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8004B1 - 액정 공급 장치 및 이를 포함한 액정 디스펜서 - Google Patents

액정 공급 장치 및 이를 포함한 액정 디스펜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8004B1
KR102068004B1 KR1020180085287A KR20180085287A KR102068004B1 KR 102068004 B1 KR102068004 B1 KR 102068004B1 KR 1020180085287 A KR1020180085287 A KR 1020180085287A KR 20180085287 A KR20180085287 A KR 20180085287A KR 102068004 B1 KR102068004 B1 KR 1020680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crystal
head unit
unit
dispensing head
ta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52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희근
강규태
민경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탑 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탑 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탑 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1800852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8004B1/ko
Priority to CN201921160429.1U priority patent/CN211375272U/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80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80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1Filling or closing of ce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in groups B05C1/00 - B05C9/00
    • B05C11/10Storage, supply or control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Recovery of excess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 B05C11/1002Means for controlling supply, i.e. flow or pressure,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the applying apparatus, e.g.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5/00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 B05C5/02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being discharged through an outlet orifice by pressure, e.g. from an outlet device in contact or almost in contact, with the work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to the manufacture of LCDs

Abstract

본 발명은 액정 공급 장치 및 이를 포함한 액정 디스펜서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액정 디스펜서의 디스펜싱 헤드유닛에 구비되는 액정병에 액정을 공급하는 액정 공급 장치에 있어서, 액정이 저장된 액정 탱크; 및 상기 액정 탱크로부터 액정을 전달받아 상기 디스펜싱 헤드유닛의 액정 공급캡을 통해 상기 액정병에 액정을 공급하는 액정 공급기;를 포함하고, 상기 액정 공급기에는 상기 디스펜싱 헤드유닛을 인식하는 헤드유닛 인식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공급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액정 공급 장치 및 이를 포함한 액정 디스펜서 {LIQUID CRYSTAL SUPPLYING APPARATUS AND LIQUIDS CRYSTAL DIPENSER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액정 공급 장치 및 이를 포함한 액정 디스펜서에 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디스펜싱 헤드유닛의 액정 저장부(액정병)에 액정을 공급하는 액정 공급 장치 및 이를 포함한 액정 디스펜서에 대한 것이다.
액정 표시 장치(LCD : Liquid Crystal Display)는 평판 표시 장치(FPD)의 일종으로서 컬러필터층이 형성된 제 1 머더기판과 박막트랜지스터가 형성된 제 2 머더기판과, 상기 제 1 머더기판과 제 2 머더기판의 사이에 형성된 액정층을 포함한다.
액정 표시 장치의 제조 과정에서 액정 디스펜서는 상기 제 1 머더기판과 제 2 머더기판 중 어느 하나의 표면에 액정을 토출하는 장치이다. 액정 디스펜서에는 토출할 액정을 저장하는 액정 저장부가 구비되며, 액정 저장부는 병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액정 저장부에 저장된 액정이 소모되어 소정 수위 이하로 되는 경우, 별도의 액정 공급 장치를 이용하여 액정 저장부에 액정을 공급함으로써 액정 디스펜서의 연속적인 토출 작업을 가능하게 기술이 알려져 있다.
일례로 본 출원인의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9-0080844호(2009.07.27. 공개)는 액정이 저장된 시린지를 디스펜싱 헤드유닛에 그대로 장착한 상태에서 액정을 공급하는 액정 공급 장치를 개시한다.
한편, 본 출원인의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1-0052325호(2011.05.18. 공개)는 서로 다른 액정을 토출하기 위하여 액정병을 새 것으로 교체하고 새로운 액정병에 기존과는 다른 액정을 공급하는 액정 공급 장치를 개시한다.
