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8445B1 - 화상 형성 장치 및 시트 반송 장치 - Google Patents

화상 형성 장치 및 시트 반송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8445B1
KR102098445B1 KR1020170017367A KR20170017367A KR102098445B1 KR 102098445 B1 KR102098445 B1 KR 102098445B1 KR 1020170017367 A KR1020170017367 A KR 1020170017367A KR 20170017367 A KR20170017367 A KR 20170017367A KR 102098445 B1 KR102098445 B1 KR 1020984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image forming
forming apparatus
conveying
pa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73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94513A (ko
Inventor
마사키 가키타니
겐이치 마나베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0945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45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84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84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04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the entire apparatus
    • G03G21/1623Means to access the interior of the apparatus
    • G03G21/1638Means to access the interior of the apparatus directed to paper handling or jam trea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9/00Delivering or advancing articles from machines; Advancing articles to or into piles
    • B65H29/58Article switches or diverters
    • B65H29/60Article switches or diverters diverting the stream into alternative path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7/00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devices for performing specified auxiliary operations
    • B65H37/04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devices for performing specified auxiliary operations for securing together articles or webs, e.g. by adhesive, stitching or stap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04Personal or domestic articl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61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means for handling parts of the apparatus in the apparatus
    • G03G21/1695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means for handling parts of the apparatus in the apparatus for paper transpor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5/00Arrangements for producing a permanent visual presentation of the output data, e.g. computer output prin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2/00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handling apparatus
    • B65H2402/40Details of frames, housings or mountings of the whole handling apparatus
    • B65H2402/45Do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801/00Application field
    • B65H2801/03Image reproduction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 Paper Feeding For Electrophotography (AREA)
  • Feeding Of Articles By Means Other Than Belts Or Rollers (AREA)
  • Control Or Security For Electrophotography (AREA)
  • Manual Feeding Of Sheets (AREA)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화상 형성 장치는, 주 조립체와; 시트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부와; 주 조립체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개방가능 부재와; 개방가능 부재에 제공된 제1 반송 가이드와; 주 조립체에 제공된 제2 반송 가이드로서, 개방가능 부재가 폐쇄되는 경우, 제1 반송 가이드와 제2 반송 가이드 사이에 시트를 반송하는 시트 반송 경로가 형성되는, 제2 반송 가이드와; 제1 반송 가이드에 제공된 구멍과; 개방가능 부재가 개방될 때에, 제2 반송 가이드의 적어도 일부를 구멍을 통해 조명하는, 개방가능 부재에 제공된 조명 장치를 갖는다.

Description

화상 형성 장치 및 시트 반송 장치{IMAGE FORMING APPARATUS AND SHEET FEEDING DEVICE}
본 발명은, 시트의 잼이 발생한 경우에 개방되는 개방가능 부재를 갖는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복사기나 프린터 등의 화상 형성 장치는, 화상 형성부에 의해 화상이 형성되는 시트를 반송하는 시트 반송 장치를 갖는다.
시트 반송 장치는, 일본 특허 출원 공개 (JP-A) 2011-11838에 기재된 바와 같이, 시트를 스위치백(switchback) 방식으로 반송하는 반전부를 갖는다. 반전부는, 배출 반송 경로, 반전 유도 경로, 스위치백 경로, 및 반전 배출 경로를 갖는다. 배출 반송 경로는, 화상이 형성된 시트를 화상 형성 장치로부터 배출하기 위해서 시트를 안내하는 시트 반송 경로이다. 반전 유도 경로는, 배출 반송 경로로부터 분기한 반송 경로이다. 스위치백 경로는, 화상이 형성된 시트를 뒤집고 (시트) 반송 방향에 대해 시트의 선단부와 후단부를 반전시키기 위해서, 반전 유도 경로를 통과한 시트가 인입되는 시트 반송 경로이다. 반전 배출 경로는, 스위치백 경로에 인입된 시트를 화상 형성 장치로부터 배출하기 위해서 시트를 안내하는, 배출 반송 경로에 합류하는 시트 반송 경로이다. 시트의 표면들(면들)에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양면(2면) 화상 형성을 달성할 수 있는 화상 형성 장치의 경우에, 시트 반송 장치는 반송 방향에 대해 선단부와 후단부가 반송부의 스위치백 경로에서 반전된 시트가 반송되는 시트 반송 경로인 양면 반송 경로도 갖는다.
그런데, 화상 형성 장치에서 잼이 발생한 경우, 잼의 원인이 된 시트를 제거하는 "잼 처리(jam clearance)"가 필요하다. 그 때문에, 개방가능 부재가 화상 형성 장치의 일부로서 제공되고, 이 개방가능 부재가 개방되어 시트 반송 장치 및 (시트) 반송 부재를 노출시킴으로써 시트가 제거된다. 예를 들어, 일부 경우에, 상술한 반전부의 시트 반송 경로 및 반송 부재를 노출시키도록, 화상 형성 장치의 시트가 배출되는 측면에 회전가능한 도어(반전 도어)가 제공된다.
또한, 화상 형성 장치에 대해, 화상이 형성된 시트의 컬(curled) 상태를 보정하기 위한 디컬링(decurling) 유닛 및 스테이플링을 행하는 피니셔 등의 후처리를 행하는 옵션 유닛이 추가적으로 장착가능한 경우가 있다. 화상 형성 장치에 옵션 유닛이 장착되면, 옵션 유닛 및 화성 형성 장치는 화상 형성 시스템으로서 일체적으로 사용된다.
JP-A 2003-241454는, 반송 경로를 개방하는 개방가능한 도어에 램프가 제공되고, 도어를 개방할 때에 램프로 반송 경로를 비추는 구성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옵션 유닛이 화상 형성 장치에 장착된 경우에, 잼 처리 등의 조작이 실행되기 용이하지 않은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옵션 유닛이 화상 형성 장치의 시트가 배출되는 측면에 접속된 상태에서, 상술한 반전부에서 잼이 발생한 경우를 생각한다. 이 경우, 옵션 유닛의 존재에 의한 영향으로, 반전 도어의 개폐 각도가 작아지고, 반전 도어를 개방했을 때의 잼 처리를 행하는 공간(개방 공간)이 좁아진다. 또한, 반전 도어를 개방가능한 상태 등으로 유지하기 위해서, 옵션 유닛의 시트 반송 경로 등의 요소가 반전 도어의 상방부에 배치된다. 그로 인해, 옵션 유닛 및 개방가능 부재의 그림자가 드리워져 반전 도어의 개방 공간이 어두워지고, 시트 반송 경로에 체류하고 있는 시트의 시인성이 나빠지는 경우가 있다. 그 결과, 잼 처리가 실행되기가 용이하지 않다.
또한, JP-A 2003-241454의 구성에서는, 도어를 개방하면, 도어의 개방에 의해 개방 공간에 램프가 드러난다. 그로 인해, 체류한 시트를 제거하는 때에 램프가 방해물을 구성하게 된다.
본 발명은, 개방가능 부재의 개방 공간에서의 잼 처리 등의 조작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주 조립체와; 시트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부와; 상기 주 조립체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개방가능 부재와; 상기 개방가능 부재에 제공된 제1 반송 가이드와; 상기 주 조립체에 제공된 제2 반송 가이드로서, 상기 개방가능 부재가 폐쇄되는 경우, 상기 제1 및 제2 반송 가이드에 의해 상기 시트를 반송하는 시트 반송 경로가 형성되는, 제2 반송 가이드와; 상기 제1 반송 가이드에 제공된 구멍과; 상기 개방가능 부재가 개방될 때에, 상기 제2 반송 가이드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구멍을 통해 조명하는, 상기 개방가능 부재에 제공된 조명 장치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특징은 첨부된 도면을 참고한 예시적인 실시예에 대한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도 1은 화상 형성 시스템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2는 화상 형성 시스템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반전 도어와 그 근방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반전 도어의 조작 시의 화상 형성 시스템의 사시도이다.
