이 있다.
이러한 화상형성장치에서는, 우선, 대전 롤러에 의해 감광 드럼이 균일하게 대전된다. 또한, 대전한 감광 드럼을 선택적으로 노광하여 감광 드럼 위에 정전상을 형성한다. 감광 드럼 위에 형성된 정전상은 현상장치에 의해 토너 상으로서 현상된다. 또한, 감광 드럼 위에 형성된 토너 상은, 기록 용지와 플라스틱 시트 등의 기록 매체에 전사된다. 그 후, 기록 재료 위에 전사된 토너 상이 가열 및 가압되어 토너 상이 기록 매체에 정착된다. 이렇게 하여, 기록 매체에 화상이 형성된다.
이러한 화상형성장치에서는, 화상형성장치내의 부품의 메인티넌스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도록, 감광 드럼, 대전롤러, 현상장치 등을 카트리지로서 서로 일체화하고 있다. 또한, 프로세스 카트리지로서는, 감광 드럼을 갖는 클리닝 카트리지, 현상 수단을 갖는 현상장치로서의 현상 카트리지, 현상제를 공급하는 토너 카트리지 등의 구성이 알려져 있다.
여기에서, 일본 특허공개 2013-182036호에 개시된 기술에서는, 현상 카트리지가, 화상형성장치의 장치본체에/로부터 착/탈 가능해지고 있다. 현상 카트리지는, 현상 롤러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프레임체와, 현상 롤러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제1프레임체의 양단부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제2프레임체를 갖고 있다. 또한, 현상 카트리지가 화상형성장치에 장착된 상태에 있어서, 현상 카트리지의 제2프레임체는 위치결정되고, 제1프레임체는 회전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에 따라, 현상 롤러는, 감광 드럼에 대하여 접촉 및 이간할 수 있다.
그렇지만, 일본 특허공개 2013-182036호에 개시된 기술에서는, 현상 롤러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제1프레임체의 양단부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제2프레임체가 1개의 부재로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제2프레임체에 대하여, 제1프레임체의 양단부를 지지하는 부분을 연결하는 영역을 제공하기 위해서, 현상 카트리지를 대형화시킬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현상장치로서의 현상 카트리지의 대형화를 억제하는 목적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감광 드럼을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장치본체에 탈착가능하게 장착가능한 현상 카트리지는, 상기 현상 카트리지가 상기 장치본체에 장착되었을 때 상기 감광 드럼에 형성된 잠상을 현상하는 현상 롤러; (i) 제1 단부 및 (ii) 상기 현상 롤러의 축방향에 대하여 상기 제1 단부에 대향하는 제2 단부를 포함하는 현상 프레임체로서, 상기 현상 롤러의 일부가 상기 현상 프레임체의 외부에 노출되도록 상기 현상 롤러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상기 현상 프레임체; 상기 현상 프레임체의 상기 제1 단부에 부착되어, 상기 현상 카트리지가 상기 장치본체에 장착되었을 때 상기 현상 프레임체의 상기 제1 단부를 지지하는 제1 단부부재; 및 상기 현상 프레임체의 상기 제2 단부에 부착되어, 상기 현상 카트리지가 상기 장치본체에 장착되었을 때 상기 현상 프레임체의 상기 제2 단부를 지지하는 제2 단부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단부부재와 상기 제2 단부부재는 동일한 회전축에 대하여 상기 현상 프레임체에 대해 서로 독립적으로 회전가능하고, 상기 현상 롤러는 상기 현상 카트리지가 상기 장치본체에 장착되었을 때 상기 제1 단부부재와 상기 제2 단부부재에 대한 상기 현상 프레임체의 회전에 의해 상기 감광 드럼을 향해서 및 상기 감광 드럼으로부터 멀어지게 이동 가능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의 실시예들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현상장치로서의 현상 카트리지가 대형화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도1a 및 1b는 전방 단부부재 및 가까운 쪽 규제부재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
도2는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개략 단면도,
도3은 제1 실시예에 따른 드럼 카트리지의 외관 사시도,
도4는 제1 실시예에 따른 드럼 카트리지의 개략 단면도,
도5는 제1 실시예에 따른 현상 카트리지의 개략 단면도,
도6은 제1 실시예에 따른 현상 카트리지를 화상형성장치에 장착하는 동작을 도시한 도면,
도7은 제1 실시예에 따른 현상 카트리지의 분해 사시도,
도8은 제1 실시예에 따른 후방 단부부재측에서 보았을 때 현상 카트리지의 외관도,
도9a 및 9b는 제1 실시예에 따른 후방 단부부재측에 있어서의 현상 카트리지의 단면도,
도10은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에 장착된 상태에 있어서의 현상 카트리지를 도시한 도면,
도11은 제1 실시예에 따른 현상 카트리지의 변형 예,
도12는 제1 실시예에 따른 현상 카트리지가 화상형성장치에 대해 위치결정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13은 각각 제1 실시예에 따른 현상 카트리지의 사시도 및 단면도,
도14는 각각 종래에 있어서의 현상 카트리지의 사시도 및 단면도,
도15a 및 15b는 제2 실시예에 따른 후방 단부부재의 부분 단면도,
도16은 제2 실시예에 따른 전방 단부부재의 외관 사시도,
도17a 및 17b는 제2 실시예에 따른 가까운 쪽 단부 규제부재의 외관 사시도,
도18a 및 18b는 제2 실시예에 따른 후방 단부부재의 외관 사시도,
도19는 제3 실시예에 따른 이탈 방지 부재의 개략 단면도,
도20은 제3 실시예에 따른 현상 카트리지의 분해 사시도,
도21a 및 21b는 제3 실시예에 따른 후방 단부부재의 개략 단면도,
도22는 현상 카트리지가 화상형성장치에 장착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23은 제4 실시예에 따른 현상 카트리지의 분해 사시도,
도24는 제4 실시예에 따른 후방 단부부재측에서 보았을 때 현상 카트리지의 외관도,
도25a 및 25b는 제4 실시예에 따른 후방 단부부재측에 있어서의 현상 카트리지의 단면도,
도26은 제4 실시예에 따른 현상 카트리지를 화상형성장치에 장착하는 동작을 도시한 도면,
도27a 내지 27c는 제4 실시예에 따른 현상 카트리지의 장착을 설명하는 도면,
도28은 제4 실시예에 따른 현상 카트리지가 화상형성장치에 장착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29는 제4 실시예에 따른 현상 카트리지가 장치본체에 대하여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해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단, 그 실시예들에 기재된 구성부품의 치수, 재질, 형상, 그것들의 상대 배치 등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장치의 구성이나 각종 조건 등에 의해 적절하게 변경되어도 된다. 따라서, 상기 실시예들에 기재된 구성부품의 치수, 재질, 형상, 그것들의 상대 배치 등은, 본 발명의 범위를 이하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실시예)
(화상형성장치의 전체구성)
우선, 전자 사진 화상형성장치(100)(이하, 화상형성장치(100)라고 한다)의 전체 구성에 대해서 도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4개의 감광 드럼 카트리지(9)(이하, 드럼 카트리지(9)라고 한다)(9Y∼9K)와, 4개의 현상장치(4)(이하, 현상 카트리지(4)라고 한다)(4Y∼4K)가 장착 부재(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화상형성장치(100)에 장착되어 있다. 여기에서, 드럼 카트리지(9)와 현상 카트리지(4)를 화상형성장치(100)에서 삽입하는 방향에 있어서, 상류측을 가까운 쪽으로서 정의하고, 하류측을 후방으로서 정의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상 카트리지는, 감광체 드럼을 갖는 드럼 카트리지와 따로따로 형성되고, 각기 화상형성장치(100)에/로부터 착/탈 가능해지도록 구성된다. 그 현상 카트리지를 상세히 후술한다.
도2에 있어서, 드럼 카트리지(9)와 현상 카트리지(4)는, 화상형성장치(100)내에 있어서, 수평방향에 대하여 경사져서 병설되어 있다. 또한, 각 드럼 카트리지(9)에는, 상 담지체로서의 전자 사진 감광 드럼(1)(이하, 감광 드럼(1)이라고 한다)(1a, 1b, 1c, 1d)과, 감광 드럼(1)의 주위에 배치되는 대전부재로서의 대전롤러(2)(2a, 2b, 2c, 2d)가 설치된다. 또한, 각 드럼 카트리지(9)에는, 청소 부재로서의 클리닝 부재(6)(6a, 6b, 6c, 6d)등의 프로세스 수단이 설치된다. 여기에서, 각 드럼 카트리지(9)에서는, 감광 드럼(1)과, 대전롤러(2)와, 클리닝 부재(6)등의 프로세스 수단이 일체적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각 현상 카트리지(4)(4Y∼4K)에는, 현상제 담지체로서의 현상 롤러(25)(25a∼25d)와, 현상제 규제 부재로서의 현상 블레이드(35)(35a∼35d) 등의 프로세스 수단이 일체적으로 설치된다. 대전롤러(2)는 감광 드럼(1)의 표면을 균일하게 대전시키고, 현상 롤러(25)는 감광 드럼(1)에 형성된 잠상(정전 잠상)을 현상제(이하, 토너라고 한다)에 의해 현상한다. 다시 말해, 현상 롤러(25)는, 감광 드럼(1)에 형성된 정전 잠상을 현상하기 위한 현상제로서의 토너를 가지고 있다. 또한, 클리닝 부재(6)는, 감광 드럼(1)에 형성된 현상제 상으로서의 토너 상이 기록 매체 S에 전사된 후에 감광 드럼(1) 위에 잔류한 현상제로서의 토너를 제거한다.
또한, 드럼 카트리지(9)와 현상 카트리지(4)의 아래에는, 화상정보에 근거해서 감광 드럼(1)을 선택적으로 노광하여, 감광 드럼(1)에 정전 잠상을 형성하는 노광 장치로서의 스캐너 유닛(3)이 설치된다. 또한, 화상형성장치(100)에 있어서의 하부에는, 기록 매체 S가 수납된 카세트(17)가 장착되어 있다. 또한, 기록 매체 S가 2차 전사롤러(69)와 정착부(74)를 거쳐서 화상형성장치(100)의 상부에 반송되도록, 기록 매체 S를 반송하는 기록 매체 반송 수단이 설치된다. 구체적으로는, 기록 매체 반송 수단으로서, 카세트(17)내의 기록 매체 S를 한번에 1매를 분리 급송하는 급송롤러(54)와, 급송된 기록 매체 S를 반송하는 반송롤러쌍(76)이 설치된다. 또한, 기록 매체 반송 수단으로서, 감광 드럼(1)에 형성된 정전 잠상과 기록 매체 S를 동기화하기 위한 레지스트 롤러쌍(55)이 설치된다.
또한, 드럼 카트리지(9)와 현상 카트리지(4)의 위쪽에는, 감광 드럼(1)(1a, 1b, 1c, 1d) 위에 형성된 토너 상을 전사하기 위한 중간전사유닛(5)이 중간전사수단으로서 설치된다. 중간전사유닛(5)은, 구동롤러(56)와, 종동롤러(57)와, 각 색의 감광 드럼(1)에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1차 전사롤러(58)(58a, 58b, 58c, 58d)와, 2차 전사롤러(69)에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대향롤러(59)를 가진다. 또한, 중간전사체로서의 전사벨트(14)는, 구동롤러(56)와, 종동롤러(57)와, 1차 전사롤러(58)와, 2차 전사롤러(69)에 의해 걸쳐 있다. 또한, 전사벨트(14)는, 모든 감광 드럼(1)에 대향 및 접촉하면서 순환 이동한다. 또한, 1차 전사롤러(58)(58a, 58b, 58c, 58d)에 전압이 인가될 때, 감광 드럼(1)으로부터 전사벨트(14) 위에 현상제 상으로서의 토너 상이 1차 전사된다.
