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6761B1 - 자주식 방식과 다양한 노즐유닛이 복합된 융착식 분사형 차선 도색장치 - Google Patents

자주식 방식과 다양한 노즐유닛이 복합된 융착식 분사형 차선 도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6761B1
KR102056761B1 KR1020190093545A KR20190093545A KR102056761B1 KR 102056761 B1 KR102056761 B1 KR 102056761B1 KR 1020190093545 A KR1020190093545 A KR 1020190093545A KR 20190093545 A KR20190093545 A KR 20190093545A KR 102056761 B1 KR102056761 B1 KR 1020567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zzle
paint
bar
groove
groov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35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변유정
Original Assignee
변유정
(주)무량기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변유정, (주)무량기술 filed Critical 변유정
Priority to KR10201900935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676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67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67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3/00Auxiliary devices or arrangements for constructing, repairing, reconditioning, or taking-up road or like surfaces
    • E01C23/16Devices for marking-out, applying, or forming traffic or like markings on finished paving; Protecting fresh markings
    • E01C23/20Devices for marking-out, applying, or forming traffic or like markings on finished paving; Protecting fresh markings for forming markings in situ
    • E01C23/22Devices for marking-out, applying, or forming traffic or like markings on finished paving; Protecting fresh markings for forming markings in situ by spray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2/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 B05B12/14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for supplying a selected one of a plurality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or several in selected proportions to a spray apparatus, e.g. to a single spray outl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3/00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 B05B13/005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mounted on vehicles or designed to apply a liquid on a very large surface, e.g. on the road, on the surface of large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3/00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 B05B13/02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 B05B13/0278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3/00Auxiliary devices or arrangements for constructing, repairing, reconditioning, or taking-up road or like surfaces
    • E01C23/16Devices for marking-out, applying, or forming traffic or like markings on finished paving; Protecting fresh markings
    • E01C23/166Means for dispensing particulate material on to freshly applied markings or into the marking material after discharge thereof, e.g. reflective beads, grip-improving part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Rep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선 도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하나의 노즐유닛 내의 노즐바를 내부 노즐바 및 외부 노즐바의 이중으로 구성하되, 각 노즐바에 다양한 형태의 노즐홈을 형성하고, 내부 노즐바 및 외부 노즐바를 조합하여 각 노즐바에 형성된 노즐홈을 다양하게 선택 및 배열함으로써 다양한 모든 형태의 차선 및 횡단보도 등의 도색이 가능하고, 이로 인해 별도의 장비교체 없이 모든 종류의 차선 도색작업이 용이하고, 하나의 노즐유닛을 통해 차선의 도색작업 시 도로의 규정에 따른 차선 폭에 적합하도록 다양한 형태의 차선을 선택적으로 도색할 수 있으며, 차선의 형태에 관계없이 일괄적인 도색 작업이 가능하며, 이로 인해 신속한 차선 도색작업이 가능함과 동시에 도색 작업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자주식 방식과 다양한 노즐유닛이 복합된 융착식 분사형 차선 도색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Description

자주식 방식과 다양한 노즐유닛이 복합된 융착식 분사형 차선 도색장치{Spray apparatus for traffic lane of thermopane type composited with self-propelled and various nozzle unit}
본 발명은 차선 도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선의 도색작업 시 도로의 규정에 따른 차선 폭에 적합하도록 하나의 노즐을 통해 다양한 형태의 차선을 선택적으로 도색할 수 있는 자주식 방식과 다양한 노즐유닛이 복합된 융착식 분사형 차선 도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선은 차량의 주행 방향 및 주행 간격 등을 식별하기 위하여 도로의 노면에 그어 놓은 선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황색, 백색 또는 청색 등의 색상으로 구분하여 표시하고, 실선, 점선 또는 직선 등으로 구분하여 도색한다.
이러한 차선의 도색은 일정량의 페인트를 도로 상에 살포 및 도포하여 융착한 후 그 상부에 야간 또는 우천 시 이동 및 주행하는 차량의 운전자가 차선을 식별하기 용이하도록 도료를 사용하여 도색시공하게 된다.
여기서, 차선은 도로에 차량의 주행 방향으로 상호 분리하기 위하여 도로의 중앙에 2중 황색 실선으로 도색하여 중앙선으로 표시하고, 서로 동일한 방향으로 주행하는 차량의 차로를 구분하되, 차로 간에 진로변경 방향이 제한되는 구간을 백색 실선으로 도색하여 일반주행차선으로 표시하며, 차로 간에 진로 변경과 진입이 허용되는 구간을 백색 점선으로 도색하여 추월차선으로 표시한다.
또한, 도로를 보행자가 횡단할 수 있도록 횡단 보도를 도색하여 표시하되, 일반주행차선에 비해 보다 넓은 폭으로 도색하여 표시한다.
한편, 도로에 차선의 시공 시 차선 도색장치를 이용하여 작업을 진행하고, 이때 차선 도색장치는 차량이 이동하는 도로의 노면을 따라 자동으로 이동하면서 도료를 분사 및 살포하여 차선을 도색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차선 도색장치를 이용하여 도로의 노면에 차선 도색 시 일정한 양의 도료만을 단순분사하거나, 15cm의 폭을 갖는 일반주행차선에 맞춰 시공가능하도록 이루어짐으로써 일반주행차선이 아닌 중앙선 등의 차선 도색 시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시공 기간이 길어지며, 작업성이 현저히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도로에 보행자가 횡단하기 위한 횡단 보도는 일반 차선보다 더 넓은 폭을 갖도록 이루어짐으로써 별도의 전용 도색장치를 통하거나, 도색장치를 교체적용하여 작업을 수행하여야 하는 등 작업이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작업 시간이 지연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565002호에 스프레드 노즐 선택이 가능한 복합식 차선 시공장치가 제안되었으며,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차량본체(10) 하부에 도료노즐부(50)가 구비되고, 도료노즐부(50)는 2열 이상의 노즐유닛(53)으로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여기서, 노즐유닛(53)은 노즐챔버(51)의 토출구(52)에 대응하여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노즐바(53a)와 노즐바(53a) 상에 형성되어 노면을 향해 도료를 도포시키는 스프레드노즐(53b)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스프레드노즐(53b)은 노즐바(53a)의 외주연 상에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홈형으로 이루어지거나, 노즐바(53a) 상에 일방향으로 관통된 구조를 갖는 관통형으로 이루어진다.
이렇게, 노즐바(53a)의 외주연에 오목하게 형성되는 홈형으로 이루어지는 스프레드노즐(53b)을 갖는 노즐유닛(53)을 설치하여 노면에 도료를 분사시키거나, 노즐바(53a) 상에 일방향으로 관통된 구조를 갖는 스프레드노즐(53b)을 갖는 노즐유닛(53)을 설치하여 노면에 도료를 분사하도록 이루어지는 등 차선 시공장치에 각기 다른 노즐유닛(53)을 2열 이상 배열 및 설치하고, 작업 상황에 따라 각각의 노즐유닛(53)을 통해 차선을 도색하도록 이루어진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차선 시공장치는, 다양한 형태의 차선을 도색하기 위하여 차량본체 하부에 다른 형태의 차선을 도색할 수 있는 노즐유닛을 다수개 또는 다수개 설치하여야 등 노즐유닛을 차량본체에 설치가 번거롭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설치된 각각의 노즐유닛이 제어컨트롤유닛에 의해 각각 제어되어 선택적으로 구동되도록 이루어지는 등 차선의 도색작업 시 노즐유닛의 제어가 복잡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도로의 노면에 도색할 형태가 각기 다를 경우, 각각의 도로에 도색할 차선에 대응되는 형태의 노즐유닛을 반복적으로 교체설치 및 탈거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더불어, 도로의 작업 상황에 따라 차선의 형태가 변경될 경우, 기 설치된 노즐유닛 중 일부 노즐유닛은 사용하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현장 상황에 신속한 대응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65002호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하나의 노즐유닛 내의 노즐바를 내부 노즐바 및 외부 노즐바의 이중으로 구성하되, 각 노즐바에 다양한 형태의 노즐홈을 형성하고, 내부 노즐바 및 외부 노즐바를 조합하여 각 노즐바에 형성된 노즐홈을 다양하게 선택 및 배열함으로써 다양한 모든 형태의 차선 및 횡단보도 등의 도색이 가능하고, 이로 인해 별도의 장비교체 없이 모든 종류의 차선 도색작업이 용이한 자주식 방식과 다양한 노즐유닛이 복합된 융착식 분사형 차선 도색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하나의 노즐유닛을 통해 차선의 도색작업 시 도로의 규정에 따른 차선 폭에 적합하도록 다양한 형태의 차선을 선택적으로 도색할 수 있으며, 차선의 형태에 관계없이 일괄적인 도색 작업이 가능하며, 이로 인해 신속한 차선 도색작업이 가능함과 동시에 도색 작업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자주식 방식과 다양한 노즐유닛이 복합된 융착식 분사형 차선 도색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차량본체; 내부에 도료를 수용하여 저장하는 도료탱크; 내부에 글라스 비드를 수용하여 저장하는 비드탱크; 가열된 열매체를 순환공급하도록 도료탱크 및 비드탱크에 순환라인이 연결되는 순환예열부; 차량본체의 일측 하부에 장착되어 도료탱크로부터 도료가 공급되는 노즐챔버와, 노즐챔버로부터 공급되는 도료를 도로의 노면에 도포하기 위한 노즐유닛, 및 노즐유닛을 회전구동시키기 위한 구동수단을 포함하는 도료노즐부; 비드탱크로부터 공급된 글라스비드를 분사하는 비드노즐부, 및 도료노즐부와 비드노즐부를 제어하는 제어컨트롤유닛; 을 포함하는 차선 도색장치에 있어서, 노즐유닛은 노즐챔버의 토출구측에 맞닿도록 삽입설치되되, 내부에 중공을 갖는 파이프형상체로서, 외주연에 중심축을 기준으로 그 상, 하부에 외부 주입공 및 외부 토출공이 각각 관통형성되고, 그 일측 외주연 둘레 영역의 중심부에 일정 깊이를 갖는 제1 노즐홈이 형성되며, 그 타측 외주연 둘레 영역에 일정 깊이를 갖되, 길이방향 좌, 우측에 일정 간격 이격되는 제2 노즐홈이 각각 형성되는 외부 노즐바와, 외주 노즐바의 내부에 삽입설치되는 내부 노즐바를 포함하되, 외부 노즐바 및 내부 노즐바는 상호 개별적으로 회전가능하게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내부 노즐바는, 내부에 중공을 갖는 파이프형상체로서, 일측 외주연 둘레 영역에 일정 깊이를 갖되, 내부 노즐바의 길이방향 좌, 우측에 일정 간격 이격되는 제3 노즐홈이 각각 형성되고, 그 타측 외주연 둘레 영역에 일정 깊이를 갖되, 내부 노즐바의 길이방향 좌, 우측에 일정 간격 이격되는 제4 노즐홈이 각각 형성되며, 제1 노즐홈의 폭과 각 제3 노즐홈의 폭은 동일하게 형성되되, 각 제3 노즐홈 사이의 간격은 제1 노즐홈의 폭에 대응되게 형성되고, 각 제2 노즐홈 사이의 간격은 각 제4 노즐홈 사이의 간격보다 크게 형성되되, 각 제2 노즐홈의 각 내측부가 각 제4 노즐홈의 각 외측부와 동일 선상에 위치하도록 형성되고, 각 제2 노즐홈의 폭과 각 제4 노즐홈의 폭은 동일하게 형성된다.