도 5는 피니셔가 장착되어 있지 않은 화상 형성 장치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6은 반전 도어와 그 근방의 단면도이다.
도 7은 조명 장치(라이팅 장치(lighting device))를 점등 및 소등하는 제어의 예의 흐름도이다.
도 8은 반전 도어의 외면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9는 조명 장치를 켜고 끄는 제어의 다른 예의 흐름도이다.
도 10은 반전 도어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 및 화상 형성 시스템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실시예 1]
1. 화상 형성 시스템
도 1은, 본 실시예의 화상 형성 시스템(100)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2는, 화상 형성 시스템(100)의 사시도이다.
화상 형성 시스템(100)은, 화상 형성 장치(1)와 옵션 유닛으로서의 피니셔(80)를 갖는다. 본 실시예에서는, 화상 형성 장치(1)는 전자사진 방식을 사용한 컬러 화상 형성 장치이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화상 형성 장치(1)는, 다양한 시트에의 적응성 및 우수한 프린트 생산성 같은 이점으로부터, 4색용 화상 형성 유닛을 중간 전사 벨트 상에 제공 및 배치하는, 중간 전사 탠덤 방식을 채용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피니셔(후처리 장치)(80)는 스테이플링 또는 새들 스티치 같은 후처리 기능을 구비한다.
화상 형성 장치(1)는, 기록 시트 등의 시트(기록재, 전사재)(S)를 반송하는 시트 반송부(101)와, 시트 반송부(101)에 의해 반송된 시트(S)를 반송(이송)하는 시트 반송(이송)부(109)를 갖는다. 본 실시예에서는, 시트 반송부(101)와 시트 반송부(109)에 의해 시트 반송 장치(2)가 구성된다. 화상 형성 장치(1)는, 시트 반송부(109)에 의해 반송되는 시트(S)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부(102)를 갖는다.
시트 반송부(101)는, 시트 수납부(30 내지 34)와 시트 반송 부재(35 내지 39)를 갖는다.
화상 형성부(102)는, 감광체(61)(61Y, 61M, 61C, 61K), 대전 장치(62)(62Y, 62M, 62C, 62K), 노광 장치(63)(63Y, 63M, 63C, 63K), 및 현상 장치(64)(64Y, 64M, 64C, 64K)를 갖는다. 또한, 화상 형성부(102)는, 1차 전사 장치(66)(66Y, 66M, 66C, 66K) 및 감광체 클리너(65)(65Y, 65M, 65C, 65K)를 갖는다. 또한, 화상 형성부(102)는, 감광체(61Y, 61M, 61C, 61K)에 형성된 토너상이 1차 전사되는 중간 전사 벨트(67), 및 토너상을 중간 전사 벨트(67)로부터 시트(S)에 전사시키는 2차 전사 장치인 2차 전사 롤러(43)를 갖는다. 중간 전사 벨트(67)는, 걸침 롤러로서의 구동 롤러(68), 텐션 롤러(69) 및 내측 2차 전사 롤러(70) 등의 롤러에 의해 걸쳐지고, 도 1에 나타낸 화살표 R 방향(시계 방향)에 회전 구동(반송)된다. 또한, 화상 형성부(102)는, 토너상이 전사된 시트(S) 상에 화상을 정착시키는 정착기(45)를 갖는다.
시트 반송부(109)는, 시트 반송부(101)의 시트 반송 부재(35 내지 39)에 의해 반송된 시트(S)가 통과하는 시트 반송 경로인 공급 반송 경로(40, 41)를 갖는다. 또한, 시트 반송부(109)는, 중간 전사 벨트(67)와 2차 전사 롤러(43) 사이의 접촉부인 2차 전사부(2차 전사 닙)(N)에 시트(S)를 반송하는 레지스트 롤러 쌍(42)을 갖는다. 또한, 시트 반송부(109)는, 토너상이 전사된 시트(S)를 정착기(45)에 보내는 정착전 반송 벨트(44)를 갖는다. 정착기(45)의 하류에는, 내측 배출 롤러 쌍(46)이 설치되는 정착후 반송 경로(59)가 제공된다. 또한, 시트 반송부(109)는, 시트(S)의 (시트) 반송 방향에서 정착후 반송 경로(59)의 하류에 제공되는, 시트를 스위치백 방식으로 반송하는 반전부(85)를 갖는다. 정착후 반송 경로(59)와 반전부(85)는, 실질적으로 수평으로 연장되는 제1 수평 경로인 정착후 반송 경로(59)의 출구(제1 접속부)(59a)를 통해 서로 접속되어 있다.
반전부(85)는, 배출 반송 경로(51), 반전 유도 경로(52), 스위치백 경로(55) 및 반전 배출 경로(56)를 갖는다. 반송 방향에서의 그 상류 단부에서 정착후 반송 경로(59)와 접속되어 있는 배출 반송 경로(51)는, 화상이 형성된 시트(S)를 화상 형성 장치(1)로부터 배출하기 위해서 시트(S)를 안내하는 시트 반송 경로이다. 반송 방향에서의 그 상류 단부에서 정착후 반송 경로(59)와 접속되어 있는 반전 유도 경로(52)는, 정착후 반송 경로(59)로부터 분기한 시트 반송 경로이다. 스위치백 경로(55)는, 시트(S)를 뒤집고 반송 방향의 시트(S)의 선단부와 후단부를 반전시키기 위해서, 반전 유도 경로(52)를 통과한 시트(S)가 인입되는(당겨들어가는) 시트 반송 경로이다. 반전 배출 경로(56)는, 스위치백 경로(55)에 인입된 시트(S)를 화상 형성 장치(1)로부터 배출되도록 안내하는, 배출 반송 경로(51)에 합류하는 시트 반송 경로이다. 또한, 반전부(85)는, 스위치백 경로(55)를 따라 제공된 반송 부재인 상위 반전 롤러 쌍(53) 및 하위 반전 롤러 쌍(54)을 갖는다. 또한, 반전부(85)는, 정착기(45)로부터 배출된 시트(S)를 반송하는 반송 부재인 외측 배출 롤러 쌍(49)을 갖는다.
또한, 시트 반송부(109)는, 반전부(85)의 스위치백 경로(55)에서 반송 방향으로 반전된 시트(S)를 반송하는 시트 반송 경로인 양면(2면) 반송 경로(47)를 갖는다. 스위치백 경로(55)와 양면 반송 경로(47)는, 실질적으로 수평으로 연장되는 제2 수평 경로인 양면 반송 경로(47)의 입구(제2 접속부)(47a)를 통해 서로 접속되어 있다. 양면 반송 경로(47)는 공급 반송 경로(41)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시트 반송부(109)는, 양면 반송 경로(47)를 통과하는 시트(S)를 반송하는 반송 부재인 양면 롤러 쌍(48a 내지 48d)을 갖는다.
또한, 화상 형성 장치(1)에는 조작 화면(303)이 제공된다. 조작 화면(303)은, 화상 형성 장치(1)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 장치로서 기능할뿐만 아니라, 화상 형성 장치(1)에 다양한 설정값을 입력하는 입력 장치로서도 기능한다.
한편, 피니셔(80)는, 화상 형성 장치(1)로부터 배출된 시트(S)를 반송하는 버퍼 경로 유닛(181)과 버퍼 경로 유닛(181)에 의해 반송된 시트(S)를 처리하는 후처리 유닛(피니셔 주 조립체)(108)을 갖는다. 버퍼 경로 유닛(181)은 후처리 유닛(108)에 반송되는 시트(S)를 안내하는 시트 반송 경로인 버퍼 경로(81)를 갖는다. 버퍼 경로(81)는, 시트(S)의 반송 방향의 하류 측에서 화상 형성 장치(1)의 배출 반송 경로(51)에 접속된다. 또한, 피니셔(80)는, 후처리 유닛(108)에 의해 처리된 시트(S)가 배출되는 배출 적재부(83a 내지 83d)를 갖는다. 또한, 버퍼 경로 유닛(181)과 후처리 유닛(108)은 개별 유닛이며, 화상 형성 장치(1)는 버퍼 경로 유닛(181)을 통해 후처리 유닛(108)에 접속될 수도 있다.
