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3517B1 - 유황 삼계탕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유황 삼계탕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3517B1
KR102073517B1 KR1020190059330A KR20190059330A KR102073517B1 KR 102073517 B1 KR102073517 B1 KR 102073517B1 KR 1020190059330 A KR1020190059330 A KR 1020190059330A KR 20190059330 A KR20190059330 A KR 20190059330A KR 102073517 B1 KR102073517 B1 KR 1020735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lfur
samgyetang
broth
samgye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93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57263A (ko
Inventor
김재춘
김재곤
Original Assignee
김재춘
김재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재춘, 김재곤 filed Critical 김재춘
Priority to KR10201900593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3517B1/ko
Publication of KR201900572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72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35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35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3/00Meat products; Meat meal;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3/40Meat products; Meat meal;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additives
    • A23L13/42Additives other than enzymes or microorganisms in meat products or meat meals
    • A23L13/432Addition of inorganic compounds, e.g. minerals; oligo-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3/00Meat products; Meat meal;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3/50Poultry products, e.g. poultry sausages
    • A23L13/55Treatment of original pieces or par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3/00Soups; Sauc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6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blood cholesterol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15Inorganic Compounds
    • A23V2250/156Mineral combination
    • A23V2250/1624Sulphur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18Lipids
    • A23V2250/186Fatty acids
    • A23V2250/1874Linolenic aci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Seeds, Soups, And Other Foods (AREA)
  • Fodder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하면, 유황 삼계탕 및 그 제조방법에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한 유황 삼계탕의 제조방법은, 유황삼계를 전처리하는 단계; 상기 전처리한 유황삼계를 물에 넣고 삼계탕 육수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삼계탕 육수를 제조할 때 사용한 유황삼계와 다른 유황삼계를 전처리하는 단계; 상기 전처리된 다른 유황삼계를 증숙하는 단계; 및 상기 제조된 삼계탕 육수와 상기 증숙된 유황삼계를 캔형 포장용기에 포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유황 삼계탕 및 그 제조방법{Sulfur containing Samgyetang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황을 포함하는 유황 삼계탕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삼계탕 육수에 황의 이온화합물을 포함하고 있는 유황 삼계탕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황 (또는 유황)은 인체 내의 생체 필수 원소 중 하나이다. 유황은 인체 조직에서 뼈, 피부, 머리카락 등의 구성원소 중 하나이다.
이러한 황은 생체 필수 원소임에도 불구하고, 황이 가지고 있는 독성 때문에 음식물을 통해 손쉽게 섭취하기에 어려움이 있다.
이에 예부터, 한의학에서는, 사람이 황을 음식물을 통해 섭취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여러가지 시도를 하여왔다.
그러나, 황 자체의 독성이 워낙 강해 복잡하고 특별한 방법을 거쳐야만 음식물로 섭취를 할 수 있기 때문에, 사람들이 흔히 섭취할 수 있는 음식물을 손쉽게 저렴한 비용으로 제조할 수 있는 방법은 아직 많지 않은 실정이다.
본 발명의 일 과제는,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황을 포함하고 있는 삼계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과제는,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황을 포함하고 있는 즉석 삼계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과제는,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황을 포함하고 있는 즉석 삼계탕을 손쉽게 제조할 수 있는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의하면, 유황 삼계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의하여 개시되는 유황 삼계탕은, 황산염 이온(SO4 2-)을 포함하는 삼계탕 육수; 및 황산나트륨(Na2SO4), 황산칼슘(CaSO4), 황산마그네슘(MgSO4) 및 황산칼륨(K2SO4)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황산염 및/또는 그의 황산염 이온을 포함하는 유황삼계;를 포함한다.
상기 삼계탕 육수에 포함된 상기 황산염 이온의 농도는 50 mg/L 내지는 100 mg/L 사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의하면, 즉석 유황 삼계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의하여 개시되는 즉석 유황 삼계탕은, 황산염 이온(SO4 2-)을 포함하는 삼계탕 육수; 황산나트륨(Na2SO4), 황산칼슘(CaSO4), 황산마그네슘(MgSO4) 및 황산칼륨(K2SO4)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황산염 및/또는 그의 황산염 이온을 포함하는 유황삼계; 및 상기 삼계탕 육수 및 상기 유황삼계를 담고 있는 밀봉된 캔형 포장 용기;를 포함한다.
상기 삼계탕 육수에 포함된 상기 황산염 이온의 농도는 50 mg/L 내지는 100 mg/L 사이일 수 있다.
상기 즉석 유황 삼계탕은 추가적인 방부제가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캔형 포장 용기를 개봉하지 않는 경우, 상기 삼계탕 육수 및 상기 유황삼계가 6개월 이상 12개월 이하의 기간 동안 부패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유황삼계는 상기 삼계탕 육수의 제조에 사용된 유황삼계와 다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의하면, 즉석 유황 삼계탕의 제조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의하여 개시되는 즉석 유황 삼계탕의 제조방법은, 유황삼계를 전처리하는 제1 단계; 상기 전처리한 유황삼계를 물에 넣고 삼계탕 육수를 제조하는 제2 단계; 상기 삼계탕 육수를 제조할 때 사용한 유황삼계와 다른 유황삼계를 전처리하는 제3 단계; 상기 전처리된 다른 유황삼계를 증숙하는 제4 단계; 및 상기 제조된 삼계탕 육수와 상기 증숙된 유황삼계를 캔형 포장용기에 포장하는 제5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단계에서 전처리되는 유황삼계는, (a) 증류수 - 이때, 상기 증류수는 물을 가열했을 때 발생하는 수증기를 냉각시켜 정제된 물을 지칭함. 물을 가열하면 불순물은 그대로 남아있고 순수한 물만 수증기가 되기 때문에, 이를 모아 불순물이 섞이지 않은 물을 만들 수 있음. 그러나 한 번의 증류로 불순물을 100% 제거하기 어렵기 때문에 순도가 높은 물이 필요할 시 증류과정을 반복하여 사용함 - 100 중량부에 대하여, 알칼리수 - 이때, 상기 알칼리수는 양이온의 수소분자를 통해 알칼리성을 나타내는 물을 지칭함. 알칼리수 섭취시, 만성설사, 소화불량, 위산과다 등의 개선효과가 있음. 또한, 알칼리수는 물의 입자가 작아서 신체 내 흡수가 빠르기 때문에 노폐물 제거에 효과적임 - 10-40 중량부, 미나리 추출물 10-40 중량부 - 이때, 상기 미나리 추출물은 60℃ 내지 80℃의 온도에서 미나리를 처리하여 열수 추출한 결과물을, 진공농축하여 수득함 - , 염화나트륨(NaCl) 150-250 중량부 및 설탕(C12H22O11) 150-250 중량부를 첨가한 다음, 교반하면서 가열하는 단계; (b) 상기 혼합물에 생유황 50-80 중량부를 첨가시켜 숙성시키는 단계; 및 (c) 상기 (b) 단계에서 생성된 침전물을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제조된 황화합물을 일반사료와 1:1,000 내지는 1:250의 중량 비율로 혼합하여 제조된 유황사료를 이용하여 사육한 삼계일 수 있다.