종래의 액정 공급 장치는 액정 디스펜서의 디스펜싱 헤드유닛에 구비된 액정 저장부에 액정을 공급함으로써 액정 디스펜서의 효율적인 작업을 가능하게 하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종래 액정 공급 장치에 있어서는 액정 디스펜서로 제1의 액정에서 제2의 액정으로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 액정 저장부(액정병)를 교체하여야 하는 문제점과, 액정 디스펜서 자체에 기존에 남아있는 제1의 액정을 씻어내기 위하여 제2의 액정으로 변경 후 제2의 액정을 일정량 이상 토출하여야 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2종 이상의 액정을 효율적으로 토출할 수 있는 액정 디스펜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2종 이상의 액정을 토출할 수 있는 액정 디스펜서에 2종 이상의 서로 다른 액정을 공급하는 경우 액정 공급 오류를 방지하는 액정 공급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액정 디스펜서의 복수의 디스펜싱 헤드유닛에 각각 구비되는 액정병에 액정을 공급하는 액정 공급 장치에 있어서, 액정이 저장된 액정 탱크; 및 상기 액정 탱크로부터 액정을 전달받아 상기 디스펜싱 헤드유닛의 액정 공급캡을 통해 상기 액정병에 액정을 공급하는 액정 공급기;를 포함하고, 상기 액정 공급기에는 상기 디스펜싱 헤드유닛을 인식하는 헤드유닛 인식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공급 장치를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디스펜싱 헤드유닛은 제 1 디스펜싱 헤드유닛과 제 2 디스펜싱 헤드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액정 공급캡은 상기 제 1 디스펜싱 헤드유닛에 구비되는 제 1 액정 공급캡과, 상기 제 2 디스펜싱 헤드유닛에 구비되는 제 2 액정 공급캡을 포함하고, 상기 액정 탱크는 제 1 액정 탱크와 제 2 액정 탱크를 포함하고, 상기 액정 공급기는 상기 제 1 액정 탱크로부터 액정을 전달받아 제 1 디스펜싱 헤드유닛의 제 1 액정 공급캡을 통해 액정을 공급하는 제 1 액정 공급기와, 상기 제 2 액정 탱크로부터 액정을 전달받아 제 2 디스펜싱 헤드유닛의 제 2 액정 공급캡을 통해 액정을 공급하는 제 2 액정 공급기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 1 액정 탱크에 저장된 액정과 상기 제 2 액정 탱크에 저장된 액정은 서로 다를 수 있다.
또한, 상기 액정 공급 장치는 상기 헤드유닛 인식부가 기설정된 디스펜싱 헤드유닛을 인식한 경우에만 상기 액정 탱크로부터 상기 액정 공급캡으로 액정이 공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추가로 포함한다.
또한, 상기 디스펜싱 헤드유닛에는 전자 태그 형태의 헤드유닛 태그부가 구비되고, 상기 헤드유닛 인식부는 전자 태그 리더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헤드유닛 인식부는 도그 센서로 구성되고, 상기 디스펜싱 헤드유닛에는 상기 도그 센서에 삽입되는 헤드유닛 태그부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그 센서는 발광부와 수광부로 이루어진 센서가 복수 개 구비되고, 상기 제 1 디스펜싱 헤드유닛에 구비된 제 1 헤드유닛 태그부와 상기 제 2 디스펜싱 헤드유닛에 구비된 제 2 헤드유닛 태그부는 서로 길이가 다른 바 형태의 도그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구비되며 소정 액체가 디스펜싱되는 기판이 로딩되는 스테이지; 상기 스테이지의 상부를 가로질러 형성된 헤드 지지대; 상기 헤드 지지대에 장착된 제 1 디스펜싱 헤드유닛과 제 2 디스펜싱 헤드유닛을 포함하는 복수 개의 디스펜싱 헤드유닛; 및 상기 제 1 디스펜싱 헤드유닛에 공급될 제 1 액정을 저장하는 제 1 액정 탱크와, 상기 제 1 액정 탱크로부터 상기 제 1 액정을 전달받아 상기 제 1 디스펜싱 헤드유닛의 제 1 액정 공급캡으로 공급하는 제 1 액정 공급기와, 상기 제 2 디스펜싱 헤드유닛에 공급될 제 2 액정을 저장하는 제 2 액정 탱크와, 상기 제 2 액정 탱크로부터 상기 제 2 액정을 전달받아 상기 제 2 디스펜싱 헤드유닛의 제 2 액정 공급캡으로 공급하는 제 2 액정 공급기를 포함하는 액정 공급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디스펜싱 헤드유닛에는 제 1 헤드유닛 태그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 2 디스펜싱 헤드유닛에는 제 2 헤드유닛 태그부가 구비되며, 상기 제 1 액정 공급기와 상기 제 2 액정 공급기에는 상기 제 1 헤드유닛 태그부와 상기 제 2 헤드유닛 태그부를 인식하는 헤드유닛 인식부가 각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디스펜서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액정 공급 장치는, 상기 제 1 액정 공급기의 상기 헤드유닛 