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6326B1 - 동결건조 김치부침개 블록용 조성물 및 동결건조 김치부침개 블록 - Google Patents

동결건조 김치부침개 블록용 조성물 및 동결건조 김치부침개 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6326B1
KR102066326B1 KR1020170169434A KR20170169434A KR102066326B1 KR 102066326 B1 KR102066326 B1 KR 102066326B1 KR 1020170169434 A KR1020170169434 A KR 1020170169434A KR 20170169434 A KR20170169434 A KR 20170169434A KR 102066326 B1 KR102066326 B1 KR 1020663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imchi
block
composition
freeze
dri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94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69066A (ko
Inventor
이병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든
에덴농산영농조합법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든, 에덴농산영농조합법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든
Priority to KR10201701694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6326B1/ko
Publication of KR201900690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90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63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632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10Natural 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Extra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7/00Food-from-the-sea products; Fish products; Fish meal; Fish-egg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7/10Fish meal or powder; Granules, agglomerates or flak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3/00Soups; Sauc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4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drying or kiln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 A23L3/44Freeze-dry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1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ducts
    • A23P10/20Agglomerating; Granulating; Tabletting
    • A23P10/28Tabletting; Making food bars by compression of a dry powdered mixtur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Zoology (AREA)
  • Preparation Of Fruits And Veget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김치부침개 블록용 조성물은 정제수, 김치, 부침가루, 김치부침개용 부재료, 및 분말상의 먹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동결건조 김치부침개 블록용 조성물 및 동결건조 김치부침개 블록{Composition for Freeze-dried Kimchi Pancake Block and Freeze-dried Kimchi Pancake Block}
본 발명은 동결건조 김치부침개 블록용 조성물 및 동결건조 김치부침개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분말상의 먹태를 함유한 김치부침개 블록용 조성물을 제조하고 이를 급속 동결건조시켜 블록 형태로 제조함으로써 영양이 풍부하고 김치부침개를 간편하게 조리해 먹을 수 있으며, 나아가 유통기한이 길고 유통 및 휴대가 용이한 동결건조 김치부침개 블록용 조성물 및 동결건조 김치부침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김치는 대한민국 고유의 음식으로 전세계적으로 잘 알려져 있다. 김치는 유산균이나 식이섬유, 비타민 등이 많이 함유되어 영양식으로도 잘 알려져 있다. 김치의 주원료인 배추 등의 채소에는 칼슘, 구리, 인, 철분 등의 영양소나 각종 비타민이 함유되어 있고, 액젓 등에는 단백질이나 칼슘 등이 함유되어 있어 영양학적으로도 의미가 있다. 특히, 김치양념을 제조할 때 명태나 황태를 1 내지 2 시간 또는 그 이상 삶아서 얻은 육수를 사용하기 때문에 김치의 맛이 깊어지고 다양한 영양소를 보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김치를 밀가루나 부침가루 및 물과 혼합하여 반죽한 다음, 프라이팬에 식용유 등으로 부쳐서 제조한 것이 김치부침개이다. 김치부침개를 만드려면 김치와 부침가루에 부추, 돼지고기 등의 부재료를 넣어 물과 혼합하여 반죽을 만들어야 한다. 그런데, 김치부침개를 위한 반죽을 만드려면 물과 부침가루의 비율을 잘 맞추어야 하는데 이 비율이 잘 맞지 않으면 반죽이 걸죽하거나 너무 묽어서 김치부침개가 잘 부쳐지지 않고 맛이 떨어지는 문제가 생긴다. 또한, 김치부침개 반죽은 장시간 보관이 어렵고 휴대하기도 어렵기 때문에 특히, 장거리 여행을 떠나고자 할 때에 김치부침개 반죽을 포장해서 휴대하기란 매우 어려운 점이 있다.