상기 유황삼계는, 상기 유황사료를 생후 15일부터 생후 2주 내지는 생후 5주까지 먹이면서 사육된 삼계일 수 있다.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전처리된 유황삼계를 포함하는 물을 100℃ 내지 150℃ 사이의 온도에서 약 30분 내지 약 90분 사이의 시간 동안 가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4 단계는, 물을 가열하는 단계, 및 상기 가열된 물에서 발생되는 증기를 이용하여 상기 전처리된 다른 유황삼계를 증숙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으며,상기 증숙하는 단계는, 약 1기압 내지 2기압 사이의 압력, 100℃ 내지 150℃ 사이의 온도 하에서, 약 30분 내지 90분 사이의 시간 동안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제5 단계는, 추가적인 방부제를 상기 캔형 포장 용기에 첨가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제2 단계에서 제조된 상기 삼계탕 육수는, 50 mg/L 내지는 100 mg/L 사이의 농도를 가지는 황산염 이온(SO4 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캔형 포장 용기에 포장된 상기 삼계탕 육수의 황산염 이온의 농도는 상기 캔형 포장 용기에 포장된 즉석 유황 삼계탕의 조리 후의 상기 삼계탕 육수의 황산염 이온의 농도 보다 더 낮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발생한다.
첫째, 본 발명에 의해 개시되는 유황 삼계탕의 제조방법에 의하여, 황산염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는 육수를 가지는 유황삼계탕을 제조할 수 있게 된다.
둘째, 본 발명에 의해 개시되는 유황 삼계탕의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유황 삼계탕을 섭취한 사람이 필수 원소 중 하나인 황 (유황)을 종래 보다 더 용이하게 섭취할 수 있게 된다.
셋째, 본 발명에 의해 개시되는 유황 삼계탕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유황 삼계탕을 포장하여 유통시킬 경우, 그에 포함되어 있는 황산염의 항균효과에 의하여 추가적인 다른 방부제를 첨가할 필요가 없는 효과가 발생한다.
넷째, 본 발명에 의해 개시되는 유황 삼계탕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체내 합성이 불가능한 불포화지방산이 많이 함유되어 있는 유황 삼계탕을 제조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의해 개시되는 유황 삼계탕의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유황 삼계탕을 섭취하는 것은 혈중 콜레스테롤 개선 효과를 유도할 수 있다.
다섯째, 본 발명에 의해 개시되는 유황 삼계탕의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유황 삼계탕은 감마-리놀린산이 풍부하게 함유할 수 있다. 감마-리놀린산은 체 내의 호르몬 유사물질의 전구체로 호르몬을 필요로 하는 부분에 즉각적인 반응을 한다.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유황 삼계탕의 섭취는 호르몬 유사물질의 전구체인 감마-리놀린산이 닭고기에 보통 삼계탕보다 더 함유되어 있어, 삼계탕 그 이상의 보양효과를 갖는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의해 개시되는 삼계탕용 육수에 포함되어 있는 황산염 이온의 농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한국화학연구원에 실험한 내용 및 결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해 개시되는 즉석 유황 삼계탕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황(sulfur)"은 주기율표 16족에 3주기에 속하는 칼코겐(chalcogen) 원소로, 원소기호 S로 지칭되는 원소를 의미한다. 상기 황은 상온에서는 황색 비금속 고체이며 푸른색 불꽃을 내면서 타고 매우 강하고 지독한 냄새가 나는 이산화황(SO2)를 방출하며, 독성이 없다. 용어 "황"또는 "유황"은 상호교환 가능하게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화합물"은 2개 이상의 다른 원소들이 일정 비율로 구성된 순물질을 지칭한다. 상기 화합물은 유기화합물, 무기화합물, 이온화합물, 분자화합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황화합물"은 음 2가, 양 2가, 양 6가 등의 상태인 황이 다른 원소들과 일정 비율로 구성된 물질을 지칭한다. 나트륨, 칼슘, 마그네슘, 칼륨 등의 원소 중 하나 혹은 이상의 결과물도 황화합물로 칭할 수 있다.용어 "황화합물" 또는 "유항화합물"은 상호교환 가능하게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닭"은 닭목 꿩과에 속하는 중형 조류를 지칭하는 말이다. 용어 "닭"은 "계"와 상호교환 가능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삼계'는 "닭" 중 특히 생후 2주 내지는 5주가 지난 닭으로 특히 삼계탕용으로 사육된 닭을 특별히 지칭하는 용어로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삼계"는 "삼계탕용 닭"과 상호교환 가능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유황닭"은, 일반적인 닭에 비하여, 보다 더 높은 황함량을 가지도록 특별한 방식에 의해 사육된 닭을 의미한다. 또한, 용어 "유황삼계"는 유황닭 중 특히 생후 2주 내지는 5주가 지난 유황닭을 의미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해 개시되는 유황 삼계탕 및 그 제조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의하면, 유황 삼계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의한 유황 삼계탕은 제1 황화합물을 포함하는 삼계탕 육수; 및 제2 황화합물을 포함하는 유황삼계;를 포함한다.
상기 삼계탕 육수에 포함되어 있는 상기 제1 황화합물은 황산염(sulfate)일 수 있다.
상기 제1 황화합물은 상기 삼계탕 육수 내에서 이온화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황화합물은 상기 삼계탕 육수 내에서, 황산염 이온(SO4 2-, sulfate ion)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상기 삼계탕 육수는 50 mg/L 내지는 100 mg/L 농도의 황산염 이온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유황삼계에 포함되어 있는 상기 제2 황화합물은 황산염(sulfate)일 수 있다. 상기 제2 황화합물은 상기 유황삼계의 뼈 및/또는 고기에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제1 황화합물 및/또는 제2 황화합물은 황산나트륨 (Na2SO4), 황산칼슘 (CaSO4), 황산마그네슘 (MgSO4), 황산칼륨 (K2SO4)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의하면, 즉석 유황 삼계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의한 즉석 유황 삼계탕은 제1 황화합물을 포함하는 삼계탕 육수; 제2 황화합물을 포함하는 유황삼계; 및 상기 삼계탕 육수 및 상기 유황삼계를 담고 있는 밀봉된 캔형 포장 용기;를 포함한다.
