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01790A - 현상 카트리지 및 화상 형성 장치 - Google Patents

현상 카트리지 및 화상 형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01790A
KR20170101790A KR1020170022823A KR20170022823A KR20170101790A KR 20170101790 A KR20170101790 A KR 20170101790A KR 1020170022823 A KR1020170022823 A KR 1020170022823A KR 20170022823 A KR20170022823 A KR 20170022823A KR 20170101790 A KR20170101790 A KR 201701017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tridge
developing
photosensitive drum
image forming
forming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28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가즈키 마츠모토
데루히코 사사키
다이스케 마키구치
가즈타카 스에시게
마사토 다나베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1017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179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65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 G03G15/0867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cylindrical developer cartridges, e.g. toner bottles for the developer replenishing opening
    • G03G15/087Developer cartridges having a longitudinal rotational axis, around which at least one part is rotated when mounting or using the cartridge
    • G03G15/0872Developer cartridges having a longitudinal rotational axis, around which at least one part is rotated when mounting or using the cartridge the developer cartridges being generally horizontally mounted parallel to its longitudinal rotational axis
    • G03G15/0837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 G03G21/1803Arrangements or disposition of the complete process cartridge or parts thereof
    • G03G21/1814Details of parts of process cartridge, e.g. for charging, transfer, cleaning, develop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 G03G21/1839Means for handling the process cartridge in the apparatus body
    • G03G21/1842Means for handling the process cartridge in the apparatus body for guiding and mounting the process cartridge, positioning, alignment, lock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 Dry Development In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현상제 담지체를 갖는 현상 카트리지와 감광 드럼을 갖는 드럼 카트리지가 착탈 가능한 화상 형성 장치에서 사용되는 현상 카트리지는, 현상제 담지체를 갖는 카트리지 본체와, 카트리지 본체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 및 제2 지지 부재와, 화상 형성 장치에 현상 카트리지가 장착되었을 때, 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에 제1 및 제2 지지 부재가 위치결정되고, 현상 롤러가 감광 드럼에 접촉 가능하게 되도록 카트리지 본체의 회동 방향의 일 방향으로 압박이 가능하게 된 현상 카트리지에서, 제1 지지 부재에 대한 카트리지 본체의 회동을 규제하는 규제 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현상 카트리지 및 화상 형성 장치{DEVELOPING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본 발명은 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에 착탈 가능한 카트리지와, 전자사진 기술을 사용해서 기록 매체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전자사진 기술을 사용한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에서는, 먼저 대전 롤러에 의해 감광 드럼이 균일하게 대전된다. 그리고, 대전된 감광 드럼이 노광 장치에 의해 노광됨으로써, 감광 드럼에 정전 잠상이 형성된다. 감광 드럼에 형성된 정전 잠상은 현상 장치에 의해 토너상으로서 현상된다. 감광 드럼에 형성된 토너상은 용지 등의 시트에 전사된다. 시트에 전사된 토너상이 정착 장치에 의해 가열 및 가압됨으로써, 토너상이 시트에 정착된다. 이에 의해, 시트에 화상이 형성된다.
여기서, 최근, 일반적으로, 감광 드럼과 대전 롤러와 현상 장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로서 일체화되고 있다.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에 착탈가능하기 때문에,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교환함으로써, 프로세스 카트리지에 토너를 보충하거나, 감광 드럼, 현상 롤러 등을 교환하거나 할 수 있다. 그로 인해, 이러한 프로세스 카트리지 설계를 사용함으로써, 화상 형성 장치 내의 부품의 메인터넌스 등을 유저에 의해 행할 수 있다.
감광 드럼에 형성된 정전 잠상은, 현상 장치에 제공된 현상 롤러로부터 토너가 공급됨으로써 현상된다. 감광 드럼 상의 정전 잠상이 현상될 때는, 현상 롤러와 감광 드럼이 접촉하고 있다. 그러나, 현상 롤러와 감광 드럼을 장시간 접촉시켜 두면, 현상 롤러가 변형되어, 시트에 형성되는 화상의 품질을 저하시킬 수 있다. 따라서, 종래의 기술에서는, 현상 롤러의 변형을 억제하기 위해서, 시트에 화상을 형성하는 경우에만, 현상 롤러와 감광 드럼을 접촉시킨다. 시트에 화상을 형성하지 않는 경우에는, 현상 롤러와 감광 드럼을 이간시키다.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S63-100481호에 개시되는 기술에서는, 현상 롤러를 갖는 현상 카트리지와, 감광 드럼을 갖는 드럼 카트리지가, 각각 개별적으로 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된다. 현상 카트리지와 드럼 카트리지가 본체에 장착된 상태에서, 현상 롤러와 감광 드럼을 접촉시키거나 이간시킬 수 있다. 현상 롤러와 감광 드럼이 접촉하는 상태에서, 감광 드럼상의 정전 잠상은 현상 롤러에 부착된 토너에 의해 현상된다.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S63-100481호에 개시된 기술에서, 현상 롤러와 감광 드럼이 접촉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스프링 등의 편향 수단에 의해, 현상 롤러가 감광 드럼을 향해서 압박된다.