상술한 것처럼, 각 감광 드럼(1)은, 회전하면서 대전롤러(2)에 의해 균일하게 대전되고, 한층 더, 스캐너 유닛(3)에 의해 선택적으로 노광된다. 따라서, 감광 드럼(1)에 정전 잠상이 형성된다. 이 정전 잠상은, 현상 롤러(25)에 의해 현상된다. 이에 따라, 각 감광 드럼(1)에 각 색의 토너 상이 형성된다. 또한, 이러한 토너 상의 형성과 동기화하여, 레지스트 롤러쌍(55)이, 기록 매체 S를, 대향롤러(59)와 2차 전사롤러(69)가 전사벨트(14)를 거쳐 서로 접촉하는 2차 전사위치에 반송한다.
또한, 2차 전사롤러(69)에 전사 바이어스 전압이 인가될 때, 전사벨트(14) 위의 각 색의 토너 상이 기록 매체 S에 2차 전사된다. 칼라의 현상제 상으로서의 토너 상이 전사된 기록 매체 S는, 정착부(74)에 의해 가열 및 가압된다. 따라서, 기록 매체 S에 토너 상이 정착한다. 그 후, 기록 매체 S는, 배출롤러(72)에 의해 배출부(75)에 배출된다. 이때, 정착부(74)는, 화상형성장치(100)의 상부에 배치되어 있다.
(드럼 카트리지의 구성)
다음에, 본 실시예에 따른 드럼 카트리지(9)에 대해서 도3과 도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3은, 드럼 카트리지(9)(9Y, 9M, 9C, 9K)의 외관 사시도다. 또한, 드럼 카트리지(9Y∼9K)의 구성은 동일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술한 것처럼, 드럼 카트리지(9)와 현상 카트리지(4)의 삽입 방향에 있어서, 상류측을 가까운 쪽으로서 정의하고, 하류측을 후방으로서 정의한다. 또한, 도4는, 드럼 카트리지(9)의 개략 단면도다.
드럼 카트리지(9)(9Y, 9M, 9C, 9K)에 있어서의 클리닝 프레임체(27)에 대해서, 감광 드럼(1)이, 드럼 앞(front) 베어링(10)과 드럼 뒤(back) 베어링(11)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감광 드럼(1)의 회전축 방향의 일단측에는, 드럼 커플링(16)과 플랜지(도시되지 않음)가 설치된다. 감광 드럼(1)의 주위에는, 상술한 것처럼, 대전롤러(2)와 클리닝 부재(6)가 설치된다.
클리닝 부재(6)는, 고무 블레이드(7)와 클리닝 지지 부재(8)로 구성되어 있다. 고무 블레이드(7)의 선단부(7a)는, 감광 드럼(1)의 회전 방향에 대하여 카운터 방향으로 감광 드럼(1)에 접촉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클리닝 부재(6)에 의해 감광 드럼(1)의 표면에서 제거된 잔류 토너는, 제거 토너 실(27a)에 낙하한다. 또한, 제거 토너 실(27a)로부터 토너가 새는 것을 방지하는 스퀴지 시트(21)가, 감광 드럼(1)에 접촉하고 있다. 또한, 본체구동 모터(도시되지 않음)로부터 드럼 카트리지(9)에 구동력이 전달될 때, 화상형성 동작에 따라서 감광 드럼(1)이 회전 구동한다. 또한, 대전롤러(2)는, 대전롤러 베어링(28)을 거쳐 드럼 카트리지(9)에 회전가능하게 부착되고, 대전롤러 가압부재(33)에 의해 감광 드럼(1)을 향해서 가압되어 있다. 대전롤러(2)는, 감광 드럼(1)을 따라가도록 회전한다.
(현상 카트리지의 구성)
다음에, 현상장치로서의 현상 카트리지(4)의 구성에 대해서 도5와 도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5는, 현상장치로서의 현상 카트리지(4)(4Y, 4M, 4C, 4K)의 개략 단면도다. 또한, 도7은, 현상 카트리지(4)의 분해 사시도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 엘로우 색의 현상제로서의 토너가 수납된 현상 카트리지4Y와, 마젠타 색의 토너가 수납된 현상 카트리지4M과, 시안 색의 토너가 수납된 현상 카트리지4C는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또한, 블랙 색의 토너가 수납된 현상 카트리지4K의 구성도 동일하다.
여기에서, 현상장치로서의 현상 카트리지(4)는, 감광 드럼(1)과 접촉하면서 화살표 B방향으로 회전하는 현상 롤러(25)와, 그 현상 롤러(25)에 접촉하면서 회전하는 공급 부재로서의 토너 공급롤러(34)를 갖는다. 또한, 현상 카트리지(4)는, 현상 롤러(25) 위의 토너(토너층의 두께)를 제어 또는 규제하는 현상 블레이드(35)와, 토너 반송 부재(36)를 갖는다. 여기에서, 현상장치는, 감광체 드럼 위에 형성된 정전 잠상을 현상제에 의해 현상하는 장치이며, 현상 수단과, 그 현상 수단을 지지하는 현상 프레임체와, 상기 현상 수단에 관련된 부품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현상 수단의 예로서는, 현상 롤러, 도포롤러, 및 현상 블레이드가 있다. 또한, 현상장치로서의 현상 카트리지(4)는, 현상 롤러(25)와, 토너 공급롤러(34)와, 현상 블레이드(35)와, 토너 반송 부재(36)를 지지하는 현상 프레임체(31)를 갖는다.
현상 프레임체(31)는, 현상 롤러(25)가 배치되어 있는 현상 실(31c)과, 그 현상 실(31c)의 아래쪽에 설치된 토너 수용 실(31a)을 갖는다. 또한, 토너 수용 실(31a)과 현상 실(31c)은 격벽(31d)에 의해 구획되어 있다. 또한, 격벽(31d)에는, 토너 수용 실(31a)과 현상 실(31c)을 서로 연통하는 개구부(31b)가 설치된다. 또한, 상술한 것처럼, 현상 프레임체(31)에 있어서의 토너 수용 실(31a)에는, 수납된 현상제로서의 토너를 휘저으면서 개구부(31b)를 통해 현상 실(31c)에 토너를 반송하는 토너 반송 부재(36)가 설치된다.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현상 롤러(25)와 토너 공급롤러(34)는, 현상 롤러(25)의 축방향으로 양단측에 있어서, 전방 현상 베어링(12)과 후방 현상 베어링(13)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다시 말해, 전방 현상 베어링(12)과 후방 현상 베어링(13)은, 회전축 같이 지지된 부재 혹은 현상 프레임체(31)의 일부로서의 베어링이다. 또한, 토너 공급롤러(34)의 후방 단부에는, 현상 커플링(23)(구동 받이부)이 설치된다. 또한, 토너 공급롤러(34)의 가까운 쪽 단부에는, 토너 공급 기어(30)가 설치된다. 현상 롤러(25)의 가까운 쪽 단부에는, 토너 공급 기어(30)와 맞물리는 현상 기어(29)가 설치된다. 이 때문에, 본체구동 모터(도시되지 않음)로부터 현상 커플링(23)에 구동력이 전달될 때, 토너 공급롤러(34)와 현상 롤러(25)가, 화상형성 동작에 따라 회전 구동한다.
또한, 현상 기어(29)와 토너 공급 기어(30)의 외측에는, 기어 커버(20)가 설치된다. 다시 말해, 기어 커버(20)는 현상 프레임체(31)의 일부로서의 기어 커버(20)다. 여기에서, 이상에서 설명한 현상 프레임체(31)의 구성을 현상 유닛(39)이라고 한다. 현상 프레임체(31)의 현상 롤러(25)의 축방향의 일단부와 타단부에는, 전방 단부부재(37)(일단측 단부부재 또는 제1 단부부재에 대응)와 후방 단부부재(38)(타단측 단부부재 또는 제2 단부부재에 대응)가 설치된다. 다시 말해, 현상 롤러(25)의 축방향에 있어서의 현상 유닛(39)의 양단부의 일단측에는 전방 단부부재(37)가 설치된다. 또한, 현상 롤러(25)의 축방향에 있어서의 현상 유닛(39)의 양단부의 타단측에는 후방 단부부재(38)가 설치된다. 후방 단부부재(38)에는, 후방 현상 베어링(13)에 설치된 후방 지지 축으로서의 보스(boss)(13a)(타단측 걸어 맞춤부에 대응)와 걸어 맞추는 후방 피지지 구멍(supported hole)으로서의 후크 구멍(38a)(타단측 피 걸어 맞춤부에 대응)이 설치된다. 또한, 전방 단부부재(37)에는, 기어 커버(20)에 설치된 가까운 쪽 지지 축으로서의 보스(20a)(일단측 걸어 맞춤부에 대응)와 걸어 맞추는 가까운 쪽 피지지 구멍으로서의 후크 구멍(37a)(일단측 피 걸어 맞춤부에 대응)이 설치된다. 또한, 보스(20a)는, 기어 커버(20)로부터 전방 단부부재(37)의 방향으로 돌출하도록 설치된다. 전방 단부부재(37)와 후방 단부부재(38)는, 후방 현상 베어링(13)의 보스(13a) 및 기어 커버(20)의 보스(20a)를 연결하는 축Y(회전축에 대응)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다시 말해, 전방 단부부재(37)와 후방 단부부재(38)는, 후방 현상 베어링(13)의 보스13a와, 기어 커버(20)의 보스20a를 통과하는 회전축Y(제1 회전축에 대응한다)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이 회전축Y는, 현상 롤러(25)의 축방향으로 연장되고 있다. 회전축Y는, 현상 롤러(25)의 축방향과 평행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보스13a와 보스20a가 동심이므로, 회전축Y는 상기 후방과 상기 가까운 쪽 양쪽에 일치한다. 따라서, 현상 유닛(39)은, 보스13a와 보스20a를 서로 연결하는 하나의 회전축Y를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된다. 또한, 전방 단부부재(37)는, 현상 유닛(39)의 현상 롤러(25)의 축방향으로 일단측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한편, 현상 유닛(39)의 현상 롤러(25)의 축방향으로 타단측을 지지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후방 단부부재(38)는, 현상 유닛(39)의 현상 롤러(25)의 축방향으로 타단측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한편, 현상 유닛(39)의 현상 롤러(25)의 축방향으로 일단측을 지지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다시 말해, 전방 단부부재(37)와 후방 단부부재(38)는, 현상 롤러(25)의 축방향으로 현상 프레임체(31)의 일단측과 타단측의 한쪽을 지지하는 한편, 현상 프레임체(31)의 일단측과 타단측의 다른 쪽을 지지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전방 단부부재(37)와 후방 단부부재(38)는, 현상 프레임체(31)에 대하여 각각 독립적으로 회전 가능하다. 다시 말해,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방 단부부재(37)는, 현상 프레임체(31)와 후방 단부부재(38)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다. 후방 단부부재(38)는, 현상 프레임체(31)와 전방 단부부재(37)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다. 바꿔 말하면, 전방 단부부재(37)가 현상 프레임체(31)에 대하여 회전할 때, 후방 단부부재(38)는, 현상 프레임체(31)와 전방 단부부재(37)에 대하여 정지하고 있을 수 있다. 또한, 후방 단부부재(38)가 현상 프레임체(31)에 대하여 회전할 때, 전방 단부부재(37)는, 현상 프레임체(31)와 후방 단부부재(38)에 대하여 정지하고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 현상 프레임체(31)는, 전방 단부부재(37)에 대하여 복수의 위치를 취한다. 또한, 그 복수의 위치 중 하나의 위치는, 기록 매체 S에 토너로 화상을 형성하는 현상 위치다.