이에 대한민국 특허 제10-0747512호에서는 부침개 반죽을 제조하고, 반죽을 부침개 형상으로 냉동성형하여 포장함으로써 부침개의 제조와 유통이 간편해지고, 가정에서 조리가 용이한 부침개 포장방법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부침개 반죽을 냉동시켜서 유통해야하고 보관해야하며, 소비자가 이를 녹여서 부쳐야 하기 때문에 부침개의 맛이나 품질을 떠나서 해동을 해야 하기 때문에 부침개를 만드는 것이 불편하고, 소비자가 장거리 여행시 휴대와 보관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자는 이러한 문제에 착안하여 김치부침개 반죽을 블록 형태로 동결건조시켜 제조하고, 소비자가 블록에 물을 부어 반죽으로 복원을 하면, 원래의 상태와 거의 유사한 정도로 복원이 가능하며, 김치부침개 블록은 부피와 중량이 작기때문에 휴대가 쉽고 유통기한이 길며 보관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김치부침개에 함유된 영양소를 더 강화하기 위하여, 특히 인체에 필수적으로 필요한 단백질과 칼슘을 보충하기 위해서 분말상의 먹태를 함유한 김치부침개 블록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단백질과 칼슘이 풍부한 김치부침개 블록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소비자가 김치부침개를 쉽게 조리하여 먹을 수 있는 김치부침개 블록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휴대와 보관이 간편한 김치부침개 블록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 및 기타 내재되어 있는 목적은 아래 설명하는 본 발명에 의하여 모두 용이하게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김치부침개 블록용 조성물은 정제수, 김치, 부침가루, 김치부침개용 부재료, 및 분말상의 먹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김치부침개용 부재료는 부추, 표고버섯, 양송이버섯, 새송이버섯, 두부, 마늘, 양파, 대파, 돼지고기, 닭고기, 새우, 참치, 조갯살 및 오징어의 2 종 이상의 혼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분말상의 먹태는 명태를 급속 동결건조하고 분쇄하여 얻은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김치부침개 블록의 제조 방법은
김치부침개용 부재료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김치부침개용 부재료와 정제수를 분말상의 먹태와 함께 혼합하여 김치부침개 블록용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김치부침개 블록용 조성물을 숙성시키는 단계; 및
숙성된 상기 김치부침개 블록용 조성물을 성형틀에 넣어 블록형태로 급속 동결건조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분말상의 먹태는
내장을 제거한 명태를 급속 동결건조시키고,
건조된 명태를 분말상으로 분쇄하는
단계에 의하여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단백질과 칼슘이 풍부하고 소비자가 김치부침개를 쉽게 조리하여 먹을 수 있으며, 휴대와 보관이 간편한 동결건조 김치부침개 블록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발명의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김치부침개 블록용 조성물은 정제수, 김치, 부침가루, 김치부침개용 부재료, 및 분말상의 먹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 각 성분의 조성은 정제수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함량을 정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김치는 배추김치를 말한다. 일반적으로 김치부침개라 하면 배추김치를 사용한 것을 말하기 때문이다. 배추김치는 소금에 절인 배추에 김치양념을 버무려 숙성시킨 것을 말한다. 김치양념은 명태나 황태, 다시마 등에서 우려낸 김치육수와 고추가루, 파, 백설탕, 다진 마늘, 생강, 양파, 무채, 식염, L-글루타민산나트륨, 부추 등와 같은 부재료를 혼합하여 제조한 것을 말한다. 본 발명에서 김치는 일정한 크기로 절단하여 사용한다. 그 크기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으나 가로 2 cm, 세로 1 cm 정도의 크기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김치의 함량은 정제수 100 중량부에 대하여 25 내지 40 중량부를 사용한다.
본 발명의 부침가루는 시중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부침가루를 사용하면 된다. 대체적인 부침가루의 성분은 소맥분, 백설탕, 감자전분, 찹쌀가루, 양파분말, 베이킹 파우더, 마늘분말, 후추분말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업적으로 입수할 수 있는 부침가루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부침가루의 함량은 정제수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18 내지 35 중량부를 사용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김치부침개용 부재료는 부추, 표고버섯, 양송이버섯, 새송이버섯, 두부, 마늘, 양파, 대파, 돼지고기, 닭고기, 새우, 참치, 조갯살 및 오징어의 2 종 이상의 혼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이외에 다양한 부재료를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김치부침개용 부재료의 함량은 정제수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1.5 내지 20 중량부를 사용한다.
