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4104B1 - 신규한 테노포비어 알라펜아미드 염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신규한 테노포비어 알라펜아미드 염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4104B1
KR102054104B1 KR1020190051037A KR20190051037A KR102054104B1 KR 102054104 B1 KR102054104 B1 KR 102054104B1 KR 1020190051037 A KR1020190051037 A KR 1020190051037A KR 20190051037 A KR20190051037 A KR 20190051037A KR 102054104 B1 KR102054104 B1 KR 1020541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nofovir alafenamide
heminafasylate
present
crystalline
ray diffra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10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지훈
고민주
Original Assignee
유니셀랩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셀랩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유니셀랩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510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410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41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4104B1/ko
Priority to PCT/KR2019/018435 priority patent/WO2020222393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FACYCLIC, CARBOCYCLIC OR 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THER THAN CARBON, HYDROGEN, HALOGEN, OXYGEN, NITROGEN, SULFUR, SELENIUM OR TELLURIUM
    • C07F9/00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f Groups 5 or 15 of the Periodic Table
    • C07F9/02Phosphorus compounds
    • C07F9/547Heterocyclic compounds, e.g. containing phosphorus as a ring hetero atom
    • C07F9/6561Heterocyclic compounds, e.g. containing phosphorus as a ring hetero atom containing systems of two or more relevant hetero rings condensed among themselves or condensed with a common carbocyclic ring or ring system, with or without other non-condensed hetero rings
    • C07F9/65616Heterocyclic compounds, e.g. containing phosphorus as a ring hetero atom containing systems of two or more relevant hetero rings condensed among themselves or condensed with a common carbocyclic ring or ring system, with or without other non-condensed hetero rings containing the ring system having three or more than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e.g. purine or analo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66Phosphorus compounds
    • A61K31/675Phosphorus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pyridoxal phospha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12Antivirals
    • A61P31/14Antivirals for RNA viruses
    • A61P31/18Antivirals for RNA viruses for HIV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12Antivirals
    • A61P31/20Antivirals for DNA viru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309/00Sulfonic acids; Halides, esters, or anhydrides thereof
    • C07C309/01Sulfonic acids
    • C07C309/28Sulfonic acids having sulfo groups bound to carbon atoms of six-membered aromatic rings of a carbon skeleton
    • C07C309/33Sulfonic acids having sulfo groups bound to carbon atoms of six-membered aromatic rings of a carbon skeleton of six-membered aromatic rings being part of condensed ring systems
    • C07C309/34Sulfonic acids having sulfo groups bound to carbon atoms of six-membered aromatic rings of a carbon skeleton of six-membered aromatic rings being part of condensed ring systems formed by two rings
    • C07C309/35Naphthalene sulfonic aci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ir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Oncology (AREA)
  • Communicable Diseas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techn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AIDS & HIV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자들은 현재 시판되고 있는 테노포비어 알라펜아미드 헤미푸마르산염의 낮은 수용해도 및 1%밖에 되지 않은 경구 흡수율의 문제점을 극복하여 약리적 효과를 높일 수 있는 신규한 염 형태를 개발하기 위해 연구 노력한 결과 테노포비어 알라펜아미드 헤미푸마르산 보다 수용해도가 240배 증가 된 테노포비어 알라펜아미드 헤미나파다실레이트로서 HIV-1 감염 및 만성 B형 간염의 치료에 유용한 치료 또는 예방용 약제학적 조성물로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신규한 테노포비어 알라펜아미드 염 및 이의 제조방법{A New salt form of Tenofovir alafenamide, Method for Preparing or Use Thereof}
본 발명은 테노포비어 알라펜아미드 신규한 염 형태인 테노포비어 알라펜아미드 헤미나파다실레이트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테노포비어 알라펜아미드 헤미푸마르산염(Tenofovir alafenamide hemifumarate) 은 뉴클레오타이드 아날로그 역전사효소 및 HBV 폴리머라아제 억제제로서 길리어드사이언스에 의해 개발되어 상품명 베믈리디정(vemlidy)으로 판매되고 있으며, HIV-1 감염 및 만성 B형 간염의 치료에 유용한 약물이다.
테노포비어 알라펜아미드 헤미푸마르산염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 10-0767432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 10-0749160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 10-1612642호에 기재되어 있으며, 화학명 9-[(R)-2-[[(S)-[[(S)-1-(이소프로폭시카르보닐)에틸]아미노]페녹시포스피닐]메톡시]프로필]아데닌의 헤미푸마레이트로 표기되며, 하기 구조식(화학식 1)으로 표현된다.
