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2913B1 - 슬러지 수집기 - Google Patents

슬러지 수집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2913B1
KR102052913B1 KR1020170172035A KR20170172035A KR102052913B1 KR 102052913 B1 KR102052913 B1 KR 102052913B1 KR 1020170172035 A KR1020170172035 A KR 1020170172035A KR 20170172035 A KR20170172035 A KR 20170172035A KR 102052913 B1 KR102052913 B1 KR 1020529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flight
shaft
coupled
rolle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20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71210A (ko
Inventor
오진환
오정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링콘테크놀로지
오정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링콘테크놀로지, 오정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링콘테크놀로지
Priority to KR10201701720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2913B1/ko
Priority to CN201880063504.4A priority patent/CN111148557B/zh
Priority to PCT/KR2018/015498 priority patent/WO2019117545A1/ko
Priority to BR112020006951-5A priority patent/BR112020006951A2/pt
Publication of KR201900712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12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29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2913B1/ko
Priority to US16/824,789 priority patent/US11123659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02Settling tanks with single outlets for the separated liquid
    • B01D21/04Settling tanks with single outlets for the separated liquid with moving scra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18Construction of the scrapers or the driving mechanisms for settling t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18Construction of the scrapers or the driving mechanisms for settling tanks
    • B01D21/183Construction of the scrapers or the driving mechanisms for settling tanks with multiple scraping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18Construction of the scrapers or the driving mechanisms for settling tanks
    • B01D21/20Driving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24Feed or discharge mechanisms for settling tanks
    • B01D21/245Discharge mechanisms for the sedi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24Feed or discharge mechanisms for settling tanks
    • B01D21/245Discharge mechanisms for the sediments
    • B01D21/2455Conveyor belt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02F11/121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Conveying Motion By Means Of Endless Flexible Members (AREA)
  • Removal Of Floating Material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슬러지 수집기에 관한 것으로서, 침전지 내의 슬러지를 수집하는 다수의 플라이트; 상기 다수의 플라이트와 연결되어 상기 플라이트를 이동시키는 체인; 및 상기 플라이트에 연결되는 어태치먼트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플라이트의 동작 시 상기 플라이트가 뒤집어지는 현상을 방지시키는 어태치먼트 일체형 롤러 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슬러지 수집기{Sludge collector}
본 발명은, 슬러지 수집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플라이트가 뒤집어지는 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시킴으로써 체인의 정렬상태를 유지하는 한편 운전부하를 줄이고 전단력을 향상시켜 체인의 내구력을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 동력을 절감시킬 수 있고, 이로 인해 성능을 최대한 발휘하게 하여 안정적인 운전을 도모할 수 있으며, 나아가 바닥의 웨어 스트립(WEAR STRIP) 시공 작업을 없앰으로써 종래보다 빠른 시공기일을 제공하는 한편 웨어 스트립의 변형으로 인한 제반적인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슬러지 수집기에 관한 것이다.
복합소재 또는 고강도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으로 제작되는 비금속 컨베이어 체인은 상하수 처리를 위한 수처리 설비 및 정유공장, 혹은 해수담수화 등의 다양한 산업분야에 적용되며, 주로 모래나 슬러지, 슬래그 등 마모성이 높은 물질의 이송을 담당한다.
대표적인 예로 상하수 처리를 위한 수처리 설비에 대해 알아본다. 통상의 수처리 설비는 가정 또는 산업현장에서 유입되는 원수 내의 부유물을 제거하는 부유물 제거단계, 활성오니를 이용한 분해 및 침전단계를 포함한다.
분해 및 침전단계에서 걸러진 상등수는 폭기조에서 산소를 공급받아 호기성 박테리아를 번식시키는 활성화단계를 거친 다음, 2차 침전지에서 상등수를 재분리한 후, 다시 3차 침전지나 여과지를 통과한 최상등수를 소독처리하여 하천으로 방류하는 과정을 진행한다.
이와 같은 공정 플로를 포함하는 수처리 설비에서 원수 내의 부유물 제거와 활성오니를 이용한 폐수의 분해 시 슬러지(침전물 혹은 거품)가 발생되는데, 이러한 슬러지의 제거 혹은 수집을 위해 슬러지 수집기가 사용된다.
현재, 다양한 형태의 슬러지 수집기가 존재하나 체인 플라이트 방식의 슬러지 수집기가 가장 널리 사용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체인 플라이트 방식의 슬러지 수집기에는 플라이트의 이동을 위한 수단으로서 컨베이어 체인(conveyor chain)이 적용된다.
침전지의 규격은 처리 용량별 표준화 되어 있지 않고 크게는 16m에서 작게는 2m까지 다양하며, 그로 인해 플라이트 역시 150mm에서 360mm까지, 폭은 그에 맞춰 15m에서 길게는 120m까지 다양하게 공급되고 있다.
한편, 소형 침전지에서 현존하는 체인 플라이트 방식 슬러지 수집기는 2줄의 체인을 갖는 2열 체인 플라이트 방식이 제일 흔하다. 이는 상호 이격 배치되는 2줄의 체인에 플라이트가 매달려 이동되도록 하면서 슬러지를 수집하도록 되어 있다.
