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1524B1 - 광학 재료용 중합성 조성물, 해당 조성물로부터 얻어지는 광학 재료 및 플라스틱 렌즈 - Google Patents

광학 재료용 중합성 조성물, 해당 조성물로부터 얻어지는 광학 재료 및 플라스틱 렌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1524B1
KR102081524B1 KR1020187007436A KR20187007436A KR102081524B1 KR 102081524 B1 KR102081524 B1 KR 102081524B1 KR 1020187007436 A KR1020187007436 A KR 1020187007436A KR 20187007436 A KR20187007436 A KR 20187007436A KR 102081524 B1 KR102081524 B1 KR 1020815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compound
ppm
chain
formul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074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41180A (ko
Inventor
유키 가소리
신이치로 가도와키
노부오 가와토
Original Assignee
미쯔이가가꾸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쯔이가가꾸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미쯔이가가꾸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0411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11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15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1524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008Organic ingredient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one dot" groups of C08K5/01 - C08K5/59
    • C08K5/0041Optical brightening agents, organic pig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30Low-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32Polyhydroxy compounds; Polyamines; Hydroxyamines
    • C08G18/3203Polyhydroxy compounds
    • C08G18/3206Polyhydroxy compounds aliphatic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40High-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48Polyethers
    • C08G18/4825Polyethers containing two hydroxy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08Processes
    • C08G18/16Catalysts
    • C08G18/22Catalysts containing metal compounds
    • C08G18/24Catalysts containing metal compounds of tin
    • C08G18/244Catalysts containing metal compounds of tin tin salts of carbox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30Low-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32Polyhydroxy compounds; Polyamines; Hydroxyami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30Low-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38Low-molecular-weight compounds having heteroatoms other than oxyge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30Low-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38Low-molecular-weight compounds having heteroatoms other than oxygen
    • C08G18/3855Low-molecular-weight compounds having heteroatoms other than oxygen having sulfur
    • C08G18/3876Low-molecular-weight compounds having heteroatoms other than oxygen having sulfur containing mercapto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40High-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48Polyeth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40High-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48Polyethers
    • C08G18/4829Polyethers containing at least three hydroxy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65Low-molecular-weight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with high-molecular-weight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66Compounds of groups C08G18/42, C08G18/48, or C08G18/52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65Low-molecular-weight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with high-molecular-weight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66Compounds of groups C08G18/42, C08G18/48, or C08G18/52
    • C08G18/6666Compounds of group C08G18/48 or C08G18/52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7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used
    • C08G18/72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7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used
    • C08G18/72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 C08G18/721Two or more polyisocyanates not provided for in one single group C08G18/73 - C08G18/80
    • C08G18/722Combination of two or more aliphatic and/or cycloaliphatic polyisocya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7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used
    • C08G18/72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 C08G18/73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acyclic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7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used
    • C08G18/72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 C08G18/74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 C08G18/75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cycloaliphatic
    • C08G18/751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cycloaliphatic containing only one cycloaliphatic ring
    • C08G18/752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cycloaliphatic containing only one cycloaliphatic ring containing at least one isocyanate or isothiocyanate group linked to the cycloaliphatic ring by means of an aliphatic group
    • C08G18/753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cycloaliphatic containing only one cycloaliphatic ring containing at least one isocyanate or isothiocyanate group linked to the cycloaliphatic ring by means of an aliphatic group containing one isocyanate or isothiocyanate group linked to the cycloaliphatic ring by means of an aliphatic group having a primary carbon atom next to the isocyanate or isothiocyanate group
    • C08G18/755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cycloaliphatic containing only one cycloaliphatic ring containing at least one isocyanate or isothiocyanate group linked to the cycloaliphatic ring by means of an aliphatic group containing one isocyanate or isothiocyanate group linked to the cycloaliphatic ring by means of an aliphatic group having a primary carbon atom next to the isocyanate or isothiocyanate group and at least one isocyanate or isothiocyanate group linked to a secondary carbon atom of the cycloaliphatic ring, e.g. isophorone diisocyan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7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used
    • C08G18/72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 C08G18/74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 C08G18/75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cycloaliphatic
    • C08G18/751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cycloaliphatic containing only one cycloaliphatic ring
    • C08G18/752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cycloaliphatic containing only one cycloaliphatic ring containing at least one isocyanate or isothiocyanate group linked to the cycloaliphatic ring by means of an aliphatic group
    • C08G18/757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cycloaliphatic containing only one cycloaliphatic ring containing at least one isocyanate or isothiocyanate group linked to the cycloaliphatic ring by means of an aliphatic group containing at least two isocyanate or isothiocyanate groups linked to the cycloaliphatic ring by means of an aliphatic group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7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used
    • C08G18/72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 C08G18/74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 C08G18/75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cycloaliphatic
    • C08G18/758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cycloaliphatic containing two or more cycloaliphatic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7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used
    • C08G18/72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 C08G18/74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 C08G18/76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aromatic
    • C08G18/7614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aromatic containing only one aromatic 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7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used
    • C08G18/72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 C08G18/74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 C08G18/76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aromatic
    • C08G18/7614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aromatic containing only one aromatic ring
    • C08G18/7621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aromatic containing only one aromatic ring being toluene diisocyanate including isomer mixtur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7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used
    • C08G18/72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 C08G18/74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 C08G18/76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aromatic
    • C08G18/7614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aromatic containing only one aromatic ring
    • C08G18/7628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aromatic containing only one aromatic ring containing at least one isocyanate or isothiocyanate group linked to the aromatic ring by means of an aliphatic group
    • C08G18/7642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aromatic containing only one aromatic ring containing at least one isocyanate or isothiocyanate group linked to the aromatic ring by means of an aliphatic group containing at least two isocyanate or isothiocyanate groups linked to the aromatic ring by means of an aliphatic group having a primary carbon atom next to the isocyanate or isothiocyanate groups, e.g. xylylene diisocyanate or homologues substituted on the aromatic 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7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used
    • C08G18/72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 C08G18/74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 C08G18/76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aromatic
    • C08G18/7657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aromatic containing two or more aromatic rings
    • C08G18/7664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aromatic containing two or more aromatic rings containing alkylene polyphenyl groups
    • C08G18/7671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aromatic containing two or more aromatic rings containing alkylene polyphenyl groups containing only one alkylene bisphenyl group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in the ring
    • C08K5/151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in the ring having one oxygen atom in the 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in the ring
    • C08K5/151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in the ring having one oxygen atom in the ring
    • C08K5/1545Six-membered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16Nitro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34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in the ring
    • C08K5/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in the ring having also oxygen in the ring
    • C08K5/357Six-membered ring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04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made of organic materials, e.g. plastic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04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made of organic materials, e.g. plastics
    • G02B1/041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G02B5/22Absorbing filters
    • G02B5/23Photochromic filt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12Adjusting pupillary distance of binocular pairs