[화학식 1]
Figure 112019044832421-pat00001
테노포비어 알라펜아미드 헤미푸마르산염은 물과 친화적인 구조이지만 수용해도가 0.236 mg/mL밖에 되지 않아 약물에 대한 경구 흡수율이 1% 밖에 되지 않는다는 보고가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하기 위한 새로운 테노포비어 알라펜아미드 염형태의 개발이 매우 필요하다.
또한 이와 같은 노력으로 국제공개특허공보 WO2016/205141 A1에서 테노포비어 알라펜아미드의 다양한 산부가염 및 공결정들을 개시하고 있지만, 이에 대한 수용해도 데이터는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자들은 수용해도를 높일 수 있는 신규염에 대한 연구를 노력한 결과 나파다실산을 이용하여 현재 보고된 테노포비어 알라펜아미드 헤미푸마르산염의 수용해도 보다 240배 이상 증가시킬 수 있고, 체내 흡수에 유리한 신규한 염형태인 테노포비어 알라펜아미드 헤미나파다실레이트를 개발하였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테노포비어 알라펜아미드 신규한 염인 테노포비어 알라펜아미드 헤미나파다실레이트 및 이에 대한 제조방법 그리고 수용해도 결과를 개시하고자 한다.
본 발명자들은 현재 시판되고 있는 테노포비어 알라펜아미드 헤미푸마르산염의 낮은 수용해도 및 1% 밖에 되지 않은 경구 흡수율의 문제점을 극복하여 약리적 효과를 높일 수 있는 신규한 염 형태에 대해 연구를 거듭한 결과 테노포비어 알라펜아미드 헤미푸마르산 보다 수용해도가 240배 증가될 수 있는 테노포비어 알라펜아미드 헤미나파다실레이트를 개발하였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분말 X선 회절(PXRD)분석에서 2θ회절각 7.004±0.2, 7.484±0.2, 8.338±0.2, 8.631±0.2, 8.907±0.2, 9.875±0.2, 10.573±0.2, 10.866±0.2, 11.172±0.2, 11.833±0.2, 12.142±0.2, 12.573±0.2, 13.037±0.2, 14.044±0.2, 14.98±0.2, 15.471±0.2, 15.793±0.2, 16.03±0.2, 16.831±0.2, 17.205±0.2, 17.769±0.2, 18.489±0.2, 19.045±0.2, 19.899±0.2, 20.188±0.2, 21.049±0.2, 21.714±0.2, 22.307±0.2, 22.875±0.2, 23.364±0.2, 23.673±0.2, 24.444±0.2, 24.719±0.2, 25.095±0.2, 26.036±0.2, 26.411±0.2, 26.869±0.2, 27.291±0.2, 27.953±0.2, 28.549±0.2, 29.481±0.2, 30.057±0.2, 30.976±0.2, 31.523±0.2, 32.458±0.2, 32.954±0.2에서 특징적인 피크를 갖는 분말 X선 회절 패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기 화학식 2로 표기되는 테노포비어 알라펜아미드 헤미나파다실레이트 결정을 제공한다.
[화학식 2]
Figure 112019044832421-pat00002
예컨대 본 발명에 따른 테노포비어 알라펜아미드 헤미나파다실레이트의 일 구현예의 분말 X선 회절의 강도 및 피크 위치는 하기 [표 1]과 같을 수 있다.
Figure 112019044832421-pat00003
또한 본 발명은 밀폐 팬을 사용한 온도시차주사 열량(DSC)분석에서 흡열 개시 온도 177.20℃±3℃ 및 흡열온도 180.69℃±3℃의 흡열피크를 보이는 테노포비어 알라펜아미드 헤미나파다실레이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자들은 종래의 테노포비어 알라펜아미드 헤미푸마르산염이 갖는 낮은 용해도에 의한 1% 밖에 되지 않은 경구 흡수율을 극복하기 위해, 높은 수용해도를 갖고 있어, 경구 흡수율을 개선할 수 있는 신규한 염인 테노포비어 알라펜아미드 헤미나파다실레이트를 얻고자 하였다.
그 결과, 본 발명자들은 상술한 장점을 갖는 테노포비어 알라펜아미드 헤미나파다실레에트를 제조할 수 있는 방법 및 조건들을 개발하였고, 이렇게 하여 제조된 테노포비어 알라펜아미드 헤미나파다실레이트는 240배 증가된 수용해도에 의해 경구 흡수율을 증가 시킬 수 있어, 그 자체로서 의약품의 유효성분으로 사용하기에 적합함을 규명하였다.
