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2603B1 - 송풍기, 실외기 및 냉동 사이클 장치 - Google Patents

송풍기, 실외기 및 냉동 사이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2603B1
KR102062603B1 KR1020187011360A KR20187011360A KR102062603B1 KR 102062603 B1 KR102062603 B1 KR 102062603B1 KR 1020187011360 A KR1020187011360 A KR 1020187011360A KR 20187011360 A KR20187011360 A KR 20187011360A KR 102062603 B1 KR102062603 B1 KR 1020626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wer
boss
wing
wing member
inclined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113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56741A (ko
Inventor
타쿠야 테라모토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0567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67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26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26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26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 F04D29/32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for axial flow pumps
    • F04D29/325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for axial flow pumps for axial flow fans
    • F04D29/329Details of the hub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DNON-POSITIVE 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e.g. STEAM TURBINES
    • F01D5/00Blades; Blade-carrying members; Heating, heat-insulating, cooling or antivibration means on the blades or the members
    • F01D5/12Blades
    • F01D5/14Form or construction
    • F01D5/141Shape, i.e. outer, aerodynamic for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25/08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working fluid being air, e.g. for venti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26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 F04D29/32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for axial flow pumps
    • F04D29/325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for axial flow pumps for axial flow f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26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 F04D29/32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for axial flow pumps
    • F04D29/38Blades
    • F04D29/384Blades characterised by for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58Cooling; Heating; Diminishing heat transfer
    • F04D29/582Cooling; Heating; Diminishing heat transfer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38Fan details of outdoor units, e.g. bell-mouth shaped inlets or fan mount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25/08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working fluid being air, e.g. for ventilation
    • F04D25/1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working fluid being air, e.g. for ventilation the unit being adapted for mounting in aper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26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 F04D29/32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for axial flow pumps
    • F04D29/321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for axial flow pumps for axial flow compressors
    • F04D29/324Blades

Abstract

송풍기(3)는 보스(30)와, 제1 날개부재(31)와, 제2 날개부재(32)를 구비하고 있다. 보스(30)는 축방향(A)의 제1단(30a) 및 제2단(30b)과, 제2단(30b)부터 제1단(30a)을 향하는 방향(B)으로 축방향(A)으로 늘어나는 축심(C)에 근접하도록 경사하는 경사면(30c)과, 경사면(30c)과 제2단(30b)의 사이에 배치된 외주면(30d)을 가지며, 또한 축심(C) 둘레로 회전 가능하다. 제1 날개부재(31)는 보스(30)의 외주면(30d)에 접속되어 있다. 제2 날개부재(32)는 경사면(30c) 및 경사면(30c)과 제1 날개부재(31)가 외주면(30d)에 접속된 접속부분(CP)의 사이에 배치된 외주면(30d)의 적어도 어느 하나에 접속되어 있다.

Description

송풍기, 실외기 및 냉동 사이클 장치
본 발명은, 송풍기, 실외기 및 냉동 사이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냉동 사이클 장치는 냉매 회로에 냉매를 순환시켜서 대상 공간 등의 가열, 냉각 등을 행한다. 이 냉동 사이클 장치는 실내기(실내 유닛)와 실외기(실외 유닛)를 구비하고 있는 것이 많다. 이 실외기는 날개(프로펠러)를 갖는 송풍기(프로펠러 팬)를 회전시켜서 공기의 흐름을 발생시킴에 의해 송풍(냉각, 배열 등)을 행한다.
종래의 송풍기에서는 날개(프로펠러)가 접속된 보스는 원통형상을 갖고 있다. 이 보스의 하류측의 단부는 평판으로 덮여 있다. 또한, 예를 들면 일본 특개평5-296495호 공보(특허 문헌 1)에는 보스의 하류측의 단부가 원추형상으로 구성된 축류 팬을 구비한 실외기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 문헌 1 : 일본 특개평5-296495호 공보
상기한 보스의 하류측의 단부가 평판으로 덮여 있는 경우에는 보스의 하류측으로 기류가 유입하기 어렵기 때문에 큰 박리영역이 발생한다. 이 때문에 보스의 하류측에서 큰 소용돌이가 발생한다. 이에 의해 압력 유량 특성의 저하 및 소음의 증대라는 문제가 생긴다. 또한, 상기 공보에 기재된 실외기에서는 원추형상에 따라 보스의 하류측으로 기류를 흘리는 것이 가능하다. 이 때문에 보스의 하류측에 발생하는 박리영역을 작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렇지만, 단순하게 보스의 하류측의 단부가 원추형상으로 구성된 것만으로는 원추형상에 따라 기류가 보스의 하류측에 충분히 흐르지 않는다. 이 때문에 보스의 하류측에 발생하는 박리영역을 충분히 작게 하는 것은 곤란하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보스의 하류측에 발생하는 박리영역을 충분히 작게 할 수 있는 송풍기, 실외기 및 냉동 사이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송풍기는 보스와, 제1 날개부재와, 제2 날개부재를 구비하고 있다. 보스는 축방향의 제1단 및 제2단과, 제2단부터 제1단을 향하는 방향으로 축방향으로 늘어나는 축심에 근접하도록 경사하는 경사면과, 경사면과 제2단의 사이에 배치된 외주면을 가지며, 또한 축심 둘레로 회전 가능하다. 제1 날개부재는 보스의 외주면에 접속되어 있다. 제2 날개부재는 경사면 및 경사면과 제1 날개부재가 외주면에 접속된 접속부분의 사이에 배치된 외주면의 적어도 어느 하나에 접속되어 있다.
본 발명의 송풍기에 의하면, 제1 날개부재의 회전에 의해 발생한 제2단부터 제1단을 향하는 방향의 기류를 제2 날개부재에 의해 정류할 수 있다. 이 때문에 경사면에 따라서 기류를 충분히 흘릴 수 있다. 이에 의해 보스의 하류측에 발생하는 박리영역을 충분히 작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관한 실외기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관한 실외기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관한 실외기의 팬 그릴을 벗겨낸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관한 실외기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관한 송풍기를 정면측에서 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관한 송풍기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관한 송풍기를 도시하는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관한 송풍기를 배면측에서 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의 변형례 1의 송풍기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의 변형례 2의 송풍기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의 변형례 3의 송풍기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의 변형례 4의 송풍기를 도시하는 정면도.
도 13은 비료례의 송풍기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4는 비료례의 실외기의 내부를 통과하는 기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관한 실외기의 내부를 통과하는 기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2에 관한 송풍기를 도시하는 정면도.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2의 변형례 1의 송풍기를 도시하는 정면도.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2의 변형례 2의 송풍기를 도시하는 정면도.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3에 관한 송풍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3에 관한 송풍기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3의 변형례 1의 송풍기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3의 변형례 1의 송풍기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23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3의 변형례 2의 송풍기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24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3의 변형례 2의 송풍기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25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4에 관한 송풍기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26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4에 관한 송풍기를 도시하는 정면도.
도 27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4의 변형례 1의 송풍기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28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4의 변형례 1의 송풍기를 도시하는 정면도.
도 29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5에 관한 송풍기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30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5에 관한 송풍기를 도시하는 정면도.
도 3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5의 변형례 1의 송풍기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32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5의 변형례 1의 송풍기를 도시하는 정면도.
도 33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6에 관한 송풍기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34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7에 관한 송풍기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35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8에 관한 송풍기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36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8의 변형례 1의 송풍기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37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9에 관한 공기 조화 장치의 구성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관해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실시의 형태 1)
우선,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서의 실외기의 구성에 관해 설명한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실외기의 한 예로서 공기 조화 장치의 실외기에 관해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의 형태의 실외기는 예를 들면 급탕기용의 실외기라도 좋고,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와 같은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관한 실외기를 정면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또한,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관한 실외기의 상면측에서 본 실외기의 내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실외기는 실외기 본체(1)와, 팬 그릴(2)과, 송풍기(3)와, 팬 모터(4)와, 칸막이판(5)과, 송풍기실(6)과, 기계실(7)과, 열교환기(8)와, 벨 마우스(9)를 주로 갖고 있다.
