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1541B1 - 환상 동심 꼬임 코드의 제조 장치 - Google Patents

환상 동심 꼬임 코드의 제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1541B1
KR102061541B1 KR1020130112732A KR20130112732A KR102061541B1 KR 102061541 B1 KR102061541 B1 KR 102061541B1 KR 1020130112732 A KR1020130112732 A KR 1020130112732A KR 20130112732 A KR20130112732 A KR 20130112732A KR 102061541 B1 KR102061541 B1 KR 1020615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nular core
cassette
annular
roller
co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127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45922A (ko
Inventor
유키히로 나카무라
타다시 스기야마
신이치 사토
아즈마오 고바야시
Original Assignee
토치기 스미토모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토치기 스미토모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토치기 스미토모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1459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459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15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15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3/00General-purpose machine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wisted ropes or cables from component strands of the same or different material
    • D07B3/08General-purpose machine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wisted ropes or cables from component strands of the same or different material in which the take-up reel rotates about the axis of the rope or cable or in which a guide member rotates about the axis of the rope or cable to guide the rope or cable on the take-up reel in fixed position and the supply reels are fixed in position
    • D07B3/10General-purpose machine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wisted ropes or cables from component strands of the same or different material in which the take-up reel rotates about the axis of the rope or cable or in which a guide member rotates about the axis of the rope or cable to guide the rope or cable on the take-up reel in fixed position and the supply reels are fixed in position with provision for imparting more than one complete twist to the ropes or cables for each revolution of the take-up reel or of the guide member
    • D07B3/103General-purpose machine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wisted ropes or cables from component strands of the same or different material in which the take-up reel rotates about the axis of the rope or cable or in which a guide member rotates about the axis of the rope or cable to guide the rope or cable on the take-up reel in fixed position and the supply reels are fixed in position with provision for imparting more than one complete twist to the ropes or cables for each revolution of the take-up reel or of the guide member characterised by the bow constru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48Bead-rings or bead-cores; Treatment thereof prior to building the ty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5/00Tyre beads, e.g. ply turn-up or overlap
    • B60C15/04Bead co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9/00Reinforcements or ply arrangement of pneumatic tyres
    • B60C9/0007Reinforcements made of metallic elements, e.g. cords, yarns, filaments or fibres made from metal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44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D02G3/48Tyre cords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1/00Constructional features of ropes or cables
    • D07B1/06Ropes or cables built-up from metal wires, e.g. of section wires around a hemp core
    • D07B1/0606Reinforcing cords for rubber or plastic articles
    • D07B1/062Reinforcing cords for rubber or plastic articles the reinforcing cords being characterised by the strand configuration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2201/00Ropes or cables
    • D07B2201/10Rope or cable structures
    • D07B2201/104Rope or cable structures twisted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2201/00Ropes or cables
    • D07B2201/20Rope or cable components
    • D07B2201/2015Strands
    • D07B2201/2024Strands twisted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2501/00Application field
    • D07B2501/20Application field related to ropes or cables
    • D07B2501/2046Tire cord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5/00Industrial
    • D10B2505/02Reinforcing materials; Prepregs
    • D10B2505/022Reinforcing materials; Prepregs for tyr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57/00Textiles: spinning, twisting, and twining
    • Y10S57/902Reinforcing or tire co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Tyre Moulding (AREA)
  • Ropes Or Cables (AREA)

Abstract

(과제) 측선(側線) 와이어의 환상(環狀) 코어로의 감기 정밀도가 높은 환상 동심(同芯) 꼬임 코드의 제조 장치를 제공한다.
(해결 수단) 환상 동심 꼬임 코드의 제조 장치는, 환상 코어(1)를 회전시키는 코어 회전 기구(10)와, 카세트(50)를 환상 코어(1)의 테두리의 외측과 내측으로 이동시키는 제1 카세트 이동 기구(20)와, 환상 코어(1)의 테두리의 내측에 있어서 환상 코어(1)의 회전축의 한쪽측으로부터 다른 한쪽측으로 카세트(50)를 이동시키고, 환상 코어(1)의 테두리의 외측에 있어서 환상 코어(1)의 회전축의 다른 한쪽측으로부터 한쪽측으로 카세트(50)를 이동시키는 제2 카세트 이동 기구(30)를 구비한다. 코어 회전 기구(10)는, 핀치 롤러부(13)를 구비하고, 핀치 롤러부(13)는, 구동원으로부터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하는 구동 롤러(13a)와, 회전 가능하게 형성된 종동(從動) 롤러(13b)를 갖고, 종동 롤러(13b)의 접촉면은, 구동 롤러(13a)의 접촉면보다도 무르다.