여기서, 제어컨트롤유닛을 통해 구동수단을 구동하여 노즐유닛의 외부 노즐바를 시계방향으로 일정 각도 회전시킬 경우, 노즐챔버 내에 충진된 일정량의 도료가 외부 노즐바의 외주연에 일정 깊이로 형성되는 제1 노즐홈의 유입부로 유입되고, 제1 노즐홈의 유입부로 유입된 도료는 제1 노즐홈의 둘레 영역을 따라 유동하고, 유동된 도료는 제1 노즐홈의 배출부를 통해 배출되며, 제어컨트롤유닛을 통해 구동수단을 구동하여 노즐유닛의 내부 노즐바를 시계방향으로 일정 각도 회전시킬 경우, 노즐챔버에 충진된 일정량의 도료가 내부 노즐바의 외주연에 일정 깊이로 형성되되, 제1 노즐홈의 폭과 대응되는 길이로 일정 간격 이격되게 형성되는 각각의 제3 노즐홈의 유입부로 유입되고, 상기 각 제3 노즐홈의 유입부로 유입된 도료는 각 제3 노즐홈의 둘레 영역을 따라 유동하고, 유동된 도료는 각 제3 노즐홈의 배출부를 통해 배출된다.
그리고, 제어컨트롤유닛을 통해 구동수단을 구동하여 노즐유닛의 외부 노즐바를 반시계방향으로 일정 각도 회전시킬 경우, 노즐챔버에 충진된 일정량의 도료가 외부 노즐바의 외주연에 일정 깊이로 형성되되, 그 길이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게 형성되는 각각의 제2 노즐홈의 유입부로 유입되고, 각 제2 노즐홈의 유입부로 유입된 도료는 각 제2 노즐홈의 둘레 영역을 따라 유동하고, 유동된 도료는 각 제2 노즐홈의 배출부를 통해 배출되며, 제어컨트롤유닛을 통해 구동수단을 구동하여 노즐유닛의 내부 노즐바를 반시계방향으로 일정 각도 회전시킬 경우, 노즐챔버에 충진된 일정량의 도료가 내부 노즐바의 외주연에 일정 깊이로 형성되되, 그 길이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게 형성되는 각각의 제4 노즐홈의 유입부로 유입되고, 각 제4 노즐홈의 유입부로 유입된 도료는 각 제4 노즐홈의 둘레 영역을 따라 유동하며, 유동된 도료는 각 제4 노즐홈의 배출부을 통해 배출된다.
또한, 제어컨트롤유닛을 통해 구동수단을 구동하여 노즐유닛의 외부 노즐바 및 내부 노즐바를 시계방향으로 일정 각도 회전시킬 경우, 노즐챔버에 충진된 일정량의 도료가 외부 노즐바의 외주연에 일정 깊이로 형성되는 제1 노즐홈의 유입부로 유입됨과 동시에 내부 노즐바의 외주연에 일정 깊이로 형성되되, 길이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게 각각 형성되는 제3 노즐홈의 유입부로 유입되고, 제1 노즐홈 및 제3 노즐홈의 유입부로 유입된 도료는 제1 노즐홈 및 제3 노즐홈의 둘레 영역을 따라 유동되며, 유동된 도료는 제1 노즐홈 및 각 제3 노즐홈의 배출부를 통해 배출되고, 제어컨트롤유닛을 통해 구동수단을 구동하여 노즐유닛의 외부 노즐바 및 내부 노즐바를 반시계방향으로 일정 각도 회전시킬 경우, 노즐챔버에 충진된 일정량의 도료가 외부 노즐바의 외주연에 일정 깊이로 형성되되, 길이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게 형성되는 각각의 제2 노즐홈의 유입부로 유입됨과 동시에 내부 노즐바의 외주연에 일정 깊이로 형성되되, 길이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게 형성되는 각각의 제4 노즐홈의 유입부로 유입되고, 각 제2 노즐홈 및 각 제4 노즐홈의 유입부로 유입된 도료는 각 제2 노즐홈 및 각 제4 노즐홈의 둘레 영역을 따라 유동되며, 유동된 도료는 각 제2 노즐홈 및 각 제4 노즐홈의 배출부를 통해 배출된다.
대안적으로는, 내부 노즐바는, 내부에 중공을 갖는 원통형상체로서, 외주연에 중심측을 기준으로 그 상부에 일정 크기의 내부 주입공이 관통형성되고, 중심측을 기준으로 하부 좌, 우측에 좌, 우측 토출공이 상호 연통되게 각각 관통형성되며, 좌측 토출공은 내부 노즐바의 길이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각각 형성되되, 각 좌측 토출공 사이의 폭은 외부 노즐바의 제1 노즐홈의 폭과 동일하게 형성되고, 우측 토출공은 내부 노즐바의 길이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각각 형성되되, 우측 토출공 사이의 간격은 제2 노즐홈 사이의 간격보다 좁게 형성되고, 각 제2 노즐홈의 각 내측부가 각 우측 토출공의 각 외측부와 동일 선상에 위치하도록 형성되며, 내부 노즐바와 각 우측 토출공의 폭과 외부 노즐바의 제2 노즐홈의 폭은 동일하게 형성된다.
더불어, 내부 노즐바는, 봉형상체로 이루어지고, 중심측을 기준으로 상부에서 하부 좌측으로 제1 관통홀이 관통형성되고, 중심측을 기준으로 상부에서 하부 우측으로 제2 관통홀이 관통형성되고, 제1 관통홀은 내부 노즐바의 길이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각각 형성되되, 각 제1 관통홀 사이의 폭은 외부 노즐바의 제1 노즐홈의 폭과 동일하고, 각 제1 관통홀의 길이는 외부 노즐바의 제1 노즐홈의 길이와 동일하게 형성되며, 제2 관통홀은 내부 노즐바의 길이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각각 형성되되, 제2 관통홀 사이의 간격은 제2 노즐홈 사이의 간격보다 좁게 형성되고, 제2 노즐홈의 각 내측부가 제2 관통홀의 각 외측부와 동일 선상에 위치하도록 형성되며, 내부 노즐바의 각 제2 관통홀의 폭과 외부 노즐바의 제2 노즐홈의 폭은 동일하게 형성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은, 하나의 노즐유닛 내에 다양한 형태의 스트레드 노즐이 형성된 내부 노즐바 및 외부 노즐바를 조합하여 다양한 모든 형태의 차선에 적용가능하고, 도로의 규정에 따른 차선 폭에 적합하도록 다양한 형태의 차선을 선택적으로 도색할 수 있으며, 별도의 장비교체 없이 모든 종류의 차선 도색작업이 용이하여 차선 도색작업이 매우 간편용이하고, 차선의 형태에 관계없이 일괄적인 도색 작업이 가능하며, 신속한 차선 도색작업이 가능하여 차선 도색작업의 공기를 단축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도색 작업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등의 효과를 거둘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차선 도색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차선 도색장치의 도료노즐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
도 3은 종래기술에 따른 차선 도색장치의 도료노즐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차선 도색장치의 노즐유닛의 외부 노즐바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좌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차선 도색장치의 노즐유닛의 외부 노즐바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우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차선 도색장치의 노즐유닛의 내부 노즐바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좌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차선 도색장치의 노즐유닛의 내부 노즐바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우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차선 도색장치의 노즐유닛의 외부 노즐바와 내부 노즐바가 결합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단면도,
도 9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차선 도색장치의 노즐유닛의 외부 노즐바와 내부 노즐바가 결합된 상태에서의 다양한 조합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차선 도색장치의 노즐유닛의 외부 노즐바와 내부 노즐바가 결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단면도,
도 16 내지 도 1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차선 도색장치의 노즐유닛의 외부 노즐바와 내부 노즐바가 결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단면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단지 예시로 제시한 것이며, 그 기술적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 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 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하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언급된) 용어들은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하며,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차선 도색장치의 노즐유닛의 외부 노즐바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좌측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차선 도색장치의 노즐유닛의 외부 노즐바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우측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차선 도색장치의 노즐유닛의 내부 노즐바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좌측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차선 도색장치의 노즐유닛의 내부 노즐바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우측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차선 도색장치의 노즐유닛의 외부 노즐바와 내부 노즐바가 결합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단면도이고, 도 9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차선 도색장치의 노즐유닛의 외부 노즐바와 내부 노즐바가 결합된 상태에서의 다양한 조합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단면도이며,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차선 도색장치의 노즐유닛의 외부 노즐바와 내부 노즐바가 결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단면도이고, 도 16 내지 도 1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차선 도색장치의 노즐유닛의 외부 노즐바와 내부 노즐바가 결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단면도이다.
