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25051U - 가스용기용 원터치 연결밸브 - Google Patents

가스용기용 원터치 연결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25051U
KR19980025051U KR2019980006955U KR19980006955U KR19980025051U KR 19980025051 U KR19980025051 U KR 19980025051U KR 2019980006955 U KR2019980006955 U KR 2019980006955U KR 19980006955 U KR19980006955 U KR 19980006955U KR 19980025051 U KR19980025051 U KR 1998002505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hole
valve body
gas container
ho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0695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민정식
Original Assignee
민정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민정식 filed Critical 민정식
Priority to KR2019980006955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25051U/ko
Publication of KR1998002505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5051U/ko

Links

Landscapes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새로운 구조의 가스용기용 원터치 연결밸브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가스용기(10)에 형성된 밸브몸체(12)의 배출포트(20) 또는 호스(23)에 결합되며, 내부에 통공(31)이 형성되고, 상기 통공(31)의 선단 내부에는 내향하는 밸브시트(32)가 형성되며, 이 통공(31) 내에는 밸브시트(32)에 안착되도록 스프링(34)에 탄성적으로 가압지지되는 제1 밸브스템(35)을 포함하는 제1 밸브체(30)와, 후단부(43)가 상기 호스(23) 또는 상기 밸브몸체(12)의 배출포트(20)에 결합되고 선단부에는 상기 제1 밸브체(30)의 선단부가 삽입되는 삽입공(48)이 형성되고, 내부에는 삽입공(48) 쪽으로 개방된 통공(41)이 형성되고, 통공(41)의 삽입공(48)측에는 내향하는 밸브시트(42)가 형성되며, 이 통공(41) 내에는 밸브시트(42)에 안착되도록 스프링(44)에 탄성적으로 가압지지되는 제2 밸브스템(45)을 포함하는 제2 밸브체(40)와, 상기 제2 밸브체(40)의 선단부 둘레에 형성되며 구체(54)가 출몰가능하게 삽입되는 관통공(53)과, 이 관통공(52)에 대응하는 상기 제1 밸브체(40)의 외주면에 형성되며 상기 구체(54)가 부분적으로 끼워지도록 된 오목부(55)와, 스프링(56)에 의해 선단측으로 탄성가압되도록 상기 제2 밸브체(40)의 선단부 외주면에 결합되며 구체(54)를 오목부(55)쪽으로 가압 또는 해제하도록 된 체결링(50)을 포함하는 가스용기용 원터치식 연결밸브가 제공된다.

