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4872B1 - 광섬유 이식기의 피딩장치 - Google Patents

광섬유 이식기의 피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4872B1
KR102094872B1 KR1020190156949A KR20190156949A KR102094872B1 KR 102094872 B1 KR102094872 B1 KR 102094872B1 KR 1020190156949 A KR1020190156949 A KR 1020190156949A KR 20190156949 A KR20190156949 A KR 20190156949A KR 102094872 B1 KR102094872 B1 KR 1020948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optical fiber
tubular
tubular needle
nee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69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성민
Original Assignee
(주)레이데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레이데코 filed Critical (주)레이데코
Priority to KR10201901569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487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48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48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02B6/4479Manufacturing methods of optical cables
    • G02B6/4483Injection or filling devic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02B6/4439Auxiliary devices
    • G02B6/4457Bobbins; Ree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Knitt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2차원 또는 3차원으로 이동가능한 몸체를 마련하고, 관형 바늘이 제1구동부의 구동력에 의해 상하로 왕복이동하여 피가공물인 원단을 관통할 수 있게 상기 관형 바늘을 상기 몸체에 장착하고, 제2구동부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하여 보빈에 감긴 광섬유를 상기 관형 바늘에 공급하게 상기 관형 바늘 위의 상기 몸체 부위에 광섬유공급수단을 장착하고, 상기 관형 바늘의 상하 왕복운동에 연계되어 상기 원단과 상승된 관형 바늘 사이에 배치된 광섬유의 부위를 절단하는 절단수단을 상기 몸체의 하단에 장착한 광섬유 이식기의 피딩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광섬유 이식기의 피딩장치{feeding apparatus of optical fiber inplanting machine}
본 발명은 광섬유 이식기에서 광섬유를 직접 섬유 또는 광섬유 이식용 소재에 광섬유를 자동으로 이식하는 모듈인 광섬유 피딩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광섬유의 우수한 광전송 기능을 이용한 산업이 급속히 발전하고 있으며, 그 중에서 특히 광통신과 광섬유 이용 의류 및 광섬유 이용 광고방법 등이 발전하고 있다.
이 중에서 다수의 광섬유를 직물이나 광섬유 이식용 소재등의 원단에 특정 문양 또는 문자를 이루도록 수를 놓듯이 이식하여 상기 광섬유의 끝단에 광원장치를 연결하여 그 빛이 광섬유를 통하여 반대쪽 선단으로 발광 빛을 방출하도록 함으로써, 독특한 시각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하는 광분할 기술로서, 안전 및 다양한 분야에 적용될 수 있다.
근래에 광섬유의 우수한 광전송 기능을 이용한 산업이 급속히 발전하고 있으며, 그 중에서 특히 광통신과 광섬유 이용 의류 및 광섬유 이용 광고방법 등이 발전하고 있다.
그 일 예가 한국등록특허 제10-1177438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차량용 부품인 헤드라이너의 원단에 디스플레이패널로 적용되어 있다.
하지만, 상기 디스플레이패널에 일정 문양을 가지게 다수의 광섬유를 이식하는 것은 많은 시간과 공수가 소요되어, 제조단가가 증대된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된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에 과제를 가진다.
본 발명은, 2차원 또는 3차원으로 이동가능한 몸체를 마련하고, 관형 바늘이 제1구동부의 구동력에 의해 상하로 왕복이동하여 피가공물인 원단을 관통할 수 있게 상기 관형 바늘을 상기 몸체에 장착하고, 제2구동부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하여 보빈에 감긴 광섬유를 상기 관형 바늘에 공급하게 상기 관형 바늘 위의 상기 몸체 부위에 광섬유공급수단을 장착하고, 상기 관형 바늘의 상하 왕복운동에 연계되어 상기 원단과 상승된 관형 바늘 사이에 배치된 광섬유의 부위를 절단하는 절단수단을 상기 몸체의 하단에 장착한 광섬유 이식기의 피딩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상기 과제를 해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된 과제해결수단에 의해, 원단에 일정 문양을 가지게 다수의 광섬유를 자동으로 이식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여 저렴한 광섬유 발광 제품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광섬유 이식기의 피딩장치를 관형바늘이 상승된 상태에서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관형바늘이 하강된 상태에서 도 1의 정면도,
도 3은 관형바늘이 상승된 상태에서 도 2의 측면도, 및
도 4는 도 2의 평면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광섬유 이식기의 피딩장치가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1에는 본 실시예의 광섬유 이식기의 피딩장치가 부호 100으로서 지시되어 있다.