그러나, 화상 형성 장치 내에서 잼(시트 걸림)이 발생한 경우, 감광 드럼과 현상 롤러가 접촉하는 상태에서, 드럼 카트리지를 본체로부터 탈거해야 할 수 있다. 이 경우, 드럼 카트리지가 본체로부터 탈거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현상 롤러는, 편향 수단에 의해, 감광 드럼이 위치하고 있었던 장소를 향해서 압박된다. 그로 인해, 현상 롤러가 본체 내의 부재에 접촉함으로써, 현상 롤러가 손상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현상 롤러 등의 현상제 담지체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관한 현상 카트리지는, 감광 드럼을 갖는 드럼 카트리지와 함께, 각각 화상 형성 장치에 착탈 가능하게 되며, 현상제 담지체를 갖는 현상 카트리지이며, 상기 현상 카트리지는,
상기 현상제 담지체를 갖는 카트리지 본체와,
상기 현상제 담지체가 상기 감광 드럼에 접촉 가능하게 되도록, 상기 카트리지 본체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상기 현상제 담지체의 축 방향의 일 단부에 제공된 제1 지지 부재와, 상기 축 방향의 다른 단부에 제공된 제2 지지 부재와,
상기 화상 형성 장치에 상기 현상 카트리지가 장착되고, 상기 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에 상기 제1 지지 부재 및 상기 제2 지지 부재가 위치결정되며, 상기 카트리지 본체를 회동 방향의 일 방향으로 압박했을 때에, 상기 제1 지지 부재에 대한 상기 카트리지 본체의 회동을 규제하는 규제 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현상 롤러 등의 현상제 담지체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특징은 첨부된 도면을 참고한 예시적인 실시예에 대한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현상 장치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드럼 카트리지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드럼 카트리지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5는, 실시예에 따른 현상 장치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6은, 실시예에 따른 현상 장치의 분해도이다.
도 7은, 현상 장치와 드럼 카트리지의 장착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에 대하여 현상 장치가 위치결정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a 및 도 9b는, 현상 롤러와 감광 드럼이 이간되는 것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a 및 도 10b는, 현상 롤러와 감광 드럼이 접촉하는 것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실시예에 따른 현상 장치에서의 현상 프레임체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에 기초하여 본 발명을 실행하기 위한 형태를 상세하게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단, 실시예에 기재되어 있는 구성부품의 치수, 재질, 및 형상, 구성부품의 상대 배치 등은, 발명이 적용되는 장치의 구성 및 각종 조건에 따라 적절히 변경되어야 한다. 즉, 치수, 재질, 형상 및 상대 배치는 본 발명의 범위를 실시예로 한정하려는 취지가 아니다.
<화상 형성 장치의 전체 구성>
먼저,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100)(이하, 화상 형성 장치(100)라 함)의 전체 구성에 대해서 도 2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100)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상 형성 장치(100)에는, 착탈 가능한 4개의 드럼 카트리지(9)(9Y, 9M, 9C, 및 9K)와, 카트리지로서의 4개의 현상 장치(4)(4Y, 4M, 4C, 및 4K)가 장착 부재(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장착되어 있다. 여기서, 드럼 카트리지(9)와 현상 장치(4)를 화상 형성 장치(100)의 본체에 대하여 장착하는 방향에서의 상류측을 근측으로 정의하고, 장착 방향에서의 하류측을 원측으로 정의한다. 도 2에서, 드럼 카트리지(9)와 현상 장치(4)는, 화상 형성 장치(100)의 본체에 대하여, 수평 방향으로부터 경사지는 방향으로 함께 제공되어 있다.
드럼 카트리지(9)에는, 감광 드럼(1)(상 담지체) (1a, 1b, 1c 또는 1d)과, 감광 드럼(1)의 주위에 배치된 대전 롤러(2)(2a, 2b, 2c 또는 2d)가 배치된다. 드럼 카트리지(9)에는, 클리닝 부재(6)(6a, 6b, 6c 또는 6d)가 배치된다. 드럼 카트리지(9)에는, 감광 드럼(1), 대전 롤러(2), 및 클리닝 부재(6) 등의 프로세스 수단이 일체적으로 배치된다. 카트리지로서의 현상 장치(4)(4Y, 4M, 4C 또는 4K)에는, 현상 롤러(25)(현상제 담지체)(25a, 25b, 25c 또는 25d)와 현상 블레이드(35)(35a, 35b, 35c 또는 35d) 등의 프로세스 수단이 일체적으로 배치된다.
대전 롤러(2)는, 감광 드럼(1)의 표면을 균일하게 대전시키고, 현상 롤러(25)는, 감광 드럼(1)에 형성된 정전 잠상을 현상하기 위한 현상제로서의 토너를 담지한다. 클리닝 부재(6)는, 감광 드럼(1)에 형성된 토너상(현상제 상)이 기록 매체에 전사된 후에 감광 드럼(1)에 잔류한 토너를 제거한다. 드럼 카트리지(9)와 현상 장치(4)의 하방에는, 화상 정보에 기초하여 감광 드럼(1)을 선택적으로 노광함으로써 감광 드럼(1)에 정전 잠상을 형성하기 위한 스캐너 유닛(3)이 제공된다.