인식부가 상기 제 1 헤드유닛 태그부를 인식하는 경우 상기 제 1 액정 공급캡으로 상기 제 1 액정을 공급하고, 상기 제 2 액정 공급기의 상기 헤드유닛 인식부가 상기 제 2 헤드유닛 태그부를 인식하는 경우 상기 제 2 액정 공급캡으로 상기 제 2 액정을 공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헤드유닛 태그부와 상기 제 2 헤드유닛 태그부는 전자 태그이고, 상기 헤드유닛 인식부는 전자 태그 리더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헤드유닛 인식부는 도그 센서로 구성되고, 상기 제 1 헤드유닛 태그부와 상기 제 2 헤드유닛 태그부는 서로 길이가 다른 바 형태의 도그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디스펜싱 헤드유닛과 상기 제 2 디스펜싱 헤드유닛은 하나의 세트를 이루어 상기 헤드 지지대에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액정 공급캡과 상기 제 2 액정 공급캡은 상기 액정병의 상부를 막도록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액정 공급캡과 상기 제 2 액정 공급캡은 상기 액정병과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2종 이상의 액정을 하나의 액정 디스펜서로 디스펜싱하는 것이 가능하고, 2종 이상의 액정을 토출할 수 있는 액정 디스펜서에 2종 이상의 서로 다른 액정을 공급하는 경우 액정이 잘못 공급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액정 공급 장치를 포함하는 액정 디스펜서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액정 공급 장치를 포함하는 액정 디스펜서에 있어서, 디스펜싱 헤드유닛의 일 실시 형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액정 공급 장치를 이용하여 디스펜싱 헤드유닛에 액정을 공급하는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액정 공급 장치의 헤드유닛 인식부와 디스펜싱 헤드유닛에 구비된 헤드유닛 태그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액정 공급 장치의 복수의 액정 공급기에 장착된 헤드유닛 인식부와 복수의 디스펜싱 헤드유닛에 구비된 헤드유닛 태그부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정 공급 장치를 구비한 액정 디스펜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액정 공급 장치를 포함하는 액정 디스펜서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정 디스펜서(1)는, 프레임(3)과, 상기 프레임(3)의 상부에 구비되며 액정이 디스펜싱되는 기판(S)이 로딩되는 스테이지(5)와, 상기 스테이지(5)의 상부에 구비되는 헤드 지지대(7)와, 상기 헤드 지지대(7)에 구비되며 액정을 디스펜싱하는 디스펜싱 헤드유닛(9)과, 상기 디스펜싱 헤드유닛(9)에 구비된 액정병에 액정을 보충하는 액정 공급 장치(10)를 포함한다.
프레임(3)은 스테이지(5), 헤드 지지대(7) 등을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스테이지(5)는 X축 또는 Y축 방향으로 구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헤드 지지대(7)는 구동 모터(8)에 의해 프레임(3)의 상부에서 Y축 방향으로 직선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디스펜싱 헤드유닛(9)은 기판과의 상대적 위치를 조정하기 위하여 Z축 방향으로 위치 조정될 수 있으며, X축 또는/및 Y축 방향으로도 구동될 수 있다.
헤드 지지대(7)에 장착되는 디스펜싱 헤드유닛(9)은 다수 개가 일렬로 배치된다.
액정 공급 장치(10)는, 액정이 저장된 액정 탱크(12)와, 액정 탱크(12)로부터 액정 공급관(14)을 통해 액정을 전달받아 디스펜싱 헤드유닛(9)에 장착된 액정병에 액정을 공급하는 액정 공급기(16)를 포함한다. 액정 공급기(16)에는 디스펜싱 헤드유닛(9)의 액정병으로 액정을 공급하는 공급 노즐(18)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액정 탱크(12)에 저장된 액정을 액정 공급기(16)로 전달하기 위하여 액정 탱크(12)에 가압 기체를 공급하는 액송 가압장치(11)가 구비될 수 있다. 도 1에서는 3개의 액정 탱크(12)와 액정 공급기(16)를 도시하였으나, 액정 탱크(12)와 액정 공급기(16)는 다수 개가 구비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디스펜싱 헤드유닛(9)의 개수만큼 액정 탱크(12)와 액정 공급기(16)가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디스펜싱 헤드유닛(9)에 구비된 액정병의 액정 보충이 필요한 경우, 헤드 지지대(7)가 액정 공급 장치(10) 측으로(즉, 도 1의 Y축 방향으로) 이동하여 액정 공급기(16)로부터 디스펜싱 헤드유닛(9)의 액정병에 액정을 보충한다. 