Description

환상 동심 꼬임 코드의 제조 장치{APPARATUS FOR MANUFACTURING ANNULAR CONCENTRIC STRANDED CORD}
본 발명은, 환상(環狀) 동심(同芯) 꼬임 코드의 제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환상 코어의 주위에 측선(側線) 와이어를 나선 형상으로 감아, 환상 동심 꼬임 코드를 얻는 제조 방법 및 제조 장치가 특허문헌 1에 알려져 있다.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제조 장치는, 2개의 핀치 롤러에 의해 환상 코어를 회전시키고 있다.
일본특허공보 제3657599호
그런데, 특허문헌 1의 제조 장치에 있어서는, 측선 와이어가 환상 코어의 외주(外周)에 감겨져 있기 때문에, 환상 코어를 회전시킬 때에 핀치 롤러가 측선 와이어를 압압하여, 측선 와이어가 소망하는 위치로부터 어긋나 버리는 경우가 있다. 이 때문에, 측선 와이어가 소망하는 나선 형상으로 감겨지지 않아, 측선 와이어의 환상 코어로의 감기 정밀도가 저하될 우려가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측선 와이어의 환상 코어로의 감기 정밀도가 높은 환상 동심 꼬임 코드의 제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할 수 있는 본 발명의 환상 동심 꼬임 코드의 제조 장치는,
환상 코어를 둘레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코어 회전 기구와,
측선 와이어를 수용한 카세트를 환상 코어의 테두리의 외측과 내측으로 이동시키는 제1 카세트 이동 기구와,
환상 코어의 테두리의 내측에 있어서 환상 코어의 회전축의 한쪽측으로부터 다른 한쪽측으로 상기 카세트를 이동시키고, 환상 코어의 테두리의 외측에 있어서 환상 코어의 회전축의 다른 한쪽측으로부터 한쪽측으로 상기 카세트를 이동시키는 제2 카세트 이동 기구를 구비하고,
둘레 방향으로 회전하는 환상 코어의 테두리의 내측과 외측으로 상기 카세트를 이동시켜, 상기 카세트로부터 인출한 측선 와이어를 환상 코어에 나선 형상으로 감아 환상 동심 꼬임 코드를 제조하는 환상 동심 꼬임 코드의 제조 장치로서,
상기 코어 회전 기구는, 구동원과, 핀치 롤러부를 구비하고,
상기 핀치 롤러부는, 환상 코어의 테두리의 내측과 외측 중 어느 한쪽에 형성되어 구동원으로부터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하는 구동 롤러와, 환상 코어의 테두리의 내측과 외측 중 어느 다른 한쪽에 회전 가능하게 형성된 종동(從動) 롤러를 갖고,
상기 종동 롤러의 환상 코어 및 측선 와이어와의 접촉면은, 상기 구동 롤러의 환상 코어 및 측선 와이어와의 접촉면보다도 무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측선 와이어의 환상 코어로의 감기 정밀도가 높은 환상 동심 꼬임 코드의 제조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환상 동심 꼬임 코드의 제조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제조 장치의 상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낸 제조 장치에 의한 환상 동심 꼬임 코드의 제조 공정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4는 핀치 롤러부가 환상 코어 및 측선 와이어를 사이에 끼운 모양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
<본원 발명의 실시 형태의 설명>
맨 처음에 본원 발명의 실시 형태의 내용을 나열 기재하여 설명한다.
