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2068B1 - 요금 수수 시스템 및 건전성 판단 방법 - Google Patents

요금 수수 시스템 및 건전성 판단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2068B1
KR102082068B1 KR1020187026729A KR20187026729A KR102082068B1 KR 102082068 B1 KR102082068 B1 KR 102082068B1 KR 1020187026729 A KR1020187026729 A KR 1020187026729A KR 20187026729 A KR20187026729 A KR 20187026729A KR 102082068 B1 KR102082068 B1 KR 1020820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processing
unit
lane
fe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267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15290A (ko
Inventor
야스히로 야마구치
겐타 나카오
히로유키 나카야마
Original Assignee
미츠비시 쥬고 기카이 시스템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츠비시 쥬고 기카이 시스템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츠비시 쥬고 기카이 시스템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1152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52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20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20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BTICKET-ISSUING APPARATUS; FARE-REGISTERING APPARATUS; FRANKING APPARATUS
    • G07B15/00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collecting fares, tolls or entrance fees at one or more control points
    • G07B15/06Arrangements for road pricing or congestion charging of vehicles or vehicle users, e.g. automatic toll systems
    • G07B15/063Arrangements for road pricing or congestion charging of vehicles or vehicle users, e.g. automatic toll systems using wireless information transmission between the vehicle and a fixed st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60Type of objects
    • G06V20/62Text, e.g. of license plates, overlay texts or captions on TV images
    • G06V20/625License plat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BTICKET-ISSUING APPARATUS; FARE-REGISTERING APPARATUS; FRANKING APPARATUS
    • G07B15/00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collecting fares, tolls or entrance fees at one or more control point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BTICKET-ISSUING APPARATUS; FARE-REGISTERING APPARATUS; FRANKING APPARATUS
    • G07B15/00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collecting fares, tolls or entrance fees at one or more control points
    • G07B15/06Arrangements for road pricing or congestion charging of vehicles or vehicle users, e.g. automatic toll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17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identifying vehicl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65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by counting the vehicles in a section of the road or in a parking area, i.e. comparing incoming count with outgoing cou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3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 H04W4/4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vehicles, e.g. vehicle-to-pedestrians [V2P]
    • G06K2209/15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240/00Transportation facility access, e.g. fares, tolls or park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Devices For Checking Fares Or Tickets At Control Point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요금 수수 시스템(1)은, 차량에 탑재된 차재기와 무선 통신을 행하는 도로 측 안테나(3a, 3b)와, 상기 차재기와의 사이에서 통신 처리를 행하는 무선 통신 제어 장치(2a, 2b)와, 상기 무선 통신 제어 장치(2a, 2b)로부터 상기 통신 처리의 결과를 취득하고, 당해 통신 처리의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차재기에 대한 요금 수수 처리를 행하는 요금 수수 처리부(10)와, 상기 도로 측 안테나(3a, 3b)의 통신 범위에 진입하는 차량을 검지하는 차량 검지기(5a, 5b)와, 상기 차량 검지기(5a, 5b)에 의한 상기 차량의 검지 결과와 상기 요금 수수 처리부(10)에 의해 행해진 상기 요금 수수 처리의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도로 측 안테나(3a, 3b), 상기 무선 통신 제어 장치(2a, 2b) 및 상기 요금 수수 처리부(1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이상이 발생하고 있는지 아닌지를 판단하는 건전성 판단부(120a)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요금 수수 시스템 및 건전성 판단 방법
본 발명은 요금 수수 시스템 및 건전성 판단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식 요금 수수 시스템(ETC: Electronic Toll Collection System(등록 상표), 「자동 요금 수수 시스템」이라고도 한다)은 아일랜드(차선 분리대) 상에 발진 제어기 등이 설치된 요금소에 설치되어 있다. 한편, 최근 고속 도로의 본선을 주행하는 차량에 대해 논스톱으로 요금 수수를 행하는 프리 플로형(free flow type) 전자식 요금 수수 시스템의 도입이 검토되고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기존의 요금소에 진입할 때, 통상 이용자는 차량의 감속, 일시 정지 등을 행할 필요가 있었다. 그러나 프리 플로형 전자식 요금 수수 시스템에서는, 이용자는 이와 같은 차량의 감속, 일시 정지 등을 행할 필요가 없고, 갠트리(gantry) 아래를 통상의 통행 속도로 통과하는 것만으로 차량에 탑재한 차재기(車載器)와 도로 측 기기 사이에서 통신을 행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정체 완화 등의 효과가 기대되어 고속 도로의 접근성을 한층 더 높일 수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05-085046호
상술의 요금 수수 시스템에서는, 일반적으로 차재기(on-board device)와 도로 측 기기 사이에서 행해지는 통신을 통해 각 이용자에 관한 요금 수수를 위해 필요한 요금 수수용 정보(IC 카드의 개인 계약 정보, 차종 정보 등)가 취득된다. 여기서, 당해 요금 수수 시스템에 있어서 요금 수수용 정보가 취득되어 있지 않은 기간이 계속되고 있었던 경우, 요금 수수 시스템의 감시원 등은 그 기간에 있어서 실제로 차량이 통과하고 있지 않을 뿐이지, 그렇지 않으면 차량이 통과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시스템에 어떤 이상(異常)이 발생하고 있기 때문에 요금 수수용 정보가 취득되고 있지 않은지를 즉시 판별할 수 없다.
프리 플로형 요금 수수 시스템의 경우, 이상의 발견 및 회복이 늦으면, 그 사이에 다수의 차량이 정규의 요금 수수 처리가 행해지지 않은 채 통과하는 것으로 되기 때문에, 운용상 큰 불이익을 초래하는 것이 상정된다.
상기 과제를 감안하여, 본 발명은 시스템의 이상을 검지 가능한 프리 플로형 요금 수수 시스템 및 건전성 판단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관한 요금 수수 시스템(1)은, 차량(A)에 탑재된 차재기(A1)와 무선 통신을 행하는 도로 측 안테나(3a, 3b)와, 상기 도로 측 안테나(roadside antenna)를 통해 상기 차재기 사이에서 미리 정해진 통신 규격에 기초하는 통신 처리를 행하는 무선 통신 제어 장치(2a, 2b)와, 상기 무선 통신 제어 장치로부터 상기 통신 처리의 결과를 취득하고, 당해 통신 처리의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차재기에 대한 요금 수수 처리를 행하는 요금 수수 처리부(10)와, 상기 도로 측 안테나의 통신 범위에 진입하는 차량을 검지하는 차량 검지기(5a, 5b, 5c)와, 상기 차량 검지기에 의한 상기 차량의 검지 결과와 상기 요금 수수 처리부에 의해 행해진 상기 요금 수수 처리의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도로 측 안테나, 상기 무선 통신 제어 장치 및 상기 요금 수수 처리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이상이 발생하고 있는지 아닌지를 판단하는 건전성 판단부(120a)를 구비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차량 검지기는 도로 측 안테나의 통신 범위에 진입하는 차량을 검지하고, 요금 수수 처리부는 도로 측 안테나의 통신 범위에 진입하는 차량 중 차재기를 탑재하고 있는 차량에 대해 요금 수수 처리를 행한다. 그리고 건전성 판단부는, 차량의 검지 결과와 요금 수수 처리의 결과에 기초하여, 도로 측 안테나, 무선 통신 제어 장치 및 요금 수수 처리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이상이 발생하고 있는지 아닌지를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의하면, 상술의 양태의 요금 수수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차량 검지기는 검지한 상기 차량의 차종을 판별하는 차종 판별부(52)를 갖고, 상기 건전성 판단부는, 차종별로 취득한 상기 차량의 검지 결과와 차종별로 취득한 상기 요금 수수 처리의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이상이 발생하고 있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건전성 판단부는 차종 판별부가 판별한 차종별로 차량의 검지 결과와 요금 수수 처리의 결과를 취득한다. 이 때문에, 건전성 판단부는 차종별로 차재기의 탑재율(보급율)이 다른 경우에, 당해 차재기의 보급율에 기초하여, 차량의 검지 결과에 대한 요금 수수 처리 결과가 타당한지 아닌지를 판단할 수 있다. 이에 의해, 건전성 판단부는 이상이 발생하고 있는지 아닌지의 판단을 보다 정확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의하면, 상술의 양태의 요금 수수 시스템은, 상기 건전성 판단부가 상기 이상이 발생했다고 판단한 경우, 상기 도로 측 안테나, 상기 무선 통신 제어 장치 및 상기 요금 수수 처리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재기동 처리를 행하게 하는 재기동부(120b)를 추가로 구비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건전성 판단부가 이상이 발생했다고 판단한 경우, 재기동부가 도로 측 안테나, 무선 통신 제어 장치 및 요금 수수 처리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자동적으로 재기동시킨다. 이에 의해, 요금소의 감시원 등이 이상의 판단을 행하지 않고, 요금 수수 시스템의 각 기기를 자동적으로 이상 상태로부터 회복시켜 정상적으로 동작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의하면, 상술의 양태의 요금 수수 시스템은, 상기 재기동 처리를 행하고 있는 기간에 있어서, 상기 차량 검지기가 검지한 상기 차량의 번호판 정보를 추출하는 추출부(120c)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차량 검지기는 상기 차량의 상기 번호판 정보를 독취(讀取) 가능한 번호판 독취기(讀取機)(51)를 갖는다.
재기동 처리를 행하고 있는 기간은, 당해 재기동 처리를 행하고 있는 기기가 존재하는 차선에서는, 요금 수수 처리부가 차량에 탑재된 차재기에 대해 요금 수수 처리를 행할 수 없다. 그러나 이와 같이 함으로써, 추출부는, 재기동 처리를 행하고 있는 기간에 있어서, 차량 검지기가 검지한 차량의 번호판 정보를 추출한다. 그리고 요금소의 감시원 등은 재기동 처리를 행하고 있는 기간에 있어서도, 추출부가 추출한 번호판 정보에 기초하여, 요금 수수 처리가 행해지지 않았던 차량을 특정하여, 당해 차량의 운전자 등에게 이용 요금의 지불을 요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의하면, 상술의 양태의 요금 수수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건전성 판단부는, 상기 차량의 검지 결과와 상기 요금 수수 처리의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차재기가 차량에 탑재되어 있는 탑재율을 산출하고, 상기 탑재율에 기초하여 상기 이상이 발생하고 있는지 아닌지를 판단하기 위한 역치를 설정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건전성 판단부는, 차량의 검지 결과와 요금 수수 처리의 결과에 기초하여, 차재기의 탑재율을 산출한다. 이 때문에, 건전성 판단부는, 각 요금소에 있어서 산출된 탑재율에 기초하여, 이상이 발생하고 있는지 아닌지를 판단하기 위한 역치를 설정할 수 있다. 이에 의해, 건전성 판단부는 이상이 발생하고 있는지 아닌지의 판단을 보다 정확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관한 건전성 판단 방법은, 차량에 탑재된 차재기와 무선 통신을 행하는 도로 측 안테나와 상기 도로 측 안테나를 통해 상기 차재기 사이에서 미리 정해진 통신 규격에 기초하는 통신 처리를 행하는 무선 통신 제어 장치와, 상기 무선 통신 제어 장치로부터 상기 통신 처리의 결과를 취득하고, 당해 통신 처리의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차재기에 대한 요금 수수 처리를 행하는 요금 수수 처리부와, 상기 도로 측 안테나의 통신 범위에 진입하는 차량을 검지하는 차량 검지기를 구비하는 요금 수수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차량 검지기를 통해 상기 도로 측 안테나의 통신 범위에 진입하는 차량의 검지 결과를 취득하는 공정과, 상기 요금 수수 처리부를 통해 행해진 상기 요금 수수 처리의 결과를 취득하는 공정과, 상기 차량의 검지 결과와 상기 요금 수수 처리의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도로 측 안테나, 상기 무선 통신 제어 장치 및 상기 요금 수수 처리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이상이 발생하고 있는지 아닌지를 판단하는 공정을 갖는다.
상술의 요금 수수 시스템 및 건전성 판단 방법에 의하면, 시스템의 이상을 신속하고도 정밀도 좋게 검지 가능한 프리 플로형 요금 수수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요금 수수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요금 수수 시스템의 기능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진단부의 기능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진단부의 기능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진단부의 처리 플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제1 실시형태의 변형예에 관한 진단부의 기능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은 제1 실시형태의 변형예에 관한 진단부의 처리 플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제2 실시형태에 관한 요금 수수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제2 실시형태에 관한 요금 수수 시스템의 기능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제2 실시형태에 관한 진단부의 기능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제2 실시형태에 관한 진단부의 처리 플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제2 실시형태의 변형예에 관한 진단부의 기능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3은 제2 실시형태의 변형예에 관한 진단부의 처리 플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1 실시형태>
이하, 도 1∼도 5를 참조하면서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요금 수수 시스템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요금 수수 시스템의 전체 구성)
도 1은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요금 수수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요금 수수 시스템(1)은 2개의 차선(L1, L2)으로 이루어지는 고속 도로의 본선(이하, 「본선 도로」라고도 기재한다) 상에 설치된 프리 플로형 전자 요금 수수 시스템이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요금 수수 시스템(1)은 본선 도로(차선(L1, L2))를 주행 중인 차량(A)에 탑재된 차재기(A1)와의 사이에서 요금 수수용 통신 처리를 행하고, 당해 차량(A)에 탑승하는 이용자에 대해 요금 수수 처리를 실행한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요금 수수 시스템(1)은, 요금 수수 처리 장치(1a)와, 무선 통신 제어 장치(2a, 2b)와, 도로 측 안테나(3a, 3b)와, 차량 검지기(5a, 5b)를 구비하고 있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요금 수수 처리 장치(1a)는 본선 도로(차선(L1, L2))로부터 떨어진 통신탑(T)에 설치되어 있다. 무선 통신 제어 장치(2a, 2b)는 차선(L1, L2)의 도로 측으로서 갠트리(G)의 근방에 설치되어 있다. 무선 통신 제어 장치(2a, 2b)는 각각 도로 측 안테나(3a, 3b)를 통해, 차재기(A1)와의 사이에서, 요금 수수용 정보를 취득하기 위한 통신 처리를 행한다.
