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8341B1 - 오니 소기 장치 - Google Patents

오니 소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8341B1
KR101498341B1 KR1020120097539A KR20120097539A KR101498341B1 KR 101498341 B1 KR101498341 B1 KR 101498341B1 KR 1020120097539 A KR1020120097539 A KR 1020120097539A KR 20120097539 A KR20120097539 A KR 20120097539A KR 101498341 B1 KR101498341 B1 KR 1014983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udge
traction core
bottom wall
core
tra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75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28001A (ko
Inventor
미치히로 후지와라
Original Assignee
후지와라 인더스트리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1213396A external-priority patent/JP2012110886A/ja
Application filed by 후지와라 인더스트리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후지와라 인더스트리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300280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80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83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83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30Wastewater or sewage treatment systems using renewable energies
    • Y02W10/37Wastewater or sewage treatment systems using renewable energies using solar energy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Removal Of Floating Material (AREA)

Abstract

오니 중에서 사용되는 실린더 구동 방식으로 발생하기 쉬운 밀봉성의 문제를 개선할 수 있는 오니 소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침전지(1)에 배치되는 오니 소기 장치에 있어서, 견인 심재(28)에 장착된 피스톤(27)과 전후에 밀봉 접속부를 구비한 구동 실린더(15)에 의해 구성되는 기체(18)와, 기체(18)에 장착된 오니 스크레이퍼(37)와, 기체(18)의 전진 시에 오니 스크레이퍼(37)를 소기 자세로 전환하고, 후퇴 시에 비소기 자세로 전환하는 자세 전환 수단과, 구동 실린더(15)의 전측에 장착되는 처리부(17)로서, 내부에 처리실(17a)을 포함하면서, 견인 심재(28)의 연장된 부분이 처리실(17a)을 관통하도록 배치되는 처리부(17)를 구비하고, 유체 제어 수단에 의한 구동 실린더(15) 내로의 물의 주입·배출에 의해 기체(18)를 견인 심재(28)에 따라 전진·후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하고, 기체(18)의 이동 시에 처리실(17a) 내로의 물의 주입·배출을 행한다.

Description

오니 소기 장치{Sludge Scraping Device}
본 발명은 단변을 전후의 단벽으로 하고, 장변을 좌우의 측벽으로 하면서, 저벽을 구비하고, 이 저벽의 오니 소기 방향인 전측의 단벽측에 오니 피트를 구비하고 있는 직사각형 침전지에 배치되는 오니 소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면, 직사각형 침전지에 유입되는 오수는 침전지 내에서 침강하여 저벽 상에 퇴적된다. 그 퇴적된 침전물은 오니 소기 장치에 의해 저벽 일단의 피트까지 긁어 모아 떨어뜨려져 외부로 배제되도록 되어 있다.
그러한 오니 소기 장치에는 여러 가지 종류의 것이 있으며, 그 중 하나로서 물 실린더를 구동원으로 한 것이 있다.
(특허문헌 1) JP 2005-131627 A
상기 특허문헌 1의 도 39 내지 도 41에 개시된 오니 소기 장치는 물 실린더 그 자체를 기체(body)로 하고, 그 선단으로부터 로드(rod)가 뻗어 있다. 기체의 전단이나 중간 등에는 오니 스크레이퍼가 설치되어 있고, 기체가 물 실린더에 의해 전진할 때는 수직인 소기 자세가 되고, 기체가 후퇴할 때는 들어 올려진 비소기 자세가 된다.
