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1161B1 - 조작 레버 - Google Patents

조작 레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1161B1
KR102061161B1 KR1020187018886A KR20187018886A KR102061161B1 KR 102061161 B1 KR102061161 B1 KR 102061161B1 KR 1020187018886 A KR1020187018886 A KR 1020187018886A KR 20187018886 A KR20187018886 A KR 20187018886A KR 102061161 B1 KR102061161 B1 KR 1020611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e plate
slide
elastic member
plate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188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97601A (ko
Inventor
마사시 아츠미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가이샤다다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가이샤다다노 filed Critical 가부시기가이샤다다노
Publication of KR201800976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76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11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11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3/00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13/52Details of compartments for driving engines or motors or of operator's stands or cabins
    • B66C13/54Operator's stands or cabins
    • B66C13/56Arrangements of handles or pedal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1/00Controlling members, e.g. knobs or handles; Assemblies or arrangements thereof; Indicating position of controlling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echanical Control Devices (AREA)

Abstract

(과제) 간단하고 또한 메인터넌스가 용이한 구조이고 오버스트로크 기능을 구비한 저렴한 조작 레버를 제공한다.
(해결 수단) 조작 레버(31)는 회동축(33)을 중심으로 해서 회동 가능한 포크(32)와, 포크(32)에 설치되고 상기 포크(32)를 회동축(33)을 중심으로 해서 회동시키는 핸들(41)과, 유압 제어 밸브(35)의 스풀(36)이 접속됨과 아울러, 소정의 중립 위치를 기준으로 해서 회동축(33)의 축선에 직교하는 슬라이드 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가능한 상태에서 포크(32)에 지지된 슬라이드판(63)과, 상기 슬라이드판(63)의 왕복 이동을 안내하는 커버(62)와, 포크(32)와 커버(62) 사이에 배치됨과 아울러 슬라이드판(63)에 결합되고, 슬라이드판(63)이 상기 중립 위치로부터 슬라이딩했을 때에 상기 중립 위치로 복귀시키도록 슬라이드판(63)을 바이어싱하는 코일 스프링(64)을 구비한다.

Description

조작 레버
본 발명은 차량 탑재용 크레인, 그 외의 작업 장치의 조작 레버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오버스트로크 기능을 구비하는 조작 레버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차량 탑재용 크레인은 유압 구동된다. 붐의 신축·기복 등의 조작은 유압 제어 밸브의 스위칭에 의해 행해진다. 그 때문에, 차량 탑재용 크레인은 오퍼레이터가 유압 제어 밸브를 조작하기 위한 조작 레버를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조작 레버 중에는 오버스트로크 기능을 구비하는 것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오버스트로크 기능을 구비하는 조작 레버는 노멀스트로크 및 오버스트로크의 2개의 모드를 갖고 있다.
노멀스트로크 모드는 유압 스위칭 밸브의 스풀이 중립 위치에 있는 상태로부터 스트로크 엔드에 도달할 때까지의 조작 레버의 조작에 대응한다. 오버스트로크 모드는 상기 스풀이 스트로크 엔드에 도달한 상태로부터 조작 레버가 더 이동되었을 때의 상기 조작 레버의 조작에 대응한다. 노멀스트로크 모드에 있어서는, 붐의 신축·기복 등의 동작 방향의 스위칭 및 동작 속도의 변경이 조작 레버의 조작에 의해 행해진다. 한편, 오버스트로크 모드에 있어서는 동작 속도의 변경만이 조작 레버의 조작에 의해 행해진다.
도 13은 종래의 오버스트로크 기능을 구비하는 조작 레버(101)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조작 레버(101)는 레버 기대(103)(「포크」라고도 칭함), 핸들(112) 및 모드 스위칭 기구(115)를 구비하고 있고, 이 모드 스위칭 기구(115)를 통해서 상술한 오버스트로크 기능이 발휘된다. 레버 기대(103)는 회동축(113)에 지지되어 있고, 핸들(112)이 화살표(116, 117)의 방향으로 조작됨으로써 회동축(113)을 중심으로 해서 회동한다. 즉, 핸들(112)이 화살표(116, 117)의 방향으로 조작됨으로써 유압 제어 밸브의 스풀(102)이 각각 화살표(118, 119)의 방향으로 슬라이딩된다. 이 스풀(102)의 슬라이드 방향이 붐의 신축·기복 등을 행하는 유압 액추에이터의 동작 방향을 결정한다. 핸들(112)의 조작에 의해 상기 스풀(102)의 슬라이딩량이 조정되고, 상기 슬라이딩량에 의해 상기 유압 액추에이터의 동작 속도가 결정된다.
노멀스트로크 모드에 있어서 핸들(112)이 조작되면, 상술한 바와 같이 스풀(102)이 슬라이딩한다. 스풀(102)이 스트로크 엔드에 도달했을 때에 핸들(112)이 동 방향으로 더 조작되면, 조작 레버(101)가 오버스트로크되고(이때, 오버스트로크 모드로 스위칭됨), 스풀(102)이 스트로크 엔드의 상태로 유지된 채 레버 기대(103)만이 회동된다. 상기 모드에 있어서의 레버 기대(103)의 회동량은 소정의 링크 기구를 통해서 엔진 스로틀의 개방 정도에 대응되고 있다. 즉, 유압 펌프의 토출량이 조정되고, 상기 유압 액추에이터의 동작 속도가 조정된다.
이와 같이, 오버스트로크 기능을 구비한 조작 레버는 조작 레버의 단일 조작으로 붐의 동작 방향의 제어 없이, 동작 속도를 광범위하게 걸쳐서 제어할 수 있다.
일본 실용신안공개 평 3-025210호 공보
도 13이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모드 스위칭 기구(115)는 스풀(102)에 연결된 축(104), 핸들(112)이 부착된 통형상 케이스(110), 스프링(106) 및 스프링 시트(107, 108), 칼라(109), 통형상 케이스(110)를 스프링 시트(108) 및 핸들(112)과 함께 축(104)에 체결하는 볼트(111), 및 통형상 케이스(110)의 단부를 폐쇄하는 뚜껑(105)을 구비하고 있다. 축(104)은 일단이 유압 제어 밸브의 스풀(102)에 연결되고, 타단이 스프링 시트(107)에 접촉하고 있다. 스프링(106)의 탄성력은 스프링 시트(107, 108)를 통해서 축(104)에 부가되고, 축(104)은 상시 통형상 케이스(110)로부터 외방으로(동 도면에 있어서 좌측으로) 돌출하도록 바이어싱되어 있다.
도 14 및 도 15는 조작 레버(101)의 확대도로서, 오버스트로크 모드에 있어서의 동작을 나타내고 있다.
