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3614B1 - 섬유돌망태를 이용한 인공어초와 이것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섬유돌망태를 이용한 인공어초와 이것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3614B1
KR102083614B1 KR1020190049251A KR20190049251A KR102083614B1 KR 102083614 B1 KR102083614 B1 KR 102083614B1 KR 1020190049251 A KR1020190049251 A KR 1020190049251A KR 20190049251 A KR20190049251 A KR 20190049251A KR 102083614 B1 KR102083614 B1 KR 1020836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ll
unit
gabion
net
me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92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기
박원경
Original Assignee
(주)시대에코텍
주식회사 대영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시대에코텍, 주식회사 대영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시대에코텍
Priority to KR10201900492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361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36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36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70Artificial fishing banks or reefs
    • A01K61/78Arrangements for sinking or mooring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50Culture of aquatic animals of shellfish
    • A01K61/54Culture of aquatic animals of shellfish of bivalves, e.g. oysters or musse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Artificial Fish Reef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어패류의 산란 및 서식 공간을 형성함은 물론 해저면에 안정되게 정착시킬 수 있는 섬유돌망태를 이용한 인공어초와 이것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섬유돌망태를 이용한 인공어초는 외관을 형성하는 돌망태유닛과, 돌망태유닛에 충진되는 골재와, 골재의 상부에 배치되는 패각망유닛 및 패각망유닛에 충진되는 패각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섬유돌망태를 이용한 인공어초와 이것의 제조방법{ARTIFICIAL FISH SHELTER USING THE STONE BAG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IS}
본 발명은 섬유돌망태를 이용한 인공어초와 이것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어패류의 산란 및 서식 공간을 형성함은 물론 해저면에 안정되게 정착시킬 수 있는 섬유돌망태를 이용한 인공어초와 이것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어초는 해저에 인공적인 구조물을 설치하여 수산생물을 보호, [0002] 육성하는 어장 시설물이다. 이러한 어초는 바다생태계에 큰 역할을 하는 해조류의 좋은 서식처가 되고, 풍성한 해조류는 치어나 패류들의 좋은 먹이가 되며, 어류들의 좋은 산란장이 된다. 또한 어초는 거센 파랑(너울)이나 해류 등을 막아주고 와류를 만들어 풍부한 용존 산소와 미세 플랑크톤을 제공하여 어패류의 훌륭한 휴식처가 되어 준다.
이에 대해, 호안블록, 인공어초, 인공해림초, 테트라포트 등과 같은 일정 강도를 가진 바다 투입물은 주재료가 시멘트인 콘크리트 제작되는 데, 시멘트로부터 독성이 매우 강한 수산화칼슘 등이 배출되어 수생식물 및 어류 등에 유해하고, 일정기간 이상이 경과되어야 수생식물 및 각종 이끼류가 서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16724호 (발명의 명칭 : 생분해성 인공어초, 2012. 03. 13. 공고) (2)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8-0117291호 (발명의 명칭 : 섬유돌망태 및 섬유돌망태 제조 방법, 2018. 10. 29. 공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어패류의 산란 및 서식 공간을 형성함은 물론 해저면에 안정되게 정착시킬 수 있는 섬유돌망태를 이용한 인공어초와 이것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섬유돌망태를 이용한 인공어초는 외관을 형성하는 돌망태유닛; 상기 돌망태유닛에 충진되는 골재; 상기 골재의 상부에 배치되는 패각망유닛; 및 상기 패각망유닛에 충진되는 패각;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돌망태유닛은, 원형, 타원형, 다각형 중 어느 하나로 재단된 돌망태망지; 상기 돌망태망지의 가장자리를 따라 그물코 단위로 홈질 체결되는 망태봉합줄; 및 상기 망태봉합줄에서 이격되어 상기 돌망태망지의 가장자리를 따라 그물코 단위로 홈질 체결되는 망태인양줄;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패각이 충진된 상기 패각망유닛과 상기 골재가 상기 돌망태망지의 내부에 수용되도록 상기 돌망태유닛의 입구는 상기 망태봉합줄에 의해 봉합된다.
여기서, 상기 패각망유닛의 일측면은, 상기 골재가 충진된 상기 돌망태유닛이 해저면에 정착될 때, 해저면과 마주보거나, 해저면과 교차된다.
여기서, 상기 패각망유닛은, 납작한 자루 형상으로 입구가 개구된 패각망지; 및 상기 패각망유닛의 입구에서 상기 패각망지의 양면을 그물코 단위로 홈질 체결시키는 입구봉합줄;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패각이 상기 패각망지의 내부에 수용되도록 상기 패각망유닛의 입구는 상기 입구봉합줄에 의해 봉합된다.