도로 측 안테나(3a, 3b)는 차선(L1, L2)을 차선 폭 방향(도 1의 ±Y방향)에 걸치도록 설치된 갠트리(G)에 부착되어 차선(L1, L2)의 각각의 상공에 고정되어 있다.
차량 검지기(5a, 5b)는 차선(L1, L2)의 도로 측으로서, 갠트리(G)로부터도 차선 방향의 상류 측(도 1의 -X방향)에 설치되어 있다. 차량 검지기(5a, 5b)는 차선(L1, L2)을 주행하는 차량(A)이 도로 측 안테나(3a, 3b)와 무선 통신 가능한 영역(후술)에 진입한 것을 검지한다.
또한,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술의 양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2개의 차선(L1, L2)으로 이루어지는 본선 도로에 있어서, 하나의 차량 검지기가 설치되는 양태라도 좋다. 또한,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3개 이상의 차선으로 이루어지는 본선 도로에 있어서, 하나 또는 2개 이상의 차량 검지기가 설치되는 양태라도 좋다. 이 경우, 차선의 도로 측에 차량 검지기를 설치하면, 차량 검지기에 가까운 측을 주행하는 차량에 의해 차량 검지기로부터 먼 측을 주행하는 차량이 차폐되어 검지할 수 없게 될 가능성이 있다. 이 때문에, 이와 같이 복수의 차선에 하나의 차량 검지기가 설치되는 양태, 또는 3개 이상의 차선으로 이루어지는 본선 도로에 차량 검지기가 설치되는 양태에 있어서, 차량 검지기는 차선(L1, L2)을 차선 폭 방향(도 1의 ±Y방향)에 걸치도록 설치된 갠트리에 부착되어 차선(L1, L2)의 상공에 고정된다.
요금 수수 처리 장치(1a)와 무선 통신 제어 장치(2a, 2b), 무선 통신 제어 장치(2a, 2b)와 도로 측 안테나(3a, 3b), 및 요금 수수 처리 장치(1a)와 차량 검지기(5a, 5b)는 각각 유선(후술하는 광케이블, 이더넷(Ethernet)(등록 상표) 케이블)으로 접속되어 있다.
도로 측 안테나(3a, 3b)는 전파를 통해 차재기(A1)와의 무선 통신을 행하는 무선 통신용 인터페이스이다.
도로 측 안테나(3a)는 차선(L1)의 노면 상에 미리 규정된 규정 통신 영역(Q1)(통신 범위)의 범위 내에 존재하는 차재기(A1)와 무선 통신을 행한다. 즉, 차선(L1)을 주행하는 차량(A)에 대해서는, 도로 측 안테나(3a)를 통해 통신 처리가 행해진다. 또한, 도로 측 안테나(3b)는 차선(L2)의 노면 상에 미리 규정된 규정 통신 영역(Q2)(통신 범위)의 범위 내에 존재하는 차재기(A1)와 무선 통신을 행한다. 즉, 차선(L2)을 주행하는 차량(A)에 대해서는, 도로 측 안테나(3b)를 통해 통신 처리가 행해진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2개의 차선(L1), 차선(L2)을 주행하는 각 차량(A)에 대해, 2개의 도로 측 안테나(3a, 3b)의 각각을 통해 요금 수수용 통신 처리가 행해지는 양태로 되어 있다.
또한,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술의 양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2개의 차선(L1, L2)으로 이루어지는 본선 도로에 있어서, 하나의 도로 측 안테나가 설치되는 양태라도 좋다. 이 경우, 당해 하나의 도로 측 안테나에 의해 차선(L1, L2)의 양쪽 노면을 포함하는 규정 통신 영역이 설정된다.
또한,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3개 이상의 차선으로 이루어지는 본선 도로에 있어서, 하나 또는 2개 이상의 도로 측 안테나가 설치되는 양태라도 좋다.
(요금 수수 시스템의 기능 구성)
도 2는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요금 수수 시스템의 기능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요금 수수 시스템(1)의 요금 수수 처리 장치(1a)는, 요금 수수 처리부(10)와, 진단부(120)와, 기록 매체(11)를 구비하고 있다.
요금 수수 처리부(10)는 무선 통신 제어 장치(2a, 2b)로부터 차재기(A1)와의 통신 처리를 거쳐 취득된 요금 수수용 정보를 집약하는 동시에 당해 요금 수수용 정보에 기초하여 고속 도로의 이용자에 대한 요금 수수 처리를 행한다.
진단부(120)는 요금 수수 처리부(10), 무선 통신 제어 장치(2a, 2b) 및 도로 측 안테나(3a, 3b)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이상이 발생하고 있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진단부(120)의 기능 구성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기록 매체(11)에는, 차량 검지기(5a, 5b)가 차량(A)을 검지한 차량의 검지 결과와, 요금 수수 처리부(10)가 차량(A)에 대해 행한 요금 수수 처리의 결과, 및 진단부(120)가 요금 수수 시스템(1)에 이상이 발생하고 있는지 아닌지를 판단할 때에 이용하는 각종 정보가 기록되어 있다.
무선 통신 제어 장치(2a, 2b)는 차재기(A1)와의 통신 처리를 거쳐 수신한 각종 정보를 취득한다. 그리고 무선 통신 제어 장치(2a, 2b)는 취득한 각종 정보를 집약하여, 당해 무선 통신 제어 장치(2a, 2b)가 통신 대상으로 한 차재기(A1)에 관한 요금 수수용 정보를 작성한다.
무선 통신 제어 장치(2a, 2b)는 도로 측 안테나(3a, 3b)를 통해, 차재기(A1)와의 사이에서 미리 정해진 통신 규격에 기초하는 통신 처리를 행한다. 여기서, 미리 정해진 통신 규격이란,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단거리 전용 통신(DSRC)(DSRC: Dedicated Short-Range Communication) 시스템의 표준적인 통신 규격인 ARIB(Association of Radio Industries and Businesses) 표준 규격이다.
무선 통신 제어 장치(2a, 2b)는 차재기(A1)와의 단거리 전용 통신(DSRC)(DSRC) 처리를 거쳐 차재기(A1)의 내부 메모리 등에 기록되어 있는 각종 정보를 취득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도로 측 안테나(3a)와 무선 통신 제어 장치(2a), 및 도로 측 안테나(3b)와 무선 통신 제어 장치(2b)는 모두 고속의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광케이블로 접속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무선 통신 제어 장치(2a) 및 무선 통신 제어 장치(2b)와, 통신탑(T)(도 1)에 설치되어 있는 요금 수수 처리 장치(1a)의 요금 수수 처리부(10)는 이더넷 케이블로 접속되어 있다.
단,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술의 양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각각 광케이블, 이더넷 케이블 이외의 통신 케이블로 접속되어 있는 양태라도 좋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무선 통신 제어 장치(2a, 2b)는 차선(L1, L2)의 도로 측으로서 갠트리(G)의 근방에 설치되어 있는 양태로서 설명했지만,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이 양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 제어 장치(2a, 2b)는 통신탑(T)(도 1)에 설치되는 양태라도 좋다. 이 경우, 도로 측 안테나(3a, 3b)와 무선 통신 제어 장치(2a, 2b)는 갠트리(G)로부터 통신탑(T)까지 연장된 광케이블 등으로 접속된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차량 검지기(5a, 5b)는 각각 차선(L1, L2)을 주행하는 차량(A)을 검지하기 위한 초음파 센서(50a, 50b)를 구비하고 있다.
초음파 센서(50a)는 도시하지 않은 송파기(送波器)로부터 차선(L1)을 향해 주기적으로 초음파를 발신하고, 도시하지 않은 수파기(受波器)가 당해 초음파의 반사파를 수신함으로써, 차선(L1)을 주행하는 차량(A)의 유무를 검지한다. 구체적으로는, 초음파 센서(50a)의 송파기는 차선 폭 방향(+Y방향)을 향해 초음파를 발신한다. 이에 의해, 초음파 센서(50a)는 규정 통신 영역(Q1)에 진입하는 차량(A)의 유무를 검지한다. 또한, 초음파 센서(50b)는 도시하지 않은 송파기로 차선(L2)을 향해 주기적으로 초음파를 발신하고, 도시하지 않은 수파기가 당해 초음파의 반사파를 수신함으로써, 차선(L2)을 주행하는 차량(A)의 유무를 검지한다. 구체적으로는, 초음파 센서(50b)의 송파기는 차선 폭 방향(-Y방향)을 향해 초음파를 발신한다. 이에 의해, 초음파 센서(50b)는 규정 통신 영역(Q2)에 진입하는 차량(A)의 유무를 검지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차량 검지기(5a, 5b)가 초음파 센서(50a, 50b)를 각각 구비하고 있는 양태에 대해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차량 검지기는 초음파 센서를 대신하여 광학식 센서를 구비하는 양태라도 좋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차량 검지기(5a, 5b)와, 통신탑(T)(도 1)에 설치되어 있는 요금 수수 처리 장치(1a)는 이더넷 케이블로 접속되어 있다.
단,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술의 양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각각 광케이블, 이더넷 케이블 이외의 통신 케이블로 접속되어 있는 양태라도 좋다.
(진단부의 기능 구성)
도 3은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진단부의 기능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진단부의 기능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요금 수수 처리 장치(1a)의 진단부(120)는 건전성 판단부(120a)와 재기동부(120b)를 구비하고 있다.
건전성 판단부(120a)는 차량 검지기(5a, 5b)로부터 규정 통신 영역(Q1, Q2)에 차량(A)이 진입한 것을 나타내는 차량의 검지 결과를 차선별로 수신한다. 또한, 건전성 판단부(120a)는 요금 수수 처리부(10)로부터 차량(A)의 차재기(A1)에 대해 행한 요금 수수 처리의 결과를 차선별로 수신한다. 건전성 판단부(120a)는, 차량의 검지 결과와 요금 수수 처리의 결과에 기초하여, 무선 통신 제어 장치(2a, 2b), 도로 측 안테나(3a, 3b) 및 요금 수수 처리부(1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이상(이하, 「시스템 이상」이라고 한다)이 발생하고 있는지 아닌지를 차선별로 판단한다.
이하, 차선(L1)을 예로 하여 구체적인 건전성 판단부(120a)의 기능을 설명한다.
건전성 판단부(120a)는, 차량 검지기(5a)로부터 차량(A)의 검지 결과를 수신하고 나서 다음 차량의 검지 결과를 수신할 때까지의 동안에, 요금 수수 처리부(10)로부터 차선(L1)을 주행하는 차량(A)에 대한 요금 수수 처리의 결과를 수신한 경우는, 당해 차량(A)의 차재기(A1)에 대해 요금 수수 처리부(10)에 의한 요금 수수 처리가 정상적으로 행해졌다고 판단한다. 이 때문에, 건전성 판단부(120a)는, 차선(L1)에 있어서 시스템 이상은 발생하고 있지 않다고 판단한다.
한편, 건전성 판단부(120a)는, 차량 검지기(5a)로부터 차량(A)의 검지 결과를 수신하고 나서 다음 차량의 검지 결과를 수신할 때까지의 동안에, 요금 수수 처리부(10)로부터 차선(L1)을 주행하는 차량(A)에 대한 요금 수수 처리의 결과를 수신하지 않았던 경우는, 요금 수수 처리부(10)에 의한 요금 수수 처리가 행해지지 않았다고 판단한다. 여기서, 건전성 판단부(120a)가 요금 수수 처리의 결과를 수신하지 않는 원인으로서는, 당해 차량(A)에 차재기(A1)가 탑재되어 있지 않은 「차재기 비탑재 케이스」와, 당해 차량(A)에 차재기(A1)가 탑재되어 있지만 당해 차재기(A1)에 대해 요금 수수 처리가 정상적으로 행해지지 않았던 「처리 오류 케이스」를 생각할 수 있다.
건전성 판단부(120a)는 차재기 비탑재 케이스와 처리 오류 케이스를 구별하기 위해, 요금 수수 처리가 연속하여 행해지지 않았던 횟수(이하, 「연속 비처리 횟수」라고 한다)를 차선별로 계수(計數)한다. 건전성 판단부(120a)는 차선(L1)의 차량 검지 결과를 수신할 때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차선(L1)에 있어서 요금 수수 처리가 행해진 것인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건전성 판단부(120a)는, 차선(L1)에 있어서 요금 수수 처리가 행해지지 않았다고 판단하면, 차선(L1)의 연속 비처리 횟수에 처리가 행해지지 않았던 횟수(1회)를 가산한다. 또한, 건전성 판단부(120a)는, 차선(L1)에 있어서 요금 수수 처리가 행해졌다고 판단하면, 차선(L1)의 연속 비처리 횟수를 0회로 리셋한다. 건전성 판단부(120a)는 이와 같이 요금 수수 처리가 연속하여 행해지지 않았던 횟수를 차선별로 계수한다.