이 물 실린더 구동 방식의 오니 소기 장치는 로드가 실린더 전단의 구멍으로부터 전방으로 길게 뻗어 있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예를 들면, 전진할 때는 로드가 실린더 내로 끌어 들여지도록 작동하여, 그 작동 시에 상기 침전물인 오니도 함께 끌어들여 패킹이나 로드 등을 손상시켜 버리거나, 물 순환 경로 중에 오니를 반입하여 트러블의 원인이 되고 있었다. 그 때문에, 도 41과 같은 벨로즈를 실린더의 끝측에 부착하여 오니를 차단하도록 하고 있지만, 이 벨로즈는 오니가 퇴적되고 수압이 작용하는 환경 하에서 반복 신축하므로, 오니가 맞물려 그대로 신축하지 않고 로드와 서로 스치거나, 더욱이 반복 운동에 견디지 못하고 조기 교환을 필요로 하는 등 내구성에 큰 과제가 발생해 왔다. 또한, 벨로즈는 힘을 지지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실린더로부터 길게 뻗는 로드에 휘어짐을 허락하고, 그 결과, 밀봉(seal)성에 문제가 발생해 왔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악조건인 퇴적 오니 중에서 사용되는 실린더 구동 방식에 있어서 발생하기 쉬운 밀봉성에 관련된 문제를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오니 소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오니 소기 장치는,
단변을 전후의 단벽으로 하고, 장변을 좌우의 측벽으로 하면서, 저벽을 구비하고, 이 저벽의 오니 소기 방향인 전측의 단벽측에 오니 피트를 구비하고 있는 직사각형 침전지에 배치되고,
상기 저벽의 상측이며, 또한, 좌우 측벽 사이인 침전지 폭의 중앙을 따라서 전후 방향으로 진퇴하도록 배치되는 오니 소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저벽 상에서의 침전지 폭의 중앙을 따라서 배치된 가이드 레일과,
로드 혹은 로드형(a rod or a rod-like) 부재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침전지 폭의 중앙을 따라서 축 중심이 설정되도록 상기 저벽의 상측에 배치되는 견인 심재(traction core member)와,
상기 견인 심재의 중심점에 장착된 피스톤과,
전후에 밀봉 접속부를 구비한 통상체(筒狀體)로서 형성되고, 그 내부에 상기 피스톤을 내장한 구동 실린더에 의해 구성되는 기체(body)로서, 상기 견인 심재가 전후의 밀봉 접속부를 관통하여 전후에 연장되도록 설치되는 기체와,
상기 기체의 외부에 장착되고, 상기 가이드 레일에 따라 주행 가능한 주행 바퀴와,
상기 기체에 복수 장착되고, 서로 연동 가능한 오니 스크레이퍼와,
상기 기체의 전진 시에 상기 오니 스크레이퍼를 소기 자세로 전환하고, 후퇴 시에 비소기 자세가 되도록 전환하기 위한 자세 전환 수단과
상기 구동 실린더의 적어도 상기 오니 소기 방향인 전측에, 상기 밀봉 접속부를 통하여 장착되는 처리부로서, 내부에 처리 공간을 가지며, 상기 견인 심재의 연장된 부분이 상기 처리 공간을 관통하도록 배치되는 처리부를 구비하고,
유체 제어 수단에 의한 상기 구동 실린더 내로의 유체의 주입·배출에 의해 상기 기체를 상기 견인 심재에 따라 전진·후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하고,
상기 기체의 이동시에, 상기 처리 공간 내로의 유체의 주입·배출을 행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 구성에 의한 오니 소기 장치의 작용·효과는 다음과 같다. 견인 심재에 따라 기체가 전진할 때에는, 오니 스크레이퍼는 소기 자세로 있고, 오니를 긁어모아 오니 피트의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견인 심재에 따라 기체가 후퇴할 때에는, 오니 스크레이퍼는 비소기 자세로 있다. 기체를 구성하는 구동 실린더 내로의 유체의 주입·배출에 의해 기체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구동 실린더의 전후에는 밀봉 접속부가 구비되고 이 밀봉 접속부를 통하여 처리부가 설치된다. 구동 실린더와 그 전후에 설치되는 처리부는 일체적으로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처리부 내에는 처리 공간이 설치되고, 견인 심재는 이 처리 공간을 관통하는 형태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을 가진다. 기체가 이동할 때에는, 유체 제어 수단에 의해 처리 공간 내로도 유체의 주입·배출이 행해진다. 처리부를 마련함으로써 구동 실린더 내로의 오니의 침입 방지에 이바지할 수 있다. 또한, 밀봉 접속부의 근방이나 처리 공간 내의 오니의 제거를 실시할 수 있다. 그 결과, 악조건인 퇴적 오니 중에서 사용되는 실린더 구동 방식에서 발생하기 쉬운 밀봉성에 관한 문제를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처리부는 보조 실린더이며, 상기 밀봉 접속부가 설치되는 측과는 반대측의 단부에 밀봉부가 설치되고, 상기 견인 심재가 밀봉부를 관통하도록 장착되고, 상기 밀봉부에는 보조 실린더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시키기 위한 관통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견인 심재는 예를 들면 패킹 등을 통하여 밀봉 접속부나 밀봉부를 관통하도록 설치된다. 만일, 밀봉 접속부 혹은 밀봉부의 근방에 오니가 침입해 와도 처리 공간 내로의 유체의 주입·배출에 의해 관통 구멍으로부터 제거시킬 수 있다.