본원 발명의 실시 형태는,
환상 코어를 둘레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코어 회전 기구와,
측선 와이어를 수용한 카세트를 환상 코어의 테두리의 외측과 내측으로 이동시키는 제1 카세트 이동 기구와,
환상 코어의 테두리의 내측에 있어서 환상 코어의 회전축의 한쪽측으로부터 다른 한쪽측으로 상기 카세트를 이동시키고, 환상 코어의 테두리의 외측에 있어서 환상 코어의 회전축의 다른 한쪽측으로부터 한쪽측으로 상기 카세트를 이동시키는 제2 카세트 이동 기구를 구비하고,
둘레 방향으로 회전하는 환상 코어의 테두리의 내측과 외측으로 상기 카세트를 이동시켜, 상기 카세트로부터 인출한 측선 와이어를 환상 코어에 나선 형상으로 감아 환상 동심 꼬임 코드를 제조하는 환상 동심 꼬임 코드의 제조 장치로서,
상기 코어 회전 기구는, 구동원과, 핀치 롤러부를 구비하고,
상기 핀치 롤러부는, 환상 코어의 테두리의 내측과 외측 중 어느 한쪽에 형성되어 구동원으로부터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하는 구동 롤러와, 환상 코어의 테두리의 내측과 외측 중 어느 다른 한쪽에 회전 가능하게 형성된 종동 롤러를 갖고,
상기 종동 롤러의 환상 코어 및 측선 와이어와의 접촉면은, 상기 구동 롤러의 환상 코어 및 측선 와이어와의 접촉면보다도 무른 환상 동심 꼬임 코드의 제조 장치이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제조 장치에 의하면, 무른 종동 롤러는 환상 코어 및 측선 와이어를 감싸도록 변형되어, 환상 코어와 측선 와이어에 과잉한 밀어붙임력을 작용시키는 일이 없다. 이 때문에, 환상 코어와 측선 와이어의 상대 위치를 어긋나게 하는 일 없이 환상 코어를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종동 롤러의 접촉면은, 그의 적어도 일부가 구동 롤러와 접촉하도록 변형되어도 좋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제조 장치에 의하면, 종동 롤러가 구동 롤러에 직접 접촉하기 때문에, 종동 롤러가 구동 롤러와 동기(同期)하여 회전하여, 보다 형상의 품질이 높은 코드를 제조할 수 있다.
삭제
삭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제조 장치에 의하면, 환상 코어와 구동 롤러가 미끄러지지 않은 상태를 유지하면서, 구동 롤러의 접촉면이 변형되기 어렵고, 그리고, 소망하는 압압력을 환상 코어 및 측선 와이어에 작용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환상 코어의 회전 속도를 정밀도 좋게 제어할 수 있다.
구동 롤러의 외주면에는 환상 코어를 수용하는 V홈이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제조 장치에 의하면, 환상 코어의 회전축 방향에 있어서, 구동 롤러는 환상 코어의 위치를 어긋나게 하지 않고 환상 코어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더욱 형상의 품질이 높은 코드를 제조할 수 있다.
상기 핀치 롤러부는 환상 코어의 둘레 방향을 따라 복수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제조 장치에 의하면, 환상 코어를 복수의 핀치 롤러부에 의해 지지하여, 안정적으로 환상 코어를 회전시킬 수 있다.
<전체 구조>
이하에,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환상 동심 꼬임 코드의 제조 장치(이하, 단순히 제조 장치라고 부름)를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제조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제조 장치는, 환상 코어(1)를 둘레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코어 회전 기구(10)와, 제1 카세트 이동 기구(20)와, 제2 카세트 이동 기구(30)와, 측선 와이어(2)를 수용한 카세트(50)를 구비하고 있다.
(코어 회전 기구)
코어 회전 기구(10)는, 원환상의 환상 코어(1)의 중심축이 수평 방향을 향하는 자세로, 환상 코어(1)를 회전시킨다. 즉 환상 코어(1)는, 도 1과 같이 정면에서 보았을 때 테두리를 이루는 자세로, 회전축(B)을 중심으로 하여 반시계 방향인 둘레 방향으로 회전된다. 코어 회전 기구(10)는, 케이스체(11)와, 클램프부(12)와, 두 쌍의 핀치 롤러부(13, 14)와, 누름 롤러(15)를 구비하고 있다.
클램프부(12)는 케이스체(11)에 부착되어 있다. 클램프부(12)는, 환상 코어(1)의 가장 높은 위치에서 환상 코어(1)에 접촉한다. 클램프부(12)는, 회전축이 상하 방향을 향하며,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된 2개의 롤러를 구비하고 있다. 이 롤러의 사이에 환상 코어(1) 및 측선 와이어(2)가 삽입 통과되어, 카세트(50)로부터 인출된 측선 와이어(2)가 환상 코어(1)에 합류한다. 이후의 설명에서는 이 클램프부(12)가 환상 코어(1) 및 측선 와이어와 접촉하는 점을, 감기점(A)이라고 부른다.
핀치 롤러부(13, 14)는 서로 이간된 위치에서, 케이스체(11)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핀치 롤러부(13, 14)는 각각, 내측 롤러(구동롤러;13a, 14a) 및 외측 롤러(종동롤러;13b, 14b)를 구비하고 있다. 내측 롤러(13a, 14a)는, 롤러 구동 모터(18)에 의해 구동된다. 내측 롤러(13a, 14a)는 환상 코어(1) 및 측선 와이어(2)에 접촉하여, 환상 코어(1) 및 측선 와이어(2)를 회전시킨다. 외측 롤러(13b, 14b)는 환상 코어(1) 및 측선 와이어(2)에 접촉하고, 환상 코어(1) 및 측선 와이어(2)의 회전에 수반하여 회전된다.
