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4535B1 - 트랜지스터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트랜지스터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4535B1
KR102094535B1 KR1020140033484A KR20140033484A KR102094535B1 KR 102094535 B1 KR102094535 B1 KR 102094535B1 KR 1020140033484 A KR1020140033484 A KR 1020140033484A KR 20140033484 A KR20140033484 A KR 20140033484A KR 102094535 B1 KR102094535 B1 KR 1020945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n portion
channel region
group
fin
subst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34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10946A (ko
Inventor
황희돈
이동각
이민경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334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4535B1/ko
Priority to US14/561,360 priority patent/US9391172B2/en
Publication of KR201501109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09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45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45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007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 H01L29/66075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of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group 14 or group 13/15 materials
    • H01L29/66227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of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group 14 or group 13/15 materials the devices being controllable only by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an electrode which does not carry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e.g. three-terminal devices
    • H01L29/66409Unipolar field-effect transistors
    • H01L29/66477Unipolar field-effect transistors with an insulated gate, i.e. MISFET
    • H01L29/66787Unipolar field-effect transistors with an insulated gate, i.e. MISFET with a gate at the side of the channel
    • H01L29/66795Unipolar field-effect transistors with an insulated gate, i.e. MISFET with a gate at the side of the channel with a horizontal current flow in a vertical sidewall of a semiconductor body, e.g. FinFET, MuGFE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02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06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haracterised by the shapes,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of the semiconductor regions ; characterised by the concentration or distribution of impurities within semiconductor regions
    • H01L29/10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haracterised by the shapes,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of the semiconductor regions ; characterised by the concentration or distribution of impurities within semiconductor regions with semiconductor regions connected to an electrode not carrying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and such electrode being part of a semiconductor device which comprises three or more electrodes
    • H01L29/1025Channel region of field-effect devices
    • H01L29/1029Channel region of field-effect devices of field-effect transistors
    • H01L29/1033Channel region of field-effect devices of field-effect transistors with insulated gate, e.g. characterised by the length, the width, the geometric contour or the doping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02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12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of which they are formed
    • H01L29/16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of which they are formed including, apart from doping materials or other impurities, only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 H01L29/161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of which they are formed including, apart from doping materials or other impurities, only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including two or more of the elements provided for in group H01L29/16, e.g. alloy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8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ontrollable by only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only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an electrode which does not carry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 H01L29/76Unipolar devices, e.g. 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772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78Field effect transistors with field effect produced by an insulated gate
    • H01L29/785Field effect transistors with field effect produced by an insulated gate having a channel with a horizontal current flow in a vertical sidewall of a semiconductor body, e.g. FinFET, MuGFET
    • H01L29/7851Field effect transistors with field effect produced by an insulated gate having a channel with a horizontal current flow in a vertical sidewall of a semiconductor body, e.g. FinFET, MuGFET with the body tied to the substra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8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ontrollable by only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only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an electrode which does not carry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 H01L29/76Unipolar devices, e.g. 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772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78Field effect transistors with field effect produced by an insulated gate
    • H01L29/785Field effect transistors with field effect produced by an insulated gate having a channel with a horizontal current flow in a vertical sidewall of a semiconductor body, e.g. FinFET, MuGFET
    • H01L29/7853Field effect transistors with field effect produced by an insulated gate having a channel with a horizontal current flow in a vertical sidewall of a semiconductor body, e.g. FinFET, MuGFET the body having a non-rectangular crossection
    • H01L29/7854Field effect transistors with field effect produced by an insulated gate having a channel with a horizontal current flow in a vertical sidewall of a semiconductor body, e.g. FinFET, MuGFET the body having a non-rectangular crossection with rounded cor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Insulated Gate Type Field-Effect Transistor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Abstract