상기 삼계탕 육수에 포함되어 있는 상기 제1 황화합물은 황산염(sulfate)일 수 있다.
상기 제1 황화합물은 상기 삼계탕 육수 내에서 이온화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황화합물은 상기 삼계탕 육수 내에서, 황산염 이온(SO4 2-, sulfate ion)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상기 삼계탕 육수는 50 mg/L 내지는 100 mg/L의 황산염 이온 농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유황삼계에 포함되어 있는 상기 제2 황화합물은 황산염(sulfate)일 수 있다. 상기 제2 황화합물은 상기 유황삼계의 뼈 및/또는 고기에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제1 황화합물 및/또는 제2 황화합물은 황산나트륨 (Na2SO4), 황산칼슘 (CaSO4), 황산마그네슘 (MgSO4), 황산칼륨 (K2SO4)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상기 캔형 포장 용기에 밀봉되어 있던 상기 삼계탕 육수 및 상기 유황삼계를 섭취하기 위하여 상기 삼계탕 육수 및 상기 유황삼계를 함께 조리하는 경우, 상기 삼계탕 육수에 포함되어 있는 상기 황산염의 농도(이하, 제2 황산염 농도)가 상기 캔형 포장 용기에 밀봉포장되어 있을 때 상기 삼계탕 육수의 상기 황산염의 농도(이하, 제1 황산염 농도) 보다 더 높아질 수 있다.
상기 제1 황산염 농도 및 상기 제2 황산염 농도의 차이는 상기 유황삼계에 포함되어 있는 상기 제2 황화합물에 의해 기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유황삼계에 포함되어 있던 상기 제2 황화합물이, 조리과정에서, 상기 삼계탕 육수로 추출될 수 있으며, 상기 추출된 제2 황화합물이 상기 삼계탕 육수 내에서 이온화되어 상기 황산염의 농도가 높이지게 될 수 있다.
상기 즉석 유황 삼계탕은 추가적인 방부제를 포함하지 않는다. 상기 추가적인 방부제는, 천연 추출물일 수도 있으며, 인위적인 화합물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의하면, 즉석 유황 삼계탕의 제조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의하여 개시되는 즉석 유황 삼계탕의 제조방법은, 유황삼계를 전처리하는 제1 단계; 상기 전처리한 유황삼계를 물에 넣고 삼계탕 육수를 제조하는 제2 단계; 상기 삼계탕 육수를 제조할 때 사용한 유황삼계와 다른 유황삼계를 전처리하는 제3 단계; 상기 전처리된 다른 유황삼계를 증숙하는 제4 단계; 및 상기 제조된 삼계탕 육수와 상기 증숙된 유황삼계를 캔형 포장용기에 포장하는 제5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단계에서 전처리되는 유황삼계는, (a) 증류수 100 중량부에 대하여, 알칼리수 10-40 중량부, 미나리 추출물 10-40 중량부 - 이때, 상기 미나리 추출물은 60℃ 내지 80℃의 온도에서 미나리를 처리하여 열수 추출한 결과물을, 진공농축하여 수득함 - , 염화나트륨(NaCl) 150-250 중량부 및 설탕(C12H22O11) 150-250 중량부를 첨가한 다음, 교반하면서 가열하는 단계; (b) 상기 혼합물에 생유황 50-80 중량부를 첨가시켜 숙성시키는 단계; 및 (c) 상기 (b) 단계에서 생성된 침전물을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제조된 황화합물을 일반사료와 1:1,000 내지는 1:250의 중량 비율로 혼합하여 제조된 유황사료를 이용하여 사육한 삼계일 수 있다.
상기 유황삼계는, 상기 유황사료를 생후 15일부터 생후 2주 내지는 생후 5주까지 먹이면서 사육된 삼계일 수 있다.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전처리된 유황삼계를 포함하는 물을 100℃ 내지 150℃ 사이의 온도에서 약 30분 내지 약 90분 사이의 시간 동안 가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4 단계는, 물을 가열하는 단계, 및 상기 가열된 물에서 발생되는 증기를 이용하여 상기 전처리된 다른 유황삼계를 증숙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증숙하는 단계는, 약 1기압 내지 2기압 사이의 압력, 100℃ 내지 150℃ 사이의 온도 하에서, 약 30분 내지 90분 사이의 시간 동안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제5 단계는, 추가적인 방부제를 상기 캔형 포장 용기에 첨가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제2 단계에서 제조된 상기 삼계탕 육수는, 50 mg/L 내지는 100 mg/L 사이의 농도를 가지는 황산염 이온(SO4 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캔형 포장 용기에 포장된 상기 삼계탕 육수의 황산염 이온의 농도는 상기 캔형 포장 용기에 포장된 즉석 유황 삼계탕의 조리 후의 상기 삼계탕 육수의 황산염 이온의 농도 보다 더 낮을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해 개시되는 유황 삼계탕 및 이의 제조방법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해 개시되는 유황 삼계탕은, 황화합물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는 삼계탕 육수를 가진다.
본 발명에 의해 개시되는 유황 삼계탕이 황화합물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는 삼계탕 육수를 가질 수 있는 이유는, 특별한 방식으로 사육된 유황삼계를 사용하기 때문이다.
이하에서는, 상기 유황삼계에 대해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발명자는 이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1068973호에 유해하지 않은 황화합물을 제조하는 방법에 대해 개시한 바 있다.
상기 특허에 의하면, (a) 증류수 100 중량부에 대하여, 알칼리수 10-40 중량부, 미나리 추출물 10-40 중량부 - 이때, 상기 미나리 추출물은 60℃ 내지 80℃의 온도에서 미나리를 처리하여 열수 추출한 결과물을, 진공농축하여 수득함 - , 염화나트륨(NaCl) 150-250 중량부 및 설탕(C12H22O11) 150-250 중량부를 첨가한 다음, 교반하면서 가열하는 단계; (b) 상기 혼합물에 생유황 50-80 중량부를 첨가시켜 숙성시키는 단계; 및 (c) 상기 (b) 단계에서 생성된 침전물을 분리하는 단계;에 의하여, 황화합물을 닭, 오리 등의 가축을 포함하는 동물이 섭취할 수 있는 형태로 상기 생유황을 화학적으로 변경된 황화합물을 제조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상기 황화합물은, 닭, 오리 등의 가축 및/또는 인간이 섭취하여도, 적어도 생리학적으로 영향을 미치지 않을 정도로 유해하지 않은 것일 수 있다.