핸들(112)이 화살표(117)의 방향으로 조작되고, 스풀(102)이 스트로크 엔드에 도달한 상태에서(도 14(A) 참조), 동 방향으로 핸들(112)이 더 조작되면(오버스트로크되면), 동 도면(B)이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축(104)에 눌려서 스프링(106)이 휘고, 축(104)이 핸들(112)측으로 슬라이딩한다. 이것에 의해, 스풀(102)이 이동되지 않고, 도 14(A)에 나타내는 위치로부터 도 14(B)에 나타내는 위치까지 레버 기대(103)가 회동된다. 핸들(112)이 화살표(116)의 방향으로 조작되는 경우에도 마찬가지이고, 스풀(102)이 스트로크 엔드에 도달한 채 이동되지 않고, 도 15(A)에 나타내는 위치로부터 도 15(B)에 나타내는 위치까지 레버 기대(103)가 회동된다.
그런데, 이 조작 레버(101)를 구성하는 부품 중, 스프링 시트(107, 108) 및 통형상 케이스(110)는 드로잉 가공에 의해 제조되고, 축(104) 및 칼라(109)는 선반 가공에 의해 제조된다. 따라서, 이들 부품의 가공 비용이 높아짐과 아울러, 부품수가 많아지기 때문에 조립공수가 증가하다. 즉, 조작 레버(101)의 제조 비용이 증대할 뿐만 아니라 메인터넌스도 용이하지 않다.
본 발명은 이러한 배경하에 이루어진 것이며, 그 목적은 간단하고 또한 메인터넌스가 용이한 구조이고 오버스트로크 기능을 구비한 저렴한 조작 레버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1) 본 발명에 관한 조작 레버는, 소정의 회동축선을 중심으로 해서 회동 가능한 기대와, 상기 기대에 설치되고 상기 기대를 상기 회동축선을 중심으로 해서 회동시키는 핸들과, 조작 대상이 접속됨과 아울러 소정 중립 위치를 기준으로 해서 상기 회동축선에 직교하는 슬라이드 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 가능한 상태로 상기 기대에 지지된 슬라이드판과, 상기 슬라이드판의 왕복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판과, 상기 기대와 상기 안내판 사이에 배치됨과 아울러 상기 슬라이드판에 결합되고, 상기 슬라이드판이 상기 중립 위치로부터 슬라이딩했을 때에 상기 중립 위치로 복귀시키도록 상기 슬라이드판을 바이어싱하는 탄성 부재를 구비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기대에 대해서 슬라이드판이 지지되어 있고, 이 슬라이드판은 안내판에 서포팅되면서 상기 슬라이드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다. 그리고, 탄성 부재가 상기 기대와 상기 안내판 사이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중립 위치에 있어서의 탄성 부재의 탄성력에 저항해서 상기 슬라이드판이 상기 중립 위치로부터 변위했을 경우에,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슬라이드판을 상기 중립 위치로 복귀시키도록 탄성 바이어싱한다.
그런데, 핸들이 조작되면, 기대가 상기 회동축선을 중심으로 하는 토크를 받는다. 상기 슬라이드판에 조작 대상(전형적으로는 유압 제어 밸브의 스풀)이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조작 대상으로부터 상기 슬라이드판에 상기 토크에 대응한 외력이 작용한다. 이 외력의 크기가 상기 중립 위치에 있어서 탄성 부재가 발휘하는 탄성력보다 작을 경우, 상기 슬라이드판은 상기 중립 위치로부터 변위하지 않고 상기 스풀만이 슬라이딩된다. 즉, 이 경우, 조작 레버의 조작 모드는 노멀스트로크 모드에 상당한다. 또한, 상기 외력의 크기가 상기 중립 위치에 있어서 탄성 부재가 발휘하는 탄성력보다 클 경우(전형적으로는, 조작 대상으로서의 스풀이 스트로크 엔드에 도달한 상태에서 상기 핸들이 큰 힘으로 더 조작되었을 경우), 상기 슬라이드판이 변위하여 상대적으로 상기 기대가 더욱 회동한다. 상기 핸들에의 조작력이 작아지면, 상기 스풀은 스트로크 엔드의 상태인 채로 상기 탄성 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슬라이드판이 중립 위치로 복귀한다. 즉, 이 경우, 조작 레버의 조작 모드는 오버스트로크 모드에 상당한다.
이와 같이, 상기 기대의 일부와, 슬라이드판과, 안내판과, 탄성 부재만으로 상기 조작 레버가 오버스트로크 기능을 발휘하는 구조가 실현되고 있다. 게다가, 탄성 부재는 특별한 구조가 요구되는 것은 아니고, 슬라이드판 및 안내판도 마찬가지이다. 따라서, 이들 부품의 제조에 종래와 같은 드로잉 가공이나 선반 가공, 그 외 기계 가공을 필요로 하지 않고, 조작 레버의 부품수도 종래에 비해서 삭감된다.
(2) 상기 슬라이드 방향을 따라 대향하는 한 쌍의 시트면이 상기 기대 및 안내판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슬라이드판이 상기 중립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상기 탄성 부재가 상기 한 쌍의 시트면에 유지되어 있어도 좋다. 상기 슬라이드판은 상기 슬라이드 방향을 따라 대향하는 한 쌍의 결합부를 갖고, 일방의 결합부는 상기 슬라이드판이 상기 슬라이드 방향 일방측으로 슬라이딩했을 때에 상기 안내판의 시트면을 대신해서 상기 탄성 부재와 결합해서 상기 탄성 부재를 상기 기대의 시트면 사이에서 협지되도록 형성되고, 타방의 결합부는 상기 슬라이드판이 상기 슬라이드 방향 타방측으로 슬라이딩했을 때에 상기 기대의 시트면을 대신해서 상기 탄성 부재와 결합해서 상기 탄성 부재를 상기 안내판의 시트면 사이에서 협지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상기 슬라이드판이 중립 위치에 있을 때,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기대의 시트면과 안내판의 시트면 사이에서 유지된다. 이들 시트면은 상기 기대 및 안내판의 일부에 의해 구성되므로, 탄성 부재를 유지하기 위해서 특별한 부품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상술한 오버스트로크 모드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판이 슬라이딩되지만, 이때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기대의 시트면과 상기 슬라이드판의 타방의 결합부 사이 또는 상기 슬라이드판의 일방의 결합부와 안내판의 시트면 사이에서 끼워넣어지고, 상기 탄성력을 발휘하여 상기 슬라이드판을 상기 중립 위치로 복귀시키려고 한다.
(3) 상기 기대의 시트면은 상기 슬라이드 방향과 직교하는 벽부로 이루어짐과 아울러 상기 벽부는 상기 슬라이드판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감합되고 또한 상기 탄성 부재의 삽입 통과를 규제하는 관통 구멍을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안내판은 한 쌍의 변부를 갖고, 상기 기대와 상기 핸들 사이에 가설된 L자형 부재로 이루어짐과 아울러 상기 안내판의 시트면은 상기 벽부와 대향 배치된 일방의 변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일방의 변부는 상기 슬라이드판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감합되고 또한 상기 탄성 부재의 삽입통과를 규제하는 관통 구멍을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서는, 상기 기대의 시트면은 상기 기대의 벽부로 구성되고, 상기 안내판은 범용품으로서 사용되는 L자형 부재로 구성됨과 아울러 상기 안내판의 시트면은 이 L자형 부재의 일방의 변부로 구성된다. 즉, 안내판도 간단한 부재로 구성된다. 게다가, 상기 한 쌍의 시트면에 관통 구멍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슬라이드판이 상기 슬라이드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유지된다. 즉, 간단한 구조로 슬라이드판이 지지된다.
