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5506B1 - 항균 활성과 프로바이오틱스 특성을 갖는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 srcm102343 균주 및 이의 용도 - Google Patents

항균 활성과 프로바이오틱스 특성을 갖는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 srcm102343 균주 및 이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5506B1
KR102115506B1 KR1020190013915A KR20190013915A KR102115506B1 KR 102115506 B1 KR102115506 B1 KR 102115506B1 KR 1020190013915 A KR1020190013915 A KR 1020190013915A KR 20190013915 A KR20190013915 A KR 20190013915A KR 102115506 B1 KR102115506 B1 KR 1021155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ain
srcm102343
acid
lactobacillus paracasei
culture solu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39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56897A (ko
Inventor
김은지
조승화
김진경
조성호
심상협
정도연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발효미생물산업진흥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발효미생물산업진흥원 filed Critical 재단법인 발효미생물산업진흥원
Publication of KR202000568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68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55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55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Bacteria; Culture media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3/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icroorganisms, viruses, microbial fungi, animals or substances produced by, or obtained from, microorganisms, viruses, microbial fungi or animals, e.g. enzymes or fermentates
    • A01N63/10Animals; Substances produced thereby or obtained therefro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35Bacteria or derivatives thereof, e.g. probiotic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health of the digestive tract
    • A23V2200/3204Probiotics, living bacteria to be ingested for action in the digestive trac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400/00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 A23V2400/11Lactobacillus
    • A23V2400/165Paracasei
    • A23Y2220/63
    • C12R1/225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R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C12C - C12Q, RELATING TO MICROORGANISMS
    • C12R2001/00Microorganisms ; Processes using microorganisms
    • C12R2001/01Bacteria or Actinomycetales ; using bacteria or Actinomycetales
    • C12R2001/225Lactobacillu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Microbiology (AREA)
  • Vir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Plant Pathology (AREA)
  • Dentistry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산성, 내담즙성, γ-용혈 활성, 유해 미생물에 대한 항균활성, 항생제 내성, 장내 상피세포 부착능 및 효소 분비능이 있고, 바이오제닉 아민을 생성하지 않는,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Lactobacillus paracasei) SRCM102343 균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 SRCM102343 균주는 정장제 및 항균용 미생물 제제 등 관련 산업에 다양하게 사용될 수 있는 유용한 균주로 판단된다.

Description

항균 활성과 프로바이오틱스 특성을 갖는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 SRCM102343 균주 및 이의 용도{Lactobacillus paracasei SRCM102343 strain having antimicrobial activity and probiotics property and uses thereof}
본 발명은 항균 활성과 프로바이오틱스 특성을 갖는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 SRCM102343 균주 및 이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최근 현대인들의 생활수준 향상과 더불어 건강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으며, 건강 증진을 위하여 체내 자연 균총을 새롭게 형성하거나 면역계 활성 등을 위하여 프로바이오틱스(probiotics)라는 미생물 식품 보충제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프로바이오틱스로 사용되는 미생물들은 위장의 위산, 담낭의 담즙 및 소장에서 분비되는 각종 소화효소와 같은 저해환경으로부터 저항력을 가지며 대장과 직장에 도달해 증식하고 정착하는 능력을 구비해야 한다. 현재, 프로바이오틱스로는 락토바실러스 애시도필러스(Lactobacillus acidophilus), 바실러스 폴리퍼멘티쿠스(Bacillus polyfermenticus), 바실러스 서틸리스(Bacillus subtilis) 등이 주로 연구되었다. 그 중 바실러스 속은 산업적으로 중요한 종으로 오랜 세월 동안 식품, 의약품 및 각종 발효 산업에서 사용되어 안전성이 확립되어 있다.
프로바이오틱스(Probiotics)란 살아있는 생균제로서 사람 및 동물에 투여된 생균이 장내의 소화관 벽에 밀집, 정착하여 유해균이 정착하지 못하게 하는 작용을 하며, 유산을 생성하여 장내의 pH를 낮추어서 유해세균이 증식하지 못하게 한다. 또한, 투여된 프로바이오틱스는 박테리오신(bacteriocin) 혹은 과산화물을 생성하여 병원균의 증식을 억제하며 영양분의 흡수를 담당하는 장융모의 활동을 도와준다. 이밖에도, 프로바이오틱스는 영양소의 흡수와 이용을 돕는 물질을 생성하고, 사료요구율을 개선시키며, 병원균이 생성하는 독성물질을 중화하는 물질을 생성하기도 한다. 프로바이오틱스는 대체로 동물 혹은 어류가 스트레스로 인한 소화관의 유용 균주 감소를 억제할 목적으로 이용되며, 항생물질을 경구투여하고 난 후 병원균보다 먼저 세균이 없는 소화관 벽에 부착하여 병원균이 정착하는 것을 방지한다.
프로바이오틱스로서 필요한 특성은 안전성, 기능적 측면(생존성, 정착성, 서식성, 항미생물제 생성능, 면역 촉진능, 항유전독성 활성, 병원성 세균의 억제능), 기술적 측면(관능적 특성, 안정성, 박테리오파지 저항성, 제조과정 중의 생존성) 및 GRAS(Generally Recognized As Safe) 미생물이다. 프로바이오틱스는 항생제와는 반대되는 특성을 가지고 있는데, 항생제가 미생물이 생산하는 대사 산물로서 소량으로 다른 미생물의 발육을 억제하거나 사멸시키는 물질이라면 프로바이오틱스는 균들의 공생, 상생의 능력을 이용하여 면역기능을 증진시키고 유해 미생물의 성장을 저해하는 등의 효과를 나타내고 있어 이러한 면역 증진 기능을 지닌 기능성 물질 및 프로바이오틱스는 현재 오남용으로 사회적 문제가 되고 있는 항생제의 대체 물질로서 이용이 가능하다.