화상 형성 장치(100)의 본체의 하부에는, 기록 매체(S)를 수납하는 카세트(17)가 장착되어 있다. 2차 전사 롤러(69)와 정착 장치(74)를 통과시켜서 화상 형성 장치(100)의 상방에 기록 매체(S)를 반송하기 위한 반송 수단이 제공된다. 화상 형성 장치(100)에는, 카세트(17) 내의 기록 매체(S)를 1매씩 분리 및 급송하는 급송 롤러(54)와, 급송된 기록 매체(S)를 반송하는 반송 롤러 쌍(76)이 제공된다. 화상 형성 장치(100)에는, 감광 드럼(1)에 형성된 정전 잠상과 기록 매체(S)의 동기화를 위한 레지스트 롤러 쌍(55)이 제공된다.
드럼 카트리지(9)와 현상 장치(4)의 상방에는, 감광 드럼(1)(1a, 1b, 1c, 또는 1d) 상에 형성된 토너상을 기록 매체(S)에 전사하기 위한 중간 전사 수단으로서의 중간 전사 유닛(5)이 제공된다. 중간 전사 유닛(5)은, 구동 롤러(56)와, 종동 롤러(57)와, 각 색의 감광 드럼(1)에 대향하는 위치에 제공된 1차 전사 롤러(58)(58a, 58b, 58c, 및 58d)를 갖고 있다. 중간 전사 유닛(5)은, 2차 전사 롤러(69)에 대향하는 위치에 제공된 대향 롤러(59)를 갖고 있다. 전사 벨트(14)는, 구동 롤러(56)와 종동 롤러(57)와 1차 전사 롤러(58)와 대향 롤러(59)에 의해 걸쳐져 신장되어 있다. 전사 벨트(14)는, 모든 감광 드럼(1)에 대향 및 접촉하도록 순환하고 있다. 1차 전사 롤러(58)(58a, 58b, 58c, 또는 58d)에 전압이 인가됨으로써, 감광 드럼(1)으로부터 전사 벨트(14) 위로 토너상이 1차 전사된다. 전사 벨트(14)의 내주면 측에 배치된 대향 롤러(59)와 2차 전사 롤러(69)에 전압이 인가됨으로써, 전사 벨트(14)에 1차 전사된 토너상이 기록 매체(S)에 2차 전사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감광 드럼(1)에 토너상을 형성하는 경우, 회전하는 감광 드럼(1)이 대전 롤러(2)에 의해 대전된다. 이어서, 대전 롤러(2)에 의해 균일하게 대전된 감광 드럼(1)이 스캐너 유닛(3)에 의해 선택적으로 노광되어 감광 드럼(1)에 정전 잠상이 형성된다. 감광 드럼(1)에 형성된 정전 잠상이 현상 롤러(25)로부터 공급된 토너에 의해 현상된다. 이에 의해, 각 감광 드럼(1) 위로 각 색의 토너상이 형성된다. 감광 드럼(1)에 토너상을 형성하는 동작과 동기하여, 레지스트 롤러 쌍(55)이, 기록 매체(S)를, 대향 롤러(59)와 2차 전사 롤러(69)가 전사 벨트(14)를 통해 접촉하는 위치인 2차 전사 위치에 반송한다. 2차 전사 롤러(69)에 전사 바이어스 전압이 인가됨으로써, 전사 벨트(14) 상의 각 색의 토너상이 기록 매체(S)에 2차 전사된다. 이에 의해, 기록 매체(S)에 컬러 토너상이 형성된다. 컬러 토너상이 전사된 기록 매체(S)가 정착 장치(74)에 의해 가열 및 가압됨으로써, 토너상이 기록 매체(S)에 정착된다. 그 후, 기록 매체(S)는, 배출 롤러(72)에 의해 배출부(75)에 배출된다. 정착 장치(74)는 화상 형성 장치(100)의 상부에 배치된다.
<드럼 카트리지>
이어서, 본 실시예에 따른 드럼 카트리지(9)에 대해서 도 3과 도 4를 사용해서 설명한다.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드럼 카트리지(9)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드럼 카트리지(9)의 개략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 드럼 카트리지(9)(9Y, 9M, 9C, 및 9K)의 구성은 서로 마찬가지의 구성이다. 드럼 카트리지(9)(9Y, 9M, 9C, 또는 9K)의 클리닝 프레임체(27)에는, 감광 드럼(1)이, 근측 드럼 베어링(10)과 원측 드럼 베어링(11)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감광 드럼(1)의 회전 중심 축선 방향에서의 일단부 측에는, 드럼 커플링(16)과 도시되지 않은 플랜지가 제공된다.