(4) 상기 슬라이드판의 중앙에 상기 회동축선을 따른 방향으로 관통하는 개구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의 내주면 중 상기 슬라이드 방향을 따라 대향하는 부위에 상기 한 쌍의 결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개구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서는, 상기 기대와 안내판 사이에 개재된 탄성 부재가 상기 슬라이드판 중에 배치됨으로써, 상기 기대, 슬라이드판, 안내판 및 탄성 부재가 컴팩트하게 레이아웃된다. 게다가, 이 배치는 상기 슬라이드판에 형성된 개구 내에 상기 탄성 부재가 배치됨으로써 극히 간단하게 실현된다.
(5) 상기 탄성 부재는 소정의 내경을 갖는 코일 스프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슬라이드재는 플랫바로 이루어지고, 상기 개구는 직사각형을 나타냄과 아울러 상기 한 쌍의 결합부는 상기 코일 스프링에 삽입되는 돌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서는, 상기 탄성 부재도 슬라이드판도 재료로서 범용품이 채용될 수 있다. 게다가, 상기 탄성 부재로서의 코일 스프링은 상기 슬라이드판에 형성된 한 쌍의 돌기에 의해 지지되므로, 간단하고 또한 확실하게 코일 스프링이 상기 중립 위치에 유지되고, 상기 슬라이드판이 슬라이딩했을 경우에 있어서도 상기 코일 스프링은 안정하게 탄성 변형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조작 레버의 부품수가 삭감됨과 아울러, 각 부품이 드로잉 가공 또는 선반 가공을 사용하지 않고 제조될 수 있다. 따라서, 간단하고 또한 메인터넌스가 용이한 구조이고 오버스트로크 기능을 구비한 저렴한 조작 레버가 제공될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관한 조작 레버 장치(30)를 구비한 차량 탑재형 크레인(10)의 측면도이다.
도 2는 조작 레버 장치(30)를 구비한 차량 탑재형 크레인(10)의 배면도이다.
도 3은 조작 레버 장치(30)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4는 조작 레버 장치(30)에 있어서의 적층 상태의 조작 레버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수평으로 회동 조작되는 조작 레버(31)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6은 조작 레버(31)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포크(32)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A)는 평면도, (B)는 측면도이다.
도 8은 커버(62)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A)는 평면도, (B)는 측면도이다.
도 9는 슬라이드판(63)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0은 모드 스위칭 기구(61)의 확대도이며, (A)는 슬라이드판(63)이 우측 방향으로 이동한 상태, (B)는 슬라이드판(63)이 중립 위치에 있는 상태, (C)는 슬라이드판(63)이 좌측 방향으로 이동한 상태를 나타낸다.
도 11은 오버스트로크 모드를 설명하는 도면이며, (A)는 회동에 대해서 중립인 상태, (B)는 스풀 누름 동작에 있어서 스풀(36)이 스풀 엔드에 있는 상태, (C)는 스풀 누름 동작에 있어서의 오버스트로크의 상태를 나타낸다.
도 12는 오버스트로크 모드를 설명하는 도면이며, (A)는 회동에 대해서 중립인 상태, (B)는 스풀 당김 동작에 있어서 스풀(36)이 스풀 엔드에 있는 상태, (C)는 스풀 당김 동작에 있어서의 오버스트로크의 상태를 나타낸다.
도 13은 종래 기술에 있어서의 모드 스위칭 기구(115)를 구비하는 조작 레버(101)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4는 종래 기술에 있어서의 오버스트로크 모드를 설명하는 도면이며, (A)는 스풀 누름 동작에 있어서 스풀(102)이 스풀 엔드에 있는 상태, (B)는 스풀 누름 동작에 있어서의 오버스트로크의 상태를 나타낸다.
도 15는 종래 기술에 있어서의 오버스트로크 모드를 설명하는 도면이며, (A)는 스풀 당김 동작에 있어서 스풀(102)이 스풀 엔드에 있는 상태, (B)는 스풀 당김 동작에 있어서의 오버스트로크의 상태를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가 적당히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에서 실시형태가 변경되어도 좋은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차량 탑재형 크레인(10)]
도 1 및 도 2는 차량 탑재형 크레인(10)의 좌측면도 및 배면도이다.
이 차량 탑재형 크레인(10)은 작업 차량에 걸쳐서 장착되고, 상기 작업 차량의 엔진을 구동원으로 하는 유압 기구에 의해 구동된다. 도 1에 있어서, 참조 부호 8로 나타내지는 방향이 차량 탑재형 크레인(10)이 탑재된 작업 차량의 주행방향이며, 상기 방향이 전후방향(8)이라고 정의된다. 또한, 참조 부호 7로 나타내지는 방향이 상하방향(7)(일반적으로 연직방향)이라고 정의되고, 상기 상하방향(7) 및 전후방향(8)과 직교하는 방향이 좌우방향(9)이라고 정의된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차량 탑재형 크레인(10)은 메인빔(11)과, 잭(12)과, 선회대(13)와, 선회포스트(14)와, 붐(15)과, 기복 실린더(16)와, 윈치(17)와, 와이어로프(18)와, 훅(19)을 주로 구비한다.
차량 탑재형 크레인(10)은 메인빔(11)이 상기 작업 차량의 프레임 상에 고정되어 있다. 단면이 직사각형의 상자 형상으로 형성된 메인빔(11) 내에는 좌우방향(9)으로 연장되는 슬라이드 빔이 배치되고, 슬라이드 빔에 지지된 잭(12)이 신장해서 접지함으로써 차량의 안정이 확보된다. 선회대(13)는 메인빔(11)에 설치되고, 상하방향(7)을 따른 회동 중심축의 주위로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선회포스트(14)는 선회대(13)에 세워서 설치되어 있고, 선회대(13)와 일체로 되어서 회전한다. 붐(15)은 선회포스트(14)의 상단에 설치되어 있다. 붐(15)의 기단부(15A)가 선회포스트(14)에 기복 중심핀을 통해서 연결되어 있어, 기복 동작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붐(15)은 베이스 붐(21), 중간 붐(22) 및 톱 붐(23)을 구비하고 있다. 중간 붐(22) 및 톱 붐(23)은 베이스 붐(21) 내에 네스팅식으로 격납된다. 이것에 의해, 붐(15)은 신축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기복 실린더(16)는 붐(15)을 기복시키기 위한 것이다. 붐(15)은 신축 실린더를 내장하고 있고, 신축 실린더가 신축함으로써 붐(15)이 신축한다. 윈치(17)는 선회포스트(14)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다. 윈치(17)는 와이어로프(18)를 풀거나 또는 감는 것이다. 와이어로프(18)는 붐(15)의 선단부(15B)에 감아 걸려서 수직 하강하고 있고, 그 선단에 훅(19)이 설치되어 있다. 윈치(17)가 소정 방향으로 회전됨으로써, 와이어로프(18)가 윈치(17)에 감기고, 훅(19)이 상승한다. 윈치(17)가 반대의 소정 방향으로 회전됨으로써, 와이어로프(18)가 윈치(17)로부터 풀리고, 훅(19)이 하강한다.