실외기 본체(1)는 제1 측면(1a), 전면(1b), 제2 측면(1c), 배면(1d), 상면(1e) 및 저면(1f)을 갖는 몸체로 구성되어 있다. 제1 측면(1a) 및 배면(1d)은 각각 외부로부터 실외기 본체(1) 내에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개구부분을 갖고 있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전면(1b)은 외부에 공기를 취출하는 취출구(1g)가 되는 개구부분을 갖고 있다. 취출구(1g)는 팬 그릴(2)로 덮여 있다. 팬 그릴(2)은, 물체 등과 송풍기(3)와의 접촉을 방지하여 안전을 도모하기 위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관한 실외기의 취출구(1g)를 덮는 팬 그릴(2)을 떼어낸 상태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실외기 본체(1) 내에 송풍기(3)가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송풍기(3)는 프로펠러 팬이다. 송풍기(3)는 보스(프로펠러 보스)(30), 제1 날개부재(31), 제2 날개부재(32)를 갖고 있다. 송풍기(3)는 보스(30)의 주위에 제1 날개부재(31) 및 제2 날개부재(32)를 갖고 있다.
송풍기(3)는 팬 모터(4)에 의해 회전 구동된다. 팬 모터(4)는 회전축(4a)을 통하여 송풍기(3)에 접속되어 있다. 팬 모터(4)는 회전축(4a)을 통하여 송풍기(3)에 회전 구동력을 전달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팬 모터(4)는 실외기 본체(1)의 전후 방향에서 송풍기(3)와 열교환기(8)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실외기 본체(1)의 내부는 칸막이판(5)에 의해 송풍기실(6)과 기계실(7)로 나뉘어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의 실외기 본체(1)의 내부 구성 등을 설명하기 위해 제1 측면(1a) 및 전면(1b)의 일부 등을 떼어낸 상태의 실외기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송풍기실(6)에는 송풍기(3), 팬 모터(4), 열교환기(8) 및 벨 마우스(9)가 설치되어 있다. 기계실(7)에는 압축기(10), 배관(11) 및 기판상자(12)가 설치되어 있다.
송풍기실(6) 내에서, 제1 측면(1a)과 배면(1d)의 내측에 개략 L자형상의 열교환기(8)가 설치되어 있다. 열교환기(8)는 송풍기(3)에 의해 인도된 공기와 열교환을 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열교환기(8)는 송풍기(3)의 흡입측에 배치되어 있다. 열교환기(8)는 제1 측면(1a) 및 배면(1d)의 각각과 송풍기(3)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열교환기(8)는 제1 측면(1a)과 배면(1d)에 걸쳐서 L자형상으로 마련되어 있다. 열교환기(8)는 판형상의 면이 평행하게 되도록 병설된 복수의 핀과, 그 병설 방향으로 각 핀을 관통하는 전열관을 갖고 있다. 이 전열관 내에는 냉매 회로를 순환한 냉매가 순환한다. 열교환기(8)에서는 전열관이 실외기 본체(1)의 제1 측면(1a)과 배면(1d)에 걸쳐서 L자형상으로 늘어나 있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복수단의 전열관이 핀을 관통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실외기 본체(1)의 전면(1b)에 벨 마우스(9)가 부착되어 있다. 벨 마우스(9)는 전면(1b)에 일체 또는 별체로서 부착되어 있어도 좋다. 벨 마우스(9)는 흡입측과 취출측을 구획하여 취출구(1g)의 부근의 풍로를 구성하는 것이다. 벨 마우스(9)는 취출구(1g)의 외주를 둘러싸도록 구성되어 있다. 벨 마우스(9)는 제1 날개부재(31)의 회전 방향에 따르도록 구성되어 있다. 벨 마우스(9)는 송풍기(3)의 지름방향에서 제1 날개부재(31)의 외주단보다 외측에 배치되어 있다. 실외기 본체(1)의 외측부터 벨 마우스(9)를 덮도록, 팬 그릴(2)이 실외기 본체(1)의 전면(1b)에 부착되어 있다.
열교환기(8)는 배관(11)을 통하여 압축기(10)에 접속되고, 공기 조화 장치의 냉매회로를 구성한다. 기판상자(12) 내에 설치된 제어 기판(13)에 의해 실외기내에 탑재된 기기가 제어된다.
계속해서 도 5∼도 8을 참조하여 본 실시의 형태의 송풍기(3)의 구성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의 송풍기(3)를 정면측(하류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또한,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의 송풍기(3)를 측면측에서 본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의 형태의 송풍기(3)는 보스(30)와, 제1 날개부재(31)와, 제2 날개부재(32)를 갖고 있다.
보스(30)는 송풍기(3)의 허브를 구성하고 있다. 보스(30)는 축방향(A)의 제1단(30a) 및 제2단(30b)과, 경사면(30c)과, 외주면(30d)을 갖고 있다. 제1단(30a)은, 제2단(30b)과 축방향(A)으로 대향하고 있다. 제1단(30a)은 평판 형상을 갖고 있다. 축심(C)은 축방향(A)으로 늘어난다. 보스(30)는 축심(C) 둘레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보스(30)는 축심(C) 둘레로 회전하는 축체이다.
경사면(30c)은, 제2단(30b)부터 제1단(30a)을 향하는 방향(B)으로 축심(C)에 근접하도록 경사한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경사면(30c)은 원추형상을 갖고 있다. 경사면(30c)은 외주면(30d)부터 제1단(30a)을 향하여 지름이 작아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외주면(30d)은 경사면(30c)과 제2단(30b)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외주면(30d)은 경사면(30c)에 접속되어 있다. 외주면(30d)은 원주형상을 갖고 있다. 외주면(30d)의 지름의 치수는 경사면(30c)의 지름의 치수 이상의 크기이다.
제1 날개부재(31)는 보스(30)의 외주면(30d)에 접속되어 있다. 제1 날개부재(31)는 보스(30)의 축심(C) 둘레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제1 날개부재(31)는 제2단(30b)부터 제1단(30a)을 향하는 방향(B)으로 송풍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즉, 제1 날개부재(31)는 보스(30)의 축심(C) 둘레로 회전함에 의해 보스(30)의 하류측으로 기류를 흘릴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1 날개부재(31)는 복수의 날개(31a)를 갖고 있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제1 날개부재(31)의 날개(31a)의 수는 예를 들면 3개이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제1 날개부재(31)의 복수의 날개(31a)는 각각 프로펠러이다.
제2 날개부재(32)는 보스(30)의 축심(C) 둘레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제2 날개부재(32)는 제2단(30b)부터 제1단(30a)을 향하는 방향(B)으로 송풍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즉, 제2 날개부재(32)는 보스(30)의 축심(C) 둘레로 회전함에 의해 보스(30)의 하류측으로 기류를 흘릴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구체적으로는 제2 날개부재(32)는 제2단(30b)부터 제1단(30a)을 향하는 방향(B)으로 단면적이 작아지도록 구성된 테이퍼를 갖고 있어도 좋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제2 날개부재(32)는 제1 날개(32a) 및 제2 날개(32b)를 갖고 있다. 제1 날개(32a) 및 제2 날개(32b)는 각각 복수개 마련되어 있다. 제1 날개(32a)의 수는 예를 들면 3개이다. 제2 날개(32b)의 수는 예를 들면 3개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의 송풍기(3)를 하류측 축방향에서 본 정면도이다. 도 5 및 도 7을 참조하면, 복수의 제1 날개(32a) 및 제2 날개(32b)는 각각 축방향(A)에서 보아 축심(C)을 중심으로 보스(30)의 둘레방향과 같은 각도로 떨어져서 배치되어 있다. 복수의 제1 날개(32a) 및 제2 날개(32b)는 각각 축방향(A)에서 보아 축심(C)을 중심으로 보스(30)의 둘레방향에 제1 날개부재(31)의 복수의 날개(31a)의 각각과 같은 각도로 배치되어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의 송풍기(3)를 상류측(공기 흡입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보스(30)는 중공형상을 갖고 있다. 즉, 보스(30)의 제1단(30a), 경사면(30c) 및 외주면(30d)은 각각 박육을 갖도록 구성되어 있고, 박육의 내측에 공간이 마련되어 있다. 보스(30)의 제2단(30b)에는 개구가 마련되어 있다.