한편, 한국등록특허 제0419132호에는 '위·장 점막 부착성과 증식성, 내산성, 내담즙성 및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대장균 0157:H7에 대한 항균성이 우수한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 서브스패시즈 파라카제이 CSK01'에 대해 개시하고 있고, 한국등록특허 제1274467호에는 '유해세균에 대해 항균 활성을 갖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JBMI F5 균주 및 이의 용도'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의 '항균 활성과 프로바이오틱스 특성을 갖는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 SRCM102343 균주 및 이의 용도'에 대해 아직까지 개시된 바가 없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요구에 의해 도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는 전통 발효식품에서 분리된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Lactobacillus paracasei) SRCM102343 균주(KFCC11797P)가 내산성, 내담즙성, γ-용혈 활성, 유해 미생물인 바실러스 세레우스(Bacillus cereus), 리스테리아 이바노비(Listeria ivanovii) 및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Staphylococcus aureus)에 대한 항균 활성, 9종의 항생제에 대한 내성, 장내 상피세포 부착능 및 루신 아릴아미다아제(leucin arylamidase), 발린 아릴아미다아제(valine arymidase), 산성인산가수분해효소(Acid phosphatase), 나프톨-AS-BI-포스포히드롤라아제(Naphol-AS-BI-phosphohydrolase) 및 α-글루코시다아제(α-glucosidase) 분비능이 있다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내산성, 내담즙성, γ-용혈 활성, 유해 미생물에 대한 항균활성, 항생제 내성, 장내 상피세포 부착능 및 효소 분비능이 있는, 기탁번호가 KFCC11797P인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Lactobacillus paracasei) SRCM102343 균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균주, 이의 배양액, 상기 배양액의 농축액 또는 그의 건조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프로바이오틱스 제제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균주, 이의 배양액, 상기 배양액의 농축액 또는 그의 건조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유해 미생물에 대한 항균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Lactobacillus paracasei) SRCM102343(KFCC11797P) 균주는 내산성, 내담즙성, γ-용혈 활성, 유해 미생물에 대한 항균활성, 항생제 내성, 장내 상피세포 부착능이 있고, 다양한 분해효소를 분비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 SRCM102343 균주는 정장제 및 항균용 미생물 제제 등 관련 산업에 다양하게 사용될 수 있는 유용한 균주로 판단된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분리한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Lactobacillus paracasei) SRCM102343 균주의 인공 십이지장액 조건에서 생존율을 확인한 결과이다. LGG 균주는 양성대조구이며, SRCM102224, SRCM102227 및 SRCM102329 균주는 비교대조구이다.
도 2는 본 발명에서 분리한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Lactobacillus paracasei) SRCM102343 균주의 표면 소수성(hydrophobicity)을 확인한 결과이다. LGG 균주는 양성대조구이며, SRCM102224, SRCM102227 및 SRCM102329 균주는 비교대조구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내산성, 내담즙성, γ-용혈 활성, 유해 미생물에 대한 항균활성, 항생제 내성, 장내 상피세포 부착능 및 효소 분비능이 있는, 기탁번호가 KFCC11797P인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Lactobacillus paracasei) SRCM102343 균주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전통발효식품으로부터 균주를 분리하였고, 그 중 내산성, 내담즙성, γ-용혈 활성, 유해 미생물에 대한 항균활성, 항생제 내성, 장내 상피세포 부착능 및 효소 분비능이 있는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Lactobacillus paracasei) 균주를 확인하였으며, 이를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Lactobacillus paracasei) SRCM102343 균주로 동정하여 한국미생물보존센터에 2018년 10월 25일에 기탁하였다(기탁번호: KFCC11797P).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 SRCM102343 균주에서, 상기 유해 미생물은 바실러스 세레우스(Bacillus cereus), 리스테리아 이바노비(Listeria ivanovii) 및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Staphylococcus aureus)이며, 상기 항생제는 아미카신(amikacin), 푸시딘산(fusidic acid), 카나마이신(kanamycin), 메트로니다졸(metronidazole), 날리딕스산(nalidixic acid), 네오마이신(neomycin), 피페미드산(pipemidic acid), 테이코플라닌(teicoplanin) 및 트리메토프림-설파메톡사졸(trimethoprim-sulfamethoxazole)이며, 상기 효소는 루신 아릴아미다아제(leucin arylamidase), 발린 아릴아미다아제(valine arymidase), 산성인산가수분해효소(Acid phosphatase), 나프톨-AS-BI-포스포히드롤라아제(Naphol-AS-BI-phosphohydrolase) 및 α-글루코시다아제(α-glucosidase)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내산성은 pH 2~5에 대한 내산성이며, 내담즙성은 0.1~1%의 담즙산염에 대한 내담즙성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균주, 이의 배양액, 상기 배양액의 농축액 또는 그의 건조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프로바이오틱스 제제를 제공한다.
상기 프로바이오틱스 제제는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에 따라 다양한 제형과 방법으로 제조 및 투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 SRCM102343 균주, 이의 배양액, 상기 배양액의 농축액 또는 그의 건조물은 약제학적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담체와 혼합하여 산제(powder), 액제(liquids and solutions), 정제(tablet), 캡슐(capsule), 시럽(syrup), 현탁제(suspension) 또는 과립제(granule) 등의 형태로 제조되어 투여될 수 있다. 상기 담체로는 예를 들어, 결합제, 활탁제, 붕해제, 부형제, 가용화제, 분산제, 안정화제, 현탁화제, 색소 및 향료 등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투여 용량은 체내에서의 활성성분의 흡수도, 불활성률, 배설속도, 피투여자의 연령, 성별, 축종, 상태 및 질병의 중증 정도 등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프로바이오틱스 제제를 포함하는 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상기 프로바이오틱스 제제는 내산성, 내담즙성, γ-용혈 활성, 유해 미생물에 대한 항균활성, 항생제 내성, 장내 상피세포 부착능 및 효소 분비능이 있는, 기탁번호가 KFCC11797P인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 SRCM102343 균주, 이의 배양액, 상기 배양액의 농축액 또는 그의 건조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한다.
