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4895B1 - 새로운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lactobacillus paracasei) 균주 및 이를 이용한 식품 - Google Patents

새로운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lactobacillus paracasei) 균주 및 이를 이용한 식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4895B1
KR102074895B1 KR1020180146253A KR20180146253A KR102074895B1 KR 102074895 B1 KR102074895 B1 KR 102074895B1 KR 1020180146253 A KR1020180146253 A KR 1020180146253A KR 20180146253 A KR20180146253 A KR 20180146253A KR 102074895 B1 KR102074895 B1 KR 1020748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ain
lactobacillus paracasei
present
fermented
fo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62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영은
이송이
송은주
최소라
한현아
신소희
최민경
Original Assignee
전라북도(농업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라북도(농업기술원) filed Critical 전라북도(농업기술원)
Priority to KR10201801462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489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48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48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Bacteria; Culture media therefor
    • A23L11/09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1/00Pulses, i.e. fruits of leguminous plants, for production of food; Products from legum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1/50Fermented pulses or legumes; Fermentation of pulses or legumes based on the addition of microorganis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065Microorganis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400/00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 A23V2400/11Lactobacillus
    • A23V2400/165Paracasei
    • A23Y2220/63
    • C12R1/225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R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C12C - C12Q, RELATING TO MICROORGANISMS
    • C12R2001/00Microorganisms ; Processes using microorganisms
    • C12R2001/01Bacteria or Actinomycetales ; using bacteria or Actinomycetales
    • C12R2001/225Lactobacillu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Zo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ir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Botany (AREA)
  • Beans For Foods Or Fodder (AREA)

Abstract

새로운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 3YC-3 균주의 용도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새로운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 3YC-3를 이용하여 콩 발효식품을 제조할 수 있다.

Description

새로운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LACTOBACILLUS PARACASEI) 균주 및 이를 이용한 식품{ NOVEL LACTOBACILLUS PARACASEI AND FO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새로운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 3YC-3 균주의 용도에 관한 것으로, 이를 콩 발효식품에 이용할 수 있다.
식물성 유래 식품의 대표인 콩은 다양한 생리활성 물질을 가지고 있어서 현대인의 성인병 예방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미국 식품의약안전국(FDA)은 하루 콩 단백질 25 g 이상의 섭취는 심장질환의 발생을 줄일 수 있다고 보고하였으며, 미국인보다 대두 섭취율이 높은 아시아 국가에서는 유방암과 전립선암의 발병률이 낮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콩은 단백질이 풍부하고 사포닌(saponines), 피트산(phytate), 올리고사카라이드(oligosaccharides), 이소플라본(isoflavones) 등의 성분을 함유하는 등 영양가가 높은 반면, 소화율이 낮고 피트산(phytate), 트립신 억제제(trypsin inhibitor) 등이 함유되어 있어 장내가스 발생 등의 원인으로 작용하여 복부 팽만감과 설사를 유도하는 데 이를 개선하기 위해 콩을 발효하는 여러 가지 가공법이 시도되고 있다.
세계 미생물 산업의 시장 규모는 390억 달러 수준으로 추정되며 국내 미생물 시장 규모는 약 4조 2천억 원이다. 그 중에서도 바이오 식품산업은 32.9%를 차지하며, 특히, 발효식품에 이용되는 균주는 국내 종균시장의 60%를 일본에서 수입하며 연간 로열티는 1조 5천억원 정도이다. 따라서, 발효종균 및 식품소재의 수입의존도를 낮추기 위한 국산 우수 종균의 자급화가 필요한 실정이다.
한국공개특허 제2016-0058229호
본 발명의 목적은 새로운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 3YC-3 균주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새로운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 3YC-3 균주로 발효된 콩 발효식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새로운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 3YC-3 균주를 이용한 콩 발효식품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새로운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 3YC-3 균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새로운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 3YC-3 균주로 발효된 콩 발효식품을 제공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새로운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 3YC-3 균주를 접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콩 발효식품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의 새로운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 3YC-3 균주는 콩 발효식품에 이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천연물들로부터 분리한 새로운 균주들의 용혈 반응을 확인한 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서 천연물들로부터 분리한 새로운 균주들의 단백질, 전분, 지질 분해 효소 활성을 확인한 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 3YC-3 균주의 그람 염색 결과와 용혈반응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 3YC-3 균주의 생육 온도에 따른 생육 특성을 확인한 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 3YC-3 균주의 생육 pH에 따른 생육 특성을 확인한 도이다.