Abstract

본 발명의 광학 재료용 중합성 조성물은, (A)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과, (B) 수 평균 분자량이 100 이상인 폴리올 화합물과, (C) 2관능 이상의 활성 수소 화합물(단, 상기 화합물 (B)를 제외함)과, (D) 포토크로믹 화합물과, (E) 자외선 흡수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광학 재료용 중합성 조성물, 해당 조성물로부터 얻어지는 광학 재료 및 플라스틱 렌즈
본 발명은 포토크로믹 화합물을 포함하는 광학 재료용 중합성 조성물, 해당 조성물로부터 얻어지는 광학 재료 및 플라스틱 렌즈에 관한 것이다.
플라스틱 렌즈는, 무기 렌즈에 비하여 경량이고 깨지기 어렵다는 점에서, 안경 렌즈, 카메라 렌즈 등의 광학 소자에 급속하게 보급되고 있다. 최근에는, 포토크로믹 성능을 갖는 플라스틱 렌즈의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또한, 그 중에서도 폴리(티오)우레탄으로부터 얻어지는 렌즈는 고굴절률이며, 또한 강도 등의 물성이 우수하다는 점에서, 주목받고 있다.
특허문헌 1에는, 포토크로믹 화합물과, 디(메트)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렌즈가 기재되어 있고, 특허문헌 2 내지 3에는, 포토크로믹 화합물을 포함하는 코팅층을, 티오우레탄계 플라스틱 렌즈의 표면에 형성한 렌즈가 기재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4에는, 포토크로믹 특성을 갖는 화합물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5에는, 지방족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및 지환족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과, 2관능 이상의 활성 수소 화합물과, 포토크로믹 화합물을 포함하는, 광학 재료용 중합성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폴리(티오)우레탄으로 이루어지는 포토크로믹 성능을 갖는 광학 재료를 얻고자 하는 경우, 특허문헌 6에서는, 소정의 폴리티올 화합물을 첨가함으로써, 매트릭스 분자쇄 중에 포토크로믹 화합물의 이성화 반응이 일어나기 쉬워지는 적당한 공간이 형성될 것으로 생각되며, 그 결과, 양호한 포토크로믹 성능을 실현하고 있다.
일본 특허 공개 평8-272036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5-23238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8-30439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11-144181호 공보 국제 공개 제2014/002844호 팸플릿 국제 공개 제2015/115648호 팸플릿 미국 특허 제6506538호 일본 특허 공개 제2005-305306호 공보 국제 공개 제2005/087829호 팸플릿 국제 공개 제2006/109765호 팸플릿 국제 공개 제2007/020817호 팸플릿 국제 공개 제2007/020818호 팸플릿 국제 공개 제2014/002844호 팸플릿 국제 공개 제2012/149599호 팸플릿
그러나, 상기 조성물 조건에서 얻을 수 있는 포토크로믹 성능을 갖는 광학 재료의 일부는, 자외 영역의 광파장에 대한 안정성이 충분하지 않은 경우가 있었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과제에 대해서는 자외선 흡수제가 사용된다. 그러나, 포토크로믹 화합물은 자외선에 의해 효과를 발현하는 것임에 비해, 자외선 흡수제는 자외선을 흡수하는 것이다. 그 때문에, 일반적으로 광학 수지에 사용되는 자외선 흡수제를 포토크로믹 화합물과 함께 함유시킨 경우, 포토크로믹 성능 자체가 저하되는 경우가 있었다. 이러한 점에서, 자외선 흡수제를 포함하는 렌즈 위에, 포토크로믹 화합물을 포함하는 코팅층을 형성하여, 포토크로믹 성능을 유지함과 함께, 자외 영역의 광파장에 대하여 안정성을 도모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렌즈는, 코팅층을 별도로 형성할 필요가 있어, 제조 공정이 번잡하였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렌즈 중에, 자외선 흡수제와 포토크로믹 화합물을 공존시키는 경우, 광학 재료의 열화 억제와, 포토크로믹 성능의 유지는 트레이드오프의 관계에 있었다.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본 발명자들은 포토크로믹 성능의 유지, 및 자외 영역의 광파장에 대한 안정성 향상을 양립시킨 렌즈를 제공 가능한 중합성 조성물을 개발하기 위해 예의 검토를 행하였다.
본 발명자들은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및 활성 수소 화합물을 포함하고, 특정한 폴리올 화합물을 사용한 경우에 있어서, 자외선 흡수제와 포토크로믹 화합물을 병존시킴으로써, 상기 과제를 해결할 수 있다는 것을 알아내어,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은 이하에 나타낼 수 있다.
[1] (A)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과,
(B) 수 평균 분자량이 100 이상인 폴리올 화합물과,
(C) 2관능 이상의 활성 수소 화합물(단, 상기 화합물 (B)를 제외함)과,
(D) 포토크로믹 화합물과,
(E) 자외선 흡수제
를 포함하는, 광학 재료용 중합성 조성물.
[2]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A)가,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펜타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크실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 비스(이소시아나토메틸)시클로헥산, 디시클로헥실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2,5-비스(이소시아나토메틸)비시클로-[2.2.1]-헵탄, 2,6-비스(이소시아나토메틸)비시클로-[2.2.1]-헵탄, 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페닐렌디이소시아네이트 및 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1]에 기재된 광학 재료용 중합성 조성물.
[3] 폴리올 화합물 (B)가, 폴리에틸렌글리콜 또는 폴리프로필렌글리콜의 디올형 또는 트리올형인, [1] 또는 [2]에 기재된 광학 재료용 중합성 조성물.
[4] 폴리올 화합물 (B)의 수 평균 분자량이 200 내지 4000인,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광학 재료용 중합성 조성물.
[5] 폴리올 화합물 (B)의 수 평균 분자량이 400 내지 2000인,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광학 재료용 중합성 조성물.
[6] 폴리올 화합물 (B)의 수 평균 분자량이 600 내지 1500인,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광학 재료용 중합성 조성물.
[7] 활성 수소 화합물 (C)가, 폴리올 화합물, 폴리티올 화합물 및 히드록시기를 갖는 티올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1] 내지 [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광학 재료용 중합성 조성물.
[8] 활성 수소 화합물 (C)가 3관능 이상의 활성 수소 화합물인, [1] 내지 [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광학 재료용 중합성 조성물.
[9] 활성 수소 화합물 (C)가, 글리세린, 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키스(2-머캅토아세테이트), 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키스(3-머캅토프로피오네이트), 4-머캅토메틸-1,8-디머캅토-3,6-디티아옥탄, 5,7-디머캅토메틸-1,11-디머캅토-3,6,9-트리티아운데칸, 4,7-디머캅토메틸-1,11-디머캅토-3,6,9-트리티아운데칸, 4,8-디머캅토메틸-1,11-디머캅토-3,6,9-트리티아운데칸, 1,1,3,3-테트라키스(머캅토메틸티오)프로판 및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스(3-머캅토프로피오네이트)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1] 내지 [8]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광학 재료용 중합성 조성물.
[10] 포토크로믹 화합물 (D)는, 일반식 (1) 및 일반식 (2)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1] 내지 [9]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광학 재료용 중합성 조성물;
PC-L-Chain (1)
PC-L-Chain-L'-PC' (2)
(식 (1) 또는 식 (2) 중, PC와 PC'은 일반식 (3) 내지 (6)의 화합물로부터 유도되는 1가의 기를 나타냄. PC와 PC'은 동일해도 되고 상이해도 됨.
Figure 112018025846413-pct00001
(식 (3) 내지 (6) 중, R1 내지 R18은, 수소, 할로겐 원자, 카르복실기, 아세틸기, 포르밀기, 치환되어도 되는 C1 내지 C20의 지방족기, 치환되어도 되는 C3 내지 C20의 지환족기, 또는 치환되어도 되는 C6 내지 C20의 방향족 유기기를 나타내고, 각각 동일해도 되고 상이해도 됨. 이들 지방족기, 지환족기 또는 방향족 유기기는, 산소 원자, 질소 원자를 포함해도 됨. 일반식 (3) 내지 (6)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에 포함되는, 어느 하나의 기는, 2가의 유기기인 L 또는 L'과 결합함)
식 (1) 또는 식 (2) 중, L과 L'은, 옥시에틸렌쇄, 옥시프로필렌쇄, (티오)에스테르기, (티오)아미드기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기를 포함하는 2가의 유기기를 나타냄.
식 (1) 또는 식 (2) 중, Chain은, 폴리실록산쇄, 폴리옥시알킬렌쇄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쇄를 포함하는 1가 또는 2가의 유기기를 나타냄)
[11] 자외선 흡수제 (E)가, 최대 흡수 파장이 330nm 이하에 있고, 또한 최대 흡수 파장의 흡광도에 대한, 360nm의 흡광도의 비율이 0.1 이하인 자외선 흡수제인 [1] 내지 [10]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광학 재료용 중합성 조성물.
[12] 자외선 흡수제 (E)를 200 내지 14000ppm의 양으로 포함하는, [1] 내지 [11]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광학 재료용 중합성 조성물.
[13] 추가로 광 안정제 (F)를 포함하는, [1] 내지 [12]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광학 재료용 중합성 조성물.
[14] 광 안정제 (F)는 힌더드 아민계 광 안정제를 포함하는, [13]에 기재된 광학 재료용 중합성 조성물.
[15] 광 안정제 (F)를 500 내지 5000ppm의 양으로 포함하는, [13] 또는 [14]에 기재된 광학 재료용 중합성 조성물.
[16] [1] 내지 [1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광학 재료용 중합성 조성물의 경화물로 이루어지는 성형체.
[17] [16]에 기재된 성형체로 이루어지는 광학 재료.
[18] [16]에 기재된 성형체로 이루어지는 플라스틱 렌즈.
[19] 편광 필름과,
상기 편광 필름의 적어도 한쪽의 면 위에 형성된, [16]에 기재된 성형체로 이루어지는 기재층을 구비하는 플라스틱 편광 렌즈.
[20] (A)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과,
(B) 수 평균 분자량이 100 이상인 폴리올 화합물과,
(C) 2관능 이상의 활성 수소 화합물(단, 상기 화합물 (B)를 제외함)과,
(D) 포토크로믹 화합물과,
(E) 자외선 흡수제를 혼합하여, 광학 재료용 중합성 조성물을 조제하는 공정과,
상기 광학 재료용 중합성 조성물을 주형(鑄型) 내에서 주형(注型) 중합함으로써 렌즈 기재를 형성하는 공정
을 포함하는, 플라스틱 렌즈의 제조 방법.
[21] 상기 광학 재료용 중합성 조성물을 조제하는 상기 공정은,
추가로 광 안정제 (F)를 혼합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20]에 기재된 플라스틱 렌즈의 제조 방법.
[22] (A)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과,
(B) 수 평균 분자량이 100 이상인 폴리올 화합물과,
(C) 2관능 이상의 활성 수소 화합물(단, 상기 화합물 (B)를 제외함)과,
(D) 포토크로믹 화합물과,
(E) 자외선 흡수제를 혼합하여, 광학 재료용 중합성 조성물을 조제하는 공정과,
편광 필름을, 몰드로부터 이격한 상태에서 렌즈 주형(注型)용 주형(鑄型) 내에 고정하는 공정과,
상기 편광 필름과 상기 몰드 사이에 형성되는 공극의 적어도 한쪽에 상기 광학 재료용 중합성 조성물을 주입하는 공정과,
상기 광학 재료용 중합성 조성물을 중합 경화하여, 상기 편광 필름의 적어도 한쪽의 면에 기재층을 적층하는 공정
을 포함하는, 플라스틱 편광 렌즈의 제조 방법.
[23] 상기 광학 재료용 중합성 조성물을 조제하는 상기 공정은,
추가로 광 안정제 (F)를 혼합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22]에 기재된 플라스틱 편광 렌즈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의 광학 재료용 중합성 조성물에 따르면, 내광성이 우수함과 함께 포토크로믹 성능을 안정되게 발휘할 수 있고, 또한 포토크로믹 성능의 경시적 열화가 억제된, 포토크로믹 화합물을 포함하는 폴리우레탄계 광학 재료 또는 폴리티오우레탄계 광학 재료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광학 재료용 중합성 조성물은, 자외선 흡수제와 포토크로믹 화합물을 포함하는 광학 재료를 얻을 수 있고, 코팅층을 별도로 형성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광학 재료의 제조 안정성이 우수하다.
본 발명의 광학 재료용 중합성 조성물을, 이하의 실시 형태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의 광학 재료용 중합성 조성물은,
(A)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과,
(B) 수 평균 분자량이 100 이상인 폴리올 화합물과,
(C) 2관능 이상의 활성 수소 화합물(단, 상기 화합물 (B)를 제외함)과,
(D) 포토크로믹 화합물과,
(E) 자외선 흡수제
를 포함한다.
본 실시 형태의 광학 재료용 중합성 조성물은 상기 (A) 내지 (C)의 화합물을 구성에 포함함으로써, 당해 조성물의 중합체 매트릭스 내에서의 포토크로믹 화합물 (D)의 이성화 반응의 장해를 효과적으로 억제하고 있는 것으로 추찰된다. 즉, (A) 및 (C)의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안경용 렌즈 등에 이용되고 있는 종래 수지에, 본 실시 형태의 필수 성분인 (B)의 화합물을 첨가함으로써, 매트릭스 분자쇄 중에 포토크로믹 화합물의 이성화 반응이 일어나기 쉬워지는 적당한 공간이 형성됨과 함께, 자외선 흡수제 (E)의 효과에 의해 내광성이 향상되고, 그 결과, 양호한 포토크로믹 성능을 실현하고 있다고 생각된다. 또한, 이 구성에 의해, 높은 포토크로믹 성능을 발휘함과 함께, 폴리(티오)우레탄계 수지의 특징인 우수한 기계적 물성을 갖는, 밸런스가 우수한 광학 재료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 각 성분에 대하여 설명한다.
[(A)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A)로서는,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펜타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2,2,4-트리메틸헥산디이소시아네이트, 2,4,4-트리메틸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리신디이소시아나토메틸에스테르, 리신트리이소시아네이트, m-크실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o-크실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p-크실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크실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α,α,α',α'-테트라메틸크실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비스(이소시아나토메틸)나프탈렌, 1,3,5-트리스(이소시아나토메틸)벤젠, 비스(이소시아나토메틸)술피드, 비스(이소시아나토에틸)술피드, 비스(이소시아나토메틸)디술피드, 비스(이소시아나토에틸)디술피드, 비스(이소시아나토메틸티오)메탄, 비스(이소시아나토에틸티오)메탄, 비스(이소시아나토에틸티오)에탄, 비스(이소시아나토메틸티오)에탄 등의 지방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 비스(이소시아나토메틸)시클로헥산, 1,2-비스(이소시아나토메틸)시클로헥산, 1,3-비스(이소시아나토메틸)시클로헥산, 1,4-비스(이소시아나토메틸)시클로헥산, 디시클로헥실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디시클로헥실메탄-4,4'-디이소시아네이트, 디시클로헥실메탄-2,4'-디이소시아네이트, 시클로헥산디이소시아네이트, 메틸시클로헥산디이소시아네이트, 디시클로헥실디메틸메탄이소시아네이트, 2,5-비스(이소시아나토메틸)비시클로-[2.2.1]-헵탄, 2,6-비스(이소시아나토메틸)비시클로-[2.2.1]-헵탄, 3,8-비스(이소시아나토메틸)트리시클로데칸, 3,9-비스(이소시아나토메틸)트리시클로데칸, 4,8-비스(이소시아나토메틸)트리시클로데칸, 4,9-비스(이소시아나토메틸)트리시클로데칸 등의 지환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디페닐술피드-4,4-디이소시아네이트, 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페닐렌디이소시아네이트, 1,3-페닐렌디이소시아네이트, 1,4-페닐렌디이소시아네이트, 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의 방향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2,5-디이소시아나토티오펜, 2,5-비스(이소시아나토메틸)티오펜, 2,5-디이소시아나토테트라히드로티오펜, 2,5-비스(이소시아나토메틸)테트라히드로티오펜, 3,4-비스(이소시아나토메틸)테트라히드로티오펜, 2,5-디이소시아나토-1,4-디티안, 2,5-비스(이소시아나토메틸)-1,4-디티안, 4,5-디이소시아나토-1,3-디티올란, 4,5-비스(이소시아나토메틸)-1,3-디티올란 등의 복소환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A)로서는, 이들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사용할 수 있다.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A)로서는, 단량체 이외에, 변성체 및/또는 변성체와의 혼합물인 경우도 포함하며, 이소시아네이트의 변성체로서는, 예를 들어 다량체, 뷰렛 변성체, 알로파네이트 변성체, 옥사디아진트리온 변성체, 폴리올 변성체 등을 들 수 있다. 다량체로서는, 예를 들어 우레트디온, 우레트이민, 카르보디이미드 등의 2량체, 이소시아누레이트, 이미노옥사디안디온 등의 3량체 이상의 다량체를 들 수 있다.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A)로서는,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펜타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m-크실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 비스(이소시아나토메틸)시클로헥산, 디시클로헥실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2,5-비스(이소시아나토메틸)비시클로-[2.2.1]-헵탄, 2,6-비스(이소시아나토메틸)비시클로-[2.2.1]-헵탄, 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페닐렌디이소시아네이트, 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가 바람직하고,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 m-크실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비스(이소시아나토메틸)시클로헥산, 디시클로헥실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2,5-비스(이소시아나토메틸)비시클로-[2.2.1]-헵탄, 2,6-비스(이소시아나토메틸)비시클로-[2.2.1]-헵탄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들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은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의 혼합물로서 사용해도 된다.
[(B) 폴리올 화합물]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폴리올 화합물 (B)로서는, 수 평균 분자량이 100 이상인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폴리올 화합물 (B)로서는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프로필렌글리콜을 들 수 있으며, 이들은 에틸렌글리콜이나 디에틸렌글리콜, 트리에틸렌글리콜 등의 저분자 올리고머를 포함하고 있어도 되고, 또한 단독으로 사용해도, 2종 이상의 혼합물로서 사용해도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폴리에틸렌글리콜 또는 폴리프로필렌글리콜은 이들의 디올형 또는 트리올형을 포함한다.
또한, 폴리올 화합물 (B)로서는, 3관능 이상의 알코올과 에틸렌옥사이드, 프로필렌옥사이드, ε-카프로락톤을 부가시킨 화합물이어도 된다. 예를 들어, 글리세롤의 에틸렌옥사이드 부가체, 트리메틸올프로판의 에틸렌옥사이드 부가체, 펜타에리트리톨의 에틸렌옥사이드 부가체, 글리세롤의 프로필렌옥사이드 부가체, 트리메틸올프로판의 프로필렌옥사이드 부가체, 펜타에리트리톨의 프로필렌옥사이드 부가체, 카프로락톤 변성 글리세롤, 카프로락톤 변성 트리메틸올프로판, 카프로락톤 변성 펜타에리트리톨 등을 들 수 있다.
폴리올 화합물 (B)의 수 평균 분자량은 하한이 100 이상, 바람직하게는 20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300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400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600 이상이며, 상한이 400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3000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2000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1500 이하이다. 상한과 하한은 적절히 조합할 수 있다.
폴리올 화합물 (B)의 수 평균 분자량이 상기 범위에 있음으로써, 폴리(티오)우레탄 수지의 기계 강도 등의 우수한 특성을 손상시키지 않고 포토크로믹 성능을 효과적으로 발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폴리올 화합물 (B)가 폴리에틸렌글리콜인 경우, 수 평균 분자량이 400 내지 2000이면 발색 성능이 보다 개선되고, 수지 성형체의 백탁이 보다 억제된다.
또한, 폴리올 화합물 (B)가 폴리프로필렌글리콜인 경우, 수 평균 분자량이 400 내지 2000이면 발색 성능이 보다 개선되고, 수지 성형체의 백탁이 보다 억제된다.
또한, 폴리프로필렌글리콜로부터 얻어지는 수지 성형체는, 폴리에틸렌글리콜로부터 얻어지는 수지 성형체와 비교하여, 보다 높은 내열성, 강성을 발휘할 수 있다. 따라서, 안경용 렌즈와 같은 다양한 환경, 조건에서 사용되는 용도로는 폴리에틸렌글리콜보다 폴리프로필렌글리콜 쪽이 보다 바람직한 경우가 있다.
폴리올 화합물 (B)로서는 1,4-부탄디올, 3-메틸-1,5-펜탄디올, 1,9-노난디올, 1,4-비스(히드록시에톡시)벤젠, 1,3-비스(m-히드록시에톡시)벤젠, 2,2-[(1,1-비페닐)-4,4-디일비스(옥시)]비스에탄올 등의 폴리에틸렌글리콜 부가체 혹은 폴리프로필렌글리콜 부가체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의 혼합물로서 사용해도 된다.
이들 화합물의 수 평균 분자량은 하한이 200 이상, 바람직하게는 30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400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500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600 이상이며, 상한이 4000 이하, 바람직하게는 300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000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500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1000 이하이다. 상한과 하한은 적절히 조합할 수 있다. 수 평균 분자량이 상기 범위에 있음으로써, 폴리(티오)우레탄 수지의 기계 강도 등의 우수한 특성을 손상시키지 않고 포토크로믹 성능을 효과적으로 발현할 수 있다.
폴리올 화합물 (B)로서는, 비스페놀 A의 폴리에틸렌글리콜 부가체나 비스페놀 A의 폴리프로필렌글리콜 부가체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의 혼합물로서 사용해도 된다.
이들 화합물의 수 평균 분자량은 하한이 200 이상, 바람직하게는 30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400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500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600 이상이며, 상한이 4000 이하, 바람직하게는 300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000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500 이하이다. 상한과 하한은 적절히 조합할 수 있다. 수 평균 분자량이 상기 범위에 있음으로써, 폴리(티오)우레탄 수지의 기계 강도 등의 우수한 특성을 손상시키지 않고 포토크로믹 성능을 효과적으로 발현할 수 있다.
폴리올 화합물 (B)로서는, 디올 화합물과 디카르복실산으로 이루어지는 폴리에스테르 화합물을 들 수 있다.
폴리에스테르 화합물을 구성하는 디올 화합물로서는 특별히 한정은 없지만, 주쇄의 탄소수 2 내지 12의 지방족 디올이 적합하게 사용되며, 이들의 예로서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1,4-부탄디올, 3-메틸-1,5-펜탄디올, 1,9-노난디올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폴리에스테르 화합물을 구성하는 디카르복실산으로서도 특별히 한정은 없지만, 주쇄의 탄소수 2 내지 12의 지방족 디카르복실산이나 방향족 디카르복실산이 적합하게 사용되며, 이들의 예로서 숙신산, 아디프산, 세바스산, 이소프탈산, 테레프탈산 등을 들 수 있다.
폴리에스테르 화합물은 이들 디올 화합물의 1종 또는 2종 이상과, 디카르복실산의 1종 또는 2종 이상을 적절히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락톤을 개환 중합하여 얻어지는 폴리에스테르 화합물도 본 실시 형태에 사용할 수 있다. 락톤 화합물의 예로서는, α-아세토락톤, β-프로피오락톤, γ-부티로락톤, δ-발레로락톤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화합물의 수 평균 분자량은 하한이 600 이상, 바람직하게는 800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0 이상이며, 상한은 400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3000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2000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1500 이하이다. 상한과 하한은 적절히 조합할 수 있다. 수 평균 분자량이 상기 범위에 있음으로써, 폴리(티오)우레탄 수지의 기계 강도 등의 우수한 특성을 손상시키지 않고 포토크로믹 성능을 효과적으로 발현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폴리올 화합물 (B)를 사용함으로써, 포토크로믹 성능을 효과적으로 발현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폴리올 화합물 (B)로서, 상기 예시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폴리에틸렌글리콜 또는 폴리프로필렌글리콜의 디올형 또는 트리올형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폴리프로필렌글리콜의 디올형 또는 트리올형을 사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폴리올 화합물 (B)는, 2관능 이상의 활성 수소 화합물 (C)의 중량에 대하여, 0.05중량배 내지 10중량배의 범위에서 사용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높은 포토크로믹 성능을 유지한 채 용도에 따라 요구되는 수지 성능이 얻어지도록 당해 범위 내에서 사용된다. 바람직하게는 0.1중량배 내지 5중량배의 범위이다.
활성 수소 화합물 (C)에 대한 폴리올 화합물 (B)의 중량배가 상기 범위에 있음으로써, 높은 조광 성능, 즉 진한 발색 농도와 빠른 농도 변화를 적합하게 발휘할 수 있다. 또한, 가교 밀도가 최적의 범위로 되기 때문에, 강성, 표면 경도, 내열성 등이 보다 우수한 광학 재료를 얻을 수 있다.
[(C) 2관능 이상의 활성 수소 화합물]
2관능 이상의 활성 수소 화합물 (C)(이하, 간단히 「활성 수소 화합물 (C)」)로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폴리올 화합물, 폴리티올 화합물, 히드록시기를 갖는 티올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적절히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활성 수소 화합물 (C)는, 상기 폴리올 화합물 (B)를 포함하지 않는다.
폴리올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어 에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트리프로필렌글리콜, 부틸렌글리콜, 네오펜틸글리콜, 글리세린, 트리메틸올에탄, 트리메틸올프로판, 디트리메틸올프로판, 부탄트리올, 1,2-메틸글루코사이드, 펜타에리트리톨, 디펜타에리트리톨, 트리펜타에리트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트레이톨, 리비톨, 아라비니톨, 크실리톨, 알리톨, 만니톨, 둘시톨, 이디톨, 글리콜, 이노시톨, 헥산트리올, 트리글리세로스, 디글리페롤, 트리에틸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트리스(2-히드록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 시클로부탄디올, 시클로펜탄디올, 시클로헥산디올, 시클로헵탄디올, 시클로옥탄디올, 시클로헥산디메탄올, 히드록시프로필시클로헥산올, 트리시클로[5.2.1.02,6]데칸-디메탄올, 비시클로[4.3.0]-노난디올, 디시클로헥산디올, 트리시클로[5.3.1.1]도데칸디올, 비시클로[4.3.0]노난디메탄올, 트리시클로[5.3.1.1]도데칸-디에탄올, 히드록시프로필트리시클로[5.3.1.1]도데칸올, 스피로[3.4]옥탄디올, 부틸시클로헥산디올, 1,1'-비시클로헥실리덴디올, 시클로헥산트리올, 말티톨, 락토오스 등의 지방족 폴리올;
디히드록시나프탈렌, 트리히드록시나프탈렌, 테트라히드록시나프탈렌, 디히드록시벤젠, 벤젠트리올, 비페닐테트라올, 피로갈롤, (히드록시나프틸)피로갈롤, 트리히드록시페난트렌, 비스페놀 A, 비스페놀 F, 크실릴렌글리콜, 디(2-히드록시에톡시)벤젠, 비스페놀 A-비스-(2-히드록시에틸에테르), 테트라브롬 비스페놀 A, 테트라브롬 비스페놀 A-비스-(2-히드록시에틸에테르) 등의 방향족 폴리올;
디브로모네오펜틸글리콜 등의 할로겐화 폴리올;