본 발명의 상기 프로바이오틱스를 식품첨가물로 사용하는 경우, 상기 프로바이오틱스를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성분과 함께 사용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유효성분의 혼합양은 그의 사용 목적(예방, 건강 또는 치료적 처치)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식품 또는 음료의 제조시에 본 발명의 프로바이오틱스는 원료에 대하여 15 중량부 이하, 바람직하게는 10 중량부 이하의 양으로 첨가된다. 그러나 건강 및 위생을 목적으로 하거나 또는 건강 조절을 목적으로 하는 장기간의 섭취의 경우에는 혼합양은 상기 범위 이하일 수 있으며, 안전성 면에서 아무런 문제가 없기 때문에 혼합양은 상기 범위 이상의 양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 상기 프로바이오틱스를 첨가할 수 있는 식품의 예로는 빵, 캔디류, 스낵류, 과자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및 비타민 복합제 등이 있으며,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건강식품을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의 균주를 배양하는 방법은 당업계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방법에 따라 배양할 수 있으며, 특별한 방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균주를 배양하는 단계에서 얻어지는 상기 균주 또는 상기 균주의 배양물 또는 상기 균주의 배양액의 농축액을 첨가제로 사용할 경우, 상기 균주 또는 상기 균주의 배양물 또는 상기 균주의 배양액의 농축액을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첨가제를 함께 사용할 수 있으며,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유효 성분의 혼합양은 그의 사용 목적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균주, 이의 배양액, 상기 배양액의 농축액 또는 그의 건조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유해 미생물에 대한 항균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항균 조성물이란 항미생물제를 총칭하는 의미인 항생제와 같은 의미일 수 있고, 항진균제, 살균제, 방부제, 보존제 또는 제균제와 같은 의미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바실러스 세레우스, 리스테리아 이바노비 및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 등을 포함하는 병원성 미생물, 특히 그람 양성 병원성 미생물의 발육과 생활 기능을 저지 또는 억제할 수 있는 물질을 의미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항균 조성물은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 SRCM102343 균주, 이의 배양액, 상기 배양액의 농축액 또는 그의 건조물 외에 당질, 단백질, 지질, 비타민류 및 미네랄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당질, 단백질, 지질, 비타민류 또는 미네랄류는 그 사용 목적 및 용도에 따라 적의 선택될 수 있으며, 일 예로 상기 당질은 벌꿀, 덱스트린, 수크로오스, 팔라티노스, 포도당, 과당, 물엿, 당알콜(sugar alcohol), 소르비톨, 크실리톨, 말티톨일 수 있고 상기 단백질은 카제인(casein), 유청 단백질(whey protein) 등의 우유 유래 단백질, 대두 단백질, 이들 단백질의 트립신, 펩신 등의 동물 유래 효소 및 뉴트라아제(neutrase), 알칼라아제(alkilase)에 의한 가수분해물일 수 있으며, 상기 지질은 제1가 포화지방산, 다가 불포화지방산을 포함하는 해바라기유, 채종유(rapeseed oil), 올리브유, 홍화유(safflower oil), 옥수수유, 대두유, 팜유(palm oil), 야자유 등의 각종 식물 유래 유지, 중쇄 지방산(middle-chain fatty acid), EPA, DHA, 대두유래 인지질, 우유 유래 인지질일 수 있고, 상기 미네랄류는 인산칼륨, 탄산칼륨, 염화칼륨, 염화나트륨, 유산칼슘, 글루콘산칼슘, 판토텐산칼슘, 카제인칼슘, 염화마그네슘, 황산제1철, 탄산수소나트륨일 수 있으나, 각각의 예에 의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선별 균주 분리 및 동정
김치 시료를 유산균 분리를 위한 근원 시료로 사용하였다. 각 시료 10g을 멸균생리식염수 90mL에 단계 희석하여 MRS 아가(DifcoTM, MI, USA) 배지에 100㎕ 도말하여 37℃에서 48시간 배양하였다. 각각의 배양한 미생물을 집락 형태가 상이한 균주를 선별하여 순수 분리하였다.
선별 균주의 동정을 위해 균체는 한천 고체배지로부터 회수하였으며, 이들의 DNA는 ZR Fungal/Bacterial DNA MiniPrep kit를 사용하여 추출하였다. 16S rRNA 유전자는 두 개의 알려진 유니버설 프라이머를 사용하여 증폭하였다. PCR 반응의 조건은 다음과 같다. DNA의 변성 95℃에서 1분, 프라이머의 결합 60℃에서 1분, DNA 나선의 합성 72℃에서 1분 또는 2분의 과정을 35회 반복하는 조건을 사용하였으며, 반응이 끝난 PCR 산물은 1.5% 아가로스 겔(5㎕, X-gal 30mg/mL)에서 전기영동 한 후 밴드를 확인한 후 증폭이 확인된 PCR 산물은 마크로젠(주)에 의뢰하여 16S rRNA 유전자의 서열분석을 실시하였다.
SRCM102343 균주의 동정을 위해 16S rRNA 유전자 염기서열(서열번호 1)을 분석하였으며, 결과를 기반으로 BLAST(https://blast.ncbi.nlm.nih.gov/) 검색 결과 SRCM102343은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Lactobacillus paracasei)로 판명되었으며, 최종적으로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 SRCM102343으로 명명하였으며, 한국미생물보존센터에 기탁하였다(KFCC11797P).
실시예 2. 선별 균주의 내산성 내담즙성 확인
pH 및 담즙산에 대한 내성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선발 균주를 LB 액체배지에서 30℃에서 18시간 배양 후, 이를 실험의 초기 접종 배양액으로 사용하였다. 내산성 분석은 각각 pH 2.0~5.0으로 조절한 LB 액체배지에 초기 접종 배양액을 5%씩 접종하여 30℃에서 30분 진탕배양한 후, 생균수를 측정하여 내산성 정도를 확인하였다. 내담즙성 분석은 담즙(oxgall)을 0.1~1.0% 첨가한 LB 액체배지에 초기 접종 배양액을 5%씩 접종하여 30℃에서 6시간 진탕배양한 후 생균수를 측정하여 내담즙성을 확인하였다. 각 실험의 대조구(control)는 pH를 조절하지 않은 배지, 담즙을 첨가하지 않은 배지에서 반응한 생균수로 정의하였다. 그 결과, SRCM102343 균주는 pH 2.0까지도 생존이 가능하며(표 1), 담즙산염 1.0%에서도 생존율을 유지하여(표 2) 프로바이오틱스로서 SRCM102343 균주 섭취 시 안정적으로 장내까지 많은 생균이 도달할 것으로 사료된다.