감광 드럼(1)의 주위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대전 롤러(2)와 클리닝 부재(6)가 제공된다. 클리닝 부재(6)는, 탄성 재료로 형성된 고무 블레이드(7)와 클리닝 지지 부재(8)로 구성된다. 고무 블레이드(7)의 첨단부(7a)는, 감광 드럼(1)의 회전 방향에 대향하는 방향으로 감광 드럼(1)에 접촉하고 있다. 클리닝 부재(6)에 의해 감광 드럼(1)의 표면으로부터 제거된 잔류 토너는 제거 토너실(27a)에 낙하한다. 제거 토너실(27a) 내의 제거 토너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시트 부재(21)가 감광 드럼(1)에 접촉하고 있다. 구동원인 본체 구동 모터(도시하지 않음)로부터 드럼 카트리지(9)에 구동력이 전달됨으로써, 화상 형성 동작에 따라서 감광 드럼(1)이 회전 구동된다. 대전 롤러(2)는, 대전 롤러 베어링(28)을 통해서 드럼 카트리지(9)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고, 대전 롤러 가압 부재(33)에 의해 감광 드럼(1)을 향해서 가압된다. 대전 롤러(2)는 감광 드럼(1)에 종동해서 회전한다.
<현상 장치>
이어서, 카트리지로서의 현상 장치(4)에 대해서 도 5 및 도 6을 사용해서 설명한다. 도 5는, 실시예에 따른 현상 장치(4)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6은, 실시예에 따른 현상 장치의 분해도이다. 옐로우 색의 토너를 수납하는 현상 장치(4Y)와, 마젠타 색의 토너를 수납하는 현상 장치(4M)와, 시안 색의 토너를 수납하는 현상 장치(4C)와, 블랙 색의 토너를 수납하는 현상 장치(4K)는 동일한 구성이다. 현상 장치(4)는, 감광 드럼(1)과 접촉하면서 화살표 B 방향으로 회전하는 현상 롤러(25)를 갖고 있다. 현상 장치(4)는, 현상 롤러(25)에 접촉하면서 회전하는 토너 공급 롤러(34)와, 현상 롤러(25) 상의 토너층을 규제하기 위한 현상 블레이드(35)를 갖고 있다. 현상 장치(4)는, 토너 반송 부재(36) 외에, 현상 롤러(25), 토너 공급 롤러(34), 현상 블레이드(35) 및 토너 반송 부재(36)를 지지하는 현상 프레임체(31)를 갖고 있다.
현상 프레임체(31)는, 현상 롤러(25)가 배치되는 현상실(31c)과, 현상실(31c)의 하방에 제공된 토너 수납실(31a)을 갖고 있다. 현상 프레임체(31)의 토너 수납실(31a)에는, 수납된 토너를 교반하고, 개구부(31b)를 통해서 토너 수납실(31a)로부터 현상실(31c)에 토너를 반송하기 위한 토너 반송 부재(36)가 제공된다. 토너 수납실(31a)과 현상실(31c)은 격벽(31d)에 의해 구획되어 있다. 또한, 격벽(31d) 에는, 토너 수납실(31a)로부터 현상실(31c)에 토너가 반송되도록 개구부(31b)가 제공된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현상 롤러(25)와 토너 공급 롤러(34)는, 현상 롤러(25)의 회전 중심 축선 방향에서의 양 측에서, 현상 프레임체(31)의 일부로서의 근측 현상 베어링(12)과 원측 현상 베어링(13)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토너 공급 롤러(34)의 원측 단부에는, 현상 커플링(23)이 제공된다. 토너 공급 롤러(34)의 근측 단부에는, 토너 공급 기어(30)가 제공된다. 현상 롤러(25)의 근측 단부에는, 토너 공급 기어(30)와 교합하는 현상 기어(29)가 제공된다. 그로 인해, 구동원인 본체 구동 모터(도시하지 않음)의 구동력이 현상 커플링(23)에 전달됨으로써, 토너 공급 롤러(34)와 현상 롤러(25)가 화상 형성 동작에 따라서 회전 구동한다. 현상 기어(29)와 토너 공급 기어(30)의 외측에는, 현상 프레임체(31)의 일부로서의 기어 커버(20)가 제공된다.
현상 롤러(25)의 회전 중심 축선 방향에서의 현상 프레임체(31)의 양단 측에는, 지지 부재로서의 근측 단부 부재(37)와 원측 단부 부재(38)가 제공된다. 원측 단부 부재(38)에는, 원측 현상 베어링(13)에 제공된 보스(13a)와 걸림결합하는 현수 구멍(38a)이 제공된다. 근측 단부 부재(37)에는, 기어 커버(20)에 제공된 보스(20a)와 걸림결합하는 현수 구멍(37a)이 제공된다. 근측 단부 부재(37)와 원측 단부 부재(38)는, 원측 현상 베어링(13)의 보스(13a)와 기어 커버(20)의 보스(20a)를 연결하는 회전 중심 축선(Y)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카트리지 본체로서의 현상 유닛(39)의 회전 중심 축선(Y)은, 현상 롤러(25)의 회전 중심 축선과 평행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현상 유닛(39)은, 원측 단부 부재(38)와 걸림결합하는 원측 현상 베어링(13)과, 근측 단부 부재(37)와 걸림결합하는 기어 커버(20)와, 근측 현상 베어링(12)을 포함하는 현상 프레임체(31)를 갖고 있다. 상술한 구성에 의해, 현상 유닛(39)은, 근측 단부 부재(37)와 원측 단부 부재(38)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다.