이처럼 소형인 경우에는 그리 문제가 되지 않지만 폭이 7~15m에 이르고 길이가 20~100m에 이르는 대형 침전지에서는 동작 시 체인의 잦은 파단과 플라이트의 처짐에 의한 파괴가 빈번히 일어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개선하기 위한 여러 방안, 예컨대 체인을 비금속 컨베이어 체인으로 적용하는 등 다양한 방식들이 제시되어 왔다.
하지만, 현존하는 비금속 컨베이어 체인의 경우, 재질적 혹은 구조적인 한계로 인해 여러 문제점을 노출시키고 있는 실정이다.
첫째, 플라이트가 중력침강으로 발생된 슬러지를 이송할 때 플라이트 전 폭에 의해 부하를 받을 수 있고, 이로 인해 플라이트가 뒤로 뒤집어지는 현상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둘째, 플라이트의 부하, 즉 플라이트의 자중과 중력 침강된 슬러지의 부하 등이 순수하게 체인의 인장력으로만 견디는 구성이라서 부품의 내구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셋째, 플라이트가 하부에서 이송될 때는 플라이트에 부착된 슈와 침전지 바닥에 부착된 웨어 스트립(WEAR STRIP)에 의해 바닥에서 일정 간격 떠서 이송되는데, 이 경우, 플라이트와 슈 및 웨어 스트립 간에 마찰력이 발생되어 부품의 내구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넷째, 바닥의 웨어 스트립 및 복귀 레일의 웨어 스트립은 플라이트의 슈와 웨어 스트립 간의 마찰 및 폐수나 하수, 석유화학 폐수에 의해 변형이 일어날 수 있게 되고, 이로 인해 주행하던 플라이트가 걸려 파손될 수 있다. 이때는 플라이트를 교체해야 하는데, 침전지 길이 방향으로 2열 또는 3열로 설치된 웨어 스트립의 교체 시에는 침전지의 물을 완전 배수를 하여야 하고 바닥에 많은 수의 앵커를 시공 한 후 웨어 스트립을 다시 설치해야 해서 이러한 작업 중에는 처리장 운영을 정지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특허청 등록번호 제10-1778733호
본 발명의 목적은, 플라이트가 뒤집어지는 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시킴으로써 체인의 정렬상태를 유지하는 한편 운전부하를 줄이고 전단력을 향상시켜 체인의 내구력을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 동력을 절감시킬 수 있고, 이로 인해 성능을 최대한 발휘하게 하여 안정적인 운전을 도모할 수 있으며, 나아가 바닥의 웨어 스트립(WEAR STRIP) 시공 작업을 없앰으로써 종래보다 빠른 시공기일을 제공하는 한편 웨어 스트립의 변형으로 인한 제반적인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슬러지 수집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침전지 내의 슬러지를 수집하는 다수의 플라이트; 상기 다수의 플라이트와 연결되어 상기 플라이트를 이동시키는 체인; 및 상기 플라이트에 연결되는 어태치먼트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플라이트의 동작 시 상기 플라이트가 뒤집어지는 현상을 방지시키는 어태치먼트 일체형 롤러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러지 수집기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어태치먼트 일체형 롤러 유닛은, 구름 이동이 가능한 제1 롤러; 상기 제1 롤러의 회전 축심을 형성하되 상기 어태치먼트의 제1 샤프트 결합부에 결합되는 제1 롤러 샤프트; 상기 제1 롤러의 양단부에 결합되는 한 쌍의 제1 부싱; 및 상기 제1 샤프트 결합부에 결합되며, 상기 제1 샤프트 결합부에서 상기 제1 롤러 샤프트가 이탈되는 것을 저지하는 한편 상기 제1 롤러 샤프트의 회전을 저지시키는 제1 샤프트 고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롤는 우레탄 탄성체로 제작되며, 상기 제1 롤러 샤프트는, 상기 제1 롤러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1 롤러의 회전 축심을 형성하는 원형 단면 형상의 제1 샤프트 바디; 및 상기 제1 샤프트 바디의 양단부에 형성되는 비원형 단면 형상의 한 쌍의 제1 결합 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샤프트 고정부재는, 상기 제1 샤프트 결합부의 개구 폭보다 넓게 형성되되 상기 제1 샤프트 결합부 내에 배치되는 제1 고정 플레이트; 상기 제1 고정 플레이트에서 연장되되 내부의 간격을 두고 탄성적으로 마련되고 상기 제1 샤프트 결합부의 입구에 배치되는 한 쌍의 제1 후크; 및 상기 제1 후크에 형성되고 상기 제1 샤프트 결합부의 제1 맞물림 홈에 결합되는 제1 맞물림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라이트의 동작 시 상기 어태치먼트 일체형 롤러 유닛과 함께 상기 플라이트의 동작을 가이드하는 다수의 캐리어 롤러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캐리어 롤러 유닛은, 상기 플라이트의 일측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착탈식 유닛 브래킷; 구름 이동이 가능한 제2 롤러; 상기 제2 롤러의 회전 축심을 형성하되 상기 착탈식 유닛 브래킷의 제2 샤프트 결합부에 결합되는 제2 롤러 샤프트; 상기 제2 롤러의 양단부에 결합되는 한 쌍의 제2 부싱; 및 상기 제2 샤프트 결합부에 결합되는 제2 샤프트 고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착탈식 유닛 브래킷에는 다수의 브래킷 포켓이 마련되고, 상기 플라이트에는 상기 다수의 브래킷 포켓에 결합되어 지지되는 다수의 포켓 지지구가 마련될 수 있다.
