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2241B1 - 해삼 문어 보육전용 다기능 어초 - Google Patents
해삼 문어 보육전용 다기능 어초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402241B1 KR102402241B1 KR1020210067558A KR20210067558A KR102402241B1 KR 102402241 B1 KR102402241 B1 KR 102402241B1 KR 1020210067558 A KR1020210067558 A KR 1020210067558A KR 20210067558 A KR20210067558 A KR 20210067558A KR 102402241 B1 KR102402241 B1 KR 10240224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rame
- octopus
- sea cucumber
- disposed
- format
- Prior art date
Links
- 241000251511 Holothuroidea Speci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6
- 241000238413 Octopus Specie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91
- 241000237852 Mollusca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
- 241000251468 Actinopterygii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
- 239000011435 rock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41000208340 Araliaceae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5000005035 Panax pseudoginseng ssp. pseudoginseng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5000003140 Panax quinquefolius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5000008434 ginseng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1681 protect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44000062645 predators Species 0.000 abstract description 7
- 241000238366 Cephalopoda Specie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7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7
- XEEYBQQBJWHFJM-UHFFFAOYSA-N Iron Chemical compound [Fe] XEEYBQQBJWHFJ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8
- 239000004575 sto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5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4
- 229910052742 ir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9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8000000502 dialysis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9000005416 organic mat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41000894007 species Specie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7613 environment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5000013305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5
- 239000002689 s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41001474374 Blennius Speci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description 4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10000002745 epiphysis Anatomy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366 juvenil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41000238424 Crustace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360 aquaculture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44000144974 aquaculture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060 circadia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3505 fresh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422 nocturn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3535 sea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643 water by typ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41000965254 Apostichopus japonic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37519 Bivalvi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57465 Echinoide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112281 Enteroctopus dofleini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167782 Lithospermum virginianum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1465754 Metazo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741874 Paroctop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199919 Phaeophycea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395 bree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488 breed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0639 clam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213 die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5911 diet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826 distrib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601 egg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313 farm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031 feed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5097 nutrien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51 other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746 pur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850 reprodu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049 sedi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5170 shellfish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220 stainless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35 stainless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1835 viscera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699 was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70—Artificial fishing banks or reefs
- A01K61/73—Artificial fishing banks or reefs assembled of component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30—Culture of aquatic animals of sponges, sea urchins or sea cucumber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Artificial Fish Reefs (AREA)
Abstract
본 명세서의 실시 예들로서 보육전용 다기능 어초는 다면체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부공간이 구비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중앙 영역에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프레임의 상부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치삼이 서식하도록 형성되는 제1 서식부; 및 오픈된 일측이 상기 프레임의 측부면에 배치되고, 오픈된 타측이 상기 프레임의 내부공간에 배치되어 연체동물이 서식하도록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2 서식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명세서는 해삼 문어 보육전용 다기능 어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해삼의 종묘인 치삼(어린 해삼)을 방양한 후 외부의 포식자나 기타 해적생물로부터 보호받을 수 있는 은신처로서 기능을 할 수 있는 해삼 문어 보육전용 다기능 어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어초는 해저에 인공적인 구조물을 설치하여 해삼을 비롯한 수산생물을 보호, 육성하는 어장 시설물이다.
해삼류에 대해서는 1800년대부터 여러 사람에 의해 많은 연구가 계속되었고, 1960년대에 들어와서는 형태, 생태 및 양식에 이르기까지 종합적인 연구 결과가 정리되었음을 문헌을 통해서 볼 수 있다. 해삼의 금어기는 7월 1일부터 31일까지로 주로 하면하는 시기에 해당된다. 옛날 왕실에서는 어촌에 상납 의무를 부가시켰기 때문에, 금어기, 금어구 등과 같은 수단이 일찍부터 실행되어 왔다. 투석에 의한 양식도 1800년대부터 실시되고 있었다. 이와 같이 옛날부터 해삼에 대한 관심과 노력이 많았던 것은 그만큼 해삼의 산업적 가치가 높았기 때문이다.
해삼류는 세계적으로 100여 종 이상이 보고되고 있고, 우리나라에서는 현재까지 6종이 알려져 있으나, 일반적으로 우리에게 해삼으로 알려진 종은 주로 식용하는 종으로 돌기해삼(Stichopus japonicus)이라 부르고 있으며 이 돌기해삼 가운데 체색에 따라 청해삼, 홍해삼으로 부르는 해삼이 이에 속하며 그 분포가 넓어 우리나라 전 연안에서 생산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양도 많아서 산업상 중요한 종이다. 돌기해삼은 제주도와 독도를 포함한 우리나라 전 연에 분포하며 수심 2~10m 정도의 다양한 저서환경에서 매우 흔히 발견되는 몸통길이 15cm 전후의 퇴적물 섭식성 식용 해삼류이다. 몸통은 전체적으로 갈색이나 녹색을 띠는 개체가 많으며 몸통의 표면에는 부드럽지만 크고 강한 듯이 보이는 큰 돌기들이 솟아나 있고 그 사이사이에 수많은 작은 돌기들이 흩어져 있다. 느린 속도로 바닥을 이동하면서 퇴적물의 종류를 가리지 않고 섭식한 다음 내장기관을 통과하면서 영양분은 흡수하고 나머지 찌꺼기 배출하는 방식으로 섭식한다. 따라서 생태계내 저서환경의 과도한 유기물을 제거하는 정화효과가 커서 연안생태계에서 매우 중요한 지위를 갖는 산업종이다.
해삼은 배광성(背光性)이고 또한 추촉성(趨觸性)인 동물이다. 해삼의 활동은 일주기성이 있어, 낮에는 돌이나 바위틈 또는 그 밖의 그늘에 붙어 활동하지 않고 밤에 활동한다. 투석은 해삼의 생활이나 번식을 하기에 알맞은 곳을 만들어 주고, 먹이를 풍부하게 하며, 여름잠 장소가 될 뿐만 아니라 산란장을 만드는 효과가 있다. 투석하는 장소는 염분이 너무 낮거나 해수 유동이 지나치게 심한 곳이라든지, 해수가 아주 깨끗해서 부니가 거의 없는 곳은 피해야 한다. 그러나, 어두운 해저보다는 밝은 곳이 좋고, 깊은 곳보다는 저조대(底潮帶)의 비교적 수심이 얕은 곳이 좋다.
투석을 한 다음 투석 효과를 바로 기대할 수는 없지만, 일반적으로 몇 년이 지나면 그 효과가 크다. 예를 들면, 양성장의 면적 1,500 ㎡에 700 ㎡의 투석을 한 다음 1,700 ㎏의 해삼을 방양해서 2년이 지난 후에는 생산량이 324%, 어획 노력당 어획량은 약 30배로 증가했다고 하는 연구보고가 있다. 이와 같이 투석은 해삼의 생활이나 번식에 주는 역할이 대단히 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돌기해삼이 생활하는 자연 해역의 저질은 보통 개흙 모래 저질 (사니질)로서, 개흙의 함량은 10% 이내이고, 개흙의 비율이 20%보다 높은 저질에서는 거의 분포하지 않는다. 저질층의 주요 성분은 사력질(砂礫質)인데 그 속에 유기물이 많아야 한다. 해저의 암초, 돌무덤, 대형 갈조류, 개흙 모래질 해역이 더욱 적합하다. 이러한 저질은 먹이를 제공해 주는 동시에 돌기해삼이 숨어서 서식하기가 편리하고, 큰 풍랑을 피할 수 있고, 안전하게 하면과 동면을 할 수 있다. 돌기해삼의 빛에 대한 반응은 명확한 일주기성 생활을 나타내고, 빛에 예민하게 반응하며 약한 빛을 좋아한다. 강한 햇빛과 강한 빛이 비칠 때 항상 그늘진 곳으로 피하면서 몸을 움츠린다. 그러나 밤이나 빛이 약할 때는 해삼의 섭이 활동이 확실히 활발해진다.