또는 상기 황화합물을 닭, 오리 등의 가축 및/또는 인간이 섭취하면 상기 황화합물에 의해 유발될 수 있는 독성이 생리학적으로 영향을 미치지 않을 정도의 농도로 적절한 용매에 희석하여 섭취하는 경우, 상기 황화합물의 독성에 의해 상기 닭, 오리 등이 폐사하거나 혹은 인간이 상기 독성에 의해 피해를 입을 수 있는 가능성이 줄어든 것일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자에 의해 개시된 상기 등록특허의 실험예 2에는, 전술한 방법에 의해 제조된 황화합물을 닭에게 급여하여 생존율을 확인한 실험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실험예 2의 결과는 [표1]과 같다.

구 분

생존 닭의 수(마리)

비교예 1(등록특허 제10-0819491호)

82

실시예 1

100
비교예 1에 사용된 사료는, (a) 생유황 5-15 중량부에 지장수 - 이때, 상기 지장수는 양지 바른 들판이나 깊은 산등성이의 황토 땅 속으로 구덩이를 판 곳에 물을 부은 다음 휘저어 굵은 입자들을 가라앉힌 후 위에 뜬 맑은 물을 지장수라고 지칭함 - 35-45 중량부 및 무즙 35-45 중량부를 첨가한 다음, 85℃ 내지 95℃의 온도에서 가열하는 단계; (b) 수용성 Na 및 수용성 Ca를 1:3의 비율로 첨가한 다음, 85℃ 내지 95℃의 온도에서 혼합 및 숙성하는 단계; (c) 상기 숙성된 혼합물을 정체시킨 다음, 85℃ 내지 95℃의 온도에서 혼합 및 숙성하는 단계; 및 (d) 상기 (c) 단계에서 생성된 침전물을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으로 제조된 황화합물을 일반 사료와 혼합한 사료이다. 이때, 상기 황화합물과 상기 일반 사료의 혼합비율은 중량비율로 1:1,000 내지는 1:250 정도였다.
실시예 1에 사용된 사료는, 전술한 특허 제10-1068973호에 개시된 방법으로 제조된 황화합물을 일반사료와 함께 혼합한 사료이다. 이때 실시예 1에 사용된 사료는 상기 황화합물과 상기 일반사료를 중량비율로 1:1,000 내지는 1:250 정도였다.
비교예 1과 실시예 1의 효능을 실험하기 위하여, 각각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사료를 생후 약 15일이 지난 닭 100마리에게 약 약 30일간 피딩하면서 사육하였고, 30일 이후에 생존해 있는 닭의 마리수를 측정하였다.
[표1]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황화합물을 일반사료와 혼합하여 닭에게 피딩하게 되는 경우, 비교예 1과 같이 제조된 황화합물을 사용하면 20% 정도의 닭이 폐사하게 된다.
닭은 일반적으로 황에서부터 기인되는 독성에 취약한 동물이다. 따라서, 세심하게 제조되지 않은 유황 사료를 닭에게 피딩하여 닭을 사육하게 되는 경우, 닭은 폐사하기 쉽다. 즉, 일반적으로 닭을 유황성분을 포함하고 있는 사료를 이용하여 사육하는 방법은 용이하지 않다. 일반적으로 유황을 포함하는 사료로 사육을 하여 사람이 손쉽게 섭취할 수 있는 음식물로 가공하기 위한 가축으로 오리가 사용되는 것이 바로 이러한 이유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발명의 발명자에 의해 개시된 방법에 의해 제조된 황화합물을 일반사료와 혼합하여 닭에게 먹이로 주면서 사육을 한 경우에는, 100마리의 닭들 중 한마리도 폐사하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발명자에 의해 개시된 등록 특허 제10-1068973호에 개시된 방법이 우수한 이유는 또 있다.
일반적으로 성체가 되기 전의 개체는 성체가 된 개체 보다 독성에 대한 생체 저항력이 낮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성체가 된 후 유황사료를 닭에게 먹이는 경우 생존율이 보다 더 높아질 수 있을 것이나, 성체가 된 후 유황사료를 먹여서 유황닭으로 사육하려면, 보다 더 많은 비용이 유황닭을 사육하는 데 소요된다.
이러한 이유로 인해, 유황 오리를 사육함에 있어서도, 어린 오리에게 유황사료를 섭취시키는 방법 대신, 생후 3개월 이상이 지난 오리에게 특별히 제조된 유황사료를 섭취시키는 방법이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생후 3개월이 지난 오리를 유황오리로 사육하는 데에 소요되는 시간도 약 3개월이 더 소요되게 된다.
한편, 삼계탕용 닭은 일반적으로 생 후 2주 내지는 5주가 지난 닭(영계)이므로, 2주 내지는 5주령의 유황삼계를 사육하는 것은 성체인 유황닭으로 사육하는 것보다 훨씬 어려움이 많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발명의 발명자에 의해 개시된 방법에 의해 제조된 황화합물을 일반사료와 혼합하여 닭에게 먹이로 주면서 사육을 한 경우에는, 생후 15일밖에 되지 않은 영계에게 약 30일간 먹이로 주어도 100마리 중 한마리도 폐사하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등록 특허 제10-1068973호에 의해 개시된 사료는 유황삼계로 닭을 사육하는 데에 적합한 것임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전술한 등록 특허 제10-1068973호에는 본 발명의 발명자에 의해 개시된 방법에 의해 제조된 황화합물을 일반사료와 혼합하여 먹이로 주면서 사육한 유황삼계에 유의미한 정도의 황화합물이 포함되어 있는지 등에 대해서는 아무런 언급도 없었다.
이에, 본 발명의 발명자는 전술한 등록 특허 제10-1068973호에 의해 제조된 유황사료(이하, 본 발명에 의한 유황사료 내지는 유황사료라 함)를 이용하여 사육한 유황삼계를 충분한 시간 동안 물에 넣고 끓이면 유황삼계에 포함되어 있는 황화합물이 물로 추출되어 황산염 이온의 형태로 존재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의해 개시되는 삼계탕용 육수에 포함되어 있는 황산염 이온의 농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한국화학연구원에 실험한 내용 및 결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상기 실험을 진행하기 위하여, 삼계탕 육수는, 전술한 유황 사료를 먹여 2주 내지 5주 간 사육한 유황닭을 전처리하고, 상기 전처리된 유황닭을 0.5L 내지 1.5L의 물에 담그어 약 100℃ 내지 130℃ 사이의 온도에서 약 45분 내지 75분의 시간 동안 가열하여 얻어냈다.
본 실험결과는 본 발명에 의해 개시되는 삼계탕용 육수에 포함되어 있는 황산염 이온의 농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이온 크로마토그래피 방법을 사용하여 상기 황산염 이온의 농도를 확인하였으며, 특히, Metrohm Ion Chromatograph(IC)를 이용하여 다음의 조건 하에서 분석되었다.