상기 광섬유 이식기의 피딩장치(100)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2차원 또는 3차원으로 이동하는 도시되지 않은 2차원 또는 3차원 이동수단에 탑재된 몸체(10); 상기 몸체(10)에 회전가능하게 탑재되어 광섬유(F)를 권취하고 있는 도시되지 않은 보빈; 상기 몸체(10)의 상부에 장착되어 상기 보빈에 감긴 광섬유(F)를 해권하여 피가공물인 원단(P)에 공급하는 광섬유공급수단(20); 수직한 방향으로 뻗어서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하능하게 상기 몸체(20)의 하부에 장착되어 상기 광섬유공급수단(20)에서 공급되는 광섬유(F)가 관통되어 있는 관형 바늘(30); 상기 관형바늘(30)에 결합되어 상기 관형바늘(30)을 수직한 방향으로 왕복운동시키는 왕복구동수단(40); 상기 관형바늘(30)의 왕복이동에 연계되어 상기 관형바늘(30)과 상기 원단(P) 사이에 위치된 광섬유(F) 부위를 절단하기 위해 상기 몸체(10)의 하단에 장착된 절단수단(50), 및 상기 관형 바늘(30)이 관통되는 구멍을 가지고서 상기 몸체(10)의 밑에 장착되고 상기 관형 바늘(30)이 관통하게 되는 도시되지 않은 침판구멍이 형성된 도시되지 않은 테이블 위에 놓인 상기 원단(P)이 밑면에 접촉하여 이동하게 되는 노루발(60)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몸체(10)를 상기 2차원 또는 3차원으로 이동수단은, X축레일을 따라 Y축레일이 구동수단에 의해 이동되게 하고, 상기 Y축레일을 따라 상기 몸체(10)를 다른 하나의 구동수단에 의해 이동되게 함으로써 구현가능하며, 이러한 구현은 공지된 것이어서, 본 실시예의 설명에서 상세가 생략되어 있다.
상기 광섬유공급수단(20)은, 상기 몸체(10)의 상부 일측에 탑재된 제1모터(21); 상기 제1모터(21)의 출력축(6)에 고정적으로 외접된 구동기어(22); 상기 제1모터(21)의 출력축 선단에 고정적으로 외접된 구동롤러(23); 상기 출력축(6)에 평행하게 뻗어 상기 몸체(10)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피동축(24); 상기 피동축(24)에 고정적으로 외접되어 상기 구동기어(22)에 치합하고 있는 피동기어(25); 및 상기 피동축(24)에 고정적으로 외접되어 상기 보빈에서 해권된 광섬유(F)를 사이에 둔 상태에서 상기 구동롤러(23)에 접촉하고 있는 피동롤러(26)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상기 광섬유공급수단(20)은 상기 보빈에서 해권된 광섬유(F)를 상기 구동롤러(23)와 상기 피동롤러(25) 사이로 안내하기 위해 상기 구동롤러(23)와 상기 피동롤러(25)의 위에 위치되어 상기 몸체(10)에 장착된 상태에서 중앙에 상기 구동롤러(23)와 상기 피동롤러(25) 사이를 향하여 개구된 제1가이드구멍(27a)이 형성된 제1가이드부(27); 및 상기 구동롤러(23)와 상기 피동롤러(25) 사이를 통과한 광섬유(F)를 상기 관형 바늘(30) 쪽으로 향하게 안내하기 위해 상기 구동롤러(23)와 상기 피동롤러(25)의 밑에 위치되어 상기 몸체(10)에 장착된 상태에서 중앙에 상기 제1가이드구멍(27a)을 향하여 개구된 제2가이드구멍(28a)이 형성된 제2가이드부(28)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제1가이드구멍(27a)과 상기 제2가이드구멍(28a)의 중심축선은 상기 관형 바늘(30)의 중심축선 상에 위치되어 있다.
