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68973B1 - 유황의 유해성분을 제거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유황의 유해성분을 제거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68973B1
KR101068973B1 KR1020100002367A KR20100002367A KR101068973B1 KR 101068973 B1 KR101068973 B1 KR 101068973B1 KR 1020100002367 A KR1020100002367 A KR 1020100002367A KR 20100002367 A KR20100002367 A KR 20100002367A KR 101068973 B1 KR101068973 B1 KR 1010689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lfur
weight
parts
present
nac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23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82406A (ko
Inventor
김재춘
장기현
Original Assignee
장기현
김재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기현, 김재춘 filed Critical 장기현
Priority to KR10201000023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8973B1/ko
Publication of KR201100824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24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89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89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3/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in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3/04Sulfur, selenium or tellurium;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3/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in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3/14Alkali metal chlorides; Alkaline earth metal chlor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3Apiaceae or Umbelliferae (Carrot family), e.g. dill, chervil, coriander or cum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26Carbohydrates, e.g. sugar alcohols, amino sugars, nucleic acids, mono-, di- or oligo-saccharides; Derivatives thereof, e.g. polysorbates, sorbitan fatty acid esters or glycyrrhiz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Fodder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황의 유해성분을 제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별도의 전처리 과정 없이 알칼리수, 증류수 및 미나리즙 추출물에 NaCl 및 C12H22O11 첨가하여 교반/가열한 다음, 상기 혼합물에 생유황을 혼합하여 숙성시킴으로써, 우수한 해독율 및 수득율을 나타내는 유황의 유해성분을 제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해독작용이 우수한 알칼리수, 미나리 추출물 및 NaCl을 유황의 독성 제거과정에 단계적으로 적용하여 유황의 해독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동시에 C12H22O11을 첨가시켜 수득율 및 숙성시간을 단축시킴으로써 까다로운 공정조건 및 복잡한 공정단계를 거쳐야 하는 종래 유황의 유해성분을 제거하는 방법과 달리, 용이한 제조공정으로 순도가 높은 유해성분이 제거된 유황을 대량으로 제조할 수 있다

Description

유황의 유해성분을 제거하는 방법{Method for Removing Toxic Ingredients of Sulfur}
본 발명은 유황의 유해성분을 제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우수한 해독율 및 수득율을 나타내는 유황의 유해성분을 제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황은 질병치유의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으며, 광물질 유황은 만병을 물리친다는 천하의 명약인 금단(金丹)의 주원료로 쓰여 왔을 만큼 그 약성이 매우 강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생체건강의 최대의 적이 되는 중금속, 화공약품 각종 농약 등의 공해물질의 오염에서 해방될 수 있는 신비한 해독(解毒)작용을 가지고 있어, 이 유황이야말로 21세기의 필수 영양제라 할 수 있다.
신농본초경(神濃本草經)에서는 유황은 뼈를 강하게 하고 근육을 튼튼하게 하며 탈모를 방지한다고 하였다. 이와 같이 유황은 뼈를 강하게 하고 골수를 충만하게 할 뿐만 아니라, 항암 효과를 가지고, 각종 유해물질을 분해하여 생체내의 독성을 제거함과 동시에 각 부분의 면역작용을 증대시켜 각종 질병을 치유할 수 있는 신비로운 효능을 가지고 있다 하여 지대한 관심을 끌고 있다.
한편, 동양의학에서 유황은 맹독성 광석물질로 일정량 이상 섭취하면 사람이든 동물이든 살아남을 방법이 없으므로 그 독성을 제거할 수만 있다면 '최고의 영약'이 된다고 언급하고 있다. 따라서 예로부터 유황의 독성을 제거하여 약으로 쓰려는 시도가 빈번하였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454574호에서는 참나무 삶은 물, 식초, 보릿가루 용액, 순무즙, 솔잎즙 및 물의 혼합물에 유황을 첨가하여 가열, 숙성 및 건조시키는 공정으로 유황의 유해성분을 제거하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특허에서는 사용하는 혼합물을 구성하는 원료의 수가 다양하고, 상기 원료들의 전처리 공정이 번거로워, 이에 따라 전체 제조공정이 용이하지 못한 단점이 있다.