2. 시트 반송 프로세스
시트(S)는, 시트 수납부(30 내지 34)에 적재되어 수납되고 있고, 각 시트 반송부(35 내지 39)에 의해, 화상 형성부(102)에서의 화상 형성 타이밍에 맞춰 반송된다. 각 시트 반송부(35 내지 39)에 의해 반송된 시트(S)는, 각 시트 반송 경로(40, 41)를 통과하고, 레지스트 롤러 쌍(42)에 반송된다.
반송된 시트(S)는 레지스트 롤러 쌍(42)에 부딪쳐 시트의 루프를 형성한다. 이에 의해, 시트(S)의 선단부가 레지스트 롤러 쌍(42)을 추종하게 되어, 시트(S)의 사행이 보정된다. 또한, 레지스트 롤러 쌍(42)은, 시트(S)의 사행을 보정한 후, 시트(S)에의 화상 형성 타이밍에 맞춰, 미리결정된 타이밍에서 시트(S)를 2차 전사부(N)에 송출한다. 즉, 레지스트 롤러 쌍(42)은, 상 담지체인 중간 전사 벨트(67) 상에 담지된 토너상이 2차 전사부(N)에 도달하는 타이밍에 맞춰, 시트(S)를 2차 전사부(N)에 반송한다.
2차 전사부(N)는, 중간 전사 벨트(67)를 통해 서로 대향하여 배치된 내측 2차 전사 롤러(70)와 2차 전사 롤러(43)에 의해 형성되며, 시트(S)에 토너상을 전사하는 닙부이다. 2차 전사부(N)에서, 미리결정된 가압력과 미리결정된 정전적 부하 바이어스를 부여함으로써, 시트(S) 상에 토너상이 전사(2차 전사)된다.
3. 화상 형성 프로세스
상술한 2차 전사부(N)까지의 시트 반송 프로세스와 동일한 타이밍에 행하여지는 화상 형성 프로세스에 대해서 설명한다. 회전하는 감광체(61)의 표면이 대전 장치(62)에 의해 균일하게 대전된다. 대전된 감광체(61)의 표면은 노광 장치(63)에 의해 주사 노광된다. 노광 장치(63)는 송출된 화상 정보 신호에 기초하여 구동된다. 이에 의해, 감광체(61) 위에 정전 잠상(정전 상)이 형성된다. 감광체(61) 상에 형성된 정전 잠상은, 현상 장치(64)에 의해 현상제로서의 토너를 사용하여 위치결정(시각화)된다. 이에 의해, 감광체(61) 상에 토너상이 형성된다. 감광체(61) 상의 토너상은, 1차 전사 장치(66)에 의해 미리결정된 가압력 및 미리결정된 정전적 부하 바이어스를 부여함으로써, 중간 전사 벨트(67) 상에 전사(1차 전사)된다. 1차 전사 단계 후에 감광체(61) 상에 약간 남은 토너(전사 잔류 토너)는, 감광체 클리너(65)에 의해 감광체(61)의 표면으로부터 제거되어서 회수된다.
풀컬러 화상의 형성 시에, 상술한 화상 형성 프로세스는 옐로우(Y), 마젠타(M), 시안(C) 및 블랙(K)의 각 색에 대해 수행된다. 그리고, 각 감광체(61)에 형성된 Y, M, C 및 K의 각 색의 토너상은, 중간 전사 벨트(67) 상에 중첩되어 전사된다. 이에 의해, 풀컬러 화상을 위한 토너상이 중간 전사 벨트(67) 상에 형성된다.
또한, 화상 형성 장치(1)는 블랙 등의 한가지 색의 단색 화상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4. 2차 전사 이후의 프로세스
전술한 바와 같이, 2차 전사부(N)에서, 중간 전사 벨트(67)로부터 시트(S) 상에 토너상이 전사(2차 전사)된다. 그 후, 시트(S)는 정착전 반송 벨트(44)에 의해 정착기(45)에 반송된다. 정착기(45)는, 서로 대향하여 제공된 롤러 또는 벨트에 미리결정된 가압력과, 히터 등의 열원에 의한 열에 의해, 시트(S) 상에 토너상을 정착(용융고착)시킨다.
화상이 정착된 시트(S)는, 정착후 반송 경로(59) 에서 내측 배출 롤러 쌍(46)에 의해 반송되어, 배출 반송 경로(51) 또는 반전 유도 경로(52)에 반송된다. 배출 반송 경로(51)와 반전 유도 경로(52) 사이의 분기부에, 시트(S)의 시트 반송 경로를 선택적으로 전환하는 전환 장치(도시하지 않음)가 제공된다. 시트(S)를 화상 형성 장치(1)로부터 배출하는 때에는, 배출 반송 경로(51)가 선택된다. 시트(S)가 뒤집히거나 시트(S)의 선단부와 후단부가 반전되고 시트(S)가 화상 형성 장치(1)로부터 배출되는 경우, 또는 양면 화상 형성에서 제2 면에 화상이 형성되는 경우, 반전 유도 경로(52)가 선택된다.
내측 배출 롤러 쌍(46)에 의해 배출 반송 경로(51) 내에서 반송된 시트(S)는, 외측 배출 롤러 쌍(49)에 의해 화상 형성 장치(1)로부터 배출된다. 배출 반송 경로(51)에는, 피니셔(80)의 버퍼 경로 유닛(181)에 제공된 버퍼 경로(81)가 접속되어 있다. 외측 배출 롤러 쌍(49)에 의해 반송된 시트(S)는 버퍼 경로(81)를 통해 후처리 유닛(108)으로 송출되며 원하는 바에 따라 후처리 유닛(108)에 의해 후처리된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시트(S)는 배출 적재부(83a 내지 83d)에 배출된다.
양면 화상 형성에서 제2 면에 화상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반전 유도 경로(52) 내에 반송된 시트(S)는, 상위 반전 롤러 쌍(53) 및 하위 반전 롤러 쌍(54)에 의해 스위치백 경로(55) 내에 인입된다. 하위 반전 롤러 쌍(54)의 회전 방향을 시트(S)의 인입 시의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전환함으로써, 스위치백 경로(55)에 인입된 시트(S)의 선단부와 후단부가 반송 방향에 대해 반전된다. 그리고, 시트(S)는, 하위 반전 롤러 쌍(54)에 의해 양면 반송 경로(47)에 반송된다. 그 후, 시트(S)는, 양면 롤러 쌍(48a 내지 48d)에 의해 양면 반송 경로(47) 내에 반송되고, 각 시트 반송 부재(35 내지 39)에 의해 반송되는 후속 시트(S)의 타이밍에 연속되면서 반송 경로(41)에 합류된다. 그리고, 시트(S)는, 레지스트 롤러 쌍(42)을 통해 2차 전사부(N)에 반송된다. 이면(제2 면)에 대한 화상 형성 프로세스에 관해서는, 정면(제1 면)의 경우에 따른 처리와 처리가 동일하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시트(S)가 뒤집힌 후 그리고 시트(S)의 선단부와 후단부가 반전된 후에 화상 형성 장치(1)로부터 배출되는 경우에는, 양면 화성 형성에서 제2 면에 화상이 형성되는 경우와 마찬가지로, 시트(S)는 반전 유도 경로(52)로부터 스위치백 경로(55)로 인입된다. 그 후, 상위 반전 롤러 쌍(53) 및 하위 반전 롤러 쌍(54)의 회전 방향이 시트(S)의 인입 시의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전환됨으로써, 시트(S)는 뒤집히고 반송 방향의 그 선단부와 후단부가 반전되어, 시트(S)가 스위치백 경로(55)로부터 배출된다. 시트(S)는, 반전 배출 경로(56)를 통해 외측 배출 롤러 쌍(49)에 의해 화상 형성 장치(1)로부터 배출되며, 전술한 바와 동일하게 피니셔(80)의 버퍼 경로(81)에 송출된다.