문어류는 연체동물문, 두족강, 문어목, 문어과에 속하며 세계적으로는 약 150여종이 알려져 있는데 우리나라에는 문어속(Octopus)과 대문어속(Paroctopus)이 있다. 우리나라에서 잡히는 문어는 커다란 대문어와 작은 참문어. 대문어는 성체는 50kg까지 자라며 동해에서 잡히고 색이 붉어 피문어, 백문어, 물문어, 뻘문어 등으로 불린다. 참문어는 주로 남해에서 잡히고 얕은 바다 돌틈에 살아서 돌문어보다 작아서 왜문어라고 불리기도 한다. 문어의 서식장소는 담수의 영향이 없는 천해의 해저, 자갈 및 해초가 있는 곳, 비교적 염분도가 높은 수역이다. 우리 나라에서는 난류의 영향을 많이 받는 남해안의 동부 연안에 많이 서식한다. 일반적으로 조간대로부터 수심이 100 m되는 곳까지의 담수의 영향이 미치지 않는 천해의 해저에 살고 있는데, 이 범위에서도 암반이나 사력질(砂礫質)로 된 저질인 곳에 주로 많이 살고 있으며, 간혹 모래질이나 펄질인 곳에서도 살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야행성으로 낮에는 바위의 구멍 등에 숨어 있다가 밤에 나와서 갑각류·조개 등을 잡아먹는다.
참문어는 주로 남해에서 잡히고 얕은 바다 돌틈에 살아서 돌문어보다 작아서 왜문어라고 불리기도 한다. 우리나라 서, 남해안, 일본 혼슈 이남의 전 연안, 지중해 등을 포함한 전 세계의 온ㆍ열대해역에 분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가까운 연안에서부터 수심 200 m까지 서식하는 연안 저서종으로 야행성이다. 저질은 주로 사력질(砂礫質)인 곳에 많으나 암초 또는 사니질인 곳에서도 살고 있다. 수명은 12~24개월(대체로 1~1.5년)으로 5월 16일부터 6월 30일까지 금어기를 두어 자원을 관리하고 있다. 대문어는 연안 저서종으로 수심 200 m의 대륙붕 사면까지 서식하며, 산란기가 되면 수심 50∼60 m의 연안 얕은 곳으로 이동하여 암초, 자갈 등에 부착난을 산란한 후 깊은 곳으로 이동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대문어는 재생산력이 비교적 낮은 종이기 때문에, 지속적인 이용을 위해서는 이들 자원에 대한 적절한 관리가 필요하다. 현재 수산자원관리법 (포획금지체중 300 g)에 의거 관리되고 있으나, 대문어는 그 명칭에서도 알 수 있듯이 문어류 중에서도 대형종에 속하므로, 합리적인 자원관리를 위해서는 이들에 대한 정확한 생태학적 정보가 요구되는 종이다.
문어의 산란은 암초 사이의 오목한 곳이나, 해저에 투입된 단지와 같은 해저의 오목한 알맞은 곳을 이용한다. 산란은 한꺼번에 다 마치는 것이 아니고 며칠 동안에 걸쳐서 한다.
최근 정부에서는 많은 예산을 투입하여 해삼용 인공어초를 시설하고 어린 해삼인 치삼을 방류하여 해삼섬 사업을 적극 추진해 오고 있는데 이러한 유용 수산동물의 번식 조장 및 생산력 증대를 위한 다양한 기술개발과 투자를 아끼지 않고 있다.
한편, 종래의 인공어초는 치삼을 방류하게 되면 방류후 치삼의 유실을 막을 수 없어, 인공어초 내의 사석에 안정적으로 정착이 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본 명세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해삼의 종묘인 치삼(어린 해삼)을 방양한 후 외부의 포식자나 기타 해적생물로부터 보호받을 수 있는 은신처로서 기능을 할 수 있는 해삼 문어 보육전용 다기능 어초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명세서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사항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이하 설명할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로부터 본 명세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고려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명세서의 실시 예들로서 해삼 문어 보육전용 다기능 어초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명세서의 실시 예들로서 해삼 문어 보육전용 다기능 어초는 다면체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부공간이 구비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중앙 영역에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프레임의 상부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치삼이 서식하도록 형성되는 제1 서식부; 및 오픈된 일측이 상기 프레임의 측부면에 배치되고, 오픈된 타측이 상기 프레임의 내부공간에 배치되어 연체동물이 서식하도록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2 서식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프레임의 내부공간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석이 형성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은, 제1 방향(X)으로 길게 형성되면서, 상기 제1 방향(X)과 수평방향으로 교차되는 방향인 제2 방향(Y)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부재; 상기 제2 방향(Y)으로 길게 형성되면서, 상기 제1 방향(X)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부재; 및 상기 제1 방향(X) 및 상기 제2 방향(Y)과 수직방향으로 교차되는 방향인 제3 방향(Z)으로 길게 형성되는 제3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의 내부공간은 상기 제1 부재 내지 상기 제3 부재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서식부는, 상기 제1 방향(X)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제1 부재보다 짧은 길이로 형성되는 제1 서식부재; 상기 제2 방향(Y)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제2 부재보다 짧은 길이로 형성되는 제2 서식부재; 및 상기 제3 방향(Z)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제3 부재보다 긴 길이로 형성되는 제3 서식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3 서식부재는, 일단이 상기 제1 서식부재와 상기 제2 서식부재가 결합된 영역과 중첩되는 영역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프레임의 하부면에 결합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서식부재와 상기 제2 서식부재 사이, 상기 제1 서식부재와 상기 제3 서식부재 사이, 상기 제2 서식부재와 상기 제3 서식부재 사이에는 보호부재가 배치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명세서의 양태들은 본 명세서의 바람직한 실시예들 중 일부에 불과하며, 본원 발명의 기술적 특징들이 반영된 다양한 실시예들이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이하 상술할 본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을 기반으로 도출되고 이해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 예들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 예에 따른 해삼 문어 보육전용 다기능 어초는 프레임과 제1 서식부 및 프레임과 제2 서식부가 철골 용접 형태로 결합되고, 프레임의 내부공간에는 사석으로 채워지도록 형성됨으로써, 해삼의 종묘인 치삼(어린 해삼)을 방양한 후 외부의 포식자나 기타 해적생물로부터 보호받을 수 있는 은신처로서 기능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실시 예에 따른 해삼 문어 보육전용 다기능 어초는 제1 서식부를 프레임의 중앙 영역에 배치시킴으로써, 어린 해삼이 파랑이나 강한 조류 및 해류 등 외부의 물리적 환경 충격에 노출되지 않아 안전한 서식지를 제공받을 수 있고, 주변에서 유입된 유기물을 섭취한 어린 해삼이 용이하게 정착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실시 예에 따른 해삼 문어 보육전용 다기능 어초는 제1 서식부를 프레임의 중앙 영역에 배치시키되, 프레임의 내부 공간과 연결되는 연결통로를 형성함으로써, 어린 해삼이 어느 정도 성장한 후 프레임의 중앙 영역에 위치한 제1 서식부로부터 방향에 상관없이 쉽게 탈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어린 해삼이 성장하여 제1 서식부에서 탈출하더라도, 제1 서식부를 감싸고 있는 사석에 의해 은신, 보육 기능도 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실시 예에 따른 해삼 문어 보육전용 다기능 어초는 제1 서식부와 제2 서식부가 프레임의 내부 공간에서 연결되도록 설계됨으로써, 프레임의 외부(어초의 바깥 천연 서식지)에서 치삼이나 어린 문어가 용이하면서 안전하게 드나들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실시 예에 따른 해삼 문어 보육전용 다기능 어초는 제2 서식부에 서식하는 문어의 경우 제1 서식부에 서식하는 해삼을 직접적인 먹이로 하지 않고, 바닥에 떨어진 유기물 등을 섭취하며 생활하는 해삼의 식성과 낮엔 은신하고 밤에 갑각류와 조개류를 먹이로 활동하는 문어의 야행성 및 두 생물의 생태적 지위가 서로 충돌하지 않는 습성을 고려할 때 치삼의 방류보호구와 서식장으로서 기능하는 사석, 문어의 생태적 습성까지 고려한 통발 구조로써, 해삼과 문어의 자원관리 및 생산량 증대에 매우 효과적이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이하의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에 대한 기재로부터 본 명세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도출되고 이해될 수 있다. 즉, 본 명세서를 실시함에 따른 의도하지 않은 효과들 역시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로부터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도출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상세한 설명의 일부로 포함되고, 첨부된 도면들은 본 명세서에 대한 다양한 실시예들을 제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들은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명세서의 실시 형태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다.