트랜지스터의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트랜지스터의 제조방법은 기판 상으로 돌출된 핀 부분을 형성하는 것; 상기 기판 상에 상기 핀 부분의 측벽을 덮는 소자분리 패턴을 형성하는 것; 상기 소자분리 패턴 내에 트렌치를 형성하되, 상기 트렌치는 상기 핀 부분의 채널 영역의 상면 및 측벽들을 노출하는 것; 및 상기 핀 부분의 채널 영역에 4족 원소를 주입하여, 상기 핀 부분의 채널 영역의 부피를 증가시키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트랜지스터 및 그 제조 방법{TRANSISTOR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본 발명은 트랜지스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핀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소형화, 다기능화 및/또는 낮은 제조 단가 등의 특성들로 인하여 반도체 소자는 전자 산업에서 중요한 요소로 각광 받고 있다. 반도체 소자들은 논리 데이터를 저장하는 반도체 기억 소자, 논리 데이터를 연산 처리하는 반도체 논리 소자, 및 기억 요소와 논리 요소를 포함하는 하이브리드(hybrid) 반도체 소자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전자 산업이 고도로 발전함에 따라, 반도체 소자의 특성들에 대한 요구가 점점 증가되고 있다. 예컨대, 반도체 소자에 대한 고 신뢰성, 고속화 및/또는 다기능화 등에 대하여 요구가 점점 증가되고 있다. 이러한 요구 특성들을 충족시키기 위하여 반도체 소자 내 구조들은 점점 복잡해지고 있으며, 또한, 반도체 소자는 점점 고집적화 되고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일 기술적 과제는 채널의 폭이 증가된 트랜지스터를 제조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신뢰성이 향상된 트랜지스터의 형성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트랜지스터 제조방법은 기판 상으로 돌출된 핀 부분을 형성하는 것; 상기 기판 상에 상기 핀 부분의 측벽을 덮는 소자분리 패턴을 형성하는 것; 상기 소자분리 패턴 내에 트렌치를 형성하되, 상기 트렌치는 상기 핀 부분의 채널 영역의 상면 및 측벽들을 노출하는 것; 및 상기 핀 부분의 채널 영역에 4족 원소를 주입하여, 상기 핀 부분의 채널 영역의 부피를 증가시키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부피가 증가된 핀 부분의 엣지는 상기 부피가 증가되기 전의 핀 부분의 엣지보다 라운드질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4족 원소는 5x1019 atoms/cm3 내지 5x1021 atoms/cm3의 도즈량으로 상기 핀 부분의 채널 영역에 주입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4족 원소는 상기 기판의 상부면과 수직한 방향으로부터 틸트되어 주입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핀 부분에 4족 원소를 주입하는 것은 상기 핀 부분을 결정화시키는 것을 포함하되, 상기 핀 부분의 결정화 공정은 상기 4족 원소의 주입 공정 이후에 진행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트렌치 내에 게이트 절연막을 형성하되, 상기 게이트 절연막은 상기 부피가 증가된 핀 부분의 채널 영역의 상면 및 측벽들을 덮는 것; 및 상기 게이트 절연막 상에 게이트 전극을 형성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핀 부분의 채널 영역을 상기 핀 부분의 양단보다 더 리세스시키는 것을 포함하되, 상기 4족 이온은 상기 리세스된 채널 영역에 주입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4족 원소는 실리콘, 게르마늄 또는 탄소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핀 부분은 상기 소자분리 패턴에 의해 덮은 하단부 및 상기 소자분리 패턴에 의해 노출된 상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4족 이온이 주입된 상기 핀 부분의 상단부의 최대 폭은 상기 하단부의 상면의 폭보다 넓을 수 있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트랜지스터의 제조방법은 기판 상으로 돌출된 핀 부분을 형성하는 것; 상기 핀 부분의 양단을 덮되, 상기 핀 부분의 채널 영역을 노출시키는 마스크 패턴을 형성하는 것; 상기 노출된 핀 부분의 엣지를 라운드지게 하되, 상기 라운드진 엣지를 갖는 핀 부분의 부피는 라운드진 엣지를 형성하기 전의 상기 핀 부분의 부피보다 증가된 것; 및 상기 라운드진 핀 부분 상에 게이트 전극을 형성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핀 부분의 엣지를 라운드지게 하는 것은 상기 핀 부분에 4족 원소를 주입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핀 부분의 엣지를 라운드지게 하는 것은 상기 4족 원소가 주입된 핀 부분을 결정화시키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4족 원소의 주입은 경사 이온주입 기술(tilted ion implantation technique)을 사용하여 진행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핀 부분의 채널 영역 및 상기 게이트 전극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채널 영역의 라운드진 엣지를 따라 연장되는 게이트 절연막을 형성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노출된 핀 부분을 상기 핀 부분의 양단보다 리세스시키는 것을 더 포함하되, 상기 노출된 핀 부분을 리세스시키는 것은 상기 핀 부분의 엣지를 라운드지게 하기 이전에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트랜지스터는 돌출된 핀 부분을 갖는 기판; 상기 핀 부분의 측벽의 하부를 덮는 소자분리 패턴; 상기 기판 상에 제공되며, 상기 핀 부분을 가로지르는 게이트 전극; 및 상기 핀 부분 및 상기 게이트 전극 사이에 개재된 게이트 절연막을 포함하되, 상기 소자분리 패턴에 의해 노출된 상기 핀 부분은 상기 소자분리 패턴에 의해 덮인 상기 핀 부분보다 높은 4족 원소의 농도를 갖고, 상기 4족 원소는 게르마늄 및 탄소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핀 부분은 상기 소자 분리 패턴에 의해 노출된 활성 핀을 포함하되, 상기 활성 핀의 표면부는 상기 활성 핀의 코어부보다 높은 상기 4족 원소 농도를 가질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활성 핀의 엣지에서의 상기 4족 원소의 농도는 상기 활성 핀의 상면에서의 상기 4족 원소의 농도보다 높을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핀 부분은 상기 게이트 전극 양측의 소스/드레인 영역들 및 상기 소스/드레인 영역 사이에 개재된 채널 영역을 갖고, 상기 핀 부분의 상기 채널 영역의 상면은 상기 핀 부분의 소스/드레인 영역의 상면보다 높은 레벨을 가질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핀 부분은 소스/드레인 영역들 및 채널 영역을 갖고, 상기 채널 영역의 상기 4족 원소의 농도는 상기 소스/드레인 영역들의 상기 4족 원소의 농도보다 높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4족 원소가 핀 부분의 채널 영역에 주입되어, 핀 부분의 부피가 증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채널 폭(channel width)이 증가된 핀 부분이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트랜지스터는 온 전류(on current) 특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4족 원소의 주입에 의해, 핀 부분의 엣지는 라운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트랜지스터 동작 시, 채널의 엣지 부분에서 전계가 집중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트랜지스터는 향상된 신뢰성을 가질 수 있다.
도 1a 내지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랜지스터의 제조공정을 도시한 사시도들이다.
도 1b 내지 도 4b는 각각 도 1a 내지 도 4a의 B-B'선에 따른 단면도들이다.
도 1c 내지 도 4c는 각각 도 1a 내지 도 4a의 C-C'선에 따른 단면도들이다.
도 3d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핀 부분을 도시한 단면도들이다.
도 3e 및 도 3f는 실시예들에 따른 이온 주입 공정을 도시한 단면도들이다.
도 5a 내지 도 8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트랜지스터의 제조공정을 도시한 사시도들이다.
도 5b 내지 도 8b는 각각 도 5a 내지 도 8a의 B-B'선에 따른 단면도들이다.
도 5c 내지 도 8c는 각각 도 5a 내지 도 8a의 C-C'선에 따른 단면도들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트랜지스터들을 포함하는 전자 시스템들의 일 예를 간략히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트랜지스터들을 포함하는 메모리 카드들의 일 예를 간략히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문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도전성막, 반도체막, 또는 절연성막 등의 어떤 물질막이 다른 물질막 또는 기판"상"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 어떤 물질막은 다른 물질막 또는 기판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또 다른 물질막이 개재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 본 명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제 1, 제 2, 제 3 등의 용어가 물질막 또는 공정 단계를 기술하기 위해서 사용되었지만, 이는 단지 어느 특정 물질막 또는 공정 단계를 다른 물질막 또는 다른 공정 단계와 구별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었을 뿐이며, 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서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평면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에 있어서, 막 및 영역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트랜지스터의 제조방법을 설명한다.