도 1 내지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도면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자주식 방식과 다양한 노즐유닛이 복합된 융착식 분사형 차선 도색장치는 차량본체(10)와 도료탱크(20)와 비드탱크(30)와 순환예열부(40)와 도료노즐부(50)와 비드노즐부(60) 및 제어컨트롤유닛(7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차량본체(10)와 도료탱크(20)와 비드탱크(30)와 순환예열부(40)와 도료노즐부(50)와 비드노즐부(60) 및 제어컨트롤유닛(70)은 종래기술에 따른 일반적인 구성이므로,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간략하게 설명한다.
상기 차량본체(10)는 작업자가 착석하기 위한 운전석을 구비하고, 도로의 노면에 차선을 도색하기 위하여 조속주행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도료탱크(20)는 내부에 도료가 저장되는 것으로서, 차량본체(10)의 베이스프레임(11) 상에 고정설치된다.
이때, 상기 도료탱크(20)는 내부에 도료는 물론 열매체를 수용할 수 있도록 내벽(21)과 외벽(23)의 2중 구조로서, 내벽(21)과 외벽(23) 사이에 형성되는 가열공간에 순환예열부(40)의 열매체가 유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고, 내벽(21)의 내측 수용공간에 저장된 도료를 가온시키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도료탱크(20)에는 도료를 도료노즐부(50)를 향해 공급할 수 있게 연장형성된 도료압출수단(25)이 구비된다.
상기 도료압출수단(25)은 도료탱크(20)의 하부 좌, 우 횡방향으로 연장형성되고, 상기 도료노즐부(50)의 상측에 연결되어 도료탱크(20)로부터 공급되는 일정량의 도료를 도료노즐부(50)에 공급한다.
여기서, 상기 도료압출수단(25)은 도료탱크(20)와 도료노즐부(50)를 상호 연결하여 도료의 공급경로를 형성하는 도료공급로(26)와 상기 도료공급로(26) 내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도료를 이송시키는 스크류부재(27)와 상기 도료공급로(26)의 일단에 구비되고, 스크류부재(27)에 회전력을 인가하는 구동모터(2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순환예열부(40)는 내부에 열매체를 수용하고, 열매체를 설정된 온도까지 가열한다.
그리고, 상기 순환예열부(40)는 내부에 설정온도로 가열된 열매체를 외부로 순환공급하도록 순환라인(41)이 연결되고, 상기 도료노즐부(50)의 내측에 열매체를 순환공급할 수 있도록 연장되어 연결설치되는 연장순환라인(43)이 구비되며, 상기 순환라인(41) 및 연장순환라인(43)은 파이프 관이나 호스 관으로 적용된다.
이렇게, 상기 순환예열부(40)는 도료나 글라스비드를 간접적으로 가온시켜 열매체로부터 가열되는 가온면적을 보다 확대하고, 도료나 글라스비드를 전체적으로 고르게 가열시킨다.
상기 도료노즐부(50)는 도료압출수단(25)에 연통하여 도료가 공급되는 노즐챔버(51)와 노면에 도료를 도포하기 위한 노즐유닛(53) 및 상기 노즐유닛(53)을 회전구동시키는 구동수단(55)을 포함한다.
상기 노즐챔버(51)는 도료탱크(20)로부터 공급된 일정량의 도료를 일정한 온도로 유지할 수 있게 가열작용을 한다.
그리고, 상기 노즐챔버(51)는 하부에 복수 개의 노즐유닛(53)이 배치되게 지지하되, 상기 노즐유닛(53)이 회전가능하도록 지지한다.
또한, 상기 노즐챔버(51)의 하면에는 도료를 배출하기 위한 토출구(52)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토출구(52)는 상기 노즐유닛(53)에 대응하여 형성되되, 좌우 횡 방향으로 연장하여 형성된다.
한편, 상기 구동수단(55)은 노즐챔버(51) 상에 설치되고, 상기 노즐챔버(51) 내 도료의 도포 유무를 제어할 수 있도록 상기 제어컨트롤유닛(7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구동수단(55)은 노즐챔버(51) 상에 설치되되, 로드(미도시)가 길이방향으로 신장운동하여 동력을 인가하는 구동실린더(미도시)와 상기 노즐유닛(53)의 일측에 연결설치되는 피니언부재(미도시)로 구성되며, 구동실린더는 상기 피니언부재에 치합되도록 로드의 일측에 래크부재(미도시)를 구비하고, 상기 래크부재의 일면에 면 접촉하여 래크부재와 피니언부재간의 치합 상태를 유지하는 가이드블록(미도시) 및 스토퍼블록(미도시)을 포함하는 일반적인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아니한다.
상기 비드노즐부(60)는 상기 도료노즐부(50)의 후방에 설치되어 도로의 노면에 도포된 도료에 비드를 분사한다.
상기 제어컨트롤유닛(70)은 상기 도료노즐부(50) 및 비드노즐부(60)에 대한 분사여부를 제어함과 동시에 상기 도료노즐부(50)의 구동수단(55)을 제어한다.
여기서, 상기 노즐유닛(53)은 상기 노즐챔버(51)로부터 토출구(52)를 통하여 토출되는 도료가 도로의 노면을 향하여 도포될 수 있도록 회전에 의해 상기 토출구(52)를 개폐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노즐유닛(53)은 상기 구동수단에 의해 개별적 또는 독립적으로 회전가능하게 이루어지는 외부 노즐바(531) 및 내부 노즐바(535)를 포함하고, 상기 내, 외부 노즐바(531, 535)의 외주연에는 도로 노면을 향하여 도료를 도포하도록 하는 노즐홈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외부 노즐바(531)는 내부에 중공을 갖는 파이프형상체로서, 외주연에 중심측을 기준으로 그 상, 하부에 외부 주입공(531a) 및 외부 토출공(531b)이 각각 관통형성되되, 상기 외부 주입공(531a) 및 외부 토출공(531b)은 외부 노즐바(531)의 길이방향에 장공 형태로 각각 관통형성된다.
이때, 상기 외부 노즐바(531)의 일측 외주연 둘레 영역의 중심부에 일정 깊이의 제1 노즐홈(532)이 형성되고, 타측 외주연 둘레 영역의 중심부에 일정 깊이의 제2 노즐홈(533a, 533b)이 형성되되, 상기 제2 노즐홈(533a, 533b)은 상기 외부 노즐바(531)의 길이방향 좌, 우측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각각 형성된다.
상기 내부 노즐바(535)는 상기 외부 노즐바(531)의 내부에 삽입설치되되, 상기 내부 노즐바(535)의 외경은 상기 외부 노즐바(531)의 내경에 대응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내부 노즐바(535)는 그 내부에 중공을 갖는 파이프형상체로서, 일측 외주연 둘레 영역에 일정 깊이의 제3 노즐홈(536a, 536b)이 형성되되, 상기 제3 노즐홈(536a, 536b)은 상기 내부 노즐바(535)의 길이방향 좌, 우측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각각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내부 노즐바(535)의 일측 외주연 둘레 영역에 형성되는 각 제3 노즐홈(536a, 536b)의 폭은 상기 외부 노즐바(531)의 제1 노즐홈(532)의 폭과 동일하게 형성되되, 상기 각 제3 노즐홈(536a, 536b) 사이의 간격은 상기 외부 노즐바(531)의 제1 노즐홈(532)의 폭에 대응되게 형성된다.
한편, 상기 내부 노즐바(535)의 타측 외주연 둘레 영역에 일정 깊이를 갖는 제4 노즐홈(537a, 537b)이 형성되되, 상기 제4 노즐홈(537a, 537b)은 상기 내부 노즐바(535)의 길이방향 좌, 우측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각각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내부 노즐바(535)의 타측 외주연 둘레 영역에 형성되는 각 제4 노즐홈(537a, 537b) 사이의 간격은 상기 제2 노즐홈(533a, 533b)의 사이의 간격보다 좁게 형성된다.
즉, 상기 내부 노즐바(535)의 타측 외주연 둘레 영역에 형성되는 제4 노즐홈(537a, 537b) 사이의 간격이 상기 외부 노즐바(531)의 타측 외주연 둘레 영역에 형성되는 제2 노즐홈(533a, 533b) 사이의 간격보다 좁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각 제2 노즐홈(533a, 533b)의 각 내측부가 상기 각 제4 노즐홈(537a, 537b)의 각 외측부와 동일 선상에 위치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내부 노즐바(535)의 제4 노즐홈(537a, 537b)의 폭과 제2 노즐홈(533a, 533b)의 폭은 동일하게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내부 노즐바(535)가 중공을 갖는 파이프형상체로 형성되어 있으나, 상기 내부 노즐바(535)가 봉형상체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며, 이에 한정하지 아니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조에 의하여, 도로의 노면에 도료의 분사 시 상기 제어컨트롤유닛(70)을 통해 구동수단(55)을 구동하여 노즐유닛(53)의 외부 노즐바(531)를 시계방향으로 일정 각도 회전시킬 경우, 도 9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노즐챔버(51) 내에 충진된 일정량의 도료가 상기 외부 노즐바(531)의 외주연에 일정 깊이로 형성되는 제1 노즐홈(532)의 유입부(532')로 유입되고, 상기 제1 노즐홈(532)의 유입부(532')로 유입된 도료는 제1 노즐홈(532)의 둘레 영역을 따라 유동하고, 유동된 도료는 제1 노즐홈(532)의 배출부(532")를 통해 배출되면서 상기 노즐챔버(51)의 토출구(52)를 통해 토출된다.