여기서, 상기 패각망유닛은, 상기 패각이 충진된 상기 패각망지에서 상기 패각의 충진영역이 둘 이상으로 구획되도록 하나 이상이 상기 패각망지의 양면을 상호 결합시키는 뭉침방지부;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돌망태망지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 중 어느 하나로 재단되어 상기 골재가 충진되는 내부망지; 원형, 타원형, 다각형 중 어느 하나로 재단되어 상기 내부망지를 감싸는 외부망지; 및 상기 내부망지를 기준으로 상기 외부망지가 고정되도록 둘 이상이 상호 이격되어 상기 내부망지와 상기 외부망지를 상호 결합시키는 겹망연결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섬유돌망태를 이용한 인공어초는 상기 돌망태유닛을 기준으로 상기 패각이 충진된 상기 패각망유닛의 고정을 위해 하나 이상이 상기 돌망태유닛과 상기 패각망유닛을 상호 결합시키는 패각망결합부; 및 상기 돌망태유닛의 입구가 상기 망태봉합줄에 의해 봉합된 상태에서 부유되도록 상기 돌망태유닛에 결합되는 망태부력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섬유돌망태를 이용한 인공어초의 제조방법은 본 발명에 따른 섬유돌망태를 이용한 인공어초를 제조하는 방법이고, 상기 돌망태유닛에 상기 골재가 충진되는 골재충진단계; 상기 패각망유닛에 상기 패각이 충진되는 패각충진단계와, 상기 패각충진단계를 거친 다음 상기 패각망유닛의 입구가 봉합되는 패각망봉합단계를 포함하는 패각망제작단계; 상기 골재충진단계를 거친 다음, 상기 골재의 상부에 상기 패각이 충진된 상기 패각망유닛이 배치되는 패각망배치단계; 상기 망태봉합줄을 이용하여 상기 돌망태유닛의 입구가 봉합되는 망태봉합단계; 및 상기 망태봉합단계를 거쳐 봉합된 상기 돌망태유닛의 입구에 상기 망태인양줄이 조절 배치되는 인양준비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패각망제작단계는, 상기 패각충진단계 또는 상기 패각망봉합단계를 거친 다음, 상기 패각이 충진된 상기 패각망유닛에서 상기 패각의 충진영역이 둘 이상으로 구획되도록 하나 이상의 뭉침방지부를 이용하여 상기 패각망유닛의 양면을 상호 결합시키는 뭉침방지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섬유돌망태를 이용한 인공어초의 제조방법은 상기 패각망제작단계를 거친 다음, 상기 돌망태유닛을 기준으로 상기 패각이 충진된 상기 패각망유닛의 고정을 위해 하나 이상의 패각망결합부를 이용하여 상기 돌망태유닛과 상기 패각망유닛을 상호 결합시키는 패각망결합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섬유돌망태를 이용한 인공어초의 제조방법은 상기 돌망태유닛의 입구가 상기 망태봉합줄에 의해 봉합된 상태에서 부유되도록 상기 돌망태유닛에 망태부력체가 결합되는 부력체결합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섬유돌망태를 이용한 인공어초와 이것의 제조방법에 따르면, 어패류의 산란 및 서식 공간을 형성함은 물론 해저면에 안정되게 정착시킬 수 있다. 또한, 해류에 의한 인공어초의 유동을 억제 도는 방지하고, 와류 형성을 용이하게 하여 인공어초에서 풍부한 용존 산소와 미세 플랑크톤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돌망태유닛의 세부 구성 또는 골재충진단계를 통해 골재가 충진된 돌망태유닛이 해저면에 원반 형태로 정착되도록 하고, 어패류의 산란 및 서식 공간을 확보하며, 해류의 흐름에 순응하여 해저면의 침식 또는 퇴적에 따라 해저면에서 인공어초의 이동을 억제 또는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패각망유닛의 세부 구성 또는 패각망제작단계를 통해 패각을 이용한 어패류의 산란 및 서식 공간이 골재와 혼합되는 것을 방지하고, 골재의 중화 과정에서 골재의 상부에서 어패류의 산란 및 서식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골재의 재료를 통해 인공어초에서 골재의 중화에 소요되는 시간을 최소화하고, 어패류의 군집 효과를 탁월하게 하며, 골재에서 수생식물 및 각종 이끼류의 생리활성을 활성화시키고, 인공어초에서 어패류의 서식 가능한 시점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패각의 재료를 통해 인공어초에서 어패류의 산란 및 서식 환경에 간편하게 적응할 수 있고, 어패류의 종자 부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패각망유닛의 부가 구성 또는 뭉침방지단계를 통해 패각망유닛에서 패각의 뭉침을 방지하고, 패각망유닛이 납작한 형태를 안정되게 유지할 수 있으며, 패각과 해수의 접촉 면적을 확장시켜 어패류의 산란 및 서식 공간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해저면과 마주보는 패각망유닛을 통해 패각망유닛의 하부에서 어패류의 은식처를 확보하고, 해류의 흐름에 순응하여 인공어초에서 간편하게 와류를 만들어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해저면과 교차되는 패각망유닛을 통해 패각망유닛 사이에 어패류의 은식처를 확보하고, 해류의 흐름에 순응하여 인공어초에서 간편하게 와류를 만들어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돌망태유닛의 2중 망지 구조를 통해 돌망태유닛의 강도를 보강하고, 돌망태유닛에서 골재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패각망결합부 또는 패각망결합단계를 통해 인공어초가 해저면에 안착될 때, 돌망태유닛에서 패각망유닛의 유동을 방지하고, 패각망유닛이 골재에 혼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망태부력체 또는 부력체결합단계를 통해 인공어초가 해저면에 안착될 때, 골재로부터 패각망유닛을 이격시키고, 패각망유닛과 골재 사이 및 인접한 두 패각망유닛 사이로 해수의 유입을 원활하게 하고, 인공어초에서 와류 발생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섬유돌망태를 이용한 인공어초를 도시한 분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섬유돌망태를 이용한 인공어초의 설치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섬유돌망태를 이용한 인공어초의 설치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섬유돌망태를 이용한 인공어초의 설치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섬유돌망태를 이용한 인공어초의 제조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섬유돌망태를 이용한 인공어초와 이것의 제조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때, 본 발명은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해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확하게 하기 위해 생략될 수 있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섬유돌망태를 이용한 인공어초는 외관을 형성하는 돌망태유닛(10)과, 돌망태유닛(10)에 충진되는 골재(20)와, 골재(20)의 상부에 배치되는 패각망유닛(30)과, 패각망유닛(30)에 충진되는 패각(40)을 포함할 수 있다.
돌망태유닛(10)은 돌망태망지(11)와, 망태봉합줄(12)과, 망태인양줄(13)을 포함할 수 있다.