(드럼 카트리지(9)와 현상 카트리지(4)를 착/탈하는 구성)
다음에, 도6을 참조하여, 드럼 카트리지(9)와 현상 카트리지(4)를 화상형성장치(100)의 장치본체에 장착하는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드럼 카트리지(9)(9Y, 9M, 9C, 9K)와 현상 카트리지(4)(4Y, 4M, 4C, 4K)는, 화상형성장치(100)의 개구부(101)(101a, 101b, 101c, 101d)에 삽입된다. 여기에서, 본 실시예에서는, 감광 드럼(1)의 축방향(바람직하게는 평행 방향)에 있어서, 가까운 쪽으로부터 후방을 향해서 도6의 화살표 F의 방향으로 드럼 카트리지(9)가 삽입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현상 카트리지(4)를 장치본체(100)의 개구부(101)(101a, 101b, 101c, 101d)에 삽입하는 방향은, 감광 드럼(1)의 축방향과 평행한 방향(화살표 F의 방향)이다. 바꿔 말하면, 현상 롤러(25)의 축방향(바람직하게는, 평행 방향)에 있어서, 가까운 쪽으로부터 후방을 향해서 도6의 화살표 F의 방향으로 현상 카트리지(4)가 삽입된다. 또한, 상술한 것처럼, 본 실시예에서는, 드럼 카트리지(9)와 현상 카트리지(4)가 삽입되는 방향에 있어서, 상류측을 가까운 쪽으로서 정의하고, 하류측을 후방으로서 정의한다.
화상형성장치(100)의 상측에는, 본체장착 상부(upper) 가이드부(103)(103a, 103b, 103c, 103d)가 설치된다. 화상형성장치(100)의 하측에는, 본체장착 하부(lower) 가이드부(102)(102a, 102b, 102c, 102d)가 설치된다. 이 본체장착 상부 가이드부(103)와 본체장착 하부 가이드부(102)는, 각각, 드럼 카트리지(9)의 화살표F 방향(감광 드럼(1)의 축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형상을 갖는다. 또한, 화살표 F 방향에 있어서의 가까운 쪽에 있어서 본체장착 하부 가이드부(102)와 맞추어진 상태에서, 드럼 카트리지(9)는, 본체장착 상부 가이드부(103)와 본체장착 하부 가이드부(102)를 따라 화살표 F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렇게 하여, 드럼 카트리지(9)를 화상형성장치(100)에 삽입한다.
또한, 장치본체내의 상측에는, 본체장착 상부 가이드부(105)(제1 가이드부에 대응), 하측에는 본체장착 하부 가이드부(104)(제2 가이드부에 대응)가 설치된다. 이 본체장착 상부 가이드부(105)와 본체장착 하부 가이드부(104)는, 각각 현상 카트리지(4)가 삽입되는 화살표로 나타낸 F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가이드 형상을 갖는다. 현상장치로서의 현상 카트리지(4)는, 화상형성장치(100)에 드럼 카트리지(9)를 삽입할 경우와 마찬가지로, 화상형성장치(100)에 삽입된다. 즉, 화살표 F 방향(현상 롤러(25)의 축방향)에 있어서의 가까운 쪽에 있어서, 현상 카트리지(4)를, 화상형성장치(100)의 상측에 설치되는 본체장착 상부 가이드부(105)와, 화상형성장치(100)의 하측에 설치되는 본체장착 하부 가이드부(104)에 맞춘다. 또한, 화살표 F 방향을 향하여, 현상 카트리지(4)를, 본체장착 상부 가이드부(105)와 본체장착 하부 가이드부(104)를 따라 이동시킨다.
구체적으로는,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방 단부부재(37)에는, 화상형성장치(100)의 장치본체에 설치된 제1 가이드부로서의 본체장착 상부 가이드부(105)에 의해 가이드 되는 제3 피 가이드부(guided portion)로서의 피 가이드부 37k(일단측 피 가이드부에도 대응)가 설치된다. 또한, 전방 단부부재(37)에는, 화상형성장치(100)의 장치본체에 설치된 제2 가이드부(guide portion)로서의 본체장착 하부 가이드부(104)에 의해 가이드 되는 제4 피 가이드부로서의 피 가이드부 37h(일단측 피 가이드부에도 대응)가 설치된다. 한편, 후방 단부부재(38)에는, 제1 가이드부로서의 본체장착 상부 가이드부(105)에 의해 가이드 되는 제1 피 가이드부로서의 피 가이드부 38m(타단측 피 가이드부에도 대응)이 설치된다. 또한, 후방 단부부재(38)에는, 제2 가이드부로서의 본체장착 하부 가이드부(104)에 의해 가이드 되는 제2 피 가이드부로서의 피 가이드부 38n(타단측 피 가이드부에도 대응)이 설치된다. 또한, 피 가이드부 37k와 피 가이드부 38m이 본체장착 상부 가이드부(105)에 의해 가이드 되고, 피 가이드부 37h와 피 가이드부 38n이 본체장착 하부 가이드부(104)에 의해 가이드 된다. 이에 따라, 현상 카트리지(4)를 삽입할 때에, 화상형성장치(100)의 장치본체에 대하여 현상 카트리지(4)가 삽입된다.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후방 단부부재(38)가 삽입 방향의 하류측으로 향한 상태에서 현상 카트리지(4)를 삽입한다. 다시 말해, 그 삽입 방향에 있어서, 후방 단부부재(38)는, 전방 단부부재(37)의 하류측에 배치된다. 바꿔 말하면, 후방 단부부재(38)는, 현상 프레임체에 대하여 삽입 방향의 하류측에 배치되고, 전방 단부부재(37)는, 현상 프레임체(31)에 대하여 삽입 방향의 상류측에 배치된다.
(후방 단부부재(38)의 구성)
다음에, 도7 내지 도9a 및 9b를 참조하여, 후방 단부부재(38)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8은, 후방 단부부재(38)측으로부터 보았을 때의 현상 카트리지(4)의 외관도다. 또한, 도9a 및 9b는, 후방 단부부재(38)측에 있어서의 현상 카트리지(4)의 단면도다(도8에 있어서의 선 K-K를 따라 자른 단면도).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방 현상 베어링(13)에는, 후방 단부부재(38)가 후방 현상 베어링(13)에 대하여 회전하는 것을 제어 또는 규제하는 후방 규제 부재(40)(규제 부재 또는 타단측 규제 부재에 대응)가 설치되어 있다. 후방 규제 부재(40)는, 현상 카트리지(4)가 화상형성장치(100)에/로부터 착/탈되는 자세에 있어서, 현상 카트리지(4)가 화상형성장치(100)에 장착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돌기부다. 또한, 후방 규제 부재(40)는, 현상장치로서의 현상 카트리지(4)가 화상형성장치(100)에/로부터 착/탈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또한, 도9a 및 9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방 규제 부재(40)의 내부에서는, 후방 현상 베어링(13)의 스프링 지지부(13b)에 부세 부재(urging member)로서의 규제 스프링(41)(타단측 부세 부재에 대응)이 부착되어 있다. 부세 부재로서의 규제 스프링(41)은, 현상 카트리지(4)가 화상형성장치(100)에/로부터 착/탈되는 자세에 있어서, 현상 카트리지(4)가 화상형성장치(100)에 장착되는 방향을 향해서 후방 규제 부재(40)를 가압한다. 또한, 규제 스프링(41)은, 후방 규제 부재(40)와 홈부(38f)(피규제부 또는 타단측 피규제부에 대응)가 걸어 맞추는 방향으로 후방 규제 부재(40)를 부세한다. 한편, 후방 단부부재(38)에는, 후방 규제 부재(40)에 있어서의 규제부(40a)와 걸어 맞출 수 있는 홈부(38f)가 설치된다. 홈부(38f)는, 현상 카트리지(4)가 화상형성장치(100)에/로부터 착/탈되는 방향에 관통하고 있다. 또한, 상술한 것처럼, 후방 현상 베어링(13)에는, 보스(13a)가 설치되어 있고, 후방 단부부재(38)에는, 보스(13a)와 걸어 맞출 수 있는 후크 구멍(38a)이 설치된다.
여기에서, 현상 카트리지(4)가 화상형성장치(100)에 장착되지 않고 있는 상태에서는, 후크 구멍(38a)과 보스(13a)가 서로 걸어 맞추어지고, 규제부(40a)와 홈부(38f)가 걸어 맞추어진다(도8과 도9a를 참조). 이렇게, 규제부(40a)와 홈부(38f)가 서로 걸어 맞추어질 경우, 후방 단부부재(38)는, 후방 현상 베어링(13)의 보스(13a)를 중심으로 해서 회전할 수 없다. 다시 말해, 후방 규제 부재(40)가 홈부(38f)에 끼워 넣어질 경우, 후방 현상 베어링(13)이 후방 단부부재(38)에 대하여 위치 결정된다.
한편, 규제부(40a)와 홈부(38f)가 서로 걸어 맞추어진 상태에서, 도9a 및 9b의 P방향으로 후방 규제 부재(40)가 가압되면, 후방 규제 부재(40)는, 규제 스프링(41)의 가압력에 대해서 P방향으로 이동한다. 여기에서, P방향은, 화상형성장치(100)의 장치본체에 현상 카트리지(4)가 삽입되는 방향과는 반대의 방향이다. 이에 따라, 후방 규제 부재(40)에 있어서의 규제부(40a)와, 후방 단부부재(38)에 있어서의 홈부(38f)간의 걸어 맞춤이 해제된다(도9b 참조). 이 상태에 있어서, 현상 프레임체(31)는, 후방 현상 베어링(13)의 보스(13a)를 중심으로 하여, 후방 단부부재(38)에 대하여 자유롭게 회전 가능하게 된다. 여기에서, 도22는, 현상 카트리지(4)가 화상형성장치(100)의 장치본체에 장착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후방 규제 부재(40)는, 화상형성장치(100)의 장치본체에 설치된 걸어 맞춤 해제부(90)에 의해 P방향으로 가압된다.
즉, 현상 카트리지(4)를 화상형성장치(100)에 장착하기 전의 상태와, 화상형성장치(100)의 장치본체에 설치된 걸어 맞춤 해제부(90)에 의해 후방 규제 부재(40)가 가압되어 있지 않고 있는 상태에서는, 후방 규제 부재(40)와 홈부(38f)가 서로 걸어 맞추어져 있다. 이 때문에, 후방 현상 베어링(13)이 후방 단부부재(38)에 대하여 위치 결정된다. 그러나, 현상 카트리지(4)가 화상형성장치(100)에 장착되는 동작에 연동해서 후방 규제 부재(40)가 걸어 맞춤 해제부(90)에 의해 가압되어, 후방 규제 부재(40)와 홈부(38f)간의 걸어 맞춤이 해제될 경우, 후방 현상 베어링(13)이 후방 단부부재(38)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된다. 여기에서, 현상 카트리지(4)가 화상형성장치(100)로부터 제거되는 방향으로 후방 규제 부재(40)가 걸어 맞춤 해제부(90)에 의해 가압될 경우, 후방 규제 부재(40)와 홈부(38f)간의 걸어 맞춤이 해제된다. 이때, 현상 유닛(39)의 회전축 Y와 직교하는 방향에서 볼 때, 후방 규제 부재(40)와 홈부(38f)가 겹치지 않는다. 이에 따라, 후방 단부부재(38)에 대하여 현상 유닛(39)이 회전가능하게 된다. 또한, 후방 현상 베어링(13)의 회전축Y는, 현상 카트리지(4)가 화상형성장치(100)에/로부터 착/탈되는 자세에 있어서, 현상 카트리지(4)가 화상형성장치(100)에/로부터 착/탈되는 방향(바람직하게는, 화상형성장치(100)에 대해 평행한 방향)으로 배향되어 있다.
상술한 것처럼, 본 실시예에서는, 현상 카트리지(4)가 화상형성장치(100)에 장착되지 않고 있는 상태에서는, 규제부(40a)와 홈부(38f)가 걸어 맞추어지기 때문에, 후방 현상 베어링(13)이 후방 단부부재(38)에 대하여 회전할 수 없다. 한편, 현상 카트리지(4)가 화상형성장치(100)에 장착된 상태에서는, 규제부(40a)와 홈부(38f)간의 걸어 맞춤이 해제되기 때문에, 후방 현상 베어링(13)이 후방 단부부재(38)에 대하여 회전할 수 있다. 여기에서, 후방 규제 부재(40)에 있어서의 규제부(40a)는, 현상 카트리지(4)가 화상형성장치(100)에 삽입하는 동작에 연동하여, 화상형성장치(100)의 장치본체에 설치된 걸어 맞춤 해제부(90)에 의해 가압된다. 이에 따라, 규제부(40a)와 홈부(38f)간의 걸어 맞춤이 해제된다.