Description

가스용기용 원터치 연결밸브
본 고안은 가스용기용 원터치 연결밸브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상세히는 가스용기와 호스의 탈착이 신속, 용이하면서도, 가스누출의 위험이 낮은 새로운 구조의 가스용기용 원터치 연결밸브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에 가정이나 업소에서 많이 사용되는 액화석유가스(LPG)용 가스용기의 구조를 보여주는데, 도시된 바와 같이, 가스용기(10)의 상부에는 핸들(14)과 릴리프밸브(22)가 구비된 밸브몸체(12)가 결합되고, 이 밸브몸체(12)의 일측의 배출포트(20)에는 어댑터(25)를 통해 측도관인 호스(23) 또는 배관이 접속된다. 그리고, 이 호스(23)의 중간에는 조정기(24)가 결합된다. 가스가 소모되어 용기를 교체하기 위해서는 가스용기(10) 상단의 밸브몸체(12)의 핸들(14)을 돌려서 밸브를 잠근 후에, 밸브몸체(12)의 배출포트(20)로부터 어댑터(25)를 돌려서 호스(23)를 분리해야만 했다. 그러나, 이와 같이 밸브를 잠근 후에 호스(23)를 분리하는 동작은 번거롭고, 밸브를 완전히 잠그지 않으면 가스용기(10)로부터 가스가 누출될 염려가 있다. 또한, 호스(23)를 분리하면, 호스(23)나 가스배관에 있던 가스가 역류하여 누출되기도 하여 폭발사고의 우려도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일부로 호스(23)를 밸브몸체(12)로부터 분리하여 가스를 유출시켜서 고의적으로 폭발사고를 유발하기도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가스용기의 교체상의 번거로움과, 가스누출사고의 위험성 및 고의적인 가스유출사고를 억제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간편하게 원터치식으로 가스용기(10)의 밸브몸체(12)에 호스(23)를 착탈할 수 있으며, 밸브몸체(12)와 호스(23)가 분리되면 자동적으로 가스밸브측과 호스측을 차단시킬 수 있어서 가스누출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액화석유가스용기용 원터치 연결밸브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가스용기 조정기의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가스용기의 연결밸브의 구성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연결밸브의 분리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가스용기 12. 밸브몸체
14. 핸들 16. 스템
30. 제1 밸브체 31. 통공
32. 밸브시트 34. 스프링
35. 제1 밸브스템 40. 제2 밸브체
41. 통공 42. 밸브시트
44. 스프링 45. 제2 밸브스템
40. 삽입공 50. 체결링
53. 관통공 54. 구체
본 고안에 따르면, 가스용기(10)에 형성된 밸브몸체(12)의 배출포트(20)와 호스(23) 사이에 개재되어 이들을 상호 연결하는 연결수단에 있어서, 상기 연결수단은, 후단부(33)가 상기 밸브몸체(12)의 배출포트(20) 또는 상기 호스(23)에 기밀하게 결합되며, 내부에 통공(31)이 형성되고, 상기 통공(31)의 선단측 내부에는 내향하는 밸브시트(32)가 형성되며, 이 통공(31) 내에는 상기 밸브시트(32)에 기밀하게 안착되도록 스프링(34)에 탄성적으로 가압지지되는 제1 밸브스템(35)을 포함하는 제1 밸브체(30)와, 후단부(43)가 상기 호스(23) 또는 상기 밸브몸체(12)의 배출포트(20)에 기밀하게 결합되고 선단부에는 상기 제1 밸브체(30)의 선단부가 기밀하게 삽입되는 삽입공(48)이 형성되고, 내부에는 상기 삽입공(48) 쪽으로 개방된 통공(41)이 형성되고, 상기 통공(41)의 삽입공(48)측에는 내향하는 밸브시트(42)가 형성되며, 이 통공(41) 내에는 상기 밸브시트(42)에 기밀하게 안착되도록 스프링(44)에 탄성적으로 가압지지되는 제2 밸브스템(45)을 포함하는 제2 밸브체(40)와, 상기 제2 밸브체(40)의 선단부 둘레에 형성되며 구체(54)가 출몰가능하게 삽입되는 관통공(53)과, 이 관통공(52)에 대응하는 상기 제1 밸브체(40)의 외주면에 형성되며 상기 구체(54)가 부분적으로 끼워지도록 된 오목부(55)와, 스프링(56)에 의해 선단측으로 탄성가압되도록 상기 제2 밸브체(40)의 선단부 외주면에 결합되며 상기 구체(54)를 상기 오목부(55)쪽으로 가압 또는 해제하도록 된 체결링(5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용기용 원터치식 연결밸브가 제공된다.