케이스체(11)에는, 회전 가능하게 아암(16)이 부착되어 있다. 아암(16)의 일단(一端)에는, 누름 롤러(15)가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아암(16)의 타단은, 스프링(17)을 통하여 케이스체(11)에 지지되어 있다. 이 누름 롤러(15)는, 하측의 핀치 롤러부(14)의 하방에서 환상 코어(1)에 접촉한다. 누름 롤러(15)는, 회전 중에 발생하는 환상 코어(1)의 흔들림을 억제한다.
(제1 카세트 이동 기구)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카세트 이동 기구(20)는, 링크 기구(21)와, 링크 기구(21)의 한쪽측에 접촉된 모터(22)와, 링크 기구(21)의 다른 한쪽측에 고정된 카세트 연결부(23)를 구비하고 있다. 모터(22)의 회전에 의해, 링크 기구(21)의 다른 한쪽측은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여, 정면에서 보았을 때 카세트(50)를 환상 코어(1)의 테두리의 외측과 내측으로 이동시킨다.
(제2 카세트 이동 기구)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카세트 이동 기구(30)는, 카세트 연결부(23)의 상부에 형성되어 있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제조 장치의 상면도이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카세트 연결부(23)는, 환상 코어(1)의 회전면(C)에 대하여 환상 코어(1)의 회전축(B)의 한쪽측과 다른 한쪽측에 형성되어 있다. 이들 한 쌍의 카세트 연결부(23)의 각각에, 제2 카세트 이동 기구가 형성되어 있다. 제2 카세트 이동 기구(30)는, 환상 코어(1)의 회전면(C)에 대하여 환상 코어(1)의 회전축(B) 방향의 한쪽측으로부터 다른 한쪽측으로, 다른 한쪽측으로부터 한쪽측으로 카세트(50)를 이동시킨다. 제2 카세트 이동 기구(30)에는, 서로 돌출되는 핀(24)이 형성되어 있다. 이 핀(24)에 의해, 제2 카세트 이동 기구(30)에 대하여 상대 회전 불가능하게 카세트(50)가 지지된다.
(카세트)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카세트(50)는, 그의 외주에 측선 와이어(2)가 감겨진 릴(51)과, 릴(51)을 수용하여 측선 와이어(2)의 외주측을 덮는 케이스(52)와, 케이스(52)의 외주에 형성된 가이드 블록(53)을 구비하고 있다. 가이드 블록(53)에는 가이드부(53a)가 형성되고, 릴(51)에 감겨진 측선 와이어(2)는 이 가이드부(53a)에 가이드되어 환상 코어(1)로 인출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 이 가이드부(53a)는 관통구멍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케이스(52)의 외주면의 일부에는, 슬릿(54)이 형성되어 있다. 이 슬릿(54)에, 릴(51)로부터 가이드부(53a)를 향하여 연장되는 측선 와이어(2)가 관통한다.
(제조 장치의 동작)
전술과 같이 하여 구성되는 제조 장치는, 둘레 방향으로 회전하는 환상 코어(1)의 테두리의 내측과 외측으로 카세트(50)를 이동시켜, 카세트(50)로부터 인출한 측선 와이어(2)를 환상 코어(1)에 나선 형상으로 감아 환상 동심 꼬임 코드를 제조한다. 이하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제조 장치에 의한 환상 동심 꼬임 코드의 제조 공정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우선 도 3(a)의 상태에서, 카세트(50)는 환상 코어(1)의 테두리의 외측에서 환상 코어(1)의 회전면(C)의 한쪽측에 위치하고 있다. 이때, 측선 와이어(2)는 클램프부(12)에서 환상 코어(1)의 외주를 따르게 되어 있다. 회전하는 클램프부(12)의 롤러에 의해, 환상 코어(1)의 회전과 함께 측선 와이어(2)가 카세트(50)로부터 인출되어, 환상 코어(1)측으로 인입된다.
도 3(a)의 상태로부터, 핀치 롤러부(13, 14)에 의해 환상 코어(1)를 둘레 방향으로 회전시키면서, 제1 카세트 이동 기구(20)에 의해 카세트(50)를 환상 코어(1)의 테두리의 내측으로 이동시킨다. 이에 따라 도 3(b)의 상태가 된다.