그 다음에, 건전성 판단부(120a)는 기록 매체(11)로부터 도 4에 나타내는 역치 테이블(T1)을 독출하여, 차선(L1)의 연속 비처리 횟수가 역치 테이블(T1)에 있어서 설정된 역치를 넘은 것인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역치는, 차재기(A1)의 보급율(탑재율)에 기초하여, 차재기(A1)가 탑재되어 있지 않은 차량(A)(요금 수수 처리가 행해지지 않았던 차량(A))이 몇 대 연속하면, 시스템 이상이 발생했다고 판단할지를 미리 정한 값이다. 또한, 역치는 차재기(A1)의 보급율과 각 요금소의 교통량에 기초하여 정해도 좋다. 또한,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역치는 도로별(고속 도로별)로 설정되어 있어도 좋고, 복수의 요금소를 포함하는 지역별로 설정되어 있어도 좋다.
건전성 판단부(120a)는, 차선(L1)에 있어서 요금 수수 처리가 행해지지 않았던 경우로서, 차선(L1)의 연속 비처리 횟수가 역치를 넘고 있지 않은 경우는, 차재기 비탑재 케이스로 간주하여, 차선(L1)에 있어서 시스템 이상은 발생하고 있지 않다고 판단한다.
한편, 건전성 판단부(120a)는, 차선(L1)에 있어서 요금 수수 처리가 행해지지 않았던 경우로서, 차선(L1)의 연속 비처리 횟수가 역치를 넘은 경우는, 처리 오류 케이스로 간주하여, 차선(L1)에 있어서 시스템 이상이 발생하고 있다고 판단한다.
예를 들어,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요금소(R1)에 있어서는 역치는 「8」로 설정되어 있다. 이 때문에, 요금소(R1)에 있어서, 차선(L1)의 연속 비처리 횟수가 8회 이상이 된 경우는, 건전성 판단부(120a)는, 처리 오류 케이스로 간주하여, 당해 차선(L1)에 있어서 시스템 이상이 발생하고 있다고 판단한다.
건전성 판단부(120a)는 차선(L2)에 대하여도 차선(L1)과 마찬가지로 시스템 이상이 발생하고 있는지 아닌지의 판단을 행한다.
또한, 건전성 판단부(120a)는, 차선(L1, L2)의 각각에 있어서 연속 비처리 횟수가 역치를 넘은 경우는, 모든 차선 및 요금 수수 처리부(10)에 있어서 시스템 이상이 발생했다고 판단한다.
재기동부(120b)는, 건전성 판단부(120a)가 차선(L1)에 있어서 시스템 이상이 발생하고 있다고 판단한 경우, 차선(L1)의 도로 측 안테나(3a) 및 무선 통신 제어 장치(2a)를 재기동시킨다. 또한, 재기동부(120b)는, 건전성 판단부(120a)가 차선(L2)에 있어서 시스템 이상이 발생하고 있다고 판단한 경우, 차선(L2)의 도로 측 안테나(3b) 및 무선 통신 제어 장치(2b)를 재기동시킨다.
재기동부(120b)가 이들 기기를 재기동시킴으로써, 차선(L1, L2)에 있어서 발생한 시스템 이상을 해소시켜 차선(L1, L2)의 도로 측 안테나(3a, 3b) 및 무선 통신 제어 장치(2a, 2b)를 정상적으로 동작시킬 수 있다.
또한, 재기동부(120b)는, 건전성 판단부(120a)가 차선(L1) 및 차선(L2)의 각각에 있어서, 즉 모든 차선에 있어서 시스템 이상이 발생하고 있다고 판단한 경우, 요금 수수 처리부(10)와 모든 차선에 있어서의 도로 측 안테나(3a, 3b) 및 무선 통신 제어 장치(2a, 2b)를 재기동시킨다.
(진단부의 처리 플로)
도 5는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진단부의 처리 플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차선(L1)을 예로 하여 구체적인 진단부(120)의 처리 플로를 설명하지만, 진단부(120)는 각 차선에 대해 동일한 처리 플로를 실행하고 있는 것으로 한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진단부(120)의 건전성 판단부(120a)는, 차선(L1)의 차량 검지기(5a)로부터 규정 통신 영역(Q1)에 차량(A)이 진입한 것을 나타내는 차량(A)의 검지 결과를 수신한다(단계 S100).
그 다음에, 건전성 판단부(120a)는, 차선(L1)의 차량 검지기(5a)로부터 차량(A)의 검지 결과를 수신하고 나서 다음 차량의 검지 결과를 수신할 때까지의 동안에, 요금 수수 처리부(10)로부터 규정 통신 영역(Q1)을 통과하는(차선(L1)을 주행하는) 당해 차량(A)에 대한 요금 수수 처리의 결과를 수신하였는지 아닌지에 기초하여, 당해 차량(A)에 대해 요금 수수 처리가 행해진 것인지 아닌지를 판단한다(단계 S101).
건전성 판단부(120a)는, 차량 검지기(5a)로부터 차량(A)의 검지 결과를 수신하고 나서 다음 차량의 검지 결과를 수신할 때까지의 동안에, 요금 수수 처리부(10)로부터 차선(L1)을 주행하는 차량(A)에 대한 요금 수수 처리의 결과를 수신한 경우(단계 S101: 예)는, 당해 차량(A)의 차재기(A1)에 대해 요금 수수 처리부(10)에 의한 요금 수수 처리가 정상적으로 행해졌다고 판단한다. 이 때문에, 건전성 판단부(120a)는, 차선(L1)에 있어서 시스템 이상은 발생하고 있지 않다고 판단한다. 그리고 건전성 판단부(120a)는 차선(L1)의 연속 비처리 횟수를 0회로 리셋한다(단계 S105).
한편, 건전성 판단부(120a)는, 차량 검지기(5a)로부터 차량(A)의 검지 결과를 수신하고 나서 다음 차량의 검지 결과를 수신할 때까지의 동안에, 요금 수수 처리부(10)로부터 차선(L1)을 주행하는 차량(A)에 대한 요금 수수 처리의 결과를 수신하지 않았던 경우(단계 S101: 아니오)는, 당해 차량(A)에 대해 요금 수수 처리부(10)에 의한 요금 수수 처리가 행해지지 않았다고 판단한다. 그리고 건전성 판단부(120a)는 차선(L1)의 연속 비처리 횟수를 가산(+1)한다(단계 S102).
그 다음에, 건전성 판단부(120a)는 기록 매체(11)로부터 역치 테이블(T1)(도 4)을 독출하여, 차선(L1)의 연속 비처리 횟수가 역치 테이블(T1)에 있어서 설정된 역치를 넘은 것인지 아닌지를 판단한다(단계 S103). 건전성 판단부(120a)는, 차선(L1)의 연속 비처리 횟수와 역치 테이블(T1)의 역치에 기초하여, 요금 수수 처리가 행해지지 않았던 원인이 차량(A)에 차재기(A1)가 탑재되어 있지 않은 「차재기 비탑재 케이스」인지 차량(A)에 차재기(A1)가 탑재되어 있지만 차재기(A1)에 대해 요금 수수 처리가 정상적으로 행해지지 않았던 「처리 오류 케이스」인지를 구별한다.
건전성 판단부(120a)는, 차선(L1)에 있어서 차량(A)에 대한 요금 수수 처리가 행해지지 않았던 경우(단계 S101: 아니오)로서, 차선(L1)의 연속 비처리 횟수가 역치를 넘고 있지 않은 경우(단계 S103: 아니오)는, 차재기 비탑재 케이스로 간주하여, 차선(L1)에 있어서 시스템 이상은 발생하고 있지 않다고 판단한다.
한편, 건전성 판단부(120a)는, 차선(L1)에 있어서 요금 수수 처리가 행해지지 않았던 경우(단계 S101: 아니오)로서, 차선(L1)의 연속 비처리 횟수가 역치를 넘은 경우(단계 S103: 예)는, 처리 오류 케이스로 간주하여, 차선(L1)에 있어서 시스템 이상이 발생하고 있다고 판단한다.
그 다음에, 진단부(120)의 재기동부(120b)는, 건전성 판단부(120a)가 차선(L1)의 연속 비처리 횟수가 역치를 넘고 있고(단계 S103: 예), 차선(L1)에 있어서 시스템 이상이 발생하고 있다고 판단한 경우, 차선(L1)의 도로 측 안테나(3a) 및 무선 통신 제어 장치(2a)를 재기동시키기 위한 재기동 지시를 출력한다(단계 S104).
그리고 건전성 판단부(120a)는, 재기동부(120b)로부터 차선(L1)의 도로 측 안테나(3a) 및 무선 통신 제어 장치(2a)를 재기동시키기 위한 재기동 지시가 출력되면, 차선(L1)의 연속 비처리 횟수를 0회로 리셋한다(단계 S105). 차선(L1)의 도로 측 안테나(3a) 및 무선 통신 제어 장치(2a)는, 재기동 처리가 완료하면, 이상 상태로부터 회복하여 정상적으로 동작한다.
또한, 건전성 판단부(120a)는, 차선(L1) 및 차선(L2)의 각각에 있어서 연속 비처리 횟수가 역치를 넘은 경우는, 모든 차선에 있어서 시스템 이상이 발생했다고 판단한다. 이 경우, 재기동부(120b)는, 요금 수수 처리부(10)와, 모든 차선에 있어서의 도로 측 안테나(3a, 3b) 및 무선 통신 제어 장치(2a, 2b)를 재기동시키기 위한 재기동 지시를 출력한다.
진단부(120)는 상술의 처리 플로를 반복하여 실행함으로써, 요금 수수 시스템(1)에 있어서 이상이 발생하고 있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또한, 진단부(120)는, 요금 수수 시스템(1)에 있어서 이상이 발생하고 있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도로 측 안테나(3a, 3b), 무선 통신 제어 장치(2a, 2b) 및 요금 수수 처리부(1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재기동시킨다.
(작용 효과)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한 요금 수수 시스템(1)은, 차량(A)에 탑재된 차재기(A1)와 무선 통신을 행하는 도로 측 안테나(3a, 3b)와, 도로 측 안테나(3a, 3b)를 통해 차재기(A1)와의 사이에서 미리 정해진 통신 규격(ARIB 표준 규격)에 기초하는 통신 처리를 행하는 무선 통신 제어 장치(2a, 2b)와, 무선 통신 제어 장치(2a, 2b)로부터 통신 처리의 결과를 취득하고, 당해 통신 처리의 결과에 기초하여 차재기(A1)에 대한 요금 수수 처리를 행하는 요금 수수 처리부(10)와, 도로 측 안테나(3a, 3b)의 통신 범위(규정 통신 영역(Q1, Q2))에 진입하는 차량(A)을 검지하는 차량 검지기(5a, 5b)와, 차량 검지기(5a, 5b)에 의한 차량(A)의 검지 결과와 요금 수수 처리부(10)에 의해 행해진 요금 수수 처리의 결과에 기초하여, 도로 측 안테나(3a, 3b), 무선 통신 제어 장치(2a, 2b) 및 요금 수수 처리부(1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이상이 발생하고 있는지 아닌지를 판단하는 건전성 판단부(120a)를 구비한다.
종래의 요금 수수 시스템에서는, 당해 요금 수수 시스템을 감시하고 있는 ETC 중앙 장치에 있어서, 시스템 이상이 발생하고 있는지 아닌지를 판단하고 있다. 이때, ETC 중앙 장치에 있어서, 요금 수수 처리가 행해지지 않는 원인이 차량이 통과하고 있지 않은 것인지 그렇지 않으면 시스템 이상이 발생하고 있기 때문인지를 판별하는 것은 곤란하다. 이 때문에, 종래의 요금 수수 시스템에서는, ETC 중앙 장치에 있어서, 시스템 이상이 발생하고 있다고 판단하는 것에 시간이 걸리고 있었다.
그러나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건전성 판단부(120a)는, 차량 검지기(5a, 5b)에 의해 검지된 차량(A)이 차재기(A1)와의 사이에서 행해진 통신 처리의 결과에 기초하여, 요금 수수 처리가 행해지고 있지 않다고 판단한 경우, 요금 수수 처리가 연속하여 행해지지 않았던 횟수를 나타내는 연속 비처리 횟수를 차선별로 계수한다. 건전성 판단부(120a)는, 차량(A)의 검지 결과에 대한 요금 수수 처리의 결과가 타당한지 아닌지에 기초하여, 차선별로 도로 측 안테나(3a, 3b) 및 무선 통신 제어 장치(2a, 2b)에 있어서 시스템 이상이 발생하고 있는 것을 신속히 검지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건전성 판단부(120a)는, 이와 같이 차선별로 계수한 연속 비처리 횟수가 역치 테이블(T1)(도 4)에서 설정된 역치를 넘었는지 아닌지에 기초하여, 차선별로 도로 측 안테나(3a, 3b) 및 무선 통신 제어 장치(2a, 2b)에 있어서 시스템 이상이 발생하고 있는 것을 신속히 검지할 수 있다.