· Column : Metrosep A Supp 5 (4.0 mm ×250 mm, 5㎛)
· Column oven temperature : 35℃
· Eluent : 3.2 mM Na2CO3 + 1 mM NaHCO3
· Flow rate : 0.7 mL/min
· Detector : Conductivity
도 1은 전술한 이온 크로마토그래피 방법에 사용된 표준 용액(SO4 2-)의 음이
온 크로마토그램(Anion Chromatogram)을 나타내며, 도 2는 전술한 이온 크로마토그래피 방법에 의해 분석된 본 발명에 의해 개시되는 삼계탕용 육수(도 2 에서는 '닭육수'로 지칭됨)의 음이온 크로마토그램(Anion Chromatogram)을 나타낸다.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해 개시되는 삼계탕용 육수에는 약 61 mg/L의 황산염 이온(Sulfate ion)이 포함되어 포함되어 있는 것이 확인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의해 개시되는 유황 삼계탕은, 제1 황화합물을 포함하는 삼계탕 육수; 및 제2 황화합물을 포함하는 유황삼계;를 포함한다.
상기 삼계탕 육수에 포함되어 있는 상기 제1 황화합물은 황산염(sulfate)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황화합물은 상기 삼계탕 육수 내에서 이온화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황화합물은 상기 삼계탕 육수 내에서, 황산염 이온(SO4 2-)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상기 삼계탕 육수는 50 mg/L 내지는 100 mg/L의 황산염 이온 농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삼계탕 육수는, 이에 한정되지는 않지만, 전술한 유황 사료를 이용하여 사육한 유황삼계를 물에 넣고 제조한 것일 수 있다.
상기 유황삼계에 포함되어 있는 상기 제2 황화합물은 황산염(sulfate)일 수 있다. 상기 제2 황화합물은 상기 유황삼계의 뼈 및/또는 고기에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유황삼계는, 이에 한정되지는 않지만, 전술한 유황 사료를 이용하여 사육한 삼계일 수 있다.
상기 제1 황화합물 및/또는 제2 황화합물은 황산나트륨 (Na2SO4), 황산칼슘 (CaSO4), 황산마그네슘 (MgSO4), 황산칼륨 (K2SO4)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황산염은 위장, 소장에서 나트륨 이온 전달 체계를 통해 체 내로 흡수될 수 있으며, 다른 형태의 황화합물보다 체내 흡수율이 더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양태에 의해 개시되는 유황 삼계탕은 황산염이 이온화된 형태로 녹아 있는 삼계탕 육수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본 발명에 의해 개시되는 유황 삼계탕을 사람이 섭취하면, 체내에 꼭 필요한 물질인 황을 보다 더 용이하게 흡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황산염은 여러 경로를 통해 변환되여 다양한 생합성 및 약리학적 기능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황산염은 체 내에서 아황산염 (SO32-), 황화물 (S2-), 황화수소(H2S), 티오황산염 (S2O32-) 등의 화합물로 변환된다. 이렇게 변환된 황 화합물들은 인체 내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체내 대사에 관여한다. 예를 들어, 황산염은 체내에서 혈액의 pH 조절에 관여할 수 있으며, 다른 예를 들어, 황산염은 소화효소의 생성에 관여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양태에 의해 개시되는 유황 삼계탕은 황산염이 이온화된 형태로 녹아 있는 삼계탕 육수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본 발명에 의해 개시되는 유황 삼계탕을 사람이 섭취하면, 인체의 대사 작용을 보다 더 개선시키거나 또는 강화시켜 중요한 인체의 대사 작용이 활발해지는 등의 효과가 야기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해 개시되는 유황 삼계탕은, 체내의 대사 작용에 반드시 필요한 황(sulfur)을 보다 손쉽게 사람이 섭취할 수 있도록 도와줌으로써, 사람이 이를 섭취하면 체내의 대사 작용 개선, 항상성 유지 개선 등의 효과가 야기되어 피로와 스트레스에 지친 소비자들에게 좋은 보양식이 될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의하면, 즉석 유황 삼계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의한 즉석 유황 삼계탕은 제1 황화합물을 포함하는 삼계탕 육수; 제2 황화합물을 포함하는 유황삼계; 및 상기 삼계탕 육수 및 상기 유황삼계를 담고 있는 밀봉된 캔형 포장 용기;를 포함한다.
상기 삼계탕 육수에 포함되어 있는 상기 제1 황화합물은 황산염(sulfate)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황화합물은 상기 삼계탕 육수 내에서 이온화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황화합물은 상기 삼계탕 육수 내에서, 황산염 이온(SO4 2-)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상기 삼계탕 육수는 50 mg/L 내지는 100 mg/L의 황산염 이온 농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삼계탕 육수는, 이에 한정되지는 않지만, 전술한 유황 사료를 이용하여 사육한 유황삼계를 물에 넣고 제조한 것일 수 있다.
상기 유황삼계에 포함되어 있는 상기 제2 황화합물은 황산염(sulfate)일 수 있다. 상기 제2 황화합물은 상기 유황삼계의 뼈 및/또는 고기에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유황삼계는, 이에 한정되지는 않지만, 전술한 유황 사료를 이용하여 사육한 삼계일 수 있다.
상기 제1 황화합물 및/또는 제2 황화합물은 황산나트륨 (Na2SO4), 황산칼슘 (CaSO4), 황산마그네슘 (MgSO4), 황산칼륨 (K2SO4)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상기 캔형 포장 용기에 포장되는 상기 삼계탕 육수 및 상기 유황삼계의 중량 비율은, 삼계탕 육수 35-35 중량부, 유황삼계 55-65중량부 사이의 비율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의해 개시되는 즉석 유황 삼계탕에 포함된 상기 삼계탕 육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지만, 본 발명의 일 양태에 의해 개시되는 유황 삼계탕에 포함된 삼계탕 육수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의해 개시되는 즉석 유황 삼계탕에 포함된 상기 유황삼계는, 이에 한정되지 않지만, 본 발명의 일 양태에 의해 개시되는 유황삼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의해 개시되는 즉석 유황 삼계탕은, 유황화합물이 풍부하게 삼계탕 육수에 녹아 있기 때문에, 별도의 방부제가 첨가되지 않아도 오랜 유통기간 동안 부패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의해 개시되는 즉석 유황 삼계탕은, 상기 캔형 포장 용기에 포함되어 있는 내용물(즉, 삼계탕 육수 및 유황 삼계)을 조리용 용기에 넣고 간편하게 삼계탕을 조리하여 먹을 수 있는 용도로 제공된다.