또한, 도 3(b)의 상태로부터, 환상 코어(1)를 둘레 방향으로 회전시키면서, 제2 카세트 이동 기구(30)에 의해 카세트(50)를 환상 코어(1)의 회전면(C)의 다른 한쪽측으로 이동시킨다. 이에 따라 도 3(c)의 상태가 된다. 그러면, 클램프부(12)에 있어서, 측선 와이어(2)는 환상 코어(1)의 반주(半周)분만 나선 형상으로 감겨진다.
그리고 도 3(c)의 상태로부터, 환상 코어(1)를 둘레 방향으로 회전시키면서, 제1 카세트 이동 기구(30)에 의해 카세트(50)를 환상 코어(1)의 테두리의 외측으로 이동시킨다. 이에 따라, 도 3(d)의 상태가 된다.
또한 도 3(d)의 상태로부터, 환상 코어(1)를 둘레 방향으로 회전시키면서, 제2 카세트 이동 기구(30)에 의해 카세트(50)를 환상 코어(1)의 회전면(C)의 한쪽측으로 이동시킨다. 이에 따라 도 3(a)의 상태가 된다. 그러면, 클램프부(12)에 있어서, 측선 와이어(2)는 추가로 환상 코어(1)의 반주분 나선 형상으로 감겨진다. 이에 따라, 측선 와이어(2)는 환상 코어(1)에 대하여 일주(一周)하게 된다.
도 3(a)∼도 3(d)의 공정을 반복하여, 환상 코어(1)를 회전시키면서 카세트(50)를 이동시키면, 환상 코어(1)의 외주에 측선 와이어가 나선 형상으로 감겨진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도 3(a)∼도 3(d)의 공정을 반대로 반복함으로써, (a)∼(d)의 공정을 순서대로 반복하여 얻어지는 꼬임 방향과는 반대의 꼬임 방향에서, 측선 와이어(2)를 환상 코어(1)에 감을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3(a)∼도 3(d)의 공정을 순방향으로 반복하여 1층째의 측선 와이어(2)를 S감기로 환상 코어(1)에 감고, 공정을 반대 방향으로 반복하여 2층째의 측선 와이어(2)를 Z감기로 환상 코어(1)에 감아도 좋다.
(핀치 롤러부의 상세)
다음으로 핀치 롤러부(13, 14)의 상세에 대해서 설명한다. 핀치 롤러부(13)는, 구동 롤러(13a)와 종동 롤러(13b)를 구비하고 있다. 구동 롤러(13a)는 환상 코어(1)의 테두리의 내측에 배치되고, 구동원인 롤러 구동 모터(18)에 접속되어 있다. 종동 롤러(13b)는 환상 코어(1)의 테두리의 외측에 배치되어 있다.
도 4는, 핀치 롤러부(13)가 환상 코어(1) 및 측선 와이어(2)를 사이에 끼운 모양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또한, 이후의 설명에서는 구동 롤러(13a)의 회전축(E)을 따르는 방향을 폭방향이라고 부른다. 또한, 핀치 롤러부(14)의 구성도 핀치 롤러부(13)의 구성과 동일하기 때문에, 그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 4(a)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핀치 롤러부(13)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4(b) 및 도 4(c)는 참고예에 따른 핀치 롤러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동 롤러(13a) 및 종동 롤러(13b)는 각각 대략 원기둥 형상의 부재로서, 그의 외주면이 환상 코어(1) 및 측선 와이어(2)와 접촉한다. 구동 롤러(13a)와 종동 롤러(13b)의 간극은, 환상 코어(1)와 그 외주에 감겨진 측선 와이어(2)가 이루는 외관의 두께보다도 약간 좁게 되어 있다. 이에 따라, 구동 롤러(13a)와 종동 롤러(13b)는 환상 코어(1) 및 측선 와이어(2)에 밀어붙임력을 작용시키면서, 환상 코어(1) 및 측선 와이어(2)를 회전시키고 있다.
도 4(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동 롤러(13a)의 외주면의 폭방향에 관하여 중앙부에는, V자 형상으로 오목한 V홈(13a1)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으로, 종동 롤러(13b)의 외주면은 폭방향에 관하여 직선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구동 롤러(13a)는 종동 롤러(13b)보다도 단단한 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면 구동 롤러(13a)는 고무 경도가 70, 종동 롤러(13b)는 고무 경도가 20인 고무로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종동 롤러(13b)가 환상 코어(1) 및 측선 와이어(2)에 접촉하는 접촉면은, 구동 롤러(13a)가 환상 코어(1) 및 측선 와이어(2)에 접촉하는 접촉면보다도 무르게 되어 있다.