도 1과 2에서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본 발명의 결정형 테노포비어 알라펜아미드 헤미나파다실레이트는 테노포비어 알라펜아미드 헤미푸마르산염과 상이한 X-선 회절 패턴을 나타낸다.
도 3과 4에서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본 발명의 테노포비어 알라펜아미드 헤미나파다실레이트는 테노포비어 알레판아미드 헤미푸마르산염과 상이한 온도시차열량 분석의 열량곡선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일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결정형 테노포비어 알라펜아미드 헤미나파다실레이트는 도 1에 표시된 X선 회절 패턴을 갖는다.
본 발명의 일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결정형 테노포비어 알라펜아미드 헤미나파다실레이트는 도 3의 온도시차주사(DSC)열량분석의 열량곡선을 갖는다.
본 발명은 현재 시판되고 있는 테노포비어 알라펜아미드 헤미푸마르산염의 낮은 수용해도로 인한 체내 흡수율에 대한 문제점을 극복하고, 열역학적으로 보다 안정한 테노포비어 알라펜아미드 신규한 염 형태로서 의약품 유효성분으로 사용하기 적합하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다음 단계를 포함하는 신규 염형태인 테노포비어 알라펜아미드 헤미나파다실레이트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a) 국내출원번호 10-2019-0045945로 제조된 테노포비어 알라펜아미드 유리염기를 메탄올에 용해하고, 나파다실산 1당량을 아세톤, 메탄올, 또는 에탄올에 용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b) 상기 단계 (a)의 용액을 혼합하여, 100rpm - 500rpm 으로, 바람직하게 200rpm - 300rpm 또는 더 바람직하게 200rpm으로 교반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c) 상기 단계 (b)에서 석출된 결정을 여과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 상기 단계 (c)에서 수득 된 결정을 45도에서 16시간 진공건조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참고로 국내출원번호 10-2019-0045945호에서는 테노포비어 알라펜아미드 유리염기를 다음과 같이 제조한다.
(a) 테노포비어 알라펜아미드 산부가염을 메틸렌클로라이드 또는 메틸렌클로라이드와 메탄올의 혼합용매에 용해하거나 현탁하고 탄산나트륨 또는 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을 가하여 pH를 조절한 후 유기층을 분리하는 단계;
(b) 상기 단계 (a) 의 결과물에 흡습제로 황산마그네슘(MgSO4) 또는 황산나트륨(Na2SO4)을 첨가하며 교반하는 단계;
(c) 상기 단계 (b) 의 결과물을 여과한 후 감압 농축 및 건조하는 단계;
(d) 상기 단계 (c) 의 결과물에 아세톤, 이소프로판올, 에틸아세테이트, 또는 에틸아세테이트의 혼합용매(cosolvent)를 첨가하고, 격렬한 교반 및 선택적 시딩(seeding)을 통하여 결정형 테노포비어 알라펜아미드 유리염기를 수득하는 단계.
예컨대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이 제조할 수도 있다.
상온에서 테노포비어 알라펜아미드 헤미푸마르산염 20g을 메틸란클로라이드 500mL 와 메탄올 50mL를 투입하여 용해하였다. 10% 탄산 나트륨 수용액을 투입하여 10분간 교반하면서, pH를 9-10 정도로 맞춘 후 유기층을 분리하였다. 황산마그네슘을 이용하여 유기층의 수분을 제거한 후 여과하고 45도에서 감압농축하였다. 이후 에틸아세테이트 100mL를 투입한 후 상온에서 2시간 교반한 후 여과하여(에틸아세테이트 20mL로 세척) 테노포비어 알라펜아미드 유리염기 신규 결정형 12g을 수득하였다.
본 발명의 효과는 아래와 같다.