이 경우, 디스펜싱 헤드유닛(9)이 액정 공급기(16)의 위치와 정렬되도록 헤드 지지대(7)를 따라 X축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액정 공급기(16)가 X축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별도의 구동 수단이 구비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설명을 위하여, 도 1에서는 좌측에서부터 제 1 디스펜싱 헤드유닛(9A), 제 2 디스펜싱 헤드유닛(9B), 및 제 3 디스펜싱 헤드유닛(9C)을 표시하였다. 또한, 상기 제 1 내지 제 3 디스펜싱 헤드유닛(9A, 9B, 9C)에 대응하여 제 1 액정 탱크(12A)와 제 1 액정 공급기(16A), 제 2 액정 탱크(12B)와 제 2 액정 공급기(16B), 및 제 3 액정 탱크(12C)와 제 3 액정 공급기(16C)를 표시하였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제 1 액정 탱크(12A)에 저장된 액정은 제 1 액정 공급기(16A)를 통해 제 1 디스펜싱 헤드유닛(9A)에 구비된 액정병으로 액정을 공급하고, 제 2 액정 탱크(12B)에 저장된 액정은 제 2 액정 공급기(16B)를 통해 제 2 디스펜싱 헤드유닛(9B)에 구비된 액정병으로 액정을 공급하고, 제 3 액정 탱크(12C)에 저장된 액정은 제 3 액정 공급기(16C)를 통해 제 3 디스펜싱 헤드유닛(9C)에 구비된 액정병으로 액정을 공급하는 것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상기 제 1 내지 제 3 디스펜싱 헤드유닛(9A, 9B, 9C)는 하나의 그룹을 이루며 헤드 지지대(7)에 장착되고, 복수의 디스펜싱 헤드유닛 그룹이 헤드 지지대(7)에 구비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액정 공급 장치를 포함하는 액정 디스펜서에 있어서, 디스펜싱 헤드유닛의 일 실시 형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디스펜싱 헤드유닛(9)은, 액정이 저장되는 액정병(20)과, 상기 액정병(20)의 상부에 결합되는 액정 공급캡(30)과, 상기 액정병(20)에 저장된 액정을 공급받아 토출하는 토출부(40)를 포함한다. 또한, 디스펜싱 헤드유닛(9)은, 액정병(20) 및 토출부(40) 등을 지지하기 위한 헤드유닛 프레임(50)을 포함하고, 헤드유닛 프레임(50)에 액정병(20)과 토출부(40)를 장착할 수 있다.
액정병(20)은 액정 공급 장치(10)로부터 액정을 공급받아 저장한다.
액정 공급캡(30)은 액정병(20)의 상부에 결합할 수 있다. 도 2에서, 액정 공급캡(30)은 액정병(20)의 상부를 막는 형태로 액정병(20)에 결합한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액정 공급캡(30)은 액정병(20)의 상부와 이격되어 구비되고, 액정 공급캡(30)과 액정병(20)을 연결하는 튜브가 별도로 구비되어 액정 공급캡(30)에서 액정병(20)으로 액정을 전달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액정 공급캡(30)의 전면부에는 액정 공급공(32)이 형성된다. 액정 공급공(32)에는 액정 공급기(16)의 공급 노즐(18)이 삽입되고, 액정 공급기(16)로부터 공급되는 액정은 액정 공급공(32) 내부로 전달된다. 액정 공급캡(30)의 일측에는 액정 유출부(34)가 형성된다. 또한, 액정 공급캡(30)에는 공압을 공급하기 위한 공압 공급관(36)이 결합될 수 있다. 공압 공급관(36)을 통해 액정병(20) 내부로 양압이 전달되면, 액정병(20) 내부의 액정을 액정 유출부(34)를 통해 외부로 유출될 수 있다. 액정 공급캡(30)은 액정 공급캡 고정블록(38)에 의해 헤드유닛 프레임(50)에 고정될 수 있다.
토출부(40)는 액정병(20)에 저장된 액정을 공급받아 기판에 액정을 토출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토출부(40)는 잉크젯 방식으로 액정을 토출할 수 있다. 이 경우, 토출부(40)는, 액정 리저버(42)와 상기 액정 리저버(42)에 일시 저장된 액정을 잉크젯 방식으로 토출하는 잉크젯 노즐부(46)를 포함할 수 있다. 액정 리저버(42)에는 액정 유입부(44)가 구비되고, 액정 공급캡(30)의 액정 유출부(34)와 상기 액정 유입부(44)를 연결하는 튜브(미도시)에 의해 액정이 액정 리저버(42)로 공급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액정 공급 장치를 이용하여 디스펜싱 헤드유닛에 액정을 공급하는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 1 액정 탱크(12A)에 저장된 액정은 제 1 액정 공급기(16A)에 의해 제 1 디스펜싱 헤드유닛(9A)의 제 1 액정 공급캡(30A)으로 전달되고, 제 2 액정 탱크(12B)에 저장된 액정은 제 2 액정 공급기(16B)에 의해 제 2 디스펜싱 헤드유닛(9B)의 제 2 액정 공급캡(30B)으로 전달되고, 제 3 액정 탱크(12C)에 저장된 액정은 제 3 액정 공급기(16C)에 의해 제 3 디스펜싱 헤드유닛(9C)의 제 3 액정 공급캡(30C)으로 전달된다.