상기 왕복구동수단(40), 상기 몸체(10)의 중앙에 장착된 스텝핑정역모터(41); 상기 스텝핑정역모터(41)의 출력축(42)에 고정적으로 외접되어 상기 스텝핑정역모터(41)에 의해 일정 각도의 범위 내에서 정역으로 선회운동하는 캠휠(43); 상기 관형 바늘(30)의 중심축선 상에 위치하는 외주 부위에 자전가능하게 장착된 캠핀(44); 상기 캠핀(44)의 선회운동의 수평성분을 수용하기 위해 상기 캠핀(42)이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가이드하도록 상기 캠핀(44)이 삽입되어 있는 스롯형 가이드홈(45a)이 이면에 형성되어 있는 캠종동바(45); 상기 캠핀(44)의 선회운동의 수직성분을 수용하기 위해 상기 캠종동바(45)가 수직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가이드하도록 상기 캠종동바(45)가 결합되어 상기 몸체(10)에 장착되어 있는 한 쌍의 수직방향가이드(46); 및 상기 관형 바늘(30)의 중심축선 상에 위치되어 상기 관형 바늘(30)의 길이방향으로 뻗어서 상기 캠종동바(45)를 가로질러 관통한 상태에서 상기 캠종동바(45)에 장착되어 상기 캠종동바(45)와 함께 상하운동하는 관형가이드로서, 상기 제2가이드부(28)에서 빠져나온 광섬유(F)가 통과하여 상기 관형 바늘(30)쪽으로 도입되게 하는 상기 관형가이드(47)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상기 왕복구동수단(40)은, 상기 관형가이드(47)가 상기 관형 바늘(30)의 중심축선 상에서 상하로 왕복이동하는 것을 가이드하기 위해, 상기 캠종동바(45)의 위에 위치되어 상기 몸체(10)에 장착된 상태에서 중앙에 상기 관형가이드(47)기 미끄럼접촉하여 상하로 이동하게 개구된 제3가이드구멍(48a)이 형성된 제3가이드부(48); 및 상기 한 쌍의 수직방향가이드(46)의 밑에 위치되어 상기 몸체(10)에 장착된 상태에서 중앙에 상기 관형가이드(47)기 미끄럼접촉하여 상하로 이동하게 개구된 제4가이드구멍(49a)이 형성된 제4가이드부(49)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제3가이드구멍(48a)의 중심축선 및 상기 제4가이드구멍(49a)의 중심축선은 상기 관형 바늘(30)의 중심축선 상에 위치되어 있다.
상기 관형 바늘(30)의 상단부는 숫형부(31)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관형가이드(47)의 하단에는 상기 숫형부(31)에 착탈가능하게 압수결합되는 암형부(47a)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절단수단(50)은, 상기 암형부(47a)보다 높은 관형가이드(47)의 외주면에 고정적으로 외접된 돔형상 캠(51); 상기 관형가이드(47)의 상승운동시에 상기 돔형상 캠(51)과 구름접촉하여 시계방향으로 선회하고 상기 관형가이드(47)의 하강운동시에 상기 돔형상 캠(51)과 구름접촉하면서 자중에 의해 반시계 방향으로 선회하도록, 상단에 돔형상 캠(51)과 구름접촉하는 종동캠롤러(52)가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있고, 중간 절곡부(54a)에 수평힌지축(53)을 개재하여 상기 몸체(10)에 선회가능하게 장착된 V자형 레버(54); 상기 노루발(60)의 기단측에 형성된 한 쌍의 가이드레일(55)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한 쌍의 가이드레일(55)을 따라 상기 노루발(60)의 선단에 형성된 바늘관통구멍(61)을 가로지르게 왕복이동하여, 상기 바늘관통구멍(61)과 상기 원단(P)을 관통하고 있는 광섬유(F)를 절단하게 되는 절단칼(56); 및 상기 절단칼(56)과 상기 V자형 레버(54)의 하단에 링크핀(57)을 개재하여 링크결합된 브래킷(58)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수평힌지축(53)을 중심으로 상기 V자형 레버(54)가 선회운동하게 하면서, 상기 절단칼(56)의 왕복운동을 구현시키기 위해, 상기 링크핀(57)의 선회운동궤적의 수직성분 변위를 허용할 수 있도록, 상기 브래킷(58)에는 장공의 핀구멍(58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광섬유 이식기의 피딩장치(100)는 다음과 같이 작동될 수 있다.