이로 인해, 상기 외부 노즐바(531)를 시계방향으로 일정 각도 회전시켜 노즐챔버(51) 내에 충진된 도료를 토출구(52)로 토출시킬 경우, 일반적인 단일 선 형태의 일반 차선을 도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컨트롤유닛(70)을 통해 구동수단(55)을 구동하여 노즐유닛(53)의 내부 노즐바(535)를 시계방향으로 일정 각도 회전시킬 경우, 도 10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노즐챔버(51)에 충진된 일정량의 도료가 상기 내부 노즐바(535)의 외주연에 일정 깊이로 형성되되, 제1 노즐홈(532)의 폭과 대응되는 길이로 일정 간격 이격되게 형성되는 각각의 제3 노즐홈(536a, 536b)의 유입부(536')로 유입되고, 상기 각 제3 노즐홈(536a, 536b)의 유입부(536')로 유입된 도료는 각 제3 노즐홈(536a, 536b)의 둘레 영역을 따라 유동하고, 유동된 도료는 각 제3 노즐홈(536a, 536b)의 배출부(536")를 통해 배출되면서 상기 노즐챔버(51)의 토출구(52)를 통해 토출된다.
이로 인해, 상기 내부 노즐바(535)를 시계방향으로 일정 각도 회전시켜 노즐챔버(51) 내에 충진된 도료를 토출구(52)로 토출시킬 경우, 일반적인 다중 선 형태의 중앙 차선을 도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컨트롤유닛(70)을 통해 구동수단(55)을 구동하여 노즐유닛(53)의 외부 노즐바(531)를 반시계방향으로 일정 각도 회전시킬 경우, 도 11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노즐챔버(51)에 충진된 일정량의 도료가 상기 외부 노즐바(531)의 외주연에 일정 깊이로 형성되되, 그 길이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게 형성되는 각각의 제2 노즐홈(533a, 533b)의 유입부(533')로 유입되고, 상기 각 제2 노즐홈(533a, 533b)의 유입부로 유입된 도료는 각 제2 노즐홈(533a, 533b)의 둘레 영역을 따라 유동하고, 유동된 도료는 각 제2 노즐홈(533a, 533b)의 배출부(533")를 통해 배출되면서 상기 노즐챔버(51)의 토출구(52)를 통해 토출된다.
이로 인해, 상기 외부 노즐바(531)를 반시계방향으로 일정 각도 회전시켜 노즐챔버(51) 내에 충진된 도료를 토출구(52)로 토출시킬 경우, 다중 선 형태로 형성되되, 중앙 차선 보다 각 차선 사이의 간격을 더 넓고, 각 차선의 폭은 중앙 차선보다 좁은 형태의 차선을 도색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제어컨트롤유닛(70)을 통해 구동수단(55)을 구동하여 노즐유닛(53)의 내부 노즐바(535)를 반시계방향으로 일정 각도 회전시킬 경우, 도 12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노즐챔버(51)에 충진된 일정량의 도료가 상기 내부 노즐바(535)의 외주연에 일정 깊이로 형성되되, 그 길이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게 형성되는 각각의 제4 노즐홈(537a, 537b)의 유입부(537')로 유입되고, 상기 각 제4 노즐홈(537a, 537b)의 유입부(537')로 유입된 도료는 각 제4 노즐홈(537a, 537b)의 둘레 영역을 따라 유동하며, 유동된 도료는 각 제4 노즐홈(537a, 537b)의 배출부(537")를 통해 배출되면서 상기 노즐챔버(51)의 토출구(52)를 통해 토출된다.
이로 인해, 상기 내부 노즐바(535)를 반시계방향으로 일정 각도 회전시켜 노즐챔버(51) 내에 충진된 도료를 토출구(52)로 토출시킬 경우, 다중 선 형태로 형성되되, 중앙 차선 보다 각 차선 사이의 간격을 더 좁고, 각 파선의 폭은 상기 제2 노즐홈(533a, 533b)으로 인해 형성된 차선과 동일하게 형태의 차선을 도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컨트롤유닛(70)을 통해 구동수단(55)을 구동하여 노즐유닛(53)의 외부 노즐바(531) 및 내부 노즐바(535)를 시계방향으로 일정 각도 회전시킬 경우, 도 13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노즐챔버(51)에 충진된 일정량의 도료가 상기 외부 노즐바(531)의 외주연에 일정 깊이로 형성되는 제1 노즐홈(532)의 유입부(532')로 유입됨과 동시에 상기 내부 노즐바(535)의 외주연에 일정 깊이로 형성되되, 길이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게 각각 형성되는 제3 노즐홈(536a, 536b)의 유입부(536')로 유입되고, 상기 제1 노즐홈(532) 및 제3 노즐홈(536a, 536b)의 유입부(536')로 유입된 도료는 제1 노즐홈(532) 및 제3 노즐홈(536a, 536b)의 둘레 영역을 따라 유동되며, 유동된 도료는 제1 노즐홈(532) 및 각 제3 노즐홈(536a, 536b)의 배출부(532", 536")를 통해 배출되면서 상기 노즐챔버(51)의 토출구(52)를 통하여 토출된다.
이렇게, 상기 제1 노즐홈(532) 및 제3 노즐홈(536a, 536b)을 시계방향으로 일정 각도 회전시켜 노즐챔버(51)에 충진된 도료를 토출구(52)로 토출시킬 경우, 제1 노즐홈(532)의 폭이 일정 간격 이격되게 형성되는 각 제3 노즐홈(536a, 536b) 사이의 간격과 대응되게 형성 및 배열됨으로써 제1 노즐홈(532)을 통하여 도료를 토출하는 것보다 더 폭이 넓은 단일 선 형태의 차선을 도색할 수 있다.
즉, 상기 외부 노즐바(531)의 제1 노즐홈(532) 및 내부 노즐홈(535)의 제3 노즐홈(536a, 536b)을 시계방향으로 일정 각도 회전시켜 제1 노즐홈(532) 및 상기 제1 노즐홈(532)과 동일한 폭을 갖되, 제1 노즐홈(532)바의 폭과 동일한 폭으로 상호 이격되게 형성되는 제3 노즐홈(536a, 536b)을 통해 도료를 동시에 토출함으로써 제1 노즐홈(532)을 통하여 도료를 토출하는 것보다 더 폭이 넓은 단일 선 형태의 차선을 도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컨트롤유닛(70)을 통해 구동수단(55)을 구동하여 노즐유닛(53)의 외부 노즐바(531) 및 내부 노즐바(535)를 반시계방향으로 일정 각도 회전시킬 경우, 도 14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노즐챔버(51)에 충진된 일정량의 도료가 상기 외부 노즐바(531)의 외주연에 일정 깊이로 형성되되, 길이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게 형성되는 각각의 제2 노즐홈(533a, 533b)의 유입부(533')로 유입됨과 동시에 상기 내부 노즐바(535)의 외주연에 일정 깊이로 형성되되, 길이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게 형성되는 각각의 제4 노즐홈(537a, 537b)의 유입부(537')로 유입되고, 상기 각 제2 노즐홈(533a, 533b) 및 각 제4 노즐홈(537a, 537b)의 유입부(533', 537')로 유입된 도료는 각 제2 노즐홈(533a, 533b) 및 각 제4 노즐홈(537a, 537b)의 둘레 영역을 따라 유동되며, 유동된 도료는 각 제2 노즐홈(533a, 533b) 및 각 제4 노즐홈(537a, 537b)의 배출부(533", 537")를 통해 배출되면서 상기 노즐챔버(51)의 토출구(52)를 통하여 토출된다.
이렇게, 상기 제2 노즐홈(533a, 533b) 및 제4 노즐홈(537a, 537b)을 반시계방향으로 일정 각도 회전시켜 노즐챔버(51)에 충진된 도료를 토출구(52)로 토출시킬 경우, 상기 각 제2 노즐홈(533a, 533b) 사이의 내측부에 상기 각 제4 노즐홈(537a, 537b) 사이의 외측부가 동일선상에 맞닿도록 배열됨으로써 일반적인 다중 선 형태의 중앙 차선보다 더 넓은 폭을 갖는 다중 선 형태의 중앙 차선을 도색할 수 있다.