(전방 단부부재의 구성)
다음에, 도1a 및 1b, 도7, 도10을 참조하여, 전방 단부부재(37)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1a 및 1b는, 전방 단부부재(37)와 가까운 쪽 규제부재(60)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다. 도10은, 화상형성장치(100)에 현상 카트리지(4)가 장착된 상태에 있어서의 현상 카트리지(4)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1a 및 1b는, 도10에 나타내는 현상 카트리지(4)를 G방향에서 보았을 때의 도다. 도1a는, 화상형성장치(100)에 현상 카트리지(4)가 장착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1b는, 현상 카트리지(4)의 화상형성장치(100)에의 장착이 완료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전방 단부부재(37)가 전방 현상 베어링(12)과 기어 커버(20)에 대하여 회전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전방 단부부재(37)의 보스(37c)에 가까운 쪽 규제부재(60)를 회전가능하게 부착하고 있다. 가까운 쪽 규제부재(60)는 규제 부재 또는 일단측 규제 부재에 대응한다. 여기에서, 보스(37c)(보스(37c)의 연장 방향이 제2 회전축에 대응한다)는, 현상 롤러(25)의 축방향과 교차하는 방향(바람직하게는,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또한, 가까운 쪽 규제부재(60)는, 보스(37c)를 중심축으로서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보스(37c)는, 화상형성장치(100)의 장치본체에 현상 카트리지(4)가 삽입되는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즉, 가까운 쪽 규제부재(60)는, 현상 카트리지(4)가 화상형성장치(100)에/로부터 착/탈되는 자세로, 현상 카트리지(4)가 화상형성장치(100)에/로부터 착/탈되는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바람직하게는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해서 회전 가능하다. 또한,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까운 쪽 규제부재(60)의 회전 방향에 있어서의 일방향으로 상기 가까운 쪽 규제부재(60)를 부세하기 위해서, 가까운 쪽 규제부재(60)와 전방 단부부재(37)의 사이에 비틀림 코일 스프링(50)이 부착되어 있다. 비틀림 코일 스프링(50)은 부세 부재 또는 일단측 부세 부재에 대응한다. 비틀림 코일 스프링(50)은, 가까운 쪽 규제부재(60)와 후술하는 홈부(20c)(피규제부 또는 일단측 피규제부에 대응한다)가 서로 걸어 맞추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가까운 쪽 규제부재(60)를 부세한다. 이 비틀림 코일 스프링(50)의 부세력에 의해,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까운 쪽 규제부재(60)는, 전방 단부부재(37)에 있어서의 규제부로서의 맞닿음부(37d)에 부세되어 있다. 가까운 쪽 규제부재(60)와 홈부(20c)가 서로 걸어 맞추어지는 방향으로 가까운 쪽 규제부재(60)가 회전하고, 가까운 쪽 규제부재(60)와 홈부(20c)간의 걸어 맞춤이 해제되지 않도록, 맞닿음부(37d)는, 소정의 위치에서, 가까운 쪽 규제부재(60)의 회전을 제어 또는 규제한다.
한편, 도1a, 1b와 도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어 커버(20)에는, 가까운 쪽 규제부재(60)의 규제부(60a)와 걸어 맞추는 홈부(20c)가 설치된다. 여기에서, 홈부(20c)는, 도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리브(rib)20b1과 20b2에 의해 형성된 홈이다. 또한, 상술한 것처럼, 기어 커버(20)에는 보스(20a)가 설치되어 있고, 전방 단부부재(37)는 보스(20a)를 중심축으로서 회전가능하다.
또한, 전방 단부부재(37)에는, 보스(20a)와 걸어 맞춤 가능한 후크 구멍(37a)이 설치된다. 또한, 기어 커버(20)에 있어서의 보스(20a)와 후크구멍(37a)이 서로 걸어 맞추어지고 가까운 쪽 규제부재(60)에 있어서의 규제부(60a)와 기어 커버(20)에 있어서의 홈부(20c)가 서로 걸어 맞춘 상태에서, 전방 단부부재(37)가 기어 커버(20)에 부착되어 있다. 상술한 것처럼, 전방 단부부재(37)를 기어 커버(20)에 부착하는 것에 의해, 보스(20a)를 중심축으로서 전방 단부부재(37)가 회전하는 것을 제어 또는 규제할 수 있다. 또한, 현상 카트리지(4)가 화상형성장치(100)에 장착되지 않고 있는 상태에서는, 가까운 쪽 규제부재(60)는 도1a에 도시된 자세를 취한다.
또한, 현상 카트리지를 화상형성장치(100)에 삽입해가면, 가까운 쪽 규제부재(60)에 있어서의 접촉부(60b)가 본체장착 하부 가이드부(104)에 접촉할 때, 가까운 쪽 규제부재(60)가 R방향으로 회전한다. 이에 따라, 도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까운 쪽 규제부재(60)에 있어서의 규제부(60a)와 기어 커버(20)에 있어서의 홈부(20c)간의 걸어 맞춤이 해제된다. 다시 말해, 본 실시예에서는, 본체장착 하부 가이드부(104)는, 가까운 쪽 규제부재(60)에 의한 걸어 맞춤을 해제하는, 걸어 맞춤 해제부로서의 기능을 가진다. 이때, 현상 유닛(39)의 회전축Y 방향(제1 회전축 방향에 대응한다)과 직교하는 방향에서 볼 때, 규제부(60a)와 홈부(20c)가 겹치지 않고 있다. 이 상태에 있어서, 기어 커버(20)와 현상 프레임체(31)는, 전방 단부부재(37)에 대하여, 보스(20a)를 중심으로 해서 회전 가능하게 된다.
여기에서, 본 실시예에서는, 가까운 쪽 규제부재(60)에 있어서의 규제부(60a)와 기어 커버(20)에 있어서의 홈부(20c)가 서로 걸어 맞추어져, 전방 단부부재(37)가 기어 커버(20)에 대하여 회전하는 것을 제어 또는 규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구성은 상기에 반드시 한정되지 않고, 그 밖의 구성이 이용되어도 된다. 예를 들면, 도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장 스프링(70)은, 기어 커버(20)에 있어서의 보스20f에 전방 단부부재(37)를 접촉시키도록 전방 단부부재(37)에 있어서의 보스37e와 기어 커버(20)에 있어서의 보스20d와의 사이에 부착되도록 구성되어도 좋다. 이 경우, 기어 커버(20)에 있어서의 보스20f에 전방 단부부재(37)가 접촉하여, 전방 단부부재(37)가 기어 커버(20)에 대하여 회전하지 않게 되어 있다.
(화상형성장치에 대한 현상 카트리지의 위치결정)
다음에, 도12를 참조하여, 화상형성장치(100)에 대하여 현상 카트리지(4)를 위치결정하는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방 단부부재(37)에는 피 가이드부 37k(일단측 피 위치 결정부로서의 기능도 가진다)와 피 가이드부 37h(일단측 회전 정지부로서의 기능도 가진다)가 설치된다. 한편, 화상형성장치(100)의 장치본체에는, 본체 제1 위치결정부(99a)(제1 위치결정부에 대응한다)와 본체 제1 회전 정지부(106)(제1 회전 정지부에 대응한다)가 설치된다. 또한, 현상 카트리지(4)의 화상형성장치(100)에의 장착이 완료한 상태에서는, 피 가이드부 37k와 본체 제1 위치결정부(99a)가 서로 걸어 맞추어지고, 피 가이드부 37h와 본체 제1 회전 정지부(106)가 서로 걸어 맞추어진다. 이에 따라, 전방 단부부재(37)는, 화상형성장치(100)의 장치본체에 대하여 위치결정된다.
또한, 후방 단부부재(38)에는 제2 피 위치결정부(38c)(타단측 피 위치결정부에 대응)와 제2 회전 정지부(38d)(타단측 회전 정지부에 대응한다)가 설치된다. 한편, 화상형성장치(100)의 장치본체에는, 본체 제2 위치결정부(98a)(제2 위치결정부에 대응한다)와 본체 제2 회전 정지부(98b)(제2 회전 정지부에 대응한다)가 설치된다. 또한, 현상 카트리지(4)의 화상형성장치(100)에의 장착이 완료한 상태에서는, 제2 피 위치결정부(38c)와 본체 제2 위치결정부(98a)가 걸어 맞추어지고, 제2 회전 정지부(38d)와 본체 제2 회전 정지부(98b)가 걸어 맞추어진다. 이에 따라, 후방 단부부재(38)는, 화상형성장치(100)의 장치본체에 대해 위치결정된다.
또한, 상술한 것처럼, 현상 카트리지(4)를 화상형성장치(100)의 장치본체에 장착하는 동작에 연동하여, 걸어 맞춤 해제부(90)(도22를 참조)에 의해 후방 규제 부재(40)가 가압된다. 이에 따라, 후방 규제 부재(40)와 홈부(38f)간의 걸어 맞춤이 해제되어, 후방 현상 베어링(13)이 후방 단부부재(38)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된다. 한편, 전방 단부부재(37)측에서는, 현상 카트리지(4)를 화상형성장치(100)의 장치본체에 장착하는 동작에 연동하여, 가까운 쪽 규제부재(60)에 있어서의 접촉부(60b)가 본체장착 하부 가이드부(104)에 접촉한다. 이에 따라, 가까운 쪽 규제부재(60)가 회전하고, 전방 단부부재(37)가 기어 커버(20)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된다.
상술한 것처럼, 본 실시예에서는, 현상 카트리지(4)가 화상형성장치(100)에 장착되기 전의 상태에서는, 장착시에 장치본체에 의해 가이드 되는 전방 단부부재(37)와 후방 단부부재(38)에 대하여, 기어 커버(20)와 후방 현상 베어링(13)이 위치결정된다. 이에 따라, 현상 카트리지(4)를 화상형성장치(100)의 장치본체에 장착하는 동작에 있어서, 현상 롤러(25)가 감광 드럼(1)에 접촉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현상 카트리지(4)의 화상형성장치(100)에의 장착이 완료한 상태에서는, 전방 단부부재(37)와 후방 단부부재(38)에 대하여 기어 커버(20)와 후방 현상 베어링(13)이 회전가능하게 되고, 현상 롤러(25)와 감광 드럼(1)이 서로 접촉 및 이격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현상 카트리지(4)가 화상형성장치(100)에/로부터 착/탈되는 동작에 있어서, 현상 유닛(39)의 자세를 고정할 수 있고, 현상 롤러(25)와 감광 드럼(1)이 서로 문지르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 감광 드럼(1)과 현상 롤러(25)가 서로 접촉할 때의 현상 프레임체(31)의 위치를 현상 위치로서 정의한다.
