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2589B1 - 현상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 - Google Patents

현상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2589B1
KR102312589B1 KR1020180113501A KR20180113501A KR102312589B1 KR 102312589 B1 KR102312589 B1 KR 102312589B1 KR 1020180113501 A KR1020180113501 A KR 1020180113501A KR 20180113501 A KR20180113501 A KR 20180113501A KR 102312589 B1 KR102312589 B1 KR 1023125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veloping
end member
respect
regulating
image for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35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38360A (ko
Inventor
슈이치 고후쿠
히데키 마에시마
소이치 이시이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0383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83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25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25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on a donor element, e.g. belt, roll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on a donor element, e.g. belt, roller
    • G03G15/08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on a donor element, e.g. belt, roller characterised by the developer supplying means, e.g. structure of developer supply roll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 G03G21/1803Arrangements or disposition of the complete process cartridge or parts thereof
    • G03G21/1817Arrangements or disposition of the complete process cartridge or parts thereof having a submodular arrangement
    • G03G21/1821Arrangements or disposition of the complete process cartridge or parts thereof having a submodular arrangement means for connecting the different parts of the process cartridge, e.g. attachment, positioning of parts with each other, pressure/distance regulatio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65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96Arrangements or disposition of the complete developer unit or parts thereof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5/08 - G03G15/0894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61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means for handling parts of the apparatus in the apparatus
    • G03G21/167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means for handling parts of the apparatus in the apparatus for the developer uni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 G03G21/1839Means for handling the process cartridge in the apparatus body
    • G03G21/1842Means for handling the process cartridge in the apparatus body for guiding and mounting the process cartridge, positioning, alignment, locks
    • G03G21/185Means for handling the process cartridge in the apparatus body for guiding and mounting the process cartridge, positioning, alignment, locks the process cartridge being mounted parallel to the axis of the photosensitive memb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651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for connecting the different parts
    • G03G2221/1654Locks and means for positioning or alignmen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 Dry Development In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프레임의, 현상 롤러의 축 방향의 단부에서, 제1 단부 부재 및 제2 단부 부재는 축 방향에 평행한 회전 축선 주위로 회전가능하도록 제공되며, 이들 중 적어도 하나는 힘 수용부가 제공되는, 회전 축선에 직교하는 방향의 일 측과, 규제부가 제공되는, 회전 축선에 직교하는 방향의 타 측을 구비한다. 힘 수용부는 가압 부재로부터 장치 본체에 대한 현상 장치의 장착 방향으로 가압력을 받는다. 규제부는 회전 축선을 지지점으로 해서 장착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장치 본체에 대해 타 측이 이동하는 것을 규제하기 위해 장치 본체에 접촉한다.

Description

현상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DEVELOP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본 발명은 현상 장치를 사용한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자 사진 화상 형성 방식(전자 사진 프로세스)을 사용한 프린터 등의 화상 형성 장치에서는, 프로세스 수단의 메인터넌스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각종 프로세스 수단을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대하여 제거가능하게 장착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로서 구성한 화상 형성 장치가 실용화되고 있다.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감광 드럼(전자 사진 감광체)을 갖는 클리닝 카트리지, 현상 수단을 갖는 현상 카트리지, 및 현상제를 공급하도록 구성되는 토너 카트리지 등의 몇몇 프로세스 카트리지로 분할가능할 수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13-182036호 공보는, 현상 카트리지의 프레임이, 현상 롤러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 프레임과, 현상 롤러의 길이 방향에서의 제1 프레임의 양 단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2 프레임을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현상 카트리지가 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에 장착되면, 제2 프레임이 장치 본체에 대하여 위치결정된다. 현상 롤러는 제2 프레임에 대한 제1 프레임의 피봇 이동을 통해 감광 드럼에 접촉하거나 그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13-182036호 공보에 개시된 구성에서는, 제2 프레임은, 제1 프레임의 일 단부를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부분과, 그 타 단부를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부분과, 이러한 부분들을 서로 연결하도록 구성되는 부분을 갖는다. 제2 프레임은 제1 프레임의 일 단부로부터 타 단부까지 연장되고 길이 방향에서 현상 롤러와 교차한다. 그 때문에, 현상 장치인 현상 카트리지의 치수 설계에서는, 제2 프레임의 제공을 위한 공간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공간이 장치의 소형화를 방해하는 요인이 되는 것이 염려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현상 장치의 소형화를 달성하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현상 장치는,
현상 롤러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상기 현상 롤러의 축 방향의 일 단부에서, 상기 축 방향과 평행한 회전 축선 둘레로 상기 프레임에 대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제공된 제1 단부 부재; 및
상기 프레임의, 상기 축 방향의 타 단부에서, 상기 회전 축선 둘레로 상기 프레임에 대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제공된 제2 단부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현상 장치는 화상 형성 장치의 장치 본체에 대하여 상기 축 방향으로 제거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제1 단부 부재 및 상기 제2 단부 부재 중 적어도 하나의 단부 부재는 힘 수용부와 규제부를 갖고,
상기 힘 수용부는, 상기 하나의 단부 부재의, 상기 회전 축선에 직교하는 제1 방향의 일 측에 제공되고, 상기 현상 장치가 상기 장치 본체에 장착되었을 때에 상기 장치 본체의 가압 부재로부터 장착 방향으로 가압력을 받으며,
상기 규제부는, 상기 하나의 단부 부재의, 상기 제1 방향의 타 측에 제공되며, 상기 회전 축선을 지지점으로 해서 상기 하나의 단부 부재의 상기 타 측이 상기 장착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상기 장치 본체에 대하여 이동하는 것을 규제하기 위해 상기 장치 본체에 접촉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화상 형성 장치는,
본 발명의 현상 장치; 및
상기 현상 장치가 제거가능하게 장착되는 장치 본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현상 장치는 소형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특징은 첨부된 도면을 참고한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대한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현상 카트리지를 도시하는 구성도이다.
도 2는 비교예에 따른 현상 장치의 단부 부재의 주위의 확대도이다.
도 3은 비교예에 따른 현상 장치의 단부 부재의 과제를 도시하는 확대도이다.
도 4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드럼 카트리지의 설명도이다.
도 6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드럼 카트리지의 주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현상 카트리지의 주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드럼 카트리지 및 현상 카트리지를 장착하는 방법을 도시하는 구성도이다.