[조작 레버 장치(30)]
도 3은 조작 레버 장치(30)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며, 도 4는 조작 레버 장치(30)에 있어서의 적층 상태의 조작 레버(31)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5는 수평으로 회동 조작되는 조작 레버(31)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차량 탑재형 크레인(10)은 유압 회로에 의해 유압 구동되고, 이 유압 회로를 조작하기 위한 조작 레버 장치(30)를 구비하고 있다. 조작 레버 장치(30)는 붐(15)의 신축, 붐(15)의 기복, 윈치(17)의 회전, 선회대(13)의 선회, 잭(12)의 신축을 조작하기 위한 것이다. 조작 레버 장치(30)는 붐 신축 조작 레버(31A)와, 붐 기복 조작 레버(31B)와, 윈치 조작 레버(31C)와, 선회 조작 레버(31D)와, 잭 조작 레버(31E, 31F)를 구비하고, 총칭해서 조작 레버(31)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
도 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각 조작에 대응하는 조작 레버(31)는 각각 차량 탑재형 크레인(10)의 좌우 양측에 1개씩 구비되어 있다. 조작 레버(31)의 기단부(56)(도 5 참조)에 후술하는 포크(32)(청구범위에 기재된 「기대」에 상당)가 구비되어 있다(도 4 참조). 포크(32)는 상하방향(7)으로 연장되는 회동축(33)(청구범위에 기재된 「소정의 회동축선」에 상당)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있다. 좌우에 배치된 한 쌍의 포크(32)는 로드(34)에 의해 연결되고(도 5 참조), 일방의 조작 레버(31)가 회동 조작되면, 대응하는 타방의 조작 레버(31)가 연동해서 회동한다. 이것에 의해, 오퍼레이터는 차량의 좌우 어느 측으로부터도 조작 가능하게 되어 있다.
[유압 제어 밸브(35)]
도 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조작 레버 장치(30)는 각 조작 레버(31A, 31B, 31C, 31D, 31E, 31F)에 대응하는 유압 회로의 유압 제어 밸브(35)를 구비하고 있다. 도 5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유압 제어 밸브(35)는 좌우방향(9)으로 연장되고, 동 방향으로 슬라이딩하는 스풀(36)을 내장하고 있다. 각 스풀(36)의 단부는 각 조작 레버(31)의 포크(32)에 지지된 슬라이드판(63)(후술의 도 6 참조)에 연결핀(37)을 통해서 연결되어 있다. 그 때문에, 조작 레버(31)가 오퍼레이터에 의해 회동 조작되면, 포크(32)가 회동축(33)을 중심으로 회동되고, 스풀(36)이 좌측방향 또는 우측방향으로 직선 이동된다. 그 결과, 유압 제어 밸브(35)가 스위칭된다.
[조작 레버(31)]
도 6은 조작 레버(31)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7은 포크(32)의 형상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8은 커버(62)의 형상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9는 슬라이드판(63)의 형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조작 레버(31)는 포크(32)와, 핸들(41)과, 커버(62)(청구범위에 기재된 「안내판」에 상당)와, 슬라이드판(63)과, 코일 스프링(64)(청구범위에 기재된 「탄성 부재」에 상당)을 구비한다. 이하의 조작 레버(31)의 설명에는 차량의 좌측에 구비되는 조작 레버(31)가 중립의 위치에 있는 상태(회동 조작되고 있지 않은 상태)를 전제로 한다.
[핸들(41)]
도 6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핸들(41)은 본 실시형태에서는 둥근 막대로 이루어지고, 기단부(56)로부터 좌측방향으로 연장되고 도중에 굴곡져서 소정 방향, 예를 들면 좌측으로 비스듬히 상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핸들(41)의 파지부(55)(기단부(56)의 반대의 단부)에 도 5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손잡이(57)가 부착되어 있어도 좋다. 손잡이(57)의 형상은 오퍼레이터가 핸들(41)의 파지부(55)를 파지하기 쉽도록 형성되어 있다.
[포크(32)]
도 7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포크(32)는 상판(44)과, 하판(45)과, 측판(46)을 구비하고, 단면 형상은 대략 C자 형상이다. 상판(44), 하판(45) 및 측판(46)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판(44)은 우측단의 중앙부가 좌측방향으로 사다리꼴 형상으로 노치된 형상을 나타낸다. 하판(45)은 상판(44)과 간격을 두고 상판(44)의 하방에 위치한다. 측판(46)은 동 도면(B)이 나타내듯이 대략 직사각형 형상을 나타내고, 상판(44)의 단부 가장자리(47)와 하판(45)의 단부 가장자리(도시하지 않음) 사이에 걸쳐져 있다.
포크(32)는 회동축 삽입통과 구멍(51)과, 핸들 삽입통과 구멍(53)과, 슬라이드 구멍(54)(청구범위에 기재된 「관통 구멍」에 상당)을 구비한다. 회동축 삽입통과 구멍(51)은 원형의 구멍이며, 상하방향(7)을 따라 상판(44) 및 하판(45)을 관통하고 있다. 회동축 삽입통과 구멍(51)에 상기 회동축(33)(도 3, 도 5 참조)이 삽입통과된다. 이것에 의해, 포크(32)는 회동축(33)을 중심으로 해서 상기 회동축(33)과 직교하는 평면을 따라 회동 가능하다. 핸들 삽입통과 구멍(53)은 원형의 구멍이며, 측판(46)을 좌우방향(9)으로 관통하고 있다. 도 6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핸들(41)의 기단부(56)가 좌측방향으로부터 핸들 삽입통과 구멍(53)(도 7 참조)에 끼워넣어져 용접된다. 이것에 의해, 핸들(41)이 포크(32)에 고정된다. 도 7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슬라이드 구멍(54)은 전후방향(8)으로 연장되는 가늘고 긴 직사각형 형상을 나타낸다. 슬라이드 구멍(54)은 측판(46)을 좌우방향(9)으로 관통하여 있다. 슬라이드 구멍(54)에 대해서는 후에 상술된다.
[모드 스위칭 기구(61)]
도 6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조작 레버(31)는 모드 스위칭 기구(61)를 구비한다. 이 모드 스위칭 기구(61)에 의해 조작 레버(31)의 조작 모드가 노멀스트로크 모드 및 오버스트로크 모드 중 어느 하나로 스위칭된다. 모드 스위칭 기구(61)는 커버(62)와, 슬라이드판(63)과, 코일 스프링(64)에 의해 구성된다.