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2와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의 구성도로서, 도시된 바와같이, 가스용기(10)의 밸브몸체(12)의 배출포트(20)에는 제1 밸브체(30)가 기밀하게 결합되고, 호스(23)에는 제2 밸브체(40)가 기밀하게 결합된다. 제1 밸브체(30)를 살펴보면, 내부에 통공(31)이 형성되고, 이 통공(31) 내부의 확장된 부위에는 제1 밸브스템(35)이 그 중심축상에 배치된다. 이 제1 밸브스템(35)은 스프링(34)에 의해 선단측으로 탄성가압된다. 이 제1 밸브스템(35)의 선단측에는 밸브시트(32)가 내향돌출되어, 제1 밸브스템(35)의 밸브헤드(36)가 기밀하게 안착되도록 된다. 그리고, 이 밸브스템(35)의 선단부에는 돌출부(37)가 형성된다. 번호 39은 O링이다.
한편, 가스호스(23)에 결합되는 제2 밸브체(40)는 후단부(43)가 호스(23)로 삽입되도록 구성되고, 선단부에는 제1 밸브체(30)의 선단부가 삽입되는 삽입공(48)이 형성되며, 이 삽입공(48)에 연통되어 가스가 흐르는 통공(41)이 형성된다. 이 통공(41) 내에는 제2 밸브스템(45)이 스프링(44)에 탄설되어 내장되고, 이 제2 밸브스템(45)의 밸브헤드(46)는 통공(41)의 선단측에서 내향 돌출되는 밸브시트(42)에 기밀하게 안착된다. 그리고, 이 제2 밸브스템(45)의 선단부에는 결합상태에서 상기 제1 밸브스템(30)의 선단 돌출부(37)에 맞닿도록 된 돌출부(47)가 형성된다. 제 1 밸브스템(35)의 돌출부(37)와 제2 밸브스템(45)의 돌출부(47)가 맞닿으면, 각각의 밸브헤드(36,46)은 밸브시트(32,42)와 이격되어 서로 연통되게 된다.
한편, 제1 밸브체(30)의 외주면에는 오목부(55)가 형성되고, 이에 대응하여 제2 밸브체(40)에는 관통공(53)이 형성되며, 이 속에는 구체(54)가 삽입된다. 그리고, 제2 밸브체(40)의 외주면에는 체결링(50)이 결합되어 스프링(56)에 의해 선단쪽으로 탄성가압된다. 이 체결링(50)의 내주면 선단측에는 경사부(57)가 형성되고, 그 안쪽에는 가압돌기(58)가 형성된다. 따라서, 스프링(56)에 의해 체결링(50)이 전진한 상태에서는 가압돌기(58)에 의해 구체(54)가 가압되어 제1 밸브체(30)의 오목부(55)에 맞물리면 제1 밸브체(30)와 제2 벨브체(40)는 서로 체결된 상태로 된다. 만일 작업자가 손으로 체결링(50)을 후퇴시키면 구체(54)는 경사부(57)에 맞닿아 상승될 수 있으므로 오목부(55)와의 맞물림이 해제되어 제1 밸브체(30)와 제2 밸브체(40)는 해제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가스용기(10)에 형성된 밸브몸체(12)에 제1 밸브체(30)를 결합하여 두고, 호스(23)에는 제2 밸브체(40)를 결합하여 두고, 가스용기의 교체시에는 제2 밸브체(40)의 체결링(50)을 당겨서 제1 밸브체(30)와 제2 밸브체(40)을 분리할 수 있다. 이때, 스프링(34,44)의 탄성력에 의해 밸브스템(35,45)의 밸브헤드(36,46)이 밸브시트(32,42)에 밀착되게 되어 가스용기(10)로부터의 가스의 누출이나 호스(23)를 통해 역류되는 가스의 누출이 자동적으로 차단된다. 한편, 제1 밸브체(30)와 제2 밸브체(40)를 서로 결합하여 체결하면, 제1 밸브스템(35)의 돌출부(37)가 제2 밸브스템(45)의 돌출부(47)에 맞닿아서 각각 스프링(34,44)의 탄성에 반하여 후퇴되므로 밸브헤드(36,46)가 밸브시트(32,42)에서 이격되므로 가스통로가 형성되어 가스가 공급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에 따르면, 서로 원터치식으로 착탈가능한 제1 밸브체(30)와 제2 밸브체(40)를 각각 가스용기의 밸브몸체(12)와 호스(23) 사이에 개재시키고, 그 내부에는 체크밸브를 내장시키고, 체결시에 이들 체크밸브가 개방되도록 함으로써 가스용기의 교체가 간편해지고, 교체시에 가스가 누출되는 것이 방지되므로 안정성을 더욱 높이면서도 사용성이 우수한 새로운 가스용기용 원터치 연결밸브가 제공된다.