즉, 상기 외부 노즐바(531)의 제2 노즐홈(533a, 533b) 및 내부 노즐홈(535)의 제4 노즐홈(537a, 537b)을 반시계방향으로 일정 각도 회전시켜 2개의 다중 선 형태로 일정 간격 이격되는 각 제2 노즐홈(533a, 533b) 사이에 2개의 다중 선 형태로 일정 간격 이격되되, 각 차선의 외측부가 각 제2 노즐홈(533a, 533b)의 내측부와 연결됨으로써 일반적인 다중 선 형태의 중앙 차선보다 더 넓은 폭을 갖는 다중 선 형태의 중앙 차선을 도색할 수 있다
이렇게, 상기 외부 노즐바(531)의 제2 노즐홈(533a, 533b) 및 내부 노즐홈(535)의 제4 노즐홈(537a, 537b)을 반시계방향으로 일정 각도 회전시킬 경우, 상기 각 제2 노즐홈(533a, 533b)과 각 제4 노즐홈(537a, 537b)의 연속되게 배열됨으로써 상기 각 제2 노즐홈(533a, 533b)을 통해 토출되는 도료와 상기 각 제4 노즐홈(537a, 537b)을 통해 토출되는 도료가 연결되어 보다 넓은 폭을 갖는 다중 선 형태의 차선을 도색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내부 노즐바(535)의 외주연 둘레 영역 양 측에 제3 노즐홈(536a, 536b) 및 제4 노즐홈(537a, 537b)이 일정 깊이로 각각 형성되어 있으나, 도 15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내부 노즐바(535')가 내부에 중공을 갖는 원통형상체로서, 외주연에 중심측을 기준으로 그 상부에 일정 크기의 내부 주입공(541)이 관통형성되고, 중심측을 기준으로 하부 좌, 우측에 좌, 우측 토출공(542a, 542b, 543a, 543b)이 각각 관통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내부 노즐바(535')의 상부에 관통형성되는 내부 주입공(541)은 내부 노즐바(535')의 길이방향에 장공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아니한다.
또한, 상기 내부 노즐바(535')의 하부 좌, 우측에 각각 관통형성되는 좌, 우측 토출공(542a, 542b, 543a, 543b) 중 좌측 토출공(542a, 542b)은 내부 노즐바(535')의 길이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각각 형성되되, 각 좌측 토출공(542a, 542b) 사이의 폭은 상기 외부 노즐바(531)의 제1 노즐홈(532)의 폭과 동일하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내부 노즐바(535')의 하부 좌, 우측에 각각 관통형성되는 좌, 우측 토출공(542a, 542b, 543a, 543b) 중 우측 토출공(543a, 543b)은 내부 노즐바(535')의 길이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각각 형성되되, 상기 우측 토출공(543a, 543b) 사이의 간격은 상기 제2 노즐홈(533a, 533b) 사이의 간격보다 좁게 형성되고, 상기 각 제2 노즐홈(533a, 533b)의 각 내측부가 상기 각 우측 토출공(543a, 543b)의 각 외측부와 동일 선상에 위치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내부 노즐바(535')와 각 우측 토출공(543a, 543b)의 폭과 상기 외부 노즐바(531)의 제2 노즐홈(533a, 533b)의 폭은 동일하게 형성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조에 의하여, 먼저 상기 노즐챔버(51)로 충진된 도료는 상기 외부 노즐바(531)의 외부 주입공(531a) 및 내부 노즐바(535')의 내부 주입공(541)을 통해 내부 노즐바(535')의 중심부에 중공으로 형성된 충진공간(도번 미도시)에 충진된 상태에서 도로의 노면에 도료의 분사 시, 상기 제어컨트롤유닛(70)을 통해 구동수단(55)을 구동하여 노즐유닛(53)의 내부 노즐바(535')를 반시계방향으로 일정 각도 회전시킬 경우, 상기 각 좌측 토출공(542a, 542b)이 개방되고, 상기 개방된 각 좌측 토출공(542a, 542b)을 통해 내부 노즐바(535')의 내부 주입공(541)을 통해 충진공간에 충진된 도료가 배출되면서 상기 노즐챔버(51)의 토출구(52)를 통해 토출된다.
이로 인해, 상기 내부 노즐바(535')를 반시계방향으로 일정 각도 회전시켜 노즐챔버(51) 내에 충진된 도료를 토출구(52)로 토출시킬 경우, 일반적인 다중 선 형태의 중앙 차선을 도색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컨트롤유닛(70)을 통해 구동수단(55)을 구동하여 노즐유닛(53)의 내부 노즐바(535')를 시계방향으로 일정 각도 회전시킬 경우, 상기 각 우측 토출공(543a, 543b)이 개방되고, 상기 개방된 각 우측 토출공(543a, 543b)을 통해 내부 노즐바(535')의 내부 주입공(541)을 통해 충진공간에 충진된 도료가 배출되면서 상기 노즐챔버(51)의 토출구(52)를 통해 토출된다.
이로 인해, 상기 내부 노즐바(535')를 시계방향으로 일정 각도 회전시켜 노즐챔버(51) 내에 충진된 도료를 토출구(52)로 토출시킬 경우, 다중 선 형태로 형성되되, 중앙 차선 보다 각 차선 사이의 간격을 더 좁고, 각 파선의 폭은 상기 제2 노즐홈(533a, 533b)으로 인해 형성된 차선과 동일하게 형태의 차선을 도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컨트롤러유닛(70)을 통해 구동수단(55)을 구동하여 노즐유닛(53)의 외부 노즐바(531)를 시계방향으로 일정 각도 회전시킴과 동시에 내부 노즐바(535')를 반시계방향으로 일정 각도 회전시킬 경우, 상기 노즐챔버(51)에 충진된 일정량의 도료가 상기 외부 노즐바(531)의 외주연에 일정 깊이로 형성되는 제1 노즐홈(532)의 유입부(532')로 유입되고, 상기 제1 노즐홈(532)의 유입부(532')로 유입된 도료는 제1 노즐홈(532)의 둘레 영역을 따라 유동된 후 제1 노즐홈(532)의 배출부(532")를 통해 배출됨과 동시에 상기 내부 노즐바(535')의 내부 주입공(541)을 통해 내부 노즐바(535')의 중심부에 중공으로 형성된 충진공간에 충진된 도료가 개방되는 각 좌측 토출공(542a, 542b)으로 배출되면서 상기 노즐챔버(51)의 토출구(52)를 통하여 도료가 토출된다.
이렇게, 상기 외부 노즐바(531)의 제1 노즐홈(532) 및 내부 노즐바(535')의 각 좌측 토출공(542a, 542b)을 시계방향 및 반시계방향으로 일정 각도 회전시켜 노즐챔버(51)에 충진된 도료를 토출구(52)로 토출시킬 경우, 제1 노즐홈(532)의 폭이 일정 간격 이격되게 형성되는 각 좌측 토출공(542a, 542b) 사이의 간격과 대응되게 형성 및 배열됨으로써 제1 노즐홈(532)을 통하여 도료를 토출하는 것보다 더 폭이 넓은 단일 선 형태의 차선을 도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컨트롤러유닛(70)을 통해 구동수단(55)을 구동하여 노즐유닛(53)의 외부 노즐바(531)를 반시계방향으로 일정 각도 회전시킴과 동시에 내부 노즐바(535')를 시계방향으로 일정 각도 회전시킬 경우, 상기 노즐챔버(51)에 충진된 일정량의 도료가 상기 외부 노즐바(531)의 외주연에 일정 깊이로 형성되는 제2 노즐홈(533a, 533b)의 유입부(533')로 유입되고, 상기 제2 노즐홈(533a, 533b)의 유입부(533')로 유입된 도료는 제2 노즐홈(533a, 533b)의 둘레 영역을 따라 유동된 후 제2 노즐홈(533a, 533b)의 배출부(533")를 통해 배출됨과 동시에 상기 내부 노즐바(535')의 내부 주입공(541)을 통해 그 중심부에 중공으로 형성된 충진공간에 충진된 도료가 개방되는 각 우측 토출공(543a, 543b)으로 배출되면서 상기 노즐챔버(51)의 토출구(52)를 통하여 도료가 토출된다.