커버(62)는 포크(32)의 측판(46)과 핸들(41) 사이에 걸쳐져 있다. 도 6 및 도 8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커버(62)는 가늘고 긴 판상 부재가 직각으로 구부려서 형성된 L자형 부재이다. 커버(62)는 좌우방향(9)으로 연장되는 제 1 판부(65)와 전후방향(8)으로 연장되는 제 2 판부(66)로 이루어진다. 도 6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 1 판부(65)의 우측 단부 가장자리(67)는 포크(32)의 측판(46)의 좌측면(68)(청구범위에 기재된 「벽부」 및 「시트면」에 상당)에 접속되어 있다. 도 8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 2 판부(66)의 후단부는 좌우방향(9)으로 관통하는 관통 구멍(71)을 갖고 있다. 도 6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핸들(41)의 기단부(56)는 커버(62)의 관통 구멍(71) 내에 삽입통과되어 있다. 핸들(41)의 기단부(56)와 관통 구멍(71)은, 예를 들면 용접에 의해 고착되어 있다. 도 8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 2 판부(66)는 좌우방향(9)으로 관통하는 슬라이드 구멍(72)(청구범위에 기재된 「관통 구멍」에 상당)을 갖고 있다. 슬라이드 구멍(72)은 포크(32)의 슬라이드 구멍(54)(도 7 참조)과 동일한 형상을 나타낸다. 슬라이드 구멍(72)은 슬라이드 구멍(54)과 좌우 방향으로 이간해서 대향하여 있고, 상하방향(7) 및 전후방향(8)에 있어서 동일 위치에 배치되어(도 10 참조) 있다.
도 9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슬라이드판(63)은 대략 직사각형 판형상의 플랫바이다. 슬라이드판(63)은 상하방향(7)(지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관통하는 직사각형의 관통 구멍(73)(청구범위에 기재된 「개구」에 상당)을 갖고 있다. 관통 구멍(73)의 내주면(74)에 있어서의 우측 끝면(74A)에 돌기(75)(청구범위에 기재된 「결합부」에 상당)가 형성되어 있다. 이 돌기(75)는 직사각형 형상을 나타내고 좌측방향으로 돌출하여 있다. 관통 구멍(73)의 내주면(74)에 있어서의 좌측 끝면(74B)에 돌기(78)(청구범위에 기재된 「결합부」에 상당)가 형성되어 있다. 이 돌기(78)는 상기 돌기(75)와 동일한 형상이며, 상기 좌측 끝면(74B)으로부터 우측방향으로 돌출하고 상기 돌기(78)와 대향하여 있다. 돌기(75) 및 돌기(78)의 전후방향(8)의 치수는 동일하고, 후술하는 코일 스프링(64)의 내경과 대략 동일하다. 슬라이드판(63)의 우측 끝면(80)에 결합부(81)가 설치되어 있다. 결합부(81)는 상기 우측 끝면(80)으로부터 우측방향으로 돌출하여 있다. 결합부(81)는 상하방향(7)으로 관통하는 관통 구멍(82)을 갖고 있다. 도 10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슬라이드판(63)은 포크(32)의 슬라이드 구멍(54)(도 7 참조) 및 커버(62)의 슬라이드 구멍(72)(도 8 참조)에 좌우방향(9)(청구범위에 기재된 「슬라이드 방향」에 상당)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통과된다(도 6 참조).
도 10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코일 스프링(64)은 포크(32)의 측판(46)의 좌측면(68)과 커버(62)의 제 2 판부(66)의 우측면(66A)(청구범위에 기재된 「변부」 및 「시트면」에 상당) 사이이고, 또한 슬라이드판(63)의 관통 구멍(73)(도 9 참조)에 있어서의 좌측 끝면(74B)과 우측 끝면(74A) 사이에, 소정의 초기 압축량만큼 압축된 상태로 배치된다. 코일 스프링(64)의 우측 단부는 포크(32)의 측판(46)의 좌측면(68) 및 슬라이드판(63)의 관통 구멍(73)에 있어서의 우측 끝면(74A)의 적어도 일방에 접촉한다. 또한, 코일 스프링(64)의 좌측 단부는 커버(62)의 제 2 판부(66)의 우측면(66A) 및 슬라이드판(63)의 관통 구멍(73)의 좌측 끝면(74B)의 적어도 일방에 접촉한다. 코일 스프링(64)이 셋팅된 상태에서, 슬라이드판(63)의 관통 구멍(73)의 내주면(74)에 형성된 돌기(75, 78)(도 9 참조)는 코일 스프링(64)의 내측에 삽입된다. 이것에 의해, 코일 스프링(64)의 전후방향(8)으로의 이동이 규제된다.
[모드 스위칭 기구(61)의 동작]
도 10은 모드 스위칭 기구(61)의 동작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며, (A)는 슬라이드판(63)이 중립 위치보다 우측방향으로 이동한 상태, (B)는 슬라이드판(63)이 중립 위치에 위치하는 정상 상태, (C)는 슬라이드판(63)이 중립 위치보다 좌측방향으 로 이동한 상태를 나타낸다.
도 10(B)에 나타내는 상태로부터, 포크(32)에 대해서 슬라이드판(63)이 우측방향으로 이동하면, 도 10(A)에 나타내는 상태에 도달한다. 도 10(A)에 나타내는 상태에서는, 도 10(B)에 나타내는 상태와 비교하여 포크(32)의 측판(46)의 좌측면(68)과, 슬라이드판(63)의 관통 구멍(73)(도 9 참조)에 있어서의 좌측 끝면(74B)의 간격이 좁혀진다. 코일 스프링(64)의 우측단은 상기 측판(46)의 좌측면(68)에 접촉하고 있고, 코일 스프링(64)이 우측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규제되어 있기 때문에, 코일 스프링(64)이 초기 압축량으로부터 더욱 압축된다. 이때, 슬라이드판(63)에 있어서의 결합부(81)의 관통 구멍(82)과 포크(32)의 측판(46)의 거리는 도 10(B)에 나타내는 정상 상태와 비교해서 길어진다. 도 10(A)에 나타내는 상태에서는 도 10(B)에 나타내는 중립 위치로 슬라이드판(63)이 복귀하도록 슬라이드판(63)에 코일 스프링(64)의 바이어싱력이 작용한다.
도 10(B)에 나타내는 상태로부터 포크(32)에 대해서 슬라이드판(63)이 좌측방향으로 이동하면, 도 10(C)에 나타내는 상태에 도달한다. 도 10(C)에 나타내는 상태에서는, 도 10(B)에 나타내는 상태와 비교하여 커버(62)의 제 2 판부(66)의 우측면(66A)과 슬라이드판(63)의 관통 구멍(73)(도 9 참조)에 있어서의 우측 끝면(74A)의 간격이 좁혀진다. 코일 스프링(64)의 좌측단은 커버(62)의 제 2 판부(66)에 접촉하고 있고, 코일 스프링(64)이 좌측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규제되어 있기 때문에, 코일 스프링(64)이 초기 압축량으로부터 더욱 압축된다. 이때, 슬라이드판(63)에 있어서의 결합부(81)의 관통 구멍(82)과 포크(32)의 측판(46)의 거리는 도 10(B)에 나타내는 정상 상태와 비교해서 짧아진다. 도 10(C)에 나타내는 상태에서는 도 10(B)에 나타내는 중립 위치로 슬라이드판(63)이 복귀하도록 슬라이드판(63)에 코일 스프링(64)의 바이어싱력이 작용한다.