액정을 공급하기 위하여, 제 1 액정 공급기(16A)에 구비된 제 1 공급 노즐(18A)은 제 1 액정 공급캡(30A)의 제 1 액정 공급공(32A)에 삽입되고, 제 2 액정 공급기(16B)에 구비된 제 2 공급 노즐(18B)은 제 2 액정 공급캡(30B)의 제 2 액정 공급공(32B)에 삽입되고, 제 3 액정 공급기(16C)에 구비된 제 3 공급 노즐(18C)은 제 3 액정 공급캡(30C)의 제 3 액정 공급공(32C)에 삽입된다.
제 1 내지 제 3 액정 탱크(12A, 12B, 12C)에 저장된 액정은 서로 다를 수 있다. 이 경우 각각의 액정 탱크(12A, 12B, 12C)에 저장된 액정은 특정 디스펜싱 헤드유닛(9A, 9B, 9C)로 전달되어야 하고, 액정이 서로 바뀌어 전달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요구된다. 이를 위하여, 제 1 내지 제 3 액정 공급기(16A, 16B, 16C) 각각에는 헤드유닛 인식부(60)가 구비되고, 제 1 내지 제 3 디스펜싱 헤드유닛(9A, 9B, 9C) 각각에는 제 1 내지 제 3 헤드유닛 태그부(62A, 62B, 62C)가 구비된다.
제 1 내지 제 3 헤드유닛 태그부(62A, 62B, 62C)는 서로 구별되고 설정되고, 헤드유닛 인식부(60)는 제 1 내지 제 3 헤드유닛 태그부(62A, 62B, 62C)를 인식한다. 액정 공급 장치(10)는 도시되지 않은 제어부를 포함하고, 헤드유닛 인식부(60)의 인식 결과에 따라 액정을 공급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액정 공급기(16A)의 헤드유닛 인식부(60)가 제 1 헤드유닛 태그부(62A)를 인식하는 경우, 제 1 액정 탱크(12A)의 액정이 제 1 액정 공급기(16A)를 통해 제 1 액정 공급캡(30A)으로 공급된다. 그러나, 제 1 액정 공급기(16A)의 헤드유닛 인식부(60)가 제 1 헤드유닛 태그부(62A)가 아닌 제 2 또는 제 3 헤드유닛 태그부(62B, 62C)를 인식하거나, 제 1 헤드유닛 태그부(62A)를 인식하지 못하는 경우, 제 1 액정 탱크(12A)로부터 제 1 액정 공급캡(30A)으로의 액정 공급은 허용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1 내지 제 3 헤드유닛 태그부(62A, 62B, 62C)는 RFID와 같은 전자 태그이고, 상기 헤드유닛 인식부(60)는 상기 전자 태그를 읽는 전자 태그 리더로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1 내지 제 3 헤드유닛 태그부(62A, 62B, 62C)와 상기 헤드유닛 인식부(60)는 도그와 도그 센서(DOG sensor)로 구성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액정 공급 장치의 헤드유닛 인식부와 디스펜싱 헤드유닛에 구비된 헤드유닛 태그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액정 공급 장치의 복수의 액정 공급기에 장착된 헤드유닛 인식부와 복수의 디스펜싱 헤드유닛에 구비된 헤드유닛 태그부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헤드유닛 인식부(60)는 도그 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헤드유닛 인식부(60)는 제 1 센서(60a), 제 2 센서(60b) 및 제 3 센서(60c)를 포함하고, 제 1 내지 제 3 센서(60a, 60b, 60c)는 각각 발광부(61)와 수광부(63)를 포함하는 광 센서일 수 있다.
헤드유닛 태그부(62)는 도그이며, 일종의 바(bar)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헤드유닛 태그부(62)는 디스펜싱 헤드유닛(9)의 소정 부위에 장착되며, 도그 형태의 헤드유닛 태그부(62)의 길이는 각각의 디스펜싱 헤드유닛(9A, 9B, 9C) 별로 다르게 설정된다.
디스펜싱 헤드유닛(9)이 액정 공급기(16) 측으로 이동하여 액정 공급기(16)의 공급 노즐(18)이 디스펜싱 헤드유닛(9)의 액정 공급캡(30)에 형성된 액정 공급공(32)에 삽입되는 소정 위치에서 정지된다. 도그 형태의 헤드유닛 태그부(62)는 헤드유닛 인식부(60)의 센서(60a, 60b, 60c)의 발광부(61)와 수광부(63) 사이로 삽입된다.