<드럼 카트리지(9)와 현상 장치(4)를 착탈하는 구성>
이어서, 도 7을 사용하여, 카트리지로서의 현상 장치(4)와 드럼 카트리지(9)를 화상 형성 장치(100)에 삽입하는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드럼 카트리지(9)와 현상 장치(4)는, 감광 드럼(1)의 회전 중심 축선 방향과 평행한 방향(도 7의 화살표 F 방향)으로, 화상 형성 장치(100)의 개구부(101)(101a, 101b, 101c, 또는 101d)에 삽입된다. 드럼 카트리지(9)와 현상 장치(4)는, 극측으로부터 원측을 향해서 화상 형성 장치(100)의 본체에 삽입된다.
화상 형성 장치(100)의 상부에는, 제1 본체 가이드부인 본체 장착 상위 가이드부(103)(103a, 103b, 103c, 및 103d)가 제공된다. 화상 형성 장치(100)의 하부에는, 제2 본체 가이드부인 본체 장착 하위 가이드부(102)(102a, 102b, 102c, 및 102d)가 제공된다. 이 본체 장착 상위 가이드부(103)와 본체 장착 하위 가이드부(102)는, 각각 화살표 F 방향을 따라서 연장하는 드럼 카트리지(9)의 가이드이다. 드럼 카트리지(9)를 화상 형성 장치(100)에 삽입하는 경우, 먼저, 화살표 F 방향의 상류 측에서 본체 장착 하위 가이드부(102)에 드럼 카트리지(9)를 배치한다. 이 상태에서, 드럼 카트리지(9)를, 본체 장착 상위 가이드부(103)와 본체 장착 하위 가이드부(102)를 따라 화살표 F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와 같이, 드럼 카트리지(9)를 화상 형성 장치(100)의 본체에 삽입한다.
화상 형성 장치(100)의 본체에 현상 장치(4)를 삽입할 경우도 드럼 카트리지(9)와 마찬가지이다. 먼저, 화살표 F 방향에서, 화상 형성 장치(100)의 본체의 하부에 제공되는 본체 장착 하위 가이드부(104)(104a, 104b, 104c, 또는 104d)의 상류측에 현상 장치(4)를 배치한다. 현상 장치(4)를, 화살표 F 방향으로, 본체 장착 상위 가이드부(105)(105a, 105b, 105c, 또는 105d)와 본체 장착 하위 가이드부(104)를 따라 이동시킨다. 이에 의해, 화상 형성 장치(100)의 본체에 현상 장치(4)를 삽입한다.
도 8은, 화상 형성 장치(100)의 본체에 대하여 현상 장치(4)가 위치결정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카트리지로서의 현상 장치(4)가 화상 형성 장치(100)에 삽입된 후에는, 지지 부재로서의 근측 단부 부재(37)에 제공된 근측 위치결정부(37c)가, 화상 형성 장치(100)의 본체에 제공된 근측 판(도시하지 않음)의 접촉부(99a)에 걸림결합한다. 원측 단부 부재(38)에 제공된 보스(380a)는, 원측 판(도시하지 않음)의 접촉부(98a)와 걸림결합한다. 이에 의해, 화상 형성 장치(100)의 본체에 대하여 현상 장치(4)가 위치결정된다.
근측 단부 부재(37)에는, 지지 부재로서의 근측 단부 부재(37)의 회동을 정지시키기 위한 회전 스토퍼(37d)가 제공된다. 현상 장치(4)가 화상 형성 장치(100)에 삽입된 상태에서, 회전 스토퍼(37d)는, 본체 장착 하위 가이드부(104)의 본체 회전 정지부(104s)와 끼워맞춤된다. 이에 의해, 화상 형성 장치(100)의 본체에 대하여 근측 단부 부재(37)가 회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지지 부재로서의 원측 단부 부재(38)에는, 원측 단부 부재(38)의 회동을 정지시키기 위한 보스(380e)가 제공된다. 현상 장치(4)가 화상 형성 장치(100)에 삽입된 상태에서, 보스(380e)는, 화상 형성 장치(100)의 본체에 제공된 원측 판(도시하지 않음)의 회전 정지 구멍부(98b)와 끼워맞춤된다. 이에 의해, 화상 형성 장치(100)의 본체 내에서 원측 단부 부재(38)가 회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화상 형성 장치(100)의 본체에 현상 장치(4)를 장착했을 때에, 지지 부재로서의 원측 단부 부재(38)와 근측 단부 부재(37)가 화상 형성 장치(100)의 본체에 대하여 고정된다. 이에 의해, 현상 장치(4)에서의 현상 유닛(39)이 화상 형성 장치(100)의 본체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된다.