도 9a 및 도 9b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현상 카트리지의 장착 상황을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10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현상 카트리지의 단부 부재를 도시하는 구성도이다.
도 11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현상 카트리지의 장착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현상 카트리지의 장착 상태를 도시하는 전체도이다.
도 13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현상 카트리지의 규제부를 도시하는 확대도이다.
도 14는 변형예 1에 따른 현상 카트리지의 설명도이다.
도 15는 변형예 2에 따른 현상 카트리지의 설명도이다.
도 16은 변형예 3에 따른 현상 카트리지의 설명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단, 이 실시형태에 기재되는 구성의 크기, 재질, 형상 그 상대 배치 등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장치의 구성, 각종 조건 등에 따라 적절히 변경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실시형태에 기재되는 구성의 크기, 재질, 형상, 그 상대 배치 등은 본 발명의 범위를 이하의 실시형태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다.
실시형태
여기서,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이하, "화상 형성 장치"라 칭한다)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프로세스를 사용해서 기록재(기록 매체)에 화상을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장치이다. 화상 형성 장치의 예는 프린터(레이저 빔 프린터, LED 프린터 등), 복사기, 팩시밀리 장치, 워드프로세서 및 이들의 복합기(다기능 프린터)를 포함한다. 기록재의 예는 기록 시트 및 플라스틱 시트를 포함한다.
또한, 현상 장치는, 드럼 형상 전자 사진 감광체(이하, "감광 드럼"이라 칭한다) 상에 형성된 정전 잠상을 현상제에 의해 현상하도록 구성되는 장치이다. 현상 장치는 현상 수단, 현상 수단을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현상 유닛, 현상 수단에 관계되는 부품 등을 포함한다. 현상 수단의 예는 현상 롤러, 도포 롤러, 및 현상 블레이드를 포함한다. 본 실시형태의 현상 장치는, 화상 형성 장치의 장치 본체에 제거가능하게 장착되는 현상 카트리지로서 구성된다.
또한,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카트리지로서 일체화되고, 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에 제거가능하게 장착되는, 감광 드럼과 감광 드럼에 작용하는 프로세스 수단을 포함한다. 프로세스 수단의 예는, 감광 드럼에 작용하는 대전 수단, 현상 수단 및 클리닝 수단을 포함한다.
화상 형성 장치의 전체 구성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100)의 전체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4개의 드럼 카트리지(9)(9Y, 9M, 9C, 9K)와 4개의 현상 장치(이하, "현상 카트리지"라 칭한다)(4)(4Y, 4M, 4C, 4K)가, 장착 부재(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화상 형성 장치(100)의 장치 본체 내부에 제거가능하게 장착 및 지지된다. 드럼 카트리지(9) 및 현상 카트리지(4)가 화상 형성 장치(100)에 장착되는 장착 방향에서의 상류측과 하류측을 각각 프론트 사이드 면 측 및 백 사이드 면 측으로 정의한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드럼 카트리지(9) 및 현상 카트리지(4)는, 화상 형성 장치(100)가 설치되는 수평면(수평 방향)으로부터 경사진 방향으로 서로 인접하게 제공된다.
드럼 카트리지(9)는, 감광 드럼(1)(1a, 1b, 1c, 1d)과, 감광 드럼(1)의 주위에 배치되는 대전 롤러(2)(2a, 2b, 2c, 2d) 및 클리닝 부재(6)(6a, 6b, 6c, 6d) 같은 프로세스 수단의 일체화를 통해 획득된다. 또한, 현상 카트리지(4Y, 4M, 4C, 4K)는, 현상 롤러(25)(25a, 25b, 25c, 25d)와 현상 블레이드(35)(35a, 35b, 35c, 35d) 등의 프로세스 수단의 일체화를 통해 획득된다.
대전 롤러(2)는, 감광 드럼(1)의 표면을 균일하게 대전시키며, 현상 롤러(25)는 감광 드럼(1)에 형성한 잠상을 현상제(이하, "토너"라 칭한다)에 의해 현상해서 가시상을 형성한다. 클리닝 부재(6)는, 감광 드럼(1)에 형성된 토너상을 기록재(S)에 전사한 후에, 감광 드럼(1)에 잔류하는 토너를 제거한다. 또한, 장치 본체 내부에서의 드럼 카트리지(9) 및 현상 카트리지(4)의 하방에는 스캐너 유닛(3)이 제공된다. 스캐너 유닛(3)은 화상 정보에 기초하여 감광 드럼(1)을 선택적으로 노광하여 감광 드럼(1)에 잠상을 형성한다.
화상 형성 장치(100)의 하부에는, 기록재(S)를 수납하는 카세트(17)가 장착된다. 또한, 기록재(S)가 2차 전사 롤러(69) 및 정착부(74)를 통과해서 화상 형성 장치(100)의 상부에 반송되도록 기록 매체 반송 수단이 제공된다. 구체적으로는, 카세트(17) 내의 기록재(S)를 1매씩 분리 급송하도록 구성되는 급송 롤러(54), 급송된 기록재(S)를 반송하도록 구성되는 반송 롤러 쌍(76), 및 감광 드럼(1)에 형성되는 잠상과 기록재(S)를 동기화하도록 구성되는 레지스트레이션(registration) 롤러 쌍(55)이 제공된다.
장치 본체 내부에서의 드럼 카트리지(9) 및 현상 카트리지(4)의 상방에는 중간 전사 유닛(5)이 제공된다. 중간 전사 유닛(5)은 각각의 감광 드럼(1)(1a, 1b, 1c, 1d) 상에 형성한 토너 화상을 전사하기 위한 중간 전사 수단이다. 중간 전사 유닛(5)은, 구동 롤러(56), 종동 롤러(57), 각각의 색의 감광 드럼(1)에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1차 전사 롤러(58)(58a, 58b, 58c, 58d), 및 2차 전사 롤러(69)에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대향 롤러(59)를 포함한다. 전사 벨트(14)는 중간 전사 유닛(5) 주위에 걸쳐져 있다. 전사 벨트(14)는 모든 감광 드럼(1)에 대향하고, 감광 드럼(1)과 접촉하는 상태에서 순환한다(방향 A로 회전한다). 토너상이 1차 전사 롤러(58)(58a, 58b, 58c, 58d)에 대한 전압 인가를 통해 감광 드럼(1)으로부터 전사 벨트(14) 위로 1차 전사된다. 그리고, 전사 벨트(14)의 내측에 배치된 대향 롤러(59)와 2차 전사 롤러(69)에 대한 전압 인가를 통해 전사 벨트(14) 상의 토너상이 기록재(S)에 전사된다.