선별 균주의 내산성 측정 결과(단위: Log CFU/mL)
No. 분리균주 control pH 2.0 pH 3.0 pH 4.0 pH 5.0
1 Lactobacillus plantarum SRCM102224 8.10 4.32 8.00 8.19 8.13
2 Lactobacillus plantarum SRCM102227 8.21 4.60 8.00 8.28 8.19
3 Lactobacillus paracasei SRCM102329 8.06 3.70 7.90 8.15 8.23
4 Lactobacillus paracasei SRCM102343 8.05 3.85 8.00 8.29 8.23
선별 균주의 내담즙성 측정 결과(단위: Log CFU/mL)
No. 분리균주 control oxgal 0.1% oxgal 0.3% oxgal 0.5% oxgal 1.0%
1 Lactobacillus plantarum SRCM102224 8.44 8.47 8.02 8.17 8.13
2 Lactobacillus plantarum SRCM102227 8.66 8.89 8.44 8.53 8.52
3 Lactobacillus paracasei SRCM102329 8.40 8.45 8.44 8.09 8.20
4 Lactobacillus paracasei SRCM102343 8.50 8.54 8.26 8.39 8.28
실시예 3. 인공 십이지장액 조건에서 선별 균주의 생존율 확인
선별 균주를 18시간 동안 MRS 액체 배지에서 배양한 후, 배양액 1mL을 원심분리하고, PBS(Phosphate buffered saline) 용액으로 2번 세척해 준 다음, 침전된 균체를 MRS 액체 배지(pH 3) 1mL에 녹였다. 이후에, MRS 액체 배지(pH 3) 9mL에 녹인 균체를 넣고 볼텍싱(voltexing) 해준 다음, 그 중 1mL를 취하여 초기 접종된 유산균 수를 측정하였다. 나머지 9mL은 37℃에서 1시간 배양한 후, 인공 십이지장액(synthetic duodenum juice) 17mL과 담즙 용액 4mL를 넣고 37℃에서 2시간 배양한 다음, 이를 취하여 살아남은 유산균 수를 측정하였다. 처음 접종된 유산균의 수와 2시간 후 살아남은 유산균의 수를 비교하여 백분율(%)로 나타내었다. 그 결과, 도 1에 개시한 바와 같이 SRCM102343 균주가 약 82%로 나타나 프로바이오틱스 활성이 우수하다고 알려진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Lactobactillus rhamnosus) GG 균주의 생존율(약 63.23%)보다 현저하게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4. 선별 균주의 용혈성 확인
균주는 MRS 배지에서 3회 계대 배양하여 활성을 높인 후 5%(w/v) 혈액이 함유된 콜롬비아 아가(Difco) 배지에 획선 접종 후 37℃에서 48시간 배양한 후 콜로니 주변에 생성되는 환을 확인하였다. 용혈성은 적혈구 막을 파괴하여 황달 및 빈혈을 유발하는 β-헤몰리시스(γ-hemolysis; 황색 투명환이 생성)와 적혈구 막을 파괴하지 않고 헤모글로빈을 메트헤모글로빈으로 산화시키는 α-헤몰리시스(녹색환이 생성), 용혈현상이 없는 γ-헤몰리시스(환 생성이 없음)로 나눠볼 수 있는데, 균주 주위로 생기는 환의 형태로 용혈성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하기 표 3에 개시한 바와 같이 선별 균주 모두 γ-헤몰리시스의 용혈성을 가지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선별 균주의 용혈성 측정 결과
No. 동정명 SRCM No. 헤몰리시스
α β γ
1 Lactobacillus plantarum 102224 - - +
2 Lactobacillus plantarum 102227 - - +
3 Lactobacillus paracasei 102329 - - +
4 Lactobacillus paracasei 102343 - - +
실시예 5. 선별 균주의 장내 상피세포 부착능 확인
실험에 사용한 인체 결장암 세포주 Caco-2 세포는 KCLB(Korean Cell Line Bank, Korea)로부터 분양받아 사용하였으며, Caco-2 세포는 DMEM(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 Hyclone, Logan, Utah, USA)에서 배양하였다. 배지에는 10% FBS(fetal bovine serum), 1% 스트렙토마이신/페니실린(10,000 IU/mL), 1% 비필수 아미노산, 10mM HEPES(4-(2-hydroxyethyl)-1-piperazineethanesulfonic acid), 1mM L-글루타민 및 1mM 피루브산나트륨을 첨가하였으며, Caco-2 세포주는 37℃에서, 5% CO2 95% 공기 조건으로 배양하였다. 장내 부착능 실험은 24 웰 조직 배양 플레이트에 5×105 세포/웰로 접종한 다음 2~3일 간격으로 배지를 교체해주었으며 세포가 완전하게 단층막을 형성될 때까지 15일 동안 분화시켜 사용하였으며, Caco-2 세포의 통로 34-38를 장내 부착능 실험에 이용하였다.
장내 부착능 실험을 위해 15일 동안 배양하여 24 웰 조직 배양 플레이트에서 단층막을 형성한 Caco-2 세포를 부착실험 1시간 전에 PBS(pH 7.4)로 2회 세척한 후 항생제와 FBS가 들어있지 않은 DMEM 배지를 각 웰에 0.5mL씩 넣어 주었다. 선발 유산균 5종 및 양성대조구인 LGG 균주를 MRS 액체배지에 1%(v/v) 접종하여 37℃에서 24시간 배양한 후 원심분리하여 균체 회수한 후 PBS로 3번 세척하였다. 유산균 균수에 따른 부착성 변화를 측정하기 위하여 7∼9 Log CFU/mL의 범위로 준비하여 현탁한 후, 각 웰에 넣어주었다. 이를 37℃에서, 5% CO2 95% 공기 조건하에서 1시간 동안 배양한 후 부착하지 못한 균을 제거하기 위하여 PBS로 3번 세척하여 각 웰마다 0.05% 트리톤 X-100 1mL씩 넣고 10분간 진탕해준 후, 이의 생균수 측정을 위해 단계 희석 후, MRS 아가 배지에 도말하였다. 장내 상피세포 부착율은 하기 식을 이용하여 산출하였다.