먼저, 도시되지 않은 2차원 또는 3차원 이동수단에 의해 몸체(10)를 원하는 위치에 이동한다.
그 다음, 보빈에서 광섬유(F)를 수동으로 해권하여 제1가이드부(27)의 제1가이드구멍(27a), 구동롤러(23)와 피동롤러(26) 사이, 제2가이드부(28)의 제2가이드구멍(28a), 관형가이드(47), 관형바늘(30)을 순차적으로 관통시켜 상기 해권된 광섬유(F)의 선단을 상기 관형바늘(30)의 하단에 위치되게 한다.
그 다음, 왕복구동수단(40)의 스텝핑정역모터(41)를 시계방향 및 반시계방향중 어느 한 방향으로 가동하여 관형가이드(47)를 하강시켜서 상기 관형가이드(47)의 하단에 암수결합된 관형바늘(30)의 하단이 노루발(60)의 바늘관통구멍(61)을 경유하여 원단(P)을 관통하게 한다.
그 다음, 광섬유공급수단(20)의 구동기어(22)를 가동하여 상기 구동롤러(23)와 상기 피동롤러(26)를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해권된 광섬유(F)의 선단이 상기 관형바늘(30)을 빠져나와 상기 원단(P)의 이면에 소정된 길이만큼 돌출되게 상기 원단(P)에 관통시킨다.
그 다음, 왕복구동수단(40)의 스텝핑정역모터(41)를 시계방향 및 반시계방향중 다른 어느 한 방향으로 가동하여 관형가이드(47)를 위로 승강시켜서 관형바늘(30)의 하단이 상기 원단(P)과 노루발(60)의 바늘관통구멍(61)을 순차적으로 빠져나와 원래의 위치로 복귀되게 한다.
이 때에, 상기 관형가이드(47)가 위로 승강하면서 원래의 위치로 복귀됨에 따라, 상기 관형가이드(47)의 하단에 결합된 돔형상 캠(51)도 위로 승강하면서 종동캠롤러(52)를 위로 밀어서, 상기 V자형 레버(54)가 수평힌지축(53)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선회운동하게 되어, 상기 V자형 레버(54)의 하단에 링크결합된 브래킷(58)이 한 쌍의 가이드레일(55)을 따라 전진하여 상기 브래킷(58)에 장착된 절단칼(56)가 노루발(60)의 바늘관통구멍(61)을 가로질러 이동하여서, 상기 관형바늘(30)과 상기 원단(P)의 표면 사이에 위치된 상기 해권된 광섬유(F)의 선단의 부위를 절단하게 되며, 그리고
상기 관형가이드(47)가 다시 아래로 하강운동함에 따라, 상기 관형가이드(47)의 하단에 결합된 돔형상 캠(51)도 아래로 하강하면서 상기 V자형 레버(54)가 자체의 하중에 의해 수평힌지축(53)을 중심으로 반계방향으로 선회운동하게 되어, 상기 V자형 레버(54)의 하단에 링크결합된 브래킷(58)이 한 쌍의 가이드레일(55)을 따라 후진하여 상기 브래킷(58)에 장착된 절단칼(56)이 노루발(60)의 바늘관통구멍(61)을 역으로 가로질러 이동하여서, 상기 관형바늘(30)의 하강운동에 장애를 주지 않도록 원래의 위치로 복귀되게 된다.
이와 같은 수순이 반복되게 되면, 원단(P)에 자동으로 특정 문양 또는 문자를 이루도록 수를 놓듯이 광섬유를 이식하는 것이 가능하여, 저렴한 광섬유 이식 원단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된 공정을 다시 한번 요약하여 설명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형바늘(30)이 하강되면서, V자형 레버(54)를 놓아 주면, 자동으로 절단칼(56)이 뒤로 이동하게 되면서 자연스럽게 바늘관통구멍(61)이 개방되게 되며 그 개방된 바늘관통구멍(61)에 바늘(30)이 자나가서, 피가공물인 원단(P)을 관통하여 정지 후, 광섬유 공급수단(20)의 구동롤러(23)과 피동롤러(26)가 주어진 길이 만큼 회전하면서 광섬유를 밀어준 후, 다시 관형바늘(30)이 상승하면서 V자형 레버(54)를 밀어주면, 절단칼(56)이 전진하여 광섬유를 절단한 후 몸체(100가 다음 위치로 이동되는 제반 공정들이 반복 수행되어 원단(P)에 특정 문양 또는 문자를 이루도록 광섬유가 이식된다.