도 1a 내지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랜지스터의 제조공정을 도시한 사시도들이다. 도 1b 내지 도 4b는 각각 도 1a 내지 도 4a의 B-B'선에 따른 단면도들이다. 도 1c 내지 도 4c는 각각 도 1a 내지 도 4a의 C-C'선에 따른 단면도들이다.
도 1a 내지 1c를 참조하면, 기판(100)으로부터 돌출된 핀 부분(F)이 형성될 수 있다. 핀 부분(F)은 D2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기판(100)은 실리콘 기판 또는 SOI(Silicon On Insulator) 기판 수 있다. 일 예로, 핀 부분(F)의 형성 공정은 기판(100) 상에 마스크막(미도시)을 형성한 후, 이를 식각 마스크로 기판(100)에 트렌치(101)를 형성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기판(100)이 제 1 및 제 2 반도체층과 상기 제 1 및 제 2 반도체층 사이에 유전층을 포함하는 SOI 기판(100)인 경우, 유전층 상의 제 2 반도체층을 패터닝하여 핀 부분(F)을 형성할 수 있다.
트렌치(101)를 채우는 소자분리 패턴(110)이 형성될 수 있다. 소자분리 패턴(110)은 고밀도 플라즈마 산화막, SOG막(Spin On Glass Layer) 및/또는 CVD 산화막일 수 있다. 소자분리 패턴(110)은 트렌치(101) 내에서 핀 부분(F)의 측벽을 덮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핀 부분(F)은 기판(100)의 상면 상에 마스크층(미도시)을 형성한 후, 마스크층에 의하여 노출된 기판(100)의 상면을 씨드로 하는 에피택시얼 공정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핀 부분(F)은 기판(100)과 동일한 물질 또는 기판(100)과 격자 상수 및/또는 밴드갭이 다른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기판(100)은 단결정 실리콘 기판이고 핀 부분(F)은 Ge, SiGe, 또는 SiC를 포함할 수 있다.
도핑 공정에 의해, 소스/드레인 영역들(SD)이 핀 부분(F)의 양단에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핀 부분(F)의 양단에 도펀트가 주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핀 부분(F)의 채널 영역(CH)은 상기 소스/드레인 영역들(SD)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상기 도펀트는 붕소(B)와 같은 3족 원소일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도펀트는 인(P) 또는 비소(As)와 같은 5족 원소일 수 있다. 도핑 공정은 소자분리 패턴(110)의 형성 이전에 수행되거나, 소자분리 패턴(110)의 형성 이후에 수행될 수 있다.
도 2a 내지 2c를 참조하면, 게이트 트렌치(120)가 소자분리 패턴(110) 내에 형성될 수 있다. 게이트 트렌치(120)는 D1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마스크 패턴(200)이 소자분리 패턴(110) 상에 형성될 수 있다. 마스크 패턴(200)은 핀 부분(F)의 소스/드레인 영역들(SD)을 덮되, 채널 영역(CH)을 노출시킬 수 있다. 상기 마스크 패턴(200)을 사용하여, 소자분리 패턴(110)이 식각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게이트 트렌치(120)가 형성될 수 있다. 게이트 트렌치(120)는 핀 부분(F)의 채널 영역(CH)의 양 측벽(Fs) 및 상면(Fu)을 노출시킬 수 있다. 핀 부분(F)은 상면(Fu) 및 측벽(Fs)이 만나는 엣지(Fe)를 가질 수 있다. 핀 부분(F)의 엣지(Fe)는 각질 수 있다. 게이트 트렌치(120)의 바닥면은 소자분리 패턴(110)의 하면보다 높은 레벨을 가질 수 있다. 이 때, 추가 마스크 패턴(미도시)이 핀 부분(F)의 채널 영역(CH)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핀 부분(F)의 채널 영역(CH)의 상면(Fu)은 식각되지 않을 수 있다.
도 3a 내지 3c를 참조하면, 4족 원소의 주입에 의해, 핀 부분(F)의 부피가 증가될 수 있다. 4족 원소는 상기 소자분리 패턴(110)에 의해 노출된 핀 부분(F)에 주입될 수 있다.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4족 원소가 주입된 핀 부분(F)의 높이(H2)는 점선으로 도시된 4족 원소가 주입되기 전의 핀 부분(F)의 높이(H1)보다 클 수 있다. 4족 원소가 주입된 핀 부분(F)의 상면(Fu')은 상기 4족 원소가 주입되기 전의 핀 부분(F)의 상면(Fu)보다 높은 레벨을 가질 수 있다. 4족 원소가 주입된 핀 부분(F)의 폭(W2)은 4족 원소가 주입되지 전의 핀 부분(F)의 폭(W1)보다 클 수 있다. 상기 폭들(W1, W2)들은 소자분리 패턴(110)에 의해 노출된 핀 부분(F)의 동일한 레벨에서의 폭들을 의미할 수 있다. 4족 원소가 주입된 핀 부분(F)의 엣지(Fe')는 상기 4족 원소가 주입되기 전의 핀 부분(F)의 엣지(Fe)보다 라운드질 수 있다. 4족 원소는 5x1019 atoms/cm3 내지 5x1021 atoms/cm3, 상세하게는, 5x1020 atoms/cm3의 도즈량으로 핀 부분(F)의 채널 영역(CH)에 주입될 수 있다. 도즈량이 5x1019 atoms/cm3보다 작은 경우, 핀 부분(F)의 부피가 충분하게 증가되지 않거나, 핀 부분(F)의 엣지(Fe')가 충분히 라운드지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이온 주입에 의해, 핀 부분(F) 내에 4족 원소의 개수가 증가됨에 따라, 핀 부분(F)의 부피가 증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핀 부분(F)은 실리콘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4족 원소는 실리콘, 게르마늄, 및/또는 탄소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4족 원소의 주입 과정에서, 핀 부분(F)의 결정질 구조가 손상될 수 있다. 4족 원소의 주입된 핀 부분(F)은 비정질 상태의 표면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비정질 상태의 핀 부분(F)의 단위 부피 당 원소 개수는, 4족 원소의 주입에 의해 증가될 수 있다. 4족 원소의 주입 후, 핀 부분(F)의 결정화 공정이 진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핀 부분(F)은 고상 에피텍시(solid phase epitaxy)법에 의해 결정화될 수 있다. 결정질 상태의 핀 부분(F)은 단위 부피 당 일정한 개수의 원소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핀 부분(F)의 부피가 증가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채널 폭(channel width)이 증가된 핀 부분(F)이 제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트랜지스터(1)의 온 전류 특성이 향상될 수 있다. 4족 원소는 도펀트와 달리 채널 영역(CH)의 문턱 전압 특성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을 수 있다.