<접촉 및 이간 동작의 설명>
이어서, 본 실시예에 따른 감광 드럼(1)과 현상 롤러(25)의 접촉 및 이간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9a 및 도 9b는, 현상 롤러(25)와 감광 드럼(1)이 이간하는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화상 형성 장치(100)에는, 도 9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상 형성 장치(100)의 본체에 현상 장치(4)를 착탈하는 방향에서의 미리결정된 위치에 압박 부재로서의 가압 부재(32)가 제공된다. 가압 부재(32)가 화살표 G 방향으로 이동하면, 가압 부재(32)의 접촉력 가압부(32a)와 현상 프레임체(31)의 접촉력 수용부(31f)가 접촉 상태로부터 해제된다. 가압 부재(32)가 화살표 G 방향으로 더 이동하면, 가압 부재(32)의 이간력 가압부(32b)와 현상 프레임체(31)의 이간력 수용부(31e)가 접촉하게 된다. 가압 부재(32)가 화살표 G 방향으로 더 이동하면, 카트리지 본체로서의 현상 유닛(39)은, 회전 중심 축선(Y)을 중심으로 화살표 W1 방향(회동 방향에서의 일방향)으로 회동한다. 이에 의해, 현상 롤러(25)와 감광 드럼(1)이 이간된 상태로 된다(도 9b 참조).
도 10a 및 도 10b는, 현상 롤러(25)와 감광 드럼(1)이 접촉하는 것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현상 프레임체(31)를 압박할 수 있는 압박 부재로서의 가압 부재(32)가 화살표 H 방향으로 이동하면, 가압 부재(32)의 이간력 가압부(32b)와 현상 프레임체(31)의 이간력 수용부(31e)가 접촉 상태로부터 해제된다. 가압 부재(32)가 화살표 H 방향으로 더 이동하면, 가압 부재(32)의 접촉력 가압부(32a)와 현상 프레임체(31)의 접촉력 수용부(31f)가 접촉하여 현상 유닛(39)을 회전 중심 축선(Y)을 중심으로 화살표 W2 방향으로 회동시킨다. 가압 부재(32)가 화살표 H 방향으로 더 이동하면, 현상 롤러(25)와 감광 드럼(1)이 접촉 상태로 된다(도 10b 참조). 즉, 화상 형성 장치(100)의 본체에 현상 장치(4)가 장착된 상태에서는, W2 방향으로 현상 롤러(25)가 가압 부재(32)에 의해 압박된다. 이에 의해, 현상 롤러(25)는, 화상 형성 장치(100)의 본체에 착탈가능한 드럼 카트리지(9)에 제공되는 감광 드럼(1)을 가압한다.
현상 롤러(25)와 감광 드럼(1)이 접촉한 후에는, 압박 부재로서의 가압 부재(32)에 제공된 가압 기구(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현상 롤러(25)는 미리결정된 압력으로 감광 드럼(1)을 가압한다. 기록 매체(S)에 화상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이러한 기구에 의해 현상 롤러(25)와 감광 드럼(1)이 접촉하게 하여 현상 롤러(25)와 감광 드럼(1)이 접촉 또는 이간되게 한다. 기록 매체(S)에 화상을 형성하지 않는 경우에는, 현상 롤러(25)와 감광 드럼(1)을 이간시킨다. 이에 의해, 현상 롤러(25)의 변형에 의한 화상 품질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현상 유닛(39)의 회동을 규제하는 구성>
상술한 바와 같이, 화상 형성 장치(100)의 본체가 갖는 가압 부재(32)에 의해 현상 유닛(39)이 가압됨으로써, 감광 드럼(1)과 현상 롤러(25)가 접촉하게 된다. 화상 형성 동작 중에, 잼(종이 걸림) 등이 발생할 수 있다. 그 경우에, 현상 유닛(39)이 가압 부재(32)에 의해 가압되는 것에 의해 현상 롤러(25)와 감광 드럼(1)이 접촉하는 상태에서, 드럼 카트리지(9)가 탈거될 수 있다. 이때, 현상 롤러(25)와 감광 드럼(1)이 접촉하고 있었던 위치를 초과해서 현상 롤러(25)가 회전한다. 현상 유닛(39)의 회동을 규제하고 있었던 드럼 카트리지(9)의 회동에 의해, 화상 형성 장치(100)의 본체에 제공된 부품 등에 현상 롤러(25)가 충돌할 우려가 있다. 이에 의해 현상 롤러(25)가 손상되면, 현상 롤러(25)의 성능 저하에 의해 기록 매체(S)에 형성된 화상의 품질이 저하될 위겨가 있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현상 장치(4)의 외관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 부재로서의 근측 단부 부재(37)에는, 카트리지 본체로서의 현상 유닛(39)을 향해서 연장되는 규제 부재로서의 회전 규제부(37f)가 제공된다. 마찬가지로, 지지 부재로서의 원측 단부 부재(38)에는, 현상 유닛(39)을 향해서 연장되는 회전 규제부(38f)가 제공된다. 규제 부재로서의 회전 규제부(37f)는, 근측 단부 부재(37)에 제공된 돌기부이며, 규제 부재로서의 회전 규제부(38f)는 원측 단부 부재(38)에 제공된 돌기부이다. 회전 규제부(37f)와 회전 규제부(38f)의 일부는, 근측 단부 부재(37)와 원측 단부 부재(38)에 대해 현상 유닛(39)이 회동하는 영역 내에 위치하고 있다.