최근에 비교적 간단한 공정으로 유해성분이 제거된 무독황을 제조하는 방법이 공개된 바 있다. 유황, 보릿가루 및 세라믹파우더 혼합물을 숙성, 건조 및 분쇄시키는 공정만을 거쳐 유황의 독성을 제거하는 방법으로(대한민국 등록특허 제509656호), 제조시 필요한 원료의 수 및 원료의 전처리가 단순하여 제조작업이 편리하고 공정이 용이하다고 할 수 있으나, 상기 특허에서는 8 ~ 15시간의 숙성 과정을 거친다고 기술되어 있어 시간적 효율이 현저하게 떨어질 뿐만 아니라 최종 분쇄된 혼합물에서 유황을 분리하기가 쉽지 않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동용기에서 500℃ ~ 700℃에서 가열하여 상온으로 냉각하는 과정을 반복하여 건강보조식품용 무독성 유황을 수득하는 방법(대한민국 등록특허 제404927호), 1차 및 2차 제독과정을 거쳐 섭취시 동물의 신체에 이상을 일으키지 않는 제독된 유황을 제조하는 방법(대한민국 등록특허 제371437호) 및 약재혼합물에 유황을 투입하여 5 ~ 15시간 동안 진탕시켜 냉각 및 분쇄하여 사료조성물로서의 유황을 제조하는 방법(대한민국 등록특허 제216454호) 등 유황의 독성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측면의 시도가 있었다.
그러나, 상기에 열거된 방법에는 고온의 공정조건 및 복잡한 제조공정을 필요로 하거나, 최종적으로 수득한 유황의 해독율 및 수득율이 높지 않다는 문제점들이 존재한다.
한편, 지장수 및 무즙의 해독작용을 이용하여 유해성분이 제거된 유황의 제조방법에 대해 연구한 바 있으나, 상기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유해성분의 유황을 동물에 급여하였을 경우, 유황의 해독율이 낮아 닭의 생존율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19491호).
또한, 본 발명자는 미나리 추출물의 해독작용을 이용하여 유해성분이 제거된 유황의 제조방법에 대해 연구한 바 있으나, 상기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유해성분의 유황을 동물에 급여하였을 경우, 유황의 해독율 높아 닭의 생존율이 높았으나, 숙성시간이 길고, 최종적으로 수득된 유황의 순도가 높지 않다는 단점이 있다(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793815호).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예의 노력한 결과, 별도의 전처리 과정 없이 알칼리수, 증류수 및 미나리즙 추출물에 NaCl 및 C12H22O11 첨가하여 교반/가열한 다음, 상기 혼합물에 생유황을 첨가하여 숙성시킨 경우, 최종적으로 수득한 유황의 해독율 및 수득율이 높은 것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간단한 방법으로 우수한 해독율 및 수득율을 나타내는 유황의 유해성분을 제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a) 증류수 100 중량부에 대하여, 알칼리수 10~40 중량부, 미나리 추출물 10~40 중량부, NaCl 150~250 중량부 및 C12H22O11 150~250 중량부를 첨가한 다음, 교반하면서 가열하는 단계; (b) 상기 혼합물에 생유황 50~80 중량부를 첨가시켜 숙성시키는 단계; 및 (c) 상기 (b) 단계에서 생성된 침전물을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유황의 유해성분을 제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해독작용이 우수한 알칼리수, 미나리 추출물 및 NaCl을 유황의 독성 제거과정에 단계적으로 적용하여 유황의 해독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동시에 C12H22O11을 첨가시켜 수득율 및 숙성시간을 단축시킴으로써 까다로운 공정조건 및 복잡한 공정단계를 거쳐야 하는 종래 유황의 유해성분을 제거하는 방법과 달리, 용이한 제조공정으로 순도가 높은 유해성분이 제거된 유황을 대량으로 제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황의 유해성분을 제거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개략도 이다.