일 예로, 게르마늄이 주입되는 경우, 소자분리 패턴(110)에 의해 노출된 핀 부분(F)에서의 게르마늄 농도는, 소자분리 패턴(110)에 의해 덮인 핀 부분(F)에서의 게르마늄 농도보다 높을 수 있다. 소자분리 패턴(110)에 의해 노출된 핀 부분(F)의 표면부에서의 게르마늄 농도는 소자분리 패턴(110)에 의해 노출된 핀 부분(F)의 코어부에서의 게르마늄 농도보다 높을 수 있다. 다른 예로, 소자분리 패턴(110)에 의해 노출된 핀 부분(F)에서의 탄소의 농도는, 소자분리 패턴(110)에 의해 덮인 핀 부분(F)에서의 탄소의 농도보다 높을 수 있다. 소자분리 패턴(110)에 의해 노출된 핀 부분(F)의 표면부에서의 탄소 농도는 소자분리 패턴(110)에 의해 노출된 핀 부분(F)의 코어부에서의 탄소 농도보다 높을 수 있다.
마스크 패턴(200)에 의해, 4족 원소는 핀 부분(F)의 소스/드레인 영역들(SD)에 주입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핀 부분(F)의 소스/드레인 영역들(SD)은 상기 4족 원소의 주입 공정에서 부피가 증가되지 않을 수 있다.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핀 부분(F)의 채널 영역(CH)의 높이(H2)는 핀 부분(F)의 소스/드레인 영역들(SD)의 높이(H3)보다 높을 수 있다. 일 예로, 핀 부분(F)의 채널 영역(CH)은 핀 부분(F)의 소스/드레인 영역들(SD)보다 높은 게르마늄 농도를 가질 수 있다. 다른 예로, 핀 부분(F)의 채널 영역(CH)은 핀 부분(F)의 소스/드레인 영역들(SD)보다 높은 탄소 농도를 가질 수 있다.
도펀트가 핀 부분(F)의 채널 영역(CH)에 더 주입될 수 있다. 상기 도펀트는 3족 원소 또는 5족 원소일 수 있다. 상기 도펀트의 주입에 의해, 채널 영역(CH)의 문턱 전압 특성이 제어될 수 있다. 상기 도펀트 주입 공정은 상기 4족 원소의 주입 공정과 다른 도즈량 조건에서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도펀트 주입은 1017atoms/cm3 내지 1018 atoms/cm3의 도즈량 조건에서 진행될 수 있다. 상기 도펀트의 주입 공정은 상기 4족 원소의 주입 공정 및 채널 영역(CH)의 결정화 공정 이후에 진행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도펀트의 주입 공정은 생략될 수 있다. 상기 마스크 패턴(200)은 제거될 수 있다.
도 3d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핀 부분을 도시한 단면도들이다.
도 3d를 참조하면, 핀 부분(F)은 하부 핀(F1) 및 상부 핀(F2)을 포함할 수 있다. 하부 핀(F1)의 측벽은 소자분리 패턴(110)에 의해 덮여있을 수 있다. 상부 핀(F2)의 측벽(Fs)은 소자분리 패턴(110)에 의해 노출될 수 있다. 상부 핀(F2)은 활성 핀일 수 있다. 4족 원소는 상기 소자분리 패턴(110)에 의해 노출된 상부 핀(F2)에 주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부 핀(F2)의 부피는 증가하되, 하부 핀(F1)의 부피는 증가하지 않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부 핀(F2)의 최대 폭(W4)은 하부 핀(F1)의 상면에서의 폭(W3)보다 넓을 수 있다.
도 3e 및 도 3f는 실시예들에 따른 이온 주입 공정을 도시한 단면도들이다. 도 3e 및 도 3f를 참조하여, 실시예들에 따른 이온 주입 공정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3e를 참조하면, 4족 원소는 기판(100)의 상부면(100u)과 수직한 방향에서 주입될 수 있다. 4족 원소가 주입된 방향을 향해 배치된 핀 부분(F)의 면은 핀 부분(F)의 타 면들보다 4족 원소의 유입량이 클 수 있다. 이에 따라, 4족 원소가 주입된 방향의 상기 핀 부분(F)의 면의 부피 증가율은 상기 타면들의 부피 증가율보다 클 수 있다. 예를 들어, 핀 부분(F)의 상면(Fu)은 핀 부분(F)의 측벽(Fs)들보다 부피 증가율이 클 수 있다. 핀 부분(F)의 부피는 D3 방향을 따라 증가될 수 있다.