부착율(%) = [부착 균수/초기 처리균수] × 100
그 결과, 하기 표 4에 개시한 바와 같이 SRCM102343 균주는 76.53%의 부착율을 보였으며, 이는 프로바이오틱스 활성이 우수하다고 알려진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GG 균주의 부착율(73.53%)보다 높은 것으로 확인되어 SRCM102343 균주 섭취 시 장내로 도달하여 장내 상피세포에 부착하여 장내 환경 개선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선별 균주의 장내 부착능 측정 결과
균주명 Initial cell count
(Log CFU/mL)
Adhered cell count
(Log CFU/mL)
Adhesion
(%)
Lactobacillus plantarum SRCM102224 7.01±0.51 4.89±0.16 69.92
Lactobacillus plantarum SRCM102227 7.13±0.24 5.32±0.28 74.54
Lactobacillus paracasei SRCM102329 7.51±0.18 5.73±0.12 76.30
Lactobacillus paracasei SRCM102343 7.69±0.11 5.89±0.13 76.53
Lactobactillus rhamnosus GG 7.04±0.21 5.16±0.19 73.34
실시예 6. 선별 균주의 소수성( hydrophobicity) 확인
선별 균주의 세포 표면 세포벽의 소수성(hydrophobicity)을 측정하기 위하여 클로로포름에 부착하는 정도를 측정하였다. 유산균을 MRS 액체 배지에 37℃에서 18시간 동안 배양시킨 다음, 배양액 3mL를 취하여 원심분리(10,000g, 5 min, 4℃)한 후 균체를 PBS(Phosphate buffered saline) 용액으로 2번 세척해주었다. 이후에, PBS 용액에 현탁시킨 후 580nm에서 흡광도값(OD1)를 측정한 후, 균체 현탁액 1.5mL에 클로로포름 1.5mL를 넣어주고, 2분동안 볼텍싱(vortexing)해 준 다음, 30분 동안 방치하여 두 층이 나뉘어지게 한 후, 유기용매를 제외한 상등액을 580nm에서 흡광도값(OD2)을 측정하였으며, 선별 균주가 용매에 부착하는 정도를 하기식을 이용하여 산출하였다.
표면 소수성(%) = (OD1-OD2/OD1)×100
그 결과, 도 2에 개시한 바와 같이 SRCM102343 균주가 약 95.24%의 소수성을 나타내었으며, 이는 프로바이오틱스 활성이 우수하다고 알려진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Lactobactillus rhamnosus) GG 균주의 소수성(13.00%)보다 현저하게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소수성이 강하면, 장막과 소수성 결합을 강하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장내 부착이 잘 이루어지게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실시예 7. 선별 균주의 식중독 및 유해병원성 미생물에 대한 항균력 확인
선별 균주의 에스케리키아 콜라이(Escherichia coli), 마이크로코커스 루테우스(Micrococcus luteus),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Staphylococcus aureus), 리스테리아 이바노비(Listeria ivanovii),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타피(Salmonella enterica serovar. Typhi) 및 바실러스 세레우스(Bacillus cereus)에 대한 항균 활성을 측정하였다. 항균 활성의 측정을 위해 마이크로코커스 루테우스 KCTC1056, 리스테리아 이바노비 KCTC 34444 및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타피 KCTC 1926은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생물자원센터(KCTC)으로부터 분양받고,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 KCCM11593은 한국미생물보존센터(KCCM)으로부터 분양받았으며, 에스케리키아 콜라이 ATCC 10798 및 바실러스 세레우스 ATCC 11778은 미국 균주은행(ATCC)으로부터 분양받아 지시균주로 사용하였다. 측정 방법은 웰 확산 방법을 이용하였으며, 각 지시균주는 NB(Nutrient broth, Difco) 배지에서 37℃, 24시간 배양 후 흡광도를 측정하여 일정한 농도(OD660, 0.4)를 0.8% 아가를 함유한 NB 소프트 아가 배지에 첨가하여 평판배지를 제조하였다. 선별 균주는 MRS 배지에서 37℃, 24시간 진탕 배양하여 15,000rpm으로 10분간 원심분리 후 상등액을 취하여 0.45μm의 시린지 필터(Sartorius, Germany)로 제균한 뒤 6mm 웰에 각각 분주하였다. 분주 후 30℃에서 24시간 배양하여 각각의 웰 주변에 생기는 억제환의 크기를 측정하여 유해 미생물에 대한 항균활성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SRCM102343 균주는 바실러스 세레우스(Bacillus cereus), 리스테리아 이바노비(Listeria ivanovii) 및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Staphylococcus aureus)에 대해 항균 활성을 나타낸다는 것을 확인하였다(표 5).
선별 균주의 항균 활성 측정 결과
No. 분리균주 E. coli
ATCC 10798
M. luteus
KCTC 1056
Staphy . aureus KCCM 11593 L. invanovii KCTC 3444 S. enterica serovar. Typhi KCTC 1926 B. cereus ATCC 11778
1 Lactobacillus plantarum SRCM102224 + - + + + +
2 Lactobacillus plantarum SRCM102227 + + + + + +
3 Lactobacillus paracasei SRCM102329 + - + + - +
4 Lactobacillus paracasei SRCM102343 - - + + - +
실시예 8. 선별 균주의 API ZYM 키트를 이용한 효소활성 확인
선별 균주의 효소활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총 19종의 각종 효소의 기질 이용성을 기초로 제작된 API ZYM 키트(BioMerieux, Marcy-I'Etoile, France)를 사용하였다. 선별 유산균을 MRS 아가 배지에서 획선 도말하여 37℃에서 48시간 동안 배양한 콜로니를 2mL 현탁 배지에 재부유하고, McFarland(BioMerieux)로 탁도 5~6으로 조정하여 각 튜브에 60㎕씩 분주하고 37℃에서 4시간 배양한 후 ZYM A 및 ZYM B 시약을 각 튜브에 한 방울씩 떨어뜨리고 5분간 실온에서 반응시켜 색 변화로 각각의 기질 효소에 대한 활성 여부를 판독하였다. 색의 변화 정도에 따라 0~5까지의 값으로 표시하였으며, 0은 음성반응, 5 (=40 nanomoles)는 최대 강도의 반응이고 4~1은 각각 30, 20, 10 및 5 nanomoles의 중간 값을 나타내며 3 이상일 경우 양성으로 판정하였다. 일반적으로, 유산균이 프로바이오틱스로 사용되기 위해서는 이들이 생산하는 효소 또한 매우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어 최종 선별한 SRCM102343 균주의 효소 생산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API ZYM 키트를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그 결과, 루신 아릴아미다아제(leucin arylamidase), 발린 아릴아미다아제(valine arymidase), 산성인산가수분해효소(Acid phosphatase), 나프톨-AS-BI-포스포히드롤라아제(Naphol-AS-BI-phosphohydrolase) 및 α-글루코시다아제(β-glucosidase) 활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표 6).