돌망태망지(11)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 중 어느 하나로 재단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돌망태망지(11)는 사각형으로 재단된 것으로 도시하였다. 돌망태망지(11)는 섬유 재질로 이루어지고, 신축이 가능하다.
일예로, 돌망태망지(11)는 발주규격에 따라 기설정된 면적을 나타내는 평면 형상으로 열재단하고, 재단 부위를 항치기 마감할 수 있다. 또한, 돌망태망지(11)는 폴리에스터 랏셀망으로 이루어지고, 선지름은 직경 8mm 이상을 나타내며, 망눈의 선길이는 60mm ~ 70mm 를 나타낼 수 있다.
망태봉합줄(12)은 돌망태망지(11)의 가장자리를 따라 그물코 단위로 홈질 체결된다. 망태봉합줄(12)은 돌망태유닛(10)의 입구를 견고하게 봉합하고, 망태봉합줄(12)에 의해 돌망태유닛(10)의 입구가 봉합된 경우, 돌망태망지(11)의 가장자리가 돌망태망지(11)의 봉합 부위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해야 한다.
일예로, 망태봉합줄(12)은 직경이 6mm 이상인 폴리프로필렌 재질의 로프 또는 밴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망태인양줄(13)은 망태봉합줄(12)에서 이격되어 돌망태망지(11)의 가장자리를 따라 그물코 단위로 홈질 체결된다. 망태인양줄(13)은 돌망태망지(11)의 봉합 부위에 고정된 상태에서 연장 형성되도록 하고, 망태인양줄(13)은 완성된 인공어초의 하중을 충분히 견딜 수 있어야 한다.
일예로, 망태인양줄(13)은 직경이 14 mm 이상인 나일론계열의 로프 또는 밴드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면, 패각(40)이 충진된 패각망유닛(30)과 골재(20)가 돌망태망지(11)의 내부에 수용되도록 돌망태유닛(10)의 입구는 망태봉합줄(12)에 의해 봉합된다. 그리고 망태봉합줄(12)이 돌망태유닛(10)의 입구를 봉합할 때, 망태인양줄(13)은 망태봉합줄(12)과 교차되도록 하여 망태인양줄(13)이 견고해지도록 할 수 있다.
골재(20)는 돌망태유닛(10)에 충진된다. 골재(20)는 돌망태유닛(10)의 망눈을 통과하지 못하는 크기를 나타내어 골재(20)의 충진률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일예로, 골재(20)는 최소 직경이 통상 200mm 내지 400mm 를 나타내는 개비온석과 파쇄석과 자연석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패각망유닛(30)은 패각망지(31)와, 입구봉합줄(32)을 포함하고, 뭉침방지부(3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패각망지(31)는 자루 형상을 나타낸다. 패각망지(31)는 입구가 개구된다. 패각망지(31)는 패각이 충진된 상태에서 납작한 형태를 이루도록 하는 것이 유리하다. 패각망지(31)는 섬유 재질로 이루어지고, 신축이 가능하다.
일예로, 패각망지(31)는 발주규격에 따라 기설정된 면적을 나타내도록 열 재단하고, 재단 부위를 항치기 마감할 수 있다. 또한, 패각망지(31)는 폴리에틸렌 재질로 이루어지고, 패각망유닛(30)의 입구 직경은 500mm 내지 700mm를 나타내고, 망눈의 선길이는 20mm ~ 40를 나타낼 수 있다.
패각망지(31)는 세 가지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패각망지(31)는 사각형의 평면 형상을 나타내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여기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원형의 평면 형상, 타원형의 평면 형상, 다각형의 평면 형상 등 다양하게 변형이 가능하다.
첫째, 패각망지(31)는 양측이 개구된 튜브 형상을 나타내는 튜브망지(311)와, 튜브망지(311)의 양측 개구부 중 어느 하나를 납작하게 폐쇄하는 튜브마감밴드(312)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튜브마감밴드(312)는 직선 형상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튜브망지(311)의 양측 개구부 중 다른 하나는 패각망지(31)의 입구로 활용된다.
둘째, 패각망지(31)는 두면이 상호 중첩되도록 접힘 가능하도록 기설정된 평면 형상으로 재단되는 접힘망지(313)와, 접힘에 의해 형성된 접힘망지(313)의 개구부 중 일부를 납작하게 폐쇄하는 접힘마감밴드(314)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접힘망지(313)는 두면이 상호 중첩되도록 접음으로써, 가장자리 중 일부가 패쇄된 상태를 나타내도록 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접힘망지(313)는 4개의 모서리 중 어느 하나가 폐쇄된 상태가 되도록 두면이 상호 중첩됨에 따라 사각형의 평면 형상을 나타내고, 접힘마감밴드(314)는 개구된 3개의 모서리 중 연속된 두 모서리에 "ㄱ" 자 형상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접힘마감밴드(314)에 의해 폐쇄되지 않은 접힘망지(313)의 개구부 중 1개의 모서리는 패각망지(31)의 입구로 활용된다.
셋째, 패각망지(31)는 기설정된 평면 형상으로 재단되는 한 쌍의 중첩망지(315)와, 중첩망지(315)의 개구부 중 일부를 납작하게 폐쇄하는 중첩마감밴드(316)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중첩망지(315)는 한 쌍이 상호 분리 가능하고, 한 쌍이 상호 중첩되도록 적층함으로써, 가장자리가 개구된 상태를 나타내도록 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중첩망지(315)는 한 쌍이 중첩되어 4개의 모서리가 개구된 사각형의 평면 형상을 나타내고, 중첩마감밴드(316)는 개구된 4개의 모서리 중 연속된 3개의 모서리에 "ㄷ" 자 형상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중첩마감밴드(316)에 의해 폐쇄되지 않은 중첩망지(315)의 개구부 중 1개의 모서리는 패각망지(31)의 입구로 활용된다.