이와 같은 정제수, 김치, 부침가루 및 김치부침개용 부재료를 아래 설명하는 분말상의 먹태와 혼합하여 본 발명의 김치부침개 블록용 조성물을 제조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분말상의 먹태는 명태의 내장을 제거한 후 급속으로 동결건조시켜 얻은 다음, 이를 분쇄하여 얻은 것이다. 따라서, 명태의 살 뿐만아니라 뼈와 껍질을 모두 동결건조 후에 분쇄하기 때문에 명태 뼈의 칼슘 성분을 그대로 함유하고 있고, 또한 껍질에 함유된 콜라겐과 같은 단백질을 그대로 함유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황태는 추운 겨울에 명태를 말릴 때 추위가 반복되면서 얼었다 녹았다를 반복하여 알맞게 건조된 것을 말한다. 명태를 말릴때 적당히 추위가 있어야 황색으로 잘 말린 황태를 얻을 수 있다. 그런데, 추위가 주춤하여 온도가 다소 높아 명태가 잘 얼지 않는 경우에는 황태와 달리 약간 검은색으로 말려지는데 이를 먹태라고 한다. 이렇게 전통적인 방식으로 실외에서 명태를 말리는 경우, 명태를 말리는 작업 자체가 매우 까다롭고 황사나 미세먼지 등과 같은 대기 중의 오염 물질에 의해 명태가 오염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분말상의 먹태는 이러한 오염의 문제점이 없으며 대량생산에 적합한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 분말상의 먹태는 정제수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15 중량부를 사용한다. 분말상의 먹태가 1 중량부 미만으로 첨가되면 단백질과 칼슘의 증가 효과를 크게 보기 어려우며, 15 중량부 이상으로 사용되면 제조 비용이 다소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김치부침개 블록의 제조 방법의 각 단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앞서 설명한 정제수, 부침가루 및 김치부침개용 부재료를 준비한다. 준비된 정제수, 부침가루 및 김치부침개용 부재료를 분말상의 먹태와 함께 혼합하여 김치부침개 블록용 조성물을 제조한다.
본 발명에서 분말상의 먹태는 내장을 제거한 명태를 급속 동결건조시키고, 건조된 명태를 분말상으로 분쇄하는 단계에 의하여 제조된다. 급속 동결기에 명태를 넣어 급속 동결시킨다. 급속 동결의 온도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으나 약 -50 ℃ 이하에서 얼리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동결된 명태를 대략 10-5 내지 10-4 기압의 실질적인 진공상태로 만든 건조 챔버에 넣고 약 5 시간 이상 건조시키면 먹태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먹태'는 이와 같이 내장을 제거한 명태를 급속 동결건조하여 얻은 것을 일컫는다. 이렇게 얻은 먹태를 분쇄기에 넣어 분말 형태로 갈아서 만든 것이 분말상의 먹태이다.
정제수, 부침가루, 김치부침개용 부재료, 및 분말상의 먹태를 혼합하여 김치부침개 블록용 조성물을 얻은 다음, 이렇게 제조된 조성물을 숙성시키는 단계를 거친다. 숙성은 김치부침개 블록용 조성물을 직사광선이 차단된 장소에서 전용 숙성 용기를 사용하여 상온에서 48 시간 이상 공기중에 노출시킴으로써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전용 숙성 용기는 직사각형의 스테인레스 재질의 챔버 형태로, 내측면에는 편백에센셜오일을 도포하여 건조시킨 목재를 설치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전용 숙성 용기 내에서 숙성을 거치게 함으로써 급속 동결건조에 적합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편백에센셜오일은 침엽수과의 재패니즈 사이프러스를 증류법을 이용하여 추출한 것을 사용한다. 내측면의 목재는 바람직하게 편백나무를 사용한다. 편백나무의 표면에 편백에센셜오일을 도포하여 건조시키고, 필요에 따라 이 과정을 3 내지 4회 반복하여 제조된 목재를 전용 숙성 용기의 내측면과 바닥면에 스테인레스가 보이지 않게 부착하여 사용한다.
다음으로, 숙성된 김치부침개 블록용 조성물을 성형틀에 넣어 블록형태로 급속 동결건조하는 단계이다. 본 발명에서 김치부침개 블록의 크기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으나, 예들 들어 30 g 의 김치부침개 블록의 크기는 가로 6 cm, 세로 6 cm, 높이 2 cm 정도로 매우 가볍다.
이렇게 제조된 김치부침개 블록에 물을 부어주면 건조된 블록이 물을 흡수하면서 본래의 김치부침개 블록용 조성물과 같은 반죽 형태로 복원이 된다. 복원된 반죽을 프라이팬에서 기름을 치고 부쳐서 김치부침개를 손쉽게 만들 수 있다.
실시예
하기 표 1의 함량에 따라 정제수, 김치(에덴농산영농조합법인, 제품명: 설악산들바람 특선포기김치), 부침가루(곰표), 파, 부추, 김치부침개용 부재료 및 분말상의 먹태를 준비하였다.