SRCM102343 균주의 API ZYM 키트를 이용한 효소활성 분석
효소 결과 효소 결과
Control -1) Acid phosphatase +
Alkaline phospatase - Naphol-AS-BI-phosphohydrolase +
Esterase(C4) - α-galactosidase -
Esterase lipase(C8) - β-galactosidase -
Lipase(C14) - β-glucuronidase -
Leucine arylamidase +2) α- glucosidase +
Valine arylamidase + β-glucosidase -
Cystine arylamidase - N-acetyl-β-glucosaminidase -
Trypsin - α-mannosidase -
α-chymotrypsin - α-fucosidase -
-1); 음성효과, +2); 양성효과
실시예 9. 선별 균주의 항생제 감수성 분석
유산균의 경우 식품과 의약품의 소재로 많이 이용되고 있으며, 이로 인해 항생제 내성을 확인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요소이므로 최종 선별된 SRCM102343 균주를 대상으로 항생제 감수성 분석을 하였다. 항생제 감수성 시험은 NCCLS(National Committee for Clinical Laboratory Standards)의 디스크 확산법(disk diffusion method)으로 실시하였다. 사용한 항생제 디스크(BBL, Sensi-disc, Becton Dickinson Co., NJ, USA)는 아미카신(amikacin), 아목시실린(amoxicillin), 아목시실린-글라불란산(amoxicillin-clavulanic acid), 암피실린(ampicillin), 아지트로마이신(azithromycin), 세파클로르(cefaclor), 세프타지딤(ceftazidime), 세파렉신(cephalexin), 시프로플록사신(ciprofloxacin), 클린다마이신(clindamycin), 에리트로마이신(erythromycin), 푸시딘산(fusidic acid), 젠타마이신(gentamicin), 이미페넴(imipenem), 카나마이신(kanamycin), 린코마이신(lincomycin), 메트로니다졸(metronidazole), 날리딕스산(nalidixic acid), 네오마이신(neomycin), 네틸마아신(netilmicin), 오플락신(ofloxacin), 옥사실린(oxacillin), 페니실린 G(penicillin G), 피페미드산(pipemidic acid), 피페라실린(piperacillin), 리팜피신(rifampicin), 록시시트로마이신(roxithromycin), 테이코플라닌(teicoplanin), 테트라사이클린(tetracycline) 및 트리메토프림-설파메톡사졸(trimethoprim-sulfamethoxazole)로 30종을 사용하였다. 선별 균주는 MRS 액체배지에서 배양한 후, 105×1.0 CFU/mL가 되도록 뮬러 힌트 아가(Merck, Darmstadf, Germany)에 도말한 다음, 30종의 항생제 디스크를 놓고 37℃에서 24시간 방치한 다음, 각 항생제에 대한 억제환의 크기를 측정하고 NCCLS(National Committee for Clinical Laboratory Standards) 가이드라인에 따라 감수성과 내성을 판정하였다. 데이터 값은 3회 반복 측정하여 평균±표준편차로 나타내었다.
그 결과, 최종 선별한 SRCM102343 균주는 아미카신(amikacin), 푸시딘산(fusidic acid), 카나마이신(kanamycin), 메트로니다졸(metronidazole), 날리딕스산(nalidixic acid), 네오마이신(neomycin), 피페미드산(pipemidic acid), 테이코플라닌(teicoplanin) 및 트리메토프림-설파메톡사졸(trimethoprim-sulfamethoxazole) 계열의 항생제에 대하여는 내성을 지니고 있음을 확인하였다(표 7).