또한, 차선(L1, L2)의 각각에 있어서 연속 비처리 횟수가 역치를 넘은 경우는, 건전성 판단부(120a)는 모든 차선에 있어서 시스템 이상이 발생하고 있는 것을 신속히 검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관한 요금 수수 시스템(1)은, 건전성 판단부(120a)가 시스템 이상이 발생했다고 판단한 경우에, 도로 측 안테나(3a, 3b), 무선 통신 제어 장치(2a, 2b) 및 요금 수수 처리부(1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재기동시키는 재기동부(120b)를 추가로 구비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건전성 판단부(120a)가 시스템 이상이 발생했다고 판단한 경우, 재기동부(120b)가 도로 측 안테나(3a, 3b), 무선 통신 제어 장치(2a, 2b) 및 요금 수수 처리부(1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재기동시킴으로써, 요금 수수 시스템(1)을 이상 상태로부터 회복시켜 정상적으로 동작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건전성 판단부(120a)는 차선별로 시스템 이상이 발생한 것인지 아닌지를 판단하고 있다. 이 때문에, 시스템 이상이 발생한 차선에 있어서의 도로 측 안테나 및 무선 통신 제어 장치만을 재기동시킬 수 있다. 이 결과, 재기동부(120b)는 정상적으로 동작하고 있는 다른 차선에 있어서의 도로 측 안테나 및 무선 통신 제어 장치의 동작을 계속시킨 채, 시스템 이상이 발생한 차선에 있어서의 도로 측 안테나 및 무선 통신 제어 장치를 이상 상태로부터 회복시켜 정상적으로 동작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재기동부(120b)는 재기동 처리에 따르는 요금 수수 시스템(1) 전체에 대한 영향을 최소한으로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재기동부(120b)는, 건전성 판단부(120a)가 모든 차선에 있어서 시스템 이상이 발생하고 있다고 판단한 경우, 모든 차선에 있어서의 도로 측 안테나(3a, 3b), 무선 통신 제어 장치(2a, 2b) 및 요금 수수 처리부(10)를 재기동시킨다. 이에 의해, 재기동부(120b)는 복수의 기기에 있어서 시스템 이상이 발생한 경우라도 모든 차선에 있어서의 도로 측 안테나(3a, 3b), 무선 통신 제어 장치(2a, 2b) 및 요금 수수 처리부(10)를 이상 상태로부터 회복시켜 정상적으로 동작시킬 수 있다.
<제1 실시형태의 변형예>
상술의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 진단부(120)의 건전성 판단부(120a)가 차선별 연속 비처리 횟수를 계수하고, 당해 연속 비처리 횟수가 역치 테이블(T1)(도 4)의 역치를 넘었는지 아닌지에 기초하여, 차선별로 시스템 이상이 발생하고 있는 것을 검지하는 양태에 대해 설명했다.
본 변형예에 있어서는, 건전성 판단부(120a)가 차량의 검지 결과에 대한 요금 수수 처리의 결과의 비율을 구하는 점에서 있어서, 제1 실시형태와는 다르다.
이하, 도 6∼도 7을 참조하여 제1 실시형태의 변형예에 대해 설명한다.
(진단부의 처리 플로)
도 6은 제1 실시형태의 변형예에 관한 진단부의 기능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은 제1 실시형태의 변형예에 관한 진단부의 처리 플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차선(L1)을 예로 하여 구체적인 진단부(120)의 처리 플로를 설명하지만, 진단부(120)는 각 차선에 대해 동일한 처리 플로를 실행하고 있는 것으로 한다. 또한, 진단부(120)는 이하의 처리 플로를 소정의 시간 간격으로 반복하여 실행하고 있는 것으로 한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진단부(120)의 건전성 판단부(120a)는 차선(L1)의 차량 검지기(5a)로부터 규정 통신 영역(Q1)에 차량(A)이 진입한 것을 나타내는 차량(A)의 검지 결과를 수신하면, 단위 시간 내(예를 들어, 1시간 이내)에 검지된 차량(A)의 대수를 나타내는 차량 검지수(檢知數)를 계수한다(단계 S200).
그 다음에, 건전성 판단부(120a)는, 요금 수수 처리부(10)로부터 규정 통신 영역(Q1)을 통과하는(차선(L1)을 주행하는) 당해 차량(A)에 대한 요금 수수 처리의 결과를 수신하였는지 아닌지에 기초하여, 당해 차량(A)에 대해 요금 수수 처리가 행해진 것인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그리고 건전성 판단부(120a)는 차선(L1)에 있어서 단위 시간 내에 요금 수수 처리가 행해진 횟수를 나타내는 처리 횟수를 계수한다(단계 S201).
그 다음에, 건전성 판단부(120a)는 단위 시간을 경과한 것인지 아닌지를 판단한다(단계 S202). 건전성 판단부(120a)는 단위 시간을 경과하고 있지 않다고 판단한 경우(단계 S202: 아니오), 단위 시간을 경과했다고 판단할 때까지 상술의 단계(S200∼S201)의 처리를 반복하여 실행한다.
한편, 건전성 판단부(120a)는 단위 시간을 경과했다고 판단한 경우(단계 S202: 예), 단위 시간 내에 계수한 차선(L1)의 차량 검지수에 대한 처리 횟수의 비율을 구한다. 그리고 건전성 판단부(120a)는 기록 매체(11)로부터 역치 테이블(T2)(도 6)을 독출하여, 차선(L1)의 차량 검지수에 대한 처리 횟수의 비율이 역치 테이블(T2)에 있어서 설정된 역치 이하인지 아닌지를 판단한다(단계 S203). 역치는, 차재기(A1)의 보급율(탑재율)에 기초하여, 단위 시간 내에 통과한 차량(A)의 대수(차량 검지수)에 대한 차재기(A1)가 탑재되어 있는 차량(A)의 대수(요금 수수 처리가 행해진 처리 횟수)의 비율이 몇 퍼센트 이하로 되면, 시스템 이상이 발생했다고 판단하는지를 미리 정한 값이다. 또한, 차재기(A1)의 탑재율이란, 예를 들어 소정 영역(나라별, 도도부현(都道府縣)별 등)에 있어서의 자동차 보유 대수에 대해, 차재기(A1)가 탑재되어 있는 차량 대수의 비율을 차종에 관계없이 통계한 값이다. 또한, 소정 영역(나라별, 도도부현별 등)에 있어서의 고속 도로를 이용한 차량 중 차재기(A1)가 탑재되어 있는 차량의 비율을 차종에 관계없이 통계한 값이어도 좋다. 또한, 역치는 차재기(A1)의 보급율과 각 요금소의 교통량에 기초하여 정해도 좋다. 또한,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역치는 도로별(고속 도로별)로 설정되어 있어도 좋고, 복수의 요금소를 포함하는 지역별로 설정되어 있어도 좋다.
건전성 판단부(120a)는, 차선(L1)의 차량 검지수에 대한 처리 횟수의 비율과 역치 테이블(T2)의 역치에 기초하여, 요금 수수 처리가 행해지지 않았던 원인이 차량(A)에 차재기(A1)가 탑재되어 있지 않은 「차재기 비탑재 케이스」인지 차량(A)에 차재기(A1)가 탑재되어 있지만 차재기(A1)에 대해 요금 수수 처리가 정상적으로 행해지지 않았던 「처리 오류 케이스」인지를 구별한다.
건전성 판단부(120a)는, 차선(L1)의 차량 검지수에 대한 처리 횟수의 비율이 역치 이하는 아닌 경우(단계 S203: 아니오)는, 차재기 비탑재 케이스로 간주하여, 차선(L1)에 있어서 시스템 이상은 발생하고 있지 않다고 판단한다.
한편, 건전성 판단부(120a)는, 차선(L1)의 차량 검지수에 대한 처리 횟수의 비율이 역치 이하인 경우(단계 S203: 예)는, 처리 오류 케이스로 간주하여, 차선(L1)에 있어서 시스템 이상이 발생하고 있다고 판단한다.
그 다음에, 진단부(120)의 재기동부(120b)는, 차선(L1)의 차량 검지수에 대한 처리 횟수의 비율이 역치 이하이고(단계 S203: 예), 건전성 판단부(120a)가 차선(L1)에 있어서 시스템 이상이 발생하고 있다고 판단한 경우, 차선(L1)의 도로 측 안테나(3a) 및 무선 통신 제어 장치(2a)를 재기동시키기 위한 재기동 지시를 출력한다(단계 S204).
그리고 건전성 판단부(120a)는, 재기동부(120b)로부터 차선(L1)의 도로 측 안테나(3a) 및 무선 통신 제어 장치(2a)를 재기동시키기 위한 재기동 지시가 출력되면, 차선(L1)의 차량 검지수와 처리 횟수를 0회로 리셋한다(단계 S205).
차선(L1)의 도로 측 안테나(3a) 및 무선 통신 제어 장치(2a)는 재기동 처리가 완료하면, 이상 상태로부터 회복하여 정상적으로 동작한다.
또한, 건전성 판단부(120a)는, 차선(L1, L2)의 각각에 있어서 차량 검지수에 대한 처리 횟수의 비율이 역치 이하가 된 경우는, 모든 차선에 있어서 시스템 이상이 발생했다고 판단한다. 이 경우, 재기동부(120b)는 모든 차선에 있어서의 도로 측 안테나(3a, 3b) 및 무선 통신 제어 장치(2a, 2b)와, 요금 수수 처리부(10)를 재기동시키기 위한 재기동 지시를 출력한다.
진단부(120)는 상술의 처리 플로를 소정의 시간 간격으로 반복하여 실행함으로써, 요금 수수 시스템(1)에 있어서 이상이 발생하고 있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또한, 진단부(120)는, 요금 수수 시스템(1)에 있어서 이상이 발생하고 있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도로 측 안테나(3a, 3b), 무선 통신 제어 장치(2a, 2b) 및 요금 수수 처리부(1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재기동시킨다.
(작용 효과)
상술의 제1 실시형태에서는, 요금 수수 처리가 연속하여 행해지지 않았던 횟수를 계수하기 위해, 교통량이 적은 요금소에 있어서 시스템 이상이 발생한 것이 검지될 때까지, 단위 시간 이상의 시간이 걸릴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본 변형예에서는, 진단부(120)의 건전성 판단부(120a)는, 단위 시간이 경과할 때마다, 차선별 차량 검지수에 대한 처리 횟수의 비율이 역치 이하인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건전성 판단부(120a)는 교통량이 적은 요금소라도 정기적으로 시스템 이상이 발생한 것인지 아닌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술의 제1 실시형태에서는, 도로 측 안테나(3a, 3b), 무선 통신 제어 장치(2a, 2b) 및 요금 수수 처리부(10)의 동작이 불안정으로 되고, 정상적으로 요금 수수 처리가 행해진 경우와 행해지지 않은 경우를 반복하는 바와 같은 시스템 이상이 발생한 경우는, 당해 시스템 이상이 발생한 것을 검지할 수 없을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본 변형예에서는, 건전성 판단부(120a)는, 단위 시간 내에 계수된 차선별 차량 검지수와 처리 횟수에 기초하여, 차량 검지수에 대한 처리 횟수의 비율이 역치 이하인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정상적으로 요금 수수 처리가 행해진 경우와 행해지지 않은 경우를 반복하는 바와 같은 시스템 이상이 발생한 경우는, 정상적으로 계속하여 요금 수수 처리가 행해진 경우에 비교하여, 단위 시간 내에 행해진 처리 횟수가 적어진다. 따라서 이와 같은 시스템 이상이 발생한 경우는, 차량 검지수에 대한 처리 횟수의 비율이 역치 이하로 될 가능성이 높아지고, 건전성 판단부(120a)는 당해 시스템 이상이 발생한 것을 검지할 수 있다. 이 때문에, 건전성 판단부(120a)는, 요금 수수 시스템(1)에 있어서 시스템 이상이 발생한 것을 보다 정밀도 좋게 검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변형예에서는, 건전성 판단부(120a)는 단위 시간이 경과했다고 판단한 경우만 차선별 차량 검지수에 대한 처리 횟수의 비율을 구하고, 역치 테이블(T2)(도 6)의 역치 이하인지 아닌지를 판단하는 처리를 행한다. 이 때문에, 건전성 판단부(120a)에 있어서의 처리를 감소시켜 진단부(120) 전체의 처리를 신속히 행할 수 있다.
<제2 실시형태>
그 다음에, 도 8∼도 11을 참조하면서 제2 실시형태에 관한 요금 수수 시스템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설명을 생략한다.
(요금 수수 시스템의 전체 구성)
도 8은 제2 실시형태에 관한 요금 수수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요금 수수 시스템(1)은, 제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요금 수수 처리 장치(1a)와, 무선 통신 제어 장치(2a, 2b)와, 도로 측 안테나(3a, 3b)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요금 수수 시스템(1)은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차량 검지기(5a, 5b) 대신에 차량 검지기(5c)를 구비하고 있다.
차량 검지기(5c)는 차선(L1, L2)의 어느 하나의 도로 측으로서, 갠트리(G)로부터도 차선 방향의 상류 측(도 1의 -X방향)에 설치되어 있다. 차량 검지기(5c)는, 차선(L1, L2)을 주행하는 차량(A)이 도로 측 안테나(3a, 3b)와 무선 통신 가능한 영역인 규정 통신 영역(Q1, Q2)에 진입한 것을 검지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차선(L1, L2)의 한쪽 도로 측에 하나의 차량 검지기(5c)가 설치되고, 당해 하나의 차량 검지기(5c)에 의해 차선(L1) 및 차선(L2)의 각각을 통행하는 차량(A)을 검지하는 양태에 대해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차선(L1, L2)의 각각의 도로 측에 차량 검지기가 하나씩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3개 이상의 차선으로 이루어지는 본선 도로에 있어서, 하나 또는 2개 이상의 차량 검지기가 설치되는 양태라도 좋다. 또한,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차량 검지기는 차선(L1, L2)을 차선 폭 방향(도 1의 ±Y방향)에 걸치도록 설치된 갠트리에 부착되어 차선(L1, L2)의 상공에 고정되는 양태라도 좋다.