라이트의 동작 시 상기 어태치먼트 일체형 롤러 유닛과 함께 상기 플라이트의 동작을 가이드하도록 상기 어태치먼트 일체형 롤러 유닛에 근접하여 상기 플라이트에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캐리어 롤러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리턴 레일을 주행하는 상기 리턴 롤러 유닛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리턴 레일 가이드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리턴 레일 가이드는 상기 리턴 롤러 유닛과는 별도로 마련되되 조립 시 해당 위치에 삽입되어 상기 리턴 롤러 유닛의 고정 볼트에 함께 고정되거나 상기 리턴 롤러 유닛에 일체형으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침전지 폭이 과도하게 넓을 경우, 상기 플라이트의 처짐을 방지하는 한편 상기 플라이트의 처짐에 의한 바닥과의 마찰에 의한 동력 손실을 막기 위해 상기 캐리어 롤러 유닛이 상기 플라이트의 중앙, 전, 후면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침전지의 바닥면에는 웨어 스트립이 더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플라이트가 뒤집어지는 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시킴으로써 체인의 정렬상태를 유지하는 한편 운전부하를 줄이고 전단력을 향상시켜 체인의 내구력을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 동력을 절감시킬 수 있고, 이로 인해 성능을 최대한 발휘하게 하여 안정적인 운전을 도모할 수 있으며, 나아가 바닥의 웨어 스트립(WEAR STRIP) 시공 작업을 없앰으로써 종래보다 빠른 시공기일을 제공하는 한편 웨어 스트립의 변형으로 인한 제반적인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인 플라이트 방식 슬러지 수집기의 구조도,
도 2는 플라이트에 어태치먼트 일체형 롤러 유닛 및 캐리어 롤러 유닛이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측면도,
도 4는 도 2의 배면 분해도,
도 5는 어태치먼트 일체형 롤러 유닛의 분해도,
도 6은 도 5의 부분 확대도,
도 7은 캐리어 롤러 유닛의 분해도,
도 8은 침전지 하부에서 플라이트의 사용 상태도,
도 9는 침전지 상부에서 플라이트의 사용 상태도,
도 10 및 도 11은 캐리어 롤러 유닛의 사용예들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인 플라이트 방식 슬러지 수집기의 구조도, 도 2는 플라이트에 어태치먼트 일체형 롤러 유닛 및 캐리어 롤러 유닛이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측면도, 도 4는 도 2의 배면 분해도, 도 5는 어태치먼트 일체형 롤러 유닛의 분해도, 도 6은 도 5의 부분 확대도, 도 7은 캐리어 롤러 유닛의 분해도, 도 8은 침전지 하부에서 플라이트의 사용 상태도, 도 9는 침전지 상부에서 플라이트의 사용 상태도, 그리고 도 10 및 도 11은 캐리어 롤러 유닛의 사용예들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체인 플라이트 방식 슬러지 수집기는 플라이트(110)가 뒤집어지는 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시킴으로써 체인(120)의 정렬상태를 유지하는 한편 운전부하를 줄이고 전단력을 향상시켜 체인(120)의 내구력을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 동력을 절감시킬 수 있고, 이로 인해 성능을 최대한 발휘하게 하여 안정적인 운전을 도모할 수 있으며, 나아가 바닥의 웨어 스트립(WEAR STRIP) 시공 작업을 없앰으로써 종래보다 빠른 시공기일을 제공하는 한편 웨어 스트립의 변형으로 인한 제반적인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우선 도 1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체인 플라이트 방식 슬러지 수집기의 전체 구조를 개략적으로 살펴본다.
침전지(C) 내의 슬러지를 수집하는 다수의 플라이트(110)와, 다수의 플라이트(110)와 연결되어 플라이트(110)를 이동시키는 체인(120)과, 침전지(C)의 외부에 배치되고 체인(120)이 구동되기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제1 및 제2 드라이빙 유닛(101,102)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이긴 하지만 본 실시예에서 개시하고 있는 침전지(C)의 토목 구조물은 2층의 복층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이는 부지가 적은 대신에 수처리 용량이 많은 하수처리장에 적용되는 형태일 수 있다.
이처럼 침전지(C)가 2층의 복층 구조를 이루는 경우, 하부의 1층 영역과 상부의 2층 영역 모두에서 슬러지 처리가 진행될 수 있는데, 이를 위해 다수의 플라이트(110)가 층별로 배치될 수 있다.
