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8759B1 - 안전 이음매 - Google Patents

안전 이음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8759B1
KR102088759B1 KR1020180078689A KR20180078689A KR102088759B1 KR 102088759 B1 KR102088759 B1 KR 102088759B1 KR 1020180078689 A KR1020180078689 A KR 1020180078689A KR 20180078689 A KR20180078689 A KR 20180078689A KR 102088759 B1 KR102088759 B1 KR 1020887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g
socket
hose
elastic material
flow pa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86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06917A (ko
Inventor
마사히로 타케자와
유우키 테라소마
키요시 기무라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다쓰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다쓰노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다쓰노
Publication of KR201900069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69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87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87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9/00Joints or fittings for double-walled or multi-channel pipes or pipe assemblies
    • F16L39/02Joints or fittings for double-walled or multi-channel pipes or pipe assemblies for ho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2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with fluid cut-off means
    • F16L37/3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with fluid cut-off means with fluid cut-off means in only one of the two pipe-end fittings
    • F16L37/4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with fluid cut-off means with fluid cut-off means in only one of the two pipe-end fittings with a lift valve being opened automatically when the coupling is appli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7/00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from bulk storage containers or reservoirs into vehicles or into portable containers, e.g. for retail sale purposes
    • B67D7/04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from bulk storage containers or reservoirs into vehicles or into portable containers, e.g. for retail sale purposes for transferring fuels, lubricants or mixed fuels and lubrica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7/00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from bulk storage containers or reservoirs into vehicles or into portable containers, e.g. for retail sale purposes
    • B67D7/06Details or accessories
    • B67D7/32Arrangements of safety or warning devices; Mean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delivery of liquid
    • B67D7/3209Arrangements of safety or warning devices; Mean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delivery of liquid relating to spillage or leakage, e.g. spill containments, leak det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7/00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from bulk storage containers or reservoirs into vehicles or into portable containers, e.g. for retail sale purposes
    • B67D7/06Details or accessories
    • B67D7/32Arrangements of safety or warning devices; Mean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delivery of liquid
    • B67D7/3218Arrangements of safety or warning devices; Mean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delivery of liquid relating to emergency shut-off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7/00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from bulk storage containers or reservoirs into vehicles or into portable containers, e.g. for retail sale purposes
    • B67D7/06Details or accessories
    • B67D7/42Filling nozzles
    • B67D7/54Filling nozzles with means for preventing escape of liquid or vapour or for recovering escaped liquid or vapou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3/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22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is maintained by means of balls, rollers or helical springs under radial pressure between the parts
    • F16L37/23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is maintained by means of balls, rollers or helical springs under radial pressure between the parts by means of ba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2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with fluid cut-off means
    • F16L37/3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with fluid cut-off means with fluid cut-off means in each of two pipe-end fitt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2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with fluid cut-off means
    • F16L37/3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with fluid cut-off means with fluid cut-off means in each of two pipe-end fittings
    • F16L37/32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with fluid cut-off means with fluid cut-off means in each of two pipe-end fittings at least one of two lift valves being opened automatically when the coupling is applied
    • F16L37/36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with fluid cut-off means with fluid cut-off means in each of two pipe-end fittings at least one of two lift valves being opened automatically when the coupling is applied with two lift valves being actuated to initiate the flow through the coupling after the two coupling parts are locked against withdraw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10Means for stopping flow from or in pipes or ho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10Means for stopping flow from or in pipes or hoses
    • F16L55/1015Couplings closed automatically when disengaging force exceeds preselected valu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13/00Details of vessels or of the filling or discharging of vessels
    • F17C13/12Arrangements or mounting of devices for preventing or minimising the effect of explosion ; Other safety meas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5/00Methods or apparatus for filling containers with liquefied, solidified, or compressed gases under press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5/00Methods or apparatus for filling containers with liquefied, solidified, or compressed gases under pressures
    • F17C5/06Methods or apparatus for filling containers with liquefied, solidified, or compressed gases under pressures for filling with compressed ga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7/00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from bulk storage containers or reservoirs into vehicles or into portable containers, e.g. for retail sale purposes
    • B67D7/06Details or accessories
    • B67D7/38Arrangements of hoses, e.g. operative connection with pump mo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7/00Protection of pipes or objects of similar shape against external or internal damage or wear
    • F16L57/02Protection of pipes or objects of similar shape against external or internal damage or wear against cracking or buck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5/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mounting arrangements, attachments or identifications means
    • F17C2205/03Fluid connections, filters, valves, closure means or other attachments
    • F17C2205/0302Fittings, valves, filters, or components in connection with the gas storage device
    • F17C2205/037Quick connecting means, e.g. coupling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32Hydrogen stor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Abstract

충전용 호스의 요동에 의한 모멘트가 안전 이음매에 작용하는 것을 방지하고 또한 충전용 호스에 일정 이상의 인장 하중이 작용한 경우에, 안전 이음매을 연료충전장치 측 부재와 차량 측 부재에 확실하게 분리하는 안전 이음매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안전 이음매(100)는, 내부에 유로(1A)가 형성된 플러그(10)와, 플러그(10)가 삽입되면 차단 밸브가 열리고, (유로(1A)와) 연속해서 유로(21A)가 형성되는 소켓(20)으로 구성되며, 소켓(20)에서 플러그(10)가 이탈하면 차단밸브가 닫히는 관 이음매(100)에 있어서, 플러그 내 유로(1A)와 소켓 내 유로(21A)가 동일 직선상에 배치되고, 플러그(10)에는 충전용 호스(61)가 연결되어 플러그(10)에서 떨어진 위치에는 충전용 호스(61)의 이동을 제한하는 가이드 부재(70이 설치된다.

Description

안전 이음매{Safety Pipe Connector}
본 발명은 연료(가솔린, 경유, 수소 가스 등)를 공급하는 연료충전장치에서 사용되는 관 이음매로, 긴급 상황 시에 연료충전장치와 충전용 호스를 분리하는 기능을 갖는 관 이음매(안전 이음매)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면 도 11에서 나타내는 것처럼 주유소 같은 연료공급시설에서 차량(A)에 연료를 공급하는 경우에는 충전용 호스(201) 선단에 설치한 충전노즐 (202)과 차량 측 충전구(203)를 연결하여 연료를 충전한다.
여기서 연료충전 중에 차량(A)이 이동하는 등의 이유로 충전용 호스(201)가 끌려가면, 연료충전장치(200)가 쓰러지고 파손되어 연료가 유출되면 매우 위험한 상태가 될 가능성이 있다. 그래서, 긴급이탈용 관 이음매(300)(안전 이음매)를 연료충전장치(200)와 충전용 호스(201) 사이의 영역에 설치하고, 충전용 호스(201)에 일정 이상의 인장 하중이 작용하면 관 이음매(300)가 자동으로 분리되도록 하여 연료충전장치(200)가 파손될 위험을 회피하고 있다.
그러나, 충전용 호스(201)에 일정 이상의 인장 하중이 걸리지 않는 경우라도, 충전용 호스(201)가 요동하면, 상기 요동에 의한 모멘트가 안전 이음매(300)의 차량 측 부재(플러그)의 충전용 호스 부착부에 작용하여 상기 부착부를 파손하여 파손 부분에서 연료가 유출될 우려가 있다.