화상 형성 시에는, 각각의 감광 드럼(1)을 회전시키고, 스캐너 유닛(3)이 대전 롤러(2)에 의해 균일하게 대전된 감광 드럼(1)을 선택적으로 노광한다. 이에 의해, 감광 드럼(1)에 정전 잠상을 형성한다. 그 잠상을 현상 롤러(25)에 의해 현상한다. 이에 의해, 각각의 감광 드럼(1)에 각각의 색의 토너상을 형성한다. 이 화상 형성과 동기하여, 레지스트레이션 롤러 쌍(55)이, 기록재(S)를 대향 롤러(59)와 2차 전사 롤러(69)가 전사 벨트(14)를 통해 서로 접촉하는 2차 전사 위치에 반송한다. 그리고, 2차 전사 롤러(69)에 대한 전사 바이어스 전압의 인가를 통해, 전사 벨트(14) 상의 각각의 색의 토너상을 기록재(S)에 2차 전사한다. 이에 의해, 기록재(S)에 컬러 화상을 형성한다. 컬러 화상이 형성된 기록재(S)는, 정착부(74)에 의해 가열 및 가압되어서 토너상이 정착된다. 그 후, 기록재(S)는, 배출 롤러(72)에 의해 배출부(75)에 배출된다. 정착부(74)는, 화상 형성 장치(100)의 상부에 배치된다.
드럼 카트리지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본 실시형태에서의 드럼 카트리지(9)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5는, 드럼 카트리지(9)(9Y, 9M, 9C, 9K)의 구성의 설명도이다. 드럼 카트리지(9Y, 9M, 9C, 9K)는, 드럼 카트리지(9Y, 9M, 9C, 9K)에서 사용되는 토너 색(옐로우(Y), 마젠타(M), 시안(C), 블랙(K))을 제외하고,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후술하는 드럼 카트리지(9) 및 현상 카트리지(4)의 삽입 방향에서, 삽입 방향의 상류측 및 하류측을 각각 프론트 사이드 및 백 사이드로 정의한다. 드럼 카트리지(9)(9Y, 9M, 9C, 9K)의 클리닝 프레임(27)에는, 감광 드럼(1)이 드럼전 베어링(10)과 드럼후 베어링(11)을 통해 회전가능하게 제공된다. 감광 드럼(1)의 축 방향 일 단부에는 드럼 커플링(16)과 플랜지가 제공된다.
도 6은 드럼 카트리지(9)의 개략 단면도이다. 감광 드럼(1)의 주위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대전 롤러(2) 및 클리닝 부재(6)가 제공된다. 감광 드럼(1)은, 드럼 카트리지(9)가 구동원인 장치 구동 모터(도시하지 않음)의 구동력을 받을 때, 화상 형성 동작에 기초하여 회전 구동한다. 대전 롤러(2)는, 대전 롤러 베어링(28)을 통해 드럼 카트리지(9)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대전 롤러(2)는 예를 들어 스프링인 대전 롤러 가압 부재(33)에 의해 감광 드럼(1)을 향해서 가압되며, 감광 드럼(1)의 회전에 따라 회전한다. 클리닝 부재(6)는, 고무 블레이드로 구성된 탄성 부재(7)와, 클리닝 지지 부재(8)를 포함한다. 탄성 부재(7)의 선단부(7a)는, 감광 드럼(1)의 회전 방향(도 6에서 시계 방향)에 대하여 반대 방향으로 지향되는 상태에서 감광 드럼(1)에 접촉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클리닝 부재(6)에 의해 감광 드럼(1)의 표면으로부터 제거된 잔류 토너는 제거 토너실(27a)에 낙하한다. 제거 토너실(27a)로부터의 제거 토너의 누설을 방지하도록 구성되는 스퀴지 시트(squeegee sheet)(21)가 감광 드럼(1)에 접촉하고 있다.
현상 카트리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실시형태에 따른 현상 카트리지(4)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7은, 토너가 저장되는 현상 카트리지(4)(4Y, 4M, 4C, 4K)의 개략적 주 단면도이다. 현상 카트리지(4Y, 4M, 4C, 4K)는, 수용된 토너의 색을 제외하고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구체적으로는, 옐로우 색의 토너가 저장된 현상 카트리지(4Y), 마젠타 색의 토너가 저장된 현상 카트리지(4M), 시안 색의 토너가 저장된 현상 카트리지(4C), 및 블랙 색의 토너가 저장된 현상 카트리지(4K)는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현상 카트리지(4)는, 현상 롤러(25), 토너 공급 롤러(34), 현상 블레이드(35), 토너 반송 부재(36), 및 이들 구성요소를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현상 프레임(31)을 포함한다. 현상 롤러(25)는 감광 드럼(1)과 접촉하는 상태에서 화살표 B 방향으로 회전한다. 토너 공급 롤러(34)는, 현상 롤러(25)에 접촉하는 상태에서 회전한다. 현상 블레이드(35)는, 현상 롤러(25) 상의 토너층을 제어한다. 현상 프레임(31)의 내부 공간은, 격벽(31d)에 의해, 현상 롤러(25)와 토너 공급 롤러(34)가 배치되어 있는 현상실(31c)과, 현상실(31c)의 하방에 제공된 토너 저장실(31a)로 구획되어 있다. 격벽(31d)은, 토너 저장실(31a)로부터 현상실(31c)에 토너를 반송할 때에 토너가 통과하는 개구부(31b)를 구비한다. 현상 롤러(25)와 토너 공급 롤러(34)는, 현상 롤러(25)의 축 방향 양 단부에서, 현상 프레임(31)에 제공된 현상전 베어링과 현상후 베어링을 통해 현상 프레임(31)에 의해 각각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토너 반송 부재(36)는, 현상 프레임(31)의 토너 저장실(31a) 내를 회전하도록 제공되어 있다. 토너 반송 부재(36)는 토너 저장실(31a)에 저장된 토너를 교반하며 개구부(31b)를 통해 현상실(31c)에 토너를 반송한다.