이렇게, 상기 외부 노즐바(531)의 제2 노즐홈(533a, 533b) 및 내부 노즐바(535')의 각 우측 토출공(543a, 543b)을 반시계방향 및 시계방향으로 일정 각도 회전시켜 노즐챔버(51)에 충진된 도료를 토출구(52)로 토출시킬 경우, 상기 각 제2 노즐홈(533a, 533b) 사이의 내측부에 상기 각 우측 토출공(543a, 543b) 사이의 외측부가 동일선상에 맞닿도록 배열됨으로써 일반적인 다중 선 형태의 중앙 차선보다 더 넓은 폭을 갖는 다중 선 형태의 중앙 차선을 도색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내부 노즐바(535')가 내부에 중공을 갖는 파이프형상체로 이루어져, 상부에 내부 주입공(541)이 관통형성되고, 그 하부 좌, 우측에 좌, 우측 토출공(542a, 542b, 543a, 543b)이 각각 관통형성되되, 상기 내부 주입공(541)과 좌, 우측 토출공(542a, 542b, 543a, 543b) 모두가 충진공간에 의해 상호 연통되도록 이루어져 있으나, 도 16 내지 도 17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내부 노즐바(535")가 봉형상체로 이루어지고, 중심측을 기준으로 상부에서 하부 좌측으로 제1 관통홀(546a, 546b)이 각각 관통형성되고, 중심측을 기준으로 상부에서 하부 우측으로 제2 관통홀(547a, 547b)이 관통형성되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내부 노즐바(535")의 중심측 상부에서 하부 좌측으로 관통형성되는 제1 관통홀(546a, 546b)은 내부 노즐바(535")의 길이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각각 형성되되, 각 제1 관통홀(546a, 546b) 사이의 폭은 상기 외부 노즐바(531)의 제1 노즐홈(532)의 폭과 동일하고, 상기 각 제1 관통홀(546a, 546b)의 길이는 상기 외부 노즐바(531)의 제1 노즐홈(532)의 길이와 동일하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내부 노즐바(535")의 중심측 상부에서 하부 우측으로 관통형성되는 제2 관통홀(547a, 547b)은 내부 노즐바(535")의 길이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각각 형성되되, 상기 제2 관통홀(547a, 547b) 사이의 간격은 상기 제2 노즐홈(533a, 533b) 사이의 간격보다 좁게 형성되고, 상기 제2 노즐홈(533a, 533b)의 각 내측부가 상기 제2 관통홀(547a, 547b)의 각 외측부와 동일 선상에 위치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내부 노즐바(535")의 각 제2 관통홀(547a, 547b)의 폭과 상기 외부 노즐바(531)의 제2 노즐홈(533a, 533b)의 폭은 동일하게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내부 노즐바(535")의 상부에서 하부 우측으로 관통형성되는 각 제2 관통홀(547a, 547b)의 전체 길이는 상부에서 하부 좌측으로 관통형성되는 각 제1 관통홀(546a, 546b) 사이의 간격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로 인해 상기 내부 노즐바(535")의 상부에서 하부 좌측으로 관통형성되는 각각의 제1 관통홀(546a, 546b)과 상기 내부 노즐바(535")의 상부에서 하부 우측으로 관통형성되는 각각의 제2 관통홀(547a, 547b)이 상호 연통되지 않도록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내부 노즐바(535")에 관통형성되는 제1 관통홀(546a, 546b)과 제2 관통홀(547a, 547b)이 상호 개별적으로 각각 형성되어 있으나, 상기 내부 노즐바(535")에 관통형성되는 제1 관통홀(546a, 546b)과 제2 관통홀(547a, 547b)이 상호 연통되게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나, 이에 한정하지 아니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관통홀(546a, 546b)과 제2 관통홀(547a, 547b)이 도료가 유입되는 유입부측(도번 미도시)에서 도로가 배출되는 배출부측(도번 미도시)을 향하여 크기가 감소하는 형태로 형성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나, 상기 제1 관통홀(546a, 546b)과 제2 관통홀(547a, 547b)의 형태는 이에 한정하지 아니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조에 의하여, 먼저, 상기 노즐챔버(51)에 충진된 도료는 상기 외부 노즐바(531)의 외부 주입공(531a) 및 내부 노즐바(535")의 제1 관통홀(546a, 546b) 내에 유입되어 충진된 상태에서 도로의 노면에 도료를 분사 시, 상기 제어컨트롤유닛(70)을 통해 구동수단(55)을 구동하여 노즐유닛(53)의 내부 노즐바(535")를 반시계방향으로 일정 각도 회전시킬 경우, 상기 제1 관통공(546a, 546b)이 개방되고, 상기 제1 관통홀(546a, 546b) 내에 충진된 도료가 배출되면서 상기 노즐챔버(51)의 토출구(52)를 통해 토출된다.
이로 인해, 상기 내부 노즐바(535")를 반시계방향으로 일정 각도 회전시켜 노즐챔버(51) 내에 충진된 도료를 토출구(52)로 토출시킬 경우, 일반적인 다중 선 형태의 중앙 차선을 도색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컨트롤유닛(70)을 통해 구동수단(55)을 구동하여 노즐유닛(53)의 내부 노즐바(535")를 시계방향으로 일정 각도 회전시킬 경우, 상기 제2 관통홀(547a, 547b)이 개방되고, 상기 제2 관통홀(547a, 547b) 내에 충진된 도료가 배출되면서 상기 노즐챔버(51)의 토출구(52)를 통해 토출된다.
이로 인해, 상기 내부 노즐바(535")를 시계방향으로 일정 각도 회전시켜 노즐챔버(51) 내에 충진된 도료를 토출구(52)로 토출시킬 경우, 다중 선 형태로 형성되되, 중앙 차선 보다 각 차선 사이의 간격을 더 좁고, 각 차선의 폭은 상기 제2 노즐홈(533a, 533b)으로 인해 형성된 차선과 동일하게 형태의 차선을 도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컨트롤러유닛(70)을 통해 구동수단(55)을 구동하여 노즐유닛(53)의 외부 노즐바(531)를 시계방향으로 일정 각도 회전시킴과 동시에 내부 노즐바(533")를 반시계방향으로 일정 각도 회전시킬 경우, 상기 노즐챔버(51)에 충진된 일정량의 도료가 상기 외부 노즐바(531)의 외주연에 일정 깊이로 형성되는 제1 노즐홈(532)의 유입부(532')로 유입되고, 상기 제1 노즐홈(532)의 유입부(532')로 유입된 도료는 제1 노즐홈(532)의 둘레 영역을 따라 유동된 후 제1 노즐홈(532)의 배출부(532")를 통해 배출됨과 동시에 상기 내부 노즐바(535")의 각 제1 관통홀(546a, 546b) 내에 충진된 도료가 배출되면서 상기 노즐챔버(51)의 토출구(52)를 통해 토출된다.
이렇게, 상기 외부 노즐바(531)의 제1 노즐홈(532) 및 내부 노즐바(535")의 각 제1 관통홀(546a, 546b)을 시계방향 및 반시계방향으로 일정 각도 회전시켜 노즐챔버(51)에 충진된 도료를 토출구(52)로 토출시킬 경우, 제1 노즐홈(532)의 폭이 일정 간격 이격되게 형성되는 각 제1 관통홀(546a, 546b) 사이의 간격과 대응되게 형성 및 배열됨으로써 제1 노즐홈(532)을 통하여 도료를 토출하는 것보다 더 폭이 넓은 단일 선 형태의 차선을 도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컨트롤러유닛(70)을 통해 구동수단(55)을 구동하여 노즐유닛(53)의 외부 노즐바(531)를 반시계방향으로 일정 각도 회전시킴과 동시에 내부 노즐바(535")를 시계방향으로 일정 각도 회전시킬 경우, 상기 노즐챔버(51)에 충진된 일정량의 도료가 상기 외부 노즐바(531)의 외주연에 일정 깊이로 형성되는 제2 노즐홈(533a, 533b)의 유입부(533')로 유입되고, 상기 제2 노즐홈(533a, 533b)의 유입부(533')로 유입된 도료는 제2 노즐홈(533a, 533b)의 둘레 영역을 따라 유동된 후 제2 노즐홈(533a, 533b)의 배출부(533")를 통해 배출됨과 동시에 상기 내부 노즐바(535")의 각 제2 관통홀(547a, 547b) 내에 충진된 도료가 배출되면서 상기 노즐챔버(51)의 토출구(52)를 통해 토출된다.
이렇게, 상기 외부 노즐바(531)의 제2 노즐홈(533a, 533b) 및 내부 노즐바(535")의 각 제2 관통홀(547a, 547b)을 반시계방향 및 시계방향으로 일정 각도 회전시켜 노즐챔버(51)에 충진된 도료를 토출구(52)로 토출시킬 경우, 상기 각 제2 노즐홈(533a, 533b) 사이의 내측부에 상기 각 제2 관통홀(547a, 547b) 사이의 외축부가 동일선상에 맞닿도록 배열됨으로써 일반적인 다중 선 형태의 중앙 차선보다 더 넓은 폭을 갖는 다중 선 형태의 중앙 차선을 도색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노즐유닛(53)의 외부 노즐바(531)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외부 노즐바(531)에 형성되는 각 노즐홈(532, 533a, 533b)을 통해 도로의 노면에 도료를 도포할 경우, 도료의 정량 토출에 따른 일정한 넓이의 규격을 갖는 차선을 도색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차선의 시공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노즐유닛(53)의 내부 노즐바(535)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내부 노즐바(535)에 형성되는 각 노즐홈(536a, 536b, 537a, 537b)을 통해 도로의 노면에 도료를 도포할 경우, 외부 노즐바(531)를 통해 도포되는 차선의 형태와 다른 형태의 차선을 도색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노즐유닛(53)의 외부 노즐바(531) 및 내부 노즐바(535)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외부 노즐바(531)에 형성되는 각 노즐홈(532, 533a, 533b)과 내부 노즐바(535)에 형성되는 각 노즐홈(536a, 536b, 537a, 537b)을 통해 도로의 노면에 도료를 도포할 경우, 외부 노즐바(531)를 통해 도포되는 차선 및 내부 노즐바(535)를 통해 도포되는 차선과는 또 다른 형태의 차선을 도색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차량본체(10)에 하나의 노즐유닛(53)을 설치하고, 상기 노즐유닛(53)의 외부 노즐바(531)와 내부 노즐바(535)를 회전시켜 다양한 조합을 이룸으로써 다양한 형태의 차선 도색이 가능하며, 이로 인해 기존에 다수개의 노즐유닛을 설치한 후 도로의 노면에 차선을 도색하거나, 도로의 노면에 도색하기 위한 차선에 대응되는 노즐유닛 등의 장비를 교체설치하여 차선을 도색하는 기존 장치 대비 사용이 간편하고, 유지보수가 용이한 구성이다.
또한, 본 발명은, 내부 노즐바(535)를 다양한 형태 및 구조의 내부 노즐바(535', 535")로 형성하고, 내부 노즐바(535')에 토출공(542a, 542b, 543a, 543b)을 각각 형성하거나, 내부 노즐바(535")에 관통홀(546a, 546b, 5467a, 547b)을 각각 형성함으로써 다양하게 적용이 가능한 구성이다.
이렇게, 본 발명에 의한 자주식 방식과 다양한 노즐유닛이 복합된 융착식 분사형 차선 도색장치는 노즐유닛(53)을 선택적으로 조합함으로써 차선의 유형 및 폭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차선의 도색이 가능하여 작업이 간편함과 동시에 작업 기간을 단축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구동수단(55)은 상기 노즐유닛(53)의 외부 노즐바(531) 및 내부 노즐바(535)를 선택적으로 구동시키기 위하여 각 노즐바(531, 535)에 대응되도록 복수 개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고, 하나의 구동수단(55)에 의해 상기 노즐유닛(53)의 외부 노즐바(531) 및 내부 노즐바(535)를 선택적으로 구동시키도록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나, 이에 한정하지 아니한다.