도 1은 본 명세서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해삼 문어 보육전용 다기능 어초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2은 도 1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절단도이다.
도 5는 본 명세서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해삼 문어 보육전용 다기능 어초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6은 도 5의 측면도이다.
도 7은 도 5의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5의 절단도이다.
도 9는 본 명세서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해삼 문어 보육전용 다기능 어초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측면도이다.
도 11은 도 9의 평면도이다.
도 12는 도 9의 절단도이다.
도 13 및 도 14는 본 명세서의 제1 서식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15는 본 명세서의 제2 서식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1은 본 명세서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해삼 문어 보육전용 다기능 어초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2은 도 1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절단도이다.
도 5는 본 명세서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해삼 문어 보육전용 다기능 어초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6은 도 5의 측면도이다.
도 7은 도 5의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5의 절단도이다.
도 9는 본 명세서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해삼 문어 보육전용 다기능 어초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측면도이다.
도 11은 도 9의 평면도이다.
도 12는 도 9의 절단도이다.
도 13 및 도 14는 본 명세서의 제1 서식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15는 본 명세서의 제2 서식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로서 해삼 문어 보육전용 다기능 어초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예들은 본 명세서의 구성요소들과 특징들을 소정 형태로 결합한 것들이다. 각 구성요소 또는 특징은 별도의 명시적 언급이 없는 한 선택적인 것으로 고려될 수 있다. 각 구성요소 또는 특징은 다른 구성요소나 특징과 결합되지 않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일부 구성요소들 및/또는 특징들을 결합하여 본 명세서의 실시예를 구성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에서 설명되는 동작들의 순서는 변경될 수 있다. 어느 실시예의 일부 구성이나 특징은 다른 실시예에 포함될 수 있고, 또는 다른 실시예의 대응하는 구성 또는 특징과 교체될 수 있다.
도면에 대한 설명에서, 본 명세서의 요지를 흐릴 수 있는 부분, 장치 및/또는 구성 등은 기술하지 않았으며, 당업자의 수준에서 이해할 수 있을 정도의 부분, 장치 및/또는 구성 또한 기술하지 아니하였다. 또한, 도면에서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여 지칭하는 부분은 장치 구성 또는 방법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 또는 단계를 의미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comprising 또는 including)"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또는 "…기"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한다. 또한, "일(a 또는 an)", "하나(one)", "그(the)" 및 유사 관련어는 본 명세서를 기술하는 문맥에 있어서(특히, 이하의 청구항의 문맥에서) 본 명세서에 달리 지시되거나 문맥에 의해 분명하게 반박되지 않는 한, 단수 및 복수 모두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에서 사용되는 특정(特定) 용어들 및/또는 기호들은 본 명세서의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이며, 이러한 특정 용어의 사용은 본 명세서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
<제1 실시예>
도 1은 본 명세서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해삼 문어 보육전용 다기능 어초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2은 도 1의 측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절단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해삼 문어 보육전용 다기능 어초(100)는 프레임(110), 제1 서식부(130) 및 제2 서식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110)은 제1 부재(110a) 내지 제3 부재(110c)를 이용하여 다면체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프레임(110)은 다면체형상의 내부에 내부공간을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10)은 육면체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부공간을 구비할 수 있다.
제1 부재(110a)는 제1 방향(X)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부재(110a)는 제2 방향(Y)으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면서 배치될 수 있다. 제2 방향(Y)은 제1 방향(X)과 수평방향으로 교차되는 방향일 수 있다. 제1 부재(110a)는 철재 빔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부재(110a)는 제1 평면부재, 가로부재라 칭할 수 있다. 제1 방향(X)은 가로방향이라 칭할 수 있다.
제2 부재(110b)는 제2 방향(Y)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부재(110b)는 제1 방향(X)으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면서 배치될 수 있다. 제2 부재(110b)는 제1 부재(110a)와 격자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2 부재(110b)는 철재 빔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부재(110b)는 제2 평면부재, 세로부재라 칭할 수 있다. 제2 방향(Y)은 세로방향이라 칭할 수 있다.
제3 부재(110c)는 제3 방향(Z)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제3 방향(Z)은 제1 방향(X) 및 제2 방향(Y)과 수직방향으로 교차되는 방향일 수있다.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3 부재(110c)는 제1 방향(X) 또는 제2 방향(Y)으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면서 배치될 수 있다. 제3 부재(110c)는 제1 부재(110a) 또는 제2 부재(110b)와 격자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3 부재(110c)는 철재 빔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3 부재(110c)는 수직부재, 직립부재라 칭할 수 있다. 제3 방향(Z)은 수직방향이라 칭할 수 있다.
제1 부재(110a) 내지 제3 부재(110c)는 다양한 철재 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양한 철재 빔은 철재”ㄱ”형강, ”ㄱ”형강규격, ANGLE 규격, 철앵글, 등변”ㄱ”형강, 부등변”ㄱ”형강, 부등변부등후”ㄱ”형강, 인버티드앵글 등 중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철재 빔은 열간 압연 형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제1 부재(110a) 내지 제3 부재(110c)는 철재 빔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면체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는 부재라면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프레임(110)의 하부면(112)은 평면상 사각형으로 형성되고, 제1 부재(110a)와 제2 부재(110b)를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프레임(110)의 상부면(111)은 프레임(110)의 하부면(112)과 제3 방향(Z)으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평면상 사각형으로 형성되고, 제1 부재(110a)와 제2 부재(110b)를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프레임(110)의 상부면(111)은 프레임(110)의 하부면(112)의 면적보다 작은 면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프레임(110)의 제1 측부면(113)은 프레임(110)의 상부면(111) 일측과 프레임(110)의 하부면(112)의 일측 사이에 배치되고, 수직면상 사다리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프레임(110)의 제1 측부면(113)은 제1 부재(110a)와 제3 부재(110c)를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프레임(110)의 제1 측부면(113)은 프레임(110)의 전면이라 칭할 수 있다.
프레임(110)의 제2 측부면(114)은 프레임(110)의 상부면(111) 타측과 프레임(110)의 하부면(112)의 타측 사이에 배치되고, 수직면상 사다리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프레임(110)의 제2 측부면(114)은 제1 부재(110a)와 제3 부재(110c)를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프레임(110)의 제2 측부면(114)은 프레임(110)의 후면이라 칭할 수 있다.
프레임(110)의 제3 측부면(115)은 프레임(110)의 상부면(111) 우측과 프레임(110)의 하부면(112)의 우측 사이 그리고 프레임(110)의 제1 측부면(113)의 우측과 프레임(110)의 제2 측부면(114)의 우측 사이에 배치되고, 수직면상 사다리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프레임(110)의 제3 측부면(115)은 제2 부재(110b)와 제3 부재(110c)를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프레임(110)의 제3 측부면(115)은 프레임(110)의 우면이라 칭할 수 있다.
프레임(110)의 제4 측부면(116)은 프레임(110)의 상부면(111) 좌측과 프레임(110)의 하부면(112)의 좌측 사이 그리고 프레임(110)의 제1 측부면(113)의 좌측과 프레임(110)의 제2 측부면(114)의 좌측 사이에 배치되고, 수직면상 사다리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프레임(110)의 제4 측부면(116)은 제2 부재(110b)와 제3 부재(110c)를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프레임(110)의 제4 측부면(116)은 프레임(110)의 좌면이라 칭할 수 있다.