도 4에 도시된 예에서는, 제 1 센서(60a)의 발광부(61)와 수광부(63) 사이에 헤드유닛 태그부(62)가 위치하는 경우, 제 2 센서(60b)와 제 3 센서(60c)의 수광부는 광을 인식하나 제 1 센서(60a)의 수광부는 광을 인식하지 못한다. 이에 따라 헤드유닛 인식부(60)는 상기 헤드유닛 태그부(62)가 장착된 디스펜싱 헤드유닛(9)을 인식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제 1 액정 공급기(16A)의 헤드유닛 인식부(60)에는 제 1 헤드유닛 태그부(62A)가 위치하고, 제 2 액정 공급기(16B)의 헤드유닛 인식부(60)에는 제 2 헤드유닛 태그부(62B)가 위치하고, 제 3 액정 공급기(16C)의 헤드유닛 인식부(60)에는 제 3 헤드유닛 태그부(62C)가 위치한 것이 나타난다. 도그 형태로 구성된 각각의 헤드유닛 태그부(62A, 62B, 62C)는 그 길이가 다르게 설정되고, 헤드유닛 인식부(60)는 제 1 내지 제 3 센서(60a, 60b, 60c)의 센싱 상태에 따라 헤드유닛 태그부(62A, 62B, 62C)를 식별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특정 디스펜싱 헤드유닛(9)과 특정 액정 탱크(12)가 매칭되는 경우에만 액정 공급기(16)를 통해 액정이 공급되도록 하고, 디스펜싱 헤드유닛(9)과 액정 탱크(12)가 매칭되지 않는 경우에는 액정이 공급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액정이 잘못 공급되는 오류를 방지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정 공급 장치를 구비한 액정 디스펜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3개의 제 1 내지 제 3 디스펜싱 헤드유닛(9A, 9B, 9C)이 하나의 세트를 이루며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제 1 내지 제 3 디스펜싱 헤드유닛(9A, 9B, 9C)에 액정을 공급하기 위한 3개의 제 1 내지 제 3 액정 공급기(16A, 16B, 16C)가 구비된다. 각각의 액정 공급기(16A, 16B, 16C)에는 공급 노즐(18)과 도그 센서 형태의 헤드유닛 인식부(60)가 구비된다.
각각의 디스펜싱 헤드유닛(9A, 9B, 9C)에는 액정병(200)이 구비되고, 액정 공급캡(300)은 액정병(200)과 분리된 상태로 디스펜싱 헤드유닛(9A, 9B, 9C)에 구비된다.
제 1 내지 제 3 액정 공급기(16A, 16B, 16C) 각각의 공급 노즐(18)은 제 1 내지 제 3 액정 공급캡(300A, 300B, 300C)으로 액정을 공급하고, 제 1 액정 공급캡 내지 제 3 액정 공급캡(300A, 300B, 300C)은 별도의 튜브(미도시)를 통해 공급받은 액정을 액정병(200)으로 전달한다.
제 1 내지 제 3 디스펜싱 헤드유닛(9A, 9B, 9C) 각각에는 도그 형태의 헤드유닛 태그부(62A, 62B, 62C)가 구비되며, 제 1 내지 제 3 액정 공급기(16A, 16B, 16C)에 구비된 헤드유닛 인식부(60)는 상기 헤드유닛 태그부(62A, 62B, 62C)를 인식한다.