이에 대해서, 종래는 충전용 호스(201)의 요동에 의한 모멘트에 의해 안전 이음매(300)의 플러그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대책이 강구되어 있지 않다.
그 외의 종래기술로서, 수소 가스 충전장치용 안전 이음매로서 플러그 측의 유로와 소켓 측의 유로가 직교하는 타입의 긴급이탈용 관 이음매가 여러 가지 제안되고 있으나(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충전용 호스(201)의 요동에 의한 모멘트가 작용하여 관 이음매를 파손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은 아직 제안되어 있지 않다.
일본 특허공개2007-120717호 공보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에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충전용 호스의 요동에 의한 모멘트가 작용하여 안전 이음매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고 또한 충전용 호스에 일정 이상의 인장 하중이 작용한 경우에 연료충전장치 측 부재와 차량 측 부재가 확실히 분리되어 연료충전장치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안전 이음매매의 제공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의 안전 이음매(관 이음매 100)는 내부에 유로(1A:플러그 내 유로)가 형성된 플러그(10:차량 측 부재)와,
상기 플러그(10)가 삽입되면 차단밸브가 열려,(플러그 내 유로(1A)와) 연속해서 유로(소켓 내 유로(21A))가 형성되는 소켓(20)으로 구성되고, 소켓(20:연료 충전장치 측 부재)에서 플러그(10)가 이탈하면 차단밸브가 닫히는(긴급이탈용) 관 이음매(100)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10) 내의 유로(플러그 내 유로(1A))와 상기 소켓(20) 내의 유로(소켓 내 유로(21A))(중심축)가 동일 직선상으로 배치되고,
상기 플러그(10)에는 충전용 호스(61)가 연결되며,
상기 플러그(10)에서 떨어진 위치에는 충전용 호스(61)의 이동을 제한하는 가이드 부재(70, 70A:호스 가이드)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이음매(100)는 계량기(연료충전장치) 근방의 위치에서 충전노즐에 연통하는 충전용 호스(61)의 기부(基部) 근처에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가이드 부재(70, 70A)는 외통(71, 71A)과, 충전용 호스(61)를 포위하는 탄성재(72, 72A)와, 중공 부분에 탄성재(72, 72A)를 수용하는 탄성재 수용부(73, 73A)와, 탄성재 수용부(73, 73A)와 결합하여 중공 부분을 폐쇄하는 덮개부(74, 74A)를 구비하며, 상기 외통(71, 71A)의 내경치수(φ1, φ1A)는 상기 플러그(10)의 최대지름(D1)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외통(71A)은 외통 고정부(75)에 의해 고정되고, 가이드 부재(70A)의 탄성재 수용부(73A)의 단부(도 6에서는 하단부)에 반경방향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돌기(73AT)가 형성되고 있으며, 외통 고정부(75)의 내주면에는 상기 돌기(73AT)를 수용 가능한 홈(75B)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에서 상기 연료가 수소 가스인 경우에는 탈압기(30)를 상기 플러그(10) 또는 소켓(20) 중 어느 한쪽에 설치하고, 상기 탈압기(30)는 금속제의 본체부(31)에 연료 유로(31A)와 연통하는 탈압용 연통공(31B)을 형성하며, 상기 탈압용 연통공(31B)에 삽입 가능한 금속제의 탈압용 플러그(32)를 설치하여 탈압용 연통공(31B)과 탈압용 플러그(32)에는 상보형상의 테이퍼부(탈압용 플러그(32)에서의 핀 테이퍼부(32B), 탈압용 연통공(31B)의 테이퍼부(31BB)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연료(예를 들면 수소 가스)가 유출하는 릴리프 회로(31C)를 형성하고, 릴리프 회로(31C)는 상기 탈압용 연통공(31B)에 연통하고 있으며, 릴리프 회로(31C)의 출구는 탈압용 플러그(32) 위쪽에서 떨어진 위치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탈압기(30)에서 탈압용 플러그(32)의 연료 유로 측 선단부(32A: 핀 선단부)의 길이(L)와 탈압용 연통공(31B)의 연료 유로 측 선단부(31BA:소경부)의 길이(HL)가 긴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공급 또는 충전되는 연료로서는 수소 가스와 같은 기체연료라도 좋고, 가솔린, 경유, 등유 등의 액체연료라도 좋다.
상술한 구성을 구비하는 본 발명에 의하면, 충전용 호스(61)는 가이드 부재(70, 70A)의 세경부(내경(φ)의 부분)에서 충분히 파지, 고정되고, 추가로 안전 이음매(100)의 플러그(10) 측 단부에서 지지되고 있다. 그 때문에, 호스(61)의 흔들림은 가이드 부재(70, 70A)의 세경부(내경(φ)의 부분)에서 파지되고 있는 부분에서 완전히 차단되어 안전 이음매(100)의 플러그(10)측에는 전달되지 않는다.
따라서, 호스(61)의 흔들림의 모멘트는 안전 이음매(100)의 플러그(10)에는 작용하지 않으며, 상기 플러그(10)가 파손되는 일은 방지된다.
또 본 발명의 안전 이음매(100)에서, 가이드 부재(70, 70A)의 외통(71, 71A)의 내경(φ1, φ1A)은, 안전 이음매(100)의 플러그(10)의 외경(D1:최대지름)보다 크면 차량이 연료 충전 중에 급발진하는 등의 이유로 충전용 호스(61)에 일정 이상의 인장력이 작용하여 소켓(20)과 플러그(10)가 분리하더라도, 분리된 플러그(10)는 가이드 부재(70, 70A)의 외통(71, 71A)을 빠져나간다.
그 때문에, 충전용 호스(61)에 작용한 인장력은, 연료충전장치에는 작용하지 않아, 연료충전장치의 전도(轉倒)나 상기 전도로 기인하는 파손이 방지된다.
본 발명에서 가이드 부재(70, 70A)가 외통(71, 71A)과, 충전용 호스(61)를 포위하는 탄성재(72, 72A)와, 중공 부분에 탄성재(72, 72A)를 수용하는 탄성재 수용부(73, 73A)와, 탄성재 수용부(73, 73A)와 결합하여 중공 부분을 폐쇄하는 덮개부(74, 74A)를 구비하고, 상기 외통(71, 71A)의 내경치수(φ1, φ1A)는 상기 플러그(10)의 최대지름(D1)보다 크게 구성되어 있으면, 충전용 호스(61)에 소정값 이상의 인장력이 작용하여 소켓(20)과 플러그(10)가 분리되면 충전용 호스(61) 및 플러그(10) 뿐 아니라, 가이드 부재(70, 70A)의 탄성재 수용부(73, 73A), 덮개부(74, 74A), 탄성재(72, 72A)도, 가이드 부재(70, 70A)의 외통(71, 71A)의 반경방향 내측의 공간을 빠져나갈 수 있다.
그 때문에, 플러그(10)는 가이드 부재(70, 70A)보다 차량 측에 확실하게 이동하고, 가이드 부재(70, 70A)에 계합하지 않는다. 그래서 충전용 호스(61)에 작용하는 인장력(차량 측으로 향하는 인장력)은 소켓(20) 및 연료충전장치 측에는 작용하지 않아 연료충전장치의 전도나 파손이 확실하게 방지된다.