[오버스트로크 모드]
도 11 및 도 12는 오버스트로크 모드에 있어서의 모드 스위칭 기구(61)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오퍼레이터에 의해 핸들(41)이 중립 위치로부터 화살표(87)의 방향으로 회동 조작되었을 때의 모드 스위칭 기구(61)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11(A)은 핸들(41) 및 슬라이드판(63)이 중립 위치(도 10(B) 참조)에 있는 상태의 모드 스위칭 기구(61)이다. 이 상태에 있어서, 슬라이드판(63)의 결합부(81)는 스풀(36)을 이동시키기 위한 힘을 스풀(36)에 가하고 있지 않으므로, 스풀(36)로부터의 항력도 결합부(81)에 가해지고 있지 않다. 따라서, 모드 스위칭 기구(61)는 중립인 상태, 즉 슬라이드판(63)이 중립 위치로부터 좌우방향(9)으로 이동하지 않는 상태로 있다. 이 상태에 있어서, 코일 스프링(64)은 소정의 초기 압축량만큼 압축된 상태로 있다. 이 상태에 있어서는, 작업 장치(차량 탑재용 크레인(10))는 동작하지 않는다.
도 11(A)이 나타내는 상태로부터 핸들(41)이 화살표(87)의 방향으로 회동 조작되면, 회동축(33)을 중심으로 포크(32)가 화살표(87)의 방향으로 회동하고, 스풀(36)이 스풀 엔드에 도달할 때까지 화살표(88)의 방향으로 이동하고, 모드 스위칭 기구(61)는 도 11(B)이 나타내는 상태에 도달한다.
구체적으로는, 도 11(A)이 나타내는 상태로부터 도 11(B)이 나타내는 상태까지의 과정에 있어서, 슬라이드판(63)의 결합부(81)는 스풀(36)에 대해서 화살표(88)의 방향으로 힘을 가한다. 그 때문에, 스풀(36)로부터의 항력으로서 결합부(81)에 대해서 화살표(88)와 반대의 방향으로의 힘이 가해진다. 그러나, 모드 스위칭 기구(61)의 코일 스프링(64)에는 스풀(36)을 화살표(88)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데 필요한 힘이 가해져도 압축되지 않는 것이 사용되고 있다. 즉, 코일스프링(64)을 초기 압축량으로부터 더욱 압축하는데에 필요한 힘은 유압 제어 밸브(35)에 있어서 스풀(36)을 중립 위치로 바이어싱하는 스프링(도시하지 않음)을 압축하는데 필요한 힘보다 크다. 그 때문에, 코일 스프링(64)은 초기 압축량으로부터는 압축되지 않아서, 슬라이드판(63)은 포크(32)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이동하지 않는다. 따라서, 결합부(81)가 화살표(88)의 방향으로 이동하고, 스풀(36)이 화살표(88)의 방향으로 직선 이동한다.
도 11(A)이 나타내는 상태로부터 도 11(B)이 나타내는 상태까지의 조작 레버(31)의 조작 모드는 노멀스트로크 모드이다. 노멀스트로크 모드에 있어서는, 작업 장치의 동작방향(예를 들면, 선회대(13)의 선회방향) 및 동작 속도(예를 들면, 선회대(13)의 선회 속도)를 결정하는 유압 제어 밸브(35)(도 5 참조)의 상태가 스풀(36)의 화살표 방향(88)에 있어서의 위치에 의해 결정된다. 그 때문에, 도 11(A)이 나타내는 상태로부터 도 11(B)이 나타내는 상태로의 조작 레버(31)의 회동 조작에 의해, 작업 장치는 소정 방향으로 동작한다. 또한, 스풀(36)의 이동량에 상당하는 속도로 작업 장치가 동작한다.
도 11(B)이 나타내는 상태로부터 핸들(41)이 화살표(87)의 방향으로 더욱 회동 조작되면, 스풀(36)이 스풀 엔드(도 11(B) 참조)에 위치한 채 회동축(33)을 중심으로 포크(32)가 화살표(87)의 방향으로 더욱 회동하고, 모드 스위칭 기구(61)는 도 11(C)이 나타내는 상태에 도달한다.
구체적으로는, 도 11(B)이 나타내는 상태에 있어서 스풀(36)은 이미 스풀 엔드에 도달하여 있으므로, 화살표(88)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없다. 그 때문에, 도 11(B)이 나타내는 상태로부터 도 11(C)이 나타내는 상태로의 과정에 있어서, 코일 스프링(64)이 초기 압축량으로부터 더욱 압축되어, 슬라이드판(63)이 슬라이드 방향(90)으로 슬라이딩 이동한다. 그 때문에, 결합부(81)와 커버(62)의 제 2 판부(66)의 간격이 짧아진다. 이것에 의해, 스풀(36)이 스풀 엔드에서 정지한 채, 포크(32)가 도 11(B)에 나타내는 위치로부터 더욱 회동한다.
도 11(B)이 나타내는 상태로부터 도 11(C)이 나타내는 상태까지의 조작 레버(31)의 조작 모드는 오버스트로크 모드이다. 오버스트로크 모드에 있어서는, 작업 장치의 동작 속도를 결정하는 엔진 스로틀의 개방 정도는 포크(32)의 회동 위치에 의해 결정된다. 그 때문에, 도 11(B)이 나타내는 상태로부터 도 11(C)이 나타내는 상태로의 조작 레버(31)의 회동 조작에 의해 엔진 스로틀이 개방되고, 엔진 스로틀의 개방 정도에 따라 작업 장치의 동작 속도가 더욱 상승한다.
도 12는 오퍼레이터에 의해 핸들(41)이 중립 위치로부터 화살표(86)의 방향으로 회동 조작되었을 때의 모드 스위칭 기구(61)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12(A)에 나타내는 모드 스위칭 기구(61)의 상태는 도 11(A)에 나타내는 모드 스위칭 기구(61)의 상태와 같다.
도 12(A)가 나타내는 상태로부터 핸들(41)이 화살표(86)의 방향으로 회동 조작되면, 회동축(33)을 중심으로 포크(32)가 화살표(86)의 방향으로 회동하고, 스풀(36)이 스풀 엔드에 도달할 때까지 화살표(89)의 방향으로 이동하고, 모드 스위칭 기구(61)는 도 12(B)이 나타내는 상태에 도달한다.
구체적으로는, 도 12(A)가 나타내는 상태로부터 도 12(B)가 나타내는 상태까지의 과정에 있어서, 슬라이드판(63)의 결합부(81)는 스풀(36)에 대해서 화살표(89)의 방향에 힘을 가한다. 그 때문에, 스풀(36)로부터의 항력으로서 결합부(81)에 대해서 화살표(89)와 반대의 방향으로의 힘이 가해진다. 그러나, 모드 스위칭 기구(61)의 코일 스프링(64)에는 스풀(36)을 화살표(89)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데 필요한 힘이 가해져도 압축되지 않는 것이 사용되고 있다. 즉, 코일스프링(64)을 초기 압축량으로부터 더욱 압축하는데 필요한 힘은 유압 제어 밸브(35)에 있어서 스풀(36)을 중립 위치로 바이어싱하는 스프링(도시하지 않음)을 압축하는데 필요한 힘보다 크다. 그 때문에, 코일 스프링(64)은 초기 압축량으로부터는 압축되지 않아서, 슬라이드판(63)은 포크(32)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이동하지 않는다. 따라서, 결합부가 화살표(89)의 방향으로 이동하고, 스풀(36)이 화살표(89)의 방향으로 직선 이동한다.