도 3f를 참조하면, 4족 원소는 경사 이온주입 기술(tilted ion implantation technique)을 사용하여 핀 부분(F)의 채널 영역(CH)에 주입될 수 있다. 4족 원소는 기판(100)의 상부면(100u)과 수직한 방향으로부터 틸트(tilt)되어 주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핀 부분(F)의 부피는 상기 틸트된 방향들을 향하여 증가될 수 있다. 상기 틸트된 방향들을 향한 핀 부분(F)의 부피 증가율은 다른 방향들에서의 핀 부분(F)의 부피 증가율보다 클 수 있다. 4족 원소가 틸트되어 주입된 핀 부분(F)의 엣지(Fe')는 보다 라운드 질 수 있다. 게르마늄이 주입되는 경우, 채널 영역(CH)의 엣지(Fe')는 채널 영역(CH)의 상면(Fu')보다 높은 게르마늄 농도를 가질 수 있다. 다른 예로, 채널 영역(CH)의 엣지(Fe')는 채널 영역(CH)의 상면(Fu')보다 높은 탄소 농도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4족 원소가 주입되는 방향을 제어하여, 핀 부분(F)의 부피 증가 방향이 조절할 수 있다. 4족 원소의 주입 방향 조절에 의해, 핀 부분(F)의 엣지(Fe)의 라운드되는 정도가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4족 원소는 기판(100)의 상부면(100u)과 수직한 방향 및 틸트된 방향들로부터 동시에 주입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4족 원소는 기판(100)의 상부면(100u)과 수직한 방향에서 핀 부분(F)에 주입된 후, 기판(100)의 상부면(100u)과 수직한 방향으로부터 틸트된 방향에서 핀 부분(F)에 주입될 수 있다.
도 4a 내지 도 4c를 참조하면, 게이트 절연막(GIL) 및 게이트 전극(G)이 게이트 트렌치(120) 내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게이트 절연막(GIL)은 게이트 트렌치(120) 내에서 핀 부분(F)의 상면(Fu') 및 측벽(Fs')을 콘포말하게 덮을 수 있다. 핀 부분(F)의 엣지(Fe)가 각진 경우, 핀 부분(F)의 엣지(Fe) 상의 게이트 절연막(GIL)은 핀 부분(F)의 상면(Fu) 및 측벽(Fs) 상의 게이트 절연막(GIL)보다 얇은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트랜지스터(1)의 신뢰성이 저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핀 부분(F)의 채널 영역(CH)의 엣지(Fe')가 라운드짐에 따라, 본 발명의 게이트 절연막(GIL)은 보다 균일한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핀 부분(F)의 엣지(Fe') 상의 게이트 절연막(GIL)의 두께는 핀 부분(F)의 상면(Fu') 및 측벽(Fs') 상의 게이트 절연막(GIL)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핀 부분(F)의 엣지(Fe')가 라운드짐에 따라, 핀 부분(F)의 엣지(Fe')에 전계가 집중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트랜지스터의 문턱 전압 특성 및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다. 게이트 전극(G)이 게이트 절연막(GIL) 상에 형성될 수 있다. 게이트 전극(G)은 게이트 트렌치(120)를 채울 수 있다. 게이트 전극(G)은 소자분리 패턴(110) 상으로 더 연장될 수 있다. 게이트 전극(G)은 도전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a 내지 도 8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트랜지스터의 제조공정을 도시한 사시도들이다. 도 5b 내지 도 8b는 각각 도 5a 내지 도 8a의 B-B'선에 따른 단면도들이다. 도 5c 내지 도 8c는 각각 도 5a 내지 도 8a의 C-C'선에 따른 단면도들이다. 이하, 앞서 설명한 바와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한다.
도 5a 내지 5c를 참조하면, 기판(100)으로부터 돌출된 핀 부분(F)이 형성될 수 있다. 기판(100)은 실리콘 기판(100) 또는 SOI(Silicon On Insulator) 기판(100)일 수 있다. 트렌치(101)을 채우는 소자분리 패턴(110)이 형성될 수 있다. 핀 부분(F), 소자분리 패턴(110), 및 소스/드레인 영역들(SD)은 앞서 도 1a 내지 1c의 예로써 설명한 바와 동일한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6a 내지 6c를 참조하면, 리세스된 핀 부분(RF) 및 게이트 트렌치(120)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마스크 패턴(미도시)이 소자분리 패턴(110) 상에 형성될 수 있다. 마스크 패턴(200)은 핀 부분(F)의 소스/드레인 영역들(SD)을 덮되, 핀 부분(F)의 채널 영역(CH)의 적어도 일부를 노출시킬 수 있다. 마스크 패턴(200)은 소자분리 패턴(110)의 일부를 노출시킬 수 있다. 상기 마스크 패턴(200)을 사용하여, 노출된 핀 부분(F) 및 소자분리 패턴(110)이 식각될 수 있다. 마스크 패턴(200)에 의해 노출된 핀 부분(F)의 상부가 식각되어, 리세스된 핀 부분(RF)이 형성될 있다. 리세스된 핀 부분(RF)은 소스/드레인 영역들(SD) 사이에서, 소자분리 패턴(120)에 의해 노출된 핀 부분(RF)의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채널 영역(CH)은 리세스된 핀 부분(RF)과 일부 중첩될 수 있다. 도 6b와 같이, 리세스된 핀 부분(RF)의 엣지(RFe)는 각질 수 있다.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세스된 핀 부분(RF)의 상면(RFu)은 상기 핀 부분(F)의 소스/드레인 영역들(SD)의 상면(Fu)보다 낮은 레벨을 가질 수 있다. 리세스된 핀 부분(RF)에 의해, 보다 높은 문턱전압 및 긴 유효 채널 길이(length)가 구현될 수 있다. 소자분리 패턴(110)의 식각에 의하여, 게이트 트렌치(120)가 형성될 수 있다. 게이트 트렌치(120)는 리세스된 핀 부분(RF)의 양 측벽(RFs)들 및 상면(RFu)을 노출시킬 수 있다. 상기 식각 공정에서, 핀 부분(F)의 식각 선택비는 소자분리 패턴(110)의 식각 선택비와 다를 수 있다. 다른 예로, 소자분리 패턴(110)의 식각 공정이 더 수행될 수 있다. 리세스된 핀 부분(RF)의 상면(RFu)은 게이트 트렌치(120)의 바닥면(120b)보다 높은 레벨을 가질 수 있다.