물론, 침전지(C)가 2층의 복층 구조를 이루어야 하는 것은 아니므로 도면의 형상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 않는다. 즉 단층의 구조라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본 실시예처럼 침전지(C)가 2층의 복층 구조를 이루는 경우, 플라이트(110)들은 1층과 2층 모두에 배치되고 해당 위치에서 체인(120)을 통해 이동되면서 슬러지를 처리한다. 여기서, 슬러지는 모래나 슬래그를 포함하는 비중과 마모성이 높은 물질을 가리킨다.
반드시 그러한 것은 아니나 본 실시예에 적용되는 체인(120)은 비금속 컨베이어 체인(120)일 수 있다. 참고로, 도 1과 같은 침전지(C)는 처리 용량에 따라 달라지기는 하지만 그 폭은 8~10m에 이르고 길이는 20~120m까지 이를 정도고 거대할 수 있기 때문에 체인(120)을 금속으로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과도한 동력이 요구될 수밖에 없다.
따라서 동력을 줄이기 위해서는 부품들의 무게를 줄여야 하는데, 그러기 위해 본 실시예처럼 체인(120)을 비금속으로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지만, 단순한 비금속, 예컨대 고강도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의 경우에도 그 한계가 3.8톤 내외이다. 이는 메탈 체인의 19톤에 비하면 아주 낮은 수치이기는 하지만 실제 사용되어 요구되는 안전율이 3-5배 정도라는 점에서 적용이 용이하지 않다. 이에, 본 실시예와 같은 비금속 컨베이어 체인(120)이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비금속 컨베이어 체인(120)은 플라이트(110)를 이동시키기 위해 제1 및 제2 드라이빙 유닛(101,102)과 각각 개별적으로 연결되어 회전된다. 즉 비금속 컨베이어 체인(120)의 일측은 침전지(C)의 외부 일측에 배치되는 제1 드라이빙 유닛(101)과 연결되어 회전되면서 아래층의 플라이트(110)를 이동시키고, 비금속 컨베이어 체인(120)의 타측은 침전지(C)의 외부 타측에 배치되는 제2 드라이빙 유닛(102)과 연결되어 회전되면서 위층의 플라이트(110)를 이동시킨다.
플라이트(110) 모두는 긴 막대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플라이트(110) 모두는 비금속 컨베이어 체인(120)에 각각 연결되며, 비금속 컨베이어 체인(120)의 동작 시 이동되면서 슬러지를 처리할 수 있게끔 한다.
한편, 앞서도 기술한 것처럼 비금속 컨베이어 체인(120)의 적용 시 재질적 혹은 구조적인 한계로 인해 여러 문제점, 예컨대 중력침강으로 발생된 슬러지를 이송할 때 플라이트(110)가 뒤로 뒤집어지는 현상이 발생되거나 부품의 내구성이 떨어지거나 플라이트(110)와 슈 및 웨어 스트립 간에 마찰력이 발생되어 부품의 내구성이 떨어지거나 하는 등의 여러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효과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본 실시예의 경우, 플라이트(110)에 어태치먼트 일체형 롤러 유닛(140) 및 캐리어 롤러 유닛(150)이 적용된다.
우선, 어태치먼트 일체형 롤러 유닛(140)에 대해 먼저 살펴본다. 플라이트(110)에 연결되는 어태치먼트(130)에는 어태치먼트 일체형 롤러 유닛(140)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플라이트(110)의 동작 시 어태치먼트 일체형 롤러 유닛(140)이 플라이트(110)를 가이드하기 때문에 플라이트(110)가 뒤집어지는 현상을 예방할 수 있다.
어태치먼트 일체형 롤러 유닛(140)은 구름 이동이 가능한 제1 롤러(141)와, 제1 롤러(141)의 회전 축심을 형성하되 어태치먼트(130)의 제1 샤프트 결합부(131)에 결합되는 제1 롤러 샤프트(142)와, 제1 롤러(141)의 양단부에 결합되는 한 쌍의 제1 부싱(143)과, 제1 샤프트 결합부(131)에 결합되는 제1 샤프트 고정부재(144)를 포함한다.
제1 롤러(141)는 우레탄과 같은 탄성체로 제작될 수 있다. 이처럼 제1 롤러(141)가 우레탄과 같은 탄성체로 제작될 경우, 주행 중 소음을 줄이는 한편 바닥과의 마찰을 높여 구름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
제1 롤러 샤프트(142)는 제1 롤러(141)의 내부에 배치되어 제1 롤러(141)의 회전 축심을 형성하는 원형 단면 형상의 제1 샤프트 바디(142a)와, 제1 샤프트 바디(142a)의 양단부에 형성되는 비원형 단면 형상의 한 쌍의 제1 결합 단부(142b)를 포함한다.
한 쌍의 제1 결합 단부(142b)는 두께가 작은 방향으로 제1 샤프트 결합부(131)로 삽입되며, 삽입된 후에는 제1 롤러 샤프트(142)가 회전되어 제1 결합 단부(142b)는 두께가 두꺼운 부분으로 90도 회전됨으로써 제1 롤러 샤프트(142)가 임의로 빠지는 것을 저지시킨다.