도 6은 전두부 제조시 첨가한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 3YC-3 균주와 이의 대조군인 락토바실러스 사케이 (KCCM 40264)의 콩가루 무게 대비 농도(중량%)에 따른 생균수 변화를 확인한 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현예로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하기 구현예는 본 발명에 대한 예시로 제시되는 것으로, 당업자에게 주지 저명한 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수 있고, 이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은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재 및 그로부터 해석되는 균등 범주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응용이 가능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terminology)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적절히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특정 물질의 농도를 나타내기 위하여 사용되는 '%'는 별도의 언급이 없는 경우, 고체/고체는 (w/w) %, 고체/액체는 (w/v) %, 그리고 액체/액체는 (v/v) %이다.
일 측면에서, 본 발명은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Lactobacillus Paracasei) 3YC-3 (KACC92244P)에 관한 것이다.
일 구현예에서,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 3YC-3는 16S rRNA 서열번호 1의 염기서열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측면에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 3YC-3 균주로 발효된 콩 발효식품에 관한 것이다.
일 구현예에서, 상기 콩 발효식품은 두유, 두부, 전두부, 두부 응고제, 콩고기, 콩스낵, 콩과자, 발효 음료, 환, 과립, 및 분말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형태로 가공된 것일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 3YC-3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두부응고제에 관한 것이다.
일 구현예에서, 본 발명은 콩가루와 물을 혼합하여 두유를 제조하는 단계; 제 1항의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 3YC-3를 접종하는 단계; 및 틀에 넣어 굳히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두부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 구현예에서, 전두부 제조방법에서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 3YC-3는 25 내지 40℃의 온도에서 콩가루의 1-20중량% (106 ~ 107cfu/ml)로 접종될 수 있다.
일 측면에서,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 3YC-3는 단백질 분해 효소 활성과 섬유소 분해 활성을 가질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 3YC-3의 생육 최적 조건은 25-40℃ 및 pH 7~8 일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35-40℃ 및 pH 7~8일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 3YC-3과 함께 생균제로 이용 가능한 미생물 종균은 사람이나 동물이 섭취하기에 적합하고 섭취시 유해 병원성 유해세균을 억제하거나 포유동물 장관 내의 미생물 균형을 개선시킬 수 있는 프로바이오틱 활성을 갖는 것들이 바람직하다. 그러한 프로바이오틱 미생물의 예로는 사카로마이세스(Saccharomyces), 칸디다(Candida), 피치아(Pichia) 및 토루롭시스(Torulopsis)를 포함하는 효모(yeasts), 아스퍼질러스(Aspergillus), 라이조푸스(Rhizopus), 무코(Mucor), 페니실리움(Penicillium) 등과 같은 곰팡이 및 락토바실러스(Lactobacillus), 비피도박테리움(Bifidobacterium), 클로스트리디움(Clostridium), 류코노스톡 (Leuconostoc), 박테로이드(Bacteroides), 스타필로코커스(Staphylococcus), 락토코커스(Lactococcus), 바실러스(Bacillus), 스트렙토코커스(Streptococcus), 푸소박테리움(Fusobacterium), 프로피오니박테리움(Propionibacterium), 엔테로코커스 (Enterococcus), 페디오코커스(Pediococcus) 및 마이크로코커스(Micrococcus) 속 세균들이 있다.
일 구현예에서, 본 발명의 생균제는 사람 또는 동물에 투여될 수 있으며, 식품, 의약품, 동물약품, 사료 또는 건강보조식품과 함께 투여될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본 발명의 생균제는 가축용일 수 있다.
일 측면에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생균제를 포함하는 사료첨가제에 관한 것이다.