[표 1] 제조예 1 내지 3 (단위 g)
Figure 112017123167945-pat00001
상기 제조예 1 내지 3에 따라 준비된 성분을 각각 용기에 넣어 3 분간 교반 기구를 이용하여 잘 혼합하여 반죽 형태의 김치부침개 블록용 조성물을 얻었다. 이들 조성물을 숙성시키기 위해 가로 50 cm x 세로 50 cm x 높이 50 cm 크기의 스테인레스 챔버를 준비하였다. 가로 10 cm x 세로 2 cm x 높이 50 cm 크기로 절단된 편백나무 목재를 준비하여 스테인레스 챔버의 바닥과 내벽 쪽에 부착시키고 편백나무 표면에는 편백에센셜오일을 빈틈없이 도포하여 자연 상태에서 건조시키는 것을 2 회 반복하여 전용 숙성 용기를 준비하였다. 전용 숙성 용기를 이용하여 제조예 1 내지 3에 따른 김치부침개 블록용 조성물을 각각 48 시간 동안 상온에서 숙성시킨 다음, 숙성된 조성물을 -50 ℃에서 급속 동결시키고 10-4 기압 상태의 진공 건조기에 넣어 5 시간 동안 건조시켜 각각 실시예 1 내지 3에 따른 김치부침개 블록을 얻었다.
영양소 함량 평가
이렇게 얻은 실시예 1의 김치부침개 블록의 영양소 함량을 측정하기 위해여 동해안해양생물자원연구센터에 의뢰하여 시험성적서를 받았다. 그 결과는 아래 표 2와 같다.
[표 2] 실시예 1의 영양소 함량
Figure 112017123167945-pat00002
성인의 단백질 하루 권장섭취량은 체중 1 kg 당 0.9 g이므로, 60 kg의 체중을 가진 사람은 하루 54 g의 섭취가 요구된다(출처: 두산백과). 그런데, 본 발명에 따른 김치부침개 블록에는 100 g 당 13.1 g의 단백질을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단 100 g의 섭취에도 하루 권장량의 약 24 퍼센트를 섭취할 수 있으므로 단백질 함량이 풍부하다는 점을 알 수 있다. 또한, 30, 40 대 남성의 하루 칼슘 권장섭취량은 800 mg 인데, 본 발명에 따른 김치부침개 블록 100 g 섭취하는 것으로 50.0 mg의 칼슘을 섭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관능평가
실시예 2 및 3에 따른 김치부침개 블록을 각각 30 g 당 물 100 ml를 넣어 물에 불려 김치부침개 반죽으로 복원하여, 프라이팬에 올려 김치부침개를 부쳤다. 비교실시예 1, 2로 상기 제조예 2, 3에 따른 성분을 혼합하여 김치부침개 반죽으로 만들어 프라이팬에 올려 김치부침개를 부쳤다. 이렇게 제조된 실시예 2, 3 및 비교실시예 1, 2에 따른 김치부침개를 자발적인 참여자 10 명을 선정하여, 이들에게 섭취하게 한 다음, 다음의 항목으로 평가 점수를 내리도록 하였다. 이들 김치부침개의 각 항목의 평가 기준에 따라 평가한 점수를 매우 우수(5점), 우수(4점), 보통(3점), 나쁨(2점), 매우 나쁨(1점)으로 하여, 10 명의 평균 점수를 소숫점 1자리 까지만 표기하였다.
[표 3]
Figure 112017123167945-pat00003
상기 표 3의 결과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김치부침개 블록을 이용하여 만든 김치부침개는 동결건조시키지 않은 반죽을 이용해서 만든 김치부침개와 비교하여도 조직감, 군내, 색상, 맛에서 큰 차이를 보이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설명은 본 발명의 이해를 위하여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할 뿐, 본 발명의 범위를 정하고자 하는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아래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하여지며 이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Claims (5)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김치부침개용 부재료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김치부침개용 부재료와 정제수를 분말상의 먹태와 함께 혼합하여 김치부침개 블록용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김치부침개 블록용 조성물을 숙성시키는 단계; 및
    숙성된 상기 김치부침개 블록용 조성물을 성형틀에 넣어 블록형태로 급속 동결건조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김치부침개용 부재료는 부추, 표고버섯, 양송이버섯, 새송이버섯, 두부, 마늘, 양파, 대파, 돼지고기, 닭고기, 새우, 참치, 조갯살 및 오징어의 2 종 이상의 혼합물이며,
    상기 김치부침개 블록용 조성물을 숙성시키는 단계는 상기 김치부침개 블록용 조성물을 직사광선이 차단된 전용 숙성 용기에서 48 시간 이상 상온에서 숙성시키는 과정을 포함하되,
    상기 전용 숙성 용기는 직사각형의 스테인레스 챔버의 바닥과 내벽 쪽에 편백에센셜오일을 3 내지 4회 반복하여 도포하여 건조시킨 편백나무를 부착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치부침개 블록의 제조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분말상의 먹태는
    내장을 제거한 명태를 급속 동결건조시키고,
    건조된 명태를 분말상으로 분쇄하는
    단계에 의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치부침개 블록의 제조 방법.