이 때, 상기 캔형 포장 용기에 밀봉되어 있던 상기 삼계탕 육수 및 상기 유황삼계를 섭취하기 위하여 상기 삼계탕 육수 및 상기 유황삼계를 함께 조리하는 경우, 상기 삼계탕 육수에 포함되어 있는 상기 황산염의 농도(이하, 제2 황산염 농도)가 상기 캔형 포장 용기에 밀봉포장되어 있을 때 상기 삼계탕 육수의 상기 황산염의 농도(이하, 제1 황산염 농도) 보다 더 높아질 수 있다.
상기 제1 황산염 농도 및 상기 제2 황산염 농도의 차이는 상기 유황삼계에 포함되어 있는 상기 제2 황화합물에 의해 기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유황삼계에 포함되어 있던 상기 제2 황화합물이, 조리과정에서, 상기 삼계탕 육수로 추출될 수 있으며, 상기 추출된 제2 황화합물이 상기 삼계탕 육수 내에서 이온화되어 상기 황산염의 농도가 높이지게 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삼계탕 육수를 제조할 때 사용되는 유황삼계(이하, 육수용 유황삼계)와 상기 즉석 삼계탕에 포함되어 있는 유황삼계(이하, 삼계탕용 유황삼계)가 서로 다른 경우, 상기 제1 황산염의 농도 및 상기 제2 황산염의 농도는 보다 더 커질 수 있다.
상기 삼계탕용 유황삼계가 상기 삼계탕 육수를 제조하는 데에 사용된 적이 없는 경우, 상기 삼계탕용 유황삼계에 포함되어 있는 황화합물의 농도가 상기 육수용 유황삼계에 포함되어 있는 황화합물의 농도보다 더 높기 때문에, 상기 육수용 유황삼계와 상기 삼계탕용 유황삼계가 서로 다른 경우, 상기 농도 차가 보다 더 커지게 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의하면, 즉석 유황 삼계탕의 제조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의한 즉석 유황 삼계탕의 제조방법은, 유황삼계를 전처리하는 단계(S100); 상기 전처리한 유황삼계를 물에 넣고 삼계탕 육수를 제조하는 단계(S200); 상기 삼계탕 육수를 제조할 때 사용한 유황삼계와 다른 유황삼계를 전처리하는 단계(S300); 상기 전처리된 다른 유황삼계를 증숙하는 단계(S400); 및 상기 제조된 삼계탕 육수와 상기 증숙된 유황삼계를 캔형 포장용기에 포장하는 단계(S500);를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의한 즉석 유황 삼계탕의 제조방법의 각 단계에 대해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상기 유황삼계를 전처리하는 단계(S100)는, 상기 유황삼계의 내장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단계 S100에 의해 전처리되는 유황삼계는, 이하의 설명을 보면 보다 명확해지겠지만, 삼계탕 육수를 내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는 것일 뿐 삼계탕에 포함되는 삼계로 사용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상기 유황삼계를 전처리하는 단계(S100)는, 일반적으로 삼계탕을 만들기 위하여 삼계를 전처리하는 과정들 중 삼계의 내장이 제거된 공간에, 여러가지 부재료들(예를 들어, 찹쌀 등과 같은 곡물 등)을 삽입하는 단계 등을 포함하지는 않는다.
다만, 삼계탕 육수에 해당 식재료의 유효성분이 우러나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식재료는 상기 단계 S100에서 상기 유황삼계의 복강에 삽입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단계 S100에서 전처리되는 상기 유황삼계는,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발명자에 의해 개시된 특허 제10-1068973호에 의해 개시된 유황사료를 이용하여 사육된 유황삼계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상기 전처리된 유황삼계를 물에 넣고 삼계탕 육수를 제조하는 단계(S200)는, 상기 전처리된 유황삼계를 포함하고 있는 물을 가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가열하는 단계는, 100℃ 내지 150℃ 사이의 온도에서 약 30분 내지 약 90분 사이의 시간 동안 수행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열하는 단계(S200)는, 100℃ 내지 130℃ 사이의 온도에서 약 45분 내지 약 75분 사이의 시간 동안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전처리된 유황삼계를 물에 넣고 삼계탕 육수를 제조하는 단계(S200)는, 제1 부재료를 상기 유황삼계에 삽입하거나 혹은 상기 물에 담그는 단계, 및 상기 제1 부재료 및 상기 물을 가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부재료는 수삼, 황기, 생강 및 대추 중 어느 하나 또는 그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부재료는 수삼 100 중량부에 대하여 황기 1-10 중량부, 생강 80-120 중량부, 대추 1-10 중량부의 비율로 준비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부재료로 사용되는 식재료의 종류 및 비율은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제1 부재료는 상기 전처리된 유황삼계의 내장이 제거된 복강에 삽입될 수도 있으며, 또는 상기 유황삼계와는 독립적으로 상기 물에 바로 투입될 수 있다.
상기 제1 부재료가 복수인 경우, 상기 제1 부재료의 일부는 상기 유황삼계에 삽입되고 상기 제1 부재료의 나머지는 상기 물에 바로 투입될 수도 있다.
단계 S300에서 전처리되는 유황삼계는 단계 S100에서 처리된 유황삼계 또는 단계 S200에서 삼계탕 육수를 제조할 때 사용되었던 유황삼계와 다른 유황삼계이다.
후술하는 바에 의해 명확하여지겠지만, 단계 S300에서 전처리된 유황삼계는 즉석 유황 삼계탕의 육고기로써 최종 소비자에게 제공된다.
그런데, 만약 단계 S300에서 전처리되는 유황삼계가 단계 S100 및/또는 단계 S200을 거쳐서 삼계탕 육수를 제조할 때 사용되었던 유황삼계를 그대로 사용하게 되는 경우, 삼계의 고기가 흐물해져서 최종 소비자가 느끼게 되는 삼계 고기의 식감이 저하될 수 있는데, 본 발명에 의해 개시되는 즉석 삼계탕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삼계탕 육수를 제조할 때 사용되는 유황삼계와 삼계탕의 육고기로 사용되는 유황삼계를 서로 달리 함으로써, 삼계탕 육수에 포함되어 있는 황화합물을 농도를 의미있게 유지함과 동시에, 삼계탕의 육고기의 식감을 최상으로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한다.