입구봉합줄(32)은 패각망유닛(30)의 입구에서 패각망지(31)의 양면을 그물코 단위로 홈질 체결시킨다. 입구봉합줄(32)은 패각망유닛(30)의 입구를 견고하게 봉합하고, 입구봉합줄(32)에 의해 패각망유닛(30)의 입구가 봉합된 경우, 패각망지(31)의 가장자리가 패각망지(31)의 봉합 부위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해야 한다.
일예로, 입구봉합줄(32)은 돌망태망지(11)와, 망태봉합줄(12)과, 망태인양줄(13)과, 패각망지(31) 중 어느 하나와 동일 또는 유사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입구봉합줄(32)의 직경은 적어도 패각망지(31)의 직경과 같거나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뭉침방지부(33)는 하나 이상이 패각망지(31)의 양면을 상호 결합시킨다. 뭉침방지부(33)는 패각(40)이 충진된 패각망지(31)에서 패각(40)의 충진영역을 둘 이상으로 구획시키고, 패각망지(31)가 납작한 형태를 유도하거나 유지하도록 한다.
일예로, 뭉침방지부(33)는 패각망지(31) 또는 입구봉합줄(32)과 동일 또는 유사한 재질의 줄로 이루어지고, 매듭 결합 방식과 그물코 홈질 방식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패각망지(31)의 양면을 상호 결합시킬 수 있다.
그러면, 패각(40)이 패각망지(31)의 내부에 수용되도록 패각망유닛(30)의 입구는 입구봉합줄(32)에 의해 봉합된다.
패각(40)은 패각망유닛(30)에 충진된다. 패각(40)은 패각망지(31)의 망눈을 통과하지 못하는 크기를 나타내어 패각(40)의 충진률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일예로, 패각(40)은 최소 직경이 통상 40mm 이상을 나타내는 조개껍질, 굴껍질, 소라껍질을 포함하는 패류 껍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섬유돌망태를 이용한 인공어초는 패각망결합부(50)와, 망태부력체(6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패각망결합부(50)는 하나 이상이 돌망태유닛(10)과 패각망유닛(30)을 상호 결합시킨다. 패각망결합부(50)는 돌망태유닛(10)을 기준으로 패각(40)이 충진된 패각망유닛(30)을 고정시킬 수 있다.
일예로, 패각망결합부(50)는 돌망태망지(11), 망태봉합줄(12), 망태인양줄(13), 패각망지(31), 입구봉합줄(32) 중 어느 하나와 동일 또는 유사한 재질의 줄로 이루어지고, 매듭 결합 방식과 그물코 홈질 방식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돌망태유닛(10)과 패각망유닛(30)을 상호 결합시킬 수 있다.
망태부력체(60)는 돌망태유닛(10)에 결합된다. 망태부력체(60)는 돌망태유닛(10)의 입구가 망태봉합줄(12)에 의해 봉합된 상태에서 돌망태유닛(10)의 입구가 부유되도록 한다. 망태부력체(60)에는 돌망태유닛(10)의 입구, 망태봉합줄(12), 망태인양줄(13)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결합되는 부력체고정부(61)가 구비될 수 있다.
일예로, 부력체고정부(61)는 돌망태망지(11), 망태봉합줄(12), 망태인양줄(13), 패각망지(31), 입구봉합줄(32) 중 어느 하나와 동일 또는 유사한 재질의 줄로 이루어지고, 매듭 결합 방식과 그물코 홈질 방식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돌망태유닛(10)의 입구, 망태봉합줄(12), 망태인양줄(13)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섬유돌망태를 이용한 인공어초가 해저면에 정착되면, 돌망태유닛(10)의 변형 및 골재(20)의 퍼짐 현상으로 돌망태유닛(10)의 바닥은 해저면에 원반 형태로 펼쳐지고, 패각망유닛(30)은 돌망태유닛(10)의 내부에서 납작하게 펼쳐질 수 있다. 이때, 골재(20)가 충진된 돌망태유닛(10)이 해저면에 정착될 때, 돌망태유닛(10)의 내부에 수용된 패각망유닛(30)의 일측면은 해저면과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망태부력체(60)에 의해 골재(20)와 패각망유닛(30) 사이의 간격 및 패각망유닛(30)들 사이의 간격을 형성하는 한편, 패각망유닛(30)의 납작한 상태를 유도할 수 있다.
또한, 해류에 의해 해저면이 침식되는 경우, 돌망태유닛(10)의 골재(20)가 침식 부위에 삽입되면서 돌망태유닛(10)의 바닥이 해저면에 지지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해저면에서 인공어초의 유동을 억제 또는 방지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섬유돌망태를 이용한 인공어초는 외관을 형성하는 돌망태유닛(10)과, 돌망태유닛(10)에 충진되는 골재(20)와, 골재(20)의 상부에 배치되는 패각망유닛(30)과, 패각망유닛(30)에 충진되는 패각(4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섬유돌망태를 이용한 인공어초는 패각망결합부(50)와, 망태부력체(6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섬유돌망태를 이용한 인공어초에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만,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섬유돌망태를 이용한 인공어초가 해저면에 정착되면, 돌망태유닛(10)의 변형 및 골재(20)의 퍼짐 현상으로 돌망태유닛(10)의 바닥은 해저면에 원반 형태로 펼쳐지고, 패각망유닛(30)은 돌망태유닛(10)의 내부에서 납작하게 펼쳐질 수 있다. 이때, 골재(20)가 충진된 돌망태유닛(10)이 해저면에 정착될 때, 돌망태유닛(10)의 내부에 수용된 패각망유닛(30)의 일측면은 해저면과 교차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망태부력체(60)에 의해 패각망유닛(30) 사이의 간격을 형성하는 한편, 돌망태유닛(10) 내부에서 패각망유닛(30)의 직립 상태 및 납작한 상태를 유도할 수 있다.