상기 실시예에서의 상기 광섬유 이식기의 피딩장치는, 수치 제어되는 제어부의 프로그램에 따라 지정된 위치로 이동되면서 상기 공정들을 반복적으로 수행되게 된다.
6: 출력축 10: 몸체, 20: 광섬유공급수단, 21: 제1모터, 22: 구동기어, 23: 구동롤러, 24: 피동축, 25: 피동기어, 26: 피동롤러, 27: 제1가이드부, 27a: 제1가이드구멍, 28: 제2가이드부, 28a: 제2가이드구멍, 30: 관형바늘, 31: 숫형부, 40: 왕복구동수단, 41: 스텝핑정역모터, 42: 출력축, 43: 캠휠, 44: 캠핀, 45: 캠종동바, 45a: 스롯형 가이드홈, 46: 한 쌍의 수직방향가이드, 47: 관형가이드, 47a: 암형부, 48: 제3가이드부, 48a: 제3가이드구멍, 49: 제4가이드부, 49a: 제4가이드구멍, 50: 절단수단, 51: 돔형상 캠, 52: 종동캠롤러, 53: 수평힌지축, 54: V자형 레버, 54a: 중간 절곡부, 55: 한 쌍의 가이드레일, 56: 절단칼, 57: 링크핀, 58: 브래킷, 58a: 장공의 핀구멍, 60: 노루발, 61: 바늘관통구멍, 100: 광섬유 이식기의 피딩장치, F: 광섬유, P: 원단

Claims (6)

  1. 2차원 또는 3차원 이동수단에 탑재된 몸체(10);
    보빈에 감긴 광섬유(F)를 해권하여 피가공물인 원단(P)에 공급하기 위해 상기 몸체(10)의 상부에 장착된 광섬유공급수단(20);
    수직한 방향으로 뻗어서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상기 몸체(10)의 하부에 장착되어 상기 광섬유공급수단(20)에서 공급되는 광섬유(F)가 관통되어 있는 관형 바늘(30);
    상기 관형바늘(30)에 결합되어 상기 관형바늘(30)을 수직한 방향으로 왕복운동시키는 왕복구동수단(40);
    상기 관형바늘(30)의 왕복이동에 연계되어 상기 관형바늘(30)과 상기 원단(P) 사이에 위치된 광섬유(F) 부위를 절단하기 위해 상기 몸체(10)의 하단에 장착된 절단수단(50), 및
    상기 관형 바늘(30)이 관통되는 구멍을 가지고서 상기 몸체(10)의 밑에 장착되고 상기 관형 바늘(30)이 관통하게 되는 침판구멍이 형성된 테이블 위에 놓인 상기 원단(P)이 밑면에 접촉하여 이동하게 되는 노루발(60)을 포함하고,
    상기 왕복구동수단(40),
    상기 몸체(10)의 중앙에 장착된 스텝핑정역모터(41);
    상기 스텝핑정역모터(41)의 출력축(42)에 고정적으로 외접되어 상기 스텝핑정역모터(41)에 의해 일정 각도의 범위 내에서 정역으로 선회운동하는 캠휠(43);
    상기 관형 바늘(30)의 중심축선 상에 위치하는 외주 부위에 자전가능하게 장착된 캠핀(44);
    상기 캠핀(44)의 선회운동의 수평성분을 수용하기 위해 상기 캠핀(44)이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가이드하도록 상기 캠핀(44)이 삽입되어 있는 스롯형 가이드홈(45a)이 이면에 형성되어 있는 캠종동바(45);
    상기 캠핀(44)의 선회운동의 수직성분을 수용하기 위해 상기 캠종동바(45)가 수직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가이드하도록 상기 캠종동바(45)가 결합되어 상기 몸체(10)에 장착되어 있는 한 쌍의 수직방향가이드(46); 및
    상기 관형 바늘(30)의 중심축선 상에 위치되어 상기 관형 바늘(30)의 길이방향으로 뻗어서 상기 캠종동바(45)를 가로질러 관통한 상태에서 상기 캠종동바(45)에 장착되어 상기 캠종동바(45)와 함께 상하운동하는 관형가이드로서, 상기 광섬유(F)가 상기 관형 바늘(30)쪽으로 도입되게 하는 상기 관형가이드(4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이식기의 피딩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광섬유공급수단(20)은,
    상기 몸체(10)의 상부 일측에 탑재된 제1모터(21);
    상기 제1모터(21)의 출력축(6)에 고정적으로 외접된 구동기어(22);
    상기 제1모터(21)의 출력축 선단에 고정적으로 외접된 구동롤러(23);
    상기 출력축(6)에 평행하게 뻗어 상기 몸체(10)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피동축(24);
    상기 피동축(24)에 고정적으로 외접되어 상기 구동기어(22)에 치합하고 있는 피동기어(25); 및