도 7a 내지 7c를 참조하면, 4족 원소의 주입에 의해, 리세스된 핀 부분(RF)의 부피가 증가될 수 있다. 4족 원소는 상기 소자분리 패턴(110)에 의해 노출된 리세스된 핀 부분(RF)에 주입될 수 있다. 4족 원소가 주입된 리세스된 핀 부분(RF)의 높이(H6)는 4족 원소가 주입되기 전의 리세스된 핀 부분(RF)의 높이(H5)보다 클 수 있다. 4족 원소가 주입된 리세스된 핀 부분(RF)의 엣지(Fe')는 상기 4족 원소가 주입되기 전의 리세스된 핀 부분(RF)의 엣지(Fe)보다 라운드질 수 있다. 4족 원소는 5x1019 atoms/cm3 내지 5x1021 atoms/cm3, 상세하게는, 5x1020 atoms/cm3의 도즈량으로 리세스된 핀 부분(RF)의 채널 영역(CH)에 주입될 수 있다. 4족 원소는 실리콘, 게르마늄, 및/또는 탄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리세스된 핀 부분(RF)의 표면부는 상기 핀 부분(RF)의 리세스된 코어부보다 높은 4족 원소(게르마늄 또는 탄소)의 농도를 가질 수 있다. 4족 원소는 도펀트와 달리 채널의 문턱 전압 특성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을 수 있다. 일 예로, 4족 원소는 기판(100)의 상부면(100u)과 수직한 방향에서 주입될 수 있다. 다른 예로, 4족 원소는 기판(100)의 상부면(100u)과 수직한 방향으로부터 틸트(tilt)되어 주입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4족 원소는 기판(100)의 상부면(100u)과 수직한 방향 및 틸트된 방향들로부터 동시에 주입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4족 원소는 기판(100)의 상부면(100u)과 수직한 방향에서 리세스된 핀 부분(RF)에 주입된 후, 기판(100)의 상부면(100u)과 수직한 방향으로부터 틸트된 방향에서 리세스된 핀 부분(RF)에 주입될 수 있다.
4족 원소의 주입 후, 리세스된 핀 부분(RF)의 결정화 공정이 진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리세스된 핀 부분(RF)은 고상 에피텍시(solid phase epitaxy)법에 의해 결정화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리세스된 핀 부분(RF)은 증가된 채널 폭(channel width)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트랜지스터의 온 전류 특성이 향상될 수 있다.
4족 원소는 핀 부분(F)의 소스/드레인 영역들(SD) 상에 주입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핀 부분(F)의 소스/드레인 영역들(SD)은 상기 4족 원소의 주입 공정에서 부피가 증가되지 않을 수 있다.
도펀트가 리세스된 핀 부분(RF)에 더 주입될 수 있다. 상기 도펀트는 3족 원소 또는 5족 원소일 수 있다. 상기 도펀트 주입 공정은 앞서 설명한 바와 동일한 방법에 의해 진행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도펀트의 주입 공정은 생략될 수 있다. 상기 마스크 패턴(200)이 제거될 수 있다.
도 8a 내지 도 8c를 참조하면, 게이트 절연막(GIL) 및 게이트 전극(G)이 게이트 트렌치(120) 내에 차례로 형성될 수 있다. 게이트 전극(G)은 소자분리 패턴(110)과 동일하거나 더 낮은 레벨을 가질 수 있다. 리세스된 핀 부분(RF)의 엣지(RFe')가 라운드짐에 따라, 본 발명의 게이트 절연막(GIL)은 보다 균일한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리세스된 핀 부분(RF)의 상부는 채널 영역(CH)에 해당할 수 있다. 리세스된 핀 부분(RF)의 엣지(Fe')에 전계가 집중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트랜지스터의 문턱 전압 특성 및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트랜지스터들을 포함하는 전자 시스템들의 일 예를 간략히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9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시스템(1100)은 컨트롤러(1110), 입출력 장치(1120, I/O), 기억 장치(1130, memory device), 인터페이스(1140) 및 버스(1150, bus)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1110), 입출력 장치(1120), 기억 장치(1130) 및/또는 인터페이스(1140)는 상기 버스(1150)를 통하여 서로 결합 될 수 있다. 상기 버스(1150)는 데이터들이 이동되는 통로(path)에 해당한다.
상기 컨트롤러(1110)는 마이크로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스, 마이크로컨트롤러, 및 이들과 유사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논리 소자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된 트랜지스터들이 논리 소자들로 구현되는 경우에, 상기 컨트롤러(1110)는 상술된 트랜지스터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출력 장치(1120)는 키패드(keypad), 키보드 및 디스플레이 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억 장치(1130)는 데이터 및/또는 명령어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상기 기억 장치(1130)는 비휘발성 기억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된 실시예들의 트랜지스터들이 플래쉬 기억 소자, 자기 기억 소자, 및/또는 상변화 기억 소자로 구현되는 경우에, 상기 기억 장치(1130)는 상술된 실시예들의 트랜지스터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1140)는 통신 네트워크로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통신 네트워크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1140)는 유선 또는 무선 형태일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인터페이스(1140)는 안테나 또는 유무선 트랜시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전자 시스템(1100)은 상기 컨트롤러(1110)의 동작을 향상시키기 위한 동작 기억 소자로서, 고속의 디램 소자 및/또는 에스램 소자 등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술된 트랜지스터들이 에스램 소자로 구현되는 경우에, 상기 동작 기억 소자는 상술된 트랜지스터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시스템(1100)은 개인 휴대용 정보 단말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포터블 컴퓨터(portable computer), 웹 타블렛(web tablet), 무선 전화기(wireless phone), 모바일 폰(mobile phone), 디지털 뮤직 플레이어(digital music player), 메모리 카드(memory card), 또는 정보를 무선환경에서 송신 및/또는 수신할 수 있는 모든 전자 제품에 적용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트랜지스터들을 포함하는 메모리 카드들의 일 예를 간략히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 카드(1200)는 기억 장치(1210)를 포함한다. 