상기 삼계탕 육수를 제조할 때 사용한 유황삼계와 다른 유황삼계를 전처리하는 단계(S300)는 상기 다른 유황삼계에 제2 부재료를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부재료는 곡물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곡물재료는 찹쌀, 맵쌀, 조, 수수, 녹두, 흑미 및 현미 등 중 하나 또는 그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곡물재료가 상기 제2 부재료로 사용되는 경우, 상기 곡물재료는 상기 곡물재료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찹쌀 70-80 중량%, 녹두 10-15 중량% 및 흑미 10-15 중량%의 비율로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부재료는 견과류 식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견과류 식재료는 호두, 은행 및 밤 중 어느 하나 또는 그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견과류 식재료가 상기 제2 부재료로 사용되는 경우, 상기 견과류는 견과류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호두 40-55 중량%, 은행 20-25% 및 밤 25-35 중량%의 비율로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부재료는 상기 곡물재료 및 상기 견과류 식재료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부재료에 상기 곡물재료 및 상기 견과류 식재료가 모두 포함되는 경우, 상기 제2 부재료는 곡물재료 100 중량부에 대하여 견과류 식재료 30-70 중량부의 비율로 혼합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2 부재료는 곡물재료 100 중량부에 대하여 견과류 식재료 40-60 중량부의 비율로 혼합될 수 있다.
상기 전처리된 다른 유황삼계를 증숙하는 단계(S400)는 물을 가열하는 단계, 및 상기 가열된 물에서 발생되는 증기를 이용하여 상기 전처리된 다른 유황삼계를 증숙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증숙하는 단계는 약 1기압 내지 2기압 사이의 압력, 100℃ 내지 150℃ 사이의 온도 하에서, 약 30분 내지 90분 사이의 시간 동안 수행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증숙하는 단계는 약 2기압의 압력, 100℃ 내지 130℃ 사이의 온도 하에서, 약 45분 내지 75분 사이의 시간 동안 수행될 수 있다.
일반적인 삼계탕 조리법에 의하면, 삼계를 물에 넣고 푹 삶아내는 조리법이 사용되는 데, 본 발명에 의해 개시되는 삼계탕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삼계탕의 육고기로 사용되는 유황삼계는 증숙방법에 의하여 조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증숙방법에 의하여 삼계를 조리하는 것에 의하여, (a) 닭고기에 포함되어 있는 지방이 제거되는 효과, (b) 닭고기 특유의 느끼한 맛이 제거되는 효과, (c) 개별의 닭고기가 서로 엉켜붙지 않게 되는 효과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즉석 유황 삼계탕을 제조함에 있어서, 삼계탕의 육고기로써 제공되는 삼계를 증숙하는 방법으로 조리하는 것에 의하여, 오랫동안 유통되어도 유황삼계의 원형을 오랫동안 유지할 수 있게 되는 효과도 발생하게 된다.
상기 제조된 삼계탕 육수와 상기 증숙된 유황삼계를 캔형 포장용기에 포장하는 단계(S500)는, 상기 제조된 삼계탕 육수를 냉각하는 단계, 및 상기 증숙된 유황삼계를 냉각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조된 삼계탕 육수를 냉각하는 단계는, 자연냉각, 급속냉각 등의 방식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삼계탕 육수를 냉각하는 단계에 있어서, 상기 삼계탕 육수는 약 15℃ 이하의 온도까지 냉각될 수 있다.
상기 증숙된 유황삼계를 냉각하는 단계는, 자연냉각, 급속냉각 등의 방식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증숙된 유황삼계를 냉각하는 단계에 있어서, 상기 증숙된 유황삼계는 약 15℃ 이하의 온도까지 냉각될 수 있다.
상기 제조된 삼계탕 육수와 상기 증숙된 유황삼계를 캔형 포장용기에 포장하는 단계(S500)는, 상기 냉각된 삼계탕 육수 및 상기 냉각된 유황삼계를 상기 캔형 포장용기에 진공포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캔형 포장 용기에 포장되는 상기 삼계탕 육수 및 상기 유황삼계의 중량 비율은, 삼계탕 육수 35-35 중량부, 유황삼계 55-65중량부 사이의 비율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캔형 포장 용기에 진공포장하여 식품을 유통하는 방식에 의하면, 캔형 포장 용기에 기체를 모두 제거한 후에 식품을 포장하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기 때문에 다른 포장 용기로 포장하여 유통하는 식품에 비하여 긴 유통기한을 가지고 있다.
그런데, 본 발명에 의하여 개시되는 즉석 삼계탕용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즉석 삼계탕은, 황화합물(특히, 황산염 이온)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는 삼계탕 육수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굳이 다른 방부제를 첨가하지 않더라도 황산염의 항균 작용에 의하여 유통기한이 더 길어지게 되는 효과가 발생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의해 개시되는 즉석 유황 삼계탕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즉성 유황 삼계탕은, 상기 캔형 포장 용기에 포함되어 있는 내용물(즉, 삼계탕 육수 및 유황 삼계)을 조리용 용기에 넣고 간편하게 삼계탕을 조리하여 먹을 수 있는 용도로 제공된다.
이때,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삼계탕 육수를 제조하는 데에 사용하였던 유황삼계와 상기 유황삼계탕의 육고기로 소비자에게 제공되는 유황삼계는 서로 다르다. 즉, 상기 캔형 포장 용기에 밀봉되어 있던 상기 삼계탕 육수 및 상기 유황삼계를 섭취하기 위하여 상기 삼계탕 육수 및 상기 유황삼계를 함께 조리하는 경우, 상기 삼계탕 육수에 포함되어 있는 상기 황산염의 농도(이하, 제2 황산염 농도)가 상기 캔형 포장 용기에 밀봉포장되어 있을 때 상기 삼계탕 육수의 상기 황산염의 농도(이하, 제1 황산염 농도) 보다 더 높아질 수 있다.
이로 인하여, 본 발명에 의해 개시되는 즉석 유황 삼계탕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즉성 유황 삼계탕을 최종 소비자가 조리하게 되는 경우, 유황삼계에 포함되어 있던 황화합물이 보다 더 삼계탕 육수로 우러나올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보다 더 높은 황화합물을 최종 소비자가 섭취하게 되는 효과가 발생된다.