본 발명에 따른 테노포비어 알라펜아미드 헤미나파다실레이트는 테노포비어 알라펜아미드 헤미푸마르산염에 비하여 수용해도가 240배 증가 되어 경구 흡수율을 높일 수 있어, 약학 조성물의 유용한 유효성분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테노포비어 알라펜아미드 헤미나파다실레이트는 테노포비어 알라펜아미드 헤미푸마레이트염에 비해 체내 흡수율을 높일 수 있기 때문에, 약학 조성물의 유용한 유효성분으로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테노포비어 알라펜아미드 헤미나파다실레이트의 분말 X-선 회절 패턴을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12642호 테노포비어 알라펜아미드 헤미푸마르산염의 분말 X-선 회절 패턴을 도시한 것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테노포비어 알라펜아미드 헤미나파다실레이트의 온도 시차주사 열량계 (DSC) 결과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12642호 테노포비어 알라펜아미드 헤미푸마르산염의 온도 시차주사 열량계 (DSC)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테노포비어 알라펜아미드 헤미나파다실레이트의 수소핵자기공명분광 스펙트럼(H-NMR) 결과를 도시한 것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테노포비어 알라펜아미드 헤미나파다실레이트의 탄소핵자기공명분광 스펙트럼(C-NMR) 결과를 도시한 것이다.
도 7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테노포비어 알라펜아미드 유리염기와 테노포비어 알라펜아미드 헤미푸마르산염의 수용해성 결과를 나타낸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 실시예 1] 테노포비어 알라펜아미드 헤미나파다실레이트 신규 결정형 제조 24도에서 국내출원번호 10-2019-0045945로 제조된 테노포비어 알라펜아미드 유리염기 20g을 메탄올 400mL에 용해하였다. 그 후 나파다실산 12.5g을 아세톤 40mL에 용해하였다. 이후 두 용액을 혼합하여 24도에서 2시간 200rpm으로 교반한 후 여과하여 (메탄올 20mL로 세척)테노포비어 알라펜아미드 헤미나파다실레이트 13g을 수득하였다.
[ 실시예 2] 테노포비어 알라펜아미드 헤미나파다실레이트 신규 결정형 제조 24도에서 국내출원번호 10-2019-0045945로 제조된 테노포비어 알라펜아미드 유리염기 20g을 메탄올 400mL에 용해하였다. 그 후 나파다실산 12.5g을 메탄올 60mL에 용해하였다. 이후 두 용액을 혼합하여 24도에서 2시간 200rpm으로 교반한 후 여과하여 (메탄올 20mL로 세척)테노포비어 알라펜아미드 헤미나파다실레이트 12.2g을 수득하였다.
[ 실시예 3] 테노포비어 알라펜아미드 헤미나파다실레이트 신규 결정형 제조 24도에서 국내출원번호 10-2019-0045945로 제조된 테노포비어 알라펜아미드 유리염기 20g을 메탄올 400mL에 용해하였다. 그 후 나파다실산 12.5g을 에탄올 80mL에 용해하였다. 이후 두 용액을 혼합하여 24도에서 2시간 200rpm으로 교반한 후 여과하여 (메탄올 20mL로 세척)테노포비어 알라펜아미드 헤미나파다실레이트 13g을 수득하였다.
[ 실험예 1] 분말 X-선 회절 ( PXRD )
PXRD 분석(도 1,2 참조)을 Cu Kα 방사선을 사용하여 (D8 Advance) X-선 분말 회절계 상에서 수행하였다. 기구에는 관 동력이 장치되어 있고, 전류량은 45 kV 및 40 mA 로 설정하였다. 발산 및 산란 슬릿은 1°로 설정하였고, 수광 슬릿은 0.2 mm 로 설정하였다. 5 에서 35°2θ까지 3°분 (0.4 초/0.02°간격) 의 θ-2θ 연속 스캔을 사용하였다.
[ 실험예 2] 온도 시차주사 열량법 ( DSC )
TA사 로 부터 입수한 DSC Q20을 사용하여, 질소 정화 하에 30℃ 에서 300℃까지 10℃/min의 스캔속도로, 밀폐 팬에서 DSC 측정(도3,4 참조)을 수행하였다.
[ 실험예 3] 테노포비어 알라펜아미드 헤미나파다실레이트의 용해도 평가
상기 실시예에서 제조한 테노포비어 알라펜아미드 헤미나파다실레이트의 수용해도 및 pH 6.8에서의 용해도를 측정하여 테노포비어 알라펜아미드 헤미푸마르산염과 비교하기 위해 우선 테노포비어 알라펜아미드 헤미푸마르산염 10㎍/ml에서 50㎍/ml 까지 농도를 설정하여 10배 희석 한 후 직선성을 나타내었다. 나타낸 직선성에서의 R2=0.993로 신뢰 할 수 있는 수치를 얻었다. 이 직선성을 이용하여 5ml의 water와 pH 6.8 수용액에 고체가 침전 될 때까지 테노포비어 알라펜아미드 헤미푸마르산염과 테노포비어 알라펜아미드 헤미나파다실레이트를 투입하였다. 그 후 1시간 교반 한 후 한시간 정치 하였다. 정치 된 용액의 상등액 1ml를 샘플링 한 후 메탄올을 이용하여 10배 희석 한 후 희석 된 용매를 HPLC로 분석한 후 테노포비어 알라펜아미드 피크의 넓이를 이용하여 용해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아래 [표 2]에 정리하였다.