재차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제1 날개(32a)는 경사면(30c)에 접속되어 있다. 제2 날개(32b)는 외주면(30d)에 접속되어 있다. 즉,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제2 날개부재(32)는 경사면(30c) 및 외주면(30d)의 양방에 접속되어 있다. 그렇지만, 본 실시의 형태는 이 구성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제2 날개부재(32)는 경사면(30c) 및 경사면(30c)과 제1 날개부재(31)가 외주면(30d)에 접속된 접속부분(CP)의 사이에 배치된 외주면(30d)의 적어도 어느 하나에 접속되어 있으면 된다.
즉, 도 9 및 도 10에 도시하는 본 실시의 형태의 변형례 1 및 변형례 2의 송풍기(3)와 같이 제2 날개부재(32)는 경사면(30c) 및 외주면(30d)의 어느 하나에 접속되어 있어도 좋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의 변형례 1의 송풍기(3)를 하류측(공기 취출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실시의 형태의 변형례 1의 송풍기(3)에서는 제2 날개부재(32)는 경사면(30c)에 접속되어 있고, 외주면(30d)에는 접속되어 있지 않다. 즉, 본 실시의 형태의 변형례 1에서는 제2 날개부재(32)는 경사면(30c)에만 접속되어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의 변형례 2의 송풍기(3)를 하류측(공기 취출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실시의 형태의 변형례 2의 송풍기(3)에서는 제2 날개부재(32)는 외주면(30d)에 접속되어 있고, 경사면(30c)에는 접속되어 있지 않다. 즉, 본 실시의 형태의 변형례 2에서는 제2 날개부재(32)는 외주면(30d)에만 접속되어 있다.
계속해서, 본 실시의 형태의 다른 변형례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에서는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 날개부재(32)가 제1 날개(32a) 및 제2 날개(32b)를 갖고 있는 경우에 관해 설명하였지만, 이 구성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즉, 제2 날개부재(32)는 더욱 날개를 갖고 있어도 좋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의 변형례 3의 송풍기(3)를 하류측(공기 취출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실시의 형태의 변형례 3의 송풍기(3)에서는 제2 날개부재(32)는 제1 날개(32a) 및 제2 날개(32b)에 더하여, 제3 날개(32c)를 갖고 있다. 제3 날개(32c)는 복수개 마련되어 있다. 제3 날개(32c)의 수는 예를 들면 3개이다. 제3 날개(32c)는 제1 날개(32a)와 제1단(30a)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제3 날개(32c)는 제1 날개(32a)보다도 보스(30)의 지름방향의 내측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의 변형례 4의 송풍기(3)를 하류측 축방향에서 본 정면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실시의 형태의 변형례 4의 송풍기(3)는 관통구멍(33)이 마련되어 있는 점에서 도 7에 도시하는 본 실시의 형태의 송풍기(3)와 다르다. 본 실시의 형태의 변형례 4의 송풍기(3)에서는 경사면(30c)에 관통구멍(33)이 마련되어 있다. 관통구멍(33)은 경사면(30c)을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고 있다. 관통구멍(33)은 복수개 마련되어 있다. 복수의 관통구멍(33)은 각각 복수의 제1 날개(32a)의 보스(30)의 지름방향의 외측에 배치되어 있다.
다음에 도 2, 도 3 및 도 13∼도 15를 참조하여, 본 실시의 형태의 실외기에서의 송풍 동작에 관해 비교례와 대비하여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의 형태의 실외기에서, 송풍기(3)가 회전하면, 실외기 본체(1)의 외부로부터 공기가 실외기 본체(1) 내에 흡입된다. 실외기 본체(1) 내에 흡입된 공기는 제1 측면(1a) 또는 배면(1d)에 따라 배치된 열교환기(8)를 통과한다. 이에 의해 공기와 열교환기(8) 내의 냉매의 사이에서 열교환이 행하여진다. 열교환기(8)에서 열교환이 행하여진 공기는 송풍기(3) 및 벨 마우스(9)를 통과하여, 취출구(1g)로부터 실외로 취출된다. 이때,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취출구(1g)로부터 실외로 인도되는 기류(氣流)(S)가 발생한다.
계속해서, 비교례와 대비하여 본 실시의 형태의 송풍기(3)를 통과하는 기류에 관해 설명한다. 도 13은, 비료례의 송풍기(3)를 하류측(공기 취출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비료례의 송풍기(3)는 도 5에 도시하는 경사면(30c) 및 제2 날개부재(32)를 갖지 않는 점에서 본 실시의 형태의 송풍기(3)와 다르다.
비료례의 송풍기(3)는 보스(130)와, 제1 날개부재(131)를 갖고 있다. 보스(130)는 선단면(130a)과, 외주면(130b)을 갖고 있다. 선단면(130a)은 평판으로 구성되어 있다. 선단면(130a)은 외주면(130b)의 선단에 접속되어 있다. 선단면(130a)은 보스(30)의 축심(C)에 직교하도록 외주면(130b)에 접속되어 있다. 즉, 선단면(130a)은 외주면(130b)에 직각으로 접속되어 있다.
도 14는 비료례의 실외기의 내부를 통과하는 기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비료례의 송풍기(3)에서는 보스(130)의 선단면(130a)과 외주면(130b)이 경사를 수반하지 않고, 직각으로 연결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제1 날개부재(131)의 회전에 의해 발생한 공기는 외주면(130b)에 따라 흐른 후, 선단면(130a)에서 박리한다. 이에 의해 송풍기(3)를 통과하는 기류의 방향에 있어서, 선단면(130a)의 하류측에 큰 박리영역(20)이 발생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관한 실외기의 내부를 통과하는 기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본 실시의 형태의 송풍기(3)에서는 보스(30)는 경사면(30c)을 갖고 있다. 경사면(30c)은 하류를 향함에 따라 축심(C)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경사하고 있다. 따라서 제1 날개부재(31)의 회전에 의해 발생한 공기가, 외주면(30d)으로부터 경사면(30c)에 따라 흐름에 의해 보스(30)의 하류측에 발생하는 박리영역은 작아진다.
또한, 본 실시의 형태의 송풍기(3)에서는 경사면(30c)에 제1 날개(32a)가 접속되어 있고, 외주면(30d)에 제2 날개(32b)가 접속되어 있다. 이 경사면(30c) 및 외주면(30d)의 양방에 마련된 제2 날개부재(32)의 회전에 의해 제2 날개부재(32)가 회전하는 영역은 부압이 된다. 이 때문에 제2 날개부재(32)가 회전하는 영역으로 기류가 유입한다. 이에 의해 경사면(30c) 및 외주면(30d)을 향하여 기류가 끌어당겨진다. 따라서 제1 날개부재(31)의 회전에 의해 발생한 기류는 경사면(30c) 및 외주면(30d)을 향하여 끌어당겨지면서 보스(30)의 하류에 흐른다. 이와 같이 하여, 제1 날개부재(31)의 회전에 의해 발생한 기류가 제2 날개부재(32)에 의해 정류된다. 이에 의해 경사면(30c)에 따라 보스(30)의 하류로 흐르는 기류가 증가한다. 따라서 경사면(30c)에 따라 기류가 충분히 흐르게 되기 때문에 보스(30)의 하류측에 발생하는 박리영역(20)이 더욱 작아진다.