글리세롤의 에틸렌옥사이드 부가체, 트리메틸올프로판의 에틸렌옥사이드 부가체, 펜타에리트리톨의 에틸렌옥사이드 부가체, 글리세롤의 프로필렌옥사이드 부가체, 트리메틸올프로판의 프로필렌옥사이드 부가체, 펜타에리트리톨의 프로필렌옥사이드 부가체, 카프로락톤 변성 글리세롤, 카프로락톤 변성 트리메틸올프로판, 카프로락톤 변성 펜타에리트리톨 등의 3관능 이상의 알코올과 에틸렌옥사이드, 프로필렌옥사이드, ε-카프로락톤을 부가시킨 화합물;
에폭시 수지 등의 고분자 폴리올을 들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이들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폴리올 화합물로서, 그 밖에 옥살산, 글루탐산, 아디프산, 아세트산, 프로피온산, 시클로헥산카르복실산, β-옥소시클로헥산프로피온산, 다이머산, 프탈산, 이소프탈산, 살리실산, 3-브로모프로피온산, 2-브로모글리콜, 디카르복시시클로헥산, 피로멜리트산, 부탄테트라카르복실산, 브로모프탈산 등의 유기산과 상기 폴리올과의 축합 반응 생성물;
상기 폴리올과 에틸렌옥사이드나 프로필렌옥사이드 등 알킬렌옥사이드와의 부가 반응 생성물;
알킬렌폴리아민과 에틸렌옥사이드나 프로필렌옥사이드 등 알킬렌옥사이드와의 부가 반응 생성물; 나아가,
비스-[4-(히드록시에톡시)페닐]술피드, 비스-[4-(2-히드록시프로폭시)페닐]술피드, 비스-[4-(2,3-디히드록시프로폭시)페닐]술피드, 비스-[4-(4-히드록시시클로헥실옥시)페닐]술피드, 비스-[2-메틸-4-(히드록시에톡시)-6-부틸페닐]술피드 및 이들 화합물에 수산기당 평균 3분자 이하의 에틸렌옥시드 및/또는 프로필렌옥시드가 부가된 화합물;
디-(2-히드록시에틸)술피드, 1,2-비스-(2-히드록시에틸머캅토)에탄, 비스(2-히드록시에틸)디술피드, 1,4-디티안-2,5-디올, 비스(2,3-디히드록시프로필)술피드, 테트라키스(4-히드록시-2-티아부틸)메탄, 비스(4-히드록시페닐)술폰(상품명 비스페놀 S), 테트라브로모 비스페놀 S, 테트라메틸 비스페놀 S, 4,4'-티오비스(6-tert-부틸-3-메틸페놀), 1,3-비스(2-히드록시에틸티오에틸)-시클로헥산 등의 황 원자를 함유한 폴리올 등을 들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이들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폴리티올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어 메탄디티올, 1,2-에탄디티올, 1,2,3-프로판트리티올, 1,2-시클로헥산디티올, 비스(2-머캅토에틸)에테르, 테트라키스(머캅토메틸)메탄, 디에틸렌글리콜비스(2-머캅토아세테이트), 디에틸렌글리콜비스(3-머캅토프로피오네이트), 에틸렌글리콜비스(2-머캅토아세테이트), 에틸렌글리콜비스(3-머캅토프로피오네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스(2-머캅토아세테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스(3-머캅토프로피오네이트), 트리메틸올에탄트리스(2-머캅토아세테이트), 트리메틸올에탄트리스(3-머캅토프로피오네이트), 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키스(2-머캅토아세테이트), 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키스(3-머캅토프로피오네이트), 비스(머캅토메틸)술피드, 비스(머캅토메틸)디술피드, 비스(머캅토에틸)술피드, 비스(머캅토에틸)디술피드, 비스(머캅토프로필)술피드, 비스(머캅토메틸티오)메탄, 비스(2-머캅토에틸티오)메탄, 비스(3-머캅토프로필티오)메탄, 1,2-비스(머캅토메틸티오)에탄, 1,2-비스(2-머캅토에틸티오)에탄, 1,2-비스(3-머캅토프로필티오)에탄, 1,2,3-트리스(머캅토메틸티오)프로판, 1,2,3-트리스(2-머캅토에틸티오)프로판, 1,2,3-트리스(3-머캅토프로필티오)프로판, 4-머캅토메틸-1,8-디머캅토-3,6-디티아옥탄, 5,7-디머캅토메틸-1,11-디머캅토-3,6,9-트리티아운데칸, 4,7-디머캅토메틸-1,11-디머캅토-3,6,9-트리티아운데칸, 4,8-디머캅토메틸-1,11-디머캅토-3,6,9-트리티아운데칸, 테트라키스(머캅토메틸티오메틸)메탄, 테트라키스(2-머캅토에틸티오메틸)메탄, 테트라키스(3-머캅토프로필티오메틸)메탄, 비스(2,3-디머캅토프로필)술피드, 2,5-디머캅토메틸-1,4-디티안, 2,5-디머캅토-1,4-디티안, 2,5-디머캅토메틸-2,5-디메틸-1,4-디티안, 및 이들의 티오글리콜산 및 머캅토프로피온산의 에스테르, 히드록시메틸술피드비스(2-머캅토아세테이트), 히드록시메틸술피드비스(3-머캅토프로피오네이트), 히드록시에틸술피드비스(2-머캅토아세테이트), 히드록시에틸술피드비스(3-머캅토프로피오네이트), 히드록시메틸디술피드비스(2-머캅토아세테이트), 히드록시메틸디술피드비스(3-머캅토프로피오네이트), 히드록시에틸디술피드비스(2-머캅토아세테이트), 히드록시에틸디술피드비스(3-머캅토프로피오네이트), 2-머캅토에틸에테르비스(2-머캅토아세테이트), 2-머캅토에틸에테르비스(3-머캅토프로피오네이트), 티오디글리콜산비스(2-머캅토에틸에스테르), 티오디프로피온산비스(2-머캅토에틸에스테르), 디티오디글리콜산비스(2-머캅토에틸에스테르), 디티오디프로피온산비스(2-머캅토에틸에스테르), 1,1,3,3-테트라키스(머캅토메틸티오)프로판, 1,1,2,2-테트라키스(머캅토메틸티오)에탄, 4,6-비스(머캅토메틸티오)-1,3-디티안, 트리스(머캅토메틸티오)메탄, 트리스(머캅토에틸티오)메탄 등의 지방족 폴리티올 화합물;
1,2-디머캅토벤젠, 1,3-디머캅토벤젠, 1,4-디머캅토벤젠, 1,2-비스(머캅토메틸)벤젠, 1,3-비스(머캅토메틸)벤젠, 1,4-비스(머캅토메틸)벤젠, 1,2-비스(머캅토에틸)벤젠, 1,3-비스(머캅토에틸)벤젠, 1,4-비스(머캅토에틸)벤젠, 1,3,5-트리머캅토벤젠, 1,3,5-트리스(머캅토메틸)벤젠, 1,3,5-트리스(머캅토메틸렌옥시)벤젠, 1,3,5-트리스(머캅토에틸렌옥시)벤젠, 2,5-톨루엔디티올, 3,4-톨루엔디티올, 1,5-나프탈렌디티올, 2,6-나프탈렌디티올 등의 방향족 폴리티올 화합물;
2-메틸아미노-4,6-디티올-sym-트리아진, 3,4-티오펜디티올, 비스무티올, 4,6-비스(머캅토메틸티오)-1,3-디티안, 2-(2,2-비스(머캅토메틸티오)에틸)-1,3-디티에탄 등의 복소환 폴리티올 화합물;
하기 일반식 (a)로 표시되는 화합물 등을 들 수 있지만, 이들 예시 화합물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이들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Figure 112018025846413-pct00002
식 중, a, b는 독립적으로 1 내지 4의 정수를 나타내고, c는 1 내지 3의 정수를 나타낸다. Z는 수소 또는 메틸기이며, Z가 복수 존재하는 경우에는, 각각 동일해도 되고 상이해도 된다.
히드록시기를 갖는 티올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어 2-머캅토에탄올, 3-머캅토-1,2-프로판디올, 글리세린비스(머캅토아세테이트), 4-머캅토페놀, 2,3-디머캅토-1-프로판올, 펜타에리트리톨트리스(3-머캅토프로피오네이트), 펜타에리트리톨트리스(티오글리콜레이트) 등을 들 수 있지만, 이들 예시 화합물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들 활성 수소 화합물의 올리고머나 염소 치환체, 브롬 치환체 등의 할로겐 치환체를 사용해도 된다. 이들 활성 수소 화합물은 단독이어도, 2종류 이상을 혼합해도 사용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얻어지는 성형체의 기계적 강도 등의 물성의 관점에서, 활성 수소 화합물 (C)로서, 3관능 이상의 활성 수소 화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글리세린, 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키스(2-머캅토아세테이트), 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키스(3-머캅토프로피오네이트), 4-머캅토메틸-1,8-디머캅토-3,6-디티아옥탄, 5,7-디머캅토메틸-1,11-디머캅토-3,6,9-트리티아운데칸, 4,7-디머캅토메틸-1,11-디머캅토-3,6,9-트리티아운데칸, 4,8-디머캅토메틸-1,11-디머캅토-3,6,9-트리티아운데칸, 1,1,3,3-테트라키스(머캅토메틸티오)프로판,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스(3-머캅토프로피오네이트)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또한, 폴리올 화합물 (B)와 활성 수소 화합물 (C)의 바람직한 조합으로서는,
폴리에틸렌글리콜과, 글리세린, 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키스(2-머캅토아세테이트) 및 4-머캅토메틸-1,8-디머캅토-3,6-디티아옥탄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과의 조합,
폴리프로필렌글리콜과, 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키스(2-머캅토아세테이트) 및 4-머캅토메틸-1,8-디머캅토-3,6-디티아옥탄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과의 조합,
비스페놀 A의 폴리프로필렌글리콜 부가체와, 4-머캅토메틸-1,8-디머캅토-3,6-디티아옥탄과의 조합,
3-메틸-1,5-펜탄디올, 아디프산, 이소프탈산으로 이루어지는 폴리에스테르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과, 4-머캅토메틸-1,8-디머캅토-3,6-디티아옥탄과의 조합,
폴리프로필렌글리콜의 트리올형과, 5,7-디머캅토메틸-1,11-디머캅토-3,6,9-트리티아운데칸, 4,7-디머캅토메틸-1,11-디머캅토-3,6,9-트리티아운데칸, 4,8-디머캅토메틸-1,11-디머캅토-3,6,9-트리티아운데칸을 포함하는 조성물과의 조합,
폴리프로필렌글리콜의 디올형과, 5,7-디머캅토메틸-1,11-디머캅토-3,6,9-트리티아운데칸, 4,7-디머캅토메틸-1,11-디머캅토-3,6,9-트리티아운데칸, 4,8-디머캅토메틸-1,11-디머캅토-3,6,9-트리티아운데칸을 포함하는 조성물과의 조합,
폴리프로필렌글리콜의 디올형과, 4-머캅토메틸-1,8-디머캅토-3,6-디티아옥탄과의 조합
등을 들 수 있지만, 이들 조합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D) 포토크로믹 화합물]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포토크로믹 화합물 (D)로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으며, 포토크로믹 렌즈에 사용할 수 있는 종래 공지의 화합물 중에서, 임의의 것을 적절히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피로피란계 화합물, 스피로옥사진계 화합물, 풀기드계 화합물, 나프토피란계 화합물, 비스이미다졸 화합물 등으로부터 원하는 착색에 따라, 1종 또는 2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일반식 (1) 및 일반식 (2)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포토크로믹 화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PC-L-Chain (1)
PC-L-Chain-L'-PC' (2)
PC와 PC'은 일반식 (3) 내지 (6)의 화합물로부터 유도되는 1가의 기를 나타낸다. PC와 PC'은 동일해도 되고 상이해도 된다.
Figure 112018025846413-pct00003
식 (3) 내지 (6) 중, R1 내지 R18은, 수소, 할로겐 원자, 카르복실기, 아세틸기, 포르밀기, 치환되어도 되는 C1 내지 C20의 지방족기, 치환되어도 되는 C3 내지 C20의 지환족기, 또는 치환되어도 되는 C6 내지 C20의 방향족 유기기를 나타내고, 각각 동일해도 되고 상이해도 된다. 이들 지방족기, 지환족기 또는 방향족 유기기는, 산소 원자, 질소 원자를 포함해도 된다. 일반식 (3) 내지 (6)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에 포함되는, 어느 하나의 기는, 2가의 유기기인 L 또는 L'과 결합한다.
치환되어도 되는 C1 내지 C20의 지방족기로서는, 직쇄 혹은 분지쇄상의 C1 내지 C10 알킬기, 직쇄 혹은 분지쇄상의 C1 내지 C10 알콕시기, 직쇄 혹은 분지쇄상의 C2 내지 C10 알케닐기, C1 내지 C10 히드록시알킬기, C1 내지 C10 히드록시알콕시기, C1 내지 C10 알콕시기로 치환된 C1 내지 C10 알킬기, C1 내지 C10 알콕시기로 치환된 C1 내지 C10 알콕시기, C1 내지 C5 할로알킬기, C1 내지 C5 디할로알킬기, C1 내지 C5 트리할로알킬기, C1 내지 C10 알킬아미노기, C1 내지 C10 아미노알킬기, 직쇄 혹은 분지쇄상의 C1 내지 C20 알콕시카르보닐기 등을 들 수 있다.
치환되어도 되는 C3 내지 C20의 지환족기로서, C3 내지 C20의 시클로알킬기, C6 내지 C20의 비시클로알킬기 등을 들 수 있다.
치환되어도 되는 C6 내지 C20의 방향족 유기기로서는, 페닐기, C7 내지 C16 알콕시페닐기, 아릴아미노기, 디아릴아미노기, 아릴 C1 내지 C5 알킬아미노기, 환상 아미노기, 아릴카르보닐기, 아로일기 등을 들 수 있다.
R1과 R2로서, 바람직하게는, 수소 원자; 할로겐 원자;
직쇄 혹은 분지쇄상의 C1 내지 C10 알킬기, 직쇄 혹은 분지쇄상의 C1 내지 C10 알콕시기, C1 내지 C10 히드록시알콕시기, C1 내지 C10 알콕시기로 치환된 C1 내지 C10 알콕시기, C1 내지 C5 할로알킬기, C1 내지 C5 디할로알킬기, C1 내지 C5 트리할로알킬기, C1 내지 C5 알킬아미노기 등의, 치환되어도 되는 C1 내지 C20의 지방족기;
페닐기, C7 내지 C16 알콕시페닐기, C1 내지 C5 디알킬아미노기, 아릴아미노기, 디아릴아미노기, 아릴 C1 내지 C5 알킬아미노기, 환상 아미노기 등의, 치환되어도 되는 C6 내지 C20의 방향족 유기기; 등을 들 수 있다. R1과 R2는, 각각 동일해도 되고 상이해도 된다.
R3으로서, 바람직하게는, 수소 원자; 할로겐 원자; 카르복실기; 아세틸기;
직쇄 혹은 분지쇄상의 C1 내지 C10 알킬기, 직쇄 혹은 분지쇄상의 C2 내지 C10 알케닐기, 직쇄 혹은 분지쇄상의 C1 내지 C10 알콕시기, C1 내지 C10 히드록시알킬기, C1 내지 C10 알콕시기로 치환된 C1 내지 C10 알킬기, C1 내지 C10 아미노알킬기, 직쇄 혹은 분지쇄상의 C1 내지 C20 알콕시카르보닐기 등의, 치환되어도 되는 C1 내지 C20의 지방족기;
C3 내지 C20의 시클로알킬기, C6 내지 C20의 비시클로알킬기 등의, 치환되어도 되는 C3 내지 C20의 지환족기;
아릴카르보닐기, 포르밀기, 아로일기 등의, 치환되어도 되는 C6 내지 C20의 방향족 유기기; 등을 들 수 있다.
R4로서, 바람직하게는, 수소 원자; 할로겐 원자; 카르복실기; 아세틸기; 포르밀기;
직쇄 혹은 분지쇄상의 C1 내지 C10 알킬기, 직쇄 혹은 분지쇄상의 C2 내지 C10 알케닐기, 직쇄 혹은 분지쇄상의 C1 내지 C10 알콕시기, C1 내지 C10 히드록시알킬기, C1 내지 C10 알콕시기로 치환된 C1 내지 C10 알킬기, C1 내지 C10 아미노알킬기, 직쇄 혹은 분지쇄상의 C1 내지 C20 알콕시카르보닐기 등의, 치환되어도 되는 C1 내지 C20의 지방족기;
C3 내지 C20의 시클로알킬기, C6 내지 C20의 비시클로알킬기 등의, 치환되어도 되는 C3 내지 C20의 지환족기;
아릴카르보닐기, 아로일기, 페닐기, C7 내지 C16 알콕시페닐기, C1 내지 C10 디알콕시페닐기, C1 내지 C10 알킬페닐기, C1 내지 C10 디알킬페닐기 등의, 치환되어도 되는 C6 내지 C20의 방향족 유기기; 등을 들 수 있다.
R3과 R4는 서로 결합해도 된다. R3과 R4가 서로 결합하여 환 구조를 형성하는 경우, 일반식 (7) 또는 (8)을 들 수 있다. 점선 부분이 R3이 결합하고 있는 탄소 원자와 R4가 결합하고 있는 탄소 원자 사이의 결합을 나타낸다.
Figure 112018025846413-pct00004
R5, R6, R7, R8, R9, R10, R14, R15, R16은, R1, R2와 동일한 관능기를 나타낸다. 복수 존재하는 R5 내지 R7은 동일해도 되고 상이해도 된다.
R11로서, 바람직하게는, 수소 원자; 할로겐 원자;
직쇄 혹은 분지쇄상의 C1 내지 C20 알킬기, C1 내지 C5 할로알킬기, C1 내지 C5 디할로알킬기, C1 내지 C5 트리할로알킬기 등의, 치환되어도 되는 C1 내지 C20의 지방족기;
C3 내지 C20의 시클로알킬기, C6 내지 C20의 비시클로알킬기, C1 내지 C5 알킬기로 치환된 C3 내지 C20 시클로알킬기, C1 내지 C5 알킬기로 치환된 C6 내지 C20의 비시클로알킬기 등의, 치환되어도 되는 C3 내지 C20의 지환족기;
C1 내지 C5 알킬기로 치환된 아릴기 등의, 치환되어도 되는 C6 내지 C20의 방향족 유기기; 등을 들 수 있다.
R12와 R13으로서, 바람직하게는, 수소 원자; 할로겐 원자;
C1 내지 C10 알킬기, C1 내지 C5 알킬알콕시카르보닐기 등의, 치환되어도 되는 C1 내지 C20의 지방족기; C5 내지 C7의 시클로알킬기 등의, 치환되어도 되는 C3 내지 C20의 지환족기; 등을 나타낸다.
R17과 R18로서, 바람직하게는, 수소 원자; 할로겐 원자;
직쇄 혹은 분지쇄상의 C1 내지 C10 알킬기, C1 내지 C10 히드록시알킬기 등의, 치환되어도 되는 C1 내지 C20의 지방족기; C5 내지 C7의 시클로알킬기 등의, 치환되어도 되는 C3 내지 C20의 지환족기; 등을 나타낸다.
일반식 (1) 또는 (2)의 L과 L'은, 옥시에틸렌쇄, 옥시프로필렌쇄, (티오)에스테르기, (티오)아미드기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기를 포함하는 2가의 유기기를 나타낸다.
구체적으로는, L과 L'은, 일반식 (9) 내지 (15)로 표시된다. L과 L'은 동일해도 되고 상이해도 된다.
Figure 112018025846413-pct00005
식 (9) 내지 (15) 중,
Y는 산소, 황을 나타낸다.
R19는 수소, 직쇄 혹은 분지쇄상의 C1 내지 C10 알킬기를 나타낸다.
R20은 직쇄 혹은 분지쇄상의 C1 내지 C10 알킬기를 나타낸다.
p는 0 내지 15의 정수를 나타내고, r은 0 내지 10의 정수를 나타낸다.
Q는 직쇄 혹은 분지쇄상의 C1 내지 C10 알킬렌기, C1 내지 C10 알케닐렌기, 1,2-, 1,3-, 1,4-위치의 치환 아릴기로부터 유도되는 2가의 기, 치환 헤테로아릴기로부터 유도되는 2가의 기 등을 나타낸다.
*1, *2는 결합손을 나타내며, *1은 「Chain」으로 표시되는 1가 또는 2가의 유기기와 결합하고, *2는 PC 또는 PC'으로 표시되는 1가의 유기기와 결합한다.
일반식 (1) 또는 (2)의 「Chain」은, 폴리실록산쇄, 폴리옥시알킬렌쇄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쇄를 포함하는 1가 또는 2가의 유기기를 나타낸다.
폴리실록산쇄로서는, 폴리디메틸실록산쇄, 폴리메틸페닐실록산쇄, 폴리메틸히드로실록산쇄 등을 들 수 있다.
폴리옥시알킬렌쇄로서는, 폴리옥시에틸렌쇄, 폴리옥시프로필렌쇄, 폴리옥시헥사메틸렌쇄 등을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Chain」은, 포토크로믹 화합물이 일반식 (1)인 경우에는, 일반식 (16) 또는 (17)의 1가의 유기기를 나타낸다.
Figure 112018025846413-pct00006
「Chain」은, 포토크로믹 화합물이 일반식 (2)인 경우, 일반식 (18) 또는 (19)의 2가의 유기기를 나타낸다.
Figure 112018025846413-pct00007
식 (16) 내지 (19) 중,
R21은 직쇄 혹은 분지쇄상의 C1 내지 C10 알킬기를 나타낸다.
R22는 직쇄 혹은 분지쇄상의 C1 내지 C10 알킬기를 나타낸다.
R23은 수소, 메틸기, 에틸기를 나타낸다.
n은 4 내지 75의 정수를 나타내고, m은 1 내지 50의 정수를 나타낸다.
q는 1 내지 3의 정수를 나타낸다.
*3, *4는 결합손을 나타내며, *3은 L로 표시되는 2가의 유기기와 결합하고, *4는 L'으로 표시되는 2가의 유기기와 결합한다.
본 실시 형태의 포토크로믹 화합물은, WO2009/146509 공보, WO2010/20770 공보, WO2012/149599 공보, WO2012/162725 공보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얻어진다.
본 실시 형태의 포토크로믹 화합물로서는, Vivimed사의 Reversacol Humber Blue(폴리디메틸실록산쇄, 나프토피란계 발색단(일반식 3)), Reversacol Calder Blue(폴리디메틸실록산쇄, 나프토피란계 발색단(일반식 3)), Reversacol Trent Blue(폴리디메틸실록산쇄, 나프토피란계 발색단(일반식 3)), Reversacol Pennine Green(폴리디메틸실록산쇄, 나프토피란계 발색단(일반식 3)), Reversacol Heath Green(폴리옥시알킬렌쇄, 나프토피란계 발색단(일반식 3)), Reversacol Chilli Red(폴리디메틸실록산쇄, 나프토피란계 발색단(일반식 3)), Reversacol Wembley Grey(폴리옥시알킬렌쇄, 나프토피란계 발색단(일반식 3)), Reversacol Cayenne Red(폴리옥시알킬렌쇄, 나프토피란계 발색단(일반식 3)) 등을 들 수 있으며, 1종 또는 2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Reversacol Trent Blue, Reversacol Heath Green, Reversacol Chilli Red, Reversacol Wembley Grey, Reversacol Cayenne Red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E) 자외선 흡수제]
본 실시 형태의 광학 재료용 중합 조성물에 사용되는, 내광성 향상에 효과가 있는 (E) 자외선 흡수제는, 벤조트리아졸계 자외선 흡수제, 트리아진계 자외선 흡수제, 벤조페논계 자외선 흡수제, 시아노아크릴레이트계 자외선 흡수제, 디페닐아크릴레이트계 자외선 흡수제, 페놀계 자외선 흡수제, 옥사닐리드계 자외선 흡수제 및 말론산에스테르계 자외선 흡수제를 들 수 있다. 자외선 흡수제로서의 능력은 최대 흡수 파장이 330nm 이하에 있고, 또한 최대 흡수 파장의 흡광도에 대한, 360nm의 흡광도의 비율이 0.1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05 이하이다. 바람직한 수치 범위에 해당하는 자외선 흡수제로서는, 하기 일반식 (i)로 표시되는 옥사닐리드계 자외선 흡수제, 하기 일반식 (ii)로 표시되는 말론산에스테르계 자외선 흡수제를 들 수 있다.
Figure 112018025846413-pct00008
일반식 (i) 중, Z1 및 Z2는 동일해도 되고 상이해도 되며, C1 내지 C6 알킬기, C1 내지 C6 알콕시기 등을 들 수 있다.
Figure 112018025846413-pct00009
일반식 (ii) 중, Z3은 치환되어 있어도 되는 C6 내지 C20의 방향족 유기기, 치환되어 있어도 되는 C5 내지 C20의 지환족기 등을 들 수 있고, Z4 및 Z5는 동일해도 되고 상이해도 되며, C1 내지 C6 알킬기, C1 내지 C6 알콕시기 등을 들 수 있다.
C6 내지 C20의 방향족 유기기로서는, 페닐기, 벤질기, 벤조일기, p-메톡시벤질기 등을 들 수 있다. C5 내지 C20의 지환족기로서는, 시클로펜틸기, 시클로헥실기, 시클로헵틸기, 시클로옥틸기, 시클로펜타닐기, 시클로데카닐기 등을 들 수 있다.
치환된 C6 내지 C20의 방향족 유기기의 치환기, 및 치환된 C5 내지 C20의 지환족기의 치환기로서는, C1 내지 C6 알킬기, C1 내지 C6 알콕시기 등을 들 수 있다.
일반식 (i) 또는 (ii)에 있어서, C1 내지 C6 알킬기로서는, 메틸기, 에틸기, 부틸기, 프로필기, 펜틸기, 헥실기 등을 들 수 있고, C1 내지 C6 알콕시기로서는, 메톡시기, 에톡시기, 부톡시기, 페녹시기 등을 들 수 있다.
구체적인 화합물명으로서는 2-에틸-2'-에톡시옥사닐리드, (p-메톡시벤질리덴)말론산디메틸을 일례로서 들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의 광학 재료용 중합 조성물에 사용되는, 내광성 향상에 효과가 있는 자외선 흡수제를 구체적으로 예시하면, Seesorb 107(시프로 가세이사제), Viosorb 583(쿄도 야쿠힝사제), Tinuvin 405(BASF사제), Tinuvin PS(BASF사제), HOSTAVIN PR 25(CLARIANT사제) 및 HOSTAVIN VSU(CLARIANT사제)를 들 수 있으며, HOSTAVIN PR 25 및 HOSTAVIN VSU가 바람직하다.
자외선 흡수제 (E)는, 본 발명의 효과의 관점에서, 광학 재료용 중합 조성물 중에 200 내지 14000ppm, 바람직하게는 500 내지 14000ppm,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0 내지 12000ppm, 특히 바람직하게는 5000 내지 10000ppm의 양으로 포함할 수 있다.
[(F) 광 안정제]
본 실시 형태의 광학 재료용 중합 조성물은, 추가로 광 안정제 (F)를 포함할 수 있다. 광 안정제 (F)를 사용함으로써, 더욱 내광성이 향상된다.
광 안정제 (F)로서는, 본 발명의 효과의 관점에서 힌더드 아민계 광 안정제가 사용된다.
힌더드 아민계 광 안정제로서는, 구체적으로 세바스산비스(1,2,2,6,6-펜타메틸-4-피페리딘), 세바스산1-(1,2,2,6,6-펜타메틸-4-피페리디닐)10-메틸, 비스(1-운데카녹시-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딘)카르보네이트, 세바스산비스(2,2,6,6-테트라메틸-1-피페리딘-4-옥실), 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딘헥사데카노에이트, 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딘옥타데카노에이트 등을 들 수 있으며,
세바스산비스(1,2,2,6,6-펜타메틸-4-피페리딘), 비스(1-운데카녹시-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딘)카르보네이트, 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딘헥사데카노에이트, 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딘옥타데카노에이트가 바람직하다.
본 실시 형태의 광학 재료용 중합 조성물에 사용되는, 내광성 향상에 효과가 있는 광 안정제를 구체적으로 예시하면, LA72(ADEKA사제), LA81(ADEKA사제), LA402AF(ADEKA사제)를 들 수 있다.
광안정화제 (F)는, 본 발명의 효과의 관점에서, 광학 재료용 중합 조성물 중에 500 내지 5000ppm, 바람직하게는 1000 내지 4000ppm, 더욱 바람직하게는 2500 내지 3500ppm의 양으로 포함할 수 있다.
[그 밖의 성분]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A) 내지 (E) 성분, 추가로 바람직하게 사용되는 상기 (F) 성분에 더하여, 중합 촉매, 내부 이형제, 수지 개질제 등을 더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중합 촉매로서는, 3급 아민 화합물 및 그의 무기산염 또는 유기산염, 금속 화합물, 4급 암모늄염, 또는 유기 술폰산 등을 들 수 있다.
내부 이형제로서는, 산성 인산에스테르를 사용할 수 있다. 산성 인산에스테르로서는, 인산모노에스테르, 인산디에스테르를 들 수 있으며, 각각 단독 또는 2종류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수지 개질제로서는, 예를 들어 에피술피드 화합물, 알코올 화합물, 아민 화합물, 에폭시 화합물, 유기산 및 그의 무수물, (메트)아크릴레이트 화합물 등을 포함하는 올레핀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광학 재료용 중합성 조성물의 제조 방법>
본 실시 형태의 광학 재료용 중합성 조성물은,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A), 폴리올 화합물 (B), 활성 수소 화합물 (C), 포토크로믹 화합물 (D), 자외선 흡수제 (E)를 혼합하여, 조제할 수 있다.
광 안정제 (F)를 첨가하는 경우에는, (A) 성분 내지 (F) 성분을 혼합하여, 조제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A)에 대한 폴리올 화합물 (B)의 관능기 당량비(B/A)는 하한이 0.001 이상, 바람직하게는 0.01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5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0.018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0.020 이상, 상한이 0.060 이하, 바람직하게는 0.05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040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0.030 이하이다. 상한과 하한은 적절히 조합할 수 있다.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A)에 대한 활성 수소 화합물 (C)의 관능기 당량비(C/A)는 하한이 0.30 이상, 바람직하게는 0.4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50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0.60 이상, 상한이 0.99 이하, 바람직하게는 0.98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90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0.80 이하이다. 상한과 하한은 적절히 조합할 수 있다.
당해 당량비의 범위임으로써, 높은 포토크로믹 성능을 발휘함과 함께, 폴리(티오)우레탄계 수지의 특징인 우수한 기계적 물성을 갖는, 밸런스가 우수한 광학 재료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에 있어서, 활성 수소 화합물 (C) 및 폴리올 화합물 (B)에 포함되는 OH기 및 SH기의 총합에 대한,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A)에 포함되는 NCO기의 몰비(NCO기/(OH기+SH기))는, 통상 0.8 내지 1.2의 범위 내이고, 바람직하게는 0.85 내지 1.15의 범위 내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9 내지 1.1의 범위 내이다.
NCO기/(OH기+SH기)의 몰비가 0.8 이상이면 미반응의 OH기나 SH기가 남지 않아, 조성물이 충분히 경화하여, 내열성, 내습성, 내광성이 우수한 수지가 얻어지고, NCO기/(OH기+SH기)의 비율이 1.2 이하이면 미반응의 NCO기가 남지 않아 내열성, 내습성, 내광성이 우수한 수지가 얻어지고, 미반응의 NCO기를 저감시키기 위해 반응 온도를 높일 필요도 없고, 착색 등의 결점이 보이지 않아, 수지 재료로서 바람직하다.
포토크로믹 화합물 (D)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A), 폴리올 화합물 (B) 및 활성 수소 화합물 (C)의 합계량에 대하여, 10ppm 내지 5000ppm으로 사용할 수 있다.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A)와, 폴리올 화합물 (B)와, 활성 수소 화합물 (C)와, 포토크로믹 화합물 (D)와, 자외선 흡수제 (E)와, 추가로 바람직한 형태에 있어서 사용되는 광 안정제 (F)와, 그 밖의 첨가제를 혼합하여 중합성 조성물을 조제하는 경우의 온도는 통상 25℃ 이하에서 행해진다. 중합성 조성물의 가용 시간의 관점에서, 더 저온으로 하면 바람직한 경우가 있다. 단, 촉매, 내부 이형제, 첨가제의 단량체에 대한 용해성이 양호하지 않은 경우에는, 미리 가온하여, 단량체, 수지 개질제에 용해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조성물 중의 각 성분의 혼합 순서나 혼합 방법은, 각 성분을 균일하게 혼합할 수 있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공지의 방법으로 행할 수 있다. 공지의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어 첨가제를 소정량 포함하는 마스터 배치를 제작하여, 이 마스터 배치를 용매에 분산ㆍ용해시키는 방법 등이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광학 재료의 제조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바람직한 제조 방법으로서 주형 중합을 들 수 있다. 먼저, 개스킷 또는 테이프 등으로 유지된 성형 몰드 사이에 중합성 조성물을 주입한다. 이때, 얻어지는 플라스틱 렌즈에 요구되는 물성에 따라서는, 필요에 따라, 감압 하에서의 탈포 처리나 가압, 감압 등의 여과 처리 등을 행하는 것이 바람직한 경우가 많다.
중합 조건에 대해서는, 중합성 조성물의 조성, 촉매의 종류와 사용량, 몰드의 형상 등에 따라 크게 조건이 상이하기 때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대략, -50 내지 150℃의 온도에서 1 내지 50시간에 걸쳐 행해진다. 경우에 따라서는, 10 내지 150℃의 온도 범위에서 유지 또는 서서히 승온하여, 1 내지 25시간 경화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광학 재료는, 필요에 따라, 어닐 등의 처리를 행해도 된다. 처리 온도는 통상 50 내지 150℃ 사이에서 행해지지만, 90 내지 140℃에서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90 내지 130℃에서 행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수지를 성형할 때에는, 상기 「그 밖의 성분」에 추가하여, 목적에 따라 공지의 성형법과 동일하게, 쇄 연장제, 가교제, 산화 방지제, 블루잉제, 유용 염료, 충전제, 밀착성 향상제 등의 다양한 첨가제를 첨가해도 된다.