상기 처리부는 선단 측으로 갈수록 소경(taper)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오니가 선단 부분에 체류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구동 실린더 내로의 유체의 주입·배출을 행하는 유로를 도중에 분기시켜 상기 처리 공간으로의 유체의 주입·배출을 행하는 분기 유로를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유로의 구성을 간소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기 유로에는 유로 조리개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구동 실린더 내로의 유량을 확보할 수 있고, 기체의 전후 방향의 이동을 지장 없이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견인 심재의 전후 단부에서 견인 심재를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받아 멈추게 하는 수지(受止) 부재와,
상기 견인 심재의 전단부 측의 상기 수지 부재보다 더욱 전측과, 상기 견인 심재의 후단부 측의 상기 수지 부재보다 더욱 후측에, 각각 설치되는 스토퍼를 구비하고,
소기 시에 전측 스토퍼가 전측의 수지 부재에 당접(contact)하고, 비소기 시에 후측 스토퍼가 후측의 수지 부재에 당접함으로써, 상기 견인 심재의 이동 범위를 규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소기 시와 비소기 시에서, 기체가 견인 심재에 따라 이동할 때, 견인 심재를 완전하게 고정해 두면 견인 심재에 압축력이 작용한다. 이러한 압축력은 견인 심재에 좌굴을 일으키게 되고 기체의 이동에 대해 지장이 생긴다. 따라서, 견인 심재를 「여유」분 만큼 전후 방향으로 이동을 허용함으로써 상기의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오니 소기 장치는,
단변을 전후의 단벽으로 하고, 장변을 좌우의 측벽으로 하면서, 저벽을 구비하고, 이 저벽의 오니 소기 방향인 전측의 단벽측에 오니 피트를 구비하고 있는 직사각형 침전지에 배치되고,
상기 저벽의 상측이며, 또한, 좌우 측벽 사이인 침전지 폭의 중앙을 따라서 전후 방향으로 진퇴하도록 배치되는 오니 소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저벽 상에서의 침전지 폭의 중앙을 따라서 배치된 가이드 레일과,
로드 혹은 로드형 부재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침전지 폭의 중앙을 따라서 축 중심이 설정되도록 상기 저벽의 상측에 배치되는 견인 심재와,
상기 견인 심재의 중심점에 장착된 피스톤과,
전후에 밀봉 접속부를 구비한 통상체(筒狀體)로서 형성되고, 그 내부에 상기 피스톤을 내장한 구동 실린더에 의해 구성되는 기체로서, 상기 견인 심재가 전후의 밀봉 접속부를 관통하여 전후에 연장되도록 설치되는 기체와,
상기 기체의 외부에 장착되고, 상기 가이드 레일에 따라 주행 가능한 주행 바퀴와,
상기 기체에 복수 장착되고, 서로 연동 가능한 오니 스크레이퍼와,
상기 기체의 전진 시에 상기 오니 스크레이퍼를 소기 자세로 전환하고, 후퇴 시에 비소기 자세가 되도록 전환하기 위한 자세 전환 수단과,
상기 견인 심재의 전후 단부에서 견인 심재를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받아 멈추게 하는 수지 부재와,
상기 견인 심재의 전단부 측의 상기 수지 부재보다 더욱 전측과, 상기 견인 심재의 후단부 측의 상기 수지 부재보다 더욱 후측에, 각각 설치되는 스토퍼를 구비하고,
유체 제어 수단에 의한 상기 구동 실린더 내로의 유체의 주입·배출에 의해 상기 기체를 상기 견인 심재에 따라 전진·후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하고,
소기 시에 전측 스토퍼가 전측의 수지 부재에 당접하고, 비소기 시에 후측 스토퍼가 후측의 수지 부재에 당접함으로써, 상기 견인 심재의 이동 범위를 규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 구성에 의한 오니 소기 장치의 작용·효과는 다음과 같다. 견인 심재에 따라 기체가 전진할 때에는, 오니 스크레이퍼는 소기 자세로 있고, 오니를 긁어모아 오니 피트의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견인 심재에 따라 기체가 후퇴할 때에는, 오니 스크레이퍼는 비소기 자세로 있다. 기체를 구성하는 구동 실린더 내로의 유체의 주입·배출에 의해 기체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견인 심재의 전후 단부에는 견인 심재를 받아 멈추게 하는 수지 부재가 설치되고, 견인 심재에 설치된 스토퍼에 의해 견인 심재의 전후 방향의 이동 범위를 규제한다. 소기 시와 비소기 시에서, 기체가 견인 심재에 따라 이동할 때, 견인 심재를 완전하게 고정해 두면 견인 심재에 압축력이 작용한다. 이러한 압축력은 견인 심재에 좌굴을 일으켜 기체의 이동에 대하여 지장이 생긴다. 따라서, 견인 심재를 「여유」분 만큼 전후 방향으로 이동을 허용함으로써 상기의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오니 소기 장치는,