    상기 피동축(24)에 고정적으로 외접되어 상기 보빈에서 해권된 광섬유(F)를 사이에 둔 상태에서 상기 구동롤러(23)에 접촉하고 있는 피동롤러(2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이식기의 피딩장치.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관형 바늘(30)의 상단부는 숫형부(31)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관형가이드(47)의 하단에는 상기 숫형부(31)에 착탈가능하게 압수결합되는 암형부(47a)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절단수단(50)은,
    상기 암형부(47a)보다 높은 관형가이드(47)의 외주면에 고정적으로 외접된 돔형상 캠(51);
    상기 관형가이드(47)의 상승운동시에 상기 돔형상 캠(51)과 구름접촉하여 시계방향으로 선회하고 상기 관형가이드(47)의 하강운동시에 상기 돔형상 캠(51)과 구름접촉하면서 자중에 의해 반시계 방향으로 선회하도록, 상단에 돔형상 캠(51)과 구름접촉하는 종동캠롤러(52)가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있고, 중간 절곡부(54a)에 수평힌지축(53)을 개재하여 상기 몸체(10)에 선회가능하게 장착된 V자형 레버(54);
    상기 노루발(60)의 기단측에 형성된 한 쌍의 가이드레일(55)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한 쌍의 가이드레일(55)을 따라 상기 노루발(60)의 선단에 형성된 바늘관통구멍(61)을 가로지르게 왕복이동하여, 상기 바늘관통구멍(61)과 상기 원단(P)을 관통하고 있는 광섬유(F)를 절단하게 되는 절단칼(56); 및
    상기 절단칼(56)과 상기 V자형 레버(54)의 하단에 링크핀(57)을 개재하여 링크결합된 브래킷(58)을 포함하며,
    상기 수평힌지축(53)을 중심으로 상기 V자형 레버(54)가 선회운동하게 하면서, 상기 절단칼(56)의 왕복운동을 구현시키기 위해, 상기 링크핀(57)의 선회운동궤적의 수직성분 변위를 허용할 수 있도록, 상기 브래킷(58)에는 장공의 핀구멍(58a)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이식기의 피딩장치.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광섬유공급수단(20)은
    상기 보빈에서 해권된 광섬유(F)를 상기 구동롤러(23)와 상기 피동롤러(26) 사이로 안내하기 위해 상기 구동롤러(23)와 상기 피동롤러(26)의 위에 위치되어 상기 몸체(10)에 장착된 상태에서 중앙에 상기 구동롤러(23)와 상기 피동롤러(26) 사이를 향하여 개구된 제1가이드구멍(27a)이 형성된 제1가이드부(27); 및
    상기 구동롤러(23)와 상기 피동롤러(26) 사이를 통과한 광섬유(F)를 상기 관형 바늘(30) 쪽으로 향하게 안내하기 위해 상기 구동롤러(23)와 상기 피동롤러(26)의 밑에 위치되어 상기 몸체(10)에 장착된 상태에서 중앙에 상기 제1가이드구멍(27a)을 향하여 개구된 제2가이드구멍(28a)이 형성된 제2가이드부(28)를 포함하며,
    상기 제1가이드구멍(27a)과 상기 제2가이드구멍(28a)의 중심축선은 상기 관형 바늘(30)의 중심축선 상에 위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이식기의 피딩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왕복구동수단(40)은,
    상기 관형가이드(47)가 상기 관형 바늘(30)의 중심축선 상에서 상하로 왕복이동하는 것을 가이드하기 위해, 상기 캠종동바(45)의 위에 위치되어 상기 몸체(10)에 장착된 상태에서 중앙에 상기 관형가이드(47)기 미끄럼접촉하여 상하로 이동하게 개구된 제3가이드구멍(48a)이 형성된 제3가이드부(48); 및
    상기 한 쌍의 수직방향가이드(46)의 밑에 위치되어 상기 몸체(10)에 장착된 상태에서 중앙에 상기 관형가이드(47)기 미끄럼접촉하여 상하로 이동하게 개구된 제4가이드구멍(49a)이 형성된 제4가이드부(49)를 포함하며,
    상기 제3가이드구멍(48a)의 중심축선 및 상기 제4가이드구멍(49a)의 중심축선은 상기 관형 바늘(30)의 중심축선 상에 위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이식기의 피딩장치.