<참고예와의 비교>
본 발명자들은, 핀치 롤러부가 환상 코어(1) 및 측선 와이어(2)를 구동하는 모양을 관찰하여, 이하와 같은 인식을 얻었다. 도 4(b) 및 도 4(c)는, 참고예에 따른 핀치 롤러부가 환상 코어 및 측선 와이어를 사이에 끼우는 모양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b)는 구동 롤러(113a)가 종동 롤러(113b)보다 무른 핀치 롤러부(113)를 나타내고 있다. 이 경우에는, 구동 롤러(113a)가 환상 코어(1) 및 측선 와이어(2)에 밀어붙임력을 부여하려고 해도, 구동 롤러(113a)의 접촉면이 변형되어 버린다. 이 때문에, 구동 롤러(113a)가 환상 코어(1) 및 측선 와이어(2)에 소망하는 밀어붙임력을 작용시킬 수 없어, 구동 롤러(113a)와 환상 코어(1) 및 측선 와이어(2)와의 사이에서 충분한 마찰력이 얻어지지 않아, 구동 롤러(113a)가 환상 코어(1) 및 측선 와이어(2)에 대하여 미끄러져 버린다. 이에 따라, 구동 롤러(113a)는 환상 코어(1) 및 측선 와이어(2)를 의도한 회전 속도로 회전시킬 수 없다.
한편, 도 4(c)는 구동 롤러(213a) 및 종동 롤러(213b)의 양쪽이 동등한 단단함을 갖고, 밀어붙임력을 환상 코어(1) 및 측선 와이어(2)에 작용시켰을 때에, 구동 롤러(213a)도 종동 롤러(213b)도 변형되지 않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이 경우, 도 4(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측선 와이어(2)에 밀어붙임력이 집중되어, 환상 코어(1)에 대한 측선 와이어(2)의 위치가 어긋나 버린다. 이 때문에, 소망하는 감기 정밀도로 측선 와이어(2)를 환상 코어(1)에 감을 수 없다.
또한 도 4(c)와는 반대로, 구동 롤러(213a)도 종동 롤러(213b)도 변형되어 버리는 경우에는, 도 4(b)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의도한 회전 속도로 환상 코어(1) 및 측선 와이어(2)를 회전시킬 수 없다.
<핀치 롤러부의 작용·효과>
그래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제조 장치에 있어서는, 종동 롤러(13b)를 구동 롤러(13a)보다도 무르게 하고 있다. 종동 롤러(13b)가 구동 롤러(13a)보다도 무르기 때문에, 구동 롤러(13a) 및 종동 롤러(13b)로 환상 코어(1) 및 측선 와이어(2)를 사이에 끼웠을 때에, 구동 롤러(13a)의 접촉면은 변형되지 않고, 종동 롤러(13b)의 접촉면만이 변형된다.
그러면, 구동 롤러(13a)의 접촉면은 변형되지 않기 때문에, 환상 코어(1) 및 측선 와이어(2)에 적당한 밀어붙임력을 작용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구동 롤러(13a)와 환상 코어(1) 및 측선 와이어(2)와의 사이에 충분한 마찰력이 발생하기 때문에, 환상 코어(1) 및 측선 와이어(2)를 의도한 대로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종동 롤러(13b)의 접촉면은, 환상 코어(1) 및 측선 와이어(2)를 감싸도록 변형된다. 이에 따라, 측선 와이어(2)에 밀어붙임력이 집중되지 않아, 환상 코어(1)에 대한 측선 와이어(2)의 위치를 어긋나게 하지 않고, 환상 코어(1) 및 측선 와이어(2)를 회전시킬 수 있어, 감기 정밀도가 높은 환상 동심 꼬임 코드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구동 롤러(13a)와 종동 롤러(13b)로 환상 코어(1) 및 측선 와이어(2)를 사이에 끼웠을 때에, 종동 롤러(13b)의 접촉면의 폭방향의 측부(13b1)가 구동 롤러(13a)와 접촉한다. 측부(13b1)에 의해 구동 롤러(13a)의 밀어붙임력을 종동 롤러(13b)에 직접 작용시킬 수 있어, 종동 롤러(13b)를 의도한 바와 같이 회전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종동 롤러(13b)에 의해서도 환상 코어(1) 및 측선 와이어(2)에 구동력을 전달하여, 환상 코어(1) 및 측선 와이어(2)를 의도한 바와 같이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전술한 구동 롤러(13a)의 고무 경도는, 50 이상 7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고무 경도가 50 미만이면 환상 코어(1) 및 측선 와이어(2)에 접촉하여 형성되어 버려, 소망하는 밀어붙임력을 환상 코어(1) 및 측선 와이어(2)에 작용시키는 것이 어렵다. 또한 고무 경도가 70 이상이면, 환상 코어(1) 및 측선 와이어(2)와의 사이의 마찰 계수가 작아져, 구동 롤러(13a)가 환상 코어(1) 및 측선 와이어(2)에 대하여 미끄러져 버린다.