본 발명은 (a) 증류수 100 중량부에 대하여, 알칼리수 10~40 중량부, 미나리 추출물 10~40 중량부, NaCl 150~250 중량부 및 C12H22O11 150~250 중량부를 첨가한 다음, 교반하면서 가열하는 단계; (b) 상기 혼합물에 생유황 50~80 중량부를 첨가시켜 숙성시키는 단계; 및 (c) 상기 (b) 단계에서 생성된 침전물을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유황의 유해성분을 제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알칼리수, 미나리 추출물, 염화나트륨(NaCl) 및 설탕(C12H22O11)을 이용하여 유황의 유해성분을 제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미나리는 우물가나 물이 잘 마르지 않는 논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로 독성물질을 분해시키는 효능이 있다고 예로부터 알려져 있다. 특히, 과음한 후 미나리 생즙을 마시면 숙취를 푸는데 효과적이다. 즉, 술로 오른 열독을 풀어주고 해독작용으로 술독을 중화시키며 이뇨작용으로 술로 인한 해로운 찌꺼기를 배설시킨다고 알려져 있다. 한방에서는 미나리의 생즙이 황달이나 소장질환, 대장질환, 신경쇠약 등에 좋고 대하증에는 미나리 생즙을 한 컵 정도씩 매일 마시면 효과가 있으며 비만 예방에도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으며, 미나리의 해독력은 향약집성방이나 동의보감 등 고의서에도 기록이 되어 있을 정도로 뛰어나다고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서는 유황의 유해성분을 제거하기 위하여 미나리 추출물을 사용하였으며, 본 발명에서 사용된 미나리 추출물은 미나리를 분쇄하여 약 60∼80℃에서 가열추출하고, 진공증발기에서 60∼70℃의 온도로 진공농축한 방법으로 제조된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 유황의 유해성분을 제거하기 위하여 사용된 NaCl은 산농본초경에서 약물 중독의 해독제로 소개될 만큼 일찌기 그 해독작용이 입증되었으며, 특히 본 발명에서는 NaCl의 첨가를 위해 천일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C12H22O11는 유황을 분해하여 해독 과정을 촉진시키고, 숙성시간을 단축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사용된다.
본 발명에서는 유황의 유해성분을 제거하기 위해 첨가하는 물질로서 알칼리수를 이용하는데, 일반적으로, 알칼리수란 높은 pH와 낮은 산화환원전위(Oxidation Reduction Potential:ORP)를 갖도록 처리된 물을 말한다. 높은 pH를 나타내는 알칼리성 물은 산성화된 체액을 알칼리성으로 되돌려 혈액순환을 원활하게 할 수 있으며, 만병의 근원이며 노화의 주요원인으로 알려져 있는 활성산소를 제거할 수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예를 들어, 전기분해에 의해서 생성되는 pH 8 이상의 알칼리수는 위산과다, 위장 내 이상발효 등에 효능이 있는 점이 인정되었고, 또한 최근 연구에 따르면 동물 실험에서 면역 기능 상승, 항암 효과, 암 전이 억제 효과를 나타냈으며, 당뇨 및 비만 유발 쥐의 혈당치는 물론 몸에 해로운 중성지방과 콜레스테롤 수치도 현저하게 떨어뜨리는 효능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면서 음용수뿐만 아니라 의료 용도로도 사용되고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알칼리수는 pH 8.0~9.5 사이의 것으로서 그 제조방법은 전기분해를 이용하여 제조한 전기분해수 또는 알칼리제로서 가성소다, 수산화칼슘, 수산화 마그네슘, 소석회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전기분해수를 사용한다.