(요금 수수 시스템의 기능 구성)
도 9는 제2 실시형태에 관한 요금 수수 시스템의 기능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차량 검지기(5c)는 번호판 독취기(51)와 차종 판별부(52)를 구비하고 있다.
번호판 독취기(51)는 차선(L1, L2)의 규정 통신 영역(Q1, Q2)에 도달한 차량(A)의 차체를 정면 측(차량(A)의 진행 방향 내측, 도 8에 있어서의 +X측)으로부터 촬영 가능한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번호판 독취기(51)는 상시 소정 시간 간격으로 차선(L1, L2)을 촬영한다. 그리고 번호판 독취기(51)는 차선(L1, L2)의 규정 통신 영역(Q1, Q2)에 도달한 차량(A)의 정면 측이 촬영된 이미지 데이터에 소정의 화상 처리를 실시함으로써, 당해 차량(A)의 번호판 정보(이하, 「NP 정보」라고 기재)를 취득한다. 여기서, NP 정보란, 구체적으로는 차량(A)에 부착된 번호판의 크기(판 크기), 및 당해 번호판에 각인(刻印)된 분류 번호이다.
또한, 번호판 독취기(51)는 촬영된 이미지 데이터에 소정의 화상 처리를 실시함으로써, 취득한 NP 정보를 가지는 차량(A)이 주행하는 차선을 특정한다.
번호판 독취기(51)는 이와 같이 차량(A)이 규정 통신 영역(Q1, Q2)에 진입한 것을 검지하는 동시에 당해 차량(A)의 NP 정보와 주행하는 차선을 취득한다.
차량 검지기(5c)의 차종 판별부(52)는, 번호판 독취기(51)가 취득한 차량(A)의 NP 정보에 기초하여, 당해 차량(A)의 차종을 판별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차종 판별부(52)는 차종 A, B, C, D, E의 5종류의 차종을 판별하는 양태로서 설명하지만,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다른 종류의 차종을 판별하도록 해도 좋다.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요금 수수 시스템(1)의 요금 수수 처리 장치(1a)는, 제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요금 수수 처리부(10)와, 진단부(120)와, 기록 매체(11)를 구비하고 있다.
요금 수수 처리 장치(1a)의 진단부(120)는, 제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건전성 판단부(120a)와, 재기동부(120b)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진단부(120)는 추가로 추출부(120c)를 구비하고 있다.
건전성 판단부(120a)는 차량 검지기(5c)로부터 규정 통신 영역(Q1, Q2)에 차량(A)이 진입한 것을 나타내는 차량의 검지 결과로서, 당해 차량(A)의 검지 일시와, 주행하는 차선과, 번호판 독취기(51)가 취득한 NP 정보와, 차종 판별부(52)가 판별한 차종을 가리키는 정보를 수신한다. 또한, 건전성 판단부(120a)는 요금 수수 처리부(10)로부터 차량(A)의 차재기(A1)에 대해 행한 요금 수수 처리의 결과로서, 당해 차량(A)의 차재기(A1)에 미리 기록되어 있는 NP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를 수신한다.
건전성 판단부(120a)는, 차량(A)의 검지 결과와 요금 수수 처리의 결과에 기초하여, 무선 통신 제어 장치(2a, 2b), 도로 측 안테나(3a, 3b) 및 요금 수수 처리부(1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시스템 이상이 발생하고 있는지 아닌지를 차선별 및 차종별로 판단한다.
이하, 구체적인 건전성 판단부(120a)의 기능을 설명한다.
먼저, 건전성 판단부(120a)는 차량 검지기(5c)로부터 차량(A)의 검지 결과를 수신한다. 건전성 판단부(120a)는 차량(A)의 검지 결과를 수신하면, 당해 차량(A)의 검지 시각, 주행하는 차선, 번호판 독취기(51)가 취득한 NP 정보 및 차종 판별부(52)가 판별한 차종을 나타내는 정보를 관련지어 기록 매체(11)에 기록한다.
그 다음에, 건전성 판단부(120a)는, 차량 검지기(5c)로부터 수신한 차량(A)의 검지 결과와 요금 수수 처리부(10)로부터 수신한 요금 수수 처리의 결과에 기초하여, 당해 차량(A)에 관한 요금 수수 처리가 행해진 것인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구체적으로는, 건전성 판단부(120a)는, 차량 검지기(5c)로부터 수신한 차량(A)의 검지 결과에 포함되는 NP 정보(번호판 독취기(51)가 취득한 NP 정보)와 요금 수수 처리부(10)로부터 수신한 요금 수수 처리의 결과에 포함되는 NP 정보(차재기(A1)에 미리 기록되어 있는 NP 정보)를 조회한다. 그리고 건전성 판단부(120a)는, 차량(A)의 검지 결과에 포함되는 NP 정보와 요금 수수 처리의 결과에 포함되는 NP 정보가 일치하는 경우는, 당해 차량(A)에 대해 요금 수수 처리부(10)에 의한 요금 수수 처리가 정상적으로 행해졌다고 판단한다. 이때, 건전성 판단부(120a)는, 차선(L1)에 있어서 시스템 이상은 발생하고 있지 않다고 판단한다.
한편, 건전성 판단부(120a)는, 차량(A)의 검지 결과에 포함되는 NP 정보와 요금 수수 처리의 결과에 포함되는 NP 정보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는, 당해 차량(A)에 대해 요금 수수 처리부(10)에 의한 요금 수수 처리가 행해지고 있지 않다고 판단한다. 여기서, 건전성 판단부(120a)가 요금 수수 처리의 결과를 수신하지 않는 원인으로서는, 당해 차량(A)에 차재기(A1)가 탑재되어 있지 않은 「차재기 비탑재 케이스」와, 당해 차량(A)에 차재기(A1)가 탑재되어 있지만 당해 차재기(A1)에 대해 요금 수수 처리가 정상적으로 행해지지 않았던 「처리 오류 케이스」를 생각할 수 있다.
건전성 판단부(120a)는 차재기 비탑재 케이스와 처리 오류 케이스를 구별하기 위해, 요금 수수 처리가 연속하여 행해지지 않았던 횟수(이하, 「연속 비처리 횟수」라고 한다)를 차선별 및 차종별로 계수한다. 건전성 판단부(120a)는, 차선(L1, L2)의 각각의 차량의 검지 결과를 수신할 때마다, 당해 차량의 차종과, 차선(L1, L2)의 각각에 있어서 요금 수수 처리가 행해진 것인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예를 들어, 건전성 판단부(120a)는, 차선(L1)에 있어서 차종(A)에 대한 요금 수수 처리가 행해지지 않았다고 판단하면, 차선(L1)의 차종(A)에 대한 연속 비처리 횟수에 처리가 행해지지 않았던 횟수(1회)를 가산한다. 또한, 건전성 판단부(120a)는 차선(L1)에 있어서 차종(B)에 대한 요금 수수 처리가 행해지지 않았다고 판단하면, 차선(L1)의 차종(B)에 대한 연속 비처리 횟수에 처리가 행해지지 않았던 횟수(1회)를 가산한다.
한편, 건전성 판단부(120a)는, 차선(L1)에 있어서, 차종(A)에 대한 요금 수수 처리가 행해졌다고 판단하면, 차선(L1)의 차종(A)에 대한 연속 비처리 횟수를 0회로 리셋한다. 이때, 건전성 판단부(120a)는, 차선(L1)의 다른 차종에 대한 연속 비처리 횟수, 및 다른 차선(차선(L2))의 각 차종에 대한 연속 비처리 횟수는 리셋하지 않는다.
이와 같이, 건전성 판단부(120a)는 요금 수수 처리가 연속하여 행해지지 않았던 횟수를 차선별 및 차종별로 계수한다.
그 다음에, 건전성 판단부(120a)는 기록 매체(11)로부터 도 10에 나타내는 역치 테이블(T3)을 독출하여, 차선(L1, L2)의 차종별 연속 비처리 횟수 중 어느 하나가 역치 테이블(T3)에 있어서 차종별로 설정된 역치를 넘은 것인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역치는, 차재기(A1)의 차종별 보급율(탑재율)에 기초하여, 차재기(A1)가 탑재되어 있지 않은 차량(A)(요금 수수 처리가 행해지지 않았던 차량(A))이 몇 대(이상) 연속하면, 시스템 이상이 발생했다고 판단할지를 차종별로 미리 정한 값이다. 구체적으로는,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예를 들어 보급율이 95%인 차종(E)의 역치는 「5대(이상)」으로 설정되어 있다. 즉, 차재기(A1)가 탑재되어 있지 않은 차종(E)의 차량이 5대(이상) 연속한 경우, 건전성 판단부(120a)는 시스템 이상이 발생했다고 판단한다. 한편, 보급율이 50%인 차종(A)은, 보급율이 95%인 차종(E)보다도 차재기(A1)가 탑재되어 있지 않은 차량이 많은 것이 예측된다. 이 때문에, 차종(E)보다도 보급율이 낮은 차종(A)의 역치를 차종(E)과 마찬가지로 「5대(이상)」으로 설정하면, 차재기(A1)가 탑재되어 있지 않은 차종(A)의 차량이 5대 연속한 경우, 시스템이 정상적으로 동작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건전성 판단부(120a)가 시스템 이상이 발생했다고 오판단할 가능성이 발생한다. 따라서 보급율이 낮은 차종(A)의 역치는 보급율이 높은 차종(E)의 역치보다도 큰 값(도 10의 예에서는 「10대(이상)」)으로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한, 역치는 차재기(A1)의 차종별 보급율과 각 요금소의 교통량에 기초하여 정해도 좋다. 또한,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역치는 도로별(고속 도로별)로 설정되어 있어도 좋고, 복수의 요금소를 포함하는 지역별로 설정되어 있어도 좋다.
건전성 판단부(120a)는, 차선(L1, L2)에 있어서, 어느 차종에 대한 요금 수수 처리가 행해지지 않았던 경우로서, 차선(L1, L2)의 당해 차종에 대한 연속 비처리 횟수가 당해 차종에 대해 설정된 역치를 넘고 있지 않은 경우는, 차재기 비탑재 케이스로 간주하여, 차선(L1, L2)에 있어서 시스템 이상은 발생하고 있지 않다고 판단한다.
한편, 건전성 판단부(120a)는, 차선(L1, L2)에 있어서, 어느 차종에 대한 요금 수수 처리가 행해지지 않았던 경우로서, 차선(L1, L2)의 당해 차종에 대한 연속 비처리 횟수가 당해 차종에 대해 설정된 역치를 넘은 경우는, 처리 오류 케이스로 간주하여, 차선(L1, L2)에 있어서 시스템 이상이 발생하고 있다고 판단한다.
예를 들어,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차종(A)의 역치는 「10」으로 설정되어 있다. 이 때문에, 차선(L1)의 차종(A)에 대한 연속 비처리 횟수가 10회 이상이 된 경우는, 건전성 판단부(120a)는 처리 오류 케이스로 간주하여, 당해 차선(L1)에 있어서 시스템 이상이 발생하고 있다고 판단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차종별로 연속 비처리 횟수를 계수하고 있다. 이 때문에, 예를 들어 차선(L1)에 있어서 요금 수수 처리가 행해지지 않았던 차량이 10대 연속한 경우로서, 당해 10대의 차량이 모두 차종(A)이었던 경우는, 차선(L1)의 차종(A)에 대한 연속 비처리 횟수는 차종(A)에 대해 설정된 역치 이상이 된다. 이 때문에, 건전성 판단부(120a)는, 당해 차선(L1)에 있어서 시스템 이상이 발생하고 있다고 판단한다. 한편, 차선(L1)에 있어서 요금 수수 처리가 행해지지 않았던 차량이 10대 연속한 경우로서, 당해 10대의 차량이 6대의 차종(A)과 4대의 차종(B)을 포함하고 있는 경우는, 차선(L1)의 차종(A) 및 차종(B)에 대한 연속 비처리 횟수는 모두 차종(A) 및 차종(B)에 대해 설정된 역치를 넘고 있지 않다. 이 경우, 건전성 판단부(120a)는, 당해 차선(L1)에 있어서 시스템 이상이 발생하고 있지 않다고 판단한다.
건전성 판단부(120a)는 차선(L2)에 대해서도 차선(L1)과 마찬가지로 시스템 이상이 발생하고 있는지 아닌지의 판단을 행한다.
또한, 건전성 판단부(120a)는, 차선(L1) 및 차선(L2)의 각각에 있어서, 차종별 연속 비처리 횟수 중 어느 하나가 차종별로 설정된 역치를 넘은 경우는, 모든 차선 및 요금 수수 처리부(10)에 있어서 시스템 이상이 발생했다고 판단한다.
진단부(120)의 재기동부(120b)는, 제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건전성 판단부(120a)가 요금 수수 시스템(1)에 있어서 시스템 이상이 발생했다고 판단한 경우는, 도로 측 안테나(3a, 3b), 무선 통신 제어 장치(2a, 2b) 및 요금 수수 처리부(1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재기동시킨다.
재기동부(120b)가 이들 기기를 재기동시킴으로써, 차선(L1, L2)에 있어서 발생한 시스템 이상을 해소시켜 차선(L1, L2)의 도로 측 안테나(3a, 3b), 무선 통신 제어 장치(2a, 2b) 및 요금 수수 처리부(10)를 정상적으로 동작시킬 수 있다.
진단부(120)의 추출부(120c)는, 재기동부(120b)가 요금 수수 시스템(1)의 각 기기를 재기동시키고 있는 동안에, 차선(L1, L2)의 규정 통신 영역(Q1, Q2)을 통과하는 차량(A)을 차선별로 추출한다.