<용도>
본 실시 형태의 중합성 조성물은 주형 중합 시의 몰드의 종류를 바꿈으로써 다양한 형상의 성형체로서 얻을 수 있다. 성형체는, 포토크로믹 성능을 구비함과 함께, 높은 굴절률 및 높은 투명성을 구비하고, 플라스틱 렌즈 등의 각종 광학 재료에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특히, 플라스틱 안경 렌즈나 플라스틱 편광 렌즈로서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플라스틱 안경 렌즈]
본 실시 형태의 성형체로 이루어지는 렌즈 기재를 사용한 플라스틱 안경 렌즈는 필요에 따라, 편면 또는 양면에 코팅층을 입혀 사용해도 된다.
본 실시 형태의 플라스틱 안경 렌즈는, 상술한 중합성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렌즈 기재와 코팅층으로 이루어진다.
코팅층으로서, 구체적으로는 프라이머층, 하드 코팅층, 반사 방지층, 방담 코팅층, 방오염층, 발수층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코팅층은 각각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복수의 코팅층을 다층화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양면에 코팅층을 입히는 경우, 각각의 면에 동일한 코팅층을 입혀도 되고, 상이한 코팅층을 입혀도 된다.
이들 코팅층은 각각, 자외선으로부터 렌즈나 눈을 보호할 목적으로 자외선 흡수제, 적외선으로부터 눈을 보호할 목적으로 적외선 흡수제, 렌즈의 내후성을 향상시킬 목적으로 광 안정제나 산화 방지제, 렌즈의 패션성을 높일 목적으로 염료나 안료, 대전 방지제, 기타, 렌즈의 성능을 높이기 위한 공지의 첨가제를 병용해도 된다. 도포에 의한 코팅을 행하는 층에 관해서는 도포성의 개선을 목적으로 한 각종 레벨링제를 사용해도 된다.
프라이머층은 통상, 후술하는 하드 코팅층과 렌즈 사이에 형성된다. 프라이머층은, 그 위에 형성하는 하드 코팅층과 렌즈의 밀착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코팅층이며, 경우에 따라 내충격성을 향상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프라이머층에는 얻어진 렌즈에 대한 밀착성이 높은 것이면 어떠한 소재라도 사용할 수 있지만, 통상 우레탄계 수지, 에폭시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멜라닌계 수지, 폴리비닐아세탈을 주성분으로 하는 프라이머 조성물 등이 사용된다. 프라이머 조성물은 조성물의 점도를 조정할 목적으로 렌즈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적당한 용제를 사용해도 된다. 물론, 무용제로 사용해도 된다.
프라이머층은 도포법, 건식법 중 어느 방법에 의해서도 형성할 수 있다. 도포법을 사용하는 경우, 프라이머 조성물을, 스핀 코팅, 딥 코팅 등 공지의 도포 방법으로 렌즈에 도포한 후, 고화함으로써 프라이머층이 형성된다. 건식법으로 행하는 경우에는, CVD법이나 진공 증착법 등의 공지의 건식법으로 형성된다. 프라이머층을 형성할 때, 밀착성의 향상을 목적으로 하여, 필요에 따라 렌즈의 표면은, 알칼리 처리, 플라스마 처리, 자외선 처리 등의 전처리를 행해 두어도 된다.
하드 코팅층은, 렌즈 표면에 내찰상성, 내마모성, 내습성, 내온수성, 내열성, 내후성 등 기능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 코팅층이다.
하드 코팅층은, 일반적으로는 경화성을 갖는 유기 규소 화합물과 Si, Al, Sn, Sb, Ta, Ce, La, Fe, Zn, W, Zr, In 및 Ti의 원소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원소의 산화물 미립자의 1종 이상 및/또는 이들 원소군으로부터 선택되는 2종 이상의 원소의 복합 산화물로 구성되는 미립자의 1종 이상을 포함하는 하드 코팅 조성물이 사용된다.
하드 코팅 조성물에는 상기 성분 이외에 아민류, 아미노산류, 금속 아세틸아세토네이트 착체, 유기산 금속염, 과염소산류, 과염소산류의 염, 산류, 금속 염화물 및 다관능성 에폭시 화합물 중 적어도 어느 것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드 코팅 조성물에는 렌즈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적당한 용제를 사용해도 되고, 무용제로 사용해도 된다.
하드 코팅층은, 통상, 하드 코팅 조성물을 스핀 코팅, 딥 코팅 등 공지의 도포 방법으로 도포한 후, 경화하여 형성된다. 경화 방법으로서는, 열 경화, 자외선이나 가시광선 등의 에너지선 조사에 의한 경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간섭 줄무늬의 발생을 억제하기 위해, 하드 코팅층의 굴절률은, 렌즈와의 굴절률의 차가 ±0.1의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사 방지층은, 통상, 필요에 따라 상기 하드 코팅층 위에 형성된다. 반사 방지층에는 무기계 및 유기계가 있으며, 무기계의 경우, SiO2, TiO2 등의 무기 산화물을 사용하여, 진공 증착법, 스퍼터링법, 이온 플레이팅법, 이온빔 어시스트법, CVD법 등의 건식법에 의해 형성된다. 유기계의 경우, 유기 규소 화합물과, 내부 공동을 갖는 실리카계 미립자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사용하여, 습식에 의해 형성된다.
반사 방지층은 단층 및 다층이 있으며, 단층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하드 코팅층의 굴절률보다 굴절률이 적어도 0.1 이상 낮아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효과적으로 반사 방지 기능을 발현시키기 위해서는 다층막 반사 방지막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경우, 저굴절률막과 고굴절률막을 교대로 적층한다. 이 경우에도 저굴절률막과 고굴절률막의 굴절률차는 0.1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고굴절률막으로서는 ZnO, TiO2, CeO2, Sb2O5, SnO2, ZrO2, Ta2O5 등의 막이 있고, 저굴절률막으로서는 SiO2막 등을 들 수 있다.
반사 방지층 위에는, 필요에 따라 방담층, 방오염층, 발수층을 형성시켜도 된다. 방담층, 방오염층, 발수층을 형성하는 방법으로서는, 반사 방지 기능에 악영향을 초래하는 것이 아니라면, 그 처리 방법, 처리 재료 등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공지의 방담 처리 방법, 방오염 처리 방법, 발수 처리 방법,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담 처리 방법, 방오염 처리 방법으로는, 표면을 계면 활성제로 덮는 방법, 표면에 친수성의 막을 부가하여 흡수성으로 하는 방법, 표면을 미세한 요철로 덮어 흡수성을 높이는 방법, 광촉매 활성을 이용하여 흡수성으로 하는 방법, 초발수성 처리를 실시하여 수적의 부착을 방지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발수 처리 방법으로는, 불소 함유 실란 화합물 등을 증착이나 스퍼터링에 의해 발수 처리층을 형성하는 방법이나, 불소 함유 실란 화합물을 용매에 용해한 후, 코팅하여 발수 처리층을 형성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플라스틱 편광 렌즈]
본 실시 형태의 플라스틱 편광 렌즈는, 편광 필름과, 상기 편광 필름의 적어도 한쪽의 면에 형성된, 본 실시 형태의 광학 재료용 중합성 조성물을 경화시킨 성형체로 이루어지는 기재층을 구비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편광 필름은 열가소성 수지로 구성할 수 있다. 열가소성 수지로서는,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열가소성 폴리카르보네이트, 열가소성 폴리올레핀, 열가소성 폴리이미드 등을 들 수 있다. 내수성, 내열성 및 성형 가공성의 관점에서,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열가소성 폴리카르보네이트가 바람직하고,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가 보다 바람직하다.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로서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및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을 들 수 있으며, 내수성, 내열성 및 성형 가공성의 관점에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가 바람직하다.
편광 필름으로서, 구체적으로는, 2색성 염료 함유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편광 필름, 요오드 함유 폴리비닐알코올 편광 필름, 2색성 염료 함유 폴리비닐알코올 편광 필름 등을 들 수 있다.
편광 필름은 건조, 안정화를 위해 가열 처리를 실시한 후 사용해도 된다.
또한, 편광 필름은, 아크릴계 수지와의 밀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프라이머 코팅 처리, 약품 처리(가스 또는 알칼리 등의 약액 처리), 코로나 방전 처리, 플라스마 처리, 자외선 조사 처리, 전자선 조사 처리, 조면화 처리, 화염 처리 등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전처리를 행한 후에 사용해도 된다. 이러한 전처리 중에서도, 프라이머 코팅 처리, 약품 처리, 코로나 방전 처리, 플라스마 처리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이 특히 바람직하다.
본 실시 형태의 플라스틱 편광 렌즈는, 이러한 편광 필름의 적어도 한쪽의 면 위에, 본 실시 형태의 광학 재료용 중합성 조성물을 경화시켜 얻어지는 기재층을 형성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플라스틱 편광 렌즈의 제조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주형 중합법을 들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의 플라스틱 편광 렌즈의 제조 방법은, 예를 들어
편광 필름을, 몰드로부터 이격한 상태에서 렌즈 주형용 주형 내에 고정하는 공정과,
상기 편광 필름과 상기 몰드 사이에 형성되는 공극의 적어도 한쪽에 상기 광학 재료용 중합성 조성물을 주입하는 공정과,
상기 광학 재료용 중합성 조성물을 중합 경화하여, 상기 편광 필름의 적어도 한쪽의 면에 기재층을 적층하는 공정을 포함할 수 있다.
렌즈 주형용 주형은, 개스킷으로 유지된 2개의 대략 원반상의 유리제의 몰드로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 렌즈 주형용 주형의 공간 내에, 편광 필름을, 필름면이 대향하는 프론트측의 몰드 내면과 평행으로 되도록 설치한다. 편광 필름과 몰드 사이에는 공극부가 형성된다. 또한, 편광 필름은 미리 부형되어 있어도 된다.
광학 재료용 중합성 조성물의 중합 조건은, 중합성 조성물의 조성, 촉매의 종류와 사용량, 몰드의 형상 등에 따라 조건이 상이하지만, 5 내지 140℃의 온도에서 1 내지 50시간에 걸쳐 행해진다. 경우에 따라서는, 5 내지 130℃의 온도 범위에서 유지 또는 서서히 승온하여, 1 내지 25시간 경화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합에 의해 경화한 적층체를 주형으로부터 이형하여, 본 실시 형태의 플라스틱 편광 렌즈를 얻을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중합ㆍ이형 후의 적층체는, 필요에 따라, 어닐 등의 가열 처리를 행해도 된다. 처리 온도는, 본 발명의 효과의 관점에서, 90 내지 150℃ 사이에서 행해지지만, 110 내지 130℃에서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115 내지 125℃에서 행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처리 시간은, 본 발명의 효과의 관점에서, 1 내지 10시간, 바람직하게는 2 내지 5시간의 범위이다.
또한, 얻어진 기재층의 표면에는, 플라스틱 안경 렌즈와 동일한 상기 코팅층을 형성해도 된다.
<실시예>
이어서,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예에 의해 전혀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실시예 및 비교예에 있어서, 평가에 사용한 방법과 사용한 장치는 이하와 같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수지의 성능 시험에 있어서, 투명성, 굴절률, 아베수, 내광성은 이하의 방법에 의해 평가하였다.
ㆍ투명성: 얻어진 수지 성형체를 암소에서 프로젝터에 조사하여, 흐림, 불투명 물질, 테이프로부터의 점착 성분의 용출 유무를 눈으로 판단하였다. 흐림, 불투명 물질, 테이프로부터의 용출이 확인되지 않는 것을 「유」(투명성 있음), 확인된 것을 「무」(투명성 없음)로 하였다.
ㆍ굴절률(ne), 아베수(νe): 풀프리히 굴절계를 사용하여, 20℃에서 측정하였다.
1. 조광 성능 평가(발색 전후의 광선 투과율 변화량(ΔT%max)):
크세논 램프(180W) 광원 장치를 사용하여, 온도 23℃, 적산 광량계로 측정한 자외선 강도 50000럭스(lx)의 조건에서, 2.0mm 두께로 가공한 성형체 샘플을 5분간 발색시켰을 때의 발색 전후의 분광을 측광 시스템으로 측정하고, 하기 식에 의해 구하였다.
발색 전후의 광선 투과율 변화량(ΔT%max)=발색 시의 극대 흡수 파장(λmax)에서의 광선 투과율(T%max)-발색 전의 (λmax)에서의 광선 투과율(T%0)
이 투과율 변화량이 클수록 퇴색 시에 밝고 발색 시에 차광성이 높으므로 포토크로믹 성능이 높은 것이 된다.
ㆍ광원: 우시오 덴키(주) MS-35AAF/FB
ㆍ순간 멀티 측광 시스템: 오쓰카 덴시(주) MSPD-7700
2. 내광성 시험(촉진 시험)
2mm 두께의 평판을 사용하여 Q-Lab제 촉진 내후성 시험기로 QUV 시험(광원: UVA-340, 강도: 0.50W/㎡, 시험 조건: 50℃×150시간)을 실시하고, 조사 전후의 광선 투과율 변화량에 의해 평가하였다.
(a) 550nm에 있어서의, 내광성 시험 전의 광선 투과율 변화량(ΔT%)-내광성 시험 후의 광선 투과율 변화량(ΔT%)=550nm(ΔT%)로 하여 내광성 시험 전후의 550nm에 있어서의 광선 투과율 변화량을 비교함으로써, 포토크로믹 성능의 변화로부터, 내광성(포토크로믹 성능의 안정성)을 평가한다.
(b) 440nm에 있어서의, 내광성 시험 전의 광선 투과율 변화량(ΔT%)-내광성 시험 후의 광선 투과율 변화량(ΔT%)=440nm(ΔT%)로 하여 수지의 황변도를 평가함으로써 내광성을 평가한다.
사용 원료
(자외선 흡수제)
ㆍHostavin PR 25(제품명, CLARIANT사제): (p-메톡시벤질리덴)말론산디메틸
ㆍHostavin VSU(제품명, CLARIANT사제): 2-에틸-2'-에톡시옥사닐리드
ㆍSeesorb 107(제품명, 시프로 가세이사제): 2,2'-디히드록시-4,4'-디메톡시벤조페논
ㆍViosorb 583(제품명, 쿄도 야쿠힝사제): 2-(2-히드록시-5-tert-옥틸페닐)벤조트리아졸
ㆍTinuvin 405(제품명, BASF사제): 2-[4-[(2-히드록시-3-(2'-에틸)헥실)옥시]-2-히드록시페닐]-4,6-비스(2,4-디메틸페닐)-1,3,5-트리아진
ㆍTinuvin PS(제품명, BASF사제): 2-(2-히드록시-5-t-부틸페닐)벤조트리아졸
(포토크로믹 화합물)
ㆍReversacol Trent Blue(폴리디메틸실록산쇄, 나프토피란계 발색단(일반식 3))
ㆍReversacol Heath Green(폴리옥시알킬렌쇄, 나프토피란계 발색단(일반식 3))
ㆍReversacol Wembley Grey(폴리옥시알킬렌쇄, 나프토피란계 발색단(일반식 3))
ㆍReversacol Chilli Red(폴리디메틸실록산쇄, 나프토피란계 발색단(일반식 3))
ㆍCayenne Red(폴리옥시알킬렌쇄, 나프토피란계 발색단(일반식 3))
(광 안정제)
ㆍLA72(제품명, ADEKA사제): 힌더드 아민계 광 안정제
[실시예 1]
3-이소시아나토메틸-3,5,5-트리메틸시클로헥실이소시아네이트 46.2중량부에 포토크로믹 화합물로서 Reversacol Trent Blue(Vivimed사제)를 570ppm, Reversacol Heath Green(Vivimed사제)을 300ppm 첨가하고, 디메틸주석디클로라이드를 3000ppm, 내부 이형제로서 부톡시에틸산포스페이트를 3000ppm, 자외선 흡수제 HOSTAVIN PR 25를 5000ppm 첨가하고, 혼합 교반하여 용해하였다. 이 혼합액에 수 평균 분자량 1500의 폴리프로필렌글리콜(트리올형) 23.7중량부, 및 5,7-디머캅토메틸-1,11-디머캅토-3,6,9-트리티아운데칸, 4,7-디머캅토메틸-1,11-디머캅토-3,6,9-트리티아운데칸, 4,8-디머캅토메틸-1,11-디머캅토-3,6,9-트리티아운데칸을 포함하는 조성물 30.1중량부를 첨가하여 혼합, 교반을 계속하였다. 그 후, 진공 펌프에 의해 탈기하고, 이 용액을 유리 몰드에 주형하였다. 이것을 30℃ 내지 120℃의 범위에서 14시간에 걸쳐 중합시킨 후, 노로부터 성형형을 취출하고, 성형형을 떼어 내어, 중합하여 얻어진 성형체(직경 80mm, 두께 2mm의 원반상)를 취출하였다.
성형체는 무색 투명이며, 태양 광선 하에 두면 즉시 자색으로 착색되고, 광선을 차단하면 소색된다고 하는 양호한 조광 성능을 갖는 것이었다. 성형체의 조광 성능을 평가한바, 극대 흡수 파장(λmax: 550nm)에서의 발색 전후의 광선 투과율 변화량(ΔT%max)이 59.2%라고 하는 양호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자외선 조사기에 의한 내광성 시험의 실시 후에 동일한 측정을 실시하였다. 극대 흡수 파장(λmax: 550nm)에서의 발색 전후의 광선 투과율 변화량(ΔT%max)이 15.8%이며 내광성 시험 후에도 양호한 조광 성능을 유지하고 있었다. 또한, 자외선 조사기에 의한 내광성 시험의 실시 전후에서, 수지의 황변 평가로서 발색 전 단계의 440nm의 흡수 파장을 비교하면, 11.5%이며 흡수 강도의 저하는 억제되어 있었다. 조성을 표 1에 나타내고, 물성 측정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2]
3-이소시아나토메틸-3,5,5-트리메틸시클로헥실이소시아네이트 46.2중량부에 포토크로믹 화합물로서 Reversacol Trent Blue(Vivimed사제)를 570ppm, Reversacol Heath Green(Vivimed사제)을 300ppm 첨가하고, 디메틸주석디클로라이드를 3000ppm, 내부 이형제로서 부톡시에틸산포스페이트를 3000ppm, 자외선 흡수제 HOSTAVIN PR 25를 10000ppm 첨가하고, 혼합 교반하여 용해하였다. 이 혼합액에 수 평균 분자량 1500의 폴리프로필렌글리콜(트리올형) 23.7중량부, 및 5,7-디머캅토메틸-1,11-디머캅토-3,6,9-트리티아운데칸, 4,7-디머캅토메틸-1,11-디머캅토-3,6,9-트리티아운데칸, 4,8-디머캅토메틸-1,11-디머캅토-3,6,9-트리티아운데칸을 포함하는 조성물 30.1중량부를 첨가하여 혼합, 교반을 계속하였다. 그 후, 진공 펌프에 의해 탈기하고, 이 용액을 유리 몰드에 주형하였다. 이것을 30℃ 내지 120℃의 범위에서 14시간에 걸쳐 중합시킨 후, 노로부터 성형형을 취출하고, 성형형을 떼어 내어, 중합하여 얻어진 성형체(직경 80mm, 두께 2mm의 원반상)를 취출하였다.
성형체는 무색 투명이며, 태양 광선 하에 두면 즉시 자색으로 착색되고, 광선을 차단하면 소색된다고 하는 양호한 조광 성능을 갖는 것이었다. 성형체의 조광 성능을 평가한바, 극대 흡수 파장(λmax: 550nm)에서의 발색 전후의 광선 투과율 변화량(ΔT%max)은 58.4%였다. 또한, 자외선 조사기에 의한 내광성 시험의 실시 후에 동일한 측정을 실시하였다. 극대 흡수 파장(λmax: 550nm)에서의 발색 전후의 광선 투과율 변화량(ΔT%max)이 13.3%이며, 내광성 시험 후에도 양호한 조광 성능을 유지하고 있음을 나타내었다. 또한, 자외선 조사기에 의한 내광성 시험의 실시 전후에서, 수지의 황변 평가로서 발색 전 단계의 440nm의 흡수 파장을 비교하면, 7.9%이며 흡수 강도의 저하는 억제되어 있었다. 조성을 표 1에 나타내고, 물성 측정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3]
3-이소시아나토메틸-3,5,5-트리메틸시클로헥실이소시아네이트 46.2중량부에 포토크로믹 화합물로서 Reversacol Trent Blue(Vivimed사제)를 570ppm, Reversacol Heath Green(Vivimed사제)을 300ppm 첨가하고, 디메틸주석디클로라이드를 3000ppm, 내부 이형제로서 부톡시에틸산포스페이트를 3000ppm, 자외선 흡수제 HOSTAVIN VSU를 5000ppm 첨가하고, 혼합 교반하여 용해하였다. 이 혼합액에 수 평균 분자량 1500의 폴리프로필렌글리콜(트리올형) 23.7중량부, 및 5,7-디머캅토메틸-1,11-디머캅토-3,6,9-트리티아운데칸, 4,7-디머캅토메틸-1,11-디머캅토-3,6,9-트리티아운데칸, 4,8-디머캅토메틸-1,11-디머캅토-3,6,9-트리티아운데칸을 포함하는 조성물 30.1중량부를 첨가하여 혼합, 교반을 계속하였다. 그 후, 진공 펌프에 의해 탈기하고, 이 용액을 유리 몰드에 주형하였다. 이것을 30℃ 내지 120℃의 범위에서 14시간에 걸쳐 중합시킨 후, 노로부터 성형형을 취출하고, 성형형을 떼어 내어, 중합하여 얻어진 성형체(직경 80mm, 두께 2mm의 원반상)를 취출하였다.
성형체는 무색 투명이며, 태양 광선 하에 두면 즉시 자색으로 착색되고, 광선을 차단하면 소색된다고 하는 양호한 조광 성능을 갖는 것이었다. 성형체의 조광 성능을 평가한바, 극대 흡수 파장(λmax: 550nm)에서의 발색 전후의 광선 투과율 변화량(ΔT%max)이 60.4%라고 하는 양호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자외선 조사기에 의한 내광성 시험의 실시 후에 동일한 측정을 실시하였다. 극대 흡수 파장(λmax: 550nm)에서의 발색 전후의 광선 투과율 변화량(ΔT%max)이 16.3%이며 내광성 시험 후에도 양호한 조광 성능을 유지하고 있음을 나타내었다. 또한, 자외선 조사기에 의한 내광성 시험의 실시 전후에서, 수지의 황변 평가로서 발색 전 단계의 440nm의 흡수 파장을 비교하면, 12.3%이며 흡수 강도의 저하는 억제되어 있었다. 조성을 표 1에 나타내고, 물성 측정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4]
3-이소시아나토메틸-3,5,5-트리메틸시클로헥실이소시아네이트 46.2중량부에 포토크로믹 화합물로서 Reversacol Trent Blue(Vivimed사제)를 570ppm, Reversacol Heath Green(Vivimed사제)을 300ppm 첨가하고, 디메틸주석디클로라이드를 3000ppm, 내부 이형제로서 부톡시에틸산포스페이트를 3000ppm, 자외선 흡수제 HOSTAVIN VSU를 10000ppm 첨가하고, 혼합 교반하여 용해하였다. 이 혼합액에 수 평균 분자량 1500의 폴리프로필렌글리콜(트리올형) 23.7중량부, 및 5,7-디머캅토메틸-1,11-디머캅토-3,6,9-트리티아운데칸, 4,7-디머캅토메틸-1,11-디머캅토-3,6,9-트리티아운데칸, 4,8-디머캅토메틸-1,11-디머캅토-3,6,9-트리티아운데칸을 포함하는 조성물 30.1중량부를 첨가하여 혼합, 교반을 계속하였다. 그 후, 진공 펌프에 의해 탈기하고, 이 용액을 유리 몰드에 주형하였다. 이것을 30℃ 내지 120℃의 범위에서 14시간에 걸쳐 중합시킨 후, 노로부터 성형형을 취출하고, 성형형을 떼어 내어, 중합하여 얻어진 성형체(직경 80mm, 두께 2mm의 원반상)를 취출하였다.
성형체는 무색 투명이며, 태양 광선 하에 두면 즉시 자색으로 착색되고, 광선을 차단하면 소색된다고 하는 양호한 조광 성능을 갖는 것이었다. 성형체의 조광 성능을 평가한바, 극대 흡수 파장(λmax: 550nm)에서의 발색 전후의 광선 투과율 변화량(ΔT%max)이 60.9%라고 하는 양호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자외선 조사기에 의한 내광성 시험의 실시 후에 동일한 측정을 실시하였다. 극대 흡수 파장(λmax: 550nm)에서의 발색 전후의 광선 투과율 변화량(ΔT%max)이 10.0%이며 내광성 시험 후에도 양호한 조광 성능을 유지하고 있음을 나타내었다. 또한, 자외선 조사기에 의한 내광성 시험의 실시 전후에서, 수지의 황변 평가로서 발색 전 단계의 440nm의 흡수 파장을 비교하면, 5.9%이며 흡수 강도의 저하는 억제되어 있었다. 조성을 표 1에 나타내고, 물성 측정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5]
3-이소시아나토메틸-3,5,5-트리메틸시클로헥실이소시아네이트 46.2중량부에 포토크로믹 화합물로서 Reversacol Wembley Grey(Vivimed사제)를 570ppm, Reversacol Heath Green(Vivimed사제)을 310ppm 첨가하고, 디메틸주석디클로라이드를 3000ppm, 내부 이형제로서 부톡시에틸산포스페이트를 3000ppm, 자외선 흡수제 HOSTAVIN PR 25를 5000ppm 첨가하고, 혼합 교반하여 용해하였다. 이 혼합액에 수 평균 분자량 1500의 폴리프로필렌글리콜(트리올형) 23.7중량부, 및 5,7-디머캅토메틸-1,11-디머캅토-3,6,9-트리티아운데칸, 4,7-디머캅토메틸-1,11-디머캅토-3,6,9-트리티아운데칸, 4,8-디머캅토메틸-1,11-디머캅토-3,6,9-트리티아운데칸을 포함하는 조성물 30.1중량부를 첨가하여 혼합, 교반을 계속하였다. 그 후, 진공 펌프에 의해 탈기하고, 이 용액을 유리 몰드에 주형하였다. 이것을 30℃ 내지 120℃의 범위에서 14시간에 걸쳐 중합시킨 후, 노로부터 성형형을 취출하고, 성형형을 떼어 내어, 중합하여 얻어진 성형체(직경 80mm, 두께 2mm의 원반상)를 취출하였다.
성형체는 무색 투명이며, 태양 광선 하에 두면 즉시 자색으로 착색되고, 광선을 차단하면 소색된다고 하는 양호한 조광 성능을 갖는 것이었다. 성형체의 조광 성능을 평가한바, 극대 흡수 파장(λmax: 550nm)에서의 발색 전후의 광선 투과율 변화량(ΔT%max)이 68.5%라고 하는 양호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자외선 조사기에 의한 내광성 시험의 실시 후에 동일한 측정을 실시하였다. 극대 흡수 파장(λmax: 550nm)에서의 발색 전후의 광선 투과율 변화량(ΔT%max)이 11.7%이며 내광성 시험 후에도 양호한 조광 성능을 유지하고 있음을 나타내었다. 또한, 자외선 조사기에 의한 내광성 시험의 실시 전후에서, 수지의 황변 평가로서 발색 전 단계의 440nm의 흡수 파장을 비교하면, 11.8%이며 흡수 강도의 저하는 억제되어 있었다. 조성을 표 1에 나타내고, 물성 측정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6]
3-이소시아나토메틸-3,5,5-트리메틸시클로헥실이소시아네이트 46.2중량부에 포토크로믹 화합물로서 Reversacol Wembley Grey(Vivimed사제)를 570ppm, Reversacol Heath Green(Vivimed사제)을 310ppm 첨가하고, 디메틸주석디클로라이드를 3000ppm, 내부 이형제로서 부톡시에틸산포스페이트를 3000ppm, 자외선 흡수제 HOSTAVIN PR 25를 10000ppm 첨가하고, 혼합 교반하여 용해하였다. 이 혼합액에 수 평균 분자량 1500의 폴리프로필렌글리콜(트리올형) 23.7중량부, 및 5,7-디머캅토메틸-1,11-디머캅토-3,6,9-트리티아운데칸, 4,7-디머캅토메틸-1,11-디머캅토-3,6,9-트리티아운데칸, 4,8-디머캅토메틸-1,11-디머캅토-3,6,9-트리티아운데칸을 포함하는 조성물 30.1중량부를 첨가하여 혼합, 교반을 계속하였다. 그 후, 진공 펌프에 의해 탈기하고, 이 용액을 유리 몰드에 주형하였다. 이것을 30℃ 내지 120℃의 범위에서 14시간에 걸쳐 중합시킨 후, 노로부터 성형형을 취출하고, 성형형을 떼어 내어, 중합하여 얻어진 성형체(직경 80mm, 두께 2mm의 원반상)를 취출하였다.
성형체는 무색 투명이며, 태양 광선 하에 두면 즉시 자색으로 착색되고, 광선을 차단하면 소색된다고 하는 양호한 조광 성능을 갖는 것이었다. 성형체의 조광 성능을 평가한바, 극대 흡수 파장(λmax: 550nm)에서의 발색 전후의 광선 투과율 변화량(ΔT%max)이 67.3%라고 하는 양호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자외선 조사기에 의한 내광성 시험의 실시 후에 동일한 측정을 실시하였다. 극대 흡수 파장(λmax: 550nm)에서의 발색 전후의 광선 투과율 변화량(ΔT%max)이 8.9%이며 내광성 시험 후에도 양호한 조광 성능을 유지하고 있음을 나타내었다. 또한, 자외선 조사기에 의한 내광성 시험의 실시 전후에서, 수지의 황변 평가로서 발색 전 단계의 440nm의 흡수 파장을 비교하면, 7.7%이며 흡수 강도의 저하는 억제되어 있었다. 조성을 표 1에 나타내고, 물성 측정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7]
3-이소시아나토메틸-3,5,5-트리메틸시클로헥실이소시아네이트 46.2중량부에 포토크로믹 화합물로서 Reversacol Wembley Grey(Vivimed사제)를 570ppm, Reversacol Heath Green(Vivimed사제)을 310ppm 첨가하고, 디메틸주석디클로라이드를 3000ppm, 내부 이형제로서 부톡시에틸산포스페이트를 3000ppm, 자외선 흡수제 HOSTAVIN VSU를 5000ppm 첨가하고, 혼합 교반하여 용해하였다. 이 혼합액에 수 평균 분자량 1500의 폴리프로필렌글리콜(트리올형) 23.7중량부, 및 5,7-디머캅토메틸-1,11-디머캅토-3,6,9-트리티아운데칸, 4,7-디머캅토메틸-1,11-디머캅토-3,6,9-트리티아운데칸, 4,8-디머캅토메틸-1,11-디머캅토-3,6,9-트리티아운데칸을 포함하는 조성물 30.1중량부를 첨가하여 혼합, 교반을 계속하였다. 그 후, 진공 펌프에 의해 탈기하고, 이 용액을 유리 몰드에 주형하였다. 이것을 30℃ 내지 120℃의 범위에서 14시간에 걸쳐 중합시킨 후, 노로부터 성형형을 취출하고, 성형형을 떼어 내어, 중합하여 얻어진 성형체(직경 80mm, 두께 2mm의 원반상)를 취출하였다.
성형체는 무색 투명이며, 태양 광선 하에 두면 즉시 자색으로 착색되고, 광선을 차단하면 소색된다고 하는 양호한 조광 성능을 갖는 것이었다. 성형체의 조광 성능을 평가한바, 극대 흡수 파장(λmax: 550nm)에서의 발색 전후의 광선 투과율 변화량(ΔT%max)이 67.7%라고 하는 양호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자외선 조사기에 의한 내광성 시험의 실시 후에 동일한 측정을 실시하였다. 극대 흡수 파장(λmax: 550nm)에서의 발색 전후의 광선 투과율 변화량(ΔT%max)이 11.3%이며, 내광성 시험 후에도 양호한 조광 성능을 유지하고 있음을 나타내었다. 또한, 자외선 조사기에 의한 내광성 시험의 실시 전후에서, 수지의 황변 평가로서 발색 전 단계의 440nm의 흡수 파장을 비교하면, 12.2%이며 흡수 강도의 저하는 억제되어 있었다. 조성을 표 1에 나타내고, 물성 측정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8]
3-이소시아나토메틸-3,5,5-트리메틸시클로헥실이소시아네이트 46.2중량부에 포토크로믹 화합물로서 Reversacol Wembley Grey(Vivimed사제)를 570ppm, Reversacol Heath Green(Vivimed사제)을 310ppm 첨가하고, 디메틸주석디클로라이드를 3000ppm, 내부 이형제로서 부톡시에틸산포스페이트를 3000ppm, 자외선 흡수제 HOSTAVIN VSU를 10000ppm 첨가하고, 혼합 교반하여 용해하였다. 이 혼합액에 수 평균 분자량 1500의 폴리프로필렌글리콜(트리올형) 23.7중량부, 및 5,7-디머캅토메틸-1,11-디머캅토-3,6,9-트리티아운데칸, 4,7-디머캅토메틸-1,11-디머캅토-3,6,9-트리티아운데칸, 4,8-디머캅토메틸-1,11-디머캅토-3,6,9-트리티아운데칸을 포함하는 조성물 30.1중량부를 첨가하여 혼합, 교반을 계속하였다. 그 후, 진공 펌프에 의해 탈기하고, 이 용액을 유리 몰드에 주형하였다. 이것을 30℃ 내지 120℃의 범위에서 14시간에 걸쳐 중합시킨 후, 노로부터 성형형을 취출하고, 성형형을 떼어 내어, 중합하여 얻어진 성형체(직경 80mm, 두께 2mm의 원반상)를 취출하였다.
성형체는 무색 투명이며, 태양 광선 하에 두면 즉시 자색으로 착색되고, 광선을 차단하면 소색된다고 하는 양호한 조광 성능을 갖는 것이었다. 성형체의 조광 성능을 평가한바, 극대 흡수 파장(λmax: 550nm)에서의 발색 전후의 광선 투과율 변화량(ΔT%max)이 66.9%라고 하는 양호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자외선 조사기에 의한 내광성 시험의 실시 후에 동일한 측정을 실시하였다. 극대 흡수 파장(λmax: 550nm)에서의 발색 전후의 광선 투과율 변화량((ΔT%max)이 8.5%이며, 내광성 시험 후에도 양호한 조광 성능을 유지하고 있음을 나타내었다. 또한, 자외선 조사기에 의한 내광성 시험의 실시 전후에서, 수지의 황변 평가로서 발색 전 단계의 440nm의 흡수 파장을 비교하면, 8.1%이며 흡수 강도의 저하는 억제되어 있었다. 조성을 표 1에 나타내고, 물성 측정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9]