본 발명에서는 유황의 유해성분을 제거하기 위하여, 미나리 추출물, 알칼리수 및 증류수의 혼합액에 NaCl과 C12H22O11을 첨가한 다음 교반하면서 가열한다. 이때, 가열온도가 약 120℃ 미만일 경우에는 최종적으로 유해성분이 제거된 유황의 수득률이 현저하게 줄어드는 동시에 가열시간이 길어지는 문제점이 있고, 가열온도가 약 180℃를 초과할 경우에는 미나리 추출물의 성분이 변질되는 문제점이 있으므로, 약 120℃~180℃의 온도에서 상기 미나리 추출물, 알칼리수 및 증류수의 혼합액에 NaCl과 C12H22O11을 첨가한 다음, 약 1시간 동안 교반하면서 가열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알칼리수의 첨가량은 증류수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 중량부 이하일 경우에는 유황의 해독율이 감소하고, 40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에는 과다한 해독작용으로 인하여 유황 원래의 효능을 상실할 수 있으므로 증류수 100 중량부에 대하여 약 10~40 중량부의 알칼리수를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미나리 추출물의 첨가량은 증류수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 중량부 미만일 경우에는 미나리 추출물에 의한 유황의 해독율이 감소하고, 40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에는 미나리 추출물의 과다한 해독작용으로 인하여 유황 원래의 효능을 상실할 수 있으므로 증류수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40 중량부의 미나리 추출물을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NaCl의 첨가량은 증류수 100 중량부에 대하여 약 150 중량부 미만일 경우에는 NaCl의 해독율이 감소하고, 약 250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에는 NaCl의 과다한 해독작용으로 인하여 유황 원래의 효능을 상실할 수 있으므로 증류수 100 중량부에 대하여 약 150~250 중량부의 NaCl을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C12H22O11는 증류수 100 중량부에 대하여 약 150~250 중량부의 C12H22O11을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이는 증류수 100 중량부에 대하여 약 150 중량부 미만일 경우에는 유황을 분해하여 숙성하는데 어려움이 있고, 약 250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에는 과다한 숙성작용으로 인하여 유황 원래의 효능을 상실할 수 있다.
이어서, 전술된 바와 같이 제조된 혼합물에 생유황 50~80 중량부를 첨가하고, 85℃~95℃에서 약 30분 동안 숙성시킨 다음, 여기에서 생성된 침전물을 분리하여 유해성분이 제거된 유황을 수득한다.
상기 혼합물에 생유황 첨가량은 생유황의 상태에 따라 가감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증류수 100 중량부에 대하여, 50~80 중량부를 첨가할 수 있는 것으로, 증류수 100 중량부에 50 미만으로 첨가할 경우에는 유해성분 제거가 제대로 이루어 지지않고, 80중량부를 초과할 경우에는 최종 분리과정에서 침전물을 제대로 분리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숙성은 바람직하게 85℃~95℃에서 약 30분 동안 수행되는 것으로, 숙성온도가 85℃ 미만으로 생유황이 첨가된 혼합물을 숙성시킬 경우에는 생유황의 유해성분의 제거율이 미비하고, 95℃를 초과할 경우에는 유황의 성분이 변질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황의 유해성분을 제거하는 방법은 별도의 전처리 없이 미나리 추출물, NaCl 및 C12H22O11 사용하여 생유황에 함유되어 있는 독 등의 유해성분 제거방법을 간소화하였으며, 미나리 추출물, NaCl 및 C12H22O11은 해독작용을 수행하는데 있어서 서로 상승작용을 나타내므로, 우수한 해독율 및 수득율을 나타내는 유황의 유해성분 제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1: 유해성분이 제거된 유황의 제조
알칼리수 10ml, 증류수 60ml 및 미나리 추출물 10ml를 혼합시킨 혼합물에 NaCl 100mg C12H22O11 100mg을 첨가시킨 다음, 140℃~150℃의 온도에서 약 1시간 동안 교반하면서 가열하였다. 가열시킨 상기 혼합물에 생유황 40g을 첨가시킨 다음, 90℃의 온도로 30분 동안 숙성하였다. 숙성시킨 상기 혼합물을 30분 동안 정체시킨 후, 생성된 침전물을 여과하여 분리하고, 건조 및 분쇄하여 유해성분이 제거된 유황이 제조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비교예 1: 알칼리수로만 처리된 유황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되, 미나리 추출물, NaCl 및 C12H22O11 첨가하지 않고 제조하였다.