여기서, 상기 외통(71A)은 외통 고정부(75)에 의해 고정되고, 가이드 부재(70A)의 탄성재 수용부(73A)의 선단(도 6에서는 하단부)에 반경방향 바깥쪽으로 돌출한 돌기(73AT)가 형성되며, 외통 고정부(75)의 내주면에는 상기 돌기(73AT)를 수용 가능한 홈(75B)이 형성되어 있으면 상기 돌기(73AT)가 상기 홈(75B)에 결합함으로써 외통 고정부(75)와 탄성재 수용부(73A)는 상대회전을 방지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충전용 호스(61)에 꼬임이 생겨도 충전용 호스(61)가 탄성 재(72A)로 파지된 부분에 있어서 충전용 호스(61)의 회전이 억제되고, 상기 꼬임에 기인하는 회전력이 플러그(10)에 작용하여 파손하는 것이 방지된다.
본 발명에서 연료가 수소 가스이면, 탈압기(30)를 상기 플러그(10)에 설치함으로써, 플러그(10)와 소켓(20)이 분단하더라도 탈압기(30)를 개재하여 충전용 호스(61) 내의 고압 수소 가스를 적은 유량으로 충전용 호스(61) 밖(탈압기(30) 외)으로 유출할 수 있다.
그 때문에, 고압의 수소 가스가 급격하게 분출하는 것이 방지되고, 연료의 급격한 분출에 의해 충전용 호스(6)가 이리저리 널뛰듯이 돌아다니는(이른바" 날뛰는" 현상) 것이 방지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호스 가이드 부착 안전 이음매의 단면도이다.
도 2는 안전 이음매의 플러그와 소켓이 분리하여 플러그가 충전용 호스 및 호스 가이드의 내측 부재와 함께 차량 측에 당겨지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 사용되는 안전 이음매의 플러그와 소켓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 사용되는 안전 이음매의 플러그와 소켓이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 도 2에서 나타내는 것과는 다른 호스 가이드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호스 가이드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5, 도 6의 호스 가이드의 저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의 탈압기의 단면도이다.
도 9은 도 8의 C-C 시시 단면도이다.
도 10은 탈압용 플러그가 상승하여 연료가 연료 유로에서 릴리프 회로에 유출 가능하게 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1은 연료공급시설의 개요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안전 이음매을 구비하는 연료충전장치에 의한 충전 또는 공급되는 연료는, 수소 가스 같은 기체연료라도 좋고 가솔린, 경유, 등유 등의 액체연료라도 좋지만, 도시의 실시형태에서는 안전 이음매가 수소 가스를 차량에 충전하는 수소충전장치에 설치된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에서 실시형태에 관한 안전 이음매(긴급이탈용 관 이음매)는 전체가 부호 100으로 나타나 있다. 안전 이음매(100)는 원통상의 플러그(10)와 소켓(20)을 구비하고, 플러그(10)와 소켓(20)이 결합하면, 플러그(10) 내와 소켓(20)내의 차단밸브가 열려 플러그 내 유로(1A)(도 3)와 소켓 내 유로(21A)(도 3)가 연통한다.
도 3도 4를 참조하여 서술하는 바와 같이, 도 1에서는 플러그(10)와 소켓(20)은 결합하고 있지만, 도 2에서 나타내는 것처럼 소켓(20)에서 플러그(10)가 이탈하면 플러그(10) 내 및 소켓(20) 내의 차단밸브가 닫히도록 구성되어 있다.
플러그(10)는 기본적으로 차량 측(도 1에서 하방 측)에 연결하고 소켓(20)은 기본적으로 연료충전장치(혹은 디스펜서, 계량기) 측에 연결하고 있다. 단, 플러그(10)를 연료충전장치 측에 배치하고, 소켓(20)을 차량 측에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 도 2에서 소켓(20)이 베이스 부재(80)를 개재하여 도시하지 않는 연료충전장치에 설치된다.
예를 들면 도 3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러그(10) 내의 유로(플러그 내 유로(1A))와 소켓(20) 내의 유로(소켓 내 유로(21A))의 중심축은 동일 직선상에 배치되어 있다. 도 1에서는 상기 직선이 부호 C1으로 표현되어 있다.
도 1에서 플러그(10)의 차량 측 단부(도 1에서는 하방단부)에는 탈압기(30)가 설치되어 있다.
도 1에서 나타내는 것처럼 오목부(31F)를 개재하여 탈압기(30)에 차량 측 충전용 호스(6)가 접속되어 있다.
탈압기(30)의 구성 및 기능에 대해서는 도 8~도 10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또한, 탈압기(30)를 생략하는 것이 가능하며 그 경우, 차량 측 충전용 호스( 61)는 플러그(10)에 직결된다.
충전용 호스(61)의 플러그(10) 측과 반대 측의 단부에는 도시하지 않는 충전노즐이 배치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소켓(20)은 연료충전장치 측에 연결되고, 이음매(100)는 연료충전장치 근처의 위치에서 충전용 호스(61)의 기부 근처에 배치어 있다.
충전용 호스(61)의 연재하는 방향(도 1에서는 하방)에 있어서, 플러그(10)에서 떨어진 위치에는 호스 가이드(70)(가이드 부재)가 배치되어 충전용 호스(61)의 이동(흔들림)을 제한하고 있다.
도 1에서 호스 가이드(70)는 외통(71)과, 충전용 호스(61)를 포위하는 탄성재(72)와, 중공 부분에 탄성재(72)를 수용하는 탄성재 수용부(73)와, 탄성재 수용부(73)의 중공 부분을 폐쇄하는 덮개부(74)(덮개체)를 구비하고 있다.
원통형의 외통(71)은 호스 가이드(70)를 구성하는 부재(탄성재(72),탄성재 수용부(73), 덮개체(74))를 수용하고 있고, 외통(71)은 베이스 부재(80)를 개재하여 도시하지 않는 연료충전장치에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외통(71)의 내경치수(φ 1)는 플러그(10)의 최대지름(D1)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다.
도 1에서 탄성재(72)는 반경방향 중앙부에 내경(φ)의 구멍(세경부)를 구비하는 원주상으로 형성되고, 내경(φ)의 구멍에 충전용 호스(61)이 삽통된다. 탄성재(72)의 재질은 예를 들면 고무 등의 탄성재료가 선택된다. 세경부의 내경(φ)(탄성재(72)를 수용부(73)에 수용했을 때의 내경)은 충전용 호스(61)의 외경보다 약간 작게 설정되기 때문에, 탄성재(72)는 충전용 호스(61)를 포위하고 있을 때에는 탄성재(72)는 충전용 호스(61)에 대해 조이는 힘을 작용하며 그래서 충전용 호스(61)를 지지하고 있다.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탄성재(72)의 원주방향에는 절단면(도 7의 부호 72AB에 상당)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절단면에서 탄성재(72)를 벌림으로써, 탄성 재(72)가 충전용 호스(61)를 포위하거나 또는 감기도록 배치된다.
도 1에서 원통형의 탄성재 수용부(73)는 탄성재(72)를 수용하는 중공 부분과, 탄성재(72)를 도 1의 상하방향에 대해 지지하고 지지부(73H)를 구비하고 있다.
탄성재 수용부(73) 내주면의 관 이음매 측(도 1에서는 상방) 단부는 반경방향 안쪽에 돌출하고 있고, 상기 돌출 부분의 반경방향 내주에는 암나사(73F)가 형성되며, 암나사(73F)는 덮개체 외주면의 수나사(74M)와 계합(나합)한다. 그리고, 탄성재 수용부(73)의 최대 외경은 외통(71)의 내경치수(φ1)보다 약간 작게 설정되어 있다.