화상 형성 장치에 대한 드럼 카트리지 및 현상 카트리지의 삽입 및 장착
도 8, 도 9a, 및 도 9b를 참조하여, 드럼 카트리지(9) 및 현상 카트리지(4)가 화상 형성 장치(100)에 대하여 어떻게 삽입 및 장착되는지를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100)는, 장치 본체에, 드럼 카트리지(9)(9Y, 9M, 9C, 9K) 및 현상 카트리지(4)(4Y, 4M, 4C, 4K)가 삽입되는 개구부(101)(101a, 101b, 101c, 101d)를 구비한다. 개구부(101)는 장치 본체의 프론트 사이드에 형성되어 있고, 드럼 카트리지(9) 및 현상 카트리지(4)는, 화상 형성 장치(100)가 설치되는 면에 평행한 수평 방향(도면 8에서 화살표 F 방향)에서 프론트 사이드로부터 백 사이드로 장치 본체 안으로 삽입된다. 드럼 카트리지(9)가 장치 본체에 장착될 때, 감광 드럼(1)의 축 방향은 수평 방향(도면 8에서 화살표 F 방향)과 평행하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드럼 카트리지(9) 및 현상 카트리지(4)의 삽입 방향의 상류측 및 하류측을 각각 프론트 사이드 및 백 사이드로 정의한다.
장치 본체 내부에서, 상측에는 본체 장착 상위 가이드부(103)(103a, 103b, 103c, 103d)가 제공되고, 하측에는 본체 장착 하위 가이드부(102)(102a, 102b, 102c, 102d)가 제공된다. 본체 장착 상위 가이드부(103)와 본체 장착 하위 가이드부(102)는, 각각 드럼 카트리지(9)의 삽입 방향(F)을 따라 연장되는 가이드 형상을 갖는다. 드럼 카트리지(9)가 장치 본체에 삽입될 때, 드럼 카트리지(9)는 본체 장착 하위 가이드부(102)의 장착 방향 프론트 사이드에 놓이고 나서, 본체 장착 상위 가이드부(103) 및 본체 장착 하위 가이드부(102)를 따라 삽입 방향(F)으로 이동된다.
현상 카트리지(4)는 드럼 카트리지(9)와 마찬가지로 삽입된다. 구체적으로는, 장치 본체 내부에서, 상측에는 본체 장착 상위 가이드부(108)(108a, 108b, 108c, 108d)가 제공되고, 하측에는 본체 장착 하위 가이드부(107)(107a, 107b, 107c, 107d)가 제공된다. 현상 카트리지(4)가 장치 본체에 삽입될 때, 현상 카트리지(4)는 본체 장착 하위 가이드부(107)의 장착 방향 프론트 사이드에 놓이고 나서, 본체 장착 상위 가이드부(108) 및 본체 장착 하위 가이드부(107)를 따라 삽입 방향(F)으로 이동된다.
도 9a 및 도 9b는, 현상 카트리지(4) 및 장치 본체의 일부 구성을, 장착 방향에서 프론트 사이드로부터 백 사이드로 본 개략도이다. 도 9a는 현상 카트리지(4)가 장치 본체 안으로 삽입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하며, 도 9b는 삽입이 완료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 9a는 현상 카트리지(4)가 삽입되고 있으며 화상 형성 위치 하방에 위치되는 상태를 도시하며, 도 9b는 현상 카트리지(4)가 완전히 삽입되고 화상 형성 위치로 상승된 상태를 도시한다. 현상 카트리지(4)는, 삽입 시에, 현상 카트리지(4)가 전사 벨트(14)(도 4 참조)와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간극을 확보하기 위해 화상 형성 위치의 하방에 위치된다. 현상 카트리지(4)가 완전히 삽입된 후, 본체 장착 하위 가이드부(107)의 프론트 사이드 및 백 사이드의 각각에 제공된 승강 부재(80)가 상승하여 현상 카트리지(4)를 상승시킨다. 이러한 방식으로, 현상 카트리지(4)는 화상 형성 위치로 상승된다.
현상 카트리지의 단부 부재 구성에 대한 설명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여, 본 실시형태의 현상 카트리지(4)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0은, 현상 유닛(39)에 대해 제1 단부 부재(37) 및 제2 단부 부재(38)가 어떻게 지지되는지를 설명하는 개략적 분해 사시도이다.
현상 카트리지(4)의 현상 프레임(31)은, 현상 롤러(25) 등의 구성 부재를 포함하는 현상 유닛(39), 현상 유닛(39)의 현상 롤러(25) 축 방향 일 단부에 제공된 제1 단부 부재(37), 및 그 타 단부에 제공된 제2 단부 부재(38)를 포함한다. 현상 유닛(39)은, 현상 롤러(25) 등의 구성 부재와, 구성 부재를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프레임을 포함한다. 현상 유닛(39)은, 제1 단부 부재(37)를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기 위한 제1 지지점으로서의 제1 보스(20a), 및 제2 단부 부재(38)를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기 위한 제2 지지점으로서의 제2 보스(13a)를 구비한다. 제1 단부 부재(37)는, 현상 유닛(39)에 제공된 제1 보스(20a)와 계합되는 제1 피봇 중심(구멍)(37a)을 구비한다. 또한, 제2 단부 부재(38)는, 현상 유닛(39)에 제공된 제2 보스(13a)와 계합되는 제2 피봇 중심(구멍)(38a)을 구비한다. 이들 계합 구성에 의해, 제1 단부 부재(37) 및 제2 단부 부재(38)는, 현상 유닛(39)에 대하여 서로 독립적으로, 현상 롤러(25)의 회전 축선 둘레로 이동(회전)할 수 있다. 제1 단부 부재(37)는, 제1 단부 부재(37)를 화상 형성 장치(100)의 장치 본체에 위치결정하기 위한 제1 위치결정부(37c) 및 제1 회전 정지부(37d)를 구비한다. 또한, 제2 단부 부재(38)는, 제2 단부 부재(38)를 화상 형성 장치(100)의 장치 본체에 위치결정하기 위한 제2 위치결정부(38c) 및 제2 회전 정지부(38d)를 구비한다.