비교예 2: 미나리 추출물 및 알칼리수로만 처리된 유황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되, NaCl 및 C12H22O11 첨가하지 않고 제조하였다.
실험예 1: 온도에 따른 유해성분이 제거된 유황의 수득률
알칼리수 10ml, 증류수 60ml 및 미나리 추출물 10ml를 혼합시킨 혼합물에 NaCl 100mg C12H22O11 100mg을 첨가시킨 다음, 85℃∼115℃, 120℃∼140℃, 140℃∼150℃, 160℃∼180℃ 및 190℃~200℃의 온도에서 약 1시간 동안 교반하면서 가열하였다. 가열시킨 상기 혼합물에 생유황 40g을 첨가시킨 다음, 90℃의 온도로 30분 동안 숙성하였다. 숙성시킨 상기 숙성물을 30분 동안 정체시킨 후, 생성된 침전물을 여과하여 분리하고, 건조 및 분쇄하여 유해성분이 제거된 유황이 제조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 가열 온도에 따라 최종적으로 수득한 유해성분이 제거된 유황의 수득률은 아래 표 1과 같다.
그 결과,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120℃~180℃의 온도로 제조된 실시예 1의 유황의 수득률이 99% 이상인 것으로 나타난 반면, 본 발명자의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793815호의 방법에 따라 제조된 유해성분이 제거된 유황의 수득율은 75.00%이하인 것으로 나타났고,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19491호의 방법에 따라 제조된 유해성분이 제거된 유황의 수득율은 80%이하인 것으로 나타났다.
구분 85℃∼115℃ 120℃∼140℃ 140℃∼150℃ 160℃∼180℃ 190℃∼200℃
실시예 1 85.00% 98.00% 98.00% 97.00% 60.00%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793815호
65.00% 40.00% 40.00% 30.00% 30.00%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19491호 70.00% 30.00% - - -
실험예 2: 독성이 제거된 유황 급여실험
실시예 1, 비교예 1 및 2의 유황을 각각 일반사료의 약 0.1~0.4% 비율로 혼합하여 1개월 동안 100마리의 닭에게 급여하였다. 일반 생유황을 일반사료와 혼합하여 닭에게 급여할 경우 유황의 독성으로 인하여 바로 죽게 되나, 실시예 1의 독성이 제거된 유황을 일반사료에 혼합하여 닭에게 급여할 경우 성장속도가 빨라졌으며, 면역력 증가와 계사 내에 암모니아 가스 발생이 90%로 줄어들어 질병이 거의 발생하지 않았다.
또한, 실시예 1의 유해성분 제거과정 후의 유황이 혼합된 사료를 급여한 닭의 생존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특히, 본 발명자의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0819491호의 방법에 따라 유해성분이 제거된 유황이 혼합된 사료를 급여한 닭과 비교한 결과에서도, 실시예 1의 유해성분 제거과정 후의 유황이 혼합된 사료를 급여한 닭의 생존율이 가장 높았으며, 따라서 각각의 해독과정에 이용되는 알칼리수, 미나리 추출물, NaCl 및 C12H22O11은 해독작용에 있어서 서로 상승효과를 나타내어 실시예 1의 유해성분 제거과정을 거친 유황의 해독율이 가장 높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표 2).