선별 균주의 항생제 감수성 분석
항생제 Code/Discpotency(㎍) 선별 균주
SRCM
102224
SRCM
102227
SRCM
102329
SRCM
102343
Amikacin AN/30 S S S R
Amoxicillin AML/25 SS SS SS SS
Amoxicillin/clavulanic acid AMC/20 SS S S S
Ampicillin AM/10 SS SS SS SS
Azithromycin AZM/15 S S SS S
Cefaclor CEC/30 S S S S
Ceftazidime CAZ/30 S S S S
Cephalexin CL/30 SS S S S
Ciprofloxacin CIP/5 S R S S
Clindamycin CD/10 S SS SS SS
Erythromycin E/15 SS SS SS SS
Fusidic acid FC/30 S S R R
Gentamicin GM/10 S S S S
Imipenem IMI/10 SS SS S S
Kanamycin K/30 S R R R
Lincomycin MY/15 S S SS SS
Metronidazole MTZ/5 R R R R
Nalidixic acid NA/30 R R R R
Neomycin N/30 S S S R
Netilmicin NET/30 S S S S
Ofloxacin OFX/5 R R S S
Oxacillin OX/5 S SS S S
Penicillin G P1 IU S S S S
Pipemidic acid PI/20 R R R R
Piperacillin PRL/100 SS SS SS SS

Rifampicin
RD/5 SS S SS SS
Roxithromycin RXT/15 S S SS SS
Teicoplanin TEC/30 R R R R
Tetracycline TE/30 S S SS S
Trimethoprim-sulfamethoxazole SXT/25 S S R R
직경: cm, R: 내성, S: 1.2∼3.0, SS: 3.1∼4.0
한국미생물보존센터(국내) KFCC11797P 20181025
<110> Microbial Institute for Fermentation Industyry <120> Lactobacillus paracasei SRCM102343 strain having antimicrobial activity and probiotics property and uses thereof <130> PN18551 <160> 1 <170> KoPatentIn 3.0 <210> 1 <211> 1500 <212> DNA <213> Lactobacillus paracasei <400> 1 gatgaacgct ggcggcgtgc ctaatacatg caagtcgaac gagttctcgt tgatgatcgg 60 tgcttgcacc gagattcaac atggaacgag tggcggacgg gtgagtaaca cgtgggtaac 120 ctgcccttaa gtgggggata acatttggaa acagatgcta ataccgcata gatccaagaa 180 ccgcatggtt cttggctgaa agatggcgta agctatcgct tttggatgga cccgcggcgt 240 attagctagt tggtgaggta atggctcacc aaggcgatga tacgtagccg aactgagagg 300 ttgatcggcc acattgggac tgagacacgg cccaaactcc tacgggaggc agcagtaggg 360 aatcttccac aatggacgca agtctgatgg agcaacgccg cgtgagtgaa gaaggctttc 420 gggtcgtaaa actctgttgt tggagaagaa tggtcggcag agtaactgtt gtcggcgtga 480 cggtatccaa ccagaaagcc acggctaact acgtgccagc agccgcggta atacgtaggt 540 ggcaagcgtt atccggattt attgggcgta aagcgagcgc aggcggtttt ttaagtctga 600 tgtgaaagcc ctcggcttaa ccgaggaagc gcatcggaaa ctgggaaact tgagtgcaga 660 agaggacagt ggaactccat gtgtagcggt gaaatgcgta gatatatgga agaacaccag 720 tggcgaaggc ggctgtctgg tctgtaactg acgctgaggc tcgaaagcat gggtagcgaa 780 caggattaga taccctggta gtccatgccg taaacgatga atgctaggtg ttggagggtt 840 tccgcccttc agtgccgcag ctaacgcatt aagcattccg cctggggagt acgaccgcaa 900 ggttgaaact caaaggaatt gacgggggcc cgcacaagcg gtggagcatg tggtttaatt 960 cgaagcaacg cgaagaacct taccaggtct tgacatcttt tgatcacctg agagatcagg 1020 tttccccttc gggggcaaaa tgacaggtgg tgcatggttg tcgtcagctc gtgtcgtgag 1080 atgttgggtt aagtcccgca acgagcgcaa cccttatgac tagttgccag catttagttg 1140 ggcactctag taagactgcc ggtgacaaac cggaggaagg tggggatgac gtcaaatcat 1200 catgcccctt atgacctggg ctacacacgt gctacaatgg atggtacaac gagttgcgag 1260 accgcgaggt caagctaatc tcttaaagcc attctcagtt cggactgtag gctgcaactc 1320 gcctacacga agtcggaatc gctagtaatc gcggatcagc acgccgcggt gaatacgttc 1380 ccgggccttg tacacaccgc ccgtcacacc atgagagttt gtaacacccg aagccggtgg 1440 cgtaaccctt ttagggagcg agccgtctaa ggtgggacaa atgattaggg tgaagtcgta 1500 1500

Claims (4)

  1. 내산성, 내담즙성, γ-용혈 활성, 유해 미생물에 대한 항균활성, 항생제 내성, 장내 상피세포 부착능 및 효소 분비능이 있는, 기탁번호가 KFCC11797P인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Lactobacillus paracasei) SRCM102343 균주로서,
    상기 유해 미생물은 바실러스 세레우스(Bacillus cereus), 리스테리아 이바노비(Listeria ivanovii) 및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Staphylococcus aureus)이고, 상기 항생제는 아미카신(amikacin), 푸시딘산(fusidic acid), 카나마이신(kanamycin), 메트로니다졸(metronidazole), 날리딕스산(nalidixic acid), 네오마이신(neomycin), 피페미드산(pipemidic acid), 테이코플라닌(teicoplanin) 및 트리메토프림-설파메톡사졸(trimethoprim-sulfamethoxazole)이며, 상기 효소는 루신 아릴아미다아제(leucin arylamidase), 발린 아릴아미다아제(valine arymidase), 산성인산가수분해효소(Acid phosphatase), 나프톨-AS-BI-포스포히드롤라아제(Naphol-AS-BI-phosphohydrolase) 및 α-글루코시다아제(α-glucosidas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균주.
  2. 삭제
  3. 제1항의 균주, 이의 배양액, 상기 배양액의 농축액 또는 그의 건조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프로바이오틱스 제제.
  4. 제1항의 균주, 이의 배양액, 상기 배양액의 농축액 또는 그의 건조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바실러스 세레우스(Bacillus cereus), 리스테리아 이바노비(Listeria ivanovii) 또는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Staphylococcus aureus)에 대한 항균용 조성물.