도13은, 각각 본 실시예에 따른 현상 카트리지(4)의 사시도 및 단면도다. 또한, 도14는, 각각 종래에 있어서의 현상 카트리지(4)의 사시도 및 단면도다. 종래에는, 도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방 단부부재(37)와 후방 단부부재(38)를 연결하는 연결 부재(80c)를 사용하여서, 전방 단부부재(37)와 후방 단부부재(38)가 서로 연결되어 있었다. 그렇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전방 단부부재(37)와 후방 단부부재(38)가 별도의 부재로서 구성되어 있다. 전방 단부부재(37)와 후방 단부부재(38)가, 현상 유닛(39)에 대하여, 각각 독립적으로 회전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현상 유닛(39)이, 전방 단부부재(37)와 후방 단부부재(38)에 의해 각각 위치결정되어 있다. 이 때문에, 종래와 같은 연결 부재(80c)가 불필요해지고, 현상 카트리지(4)를 소형화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현상 카트리지(4)가 화상형성장치(100)에 장착되기 전의 상태에서는, 전방 단부부재(37)가 현상 유닛(39)에 대하여 위치 결정되어 있다. 한편, 현상 카트리지(4)가 화상형성장치(100)에 장착된 상태에서는, 전방 단부부재(37)가 현상 유닛(39)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에 따라, 현상 카트리지(4)를 화상형성장치(100)에 장착하는 동작에 있어서, 현상 롤러(25)가 감광 드럼(1)에 접촉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화상형성장치(100)의 장치본체에 현상 카트리지(4)를 삽입하고 있는 중일 때 현상 롤러(25)가 감광 드럼(1)에 접촉하지 않도록, 현상 카트리지(4)와 감광 드럼(1)간의 간격을 증가시킬 필요가 없다. 이에 따라, 화상형성장치가 대형화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현상 카트리지(4)가 화상형성장치(100)에 장착되기 전의 상태에서는, 후방 단부부재(38)가 현상 유닛(39)에 대하여 위치 결정되어 있다. 한편, 현상 카트리지(4)가 화상형성장치(100)에 장착된 상태에서는, 후방 단부부재(38)가 현상 유닛(39)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된다. 이에 따라, 현상 카트리지(4)를 화상형성장치(100)에 장착하는 동작에 있어서, 현상 롤러(25)가 감광 드럼(1)에 접촉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화상형성장치(100)의 장치본체에 현상 카트리지(4)를 삽입하고 있는 중일 때 현상 롤러(25)가 감광 드럼(1)에 접촉하지 않도록, 현상 카트리지(4)와 감광 드럼(1)간의 간격을 증가시킬 필요가 없다. 이에 따라, 화상형성장치가 대형화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전방 단부부재(37)와 후방 단부부재(38)가 별도의 부재가 되도록 구성되고, 현상 유닛(39)이, 전방 단부부재(37)와 후방 단부부재(38)에 의해 각각 위치 결정되어 있다. 이 때문에, 종래와 같은 연결 부재(80c)가 불필요해지므로, 현상 카트리지(4)를 소형화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전방 단부부재(37)와 후방 단부부재(38)는, 현상 유닛(39)에 대하여 각각 독립적으로 이동 가능하다. 이 때문에, 전방 단부부재(37)와 후방 단부부재(38)가 일체로 되고 있는 경우에 비하여, 현상 카트리지(4)를 한층 더 소형화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화상형성장치 전체를 소형화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 현상 카트리지(4)가 화상형성장치(100)에/로부터 착/탈 가능하다. 그렇지만, 그 밖의 구성이 이용되어도 된다. 예를 들면, 현상 카트리지(4), 감광 드럼(1) 및 대전롤러(2)를 갖는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화상형성장치(100)에/로부터 착/탈 가능하여도 좋다.
또한, 예를 들면, 클리닝 부재(6)를 갖는 클리닝 장치가, 화상형성장치(100)의 장치본체에/로부터 착/탈 가능하여도 되고, 현상 카트리지(4)에/로부터 따로따로 착/탈 가능하여도 좋다. 또는, 감광 드럼(1)을 갖는 감광 장치가, 화상형성장치(100)의 장치본체에/로부터 착/탈 가능하여도 되고, 현상 카트리지(4)에/로부터 따로따로 착/탈 가능하여도 좋다.
(제2 실시예)
제2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때, 제2 실시예에 있어서,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기능을 갖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의미하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15a 및 15b는, 제2 실시예에 따른 후방 단부부재(38)의 부분 단면도다. 도16은, 제2 실시예에 따른 전방 단부부재(37)의 외관 사시도다. 도17a 및 17b는, 제2 실시예에 따른 가까운 쪽 규제부재(60)의 외관 사시도다. 도18a 및 18b는, 제2 실시예에 따른 후방 단부부재(38)의 외관 사시도다.
도15a 및 1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방 단부부재(38)는 맞닿음부 38g을 갖고, 후방 현상 베어링(13)은 맞닿음부 13g을 갖는다. 또한, 화상형성장치(100)의 장치본체에는, 현상 카트리지(4)를 삽입하는 방향으로 현상 카트리지(4)를 인입하기 위한 인입 부재(42)가 설치된다. 후방 단부부재(38)에 있어서의 인입력 받이부(38h)와, 화상형성장치(100)의 장치본체에 설치된 인입 부재(42)가 서로 접촉하는 위치까지 현상 카트리지(4)가 삽입되면, 인입 부재(42)는 인입력 받이부(38h)에 의해 가압된다. 여기에서, 인입 부재(42)는, 화상형성장치(100)의 장치본체에 현상 카트리지(4)를 삽입하는 방향을 향해서 인입력 받이부(38h)에 의해 가압된다. 인입 부재(42)가 인입력 받이부(38h)에 의해 가압되면, 화상형성장치(100)의 장치본체에 있어서의 인입 부재(42)는, 도15a 및 1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프링(43)의 부세력에 의해 회전한다. 또한, 화상형성장치(100)의 장치본체에 있어서의 인입 부재(42)의 일부분은, 현상 카트리지(4)를 삽입하는 방향으로 인입력 받이부(38h)를 가압한다.
여기에서, 화상형성장치(100)의 장치본체로부터 현상 카트리지(4)를 뽑을 때는, 인입 부재(42)가 현상 카트리지(4)를 인입하는 인입력에 대항해서 현상 카트리지(4)를 뽑게 된다. 이 때문에, 후방 단부부재(38)에는, 제2회전 중심 38i(후크 구멍(38a)와 보스(13a)간의 걸어 맞춤부)를 중심으로 하고, 도15b에 있어서의 J방향으로 모멘트가 생긴다. 여기에서, 본 실시예에서는, 후방 단부부재(38)에 있어서의 맞닿음부 38g와, 후방 현상 베어링(13)에 있어서의 맞닿음부 13g가 서로 접촉하고 있다. 이 때문에, 제2 회전 중심 38i를 중심으로 해서 후방 단부부재(38)가 J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도17a 및 1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방 단부부재(37)에는 맞닿음부 37f가 설치되고, 기어 커버(20)에는 맞닿음부 20e가 설치된다. 더욱이, 전방 단부부재(37)에는 손잡이 37g이 설치되고, 화상형성장치(100)의 장치본체로부터 현상 카트리지(4)를 뽑을 때, 손잡이 37g을 파지한다. 따라서, 전방 단부부재(37)에는, 제1 회전 중심 37p(후크 구멍(37a)과 보스(20a)간의 걸어 맞춤부)를 중심으로 하여, 도17b에 있어서의 L방향으로 모멘트가 생긴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는, 전방 단부부재(37)에 있어서의 맞닿음부 37f와, 기어 커버(20)에 있어서의 맞닿음부 20e가 서로 접촉하고 있다. 이 때문에, 본 실시예에서는, 제1 회전 중심 37p을 중심으로 해서 L방향으로 전방 단부부재(37)가 회전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다음에, 도16, 도17a, 17b, 및 도18a, 18b를 참조하여, 현상 유닛(39)에 있어서의 현상 롤러(25)가 감광 드럼(1)에 대하여 접촉할 때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화상형성장치(100)의 장치본체에/로부터 현상 카트리지(4)를 착/탈할 때는, 도17b와 도18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맞닿음부 37f와 20e가 서로 접촉하고, 맞닿음부 38g와 13g가 서로 접촉한다.
또한, 현상 카트리지(4)가 장착되면, 전방 단부부재(37)와 후방 단부부재(38)가 화상형성장치(100)의 장치본체에 대하여 위치 결정되고, 전방 단부부재(37)와 후방 단부부재(38)가 현상 유닛(39)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된다. 전방 단부부재(37)에 있어서의 제1 회전 중심 37p와 후방 단부부재(38)에 있어서의 제2 회전 중심 38i를 중심으로 해서 현상 유닛(39)이 회전가능하게 될 때, 현상 유닛(39)에 있어서의 현상 롤러(25)가 감광 드럼(1)에 접촉한다.
현상 롤러(25)와 감광 드럼(1)이 서로 접촉하면, 도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현상 롤러(25)의 축방향에서 볼 때, 전방 단부부재(37)에 있어서의 맞닿음부 37f와 기어 커버(20)에 있어서의 맞닿음부 20e의 위치가 서로 벗어난다. 전방 단부부재(37)에 있어서의 맞닿음부 37f와 기어 커버(20)에 있어서의 맞닿음부 20e가 서로 이격된다. 마찬가지로, 도18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현상 롤러(25)와 감광 드럼(1)이 서로 접촉하면, 현상 롤러(25)의 축방향에서 볼 때, 후방 단부부재(38)에 있어서의 맞닿음부 38g와 후방 현상 베어링(13)에 있어서의 맞닿음부 13g의 위치가 서로 벗어난다. 후방 단부부재(38)에 있어서의 맞닿음부 38g와 후방 현상 베어링(13)에 있어서의 맞닿음부 13g가 서로 이격된다.
이 때문에, 현상 롤러(25)가 감광 드럼(1)에 접촉하는 상태에서는, 전방 단부부재(37)에 있어서의 맞닿음부 37f와 기어 커버(20)에 있어서의 맞닿음부 20e가 서로 문지르지 않는다. 또한, 후방 단부부재(38)에 있어서의 맞닿음부 38g와 후방 현상 베어링(13)에 있어서의 맞닿음부 13g가 서로 문지르지 않는다. 이에 따라, 현상 유닛(39)에 있어서의 현상 롤러(25)가 감광 드럼(1)을 가압하는 힘이 감소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전방 단부부재(37)에 있어서의 맞닿음부 37f와, 기어 커버(20)에 있어서의 맞닿음부 20e가, 전방 단부부재(37)에 있어서의 제1회전 중심 37p로부터 벗어난 위치에서 서로 접촉한다. 또한, 후방 단부부재(38)에 있어서의 맞닿음부 38g와, 후방 현상 베어링(13)에 있어서의 맞닿음부 13g가, 후방 단부부재(38)에 있어서의 제2 회전 중심 38i로부터 벗어난 위치에서 접촉한다. 이에 따라, 전방 단부부재(37)가 제1 회전 중심 37p을 지점으로서 경사지는 것을 억제하고, 후방 단부부재(38)가 제2 회전 중심 38i를 지점으로서 경사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현상 카트리지(4)를 착/탈할 때의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3 실시예)
다음에, 제3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여기에서, 제3 실시예에 있어서,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기능을 갖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의미하는 것으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19는, 제3 실시예에 따른 이탈 방지 부재(나사(81)와 워셔(washer)(80)에 대응한다)의 개략 단면도다. 도20은, 제3 실시예에 따른 현상 카트리지(4)의 분해 사시도다. 도21a 및 21b는, 제3 실시예에 따른 후방 단부부재(38)의 개략 단면도다.
후방 현상 베어링(13)에 있어서의 보스(13a)로부터, 후방 단부부재(38)가, 후방 단부부재(38)의 회전축 Y 방향으로 이탈하는 것을 억제하는 구성에 대해서 도19 내지 도21a 및 21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후방 단부부재(38)는, 후방 현상 베어링(13)에, 후방 단부부재(38)에 있어서의 후크 구멍(38a)의 일단면 38a1이, 보스(13a)의 근원부분의 면 13e에 접촉하도록 장착되어 있다.