또한 종동 롤러(13b)의 고무 경도에 관해서도, 15 이상 4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고무 경도가 15 미만에서는 지나치게 물러, 적절하게 환상 코어(1) 및 측선 와이어(2)를 지지할 수 없다. 또한 고무 경도가 40 이상이면, 전술한 바와 같이 종동 롤러(13b)가 환상 코어(1) 및 측선 와이어(2)를 감싸도록 변형되는 것이 어렵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제조 장치에 의하면, 종동 롤러(13a)의 접촉면에는, 환상 코어(1)를 따라 V홈(13a1)이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구동 롤러(13a)는, 환상 코어(1)와 함께 측선 와이어(2)를 확실하게 압입하여, 환상 코어(1)를 소정 위치에 위치시킨 채 환상 코어(1)를 회전시킬 수 있어, 감기 정밀도가 높은 환상 동심 꼬임 코드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제조 장치에 의하면,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핀치 롤러부(13, 14)는 환상 코어(1)의 둘레 방향을 따라 복수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환상 코어(1) 및 측선 와이어(2)를 복수의 위치에서 지지하여, 안정적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도 1의 예에서는 2개의 핀치 롤러부(13, 14)를 형성한 예를 나타냈지만, 3개 이상의 핀치 롤러부를 형성해도 좋다.
또한 전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종동 롤러(13b)를 구동 롤러(13a)와 동일한 구조로 단단함만이 상이한 예를 들어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종동 롤러(13b)만을 타이어와 같이 내부에 공기가 충전(充塡)된 링 형상의 고무 튜브로 구성해도 좋다. 환상 코어(1) 및 측선 와이어(2)를 감싸도록 고무 튜브가 변형되어, 환상 코어(1) 및 측선 와이어(2)를 의도한 바와 같이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제조 장치에 있어서는, 구동 롤러(13a)가 환상 코어(1)의 테두리의 내측에 배치되고, 종동 롤러(13b)가 환상 코어(1)의 테두리의 외측에 배치되어 있는 예를 들어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구동 롤러(13a)는 환상 코어(1)의 테두리의 외측에 배치하고, 종동 롤러(13b)를 환상 코어(1)의 테두리의 내측에 배치해도 좋다.
또한, 전술한 실시 형태는 예시로서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해 나타남과 함께,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의미 및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이 포함된다.
1 : 환상 코어
2 : 측선 와이어
10 : 코어 회전 기구
11 : 케이스체
12 : 클램프부
13, 14 : 핀치 롤러부
13a1 : V홈
13b1 : 측부
15 : 누름 롤러
17 : 스프링
20 : 제1 카세트 이동 기구
30 : 제2 카세트 이동 기구
50 : 카세트
A : 감기점
B : 환상 코어의 회전축
C : 환상 코어의 회전면
E : 구동 롤러의 회전축

Claims (6)

  1. 환상(環狀) 코어를 둘레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코어 회전 기구와,
    측선(側線) 와이어를 수용한 카세트를 환상 코어의 테두리의 외측과 내측으로 이동시키는 제1 카세트 이동 기구와,
    환상 코어의 테두리의 내측에 있어서 환상 코어의 회전축의 한쪽측으로부터 다른 한쪽측으로 상기 카세트를 이동시키고, 환상 코어의 테두리의 외측에 있어서 환상 코어의 회전축의 다른 한쪽측으로부터 한쪽측으로 상기 카세트를 이동시키는 제2 카세트 이동 기구를 구비하고,
    둘레 방향으로 회전하는 환상 코어의 테두리의 내측과 외측으로 상기 카세트를 이동시켜, 상기 카세트로부터 인출한 측선 와이어를 환상 코어에 나선 형상으로 감아 환상 동심(同芯) 꼬임 코드를 제조하는 환상 동심 꼬임 코드의 제조 장치로서,
    상기 코어 회전 기구는, 구동원과, 핀치 롤러부를 구비하고,
    상기 핀치 롤러부는, 환상 코어의 테두리의 내측과 외측 중 어느 한쪽에 형성되어 구동원으로부터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하는 구동 롤러와, 환상 코어의 테두리의 내측과 외측 중 어느 다른 한쪽에 회전 가능하게 형성된 종동(從動) 롤러를 갖고,
    상기 종동 롤러의 환상 코어 및 측선 와이어와의 접촉면은, 상기 구동 롤러의 환상 코어 및 측선 와이어와의 접촉면보다도 무른 환상 동심 꼬임 코드의 제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종동 롤러의 접촉면은, 그의 적어도 일부가 구동 롤러와 접촉하도록 변형되는 환상 동심 꼬임 코드의 제조 장치.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구동 롤러의 외주면(外周面)에는 환상 코어를 수용하는 V홈이 형성되어 있는 환상 동심 꼬임 코드의 제조 장치.