KR1020190013915A 2018-11-15 2019-02-01 항균 활성과 프로바이오틱스 특성을 갖는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 srcm102343 균주 및 이의 용도 KR10211550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0581 2018-11-15
KR20180140581 2018-11-1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6897A KR20200056897A (ko) 2020-05-25
KR102115506B1 true KR102115506B1 (ko) 2020-05-26

Family

ID=709147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3915A KR102115506B1 (ko) 2018-11-15 2019-02-01 항균 활성과 프로바이오틱스 특성을 갖는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 srcm102343 균주 및 이의 용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550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86639A (ko) * 2021-12-08 2023-06-15 한국식품연구원 항염증 효과가 뛰어난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 아종 톨러란스 WiKim0148 및 이의 용도
KR20230104377A (ko) 2021-12-30 2023-07-10 신라대학교 산학협력단 새우젓으로부터 분리된 유산균 및 그의 용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895973B (zh) * 2022-07-20 2023-11-17 南京农业大学 一株副干酪乳杆菌及其在白酸汤发酵制备中的应用
CN115786197B (zh) * 2022-11-24 2024-04-19 浙江万里学院 副干酪乳杆菌及其细菌素的制备方法和应用、抗菌肽及其鉴定方法和应用
CN116836868B (zh) * 2023-07-03 2023-11-21 山东大树生命健康科技有限公司 一株干酪乳杆菌bigtree-b101142及其菌剂与应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9132B1 (ko) 2000-12-29 2004-02-18 조성근 위·장 점막 부착성과 증식성, 내산성, 내담즙성 및헬리코박터 파일로리, 대장균 0157:h7에 대한 항균성이우수한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 서브스패시즈 파라카제이csk 01
KR101274467B1 (ko) 2011-08-10 2013-06-17 (주)케비젠 유해세균에 대해 항균 활성을 갖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jbmi f5 균주 및 이의 용도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9132B1 (ko) 2000-12-29 2004-02-18 조성근 위·장 점막 부착성과 증식성, 내산성, 내담즙성 및헬리코박터 파일로리, 대장균 0157:h7에 대한 항균성이우수한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 서브스패시즈 파라카제이csk 01
KR101274467B1 (ko) 2011-08-10 2013-06-17 (주)케비젠 유해세균에 대해 항균 활성을 갖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jbmi f5 균주 및 이의 용도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British Microbiology Research Journal, Vol.1, pp.79-94(Epub.2011.08.10.)*
J. Appl. Bacteriol., Vol.55, pp.241-245(1983.)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86639A (ko) * 2021-12-08 2023-06-15 한국식품연구원 항염증 효과가 뛰어난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 아종 톨러란스 WiKim0148 및 이의 용도
KR102562507B1 (ko) 2021-12-08 2023-08-02 한국식품연구원 항염증 효과가 뛰어난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 아종 톨러란스 WiKim0148 및 이의 용도
KR20230104377A (ko) 2021-12-30 2023-07-10 신라대학교 산학협력단 새우젓으로부터 분리된 유산균 및 그의 용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6897A (ko) 2020-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15506B1 (ko) 항균 활성과 프로바이오틱스 특성을 갖는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 srcm102343 균주 및 이의 용도
Aarti et al. In vitro studies on probiotic and antioxidant properties of Lactobacillus brevis strain LAP2 isolated from Hentak, a fermented fish product of North-East India
KR101839374B1 (ko) 항균 활성과 프로바이오틱스 특성을 갖는 바실러스 서틸리스 scgb 574 균주 및 이의 용도
KR20190103755A (ko)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균주 및 이의 용도
JP2001000143A (ja) Helicobacterpylori除菌性飲食品
KR102001994B1 (ko) 면역 활성, 항바이러스 활성 및 프로바이오틱스 특성을 갖는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세우스 srcm102736 균주 및 이의 용도
KR101999531B1 (ko) 면역 활성, 항바이러스 활성 및 프로바이오틱스 특성을 갖는 락토바실러스 페로렌스 srcm102283 균주 및 이의 용도
KR101993617B1 (ko) 항균 활성과 프로바이오틱스 특성을 갖는 락토바실러스 펜토서스 srcm101105 균주 및 이의 용도
US11925668B2 (en) Postbiotic extract and preparation process and use thereof
KR102065580B1 (ko) 항균 활성과 프로바이오틱스 특성을 갖는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 scml 432 균주 및 이의 용도
KR102254751B1 (ko) 신규의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 WiKim83 균주 및 이의 용도
KR102044365B1 (ko) 장 부착능이 우수하고, 항균 물질을 합성하는 유전자를 보유하며, 프로바이오틱스 특성을 가지는 바실러스 서틸리스 scdb 291 균주 및 이의 용도
KR101996080B1 (ko) 항균 활성과 프로바이오틱스 특성을 갖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srcm101594 균주 및 이의 용도
KR101839371B1 (ko) 항균 활성과 프로바이오틱스 특성을 갖는 바실러스 아밀로리퀘파시엔스 srcm 100731 균주 및 이의 용도
KR102001990B1 (ko) 면역 활성, 항바이러스 활성 및 프로바이오틱스 특성을 갖는 페디오코커스 애시디락티시 srcm102615 균주 및 이의 용도
KR20220004865A (ko) 프로바이오틱스 관련 효소 분비능, 항산화 활성, 담즙산염 분해 활성, 항균 활성이 있고, 유해효소 및 유해대사산물을 생성하지 않는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 srcm101607 균주 및 이의 용도
KR102159379B1 (ko) 장 부착능 및 세포외 효소 분비능이 우수하고, 프로바이오틱스 특성을 가지는 바실러스 서틸리스 srcm101371 균주 및 이의 용도
KR101860836B1 (ko) 항균 활성과 프로바이오틱스 특성을 갖는 바실러스 아밀로리퀘파시엔스 scgb 1 균주 및 이의 용도
KR101839375B1 (ko) 항균 활성과 프로바이오틱스 특성을 갖는 바실러스 아밀로리퀘파시엔스 srcm 100730 균주 및 이의 용도
Taale et al. Traditional technologies and probiotic properties of Bacillus strains isolated from Kawal-a chad traditional fermented food condiment
KR102001992B1 (ko) 면역 활성, 항바이러스 활성 및 프로바이오틱스 특성을 갖는 페디오코커스 애시디락티시 srcm102607 균주 및 이의 용도
KR102100367B1 (ko) 장 부착능이 우수하고, 항노화 활성 및 프로바이오틱스 특성을 가지는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 srcm103306 균주 및 이의 용도
KR101811246B1 (ko) 내산성, 내담즙성, 항산화 활성, 리파아제 저해활성, 혈전분해활성 및 항균 활성이 있고, 바이오제닉 아민을 생산하지 않으면서, 프로테아제 및 아밀라제 효소를 분비하는 바실러스 서틸리스 scgb 320 균주 및 이의 용도
KR102136064B1 (ko) 담즙산염 분해 활성 및 식품 유해균에 대한 항균 활성을 가지며, 프로바이오틱스 특성을 보유한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 scml 379 균주 및 이의 용도
KR20220004864A (ko) 프로바이오틱스 관련 효소 분비능, 혈전분해 활성, 항균 활성이 있고, 유해효소 및 유해물질을 생성하지 않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srcm101587 균주 및 이의 용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