도 11은, 현상 카트리지(4)가 화상 형성 장치(100)의 장치 본체에 위치결정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장치 본체에의 삽입이 완료된 후에, 현상 카트리지(4)가 화상 형성 위치까지 상승되어, 제1 위치결정부(37c) 및 제1 회전 정지부(37d)가, 장치 본체에 제공된 제1 본체측 위치결정부(99a) 및 제1 본체측 회전 정지부(99b)에 각각 계합된다. 이에 의해, 제1 단부 부재(37)가 화상 형성 장치(100)의 장치 본체에 위치결정된다. 마찬가지로, 장치 본체에의 삽입이 완료된 후, 현상 카트리지(4)가 화상 형성 위치까지 상승되어, 제2 위치결정부(38c) 및 제2 회전 정지부(38d)가, 장치 본체에 제공된 제2 본체측 위치결정부(98a) 및 제2 본체측 회전 정지부(98b)에 각각 계합된다. 이에 의해, 제2 단부 부재(38)가 화상 형성 장치(100)의 장치 본체에 위치결정된다.
현상 롤러(25) 및 다른 구성요소를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현상 유닛(39)은, 현상 유닛(39)이 제1 단부 부재(37) 및 제2 단부 부재(38)에 대하여 이동(회전)할 수 있도록, 화상 형성 장치(100)의 장치 본체에 위치결정된 제1 단부 부재(37)와 제2 단부 부재(38)에 대하여 배치된다. 현상 유닛(39)은, 장치 본체에 위치결정된 제1 단부 부재(37) 및 제2 단부 부재(38)에 대한 이동을 통해, 장치 본체에 위치결정된 감광 드럼(1)을 향하거나 그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현상 유닛(39)에 의해 지지된 현상 롤러(25)가 감광 드럼(1)과 접촉하거나 그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 단부 부재(37) 및 제2 단부 부재(38)는, 현상 롤러(25) 및 다른 구성요소를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현상 유닛(39)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프레임 구성으로서의 역할을 하도록 별도의 부재로서 구성된다. 제1 단부 부재(37)와 제2 단부 부재(38)는 현상 유닛(39)에 대하여 서로 독립적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현상 유닛(39)은 제1 단부 부재(37) 및 제2 단부 부재(38)가 장치 본체에 위치결정됨으로써 장치 본체에 대하여 위치결정된다. 결과적으로, 종래 기술에 제공되는 제1 단부 부재(37)와 제2 단부 부재(38)를 연결하도록 구성되는 부재가 불필요하고, 따라서 제1 단부 부재(37)와 제2 단부 부재(38)가 일체화되는 경우에 비해 현상 카트리지(4)를 소형화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화상 형성 장치 전체를 소형화할 수 있다.
제1 단부 부재의 회전 방지 구성에 대한 설명
도 1,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여, 제1 단부 부재(37)의 구성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2는, 현상 카트리지(4)가 화상 형성 장치(100)의 장치 본체에 위치결정된 상태를 현상 롤러(25)의 축선에 직교하는 방향으로부터 본 전체도이다. 도 1은, 도 12의 A-A' 선의 화살표로 나타낸 측(좌측)을 확대하여 얻은 확대도이며, 제1 단부 부재(37)의 주위의 구성을 나타낸다. 도 13은, 도 1에 도시하는 규제부(37f) 주위를 확대해서 얻은 확대도이다.
현상 카트리지(4)는, 화상 형성 장치(100)의 장치 본체에 대하여, 화살표 F 방향으로 장착되어, 위치결정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현상 카트리지(4)가 장착 방향(F)의 백 사이드까지 도달하도록 장치 본체 내부에 장착될 때, 현상 카트리지(4)는 화상 형성 위치까지 상승하고, 제1 위치결정부(37c) 및 제1 회전 정지부(37d)는 제1 본체측 위치결정부(99a) 및 제1 본체측 회전 정지부(99b)에 각각 계합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장치 본체에 제공된 가압부(81)(가압 부재)가, 제1 단부 부재(37)의 프론트 사이드 측면에 제공된 힘 수용부(37e)에 대하여 접촉하여, 장착 방향(F)의 방향으로 힘 수용부(37e)에 힘을 부여한다. 가압부(81)는 예를 들어 스프링(도시하지 않음)으로부터의 가압력에 의해 힘 수용부(37e)를 가압하고, 그래서 제1 단부 부재(37)는 장치 본체에 대하여 현상 롤러(25)의 축 방향으로 고정된다. 이에 의해, 현상 카트리지(4)는, 화상을 형성할 때 또는 현상 카트리지(4)가 장치 본체 내에 장착된 상태에서 반송될 때에, 장치 본체에 대하여 현상 롤러(25)의 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억제된다. 힘 수용부(37e)는, 제1 단부 부재(37)에서, 제1 보스(20a)가 계합하는 제1 피봇 중심(구멍)(37a)보다 중력 방향 하측에 위치된다. 하측은 제1 단부 부재(37)의 회전 축선과 직교하는 방향(제1 방향)에서의 제1 측(하나의 측)에 대응한다.
제1 단부 부재(37)에서, 본 실시형태의 특징인 규제부(37f)는, 현상 유닛(39)의 제1 보스(20a)가 계합하는 제1 피봇 중심(구멍)(37a)보다 중력 방향 상측에 제공된다. 상측은 제1 단부 부재(37)의 회전 축선과 직교하는 방향(제1 방향)에서의 제2 측(다른 측)에 대응한다. 규제부(37f)는, 제1 위치결정부(37c)보다 장착 방향(F) 백 사이드에 제공되고, 장치 본체의 프레임에서의 제1 본체 위치결정부(99a)의 장착 방향(F) 백 사이드의 측벽인 본체 규제면(105)보다 장착 방향(F) 백 사이드(현상 롤러(25)의 축 방향 외측)에 위치된다. 규제부(37f)는, 제1 위치결정부(37c)로부터 장착 방향(F) 상방으로 서서히 경사지는 면을 갖는 형상을 가지며, 본체 규제면(105)에 대하여 장착 방향(F)과 반대 방향으로 대향한다. 이 경사 형상에 의해, 규제부(37f)는, 제1 위치결정부(37c)가 프레임에 접촉되는 위치보다 제1 단부 부재(37)의 회전 축선으로부터 먼 위치에서 장치 본체의 프레임(제1 본체측 위치결정부(99a))에 접촉할 수 있는 부분을 갖는다. 따라서, 현상 카트리지(4)가 화상 형성 위치까지 상승될 때의 제1 단부 부재(37)의 자세에 따라서, 제1 위치결정부(37c)가 제1 본체측 위치결정부(99a)와 접촉되기 전에 규제부(37f)가 제1 본체측 위치결정부(99a)와 접촉될 수 있다. 이 경우, 상술한 경사 형상에 의해, 제1 본체측 위치결정부(99a)가 규제부(37f) 위를 슬라이드 하여, 제1 본체측 위치결정부(99a)가 제1 위치결정부(37c)와 계합되는 위치까지 가이드된다.