도 12(A)가 나타내는 상태로부터 도 12(B)가 나타내는 상태까지의 조작 레버(31)의 조작 모드는 노멀스트로크 모드이다.
도 12(B)가 나타내는 상태로부터 핸들(41)이 화살표(86)의 방향으로 더욱 회동 조작되면, 스풀(36)이 스풀 엔드(도 12(B) 참조)에 위치한 채, 회동축(33)을 중심으로 포크(32)가 화살표(86)의 방향으로 더욱 회동하고, 모드 스위칭 기구(61)는 도 11(C)이 나타내는 상태에 도달한다.
구체적으로는, 도 12(B)가 나타내는 상태에 있어서, 스풀(36)은 이미 스풀 엔드에 도달하여 있으므로, 화살표(89)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없다. 그 때문에, 도 12(B)가 나타내는 상태로부터 도 12(C)가 나타내는 상태로의 과정에 있어서, 코일 스프링(64)이 초기 압축량으로부터 더욱 압축되어, 슬라이드판(63)이 슬라이드 방향(91)으로 슬라이딩 이동한다. 그 때문에, 결합부(81)와 커버(62)의 제 2 판부(66)의 간격이 길어진다. 이것에 의해, 스풀(36)이 스풀 엔드에서 정지한 채, 포크(32)가 도 12(B)에 나타내는 위치로부터 더욱 회동한다.
도 12(B)가 나타내는 조작 레버(31)의 상태로부터 도 12(C)가 나타내는 조작 레버(31)의 조작 모드는 오버스트로크 모드이다.
[본 실시형태의 작용 효과]
이상과 같이, 도 6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포크(32)의 일부와, 슬라이드판(63)과, 커버(62)와, 코일 스프링(64)만으로 조작 레버(31)가 오버스트로크 기능을 발휘하는 구조가 실현되어 있다. 게다가, 코일 스프링(64)은 특별한 구조가 요구되는 것은 아니고, 슬라이드판(63) 및 커버(62)도 마찬가지이다. 따라서, 이들 부품의 제조에 종래와 같은 드로잉 가공이나 선반 가공, 그 외 기계 가공을 필요로 하지 않고, 조작 레버(31)의 부품수도 종래에 비해서 삭감된다.
도 10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슬라이드판(63)이 도 10(B)에 나타내는 중립 위치에 있을 때, 코일 스프링(64)은 포크(32)의 측판(46)의 좌측면(68)과 커버(62)의 제 2 판부(66)의 우측면(66A) 사이에서 유지된다. 포크(32)의 측판(46)의 좌측면(68)은 포크(32)의 일부에 의해 구성되고, 커버(62)의 제 2 판부(66)의 우측면(66A)은 커버(62)의 일부에 의해 구성되므로, 코일 스프링(64)을 유지하기 위해서 특별한 부품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오버스트로크 모드에 있어서 슬라이드판(63)이 슬라이딩될 때, 코일 스프링(64)은 포크(32)의 측판(46)의 좌측면(68)과 슬라이드판(63)의 관통 구멍(73)에 있어서의 좌측 끝면(74B) 사이, 또는 슬라이드판(63)의 관통 구멍(73)에 있어서의 우측 끝면(74A)과 커버(62)의 제 2 판부(66)의 우측면(66A) 사이에 끼워 넣어지고, 탄성력을 발휘하여 슬라이드판(63)을 중립 위치로 복귀시키려고 한다.
포크(32)의 측판(46)의 좌측면(68) 및 커버(62)의 제 2 판부(66)의 우측면(66A)은 간단한 부재로 구성된다. 게다가, 포크(32)의 측판(46)의 좌측면(68) 및 커버(62)의 제 2 판부(66)의 우측면(66A)에 슬라이드 구멍(54, 72)이 형성됨으로써, 슬라이드판(63)이 좌우방향(9)(도 10 참조)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유지된다. 즉, 간단한 구조로 슬라이드판(63)이 지지된다.
포크(32)와 커버(62) 사이에 개재된 코일 스프링(64)이 슬라이드판(63)의 관통 구멍(73)(도 9 참조) 내에 배치된다. 그 때문에, 포크(32), 슬라이드판(63), 커버(62) 및 코일 스프링(64)이 컴팩트하게 레이아웃된다. 게다가, 이 배치는 매우 간단하게 실현된다.
코일 스프링(64)도 슬라이드판(63)도 재료로서 범용품이 채용될 수 있다. 게다가, 코일 스프링(64)은 슬라이드판(63)에 형성된 한 쌍의 돌기(75, 78)에 의해 지지되므로, 간단하고 또한 확실하게 코일 스프링(64)이 상기 중립 위치에 유지되어, 슬라이드판(63)이 슬라이딩했을 경우에 있어서도 코일 스프링(64)은 안정하게 탄성 변형을 할 수 있다.
[변형예]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커버(62)는 일단부가 포크(32)에 고정되고, 타단부가 핸들(41)에 고정되어 있다. 그러나, 커버(62)는 핸들(41)에만 고정되어 있어도 좋고, 포크(32)에만 고정되어 있어도 좋다. 예를 들면, 커버(62)를 U자형으로 형성하고, 양단을 포크(32) 또는 핸들(41)에 고정함으로써, 커버(62)가 포크(32) 또는 핸들(41)의 일방에만 고정된다.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탄성체로서 코일 스프링(64)이 사용되었지만, 코일 스프링(64) 대신에 고무나 비틀림 코일 스프링 등의 각종의 탄성체가 사용되어도 좋다.
또한 슬라이드판(63)의 돌기(75, 78)에 추가해서, 포크(32)의 측판(46)의 좌측면(68) 및 커버(62)의 제 2 판부(66)의 우측면(66A)에도 코일 스프링(64)에 삽입되는 돌기가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이것에 의해, 슬라이드판(63)이 슬라이딩됨으로써, 코일 스프링(64)의 일방의 단부가 슬라이드판(63)의 돌기(75, 78) 중 어느 일방에 지지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 있어서도, 돌기(75, 78)에 지지되어 있지 않은 코일 스프링(64)의 단부가 포크(32) 또는 커버(62)의 돌기에 지지되므로, 코일 스프링(64)이 안정하게 탄성 변형을 할 수 있다.
본원발명에 따른 조작 레버(31)는 차량 탑재형 크레인(10) 이외의 작업 장치에 사용되어도 좋다.