제1 샤프트 고정부재(144)는 제1 샤프트 결합부(131)에 결합되되 제1 샤프트 결합부(131)에서 제1 롤러 샤프트(142)가 이탈되는 것을 저지하는 한편 제1 롤러 샤프트(142)의 회전을 저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제1 샤프트 고정부재(144)는 제1 샤프트 결합부(131)의 개구 폭보다 넓게 형성되되 제1 샤프트 결합부(131) 내에 배치되는 제1 고정 플레이트(144a)와, 제1 고정 플레이트(144a)에서 연장되되 내부의 간격(G1)을 두고 탄성적으로 마련되고 제1 샤프트 결합부(131)의 입구에 배치되는 한 쌍의 제1 후크(144b)와, 제1 후크(144b)에 형성되고 제1 샤프트 결합부(131)의 제1 맞물림 홈(131a)에 결합되는 제1 맞물림 돌기(144c)를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다수의 캐리어 롤러 유닛(150)은 플라이트(110)의 일측에 플라이트(110)의 전진 방향을 따라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러한 캐리어 롤러 유닛(150)은 어태치먼트(130)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전진 방향으로 침전지(C, 도 1 참조)의 바닥과 직접 닿아 전진하면서 플라이트(110)를 호퍼(미도시) 쪽으로 이송 가이드한다.
플라이트(110)의 동작 시 어태치먼트 일체형 롤러 유닛(140)과 함께 캐리어 롤러 유닛(150)이 플라이트(110)를 가이드하기 때문에 플라이트(110)가 뒤집어지는 현상을 예방할 수 있다.
캐리어 롤러 유닛(150)을 이루는 대다수의 구성은 어태치먼트 일체형 롤러 유닛(140)과 유사하다. 이에 대해 살펴본다.
캐리어 롤러 유닛(150)은 플라이트(110)의 일측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착탈식 유닛 브래킷(155)과, 구름 이동이 가능한 제2 롤러(151)와, 제2 롤러(151)의 회전 축심을 형성하되 착탈식 유닛 브래킷(155)의 제2 샤프트 결합부(156)에 결합되는 제2 롤러 샤프트(152)와, 제2 롤러(151)의 양단부에 결합되는 한 쌍의 제2 부싱(153)과, 제2 샤프트 결합부(156)에 결합되는 제2 샤프트 고정부재(154)를 포함한다.
착탈식 유닛 브래킷(155)은 플라이트(110)에 결합되는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부분이다. 착탈식 유닛 브래킷(155)이 플라이트(110)에 위치별로 결합되기 위해 착탈식 유닛 브래킷(155)에는 다수의 브래킷 포켓(155a)이 마련되고, 플라이트(110)에는 다수의 포켓 지지구(111)가 마련된다. 플라이트(110)에 다수의 포켓 지지구(111)가 마련되기 때문에 착탈식 유닛 브래킷(155)의 브래킷 포켓(155a)을 원하는 위치에 결합시킬 수 있다.
제2 롤러(151)는 전술한 제1 롤러(141)와 마찬가지로 우레탄과 같은 탄성체로 제작될 수 있다. 이처럼 제2 롤러(151)가 우레탄과 같은 탄성체로 제작될 경우, 주행 중 소음을 줄이는 한편 바닥과의 마찰을 높여 구름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
제2 롤러 샤프트(152)는 제2 롤러(151)의 내부에 배치되어 제2 롤러(151)의 회전 축심을 형성하는 원형 단면 형상의 제2 샤프트 바디(152a)와, 제2 샤프트 바디(152a)의 양단부에 형성되는 비원형 단면 형상의 한 쌍의 제2 결합 단부(152b)를 포함한다.
한 쌍의 제2 결합 단부(152b)는 두께가 작은 방향으로 제2 샤프트 결합부(156)로 삽입되며, 삽입된 후에는 제2 롤러 샤프트(152)가 회전되어 제2 결합 단부(152b)는 두께가 두꺼운 부분으로 90도 회전됨으로써 제2 롤러 샤프트(152)가 임의로 빠지는 것을 저지시킨다.