다음에 본 실시의 형태의 작용 효과에 관해 설명한다.
본 실시의 형태의 송풍기(3)에 의하면, 제1 날개부재(31)의 회전에 의해 제2단(30b)부터 제1단(30a)을 향하는 방향(B)으로 기류가 발생한다. 제2 날개부재(32)의 회전에 의해 제2 날개부재(32)가 회전하는 영역은 부압이 되기 때문에 제2 날개부재(32)가 회전하는 영역으로 기류가 유입한다. 이에 의해 보스(30)를 향하여 기류가 끌어당겨진다. 따라서 제1 날개부재(31)의 회전에 의해 발생한 기류는 보스(30)를 향하여 끌어당겨지면서 제2단(30b)부터 제1단(30a)을 향하는 방향으로 흐른다. 이와 같이 하여, 제1 날개부재(31)의 회전에 의해 발생한 제2단(30b)부터 제1단(30a)을 향하는 방향의 기류를 제2 날개부재(32)에 의해 정류할 수 있다. 이에 의해 경사면(30c)에 따라 보스(30)의 하류측으로 흐르는 기류가 증가한다. 따라서 경사면(30c)에 따라 기류를 충분히 흘릴 수 있다. 그 때문에 보스(30)의 하류측에 발생하는 박리영역(20)을 충분히 작게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보스(30)의 하류측에서 소용돌이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소용돌이의 발생에 의한 압력 유량 특성의 손실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소용돌이의 발생에 의한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다.
제2 날개부재(32)가 경사면(30c) 및 경사면(30c)과 제1 날개부재(31)가 외주면(30d)에 접속된 접속부분(CP)의 사이에 배치된 외주면(30d)의 적어도 어느 하나에 접속되어 있으면, 상기한 작용 효과를 이룰 수 있다. 따라서 도 5에 도시하는 본 실시의 형태의 송풍기(3)와 같이 제2 날개부재(32)가 경사면(30c) 및 외주면(30d)의 양방에 접속된 경우에 상기한 작용 효과를 이룰 수 있다. 또한, 도 9에 도시하는 본 실시의 형태의 변형례 1의 송풍기(3)와 같이 제2 날개부재(32)가 경사면(30c)에만 접속된 경우에도 상기한 작용 효과를 이룰 수 있다. 또한, 도 10에 도시하는 본 실시의 형태의 변형례 2와 같이 제2 날개부재(32)가 외주면(30d)에만 접속된 경우도 상기한 작용 효과를 이룰 수 있다.
또한, 도 11에 도시하는 본 실시의 형태의 변형례 3의 송풍기(3)에서는 제2 날개부재(32)는 제1 날개(32a) 및 제2 날개(32b)에 더하여 제3 날개(32c)를 갖고 있기 때문에 제1 날개(32a) 및 제2 날개(32b)만인 경우에 비하여, 보스(30)를 향하여 기류를 더욱 끌어당길 수 있다.
또한, 도 12에 도시하는 본 실시의 형태의 변형례 4의 송풍기(3)에서는 경사면(30c)에서 제1 날개(32a)의 보스(30)의 지름방향의 외측에 관통구멍(33)이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기류를 보스(30)의 내부로부터 관통구멍(33)을 통과하여 보스(30)의 하류를 향하여 흘릴 수 있다. 이에 의해 더욱 송풍 효율을 올릴 수 있다.
본 실시의 형태의 실외기는 상기한 송풍기(3)와, 열교환기(8)를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송풍기(3)의 보스(30)의 하류측에 발생하는 박리영역(20)을 충분히 작게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보스(30)의 하류측에서 소용돌이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소용돌이의 발생에 의한 압력 유량 특성의 손실을 저감시킬 수 있는 실외기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소용돌이의 발생에 의한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는 실외기를 얻을 수 있다.
(실시의 형태 2)
이하, 특히 설명하지 않는 한, 상기한 실시의 형태 1과 같은 구성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반복하지 않는다. 또한, 이에 관해서는 하기한 실시의 형태 3∼6에 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2의 송풍기(3)를 하류측 축방향에서 본 정면도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2의 송풍기(3)에서는 제2 날개부재(32)는 원심날개 형상을 갖고 있다. 여기서, 원심날개 형상이란, 날개의 보스(30)의 축심(C)으로부터의 거리가 보스(30)의 지름방향의 내측부터 외측을 향하여 연속적으로 변화하는 형상이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제2 날개부재(32)는 제1 날개(32a) 및 제2 날개(32b)를 갖고 있다. 제1 날개(32a) 및 제2 날개(32b)는 모두 원심날개 형상을 갖고 있다.
제2 날개부재(32)는 익형날개 형상을 갖고 있어도 좋다. 여기서, 익형날개 형상이란, 날개의 두께가, 보스(30)의 축심(C) 둘레로 날개의 선단부로부터 날개의 중앙부를 향하여 서서히 증가하고, 날개의 중앙부로부터 날개의 후단부를 향하여 서서히 감소하는 형상이다.
계속해서,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2의 송풍기(3)의 변형례에 관해 설명한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2의 변형례 1의 송풍기(3)를 하류측 축방향에서 본 정면도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2의 변형례 1의 송풍기(3)에서는 제2 날개부재(32)가 평판 형상을 갖고 있는 점에서 도 16에 도시하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2의 송풍기(3)와 다르다.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2의 변형례 1의 송풍기에서는 제2 날개부재(32)의 제2 날개(32b)는 평판 형상을 갖고 있다. 이 평판 형상은, 경사면(30c)과 제1 날개부재(31)가 외주면(30d)에 접속된 접속부분(CP)의 사이에서 축심(C)에 따라 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2의 변형례 1의 송풍기(3)에서는 제2 날개(32b)는 5개 마련되어 있다. 5개의 제2 날개(32b)는 축심(C)을 중심으로 보스(30)의 둘레방향으로 동등한 각도로 떨어져서 배치되어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2의 변형례 2의 송풍기(3)를 하류측 축방향에서 본 정면도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2의 변형례 2의 송풍기(3)는 관통구멍(33)이 마련되어 있어도 좋다.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2의 변형례 2의 송풍기(3)에서는 경사면(30c)에 관통구멍(33)이 마련되어 있다. 관통구멍(33)은 경사면(30c)을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고 있다. 관통구멍(33)은 복수개 마련되어 있다. 복수의 관통구멍(33)은 각각 복수의 제1 날개(32a)의 보스(30)의 지름방향의 외측에 배치되어 있다.
계속해서, 본 실시의 형태의 작용 효과에 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2, 변형례 1 및 변형례 2의 송풍기(3)에서도, 실시의 형태 1의 송풍기(3)와 마찬가지로 보스(30)의 하류측에 발생하는 박리영역(20)을 충분히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제2 날개부재(32)는 원심날개 형상을 갖고 있기 때문에 원심날개 형상에 의해 보스(30)의 하류측으로 흐르는 기류를 정류할 수 있다.
또한, 도 18에 도시하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2의 변형례 2의 송풍기(3)에서는 경사면(30c)에서 제1 날개(32a)의 보스(30)의 지름방향의 외측에 관통구멍(33)이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기류를 보스(30)의 내부로부터 관통구멍(33)을 통과하여 보스(30)의 하류를 향하여 흘릴 수 있다. 이에 의해 더욱 송풍 효율을 올릴 수 있다.
(실시의 형태 3)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3의 송풍기(3)를 하류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3의 송풍기(3)를 측면측에서 본 도면이다. 도 19 및 도 2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3의 송풍기(3)에서는 제2 날개부재(32)는 프로펠러 날개 형상을 갖고 있다. 여기서, 프로펠러 날개 형상이란, 보스(30)의 축방향(A)으로 늘어나는 축심(C)에 대해 날개가 기울어지는 형상이다. 이 프로펠러 날개 형상은, 보스(30)의 축심(C) 둘레의 회전에 의해 제2단(30b)부터 제1단(30a)을 향하는 방향(B)으로 기류를 흘릴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3에서는 제2 날개부재(32)는 제1 날개(32a) 및 제2 날개(32b)를 갖고 있다. 제1 날개(32a)는 프로펠러 날개 형상을 갖고 있다. 제1 날개(32a)는 경사면(30c)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제1 날개(32a)는 익형날개 형상을 갖고 있어도 좋다.