H2O pH6.8
헤미푸마르산염 0.265 mg/ml 0.278 mg/ml
헤미나파다실레이트 62.54 mg/ml 61.25 mg/ml
상기 표 2에서 보는 것과 같이 본 발명의 테노포비어 알라펜아미드 헤미나파다실레이트는 테노포비어 알라펜아미드 헤미푸마르산염의 수용해도와 비교하였을 때 약 240배 정도 높은 수용해도를 나타내었다. 그리고 육안으로 그 용해성을 확인하기 위해 본 발명의 테노포비어 알라펜아미드 헤미나파다실레이트와 테노포비어 알라펜아미드 헤미푸마르산염를 각각 60mg/mL로 하여 물에 용해되는지 확인하였다. 그 결과 테노포비어 알라펜아미드 헤미푸마르산염은 용해되지 않았으며, 본 발명의 테노포비어 알라펜아미드 헤미나파다실레이트는 잘 용해 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테노포비어 알라펜아미드 헤미나파다실레이트는 테노포비어 알라펜아미드 헤미푸마르산염의 문제점인 체내 흡수를 증가시킬 수 있어 약리적 효과를 개선 시킬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 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인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구현예일 뿐이며, 이에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5)

  1. 삭제
  2. 분말 X선 회절(PXRD)분석에서 7.004±0.2, 8.631±0.2, 8.907±0.2, 10.866±0.2, 11.172±0.2, 14.044±0.2, 14.98±0.2 및 21.714±0.2 를 포함하는 2θ회절각에서 특징적인 피크를 갖는 분말 X선 회절 패턴을 갖고, 온도시차주사 열량(DSC)분석에서 흡열 개시 온도 177.20℃±3℃ 및 흡열온도 180.69℃±3℃의 흡열피크를 보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기 화학식 2 로 표기되는 테노포비어 알라펜아미드 헤미나파다실레이트 결정형.
    [화학식 2]
    Figure 112019119848162-pat00014
  3. 제 2 항에 있어서, 결정형 테노포비어 알라펜아미드 헤미나파다실레이트는 도1에 표시된 분말 X선 회절패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정형 테노포비어 알라펜아미드 헤미나파다실레이트.
    도 1
    Figure 112019044832421-pat00005
  4. 제 2 항에 있어서, 결정형 테노포비어 알라펜아미드 헤미나파다실레이트는 도3에 표시된 온도시차주사 열량분석을 특징으로 하는 결정형 테노포비어 알라펜아미드 헤미나파다실레이트.
    도 3
    Figure 112019044832421-pat00006
  5. 제 2 항에 따른 테노포비어 알라펜아미드 헤미나파다실레이트 결정형을 주성분으로 하는 클레오타이드 아날로그 역전사효소 및 HBV 폴리머라아제 억제제로서 HIV-1 감염 및 만성 B형 간염의 치료에 유용한 치료 또는 예방용 약제학적 조성물.