3-이소시아나토메틸-3,5,5-트리메틸시클로헥실이소시아네이트 46.2중량부에 포토크로믹 화합물로서 Reversacol Chilli Red(Vivimed사제)를 350ppm, Reversacol Heath Green(Vivimed사제)을 550ppm 첨가하고, 디메틸주석디클로라이드를 3000ppm, 내부 이형제로서 부톡시에틸산포스페이트를 3000ppm, 자외선 흡수제 HOSTAVIN PR 25를 10000ppm 첨가하고, 혼합 교반하여 용해하였다. 이 혼합액에 수 평균 분자량 1500의 폴리프로필렌글리콜(트리올형) 23.7중량부, 및 5,7-디머캅토메틸-1,11-디머캅토-3,6,9-트리티아운데칸, 4,7-디머캅토메틸-1,11-디머캅토-3,6,9-트리티아운데칸, 4,8-디머캅토메틸-1,11-디머캅토-3,6,9-트리티아운데칸을 포함하는 조성물 30.1중량부를 첨가하여 혼합, 교반을 계속하였다. 그 후, 진공 펌프에 의해 탈기하고, 이 용액을 유리 몰드에 주형하였다. 이것을 30℃ 내지 120℃의 범위에서 14시간에 걸쳐 중합시킨 후, 노로부터 성형형을 취출하고, 성형형을 떼어 내어, 중합하여 얻어진 성형체(직경 80mm, 두께 2mm의 원반상)를 취출하였다.
성형체는 무색 투명이며, 태양 광선 하에 두면 즉시 자색으로 착색되고, 광선을 차단하면 소색된다고 하는 양호한 조광 성능을 갖는 것이었다. 성형체의 조광 성능을 평가한바, 극대 흡수 파장(λmax: 550nm)에서의 발색 전후의 광선 투과율 변화량(ΔT%max)이 49.6%라고 하는 양호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자외선 조사기에 의한 내광성 시험의 실시 후에 동일한 측정을 실시하였다. 극대 흡수 파장(λmax: 550nm)에서의 발색 전후의 광선 투과율 변화량(ΔT%max)이 9.6%이며, 내광성 시험 후에도 양호한 조광 성능을 유지하고 있음을 나타내었다. 또한, 자외선 조사기에 의한 내광성 시험의 실시 전후에서, 수지의 황변 평가로서 발색 전 단계의 440nm의 흡수 파장을 비교하면, 8.5%이며 흡수 강도의 저하는 억제되어 있었다. 조성을 표 1에 나타내고, 물성 측정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0]
3-이소시아나토메틸-3,5,5-트리메틸시클로헥실이소시아네이트 46.2중량부에 포토크로믹 화합물로서 Reversacol Chilli Red(Vivimed사제)를 350ppm, Reversacol Heath Green(Vivimed사제)을 550ppm 첨가하고, 디메틸주석디클로라이드를 3000ppm, 내부 이형제로서 부톡시에틸산포스페이트를 3000ppm, 자외선 흡수제 HOSTAVIN VSU를 10000ppm 첨가하고, 혼합 교반하여 용해하였다. 이 혼합액에 수 평균 분자량 1500의 폴리프로필렌글리콜(트리올형) 23.7중량부, 및 5,7-디머캅토메틸-1,11-디머캅토-3,6,9-트리티아운데칸, 4,7-디머캅토메틸-1,11-디머캅토-3,6,9-트리티아운데칸, 4,8-디머캅토메틸-1,11-디머캅토-3,6,9-트리티아운데칸을 포함하는 조성물 30.1중량부를 첨가하여 혼합, 교반을 계속하였다. 그 후 진공 펌프에 의해 탈기하고, 이 용액을 유리 몰드에 주형하였다. 이것을 30℃ 내지 120℃의 범위에서 14시간에 걸쳐 중합시킨 후, 노로부터 성형형을 취출하고, 성형형을 떼어 내어, 중합하여 얻어진 성형체(직경 80mm, 두께 2mm의 원반상)를 취출하였다.
성형체는 무색 투명이며, 태양 광선 하에 두면 즉시 자색으로 착색되고, 광선을 차단하면 소색된다고 하는 양호한 조광 성능을 갖는 것이었다. 성형체의 조광 성능을 평가한바, 극대 흡수 파장(λmax: 550nm)에서의 발색 전후의 광선 투과율 변화량(ΔT%max)이 52.7%라고 하는 양호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자외선 조사기에 의한 내광성 시험의 실시 후에 동일한 측정을 실시하였다. 극대 흡수 파장(λmax: 550nm)에서의 발색 전후의 광선 투과율 변화량(ΔT%max)이 11.5%이며 내광성 시험 후에도 양호한 조광 성능을 유지하고 있음을 나타내었다. 또한, 자외선 조사기에 의한 내광성 시험의 실시 전후에서, 수지의 황변 평가로서 발색 전 단계의 440nm의 흡수 파장을 비교하면, 9.9%이며 흡수 강도의 저하는 억제되어 있었다. 조성을 표 1에 나타내고, 물성 측정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11]
3-이소시아나토메틸-3,5,5-트리메틸시클로헥실이소시아네이트 46.2중량부에 포토크로믹 화합물로서 Reversacol Trent Blue(Vivimed사제)를 570ppm, Reversacol Heath Green(Vivimed사제)을 300ppm 첨가하고, 디메틸주석디클로라이드를 3000ppm, 내부 이형제로서 부톡시에틸산포스페이트를 3000ppm, 자외선 흡수제 Seesorb 107을 200ppm 첨가하고, 혼합 교반하여 용해하였다. 이 혼합액에 수 평균 분자량 1500의 폴리프로필렌글리콜(트리올형) 23.7중량부, 및 5,7-디머캅토메틸-1,11-디머캅토-3,6,9-트리티아운데칸, 4,7-디머캅토메틸-1,11-디머캅토-3,6,9-트리티아운데칸, 4,8-디머캅토메틸-1,11-디머캅토-3,6,9-트리티아운데칸을 포함하는 조성물 30.1중량부를 첨가하여 혼합, 교반을 계속하였다. 그 후, 진공 펌프에 의해 탈기하고, 이 용액을 유리 몰드에 주형하였다. 이것을 30℃ 내지 120℃의 범위에서 14시간에 걸쳐 중합시킨 후, 노로부터 성형형을 취출하고, 성형형을 떼어 내어, 중합하여 얻어진 성형체(직경 80mm, 두께 2mm의 원반상)를 취출하였다.
성형체는 무색 투명이며, 태양 광선 하에 두면 즉시 자색으로 착색되고, 광선을 차단하면 소색된다고 하는 양호한 조광 성능을 갖는 것이었다. 성형체의 조광 성능을 평가한바, 극대 흡수 파장(λmax: 550nm)에서의 발색 전후의 광선 투과율 변화량(ΔT%max)이 55.8%가 되었다. 또한, 자외선 조사기에 의한 내광성 시험의 실시 후에 동일한 측정을 실시하였다. 극대 흡수 파장(λmax: 550nm)에서의 발색 전후의 광선 투과율 변화량(ΔT%max)이 14.8%이며 내광성의 향상이 확인된다. 또한, 자외선 조사기에 의한 내광성 시험의 실시 전후에서, 수지의 황변 평가로서 발색 전 단계의 440nm의 흡수 파장을 비교하면, 5.2%이며 황변의 저감을 확인할 수 있다. 조성을 표 1에 나타내고, 물성 측정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12]
3-이소시아나토메틸-3,5,5-트리메틸시클로헥실이소시아네이트 46.2중량부에 포토크로믹 화합물로서 Reversacol Trent Blue(Vivimed사제)를 570ppm, Reversacol Heath Green(Vivimed사제)을 300ppm 첨가하고, 디메틸주석디클로라이드를 3000ppm, 내부 이형제로서 부톡시에틸산포스페이트를 3000ppm, 자외선 흡수제 Seesorb 107을 500ppm 첨가하고, 혼합 교반하여 용해하였다. 이 혼합액에 수 평균 분자량 1500의 폴리프로필렌글리콜(트리올형) 23.7중량부, 및 5,7-디머캅토메틸-1,11-디머캅토-3,6,9-트리티아운데칸, 4,7-디머캅토메틸-1,11-디머캅토-3,6,9-트리티아운데칸, 4,8-디머캅토메틸-1,11-디머캅토-3,6,9-트리티아운데칸을 포함하는 조성물 30.1중량부를 첨가하여 혼합, 교반을 계속하였다. 그 후, 진공 펌프에 의해 탈기하고, 이 용액을 유리 몰드에 주형하였다. 이것을 30℃ 내지 120℃의 범위에서 14시간에 걸쳐 중합시킨 후, 노로부터 성형형을 취출하고, 성형형을 떼어 내어, 중합하여 얻어진 성형체(직경 80mm, 두께 2mm의 원반상)를 취출하였다.
성형체는 무색 투명이며, 태양 광선 하에 두면 즉시 자색으로 착색되고, 광선을 차단하면 소색된다고 하는 양호한 조광 성능을 갖는 것이었다. 성형체의 조광 성능을 평가한바, 극대 흡수 파장(λmax: 550nm)에서의 발색 전후의 광선 투과율 변화량(ΔT%max)이 49.3%로 [비교예 11]과 비교한 경우, 광선 투과율 변화량이 떨어지는 결과가 되었다. 또한, 자외선 조사기에 의한 내광성 시험의 실시 후에 동일한 측정을 실시하였다. 극대 흡수 파장(λmax: 550nm)에서의 발색 전후의 광선 투과율 변화량(ΔT%max)이 36.3%로 13.0% 저하되어 [비교예 11]과 비교한 경우, 내광성의 향상이 확인된다. 또한, 자외선 조사기에 의한 내광성 시험의 실시 전후에서, 수지의 황변 평가로서 발색 전 단계의 440nm의 흡수 파장을 비교하면, 79.5%로부터 74.9%로 4.6% 저하되어 있지만 [비교예 11]과 비교한 경우에 황변의 저감을 확인할 수 있다. 조성을 표 1에 나타내고, 물성 측정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13]
3-이소시아나토메틸-3,5,5-트리메틸시클로헥실이소시아네이트 46.2중량부에 포토크로믹 화합물로서 Reversacol Trent Blue(Vivimed사제)를 570ppm, Reversacol Heath Green(Vivimed사제)을 300ppm 첨가하고, 디메틸주석디클로라이드를 3000ppm, 내부 이형제로서 부톡시에틸산포스페이트를 3000ppm, 자외선 흡수제 Seesorb 107을 1000ppm 첨가하고, 혼합 교반하여 용해하였다. 이 혼합액에 수 평균 분자량 1500의 폴리프로필렌글리콜(트리올형) 23.7중량부, 및 5,7-디머캅토메틸-1,11-디머캅토-3,6,9-트리티아운데칸, 4,7-디머캅토메틸-1,11-디머캅토-3,6,9-트리티아운데칸, 4,8-디머캅토메틸-1,11-디머캅토-3,6,9-트리티아운데칸을 포함하는 조성물 30.1중량부를 첨가하여 혼합, 교반을 계속하였다. 그 후, 진공 펌프에 의해 탈기하고, 이 용액을 유리 몰드에 주형하였다. 이것을 30℃ 내지 120℃의 범위에서 14시간에 걸쳐 중합시킨 후, 노로부터 성형형을 취출하고, 성형형을 떼어 내어, 중합하여 얻어진 성형체(직경 80mm, 두께 2mm의 원반상)를 취출하였다.
성형체는 무색 투명이며, 태양 광선 하에 두면 즉시 자색으로 착색되고, 광선을 차단하면 소색된다고 하는 양호한 조광 성능을 갖는 것이었다. 성형체의 조광 성능을 평가한바, 극대 흡수 파장(λmax: 550nm)에서의 발색 전후의 광선 투과율 변화량(ΔT%max)이 41.9%로 [비교예 12]와 비교한 경우, 광선 투과율 변화량이 떨어지는 결과가 되었다. 또한, 자외선 조사기에 의한 내광성 시험의 실시 후에 동일한 측정을 실시하였다. 극대 흡수 파장(λmax: 550nm)에서의 발색 전후의 광선 투과율 변화량(ΔT%max)이 31.0%로 10.9% 저하되어 [비교예 12]와 비교한 경우, 내광성의 향상이 확인된다. 또한, 자외선 조사기에 의한 내광성 시험의 실시 전후에서, 수지의 황변 평가로서 발색 전 단계의 440nm의 흡수 파장을 비교하면, 77.4%로부터 73.3%로 4.1% 저하되어 있지만 [비교예 12]와 비교한 경우에 황변의 저감을 확인할 수 있다. 조성을 표 1에 나타내고, 물성 측정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14]
3-이소시아나토메틸-3,5,5-트리메틸시클로헥실이소시아네이트 46.2중량부에 포토크로믹 화합물로서 Reversacol Trent Blue(Vivimed사제)를 570ppm, Reversacol Heath Green(Vivimed사제)을 300ppm 첨가하고, 디메틸주석디클로라이드를 3000ppm, 내부 이형제로서 부톡시에틸산포스페이트를 3000ppm, 자외선 흡수제 Seesorb 107을 2000ppm 첨가하고, 혼합 교반하여 용해하였다. 이 혼합액에 수 평균 분자량 1500의 폴리프로필렌글리콜(트리올형) 23.7중량부, 및 5,7-디머캅토메틸-1,11-디머캅토-3,6,9-트리티아운데칸, 4,7-디머캅토메틸-1,11-디머캅토-3,6,9-트리티아운데칸, 4,8-디머캅토메틸-1,11-디머캅토-3,6,9-트리티아운데칸을 포함하는 조성물 30.1중량부를 첨가하여 혼합, 교반을 계속하였다. 그 후, 진공 펌프에 의해 탈기하고, 이 용액을 유리 몰드에 주형하였다. 이것을 30℃ 내지 120℃의 범위에서 14시간에 걸쳐 중합시킨 후, 노로부터 성형형을 취출하고, 성형형을 떼어 내어, 중합하여 얻어진 성형체(직경 80mm, 두께 2mm의 원반상)를 취출하였다.
성형체는 무색 투명이며, 태양 광선 하에 두면 즉시 자색으로 착색되고, 광선을 차단하면 소색된다고 하는 양호한 조광 성능을 갖는 것이었다. 성형체의 조광 성능을 평가한바, 극대 흡수 파장(λmax: 550nm)에서의 발색 전후의 광선 투과율 변화량(ΔT%max)이 34.1%로 광선 투과율 변화량이 떨어지는 결과가 되었다. 또한, 자외선 조사기에 의한 내광성 시험의 실시 후에 동일한 측정을 실시하였다. 극대 흡수 파장(λmax: 550nm)에서의 발색 전후의 광선 투과율 변화량(ΔT%max)이 10.3%이며 내광성의 향상이 확인된다. 또한, 자외선 조사기에 의한 내광성 시험의 실시 전후에서, 수지의 황변 평가로서 발색 전 단계의 440nm의 흡수 파장을 비교하면 3.5%이며 황변의 저감을 확인할 수 있다. 조성을 표 1에 나타내고, 물성 측정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15]
3-이소시아나토메틸-3,5,5-트리메틸시클로헥실이소시아네이트 46.2중량부에 포토크로믹 화합물로서 Reversacol Trent Blue(Vivimed사제)를 570ppm, Reversacol Heath Green(Vivimed사제)을 300ppm 첨가하고, 디메틸주석디클로라이드를 3000ppm, 내부 이형제로서 부톡시에틸산포스페이트를 3000ppm, 자외선 흡수제 Viosorb 583을 500ppm 첨가하고, 혼합 교반하여 용해하였다. 이 혼합액에 수 평균 분자량 1500의 폴리프로필렌글리콜(트리올형) 23.7중량부, 및 5,7-디머캅토메틸-1,11-디머캅토-3,6,9-트리티아운데칸, 4,7-디머캅토메틸-1,11-디머캅토-3,6,9-트리티아운데칸, 4,8-디머캅토메틸-1,11-디머캅토-3,6,9-트리티아운데칸을 포함하는 조성물 30.1중량부를 첨가하여 혼합, 교반을 계속하였다. 그 후, 진공 펌프에 의해 탈기하고, 이 용액을 유리 몰드에 주형하였다. 이것을 30℃ 내지 120℃의 범위에서 14시간에 걸쳐 중합시킨 후, 노로부터 성형형을 취출하고, 성형형을 떼어 내어, 중합하여 얻어진 성형체(직경 80mm, 두께 2mm의 원반상)를 취출하였다.
성형체는 무색 투명이며, 태양 광선 하에 두면 즉시 자색으로 착색되고, 광선을 차단하면 소색된다고 하는 양호한 조광 성능을 갖는 것이었다. 성형체의 조광 성능을 평가한바, 극대 흡수 파장(λmax: 550nm)에서의 발색 전후의 광선 투과율 변화량(ΔT%max)이 45.8%이며 광선 투과율 변화량이 떨어지는 결과가 되었다. 또한, 자외선 조사기에 의한 내광성 시험의 실시 후에 동일한 측정을 실시하였다. 극대 흡수 파장(λmax: 550nm)에서의 발색 전후의 광선 투과율 변화량(ΔT%max)이 12.2%이며, 내광성의 향상이 확인된다. 또한, 자외선 조사기에 의한 내광성 시험의 실시 전후에서, 수지의 황변 평가로서 발색 전 단계의 440nm의 흡수 파장을 비교하면, 14.8%이며 황변의 저감을 확인할 수 있다. 조성을 표 1에 나타내고, 물성 측정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16]
3-이소시아나토메틸-3,5,5-트리메틸시클로헥실이소시아네이트 46.2중량부에 포토크로믹 화합물로서 Reversacol Trent Blue(Vivimed사제)를 570ppm, Reversacol Heath Green(Vivimed사제)을 300ppm 첨가하고, 디메틸주석디클로라이드를 3000ppm, 내부 이형제로서 부톡시에틸산포스페이트를 3000ppm, 자외선 흡수제 Viosorb 583을 1000ppm 첨가하고, 혼합 교반하여 용해하였다. 이 혼합액에 수 평균 분자량 1500의 폴리프로필렌글리콜(트리올형) 23.7중량부, 및 5,7-디머캅토메틸-1,11-디머캅토-3,6,9-트리티아운데칸, 4,7-디머캅토메틸-1,11-디머캅토-3,6,9-트리티아운데칸, 4,8-디머캅토메틸-1,11-디머캅토-3,6,9-트리티아운데칸을 포함하는 조성물 30.1중량부를 첨가하여 혼합, 교반을 계속하였다. 그 후, 진공 펌프에 의해 탈기하고, 이 용액을 유리 몰드에 주형하였다. 이것을 30℃ 내지 120℃의 범위에서 14시간에 걸쳐 중합시킨 후, 노로부터 성형형을 취출하고, 성형형을 떼어 내어, 중합하여 얻어진 성형체(직경 80mm, 두께 2mm의 원반상)를 취출하였다.
성형체는 무색 투명이며, 태양 광선 하에 두면 즉시 자색으로 착색되고, 광선을 차단하면 소색된다고 하는 양호한 조광 성능을 갖는 것이었다. 성형체의 조광 성능을 평가한바, 극대 흡수 파장(λmax: 550nm)에서의 발색 전후의 광선 투과율 변화량(ΔT%max)이 42.7%로 [비교예 15]와 비교한 경우, 광선 투과율 변화량이 떨어지는 결과가 되었다. 또한, 자외선 조사기에 의한 내광성 시험의 실시 후에 동일한 측정을 실시하였다. 극대 흡수 파장(λmax: 550nm)에서의 발색 전후의 광선 투과율 변화량(ΔT%max)이 33.8%로 8.9% 저하되어 [비교예 15]와 비교한 경우, 내광성의 향상이 확인된다. 또한, 자외선 조사기에 의한 내광성 시험의 실시 전후에서, 수지의 황변 평가로서 발색 전 단계의 440nm의 흡수 파장을 비교하면, 78.7%로부터 66.3%로 12.4% 저하되어 있지만 [비교예 15]와 비교한 경우에 황변의 저감을 확인할 수 있다. 조성을 표 1에 나타내고, 물성 측정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17]
3-이소시아나토메틸-3,5,5-트리메틸시클로헥실이소시아네이트 46.2중량부에 포토크로믹 화합물로서 Reversacol Trent Blue(Vivimed사제)를 570ppm, Reversacol Heath Green(Vivimed사제)을 300ppm 첨가하고, 디메틸주석디클로라이드를 3000ppm, 내부 이형제로서 부톡시에틸산포스페이트를 3000ppm, 자외선 흡수제 Viosorb 583을 2500ppm 첨가하고, 혼합 교반하여 용해하였다. 이 혼합액에 수 평균 분자량 1500의 폴리프로필렌글리콜(트리올형) 23.7중량부, 및 5,7-디머캅토메틸-1,11-디머캅토-3,6,9-트리티아운데칸, 4,7-디머캅토메틸-1,11-디머캅토-3,6,9-트리티아운데칸, 4,8-디머캅토메틸-1,11-디머캅토-3,6,9-트리티아운데칸을 포함하는 조성물 30.1중량부를 첨가하여 혼합, 교반을 계속하였다. 그 후, 진공 펌프에 의해 탈기하고, 이 용액을 유리 몰드에 주형하였다. 이것을 30℃ 내지 120℃의 범위에서 14시간에 걸쳐 중합시킨 후, 노로부터 성형형을 취출하고, 성형형을 떼어 내어, 중합하여 얻어진 성형체(직경 80mm, 두께 2mm의 원반상)를 취출하였다.
성형체는 무색 투명이며, 태양 광선 하에 두면 즉시 자색으로 착색되고, 광선을 차단하면 소색된다고 하는 양호한 조광 성능을 갖는 것이었다. 성형체의 조광 성능을 평가한바, 극대 흡수 파장(λmax: 550nm)에서의 발색 전후의 광선 투과율 변화량(ΔT%max)이 38.1%로 [비교예 16]과 비교한 경우, 광선 투과율 변화량이 떨어지는 결과가 되었다. 또한, 자외선 조사기에 의한 내광성 시험의 실시 후에 동일한 측정을 실시하였다. 극대 흡수 파장(λmax: 550nm)에서의 발색 전후의 광선 투과율 변화량(ΔT%max)이 34.4%로 3.7% 저하되어 [비교예 16]과 비교한 경우, 내광성의 향상이 확인된다. 또한, 자외선 조사기에 의한 내광성 시험의 실시 전후에서, 수지의 황변 평가로서 발색 전 단계의 440nm의 흡수 파장을 비교하면, 79.1%로부터 70.9%로 8.2% 저하되어 있지만 [비교예 16]과 비교한 경우에 황변의 저감을 확인할 수 있다. 조성을 표 1에 나타내고, 물성 측정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18]
3-이소시아나토메틸-3,5,5-트리메틸시클로헥실이소시아네이트 46.2중량부에 포토크로믹 화합물로서 Reversacol Trent Blue(Vivimed사제)를 570ppm, Reversacol Heath Green(Vivimed사제)을 300ppm 첨가하고, 디메틸주석디클로라이드를 3000ppm, 내부 이형제로서 부톡시에틸산포스페이트를 3000ppm, 자외선 흡수제 Viosorb 583을 5000ppm 첨가하고, 혼합 교반하여 용해하였다. 이 혼합액에 수 평균 분자량 1500의 폴리프로필렌글리콜(트리올형) 23.7중량부, 및 5,7-디머캅토메틸-1,11-디머캅토-3,6,9-트리티아운데칸, 4,7-디머캅토메틸-1,11-디머캅토-3,6,9-트리티아운데칸, 4,8-디머캅토메틸-1,11-디머캅토-3,6,9-트리티아운데칸을 포함하는 조성물 30.1중량부를 첨가하여 혼합, 교반을 계속하였다. 그 후, 진공 펌프에 의해 탈기하고, 이 용액을 유리 몰드에 주형하였다. 이것을 30℃ 내지 120℃의 범위에서 14시간에 걸쳐 중합시킨 후, 노로부터 성형형을 취출하고, 성형형을 떼어 내어, 중합하여 얻어진 성형체(직경 80mm, 두께 2mm의 원반상)를 취출하였다.
성형체는 무색 투명이며, 태양 광선 하에 두면 즉시 자색으로 착색되고, 광선을 차단하면 소색된다고 하는 양호한 조광 성능을 갖는 것이었다. 성형체의 조광 성능을 평가한바, 극대 흡수 파장(λmax: 550nm)에서의 발색 전후의 광선 투과율 변화량(ΔT%max)이 37.0%로 광선 투과율 변화량이 떨어지는 결과가 되었다. 또한, 자외선 조사기에 의한 내광성 시험의 실시 후에 동일한 측정을 실시하였다. 극대 흡수 파장(λmax: 550nm)에서의 발색 전후의 광선 투과율 변화량(ΔT%max)이 2.1%이며 내광성의 향상이 확인된다. 또한, 자외선 조사기에 의한 내광성 시험의 실시 전후에서, 수지의 황변 평가로서 발색 전 단계의 440nm의 흡수 파장을 비교하면 5.1%이며 황변의 저감을 확인할 수 있다. 조성을 표 1에 나타내고, 물성 측정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19]
3-이소시아나토메틸-3,5,5-트리메틸시클로헥실이소시아네이트 46.2중량부에 포토크로믹 화합물로서 Reversacol Trent Blue(Vivimed사제)를 570ppm, Reversacol Heath Green(Vivimed사제)을 300ppm 첨가하고, 디메틸주석디클로라이드를 3000ppm, 내부 이형제로서 부톡시에틸산포스페이트를 3000ppm, 자외선 흡수제 TINUVIN 405를 500ppm 첨가하고, 혼합 교반하여 용해하였다. 이 혼합액에 수 평균 분자량 1500의 폴리프로필렌글리콜(트리올형) 23.7중량부, 및 5,7-디머캅토메틸-1,11-디머캅토-3,6,9-트리티아운데칸, 4,7-디머캅토메틸-1,11-디머캅토-3,6,9-트리티아운데칸, 4,8-디머캅토메틸-1,11-디머캅토-3,6,9-트리티아운데칸을 포함하는 조성물 30.1중량부를 첨가하여 혼합, 교반을 계속하였다. 그 후, 진공 펌프에 의해 탈기하고, 이 용액을 유리 몰드에 주형하였다. 이것을 30℃ 내지 120℃의 범위에서 14시간에 걸쳐 중합시킨 후, 노로부터 성형형을 취출하고, 성형형을 떼어 내어, 중합하여 얻어진 성형체(직경 80mm, 두께 2mm의 원반상)를 취출하였다.
성형체는 무색 투명이며, 태양 광선 하에 두면 즉시 자색으로 착색되고, 광선을 차단하면 소색된다고 하는 양호한 조광 성능을 갖는 것이었다. 성형체의 조광 성능을 평가한바, 극대 흡수 파장(λmax: 550nm)에서의 발색 전후의 광선 투과율 변화량(ΔT%max)이 53.2%로 광선 투과율 변화량이 떨어지는 결과가 되었다. 또한, 자외선 조사기에 의한 내광성 시험의 실시 후에 동일한 측정을 실시하였다. 극대 흡수 파장(λmax: 550nm)에서의 발색 전후의 광선 투과율 변화량(ΔT%max)이 17.8%이며 내광성의 향상이 확인된다. 또한, 자외선 조사기에 의한 내광성 시험의 실시 전후에서, 수지의 황변 평가로서 발색 전 단계의 440nm의 흡수 파장을 비교하면 13.8%이며 황변의 저감을 확인할 수 있다. 조성을 표 1에 나타내고, 물성 측정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20]
3-이소시아나토메틸-3,5,5-트리메틸시클로헥실이소시아네이트 46.2중량부에 포토크로믹 화합물로서 Reversacol Trent Blue(Vivimed사제)를 570ppm, Reversacol Heath Green(Vivimed사제)을 300ppm 첨가하고, 디메틸주석디클로라이드를 3000ppm, 내부 이형제로서 부톡시에틸산포스페이트를 3000ppm, 자외선 흡수제 TINUVIN 405를 1000ppm 첨가하고, 혼합 교반하여 용해하였다. 이 혼합액에 수 평균 분자량 1500의 폴리프로필렌글리콜(트리올형) 23.7중량부, 및 5,7-디머캅토메틸-1,11-디머캅토-3,6,9-트리티아운데칸, 4,7-디머캅토메틸-1,11-디머캅토-3,6,9-트리티아운데칸, 4,8-디머캅토메틸-1,11-디머캅토-3,6,9-트리티아운데칸을 포함하는 조성물 30.1중량부를 첨가하여 혼합, 교반을 계속하였다. 그 후, 진공 펌프에 의해 탈기하고, 이 용액을 유리 몰드에 주형하였다. 이것을 30℃ 내지 120℃의 범위에서 14시간에 걸쳐 중합시킨 후, 노로부터 성형형을 취출하고, 성형형을 떼어 내어, 중합하여 얻어진 성형체(직경 80mm, 두께 2mm의 원반상)를 취출하였다.
성형체는 무색 투명이며, 태양 광선 하에 두면 즉시 자색으로 착색되고, 광선을 차단하면 소색된다고 하는 양호한 조광 성능을 갖는 것이었다. 성형체의 조광 성능을 평가한바, 극대 흡수 파장(λmax: 550nm)에서의 발색 전후의 광선 투과율 변화량(ΔT%max)이 53.1%였다. 또한, 자외선 조사기에 의한 내광성 시험의 실시 후에 동일한 측정을 실시하였다. 극대 흡수 파장(λmax: 550nm)에서의 발색 전후의 광선 투과율 변화량(ΔT%max)이 37.5%로 15.6% 저하되어 [비교예 19]와 비교한 경우, 내광성의 향상이 확인된다. 또한, 자외선 조사기에 의한 내광성 시험의 실시 전후에서, 수지의 황변 평가로서 발색 전 단계의 440nm의 흡수 파장을 비교하면, 77.7%로부터 66.8%로 10.9% 저하되어 있지만 [비교예 19]와 비교한 경우에 황변의 저감을 확인할 수 있다. 조성을 표 1에 나타내고, 물성 측정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21]
3-이소시아나토메틸-3,5,5-트리메틸시클로헥실이소시아네이트 46.2중량부에 포토크로믹 화합물로서 Reversacol Trent Blue(Vivimed사제)를 570ppm, Reversacol Heath Green(Vivimed사제)을 300ppm 첨가하고, 디메틸주석디클로라이드를 3000ppm, 내부 이형제로서 부톡시에틸산포스페이트를 3000ppm, 자외선 흡수제 TINUVIN 405를 2500ppm 첨가하고, 혼합 교반하여 용해하였다. 이 혼합액에 수 평균 분자량 1500의 폴리프로필렌글리콜(트리올형) 23.7중량부, 및 5,7-디머캅토메틸-1,11-디머캅토-3,6,9-트리티아운데칸, 4,7-디머캅토메틸-1,11-디머캅토-3,6,9-트리티아운데칸, 4,8-디머캅토메틸-1,11-디머캅토-3,6,9-트리티아운데칸을 포함하는 조성물 30.1중량부를 첨가하여 혼합, 교반을 계속하였다. 그 후, 진공 펌프에 의해 탈기하고, 이 용액을 유리 몰드에 주형하였다. 이것을 30℃ 내지 120℃의 범위에서 14시간에 걸쳐 중합시킨 후, 노로부터 성형형을 취출하고, 성형형을 떼어 내어, 중합하여 얻어진 성형체(직경 80mm, 두께 2mm의 원반상)를 취출하였다.
성형체는 무색 투명이며, 태양 광선 하에 두면 즉시 자색으로 착색되고, 광선을 차단하면 소색된다고 하는 양호한 조광 성능을 갖는 것이었다. 성형체의 조광 성능을 평가한바, 극대 흡수 파장(λmax: 550nm)에서의 발색 전후의 광선 투과율 변화량(ΔT%max)이 50.0%로 [비교예 19]와 비교한 경우, 광선 투과율 변화량이 떨어지는 결과가 되었다. 또한, 자외선 조사기에 의한 내광성 시험의 실시 후에 동일한 측정을 실시하였다. 극대 흡수 파장(λmax: 550nm)에서의 발색 전후의 광선 투과율 변화량(ΔT%max)이 36.7%로 13.3% 저하되어 [비교예 19]와 비교한 경우, 내광성의 향상이 확인된다. 또한, 자외선 조사기에 의한 내광성 시험의 실시 전후에서, 수지의 황변 평가로서 발색 전 단계의 440nm의 흡수 파장을 비교하면, 77.9%로부터 69.8%로 8.1% 저하되어 있지만 [비교예 19]와 비교한 경우에 황변의 저감을 확인할 수 있다. 조성을 표 1에 나타내고, 물성 측정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22]
3-이소시아나토메틸-3,5,5-트리메틸시클로헥실이소시아네이트 46.2중량부에 포토크로믹 화합물로서 Reversacol Trent Blue(Vivimed사제)를 570ppm, Reversacol Heath Green(Vivimed사제)을 300ppm 첨가하고, 디메틸주석디클로라이드를 3000ppm, 내부 이형제로서 부톡시에틸산포스페이트를 3000ppm, 자외선 흡수제 TINUVIN 405를 5000ppm 첨가하고, 혼합 교반하여 용해하였다. 이 혼합액에 수 평균 분자량 1500의 폴리프로필렌글리콜(트리올형) 23.7중량부, 및 5,7-디머캅토메틸-1,11-디머캅토-3,6,9-트리티아운데칸, 4,7-디머캅토메틸-1,11-디머캅토-3,6,9-트리티아운데칸, 4,8-디머캅토메틸-1,11-디머캅토-3,6,9-트리티아운데칸을 포함하는 조성물 30.1중량부를 첨가하여 혼합, 교반을 계속하였다. 그 후, 진공 펌프에 의해 탈기하고, 이 용액을 유리 몰드에 주형하였다. 이것을 30℃ 내지 120℃의 범위에서 14시간에 걸쳐 중합시킨 후, 노로부터 성형형을 취출하고, 성형형을 떼어 내어, 중합하여 얻어진 성형체(직경 80mm, 두께 2mm의 원반상)를 취출하였다.
성형체는 무색 투명이며, 태양 광선 하에 두면 즉시 자색으로 착색되고, 광선을 차단하면 소색된다고 하는 양호한 조광 성능을 갖는 것이었다. 성형체의 조광 성능을 평가한바, 극대 흡수 파장(λmax: 550nm)에서의 발색 전후의 광선 투과율 변화량(ΔT%max)이 49.7%로 광선 투과율 변화량이 떨어지는 결과가 되었다. 또한, 자외선 조사기에 의한 내광성 시험의 실시 후에 동일한 측정을 실시하였다. 극대 흡수 파장(λmax: 550nm)에서의 발색 전후의 광선 투과율 변화량(ΔT%max)이 11.5%이며 내광성의 향상이 확인된다. 또한, 자외선 조사기에 의한 내광성 시험의 실시 전후에서, 수지의 황변 평가로서 발색 전 단계의 440nm의 흡수 파장을 비교하면 5.1%로 황변의 저감을 확인할 수 있다. 조성을 표 1에 나타내고, 물성 측정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23]
3-이소시아나토메틸-3,5,5-트리메틸시클로헥실이소시아네이트 46.2중량부에 포토크로믹 화합물로서 Reversacol Trent Blue(Vivimed사제)를 570ppm, Reversacol Heath Green(Vivimed사제)을 300ppm 첨가하고, 디메틸주석디클로라이드를 3000ppm, 내부 이형제로서 부톡시에틸산포스페이트를 3000ppm, 자외선 흡수제 TINUVIN PS를 500ppm 첨가하고, 혼합 교반하여 용해하였다. 이 혼합액에 수 평균 분자량 1500의 폴리프로필렌글리콜(트리올형) 23.7중량부, 및 5,7-디머캅토메틸-1,11-디머캅토-3,6,9-트리티아운데칸, 4,7-디머캅토메틸-1,11-디머캅토-3,6,9-트리티아운데칸, 4,8-디머캅토메틸-1,11-디머캅토-3,6,9-트리티아운데칸을 포함하는 조성물 30.1중량부를 첨가하여 혼합, 교반을 계속하였다. 그 후, 진공 펌프에 의해 탈기하고, 이 용액을 유리 몰드에 주형하였다. 이것을 30℃ 내지 120℃의 범위에서 14시간에 걸쳐 중합시킨 후, 노로부터 성형형을 취출하고, 성형형을 떼어 내어, 중합하여 얻어진 성형체(직경 80mm, 두께 2mm의 원반상)를 취출하였다.
성형체는 무색 투명이며, 태양 광선 하에 두면 즉시 자색으로 착색되고, 광선을 차단하면 소색된다고 하는 양호한 조광 성능을 갖는 것이었다. 성형체의 조광 성능을 평가한바, 극대 흡수 파장(λmax: 550nm)에서의 발색 전후의 광선 투과율 변화량(ΔT%max)이 49.9%이며 광선 투과율 변화량이 떨어지는 결과가 되었다. 또한, 자외선 조사기에 의한 내광성 시험의 실시 후에 동일한 측정을 실시하였다. 극대 흡수 파장(λmax: 550nm)에서의 발색 전후의 광선 투과율 변화량(ΔT%max)이 14.3%이며 내광성의 향상이 확인된다. 또한, 자외선 조사기에 의한 내광성 시험의 실시 전후에서, 수지의 황변 평가로서 발색 전 단계의 440nm의 흡수 파장을 비교하면 16.6%이며 황변의 저감을 확인할 수 있다. 조성을 표 1에 나타내고, 물성 측정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24]
3-이소시아나토메틸-3,5,5-트리메틸시클로헥실이소시아네이트 46.2중량부에 포토크로믹 화합물로서 Reversacol Trent Blue(Vivimed사제)를 570ppm, Reversacol Heath Green(Vivimed사제)을 300ppm 첨가하고, 디메틸주석디클로라이드를 3000ppm, 내부 이형제로서 부톡시에틸산포스페이트를 3000ppm, 자외선 흡수제 TINUVIN PS를 1000ppm 첨가하고, 혼합 교반하여 용해하였다. 이 혼합액에 수 평균 분자량 1500의 폴리프로필렌글리콜(트리올형) 23.7중량부, 및 5,7-디머캅토메틸-1,11-디머캅토-3,6,9-트리티아운데칸, 4,7-디머캅토메틸-1,11-디머캅토-3,6,9-트리티아운데칸, 4,8-디머캅토메틸-1,11-디머캅토-3,6,9-트리티아운데칸을 포함하는 조성물 30.1중량부를 첨가하여 혼합, 교반을 계속하였다. 그 후, 진공 펌프에 의해 탈기하고, 이 용액을 유리 몰드에 주형하였다. 이것을 30℃ 내지 120℃의 범위에서 14시간에 걸쳐 중합시킨 후, 노로부터 성형형을 취출하고, 성형형을 떼어 내어, 중합하여 얻어진 성형체(직경 80mm, 두께 2mm의 원반상)를 취출하였다.
성형체는 무색 투명이며, 태양 광선 하에 두면 즉시 자색으로 착색되고, 광선을 차단하면 소색된다고 하는 양호한 조광 성능을 갖는 것이었다. 성형체의 조광 성능을 평가한바, 극대 흡수 파장(λmax: 550nm)에서의 발색 전후의 광선 투과율 변화량(ΔT%max)이 49.1%로 [비교예 23]과 비교한 경우, 광선 투과율 변화량이 떨어지는 결과가 되었다. 또한, 자외선 조사기에 의한 내광성 시험의 실시 후에 동일한 측정을 실시하였다. 극대 흡수 파장(λmax: 550nm)에서의 발색 전후의 광선 투과율 변화량(ΔT%max)이 37.8%로 11.3% 저하되어 [비교예 23]과 비교한 경우, 내광성의 향상이 확인된다. 또한, 자외선 조사기에 의한 내광성 시험의 실시 전후에서, 수지의 황변 평가로서 발색 전 단계의 440nm의 흡수 파장을 비교하면, 82.2%로부터 69.0%로 13.2% 저하되어 있지만 [비교예 23]과 비교한 경우에 황변의 저감을 확인할 수 있다. 조성을 표 1에 나타내고, 물성 측정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25]