구체적으로는, 추출부(120c)는, 예를 들어 재기동부(120b)가 차선(L1)의 도로 측 안테나(3a) 및 무선 통신 제어 장치(2a)에 대해 재기동 지시를 출력한 경우, 당해 재기동 지시를 출력한 타이밍에서부터 도로 측 안테나(3a) 및 무선 통신 제어 장치(2a)가 재기동 처리를 완료하는 타이밍까지 번호판 독취기(51)가 취득한 차량(A)의 NP 정보 중 차선(L1)을 주행하는 차량(A)의 NP 정보를 추출한다.
추출부(120c)는, 이와 같이 차선(L1)의 각 기기를 재기동 중에는 차선(L1)을 주행하는 차량(A)의 NP 정보를, 차선(L2)의 각 기기를 재기동 중에는 차선(L2)을 주행하는 차량(A)의 NP 정보를, 모든 차선의 각 기기 및 요금 수수 처리부(10)를 재기동 중에는 모든 차선을 주행하는 차량(A)의 NP 정보를 추출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추출부(120c)는, 차선(L1) 또는 차선(L2)의 각 기기를 재기동 중에 번호판 독취기(51)가 취득한 차량(A)의 NP 정보, 즉 요금 수수 처리가 행해지지 않았던 차량(A)의 NP 정보를 요금 미수수 차량 정보로서 기록 매체(11)에 기록한다. 요금소의 감시원 등은 기록 매체(11)에 기록된 요금 미수수 차량 정보를 참조하여, 요금 수수 처리가 행해지지 않았던 차량(A)에 대해 후일 요금을 청구하도록 해도 좋다.
(진단부의 처리 플로)
도 11은 제2 실시형태에 관한 진단부의 처리 플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차선(L1)을 예로 하여 구체적인 진단부(120)의 처리 플로를 설명하지만, 진단부(120)는 각 차선에 대해 같은 처리 플로를 실행하고 있는 것으로 한다.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진단부(120)의 건전성 판단부(120a)는 차량 검지기(5c)로부터 규정 통신 영역(Q1)에 차량(A)이 진입한 것을 나타내는 차량(A)의 검지 결과로서, 당해 차량(A)의 검지 일시, 주행하는 차선, NP 정보 및 차종을 나타내는 정보를 수신한다(단계 S300).
그 다음에, 건전성 판단부(120a)는, 차량 검지기(5c)로부터 수신한 차량(A)의 검지 결과와 요금 수수 처리부(10)로부터 수신한 요금 수수 처리의 결과에 기초하여, 당해 차량(A)에 관한 요금 수수 처리가 행해진 것인지 아닌지를 판단한다(단계 S301).
건전성 판단부(120a)는, 차량(A)의 검지 결과에 포함되는 NP 정보(번호판 독취기(51)가 취득한 NP 정보)와 요금 수수 처리의 결과에 포함되는 NP 정보(차재기(A1)에 미리 기록되어 있는 NP 정보)가 일치하는 경우는, 당해 차량(A)에 대해 요금 수수 처리부(10)에 의한 요금 수수 처리가 정상적으로 행해졌다고 판단한다(단계 S301: 예). 이 경우, 건전성 판단부(120a)는, 차선(L1)에 있어서 시스템 이상은 발생하고 있지 않다고 판단한다. 그리고 건전성 판단부(120a)는 차선(L1)의 연속 비처리 횟수 중 당해 차량(A)의 차종에 대한 연속 비처리 횟수를 0회로 리셋한다(단계 S306).
한편, 건전성 판단부(120a)는, 차량(A)의 검지 결과에 포함되는 NP 정보와 요금 수수 처리의 결과에 포함되는 NP 정보가 일치하지 않을 경우(단계 S301: 아니오)는, 당해 차량(A)에 대해 요금 수수 처리부(10)에 의한 요금 수수 처리가 행해지지 않았다고 판단한다. 그리고 건전성 판단부(120a)는 차선(L1)의 연속 비처리 횟수 중 당해 차량(A)의 차종에 대한 연속 비처리 횟수를 가산(+1)한다(단계 S302).
그 다음에, 건전성 판단부(120a)는 기록 매체(11)로부터 역치 테이블(T3)(도 10)을 독출하여, 차선(L1)의 차종별 연속 비처리 횟수 중 어느 하나가 역치 테이블(T3)에 있어서 차종별로 설정된 역치를 넘은 것인지 아닌지를 판단한다(단계 S303). 건전성 판단부(120a)는, 차선(L1)의 차종별 연속 비처리 횟수와 역치 테이블(T3)의 차종별로 설정된 역치에 기초하여, 요금 수수 처리가 행해지지 않았던 원인이 차량(A)에 차재기(A1)가 탑재되어 있지 않은 「차재기 비탑재 케이스」인지 차량(A)에 차재기(A1)가 탑재되어 있지만 차재기(A1)에 대해 요금 수수 처리가 정상적으로 행해지지 않았던 「처리 오류 케이스」인지를 구별한다.
건전성 판단부(120a)는, 차선(L1)에 있어서 차량(A)에 대한 요금 수수 처리가 행해지지 않았던 경우(단계 S301: 아니오)로서, 차량(A)의 차종이 차종(A)인 경우, 차선(L1)의 차종(A)에 대한 연속 비처리 횟수가 차종(A)에 대해 설정된 역치를 넘고 있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단계 S303). 차선(L1)의 차종(A)에 대한 연속 비처리 횟수가 차종(A)에 대해 설정된 역치를 넘고 있지 않은 경우(단계 S303: 아니오)는, 건전성 판단부(120a)는 차재기 비탑재 케이스로 간주하여, 차선(L1)에 있어서 시스템 이상은 발생하고 있지 않다고 판단한다.
한편, 건전성 판단부(120a)는, 차선(L1)의 차종(A)에 대한 연속 비처리 횟수가 차종(A)에 대해 설정된 역치를 넘은 경우(단계 S303: 예)는, 처리 오류 케이스로 간주하여, 차선(L1)에 있어서 시스템 이상이 발생하고 있다고 판단한다.
그 다음에, 진단부(120)의 재기동부(120b)는, 건전성 판단부(120a)가 차선(L1)의 차종(A)에 대한 연속 비처리 횟수가 차종(A)에 대해 설정된 역치를 넘어 있고(단계 S303: 예), 차선(L1)에 있어서 시스템 이상이 발생하고 있다고 판단한 경우, 차선(L1)의 도로 측 안테나(3a) 및 무선 통신 제어 장치(2a)를 재기동시키기 위한 재기동 지시를 출력한다(단계 S304).
그리고 건전성 판단부(120a)는, 재기동부(120b)로부터 차선(L1)의 도로 측 안테나(3a) 및 무선 통신 제어 장치(2a)를 재기동시키기 위한 재기동 지시가 출력되면, 차선(L1)의 모든 차종에 대한 연속 비처리 횟수를 0회로 리셋한다(단계 S305). 차선(L1)의 도로 측 안테나(3a) 및 무선 통신 제어 장치(2a)는, 재기동 처리가 완료하면, 이상 상태로부터 회복하여 정상적으로 동작한다. 또한, 추출부(120c)는, 재기동부(120b)가 재기동 지시를 출력하고 나서 차선(L1)의 각 기기의 재기동 처리가 완료할 때까지의 동안에, 번호판 독취기(51)가 취득한 차량(A)의 NP 정보를 기록 매체(11)로부터 추출한다.
또한, 건전성 판단부(120a)는, 차선(L1) 및 차선(L2)의 각각에 있어서, 차종별 연속 비처리 횟수 중 어느 하나가 당해 차종으로 설정된 역치를 넘은 경우는, 모든 차선에 있어서 시스템 이상이 발생했다고 판단한다. 이 경우, 재기동부(120b)는 모든 차선에 있어서의 도로 측 안테나(3a, 3b) 및 무선 통신 제어 장치(2a, 2b)와, 요금 수수 처리부(10)를 재기동시키기 위한 재기동 지시를 출력한다.
진단부(120)는 상술의 처리 플로를 반복하여 실행함으로써, 요금 수수 시스템(1)에 있어서 이상이 발생하고 있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또한, 진단부(120)는, 요금 수수 시스템(1)에 있어서 이상이 발생하고 있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도로 측 안테나(3a, 3b), 무선 통신 제어 장치(2a, 2b) 및 요금 수수 처리부(1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재기동시킨다.
(작용 효과)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한 요금 수수 시스템(1)은 도로 측 안테나(3a, 3b)의 통신 범위(규정 통신 영역(Q1, Q2))에 진입하는 차량(A)을 검지하는 차량 검지기(5c)를 구비하고, 당해 차량 검지기(5c)는 검지한 차량(A)의 차종을 판별하는 차종 판별부(52)를 갖는다. 또한, 진단부(120)의 건전성 판단부(120a)는, 차량 검지기(5c)로부터 취득한 차량(A)의 검지 결과와 요금 수수 처리부(10)로부터 취득한 요금 수수 처리의 결과에 기초하여, 차량(A)에 탑재되어 있는 차재기(A1)에 대해 요금 수수 처리가 행하여지고 있는지 아닌지를 차종별로 판단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건전성 판단부(120a)는, 당해 차선별 및 차종별로 계수된 연속 비처리 횟수가 역치 테이블(T3)(도 10)에 있어서 차종별로 설정된 역치를 넘었는지 아닌지에 기초하여, 차선별로 도로 측 안테나(3a, 3b) 및 무선 통신 제어 장치(2a, 2b)에 있어서 시스템 이상이 발생하고 있는 것을 신속히 검지할 수 있다. 또한, 건전성 판단부(120a)가 차종별로 연속 비처리 횟수를 계수하고 있음으로써, 차종별로 차재기(A1)의 보급율이 다른 경우라도, 시스템 이상이 발생하고 있는 것을 정밀도 좋게 검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관한 요금 수수 시스템(1)은 추출부(120c)를 구비하고 있고, 차량 검지기(5c)는 번호판 독취기(51)를 갖고 있다. 추출부(120c)는, 재기동부(120b)가 도로 측 안테나(3a, 3b), 무선 통신 제어 장치(2a, 2b) 및 요금 수수 처리부(10) 중 어느 하나가 재기동 처리를 행하고 있는 기간에 있어서, 차량 검지기(5c)의 번호판 독취기(51)가 취득한 NP 정보를 추출한다.
예를 들어, 재기동부(120b)가 차선(L1)의 도로 측 안테나(3a) 및 무선 통신 제어 장치(2a)가 재기동 처리를 행하고 있는 기간은, 차선(L1)의 규정 통신 영역(Q1)을 통과하는 차량(A)에 대한 요금 수수 처리가 행해지지 않는다. 그러나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추출부(120c)가 당해 재기동 처리를 행하고 있는 기간에 차선(L1)의 규정 통신 영역(Q1)을 통과하는 차량(A)의 NP 정보를 추출함으로써, 요금 수수 처리가 행해지지 않고 통과할 가능성이 있는 차량(A)을 추출할 수 있다. 그리고 추출부(120c)는, 차선(L1)의 각 기기를 재기동 중에 번호판 독취기(51)가 취득한 차량(A)의 NP 정보, 즉 요금 수수 처리가 행해지지 않았던 차량(A)의 NP 정보를 요금 미수수 차량 정보로서 기록 매체(11)에 기록한다. 이에 의해, 요금소의 감시원 등은, 기록 매체(11)에 기록된 요금 미수수 차량 정보를 참조하여, 요금 수수 처리가 행해지지 않았던 차량(A)에 대해 후일 요금을 청구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재기동 처리를 행하고 있는 기간에 있어서, 차량(A)의 차재기(A1)에 대해 요금 수수가 행해지지 않는 운용상 불이익을 저감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2 실시형태의 변형예>
상술의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 진단부(120)의 건전성 판단부(120a)가 차선별 및 차종별 연속 비처리 횟수를 계수하고, 당해 차종별 연속 비처리 횟수가 역치 테이블(T3)(도 10)의 차종별 역치를 넘었는지 아닌지에 기초하여, 시스템 이상이 발생하고 있는지 아닌지를 판단하는 양태에 대해 설명했다.
본 변형예에 있어서는, 건전성 판단부(120a)가 차량의 검지 결과에 대한 요금 수수 처리의 결과 비율을 구하는 점에 있어서, 제2 실시형태와는 다르다.
이하, 도 12∼도 13을 참조하여 제2 실시형태의 변형예에 대해 설명한다.
(진단부의 처리 플로)
도 12는 제2 실시형태의 변형예에 관한 진단부의 기능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3은 제2 실시형태의 변형예에 관한 진단부의 처리 플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차선(L1)을 예로 하여 구체적인 진단부(120)의 처리 플로를 설명하지만, 진단부(120)는 각 차선에 대해 같은 처리 플로를 실행하고 있는 것으로 한다. 또한, 진단부(120)는 이하의 처리 플로를 상시 소정의 시간 간격으로 반복하여 실행하고 있는 것으로 한다.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진단부(120)의 건전성 판단부(120a)는 차량 검지기(5c)로부터 차선(L1)의 규정 통신 영역(Q1)에 차량(A)이 진입한 것을 나타내는 차량(A)의 검지 결과로서, 당해 차량(A)의 검지 일시, 주행하는 차선, NP 정보 및 차종을 나타내는 정보를 수신한다. 건전성 판단부(120a)는 단위 시간 내(예를 들어, 1시간 이내)에 있어서의 차량(A)의 검지 대수를 나타내는 차량 검지수를 차종별로 계수한다(단계 S400).