또한, 후방 단부부재(38)가 후방 현상 베어링(13)에 장착되어 있는 상태에서, 나사(81)를, 보스(13a)에 있어서의 나사부(13d)에 삽입한다. 이때, 보스(13a)의 선단면(13f)과 나사(81)의 머리와의 사이에 워셔(80)를 보유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나사(81)와 워셔(80)가 이탈 방지 부재를 구성한다. 여기에서, 후방 단부부재(38)에 있어서, 일단면 38a1과 타단면 38a2와의 사이에 위치하는 후크 구멍(38a)의 길이(후방 단부부재(38)의 회전축 Y 방향에 있어서의 길이)는, 근원부분의 면(13e)으로부터 선단면(13f)까지의 치수보다도 작게 설정되어 있다. 이에 따라, 후방 단부부재(38)에 있어서의 후크 구멍(38a)의 일부는, 보스(13a)의 근원부의 면(13e)과 워셔(80)와의 사이에서, 후방 단부부재(38)의 회전축 Y를 중심으로 해서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또한, 후방 단부부재(38)에 있어서의 타단면(38a2)이 워셔(80)에 충돌하므로, 후방 단부부재(38)의 회전축 Y 방향으로, 후방 단부부재(38)가 후방 현상 베어링(13)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상술한 것처럼, 후방 단부부재(38)의 회전축 Y 방향에 있어서, 후크 구멍(38a)의 길이는, 보스(13a)의 근원부분의 면(13e)과 워셔(80)와의 사이의 치수보다 작게 설정되어 있다. 이 때문에, 후방 단부부재(38)와, 보스(13a)의 근원부분의 면(13e) 및 워셔(80)와의 사이에 간극이 생긴다. 이에 따라, 후방 단부부재(38)의 회전축Y에 대하여 후방 단부부재(38)가 경사질 가능성이 있다. 여기에서, 본 실시예에서는, 후방 단부부재(38)에 있어서의 타단면(38a2)의 최외형I를 워셔(80)의 최외형H보다 작게 설정하고 있다. 이에 따라, 후방 단부부재(38)가 경사질 때에, 워셔(80)의 최외형H의 에지부가 후방 단부부재(38)와 간섭되는 것이 억제된다.
또한, 타단면(38a2)은, 후방 단부부재(38)에 있어서, 후방 단부부재(38)가 후방 현상 베어링(13)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한 맞닿음 면이다. 즉, 후방 단부부재(38)에 있어서의 타단면(38a2)은 워셔(80)의 평면부에만 접촉한다. 따라서, 후방 단부부재(38)는 현상 유닛(39)에 대하여 부드럽게 회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현상 유닛(39)에 있어서의 현상 롤러(25)가 감광 드럼(1)을 누르는 힘이 감소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나사(81)와 워셔(80)가 별개의 부재다. 그렇지만, 상기 구성은 반드시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나사(81)와 워셔(80)는 일체로 되어도 좋다. 또한, 후방 단부부재(38)가 후방 현상 베어링(13)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한층 더 억제하기 위해서, 보스(13a)의 나사부(13d)로서, 별체인 너트를 보스(13a)에 매립해서 성형해도 좋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 도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방 단부부재(37)도, 후방 단부부재(38)와 같이, 워셔(80)와 나사(81)에 의해 보스(20a)에 대하여 이탈 방지된다.
(제4 실시예)
제4 실시예에 따른 현상장치로서의 현상 카트리지(4)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4 실시예에 있어서도, 도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현상 롤러(25)와 토너 공급롤러(34)는, 현상 롤러(25)의 회전축 방향에 있어서의 양측에 설치된 현상 프레임체(31)의 일부로서의 전방 현상 베어링(12)과 후방 현상 베어링(13)을 거쳐 회전 가능하게 현상 프레임체(31)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토너 공급롤러(34)의 후방 단부에는 현상 커플링(23)이 설치된다. 또한, 토너 공급롤러(34) 전방 단부에는, 토너 공급 기어(30)가 설치된다. 현상 롤러(25) 전방 단부에는, 토너 공급 기어(30)와 맞물리는 현상 기어(29)가 설치된다. 이 때문에, 구동원인 본체 구동 모터(도시되지 않음)로부터 구동력이 현상 커플링(23)에 전달될 때, 토너 공급롤러(34)와 현상 롤러(25)가 화상형성 동작에 따라 회전 구동한다. 또한, 현상 기어(29)와 토너 공급 기어(30)의 외측에는, 현상 프레임체(31)의 일부로서의 기어 커버(20)가 설치된다.
현상 롤러(25)의 회전축 방향에 있어서의 현상 프레임체(31)의 양단부에는, 전방 단부부재(37)(일단측 단부부재 또는 제1 단부부재에 대응)와 후방 단부부재(38)(타단측 단부부재 또는 제2 단부부재에 대응)가 설치된다. 후방 단부부재(38)에는, 후방 현상 베어링(13)에 설치된 보스(13a)(타단측 걸어 맞춤부에 대응)와 걸어 맞추는 후크 구멍(38a)(타단측 피 걸어 맞춤부에 대응)이 설치된다. 또한, 전방 단부부재(37)에는, 기어 커버(20)에 설치된 보스(20a)(일단측 걸어 맞춤부에 대응)와 걸어 맞추는 후크 구멍(37a)(일단측 피 걸어 맞춤부에 대응)이 설치된다. 전방 단부부재(37)와 후방 단부부재(38)는, 후방 현상 베어링(13)의 보스(13a)와 기어 커버(20)의 보스(20a)를 연결하는 회전축Y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된다. 이 때문에, 전방 단부부재(37)와 후방 단부부재(38)는, 현상 프레임체(31)에 대하여 각각 독립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된다.
다시 말해, 도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방 단부부재(37)는, 현상 유닛(39)의 현상 롤러(25)의 축방향으로 일단측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한편, 현상 유닛(39)의 현상 롤러(25)의 축방향으로 타단측을 지지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후방 단부부재(38)는, 현상 유닛(39)의 현상 롤러(25)의 축방향으로 타단측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한편, 현상 유닛(39)의 현상 롤러(25)의 축방향으로 일단측을 지지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다시 말해, 전방 단부부재(37)와 후방 단부부재(38)는, 현상 롤러(25)의 축방향으로 현상 프레임체(31)의 일단측과 타단측의 한쪽을 지지하는 한편, 현상 프레임체(31)의 일단측과 타단측의 다른 쪽을 지지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전방 단부부재(37)는, 현상 프레임체(31)와 후방 단부부재(38)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다. 후방 단부부재(38)는, 현상 프레임체(31)와 전방 단부부재(37)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다. 바꿔 말하면, 전방 단부부재(37)가 현상 프레임체(31)에 대하여 회전할 때, 후방 단부부재(38)는, 현상 프레임체(31)와 전방 단부부재(37)에 대하여 정지할 수 있다. 또한, 후방 단부부재(38)가 현상 프레임체(31)에 대하여 회전할 때, 전방 단부부재(37)는, 현상 프레임체(31)와 후방 단부부재(38)에 대하여 정지할 수 있다.
(후방 단부부재의 이동 규제부의 구성)
다음에, 도23 내지 도25a, 25b를 참조하여, 후방 단부부재(38)의 회전을 제어 또는 규제하는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24는, 본 실시예에 따른 현상 카트리지(4)의 측면도다. 도25a 및 25b는, 현상 프레임체(31)가 후방 단부부재(38)에 대하여 위치결정되는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는 도(도24에 있어서의 선K-K를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방 현상 베어링(13)에는, 후방 단부부재(38)의 회전을 제어 또는 규제하는 수단으로서 규제 부재(340)(규제 부재 또는 타단측 규제 부재에 대응한다)가 부착되어 있다. 또한, 규제 부재(340)의 내부에는, 후방 현상 베어링(13)에 있어서의 스프링 지지부(313b)에 부착될 수 있는 규제 스프링(341)(부세 부재 또는 타단측 부세 부재에 대응한다)이 설치되어 있다. 규제 스프링(341)은, 규제 부재(340)에 대하여, 현상 카트리지(4)가 삽입되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부세력을 부여한다. 한편, 후방 단부부재(38)에는, 규제 부재(340)에 있어서의 규제부(340a)와 걸어 맞춤 가능한 홈부(338b)(피규제부 또는 타단측 피규제부에 대응한다)가 설치된다. 또한, 상술한 것처럼, 후방 현상 베어링(13)에는, 현상 프레임체(31)의 요동 중심축이 되는 보스(13a)가 설치되어 있고, 후방 단부부재(38)에는, 보스(13a)와 걸어 맞춤 가능한 후크 구멍(38a)이 설치된다.
후방 단부부재(38)는, 후크 구멍(38a)과 보스(13a)가 서로 걸어 맞추어짐과 아울러, 규제 부재(340)에 있어서의 규제부(340a)와 홈부(338b)가 서로 걸어 맞추어진 상태로 현상 프레임체(31)에 부착되어 있다(도24, 도25a를 참조). 이 때문에, 후방 단부부재(38)와 규제 부재(340)가 서로 걸어 맞추어질 때, 보스(13a)를 중심축으로 한 후방 단부부재(38)의 회전이 규제된다. 한편, 후방 단부부재(38)와 규제 부재(340)가 서로 걸어 맞추어진 상태에서 규제 부재(340)가 도25a 및 25b의 P방향으로 가압되면, 규제 부재(340)의 내부에 배치된 규제 스프링(341)을 압축시킨 상태에서 규제 부재(340)가 P방향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규제 부재(340)에 있어서의 규제부(340a)와, 후방 단부부재(38)에 있어서의 홈부(338b)간의 걸어 맞춤이 해제된다(도25b를 참조). 이에 따라, 현상 프레임체(31)는, 후방 단부부재(38)에 대하여, 후방 현상 베어링(13)에 있어서의 보스(13a)를 중심축으로 하여서 회전 가능하게 된다.
상술한 것처럼, 후방 단부부재(38)와 상기 규제 부재(340)를 서로 걸어 맞추어서 후방 단부부재(38)의 회전을 제어 또는 규제할 때, 현상 카트리지(4)가 화상형성장치(100)에 장착되지 않고 있는 상태에 있어서, 후방 단부부재(38)에 대한 현상 프레임체(31)의 회전은 규제되어 있다. 또한, 현상 카트리지(4)가 화상형성장치(100)에 장착된 상태에서는, 화상형성장치(100)의 장치본체에 설치된 규제 해제부(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규제 부재(340)가 P방향으로 가압된다. 이에 따라, 후방 단부부재(38)와 규제 부재(340)간의 걸어 맞춤이 해제되어서, 후방 단부부재(38)는, 현상 프레임체(31)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된다(후방 단부부재(38)는 상대 이동이 허용된다).
도27a 내지 27c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상형성장치(100)의 장치본체의 가까운 쪽에는, 개/폐 가능한 앞 커버(110)가 설치된다. 앞 커버(110)가 열리면, 현상 카트리지(4)를 삽입하기 위한 개구부(101)가 노출된다. 또한, 도2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구부(101)의 상측에는, 가까운 쪽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된 가이드 부재로서의 상부 가이드(105)(제1 가이드부에 대응)가 설치된다. 여기에서, 본 실시예에서는, 상부 가이드(105)는 홈 형상(오목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개구부(101)의 하측에는, 가까운 쪽으로 부터 후방으로 연장된 가이드 부재로서의 하부 가이드(104)(제2 가이드부에 대응)가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하부 가이드(104)는 홈 형상(오목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2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있어서도, 후방 단부부재(38)가 삽입 방향의 하류측에 배치된 상기 현상 카트리지(4)가 삽입되어 있다. 다시 말해, 삽입 방향에 있어서, 후방 단부부재(38)는, 전방 단부부재(37)의 하류측에 배치된다. 바꿔 말하면, 후방 단부부재(38)는, 현상 프레임체에 대하여 삽입 방향의 하류측에 배치되고, 전방 단부부재(37)는, 현상 프레임체(31)에 대하여 삽입 방향의 상류측에 배치된다.
또한, 도2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방 단부부재(38)에 있어서, 현상 카트리지(4)의 착/탈 방향(본 실시예에서는 수평방향)과 직교하는 상부 방향(본 실시예에서는 대략 연직방향)으로 제1 상부 가이드 리브(338g)(타단측 피 가이드부 또는 제1 피 가이드부에 대응)가 돌출하고, 하방 방향으로 제1 하부 가이드 리브(338h)(타단측 피 가이드부 또는 제2 피 가이드부에 대응)가 돌출하고 있다. 여기에서, 상술한 것처럼, 화상형성장치(100)의 장치본체에 현상 카트리지(4)가 장착되지 않고 있는 상태에서는, 현상 카트리지(4)의 현상 프레임체(31)의 후방 단부부재(38)에 대한 회전은 상기 규제 부재(340)에 의해 규제되어 있다. 이렇게, 본 실시예에서는, 화상형성장치(100)는, 현상 프레임체(31)의 후방 단부부재(38)에 대한 회전을 제어 또는 규제하는 규제 기구를 가진다.