카트리지로서의 현상 장치(4)가 화상 형성 장치(100)의 본체에 장착된 상태에서, 규제 부재로서의 회전 규제부(37f)는, 화상 형성 장치(100)의 본체에 현상 장치(4)가 삽입되는 방향으로 돌출하고 있다. 화상 형성 장치(100)의 본체에 현상 장치(4)가 장착된 상태에서, 규제 부재로서의 회전 규제부(38f)는 화상 형성 장치(100)의 본체로부터 현상 장치(4)가 탈거되는 방향으로 돌출하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현상 유닛(39)이 화상 형성 장치(100)의 본체에 제공된 가압 부재(32)에 의해 가압되면, 회전 중심 축선(Y)을 중심으로 하여 화살표 W2 방향으로 현상 유닛(39)이 회동한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는, 감광 드럼(1)과 현상 롤러(25)가 접촉하고 있었던 접촉 위치를 초과해서 현상 유닛(39)이 회동했을 때에는, 회전 규제부(37f)와 회전 규제부(38f)가 현상 유닛(39)의 회동을 규제한다. 피규제부(317)와 회전 규제부(37f)가 접촉하고, 현상 유닛(39)의 피규제부(318)와 회전 규제부(38f)가 접촉함으로써, 화상 형성 장치(100)의 본체에 제공된 부품 등에 현상 롤러(25)가 충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감광 드럼(1)에 접촉하는 현상 롤러(25)의 접촉 부분이, W2 방향으로, 현상 롤러(25)와 감광 드럼(1)이 접촉하는 접촉 위치를 초과하는 경우에, 근측 단부 부재(37)와 원측 단부 부재(38)가 현상 유닛(39)의 회동을 규제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카트리지 본체로서의 현상 유닛(39)에서의 현상 프레임체(31)는, 제1 프레임체(311)와 제2 프레임체(312)의 복수의 부재로 구성되어 있다. 현상 프레임체(31)에서, 제1 프레임체(311)와 제2 프레임체(312)인 부재를 용착을 통해 견고하게 결합한다. 현상 프레임체(31)에서, 제1 프레임체(311)와 제2 프레임체(312)가 용착되어 있는 부분은, 제1 프레임체(311)와 제2 프레임체(312)가 용착되어 있지 않은 부분보다 두껍다.
본 실시예에서는, 현상 유닛(39)에서, 피규제부(317)와 피규제부(318)를, 제1 프레임체(311)와 제2 프레임체(312)가 용착되어 있는 부분(용착부)의 근방에 배치하고 있다. 이에 의해, 현상 유닛(39)에서, 피규제부(317)와 피규제부(318)의 강성을 향상시킨다. 현상 프레임체(31)에서, 제1 프레임체(311)와 제2 프레임체(312)가 용착되어 있는 부분의 강성은, 제1 프레임체(311)와 제2 프레임체(312)가 용착되어 있지 않은 부분의 강성보다 높다. 현상 프레임체(31)의 강성이 높은 부분에 근측 단부 부재(37)와 원측 단부 부재(38)가 접촉되어 있기 때문에, 현상 유닛(39)의 회동을 안정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근측 단부 부재(37)와 원측 단부 부재(38)는, 근측 단부 부재(37)와 원측 단부 부재(38)에 대한 현상 유닛(39)의 회동을, 가압 부재(32)의 가압력(압박력)에 저항해서 규제하는 회전 규제부(37f)와 회전 규제부(38f)를 갖고 있다. 이에 의해, 현상 롤러(25)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현상 유닛(39)에서, 회전 규제부(37f)와 회전 규제부(38f)가 접촉하는 부분의 강성은, 회전 규제부(37f)와 회전 규제부(38f)가 접촉하지 않는 부분의 강성보다 높다. 이에 의해, 근측 단부 부재(37)와 원측 단부 부재(38)에 대한 현상 유닛(39)의 회동을 안정적으로 규제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회전 규제부(37f)와 회전 규제부(38f)는 현상 장치(4)에 제공되어 있지만, 반드시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드럼 카트리지(9)의 일부의 회동에 의해 감광 드럼(1)이 현상 롤러(25)에 접촉 및 이간 가능(접촉 및 이간 가능)하게 되는 구성일 수 있다. 회전 규제부(37f)와 회전 규제부(38f)가 드럼 카트리지(9)에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을 예시적인 실시예를 참고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개시된 예시적인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음을 이해해야 한다. 이하의 청구항의 범위는 이러한 모든 변형과 동등한 구조 및 기능을 포함하도록 최광의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2)

  1. 감광 드럼을 갖는 드럼 카트리지와 함께 각각 화상 형성 장치에 착탈될 수 있게 구성되며, 현상제 담지체를 갖는 현상 카트리지이며, 상기 현상 카트리지는,
    상기 현상제 담지체를 갖는 카트리지 본체와,
    상기 현상제 담지체가 상기 감광 드럼에 접촉 가능하게 되도록, 상기 카트리지 본체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상기 현상제 담지체의 축 방향의 일 단부에 제공된 제1 지지 부재 및 상기 축 방향의 다른 단부에 제공된 제2 지지 부재와,
    상기 화상 형성 장치에 상기 현상 카트리지가 장착되고, 상기 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에 상기 제1 지지 부재 및 상기 제2 지지 부재가 위치결정되며, 상기 카트리지 본체를 회동 방향의 일 방향으로 압박했을 때에, 상기 제1 지지 부재에 대한 상기 카트리지 본체의 회동을 규제하는 규제 부재를 포함하는, 현상 카트리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 본체는, 상기 현상 카트리지가 상기 본체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현상 카트리지가 상기 본체에 착탈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 중심 축선을 중심으로 해서 회동 가능하게 되는, 현상 카트리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제 담지체의 회전 중심 축선은, 상기 카트리지 본체의 회전 중심 축선과 평행한, 현상 카트리지.