또한, 상기 제어컨트롤유닛(70)은 시공할 차선의 유형에 따른 구동패턴이 입력 및 저장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제어컨트롤유닛(70)에 통신부(미도시)가 구비되되, 작업자의 단말기(미도시)에 유, 무선으로 연결되어 노즐유닛(53)의 조합 상태 실시간으로 전송하도록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이를 통해, 작업 시 노즐유닛(53)의 외부 노즐바(531) 및 내부 노즐바(535)의 조합 상태를 작업자가 단말기를 통해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업자가 단말기를 통해 도로의 노면에 도포 및 도색되는 차선의 형태를 확인할 수 있어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작업 상황 및 현장 상황에 적합하도록 작업자가 단말기를 통하여 제어컨트롤유닛(70)을 제어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아니한다.
여기서, 작업자의 단말기는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한다.
또한, 작업자의 단말기는 차량 도색장치의 제어컨트롤유닛(70)에 정보 교환이 가능하게 연결되되, RF,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 5GPP(5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네트워크,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NFC 네트워크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때, 상기 제어컨트롤러유닛(70)이 작업자의 단말기에 무선 통신망으로 연결되는 경우, 기지국(BTS;Base Transceiver Station), 이동교환국(MSC;Mobile Switching Center), 및 홈 위치 등록기(HLR;Home Location Register)로 이루어진 무선 이동통신망을 이용하여 데이터 통신이 이루어지고, 유선 통신망으로 연결되는 경우, 네트워크 통신망으로 구현될 수 있는데 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 등의 인터넷 프로토콜에 따라 데이터 통신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아니한다.
지금까지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할 수 있으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특정되는 것이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차량본체, 20 : 도료탱크,
21 : 내벽, 23 : 외벽,
25 : 도료압출수단, 26 : 도료공급로,
27 : 스크류부재, 28 : 구동모터,
30 : 비드탱크, 40 : 순환예열부,
41 : 순환라인, 43 : 연장순환라인,
50 : 도료노즐부, 51 : 노즐챔버,
52 : 토출구, 53 : 노즐유닛,
55 : 구동수단, 60 : 비드노즐부,
70 : 제어컨트롤유닛, 531 : 외부 노즐바,
531a : 외부 주입공, 531b : 외부 토출공,
532 : 제1 노즐홈, 532' : 유입부,
532" : 배출부, 533a, 533b : 제2 노즐홈,
533' : 유입부, 533" : 배출부,
535, 535', 535' : 내부 노즐바,
536a, 536b : 제3 노즐홈, 536' : 유입부,
536" : 배출부, 537a, 537b : 제4 노즐홈,
537' : 유입부, 537" : 배출부,
541 : 내부 주입공, 542a, 542b : 좌측 토출공,
543a, 543b : 우측 토출공, 546a, 546b : 제1 관통홀,
547a, 547b : 제2 관통홀.

Claims (7)

  1. 차량본체; 내부에 도료를 수용하여 저장하는 도료탱크; 내부에 글라스 비드를 수용하여 저장하는 비드탱크; 가열된 열매체를 순환공급하도록 상기 도료탱크 및 비드탱크에 순환라인이 연결되는 순환예열부; 상기 차량본체의 일측 하부에 장착되어 도료탱크로부터 도료가 공급되는 노즐챔버와, 상기 노즐챔버로부터 공급되는 도료를 도로의 노면에 도포하기 위한 노즐유닛, 및 상기 노즐유닛을 회전구동시키기 위한 구동수단을 포함하는 도료노즐부; 상기 비드탱크로부터 공급된 글라스비드를 분사하는 비드노즐부, 및 상기 도료노즐부와 비드노즐부를 제어하는 제어컨트롤유닛; 을 포함하는 차선 도색장치에 있어서,
    상기 노즐유닛은 노즐챔버의 토출구측에 맞닿도록 삽입설치되되, 내부에 중공을 갖는 파이프형상체로서, 외주연에 중심축을 기준으로 그 상, 하부에 외부 주입공 및 외부 토출공이 각각 관통형성되고, 그 일측 외주연 둘레 영역의 중심부에 일정 깊이를 갖는 제1 노즐홈이 형성되며, 그 타측 외주연 둘레 영역에 일정 깊이를 갖되, 길이방향 좌, 우측에 일정 간격 이격되는 제2 노즐홈이 각각 형성되는 외부 노즐바와, 상기 외주 노즐바의 내부에 삽입설치되는 내부 노즐바를 포함하되, 상기 외부 노즐바 및 내부 노즐바는 상호 개별적으로 회전가능하게 이루어지고,
    상기 내부 노즐바는,
    내부에 중공을 갖는 파이프형상체로서, 일측 외주연 둘레 영역에 일정 깊이를 갖되, 내부 노즐바의 길이방향 좌, 우측에 일정 간격 이격되는 제3 노즐홈이 각각 형성되고, 그 타측 외주연 둘레 영역에 일정 깊이를 갖되, 내부 노즐바의 길이방향 좌, 우측에 일정 간격 이격되는 제4 노즐홈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제1 노즐홈의 폭과 상기 각 제3 노즐홈의 폭은 동일하게 형성되되, 상기 각 제3 노즐홈 사이의 간격은 상기 제1 노즐홈의 폭에 대응되게 형성되고,
    상기 각 제2 노즐홈 사이의 간격은 상기 각 제4 노즐홈 사이의 간격보다 크게 형성되되, 상기 각 제2 노즐홈의 각 내측부가 상기 각 제4 노즐홈의 각 외측부와 동일 선상에 위치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각 제2 노즐홈의 폭과 각 제4 노즐홈의 폭은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주식 방식과 다양한 노즐유닛이 복합된 융착식 분사형 차선 도색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컨트롤유닛을 통해 구동수단을 구동하여 노즐유닛의 외부 노즐바를 시계방향으로 일정 각도 회전시킬 경우, 상기 노즐챔버 내에 충진된 일정량의 도료가 상기 외부 노즐바의 외주연에 일정 깊이로 형성되는 제1 노즐홈의 유입부로 유입되고, 상기 제1 노즐홈의 유입부로 유입된 도료는 제1 노즐홈의 둘레 영역을 따라 유동하고, 유동된 도료는 제1 노즐홈의 배출부를 통해 배출되며,
    상기 제어컨트롤유닛을 통해 구동수단을 구동하여 노즐유닛의 내부 노즐바를 시계방향으로 일정 각도 회전시킬 경우, 상기 노즐챔버에 충진된 일정량의 도료가 상기 내부 노즐바의 외주연에 일정 깊이로 형성되되, 제1 노즐홈의 폭과 대응되는 길이로 일정 간격 이격되게 형성되는 각각의 제3 노즐홈의 유입부로 유입되고, 상기 각 제3 노즐홈의 유입부로 유입된 도료는 각 제3 노즐홈의 둘레 영역을 따라 유동하고, 유동된 도료는 각 제3 노즐홈의 배출부를 통해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주식 방식과 다양한 노즐유닛이 복합된 융착식 분사형 차선 도색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컨트롤유닛을 통해 구동수단을 구동하여 노즐유닛의 외부 노즐바를 반시계방향으로 일정 각도 회전시킬 경우, 상기 노즐챔버에 충진된 일정량의 도료가 상기 외부 노즐바의 외주연에 일정 깊이로 형성되되, 그 길이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게 형성되는 각각의 제2 노즐홈의 유입부로 유입되고, 상기 각 제2 노즐홈의 유입부로 유입된 도료는 각 제2 노즐홈의 둘레 영역을 따라 유동하고, 유동된 도료는 각 제2 노즐홈의 배출부를 통해 배출되며,
    상기 제어컨트롤유닛을 통해 구동수단을 구동하여 노즐유닛의 내부 노즐바를 반시계방향으로 일정 각도 회전시킬 경우, 상기 노즐챔버에 충진된 일정량의 도료가 상기 내부 노즐바의 외주연에 일정 깊이로 형성되되, 그 길이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게 형성되는 각각의 제4 노즐홈의 유입부로 유입되고, 상기 각 제4 노즐홈의 유입부로 유입된 도료는 각 제4 노즐홈의 둘레 영역을 따라 유동하며, 유동된 도료는 각 제4 노즐홈의 배출부를 통해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주식 방식과 다양한 노즐유닛이 복합된 융착식 분사형 차선 도색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컨트롤유닛을 통해 구동수단을 구동하여 노즐유닛의 외부 노즐바 및 내부 노즐바를 시계방향으로 일정 각도 회전시킬 경우, 상기 노즐챔버에 충진된 일정량의 도료가 상기 외부 노즐바의 외주연에 일정 깊이로 형성되는 제1 노즐홈의 유입부로 유입됨과 동시에 상기 내부 노즐바의 외주연에 일정 깊이로 형성되되, 길이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게 각각 형성되는 제3 노즐홈의 유입부로 유입되고, 상기 제1 노즐홈 및 제3 노즐홈의 유입부로 유입된 도료는 제1 노즐홈 및 제3 노즐홈의 둘레 영역을 따라 유동되며, 유동된 도료는 제1 노즐홈 및 각 제3 노즐홈의 배출부를 통해 배출되고,
    상기 제어컨트롤유닛을 통해 구동수단을 구동하여 노즐유닛의 외부 노즐바 및 내부 노즐바를 반시계방향으로 일정 각도 회전시킬 경우, 상기 노즐챔버에 충진된 일정량의 도료가 상기 외부 노즐바의 외주연에 일정 깊이로 형성되되, 길이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게 형성되는 각각의 제2 노즐홈의 유입부로 유입됨과 동시에 상기 내부 노즐바의 외주연에 일정 깊이로 형성되되, 길이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게 형성되는 각각의 제4 노즐홈의 유입부로 유입되고, 상기 각 제2 노즐홈 및 각 제4 노즐홈의 유입부로 유입된 도료는 각 제2 노즐홈 및 각 제4 노즐홈의 둘레 영역을 따라 유동되며, 유동된 도료는 각 제2 노즐홈 및 각 제4 노즐홈의 배출부를 통해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주식 방식과 다양한 노즐유닛이 복합된 융착식 분사형 차선 도색장치.