계속해서,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3의 송풍기(3)의 변형례에 관해 설명한다.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3의 변형례 1의 송풍기(3)를 하류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3의 변형례 1의 송풍기(3)를 측면측에서 본 도면이다. 도 21 및 도 2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3의 변형례 1의 송풍기(3)는 관통구멍(33)이 마련되어 있어도 좋다.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3의 변형례 2의 송풍기(3)에서는 경사면(30c)에 관통구멍(33)이 마련되어 있다. 관통구멍(33)은 경사면(30c)을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고 있다. 관통구멍(33)은 복수개 마련되어 있다. 복수의 관통구멍(33)은 각각 복수의 제1 날개(32a)의 보스(30)의 지름방향의 외측에 배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관통구멍(33)은 제1 날개(32a)와 경사면(30c)과의 접속부분보다도 보스(30)의 지름방향의 외측에 배치되어 있다.
도 23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3의 변형례 2의 송풍기(3)를 하류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3의 변형례 2의 송풍기(3)를 측면측에서 본 도면이다. 도 23 및 도 2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3의 변형례 2의 송풍기(3)는 제2 날개부재(32)의 제1 날개(32a)의 형상이 도 19 및 도 20에 도시하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3과 다르다.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3의 변형례 2의 송풍기(3)에서는 제1 날개(32a)는 외주면(30d)부터 제2단(30b)부터 제1단(30a)을 향하는 방향(B)으로 돌출하고 있다.
계속해서, 본 실시의 형태의 작용 효과에 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3, 변형례 1 및 변형례 2의 송풍기(3)에서도, 실시의 형태 1의 송풍기(3)와 마찬가지로 보스(30)의 하류측에 발생하는 박리영역(20)을 충분히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제2 날개부재(32)는 경사면(30c)에 배치된 프로펠러 날개 형상을 갖고 있기 때문에 프로펠러 날개 형상에 의해 보스(30)의 하류측으로 흐르는 기류를 정류할 수 있다.
또한, 제2 날개부재(32)는 프로펠러 날개 형상을 갖고 있기 때문에 보스(30)의 축심(C) 둘레로 제2 날개부재(32)의 제1 날개(32a)가 회전함에 의해 제1 날개부재(31)의 날개(31a)와 마찬가지로 압력 상승을 얻을 수 있다. 이 때문에 제2단(30b)부터 제1단(30a)을 향하는 방향(B)으로 흐르는 기류가 증가한다. 이에 의해 보스(30)의 하류측에 발생하는 박리영역(20)을 충분히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도 21 및 도 22에 도시하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3의 변형례 1의 송풍기(3)에서는 경사면(30c)에서 제1 날개(32a)의 보스(30)의 지름방향의 외측에 관통구멍(33)이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기류를 보스(30)의 내부로부터 관통구멍(33)을 통과하여 보스(30)의 하류를 향하여 흘릴 수 있다. 이에 의해 더욱 송풍 효율을 올릴 수 있다.
(실시의 형태 4)
도 25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4의 송풍기(3)를 하류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4의 송풍기(3)를 하류측 축방향에서 본 정면도이다. 도 25 및 도 2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4의 송풍기(3)에서는 보스(30) 및 제2 날개부재(32)의 구성이 실시의 형태 1의 송풍기(3)와 다르다.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4의 송풍기(3)에서는 보스(30)와 제2 날개부재(32)가 일체적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단(30a) 및 제2단(30b)은 개략 삼각형상을 갖고 있다. 보스(30)는 제1단(30a)의 개략 삼각형상의 내접원과 제2단(30b)의 개략 삼각형상의 내접원을 연결하는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보스(30)는 도면 중 점선으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단(30a)부터 외주면(30d)을 향하여 지름이 커지는 원주형상을 갖고 있다. 이 원주형상의 표면이 경사면(30c)을 규정하고 있다.
제2 날개부재(32)는 경사면(30c) 및 외주면(30d)과 연속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제2 날개부재(32)와 경사면(30c) 및 외주면(30d)이 연속적으로 연결됨에 의해 원호날개가 마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4의 송풍기(3)에서는 3개의 원호날개가 마련되어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4의 송풍기(3)에서는 다원호날개가 마련되어 있다.
제2 날개부재(32)는 제1 날개(32a) 및 제2 날개(32b)를 갖고 있다. 제1 날개(32a)는 경사면(30c)과 연속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제1 날개(32a) 및 경사면(30c)은 연속적인 곡면을 구성하고 있다. 제1 날개(32a)는 제2단(30b)부터 제1단(30a)을 향하는 방향(B)으로 단면적이 작아지도록 경사하고 있다. 제2 날개(32b)는 외주면(30d)과 연속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제2 날개(32b) 및 외주면(30d)은 연속적인 곡면을 구성하고 있다. 제1 날개(32a)는 제2 날개(32b)와 축방향(A)으로 접속되어 있다. 또한, 제2 날개(32b)는 제2단(30b)부터 제1단(30a)을 향하는 방향(B)으로 단면적이 작아지도록 경사하고 있어도 좋다.
계속해서,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4의 송풍기(3)의 변형례에 관해 설명한다.
도 27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4의 변형례 1의 송풍기(3)를 하류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28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4의 변형례 1의 송풍기(3)를 하류측 축방향에서 본 정면도이다. 도 27 및 도 2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4의 송풍기(3)의 변형례 1에서는 제2 날개부재(32)는 제1 날개(32a) 및 제2 날개(32b)에 더하여, 제3 날개(32c)를 갖고 있다. 제3 날개(32c)는 경사면(30c)에 접속되어 있다. 제3 날개(32c)는 경사면(30c)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하고 있다. 제3 날개(32c)는 제2단(30b)부터 제1단(30a)을 향하는 방향(B)으로 폭이 넓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3 날개(32c)는 원심날개 형상을 갖고 있어도 좋다. 또한, 제3 날개(32c)는 익형날개 형상을 갖고 있어도 좋다.
계속해서, 본 실시의 형태의 작용 효과에 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4 및 변형례 1의 송풍기(3)에서도, 실시의 형태 1의 송풍기(3)와 마찬가지로 보스(30)의 하류측에 발생하는 박리영역(20)을 충분히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제2 날개부재(32)는 경사면(30c) 및 외주면(30d)과 연속적으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보스(30)의 축심(A) 둘레로 제2 날개부재(32)가 회전함에 의해 높은 압력 상승을 얻을 수 있다. 이에 의해 공기의 흐름이 생기기 때문에 보스(30)의 하류측으로 흐르는 기류를 증가할 수 있다.
또한, 도 27 및 도 28에 도시하는 본 실시의 형태의 변형례 1의 송풍기(3)에서는 제2 날개부재(32)는 제1 날개(32a) 및 제2 날개(32b)에 더하여 제3 날개(32c)를 갖고 있기 때문에 제1 날개(32a) 및 제2 날개(32b)만인 경우에 비하여, 보스(30)를 향하여 기류를 더욱 끌어당길 수 있다.
(실시의 형태 5)
도 29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5의 송풍기(3)를 하류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30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5의 송풍기(3)를 하류측 축방향에서 본 정면도이다. 도 29 및 도 3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5의 송풍기(3)에서는 보스(30) 및 제2 날개부재(32)의 구성이 실시의 형태 1의 송풍기(3)와 다르다.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5의 송풍기(3)에서는 보스(30)와 제2 날개부재(32)가 일체적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2단(30b)은 개략 삼각형상을 갖고 있다. 보스(30)는 경사면(30c) 및 외주면(30d)을 갖고 있다. 보스(30)는 원주형상을 갖고 있다. 이 원주형상의 표면이 외주면(30d)을 규정하고 있다. 경사면(30c)은, 제2단(30b)부터 제1단(30a)을 향하는 방향(B)으로 외주면(30d)에 접속되어 있다.