지금까지 상술한 프레임(110)은 상부면(111), 하부면(112), 그리고 제1 측부면(113) 내지 제4 측부면(116)에 의해 내부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내부 공간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석(170)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석(170)은 흐르는 물에 견딜 수 있는 중량을 가진 비교적 큰 돌로 정의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사석(170)은 프레임(110)의 내부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사석(170)이 철재빔 내부 또는 프레임(110)의 내부공간에 배치됨으로써, 해조류의 착생을 도와 잘 번식시키고 이로부터 유래하는 해삼의 먹이인 유기쇄설물이 잘 모여들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기존의 해삼전용 어초(100)에 비해 자연석이나 사석(170)에서 해삼이 더 잘 생육, 번식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할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내부 공간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석(170)이 배치됨으로써, 사석(170)의 무게에 의해 해삼 문어 보육전용 다기능 어초(100)가 확실하게 정착되고 이로 인하여 어초(100)의 안정성확보와 확실한 이동 방지를 꾀할 수 있다.
제1 서식부(130)는 프레임(110)의 중앙영역에 위치하고, 프레임(110)의 상부면(111)에 돌출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제1 서식부(130)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제2 서식부(150)는 일측이 프레임(110)의 측부면에 배치되고, 타측이 프레임(110)의 내부 공간에 위치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 서식부(150)는 프레임(110)의 측부면과 프레임(110)의 내부 공간에 걸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서식부(150)는 항아리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2 서식부(150)의 일측과 제2 서식부(150)의 타측 각각은 오픈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 서식부(150)는 프레임(110)의 측부면의 중앙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서식부(150)는 연체동물의 집 또는 통발이라고 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서식부(150)에 서식하는 연체 동물인 문어가 제2 서식부(150)의 입출입을 통해 자유롭게 은신하거나 생활하면서, 제2 서식부(150)의 내, 외부로 쉽게 탈출이 가능하도록 제2 서식부(150)가 프레임(110)의 측부면의 중앙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2 서식부(150)는 프레임(110)의 측부면의 중앙 영역 한 곳에만 배치하는 것이 아니라 중앙 영역을 중심으로 양 사이드와 모서리 어느 곳에도 배치될 수 있다. 제2 서식부(150)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지금까지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명세서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해삼 문어 보육전용 다기능 어초(100)는 프레임(110)과 제1 서식부(130) 및 프레임(110)과 제2 서식부(150)가 철골 용접 형태로 결합되고, 프레임(110)의 내부공간에는 사석(170)으로 채워지도록 형성됨으로써, 해삼의 종묘인 치삼(어린 해삼)을 방양한 후 외부의 포식자나 기타 해적생물로부터 보호받을 수 있는 은신처로서 기능을 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해삼 문어 보육전용 다기능 어초(100)는 제1 서식부(130)를 프레임(110)의 중앙 영역에 배치시킴으로써, 어린 해삼이 파랑이나 강한 조류 및 해류 등 외부의 물리적 환경 충격에 노출되지 않아 안전한 서식지를 제공받을 수 있고, 주변에서 유입된 유기물을 섭취한 어린 해삼이 용이하게 정착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해삼 문어 보육전용 다기능 어초(100)는 제1 서식부(130)를 프레임(110)의 중앙 영역에 배치시키되, 프레임(110)의 내부 공간과 연결되는 연결통로를 형성함으로써, 어린 해삼이 어느 정도 성장한 후 프레임(110)의 중앙 영역에 위치한 제1 서식부(130)로부터 방향에 상관없이 쉽게 탈출할 수 있다. 게다가 프레임(110)은 어린 해삼이 성장하여 제1 서식부(130)에서 탈출하더라도, 제1 서식부(130)를 감싸고 있는 사석(170)에 의해 은신, 보육 기능도 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해삼 문어 보육전용 다기능 어초(100)에서는 제1 서식부(130)가 프레임(110)의 중앙 영역에 배치되는 것을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중앙 영역이 아닌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제2 서식부(150)와의 위치 또는 배치 관계 등을 고려할 때 제1 서식부(130)는 프레임(110)의 중앙 영역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해삼 문어 보육전용 다기능 어초(100)는 해삼과 문어의 유집, 생장, 산란 보육을 목적으로 하기 때문에 제1 서식부(130)를 프레임(110)의 상부면(111)의 중앙 영역에 배치하고, 문어가 은신하거나 보육할 수 있는 통발형 구조물인 제2 서식부(150)를 프레임(110)의 측부면의 모서리가 아닌 영역에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명세서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해삼 문어 보육전용 다기능 어초(100)는 제1 서식부(130)와 제2 서식부(150)가 프레임(110)의 내부 공간에서 연결되도록 설계됨으로써, 프레임(110)의 외부(어초(100)의 바깥 천연 서식지)에서 치삼이나 어린 문어가 용이하면서 안전하게 드나들 수 있다.
<제2 실시예>
도 5는 본 명세서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해삼 문어 보육전용 다기능 어초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6은 도 5의 측면도이고, 도 7은 도 5의 평면도이고, 도 8은 도 5의 절단도이다.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해삼 문어 보육전용 다기능 어초(200)는 프레임(210), 제1 서식부(230) 및 제2 서식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210)은 제1 부재(210a) 내지 제3 부재(210c) 그리고 제4 부재(210d)를 이용하여 윈기둥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프레임(210)은 원기둥형상의 내부에 내부공간을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210)은 원기둥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부공간을 구비할 수 있다.
제1 부재(210a)는 제1 방향(X)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부재(210a)는 제2 방향(Y)으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면서 배치될 수 있다. 제2 방향(Y)은 제1 방향(X)과 수평방향으로 교차되는 방향일 수 있다. 제1 부재(210a)는 철재 빔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부재(210a)는 제1 평면부재, 가로부재라 칭할 수 있다. 제1 방향(X)은 가로방향이라 칭할 수 있다.
제2 부재(210b)는 제2 방향(Y)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부재(210b)는 제1 방향(X)으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면서 배치될 수 있다. 제2 부재(210b)는 제1 부재(210a)와 격자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2 부재(210b)는 철재 빔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부재(210b)는 제2 평면부재, 세로부재라 칭할 수 있다. 제2 방향(Y)은 세로방향이라 칭할 수 있다.
제3 부재(210c)는 제3 방향(Z)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제3 방향(Z)은 제1 방향(X) 및 제2 방향(Y)과 수직방향으로 교차되는 방향일 수있다. 제3 부재(210c)는 철재 빔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3 부재(210c)는 수직부재, 직립부재라 칭할 수 있다. 제3 방향(Z)은 수직방향이라 칭할 수 있다.
제4 부재(210d)는 제1 방향(X)과 제2 방향(Y)으로 형성된 평면상에서 원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4 부재(210d)는 적어도 하나 이상이 형성되고, 제3 방향(Z)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되, 상방향으로 진행할수록, 제4 부재(210d)의 면적은 점진적으로 작아질 수 있다.
제4 부재(210d)는 내부 공간에 제1 부재(210a)와 제2 부재(210b)가 격자 형상으로 배치되거나 제1 부재(210a)와 제2 부재(210b)가 배치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4 부재(210d)가 프레임(210)의 상부에 배치되거나 하부에 배치되면, 내부 공간에 제1 부재(210a)와 제2 부재(210b)가 격자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제4 부재(210d)가 프레임(210)의 상부에 배치되거나 하부 사이에 배치되면, 제1 부재(210a)와 제2 부재(210b)가 배치되지 않을 수 있다.
제4 부재(210d)의 외부에는 제3 부재(210c)가 제3 방향(Z)으로 길게 형성되며, 제4 부재(210d)의 외부를 따라 복수의 제3 부재(210c)가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면서 배치될 수 있다.