또한, 해류에 의해 해저면이 침식되는 경우, 돌망태유닛(10)의 골재(20)가 침식 부위에 삽입되면서 돌망태유닛(10)의 바닥이 해저면에 지지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해저면에서 인공어초의 유동을 억제 또는 방지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섬유돌망태를 이용한 인공어초는 외관을 형성하는 돌망태유닛(10)과, 돌망태유닛(10)에 충진되는 골재(20)와, 골재(20)의 상부에 배치되는 패각망유닛(30)과, 패각망유닛(30)에 충진되는 패각(4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섬유돌망태를 이용한 인공어초는 패각망결합부(50)와, 망태부력체(6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섬유돌망태를 이용한 인공어초에서 본 발명의 제1실시예 또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만,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서 돌망태망지(11)는 2중 중첩 구조를 나타낼 수 있다.
좀더 자세하게, 돌망태망지(11)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 중 어느 하나로 재단되어 골재(20)가 충진되는 내부망지(111)와, 원형, 타원형, 다각형 중 어느 하나로 재단되어 내부망지(111)를 감싸는 외부망지(112)와, 내부망지(111)를 기준으로 외부망지(112)가 고정되도록 둘 이상이 상호 이격되어 내부망지(111)와 외부망지(112)를 상호 결합시키는 겹망연결부(113)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망태봉합줄(12)과 망태인양줄(13)은 내부망지(111)와 외부망지(112)를 모두 통과하여 그물코 단위로 홈질 체결되도록 한다.
또한, 패각망결합부(50)는 내부망지(111)와 외부망지(11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패각망유닛(30)이 결합되도록 한다.
일예로, 내부망지(111)와 외부망지(112)는 각각 발주규격에 따라 기설정된 면적을 나타내는 평면 형상으로 열재단하고, 재단 부위를 항치기 마감할 수 있다. 또한, 돌망태망지(11)는 폴리에스터 랏셀망으로 이루어지고, 선지름은 직경 8mm 이상을 나타내며, 망눈의 선길이는 60mm ~ 70mm 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겹망연결부(113)는 돌망태망지(11), 망태봉합줄(12), 망태인양줄(13), 패각망지(31), 입구봉합줄(32) 중 어느 하나와 동일 또는 유사한 재질의 줄로 이루어지고, 매듭 결합 방식과 그물코 홈질 방식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내부망지(111)와 외부망지(112)를 상호 결합시킬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섬유돌망태를 이용한 인공어초의 제조방법은 상술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 내지 제3실시예에 따른 섬유돌망태를 이용한 인공어초를 제조하는 방법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섬유돌망태를 이용한 인공어초의 제조방법은 골재충진단계(S2)와, 패각망제작단계(S3)와, 패각망배치단계(S4)와, 망태봉합단계(S7)와, 인양준비단계(S8)를 포함할 수 있다.
골재충진단계(S2)는 돌망태유닛(10)의 돌망태망지(11)에 골재(20)가 충진된다.
패각망제작단계(S3)를 패각망지(31)에 패각(40)이 충진된 다음, 패각망ㅇ유닛(30)의 입구가 봉합된다.
패각망제작단계(S3)는 패각망지(31)에 패각(40)이 충진되는 패각충진단계(S32)와, 패각충진단계(S32)를 거친 다음 입구봉합줄(32)을 이용하여 패각망유닛(30)의 입구가 봉합되는 패각망봉합단계(S34)를 포함할 수 있다.
패각망제작단계(S3)는 자루 형상으로 패각망지(31)를 형성하는 패각망준비단계(S3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패각망제작단계(S3)는 패각충진단계(S32) 또는 패각망봉합단계(S34)를 거친 다음, 하나 이상의 뭉침방지부(33)를 이용하여 패각망지(31)의 양면을 상호 결합시키는 뭉침방지단계(S3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뭉침방지단계(S33)는 패각(40)이 충진된 패각망지(31)에서 패각(40)의 충진영역이 둘 이상으로 구획되도록 한다.
패각망배치단계(S4)는 골재충진단계(S2)를 거친 다음, 골재(20)의 상부에 패각(40)이 충진된 패각망유닛(30)이 배치된다. 패각망배치단계(S4)는 골재충진단계(S2)를 거친 다음, 패각망제작단계(S3)를 거쳐 패각(40)이 충진된 패각망유닛(30)이 골재(20)의 상부에 하나 이상 배치되도록 한다.
패각망배치단계(S4)에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와 같이 패각망유닛(30)의 일측면이 해저면과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패각망배치단계(S4)에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와 같이 패각망유닛(30)의 일측면이 해저면과 교차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망태봉합단계(S7)는 망태봉합줄(12)을 이용하여 돌망태유닛(10)의 입구가 봉합된다. 망태봉합단계(S7)는 골재(20)에 패각(40)이 충진된 패각망유닛(30)을 배치한 상태에서 돌망태유닛(10)의 입구가 봉합되도록 한다.