제2 날개부재(32)는 외주면(30d)과 연속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제2 날개부재(32)와 외주면(30d)이 연속적으로 연결됨에 의해 원호날개가 마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5의 송풍기(3)에서는 3개의 원호날개가 마련되어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5의 송풍기(3)에서는 다원호날개가 마련되어 있다.
제2 날개부재(32) 및 외주면(30d)는 연속적인 곡면을 구성하고 있다. 또한, 제2 날개부재(32)는 제2단(30b)부터 제1단(30a)을 향하는 방향(B)으로 단면적이 작아지도록 경사하고 있어도 좋다.
계속해서,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5의 송풍기(3)의 변형례에 관해 설명한다.
도 3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5의 변형례 1의 송풍기(3)를 하류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32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5의 변형례 1의 송풍기(3)를 하류측 축방향에서 본 정면도이다. 도 31 및 도 3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5의 송풍기(3)의 변형례 1에서는 제2 날개부재(32)는 제1 날개(32a) 및 제2 날개(32b)를 갖고 있다. 제1 날개(32a)는 경사면(30c)에 접속되어 있다. 제1 날개(32a)는 경사면(30c)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하고 있다. 제1 날개(32a)는 제2단(30b)부터 제1단(30a)을 향하는 방향(B)으로 폭이 넓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1 날개(32a)는 원심날개 형상을 갖고 있어도 좋다. 또한, 제1 날개(32a)는 익형날개 형상을 갖고 있어도 좋다. 제2 날개(32b) 및 외주면(30d)은 연속적인 곡면을 구성하고 있다. 또한, 제2 날개(32b)는 제2단(30b)부터 제1단(30a)을 향하는 방향(B)으로 단면적이 작아지도록 경사하고 있어도 좋다.
계속해서, 본 실시의 형태의 작용 효과에 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5 및 변형례 1의 송풍기(3)에서도, 실시의 형태 1의 송풍기(3)와 마찬가지로 보스(30)의 하류측에 발생하는 박리영역(20)을 충분히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제2 날개부재(32)는 외주면(30d)과 연속적으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보스(30)의 축심(A) 둘레로 제2 날개부재(32)가 회전함에 의해 높은 압력 상승을 얻을 수 있다. 이에 의해 공기의 흐름이 생기기 때문에 보스(30)의 하류측으로 흐르는 기류를 증가할 수 있다.
또한, 도 31 및 도 32에 도시하는 본 실시의 형태의 변형례 1의 송풍기(3)에서는 제2 날개부재(32)는 제1 날개(32a) 및 제2 날개(32b)를 갖고 있기 때문에 제2 날개(32b)만인 경우에 비하여 보스(30)를 향하여 기류를 더욱 끌어당길 수 있다.
(실시의 형태 6)
도 33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6의 송풍기(3)를 상류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33을 참조하면,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보스(30)는 중공 형상을 갖고 있고, 송풍기(3)의 강도를 확보하기 위한 리브(30g)를 갖고 있다.
보스(30)는 중앙부(30e)와, 외주부(30f)와, 리브(30g)를 갖고 있다. 중앙부(30e)는 보스(30)의 축방향(A)에 교차하는 지름방향(R)의 중앙에 배치되어 있다. 외주부(30f)는 보스(30)의 축방향(A)에 교차하는 지름방향(R)에서 중앙부(30e)의 외측에 간극(SP)을 띄워서 배치되어 있다. 리브(30g)는 간극(SP)에 배치되어 있다. 리브(30g)는 지름방향(R)으로 중앙부(30e)와 외주부(30f)를 연결하고 있다. 리브(30g)는 지름방향(R)으로 늘어나 있다. 리브(30g)는 보스(30)의 둘레방향에서 보스(30)와 제1 날개부재(31)의 날개(31a)의 접속부분에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계속해서, 본 실시의 형태의 작용 효과에 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6의 송풍기(3)에서도, 실시의 형태 1의 송풍기(3)와 마찬가지로 보스(30)의 하류측에 발생하는 박리영역(20)을 충분히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6의 송풍기(3)에 의하면, 지름방향(R)으로 중앙부(30e)와 외주부(30f)를 연결하는 리브(30g)에 의해 송풍기(3)의 강도를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보스(30)의 둘레방향에서 보스(30)와 제1 날개부재(31)의 날개(31a)의 접속부분에 리브(30g)가 배치됨에 의해 가장 응력이 집중하는 보스(30)와 제1 날개부재(31)의 날개(31a)의 접속부분을 보강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송풍기(3)의 강도의 향상을 유효적으로 도모할 수 있다.
(실시의 형태 7)
도 34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7의 송풍기(3)를 측면측에서 본 도면이다. 도 3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7의 송풍기(3)에서는 보스(30)의 하류측의 단부가 보스(30)와 제1 날개부재(31)와의 접속부분(CP)보다도 하류측에 위치하고 있다. 즉, 제2단(30b)부터 제1단(30a)을 향하는 방향(B)에서, 보스(30)와 제1 날개부재(31)와의 접속부분(CP)보다도 보스(30)의 제1단(30a)의 근처에 경사면(30c)이 배치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7의 송풍기(3)에서도, 실시의 형태 1의 송풍기(3)와 마찬가지로 보스(30)의 하류측에 발생하는 박리영역(20)을 충분히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7의 송풍기에 의하면, 보스(30)의 하류측의 단부가 보스(30)와 제1 날개부재(31)와의 접속부분(CP)보다도 하류측에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제1 날개부재(31)로부터 하류측으로 흐르는 기류가 외주면(30d) 및 경사면(30c)에 따라 흐른다. 이 때문에 기류가 보스(30)로부터 박리하는 것이 억제된다. 따라서 기류의 흐트러짐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압력 풍량 특성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실시의 형태 8)
도 35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8의 송풍기(3)를 측면측에서 본 도면이다. 도 3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8의 송풍기(3)에서는 보스(30)의 하류측의 단부가, 보스(30)와 제1 날개부재(31)와의 접속부분(CP)보다도 하류측에 위치하고 있고, 또한 보스(30)의 하류측의 단부가 제1 날개부재(31)의 가장 하류측에 있는 연부(緣部)와 같은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즉, 제2단(30b)부터 제1단(30a)을 향하는 방향(B)에서, 제1 날개부재(31)의 연부는 보스(30)의 제1단(30a)과 같은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도 35에서는 제1 날개부재(31)의 가장 하류측에 있는 연부의 위치를 선(L)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 36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8의 변형례 1의 송풍기(3)를 측면측에서 본 도면이다. 도 3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8의 변형례 1의 송풍기(3)에서는 보스(30)의 하류측의 단부가, 보스(30)와 제1 날개부재(31)와의 접속부분(CP)보다도 하류측에 위치하고 있고, 또한 보스(30)의 하류측의 단부가 제1 날개부재(31)의 가장 하류측에 있는 연부보다도 하류측에 위치하고 있다. 즉, 제2단(30b)부터 제1단(30a)을 향하는 방향(B)에서, 제1 날개부재(31)의 연부는 보스(30)의 제1단(30a)의 위치보다도 제2단(30b)측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도 36에서는 제1 날개부재(31)의 가장 하류측에 있는 연부의 위치를 선(L)으로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8 및 변형례 1의 송풍기(3)에서도, 실시의 형태 1의 송풍기(3)와 마찬가지로 보스(30)의 하류측에 발생하는 박리영역(20)을 충분히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제2단(30b)부터 제1단(30a)을 향하는 방향(B)에서, 제1 날개부재(31)의 연부는 보스(30)의 제1단(30a)의 위치보다도 제2단(30b)측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제1 날개부재(31)로부터 하류측으로 흐르는 기류가 더욱 외주면(30d) 및 경사면(30c)에 따라 흐른다. 이 때문에 기류가 보스(30)로부터 박리하는 것이 더욱 억제된다. 따라서 기류의 흐트러짐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압력 풍량 특성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실시의 형태 9)
도 37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9에 관한 공기 조화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3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9에서는 상술한 송풍기(3) 등을 구비하는 실외기(100)를 갖는 냉동 사이클 장치에 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9에서는 냉동 사이클 장치의 한 예로서, 공기 조화 장치에 관해 설명한다.