  6. 제1항, 제2항,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핀치 롤러부는 환상 코어의 둘레 방향을 따라 복수 형성되어 있는 환상 동심 꼬임 코드의 제조 장치.
KR1020130112732A 2013-06-14 2013-09-23 환상 동심 꼬임 코드의 제조 장치 KR10206154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3126015A JP5700344B2 (ja) 2013-06-14 2013-06-14 環状同芯撚りコードの製造装置
JPJP-P-2013-126015 2013-06-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5922A KR20140145922A (ko) 2014-12-24
KR102061541B1 true KR102061541B1 (ko) 2020-01-02

Family

ID=503343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12732A KR102061541B1 (ko) 2013-06-14 2013-09-23 환상 동심 꼬임 코드의 제조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5700344B2 (ko)
KR (1) KR102061541B1 (ko)
CN (1) CN203503389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048123B1 (ja) * 2021-04-21 2022-04-05 章一 大橋 ケーブルビード、ケーブルビードを用いたタイヤ、ケーブルビード製造方法及びケーブルビード製造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42746A (ja) 2004-06-01 2005-12-15 Sumitomo Denko Steel Wire Kk 環状同芯撚りビードコード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23391B2 (ko) * 1973-02-23 1979-08-13
JP3338663B2 (ja) * 1999-06-16 2002-10-28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単線ビード製造装置
JP4058703B1 (ja) * 2006-12-11 2008-03-12 住友電工スチールワイヤー株式会社 環状同芯撚りビードコード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WO2011030764A1 (ja) * 2009-09-10 2011-03-17 不二精工株式会社 ビード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42746A (ja) 2004-06-01 2005-12-15 Sumitomo Denko Steel Wire Kk 環状同芯撚りビードコード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5001033A (ja) 2015-01-05
JP5700344B2 (ja) 2015-04-15
KR20140145922A (ko) 2014-12-24
CN203503389U (zh) 2014-03-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706344B (zh) 导线成形装置以及方法
JP6171103B2 (ja) 電線対撚り機及びツイスト電線の製造方法
JP2011057426A (ja) トラバース装置
KR20080053906A (ko) 환상 동심 꼬임 비드코드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KR102061541B1 (ko) 환상 동심 꼬임 코드의 제조 장치
JP6013058B2 (ja) ワイヤ曲げ方法
JP6159452B2 (ja) ワイヤ曲げ装置
JP6226497B2 (ja) コイルばね製造方法及びコイルばね製造装置
KR102037213B1 (ko) 환상 동심 꼬임 코드의 제조 장치 및 그에 이용하는 카세트
JP4740774B2 (ja) 巻線端末処理方法および装置
EP3255002B1 (en) Tensioning device
KR102056220B1 (ko) 환상 동심 꼬임 코드의 제조 장치 및 그에 이용하는 카세트
JP5987787B2 (ja) シールド電線製造装置及びシールド電線製造方法
JP5830824B2 (ja) 環状同芯撚りコードの製造装置
JP2001086711A (ja) 集中巻コイル巻線装置
US8887610B2 (en) Capstan device
JP2009137190A (ja) 高圧用ホースの製造装置および製造方法
JPH11240671A (ja) 線材引取装置
JP4675763B2 (ja) 撚線機
JPS5929995Y2 (ja) 線材送出装置
JP2009061717A (ja) タイヤ補強帯の製造装置およびタイヤ補強帯の製造方法
JP6259362B2 (ja) バンドプライ形成方法、及びバンドプライ形成装置
JP2020014287A (ja) 巻線装置
JP4571287B2 (ja) 伝動ベルト成形用心線巻付け装置
JP2017024041A (ja) 撚線製造方法及び撚線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