덮개체(74)는 반경방향 안쪽에 중공부(74S)를 구비하는 중공원통형상(단면 원환상)으로 구성되고, 외주면에 수나사(74M)가 형성되어 있다.
도 2에서 부호 76, 77은 트러스트 와셔를 나타내고 있다.
상술한대로, 호스 가이드(70)의 외통(71)은 베이스 부재(80)를 개재하여 연료충전장치에 설치되어 있다.
충전용 호스(61)를 안전 이음매(100)에 조립할 때에는 호스 가이드(70)의 외통 (71), 탄성재 수용부(73), 트러스트 와셔(76, 77), 덮개체(74)의 중공부에 충전용 호스(61)를 통과시켜 충전용 호스(61)의 안전 이음매(100) 측의 단부를 탈압기(30)에 접속한다.
탈압기(30)를 생략하는 경우는 충전용 호스(61)의 단부를 직접 플러그(10)에 접속한다.
다음에, 탄성재(72)를 트러스트 와셔(76, 77)의 사이에 배치하고 탄성재(72)를 절단면으로부터 벌려서 탄성재(72)가 충전용 호스(61)를 포위하도록 배치한다.
그리고, 호스 가이드(70)를 구성하는 부재인 탄성재(72),탄성재 수용부(73), 덮개체(74), 트러스트 와셔(76, 77)를 외통(71)에 수용하고, 덮개체(74)의 수나사( 74M)와 탄성재 수용부(73)의 암나사(73F)를 나합하여 탄성재(72)를 압축하는 방향으로 덮개체(74)를 회전한다.
덮개체(74)를 회전해서 탄성재(72)가 압축됨으로써 탄성재(72)의 탄성 반발력은 충전 호스(61)를 조이는 힘으로서 작용한다. 탄성재(72)는 탄성재 수용부(73)내에 수용, 고정된다.
또한, 탄성재(72)를 탄성재 수용부(73) 내에 수용하고, 탄성재 수용부(73), 트러스트 와셔(76, 77), 덮개체(74)를 외통(71)에 수용한 후, 충전용 호스(61)를 안전 이음매(100) 측의 단부에 접속해도 좋다.
플러그(10)와 소켓(20)이 결합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 1에서 충전용 호스(61)는 플러그(10) 측에 연결되고, 호스 가이드(70)를 경유하여 차량 측에 연재하고 있다. 그 때에 상술한 바와 같이, 충전용 호스(61)는 탄성재(72)에 의한 조이는 힘이 작용된 상태에서 파지 혹은 고정되고 있다.
충전용 호스(61)에 흔들림이 생긴 경우, 충전용 호스(61)의 흔들림은 호스 가이드(70)의 탄성재(72)로 파지되고 있는 부분에서 완전히 차단되고, 안전 이음매 (100)의 플러그(10) 측에는 전달되지 않는다. 그 때문에, 충전용 호스(61)의 흔들림은 안전 이음매(100)의 플러그(10)에는 작용하지 않아, 충전용 호스(61)의 흔들림에 의한 플러그(10)(혹은 탈압기(30))가 파손되는 일은 방지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호스 가이드(70)의 외통(71)의 내경치수(φ1)는 안전 이음매(100)의 플러그(10)의 최대 외경(D1)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다.
또, 호스 가이드(70)의 탄성재 수용부(73)의 최대 외경은 외통(71)의 내경치수(φ1)보다 약간 작게 설정되어 있다.
예를 들어 차량이 연료 충전 중에 급발진하는 등의 이유로 충전용 호스(61)에 소정값 이상의 인장력(화살표 F:도 2)이 작용하면, 도 2에서 나타내는 것처럼 안전 이음매(100)의 소켓(20)과 플러그(10)가 분리한다.
소켓(20)에서 플러그(10)가 분리하면, 도 2에서 나타내는 것처럼 충전용 호스(61) 및 플러그(10)(및 탈압기(30))는 호스 가이드(70)의 외통(71)의 반경방향 내측의 공간에 진입하고, 외통(71)을 빠져나가 차량 측(도 2에서는 하방)으로 이동한다.
그 때문에, 호스 가이드(70)의 외통(71)의 내측에 수용됐던 부재(탄성재(72), 탄성재 수용부(73), 덮개체(74), 트러스트 와셔(76, 77))는 호스 가이드(70)의 외통(71)의 내측의 위치에 머무르지 않고, 플러그(10) 및 충전용 호스(61)와 함께 외통(71)보다 차량 측으로 이동한다.
그래서 충전용 호스(61)에 소정값 이상의 인장력이 작용하여 소켓(20)과 플러그(10)가 분리된 경우, 플러그(10)가 호스 가이드(70)에 걸려 연료충전장치가 차량 측에 끌려가지 않고, 연료충전장치의 전도나 파손이 방지된다.
이렇게, 호스 가이드(70)는 충전용 호스(61)의 흔들림을 차단하여 플러그(10) 측에 상기 흔들림의 모멘트를 전달시키지 않는 기능과, 소켓(20)과 플러그(10)가 분리했을 때 플러그(10)가 외통(71)의 반경방향 내측의 공간을 빠져나가는 것을 허용하며, 연료충전장치에 인장력이 작용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도시의 실시형태에서 탈압기(30)는 호스 가이드(70)의 덮개체(74)에서의 반경방향 안쪽의 중공부(74S)에 수용 가능하게 구성할 수 있다. 그렇게 구성하면, 플러그(10)가 소켓(20)에서 분리됐을 때 탈압기(30)가 덮개체(74)의 중공부(74S)에 충돌해도 그 충격은 탄성재(72)에 의해 흡수된다.
탈압기(30)를 생략하는 경우, 덮개체(74)의 중공부(74S)가 플러그(10)를 수용 가능하게 구성할 수 있다.
또, 탈압기(30)나 플러그(10)가 덮개체(74)의 중공부(74S)에 수용되지 않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다음에 도 3도 4를 참조하여 안전 이음매(100)의 플러그(10) 및 소켓(20)에 대해서 설명한다. 단, 도 3도 4에서 안전 이음매(100)를 구성하는 충전용 호스(61), 호스 가이드(70)는 도시를 생략한다.
도 3도, 4에서 안전 이음매(100)는 결합용 볼(40), 결합용 스프링(41)을 설치한 스프링 고리(42)를 구비하는 기구에 의해, 소켓(20)과 플러그(10)를 연결하거나(비작동 시) 또는 해제한다(작동 시).
도 3에서 나타내는 것처럼 소켓(20)과 플러그(10)가 연결된 상태에서, 소켓 측 핀(22)과 플러그 측 핀(2)은 선단(핀 접속단부(11))끼리 부딪힌 상태(이른바 " 충돌한" 상태)로 일직선에 배치되어 서로 맞누르는 상태로 되어 있다.
그 때문에, 소켓 측 핀(22)은 플러그 측 핀(2)에 눌리고, 소켓 측 스프링(23)의 탄성 반발력에 저항하여 도 3에서 좌측으로 이동한다. 그 결과, 소켓 측 밸브체(25)는 소켓 측 밸브 시트(27)에서 떨어진 상태로 되며, 차단밸브(24)는 밸브 개방 상태가 된다.