KR1020190156949A 2019-11-29 2019-11-29 광섬유 이식기의 피딩장치 KR1020948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6949A KR102094872B1 (ko) 2019-11-29 2019-11-29 광섬유 이식기의 피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6949A KR102094872B1 (ko) 2019-11-29 2019-11-29 광섬유 이식기의 피딩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4872B1 true KR102094872B1 (ko) 2020-05-15

Family

ID=706785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6949A KR102094872B1 (ko) 2019-11-29 2019-11-29 광섬유 이식기의 피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487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83397A (ja) * 1989-04-25 1990-11-20 Brother Ind Ltd ミシンの上糸保持装置
KR100404141B1 (ko) * 2001-09-07 2003-11-03 주식회사 애니맥스 캠구동형 광섬유 자수기
KR100495451B1 (ko) * 2002-09-24 2005-06-14 주식회사 데코레이 광섬유 침직장치에 의해 생산되는 제품의 제조방법
KR20100090546A (ko) * 2009-02-06 2010-08-16 대흥정밀공업 주식회사 봉제기계의 헤드 업다운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83397A (ja) * 1989-04-25 1990-11-20 Brother Ind Ltd ミシンの上糸保持装置
KR100404141B1 (ko) * 2001-09-07 2003-11-03 주식회사 애니맥스 캠구동형 광섬유 자수기
KR100495451B1 (ko) * 2002-09-24 2005-06-14 주식회사 데코레이 광섬유 침직장치에 의해 생산되는 제품의 제조방법
KR20100090546A (ko) * 2009-02-06 2010-08-16 대흥정밀공업 주식회사 봉제기계의 헤드 업다운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745371B (zh) 手术用线的突起形成装置及其方法
DE4426817C2 (de) Verfahren zur Vor- und Nachbereitung eines Näh- oder Stickvorgangs und Näh-Stickmaschine zur Durchführung des Verfahrens
CN101676466B (zh) 压脚和缝纫机
DE102007003449B4 (de) Automatische Einfassmaschine
CH702277A2 (de) Mehrkopf-Stickmaschine und Unterfadeneinheit für Mehrkopf-Stickmaschine
KR102094872B1 (ko) 광섬유 이식기의 피딩장치
EP2336413A2 (de) Mehrnadelkopf-Stickmaschine, Mehrnadelkopf für eine solche, sowie Fadenschneider-Element und Fadenschneider für eine solche
DE19916660C1 (de) Knopfloch-Nähmaschine
CN101245533B (zh) 嵌条缝制缝纫机
DE102007041085B4 (de) Einfassmaschine
ITGE20000110A1 (it) Dispositivo per l'agugliatura a disegno di un nastro di feltro.
CN111020903B (zh) 起缝剪线机构及其方法
DE102007020161A1 (de) Einfassmaschine
US3121878A (en) Method of making shoulder pads
EP1182287A2 (de) Blindstichnähvorrichtung
US4448047A (en) Embroidery device for crochet machines
DE1435833B1 (de) Vorrichtung zur Herstellung und Anbringung von Reissverschluss-Gliederreihen
US1832636A (en) Machine for making rugs, coverings, and the like
DE641417C (de) Hakennadelnaehmaschine fuer Leder
JP4739869B2 (ja) ミシン
DE824741C (de) Naehmaschine
CN101245534B (zh) 嵌条缝制缝纫机
US2073196A (en) Fur cutting machine
JP3680151B2 (ja) 環縫いミシンの糸切断装置
EP0812945A1 (de) Haarstechmas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