구분 생존 닭의 수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19491호 82마리
비교예 1 80마리
비교예 2 85마리
실시예 1 100마리
이상으로 본 발명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양태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3)

  1. 다음 단계를 포함하는 유황의 유해성분을 제거하는 방법:
    (a) 증류수 100 중량부에 대하여, 알칼리수 10~40 중량부, 60℃ ~ 80℃에서 열수 추출한 다음, 60℃ ~ 70℃에서 진공농축하여 수득된 미나리 추출물 10~40 중량부, 염화나트륨(NaCl) 150~250 중량부 및 설탕(C12H22O11) 150~250 중량부를 첨가한 다음, 교반하면서 가열하는 단계;
    (b) 상기 혼합물에 생유황 50~80 중량부를 첨가시켜 숙성시키는 단계; 및
    (c) 상기 (b) 단계에서 생성된 침전물을 분리하는 단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의 가열은 120℃~180℃에서 1시간 동안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의 숙성은 85℃~95℃에서 30분 동안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100002367A 2010-01-11 2010-01-11 유황의 유해성분을 제거하는 방법 KR1010689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2367A KR101068973B1 (ko) 2010-01-11 2010-01-11 유황의 유해성분을 제거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2367A KR101068973B1 (ko) 2010-01-11 2010-01-11 유황의 유해성분을 제거하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2406A KR20110082406A (ko) 2011-07-19
KR101068973B1 true KR101068973B1 (ko) 2011-09-30

Family

ID=449204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2367A KR101068973B1 (ko) 2010-01-11 2010-01-11 유황의 유해성분을 제거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6897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7263A (ko) * 2019-05-21 2019-05-28 김재춘 유황 삼계탕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3815B1 (ko) 2007-04-19 2008-01-10 (주)정민 유황의 독성을 제거하는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3815B1 (ko) 2007-04-19 2008-01-10 (주)정민 유황의 독성을 제거하는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7263A (ko) * 2019-05-21 2019-05-28 김재춘 유황 삼계탕 및 그 제조방법
KR102073517B1 (ko) * 2019-05-21 2020-02-04 김재춘 유황 삼계탕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2406A (ko) 2011-07-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3931B1 (ko) 천연소재를 이용한 이온칼슘의 기능성 미네랄 수용액 제조방법
WO2013073644A1 (ja) 多種類のミネラルを含む複合康機能性食品
US20220096585A1 (en) Method for preparing drinking water for livestock to create environment for revitalizing intestinal effective microorganisms using treatment of components via ion exchange of natural minerals
KR100793815B1 (ko) 유황의 독성을 제거하는 방법
KR101070993B1 (ko) 법제유황을 이용한 단미사료 및 그 단미사료의 제조방법
KR100922719B1 (ko) 미네랄 기능수의 제조방법, 이에 의해 제조된 미네랄 기능수
KR100819491B1 (ko) 유해성분이 제거된 유황의 제조방법
KR101068973B1 (ko) 유황의 유해성분을 제거하는 방법
KR20100114974A (ko) 해양심층수, 흑마늘 엑기스, 대추 엑기스 및 유기산을 함유하는 기능성 음료 조성물
KR100993571B1 (ko) 미네랄 함유수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미네랄 함유수
CN1846514A (zh) 硒蛋白奶片
KR101197605B1 (ko) 유황사료 제조방법과 이를 이용한 가축 사육방법
KR20170056786A (ko) 천연소재를 이용한 이온칼슘의 기능성 미네랄 수용액 제조방법
CN104605347A (zh) 一种钙吸收促进剂及含有该促进剂的钙补充剂
JP2008013469A (ja) 海洋ミネラル成分からなる骨粗鬆症治療および/または予防剤
KR20090129765A (ko) 미네랄 강화 소금 및 그 제조방법
KR20190016688A (ko) 옥소금 및 그의 제조방법
KR20040060897A (ko) 죽염 조미소금 제조방법
KR101772403B1 (ko) 미네랄 액상 제조방법
KR101237218B1 (ko) 개구리의 담낭을 포함하는 건강보조식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840942B1 (ko) 제독유황이 함유된 단미사료의 제조방법
KR20080008117A (ko) 함초 추출물을 함유한 기능성 소금 및 그 제조방법
KR102635695B1 (ko) 효소 처리된 녹각칼슘 분말의 제조방법
KR20040069589A (ko) 법제된 유황 달걀과 오리알 제조방식
JP6883350B2 (ja) 高尿酸血症を予防又は軽減する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