힘 수용부(37e)가 가압부(81)로부터 힘을 받으면, 제1 단부 부재(37)에는, 현상 유닛(39)의 제1 보스(20a)가 계합하는 제1 피봇 중심(구멍)(37a)을 회전 지지점으로 해서, 도 1의 화살표 G 방향으로 작용하는 회전 모멘트가 발생한다. 제1 보스(20a)와 제1 피봇 중심(구멍)(37a)은, 그들의 상대 이동을 허용하는 그들 사이의 약간의 간극을 갖는 상태로 서로에 의해 지지된다. 지지부에 약간의 간극이 확보되기 때문에, 화살표 G 방향의 회전 모멘트가 발생할 때, 제1 단부 부재(37)는 제1 피봇 중심(구멍)(37a)을 중심(지지점)으로 해서 화살표 G 방향으로 회전하려고 한다(그 자세를 기울도록 변화시키려고 한다). 이때, 제1 단부 부재(37)에서, 제1 피봇 중심(구멍)(37a)을 경계로 하여 형성되는, 힘 수용부(37e)가 제공된 측(하나의 측)의 부분과 반대측(다른 측)의 부분은, 힘 수용부(37e)가 가압부(81)로부터 힘을 받는 방향(장착 방향 F)과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려고 한다. 그러나, 이 이동은 규제부(37f)가 본체 규제면(105)과 접촉함으로써 규제되고, 제1 단부 부재(37)의 상기 회전이 규제된다. 제1 단부 부재(37)의 회전이 규제됨으로써, 제1 단부 부재(37)가 현상 유닛(39)과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는 현상 유닛(39)이 접촉 동작을 방해하는 접촉 없이 접촉 동작을 행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접촉 동작은 방해 없이 행해질 수 있으므로, 현상 롤러(25)와 감광 드럼(1) 사이의 접촉 상태가 안정화될 수 있는데, 즉 화상 품질이 안정화될 수 있다.
비교예
상술한 규제부(37f)가 제공되지 않는 경우에 일어날 수 있는 것을 규제부(37f)가 없는 구성을 비교예로 하여 이하에서 설명한다.
도 2는, 비교예에 따른 현상 장치가 화상 형성 장치(100)의 장치 본체 내에 위치결정된 상태하에서, 제1 단부 부재(137)의 주위를 현상 롤러의 축선과 직교하는 방향으로부터 본 개략적 확대도이다. 제1 단부 부재(137)는, 현상 유닛(139)에 대하여, 제1 단부 부재(137) 및 현상 유닛(139)이 서로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가능하도록 부착된다. 제1 단부 부재(137) 및 현상 유닛(139)은 이하와 같이 지지된다: 현상 유닛(139)에 제공된 회전 보스(120)에 대하여, 제1 단부 부재(137)의 제1 피봇 중심(구멍)(137a)이 상대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제1 단부 부재(137)에 제공된 제1 위치결정부(137c)는, 화상 형성 장치의 제1 본체측 위치결정부(106)에 계합함으로써 화상 형성 장치에 위치결정된다. 제1 위치결정부(137c)는, 제1 피봇 중심(137a)의 상방에 배치된다.
비교예에 관한 현상 장치에서도, 제1 단부 부재(137)를 현상 장치 장착 방향인 화살표 F 방향으로 가압부(181)에 의해 가압함으로써 장치 본체에 대하여 고정한다. 장치 본체의 가압부(181)는, 제1 단부 부재(137)의 가압 수용부(137e)를 가압한다. 가압 수용부(137e)는, 현상 유닛(139)의 회전 보스(120)가 계합되는 제1 회전 중심(구멍)(137a)보다 하방에 위치된다.
도 3은, 비교예에 따른 현상 장치에서, 제1 단부 부재(137)가 가압부(181)에 의해 가압됨으로써 회전한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적 확대도이다. 가압 수용부(137e)를 가압부(181)가 가압함으로써 제1 단부 부재(137)를 장치 본체에 고정했을 때, 제1 단부 부재(137)에서, 현상 유닛(139)의 회전 보스(120)를 지지점으로 하여, 가압부(181)로부터의 가압력에 의해 화살표 G 방향으로 작용하는 회전 모멘트가 발생한다. 제1 단부 부재(137)와 현상 유닛(139)은, 제1 단부 부재(137)와 현상 유닛(139)이 서로 상대 이동할 수 있도록, 그들 사이에 약간의 간극을 두고 지지된다. 따라서, 제1 단부 부재(137)는, 화살표 G 방향의 회전 모멘트가 발생하면, 회전 보스(120)를 지지점으로 해서 화살표 G 방향으로 회전한다. 결과적으로, 제1 단부 부재(137)는 현상 유닛(139)과 접촉될 수 있다. 제1 단부 부재(137)가 현상 유닛(139)과 접촉하는 경우, 현상 유닛(139)은 현상 롤러가 감광 드럼에 접촉되는 접촉 동작을 방해할 수 있고, 현상 유닛(139)에 의해 지지된 현상 롤러는 감광 드럼에 접촉할 수 없다. 결과적으로, 화상 결함이 발생할 수 있다.