한편, 플러그 측 핀(2)은 소켓 측 핀(22)에 의해 눌려 플러그 측 스프링(4)의 탄성 반발력에 저항하여 도 3에서 우측으로 이동한다. 그 결과, 플러그 측 밸브체(6)는 플러그 측 밸브 시트(7)에서 떨어진 상태가 되고, 차단밸브(5)는 밸브 개방 상태가 된다.
도 3에 나타내는 소켓(20)과 플러그(10)연결 시에 있어서는 도시하지 않는 수소충전장치 측에서 공급되는 수소 가스는, 소켓 내 유로(21A), 플러그 내 유로 (1A)를 통과하여 플러그(10)측에 설치된 도시하지 않는 충전용 호스에 의해 차량 측에 공급된다.
소켓 내 유로(21A), 플러그 내 유로(1A)는 각각 소켓 측 핀(22), 플러그 측 핀(2)과 동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소켓 내 유로(21A)와 플러그 내 유로(1A)의 중심축은 동일 직선상에 배치되고 있다.
수소 가스 충전 중에 차량이 발진하는 등 트러블로 인해 충전 호스에 소정값 이상의 과대한 인장력이 작용하면, 결합용 볼(40), 결합용 스프링(41)을 포함하는 기구의 작용에 의해 도 4에서 나타내는 것처럼 소켓(20)과 플러그(10)가 분리한다(작동 시).
도 4에서 나타내는 작동시는 소켓(20)과 플러그(10)가 분리하고 있으며, 소켓 측 핀(22)과 플러그 측 핀(2)은 서로 맞누르지 않는다. 그 때문에 소켓 측 스프링(23)의 탄성 반발력에 의해 소켓 측 핀(22)은 도 4에서 우측으로 이동하고, 소켓 측 밸브체(25)는 소켓 측 밸브 시트(27)에 좌착하며, 차단밸브(24)를 닫아 소켓 내 유로(21A)를 차단한다.
한편, 플러그 측 스프링(4)의 탄성 반발력에 의해 플러그 측 핀(2)은 도 4에서 좌측으로 이동하고 플러그 측 밸브체(6)는 플러그 측 밸브 시트(7)에 착좌하고, 차단 밸브(5)를 닫아 플러그 내 유로(1A)를 차단한다.
그 결과, 소켓(20)과 플러그(10)가 분리된 상태(작동 시)에 있어서 소켓(20) 혹은 플러그(10)에서 고압의 수소 가스가 외부로 방출되는 것이 방지된다.
도 3도 4에서 나타내는 긴급이탈용 안전 이음매(100)에서는 소켓 측 핀(22)과 플러그 측 핀(2)은 그 일부가 소켓 내 유로(21A)또는 플러그 내 유로(1A)에 위치하고 있다.
그 때문에, 수소 가스 누출 방지를 위해, 소켓 측 핀 접속단부 측 밀봉재( 28)(예를 들면 O 링)와 플러그 측 핀 접속단부 측 밀봉재(8)(예를 들면 O 링)를 마련하고 있다.
이러한 밀봉재(28, 8)에 의해, 고압의 수소 가스를 충전한 경우에도 소켓 측 핀(22)과 플러그 측 핀(2)의 선단끼리가 당접하고 있는 부분(핀 접속단부(11))의 압력은 대기압과 같은 정도로 유지된다.
여기서, 고압의 수소 가스를 충전했을 때 상기 수소 가스가 소켓 측 핀 타단부(22A) 및 플러그 측 핀 타단부(2A)로 되돌아가서, 소켓 측 핀 타단부(22A) 및 플러그 측 핀 타단부(2A)가 고압이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소켓 측 핀 타단부 밀봉재(29)(예를 들면 O 링)와 플러그 측 핀 타단부 측 밀봉재(9)(예를 들면 O 링)가 마련되어 있다.
만일 소켓 측 핀 타단부 측 밀봉재(29)와 플러그 측 핀 타단부 측 밀봉재(9)를 마련하지 않은 상황하에서 소켓 측 핀 타단부(22A) 및 플러그 측 핀 타단부(2A)가 고압이 되버리면, 소켓 측 핀(22)과 플러그 측 핀(2)의 선단이 맞누르는 힘이 증가하여 긴급이탈용 관 이음매(100)의 소정값을 초과하게 되고, 소켓(20)과 플러그(10)가 분리되어지기 때문이다.
다음에, 도 5~도 7을 참조하여 도 1, 도 2에서 나타내는 호스 가이드(70)와 다른 양태의 호스 가이드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도 2에서 나타내는 호스 가이드(70)는 충전용 호스(61)의 흔들림을 차단하여 상기 흔들림에 의한 모멘트가 안전 이음매(100)의 플러그(10)에 작용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소켓(20)과 플러그(10)가 분리했을 때 플러그(10)가 호스 가이드(70)의 외통(71)을 빠져나갈 수 있으므로, 연료충전장치가 전도되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그에 더하여, 도 5~도 7에서 전체를 부호 70A로 나타내는 호스 가이드는 충전용 호스(61)(도 1, 도 2)에 꼬임이 생겨도, 호스 가이드(70A)에서 안전 이음매(100) 측의 영역의 호스가 회전하지 않도록 하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호스 가이드(70A)는 외통(71A), 충전용 호스(61)를 포위하는 탄성재(72A), 중공 부분에 탄성재(72A)를 수용하는 탄성재 수용부(73A), 탄성재 수용부(73A)의 중공 부분을 폐쇄하는 덮개체(74A)를 구비하고 있는데, 이에 더하여 외통 고정부(75)와, 외통 고정부(75)를 도 6에서의 아래방향으로 조이는 너트(78)를 구비하고 있다.
도 6에서 중공 원통형의 외통(71A)은 탄성재(72A), 탄성재 수용부(73A), 덮개체(74A)를 수용하고 있다. 외통(71A)의 하단에는 반경방향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플랜지(71AA)가 원주방향 전주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또 외통(71A)의 외주면에는 상단부에서 하단부 근처에 걸쳐 너트(78)의 암나사에 나사결합하는 수나사(71AF)가 형성되어 있다.
도 1, 도 2에서 설명한 것과 마찬가지로, 탄성재 수용부(73A)는 탄성재(72A)를 수용하는 중공 부분과, 탄성재(72A)를 상하방향(도 9)으로 지지하는 지지부( 73AH)와, 내주면에 형성된 암나사(73AF)를 구비하고 있다.
단, 탄성재 수용부(73A)의 하단부(도 6)에 반경방향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돌기(73AT)가 형성되어 있다. 돌기(73AT)는 원주방향으로 1군데만 형성해도 좋지만 복수 군데에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외통 고정부(75)는 외통(71A)의 하단부 외주에 배설되고, 내주면에는 홈(75A)이 형성되어 있으며, 홈(75A)에는 외통(71A)의 플랜지(71AA)을 수용 가능하다. 홈(75A)에 플랜지(71AA)를 삽입하여 결합하는 것을 쉽게 하기 위해, 명확하게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외통 고정부(75)는 예를 들면 원주방향으로 2분할된 상태로 구성하거나 혹은 이른바 "네스팅식(중첩식)"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외통 고정부(75)의 내주면에는 탄성재 수용부(73A)의 돌기(73AT)를 수용 가능한 홈(75B)이 형성되고, 홈(75B)은 도시하지 않는 충전 호스의 길이방향, 즉 도 6의 상하방향에 연재하고 있으며, 외통 고정부(75)의 하단에서 개방되어 있다.