  6. 차량본체; 내부에 도료를 수용하여 저장하는 도료탱크; 내부에 글라스 비드를 수용하여 저장하는 비드탱크; 가열된 열매체를 순환공급하도록 상기 도료탱크 및 비드탱크에 순환라인이 연결되는 순환예열부; 상기 차량본체의 일측 하부에 장착되어 도료탱크로부터 도료가 공급되는 노즐챔버와, 상기 노즐챔버로부터 공급되는 도료를 도로의 노면에 도포하기 위한 노즐유닛, 및 상기 노즐유닛을 회전구동시키기 위한 구동수단을 포함하는 도료노즐부; 상기 비드탱크로부터 공급된 글라스비드를 분사하는 비드노즐부, 및 상기 도료노즐부와 비드노즐부를 제어하는 제어컨트롤유닛; 을 포함하는 차선 도색장치에 있어서,
    상기 노즐유닛은 노즐챔버의 토출구측에 맞닿도록 삽입설치되되, 내부에 중공을 갖는 파이프형상체로서, 외주연에 중심축을 기준으로 그 상, 하부에 외부 주입공 및 외부 토출공이 각각 관통형성되고, 그 일측 외주연 둘레 영역의 중심부에 일정 깊이를 갖는 제1 노즐홈이 형성되며, 그 타측 외주연 둘레 영역에 일정 깊이를 갖되, 길이방향 좌, 우측에 일정 간격 이격되는 제2 노즐홈이 각각 형성되는 외부 노즐바와, 상기 외주 노즐바의 내부에 삽입설치되는 내부 노즐바를 포함하되, 상기 외부 노즐바 및 내부 노즐바는 상호 개별적으로 회전가능하게 이루어지고,
    상기 내부 노즐바는,
    내부에 중공을 갖는 원통형상체로서, 외주연에 중심측을 기준으로 그 상부에 일정 크기의 내부 주입공이 관통형성되고, 중심측을 기준으로 하부 좌, 우측에 좌, 우측 토출공이 상호 연통되게 각각 관통형성되며,
    좌측 토출공은 내부 노즐바의 길이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각각 형성되되, 각 좌측 토출공 사이의 폭은 상기 외부 노즐바의 제1 노즐홈의 폭과 동일하게 형성되고,
    상기 우측 토출공은 내부 노즐바의 길이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각각 형성되되, 상기 우측 토출공 사이의 간격은 상기 제2 노즐홈 사이의 간격보다 좁게 형성되고, 상기 각 제2 노즐홈의 각 내측부가 상기 각 우측 토출공의 각 외측부와 동일 선상에 위치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내부 노즐바와 각 우측 토출공의 폭과 상기 외부 노즐바의 제2 노즐홈의 폭은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주식 방식과 다양한 노즐유닛이 복합된 융착식 분사형 차선 도색장치.
  7. 차량본체; 내부에 도료를 수용하여 저장하는 도료탱크; 내부에 글라스 비드를 수용하여 저장하는 비드탱크; 가열된 열매체를 순환공급하도록 상기 도료탱크 및 비드탱크에 순환라인이 연결되는 순환예열부; 상기 차량본체의 일측 하부에 장착되어 도료탱크로부터 도료가 공급되는 노즐챔버와, 상기 노즐챔버로부터 공급되는 도료를 도로의 노면에 도포하기 위한 노즐유닛, 및 상기 노즐유닛을 회전구동시키기 위한 구동수단을 포함하는 도료노즐부; 상기 비드탱크로부터 공급된 글라스비드를 분사하는 비드노즐부, 및 상기 도료노즐부와 비드노즐부를 제어하는 제어컨트롤유닛; 을 포함하는 차선 도색장치에 있어서,
    상기 노즐유닛은 노즐챔버의 토출구측에 맞닿도록 삽입설치되되, 내부에 중공을 갖는 파이프형상체로서, 외주연에 중심축을 기준으로 그 상, 하부에 외부 주입공 및 외부 토출공이 각각 관통형성되고, 그 일측 외주연 둘레 영역의 중심부에 일정 깊이를 갖는 제1 노즐홈이 형성되며, 그 타측 외주연 둘레 영역에 일정 깊이를 갖되, 길이방향 좌, 우측에 일정 간격 이격되는 제2 노즐홈이 각각 형성되는 외부 노즐바와, 상기 외주 노즐바의 내부에 삽입설치되는 내부 노즐바를 포함하되, 상기 외부 노즐바 및 내부 노즐바는 상호 개별적으로 회전가능하게 이루어지고,
    상기 내부 노즐바는,
    봉형상체로 이루어지고, 중심측을 기준으로 상부에서 하부 좌측으로 제1 관통홀이 관통형성되고, 중심측을 기준으로 상부에서 하부 우측으로 제2 관통홀이 관통형성되고,
    상기 제1 관통홀은 내부 노즐바의 길이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각각 형성되되, 각 제1 관통홀 사이의 폭은 상기 외부 노즐바의 제1 노즐홈의 폭과 동일하고, 상기 각 제1 관통홀의 길이는 상기 외부 노즐바의 제1 노즐홈의 길이와 동일하게 형성되며,
    상기 제2 관통홀은 내부 노즐바의 길이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각각 형성되되, 상기 제2 관통홀 사이의 간격은 상기 제2 노즐홈 사이의 간격보다 좁게 형성되고, 상기 제2 노즐홈의 각 내측부가 상기 제2 관통홀의 각 외측부와 동일 선상에 위치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내부 노즐바의 각 제2 관통홀의 폭과 상기 외부 노즐바의 제2 노즐홈의 폭은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주식 방식과 다양한 노즐유닛이 복합된 융착식 분사형 차선 도색장치.
KR1020190093545A 2019-07-31 2019-07-31 자주식 방식과 다양한 노즐유닛이 복합된 융착식 분사형 차선 도색장치 KR1020567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3545A KR102056761B1 (ko) 2019-07-31 2019-07-31 자주식 방식과 다양한 노즐유닛이 복합된 융착식 분사형 차선 도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3545A KR102056761B1 (ko) 2019-07-31 2019-07-31 자주식 방식과 다양한 노즐유닛이 복합된 융착식 분사형 차선 도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56761B1 true KR102056761B1 (ko) 2020-01-22

Family

ID=693680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3545A KR102056761B1 (ko) 2019-07-31 2019-07-31 자주식 방식과 다양한 노즐유닛이 복합된 융착식 분사형 차선 도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676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5002B1 (ko) 2015-06-16 2015-11-02 태광엔지니어링(주) 스프레드 노즐 선택이 가능한 복합식 차선 시공장치
KR101858445B1 (ko) * 2016-11-03 2018-05-17 주식회사 시명 차선 도색용 페인트 분사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5002B1 (ko) 2015-06-16 2015-11-02 태광엔지니어링(주) 스프레드 노즐 선택이 가능한 복합식 차선 시공장치
KR101858445B1 (ko) * 2016-11-03 2018-05-17 주식회사 시명 차선 도색용 페인트 분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65002B1 (ko) 스프레드 노즐 선택이 가능한 복합식 차선 시공장치
KR101524746B1 (ko) 5 내지 45cm 폭의 횡단보도 도색이 가능한 광폭 가변형 노면표시장비용 도색모듈
KR101709545B1 (ko) 차선도료 균일 토출용 디퓨저 노즐
KR102056761B1 (ko) 자주식 방식과 다양한 노즐유닛이 복합된 융착식 분사형 차선 도색장치
US5957621A (en) System for applying liquid asphalt to a roadbed
JP4795664B2 (ja) 路面塗色装置
US9376774B2 (en) Device, as well as method for working ground surfaces or roadways
KR101454634B1 (ko) 복합 융착식 차선도색장치
KR100817609B1 (ko) 차량용 차선 도색 장치 및 그를 이용한 차선 도색 방법
KR102057064B1 (ko) 스프레이 융착식 선명도 향상 차선 도색장치
KR101841144B1 (ko) 차선도색장치의 도료 분사노즐 시스템
KR101493778B1 (ko) 스프레드 노즐형 차선 시공장치
EP3530940B1 (en) Ground striper pump piston having dual checks
KR102116032B1 (ko) 스프레드차선 및 돌출차선 복합 시공 시스템
CN204608586U (zh) 一种标志标线车
JP4217655B2 (ja) 無線操縦ヘリコプターに取り付ける薬剤散布装置
KR102170443B1 (ko) 차선 도색용 분사장비
KR102085865B1 (ko) 차선 도색용 분사장비
KR102056474B1 (ko) 고성능 노면표시용 융착 스프레이 차선 도색장비
KR101834198B1 (ko) 차선도색장치의 도료 분사노즐
CN104920328A (zh) 自走式农用喷雾机
KR102140946B1 (ko) 디퓨저 홀이 형성된 차선시공용 스프레이 노즐
KR102321826B1 (ko) 스프레드 노즐바 진동 노즐 구동식 돌출차선 시공장치
KR102138236B1 (ko) 횡단 보도용 도색장비
KR102140947B1 (ko) 이분 연속구동형 돌출차선 시공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