제 1 내지 제 3 액정 공급기(16A, 16B, 16C) 각각에 구비된 헤드유닛 인식부(60)에 의해 특정 헤드유닛 태그부(62A, 62B, 62C)가 인식되는 경우, 제 1 내지 제 3 액정 공급기(16A, 16B, 16C)는 제 1 내지 제 3 액정 공급캡(300A, 300B, 300C)에 액정을 공급하도록 제어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 액정 디스펜서 3 : 프레임
5 : 스테이지 7 : 헤드 지지대
9 : 디스펜싱 헤드유닛 10 : 액정 공급 장치
12 : 액정 탱크 14 : 액정 공급관
16 : 액정 공급기 18 : 공급 노즐
20, 200 : 액정병 30, 300 : 액정 공급캡
40 : 토출부 60 : 헤드유닛 인식부
62 : 헤드유닛 태그부

Claims (14)

  1. 액정 디스펜서의 복수의 디스펜싱 헤드유닛에 각각 구비되는 액정병에 액정을 공급하는 액정 공급 장치에 있어서,
    액정이 저장되는 제 1 액정 탱크와 제 2 액정 탱크; 및
    상기 제 1 액정 탱크로부터 액정을 전달받아 제 1 디스펜싱 헤드유닛의 제 1 액정 공급캡을 통해 상기 제 1 디스펜싱 헤드유닛에 구비된 액정병에 액정을 공급하는 제 1 액정 공급기와, 상기 제 2 액정 탱크로부터 액정을 전달받아 제 2 디스펜싱 헤드유닛의 제 2 액정 공급캡을 통해 상기 제 2 디스펜싱 헤드유닛에 구비된 액정병에 액정을 공급하는 제 2 액정 공급기;
    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디스펜싱 헤드유닛에는 제 1 헤드유닛 태그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 2 디스펜싱 헤드유닛에는 제 2 헤드유닛 태그부가 구비되며,
    상기 제 1 액정 공급기와 상기 제 2 액정 공급기에는 상기 제 1 헤드유닛 태그부와 상기 제 2 헤드유닛 태그부를 인식하는 헤드유닛 인식부가 각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공급 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액정 탱크에 저장된 액정과 상기 제 2 액정 탱크에 저장된 액정은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공급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유닛 인식부가 기설정된 디스펜싱 헤드유닛을 인식한 경우에만 상기 제 1 액정 탱크로부터 상기 제 1 액정 공급캡으로, 또는 상기 제 2 액정 탱크로부터 상기 제 2 액정 공급캡으로 액정이 공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공급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헤드유닛 태그부 및 상기 제 2 헤드유닛 태그부는 전자 태그 형태이며, 상기 헤드유닛 인식부는 전자 태그 리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공급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유닛 인식부는 도그 센서로 구성되고, 상기 제 1 헤드유닛 태그부 및 상기 제 2 헤드유닛 태그부는 상기 도그 센서에 삽입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공급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도그 센서는, 발광부와 수광부로 이루어진 센서가 복수 개 구비되고, 상기 제 1 헤드유닛 태그부와 상기 제 2 헤드유닛 태그부는 서로 길이가 다른 바 형태의 도그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공급 장치.
  8.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구비되며 소정 액체가 디스펜싱되는 기판이 로딩되는 스테이지;
    상기 스테이지의 상부를 가로질러 형성된 헤드 지지대;
    상기 헤드 지지대에 장착된 제 1 디스펜싱 헤드유닛과 제 2 디스펜싱 헤드유닛을 포함하는 복수 개의 디스펜싱 헤드유닛; 및
    상기 제 1 디스펜싱 헤드유닛에 공급될 제 1 액정을 저장하는 제 1 액정 탱크와, 상기 제 1 액정 탱크로부터 상기 제 1 액정을 전달받아 상기 제 1 디스펜싱 헤드유닛의 제 1 액정 공급캡으로 공급하는 제 1 액정 공급기와, 상기 제 2 디스펜싱 헤드유닛에 공급될 제 2 액정을 저장하는 제 2 액정 탱크와, 상기 제 2 액정 탱크로부터 상기 제 2 액정을 전달받아 상기 제 2 디스펜싱 헤드유닛의 제 2 액정 공급캡으로 공급하는 제 2 액정 공급기를 포함하는 액정 공급 장치;
    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디스펜싱 헤드유닛에는 제 1 헤드유닛 태그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 2 디스펜싱 헤드유닛에는 제 2 헤드유닛 태그부가 구비되며,
    상기 제 1 액정 공급기와 상기 제 2 액정 공급기에는 상기 제 1 헤드유닛 태그부와 상기 제 2 헤드유닛 태그부를 인식하는 헤드유닛 인식부가 각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디스펜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액정 공급기의 상기 헤드유닛 인식부가 상기 제 1 헤드유닛 태그부를 인식하는 경우 상기 제 1 액정 공급캡으로 상기 제 1 액정을 공급하고,
    상기 제 2 액정 공급기의 상기 헤드유닛 인식부가 상기 제 2 헤드유닛 태그부를 인식하는 경우 상기 제 2 액정 공급캡으로 상기 제 2 액정을 공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가 추가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디스펜서.
  10.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헤드유닛 태그부와 상기 제 2 헤드유닛 태그부는 전자 태그이고, 상기 헤드유닛 인식부는 전자 태그 리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디스펜서.
  11.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유닛 인식부는 도그 센서로 구성되고, 상기 제 1 헤드유닛 태그부와 상기 제 2 헤드유닛 태그부는 서로 길이가 다른 바 형태의 도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디스펜서.