일 구현예에서, 사료첨가제는 사료 총 중량 기준 0.1~0.3%로 첨가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일 측면에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 3YC-3를 포함하는 생균제 및, 조사료, 농후사료 또는 풍미사료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사료를 포함하는, 사료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하기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내용을 구체화하기 위한 것일 뿐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균주 분리 및 동정
1-1. 신규 균주 분리
하기 표 1의 발효음료, 전통발효식품 등에서 식품 유래 균주들 R2A, YPD 및 PDA 배지를 이용하여 수집하였다. 그 결과, 총 203종의 (고초균 118, 유산균 85) 신규 균주들을 분리하였다.
시 료 점수 지 역 시 료 점수 지 역
장류 고추장 4 익산(2), 정읍, 진안(1) 발효
식품
김치 10 익산(9), 전주(1)
된장 5 익산(2), 임실, 진안, 정읍(1) 장아찌 1 익산
간장 3 익산(2), 진안(1) 젓갈 1 부안
청국장 1 진안 요구르트 2 익산
1-2. 분리한 균주들의 특성 확인
상기 실시예 1-1에서 분리한 203종의 균주들의 특성을 확인하기 위해, 그람 염색을 수행한 결과, 하기 표 2와 같이 확인되었다. 또한, 균주들의 안전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용혈반응 및 대장균 등 6가지 균주에 대한 항균 특성을 확인하였다. 아울러, 16S rRNA 분석을 통해 각 균주의 종을 확인하였다.
구 분 그 람 염 색
양 성 음 성 -
분리균주(ea) 127 12 64
203
선발
균주
P. aeruginosa
(녹농균)
S. auerus
(황색포도상구균)
B. cereus
(세레우스균)
E.coil
(대장균)
Listeria spp.
(리스테리아균)
Salmonella spp.
(장티푸스균)
선발
균주
+ ++ +++ + ++ +++ + ++ +++ + ++ +++ + ++ +++ + ++ +++
고초균 - 24 6 - 17 3 - 11 4 - 6 3 - - - - 17 1
유산균 - 2 - - 2 - - - - - 3 - - 1 - - - -
- 26 6 - 19 3 - 11 4 - 9 3 - 1 - - 17 1
그 결과, 203개의 균주들은 각각 도 1과 같은 용혈반응 결과를 나타냈으며, 상기 표 3과 같은 항균 특성을 가지는 다양한 종의 고초균들 및 유산균들로 확인되었다. 이에, 이들 중 안전한 균주들로 확인된 155가지 균주를 선발하였다.
1-3. 효소 활성 우수 균주 선발
상기 실시예 1-2에서 선발한 155종의 균주의 분해 효소 특성을 확인하기 위해, 각 균주의 R2A, YPD 및 PDA 배지에 단백질 (skim milk), 전분 (가용성 전분) 및 지질 (Tributyrin)을 첨가한 후 페이퍼 디스크법을 이용하여, 각각의 분해 효소 활성을 분해환 크기를 통해 확인하였다 (도 2). 그 결과, 각 분해 효소 특성이 우수한 균주들 22종 중 다음과 같이 1종의 균주를 선별하였다(표 4).
No. 실험실명 균 주 명 분리지역 분리원 그람염색 용혈반응
양성 음성
1 3YC-3 Lactobacillus paracasei 정읍 배추김치 ×
상기 실시예를 통해 확인한 3YC-3 균주는 그람양성이며, 용혈반응을 나타내지 않았고, 서열번호 1의 16S rRNA를 이용해 확인한 바,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로 확인되었다 (도 3). 이에, 국립농업과학원 미생물은행(KACC)에 기탁하였다(KACC 92244P).