인양준비단계(S8)는 망태봉합단계(S7)를 거쳐 봉합된 돌망태유닛(10)의 입구에 망태인양줄(13)이 조절 배치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섬유돌망태를 이용한 인공어초의 제조방법은 돌망태준비단계(S1)와, 패각망결합단계(S5)와, 부력체결합단계(S6)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돌망태준비단계(S1)는 골재충진단계(S2)에 앞서, 돌망태유닛(10)을 준비한다. 돌망태준비단계(S1)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 중 어느 하나로 돌망태망지(11)를 재단하고, 돌망태망지(11)에 망태봉합줄(12)과 망태인양줄(13)을 체결할 수 있다. 돌망태준비단계(S1)에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와 같이 돌망태망지(11)를 2중 중첩 구조로 형성할 수 있다.
패각망결합단계(S5)는 패각망제작단계(S3)를 거친 다음, 하나 이상의 패각망결합부(50)를 이용하여 돌망태유닛(10)과 패각망유닛(30)을 상호 결합시킨다. 패각망결합단계(S5)는 돌망태유닛(10)을 기준으로 패각(40)이 충진된 패각망유닛(30)을 고정시킬 수 있다.
이때, 패각망결합단계(S5)에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와 같이 패각망유닛(30)의 일측면이 해저면과 마주보도록 돌망태유닛(10)을 기준으로 패각(40)이 충진된 패각망유닛(30)을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패각망결합단계(S5)에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와 같이 패각망유닛(30)의 일측면이 해저면과 교차되도록 돌망태유닛(10)을 기준으로 패각(40)이 충진된 패각망유닛(30)을 고정시킬 수 있다.
부력체결합단계(S6)는 돌망태유닛(10)에 망태부력체(60)가 결합된다. 부력체결합단계(S6)는 돌망태유닛(10)의 입구가 망태봉합줄(12)에 의해 봉합된 상태에서 돌망태유닛(10)의 입구가 부유되도록 한다. 부력체결합단계(S6)에는 부력체고정부(61)를 돌망태유닛(10)의 입구, 망태봉합줄(12), 망태인양줄(13)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결합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인공어초가 해저면에 정착되면, 돌망태유닛(10)의 변형 및 골재(20)의 퍼짐 현상으로 돌망태유닛(10)의 바닥은 해저면에 원반 형태로 펼쳐지고, 패각망유닛(30)은 돌망태유닛(10)의 내부에서 납작하게 펼쳐질 수 있다. 이때, 골재(20)가 충진된 돌망태유닛(10)이 해저면에 정착될 때, 돌망태유닛(10)의 내부에 수용된 패각망유닛(30)의 일측면은 해저면과 마주보거나 해저면과 교차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망태부력체(60)에 의해 패각망유닛(30) 사이의 간격을 형성하는 한편, 돌망태유닛(10) 내부에서 패각망유닛(30)의 직립 상태 및 납작한 상태를 유도할 수 있다.
또한, 해류에 의해 해저면이 침식되는 경우, 돌망태유닛(10)의 골재(20)가 침식 부위에 삽입되면서 돌망태유닛(10)의 바닥이 해저면에 지지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해저면에서 인공어초의 유동을 억제 또는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섬유돌망태를 이용한 인공어초와 이것의 제조방법에 따르면, 어패류의 산란 및 서식 공간을 형성함은 물론 해저면에 안정되게 정착시킬 수 있다. 또한, 해류에 의한 인공어초의 유동을 억제 도는 방지하고, 와류 형성을 용이하게 하여 인공어초에서 풍부한 용존 산소와 미세 플랑크톤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돌망태유닛(10)의 세부 구성 또는 골재충진단계(S2)를 통해 골재(20)가 충진된 돌망태유닛(10)이 해저면에 원반 형태로 정착되도록 하고, 어패류의 산란 및 서식 공간을 확보하며, 해류의 흐름에 순응하여 해저면의 침식 또는 퇴적에 따라 해저면에서 인공어초의 이동을 억제 또는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패각망유닛(30)의 세부 구성 또는 패각망제작단계(S3)를 통해 패각(40)을 이용한 어패류의 산란 및 서식 공간이 골재(20)와 혼합되는 것을 방지하고, 골재(20)의 중화 과정에서 골재(20)의 상부에서 어패류의 산란 및 서식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골재(20)의 재료를 통해 인공어초에서 골재(20)의 중화에 소요되는 시간을 최소화하고, 어패류의 군집 효과를 탁월하게 하며, 골재(20)에서 수생식물 및 각종 이끼류의 생리활성을 활성화시키고, 인공어초에서 어패류의 서식 가능한 시점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또한, 패각(40)의 재료를 통해 인공어초에서 어패류의 산란 및 서식 환경에 간편하게 적응할 수 있고, 어패류의 종자 부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패각망유닛(30)의 부가 구성 또는 뭉침방지단계(S33)를 통해 패각망유닛(30)에서 패각(40)의 뭉침을 방지하고, 패각망유닛(30)이 납작한 형태를 안정되게 유지할 수 있으며, 패각(40)과 해수의 접촉 면적을 확장시켜 어패류의 산란 및 서식 공간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해저면과 마주보는 패각망유닛(30)을 통해 패각망유닛(30)의 하부에서 어패류의 은식처를 확보하고, 해류의 흐름에 순응하여 인공어초에서 간편하게 와류를 만들어낼 수 있다.
또한, 해저면과 교차되는 패각망유닛(30)을 통해 패각망유닛(30) 사이에 어패류의 은식처를 확보하고, 해류의 흐름에 순응하여 인공어초에서 간편하게 와류를 만들어낼 수 있다.