5. 반전부에서의 잼 처리를 위한 구성
잼이 발생한 경우에 반전부(85)에 체류하는 시트를 제거하기 위한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3은, 반전부(85)와 그 근방의 사시도이다. 도 3에서는, 반전부(85)의 구성을 이해하기 쉽게 하기 위해서, 피니셔(80)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또한, 화상 형성 시스템(100)(화상 형성 장치(1), 피니셔(80))에 대해서, 도 1의 지면의 전방측(면)이 "전방측(정면)"이고, 도 1의 지면의 후방측(면)이 "후방측(이면)"이다. 이 전후 방향은, 감광체(61)와 중간 전사 벨트(67)를 위한 걸침 롤러(68 내지 70)의 회전 축선 방향과 실질적으로 평행하다. 화상 형성 장치(1)의 전방측에는, 조작 화면(303)이 제공되어 있고, 유저나 서비스 담당자 등의 조작자는 통상 화상 형성 장치(1)의 전방측으로부터 화상 형성 시스템(100)의 조작을 행한다. 또한, 화상 형성 시스템(100)(화상 형성 장치(1), 피니셔(80))에 대해서, 좌우 방향은 화상 형성 시스템(100)을 전방측으로부터 본 경우의 좌우 방향이다. 화상 형성 시스템(100)은, 통상, 상기 전후 방향이 실질적으로 수평 방향(중력 방향과 실질적으로 직교하는 방향)이 되도록 제공되고 사용된다. 또한, 상하 방향은, 중력 방향(연직 방향)에서의 상하 방향이지만, (곧) 바로 위 및 (곧) 바로 아래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고, 대상으로 하는 요소 또는 위치를 통과하는 수평면에 관한 상측 및 하측을 포함하는 것이다.
화상 형성 장치(1)의 좌측, 즉 반전부(85)에 인접하는 측면에는, 반전부(85)의 시트 반송 경로 및 반송 부재를 노출시킬 수 있도록, 개방가능 부재로서의 반전 도어(57)가 제공된다. 반전 도어(57)는, 시트 반송 장치(2)에서의 시트(S)를 안내하는 시트 반송 경로의 적어도 일부를, 화상 형성 장치(1)의 외부에 노출시키는 개방가능 부재의 일례이다. 반전 도어(57)는, 화상 형성 장치(1)의 후방측에 제공된 힌지부(94)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화상 형성 장치(1)의 장치 주 조립체(4)(본 실시예에서는 장치 주 조립체(4)의 프레임)에 지지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반전 도어(57)는, 힌지부(94)의 실질적 중력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되는 회전 중심(회전 축선)(93)의 둘레를 회전한다. 즉, 반전 도어(57)는, 화상 형성 장치(1)의 후방측에 위치하는 회전 중심(93)의 둘레를 실질적으로 수평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와 같이, 개방가능 부재는, 전형적으로는, 시트 반송 경로에서 반송되는 시트의 면과 실질적으로 직교하는 평면과 실질적으로 평행한 회전 중심 둘레를 회전하여 개방 및 폐쇄된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개방가능 부재는, 실질적 중력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회전 중심 둘레를 회전하여 개방 및 폐쇄된다.
반전 도어(57)는, 상위 반전 롤러 쌍(53)의 하나의 롤러와 하위 반전 롤러 쌍(54)의 하나의 롤러를 보유지지하고 있다. 반전 도어(57)의 내면은, 스위치백 경로(55) 및 반전 유도 경로(52)를 형성하는 반송 가이드면(가이드부)(60)을 구성하고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시트 반송 장치(2)는, 시트 반송 경로로서, 화상 형성부(102)에 의해 화상이 형성된 시트(S)를 배출하기 위한 제1 경로를 갖는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시트 반송 장치(2)는, 시트 반송 경로로서, 뒤집히고 반송 방향의 그 선단부와 후단부가 반전되도록 하기 위해서 시트(S)가 인입되며, 제1 경로로부터 분기되는 제2 경로를 갖는다. 본 실시예에서는, 배출 반송 경로(51)는 제1 경로를 구성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반전 유도 경로(52), 스위치백 경로(55), 및 반전 배출 경로(56)는 제2 경로를 구성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개방가능 부재로서의 반전 도어(57)의 가이드부(60)는 상술한 제2 경로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반전 도어(57)를 회전시켜서 개방함으로써, 상위 반전 롤러 쌍(53) 및 하위 반전 롤러 쌍(54) 각각을 구성하는 롤러를 서로로부터 이격시킬뿐만 아니라 반전 유도 경로(52) 및 스위치백 경로(55)를 개방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반전 도어(57)를 회전시켜서 개방함으로써, 배출 반송 경로(51), 반전 유도 경로(52), 스위치백 경로(55), 반전 배출 경로(56), 또는 양면 반송 경로(47)에 체류하고 있는 시트(S)를 제거(잼 처리)할 수 있는 상태가 형성된다.
반전 도어(57)는, 반전 도어(57)를 폐쇄 위치에서 잠그기 위한 잠금 기구(201)를 갖는다. 잠금 기구(201)는, 반전 도어(57)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제공된 훅 축(202)과, 훅 축(202)에 고정된 훅(92) 및 손잡이(91)(도 4)를 갖는다. 훅(92)은, 장치 주 조립체(4)에 제공된 위치결정 핀(도시하지 않음)과 걸림결합함으로써 반전 도어(57)를 폐쇄 위치에 잠근다. 훅(92)은, 조작자가 손잡이(91)를 조작하여 훅 축(202)을 걸림결합해제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위치결정 핀으로부터 걸림결합해제될 수 있다. 한편, 반전 도어(57)를 닫으면, 훅(92)이 자동으로 위치결정 핀에 걸림결합되어, 잠금이 이루어진다.
여기서, 잼 처리를 실행하기 위한 반전 도어(57)의 개방 조작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피니셔(80)의 버퍼 경로 유닛(181)에 제공된 전방측 외측 케이싱(209)을 개방한 상태에서 행하여진다. 이때, 반전 도어(57)의 상방부에 버퍼 경로(81)가 배치되고, 반전 도어(57)의 좌측에 후처리 유닛(108)이 배치된다. 버퍼 경로 유닛(181)의 후방측은, 측판과 외측 케이싱(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덮여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화상 형성 장치(1)에 피니셔(80)가 장착된 상태에서도, 반전 도어(57)는 개방가능하게 유지되어 있다. 그러나, 반전 도어(57)의 좌측에 후처리 유닛(108)이 존재하기 때문에, 반전 도어(57)의 개폐 각도(회전가능 각도)는 약 30도로 제한되어, 반전 도어(57)를 개방했을 때에 잼 처리가 행해지는 공간(조작 공간)이 좁아진다. 또한, 반전 도어(57)의 상방 및 좌측에 피니셔(80)의 요소가 있기 때문에, 반전 도어(57)의 개방 공간에는 실질적으로 전방측으로부터의 광만이 들어게 된다.