KR1020170169434A 2017-12-11 2017-12-11 동결건조 김치부침개 블록용 조성물 및 동결건조 김치부침개 블록 KR1020663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9434A KR102066326B1 (ko) 2017-12-11 2017-12-11 동결건조 김치부침개 블록용 조성물 및 동결건조 김치부침개 블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9434A KR102066326B1 (ko) 2017-12-11 2017-12-11 동결건조 김치부침개 블록용 조성물 및 동결건조 김치부침개 블록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9066A KR20190069066A (ko) 2019-06-19
KR102066326B1 true KR102066326B1 (ko) 2020-01-14

Family

ID=671047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9434A KR102066326B1 (ko) 2017-12-11 2017-12-11 동결건조 김치부침개 블록용 조성물 및 동결건조 김치부침개 블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632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4308B1 (ko) * 2020-12-11 2021-05-20 박반용 냉동 닭고기의 가공 방법
KR102281516B1 (ko) * 2020-12-16 2021-07-23 박반용 훈제 닭고기의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3546B1 (ko) * 2008-07-16 2013-05-13 (주)에프엔디 동결 건조된 해물 및 이를 포함하는 부침가루
KR101061640B1 (ko) * 2009-10-09 2011-09-01 씨제이제일제당 (주) 성형기의 사용을 가능하게 하는 부침개 반죽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부침개의 제조 방법
KR101296091B1 (ko) * 2010-12-08 2013-08-19 송천길 편백 기능성 첨가물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한 첨가물을 포함하는 식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9066A (ko) 2019-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6049756A2 (en) Process for retaining moisture in cooked food with peptide
KR102066326B1 (ko) 동결건조 김치부침개 블록용 조성물 및 동결건조 김치부침개 블록
KR101815815B1 (ko) 닭가슴살 분말을 이용한 고단백 천연발효 다이어트빵 제조 방법
KR101823308B1 (ko) 대게자숙장 제조방법
KR20140135041A (ko) 인조고기 식품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20125B1 (ko) 단백질과 칼슘이 풍부한 김치양념 블록용 조성물 및 김치양념 블록의 제조 방법
EP0445369A2 (en) Use of oil absorption reducing material for food cooked with fats and oils
KR20020026776A (ko) 육류성분이 다량 함유되는 밀가루 반죽 및 그 제조방법
KR101864141B1 (ko) 어묵 닭 강정 제조 방법
CN109601856A (zh) 一种特色云吞面配方及制作方法
KR20030059009A (ko) 천연 색상을 갖는 기능성 냉동어묵 및 그 제조방법
KR101304819B1 (ko) 식용가루를 이용한 어패류 분말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간편 조리용 식품
KR20140114090A (ko) 밥동그랑땡 조성물 및 밥동그랑땡의 제조 방법
JP3596381B2 (ja) 新規ながんもどき及びその製造法
RU2499446C1 (ru) Способ производства консервов "биточки особые с капустой и соусом сметанным с луком"
KR100481752B1 (ko) 내피를 포함한 밤가루가 첨가된 햄버거용 가공육
RU2299620C1 (ru) Способ производства консервов "голубцы с мясом"
JPH0414936B2 (ko)
RU2564141C1 (ru) Способ производства консервов "биточки с капустой и соусом сметанным с луком"
KR20230010017A (ko) 알러지 프리 어묵 제조 방법
EP0490296B1 (en) Meat and fish garnishes for soups
RU2568111C1 (ru) Способ производства консервов "биточки особые с капустой и соусом сметанным с луком"
RU2576163C1 (ru) Способ производства консервов "рыбные биточки с капустой в соусе сметанном с луком"
KR20150020155A (ko) 쌀고기 식품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Irianto et al. Post-harvest technology of Nile tilapia in Indonesia: a review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