그 다음에, 건전성 판단부(120a)는, 요금 수수 처리부(10)로부터 규정 통신 영역(Q1)을 통과하는(차선(L1)을 주행하는) 당해 차량(A)에 대한 요금 수수 처리의 결과를 수신하였는지 아닌지에 기초하여, 당해 차량(A)에 대해 요금 수수 처리가 행해진 것인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그리고 건전성 판단부(120a)는 차선(L1)에 있어서 단위 시간 내에 요금 수수 처리가 행해진 횟수를 나타내는 처리 횟수를 차종별로 계수한다(단계 S401).
그 다음에, 건전성 판단부(120a)는 단위 시간을 경과한 것인지 아닌지를 판단한다(단계 S402). 건전성 판단부(120a)는 단위 시간을 경과하고 있지 않다고 판단한 경우(단계 S402: 아니오), 단위 시간을 경과했다고 판단할 때까지 상술의 단계 S400∼S401의 처리를 반복하여 실행한다.
한편, 건전성 판단부(120a)는 단위 시간을 경과했다고 판단한 경우(단계 S402: 예), 단위 시간 내에 있어서 계수한 차선(L1)의 차량 검지수에 대한 처리 횟수의 비율을 구한다. 그리고 건전성 판단부(120a)는 기록 매체(11)로부터 역치 테이블(T4)(도 12)을 독출하여, 차선(L1)의 차종별 차량 검지수에 대한 차종별 처리 횟수의 비율이 역치 테이블(T4)에 있어서 설정된 차종별 역치 이하인지 아닌지를 판단한다(단계 S403). 역치는, 차재기(A1)의 차종별 보급율(탑재율)에 기초하여, 단위 시간 내에 통과한 차량(A)의 차종별 대수(차종별 차량 검지수)에 대한 차재기(A1)가 탑재되어 있는 차량(A)(요금 수수 처리가 행해진 차종별 처리 횟수)의 비율이 몇 퍼센트 이하가 되면, 시스템 이상이 발생했다고 판단할지를 차종별로 미리 정한 값이다. 구체적으로는,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예를 들어 보급율이 95%인 차종(E)의 역치는 「25%(이하)」로 설정되어 있다. 즉, 단위 시간 내에 통과한 차종(E)의 차량(A)의 대수에 대해, 차재기(A1)가 탑재되어 있는 차량(A)의 비율이 25% 이하가 된 경우, 건전성 판단부(120a)는 시스템 이상이 발생했다고 판단한다. 한편, 보급율이 50%인 차종(A)은, 보급율이 95%인 차종(E)보다도 차재기(A1)가 탑재되어 있는 차량이 적은 것이 예측된다. 이 때문에, 보급율이 50%인 차종(A)의 역치를 차종(E)과 마찬가지로 「25%(이하)」로 설정하면, 시스템이 정상적으로 동작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건전성 판단부(120a)가 시스템 이상이 발생했다고 오판단할 가능성이 발생한다. 따라서 보급율이 낮은 차종(A)의 역치는 보급율이 높은 차종(E)의 역치보다도 작은 값(도 12의 예에서는 「10%(이하)」)으로 설정되어 있다.
또한, 건전성 판단부(120a)는, 상술의 「차재기(A1)가 탑재되어 있는 차량(A)의 비율이 역치 이하가 된 경우는, 시스템 이상이 발생하고 있다고 판단한다」라는 판단 기준을 대신하여, 「차재기(A1)가 탑재되어 있는 차량(A)의 비율이 역치 이상이 된 경우는, 시스템 이상이 발생하고 있다고 판단하지 않는다」, 「차재기(A1)가 탑재되어 있지 않은 차량(A)의 비율이 역치 이상이 된 경우는, 시스템 이상이 발생하고 있다고 판단한다」, 또는 「차재기(A1)가 탑재되어 있지 않은 차량(A)의 비율이 역치 이하가 된 경우는, 시스템 이상이 발생하고 있지 않다고 판단한다」 등의 판단 기준을 갖고 있어도 좋다. 이 경우, 역치는, 차종별 보급율과 각각의 판단 기준에 기초하여, 차종별로 설정된다.
또한, 역치는 차재기(A1)의 차종별 보급율과 각 요금소의 교통량에 기초하여 정해도 좋다. 또한,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역치는 도로별(고속 도로별)로 설정되어 있어도 좋고, 복수의 요금소를 포함하는 지역별로 설정되어 있어도 좋다.
건전성 판단부(120a)는, 차선(L1)의 차종별 차량 검지수에 대한 차종별 처리 횟수의 비율과 역치 테이블(T4)의 차종별 역치에 기초하여, 요금 수수 처리가 행해지지 않았던 원인이 차량(A)에 차재기(A1)가 탑재되어 있지 않은 「차재기 비탑재 케이스」인지 차량(A)에 차재기(A1)가 탑재되어 있지만 차재기(A1)에 대해 요금 수수 처리가 정상적으로 행해지지 않았던 「처리 오류 케이스」인지를 구별한다.
건전성 판단부(120a)는, 차선(L1)의 차종별 차량 검지수에 대한 차종별 처리 횟수의 비율이 차종별 역치 이하가 아닌 경우(단계 S403: 아니오)는, 차재기 비탑재 케이스로 간주하여, 차선(L1)에 있어서 시스템 이상은 발생하고 있지 않다고 판단한다. 예를 들어, 차선(L1)의 차종(A)의 차량 검지수가 100회이고, 차선(L1)의 차종(A)의 처리 횟수가 50회이었던 경우, 당해 차종(A)의 차량 검지수에 대한 처리 횟수의 비율은 50%이며, 역치 테이블(T4)(도 12)의 차종(A)에 대해 설정된 역치인 「10%」를 상회한다(단계 S403: 아니오). 이 경우, 건전성 판단부(120a)는, 차선(L1)에 있어서 시스템 이상은 발생하고 있지 않다고 판단한다.
한편, 건전성 판단부(120a)는, 차선(L1)의 차량 검지수에 대한 처리 횟수의 비율이 역치 이하인 경우(단계 S403: 예)는, 처리 오류 케이스로 간주하여, 차선(L1)에 있어서 시스템 이상이 발생하고 있다고 판단한다. 예를 들어, 차선(L1)의 차종(A)의 차량 검지수가 100회이고, 차선(L1)의 차종(A)의 처리 횟수가 8회이었던 경우, 당해 차종(A)의 차량 검지수에 대한 처리 횟수의 비율은 8%이고, 역치 테이블(T4)(도 12)의 차종(A)에 대해 설정된 역치 「10%」이하가 된다(단계 S403: 예). 이 경우, 건전성 판단부(120a)는, 차선(L1)에 있어서 시스템 이상이 발생하고 있다고 판단한다.
그 다음에, 진단부(120)의 재기동부(120b)는, 차선(L1)의 차종별 차량 검지수에 대한 차종별 처리 횟수의 비율이 차종별 역치 이하이고(단계 S403: 예), 건전성 판단부(120a)가 차선(L1)에 있어서 시스템 이상이 발생하고 있다고 판단한 경우, 차선(L1)의 도로 측 안테나(3a) 및 무선 통신 제어 장치(2a)를 재기동시키기 위한 재기동 지시를 출력한다(단계 S404).
그리고 건전성 판단부(120a)는, 재기동부(120b)로부터 차선(L1)의 도로 측 안테나(3a) 및 무선 통신 제어 장치(2a)를 재기동시키기 위한 재기동 지시가 출력되면, 차선(L1)의 모든 차종에 대한 차량 검지수와 처리 횟수를 0회로 리셋한다(단계 S405).
차선(L1)의 도로 측 안테나(3a) 및 무선 통신 제어 장치(2a)는, 재기동 처리가 완료하면, 이상 상태로부터 회복하여 정상적으로 동작한다. 또한, 추출부(120c)는, 상술의 제2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재기동부(120b)가 재기동 지시를 출력하고 나서 각 기기의 재기동 처리가 완료될 때까지, 번호판 독취기(51)가 취득한 NP 정보를 추출한다.
또한, 건전성 판단부(120a)는, 차선(L1, L2)의 각각에 있어서, 어느 차종의 차량 검지수에 대한 처리 횟수의 비율이 역치 이하가 된 경우는, 모든 차선에 있어서 시스템 이상이 발생했다고 판단한다. 이 경우, 재기동부(120b)는 모든 차선에 있어서의 도로 측 안테나(3a, 3b) 및 무선 통신 제어 장치(2a, 2b)와 요금 수수 처리부(10)를 재기동시키기 위한 재기동 지시를 출력한다.
진단부(120)는 상술의 처리 플로를 소정의 시간 간격으로 반복하여 실행함으로써, 요금 수수 시스템(1)에 있어서 이상이 발생하고 있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또한, 진단부(120)는, 요금 수수 시스템(1)에 있어서 이상이 발생하고 있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도로 측 안테나(3a, 3b), 무선 통신 제어 장치(2a, 2b) 및 요금 수수 처리부(1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재기동시킨다.
(작용 효과)
상술의 제2 실시형태에서는, 요금 수수 처리가 연속하여 행해지지 않았던 횟수를 계수하기 위해, 교통량이 적은 요금소에 있어서 시스템 이상이 발생한 것이 검지될 때까지, 단위 시간 이상의 시간이 걸릴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본 변형예에서는, 진단부(120)의 건전성 판단부(120a)는, 단위 시간이 경과할 때마다, 차선별 및 차종별 차량 검지수에 대한 처리 횟수의 비율이 역치 이하인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건전성 판단부(120a)는 교통량이 적은 요금소라도, 정기적으로 시스템 이상이 발생한 것인지 아닌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술의 제2 실시형태에서는, 도로 측 안테나(3a, 3b), 무선 통신 제어 장치(2a, 2b) 및 요금 수수 처리부(10)의 동작이 불안정으로 되고, 정상적으로 요금 수수 처리가 행해진 경우와 행해지지 않은 경우를 반복하는 바와 같은 시스템 이상이 발생한 경우는, 당해 시스템 이상이 발생한 것을 검지할 수 없을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본 변형예에서는, 건전성 판단부(120a)는, 단위 시간 내에 계수된 차선별 및 차종별 차량 검지수와 처리 횟수에 기초하여, 차량 검지수에 대한 처리 횟수의 비율이 역치 이하인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정상적으로 요금 수수 처리가 행해진 경우와 행해지지 않은 경우를 반복하는 바와 같은 시스템 이상이 발생한 경우는, 정상적으로 계속하여 요금 수수 처리가 행해진 경우에 비해, 단위 시간 내에 행해진 처리 횟수가 적어진다. 따라서 이와 같은 시스템 이상이 발생한 경우는, 차량 검지수에 대한 처리 횟수의 비율이 역치 이하가 될 가능성이 높아지고, 건전성 판단부(120a)는 당해 시스템 이상이 발생한 것을 검지할 수 있다. 이 때문에, 건전성 판단부(120a)는 요금 수수 시스템(1)에 있어서 시스템 이상이 발생한 것을 보다 정밀도 좋게 검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변형예에서는, 건전성 판단부(120a)는 단위 시간이 경과했다고 판단한 경우만 차선별 및 차종별 차량 검지수에 대한 처리 횟수의 비율을 구하고, 역치 테이블(T4)(도 12)의 역치 이하인지 아닌지를 판단하는 처리를 행한다. 이 때문에, 건전성 판단부(120a)에 있어서의 처리를 감소시키고, 진단부(120) 전체의 처리를 신속히 행할 수 있다.
<기타의 변형예>
상술의 제1 및 제2 실시형태 및 그 변형예에 있어서, 역치 테이블(T1∼T4)의 역치가 미리 설정되어 있는 양태에 대해 설명했다.
본 변형예에 있어서는, 진단부(120)의 건전성 판단부(120a)가 역치 테이블(T1∼T4)의 역치를 자동적으로 갱신하는 점에 있어서, 상술의 각 실시형태 및 그 변형예와는 다르다.
진단부(120)의 건전성 판단부(120a)는 차량 검지기(5a, 5b, 5c)로부터 규정 통신 영역(Q1, Q2)에 차량(A)이 진입한 것을 나타내는 차량(A)의 검지 결과를 수신하면, 차량 검지기(5a, 5b, 5c)가 검지한 차량(A)의 누계수(累計數)를 나타내는 차량 검지 누계수를 갱신하고, 기록 매체(11)에 기록한다.
또한, 건전성 판단부(120a)는 요금 수수 처리부(10)로부터 규정 통신 영역(Q1, Q2)을 통과하는(차선(L1, L2)을 주행하는) 당해 차량(A)에 대한 요금 수수 처리의 결과를 수신하면, 차선(L1, L2)에 있어서 요금 수수 처리가 행해진 횟수의 누계수를 나타내는 처리 누계수를 갱신하고, 기록 매체(11)에 기록한다.
건전성 판단부(120a)는, 소정의 기간(예를 들어, 1개월)에 있어서 기록된 차량 검지 누계수에 대한 처리 누계수의 비율에 기초하여, 차량(A)에 대한 차재기(A1)의 보급율(탑재율)을 요금소별로 산출한다. 그리고 건전성 판단부(120a)는 차재기(A1)의 보급율에 소정의 통계 처리를 실시함으로써, 당해 요금소에 있어서의 역치를 설정한다.