제1 부재(210a) 내지 제4 부재(210d)는 다양한 철재 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양한 철재 빔은 철재”ㄱ”형강, ”ㄱ”형강규격, ANGLE 규격, 철앵글, 등변”ㄱ”형강, 부등변”ㄱ”형강, 부등변부등후”ㄱ”형강, 인버티드앵글 등 중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철재 빔은 열간 압연 형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부재(210a) 내지 제4 부재(210d)는 철재 빔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원기둥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는 부재라면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프레임(210)의 하부면(212)은 평면상 원형으로 형성되고, 제1 부재(210a), 제2 부재(210b) 및 제4 부재(210d)를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프레임(210)의 상부면(211)은 프레임(210)의 하부면(212)과 제3 방향(Z)으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평면상 원형으로 형성되고, 제1 부재(210a), 제2 부재(210b) 및 제4 부재(210d)를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프레임(210)의 상부면(211)은 프레임(210)의 하부면(212)의 면적보다 작은 면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프레임(210)의 측부면(213)은 프레임(210)의 상부면(211) 일측과 프레임(210)의 하부면(212)의 일측 사이에 배치되고, 수직면상 사다리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프레임(210)의 측부면(213)은 제3 부재(210c)와 제4 부재(210d)를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지금까지 상술한 프레임(210)은 상부면(211), 하부면(212), 그리고 측부면(213)에 의해 내부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내부 공간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석(270)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석(270)은 흐르는 물에 견딜 수 있는 중량을 가진 비교적 큰 돌로 정의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사석(270)은 프레임(210)의 내부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사석(270)이 철재빔 내부 또는 프레임(210)의 내부공간에 배치됨으로써, 해조류의 착생을 도와 잘 번식시키고 이로부터 유래하는 해삼의 먹이인 유기쇄설물이 잘 모여들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기존의 해삼전용 어초에 비해 자연석이나 사석(270)에서 해삼이 더 잘 생육, 번식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할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내부 공간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석(270)이 배치됨으로써, 사석(270)의 무게에 의해 해삼 문어 보육전용 다기능 어초(200)가 확실하게 정착되고 이로 인하여 어초(200)의 안정성 확보와 확실한 이동 방지를 꾀할 수 있다.
제1 서식부(230)는 프레임(210)의 중앙영역에 위치하고, 프레임(210)의 상부면(211)에 돌출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제1 서식부(230)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제2 서식부(250)는 일측이 프레임(210)의 측부면에 배치되고, 타측이 프레임(210)의 내부 공간에 위치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 서식부(250)는 프레임(210)의 측부면(213)과 프레임(210)의 내부 공간에 걸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서식부(250)는 항아리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2 서식부(250)의 일측과 제2 서식부(250)의 타측 각각은 오픈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 서식부(250)는 프레임(210)의 측부면의 중앙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서식부(250)는 연체동물의 집 또는 통발이라고 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서식부(250)에 서식하는 연체 동물인 문어가 제2 서식부(250)의 입출입을 통해 자유롭게 은신하거나 생활하면서, 제2 서식부(250)의 내, 외부로 쉽게 탈출이 가능하도록 제2 서식부(250)가 프레임(210)의 측부면의 중앙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2 서식부(250)는 프레임(210)의 측부면의 중앙 영역 한 곳에만 배치하는 것이 아니라 중앙 영역을 중심으로 양 사이드에도 배치될 수 있다. 제2 서식부(250)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지금까지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명세서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해삼 문어 보육전용 다기능 어초(200)는 프레임(210)과 제1 서식부(230) 및 프레임(210)과 제2 서식부(250)가 철골 용접 형태로 결합되고, 프레임(210)의 내부공간에는 사석(270)으로 채워지도록 형성됨으로써, 해삼의 종묘인 치삼(어린 해삼)을 방양한 후 외부의 포식자나 기타 해적생물로부터 보호받을 수 있는 은신처로서 기능을 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해삼 문어 보육전용 다기능 어초(200)는 제1 서식부(230)를 프레임(210)의 중앙 영역에 배치시킴으로써, 어린 해삼이 파랑이나 강한 조류 및 해류 등 외부의 물리적 환경 충격에 노출되지 않아 안전한 서식지를 제공받을 수 있고, 주변에서 유입된 유기물을 섭취한 어린 해삼이 용이하게 정착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해삼 문어 보육전용 다기능 어초(200)는 제2 서식부(230)를 프레임(210)의 중앙 영역에 배치시키되, 프레임(210)의 내부 공간과 연결되는 연결통로를 형성함으로써, 어린 해삼이 어느 정도 성장한 후 프레임(210)의 중앙 영역에 위치한 제1 서식부(230)로부터 방향에 상관없이 쉽게 탈출할 수 있다. 게다가 프레임(210)은 어린 해삼이 성장하여 제1 서식부(230)에서 탈출하더라도, 제1 서식부(230)를 감싸고 있는 사석(270)에 의해 은신, 보육 기능도 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해삼 문어 보육전용 다기능 어초(200)에서는 제1 서식부(230)가 프레임(210)의 중앙 영역에 배치되는 것을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중앙 영역이 아닌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제2 서식부(250)와의 위치 또는 배치 관계 등을 고려할 때 제1 서식부(230)는 프레임(210)의 중앙 영역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해삼 문어 보육전용 다기능 어초(200)는 해삼과 문어의 유집, 생장, 산란 보육을 목적으로 하기 때문에 제1 서식부(230)를 프레임(210)의 상부면(211)의 중앙 영역에 배치하고, 문어가 은신하거나 보육할 수 있는 통발형 구조물인 제2 서식부(250)를 프레임(210)의 측부면의 모서리가 아닌 영역에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명세서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해삼 문어 보육전용 다기능 어초(200)는 제1 서식부(230)와 제2 서식부(250)가 프레임(210)의 내부 공간에서 연결되도록 설계됨으로써, 프레임(210)의 외부(어초(200)의 바깥 천연 서식지)에서 치삼이나 어린 문어가 용이하면서 안전하게 드나들 수 있다.
<제3 실시예>
도 9는 본 명세서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해삼 문어 보육전용 다기능 어초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측면도이고, 도 11은 도 9의 평면도이고, 도 12는 도 9의 절단도이다.
도 9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해삼 문어 보육전용 다기능 어초(300)는 프레임(310), 제1 서식부(330) 및 제2 서식부(35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310)은 제1 부재(310a) 내지 제4 부재(310d)를 이용하여 육각기둥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프레임(310)은 육각기둥형상의 내부에 내부공간을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10)은 육각기둥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부공간을 구비할 수 있다.
제1 부재(310a)는 제1 방향(X)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부재(310a)는 제2 방향(Y)으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면서 배치될 수 있다. 제2 방향(Y)은 제1 방향(X)과 수평방향으로 교차되는 방향일 수 있다. 제1 부재(310a)는 철재 빔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부재(310a)는 제1 평면부재, 가로부재라 칭할 수 있다. 제1 방향(X)은 가로방향이라 칭할 수 있다.
제2 부재(310b)는 제2 방향(Y)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부재(310b)는 제1 방향(X)으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면서 배치될 수 있다. 제2 부재(310b)는 제1 부재(310a)와 격자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2 부재(310b)는 철재 빔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부재(310b)는 제2 평면부재, 세로부재라 칭할 수 있다. 제2 방향(Y)은 세로방향이라 칭할 수 있다.
제3 부재(310c)는 제3 방향(Z)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제3 방향(Z)은 제1 방향(X) 및 제2 방향(Y)과 수직방향으로 교차되는 방향일 수있다.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3 부재(310c)는 제1 방향(X) 또는 제2 방향(Y)으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면서 배치될 수 있다. 제3 부재(310c)는 수직부재, 직립부재라 칭할 수 있다. 제3 방향(Z)은 수직방향이라 칭할 수 있다.
제4 부재(310d)는 제1 방향(X)과 제2 방향(Y)으로 형성된 평면상에서 육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4 부재(310d)는 적어도 하나 이상이 형성되고, 제3 방향(Z)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되, 상방향으로 진행할수록, 제4 부재(310d)의 면적은 점진적으로 작아질 수 있다.