도 5~도 7에서는 명시되지 않았지만 외통 고정부(75)는 공지의 형태로 연료충전장치에 고정되어 있다.
탄성재(72A), 덮개체(74A)는 도 1, 도 2에서의 탄성재(72), 덮개체(74)와 같다.
도 7에서 부호 72AB는 탄성재(72A)의 원주방향에 형성된 절단면을 나타내고 있고, 탄성재(72A)를 절단면 72AB에서 열게(벌리게)됨으로써, 탄성재(72A)가 충전용 호스(61)를 포위 혹은 감기도록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 도 2에서는 명시되지 않지만 도 1, 도 2에서 나타내는 탄성체(72)에도 절단면(72AB)과 같은 절단면이 마련되어 있다.
도 6에서 부호 76,77은 트러스트 와셔를 나타내고 있다.
충전용 호스(61)를 안전 이음매(100)에 조립할 때에는 외통(71A)의 플랜지( 71AA)를 외통 고정부(75)의 홈(75A)에 삽입한 다음, 너트(78)를 외통(71A)의 외주면의 수나사(71AF)와 나합시켜서 너트(78)와 외통(71A)의 플랜지(71AA)의 외통 고정부(75)를 끼워 넣어 외통(71A)을 외통 고정부(75)에 고정한다. 외통(71A)이 고정된 외통 고정부(75)는 예를 들면 도시하지 않는 베이스 부재를 개재하여 연료충전장치 측에 고정된다.
그리고 탄성재 수용부(73A), 트러스트 와셔(76, 77), 덮개체(74A), 외통(71A), 외통 고정부(75), 너트(78)의 중공부에 충전용 호스(61)를 통과시켜서 충전용 호스(61)의 안전 이음매(100) 측의 단부를 탈압기(30)에 접속한다. 탈압기 (30)를 생략하는 경우는, 충전용 호스(61)의 안전 이음매(100) 측의 단부를 플러그 (10)에 접속한다.
그 후, 탄성재(72A)를 절단면(72AB)에서 벌려서 충전용 호스(61)를 포위한다. 그리고, 덮개체(74A), 트러스트 와셔(76), 탄성재(72A), 트러스트 와셔(77), 탄성재 수용부(73A)를 외통(71A)의 중공부에 수용한다. 탄성재 수용부(73A)를 수용할 때는 돌기(73AT)의 원주방향 위치를 외통 고정부(75)의 홈(75B)의 원주방향 동위치와 맞춰서 도 6의 아래쪽의 개방부에서 홈(75B) 내에 삽입한다.
그리고 덮개체(74A)의 수나사(74AM)를 탄성재 수용부(73A)의 암나사(73AF)와 나사결합시켜서 탄성체(72A)가 도 6의 상하방향으로 압축되도록 덮개체(74A)를 회전하여 탄성재 수용부(73A)에 고정한다.
도 5~도 7에서 나타내는 호스 가이드(70A)에 있어서 탄성재 수용부(73A)의 돌기(73AT)와 외통 고정부(75)의 홈(75B)은 이른바 "키와 키홈"으로서 작용하고, 탄성재 수용부(73A)가 도 5, 도 6의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은 가능하지만, 탄성재 수용부(73A)가 외통 고정부(75)에 대해서 상대 회전할 수 없다. 따라서, 충전용 호스(61)에 꼬임이 생겨도 충전 호스(6)가 회전하려는 힘은 탄성재 수용부(73A)의 돌기(73AT)와 외통 고정부(75)의 홈(75B)의 작용에 의해 상쇄된다.
또한, 충전용 호스(61)의 꼬임은 탄성재(72A)에서 파지되고 있는 부분에서도 억제 또는 차단된다.
이에 의해, 충전용 호스(61)에 꼬임이 생기더라도 상기 꼬임 혹은 그에 의해 발생하는 충전 호스(6)가 회전하려는 힘은 안전 이음매(100)의 플러그(10) 측에는 전달되지 않아, 충전용 호스(61)의 회전에 의해 탈압기(30) 혹은 플러그(10)가 파손되는 것이 방지된다.
도 5~도 7의 호스 가이드(70A)의 그 외의 구성 및 작용 효과는 도 1, 도 2에서 나타내는 호스 가이드(70)와 같다.
다음에 도 8~도 10을 참조하고, 탈압 장치 30을 설명한다.
탈압기(30)는 관 이음매(100)의 플러그(10)에 설치되고, 플러그(10)와 소켓(20)이 분리했을 때 충전용 호스(61)의 플러그(10)보다 차량 측의 영역에서의 고압의 연료를 낮은 압력으로 충전 호스(61) 내에서 배출(탈압)하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여기에서 소켓(20)보다 연료충전장치 측 영역의 연료는, 연료충전장치 측 탈압기구(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탈압된다. 또 탈압기(30)는 연료가 수소 가스 등의 기체연료가 아닌 경우에 설치할 필요성이 없다.
도 8에서 탈압기(30)는 대략 직방체형 형상으로 금속제의 탈압기 본체부(31)와, 금속제의 탈압용 플러그(32)를 구비하고 있으며, 탈압용 플러그(32)는 본체부( 31)의 탈압용 연통공(31B)에 결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8에서 본체부(31)의 우측에는 오목부(31F)가 설치되고, 오목부(31F)에는 차량 측 충전용 호스(61)가 접속된다. 명확하게는 도시하지 않지만 본체부(31)의 좌측 단부(31E)는 관 이음매(100)의 플러그(10)에 접속된다.
본체부(31)의 상하방향 중앙부에는 연료 통로(31A)가 형성되고, 연료 통로( 31A)는 단부(31E)를 개재하여 플러그(10) 측 플러그 내 유로(1A)에 연통하여 오목부(31F)를 개재해서 충전용 호스(61)에 연통하고 있다.
도 8에서 윗면(31G)에서 연료 통로(31A)에 연통하는 탈압용 연통공(31B)이 상하방향으로 연재하여 형성되어 있으며, 탈압용 연통공(31B)에는 릴리프 회로(31C)(도 9, 도 10)가 연통하고 있다. 릴리프 회로(31C)의 단면적은 흐르는 연료에 충분한 압력손실을 줄 수 있을 정도로 충분히 작게 설정되어 있다.
탈압용 연통공(31B)에는 탈압용 플러그(32)가 결합하고 있고, 도 9에 나타내는 것처럼 탈압용 플러그(32)가 탈압용 연통공(31B)과 결합함으로써 릴리프 회로(31C)는 연료 통로(31A)로부터 차단된다.
탈압용 연통공(31B)은 연료 통로(31A)와 연통하고 있는 소경부(31BA), 테이퍼부(31BB), 제 1 중경부(31BC), 제 2 중경부(31BD), 윗면(31G)에 연통하는 암나사부(31BE)를 구비하고 있다. 한편, 탈압용 플러그(32)는 하단부의 최소지름의 핀 선단부(32A), 핀 테이퍼부(32B), 핀 중경부(32C), 외주에 수나사를 형성한 수나사부 (32D)를 구비하고 있다. 탈압용 연통공(31B)에 탈압용 플러그(32)를 결합할 때 탈압용 플러그(32)의 핀 첨단부(32A)는 탈압용 연통공(31B)의 소경부(31BA)에 삽입된다.