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로부터 상기 드럼 카트리지가 탈거된 상태에서, 상기 현상제 담지체가 압박 부재에 의해 압박되는 상기 일 방향에서, 상기 감광 드럼에 접촉하게 되는 상기 현상제 담지체의 접촉 부분이, 상기 현상제 담지체와 상기 감광 드럼이 접촉하는 접촉 위치를 초과했을 경우에, 상기 규제 부재는, 상기 제1 지지 부재에 대한 상기 카트리지 본체의 회동을 규제하는, 현상 카트리지.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규제 부재는, 상기 제1 지지 부재에 제공되어 있는 돌기부인, 현상 카트리지.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 부재에 대해 상기 카트리지 본체가 회동하는 영역에 상기 규제 부재의 일부가 위치함으로써, 상기 제1 지지 부재에 대한 상기 카트리지 본체의 회동이 규제되는, 현상 카트리지.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규제 부재는, 상기 카트리지 본체와 접촉하여, 상기 제1 지지 부재에 대한 상기 카트리지 본체의 회동을 규제하는, 현상 카트리지.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 본체는, 복수의 부재가 용착된 용착부를 갖고,
    상기 규제 부재는, 상기 용착부와 접촉하는, 현상 카트리지.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 부재 및 상기 제2 지지 부재는 각각, 카트리지가 상기 본체에 착탈되는 방향에서, 상기 카트리지 본체의 양단 측에 제공되어 있는, 현상 카트리지.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제 담지체의 회전 중심 축선 방향에서 상기 본체에 대하여 착탈 가능한, 현상 카트리지.
  11.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규제 부재는, 상기 제1 지지 부재와 상기 제2 지지 부재 각각에 제공되어 있는 돌기부인, 현상 카트리지.
  12. 화상 형성 장치이며,
    감광 드럼을 갖는 드럼 카트리지와,
    상기 감광 드럼에 형성된 정전 잠상을, 상기 현상제 담지체가 담지하는 현상제에 의해 현상제 상으로서 현상하는 제1항 또는 제2항에 따른 현상 카트리지와,
    상기 드럼 카트리지와 상기 현상 카트리지의 착탈을 허용하는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감광 드럼에 형성된 현상제 상을 기록 매체에 전사하여 기록 매체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 장치.
KR1020170022823A 2016-02-29 2017-02-21 현상 카트리지 및 화상 형성 장치 KR2017010179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037094 2016-02-29
JP2016037094 2016-02-29
JP2017026447A JP2017156744A (ja) 2016-02-29 2017-02-15 現像カートリッジ、画像形成装置
JPJP-P-2017-026447 2017-02-1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1790A true KR20170101790A (ko) 2017-09-06

Family

ID=598097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2823A KR20170101790A (ko) 2016-02-29 2017-02-21 현상 카트리지 및 화상 형성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17156744A (ko)
KR (1) KR20170101790A (ko)
PH (1) PH1201700005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281050B2 (ja) * 2019-05-30 2023-05-25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7156744A (ja) 2017-09-07
PH12017000055A1 (en) 2018-07-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24413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a portion to prevent a process cartridge from being inserted when the process cartridge is in a particular state
EP3211482A1 (en) Developing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11874625B2 (en) Developing cartridge including a member configured to be pressed by a member of an image forming apparatus
KR102446486B1 (ko) 화상형성장치의 본체에 장착가능한 현상 카트리지
KR102197113B1 (ko) 화상형성장치의 본체에 장착가능한 카트리지
US9417604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7192063B2 (ja) 現像カートリッジおよび画像形成装置
CN107315334B (zh) 显影设备和图像形成装置
JP7267781B2 (ja) カートリッジの再生産方法およびカートリッジ
JP2011095536A (ja) カバー部材及びカートリッジ
US8639162B2 (en) Color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JP6938166B2 (ja) 画像形成装置
KR20170101790A (ko) 현상 카트리지 및 화상 형성 장치
JP7317287B2 (ja) 現像剤収容器、画像形成装置
JP7214419B2 (ja) 画像形成装置、現像カートリッジ
CN109581838B (zh) 显影装置和成像装置
US20220390892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2018155867A (ja) 潜像担持体ユニット及び画像形成装置
JP2020052356A (ja) 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