한편,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상 형성 장치(1)에 피니셔(80)가 장착되어 있지 않을 때에는, 화상 형성 장치(1)의 반전부(85)에 인접하는 측면에 제공된 배출 트레이(50) 상에 화상이 형성된 시트(S)가 배출된다. 이 상태에서는, 반전 도어(57)는 수평 방향으로 약 90도만큼 개방될 수 있다. 또한, 반전 도어(57)의 개방 공간의 둘레에는, 실질적으로 광을 차단하는 부재가 없기 때문에, 반전 도어(57)의 개방 공간은 충분히 밝혀진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시트 반송 장치(2)로부터 시트(S)를 수취하는 피니셔(80)가 화상 형성 장치(1)에 임의로 장착가능할 수 있다. 또한, 화상 형성 장치(1)의 반전 도어(57)는, 화상 형성 장치(1)에 피니셔(80)가 장착된 상태에서 개방가능하다. 또한, 반전 도어(57)는, 화상 형성 시스템(100)의 주위의 환경 광 상태가 실질적으로 동일한 경우, 화상 형성 장치(1)에 피니셔(80)가 장착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보다 화상 형성 장치(1)에 피니셔(80)가 장착되어 있는 상태에서 반전 도어(57)를 개방했을 때의 개방 공간이 어두워지는 위치에 배치된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반전 도어(57)의 개폐 각도는, 화상 형성 장치(1)에 피니셔(80)가 장착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보다 화상 형성 장치(1)에 피니셔(80)가 장착되어 있는 상태에서 더 작다.
6. 조명(라이팅) 장치
본 실시예에서의 반전 도어(57)의 개방 공간을 조명(라이팅)하는 조명(라이팅) 장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피니셔(80)가 화상 형성 장치(1)에 장착된 상태에서는, 반전 도어(57)의 개폐 각도가 제한되고, 반전 도어(57)의 개방 공간에는 전방측으로부터의 광만이 들어가기 때문에, 시트 반송 경로에 체류하고 있는 시트(S)를 인식하기가 쉽지 않다. 즉, 피니셔(80)가 장착된 상태에서는, 반전 도어(57)의 개방 공간의 주위가 피니셔(80) 및 반전 도어(57)에 의해 부분적으로 둘러싸이기 때문에 어두워지지고, 그래서 시트 반송 경로에 체류하고 있는 시트(S)의 시인성이 저하된다. 그 결과, 잼 처리가 행해지기 쉽지 않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상 형성 장치(1)는, 반전 도어(57)를 개방할 때에 화상 형성 장치(1)의 외부에 노출되는 적어도 시트 반송 경로를 조명하는, 반전 도어(57)에 제공된 조명 장치(3)를 갖는다.
도 10은, 반전 도어(57)의 전후 방향 사시도이며, 조명 장치(3)의 배치를 나타내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반전 도어(57)는, 시트 반송 경로의 적어도 일부로서, 반전 유도 경로(52)와 스위치백 경로(55)를 형성하는 가이드부(60)를 갖는다. 또한, 가이드부(60)와 반전 도어(57)의 외면을 형성하는 도어 외측 케이싱(57b) 사이에 공간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 공간에서, 상세하게는 도어 외측 케이싱(57a)의 가이드부(60) 측의 측면에, 조명 장치(3)가 배치된다. 즉, 조명 장치(3)는, 가이드부(60)와 반전 도어(57)의 화상 형성 장치(1)의 외측에 면하는 외면(57c) 사이에 배치된다. 이와 같이, 조명 장치(3)를 가이드부(60)의 내측에 배치함으로써, 시트(S)의 반송에 악영향이 미치지 않는다. 또한, 반전 도어(57)를 개방하는 것에 의해 개방 공간에 조명 장치(3)가 노출되지 않기 때문에, 체류하고 있는 시트(S)의 제거에 조명 장치(3)가 방해되지 않는다. 또한, 반송 가이드(가이드부)(60)에는, 정착을 통해 시트(S)를 가열함으로써 발생하는 수증기의 소산을 허용하는 구멍(60a)이 제공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 구멍(60a)을, 조명 장치(3)의 광을 투과하는 투광부로서 사용하고, 이 구멍(60a)을 통해서 조명 장치(3)의 광을 양면 반송 경로(47) 등에 조명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반전 도어(57)가 폐쇄된 상태에서의 반전 도어(57)의 외면을 조명하는 제2 조명 장치로서, 손잡이(91)를 조명하는 손잡이용 조명 장치(33)가 제공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손잡이(91)는, 반전 도어(57)의 외면을 형성하는 도어 외측 케이싱(57b)에 제공된 오목부 내에 제공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손잡이용 조명 장치(33)는, 손잡이(91)의 상방에 배치되어 있고, 손잡이용 조명 장치(33)의 광으로 오목부(57a)의 공간을 조명함으로써 손잡이(91)를 조명한다. 이때, 오목부(57a)의 내측 및 외측을 구성하는 반전 도어(57)의 외면이 손잡이용 조명 장치(33)로부터의 광에 의해 조명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조명 장치(3)와 손잡이용 조명 장치(33)와 관련하여, 광원으로서, LED(발광 다이오드)를 사용한 LED 라이팅 장치가 사용된다. 조명 장치(3)와 손잡이용 조명 장치(33)의 광원은 LED(라이팅 장치)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백열등, 형광등 등일 수도 있다. 그러나, 소비 전력이 적고, 비교적 소형인 것 등의 관점에서, LED가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반전 도어(57)를 개방할 때에, 배출 반송 경로(51), 반전 유도 경로(52), 스위치백 경로(55), 반전 배출 경로(56), 및 양면 반송 경로(47) 각각의 적어도 일부가 화상 형성 장치(1)의 외부에 노출되어, 조작자가 각각의 시트 반송 경로에 접근하게 된다. 그로 인해, 본 실시예에서는, 장치 주 조립체(4) 측의 관련된 시트 반송 경로에 체류하고 있는 시트(S)에 광이 조명되도록, 조명 장치(3)는 반전 도어(57) 측에 배치된다.