33···회동축(회동축선)
32···포크(기대)
41···핸들
36···스풀(조작 대상)
9···좌우방향(슬라이드 방향)
63···슬라이드판
62···커버(안내판, L자형 부재)
64···코일 스프링(탄성 부재)
31···조작 레버
68···좌측면(벽부, 시트면)
66A ···우측면(변부, 시트면)
75, 78···돌기(결합부)
72···슬라이드 구멍(관통 구멍)
54···슬라이드 구멍(관통 구멍)
73···관통 구멍(개구)
74···내주면

Claims (5)

  1. 소정의 회동축선을 중심으로 해서 회동 가능한 기대와,
    상기 기대에 설치되고, 상기 기대를 상기 회동축선을 중심으로 해서 회동시키는 핸들과,
    조작 대상이 접속됨과 아울러, 소정의 중립 위치를 기준으로 해서 상기 회동축선에 직교하는 슬라이드 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 가능한 상태에서 상기 기대에 지지된 슬라이드판과,
    상기 슬라이드판의 왕복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판과,
    상기 기대와 상기 안내판 사이에 배치됨과 아울러 상기 슬라이드판에 결합되고, 상기 슬라이드판이 상기 중립 위치로부터 슬라이딩했을 때에 상기 중립 위치로 복귀시키도록 상기 슬라이드판을 바이어싱하는 탄성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슬라이드 방향을 따라 대향하는 한 쌍의 시트면이 상기 기대 및 안내판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슬라이드판이 상기 중립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상기 탄성 부재가 상기 한 쌍의 시트면에 유지되어 있고,
    상기 슬라이드판은 상기 슬라이드 방향을 따라 대향하는 한 쌍의 결합부를 갖고,
    일방의 결합부는 상기 슬라이드판이 상기 슬라이드 방향 일방측으로 슬라이딩했을 때에 상기 안내판의 시트면을 대신해서 상기 탄성 부재와 결합해서 상기 탄성 부재를 상기 기대의 시트면과의 사이에서 협지하도록 형성되고,
    타방의 결합부는 상기 슬라이드판이 상기 슬라이드 방향 타방측으로 슬라이딩했을 때에 상기 기대의 시트면을 대신해서 상기 탄성 부재와 결합해서 상기 탄성 부재를 상기 안내판의 시트면과의 사이에서 협지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조작 레버.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대의 시트면은 상기 슬라이드 방향과 직교하는 벽부로 이루어짐과 아울러 상기 벽부는 상기 슬라이드판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감합되고 또한 상기 탄성 부재의 삽입통과를 규제하는 관통 구멍을 갖고 있고,
    상기 안내판은 한 쌍의 변부를 갖고, 상기 기대와 상기 핸들 사이에 가설된 L자형 부재로 이루어짐과 아울러 상기 안내판의 시트면은 상기 벽부와 대향 배치된 일방의 변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일방의 변부는 상기 슬라이드판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감합되고 또한 상기 탄성 부재의 삽입통과를 규제하는 관통 구멍을 갖고 있는 조작 레버.
  4.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판의 중앙에 상기 회동축선을 따른 방향으로 관통하는 개구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의 내주면 중 상기 슬라이드 방향을 따라 대향하는 부위에 상기 한 쌍의 결합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개구에 배치되어 있는 조작 레버.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는 소정의 내경을 갖는 코일 스프링이고,
    상기 슬라이드판은 플랫바로 이루어지고, 상기 개구는 직사각형을 나타냄과 아울러 상기 한 쌍의 결합부는 상기 코일 스프링에 삽입되는 돌기인 조작 레버.
KR1020187018886A 2016-03-14 2017-03-07 조작 레버 KR10206116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050118A JP6342933B2 (ja) 2016-03-14 2016-03-14 操作レバー
JPJP-P-2016-050118 2016-03-14
PCT/JP2017/009085 WO2017159468A1 (ja) 2016-03-14 2017-03-07 操作レバ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7601A KR20180097601A (ko) 2018-08-31
KR102061161B1 true KR102061161B1 (ko) 2019-12-31

Family

ID=598515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18886A KR102061161B1 (ko) 2016-03-14 2017-03-07 조작 레버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342933B2 (ko)
KR (1) KR102061161B1 (ko)
CN (1) CN108473288B (ko)
WO (1) WO201715946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973125B2 (ja) * 2018-01-31 2021-11-24 株式会社タダノ レバー装置
JP7119394B2 (ja) 2018-01-31 2022-08-17 株式会社タダノ 操作バルブ及びクレーン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42753Y2 (ko) * 1974-03-06 1982-09-20
JPS5623521Y2 (ko) * 1975-10-15 1981-06-03
JPS6093700U (ja) * 1983-12-02 1985-06-26 株式会社クボタ 作業車の操作構造
JPS62164290U (ko) * 1986-04-08 1987-10-19
EP0287670B1 (en) * 1986-10-05 1991-08-07 Hitachi Construction Machinery Co., Ltd. Driving control apparatus for hydraulic construction machines
JPH0165291U (ko) * 1987-10-16 1989-04-26
JPH0325210U (ko) 1989-07-21 1991-03-15
CN202271845U (zh) * 2011-10-27 2012-06-13 重庆市大渡口区爱森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操作架
DE102012002968A1 (de) * 2012-02-16 2013-08-22 Claas Selbstfahrende Erntemaschinen Gmbh Raupenfahrzeu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8473288B (zh) 2019-08-27
CN108473288A (zh) 2018-08-31
KR20180097601A (ko) 2018-08-31
JP2017165512A (ja) 2017-09-21
JP6342933B2 (ja) 2018-06-13
WO2017159468A1 (ja) 2017-09-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87032B2 (en) Self-centering control rod
KR102061161B1 (ko) 조작 레버
KR20090033862A (ko) 작업차의 변속 조작 구조
EP2487088B1 (en) Steering column adjustment mechanism
JP5806947B2 (ja) バンドソー装置
KR102168904B1 (ko) 농작업기의 전후진 전환 조작 장치
JPH077105U (ja) 多方向制御スイッチ
US20070295147A1 (en) Joystick Device With Electric Latching Detents
US10882428B2 (en) Armrest apparatus and industrial vehicle including the same
JP2019052455A (ja) 作業車両
JP3908891B2 (ja) 車両用ドアの保持装置
KR102271408B1 (ko) 작업 차량
JP7409753B2 (ja) アウトリガーおよび当該アウトリガーを備えた産業車両
DE102016106647A1 (de) Arbeitsmaschine, Tragmechanismus für Bedienvorrichtung und Stoßdämpfungsmechanismus für Bedienvorrichtung
JP2020100982A (ja) 作業車の操作機構
JP3078995B2 (ja) 作業車の作業装置用操作構造
JPH0642272Y2 (ja) フォークリフトの荷役操作装置
JP7358993B2 (ja) 積載型トラッククレーン
JPS59376Y2 (ja) 制御モジユ−ル
JPS6041048Y2 (ja) 移動農機
JP4108697B2 (ja) コントロール弁操作装置
KR101614469B1 (ko) 선박밸브의 유압식 자동 개폐 장치
JPH051509Y2 (ko)
JP3368369B2 (ja) 方向切換弁の2系統制御装置
JPH0118313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