실시예 2, 3YC 균주의 배양 조건 확인
2-1. 셀룰라아제 활성 확인
상기 실시예 1에서 선발한 3YC-3 균주의 셀룰라아제 활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DNS 환원당 정량법으로 셀룰라아제 효소 활성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탄소원으로 CMC(carboxymethyl cellulose)를 1%를 함유한 100㎖ 액체배지에 선발균주들을 1콜로니 각각 접종하여 30℃, 150rpm, 24시간 진탕 배양 후새로운 CMC 100㎖ 액체배지에 배양액을 3%(v/v)접종하여 동일조건으로 24시간 진탕 배양하여, 배양액을 4℃, 15,000rpm에서 10분 원심분리한 후 상등액을 조효소로 사용하였다. 1% CMC 0.5㎖에 조효소액 0.5㎖을 첨가한 후 30℃에서 30분간 효소와 기질을 반응시킨 후, DNS용액 3㎖을 첨가하여 100℃에서 5분간 가열하여 반응을 정지시키고, 생성된 환원당의 양은 DNS 환원당 정량법을 이용하여 550nm 흡광도에서 측정하였다. 그 결과, 3YC-3 균주는 1.93 mg/ml의 당함량을 나타내, 셀룰라아제 활성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2-2. 단백질 분해 활성 확인(Paper disc법)
균주종류 균 주 명 투 명 환(㎝)
1 유산균 3YC-3 4.91±0.30
대조 유산균 SRCM100909 3.22±0.61
대조 고초균 SRCM101392 3.10±1.40
※ 대조는 발효미생물산업진흥원(MIFY) 분양 균주
2-3. 최적 배양 온도 확인
상기 실시예 1에서 선발한 3YC-3 균주의 생육 온도에 따른 생육 특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20, 30, 37 또는 45℃에서 0 내지 72시간 동안 배양한 뒤, OD600nm에서의 값을 측정함으로써 균주의 생육 정도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3YC-3 균주는 25-40 ℃에서 생육이 가장 양호하였다 (도 4).
2-4. 최적 배양 pH 확인
상기 실시예 1에서 선발한 3YC-3 균주의 생육 pH에 따른 생육 특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pH5, pH6, pH7, pH8, pH9 또는 pH10에서 0 내지 72시간 동안 배양한 뒤, OD600nm에서의 값을 측정함으로써 균주의 생육 정도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3YC-3 균주는 pH 7~8에서 생육이 가장 좋게 나타났다 (도 5).
실시예 3, 3YC-3 균주를 이용한 전두부 제조
3-1. 3YC-3 균주의 두부응고제로의 적용
콩가루에 물을 5배 첨가한 뒤, 이를 끓여 두유를 제조한 뒤 30℃로 식혀주었다. 그 후, 1 내지 24시간 동안 배양한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 3YC-3와 이의 대조군인 락토바실러스 사케이 (KCCM 40264)를 접종한 뒤, 틀에 부어 30℃에서 굳혀 전두부를 제조하였다.
3-2. 균주 첨가량에 따른 생균수 변화 확인
상기 실시예 3-1과 같은 방법으로 전두부를 제조하였다. 이 때 첨가한 유산균 농도를 콩가루 무게 대비 1, 5, 10(중량%)로 첨가하여 이에 따른 생균수 변화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를 도 6에 나타내었다.
3-3. 균주 첨가량에 따른 두유 응고 상태 확인
상기 실시예 3-1에서 전두부 제조시 첨가한 유산균의 첨가량에 따른 두유 응고 상태를 확인한 결과, 하기 표 6과 같이 나타났다.
유산균 종류 첨가량
(%)
즉시 1hr 2 3 6 9 12 15 18 24
Lactobacillus paracasei 3YC-3 1 × × × × ×
5 × × × ×
10 × ×
Lactobacillus
sakei (대조)
1 × × × × × × ×
5 × × × × ×
10 × × × ×
* 두부 제조여부 : ◎ 매우 잘됨, ○ 잘됨, △ 보통, ×안됨
3-4. 첨가한 균주에 따른 전두부의 이소플라본 함량 비교
상기 실시예 3-1에서 전두부 제조시 첨가한 유산균주에 따른 전두부의 이소플라본 함량 (㎍/g)을 확인한 결과, 하기 표 7과 같이 나타나, 본 발명의 3YC-3 균주를 이용하여 전두부를 제조하면 유용 이소플라본 함량이 현저히 향상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유산균 종류 Isoflavone(㎍/g)
Daidzin Daidzein Glycitin Glycitein Genistin Genistein 합계
Lactobacillus paracasei 3YC-3 6.44 2.33 2.55 0.34 6.13 5.52 23.30
Lactobacillus
sakei (대조)
6.57 0.87 2.24 0.15 6.16 1.00 16.98
압착두부 6.50 0.83 2.33 0.12 5.74 0.98 16.51
실시예 4, 3YC-3 균주를 이용한 콩 발효음료 제조
4-1. 콩 발효음료 제조방법
콩 중량 대비 정제수 7~8배를 넣고 90℃에서 끓인 후 발효액 총량 대비 당원을 10 중량% 첨가한 후 3YC-3 균을 접종량 대비 1 중량% 첨가하여 30℃에서 16~18시간 발효시켰다. 이때 첨가된 당원은 올리고당, 포도당, 설탕이며 대조는 당원을 첨가하지 않았다.