도 8에서 나타내는 것처럼, 탈압용 플러그(32)의 핀 테이퍼부(32B)와 탈압용 연통공(31B)의 테이퍼부(31BB)는 상보형상이며, 핀 테이퍼부(32B)는 테이퍼부(31BB)에 당접하고 있다. 여기서, 탈압용 플러그(32) 및 본체부(31)는 같이 금속제이기 때문에, 핀 테이퍼부(32B)와 테이퍼부(31BB)가 당접하고 있는 부분은 이른바 "금속 밀봉 시일"을 구성한다.
탈압용 플러그(32)의 핀 중경부(32C)와 탈압용 연통공(31B)의 제 2 중경부(31BD)와의 사이에는 O 링(31H)이 배치되고, O 링(31H)은 탈압용 플러그(32)가 탈압용 연통공(31B)에 대해서 충분히 상승한 경우(탈압용 플러그(32)와 본체부(31)의 계합을 해제한 상태:도 10 참조)에, 탈압용 플러그(32)와 탈압용 연통공(31B)의 틈에서 고압의 연료가 도 10의 위쪽으로 분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탈압용 연통공(31B)에는 암나사부(31BE)가 설치되고, 암나사부(31BE)에는 탈압용 플러그(32)의 수나사부(32D)의 외주에 형성된 수나사가 나사결합하고 있다.
또, 탈압용 플러그(32)의 윗면에는 육각구멍(32E)(플러그 육각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며, 탈압용 플러그(32)를 탈압용 연통공(31B)에 설치 혹은 떼어낼 때에는 도시하지 않는 육각봉 스패너를 플러그로 육각구멍(32E)에 삽입하여 육각봉 스패너를 회전시킨다.
도 9, 도 10에서 나타내는 것처럼 테이퍼부(31BB)와 제 1 중경부(31BC)의 경계 근처의 영역에서 탈압용 연통공(31B)은 릴리프 회로(31C)에 연통하고 있다.
도 8, 도 9에서 나타내는 것처럼 탈압용 플러그(32)가 탈압용 연통공(31B)에 조여진 상태에서는, 핀 테이퍼부(32B)와 탈압용 연통공(31B)의 테이퍼부(31BB)가 당접해서 금속 밀봉 시일을 구성하기 때문에, 연료 통로(31A)를 흐르는 고압의 연료는 상기 금속 밀봉 시일로 완전히 차단되어 릴리프 회로(31C)를 흐르지 않는다.
한편, 플러그(10)와 소켓(20)이 분리된 때는 예를 들면 육각봉 스패너에 의해 탈압용 플러그(32)를 탈압방향으로 회전시키고, 탈압용 연통공(31B)의 암나사부(31BE)와 탈압용 플러그(32)의 수나사부(32D)와의 나사결합을 해제하여 핀 테이퍼부(32B)와 탈압용 연통공(31B)의 테이퍼부(31BB)를 격리시켜서 금속 밀봉 시일을 해제한다.
금속 밀봉 시일을 해제한 상태가 도 10에 나타나 있다. 핀 선단부(32A)의 지름 치수(d1)는 탈압용 연통공(31B)의 소경부(31BA)의 내측(d2)보다 작게 설정되어 있으며(d1<d2), 핀 선단부(32A)의 외주와 탈압용 연통공(31B)의 소경부(31BA)의 내주와의 사이에는 직경 차이에 따라 소정 단면적(π/4)(d22-d12)의 원환상의 틈이 형성된다.
도 10에서 나타내는 탈압 시에는 연료 통로(31A)에 충전되어 있는 고압의 연료는 상기 원환상의 틈(오리피스로서 작용)을 개재하여 릴리프 회로(31C)에 유입되어 릴리프 회로(31C)를 통과하여 화살표 O으로 나타내는 것처럼 탈압기(30) 밖으로 유출한다. 그 때, 상기 원환상의 틈과 릴리프 회로(31C)를 통과할 때의 압력손실에 의해 연료 압력이 저하하여 릴리프 회로(31C)에서 급격하게 분출하는 것은 방지된다. 그래서 충전용 호스(61)가 이리저리 돌아다니는 것도 방지된다.
여기서, 릴리프 회로(31C)의 연료의 출구는 플러그 육각봉(32E)(탈압용 플러그(32) 위쪽에 위치하고 있다)에서 떨어진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 그 때문에, 플러그 육각봉(32E)에 육각봉 스패너를 삽입하여 회전할 때, 금속끼리의 접촉에 의한 불꽃이 생겼다 하더라도 연료에 불꽃이 인화하는 위험성은 매우 적어지게 되어 안전성이 향상된다.
도 8~도 10에서는 예를 들면 도 9에 나타내는 것처럼 탈압용 플러그(32)가 탈압용 연통공(31B)에 조여진 상태에서는, 핀 선단부(32A)의 길이(L)(도 9의 상하방향 길이)와 탈압용 연통공(31B)의 소경부(31BA)의 길이(HL)가 비교적 길며, 탈압용 연통공(31B)의 소경부(31BA) 내에 핀 선단부(32A)가 삽입되어 있는 길이(LW)도 비교적 길다.
그 때문에, 플러그 육각구멍(32E)에 육각봉 스패너를 삽입하여 회전할 때, 육각봉 스패너를 많이 회전했더라도 탈압용 연통공(31B)의 소경부(31BA)에서 핀 선단부(32A)가 완전히 빠지지 않고, 소경부(31BA)와 핀 선단부(32A)의 원환상의 틈(단면적(π/4)(d22-d12)의 틈)을 개재하여 연료가 류과하는 상태가 유지되어 고압의 연료에 대해서 압력손실을 주어 감압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탈압기(30)에서 탈압용 플러그(32)의 연료 유로 측 선단부(32A)의 길이(L)를 짧게 구성하고, 본체부(31)의 윗면(31G)에 회전방지 핀 삽입공을 마련하며, 상기 회전방지 핀 삽입공에 육각재 스패너의 회전을 억제하는 회전방지 핀을 삽입 가능하게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시의 실시형태는 어디까지나 예시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한정하는 취지의 기술이 아님을 부기한다.
1...플러그 본체
1A...플러그 내 유로
2...플러그 측 핀
10...플러그
20...소켓
21A...소켓 내 유로
22...소켓 측 핀
30...탈압기
31...본체부
31A...연료 유로
31B...탈압용 연통공
31BA...소경부
31BB...테이퍼부
31C...릴리프 회로
32...탈압용 플러그
32A...핀 선단부
32B...핀 테이퍼부
61...충전용 호스
70, 70A...호스 가이드(가이드 부재)
71, 71A...외통
72, 72A...탄성재
73, 73A...탄성재 수용부
73AT...돌기
74, 74A...덮개부
75...외통 고정부
75A, 75B...홈
100...안전 이음매(긴급이탈용 관 이음매)

Claims (4)

  1. 내부에 유로가 형성된 원통상의 플러그와,
    상기 플러그가 삽입되면 차단밸브가 열려 연속해서 유로가 형성되는 소켓으로 구성되고, 소켓에서 플러그가 이탈하면 차단밸브가 닫히는 관 이음매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내의 유로와 상기 소켓 내의 유로가 동일 직선상에 배치되며,
    상기 플러그에는 충전용 호스가 연결되고,
    상기 플러그에서 떨어진 위치에는 충전용 호스의 이동을 제한하는 가이드 부재가 설치되며,
    상기 가이드 부재는 외통과, 충전용 호스를 포위하는 탄성재와, 중공 부분에 탄성재를 수용하는 탄성재 수용부와, 탄성재 수용부와 계합하여 중공 부분을 폐쇄하는 덮개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이음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부재의 외통의 내경치수는 상기 플러그의 최대지름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이음매.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외통은 외통 고정부에 의해 고정되고, 가이드 부재의 탄성재 수용부의 단부에 반경방향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돌기가 형성되어 있으며, 외통 고정부의 내주면에는 상기 돌기를 수용 가능한 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이음매.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금속제의 본체부에 연료 유로와 연통하는 탈압용 연통공을 형성하고, 상기 탈압용 연통공에 삽입 가능한 금속제의 탈압용 플러그를 설치하며, 탈압용 연통공과 탈압용 플러그에는 상보형상의 테이퍼부를 형성한 탈압기를 상기 플러그 혹은 소켓 중 어느 한쪽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이음매.