상술된 실시예들의 트랜지스터들이 플래쉬 기억 소자, 자기 기억 소자, 및/또는 상변화 기억 소자로 구현되는 경우에, 상기 기억 장치(1210)는 상술된 실시예들에 따른 트랜지스터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 카드(1200)는 호스트(Host)와 상기 기억 장치(1210) 간의 데이터 교환을 제어하는 메모리 컨트롤러(12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 컨트롤러(1220)는 메모리 카드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프로세싱 유닛(1222)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된 트랜지스터들이 논리 소자들로 구현되는 경우에, 상기 프로세싱 유닛(1222)은 상술된 트랜지스터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모리 컨트롤러(1220)는 상기 프로세싱 유닛(1222)의 동작 메모리로써 사용되는 에스램(1221, SRAM)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된 실시예들의 트랜지스터가 상기 에스램(1221)에 적용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 메모리 컨트롤러(1220)는 호스트 인터페이스(1223), 메모리 인터페이스(122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호스트 인터페이스(1223)는 메모리 카드(1200)와 호스트(Host)간의 데이터 교환 프로토콜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 인터페이스(1225)는 상기 메모리 컨트롤러(1220)와 상기 기억 장치(1210)를 접속시킬 수 있다. 더 나아가서, 상기 메 모리 컨트롤러(1220)는 에러 정정 블록(1224, Ecc)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에러 정정 블록(1224)은 상기 기억 장치(1210)로부터 독출된 데이터의 에러를 검출 및 정정할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메모리 카드(1200)는 호스트(Host)와의 인터페이싱을 위한 코드 데이터를 저장하는 롬 장치(ROM device)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 카드(1200)는 휴대용 데이터 저장 카드로 사용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상기 메모리 카드(1200)는 컴퓨터시스템의 하드디스크를 대체할 수 있는 고상 디스크(SSD, Solid State Disk)로도 구현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에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11)

  1. 기판 상으로 돌출된 핀 부분을 형성하는 것;
    상기 기판 상에 상기 핀 부분의 측벽의 하부를 덮는 소자분리 패턴을 형성하는 것;
    상기 소자분리 패턴 내에 트렌치를 형성하되, 상기 트렌치는 상기 핀 부분의 채널 영역의 상면 및 측벽들을 노출하는 것; 및
    상기 채널 영역의 양측의 소스/드레인 영역보다 상기 채널 영역을 더 리세스시켜, 제1 리세스 채널 영역을 형성하는 것, 상기 제1 리세스 채널 영역의 상면은 상기 소스/드레인 영역의 상면보다 더 낮고; 그리고
    상기 핀 부분의 상기 제1 리세스 채널 영역에 4족 원소를 주입하여, 상기 제1 리세스 채널 영역의 부피를 증가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트랜지스터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부피가 증가된 핀 부분의 엣지는 상기 부피가 증가되기 전의 상기 핀 부분의 엣지보다 라운드진 트랜지스터 제조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4족 원소는 5x1019 atoms/cm3 내지 5x1021 atoms/cm3의 도즈량으로 상기 제1 리세스 채널 영역에 주입되는 트랜지스터 제조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4족 원소는 상기 기판의 상부면과 수직한 방향으로부터 틸트되어 주입되는 트랜지스터 제조방법.
  5. 삭제
  6. 기판 상으로 돌출된 핀 부분을 형성하는 것;
    상기 핀 부분의 소스/드레인 영역을 덮되, 상기 핀 부분의 채널 영역을 노출시키는 마스크 패턴을 형성하는 것;
    상기 핀 부분의 상기 채널 영역 및 상기 마스크 패턴 상에 4족 원소를 주입하여, 상기 채널 영역의 엣지를 라운드지게 하여, 라운드진 엣지를 상기 채널 영역에 형성하되, 상기 라운드진 엣지를 갖는 상기 핀 부분의 부피는 상기 라운드진 엣지를 형성하기 전의 상기 핀 부분의 부피보다 증가된 것; 및
    상기 라운드진 엣지를 갖는 상기 핀 부분 상에 게이트 전극을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트랜지스터 제조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영역의 엣지를 라운드지게 하는 것은:
    상기 4족 원소가 주입된 상기 채널 영역을 결정화시키는 것을 더 포함하는 트랜지스터 제조방법.
  8. 돌출된 핀 부분을 갖는 기판;
    상기 핀 부분의 측벽의 하부를 덮는 소자분리 패턴;
    상기 기판 상에 제공되며, 상기 핀 부분을 가로지르는 게이트 전극; 및
    상기 핀 부분 및 상기 게이트 전극 사이에 개재된 게이트 절연막을 포함하되,
    상기 소자분리 패턴에 의해 노출된 상기 핀 부분은 상기 소자분리 패턴에 의해 덮인 상기 핀 부분보다 높은 4족 원소의 농도를 갖고, 상기 4족 원소는 게르마늄 및 탄소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핀 부분은 소스/드레인 영역들 및 채널 영역을 갖고,
    상기 채널 영역의 상기 4족 원소의 농도는 상기 소스/드레인 영역들의 상기 4족 원소의 농도보다 높은 트랜지스터.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핀 부분은 상기 소자 분리 패턴에 의해 노출된 활성 핀을 포함하되, 상기 활성 핀의 표면부는 상기 활성 핀의 코어부보다 높은 상기 4족 원소 농도를 갖는 트랜지스터.
  10. 삭제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리세스 채널 영역의 부피 증가시키는 것에 의해 제2 리세스 채널 영역이 형성되고,
    상기 제2 리세스 채널 영역의 상면은 상기 소스/드레인 영역의 상기 상면보다 더 낮은 트랜지스터 제조방법.