제4 부재(310d)는 내부 공간에 제1 부재(310a)와 제2 부재(310b)가 격자 형상으로 배치되거나 제1 부재(310a)와 제2 부재(310b)가 배치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4 부재(310d)가 프레임(310)의 상부에 배치되거나 하부에 배치되면, 내부 공간에 제1 부재(310a)와 제2 부재(310b)가 격자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제4 부재(210d)가 프레임(310)의 상부에 배치되거나 하부 사이에 배치되면, 제1 부재(310a)와 제2 부재(310b)가 배치되지 않을 수 있다.
제4 부재(310d)의 외부에는 제3 부재(310c)가 제3 방향(Z)으로 길게 형성되며, 제4 부재(210d)의 외부를 따라 복수의 제3 부재(310c)가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면서 배치될 수 있다.
제1 부재(310a) 내지 제4 부재(310d)는 다양한 철재 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양한 철재 빔은 철재”ㄱ”형강, ”ㄱ”형강규격, ANGLE 규격, 철앵글, 등변”ㄱ”형강, 부등변”ㄱ”형강, 부등변부등후”ㄱ”형강, 인버티드앵글 등 중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철재 빔은 열간 압연 형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부재(310a) 내지 제4 부재(310d)는 철재 빔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육각기둥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는 부재라면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프레임(310)의 하부면(312)은 평면상 육각형으로 형성되고, 제1 부재(310a), 제2 부재(310b) 및 제4 부재(310d)를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프레임(310)의 상부면(311)은 프레임(310)의 하부면(312)과 제3 방향(Z)으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평면상 원형으로 형성되고, 제1 부재(310a), 제2 부재(310b) 및 제4 부재(310d)를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프레임(310)의 상부면(311)은 프레임(310)의 하부면(312)의 면적보다 작은 면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프레임(310)의 제1 측부면(313)은 프레임(310)의 상부면(311) 일측과 프레임(310)의 하부면(312)의 일측 사이에 배치되고, 수직면상 사다리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프레임(310)의 제1 측부면(313)은 제3 부재(310c)와 제4 부재(310d)를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프레임(110)의 제1 측부면(113)은 프레임(110)의 전면이라 칭할 수 있다.
프레임(310)의 제2 측부면(314)은 프레임(310)의 상부면(311) 타측과 프레임(310)의 하부면(312)의 타측 사이에 배치되고, 수직면상 사다리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프레임(310)의 제2 측부면(313)은 제3 부재(310c)와 제4 부재(310d)를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프레임(310)의 제2 측부면(314)은 프레임(310)의 후면이라 칭할 수 있다.
프레임(310)의 제3 측부면(315)은 프레임(310)의 상부면(311) 우측과 프레임(310)의 하부면(312)의 우측 사이 그리고 프레임(310)의 제1 측부면(313)의 우측과 프레임(310)의 제2 측부면(314)의 우측 사이에 배치되고, 수직면상 사다리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프레임(310)의 제3 측부면(315)은 제3 부재(310c)와 제4 부재(310d)를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프레임(310)의 제3 측부면(315)은 프레임(310)의 전면우측면이라 칭할 수 있다.
프레임(310)의 제4 측부면(316)은 프레임(310)의 상부면(311) 우측과 프레임(310)의 하부면(312)의 우측 사이 그리고 프레임(310)의 제3 측부면(315)의 우측과 프레임(310)의 제2 측부면(314)의 우측 사이에 배치되고, 수직면상 사다리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프레임(310)의 제4 측부면(316)은 제3 부재(310c)와 제4 부재(310d)를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프레임(310)의 제4 측부면(316)은 프레임(310)의 후면우측면이라 칭할 수 있다.
프레임(310)의 제5 측부면(317)은 프레임(310)의 상부면(311) 좌측과 프레임(310)의 하부면(312)의 좌측 사이 그리고 프레임(310)의 제1 측부면(313)의 좌측과 프레임(310)의 제2 측부면(314)의 좌측 사이에 배치되고, 수직면상 사다리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프레임(310)의 제5 측부면(317)은 제3 부재(310c)와 제4 부재(310d)를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프레임(310)의 제5 측부면(317)은 프레임(310)의 전면좌측면이라 칭할 수 있다.
프레임(310)의 제6 측부면(318)은 프레임(310)의 상부면(111) 좌측과 프레임(310)의 하부면(312)의 좌측 사이 그리고 프레임(310)의 제5 측부면(317)의 좌측과 프레임(310)의 제2 측부면(314)의 좌측 사이에 배치되고, 수직면상 사다리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프레임(310)의 제6 측부면(318)은 제3 부재(310c)와 제4 부재(310d)를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프레임(310)의 제6 측부면(318)은 프레임(310)의 후면좌측면이라 칭할 수 있다.
지금까지 상술한 프레임(310)은 상부면(311), 하부면(312), 그리고 제1 측부면(313) 내지 제6 측부면(318)에 의해 내부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내부 공간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석(370)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석(370)은 흐르는 물에 견딜 수 있는 중량을 가진 비교적 큰 돌로 정의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사석(370)은 프레임(310)의 내부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사석(370)이 철재빔 내부 또는 프레임(310)의 내부공간에 배치됨으로써, 해조류의 착생을 도와 잘 번식시키고 이로부터 유래하는 해삼의 먹이인 유기쇄설물이 잘 모여들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기존의 해삼전용 어초(300)에 비해 자연석이나 사석(370)에서 해삼이 더 잘 생육, 번식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할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내부 공간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석(370)이 배치됨으로써, 사석(370)의 무게에 의해 해삼 문어 보육전용 다기능 어초(300)가 확실하게 정착되고 이로 인하여 어초(300)의 안정성 확보와 확실한 이동 방지를 꾀할 수 있다.
제1 서식부(330)는 프레임(310)의 중앙영역에 위치하고, 프레임(310)의 상부면(311)에 돌출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제1 서식부(330)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제2 서식부(350)는 일측이 프레임(310)의 측부면에 배치되고, 타측이 프레임(110)의 내부 공간에 위치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 서식부(350)는 프레임(310)의 측부면과 프레임(310)의 내부 공간에 걸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서식부(150)는 항아리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2 서식부(350)의 일측과 제2 서식부(350)의 타측 각각은 오픈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 서식부(350)는 프레임(310)의 측부면의 중앙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서식부(350)는 연체동물의 집 또는 통발이라고 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서식부(350)에 서식하는 연체 동물인 문어가 제2 서식부(350)의 입출입을 통해 자유롭게 은신하거나 생활하면서, 제2 서식부(350)의 내, 외부로 쉽게 탈출이 가능하도록 제2 서식부(350)가 프레임(310)의 측부면의 중앙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2 서식부(350)는 프레임(310)의 측부면의 중앙 영역 한 곳에만 배치하는 것이 아니라 중앙 영역을 중심으로 양 사이드와 모서리 어느 곳에도 배치될 수 있다. 제2 서식부(350)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지금까지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명세서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해삼 문어 보육전용 다기능 어초(300)는 프레임(310)과 제1 서식부(330) 및 프레임(310)과 제2 서식부(350)가 철골 용접 형태로 결합되고, 프레임(310)의 내부공간에는 사석(370)으로 채워지도록 형성됨으로써, 해삼의 종묘인 치삼(어린 해삼)을 방양한 후 외부의 포식자나 기타 해적생물로부터 보호받을 수 있는 은신처로서 기능을 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해삼 문어 보육전용 다기능 어초(300)는 제1 서식부(330)를 프레임(310)의 중앙 영역에 배치시킴으로써, 어린 해삼이 파랑이나 강한 조류 및 해류 등 외부의 물리적 환경 충격에 노출되지 않아 안전한 서식지를 제공받을 수 있고, 주변에서 유입된 유기물을 섭취한 어린 해삼이 용이하게 정착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해삼 문어 보육전용 다기능 어초(300)는 제1 서식부(330)를 프레임(310)의 중앙 영역에 배치시키되, 프레임(310)의 내부 공간과 연결되는 연결통로를 형성함으로써, 어린 해삼이 어느 정도 성장한 후 프레임(310)의 중앙 영역에 위치한 제1 서식부(330)로부터 방향에 상관없이 쉽게 탈출할 수 있다. 게다가 프레임(310)은 어린 해삼이 성장하여 제1 서식부(330)에서 탈출하더라도, 제1 서식부(330)를 감싸고 있는 사석(370)에 의해 은신, 보육 기능도 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해삼 문어 보육전용 다기능 어초(300)에서는 제1 서식부(330)가 프레임(310)의 중앙 영역에 배치되는 것을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중앙 영역이 아닌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제2 서식부(350)와의 위치 또는 배치 관계 등을 고려할 때 제1 서식부(330)는 프레임(310)의 중앙 영역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해삼 문어 보육전용 다기능 어초(300)는 해삼과 문어의 유집, 생장, 산란 보육을 목적으로 하기 때문에 제1 서식부(330)를 프레임(310)의 상부면(311)의 중앙 영역에 배치하고, 문어가 은신하거나 보육할 수 있는 통발형 구조물인 제2 서식부(350)를 프레임(310)의 측부면의 모서리가 아닌 영역에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명세서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해삼 문어 보육전용 다기능 어초(300)는 제1 서식부(330)와 제2 서식부(350)가 프레임(310)의 내부 공간에서 연결되도록 설계됨으로써, 프레임(310)의 외부(어초(300)의 바깥 천연 서식지)에서 치삼이나 어린 문어가 용이하면서 안전하게 드나들 수 있다.