3-이소시아나토메틸-3,5,5-트리메틸시클로헥실이소시아네이트 46.2중량부에 포토크로믹 화합물로서 Reversacol Trent Blue(Vivimed사제)를 570ppm, Reversacol Heath Green(Vivimed사제)을 300ppm 첨가하고, 디메틸주석디클로라이드를 3000ppm, 내부 이형제로서 부톡시에틸산포스페이트를 3000ppm, 자외선 흡수제 TINUVIN PS를 2500ppm 첨가하고, 혼합 교반하여 용해하였다. 이 혼합액에 수 평균 분자량 1500의 폴리프로필렌글리콜(트리올형) 23.7중량부, 및 5,7-디머캅토메틸-1,11-디머캅토-3,6,9-트리티아운데칸, 4,7-디머캅토메틸-1,11-디머캅토-3,6,9-트리티아운데칸, 4,8-디머캅토메틸-1,11-디머캅토-3,6,9-트리티아운데칸을 포함하는 조성물 30.1중량부를 첨가하여 혼합, 교반을 계속하였다. 그 후, 진공 펌프에 의해 탈기하고, 이 용액을 유리 몰드에 주형하였다. 이것을 30℃ 내지 120℃의 범위에서 14시간에 걸쳐 중합시킨 후, 노로부터 성형형을 취출하고, 성형형을 떼어 내어, 중합하여 얻어진 성형체(직경 80mm, 두께 2mm의 원반상)를 취출하였다.
성형체는 무색 투명이며, 태양 광선 하에 두면 즉시 자색으로 착색되고, 광선을 차단하면 소색된다고 하는 양호한 조광 성능을 갖는 것이었다. 성형체의 조광 성능을 평가한바, 극대 흡수 파장(λmax: 550nm)에서의 발색 전후의 광선 투과율 변화량(ΔT%max)이 46.8%로 [비교예 24]와 비교한 경우, 광선 투과율 변화량이 떨어지는 결과가 되었다. 또한, 자외선 조사기에 의한 내광성 시험의 실시 후에 동일한 측정을 실시하였다. 극대 흡수 파장(λmax: 550nm)에서의 발색 전후의 광선 투과율 변화량(ΔT%max)이 38.2%로 8.6% 저하되어 [비교예 24]와 비교한 경우, 내광성의 향상이 확인된다. 또한, 자외선 조사기에 의한 내광성 시험의 실시 전후에서, 수지의 황변 평가로서 발색 전 단계의 440nm의 흡수 파장을 비교하면, 82.4%로부터 70.3%로 12.1% 저하되어 있지만 [비교예 24]와 비교한 경우에 황변의 저감을 확인할 수 있다. 조성을 표 1에 나타내고, 물성 측정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26]
3-이소시아나토메틸-3,5,5-트리메틸시클로헥실이소시아네이트 46.2중량부에 포토크로믹 화합물로서 Reversacol Trent Blue(Vivimed사제)를 570ppm, Reversacol Heath Green(Vivimed사제)을 300ppm 첨가하고, 디메틸주석디클로라이드를 3000ppm, 내부 이형제로서 부톡시에틸산포스페이트를 3000ppm, 자외선 흡수제 TINUVIN PS를 5000ppm 첨가하고, 혼합 교반하여 용해하였다. 이 혼합액에 수 평균 분자량 1500의 폴리프로필렌글리콜(트리올형) 23.7중량부, 및 5,7-디머캅토메틸-1,11-디머캅토-3,6,9-트리티아운데칸, 4,7-디머캅토메틸-1,11-디머캅토-3,6,9-트리티아운데칸, 4,8-디머캅토메틸-1,11-디머캅토-3,6,9-트리티아운데칸을 포함하는 조성물 30.1중량부를 첨가하여 혼합, 교반을 계속하였다. 그 후, 진공 펌프에 의해 탈기하고, 이 용액을 유리 몰드에 주형하였다. 이것을 30℃ 내지 120℃의 범위에서 14시간에 걸쳐 중합시킨 후, 노로부터 성형형을 취출하고, 성형형을 떼어 내어, 중합하여 얻어진 성형체(직경 80mm, 두께 2mm의 원반상)를 취출하였다.
성형체는 무색 투명이며, 태양 광선 하에 두면 즉시 자색으로 착색되고, 광선을 차단하면 소색된다고 하는 양호한 조광 성능을 갖는 것이었다. 성형체의 조광 성능을 평가한바, 극대 흡수 파장(λmax: 550nm)에서의 발색 전후의 광선 투과율 변화량(ΔT%max)이 43.9%이며 광선 투과율 변화량이 떨어지는 결과가 되었다. 또한, 자외선 조사기에 의한 내광성 시험의 실시 후에 동일한 측정을 실시하였다. 극대 흡수 파장(λmax: 550nm)에서의 발색 전후의 광선 투과율 변화량(ΔT%max)이 5.6%이며 내광성의 향상이 확인된다. 또한, 자외선 조사기에 의한 내광성 시험의 실시 전후에서, 수지의 황변 평가로서 발색 전 단계의 440nm의 흡수 파장을 비교하면 8.5%이며 황변의 저감을 확인할 수 있다. 조성을 표 1에 나타내고, 물성 측정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27]
3-이소시아나토메틸-3,5,5-트리메틸시클로헥실이소시아네이트 46.2중량부에 포토크로믹 화합물로서 Reversacol Wembley Grey(Vivimed사제)를 570ppm, Reversacol Heath Green(Vivimed사제)을 310ppm 첨가하고, 디메틸주석디클로라이드를 3000ppm, 내부 이형제로서 부톡시에틸산포스페이트를 3000ppm, 자외선 흡수제 HOSTAVIN PR 25를 10000ppm 첨가하고, 광 안정제 LA72를 3000ppm 첨가하여 혼합 교반하여 용해하였다. 이 혼합액에 수 평균 분자량 1500의 폴리프로필렌글리콜(트리올형) 23.7중량부, 및 5,7-디머캅토메틸-1,11-디머캅토-3,6,9-트리티아운데칸, 4,7-디머캅토메틸-1,11-디머캅토-3,6,9-트리티아운데칸, 4,8-디머캅토메틸-1,11-디머캅토-3,6,9-트리티아운데칸을 포함하는 조성물 30.1중량부를 첨가하여 혼합, 교반을 계속하였다. 그 후, 진공 펌프에 의해 탈기하고, 이 용액을 유리 몰드에 주형하였다. 이것을 30℃ 내지 120℃의 범위에서 14시간에 걸쳐 중합시킨 후, 노로부터 성형형을 취출하고, 성형형을 떼어 내어, 중합하여 얻어진 성형체(직경 80mm, 두께 2mm의 원반상)를 취출하였다.
성형체는 무색 투명이며, 태양 광선 하에 두면 즉시 자색으로 착색되고, 광선을 차단하면 소색된다고 하는 양호한 조광 성능을 갖는 것이었다. 성형체의 조광 성능을 평가한바, 극대 흡수 파장(λmax: 550nm)에서의 발색 전후의 광선 투과율 변화량(ΔT%max)이 64.9%라고 하는 양호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자외선 조사기에 의한 내광성 시험의 실시 후에 동일한 측정을 실시하였다. 극대 흡수 파장(λmax: 550nm)에서의 발색 전후의 광선 투과율 변화량(ΔT%max)이 2.1%이며 내광성의 향상이 확인된다. 또한, 자외선 조사기에 의한 내광성 시험의 실시 전후에서, 수지의 황변 평가로서 발색 전 단계의 440nm의 흡수 파장을 비교하면 12.1%이며 황변의 저감을 확인할 수 없었다. 조성을 표 1에 나타내고, 물성 측정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28]
3-이소시아나토메틸-3,5,5-트리메틸시클로헥실이소시아네이트 46.2중량부에 포토크로믹 화합물로서 Cayenne Red(Vivimed사제)를 430ppm, Reversacol Heath Green(Vivimed사제)을 980ppm 첨가하고, 디메틸주석디클로라이드를 3000ppm, 내부 이형제로서 부톡시에틸산포스페이트를 3000ppm, 자외선 흡수제 HOSTAVIN PR 25를 10000ppm 첨가하고, 광 안정제 LA72를 3000ppm 첨가하여 혼합 교반하여 용해하였다. 이 혼합액에 수 평균 분자량 1500의 폴리프로필렌글리콜(트리올형) 23.7중량부, 및 5,7-디머캅토메틸-1,11-디머캅토-3,6,9-트리티아운데칸, 4,7-디머캅토메틸-1,11-디머캅토-3,6,9-트리티아운데칸, 4,8-디머캅토메틸-1,11-디머캅토-3,6,9-트리티아운데칸을 포함하는 조성물 30.1중량부를 첨가하여 혼합, 교반을 계속하였다. 그 후, 진공 펌프에 의해 탈기하고, 이 용액을 유리 몰드에 주형하였다. 이것을 30℃ 내지 120℃의 범위에서 14시간에 걸쳐 중합시킨 후, 노로부터 성형형을 취출하고, 성형형을 떼어 내어, 중합하여 얻어진 성형체(직경 80mm, 두께 2mm의 원반상)를 취출하였다.
성형체는 무색 투명이며, 태양 광선 하에 두면 즉시 자색으로 착색되고, 광선을 차단하면 소색된다고 하는 양호한 조광 성능을 갖는 것이었다. 성형체의 조광 성능을 평가한바, 극대 흡수 파장(λmax: 550nm)에서의 발색 전후의 광선 투과율 변화량(ΔT%max)이 54.1%라고 하는 양호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자외선 조사기에 의한 내광성 시험의 실시 후에 동일한 측정을 실시하였다. 극대 흡수 파장(λmax: 550nm)에서의 발색 전후의 광선 투과율 변화량(ΔT%max)이 4.2%이며 내광성의 향상이 확인된다. 또한, 자외선 조사기에 의한 내광성 시험의 실시 전후에서, 수지의 황변 평가로서 발색 전 단계의 440nm의 흡수 파장을 비교하면 15.8%이며 황변의 저감을 확인할 수 없었다. 조성을 표 1에 나타내고, 물성 측정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29]
2,5-비스(이소시아나토메틸)비시클로-[2.2.1]-헵탄, 2,6-비스(이소시아나토메틸)비시클로-[2.2.1]-헵탄을 포함하는 조성물 48.7중량부에 포토크로믹 화합물로서 Reversacol Wembley Grey(Vivimed사제)를 684ppm, Reversacol Heath Green(Vivimed사제)을 372ppm 첨가하고, 디메틸주석디클로라이드를 600ppm, 자외선 흡수제 HOSTAVIN PR 25를 10000ppm, 내부 이형제로서 부톡시에틸산포스페이트를 2500ppm, 각각 첨가ㆍ혼합 교반하여 용해하였다. 이 혼합액에 수 평균 분자량 1250의 폴리프로필렌글리콜(디올형) 5.9중량부, 5,7-디머캅토메틸-1,11-디머캅토-3,6,9-트리티아운데칸, 4,7-디머캅토메틸-1,11-디머캅토-3,6,9-트리티아운데칸, 4,8-디머캅토메틸-1,11-디머캅토-3,6,9-트리티아운데칸을 포함하는 조성물 30.0중량부, 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키스(2-머캅토아세테이트), 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키스(3-머캅토프로피오네이트)를 포함하는 조성물 15.4중량부를 첨가하여 혼합, 교반을 계속하였다. 그 후, 진공 펌프에 의해 탈기하고, 이 용액을 유리 몰드에 주형하였다. 이것을 30℃ 내지 120℃의 범위에서 14시간에 걸쳐 중합시킨 후, 노로부터 성형형을 취출하고, 성형형을 떼어 내어, 중합하여 얻어진 성형체(직경 80mm, 두께 2mm의 원반상)를 취출하였다.
성형체는 무색 투명이며, 태양 광선 하에 두면 즉시 자색으로 착색되고, 광선을 차단하면 소색된다고 하는 양호한 조광 성능을 갖는 것이었다. 성형체의 조광 성능을 평가한바, 극대 흡수 파장(λmax: 550nm)에서의 발색 전후의 광선 투과율 변화량(ΔT%max)이 65.7%라고 하는 양호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자외선 조사기에 의한 내광성 시험의 실시 후에 동일한 측정을 실시하였다. 극대 흡수 파장(λmax: 550nm)에서의 발색 전후의 광선 투과율 변화량(ΔT%max)이 1.1%이며 내광성의 향상이 확인된다. 또한, 자외선 조사기에 의한 내광성 시험의 실시 전후에서, 수지의 황변 평가로서 발색 전 단계의 440nm의 흡수 파장을 비교하면, 6.1%이며 황변의 저감을 확인할 수 있다. 조성을 표 1에 나타내고, 물성 측정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30]
디시클로헥실메탄-4,4'-디이소시아네이트, 디시클로헥실메탄-2,4'-디이소시아네이트를 포함하는 조성물 47.2중량부,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7.6중량부에 포토크로믹 화합물로서 Reversacol Wembley Grey(Vivimed사제)를 684ppm, Reversacol Heath Green(Vivimed사제)을 372ppm 첨가하고, 디메틸주석디클로라이드를 600ppm, 자외선 흡수제 HOSTAVIN PR 25를 10000ppm, 내부 이형제로서 부톡시에틸산포스페이트를 2500ppm, 각각 첨가ㆍ혼합 교반하여 용해하였다. 이 혼합액에 수 평균 분자량 1250의 폴리프로필렌글리콜(디올형) 5.6중량부, 5,7-디머캅토메틸-1,11-디머캅토-3,6,9-트리티아운데칸, 4,7-디머캅토메틸-1,11-디머캅토-3,6,9-트리티아운데칸, 4,8-디머캅토메틸-1,11-디머캅토-3,6,9-트리티아운데칸을 포함하는 조성물 39.6중량부를 첨가하여 혼합, 교반을 계속하였다. 그 후, 진공 펌프에 의해 탈기하고, 이 용액을 유리 몰드에 주형하였다. 이것을 30℃ 내지 120℃의 범위에서 14시간에 걸쳐 중합시킨 후, 노로부터 성형형을 취출하고, 성형형을 떼어 내어, 중합하여 얻어진 성형체(직경 80mm, 두께 2mm의 원반상)를 취출하였다.
성형체는 무색 투명이며, 태양 광선 하에 두면 즉시 자색으로 착색되고, 광선을 차단하면 소색된다고 하는 양호한 조광 성능을 갖는 것이었다. 성형체의 조광 성능을 평가한바, 극대 흡수 파장(λmax: 550nm)에서의 발색 전후의 광선 투과율 변화량(ΔT%max)이 62.7%라고 하는 양호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자외선 조사기에 의한 내광성 시험의 실시 후에 동일한 측정을 실시하였다. 극대 흡수 파장(λmax: 550nm)에서의 발색 전후의 광선 투과율 변화량(ΔT%max)이 1.2%이며 내광성의 향상이 확인된다. 또한, 자외선 조사기에 의한 내광성 시험의 실시 전후에서, 수지의 황변 평가로서 발색 전 단계의 440nm의 흡수 파장을 비교하면, 11.7%이며 황변의 저감을 확인할 수 있다. 조성을 표 1에 나타내고, 물성 측정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31]
m-크실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50.9중량부에 포토크로믹 화합물로서 Reversacol Wembley Grey(Vivimed사제)를 684ppm, Reversacol Heath Green(Vivimed사제)을 372ppm 첨가하고, 디메틸주석디클로라이드를 600ppm, 자외선 흡수제 HOSTAVIN PR 25를 10000ppm, 내부 이형제로서 부톡시에틸산포스페이트를 2500ppm, 각각 첨가ㆍ혼합 교반하여 용해하였다. 이 혼합액에 수 평균 분자량 1250의 폴리프로필렌글리콜(디올형) 6.3중량부, 1,2-비스(머캅토메틸티오)에탄, 1,2-비스(2-머캅토에틸티오)에탄, 1,2-비스(3-머캅토프로필티오)에탄을 포함하는 조성물 42.8중량부를 첨가하여 혼합, 교반을 계속하였다. 그 후, 진공 펌프에 의해 탈기하고, 이 용액을 유리 몰드에 주형하였다. 이것을 30℃ 내지 120℃의 범위에서 14시간에 걸쳐 중합시킨 후, 노로부터 성형형을 취출하고, 성형형을 떼어 내어, 중합하여 얻어진 성형체(직경 80mm, 두께 2mm의 원반상)를 취출하였다.
성형체는 무색 투명이며, 태양 광선 하에 두면 즉시 자색으로 착색되고, 광선을 차단하면 소색된다고 하는 양호한 조광 성능을 갖는 것이었다. 성형체의 조광 성능을 평가한바, 극대 흡수 파장(λmax: 550nm)에서의 발색 전후의 광선 투과율 변화량(ΔT%max)이 69.1%라고 하는 양호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자외선 조사기에 의한 내광성 시험의 실시 후에 동일한 측정을 실시하였다. 극대 흡수 파장(λmax: 550nm)에서의 발색 전후의 광선 투과율 변화량(ΔT%max)이 1.2%이며 내광성의 향상이 확인된다. 또한, 자외선 조사기에 의한 내광성 시험의 실시 전후에서, 수지의 황변 평가로서 발색 전 단계의 440nm의 흡수 파장을 비교하면, 5.0%이며 황변의 저감을 확인할 수 있다. 조성을 표 1에 나타내고, 물성 측정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32]
p-크실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50.9중량부에 포토크로믹 화합물로서 Reversacol Wembley Grey(Vivimed사제)를 684ppm, Reversacol Heath Green(Vivimed사제)을 372ppm 첨가하고, 디메틸주석디클로라이드를 600ppm, 자외선 흡수제 HOSTAVIN PR 25를 10000ppm, 내부 이형제로서 부톡시에틸산포스페이트를 2500ppm, 각각 첨가ㆍ혼합 교반하여 용해하였다. 이 혼합액에 수 평균 분자량 1250의 폴리프로필렌글리콜(디올형) 6.3중량부, 1,2-비스(머캅토메틸티오)에탄, 1,2-비스(2-머캅토에틸티오)에탄, 1,2-비스(3-머캅토프로필티오)에탄을 포함하는 조성물 42.8중량부를 첨가하여 혼합, 교반을 계속하였다. 그 후, 진공 펌프에 의해 탈기하고, 이 용액을 유리 몰드에 주형하였다. 이것을 30℃ 내지 120℃의 범위에서 14시간에 걸쳐 중합시킨 후, 노로부터 성형형을 취출하고, 성형형을 떼어 내어, 중합하여 얻어진 성형체(직경 80mm, 두께 2mm의 원반상)를 취출하였다.
성형체는 무색 투명이며, 태양 광선 하에 두면 즉시 자색으로 착색되고, 광선을 차단하면 소색된다고 하는 양호한 조광 성능을 갖는 것이었다. 성형체의 조광 성능을 평가한바, 극대 흡수 파장(λmax: 550nm)에서의 발색 전후의 광선 투과율 변화량(ΔT%max)이 68.6%라고 하는 양호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자외선 조사기에 의한 내광성 시험의 실시 후에 동일한 측정을 실시하였다. 극대 흡수 파장(λmax: 550nm)에서의 발색 전후의 광선 투과율 변화량(ΔT%max)이 0.8%이며 내광성의 향상이 확인된다. 또한, 자외선 조사기에 의한 내광성 시험의 실시 전후에서, 수지의 황변 평가로서 발색 전 단계의 440nm의 흡수 파장을 비교하면, 3.8%이며 황변의 저감을 확인할 수 있다. 조성을 표 1에 나타내고, 물성 측정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33]
2,5-비스(이소시아나토메틸)비시클로-[2.2.1]-헵탄, 2,6-비스(이소시아나토메틸)비시클로-[2.2.1]-헵탄을 포함하는 조성물 50.2중량부에 포토크로믹 화합물로서 Reversacol Wembley Grey(Vivimed사제)를 570ppm, Reversacol Heath Green(Vivimed사제)을 310ppm 첨가하고, 디메틸주석디클로라이드를 600ppm, 자외선 흡수제 HOSTAVIN PR 25를 10000ppm, 내부 이형제로서 부톡시에틸산포스페이트를 2500ppm, 각각 첨가ㆍ혼합 교반하여 용해하였다. 이 혼합액에 수 평균 분자량 1000의 폴리프로필렌글리콜(디올형) 13.9중량부, 5,7-디머캅토메틸-1,11-디머캅토-3,6,9-트리티아운데칸, 4,7-디머캅토메틸-1,11-디머캅토-3,6,9-트리티아운데칸, 4,8-디머캅토메틸-1,11-디머캅토-3,6,9-트리티아운데칸을 포함하는 조성물 35.9중량부를 첨가하여 혼합, 교반을 계속하였다. 그 후, 진공 펌프에 의해 탈기하고, 이 용액을 유리 몰드에 주형하였다. 이것을 30℃ 내지 120℃의 범위에서 14시간에 걸쳐 중합시킨 후, 노로부터 성형형을 취출하고, 성형형을 떼어 내어, 중합하여 얻어진 성형체(직경 80mm, 두께 2mm의 원반상)를 취출하였다.
성형체는 무색 투명이며, 태양 광선 하에 두면 즉시 자색으로 착색되고, 광선을 차단하면 소색된다고 하는 양호한 조광 성능을 갖는 것이었다. 성형체의 조광 성능을 평가한바, 극대 흡수 파장(λmax: 550nm)에서의 발색 전후의 광선 투과율 변화량(ΔT%max)이 70.0%라고 하는 양호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자외선 조사기에 의한 내광성 시험의 실시 후에 동일한 측정을 실시하였다. 극대 흡수 파장(λmax: 550nm)에서의 발색 전후의 광선 투과율 변화량(ΔT%max)이 2.1%이며 내광성의 향상이 확인된다. 또한, 자외선 조사기에 의한 내광성 시험의 실시 전후에서, 수지의 황변 평가로서 발색 전 단계의 440nm의 흡수 파장을 비교하면, 6.5%이며 황변의 저감을 확인할 수 있다. 조성을 표 1에 나타내고, 물성 측정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34]
2,5-비스(이소시아나토메틸)비시클로-[2.2.1]-헵탄, 2,6-비스(이소시아나토메틸)비시클로-[2.2.1]-헵탄을 포함하는 조성물 49.2중량부에 포토크로믹 화합물로서 Reversacol Wembley Grey(Vivimed사제)를 570ppm, Reversacol Heath Green(Vivimed사제)을 310ppm 첨가하고, 디메틸주석디클로라이드를 600ppm, 자외선 흡수제 HOSTAVIN PR 25를 10000ppm, 내부 이형제로서 부톡시에틸산포스페이트를 2500ppm, 각각 첨가ㆍ혼합 교반하여 용해하였다. 이 혼합액에 수 평균 분자량 1500의 폴리프로필렌글리콜(트리올형) 13.7중량부, 5,7-디머캅토메틸-1,11-디머캅토-3,6,9-트리티아운데칸, 4,7-디머캅토메틸-1,11-디머캅토-3,6,9-트리티아운데칸, 4,8-디머캅토메틸-1,11-디머캅토-3,6,9-트리티아운데칸을 포함하는 조성물 37.1중량부를 첨가하여 혼합, 교반을 계속하였다. 그 후, 진공 펌프에 의해 탈기하고, 이 용액을 유리 몰드에 주형하였다. 이것을 30℃ 내지 120℃의 범위에서 14시간에 걸쳐 중합시킨 후, 노로부터 성형형을 취출하고, 성형형을 떼어 내어, 중합하여 얻어진 성형체(직경 80mm, 두께 2mm의 원반상)를 취출하였다.
성형체는 무색 투명이며, 태양 광선 하에 두면 즉시 자색으로 착색되고, 광선을 차단하면 소색된다고 하는 양호한 조광 성능을 갖는 것이었다. 성형체의 조광 성능을 평가한바, 극대 흡수 파장(λmax: 550nm)에서의 발색 전후의 광선 투과율 변화량(ΔT%max)이 67.1%라고 하는 양호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자외선 조사기에 의한 내광성 시험의 실시 후에 동일한 측정을 실시하였다. 극대 흡수 파장(λmax: 550nm)에서의 발색 전후의 광선 투과율 변화량(ΔT%max)이 2.9%이며 내광성의 향상이 확인된다. 또한, 자외선 조사기에 의한 내광성 시험의 실시 전후에서, 수지의 황변 평가로서 발색 전 단계의 440nm의 흡수 파장을 비교하면, 9.5%이며 황변의 저감을 확인할 수 있다. 조성을 표 1에 나타내고, 물성 측정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1]
3-이소시아나토메틸-3,5,5-트리메틸시클로헥실이소시아네이트 46.2중량부에 포토크로믹 화합물로서 Reversacol Trent Blue(Vivimed사제)를 570ppm, Reversacol Heath Green(Vivimed사제)을 300ppm 첨가하고, 디메틸주석디클로라이드를 3000ppm, 내부 이형제로서 부톡시에틸산포스페이트를 3000ppm, 혼합 교반하여 용해하였다. 이 혼합액에 수 평균 분자량 1500의 폴리프로필렌글리콜(트리올형) 23.7중량부, 및 5,7-디머캅토메틸-1,11-디머캅토-3,6,9-트리티아운데칸, 4,7-디머캅토메틸-1,11-디머캅토-3,6,9-트리티아운데칸, 4,8-디머캅토메틸-1,11-디머캅토-3,6,9-트리티아운데칸을 포함하는 조성물 30.1중량부를 첨가하여 혼합, 교반을 계속하였다. 그 후, 진공 펌프에 의해 탈기하고, 이 용액을 유리 몰드에 주형하였다. 이것을 30℃ 내지 120℃의 범위에서 14시간에 걸쳐 중합시킨 후, 노로부터 성형형을 취출하고, 성형형을 떼어 내어, 중합하여 얻어진 성형체(직경 80mm, 두께 2mm의 원반상)를 취출하였다.
성형체는 무색 투명이며, 태양 광선 하에 두면 즉시 자색으로 착색되고, 광선을 차단하면 소색된다고 하는 양호한 조광 성능을 갖는 것이었다. 성형체의 조광 성능을 평가한바, 극대 흡수 파장(λmax: 550nm)에서의 발색 전후의 광선 투과율 변화량(ΔT%max)이 59.7%라고 하는 양호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자외선 조사기에 의한 내광성 시험의 실시 후에 동일한 측정을 실시하였다. 극대 흡수 파장(λmax: 550nm)에서의 발색 전후의 광선 투과율 변화량(ΔT%max)이 26.7%이며, 내광성 시험 후에는 발색 전후의 광선 투과율 변화량이 작아져 있음을 나타내었다. 또한, 자외선 조사기에 의한 내광성 시험의 실시 전후에서, 수지의 황변 평가로서 발색 전 단계의 440nm의 흡수 파장을 비교하면, 29.2%로 크게 저하되어 있었다. 조성을 표 1에 나타내고, 물성 측정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2]
3-이소시아나토메틸-3,5,5-트리메틸시클로헥실이소시아네이트 46.2중량부에 포토크로믹 화합물로서 Reversacol Chilli Red(Vivimed사제)를 350ppm, Reversacol Heath Green(Vivimed사제)을 550ppm 첨가하고, 디메틸주석디클로라이드를 3000ppm, 내부 이형제로서 부톡시에틸산포스페이트를 3000ppm, 혼합 교반하여 용해하였다. 이 혼합액에 수 평균 분자량 1500의 폴리프로필렌글리콜(트리올형) 23.7중량부, 및 5,7-디머캅토메틸-1,11-디머캅토-3,6,9-트리티아운데칸, 4,7-디머캅토메틸-1,11-디머캅토-3,6,9-트리티아운데칸, 4,8-디머캅토메틸-1,11-디머캅토-3,6,9-트리티아운데칸을 포함하는 조성물 30.1중량부를 첨가하여 혼합, 교반을 계속하였다. 그 후, 진공 펌프에 의해 탈기하고, 이 용액을 유리 몰드에 주형하였다. 이것을 30℃ 내지 120℃의 범위에서 14시간에 걸쳐 중합시킨 후, 노로부터 성형형을 취출하고, 성형형을 떼어 내어, 중합하여 얻어진 성형체(직경 80mm, 두께 2mm의 원반상)를 취출하였다.
성형체는 무색 투명이며, 태양 광선 하에 두면 즉시 자색으로 착색되고, 광선을 차단하면 소색된다고 하는 양호한 조광 성능을 갖는 것이었다. 성형체의 조광 성능을 평가한바, 극대 흡수 파장(λmax: 550nm)에서의 발색 전후의 광선 투과율 변화량(ΔT%max)이 49.6%라고 하는 양호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자외선 조사기에 의한 내광성 시험의 실시 후에 동일한 측정을 실시하였다. 극대 흡수 파장(λmax: 550nm)에서의 발색 전후의 광선 투과율 변화량(ΔT%max)이 31.1%이며, 내광성 시험 후에는 발색 전후의 광선 투과율 변화량이 작아져 있음을 나타내었다. 또한, 자외선 조사기에 의한 내광성 시험의 실시 전후에서, 수지의 황변 평가로서 발색 전 단계의 440nm의 흡수 파장을 비교하면, 27.5%로 크게 저하되어 있었다. 조성을 표 1에 나타내고, 물성 측정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3]
3-이소시아나토메틸-3,5,5-트리메틸시클로헥실이소시아네이트 46.2중량부에 포토크로믹 화합물로서 Reversacol Wembley Grey(Vivimed사제)를 570ppm, Reversacol Heath Green(Vivimed사제)을 310ppm 첨가하고, 디메틸주석디클로라이드를 3000ppm, 내부 이형제로서 부톡시에틸산포스페이트를 3000ppm, 혼합 교반하여 용해하였다. 이 혼합액에 수 평균 분자량 1500의 폴리프로필렌글리콜(트리올형) 23.7중량부, 및 5,7-디머캅토메틸-1,11-디머캅토-3,6,9-트리티아운데칸, 4,7-디머캅토메틸-1,11-디머캅토-3,6,9-트리티아운데칸, 4,8-디머캅토메틸-1,11-디머캅토-3,6,9-트리티아운데칸을 포함하는 조성물 30.1중량부를 첨가하여 혼합, 교반을 계속하였다. 그 후, 진공 펌프에 의해 탈기하고, 이 용액을 유리 몰드에 주형하였다. 이것을 30℃ 내지 120℃의 범위에서 14시간에 걸쳐 중합시킨 후, 노로부터 성형형을 취출하고, 성형형을 떼어 내어, 중합하여 얻어진 성형체(직경 80mm, 두께 2mm의 원반상)를 취출하였다.
성형체는 무색 투명이며, 태양 광선 하에 두면 즉시 자색으로 착색되고, 광선을 차단하면 소색된다고 하는 양호한 조광 성능을 갖는 것이었다. 성형체의 조광 성능을 평가한바, 극대 흡수 파장(λmax: 550nm)에서의 발색 전후의 광선 투과율 변화량(ΔT%max)이 71.1%라고 하는 양호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자외선 조사기에 의한 내광성 시험의 실시 후에 동일한 측정을 실시하였다. 극대 흡수 파장(λmax: 550nm)에서의 발색 전후의 광선 투과율 변화량(ΔT%max)이 35.2%이며, 내광성 시험 후에는 발색 전후의 광선 투과율 변화량이 작아져 있음을 나타내었다. 또한, 자외선 조사기에 의한 내광성 시험의 실시 전후에서, 수지의 황변 평가로서 발색 전 단계의 440nm의 흡수 파장을 비교하면, 33.6%로 크게 저하되어 있었다. 조성을 표 1에 나타내고, 물성 측정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19116275781-pct00019
표 1(계속)
Figure 112019116275781-pct00020
표 1에 기재된 화합물은 이하와 같다.
ㆍ화합물 A1: 3-이소시아나토메틸-3,5,5-트리메틸시클로헥실이소시아네이트
ㆍ화합물 A2: 2,5-비스(이소시아나토메틸)비시클로-[2.2.1]-헵탄, 및 2,6-비스(이소시아나토메틸)비시클로-[2.2.1]-헵탄을 포함하는 조성물
ㆍ화합물 A3: 디시클로헥실메탄-4,4'-디이소시아네이트, 및 디시클로헥실메탄-2,4'-디이소시아네이트를 포함하는 조성물
ㆍ화합물 A4: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ㆍ화합물 A5: m-크실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ㆍ화합물 A6: p-크실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ㆍ화합물 B1: 수 평균 분자량 1500의 폴리프로필렌글리콜(트리올형)
ㆍ화합물 B2: 수 평균 분자량 1250의 폴리프로필렌글리콜(디올형)
ㆍ화합물 B3: 수 평균 분자량 1000의 폴리프로필렌글리콜(디올형)
ㆍ화합물 C1: 5,7-디머캅토메틸-1,11-디머캅토-3,6,9-트리티아운데칸, 4,7-디머캅토메틸-1,11-디머캅토-3,6,9-트리티아운데칸, 및 4,8-디머캅토메틸-1,11-디머캅토-3,6,9-트리티아운데칸을 포함하는 조성물
ㆍ화합물 C2: 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키스(2-머캅토아세테이트), 및 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키스(3-머캅토프로피오네이트)를 포함하는 조성물
ㆍ화합물 C3: 1,2-비스(머캅토메틸티오)에탄, 1,2-비스(2-머캅토에틸티오)에탄, 및 1,2-비스(3-머캅토프로필티오)에탄을 포함하는 조성물
ㆍD1: Reversacol Trent Blue
ㆍD2: Reversacol Heath Green
ㆍD3: Reversacol Wembley Grey
ㆍD4: Reversacol Chilli Red
ㆍD5: Cayenne Red
Figure 112019116275781-pct00021
이상으로부터, 2관능 이상의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A), 수 평균 분자량이 100 이상인 폴리올 화합물 (B), 2관능 이상의 활성 수소 화합물 (C), 포토크로믹 화합물 (D) 및 자외선 흡수제 (E)를 포함하는 중합성 조성물을 중합하여 얻어지는, 본 발명의 포토크로믹 광학 재료는, 폴리(티오)우레탄 수지에 종래예가 없을 정도의 내광성 및 높은 포토크로믹 성능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내광성 시험(촉진 시험)의 결과로부터, 경시적인 포토크로믹 성능의 저하가 현저하게 억제됨이 명확하다. 또한, 광 안정제 (F)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효과가 보다 향상됨이 명확하다. 따라서, 안경용 렌즈 등에 사용되는 포토크로믹 성능을 갖는 광학용 재료로서 매우 유용하다.
실시예 중에서도, 자외선 흡수제로서, 말론산에스테르계 자외선 흡수제(Hostavin PR 25) 또는 옥사닐리드계 자외선 흡수제(Hostavin VSU)를 사용한 경우에, 내광성 및 포토크로믹 성능이 특히 우수하고, 경시적인 포토크로믹 성능의 저하가 현저하게 억제되어 있고, 이들 특성의 밸런스가 우수하였다. 구체적으로는, 발색 전후의 광선 투과율 변화량(ΔT%max)이 50% 이상을 나타내고 있다는 점에서 포토크로믹 성능이 우수하고, 또한 440nm(ΔT%)가 20% 이하를 나타내고, 550nm(ΔT%)가 20% 이하를 나타낸다는 점에서, 내광성이 우수함과 함께 경시적인 포토크로믹 성능의 저하가 현저하게 억제되어 있고, 이들 특성의 밸런스가 우수하였다.
또한,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 따르면, 2관능 이상의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A), 수 평균 분자량이 100 이상인 폴리올 화합물 (B), 및 2관능 이상의 활성 수소 화합물 (C)를 포함하는 단량체 혼합물에 미리 포토크로믹 화합물 (D) 및 자외선 흡수제 (E)를 용해하여 중합성 조성물을 조제하고, 당해 조성물을 몰드에 주입한 후, 중합시켜 포토크로믹 렌즈를 얻을 수 있다. 또한, 광 안정제 (F)를 포함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동일하다. 즉, 렌즈 성형과 동시에 조광 성능이 부여된다는 점에서, 포토크로믹 성능을 부여하기 위한 코팅층 등을 별도로 형성할 필요가 없어 제조상의 공수가 적기 때문에, 생산 효율이 향상되고, 또한 생산 비용면에서도 우위이다. 또한, 중합성 조성물을 경화하여 얻어지는 렌즈 기재 중에, 포토크로믹 화합물을 균일하게 분산시키는 것이 용이하기 때문에, 렌즈 형상에 상관없이 일정한 조광 성능을 갖는 품질이 안정된 렌즈를 양산하는 방법으로서도 매우 유용하다.
또한, 플라스틱 편광 렌즈에 있어서도, 동일한 결과가 얻어질 것으로 추정되었다.
이 출원은 2015년 9월 16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2015-183495호를 기초로 하는 우선권, 2015년 10월 27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2015-211249호, 및 2015년 12월 9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2015-240359호를 기초로 하는 우선권을 주장하고, 그 개시된 전부를 여기에 원용한다.