변형예 1
여기서,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규제부(37f)는, 현상 카트리지(4)가 화상 형성 위치까지 상승할 때에, 본체 규제면(105)이 접촉하며, 현상 유닛(39)을 향해 배치되는 제1 접촉부(40)일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규제부(37f)는 본체 규제면(105)과 반드시 접촉될 필요는 없다. 규제부(37f)는, 사이에 약간의 간극을 두고 본체 규제면(105)과 대향할 수 있으며, 상술한 회전 모멘트가 발생해서 제1 단부 부재(37)가 그 자세를 변화시키려고 한 후에만 본체 규제면(105)과 접촉할 수 있다. 한편, 변형예 1의 제1 접촉부(40)는, 처음부터, 구체적으로는 상기 회전 모멘트가 발생해서 제1 단부 부재(37)가 그 자세를 변화시키려고 하기 전부터, 본체 규제면(105)에 접촉하도록 구성된다. 즉, 이 구성에서는, 규제부는, 현상 카트리지(4)를 화상 형성 장치(100)에 위치결정하는 때에 장치 본체에 대하여 접촉되는 접촉부로서 기능한다. 이러한 구성에서도, 본 실시형태가 제공하는 효과와 마찬가지로, 제1 단부 부재(37)의 회전을 방지할 수 있고, 따라서 화상 품질을 안정화를 할 수 있다.
변형예 2
경사진 형상을 갖는 도 14에 도시하는 제1 접촉부(40)는,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수직면을 갖는 제1 접촉부(140)일 수 있다.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접촉부(140)는, 제1 단부 부재(37)의 회전 지지점인 제1 보스(20a)가 계합하는 제1 회전 중심(구멍)(37a)보다 상방에 위치한다. 또한, 제1 접촉부(140)는 현상 유닛(39)과 대향하도록 제공되어 있으며, 본체 규제면(105)에 접촉한다. 또한, 현상 롤러(25)의 축선에 직교하는 방향에서, 제1 단부 부재(37)를 장치 본체에 고정하기 위해, 제2 접촉부인 상방을 향해서 배치된 제1 위치결정부(37c)가, 제1 본체 위치결정부(99a)에 접촉한다. 본 실시형태에서와 마찬가지로, 힘 수용부(37e)가 가압부(81)로부터 힘을 받아 화살표 G 방향의 회전 모멘트가 발생할 때, 제1 접촉부(140)는 본체 규제면(105)에 접촉하기 때문에, 제1 단부 부재(37)의 회전이 규제된다. 또한, 현상 롤러(25)의 축선과 직교하는 방향에서 상방을 향하는 제1 위치결정부(37c)가 제1 본체 위치결정부(99a)와 접촉하고, 따라서 제1 단부 부재(37)는 장치 본체에 대하여 현상 롤러(25)의 축선과 직교하는 방향에서 고정된다. 따라서, 제1 단부 부재(37)는, 제1 접촉부(140)에 의해 현상 롤러(25)의 축 방향으로의 회전이 방지되며, 제2 접촉부인 제1 위치결정부(37c)에 의해 현상 롤러(25)의 축선에 직교하는 방향에서 위치결정된다. 결과적으로, 현상 유닛(39)은 감광 드럼(1)에 대한 접촉 동작을 행하는 것이 방해되지 않기 때문에, 화상 품질이 안정화될 수 있다.
변형예 3
도 14 및 도 15의 변형예 1 및 2에서는, 제1 접촉부(40 또는 140)와, 제2 접촉부인 제1 위치결정부(37c)가 일체화되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구성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도 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접촉부(40)와, 제2 접촉부인 제1 위치결정부(37c)는 이격된 위치에 개별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도, 제1 단부 부재(37)의 회전을 방지하는 효과가 얻어지고, 화상 ’X질이 안정화될 수 있다.
기타
상술한 단부 부재의 회전 규제 구성은, 제1 단부 부재(37)뿐만 아니라 제2 단부 부재(38)에도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회전 규제 구성이 적용되는 카트리지로서 현상 카트리지(4)를 예시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회전 규제 구성은 다른 카트리지에도 적절히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을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참고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개시된 예시적인 실시형태로 한정되지 않음을 이해해야 한다. 이하의 청구항의 범위는 이러한 모든 변형과 동등한 구조 및 기능을 포함하도록 최광의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0)

  1. 현상 장치이며,
    현상 롤러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상기 현상 롤러의 축 방향의 일 단부에서, 상기 축 방향과 평행한 회전 축선 둘레로 상기 프레임에 대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제공된 제1 단부 부재; 및
    상기 프레임의, 상기 축 방향의 타 단부에서, 상기 회전 축선 둘레로 상기 프레임에 대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제공된 제2 단부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현상 장치는 화상 형성 장치의 장치 본체에 대하여 상기 축 방향으로 제거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제1 단부 부재와 상기 제2 단부 부재 중 적어도 하나의 단부 부재는, 힘 수용부 및 규제부를 갖고,
    상기 힘 수용부는, 상기 하나의 단부 부재의, 상기 회전 축선에 직교하는 제1 방향의 일 측에 제공되고, 상기 현상 장치가 상기 장치 본체에 장착되었을 때에 상기 장치 본체의 가압 부재로부터 장착 방향으로 가압력을 받으며,
    상기 규제부는, 상기 하나의 단부 부재의, 상기 제1 방향의 타 측에 제공되며, 상기 회전 축선을 지지점으로 해서 상기 하나의 단부 부재의 상기 타 측이 상기 장착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상기 장치 본체에 대하여 이동하는 것을 규제하기 위해 상기 장치 본체에 접촉하고,
    상기 현상 장치가 상기 장치 본체에 위치 결정될 때, 상기 힘 수용부가 상기 장착 방향으로 상기 장치 본체에 접촉되면, 상기 규제부가 상기 장착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상기 장치 본체로 이동하여 접촉하는 현상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규제부는, 상기 장착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장치 본체에 대한 상기 하나의 단부 부재의 이동도 규제하는 현상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규제부는, 현상 장치가 상기 장치 본체에 대하여 위치결정되는 때에, 상기 장착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상기 장치 본체에 대해 접촉하는 제1 접촉부를 갖는 현상 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규제부는 상기 회전 축선 및 상기 제1 방향 각각에 대하여 경사진 경사면을 가지며,
    상기 규제부는, 상기 경사면이 상기 장치 본체에 대하여 접촉될 때, 상기 하나의 단부 부재의 상기 타 측이 상기 장착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상기 장치 본체에 대해 이동하는 것을 규제하는 현상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규제부는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직면을 가지며,
    상기 규제부는, 상기 수직면이 상기 장치 본체에 대하여 접촉할 때, 상기 하나의 단부 부재의 상기 타 측이 상기 장착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상기 장치 본체에 대하여 이동하는 것을 규제하는 현상 장치.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 장치는, 상기 장착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상기 장치 본체에 대하여 접촉하는 제2 접촉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규제부는 상기 제2 접촉부보다 상기 장착 방향의 하류측에 제공되는 현상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규제부는, 상기 제2 접촉부가 위치되는 위치보다 상기 회전 축선으로부터 먼 위치에 위치되는 현상 장치.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힘 수용부는 상기 회전 축선에 대하여 중력 방향 하부에 위치되며,
    상기 규제부는 상기 회전 축선에 대하여 중력 방향 상부에 위치되는 현상 장치.