도 13 및 도 14는 본 명세서의 제1 서식부(130)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13의 (a) 와 (b)를 살펴보면, 제1 서식부(130)는 프레임(110)의 중앙영역에 위치하고, 프레임(110)의 상부면(111)에 돌출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제1 서식부(130)는 제1 서식부재(131) 내지 제3 서식부재(133)를 이용하여 사각 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서식부(130)는 제1 서식부재(131) 내지 제3 서식부재(133) 그리고 보호부재(135)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서식부재(131)는 제1 방향(X)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서식부재(131)는 제1 부재(110a)보다 짧은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제2 서식부재(132)는 제2 방향(Y)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제2 서식부재(132)는 제2 부재(110b)보다 짧은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제1 서식부재(131)와 제2 서식부재(132)는 평면상 사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3 서식부재(133)는 제3 방향(Z)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제3 서식부재(133)의 일단은 제1 서식부재(131)와 제2 서식부재(132)가 결합된 영역과 중첩되는 영역에 결합되고, 제3 서식부재(133)의 타단은 프레임(110)의 하부면(112)에 결합될 수 있다. 이들의 결합은 서로 단단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면, 어떠한 방식이라도 가능할 수 있다.
제3 서식부재(133)와 이웃하는 제3 서식부재(133) 간의 간격은 위에서 아래 방향으로 진행할수록 점진적으로 길어질 수 있다. 이에 제3 서식 부재를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배치되는 제1 서식부재(131)와 제2 서식부재(132)의 길이도 점진적으로 길어지며, 이들에 의해 형성되는 사각형의 면적도 넓어질 수 있다.
도 14의 (a) 와 (b)를 살펴보면, 제1 서식부재(131)와 제2 서식부재(132) 사이, 제1 서식부재(131)와 제3 서식부재(133) 사이, 제2 서식부재(132)와 제3 서식부재(133) 사이에는 보호부재(135)가 배치될 수 있다.
보호부재(135)는 도 1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환경에 따라 제1 서식부재 내지 제3 서식부재(133)의 외부에 배치되거나 도 1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환경에 따라 제1 서식부재 내지 제3 서식부재(133)의 외부에 배치될 수 있다.
보호부재(135)는 파랑이나 강한 조류 및 해류 등 외부의 물리적 환경의 충격에 노출되지 않도록 철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호부재(135)는 스테인레스 스틸 재질의 펜스용 철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서식부(130)의 상부면(111)은 프레임(110)의 상부면(111)과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즉, 제1 서식부(130)의 상부면(111)은 프레임(110)으로부터 벗어나 외부에 노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서식부(130)는 프레임(110)의 중앙 영역에 배치됨으로써, 해삼의 종묘인 치삼(어린 해삼)을 방양한 후 외부의 포식자나 기타 해적생물로부터 보호받을 수 있는 은신처로서 기능을 할 수 있다.
또한, 제1 서식부(130)는 프레임(110)의 중앙 영역에 배치됨으로써, 어린 해삼이 파랑이나 강한 조류 및 해류 등 외부의 물리적 환경 충격에 노출되지 않아 안전한 서식지를 제공받을 수 있고, 주변에서 유입된 유기물을 섭취한 어린 해삼이 용이하게 정착할 수 있다.
또한, 제1 서식부(130)는 프레임(110)의 중앙 영역에 배치되되, 프레임(110)의 내부 공간과 연결되는 연결통로를 형성함으로써, 어린 해삼이 어느 정도 성장한 후 프레임(110)의 중앙 영역에 위치한 제1 서식부(130)로부터 방향에 상관없이 쉽게 탈출할 수 있다. 게다가 프레임(110)은 어린 해삼이 성장하여 제1 서식부(130)에서 탈출하더라도, 제1 서식부(130)를 감싸고 있는 사석(170)에 의해 은신, 보육 기능도 겸할 수 있다.
제1 서식부(130)는 프레임(110)의 중앙 영역이 아닌 영역에 배치될 수 있으나, 후술할 제2 서식부(150)와의 위치 또는 배치 관계 등을 고려할 때 중앙 영역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제1 서식부(130)에 치삼을 방류하게 되면 방류후 치삼의 유실을 막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프레임(110)인 어초 내의 사석에 안정적으로 정착될 수 있어 충분한 방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게다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제1 서식부(130)는 프레임(110)의 상부면(111)으로부터 벗어나 외부에 노출되도록 형성함으로써, 차광막 역할을 하는 보호부재(135)에 의한 조도 조절이 해삼이나 성게류의 정착을 보다 높게 할 수 있어 해삼의 자원관리 및 생산량 증대에 크게 기여할 수 있다.
도 15는 본 명세서의 제2 서식부(150)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15를 살펴보면, 제2 서식부(150)는 일측(151)이 프레임(110)의 측부면(111,112,113,114, 도 2 참조)에 배치되고, 타측(152)이 프레임(110)의 내부 공간에 위치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 서식부(150)는 프레임(110)의 측부면(111,112,113,114, 도 2 참조)과 프레임(110)의 내부 공간에 걸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서식부(150)는 항아리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2 서식부(150)의 일측(151)과 제2 서식부(150)의 타측(152) 각각은 오픈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 서식부(150)는 모서리부분에 배치하는 구조일 경우 상술한 제1 실시 예인 경우만 해당되며, 제2 실시 예 및 제3 실시 예에는 해당되지 않을 수 있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서식부(150)는 항아리 형상으로 형성되며, 프레임(110)에 철골 용접형태로 결합될 수 있다.
제2 서식부(150)는 어구 어법상으로 알려진 연체 동물인 문어의 은신 습성이나 이동 특성 그리고 문어의 생태적 특성 등을 고려하여 둥근 원통형 형태인 항아리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금까지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명세서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해삼 문어 보육전용 다기능 어초(100)는 프레임(110)의 보호 하에, 프레임(110)의 내부공간에서 제1 서식부(130), 제2 서식부(150) 그리고 사석(170) 사이 공간을 소통할 수 있는 즉, 이들 공간 내에서 안전하게 은신하거나 생활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명세서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해삼 문어 보육전용 다기능 어초(100)는 프레임(110)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1 서식부(130), 일측(151)과 타측(152)이 오픈된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2 서식부(150)에 의해 프레임(110) 외부의 바깥세상(천연 서식처)과 소통(외부 먹이활동 등)할 수 있다.