또한, 화상형성장치(100)의 장치본체에 현상 카트리지(4)를 삽입할 때, 우선, 후방 단부부재(38)에 설치된 제1 상부 가이드 리브(338g)는, 화상형성장치(100)의 장치본체측에 설치된 상기 상부 가이드(105)와 걸어 맞춘다. 또한, 후방 단부부재(38)에 설치된 제1 하부 가이드 리브(338h)는, 화상형성장치(100)의 장치본체측에 설치된 하부 가이드(104)에 걸어 맞춘다. 또한, 이 상태에서, 도26의 화살표 F 방향으로 현상 카트리지(4)가 가압되어 제1 하부 가이드 리브(338h)를 상기 하부 가이드(104)에 대하여 활주시킨다. 또한, 그대로 소정의 위치까지 현상 카트리지(4)가 삽입되면, 도2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방 단부부재(38)의 제1 하부 가이드 리브(338h)에 있어서의 승상부(380b)는, 제1 하부 가이드(104)의 후방에 설치된 후방 가압부재(106)에 탑재된다. 또한, 전방 단부부재(37)에 설치된 승상부(337b)는, 제1 하부 가이드(104)의 가까운 쪽에 설치된 전방 가압부재(107)에 탑재된다.
또한, 후방 단부부재(38)에 설치된 부딪침부(abutted portion)(338c)는, 화상형성장치(100)의 장치본체의 후방 판(98)에 도달하여 접촉한다. 이에 따라, 현상 카트리지(4)를 삽입하는 방향으로 현상 카트리지(4)가 위치 결정된다. 상기 부딪침부(338c)와 후방 판(98)이 서로 접촉하는 위치가 장착 위치다. 또한, 화상형성장치(100)의 장치본체에 설치된 후방 판(98)에는, 현상 카트리지(4)의 규제 부재(340)를 가압하기 위한 규제 해제부(390)가 설치되어 있다. 화상형성장치(100)의 장치본체에 현상 카트리지(4)가 장착된 상태에서는, 규제 부재(340)가 규제 해제부(390)에 의해 가압될 때, 후방 단부부재(38)의 홈부(338b)와 상기 규제 부재(340)간의 걸어 맞춤이 해제된다.
여기에서, 도27c는, 화상형성장치(100)의 장치본체에 대하여 현상 카트리지(4)가 위치 결정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또한, 화상형성장치(100)에 있어서의 앞 커버(110)를 닫는 동작에 연동하여, 후방 가압부재(106), 전방 가압부재(107), 본체가압 스프링(108), 및 본체가압 스프링(109)를 갖는 제1 하부 가이드(104)가 위쪽으로 이동한다. 그 동작에 따라, 후방 단부부재(38)에 있어서의 후방 위치결정부(380d)(타단측 피위치 결정부에 대응)가, 후방 판(98)의 부딪침부(98a)(타단측 위치결정부에 대응)에 접촉한다(도29). 또한, 전방 단부부재(37)에 있어서의 전방 위치결정부(337c)(일단측 피위치 결정부에 대응)는, 전방 판(99)의 부딪침부(99a)(일단측 위치결정부에 대응)에 접촉한다. 이에 따라, 화상형성장치(100)의 장치본체에 대하여 현상 카트리지(4)가 위치 결정된다.
또한, 도2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방 단부부재(38)에는, 후방 단부부재(38)의 회전을 제어 또는 규제하기 위한 보스(338e)(타단측 회전 스톱(stop)에 대응)가 설치된다. 화상형성장치(100)의 장치본체에 현상 카트리지(4)가 장착된 상태에서는, 후방 단부부재(38)에 있어서의 보스(338e)는, 후방 판(98)에 있어서의 회전 정지 구멍(98b)에 끼워 맞춘다. 이에 따라, 후방 단부부재(38)가 화상형성장치(100)내에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마찬가지로, 전방 단부부재(37)에는, 전방 단부부재(37)의 회전을 제어 또는 규제하는 회전 스톱(337d)이 설치된다. 화상형성장치(100)의 장치본체에 현상 카트리지(4)가 장착된 상태에서는, 전방 단부부재(37)에 있어서의 회전 스톱(337d)(일단측 회전 스톱에 대응)은, 제1 하부 가이드(104)에 설치된 본체회전 정지부(1104)와 끼워 맞춘다. 이에 따라, 전방 단부부재(37)가 화상형성장치(100)내에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화상형성장치(100)의 장치본체에 현상 카트리지(4)가 완전히 장착된 상태에서는, 후방 단부부재(38)와 전방 단부부재(37)는, 화상형성장치(100)의 장치본체에 대하여 고정되어 있다. 한편, 화상형성장치(100)의 장치본체에 현상 카트리지(4)가 완전히 장착된 상태에서는, 홈부(338b)와 규제 부재(340)간의 걸어 맞춤이 해제될 때, 현상 프레임체(31)가 후방 단부부재(38)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된다. 이 때문에, 화상형성장치(100)내에 있어서 현상 프레임체(31)가 회전 가능하게 되고, 현상 롤러(25)와 감광 드럼(1)이 서로 접촉 및 이격 가능하게 된다.
한편, 화상형성장치(100)의 장치본체에 현상 카트리지(4)가 삽입되어 있는 중일 때는, 규제 부재(340)에 의해, 현상 프레임체(31)의 후방 단부부재(38)에 대한 회전을 규제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화상형성장치(100)의 장치본체에 현상 카트리지(4)가 삽입되어 있는 중일 때는 현상 프레임체(31)의 회전은 규제된다. 또한, 상술한 것처럼, 화상형성장치(100)의 장치본체에 현상 카트리지(4)가 삽입되어 있는 중일 때는, 후방 단부부재(38)는, 현상 카트리지(4)가 삽입되는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위치결정되어 있다. 이에 따라, 화상형성장치(100)의 장치본체에 대하여 현상 프레임체(31)가 회전하는 것이 억제되어, 현상 롤러(25)와 감광 드럼(1)간의 접촉이 억제된다. 화상형성장치(100)의 장치본체에 현상 카트리지(4)가 삽입되어 있는 중일 때, 현상 카트리지(4)의 덜커덕 거리는 소리를 감소시킬 수 있고, 현상 롤러(25)와 감광 드럼(1)이 서로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후방 단부부재(38)의 현상 프레임체(31)에 대한 회전만이 규제 부재(340)에 의해 규제된다. 그렇지만, 그 구성은 반드시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전방 단부부재(37)의 현상 프레임체(31)에 대한 회전도 규제 부재(340)에 의해 규제되어도 좋다.
본 실시예에서는, 각종 가이드 리브가 복수의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배치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돌출하도록 구성되고, 본 실시예에 따른 회전을 제어 또는 규제하는 구성은, 상기 배치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투영했을 때 현상 카트리지에 포함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다시 말해, 회전을 제어 또는 규제하는 구성이 상기 배치 방향으로 돌출하도록 구성되지 않으므로, 복수의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배치 설계는 저해되지 않는다. 따라서, 인라인 방식의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인접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간의 간격을 최소화하고, 상기 장치의 대형화를 피하면서, 상술한 회전 규제를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기재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개시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을 알 것이다. 아래의 청구항의 범위는, 모든 변형예, 동등한 구조 및 기능을 포함하도록 폭 넓게 해석해야 한다.
1: 감광 드럼 2: 대전롤러 3: 스캐너 유닛 4: 현상 카트리지 5: 중간전사유닛 6: 클리닝 부재 8: 클리닝 지지 부재 9: 드럼 카트리지 13: 후방 현상 베어링 13b: 스프링 지지부 14: 전사벨트 17: 카세트 25: 현상 롤러 27: 클리닝 프레임체 35: 현상 블레이드(규제 부재) 37: 전방 단부부재 37h,37k,37m,37n: 피 가이드부 40: 후방 규제 부재 41: 규제 스프링 50: 비틀림 코일 스프링 54: 급송롤러 56: 구동롤러 57: 종동롤러 58: 1차 전사롤러 59: 대향롤러 60: 규제부재 69: 2차 전사롤러 74: 정착부 76: 반송롤러쌍 100: 화상형성장치 104: 하부 가이드 105: 상부 가이드

Claims (19)

  1. 감광 드럼을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장치본체에 탈착가능하게 장착가능한 현상 카트리지로서,
    상기 현상 카트리지가 상기 장치본체에 장착되었을 때 상기 감광 드럼에 형성된 잠상을 현상하는 현상 롤러;
    (i) 제1 단부 및 (ii) 상기 현상 롤러의 축방향에 대하여 상기 제1 단부에 대향하는 제2 단부를 포함하는 현상 프레임체로서, 상기 현상 롤러의 일부가 상기 현상 프레임체의 외부에 노출되도록 상기 현상 롤러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상기 현상 프레임체;
    상기 현상 프레임체의 상기 제1 단부에 부착되어, 상기 현상 카트리지가 상기 장치본체에 장착되었을 때 상기 현상 프레임체의 상기 제1 단부를 지지하는 제1 단부부재; 및
    상기 현상 프레임체의 상기 제2 단부에 부착되어, 상기 현상 카트리지가 상기 장치본체에 장착되었을 때 상기 현상 프레임체의 상기 제2 단부를 지지하는 제2 단부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단부부재와 상기 제2 단부부재는 동일한 회전축에 대하여 상기 현상 프레임체에 대해 서로 독립적으로 회전가능하고,
    상기 현상 롤러는 상기 현상 카트리지가 상기 장치본체에 장착되었을 때 상기 제1 단부부재와 상기 제2 단부부재에 대한 상기 현상 프레임체의 회전에 의해 상기 감광 드럼을 향해서 및 상기 감광 드럼으로부터 멀어지게 이동가능한, 현상 카트리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 프레임체는
    상기 제1 단부부재와 걸어 맞추는 제1 걸어 맞춤부; 및
    상기 제2 단부부재와 걸어 맞추는 제2 걸어 맞춤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단부부재와 상기 제2 단부부재는 상기 회전축을 따라 배치되는, 현상 카트리지.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부부재가 상기 제1 걸어 맞춤부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1 이탈 방지 부재와,
    상기 제2 단부부재가 상기 제2 걸어 맞춤부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2 이탈 방지 부재를 더 구비하는, 현상 카트리지.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부부재는 상기 장치본체에 의해 위치결정되는 제1 위치결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단부부재는 상기 장치본체에 의해 위치결정되는 제2 위치결정부를 포함하는, 현상 카트리지.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부부재와 상기 제1 단부부재는 상기 현상 카트리지가 상기 장치본체에 삽입되는 삽입 방향으로 각각 상기 현상 카트리지의 하류측 및 상류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2 단부부재는 상기 장치본체의 가이드부에 의해 가이드되는 가이브부를 포함하는, 현상 카트리지.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부부재는 상기 가이드부에 의해 가이드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현상 카트리지.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부부재와 상기 제1 단부부재는 상기 현상 카트리지가 상기 장치본체에 삽입되는 삽입 방향으로 각각 하류측 및 상류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2 단부부재는 상기 장치본체의 가이드부들에 의해 가이드되는 적어도 2개의 가이브부를 포함하는, 현상 카트리지.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부부재는 상기 장치본체의 상기 가이드부들에 의해 가이드되는 적어도 2개의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현상 카트리지.
  9.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 롤러는 상기 현상 카트리지가 상기 장치본체에 장착되었을 때 상기 감광 드럼에 접촉가능한, 현상 카트리지.