공기 조화 장치는 실외기(100)와, 실내기(200)를 구비하고, 이들이 냉매 배관으로 연결되어, 냉매 회로를 구성하여 냉매를 순환시키고 있다. 냉매 배관 중, 기체의 냉매(가스 냉매)가 흐르는 배관을 가스 배관(300)으로 하고, 액체의 냉매(액냉매. 기액 2상 냉매인 경우도 있다)가 흐르는 배관을 액배관(400)이라고 한다.
실외기(100)는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압축기(101), 4방밸브(102), 실외측 열교환기(103), 실외측 송풍기(104), 조임 장치(팽창밸브)(105)를 갖고 있다.
압축기(101)는 흡입한 냉매를 압축하여 토출한다. 여기서, 압축기(101)는 인버터 장치 등을 구비하고, 운전 주파수를 임의로 변화시킴에 의해 압축기(101)의 용량(단위시간당의 냉매를 송출하는 양)을 세밀하게 변화시킬 수 있는 것으로 한다. 4방밸브(102)는 제어 장치(도시 생략)로부터의 지시에 의거하여 냉방 운전시와 난방 운전시에 의해 냉매의 흐름을 전환한다.
또한, 실외측 열교환기(103)는 냉매와 공기(실외의 공기)와의 열교환을 행한다. 예를 들면, 난방 운전시에서는 증발기로서 기능하여, 액배관(400)으로부터 유입한 저압의 냉매와 공기와의 열교환을 행하여, 냉매를 증발시켜, 기화시킨다. 또한, 냉방 운전시에서는 응축기로서 기능하여, 4방밸브(102)측부터 유입한 압축기(101)에서 압축된 냉매와 공기와의 열교환을 행하여, 냉매를 응축하여 액화시킨다. 실외측 열교환기(103)에는 냉매와 공기와의 열교환을 효율적으로 행하기 위해 상술한 실시의 형태 1∼8에서 설명한 송풍기(8) 등을 갖는 실외측 송풍기(104)가 마련되어 있다. 실외측 송풍기(104)에 대해서도, 인버터 장치에 의해 팬 모터의 운전 주파수를 임의로 변화시켜서 송풍기(3)의 회전 속도를 세밀하게 변화시키도록 하여도 좋다. 조임 장치(105)는 개방도를 변화시킴으로써, 냉매의 압력 등을 조정하기 위해 마련한다.
한편, 실내기(200)는 부하측 열교환기(201) 및 부하측 송풍기(202)를 갖고 있다. 부하측 열교환기(201)는 냉매와 공기와의 열교환을 행한다. 예를 들면, 난방 운전시에서는 응축기로서 기능하여, 가스 배관(300)으로부터 유입한 냉매와 공기와의 열교환을 행하여, 냉매를 응축시켜서 액화(또는 기액 2상화)시켜, 액배관(400)측으로 유출시킨다. 한편, 냉방 운전시에서는 증발기로서 기능하여, 예를 들면 조임 장치(105)에 의해 저압 상태가 된 냉매와 공기와의 열교환을 행하여, 냉매에 공기의 열을 빼앗게 하여 증발시켜서 기화시켜, 가스 배관(300)측으로 유출시킨다. 또한, 실내기(200)에는 열교환을 행하는 공기의 흐름을 조정하기 위한 부하측 송풍기(202)가 마련되어 있다. 이 부하측 송풍기(202)의 운전 속도는 예를 들면 이용자의 설정에 의해 결정된다. 특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부하측 송풍기(202)에도 실시의 형태 1∼8에서 설명한 송풍기를 이용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실시의 형태의 냉동 사이클은, 압축기(101)와, 실외측 열교환기(응축기103)와, 조임 장치(105)와, 부하측 열교환기(증발기)(201)를 서로 배관으로 접속한 냉동 회로를 구성하고 있다. 압축기(101)는 흡입한 냉매를 압축하여 토출한다. 응축기(103)는 압축기(101)로부터 토출된 냉매와 열교환을 행함에 의해 냉매를 응축시킨다. 조임 장치(105)는 응축기(103)에서 응축된 냉매를 감압시킨다. 증발기(201)는 조임 장치(105)에서 감압된 냉매와 열교환을 행함에 의해 냉매를 증발시킨다. 실시의 형태 1의 실외기가 응축기(103) 및 증발기(201)의 어느 하나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의 형태 9의 냉동 사이클 장치에서는 실시의 형태 1∼8에서 설명한 송풍기(3)를 실외기(100)에 이용함으로써, 보스(30)의 하류측에 발생하는 박리영역(20)을 충분히 작게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보스(30)의 하류측에서 소용돌이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소용돌이의 발생에 의한 압력 유량 특성의 손실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소용돌이의 발생에 의한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활용례로서, 냉동 사이클 장치를 구성하는 실외기, 예를 들면 공기 조화기나 급탕기 등의 실외기, 기타, 송풍기가 설치되는 각종 장치나 설비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의 송풍기가 설치되는 각종 장치나 설비 등에 본 발명을 널리 이용할 수 있다.
금회 개시된 실시의 형태는 모든 점에서 예시이고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고 생각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한 설명이 아니라 청구의 범위에 의해 나타나고, 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의미 및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이 포함되는 것이 의도된다.
1 : 실외기 본체 2 : 팬 그릴
3 : 송풍기 4 : 팬 모터
5 : 칸막이판 6 : 송풍기실
7 : 기계실 8 : 열교환기
9 : 벨 마우스 10, 101 : 압축기
11 : 배관 12 : 기판상자
13 : 제어 기판 20 : 박리영역
30 : 보스 30a : 제1단
30b : 제2단 30c : 경사면
30d : 외주면 30e : 중앙부
30f : 외주부 30g : 리브
31 : 제1 날개부재 31a : 날개
32 : 제2 날개부재 32a : 제1 날개
32b : 제2 날개 32c : 제3 날개
33 : 관통구멍 100 : 실외기
102 : 4방밸브 103 : 실외측 열교환기
104 : 실외측 송풍기 105 : 조임 장치
200 : 실내기 201 : 부하측 열교환기
202 : 부하측 송풍기 300 : 가스 배관
400 : 액배관 A : 축방향
B : 제2단부터 제1단을 향하는 방향
C : 축심 CP : 접속부분
R : 지름방향 S : 기류
SP : 간극

Claims (9)

  1. 축방향의 제1단 및 제2단과, 상기 제2단부터 상기 제1단을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축방향으로 늘어나는 축심에 근접하도록 경사하는 경사면과,
    상기 경사면과 상기 제2단의 사이에 배치된 외주면을 가지며, 또한, 상기 축심 둘레로 회전 가능한 보스와,
    상기 보스의 상기 외주면에 접속된 제1 날개부재와,
    상기 경사면 및 상기 경사면과 상기 제1 날개부재가 상기 외주면에 접속된 접속부분의 사이에 배치된 상기 외주면의 적어도 어느 하나에 접속된 제2 날개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2 날개부재는, 상기 경사면에 접속된 제1 날개와, 상기 외주면에 접속된 제2 날개를 갖고,
    상기 제1 날개와 상기 제2 날개는 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풍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날개부재는 원심날개 형상을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풍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날개부재는 상기 경사면에 배치된 프로펠러 날개 형상을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풍기.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스는,
    중앙부와,
    상기 보스의 상기 축방향에 교차하는 지름방향에서 상기 중앙부의 외측에 간극을 띄우고 배치된 외주부와,
    상기 간극에 배치되고, 또한 상기 지름방향으로 상기 중앙부와 상기 외주부를 연결하는 리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풍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부터 상기 제1단을 향하는 방향에서, 상기 제1 날개부재의 연부는 상기 보스의 상기 제1단의 위치보다도 상기 제2단측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풍기.