제2 샤프트 고정부재(154)는 제2 샤프트 결합부(156)에 결합되되 제2 샤프트 결합부(156)에서 제2 롤러 샤프트(152)가 이탈되는 것을 저지하는 한편 제2 롤러 샤프트(152)의 회전을 저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제2 샤프트 고정부재(154)는 제2 샤프트 결합부(156)의 개구 폭보다 넓게 형성되되 제2 샤프트 결합부(156) 내에 배치되는 제2 고정 플레이트(154a)와, 제2 고정 플레이트(154a)에서 연장되되 내부의 간격(G2)을 두고 탄성적으로 마련되고 제2 샤프트 결합부(156)의 입구에 배치되는 한 쌍의 제2 후크(154b)와, 제2 후크(154b)에 형성되고 제2 샤프트 결합부(156)의 제2 맞물림 홈(156a)에 결합되는 제2 맞물림 돌기(154c)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기존의 리턴 레일 위에 설치된 웨어 스트립(WEAR STRIP)을 타고 가는 방식은 플라이트(110)의 웨어링 슈와 리턴 레일 위에 부착된 웨어 스트립의 마찰로 인한 마모 및 하수나 폐수, 석유화학 물질에 의한 변형으로 인한 체인(120)의 단락 및 플라이트(110)의 파손을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경우, 상부의 리턴 레일(160) 역시, 캐리어 롤러 유닛(150)과 동일한 형태의 롤러를 플라이트(110)의 전후면에 2개를 설치하여 상부의 리턴 레일(160) 위를 웨어 스트립 없이 주행이 가능하도록 한 리턴 롤러 유닛(170)을 적용함으로서 웨어링 슈와 웨어 스트립의 마찰에 의한 동력손실 및 웨어 스트립의 변형에 의한 체인(120)의 단락 및 플라이트(110)의 파손을 막을 수 있다.
물론, 리턴 롤러 유닛(170)을 적용함에 있어 캐리어 롤러 유닛(150)에 적용된 착탈식 유닛 브래킷을 설치한 후 그 양측으로 롤러를 적용한 한 형태도 사용가능할 것이다.
한편, 리턴 레일(160)을 주행하는 리턴 롤러 유닛(17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리턴 레일 가이드(161, 도 2, 도 3 및 도 9 참조)가 마련될 수 있다. 리턴 레일 가이드(161)는 좌우의 흔들림 및 편심 주행에 의한 리턴 레일(160)에서의 플라이트(110) 이탈을 방지하도록 한다.
이러한 리턴 레일 가이드(172)는 리턴 롤러 유닛(170)과는 별도로 마련되되 조립 시 해당 위치에 삽입되어 리턴 롤러 유닛(170)의 고정 볼트에 함께 고정될 수 있으나,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턴 롤러 유닛(170)의 유닛 브래킷(171)에 일체형으로 제작될 수도 있다.
한편,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침전지 폭이 과도하게 넓을 경우, 플라이트(110)의 처짐을 방지하는 한편 플라이트(110)의 처짐에 의한 바닥과의 마찰에 의한 동력 손실을 막기 위해 캐리어 롤러 유닛(150)을 플라이트(110)의 중앙, 전, 후면에 추가적으로 부착함으로서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오래된 하수처리장의 침전지 바닥면은 하수나 폐수에 의해 콘크리트 표면이 부식되어 롤러 유닛들의 진행이 어려울 수 있는데, 이 경우에는 하수처리장의 바닥에 웨어 스트립을 선택적으로 추가 설치하는 것도 고려해 볼 수 있을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구조와 작용을 갖는 본 실시예에 따르면, 플라이트(110)가 뒤집어지는 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시킴으로써 체인(120)의 정렬상태를 유지하는 한편 운전부하를 줄이고 전단력을 향상시켜 체인(120)의 내구력을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 동력을 절감시킬 수 있고, 이로 인해 성능을 최대한 발휘하게 하여 안정적인 운전을 도모할 수 있으며, 나아가 바닥의 웨어 스트립(WEAR STRIP) 시공 작업을 없앰으로써 종래보다 빠른 시공기일을 제공하는 한편 웨어 스트립의 변형으로 인한 제반적인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1 : 제1 드라이빙 유닛 102 : 제2 드라이빙 유닛
110 : 플라이트 111 : 포켓 지지구
120 : 체인 130 : 어태치먼트
131 : 제1 샤프트 결합부 131a : 제1 맞물림 홈
140 : 어태치먼트 일체형 롤러 유닛 141 : 제1 롤러
142 : 제1 롤러 샤프트 142a : 제1 샤프트 바디
142b : 제1 결합 단부 143 : 제1 부싱
144 : 제1 샤프트 고정부재 144a : 제1 고정 플레이트
144b : 제1 후크 144c : 맞물림 돌기를
150 : 캐리어 롤러 유닛 151 : 제2 롤러
152 : 제2 롤러 샤프트 153 : 제2 부싱
154 : 제2 샤프트 고정부재 155 : 착탈식 유닛 브래킷
155a : 브래킷 포켓 156 : 제2 샤프트 결합부
156a : 제2 맞물림 홈 160 : 리턴 레일
170 : 리턴 롤러 유닛 171 : 유닛 브래킷
172 : 리턴 레일 가이드

Claims (12)

  1. 침전지 내의 슬러지를 수집하는 다수의 플라이트;
    상기 다수의 플라이트와 연결되어 상기 플라이트를 이동시키는 체인; 및
    상기 플라이트에 연결되는 어태치먼트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플라이트의 동작 시 상기 플라이트가 뒤집어지는 현상을 방지시키는 어태치먼트 일체형 롤러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어태치먼트 일체형 롤러 유닛은,
    구름 이동이 가능한 제1 롤러;
    상기 제1 롤러의 회전 축심을 형성하되 상기 어태치먼트의 제1 샤프트 결합부에 결합되는 제1 롤러 샤프트;
    상기 제1 롤러의 양단부에 결합되는 한 쌍의 제1 부싱; 및
    상기 제1 샤프트 결합부에 결합되며, 상기 제1 샤프트 결합부에서 상기 제1 롤러 샤프트가 이탈되는 것을 저지하는 한편 상기 제1 롤러 샤프트의 회전을 저지시키는 제1 샤프트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러지 수집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롤러는 우레탄 탄성체로 제작되며,