Claims (10)

  1. (1) 제 1유황삼계 및 제 2유황삼계를 준비하는 단계;
    이 때, 상기 제 1유황삼계 및 제 2유황삼계는, 하기의 방법으로 제조된 황화합물을 일반사료와 1:1,000 내지는 1:250의 중량 비율로 혼합하여 제조된 유황사료를 이용하여 생후 15일이 지난 닭에게 30일 동안 먹이면서 사육된 삼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 1유황삼계는 하기 유황삼계탕 육수를 제조하는 단계에서만 사용되고, 상기 제 2유황삼계는 하기 유황삼계탕 증숙닭을 제조하는 단계에서만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황화합물은
    (a) 증류수 100 중량부에 대하여, 알칼리수 10-40 중량부, 미나리 추출물 10-40 중량부, 염화나트륨(NaCl) 150-250 중량부 및 설탕(C12H22O11) 150-250 중량부를 첨가한 다음, 교반하면서 가열하는 단계; 이때, 상기 미나리 추출물은 60℃내지 80℃의 온도에서 미나리를 처리하여 열수 추출한 결과물을, 진공농축하여 수득함;
    (b) (a)단계의 결과물에 생유황 50-80 중량부를 첨가시켜 숙성시키는 단계; 및 (c) 상기 (b) 단계에서 생성된 침전물을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제조됨;
    (2) 상기 제 1유황삼계를 전처리하는 단계;
    (3) 상기 제 1유황삼계를 물에 넣고 가열하여 황산염 이온(SO42-) 61 mg/L의 농도를 가지는 유황삼계탕 육수를 제조하는 단계;
    이 때, 상기 제 1유황삼계를 물에 넣고 가열하여 유황삼계탕 육수를 제조하는 단계는, 상기 제 1유황삼계를 물에 넣고 100℃이상 및 130℃이하의 온도에서 45분 이상 및 75분 이하의 시간 동안 수행하여 유황삼계탕 육수를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4) 상기 제 1유황삼계와 다른 제 2유황삼계를 전처리하는 단계;
    (5) 상기 제 2유황삼계를 물에서 발생되는 증기를 이용하여 유황삼계탕 닭을 증숙하는 단계;
    이 때, 상기 제 2유황삼계를 물에서 발생되는 증기를 이용하여 유황삼계탕 닭을 증숙하는 단계는, 증숙을 2기압의 압력, 100℃이상 및 130℃이하의 온도 하에서, 45분 이상 및 75분 이하의 시간 동안 수행하여 유황삼계탕 증숙닭을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6) 상기 제 1유황삼계로 제조된 유황삼계탕 육수와 상기 제 2유황삼계로 제조된 유황삼계탕 증숙닭에 추가적인 방부제를 첨가하지 않고, 캔형 포장용기에 포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캔형 유황 삼계탕의 제조방법.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캔형 포장용기에 포장된 상기 유황삼계탕 육수의 황산염 이온의 농도는 상기 캔형 포장용기에 포장된 캔형 유황삼계탕의 조리 후의 유황삼계탕 육수의 황산염 이온의 농도 보다 더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형 유황 삼계탕의 제조방법.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유황삼계는 전처리시 제 1부재료가 내장이 제거된 복강에 삽입되는 것 또는 물에 담그는 것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이고, 상기 제 1부재료는 수삼, 황기, 생강, 대추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형 유황 삼계탕의 제조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유황삼계는 전처리시 제 2부재료가 삽입되고, 상기 제 2부재료는 곡물재료 또는 견과류 식재료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형 유황 삼계탕의 제조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캔형 포장용기에 포장하는 단계는 유황삼계탕 육수 및 유황삼계탕 증숙닭을 냉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형 유황 삼계탕의 제조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하는 단계는 자연냉각, 급속냉각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형 유황 삼계탕의 제조방법.
KR1020190059330A 2019-05-21 2019-05-21 유황 삼계탕 및 그 제조방법 KR1020735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9330A KR102073517B1 (ko) 2019-05-21 2019-05-21 유황 삼계탕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9330A KR102073517B1 (ko) 2019-05-21 2019-05-21 유황 삼계탕 및 그 제조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9160A Division KR20190040418A (ko) 2017-10-10 2017-10-10 유황 삼계탕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7263A KR20190057263A (ko) 2019-05-28
KR102073517B1 true KR102073517B1 (ko) 2020-02-04

Family

ID=666568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9330A KR102073517B1 (ko) 2019-05-21 2019-05-21 유황 삼계탕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351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8973B1 (ko) * 2010-01-11 2011-09-30 장기현 유황의 유해성분을 제거하는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5435B1 (ko) * 2009-11-10 2012-05-15 한국식품연구원 진공 저온 가열에 의한 삼계탕 제조 방법
KR101197605B1 (ko) * 2010-06-21 2012-11-07 김기상 유황사료 제조방법과 이를 이용한 가축 사육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8973B1 (ko) * 2010-01-11 2011-09-30 장기현 유황의 유해성분을 제거하는 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등산, 낚시, 야외에서 간단히 데워드실 수 있는 유황삼계탕입니다. 식품 홍보. 네이버카페. [online], 2016.07.06., [2018.12.07. 검색], 인터넷: <URL: https://cafe.naver.com/food2008/33990>*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7263A (ko) 2019-05-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315325A (zh) 一种卤牛肉及其制作方法
RU2342884C1 (ru) Вареное колбасное изделие с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нетрадиционных видов сырья для детей старшего школьного возраста
KR101736011B1 (ko) 닭백숙의 조리방법
CN105285773A (zh) 一种醉蟹的制作工艺
KR101561169B1 (ko) 지장수를 이용한 단감 장아찌의 제조방법
KR101016319B1 (ko) 솔잎을 이용한 양념 갈비 튀김의 제조 방법
RU2642452C2 (ru) Способ производства паштетов с растительными компонентами (варианты)
KR102065653B1 (ko) 한방재료를 활용한 한방참기름 제조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한방 참기름
KR102073517B1 (ko) 유황 삼계탕 및 그 제조방법
KR20090095828A (ko) 홍삼 오리훈제 및 그 제조방법
KR20110104613A (ko) 건강 버섯쌈피 및 그 제조 방법
KR101672857B1 (ko) 간장게장의 제조방법
KR20190040418A (ko) 유황 삼계탕 및 그 제조방법
KR101853897B1 (ko) 장김치 제조 방법
CN108618113A (zh) 一种蒸辣椒酱的加工方法
CN108576771A (zh) 一种肉酱及其制作方法
KR102042514B1 (ko) 장어 숙성소스 및 그 숙성방법
KR20120056357A (ko) 한방과 사슴육을 이용한 소시지의 제조방법
KR101706954B1 (ko) 양념게장의 제조방법
KR100936073B1 (ko) 레드와인이 첨가된 산천어의 비린내 제거용 조성물의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산천어 스테이크 제조방법
KR101933043B1 (ko) 삼채가 함유된 간장게장의 제조방법
KR20190051507A (ko) 돼지족발을 이용한 육가공식품 제조방법
KR101582669B1 (ko) 라면용 홍게 육수의 제조방법 및 그 라면용 홍게 육수
KR20200139282A (ko) 녹용, 당귀, 산수유, 침향, 배청을 주 원료로 하는 면역력 및 활력 증진을 위한 한방 영양제 및 그 제조방법
KR20160080341A (ko) 흑마늘 김치소스 햄버그스테이크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