KR1020140033484A 2014-03-21 2014-03-21 트랜지스터 및 그 제조 방법 KR1020945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3484A KR102094535B1 (ko) 2014-03-21 2014-03-21 트랜지스터 및 그 제조 방법
US14/561,360 US9391172B2 (en) 2014-03-21 2014-12-05 Methods of shaping a channel region in a semiconductor fin using dop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3484A KR102094535B1 (ko) 2014-03-21 2014-03-21 트랜지스터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0946A KR20150110946A (ko) 2015-10-05
KR102094535B1 true KR102094535B1 (ko) 2020-03-30

Family

ID=541428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3484A KR102094535B1 (ko) 2014-03-21 2014-03-21 트랜지스터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391172B2 (ko)
KR (1) KR10209453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6160B1 (ko) 2014-12-22 2021-10-26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소자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US9406529B1 (en) 2015-03-05 2016-08-0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Formation of FinFET junction
US10109742B2 (en) * 2015-09-30 2018-10-23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 Ltd. Semiconductor device including fin structure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WO2018182615A1 (en) * 2017-03-30 2018-10-04 Intel Corporation Vertically stacked transistors in a fin
US10854503B2 (en) * 2018-07-16 2020-12-01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 Ltd. Semiconductor structure with air gap and method sealing the air gap
KR20200141142A (ko) 2019-06-10 2020-12-18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장치
US11373870B2 (en) * 2019-06-27 2022-06-28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 Ltd. Method for manufacturing semiconductor device including performing thermal treatment on germanium layer
US11610979B2 (en) * 2020-08-13 2023-03-21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 Ltd. Profile control in forming epitaxy regions for transistor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050897A1 (en) * 2006-08-23 2008-02-28 Interuniversitair Microelektronica Centrum (Imec) Vzw Method for doping a fin-based semiconductor device
US20110092039A1 (en) * 2006-05-13 2011-04-21 Keunnam Kim Fin field effect transistor and method for forming the same
US20130052801A1 (en) * 2011-08-30 2013-02-2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to enable compressively strained pfet channel in a finfet structure by implant and thermal diffusion
US20130292701A1 (en) * 2012-05-02 2013-11-0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Doped Core Trigate FET Structure and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28447A (en) 1979-02-12 1980-10-14 Tektronix, Inc. Submicron channel length MOS inverter with depletion-mode load transistor
US6465315B1 (en) 2000-01-03 2002-10-15 Advanced Micro Devices, Inc. MOS transistor with local channel compensation implant
US6921982B2 (en) 2003-07-21 2005-07-2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FET channel having a strained lattice structure along multiple surfaces
KR100487566B1 (ko) 2003-07-23 2005-05-03 삼성전자주식회사 핀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 및 그 형성 방법
US7154118B2 (en) 2004-03-31 2006-12-26 Intel Corporation Bulk non-planar transistor having strained enhanced mobility and methods of fabrication
US7348284B2 (en) 2004-08-10 2008-03-25 Intel Corporation Non-planar pMOS structure with a strained channel region and an integrated strained CMOS flow
KR100618893B1 (ko) 2005-04-14 2006-09-01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방법
WO2008042591A2 (en) 2006-09-28 2008-04-10 Sandisk Corporation Local channel-boosting control implant for nand memory
JP5184831B2 (ja) 2007-07-13 2013-04-17 ルネサス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フィン型トランジスタの形成方法
JP4575471B2 (ja) 2008-03-28 2010-11-04 株式会社東芝 半導体装置および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JP5285947B2 (ja) 2008-04-11 2013-09-11 株式会社東芝 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8188546B2 (en) 2009-08-18 2012-05-2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ulti-gate non-planar field effect transistor structure and method of forming the structure using a dopant implant process to tune device drive current
JP2011054629A (ja) 2009-08-31 2011-03-17 Elpida Memory Inc 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WO2011067821A1 (ja) 2009-12-04 2011-06-09 株式会社 東芝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US9312179B2 (en) 2010-03-17 2016-04-12 Taiwan-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 Ltd. Method of making a finFET, and finFET formed by the method
JP2012049286A (ja) 2010-08-26 2012-03-08 Sen Corp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KR20120122776A (ko) 2011-04-29 2012-11-07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반도체 소자 및 그의 제조 방법
US9299840B2 (en) * 2013-03-08 2016-03-29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mpany, Ltd. FinFETs and methods for forming the same
US9570561B2 (en) * 2014-02-13 2017-02-14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 Ltd. Modified channel position to suppress hot carrier injection in FinFET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092039A1 (en) * 2006-05-13 2011-04-21 Keunnam Kim Fin field effect transistor and method for forming the same
US20080050897A1 (en) * 2006-08-23 2008-02-28 Interuniversitair Microelektronica Centrum (Imec) Vzw Method for doping a fin-based semiconductor device
US20130052801A1 (en) * 2011-08-30 2013-02-2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to enable compressively strained pfet channel in a finfet structure by implant and thermal diffusion
US20130292701A1 (en) * 2012-05-02 2013-11-0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Doped Core Trigate FET Structure and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0946A (ko) 2015-10-05
US9391172B2 (en) 2016-07-12
US20150270345A1 (en) 2015-09-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94535B1 (ko) 트랜지스터 및 그 제조 방법
US9627542B2 (en)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US9287402B2 (en) Method of fabricating fin-field effect transistors (finFETs) having different fin widths
KR102083627B1 (ko)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US9831240B2 (en) Elevated source drain semiconductor device with L-shaped spacers and fabricating method thereof
US9281208B2 (en) Methods of form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hard mask layers
KR102017616B1 (ko)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
KR101894221B1 (ko)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 및 이를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
US9536881B2 (en) Semiconductor devices having fin shaped channels
KR102219678B1 (ko) 반도체 소자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265687B1 (ko)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KR102480219B1 (ko) 반도체 장치 및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US20150035061A1 (en)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US20140346603A1 (en) Transistor devices having an anti-fuse configuration and methods of forming the same
KR102047097B1 (ko) 반도체 장치의 제조방법
US20140127872A1 (en) Field effect transistors having a rounded fin
KR20100137155A (ko)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소자
KR20140052734A (ko) 반도체 소자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574323B1 (ko) 반도체 장치
KR20170099209A (ko)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2083493B1 (ko)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KR20160116217A (ko)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반도체 소자
CN113498555A (zh) 具有通过鳍状桥接区耦合的垂直堆叠的纳米片的晶体管沟道
CN109671778B (zh) 鳍式半导体器件及其形成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