4-2. 당원 첨가에 따른 콩 발효음료의 품질 측정
상기 실시예 4-1에서 제조한 콩 발효음료의 품질을 확인한 결과 하기 표 8과 같이 나타났다. 그 결과 유산균 3YC-3 에 의해 콩 발효음료의 점도가 증가함을 알 수 있다.
당원 pH 산도(%) 점도(cP)
Lactobacillus
paracasei
3YC-3
올리고당 4.43 1.46 851.8
포 도 당 4.17 1.28 797.8
설 탕 4.46 1.12 925.3
무 첨 가 4.86 0.89 709.8
Lactobacillus sakei
(시판품)
올리고당 5.22 0.77 491.9
포 도 당 4.97 0.80 545.9
설 탕 5.42 0.77 401.9
무 첨 가 5.79 0.68 563.9
4-3. 이소플라본 함량 비교
상기 실시예 4-1에서 제조한 콩 발효음료의 이소플라본 함량 (㎍/g)을 확인한 결과, 하기 표 9와 같이 나타나, 본 발명의 3YC-3 균주를 이용한 콩 발효음료의 경우 이소플라본 함량이 향상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daidzin glycitin genistin daidzein glycitein genistein 합계
Lactobacillus
paracasei
3YC-3
5.60 2.82 14.28 2.32 1.25  2.26 28.53
Lactobacillus sakei
(시판품)
5.52 1.56 10.68 2.38 0.19 1.85 22.18
국립농업과학원 KACC KACC92244P 20181018
<110> Jeollabuk-Do Agricultural Research & Extension Services <120> NOVEL LACTOBACILLUS PARACASEI AND FOOD USING THE SAME <130> DHP18-494 <160> 1 <170> KoPatentIn 3.0 <210> 1 <211> 1443 <212> DNA <213> Lactobacillus paracasei <400> 1 atgcagtcga acgagttctc gttgatgatc ggtgcttgca ccgagattca acatggaacg 60 agtggcggac gggtgagtaa cacgtgggta acctgccctt aagtggggga taacatttgg 120 aaacagatgc taataccgca tagatccaag aaccgcatgg ttcttggctg aaagatggcg 180 taagctatcg cttttggatg gacccgcggc gtattagcta gttggtgagg taatggctca 240 ccaaggcgat gatacgtagc cgaactgaga ggttgatcgg ccacattggg actgagacac 300 ggcccaaact cctacgggag gcagcagtag ggaatcttcc acaatggacg caagtctgat 360 ggagcaacgc cgcgtgagtg aagaaggctt tcgggtcgta aaactctgtt gttggagaag 420 aatggtcggc agagtaactg ttgtcggcgt gacggtatcc aaccagaaag ccacggctaa 480 ctacgtgcca gcagccgcgg taatacgtag gtggcaagcg ttatccggat ttattgggcg 540 taaagcgagc gcaggcggtt ttttaagtct gatgtgaaag ccctcggctt aaccgaggaa 600 gcgcatcgga aactgggaaa cttgagtgca gaagaggaca gtggaactcc atgtgtagcg 660 gtgaaatgcg tagatatatg gaagaacacc agtggcgaag gcggctgtct ggtctgtaac 720 tgacgctgag gctcgaaagc atgggtagcg aacaggatta gataccctgg tagtccatgc 780 cgtaaacgat gaatgctagg tgttggaggg tttccgccct tcagtgccgc agctaacgca 840 ttaagcattc cgcctgggga gtacgaccgc aaggttgaaa ctcaaaggaa ttgacggggg 900 cccgcacaag cggtggagca tgtggtttaa ttcgaagcaa cgcgaagaac cttaccaggt 960 cttgacatct tttgatcacc tgagagatca ggtttcccct tcgggggcaa aatgacaggt 1020 ggtgcatggt tgtcgtcagc tcgtgtcgtg agatgttggg ttaagtcccg caacgagcgc 1080 aacccttatg actagttgcc agcatttagt tgggcactct agtaagactg ccggtgacaa 1140 accggaggaa ggtggggatg acgtcaaatc atcatgcccc ttatgacctg ggctacacac 1200 gtgctacaat ggatggtaca acgagttgcg agaccgcgag gtcaagctaa tctcttaaag 1260 ccattctcag ttcggactgt aggctgcaac tcgcctacac gaagtcggaa tcgctagtaa 1320 tcgcggatca gcacgccgcg gtgaatacgt tcccgggcct tgtacacacc gcccgtcaca 1380 ccatgagagt ttgtaacacc cgaagccggt ggcgtaaccc ttttagggag cgagccgtct 1440 aag 1443

Claims (9)

  1. 단백질 및 섬유소 분해 활성을 갖는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Lactobacillus paracasei) 3YC-3(KACC 92244P) 균주로서,