반전 도어(57)에 제공된 조명 장치(3)가 점등되어, 반전 도어(57)의 개방 공간을 비추어(조명하여), 관련된 시트 반송 경로에 체류하고 있는 시트(S)의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잼 처리의 조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반전 도어(57) 측에 조명 장치(3)를 제공하는 이유는, 복수의 시트 반송 경로에 체류하고 있는 시트(S)를 함께 조명할 수 있고, 시트 반송 경로 각각마다 조명 장치를 제공하는 구성과 비교하여, 조명 장치(3)의 제공이 전력 절약 및 부품 개수의 절감으로 연결되기 때문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배출 반송 경로(51)와 반전 유도 경로(52) 사이의 분기점(합류점), 즉 정착후 반송 경로(59)의 출구(59a)가 장치 주 조립체(4)의 좌측 측면에 대하여 깊숙한 위치에 있어서 어두워지기 쉽다. 그로 인해, 본 실시예에서는, 그 분기점의 근방을 충분히 조명하도록, 조명 장치(3)는 그 분기점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높이(그보다 다소 하방)에 배치된다. 그 위치로부터 광을 조사함으로써, 광은 방사상으로 확산되어, 양면 반송 경로(47)의 입구(47a) 및 반전 배출 경로(56)에 체류하고 있는 시트(S)도 광으로 조명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반전 도어(57)의 가이드부(60)에 의해 형성되는 시트 반송 경로(스위치백 경로(55) 및 반전 유도 경로(52))는 연직방향으로 연장된다. 연직방향으로 연장되는 시트 반송 경로 및 실질적으로 수평으로 연장되는 시트 반송 경로인 정착후 반송 경로(제1 수평 경로)(59)는 정착후 반송 경로(59)의 출구(제1 접속부)(59a)에서 서로 접속된다. 또한, 연직방향으로 연장되는 시트 반송 경로 및 실질적으로 수평으로 연장되는 시트 반송 경로인 양면 반송 경로(제2 수평 경로)(47)는 양면 반송 경로(47)의 입구(제2 접속부(47a)에서 서로 접속된다. 또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반전 도어(57)가 개방되면, 양면 반송 경로(47)의 입구(47a) 및 정착후 반송 경로(59)의 출구(59a)가 노출된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서는, 높이 방향에서의 조명 장치(3)의 위치는, 양면 반송 경로(47)의 입구(47a)와 정착후 반송 경로(59)의 출구(59a) 사이에 있다. 그로 인해, 조명 장치(3)는, 양면 반송 경로(47)의 입구(47a)와 정착후 반송 경로(59)의 출구(59a)의 양쪽 모두를 효과적으로 조명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조명 장치(3)의 전후 방향 위치는 다음과 같이 설정되어 있다. 도 6은, 반전 도어(57)를 개방한 상태에서의 반전 도어(57) 및 그 근방을 위에서 본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조명 장치(3)는, 화상 형성 장치(1) 내에서의 시트(S)의 반송 방향과 실질적으로 직교하는 방향에서, 시트 반송 경로(예를 들어, 배출 반송 경로(51), 스위치백 경로(55))의 중심(반송 경로 중심)(99)보다 반전 도어(57)의 회전 중심(93)에 가까운 측에 배치된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조명 장치(3)는, 화상 형성 장치(1) 내에서의 시트(S)의 반송 방향과 실질적으로 직교하는 방향에서, 반송 경로 중심(99)에 대해 화상 형성 장치(1)의 후방측에 배치된다. 또한, 조명 장치(3)는, 전후 방향(시트(S)의 반송 방향과 실질적으로 직교하는 방향)에서, 최대 사이즈의 시트(S)의 폭(도 6의 A) 내에 배치된다. 즉, 조명 장치(3)는, 화상 형성 장치(1) 내에서의 시트(S)의 반송 방향과 실질적으로 직교하는 방향에서, 화상 형성 장치(1)에 의해 화상을 형성할 수 있는 기록재(S) 중, 동일 방향의 폭이 최대인 기록재(S)의 반송 궤적의 폭 내측에 배치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조명 장치(3)는, 그 광축(광로 중심)(31)이 반송 경로 중심(99)의 근방을 향하게 연장되도록 배치된다. 상세하게는, 조명 장치(3)의 광축(31)은 다음과 같은 방향으로 연장된다. 즉, 이때, 조명 장치(3)의 광축(31)은, 반송 경로 중심(99) 또는 반송 경로 중심(99)에 대해 반전 도어(57)의 회전 중심 측을 향해 연장된다.
이와 같이, 조명 장치(3)를 반송 경로 중심(99)보다 회전 중심(93)에 가까운 측에 배치함으로써, 반전 도어(57)를 개방하여 개방 공간에서 잼 처리를 행할 때에, 개방 각도(α)에 관계없이 반송 경로 중심(99)의 근방을 광으로 조명할 수 있다.
조명 장치(3)를 반송 경로 중심(99)보다 전방 측에 가까운 측에 배치하는 경우에는, 반전 도어(57)의 개방 시의 개방 각도(α)의 증가에 수반하여 조명 장치(3)의 광축(31)은 반송 경로 중심(99)으로부터 전방 측(전방 방향)을 향해 이동한다. 광축(31)의 어긋남량은, 조명 장치(3)를 반송 경로 중심(99)보다 회전 중심(93)에 가까운 측에 배치하는 경우에서보다 이 경우에 더 크다. 따라서, 예를 들어 잼 처리 시에 반전 도어(57)와의 접촉에 의해 반전 도어(57)의 개방 각도(α)가 변화되는 경우, 조명 장치(3)의 광축(31)이 시트 반송 경로에 체류하고 있는 시트(S)로부터 벗어나서 작업성이 저하되는 것이 생각된다.
또한, 조명 장치(3)가 반송 경로 중심(99)보다 회전 중심(93)에 가까운 측에 있는 경우, 즉 조명 장치(3)가 어두워지기 쉬운 부분에 가까운 위치에 있는 경우에, 반전 도어(57)의 개방 공간의 전체를 조명 장치(3)에 의해 보다 만족스럽게 조명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시트 반송 경로에 체류하고 있는 시트의 불완전한 제거를 방지할 수 있다.
7. 조명 장치의 점등 시퀀스
도 7을 참조하여 조명 장치(3)의 점등 및 소등의 제어 흐름을 설명한다. 이 제어는, 화상 형성 장치(1)에 내장된 제어부로서의 CPU(301)(도 2)에 의해 실행된다.
먼저, CPU(301)는, 잼 검지 신호가 입력되면(S100), 반전부(85)에 시트(S)가 존재하는 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101). 잼 검지 신호는, 예를 들어 잼 검지 수단으로서의 시트(S)의 배출 타이밍을 감시하는 장치로부터 CPU(301)에 입력된다. 또한, CPU(301)는, 반전부(85)에 제공된 시트 유무 검지 수단으로서의 시트 유무 센서(302)(도 3)의 출력에 기초하여, 반전부(85)의 시트(S)의 유무를 판단한다. CPU(301)가 반전부(85)에 시트(S)가 있지(존재하지) 않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CPU(301)는 반전부(85)에서의 잼 처리를 실행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처리(시퀀스)를 종료한다. 한편, CPU(301)가 반전부(85)에 시트(S)가 존재한다고 판단했을 경우에는, CPU(301)는 조명 장치(3) 및 손잡이용 조명 장치(33)를 점등시켜(S102), 조작 화면(303)에 반전 도어(57)를 개방시키는 지시를 표시한다(S103). CPU(301)는, 잼 처리 후, 장치 주 조립체(4)에 제공된 개폐 검지 수단으로서의 개폐 센서(304)(도 3)에 의해 반전 도어(57)의 폐쇄가 검지되면(S104), 다시 반전부(85)의 시트(S)의 유무를 판단한다(S105). 그리고, CPU(301)는, 시트(S)가 제거되어 있으면, 조명 장치(3) 및 손잡이용 조명 장치(33)를 소등시켜(S106), 처리를 종료한다.
또한, 조명 장치(3) 및 손잡이용 조명 장치(33)의 점등 및 소등의 제어는, 필요한 부분만 광에 의해 조명되는 변형예에서와 같이 실행될 수도 있다. 도 9는, 이 변형예에서의 CPU(301)에 의해 실행되는 점등 제어의 흐름을 나타낸다.
CPU(301)는, 잼 검지 신호가 입력되면(S200), 반전부(85)에 시트(S)가 체류(잼)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S201), 시트(S)가 체류하고 있으면(S201의 예), CPU(301)는 외측 케이싱(209)이 개방된 것이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202). 여기서, 버퍼 경로 유닛(181)에 제공된 외측 케이싱(209)의 개폐 검지는 개폐 센서(82)(도 4)에 의해 행해진다. 또한, 외측 케이싱(209)이 개방될 때까지, 조작 화면(303)에서, 외측 케이싱(209)을 개방하는 것을 조작자에게 촉구하는 표시가 행하여 진다. CPU(301)는, 외측 케이싱(209)이 개방되면(S202의 예) 손잡이용 조명 장치(33)를 점등시킨다(S203). 그 후, CPU(301)는, 외측 케이싱(209)이 폐쇄된 것인지의 여부를 판단하고(S204), 외측 케이싱(209)이 폐쇄되어 있으면(S204의 예), CPU(301)는 손잡이용 조명 장치(33)를 소등시키고(S210), 시퀀스는 S201의 처리로 이행한다. 한편, CPU(301)는, 외측 케이싱(209)이 폐쇄되어 있지 않으면(S204의 아니오), 반전 도어(57)가 개방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205). 또한, 외측 케이싱(209)의 개방되고 나서 반전 도어(57)가 개방될 때까지, 조작 화면(303)에서, 반전 도어(57)를 개방하는 것을 조작자에게 촉구하는 표시가 행하여진다.