Claims (23)

  1. (A)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과,
    (B) 수 평균 분자량이 100 이상인 폴리올 화합물과,
    (C) 2관능 이상의 활성 수소 화합물(단, 상기 화합물 (B)를 제외함)과,
    (D) 포토크로믹 화합물과,
    (E) 자외선 흡수제
    를 포함하고,
    포토크로믹 화합물 (D)는, 일반식 (1) 및 일반식 (2)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이고,
    자외선 흡수제 (E)는, 최대 흡수 파장이 330nm 이하에 있고, 또한 최대 흡수 파장의 흡광도에 대한, 360nm의 흡광도의 비율이 0.1 이하이고, 하기 일반식 (i)로 표시되는 옥사닐리드계 자외선 흡수제, 또는 하기 일반식 (ii)로 표시되는 말론산에스테르계 자외선 흡수제인, 광학 재료용 중합성 조성물.
    PC-L-Chain (1)
    PC-L-Chain-L'-PC' (2)
    (식 (1) 또는 식 (2) 중, PC와 PC'은 일반식 (3) 내지 (6)의 화합물로부터 유도되는 1가의 기를 나타냄. PC와 PC'은 동일해도 되고 상이해도 됨.)
    Figure 112020001221710-pct00014

    (식 (3) 내지 (6) 중, R1 내지 R18은, 수소, 할로겐 원자, 카르복실기, 아세틸기, 포르밀기, 치환되어도 되는 C1 내지 C20의 지방족기, 치환되어도 되는 C3 내지 C20의 지환족기, 또는 치환되어도 되는 C6 내지 C20의 방향족 유기기를 나타내고, 각각 동일해도 되고 상이해도 됨. 이들 지방족기, 지환족기 또는 방향족 유기기는, 산소 원자, 질소 원자를 포함해도 됨. 일반식 (3) 내지 (6)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에 포함되는, 어느 하나의 기는, 2가의 유기기인 L 또는 L'과 결합함.
    식 (1) 또는 식 (2) 중, L과 L'은, 옥시에틸렌쇄, 옥시프로필렌쇄, (티오)에스테르기, (티오)아미드기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기를 포함하는 2가의 유기기를 나타냄.
    식 (1) 또는 식 (2) 중, Chain은, 폴리실록산쇄, 폴리옥시알킬렌쇄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쇄를 포함하는 1가 또는 2가의 유기기를 나타냄).
    Figure 112020001221710-pct00022