또한, 돌망태유닛(10)의 2중 망지 구조를 통해 돌망태유닛(10)의 강도를 보강하고, 돌망태유닛(10)에서 골재(2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패각망결합부(50) 또는 패각망결합단계(S5)를 통해 인공어초가 해저면에 안착될 때, 돌망태유닛(10)에서 패각망유닛(30)의 유동을 방지하고, 패각망유닛(30)이 골재에 혼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망태부력체(60) 또는 부력체결합단계(S6)를 통해 인공어초가 해저면에 안착될 때, 골재(20)로부터 패각망유닛(30)을 이격시키고, 패각망유닛(30)과 골재(20) 사이 및 인접한 두 패각망유닛(30) 사이로 해수의 유입을 원활하게 하고, 인공어초에서 와류 발생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경시킬 수 있다.
10: 돌망태유닛 11: 돌망태망지 111: 내부망지
112: 외부망지 113: 겹망연결부 12: 망태봉합줄
13: 망태인양줄 20: 골재 30: 패각망유닛
31: 패각망지 311: 튜브망지 312: 튜브마감밴드
313: 접힘망지 314: 접힘마감밴드 315: 중첩망지
316: 중첩마감밴드 32: 입구봉합줄 33: 뭉침방지부
40: 패각 50: 패각망결합부 60: 망태부력체
61: 부력체고정부
S1: 돌망태준비단계 S2: 골재충진단계 S3: 패각망제작단계
S31: 패각망준비단계 S32: 패각충진단계 S33: 뭉침방지단계
S34: 패각망봉합단계 S4: 패각망배치단계 S5: 패각망결합단계
S6: 부력체결합단계 S7: 망태봉합단계 S8: 인양준비단계

Claims (10)

  1. 외관을 형성하는 돌망태유닛;
    상기 돌망태유닛에 충진되는 골재;
    상기 골재의 상부에 배치되는 패각망유닛; 및
    상기 패각망유닛에 충진되는 패각;을 포함하고,
    상기 돌망태유닛은,
    원형, 타원형, 다각형 중 어느 하나로 재단된 돌망태망지;
    상기 돌망태망지의 가장자리를 따라 그물코 단위로 홈질 체결되는 망태봉합줄; 및
    상기 망태봉합줄에서 이격되어 상기 돌망태망지의 가장자리를 따라 그물코 단위로 홈질 체결되는 망태인양줄;을 포함하며, 상기 패각이 충진된 상기 패각망유닛과 상기 골재가 내부에 수용되도록 입구가 상기 망태봉합줄에 의해 봉합되고,
    상기 패각망유닛은,
    납작한 자루 형상으로 입구가 개구된 패각망지;
    상기 패각망유닛의 입구에서 상기 패각망지의 양면을 그물코 단위로 홈질 체결시키는 입구봉합줄; 및
    상기 패각이 충진된 상기 패각망지에서 상기 패각의 충진영역이 둘 이상으로 구획되도록 하나 이상이 상기 패각망지의 양면을 상호 결합시키는 뭉침방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패각이 상기 패각망지의 내부에 수용되도록 상기 패각망유닛의 입구는 상기 입구봉합줄에 의해 봉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돌망태를 이용한 인공어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각망유닛의 일측면은,
    상기 골재가 충진된 상기 돌망태유닛이 해저면에 정착될 때, 해저면과 마주보거나, 해저면과 교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돌망태를 이용한 인공어초.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망태망지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 중 어느 하나로 재단되어 상기 골재가 충진되는 내부망지;
    원형, 타원형, 다각형 중 어느 하나로 재단되어 상기 내부망지를 감싸는 외부망지; 및
    상기 내부망지를 기준으로 상기 외부망지가 고정되도록 둘 이상이 상호 이격되어 상기 내부망지와 상기 외부망지를 상호 결합시키는 겹망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돌망태를 이용한 인공어초.
  6. 제1항, 제2항,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돌망태유닛을 기준으로 상기 패각이 충진된 상기 패각망유닛의 고정을 위해 하나 이상이 상기 돌망태유닛과 상기 패각망유닛을 상호 결합시키는 패각망결합부; 및
    상기 돌망태유닛의 입구가 상기 망태봉합줄에 의해 봉합된 상태에서 부유되도록 상기 돌망태유닛에 결합되는 망태부력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돌망태를 이용한 인공어초.
  7. 제1항, 제2항,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섬유돌망태를 이용한 인공어초를 제조하는 방법이고,
    상기 돌망태유닛에 상기 골재가 충진되는 골재충진단계;
    상기 패각망유닛에 상기 패각이 충진되는 패각충진단계와, 상기 패각충진단계를 거친 다음 상기 패각망유닛의 입구가 봉합되는 패각망봉합단계를 포함하는 패각망제작단계;
    상기 골재충진단계를 거친 다음, 상기 골재의 상부에 상기 패각이 충진된 상기 패각망유닛이 배치되는 패각망배치단계;
    상기 망태봉합줄을 이용하여 상기 돌망태유닛의 입구가 봉합되는 망태봉합단계; 및
    상기 망태봉합단계를 거쳐 봉합된 상기 돌망태유닛의 입구에 상기 망태인양줄이 조절 배치되는 인양준비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패각망제작단계는,
    상기 패각충진단계 또는 상기 패각망봉합단계를 거친 다음, 상기 패각이 충진된 상기 패각망유닛에서 상기 패각의 충진영역이 둘 이상으로 구획되도록 하나 이상의 뭉침방지부를 이용하여 상기 패각망유닛의 양면을 상호 결합시키는 뭉침방지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돌망태를 이용한 인공어초의 제조방법.
  8. 삭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패각망제작단계를 거친 다음, 상기 돌망태유닛을 기준으로 상기 패각이 충진된 상기 패각망유닛의 고정을 위해 하나 이상의 패각망결합부를 이용하여 상기 돌망태유닛과 상기 패각망유닛을 상호 결합시키는 패각망결합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돌망태를 이용한 인공어초의 제조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돌망태유닛의 입구가 상기 망태봉합줄에 의해 봉합된 상태에서 부유되도록 상기 돌망태유닛에 망태부력체가 결합되는 부력체결합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돌망태를 이용한 인공어초의 제조방법.