  9. 화상 형성 장치이며,
    제1항 또는 제2항에 따른 현상 장치; 및
    상기 현상 장치가 제거가능하게 장착되는 장치 본체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 본체는 가압 부재 및 위치결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압 부재는 상기 현상 장치의 상기 힘 수용부에 대하여 상기 장착 방향으로 가압력을 부여하고,
    상기 위치결정부는 상기 가압 부재와 반대 측에서 상기 하나의 단부 부재에 대하여 상기 제1 방향에서 접촉하고, 상기 반대 측은 상기 회전 축선을 경계로 하여 규정되며,
    상기 현상 장치의 상기 규제부는 상기 장착 방향과 반대 방향에서 상기 위치결정부에 접촉하는 화상 형성 장치.
KR1020180113501A 2017-09-29 2018-09-21 현상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 KR10231258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7-190415 2017-09-29
JP2017190415A JP6921699B2 (ja) 2017-09-29 2017-09-29 現像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8360A KR20190038360A (ko) 2019-04-08
KR102312589B1 true KR102312589B1 (ko) 2021-10-15

Family

ID=636837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3501A KR102312589B1 (ko) 2017-09-29 2018-09-21 현상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10670986B2 (ko)
EP (1) EP3462243B1 (ko)
JP (1) JP6921699B2 (ko)
KR (1) KR102312589B1 (ko)
CN (1) CN109581838B (ko)
PH (1) PH12018000287A1 (ko)
RU (1) RU2705749C1 (ko)
SG (1) SG10201808506XA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82396A (ja) 2008-05-23 2009-12-03 Canon Inc 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4854791B2 (ja) * 2006-12-22 2012-01-18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及び、電子写真感光体ドラムユニット
JP2015232612A (ja) * 2014-06-09 2015-12-24 株式会社リコー ベルト装置、ベルト定着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17173806A (ja) * 2016-03-22 2017-09-28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28234A (ja) 2002-02-01 2003-08-15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4006414B2 (ja) * 2004-06-02 2007-11-14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4385295B2 (ja) * 2004-07-29 2009-12-16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4968957B2 (ja) 2008-03-31 2012-07-04 キヤノン株式会社 枠体ユニット、現像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並びに、枠体ユニット、現像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の製造方法
JP5004870B2 (ja) * 2008-05-23 2012-08-22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4701266B2 (ja) * 2008-05-27 2011-06-15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5288900B2 (ja) * 2008-06-20 2013-09-11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2011242757A (ja) 2010-04-20 2011-12-01 Canon Inc 規制部材、クリーニング部材、現像装置、クリーニング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2012118506A (ja) 2010-11-10 2012-06-21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現像装置
JP5935391B2 (ja) 2012-02-29 2016-06-15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6039247B2 (ja) * 2012-06-04 2016-12-07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画像形成装置
JP6184311B2 (ja) * 2012-12-14 2017-08-23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US10067461B2 (en) 2016-02-29 2018-09-04 Canon Kabushiki Kaisha Developing cartridge with a restricted portion that contacts a restricting portion of an image forming apparatus
JP6465906B2 (ja) * 2016-02-29 2019-02-06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画像形成装置
US10241438B2 (en) 2016-03-22 2019-03-26 Canon Kabushiki Kaisha Developing device having a developing unit that is pivotally supported about the axis of a shaf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54791B2 (ja) * 2006-12-22 2012-01-18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及び、電子写真感光体ドラムユニット
JP2009282396A (ja) 2008-05-23 2009-12-03 Canon Inc 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2015232612A (ja) * 2014-06-09 2015-12-24 株式会社リコー ベルト装置、ベルト定着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17173806A (ja) * 2016-03-22 2017-09-28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462243B1 (en) 2022-04-27
CN109581838A (zh) 2019-04-05
CN109581838B (zh) 2022-04-19
EP3462243A1 (en) 2019-04-03
KR20190038360A (ko) 2019-04-08
RU2705749C1 (ru) 2019-11-11
JP2019066609A (ja) 2019-04-25
US10670986B2 (en) 2020-06-02
PH12018000287A1 (en) 2019-04-15
SG10201808506XA (en) 2019-04-29
US20190101846A1 (en) 2019-04-04
JP6921699B2 (ja) 2021-08-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72339B2 (en) Process cartridge including first and second frames and separating member moving the second frame to a separated position and image forming apparatus detachably mounting the cartridge
KR102333305B1 (ko) 화상형성장치의 본체에 장착가능한 현상 카트리지
KR102251926B1 (ko) 화상형성장치의 본체에 장착가능한 현상 카트리지
CN107315334B (zh) 显影设备和图像形成装置
US20210341875A1 (en) Cartridge including an image bearing member and developer bearing member that can be easily separated
JP2006330561A (ja) 画像形成装置
JP2017156743A (ja) 現像カートリッジおよび画像形成装置
US10241438B2 (en) Developing device having a developing unit that is pivotally supported about the axis of a shaf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6921538B2 (ja) 画像形成装置
KR20170110028A (ko) 현상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
KR102312589B1 (ko) 현상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
JP6938166B2 (ja) 画像形成装置
US10409215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a developing cartridge with mounting interval regulation
JP7483541B2 (ja) 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US20160252849A1 (en) Feeding device, cleaning device,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7494044B2 (ja) 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KR20170101790A (ko) 현상 카트리지 및 화상 형성 장치
JP6772030B2 (ja)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19066615A (ja) 現像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