게다가, 본 명세서의 실시 예에 따른 해삼 문어 보육전용 다기능 어초는 제2 서식부(150)에 서식하는 문어의 경우 제1 서식부(130)에 서식하는 해삼을 직접적인 먹이로 하지 않고, 해삼과 문어의 생태적 습성을 고려할 때 치삼의 방류보호구와 서식장으로서 기능하는 사석, 문어의 생태적 습성까지 고려한 구조로써, 해삼과 문어의 자원관리 및 생산량 증대에 매우 효과일 수 있다.
상술한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은 본 명세서의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명세서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명세서의 범위에 포함된다. 또한, 특허청구범위에서 명시적인 인용 관계가 있지 않은 청구항들을 결합하여 실시예를 구성하거나 출원 후의 보정에 의해 새로운 청구항으로 포함할 수 있다.
110 : 프레임
130 : 제1 서식부
150 : 제2 서식부
130 : 제1 서식부
150 : 제2 서식부
Claims (5)
- 다면체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부공간이 구비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중앙 영역에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외부에 노출되도록 상기 프레임의 상부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철망으로 형성된 보호부재가 배치되어 치삼이 서식하도록 형성되는 제1 서식부; 및
오픈된 일측이 상기 프레임의 측부면에 배치되고, 오픈된 타측이 상기 프레임의 내부공간에 배치되어 연체동물이 서식하도록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2 서식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서식부 및 상기 제2 서식부는 상기 프레임의 내부 공간에서 연결되고,
상기 제1 서식부는 상기 프레임의 중앙 영역과 내부 공간이 연결되는 연결통로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치삼으로부터 성장한 해삼이 상기 제1 서식부로부터 탈출할 수 있도록 유도하되,
상기 프레임의 내부공간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석이 상기 제1 서식부를 감싸도록 형성되어 탈출한 해삼의 은신 및 보육 기능을 제공하는 해삼 문어 보육전용 다기능 어초. - 삭제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제1 방향(X)으로 길게 형성되면서, 상기 제1 방향(X)과 수평방향으로 교차되는 방향인 제2 방향(Y)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부재;
상기 제2 방향(Y)으로 길게 형성되면서, 상기 제1 방향(X)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부재; 및
상기 제1 방향(X) 및 상기 제2 방향(Y)과 수직방향으로 교차되는 방향인 제3 방향(Z)으로 길게 형성되는 제3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의 내부공간은 상기 제1 부재 내지 상기 제3 부재에 의해 형성되는 해삼 문어 보육전용 다기능 어초. -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서식부는,
상기 제1 방향(X)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제1 부재보다 짧은 길이로 형성되는 제1 서식부재;
상기 제2 방향(Y)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제2 부재보다 짧은 길이로 형성되는 제2 서식부재; 및
상기 제3 방향(Z)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제3 부재보다 긴 길이로 형성되는 제3 서식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3 서식부재는,
일단이 상기 제1 서식부재와 상기 제2 서식부재가 결합된 영역과 중첩되는 영역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프레임의 하부면에 결합되는 해삼 문어 보육전용 다기능 어초. -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서식부재와 상기 제2 서식부재 사이, 상기 제1 서식부재와 상기 제3 서식부재 사이, 상기 제2 서식부재와 상기 제3 서식부재 사이에는 상기 보호부재가 배치되는 해삼 문어 보육전용 다기능 어초.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67558A KR102402241B1 (ko) | 2021-05-26 | 2021-05-26 | 해삼 문어 보육전용 다기능 어초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67558A KR102402241B1 (ko) | 2021-05-26 | 2021-05-26 | 해삼 문어 보육전용 다기능 어초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402241B1 true KR102402241B1 (ko) | 2022-05-26 |
Family
ID=818097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67558A KR102402241B1 (ko) | 2021-05-26 | 2021-05-26 | 해삼 문어 보육전용 다기능 어초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402241B1 (ko) |
Citation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50032088A (ko) * | 2005-03-14 | 2005-04-06 | 대한민국(관리부서:국립수산과학원) | 다기능성 고층어초 |
KR200408495Y1 (ko) * | 2005-11-22 | 2006-02-13 | 주식회사 해중 | 돔형 굴패각 어초 |
KR20060028559A (ko) | 2004-09-25 | 2006-03-30 | 강명우 | 전복양식용 인공어초 |
KR100838714B1 (ko) * | 2007-04-30 | 2008-06-16 |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 강재골조 구조의 인공어초 |
KR100950657B1 (ko) * | 2009-06-19 | 2010-04-02 | (주)해영 | 인공어초 |
KR101050994B1 (ko) | 2011-05-14 | 2011-07-21 | 강명우 | 다목적용 참나무 어초 |
KR101180523B1 (ko) * | 2012-05-31 | 2012-09-07 | 이상민 | 해삼 및 전복용 초 |
KR102132317B1 (ko) * | 2020-03-05 | 2020-07-09 | (주)대륙 | 동·식물 인공어초 |
-
2021
- 2021-05-26 KR KR1020210067558A patent/KR102402241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60028559A (ko) | 2004-09-25 | 2006-03-30 | 강명우 | 전복양식용 인공어초 |
KR20050032088A (ko) * | 2005-03-14 | 2005-04-06 | 대한민국(관리부서:국립수산과학원) | 다기능성 고층어초 |
KR200408495Y1 (ko) * | 2005-11-22 | 2006-02-13 | 주식회사 해중 | 돔형 굴패각 어초 |
KR100838714B1 (ko) * | 2007-04-30 | 2008-06-16 |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 강재골조 구조의 인공어초 |
KR100950657B1 (ko) * | 2009-06-19 | 2010-04-02 | (주)해영 | 인공어초 |
KR101050994B1 (ko) | 2011-05-14 | 2011-07-21 | 강명우 | 다목적용 참나무 어초 |
KR101180523B1 (ko) * | 2012-05-31 | 2012-09-07 | 이상민 | 해삼 및 전복용 초 |
KR102132317B1 (ko) * | 2020-03-05 | 2020-07-09 | (주)대륙 | 동·식물 인공어초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5746545B2 (ja) | 稚魚保護育成礁 | |
KR101289093B1 (ko) | 돔형 해삼 증식초 | |
KR100762820B1 (ko) | 석탑형 다기능 인공어초 | |
KR101598322B1 (ko) | 다기능 계단형 인공어초 | |
KR101120922B1 (ko) | 삼곡면 해중림 어초 | |
KR101104776B1 (ko) | 바다 생물의 서식 및 은신용 구조물 | |
KR20140116306A (ko) | 문어 해중림 인공어초 | |
KR101196669B1 (ko) | 다공성황토블럭을 이용한 다기능 인공어초 | |
KR102068220B1 (ko) | 해삼 은신처용 인공어초 | |
KR102144053B1 (ko) | 구조안정성이 개선되고 서식 및 은신 공간이 증가된 다기능 삼각형 인공어초 | |
KR102402241B1 (ko) | 해삼 문어 보육전용 다기능 어초 | |
KR101427538B1 (ko) | 도루묵 산란 및 보육을 위한 어소 | |
Utama et al. | Lobster cultivation in Indonesia and Vietnam: A review | |
KR102200440B1 (ko) | 해상용 해삼 양식장치 | |
KR101748240B1 (ko) | 계단식 피라미드형 해중림초 | |
JP2016149953A (ja) | 藻場造成装置及び藻場造成方法 | |
KR20090000182U (ko) | 굴 패각 투석식 강제어초 | |
JP4125221B2 (ja) | サンゴの海上養殖方法及びその装置 | |
KR101460941B1 (ko) | 가재해삼어초 | |
KR20150029107A (ko) | 바다숲 조성용 상자형 해중림초 | |
KR101351792B1 (ko) | 복합형 인공 어초 | |
KR101968913B1 (ko) | 해삼 혼합 양식방법 | |
KR101156216B1 (ko) | 해삼 증식초 | |
KR101352899B1 (ko) | 대게보육어초 | |
KR200477377Y1 (ko) | 바다숲 조성용 상자형 해중림초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