    상기 제1 롤러 샤프트는,
    상기 제1 롤러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1 롤러의 회전 축심을 형성하는 원형 단면 형상의 제1 샤프트 바디; 및
    상기 제1 샤프트 바디의 양단부에 형성되는 비원형 단면 형상의 한 쌍의 제1 결합 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러지 수집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샤프트 고정부재는,
    상기 제1 샤프트 결합부의 개구 폭보다 넓게 형성되되 상기 제1 샤프트 결합부 내에 배치되는 제1 고정 플레이트;
    상기 제1 고정 플레이트에서 연장되되 내부의 간격을 두고 탄성적으로 마련되고 상기 제1 샤프트 결합부의 입구에 배치되는 한 쌍의 제1 후크; 및
    상기 제1 후크에 형성되고 상기 제1 샤프트 결합부의 제1 맞물림 홈에 결합되는 제1 맞물림 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러지 수집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이트의 동작 시 상기 어태치먼트 일체형 롤러 유닛과 함께 상기 플라이트의 동작을 가이드하도록 상기 어태치먼트 일체형 롤러 유닛에 근접하여 상기 플라이트에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캐리어 롤러 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러지 수집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 롤러 유닛은,
    상기 플라이트의 일측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착탈식 유닛 브래킷;
    구름 이동이 가능한 제2 롤러;
    상기 제2 롤러의 회전 축심을 형성하되 상기 착탈식 유닛 브래킷의 제2 샤프트 결합부에 결합되는 제2 롤러 샤프트;
    상기 제2 롤러의 양단부에 결합되는 한 쌍의 제2 부싱; 및
    상기 제2 샤프트 결합부에 결합되는 제2 샤프트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러지 수집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식 유닛 브래킷에는 다수의 브래킷 포켓이 마련되고, 상기 플라이트에는 상기 다수의 브래킷 포켓에 결합되어 지지되는 다수의 포켓 지지구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러지 수집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이트의 리턴 시 리턴 레일을 주행할 수 있도록 상기 플라이트와 상기 리턴 레일의 교차 부분에 설치되는 리턴 롤러 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러지 수집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리턴 레일을 주행하는 상기 리턴 롤러 유닛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리턴 레일 가이드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러지 수집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리턴 레일 가이드는 상기 리턴 롤러 유닛과는 별도로 마련되되 조립 시 해당 위치에 삽입되어 상기 리턴 롤러 유닛의 고정 볼트에 함께 고정되거나 상기 리턴 롤러 유닛에 일체형으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러지 수집기.
  11.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침전지 폭이 과도하게 넓을 경우, 상기 플라이트의 처짐을 방지하는 한편 상기 플라이트의 처짐에 의한 바닥과의 마찰에 의한 동력 손실을 막기 위해 상기 캐리어 롤러 유닛이 상기 플라이트의 중앙, 전, 후면에 각각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러지 수집기.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침전지의 바닥면에는 웨어 스트립이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러지 수집기.
KR1020170172035A 2017-12-14 2017-12-14 슬러지 수집기 KR1020529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2035A KR102052913B1 (ko) 2017-12-14 2017-12-14 슬러지 수집기
CN201880063504.4A CN111148557B (zh) 2017-12-14 2018-12-07 污泥收集器
PCT/KR2018/015498 WO2019117545A1 (ko) 2017-12-14 2018-12-07 슬러지 수집기
BR112020006951-5A BR112020006951A2 (pt) 2017-12-14 2018-12-07 coletor de lodo
US16/824,789 US11123659B2 (en) 2017-12-14 2020-03-20 Sludge collec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2035A KR102052913B1 (ko) 2017-12-14 2017-12-14 슬러지 수집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1210A KR20190071210A (ko) 2019-06-24
KR102052913B1 true KR102052913B1 (ko) 2019-12-11

Family

ID=668205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2035A KR102052913B1 (ko) 2017-12-14 2017-12-14 슬러지 수집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123659B2 (ko)
KR (1) KR102052913B1 (ko)
CN (1) CN111148557B (ko)