예를 들어, 어떤 요금소의 소정의 기간에 있어서의 차량 검지 누계수가 1000회이고 처리 누계수가 850회인 경우는, 당해 요금소의 차재기(A1)의 보급율은 85%라고 판단한다. 그리고 건전성 판단부(120a)는 당해 요금소에 있어서의 차재기(A1)의 보급율에 소정의 통계 처리를 실시함으로써, 당해 요금소에 있어서의 역치를 설정한다.
연속 비처리 횟수에 기초하여 시스템 이상이 발생한 것인지 아닌지를 판단하는 양태에 있어서는, 건전성 판단부(120a)는 당해 요금소에 있어서의 차재기(A1)의 보급율에 소정의 통계 처리를 실시함으로써, 역치를, 예를 들어 「6」이라고 설정한다. 또한, 단위 시간 내에 통과한 차량(A)의 대수(차량 검지수)에 대한 차재기(A1)가 탑재되어 있는 차량(A)의 대수(요금 수수 처리가 행해진 처리 횟수)의 비율에 기초하여 시스템 이상이 발생하고 있는지 아닌지를 판단하는 양태에 있어서는, 건전성 판단부(120a)는 당해 요금소에 있어서의 차재기(A1)의 보급율에 소정의 통계 처리를 실시함으로써, 역치를, 예를 들어 「15%」라고 설정한다.
또한, 차량 검지기(5c)가 차종 판별부(52)를 가지는 양태에 있어서는, 건전성 판단부(120a)는 차종별로 역치를 설정해도 좋다.
본 변형예에 있어서의 건전성 판단부(120a)는, 이와 같이 요금소별로 설정한 역치에 기초하여, 시스템 이상이 발생하고 있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또한, 건전성 판단부(120a)는, 과거의 동월(同月) 또는 동 시간대에 기록된 차재기(A1)의 보급율에 기초하여, 각 월 또는 각 시간마다 다른 역치를 설정하도록 해도 좋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요금소 또는 시간대 등에 따라 차재기(A1)의 보급율(차재기(A1)를 탑재하는 차량(A)의 비율)이 변화하는 경우라도, 건전성 판단부(120a)는 시스템 이상이 발생한 것인지 아닌지를 판단하기 위한 역치를 실제의 시간 경과에 따르는 차재기(A1)의 보급율에 추종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보다 정밀도 좋게 시스템 이상이 발생한 것을 검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변형예에서는, 건전성 판단부(120a)가 요금소별로 역치를 설정하는 예에 대해 설명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요금소별 차재기(A1)의 보급율을 감시원이 주재하는 중앙 설비의 컴퓨터에 송신해도 좋다. 이 경우, 당해 중앙 설비의 컴퓨터가 요금소별로 또는 복수의 요금소를 포함하는 지역별로 역치를 설정하도록 해도 좋다.
이상, 본 발명의 몇 가지 실시형태를 설명했지만, 이들 실시형태는 예로서 제시한 것이며,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의도하고 있지 않다. 이들 실시형태는 기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되는 것이 가능하며,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 생략, 치환, 변경을 행할 수 있다. 이들 실시형태나 그 변형은 발명의 범위나 요지에 포함되면, 마찬가지로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발명과 그 균등한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한다.
예를 들어, 상술의 각 실시형태에 있어서, 진단부(120)의 재기동부(120b)가 도로 측 안테나(3a, 3b), 무선 통신 제어 장치(2a, 2b) 및 요금 수수 처리부(1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재기동시키는 양태에 대해 설명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재기동부(120b)는 감시원이 주재하는 중앙 설비의 컴퓨터에 시스템 이상이 발생한 것을 차선별로 통지하여 당해 감시원에게 재기동의 실행 가부와 재기동을 행하는 기기의 선택을 판단시키도록 해도 좋다.
이 경우, 진단부(120)의 추출부(120c)는 감시원이 기기에 대해 재기동 지시를 행하고 나서 당해 기기가 재기동 처리를 완료할 때까지의 동안에, 당해 기기가 존재하는 차선을 주행하는 차량(A)의 NP 정보를 추출한다. 이에 의해서도, 상술의 각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재기동 처리를 행하고 있는 기간에 있어서, 차량(A)의 차재기(A1)에 대해 요금 수수가 행해지지 않는 등의 운용상 불이익을 저감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술의 각 실시형태에 있어서, 추출부(120c)는 요금 수수 시스템(1)의 각 기기를 재기동 중에 각 차선(L1, L2)을 통행하는(각 규정 통신 영역(Q1, Q2)을 통과하는) 차량의 NP 정보를 추출하고, 요금 수수 처리가 행해지지 않았던 차량(A)의 NP 정보를 요금 미수수 차량 정보로서 기록 매체(11)에 기록하는 양태에 대해 설명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추출부(120c)는 감시원이 주재하는 중앙 설비의 컴퓨터 등에 요금 미수수 차량 정보를 순차 또는 소정의 시간 간격으로 송신하도록 해도 좋다. 이에 의해서도, 상술의 각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재기동 처리를 행하고 있는 기간에 있어서, 차량(A)의 차재기(A1)에 대해 요금 수수가 행해지지 않는 등의 운용상 불이익을 저감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상술의 요금 수수 시스템 및 건전성 판단 방법에 의하면, 시스템의 이상을 신속하고도 정밀도 좋게 검지 가능한 프리 플로형 요금 수수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1: 요금 수수 시스템
1a: 요금 수수 처리 장치
10: 요금 수수 처리부
120: 진단부
120a: 건전성 판단부
120b: 재기동부
120c: 추출부
11: 기록 매체
2a, 2b: 무선 통신 제어 장치
3a, 3b: 도로 측 안테나
5a, 5b, 5c: 차량 검지기
50a, 50b: 초음파 센서
51: 번호판 독취기
52: 차종 판별부
A: 차량
A1: 차재기
Q1, Q2: 규정 통신 영역
G: 갠트리
L1, L2: 차선
T: 통신탑
T1, T2, T3, T4: 역치 테이블

Claims (6)

  1. 차량에 탑재된 차재기와 무선 통신을 행하는 도로 측 안테나와,
    상기 도로 측 안테나를 통해, 상기 차재기와의 사이에서 미리 정해진 통신 규격에 기초하는 통신 처리를 행하는 무선 통신 제어 장치와,
    상기 무선 통신 제어 장치로부터 상기 통신 처리의 결과를 취득하고, 당해 통신 처리의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차재기에 대한 요금 수수 처리를 행하는 요금 수수 처리부와,
    상기 도로 측 안테나의 통신 범위에 진입하는 차량을 검지하는 차량 검지기와,
    상기 차량 검지기에 의한 상기 차량의 검지 결과와 상기 요금 수수 처리부에 의해 행해진 상기 요금 수수 처리의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도로 측 안테나, 상기 무선 통신 제어 장치 및 상기 요금 수수 처리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이상이 발생하고 있는지 아닌지를 판단하는 건전성 판단부
    를 구비하는 요금 수수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검지기는 검지한 상기 차량의 차종을 판별하는 차종 판별부를 갖고,
    상기 건전성 판단부는, 차종별로 취득한 상기 차량의 검지 결과와 차종별로 취득한 상기 요금 수수 처리의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이상이 발생하고 있는지 아닌지를 판단하는,
    요금 수수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건전성 판단부가 상기 이상이 발생했다고 판단한 경우, 상기 도로 측 안테나, 상기 무선 통신 제어 장치 및 상기 요금 수수 처리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재기동 처리를 행하게 하는 재기동부를 추가로 구비하는,
    요금 수수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재기동 처리를 행하고 있는 기간에 있어서, 상기 차량 검지기가 검지한 상기 차량의 번호판 정보를 추출하는 추출부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차량 검지기는 상기 차량의 상기 번호판 정보를 독취 가능한 번호판 독취기를 갖는,
    요금 수수 시스템.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건전성 판단부는, 상기 차량의 검지 결과와 상기 요금 수수 처리의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차재기가 차량에 탑재되어 있는 탑재율을 산출하고,
    상기 탑재율에 기초하여 상기 이상이 발생하고 있는지 아닌지를 판단하기 위한 역치를 설정하는,
    요금 수수 시스템.
  6. 차량에 탑재된 차재기와 무선 통신을 행하는 도로 측 안테나와,
    상기 도로 측 안테나를 통해, 상기 차재기와의 사이에서 미리 정해진 통신 규격에 기초하는 통신 처리를 행하는 무선 통신 제어 장치와,
    상기 무선 통신 제어 장치로부터 상기 통신 처리의 결과를 취득하고, 당해 통신 처리의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차재기에 대한 요금 수수 처리를 행하는 요금 수수 처리부와,
    상기 도로 측 안테나의 통신 범위에 진입하는 차량을 검지하는 차량 검지기를 구비하는 요금 수수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차량 검지기를 통해 상기 도로 측 안테나의 통신 범위에 진입하는 차량의 검지 결과를 취득하는 공정과,
    상기 요금 수수 처리부를 통해 행해진 상기 요금 수수 처리의 결과를 취득하는 공정과,
    상기 차량의 검지 결과와 상기 요금 수수 처리의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도로 측 안테나, 상기 무선 통신 제어 장치 및 상기 요금 수수 처리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이상이 발생하고 있는지 아닌지를 판단하는 공정
    을 갖는 건전성 판단 방법.
KR1020187026729A 2016-03-31 2016-03-31 요금 수수 시스템 및 건전성 판단 방법 KR10208206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6/061632 WO2017168760A1 (ja) 2016-03-31 2016-03-31 料金収受システム及び健全性判断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5290A KR20180115290A (ko) 2018-10-22
KR102082068B1 true KR102082068B1 (ko) 2020-02-26

Family

ID=599638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26729A KR102082068B1 (ko) 2016-03-31 2016-03-31 요금 수수 시스템 및 건전성 판단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1282300B2 (ko)
JP (1) JP6681463B2 (ko)
KR (1) KR102082068B1 (ko)
GB (1) GB2564314B (ko)
MY (1) MY195154A (ko)
SG (1) SG11201808190VA (ko)
WO (1) WO201716876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640321B (zh) * 2020-05-29 2021-11-12 深圳市元征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边缘计算的拥堵缓解方法及相关设备
CN113327334B (zh) * 2021-04-08 2023-04-28 厦门路桥信息股份有限公司 停车场云平台的灾备管理方法及系统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153383A (ja) * 2014-02-19 2015-08-24 三菱重工業株式会社 車線制御システム、車線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434963C (en) * 2001-01-26 2016-04-26 Raytheon Canada Limited Vehicle trip determination system and method
JP2004102666A (ja) * 2002-09-10 2004-04-02 Mitsubishi Heavy Ind Ltd 通行料金収受システム
JP4183071B2 (ja) * 2003-02-17 2008-11-19 三菱電機株式会社 自動料金収受システム
JP2005085046A (ja) 2003-09-09 2005-03-31 Mitsubishi Heavy Ind Ltd 有料道路料金収受システム及び有料道路走行経路特定方法
PL1897064T3 (pl) * 2005-06-10 2012-09-28 Accenture Global Services Ltd Elektroniczna identyfikacja pojazdów
JP5298712B2 (ja) * 2008-09-04 2013-09-25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感知器異常検出システム、方法、感知器異常検出装置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8698895B2 (en) * 2012-08-06 2014-04-15 Cloudparc, Inc. Controlling use of parking spaces using multiple camera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153383A (ja) * 2014-02-19 2015-08-24 三菱重工業株式会社 車線制御システム、車線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90122450A1 (en) 2019-04-25
KR20180115290A (ko) 2018-10-22
MY195154A (en) 2023-01-11
GB2564314A (en) 2019-01-09
GB201815299D0 (en) 2018-11-07
JPWO2017168760A1 (ja) 2018-11-29
US11282300B2 (en) 2022-03-22
GB2564314B (en) 2022-02-23
SG11201808190VA (en) 2018-10-30
JP6681463B2 (ja) 2020-04-15
WO2017168760A1 (ja) 2017-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13987B2 (ja) 車種判別装置を要しない料金自動収受システム
KR102205057B1 (ko) 동일 차량 검출 장치, 요금 수수 설비, 동일 차량 검출 방법 및 프로그램
JP3527791B2 (ja) 不調アンテナ検出方法及び装置
EP2402912A1 (en) Charging system, charging method, controller and program
JP2001338318A (ja) 料金収受システム、車載器及び料金収受方法
JP2007047875A (ja) 車両挙動把握システム
JP2808513B2 (ja) 電子的通行料金収受システム
JP2009140381A (ja) 料金収受システム、料金収受方法
JP2005085046A (ja) 有料道路料金収受システム及び有料道路走行経路特定方法
KR102082068B1 (ko) 요금 수수 시스템 및 건전성 판단 방법
JP4961305B2 (ja) 有料道路自動料金所の車両監視装置
JP2007183803A (ja) 車種判別システム、車種判別方法
JP2014056412A (ja) 車両通行制御システム、車載器、通行料金処理装置
JP2739021B2 (ja) 車輌識別装置
JP5562756B2 (ja) 不正車両監視システム、不正車両監視方法及びそのプログラム
JP3924776B2 (ja) 車両用走行支援装置
JP2007249582A (ja) 料金収受システムおよび車両後進警告方法
JP2005050248A (ja) 自動料金収受システムと車載機
JP2003058923A (ja) 料金徴収装置および方法、警告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3562417B2 (ja) 自動料金収受システム
JP5169016B2 (ja) 不正通過車抑止システム及び不正通過車抑止方法
JP2007249655A (ja) 料金収受システムおよび料金収受方法
JPH11232508A (ja) 料金徴収システム
JP4659048B2 (ja) 自動料金収受システム
JP2022174470A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