KR1020190049251A 2019-04-26 2019-04-26 섬유돌망태를 이용한 인공어초와 이것의 제조방법 KR1020836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9251A KR102083614B1 (ko) 2019-04-26 2019-04-26 섬유돌망태를 이용한 인공어초와 이것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9251A KR102083614B1 (ko) 2019-04-26 2019-04-26 섬유돌망태를 이용한 인공어초와 이것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3614B1 true KR102083614B1 (ko) 2020-03-02

Family

ID=698056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9251A KR102083614B1 (ko) 2019-04-26 2019-04-26 섬유돌망태를 이용한 인공어초와 이것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3614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15257A (ko) * 2020-07-30 2022-02-08 (주)그린에이치엔테크 섬유돌망태 기반 해상 양식용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해상 양식방법
RU2768036C1 (ru) * 2021-06-02 2022-03-23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образования Кабардино-Балкар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аграрный университет им. В.М. Кокова (ФГБОУ ВО Кабардино-Балкарский ГАУ) Способ возведения нерестилищ для закладки икринок осетровых рыб
KR102500637B1 (ko) * 2022-04-22 2023-02-16 주식회사 수정해양개발 수중저연승 시설물
JP2023102034A (ja) * 2022-01-11 2023-07-24 矢口港湾建設ヤグチダイバー株式会社 増殖礁用部材、その製造方法及び海生生物の増殖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04700A (ja) * 1998-06-17 2000-01-11 Itochu Corp 海藻養殖場造成用袋体と海藻養殖場を造成する方法
JP2002101785A (ja) * 2000-09-28 2002-04-09 Kokoku Kousensaku Kk 人工漁礁
JP2011130665A (ja) * 2009-11-24 2011-07-07 Miyata Engineering:Kk 餌箱漁礁
KR101116724B1 (ko) 2011-11-15 2012-03-13 태안남부수산업협동조합 생분해성 인공어초
KR20180117291A (ko) 2017-04-19 2018-10-29 권태열 섬유돌망태 및 섬유돌망태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04700A (ja) * 1998-06-17 2000-01-11 Itochu Corp 海藻養殖場造成用袋体と海藻養殖場を造成する方法
JP2002101785A (ja) * 2000-09-28 2002-04-09 Kokoku Kousensaku Kk 人工漁礁
JP2011130665A (ja) * 2009-11-24 2011-07-07 Miyata Engineering:Kk 餌箱漁礁
KR101116724B1 (ko) 2011-11-15 2012-03-13 태안남부수산업협동조합 생분해성 인공어초
KR20180117291A (ko) 2017-04-19 2018-10-29 권태열 섬유돌망태 및 섬유돌망태 제조 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15257A (ko) * 2020-07-30 2022-02-08 (주)그린에이치엔테크 섬유돌망태 기반 해상 양식용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해상 양식방법
KR102474916B1 (ko) * 2020-07-30 2022-12-06 권태열 섬유돌망태 기반 해상 양식용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해상 양식방법
RU2768036C1 (ru) * 2021-06-02 2022-03-23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образования Кабардино-Балкар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аграрный университет им. В.М. Кокова (ФГБОУ ВО Кабардино-Балкарский ГАУ) Способ возведения нерестилищ для закладки икринок осетровых рыб
JP2023102034A (ja) * 2022-01-11 2023-07-24 矢口港湾建設ヤグチダイバー株式会社 増殖礁用部材、その製造方法及び海生生物の増殖方法
JP7360482B2 (ja) 2022-01-11 2023-10-12 矢口港湾建設ヤグチダイバー株式会社 増殖礁用部材の製造方法
KR102500637B1 (ko) * 2022-04-22 2023-02-16 주식회사 수정해양개발 수중저연승 시설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83614B1 (ko) 섬유돌망태를 이용한 인공어초와 이것의 제조방법
JP4686554B2 (ja) 貝類の養殖篭
KR101829234B1 (ko) 해삼의 종묘 증식 및 보호와 문어 서식이 가능한 개비온
KR100877074B1 (ko) 지퍼를 형성한 어패류 육성망
JP4629708B2 (ja) 貝類の養殖篭
KR100948592B1 (ko) 원통 2단형 인공어초
JP2000004700A (ja) 海藻養殖場造成用袋体と海藻養殖場を造成する方法
KR20160131874A (ko) 삿갓형 어초
JP2001120105A (ja) 連段養殖かご
KR101272219B1 (ko) 여울·수제 등에 적용 가능한 지하 매립형 인공 어초
JP4242236B2 (ja) 連段養殖かご
JP3053799B2 (ja) 貝類中間育成篭の製造方法
CN101088332A (zh) 钓鱼包
JP3197020U (ja) 口を縫わずに貝の出し入れを容易にした貝類の円筒状養殖篭
JP7074304B2 (ja) 潜砂性二枚貝養殖用網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潜砂性二枚貝養殖方法
KR200379995Y1 (ko) 개비온을 이용한 인공 어초
KR101594741B1 (ko) 전복 통발
KR102474916B1 (ko) 섬유돌망태 기반 해상 양식용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해상 양식방법
JP4242506B2 (ja) 金網製魚礁
AU2012202698B2 (en) Abalone Habitat Reef
KR102386920B1 (ko) 인공어초 기능을 포함하는 친환경 섬유돌망태
KR100274828B1 (ko) 인공어초
JP4143580B2 (ja) 藻場構造体
KR102402241B1 (ko) 해삼 문어 보육전용 다기능 어초
JP7360482B2 (ja) 増殖礁用部材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