  8. 제1항에 기재된 송풍기와,
    상기 송풍기에 의해 인도된 공기와 열교환을 행하는 열교환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외기.
  9. 제8항에 기재된 실외기와,
    실내기를 구비하며,
    상기 실외기 및 상기 실내기는, 흡입한 냉매를 압축하여 토출하는 압축기와, 상기 압축기로부터 토출된 상기 냉매와 열교환을 행함에 의해 상기 냉매를 응축시키는 응축기와, 상기 응축기에서 응축된 상기 냉매를 감압시키는 조임 장치와, 상기 조임 장치에서 감압된 상기 냉매와 열교환을 행함에 의해 상기 냉매를 증발시키는 증발기를 서로 배관으로 접속한 냉매 회로를 구성하고,
    상기 열교환기가 상기 응축기 및 상기 증발기의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 사이클 장치.
KR1020187011360A 2015-11-02 2015-11-02 송풍기, 실외기 및 냉동 사이클 장치 KR10206260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5/080935 WO2017077575A1 (ja) 2015-11-02 2015-11-02 送風機、室外機および冷凍サイクル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6741A KR20180056741A (ko) 2018-05-29
KR102062603B1 true KR102062603B1 (ko) 2020-01-06

Family

ID=586625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11360A KR102062603B1 (ko) 2015-11-02 2015-11-02 송풍기, 실외기 및 냉동 사이클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0900360B2 (ko)
EP (1) EP3372839B1 (ko)
JP (1) JP6611818B2 (ko)
KR (1) KR102062603B1 (ko)
CN (1) CN108350898B (ko)
AU (1) AU2015413794B2 (ko)
WO (1) WO201707757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289525S (en) * 1984-10-01 1987-04-28 Industrial Tools, Inc. Slicing machine for magnetic tape or the like
ES2960838T3 (es) 2017-08-09 2024-03-06 Mitsubishi Electric Corp Ventilador de hélice, dispositivo soplador y dispositivo de ciclo de refrigeración
USD901669S1 (en) * 2017-09-29 2020-11-10 Carrier Corporation Contoured fan blade
CN207795681U (zh) * 2018-01-13 2018-08-31 广东美的环境电器制造有限公司 轴流扇叶、轴流风机扇叶组件、轴流风机风道组件
KR102091863B1 (ko) * 2018-06-27 2020-03-20 유규복 작동표시 기능을 가지는 이중 날개 냉각팬
EP3882470A4 (en) * 2018-11-22 2022-02-23 GD Midea Air-Conditioning Equipment Co., Ltd. AXIAL FLOW BIKE AND AIR CONDITIONER INCLUDING IT
CN113039366B (zh) * 2018-11-26 2023-06-02 三菱电机株式会社 叶轮以及轴流送风机
JP6837611B1 (ja) * 2020-04-30 2021-03-03 三菱電機株式会社 送風機
JP7378611B2 (ja) * 2020-05-20 2023-11-13 三菱電機株式会社 軸流ファン、送風装置、及び、冷凍サイクル装置
CN114688085A (zh) * 2020-12-30 2022-07-01 广东美的白色家电技术创新中心有限公司 风叶组件和风机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01717A (ja) * 2012-06-20 2014-01-09 Mitsubishi Electric Corp 送風機、室外機及び冷凍サイクル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2510C (de) * G. schiele & CO. in Bockenheim bei Frankfurt a. Main Flügelrad-Gebläse mit Hülfsflügel
FR351725A (fr) * 1905-02-23 1905-07-24 George John Stevens Propulseur pour navires, également applicable comme ventilateur
NL8902040A (nl) 1988-08-19 1990-03-16 Tektronix Inc Met hoge snelheid werkende directe geheugentoegangsbesturing voor test- en meetinstrumenten.
JPH02252999A (ja) 1989-03-28 1990-10-11 Toshiba Corp 空気調和機用ファン
JPH05296495A (ja) 1992-04-23 1993-11-09 Daikin Ind Ltd 空気調和装置用室外機
JPH06264897A (ja) * 1993-03-11 1994-09-20 Yamaha Motor Co Ltd 軸流ファン
DE19612923B4 (de) * 1996-04-01 2005-10-06 Gebr. Mayer Gmbh Lüfter
CN100389267C (zh) * 2004-07-06 2008-05-21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风扇扇叶结构
US20090022588A1 (en) * 2007-07-16 2009-01-22 Topower Computer Industrial Co., Ltd. Electric fan module and airflow conduction structure thereof
ATE556227T1 (de) * 2007-10-25 2012-05-15 Lg Electronics Inc Lüfter
JP5434235B2 (ja) * 2009-04-27 2014-03-05 三洋電機株式会社 室外機
JP5413449B2 (ja) * 2011-12-28 2014-02-12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軸流ファン
CN202833301U (zh) 2012-09-25 2013-03-27 青岛海尔模具有限公司 轴流风扇及空调室外机
CN104088812B (zh) * 2013-04-01 2017-05-17 苏州三星电子有限公司 一种轴流风扇
CN203948346U (zh) 2014-01-10 2014-11-19 鑫贺精密电子(东莞)有限公司 风扇扇叶之改良结构
KR102436704B1 (ko) * 2015-03-23 2022-08-25 엘지전자 주식회사 팬 모터 구동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공기조화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01717A (ja) * 2012-06-20 2014-01-09 Mitsubishi Electric Corp 送風機、室外機及び冷凍サイクル装置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독일 특허공보 DE 62510 C (1892.06.21.) 1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80306034A1 (en) 2018-10-25
EP3372839A4 (en) 2018-11-14
US10900360B2 (en) 2021-01-26
WO2017077575A1 (ja) 2017-05-11
CN108350898B (zh) 2021-03-23
EP3372839A1 (en) 2018-09-12
AU2015413794A1 (en) 2018-05-10
JP6611818B2 (ja) 2019-11-27
KR20180056741A (ko) 2018-05-29
AU2015413794B2 (en) 2019-05-09
EP3372839B1 (en) 2019-12-25
JPWO2017077575A1 (ja) 2018-08-02
CN108350898A (zh) 2018-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62603B1 (ko) 송풍기, 실외기 및 냉동 사이클 장치
JP6430024B2 (ja) プロペラファン、プロペラファン装置および空気調和装置用室外機
US10473339B2 (en) Guide blade and air conditioner having the same
JP5295321B2 (ja) 送風機、室外機及び冷凍サイクル装置
JP6611676B2 (ja) 送風機および冷凍サイクル装置の室外機
JP5611277B2 (ja) 送風機、室外機及び冷凍サイクル装置
JP2011179331A (ja) 送風機とその送風機を用いた空気調和機
JP6745902B2 (ja) 送風機、室外機及び冷凍サイクル装置
JP6695403B2 (ja) 遠心送風機および空気調和装置
US11209011B2 (en) Air conditioner
KR102206818B1 (ko) 프로펠러 팬, 실외기 및 냉동 사이클 장치
JP6463497B2 (ja) 送風装置、室外機及び冷凍サイクル装置
JP2005121310A (ja) 空気調和装置
JP6430032B2 (ja) 遠心ファン、空気調和装置および冷凍サイクル装置
JP5558449B2 (ja) 送風機、室外機及び冷凍サイクル装置
WO2016038690A1 (ja) 空気調和装置用室内機および空気調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