그리고, CPU(301)는, 반전 도어(57)가 개방되면(S205의 예), 손잡이용 조명 장치(33)를 소등시키고 조명 장치(3)를 점등시킨다(S206). 이어서, CPU(301)는, 반전 도어(57)가 개방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S207), 반전 도어(57)가 폐쇄되어 있으면(S207의 아니오), CPU(301)는 반전부(85)에 시트(S)가 체류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208). CPU(301)는, 반전부(85)에 시트(S)가 체류하고 있지 않으면(S208의 아니오), 조명 장치(3)를 소등시키고(S209), 처리(시퀀스)를 종료한다. 한편, CPU(301)는, 반전부(85)에 시트(S)가 체류하고 있으면(S208의 예), S202의 처리로 시퀀스를 이행시키고, 외측 케이싱(209)이 개방되어 있으면(S202의 예), CPU(301)는 다시 손잡이용 조명 장치(33)를 점등시킨다.
또한, 조명 장치(3) 및 손잡이용 조명 장치(33)는, 조작 화면(303) 등에 별도로 제공된 스위치에 의해, 원하는 바에 따라 수동으로 점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정기적인 청소, 부품 교환 등 시에, 서비스 담당자가 조명 장치(3)를 임의로 점등시킬 수 있어, 조명 장치 등을 별도로 준비하지 않아도 작업을 행할 수 있다.
또한, 화상 형성 장치(1)에 피니셔(80)가 장착되어 있는 경우에 조명 장치(3) 및 손잡이용 조명 장치(33)를 점등시킬 수 있고, 화상 형성 장치(1)에 피니셔(80)가 장착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조명 장치(3)를 점등시키지 않는 구성을 채용할 수도 있다. 이 경우, CPU(301)는, 예를 들어 그 자신과 피니셔(80) 사이의 통신의 유무에 따라 피니셔(80)의 유무를 판단하고, CPU(301)가 피니셔(80)가 있다(존재한다)고 판단한 후에 잼 검지 신호가 입력된 경우에, CPU(301)는 도 7의 S101 내지 S106의 처리와 동일한 처리를 행한다. 또한, CPU(301)가 피니셔(80)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단한 후에 잼 검지 신호가 입력된 경우에는, CPU(301)는, S102에서의 조명 장치(3)의 점등 처리 및 S106에서의 조명 장치(3)의 소등 처리를 행하지 않는 것을 제외하고, S101 내지 S106의 처리와 동일한 처리를 실행하면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화상 형성 장치(1)는, 잼 처리를 위해서 개폐되는 반전 도어(57)를 개방함으로써 접근가능한 시트 반송 경로(예를 들어, 배출 반송 경로, 스위치백 경로(55))의 적어도 일부를 조명하는 조명 장치(3)를 갖는다. 이에 의해, 반전 도어(57)의 개방 공간을 광으로 조명하여, 시트 반송 경로에 체류하고 있는 시트(S)의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조명 장치(3)를 회전 중심(93)의 근방에 배치함으로써, 반전 도어(57)의 개방 각도(α)에 따른 조명 장치(3)의 조사 위치의 변화 정도를 저감하여, 반전 도어(57)의 개방 각도(α)에 관계없이 시트 반송 경로에 체류하고 있는 시트(S)의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른 실시예]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특정 실시예에 기초하여 설명되었지만,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상술한 실시예에서, 반전 도어의 가이드부에 제공된 투광부로서, 가이드부에 제공된 구멍이 설명되었지만, 투광부는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조명 장치의 광이 충분히 투과되어 투광 부재를 충분히 통과하게 되는 투광 부재가 투광 부재로서 사용될 수도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옵션 유닛은, 화상 형성 장치의 시트가 배출되는 측면에 접속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화상 형성 장치(1)의 우측 측면에 인접하도록, 화상 형성 장치(1)에 시트를 반송하는 시트 반송 장치를 옵션 유닛으로서 접속하는 것이 생각된다. 이 경우에도, 화상 형성 장치(1)의 우측 측면에 옵션 유닛이 장착된 상태에서도 개방가능하게 유지되는, 예를 들어 화상 형성 장치(1) 내의 시트 반송부(101)의 시트 반송 경로 및 반송 부재를 노출시키는, 개방가능 부재가 제공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에도, 그 개방가능 부재에 대해 본 발명을 적용함으로써, 상술한 실시예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화상 형성 장치에 제공된 개방가능 부재를 잼 처리를 위해서 개폐할 경우에 대해서 설명했다. 옵션 유닛이, 예를 들어 화상 형성 장치의 시트가 배출되는 측면에 인접하여 접속되는 경우에는, 시트 배출부의 근방의 시트 반송 경로 및 반송 부재가 어두워지므로, 본 발명이 매우 효과적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잼 처리를 위해 전용되는 개방가능 부재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화상 형성 장치의 교환 부품의 교환 및 화상 형성 장치 내의 청소 등을 위해 개폐되는 개방가능 부재 등의 임의의 개방가능 부재에 적용될 수도 이다.
또한, 조명 장치는 상술한 바와 같이 개방가능 부재에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그러나, 조명 대상이 조명 장치에 의해 충분히 조명되는 경우, 조명 장치는 원하는 바에 따라 화상 형성 장치의 장치 주 조립체 측 또는 옵션 유닛 측에 제공될 수도 있다.
즉, 화상 형성 시스템은, 전형적으로는, 시트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 장치와, 화상 형성 장치에 의해 화상이 형성된 후 화상 형성 장치로부터 배출되는 시트가 반송되는, 화상 형성 장치에 착탈가능하게 접속된 후처리 장치를 갖는다. 또한, 화상 형성 시스템은, 화상 형성 장치와 후처리 장치 사이의 공간에서 개폐되는, 화상 형성 장치에 제공된 개방가능 부재와, 개방가능 부재를 개방했을 때의 개방 공간을 조명하는, 개방가능 부재에 제공된 조명 장치를 갖는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예시적인 실시예를 참고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개시된 예시적인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음을 이해해야 한다. 이하의 청구항의 범위는 이러한 모든 변형 및 동등한 구조와 기능을 포함하도록 최광의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8)

  1. 화상 형성 장치이며,
    주 조립체와,
    시트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부와,
    상기 주 조립체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개방가능 부재와,
    상기 개방가능 부재에 제공되고, 구멍을 구비한 제1 반송 가이드와,
    상기 주 조립체에 제공된 제2 반송 가이드로서, 상기 개방가능 부재가 폐쇄되는 경우, 상기 제1 및 제2 반송 가이드에 의해 상기 시트를 반송하는 시트 반송 경로가 형성되는, 제2 반송 가이드와,
    상기 개방가능 부재가 개방될 때에, 상기 제2 반송 가이드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구멍을 통해 조명하는, 상기 제1 반송 가이드와 상기 개방가능 부재의 외면 사이에 제공된 조명 장치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 장치는 상기 제1 반송 가이드와 상기 개방가능 부재 사이에 배치되는, 화상 형성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반송 경로는, 상기 화상 형성부에 의해 화상이 형성된 시트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 반송 경로와, 상기 화상 형성부에 의해 화상이 형성된 시트를 뒤집기 위해서 시트가 인입되는, 상기 배출 반송 경로로부터 분기되는 스위치백 경로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반송 가이드는 상기 배출 반송 경로 및 상기 스위치백 경로의 일부를 형성하는, 화상 형성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형성 장치에는, 상기 시트 반송 경로로부터 배출된 시트를 수취하는 옵션 유닛이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개방가능 부재는, 상기 화상 형성 장치에 상기 옵션 유닛이 장착된 상태에서 개방가능하고, 상기 개방가능 부재를 개방했을 때의 개방 공간은, 상기 옵션 유닛이 장착되지 않은 상태에서보다 상기 옵션 유닛이 장착된 상태에서 더 어두운, 화상 형성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 장치는, 상기 화상 형성 장치에 상기 옵션 유닛이 장착되어 있을 때만 상기 시트 반송 경로를 조명하는, 화상 형성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옵션 유닛은, 상기 화상 형성부에 의해 화상이 형성된 시트의 컬 상태(curled state)를 보정하는 디컬링(decurling) 유닛인, 화상 형성 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옵션 유닛은, 상기 화상이 형성된 시트를 바인딩(binding) 처리하는 바인딩 처리 유닛인, 화상 형성 장치.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가능 부재의 개폐 각도는, 상기 화상 형성 장치에 상기 옵션 유닛이 장착되지 않은 상태에서보다 상기 옵션 유닛이 장착된 상태에서 더 작은, 화상 형성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형성 장치의 후방측에 제공된 힌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개방가능 부재는, 상기 힌지부의 실질적인 중력 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 중심의 둘레를 회전하는, 화상 형성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 장치는, 상기 화상 형성 장치 내에서의 시트 반송 방향과 실질적으로 직교하는 방향에서, 상기 시트 반송 경로의 중심보다 상기 회전 중심에 더 가까운 측에 배치되는, 화상 형성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 장치는, 상기 시트 반송 경로에서 시트의 잼(jam)이 검지되었을 경우에 상기 제2 반송 가이드를 조명하는, 화상 형성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 장치는, 상기 개방가능 부재가 개방된 경우에 상기 제2 반송 가이드를 조명하는, 화상 형성 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 장치는, 시트 반송 방향과 실질적으로 직교하는 방향에서, 최대 사이즈의 시트의 폭 내에 배치되는, 화상 형성 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가능 부재는, 상기 화상 형성 장치의, 시트가 배출되는 측면에 제공되는, 화상 형성 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가능 부재에 제공된 손잡이와,
    상기 개방가능 부재가 폐쇄된 상태에서 상기 손잡이를 조명하는 제2 조명 장치를 더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가능 부재의 개방에 따라, 상기 조명 장치가 점등되고 상기 제2 조명 장치가 소등되는, 화상 형성 장치.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상에 전사된 토너상을 가열 및 정착시키는 정착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구멍은, 상기 시트가 상기 정착기에 의해 가열됨으로써 발생되는 수증기를 소산시키는, 화상 형성 장치.