BR (1) BR112020006951A2 (ko)
WO (1) WO201911754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092285B1 (ja) * 2021-05-11 2022-06-28 有限会社フジカ スカム除去装置付き汚泥掻寄装置
KR102511083B1 (ko) * 2022-09-28 2023-03-17 주식회사 가온텍 체인 플라이트식 슬러지 수집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6834Y1 (ko) * 2006-06-12 2006-09-20 주식회사 천보엔지니어링 이탈방지 가이드가 부설된 수중대차식 슬러지 수집기
KR101285197B1 (ko) 2013-04-05 2013-07-11 주식회사 신성세라믹 석탄취급계통에 사용되는 컨베이어벨트의 아이들롤러 조립체
KR101778733B1 (ko) 2017-04-10 2017-09-14 장은진 체인 플라이트식 슬러지 수집기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62915A (ja) * 1983-03-08 1984-09-13 Hitachi Metals Ltd 掻寄装置のフライト
JPS6351606U (ko) * 1986-06-11 1988-04-07
JPH064884Y2 (ja) * 1988-04-26 1994-02-09 日立金属株式会社 掻寄装置
JPH0810352Y2 (ja) * 1990-04-19 1996-03-29 日立金属株式会社 汚泥掻寄機用フライト及びそのローラシュー
US5460727A (en) * 1994-06-27 1995-10-24 Oritex Corporation Water and waste treatment systems
US5620601A (en) * 1995-09-18 1997-04-15 Fmc Corporation Wear strip assembly for use in a waste water treatment facility
CN2564569Y (zh) * 2002-08-19 2003-08-06 许泽美 圆形沉淀池刮泥设备
US6758531B1 (en) * 2003-05-10 2004-07-06 Skf Usa Inc. Hub and hubcap
JP4202940B2 (ja) * 2003-06-13 2008-12-24 アスモ株式会社 ワイパブレード
CN2803489Y (zh) * 2005-06-27 2006-08-09 深圳市金达莱环保有限公司 用于污水沉淀池中的刮泥装置
CN100484600C (zh) * 2006-09-15 2009-05-06 黄志彬 刮泥装置
CN201940086U (zh) * 2011-01-12 2011-08-24 南京荣威机械实业有限公司 不翻板型单轨式刮泥机
CN102179072B (zh) * 2011-05-06 2012-11-21 上海市松江自来水公司 一种用于沉淀池排泥的刮泥装置
KR101498341B1 (ko) * 2011-09-08 2015-03-03 후지와라 인더스트리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오니 소기 장치
JP6346590B2 (ja) * 2015-05-08 2018-06-20 水ing株式会社 汚泥掻き寄せ機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6834Y1 (ko) * 2006-06-12 2006-09-20 주식회사 천보엔지니어링 이탈방지 가이드가 부설된 수중대차식 슬러지 수집기
KR101285197B1 (ko) 2013-04-05 2013-07-11 주식회사 신성세라믹 석탄취급계통에 사용되는 컨베이어벨트의 아이들롤러 조립체
KR101778733B1 (ko) 2017-04-10 2017-09-14 장은진 체인 플라이트식 슬러지 수집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123659B2 (en) 2021-09-21
WO2019117545A1 (ko) 2019-06-20
US20200215461A1 (en) 2020-07-09
KR20190071210A (ko) 2019-06-24
CN111148557A (zh) 2020-05-12
CN111148557B (zh) 2021-11-12
BR112020006951A2 (pt) 2020-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00000933B1 (ko) 직사각형 정수기 및 오물처리장치
KR102052913B1 (ko) 슬러지 수집기
US4950398A (en) Cantilevered flight attachment for non-metallic chain
KR101540242B1 (ko) 샤크형 스컴 제거장치
JP5727075B1 (ja) 復路側ガイドシュー及びその復路側ガイドシューを備えたチェーンフライト式汚泥掻寄機
JP6282777B1 (ja) 汚泥掻寄機、フライトおよびシュー
JP2018108580A (ja) 汚泥掻寄機
JP6970504B2 (ja) チェーン及び汚泥掻寄機
JP2007185625A (ja) 汚泥かき寄せ装置用チェーン及び汚泥かき寄せ装置
EP1901980B1 (de) Förderrolle
JP7302983B2 (ja) スカム掻寄機及び沈殿池設備
KR20190102375A (ko) 스틸링 보강 바렐을 구비하는 컨베이어 체인 및 그 제조방법
KR101966770B1 (ko) 비금속 컨베이어 체인 및 그에 적용되는 스틸튜브 일체식 체인핀, 그리고 이를 포함하는 슬러지 수집기
KR102107231B1 (ko) 커브형 체인 플라이트 슬러지 수집기
US2309556A (en) Sediment collecting mechanism
KR102511083B1 (ko) 체인 플라이트식 슬러지 수집기
KR102057484B1 (ko) 체인 플라이트식 슬러지 수집기
KR102190000B1 (ko) 슬러지 수집기용 마모방지형 비금속 아이들 스프라켓 및 이를 포함하는 비금속 체인플라이트식 슬러지 수집기
CN205616123U (zh) 一种污泥输送机
CN203724819U (zh) 一种浓缩机
US20240131451A1 (en) Roller for chain and scraper assembly
CN215141489U (zh) 一种单面涂胶的涂胶机
CN218130152U (zh) 一种平流沉淀池及平流沉淀净水系统
JP2016000387A (ja) 復路側ガイドシュー及びその復路側ガイドシューを備えたチェーンフライト式汚泥掻寄機
JP6273344B1 (ja) 汚泥掻き寄せ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