  12.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디스펜싱 헤드유닛과 상기 제 2 디스펜싱 헤드유닛은 하나의 세트를 이루어 상기 헤드 지지대에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디스펜서.
  13.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액정 공급캡과 상기 제 2 액정 공급캡은, 상기 제 1 디스펜싱 헤드유닛과 상기 제 2 디스펜싱 헤드유닛에 각각 구비되는 액정병의 상부를 막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디스펜서.
  14.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액정 공급캡과 상기 제 2 액정 공급캡은, 상기 제 1 디스펜싱 헤드유닛과 상기 제 2 디스펜싱 헤드유닛에 각각 구비되는 액정병과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디스펜서.
KR1020180085287A 2018-07-23 2018-07-23 액정 공급 장치 및 이를 포함한 액정 디스펜서 KR1020680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5287A KR102068004B1 (ko) 2018-07-23 2018-07-23 액정 공급 장치 및 이를 포함한 액정 디스펜서
CN201921160429.1U CN211375272U (zh) 2018-07-23 2019-07-23 液晶供应装置以及包括它的液晶分配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5287A KR102068004B1 (ko) 2018-07-23 2018-07-23 액정 공급 장치 및 이를 포함한 액정 디스펜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68004B1 true KR102068004B1 (ko) 2020-01-20

Family

ID=693680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5287A KR102068004B1 (ko) 2018-07-23 2018-07-23 액정 공급 장치 및 이를 포함한 액정 디스펜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068004B1 (ko)
CN (1) CN211375272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56158A (ko) * 2021-05-18 2022-11-25 이엠아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의 기판 접합용 실런트 디스펜서 노즐 세트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80844A (ko) * 2008-01-22 2009-07-27 주식회사 탑 엔지니어링 액정 적하장비, 그것의 액정 공급 장치 및 공급 방법
KR20110052325A (ko) * 2009-11-12 2011-05-18 주식회사 탑 엔지니어링 액정공급장치
KR20110053184A (ko) * 2009-11-13 2011-05-19 주식회사 탑 엔지니어링 액정공급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액정공급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80844A (ko) * 2008-01-22 2009-07-27 주식회사 탑 엔지니어링 액정 적하장비, 그것의 액정 공급 장치 및 공급 방법
KR20110052325A (ko) * 2009-11-12 2011-05-18 주식회사 탑 엔지니어링 액정공급장치
KR20110053184A (ko) * 2009-11-13 2011-05-19 주식회사 탑 엔지니어링 액정공급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액정공급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56158A (ko) * 2021-05-18 2022-11-25 이엠아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의 기판 접합용 실런트 디스펜서 노즐 세트
KR102536800B1 (ko) 2021-05-18 2023-05-26 이엠아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의 기판 접합용 실런트 디스펜서 노즐 세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211375272U (zh) 2020-08-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39059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product
US8851641B2 (en) Liquid-discharging device, liquid stirring method, and liquid filling method
US6776467B2 (en) Method of controlling ink jet recording apparatus
US9216586B2 (en) Liquid ejecting apparatus and liquid transfer method
TW201605546A (zh) 用於一分配系統的遠端散裝送料系統及供應黏性材料至一分配系統的方法
KR102068004B1 (ko) 액정 공급 장치 및 이를 포함한 액정 디스펜서
JP2009018566A (ja) 流体供給装置、流体噴射装置及び流体供給方法
JP5381201B2 (ja) 液体タンクの液柱体、液体タンクおよび液滴吐出装置
CN112140731B (zh) 液体供给系统以及液体容器
KR101874403B1 (ko) 디스플레이 제조용 정량 토출장치
CN103085493B (zh) 液体排出装置以及液体循环方法
JP2003088778A (ja) 塗布装置
JP3941676B2 (ja) 液滴吐出システム、電気光学装置、電気光学装置の製造方法および電子機器
KR101657530B1 (ko) 액적 토출 장치 및 방법
JP2008178820A (ja) 液滴噴射ヘッド充填装置及び物品の製造方法
JP5169120B2 (ja) 液滴塗布装置
JP2015112724A (ja) インク供給機構及びインク供給方法、液滴吐出装置
JP3982393B2 (ja) 液滴吐出装置、電気光学装置、電気光学装置の製造方法および電子機器
JP2016159463A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及びインクカートリッジ
JP2004255359A (ja) 塗布装置
KR20190084922A (ko) 액적 토출 장치
JP6056283B2 (ja) 液体吐出装置
CN212604065U (zh) 用于利用多色直接印刷印刷容器的直接印刷机
JP5490763B2 (ja) 塗布装置
JP4492171B2 (ja) 液体噴射装置及び液体噴射装置のクリーニング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