    상기 3YC-3 균주의 16S rRNA는 서열번호 1의 염기서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균주.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의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 3YC-3 (KACC 92244P)균주로 발효된 콩 발효식품.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콩 발효식품은 두유, 두부, 전두부, 두부 응고제, 콩고기, 콩스낵, 콩과자, 발효 음료, 환, 과립, 및 분말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형태로 가공된 것인 콩 발효식품.
  6. 제 1항의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 3YC-3 (KACC 92244P)균주를 접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콩 발효식품의 제조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균주의 생육 최적 조건은 25-40℃ 및 pH 7~8 인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 3YC-3 (KACC 92244P)균주.
  8. 삭제
  9. 삭제
KR1020180146253A 2018-11-23 2018-11-23 새로운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lactobacillus paracasei) 균주 및 이를 이용한 식품 KR1020748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6253A KR102074895B1 (ko) 2018-11-23 2018-11-23 새로운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lactobacillus paracasei) 균주 및 이를 이용한 식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6253A KR102074895B1 (ko) 2018-11-23 2018-11-23 새로운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lactobacillus paracasei) 균주 및 이를 이용한 식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4895B1 true KR102074895B1 (ko) 2020-02-07

Family

ID=695703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6253A KR102074895B1 (ko) 2018-11-23 2018-11-23 새로운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lactobacillus paracasei) 균주 및 이를 이용한 식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489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0020A (ko) 2020-06-24 2022-01-03 완도전복 주식회사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 균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발효 전복내장
KR20220011937A (ko) 2020-07-22 2022-02-03 (주)지에프씨생명과학 숙취 해소 효능을 갖는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 gfc_gfv5 균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
CN115838658A (zh) * 2022-09-29 2023-03-24 江苏省农业科学院 一株副干酪乳杆菌及其在制备酸浆豆制品中的应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00596A (ko) * 2015-08-17 2015-09-02 학교법인연세대학교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 mk1을 이용한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60058229A (ko) 2014-11-06 2016-05-25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신규한 스타터 균주 및 이를 이용한 두부를 포함하는 기능성 발효식품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58229A (ko) 2014-11-06 2016-05-25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신규한 스타터 균주 및 이를 이용한 두부를 포함하는 기능성 발효식품의 제조방법
KR20150100596A (ko) * 2015-08-17 2015-09-02 학교법인연세대학교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 mk1을 이용한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International Journal of Food Microbiology, Vol.163, pp.136-145(Epub.2013.03.05.)* *
한국식품과학회지, Vol.45, pp.571~577 (2013.)* *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0020A (ko) 2020-06-24 2022-01-03 완도전복 주식회사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 균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발효 전복내장