KR1020190051037A 2019-04-30 2019-04-30 신규한 테노포비어 알라펜아미드 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541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1037A KR102054104B1 (ko) 2019-04-30 2019-04-30 신규한 테노포비어 알라펜아미드 염 및 이의 제조방법
PCT/KR2019/018435 WO2020222393A1 (ko) 2019-04-30 2019-12-24 신규한 테노포비어 알라펜아미드 염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1037A KR102054104B1 (ko) 2019-04-30 2019-04-30 신규한 테노포비어 알라펜아미드 염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54104B1 true KR102054104B1 (ko) 2019-12-09

Family

ID=688374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1037A KR102054104B1 (ko) 2019-04-30 2019-04-30 신규한 테노포비어 알라펜아미드 염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054104B1 (ko)
WO (1) WO2020222393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22393A1 (ko) * 2019-04-30 2020-11-05 유니셀랩 주식회사 신규한 테노포비어 알라펜아미드 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20141457A (ko) 2021-04-13 2022-10-20 경동제약 주식회사 신규 결정형의 테노포비어 알라펜아미드 말레산염 및 이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WO2023282698A1 (ko) * 2021-07-08 2023-01-12 동아에스티 주식회사 제제 안정성이 향상된 테노포비르 알라펜아미드 함유 속방성 제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54068A (ko) * 2011-08-16 2014-05-08 길리애드 사이언시즈, 인코포레이티드 테노포비어 알라펜아미드 헤미푸마레이트
CN105085571A (zh) * 2014-05-20 2015-11-25 四川海思科制药有限公司 替诺福韦艾拉酚胺复合物及其制备方法和用途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0250A (ko) * 2016-12-22 2019-08-28 머크 샤프 앤드 돔 코포레이션 테노포비르의 항바이러스 지방족 에스테르 전구약물
TWI714820B (zh) * 2017-01-31 2021-01-01 美商基利科學股份有限公司 替諾福韋艾拉酚胺(tenofovir alafenamide)之晶型
KR102054104B1 (ko) * 2019-04-30 2019-12-09 유니셀랩 주식회사 신규한 테노포비어 알라펜아미드 염 및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54068A (ko) * 2011-08-16 2014-05-08 길리애드 사이언시즈, 인코포레이티드 테노포비어 알라펜아미드 헤미푸마레이트
CN105085571A (zh) * 2014-05-20 2015-11-25 四川海思科制药有限公司 替诺福韦艾拉酚胺复合物及其制备方法和用途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22393A1 (ko) * 2019-04-30 2020-11-05 유니셀랩 주식회사 신규한 테노포비어 알라펜아미드 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20141457A (ko) 2021-04-13 2022-10-20 경동제약 주식회사 신규 결정형의 테노포비어 알라펜아미드 말레산염 및 이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WO2023282698A1 (ko) * 2021-07-08 2023-01-12 동아에스티 주식회사 제제 안정성이 향상된 테노포비르 알라펜아미드 함유 속방성 제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222393A1 (ko) 2020-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54104B1 (ko) 신규한 테노포비어 알라펜아미드 염 및 이의 제조방법
JPH07285860A (ja) L−dopaエステルの組成物
WO2007013086A1 (en) Novel polymorphs of tenofovir disoproxil fumarate
NZ242191A (en) Crystalline tiagabine hydrochloride monohydrate, preparation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thereof
JPH0597853A (ja) Dc−89誘導体の臭化水素酸塩
US20100190982A1 (e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lamivudine form i
JPS62283960A (ja) ジ−およびテトラヒドロイソキノリン誘導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2090912B1 (ko) 신규한 결정형 형태의 에독사반 및 이의 제조방법
CN107286220B (zh) 1,2,4-三氮唑偶联的二氢杨梅素衍生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20230141899A (ko) [(1S)-1-[(2S,4R,5R)-5-(5-아미노-2-옥소-티아졸로[4,5-d]피리미딘-3-일)-4-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프로필]아세테이트의 고체 형태
EP1942886A1 (en) New crystalline form of perindopril erbumine
KR102016952B1 (ko) 신규한 결정형 형태의 항바이러스제 및 이의 제조방법
WO2014138740A1 (en)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s and polymorphic forms of hydrocodone benzoic acid enol ester and processes for making same
JP2005053782A (ja) 環状リポペプチド化合物の新規結晶
JP2010516668A (ja) 抗ウイルス剤のマレイン酸モノ塩及びそれを含有する医薬組成物
JPH10182639A (ja) ドキサゾシン・メシレートの新規な形態i
KR100339115B1 (ko) 결정성3-(4-헥실옥시-1,2,5-티아디아졸-3-일)-1,2,5,6-테트라하이드로-1-메틸피리딘(+)l-하이드로겐타르트레이트,이의제조방법및이를포함하는약제학적조성물
EP1487790B1 (en) Purified lasofoxifene and a method for purification of racemic lasofoxifene by recrystallization
FR2662940A1 (fr) Utilisation de derives de la tetrahydro isoquinoleine pour la preparation de medicaments anti-tumoraux, application a titre de medicaments de derives de la tetrahydro isoquinoleine et produits derives de cette structure.
CN115572298A (zh) 一种核苷类似物及其盐的晶型、制备方法和应用
AU2005318227B2 (en) Stereoselective process and crystalline forms of a camptothecin
EA013500B1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аморфной кальциевой соли аторвастатина
JP2007510715A (ja) アトバコンの新規な多形およびその調製のプロセス
WO2011001383A1 (en) Crystalline form of fosamprenavir calcium
JP7356176B2 (ja) トレプロスチニル一水和物結晶およ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