    (일반식 (i) 중, Z1 및 Z2는 동일해도 되고 상이해도 되며, C1 내지 C6 알킬기, 또는 C1 내지 C6 알콕시기를 나타냄.)
    Figure 112020001221710-pct00023

    (일반식 (ii) 중, Z3은 치환되어 있어도 되는 C6 내지 C20의 방향족 유기기, 또는 치환되어 있어도 되는 C5 내지 C20의 지환족기를 나타내고, Z4 및 Z5는 동일해도 되고 상이해도 되며, C1 내지 C6 알킬기, 또는 C1 내지 C6 알콕시기를 나타냄.)
  2. 제1항에 있어서,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A)가,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펜타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크실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 비스(이소시아나토메틸)시클로헥산, 디시클로헥실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2,5-비스(이소시아나토메틸)비시클로-[2.2.1]-헵탄, 2,6-비스(이소시아나토메틸)비시클로-[2.2.1]-헵탄, 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페닐렌디이소시아네이트 및 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광학 재료용 중합성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폴리올 화합물 (B)가, 폴리에틸렌글리콜 또는 폴리프로필렌글리콜의 디올형 또는 트리올형인, 광학 재료용 중합성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폴리올 화합물 (B)의 수 평균 분자량이 200 내지 4000인, 광학 재료용 중합성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폴리올 화합물 (B)의 수 평균 분자량이 400 내지 2000인, 광학 재료용 중합성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폴리올 화합물 (B)의 수 평균 분자량이 600 내지 1500인, 광학 재료용 중합성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활성 수소 화합물 (C)가, 폴리올 화합물, 폴리티올 화합물 및 히드록시기를 갖는 티올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광학 재료용 중합성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활성 수소 화합물 (C)가 3관능 이상의 활성 수소 화합물인, 광학 재료용 중합성 조성물.
  9. 제1항에 있어서, 활성 수소 화합물 (C)가, 글리세린, 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키스(2-머캅토아세테이트), 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키스(3-머캅토프로피오네이트), 4-머캅토메틸-1,8-디머캅토-3,6-디티아옥탄, 5,7-디머캅토메틸-1,11-디머캅토-3,6,9-트리티아운데칸, 4,7-디머캅토메틸-1,11-디머캅토-3,6,9-트리티아운데칸, 4,8-디머캅토메틸-1,11-디머캅토-3,6,9-트리티아운데칸, 1,1,3,3-테트라키스(머캅토메틸티오)프로판 및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스(3-머캅토프로피오네이트)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광학 재료용 중합성 조성물.
  10. 삭제
  11. 삭제
  12. 제1항에 있어서, 자외선 흡수제 (E)를 200 내지 14000ppm의 양으로 포함하는, 광학 재료용 중합성 조성물.
  13. 제1항에 있어서, 추가로 광 안정제 (F)를 포함하는, 광학 재료용 중합성 조성물.
  14. 제13항에 있어서, 광 안정제 (F)는 힌더드 아민계 광 안정제를 포함하는, 광학 재료용 중합성 조성물.
  15. 제13항에 있어서, 광 안정제 (F)를 500 내지 5000ppm의 양으로 포함하는, 광학 재료용 중합성 조성물.
  16. 제1항 내지 제9항, 제12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광학 재료용 중합성 조성물의 경화물로 이루어지는 성형체.
  17. 제16항에 기재된 성형체로 이루어지는 광학 재료.
  18. 제16항에 기재된 성형체로 이루어지는 플라스틱 렌즈.
  19. 편광 필름과,
    상기 편광 필름의 적어도 한쪽의 면 위에 형성된, 제16항에 기재된 성형체로 이루어지는 기재층을 구비하는 플라스틱 편광 렌즈.
  20. (A)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과,
    (B) 수 평균 분자량이 100 이상인 폴리올 화합물과,
    (C) 2관능 이상의 활성 수소 화합물(단, 상기 화합물 (B)를 제외함)과,
    (D) 포토크로믹 화합물과,
    (E) 자외선 흡수제를 혼합하여, 광학 재료용 중합성 조성물을 조제하는 공정과,
    상기 광학 재료용 중합성 조성물을 주형(鑄型) 내에서 주형(注型) 중합함으로써 렌즈 기재를 형성하는 공정
    을 포함하고,
    포토크로믹 화합물 (D)는, 일반식 (1) 및 일반식 (2)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이고,
    자외선 흡수제 (E)는, 최대 흡수 파장이 330nm 이하에 있고, 또한 최대 흡수 파장의 흡광도에 대한, 360nm의 흡광도의 비율이 0.1 이하이고, 하기 일반식 (i)로 표시되는 옥사닐리드계 자외선 흡수제, 또는 하기 일반식 (ii)로 표시되는 말론산에스테르계 자외선 흡수제인, 플라스틱 렌즈의 제조 방법.
    PC-L-Chain (1)
    PC-L-Chain-L'-PC' (2)
    (식 (1) 또는 식 (2) 중, PC와 PC'은 일반식 (3) 내지 (6)의 화합물로부터 유도되는 1가의 기를 나타냄. PC와 PC'은 동일해도 되고 상이해도 됨.)
    Figure 112020001221710-pct00017

    (식 (3) 내지 (6) 중, R1 내지 R18은, 수소, 할로겐 원자, 카르복실기, 아세틸기, 포르밀기, 치환되어도 되는 C1 내지 C20의 지방족기, 치환되어도 되는 C3 내지 C20의 지환족기, 또는 치환되어도 되는 C6 내지 C20의 방향족 유기기를 나타내고, 각각 동일해도 되고 상이해도 됨. 이들 지방족기, 지환족기 또는 방향족 유기기는, 산소 원자, 질소 원자를 포함해도 됨. 일반식 (3) 내지 (6)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에 포함되는, 어느 하나의 기는, 2가의 유기기인 L 또는 L'과 결합함.
    식 (1) 또는 식 (2) 중, L과 L'은, 옥시에틸렌쇄, 옥시프로필렌쇄, (티오)에스테르기, (티오)아미드기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기를 포함하는 2가의 유기기를 나타냄.
    식 (1) 또는 식 (2) 중, Chain은, 폴리실록산쇄, 폴리옥시알킬렌쇄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쇄를 포함하는 1가 또는 2가의 유기기를 나타냄).
    Figure 112020001221710-pct00024

    (일반식 (i) 중, Z1 및 Z2는 동일해도 되고 상이해도 되며, C1 내지 C6 알킬기, 또는 C1 내지 C6 알콕시기를 나타냄.)
    Figure 112020001221710-pct00025

    (일반식 (ii) 중, Z3은 치환되어 있어도 되는 C6 내지 C20의 방향족 유기기, 또는 치환되어 있어도 되는 C5 내지 C20의 지환족기를 나타내고, Z4 및 Z5는 동일해도 되고 상이해도 되며, C1 내지 C6 알킬기, 또는 C1 내지 C6 알콕시기를 나타냄.)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재료용 중합성 조성물을 조제하는 상기 공정은,
    추가로 광 안정제 (F)를 혼합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플라스틱 렌즈의 제조 방법.
  22. (A)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과,
    (B) 수 평균 분자량이 100 이상인 폴리올 화합물과,
    (C) 2관능 이상의 활성 수소 화합물(단, 상기 화합물 (B)를 제외함)과,
    (D) 포토크로믹 화합물과,
    (E) 자외선 흡수제를 혼합하여, 광학 재료용 중합성 조성물을 조제하는 공정과,
    편광 필름을, 몰드로부터 이격한 상태에서 렌즈 주형(注型)용 주형(鑄型) 내에 고정하는 공정과,
    상기 편광 필름과 상기 몰드 사이에 형성되는 공극의 적어도 한쪽에 상기 광학 재료용 중합성 조성물을 주입하는 공정과,
    상기 광학 재료용 중합성 조성물을 중합 경화하여, 상기 편광 필름의 적어도 한쪽의 면에 기재층을 적층하는 공정
    을 포함하고,
    포토크로믹 화합물 (D)는, 일반식 (1) 및 일반식 (2)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이고,
    자외선 흡수제 (E)는, 최대 흡수 파장이 330nm 이하에 있고, 또한 최대 흡수 파장의 흡광도에 대한, 360nm의 흡광도의 비율이 0.1 이하이고, 하기 일반식 (i)로 표시되는 옥사닐리드계 자외선 흡수제, 또는 하기 일반식 (ii)로 표시되는 말론산에스테르계 자외선 흡수제인, 플라스틱 편광 렌즈의 제조 방법.
    PC-L-Chain (1)
    PC-L-Chain-L'-PC' (2)
    (식 (1) 또는 식 (2) 중, PC와 PC'은 일반식 (3) 내지 (6)의 화합물로부터 유도되는 1가의 기를 나타냄. PC와 PC'은 동일해도 되고 상이해도 됨.)
    Figure 112020001221710-pct00018

    (식 (3) 내지 (6) 중, R1 내지 R18은, 수소, 할로겐 원자, 카르복실기, 아세틸기, 포르밀기, 치환되어도 되는 C1 내지 C20의 지방족기, 치환되어도 되는 C3 내지 C20의 지환족기, 또는 치환되어도 되는 C6 내지 C20의 방향족 유기기를 나타내고, 각각 동일해도 되고 상이해도 됨. 이들 지방족기, 지환족기 또는 방향족 유기기는, 산소 원자, 질소 원자를 포함해도 됨. 일반식 (3) 내지 (6)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에 포함되는, 어느 하나의 기는, 2가의 유기기인 L 또는 L'과 결합함.
    식 (1) 또는 식 (2) 중, L과 L'은, 옥시에틸렌쇄, 옥시프로필렌쇄, (티오)에스테르기, (티오)아미드기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기를 포함하는 2가의 유기기를 나타냄.
    식 (1) 또는 식 (2) 중, Chain은, 폴리실록산쇄, 폴리옥시알킬렌쇄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쇄를 포함하는 1가 또는 2가의 유기기를 나타냄).
    Figure 112020001221710-pct00026

    (일반식 (i) 중, Z1 및 Z2는 동일해도 되고 상이해도 되며, C1 내지 C6 알킬기, 또는 C1 내지 C6 알콕시기를 나타냄.)
    Figure 112020001221710-pct00027

    (일반식 (ii) 중, Z3은 치환되어 있어도 되는 C6 내지 C20의 방향족 유기기, 또는 치환되어 있어도 되는 C5 내지 C20의 지환족기를 나타내고, Z4 및 Z5는 동일해도 되고 상이해도 되며, C1 내지 C6 알킬기, 또는 C1 내지 C6 알콕시기를 나타냄.)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재료용 중합성 조성물을 조제하는 상기 공정은,
    추가로 광 안정제 (F)를 혼합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플라스틱 편광 렌즈의 제조 방법.
KR1020187007436A 2015-09-16 2016-09-16 광학 재료용 중합성 조성물, 해당 조성물로부터 얻어지는 광학 재료 및 플라스틱 렌즈 KR10208152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5-183495 2015-09-16
JP2015183495 2015-09-16
JPJP-P-2015-211249 2015-10-27
JP2015211249 2015-10-27
JP2015240359 2015-12-09
JPJP-P-2015-240359 2015-12-09
PCT/JP2016/077423 WO2017047745A1 (ja) 2015-09-16 2016-09-16 光学材料用重合性組成物、該組成物から得られる光学材料およびプラスチックレンズ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1180A KR20180041180A (ko) 2018-04-23
KR102081524B1 true KR102081524B1 (ko) 2020-02-25

Family

ID=582893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07436A KR102081524B1 (ko) 2015-09-16 2016-09-16 광학 재료용 중합성 조성물, 해당 조성물로부터 얻어지는 광학 재료 및 플라스틱 렌즈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90048122A1 (ko)
EP (1) EP3351574B1 (ko)
JP (1) JP6472890B2 (ko)
KR (1) KR102081524B1 (ko)
CN (1) CN108026240B (ko)
WO (1) WO201704774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831992B (zh) * 2017-07-03 2022-08-23 三井化学株式会社 光学材料用聚合性组合物及成型体
JP2019066827A (ja) * 2017-09-28 2019-04-25 三井化学株式会社 フォトクロミックレンズ
JP7152173B2 (ja) * 2018-04-17 2022-10-12 株式会社トクヤマ フォトクロミック硬化体の製造方法
WO2019203205A1 (ja) 2018-04-17 2019-10-24 株式会社トクヤマ フォトクロミック化合物、該フォトクロミック化合物を含む硬化性組成物及び光学物品
JP2019215450A (ja) * 2018-06-13 2019-12-19 三井化学株式会社 光学材料用重合性組成物およびその用途
CN112469768B (zh) * 2018-07-24 2023-04-28 三井化学株式会社 聚合条件设定方法、光学材料的制造方法
CN109160998B (zh) * 2018-08-15 2019-09-10 岭南师范学院 一种二元硫醇低聚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09294208A (zh) * 2018-09-30 2019-02-01 上海康耐特光学有限公司 光致变色聚氨酯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包含其的变色镜片
US11866648B2 (en) * 2019-01-30 2024-01-09 Mitsui Chemicals, Inc. Process for producing polymerizable composition for optical materials
JP7357451B2 (ja) * 2019-02-28 2023-10-06 三井化学株式会社 光学材料用重合性組成物
CN113508148B (zh) 2020-02-05 2022-08-12 三井化学株式会社 多胺化合物的制造方法及其应用
JPWO2022107830A1 (ko) 2020-11-19 2022-05-27
JPWO2022168832A1 (ko) 2021-02-03 2022-08-11
EP4289881A1 (en) 2021-02-05 2023-12-13 Mitsui Chemicals, Inc. Polymerizable composition, resin, molded article, optical material, and lens
CN114957594A (zh) * 2021-02-25 2022-08-30 江苏康耐特光学有限公司 一种聚氨酯基光致变色树脂镜片及其制备方法
KR20240018587A (ko) 2021-07-30 2024-02-13 미쯔이가가꾸가부시끼가이샤 폴리티올 조성물 및 그의 응용
CN117897433A (zh) 2021-09-01 2024-04-16 三井化学株式会社 环硫化物组合物、聚合性组合物、固化物及光学材料
WO2023176153A1 (ja) * 2022-03-18 2023-09-21 三井化学株式会社 ポリチオウレタンフィルム、メガネレンズ用資材、メガネレンズ及びメガネレンズの製造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49599A1 (en) * 2011-05-03 2012-11-08 Advanced Polymerik Pty Ltd Photochromic polymer
JP2014208843A (ja) * 2012-11-21 2014-11-06 三井化学株式会社 光学材料用重合性組成物
WO2015115648A1 (ja) * 2014-02-03 2015-08-06 三井化学株式会社 光学材料用重合性組成物、当該組成物から得られる光学材料およびプラスチックレンズ

Family Cites Families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19462A (en) * 1966-03-21 1970-07-07 American Cyanamid Co Method of impregnating polymethyl methacrylate
GB9121575D0 (en) * 1991-10-11 1991-11-27 Sandoz Lt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organic compounds
EP0728315B1 (en) * 1992-09-25 1999-12-22 PPG Industries Ohio, Inc. Photochromic compositions of improved fatigue resistance
JPH08272036A (ja) 1994-10-17 1996-10-18 Seiko Epson Corp フォトクロミック組成物およびそれを用いたフォトクロミック樹脂
US5699182A (en) * 1995-05-25 1997-12-16 Xytronyx, Inc. Light fatigue resistant photochromic formulations
FR2783249B1 (fr) 1998-09-11 2001-06-22 Flamel Tech Sa Naphtopyranes anneles en c5-c6, leur preparation et les compositions et matrices (co)polymeres les renfermant
AU2001231128A1 (en) * 2000-02-04 2001-08-14 Ppg Industries Ohio, Inc. Photochromic coated articles
JP3951623B2 (ja) * 2001-03-15 2007-08-01 住友化学株式会社 メタクリル酸メチル系樹脂組成物およびその成形体
JP4365559B2 (ja) * 2002-05-08 2009-11-18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及び合わせガラス
WO2004068217A2 (en) * 2003-01-24 2004-08-12 Vision-Ease Lens, Inc. Photochromic polyurethane film of improved fatigue resistance
US7262295B2 (en) * 2003-03-20 2007-08-28 Transitions Optical, Inc. Indeno-fused photochromic naphthopyrans, naphthols and photochromic articles
JP4859335B2 (ja) 2003-07-04 2012-01-25 株式会社トクヤマ コーティング剤
MY149850A (en) * 2003-09-29 2013-10-31 Ciba Holding Inc Stabilization of photochromic systems
JP4523325B2 (ja) 2004-04-21 2010-08-11 Mgcフィルシート株式会社 プラスチックス調光レンズ体の製造方法
KR100769373B1 (ko) 2004-03-12 2007-10-22 미쓰이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폴리우레탄계 중합성 조성물 및 그것으로 이루어지는 광학용 수지의 제조방법
KR100973858B1 (ko) 2005-04-11 2010-08-03 미쓰이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폴리티오우레탄계 중합성 조성물 및 그것을 이용한 광학용수지의 제조 방법
US8304506B2 (en) 2005-08-18 2012-11-06 Mitsui Chemicals, Inc. Polythiourethane-based polymerizable composition and optical resin obtained from the same
KR100994313B1 (ko) * 2005-08-18 2010-11-12 미쓰이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폴리우레탄ㆍ티오우레탄계 광학용 수지 및 그 제조방법
EP1941319A4 (en) * 2005-09-29 2012-02-22 Vision Ease Lens Inc PHOTOCHROMIC LENS
JP2008030439A (ja) 2006-06-30 2008-02-14 Hoya Corp フォトクロミックレンズの製造方法
US20080071016A1 (en) * 2006-09-14 2008-03-20 Ppg Industries Ohio, Inc. Polyureaurethane composition having improved color stability
US8748634B2 (en) * 2006-10-30 2014-06-10 Transitions Optical, Inc. Photochromic materials demonstrating improved fade rates
US8115920B2 (en) * 2007-11-14 2012-02-14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Method of making microarrays
KR101043485B1 (ko) * 2008-02-07 2011-06-23 미쓰이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광학 재료용 중합성 조성물, 광학 재료 및 광학 재료의 제조방법
US8304507B2 (en) * 2008-06-30 2012-11-06 Mitsui Chemicals, Inc. Polymerizable composition for polythiourethane optical material, polythiourethane optical material obtained from the polymerizable composition, and polymerization catalyst for polythiourethane optical material
GB0815109D0 (en) * 2008-08-18 2008-09-24 James Robinson Ltd Polydialkylsiloxane-bridged bi-photochromic molecules
US20110190455A1 (en) * 2008-08-18 2011-08-04 Vivimed Labs Europe Ltd. Polydialkylsiloxane-bridged bi-photochromic molecules
WO2010047391A1 (ja) * 2008-10-23 2010-04-29 三菱化学株式会社 熱線反射膜及びその積層体ならびに熱線反射層形成用塗布液
WO2010105289A1 (en) * 2009-03-16 2010-09-23 Carl Zeiss Vision Australia Holdings Limited Liquid casting compositions, production processes and photochromic optical elements
JP5610200B2 (ja) * 2010-06-10 2014-10-22 三菱レイヨン株式会社 注型用活性エネルギー線硬化性樹脂組成物および光学部品
WO2012121997A1 (en) * 2011-03-04 2012-09-13 Ppg Industries Ohio, Inc. Polythiourethan based composite articles
WO2014002844A1 (ja) 2012-06-26 2014-01-03 三井化学株式会社 光学材料用重合性組成物、当該組成物から得られる光学材料およびプラスチックレンズ
CN102993613A (zh) * 2012-07-16 2013-03-27 上海甘田光学材料有限公司 一种光致变色材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US10363721B2 (en) * 2013-06-14 2019-07-30 Sekisui Chemical Co., Ltd. Intermediate film for laminated glass and laminated glass
CN104130633A (zh) * 2014-08-25 2014-11-05 深圳市宜丽家生态建材有限公司 一种具有可逆性光致变色的水性内墙涂料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49599A1 (en) * 2011-05-03 2012-11-08 Advanced Polymerik Pty Ltd Photochromic polymer
JP2014208843A (ja) * 2012-11-21 2014-11-06 三井化学株式会社 光学材料用重合性組成物
WO2015115648A1 (ja) * 2014-02-03 2015-08-06 三井化学株式会社 光学材料用重合性組成物、当該組成物から得られる光学材料およびプラスチックレン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8026240B (zh) 2021-01-15
WO2017047745A1 (ja) 2017-03-23
JP6472890B2 (ja) 2019-02-20
KR20180041180A (ko) 2018-04-23
EP3351574A4 (en) 2019-05-15
JPWO2017047745A1 (ja) 2018-03-01
US20190048122A1 (en) 2019-02-14
EP3351574A1 (en) 2018-07-25
EP3351574B1 (en) 2022-12-21
CN108026240A (zh) 2018-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81524B1 (ko) 광학 재료용 중합성 조성물, 해당 조성물로부터 얻어지는 광학 재료 및 플라스틱 렌즈
JP6127159B2 (ja) 光学材料用重合性組成物、当該組成物から得られる光学材料およびプラスチックレンズ
KR101571275B1 (ko) 중합성 조성물, 광학 재료 및 그 제조 방법
JP6335274B2 (ja) 光学材料の製造方法
JP6833034B2 (ja) 光学材料用重合性組成物および成形体
CN108026241B (zh) 成型体和光学材料用聚合性组合物
JPWO2018079829A1 (ja) 光学材料用重合性組成物、光学材料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7357451B2 (ja) 光学材料用重合性組成物
JP2019215450A (ja) 光学材料用重合性組成物およびその用途
JP7096424B2 (ja) プラスチックレンズおよびプラスチック偏光レン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