Claims (1)

  1. 가스용기(10)에 형성된 밸브몸체(12)의 배출포트(20)와 호스(23) 사이에 개재되어 이들을 상호 연결하는 연결수단에 있어서, 상기 연결수단은, 후단부(33)가 상기 밸브몸체(12)의 배출포트(20) 또는 상기 호스(23)에 기밀하게 결합되며, 내부에 통공(31)이 형성되고, 상기 통공(31)의 선단측 내부에는 내향하는 밸브시트(32)가 형성되며, 이 통공(31) 내에는 상기 밸브시트(32)에 기밀하게 안착되도록 스프링(34)에 탄성적으로 가압지지되는 제1 밸브스템(35)을 포함하는 제1 밸브체(30)와, 후단부(43)가 상기 호스(23) 또는 상기 밸브몸체(12)의 배출포트(20)에 기밀하게 결합되고 선단부에는 상기 제1 밸브체(30)의 선단부가 기밀하게 삽입되는 삽입공(48)이 형성되고, 내부에는 상기 삽입공(48) 쪽으로 개방된 통공(41)이 형성되고, 상기 통공(41)의 삽입공(48)측에는 내향하는 밸브시트(42)가 형성되며, 이 통공(41) 내에는 상기 밸브시트(42)에 기밀하게 안착되도록 스프링(44)에 탄성적으로 가압지지되는 제2 밸브스템(45)을 포함하는 제2 밸브체(40)와, 상기 제2 밸브체(40)의 선단부 둘레에 형성되며 구체(54)가 출몰가능하게 삽입되는 관통공(53)과, 이 관통공(52)에 대응하는 상기 제1 밸브체(40)의 외주면에 형성되며 상기 구체(54)가 부분적으로 끼워지도록 된 오목부(55)와, 스프링(56)에 의해 선단측으로 탄성가압되도록 상기 제2 밸브체(40)의 선단부 외주면에 결합되며 상기 구체(54)를 상기 오목부(55)쪽으로 가압 또는 해제하도록 된 체결링(5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용기용 원터치식 연결밸브.
KR2019980006955U 1998-04-30 1998-04-30 가스용기용 원터치 연결밸브 KR19980025051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6955U KR19980025051U (ko) 1998-04-30 1998-04-30 가스용기용 원터치 연결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6955U KR19980025051U (ko) 1998-04-30 1998-04-30 가스용기용 원터치 연결밸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5051U true KR19980025051U (ko) 1998-07-25

Family

ID=695135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06955U KR19980025051U (ko) 1998-04-30 1998-04-30 가스용기용 원터치 연결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25051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161843C (en) Refueling check valve for compressed natural gas powered vehicles
US7341075B2 (en) Fluid flow control valve
US4402340A (en) Pressure-responsive shut-off valve
US7686017B2 (en) Fluid flow control valve
CA2681304C (en) Pipe coupling member for high-pressure fluid
CN109237179B (zh) 安全接头
US5839488A (en) Hands-off low-air-loss quick-connect quick-disconnect fast-fill dunnage bag filling valve-nozzle assembly & system
US5067520A (en) Tap for compressed or liquefied gas
JP6590159B2 (ja) 安全継手
GB2250073A (en) Refrigeration system service couplings
US2299643A (en) Valved connector
JP2019015390A (ja) 管継手
US4616677A (en) Manifold fitting for a compressed air tank
US6409150B2 (en) Pin valve with removable valve body cover
US5881769A (en) Breakaway coupling
US7178548B2 (en) Dry safety device for an inflammable gas
KR19980025051U (ko) 가스용기용 원터치 연결밸브
EP0717821B1 (en) A gas container valve
JPH0218472B2 (ko)
JP2001200943A (ja) ガス栓
KR19980032214U (ko) 가스용기용 원터치 연결밸브
KR200290326Y1 (ko) 차단 장치 내장형 가스용 퓨즈콕
EP0459966A2 (en) Arrangement in gas regulator
JP3114420U (ja) 管継手装置の開閉弁装置における自動逃し弁機構
KR20220010889A (ko) 엘피지 용기밸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