KR20220011937A (ko) 2020-07-22 2022-02-03 (주)지에프씨생명과학 숙취 해소 효능을 갖는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 gfc_gfv5 균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
CN115838658A (zh) * 2022-09-29 2023-03-24 江苏省农业科学院 一株副干酪乳杆菌及其在制备酸浆豆制品中的应用
CN115838658B (zh) * 2022-09-29 2024-02-09 江苏省农业科学院 一株副干酪乳杆菌及其在制备酸浆豆制品中的应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93498B1 (ko) 유산균 균주, 바실러스 속 균주 및 효모 균주를 이용한 고상발효에 의한 항균활성 및 효소활성을 가지는 사료 첨가용 다기능 생균제의 제조방법 및 그에 따른 사료 첨가용 다기능 생균제
KR101825836B1 (ko)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Lb41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 당뇨 또는 인슐린 저항성 증후군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2074895B1 (ko) 새로운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lactobacillus paracasei) 균주 및 이를 이용한 식품
KR102115506B1 (ko) 항균 활성과 프로바이오틱스 특성을 갖는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 srcm102343 균주 및 이의 용도
KR20170130341A (ko) 항균 활성을 나타내는 바실러스 아밀로리퀴페시언스 균주 및 이의 용도
KR20160063659A (ko) 효소 전처리를 이용한 유산균의 곡물 이용성 및 보존성을 높여주는 유산균 발효곡물의 제조방법
KR101498272B1 (ko) 김치에서 분리되고 항균물질생성 및 면역활성 효능을 가진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균주 및 이를 이용한 생균제 조성물
KR102251295B1 (ko) 락토바실러스 살리바리우스 v133 균주의 사균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숙취 예방 또는 해소용 조성물
KR101825837B1 (ko)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Ln4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 당뇨 또는 인슐린 저항성 증후군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2065580B1 (ko) 항균 활성과 프로바이오틱스 특성을 갖는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 scml 432 균주 및 이의 용도
KR102044365B1 (ko) 장 부착능이 우수하고, 항균 물질을 합성하는 유전자를 보유하며, 프로바이오틱스 특성을 가지는 바실러스 서틸리스 scdb 291 균주 및 이의 용도
KR102344838B1 (ko) 항균 및 항비만 활성을 갖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yg1102 균주 및 이의 용도
KR20220075622A (ko) 항염 활성 및 유해 미생물에 대한 항균 활성을 가지는 락토바실러스 퍼멘텀 okbl-l.fe 1 균주 및 이의 용도
KR20220004865A (ko) 프로바이오틱스 관련 효소 분비능, 항산화 활성, 담즙산염 분해 활성, 항균 활성이 있고, 유해효소 및 유해대사산물을 생성하지 않는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 srcm101607 균주 및 이의 용도
KR20190018204A (ko) 위액산 내성과 담즙산 내성이 탁월하고 높은 가바 생산성을 갖는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 wcp02 균주, 이를 이용한 생균제제 및 발효식품
KR102159379B1 (ko) 장 부착능 및 세포외 효소 분비능이 우수하고, 프로바이오틱스 특성을 가지는 바실러스 서틸리스 srcm101371 균주 및 이의 용도
Miranda-Yuquilema et al. Obtaining, characterization and evaluation of two candidate preparations for probiotics developed with agroindustrial waste
KR20080040134A (ko) 유효미생물의 증식 촉진용 조성물 및 유효미생물의 증식촉진 방법
KR102074672B1 (ko) 새로운 락토바실러스 사케이(Lactobacillus sakei) 균주 및 이의 용도
KR101841909B1 (ko) 누룩과 혼합곡물을 이용한 유산균의 배양방법
KR20200080629A (ko) 바실러스 서브틸리스를 이용한 식용 효소식품의 제조방법
CN115927032A (zh) 枯草芽孢杆菌、发酵剂及制备方法和它们的应用
KR102159380B1 (ko) 항산화 활성과 프로바이오틱스 특성을 갖는 바실러스 아밀로리퀴페시언스 srcm101439 균주 및 이의 용도
KR102136064B1 (ko) 담즙산염 분해 활성 및 식품 유해균에 대한 항균 활성을 가지며, 프로바이오틱스 특성을 보유한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 scml 379 균주 및 이의 용도
KR101670955B1 (ko) 양식어류용 사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양식시킨 양식어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