  18. 시트 반송 장치이며,
    주 조립체와,
    상기 주 조립체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개방가능 부재와,
    상기 개방가능 부재에 제공되고, 구멍을 구비한 제1 반송 가이드와,
    상기 주 조립체에 제공된 제2 반송 가이드로서, 상기 개방가능 부재가 폐쇄되는 경우, 상기 제1 및 제2 반송 가이드에 의해 상기 시트를 반송하는 시트 반송 경로가 형성되는, 제2 반송 가이드와,
    상기 개방가능 부재가 개방될 때에, 상기 제2 반송 가이드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구멍을 통해 조명하는, 상기 제1 반송 가이드와 상기 개방가능 부재의 외면 사이에 제공된 조명 장치를 포함하는, 시트 반송 장치.
KR1020170017367A 2016-02-09 2017-02-08 화상 형성 장치 및 시트 반송 장치 KR10209844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023046 2016-02-09
JP2016023046 2016-02-09
JPJP-P-2016-137176 2016-07-11
JP2016137176A JP6849332B2 (ja) 2016-02-09 2016-07-11 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形成システ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4513A KR20170094513A (ko) 2017-08-18
KR102098445B1 true KR102098445B1 (ko) 2020-04-07

Family

ID=596290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7367A KR102098445B1 (ko) 2016-02-09 2017-02-08 화상 형성 장치 및 시트 반송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6849332B2 (ko)
KR (1) KR102098445B1 (ko)
PH (1) PH12017000035A1 (ko)
RU (1) RU2663097C1 (ko)
SG (1) SG10201700970U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632595B2 (ja) * 2017-12-14 2020-01-22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ート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EP3904113B1 (en) 2018-12-27 2023-10-11 Horizon International Inc. Bookbinding processing system
JP7476666B2 (ja) 2020-05-25 2024-05-01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搬送ガイドユニット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41454A (ja) * 2002-02-14 2003-08-27 Konica Corp 画像形成装置
US20040213590A1 (en) 2003-04-28 2004-10-28 Schroath Leonard T. Printing device and method for locating a media jam
JP2006350223A (ja) * 2005-06-20 2006-12-28 Seiko Epson Corp 画像形成装置、ジャム処理方法及びそのプログラム
US20070014580A1 (en) 2005-07-18 2007-01-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Image forming apparatus and paper error indicating method for the same
JP2009179441A (ja) 2008-01-31 2009-08-13 Kyocera Mita Corp 画像形成装置
JP2011011838A (ja) * 2009-06-30 2011-01-20 Canon Inc シート搬送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92844A (ja) * 1991-09-30 1993-04-16 Ricoh Co Ltd 紙搬送装置
JP3607807B2 (ja) * 1998-01-05 2005-01-05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JP4062402B2 (ja) * 2001-03-30 2008-03-19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シート搬送装置
US6658218B2 (en) * 2001-12-28 2003-12-02 Xerox Corporation Illuminated components for guiding maintenance and repair sequence
JP4090935B2 (ja) * 2003-04-17 2008-05-28 シャープ株式会社 外装カバーおよびそ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と制御システム
JP5246196B2 (ja) * 2010-03-30 2013-07-24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5982814B2 (ja) * 2011-12-21 2016-08-31 株式会社リコー 後処理装置、画像形成装置および画像形成システム
JP2015094809A (ja) * 2013-11-11 2015-05-18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41454A (ja) * 2002-02-14 2003-08-27 Konica Corp 画像形成装置
US20040213590A1 (en) 2003-04-28 2004-10-28 Schroath Leonard T. Printing device and method for locating a media jam
JP2006350223A (ja) * 2005-06-20 2006-12-28 Seiko Epson Corp 画像形成装置、ジャム処理方法及びそのプログラム
US20070014580A1 (en) 2005-07-18 2007-01-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Image forming apparatus and paper error indicating method for the same
JP2009179441A (ja) 2008-01-31 2009-08-13 Kyocera Mita Corp 画像形成装置
JP2011011838A (ja) * 2009-06-30 2011-01-20 Canon Inc シート搬送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SG10201700970UA (en) 2017-09-28
PH12017000035A1 (en) 2018-07-16
RU2663097C1 (ru) 2018-08-01
JP2017142478A (ja) 2017-08-17
JP6849332B2 (ja) 2021-03-24
KR20170094513A (ko) 2017-08-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045271B (zh) 成像装置和片材供给设备
KR102098445B1 (ko) 화상 형성 장치 및 시트 반송 장치
JP2011043578A (ja) 画像形成装置
JP2007047571A (ja) 画像形成装置
JP2008105791A (ja) 画像形成装置
JP2011232427A (ja) 定着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6685746B2 (ja) 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形成システム
JP2004317940A (ja) 搬送ユニット及び画像形成装置及びその画像形成装置の前側板フレーム構造
JP2016218312A (ja) 画像形成装置
JP4463258B2 (ja) 両面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5549312B2 (ja) 定着装置、片面用画像形成装置及び両面用画像形成装置
JP2011237733A (ja) 画像形成装置
US20240077197A1 (en) Sheet conveyance apparatus, image form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system
JP2005162492A (ja) 画像形成装置
JP2001235905A (ja) 画像形成装置
JP2004348024A (ja) 画像形成装置
JP2008145904A (ja) 画像形成装置
JP2009265551A (ja) 画像形成装置
JP2012194508A (ja) 画像形成装置
JP2017227713A (ja) 画像形成装置
JP6733344B2 (ja) 画像形成装置
JP2001199643A (ja) 両面画像形成装置及び片面画像形成装置
JP5799723B2 (ja) 画像形成装置
JPWO2020149058A1 (ja) 画像形成装置
JP2005164796A (ja) 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