  10.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 프레임체에 대한 상기 제1 단부부재의 회전을 규제하는 위치와 상기 제1 단부부재의 상기 회전을 허용하는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한 규제부재를 더 구비하는, 현상 카트리지.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규제부재가 상기 제1 단부부재의 상기 회전을 규제하는 위치로 상기 규제부재를 부세하는 부세 부재를 더 구비하는, 현상 카트리지.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규제부재는 제1 규제부재이고,
    상기 현상 프레임체에 대한 상기 제2 단부부재의 회전을 규제하는 위치와 상기 제2 단부부재의 상기 회전을 허용하는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한 제2 규제부재를 더 구비하는, 현상 카트리지.
  13.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 프레임체에 대한 상기 제2 단부부재의 회전을 규제하는 위치와 상기 제2 단부부재의 상기 회전을 허용하는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한 규제부재를 더 구비하는, 현상 카트리지.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규제부재가 상기 제2 단부부재의 상기 회전을 규제하는 위치로 상기 규제부재를 부세하는 부세 부재를 더 구비하는, 현상 카트리지.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규제부재가 상기 제2 단부부재의 상기 회전을 규제하는 위치로 상기 제1 규제부재를 부세하는 부세 부재를 더 구비하는, 현상 카트리지.
  16.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규제부재가 상기 제2 단부부재의 상기 회전을 규제하는 위치로 상기 제2 규제부재를 부세하는 부세 부재를 더 구비하는, 현상 카트리지.
  17.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 롤러를 회전시키기 위하여 상기 장치본체로부터 회전력을 받는 현상 커플링을 더 구비하는, 현상 카트리지.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부부재는, 상기 현상 카트리지의 외부에 상기 현상 커플링을 노출시키는 개구를 포함하는, 현상 카트리지.
  19. 감광 드럼을 포함하는 장치; 및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현상 카트리지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KR1020210058577A 2016-02-29 2021-05-06 화상형성장치의 본체에 장착가능한 현상 카트리지 KR1023333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2247A KR102376423B1 (ko) 2016-02-29 2021-11-23 화상형성장치의 본체에 장착가능한 현상 카트리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038460 2016-02-29
JP2016038460 2016-02-29
JP2016057397 2016-03-22
JPJP-P-2016-057397 2016-03-22
JP2017025935A JP6465906B2 (ja) 2016-02-29 2017-02-15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JP-P-2017-025935 2017-02-15
JP2017026341A JP6942482B2 (ja) 2016-02-29 2017-02-15 現像カートリッジ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JP-P-2017-026341 2017-02-15
KR1020200181753A KR102251926B1 (ko) 2016-02-29 2020-12-23 화상형성장치의 본체에 장착가능한 현상 카트리지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1753A Division KR102251926B1 (ko) 2016-02-29 2020-12-23 화상형성장치의 본체에 장착가능한 현상 카트리지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62247A Division KR102376423B1 (ko) 2016-02-29 2021-11-23 화상형성장치의 본체에 장착가능한 현상 카트리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3866A KR20210053866A (ko) 2021-05-12
KR102333305B1 true KR102333305B1 (ko) 2021-12-01

Family

ID=58185382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8577A KR102333305B1 (ko) 2016-02-29 2021-05-06 화상형성장치의 본체에 장착가능한 현상 카트리지
KR1020210162247A KR102376423B1 (ko) 2016-02-29 2021-11-23 화상형성장치의 본체에 장착가능한 현상 카트리지
KR1020220032187A KR102446486B1 (ko) 2016-02-29 2022-03-15 화상형성장치의 본체에 장착가능한 현상 카트리지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62247A KR102376423B1 (ko) 2016-02-29 2021-11-23 화상형성장치의 본체에 장착가능한 현상 카트리지
KR1020220032187A KR102446486B1 (ko) 2016-02-29 2022-03-15 화상형성장치의 본체에 장착가능한 현상 카트리지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7) US10156825B2 (ko)
EP (2) EP3923080B1 (ko)
KR (3) KR102333305B1 (ko)
CN (5) CN11209932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156825B2 (en) 2016-02-29 2018-12-18 Canon Kabushiki Kaisha Developing apparatus with independently rotatable members supporting a developing frame body,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6746330B2 (ja) * 2016-03-11 2020-08-26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カートリッジ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6821450B2 (ja) * 2017-01-25 2021-01-27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並びに画像形成装置
CN116184786A (zh) * 2017-12-13 2023-05-30 佳能株式会社 盒与图像形成装置
US11086267B2 (en) * 2018-09-25 2021-08-10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and developing cartridge
JP7006557B2 (ja) 2018-09-28 2022-01-24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6642754B1 (ja) 2019-02-28 2020-02-12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7014202B2 (ja) 2019-03-29 2022-02-01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CN114430812B (zh) * 2019-09-17 2024-03-12 佳能株式会社 盒和图像形成装置
JP2022049295A (ja) * 2020-09-16 2022-03-29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及びカートリッジの分解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70950A (ja) 2006-12-11 2008-07-24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2010152286A (ja) 2008-12-26 2010-07-08 Brother Ind Ltd 画像形成装置および現像カートリッジ
US20110158703A1 (en) 2009-12-25 2011-06-30 Canon Kabushiki Kaisha Developing apparatus and process cartridge
JP2013020233A (ja) 2011-06-17 2013-01-31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およ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の組立方法
US20130223878A1 (en) 2012-02-29 2013-08-29 Brother Koygo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Developing Unit in Which Developing Device is Movably Disposed

Family Cites Families (4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95209B2 (ja) 1985-11-30 1995-10-11 三田工業株式会社 現像装置
JPS62209546A (ja) 1986-03-11 1987-09-14 Kyocera Corp 電子写真装置
JP3074088B2 (ja) 1993-02-24 2000-08-07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3280449B2 (ja) 1993-03-01 2002-05-13 富士通株式会社 コンパイル装置
JPH07133044A (ja) 1993-11-11 1995-05-23 Ricoh Co Ltd 給紙装置
JP3017916B2 (ja) 1993-12-27 2000-03-13 東芝テック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3320399B2 (ja) 1999-05-20 2002-09-03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の組み立て方法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3372932B2 (ja) * 1999-05-20 2003-02-04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2001100476A (ja) 1999-09-30 2001-04-13 Minolta Co Ltd 駆動連結装置およびそれを使用する画像形成装置
JP3757736B2 (ja) * 2000-02-23 2006-03-22 コニカミノルタビジネステクノロジーズ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それを用いる画像形成装置
US6795671B2 (en) 2002-01-15 2004-09-21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featuring switchable, contact and spaced, clutch-operated developing units
JP2003280374A (ja) 2002-03-20 2003-10-02 Ricoh Co Ltd 現像装置
JP2004151563A (ja) 2002-10-31 2004-05-27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の再生産方法
KR100994775B1 (ko) 2004-07-28 2010-11-16 삼성전자주식회사 현상장치
JP4667180B2 (ja) 2005-09-09 2011-04-06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US7660550B2 (en) 2006-12-11 2010-02-09 Canon Kabushiki Kaisha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4667444B2 (ja) * 2006-12-13 2011-04-13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5094186B2 (ja) 2007-04-10 2012-12-12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4458378B2 (ja) 2007-06-29 2010-04-28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4440295B2 (ja) 2007-10-31 2010-03-24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の再生産方法
JP5235702B2 (ja) * 2008-03-28 2013-07-10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の組み立て方法及び再組み立て方法
JP5230265B2 (ja) * 2008-05-23 2013-07-10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5536990B2 (ja) 2008-05-27 2014-07-02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4869289B2 (ja) 2008-05-27 2012-02-08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5127567B2 (ja) * 2008-05-27 2013-01-23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5344538B2 (ja) 2008-05-27 2013-11-20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の組立て方法、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の分解方法、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の再生産方法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EP2333620A1 (en) 2008-09-01 2011-06-15 Canon Kabushiki Kaisha Developing cartridge, process cartridge,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JP5556290B2 (ja) * 2010-03-24 2014-07-23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現像カートリッジ
JP5761948B2 (ja) 2010-09-14 2015-08-12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5699634B2 (ja) * 2011-01-28 2015-04-15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現像カートリッジ
JP5760642B2 (ja) * 2011-04-22 2015-08-12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ITTO20110574A1 (it) 2011-06-29 2012-12-30 Skf Ab Dispositivo di tenuta statica per gruppi mozzi ruota connessi a giunti omocinetici
JP5970885B2 (ja) 2012-03-16 2016-08-17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KR101926717B1 (ko) 2012-10-24 2018-12-07 에이치피프린팅코리아 유한회사 화상형성장치, 이를 이용한 전원 전달방법 및 현상유닛 장착방법
JP6184311B2 (ja) 2012-12-14 2017-08-23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2014119591A (ja) * 2012-12-17 2014-06-30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2014134988A (ja) 2013-01-11 2014-07-24 Hitachi Ltd データ共有システム及びデータ共有方法
DE102013002945A1 (de) 2013-02-21 2014-08-21 Daimler Ag Brennkraftmaschine eines Kraftfahrzeugs
JP2015175934A (ja) * 2014-03-14 2015-10-05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6281379B2 (ja) * 2014-03-31 2018-02-21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6289245B2 (ja) * 2014-04-24 2018-03-07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US10067461B2 (en) * 2016-02-29 2018-09-04 Canon Kabushiki Kaisha Developing cartridge with a restricted portion that contacts a restricting portion of an image forming apparatus
US20170248869A1 (en) * 2016-02-29 2017-08-31 Canon Kabushiki Kaisha Developing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10156825B2 (en) * 2016-02-29 2018-12-18 Canon Kabushiki Kaisha Developing apparatus with independently rotatable members supporting a developing frame body,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10241438B2 (en) * 2016-03-22 2019-03-26 Canon Kabushiki Kaisha Developing device having a developing unit that is pivotally supported about the axis of a shaf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70950A (ja) 2006-12-11 2008-07-24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2010152286A (ja) 2008-12-26 2010-07-08 Brother Ind Ltd 画像形成装置および現像カートリッジ
US20110158703A1 (en) 2009-12-25 2011-06-30 Canon Kabushiki Kaisha Developing apparatus and process cartridge
JP2013020233A (ja) 2011-06-17 2013-01-31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およ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の組立方法
US20130223878A1 (en) 2012-02-29 2013-08-29 Brother Koygo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Developing Unit in Which Developing Device is Movably Dispose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2099328A (zh) 2020-12-18
US20180321633A1 (en) 2018-11-08
US10613469B2 (en) 2020-04-07
CN112099325A (zh) 2020-12-18
CN112099325B (zh) 2023-06-09
US20190107803A1 (en) 2019-04-11
US10444696B2 (en) 2019-10-15
US20190377299A1 (en) 2019-12-12
US11698600B2 (en) 2023-07-11
KR102446486B1 (ko) 2022-09-23
KR20220038631A (ko) 2022-03-29
CN107132747A (zh) 2017-09-05
CN107132747B (zh) 2020-10-30
US11249437B2 (en) 2022-02-15
US20210263463A1 (en) 2021-08-26
CN112099327B (zh) 2023-08-08
EP3923080A1 (en) 2021-12-15
CN112099327A (zh) 2020-12-18
US20220283536A1 (en) 2022-09-08
EP3211484A1 (en) 2017-08-30
US10775735B2 (en) 2020-09-15
US20200333742A1 (en) 2020-10-22
CN112099326A (zh) 2020-12-18
US11372365B2 (en) 2022-06-28
EP3211484B1 (en) 2021-06-30
KR102376423B1 (ko) 2022-03-21
KR20210053866A (ko) 2021-05-12
CN112099326B (zh) 2023-06-30
EP3923080B1 (en) 2024-04-17
US10156825B2 (en) 2018-12-18
US20170248906A1 (en) 2017-08-31
KR20210148022A (ko) 2021-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33305B1 (ko) 화상형성장치의 본체에 장착가능한 현상 카트리지
KR102197113B1 (ko) 화상형성장치의 본체에 장착가능한 카트리지
KR102131649B1 (ko) 현상장치 및 화상형성장치
JP7214419B2 (ja) 画像形成装置、現像カートリッ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