KR1020180078689A 2017-07-11 2018-07-06 안전 이음매 KR10208875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7135265A JP6590160B2 (ja) 2017-07-11 2017-07-11 安全継手
JPJP-P-2017-135265 2017-07-1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6917A KR20190006917A (ko) 2019-01-21
KR102088759B1 true KR102088759B1 (ko) 2020-03-13

Family

ID=628747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8689A KR102088759B1 (ko) 2017-07-11 2018-07-06 안전 이음매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704725B2 (ko)
EP (1) EP3428500B1 (ko)
JP (1) JP6590160B2 (ko)
KR (1) KR102088759B1 (ko)
CN (1) CN10923717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293524B1 (en) * 2016-09-12 2021-06-09 Stratec SE Fluidic coupling
JP6590159B2 (ja) * 2017-07-11 2019-10-16 株式会社タツノ 安全継手
CN109737257B (zh) * 2019-01-21 2023-12-19 中国船舶重工集团应急预警与救援装备股份有限公司 一种可自动脱拔的快接装置
GB201902467D0 (en) 2019-02-22 2019-04-10 Techflow Marine Ltd Valve
JP7157913B2 (ja) * 2019-12-24 2022-10-21 株式会社タツノ 安全継手
US11326728B2 (en) * 2020-01-22 2022-05-10 Illinois Tool Works Inc. Connector assembly
JP7300111B2 (ja) * 2021-01-06 2023-06-29 株式会社タツノ 安全継手
DE102021130250A1 (de) * 2021-11-19 2023-05-25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Ventilbaugruppe, Druckbehältersystem, Fahrzeug und Verfahren zum Ablassen von Brennstoff
JP7372606B2 (ja) * 2022-01-05 2023-11-01 株式会社タツノ 安全継手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34947C3 (de) * 1969-07-10 1979-04-12 Cortix Industrie- Und Bergbautechnik Gmbh & Co Kg, 4370 Marl Schnellkupplung zur Verbindung von Schlauch- und Rohrleitungen
US4269226A (en) * 1979-12-17 1981-05-26 Aeroquip Corporation Universal breakaway coupling
US4351351A (en) * 1980-08-07 1982-09-28 Exxon Research And Engineering Co. Breakaway pipe coupling with automatically closed valves
JPS58104946U (ja) * 1982-01-12 1983-07-16 有限会社郷鋳造鉄工所 雌形接続金具結合用操作装置
US4864696A (en) * 1988-02-24 1989-09-12 Tokheim Corporation Hose clamp for a fuel dispensing system
US5222520A (en) * 1990-07-12 1993-06-29 Dover Corporation Fuel hose breakaway unit
US5135029A (en) * 1990-07-12 1992-08-04 Dover Corporation Fuel hose breakaway unit
JPH0450800U (ko) * 1990-09-07 1992-04-28
JPH0735894U (ja) * 1993-11-09 1995-07-04 ニッタ・ムアー株式会社 流体継手
US5695221A (en) * 1995-10-02 1997-12-09 Dover Corporation Fuel hose breakaway units
JP3298097B2 (ja) * 1996-01-12 2002-07-02 株式会社タツノ・メカトロニクス 計量機の安全管継手のカバー
JP4572283B2 (ja) * 1999-03-04 2010-11-04 Smc株式会社 チャック及び管継手
JP4420503B2 (ja) * 1999-12-24 2010-02-24 日東工器株式会社 管継手
CN2622531Y (zh) * 2002-06-12 2004-06-30 崔锦开 快速管道接头
JP2004293777A (ja) * 2003-03-11 2004-10-21 Tokico Ltd 緊急離脱カプラ
JP2005106197A (ja) * 2003-09-30 2005-04-21 Hitachi Ltd 緊急離脱カプラ
JP2007120717A (ja) 2005-10-31 2007-05-17 Hitachi Ltd 緊急離脱カップリング
JP4986520B2 (ja) * 2006-07-10 2012-07-25 サーパス工業株式会社 流体移送用カップリング装置
JP4912375B2 (ja) * 2007-09-28 2012-04-11 長堀工業株式会社 流体継手
US7980173B2 (en) * 2008-09-12 2011-07-19 Catlow, Inc. Hydraulic compactor system having flexible hoses with breakaway couplers
JP2010078027A (ja) * 2008-09-25 2010-04-08 Nagano Yuki Kk 配管用継手
CN201875329U (zh) * 2010-11-24 2011-06-22 徐洪才 防盗防冻快速接头
CN102900907B (zh) * 2012-09-28 2015-10-14 凯迈(洛阳)气源有限公司 快速接头
JP5967439B2 (ja) * 2012-12-04 2016-08-10 株式会社タツノ ガス充填装置
JP6540967B2 (ja) * 2016-12-12 2019-07-10 株式会社タツノ 管継手
JP6504469B2 (ja) * 2016-12-12 2019-04-24 株式会社タツノ 脱圧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RU2018125148A3 (ko) 2021-09-24
CN109237179B (zh) 2022-04-05
CN109237179A (zh) 2019-01-18
EP3428500A1 (en) 2019-01-16
RU2018125148A (ru) 2020-01-13
KR20190006917A (ko) 2019-01-21
JP6590160B2 (ja) 2019-10-16
EP3428500B1 (en) 2020-04-08
US20190017642A1 (en) 2019-01-17
JP2019015388A (ja) 2019-01-31
US10704725B2 (en) 2020-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88759B1 (ko) 안전 이음매
KR102096898B1 (ko) 안전 이음매
KR102096899B1 (ko) 관 이음매
JP6540967B2 (ja) 管継手
JP6504469B2 (ja) 脱圧器
CN108883323B (zh) 用于压力加载的灭火流体容器的快开阀和具有其的灭火流体容器
CA2258063C (en) Improved breakaway coupling
KR100673295B1 (ko) 긴급이탈관이음매
RU2773582C2 (ru) Предохранительный разъединитель
JP7276720B2 (ja) 安全継手
KR20090102425A (ko) 가스용기 탭의 체크밸브
KR200374147Y1 (ko) 주유기 안전 밸브
KR200188931Y1 (ko) 코크스오븐 연소실 부분연소중지장치
ITMI991594A1 (it) Blocco di sicurezza per tutti i serbatoi di gas di petrolio liquefatto comprendente valvole di sovrapressione e termofusione
KR19980025051U (ko) 가스용기용 원터치 연결밸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