단변을 전후의 단벽으로 하고, 장변을 좌우의 측벽으로 하면서, 저벽을 구비하고, 이 저벽의 오니 소기 방향인 전측의 단벽측에 오니 피트를 구비하고 있는 직사각형 침전지에 배치되고,
상기 저벽의 상측이며, 또한, 좌우 측벽 사이인 침전지 폭의 중앙을 따라서 전후 방향으로 진퇴하도록 배치되는 오니 소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저벽 상에서의 침전지 폭의 중앙을 따라서 배치된 가이드 레일과,
로드 혹은 로드형 부재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침전지 폭의 중앙을 따라서 축 중심이 설정되도록 상기 저벽의 상측에 배치되는 견인 심재와,
상기 견인 심재의 중심점에 장착된 피스톤과,
전후에 밀봉 접속부를 구비한 통상체(筒狀體)로서 형성되고, 그 내부에 상기 피스톤을 내장한 구동 실린더에 의해 구성되는 기체로서, 상기 견인 심재가 전후의 밀봉 접속부를 관통하여 전후에 연장되도록 설치되는 기체와,
상기 기체의 외부에 장착되고, 상기 가이드 레일에 따라 주행 가능한 주행 바퀴와,
상기 기체에 복수 장착되고, 서로 연동 가능한 오니 스크레이퍼와,
상기 기체의 전진 시에 상기 오니 스크레이퍼를 소기 자세로 전환하고, 후퇴 시에 비소기 자세가 되도록 전환하기 위한 자세 전환 수단을 구비하고,
유체 제어 수단에 의한 상기 구동 실린더 내로의 유체의 주입·배출에 의해 상기 기체를 상기 견인 심재에 따라 전진·후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하고, 유체의 주입·배출 유로는 상기 견인 심재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견인 심재의 단부와 상기 구동 실린더 내를 연통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니 소기 장치이다.
이 구성에 의한 오니 소기 장치의 작용·효과는 다음과 같다. 견인 심재에 따라 기체가 전진할 때에는, 오니 스크레이퍼는 소기 자세로 있고, 오니를 긁어모아 오니 피트의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견인 심재에 따라 기체가 후퇴할 때에는, 오니 스크레이퍼는 비소기 자세로 있다. 기체를 구성하는 구동 실린더 내로의 유체의 주입·배출에 의해 기체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구동 실린더 내로의 유체의 주입·배출은 견인 심재의 내부를 통해 행해진다. 견인 심재를 유로의 일부로서 구성할 수 있고, 유로 구성을 간소화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도 2의 오니 소기 장치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II-II선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III-III선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물 실린더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5는 물 실린더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처리부를 생략한 물 실린더의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은 처리부에 관한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Ⅷ-Ⅷ선 단면도이다.
도 9는 유체 급배 제어 수단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각 실시형태로 설명하는 구성은 다른 실시형태에 대해서도 적용할 수 있다.
도 1 ~ 도 4에서 1은 직사각형의 침전지로, 직사각형의 장변인 좌우의 측벽(2)과, 단변인 전후의 단벽(3)을 가지면서, 도 2에서 왼쪽 방향으로 극히 완만하게 내려가는 경사진 저벽(4)을 포함하고, 저벽(4)의 좌측 일단(소기 방향인 전측 일단)에는 오니 피트(5)를 구비하고 있다. 6은 오수의 유입부에 설치된 정류판이다. 침전지(1)의 도 1, 도 2의 좌측이 상류, 우측이 하류이며, 그 중간 부근의 수면(7) 상에는 스컴 제거 장치(8)가 침전지 폭을 횡단하도록 고정 설치되어 있고, 정기적으로 수면(7) 상의 스컴을 삼키도록 작동한다. 9는 하류 측에 배치되는 월류언(越流堰)이다. 저벽에는 기판(도시하지 않음)이 설치되어 있다.
12는 가이드 레일로, 도 3에 도시하듯이 기판 상에 앵글(혹은 구형강 등)에 의한 좌우 한 쌍의 레일 본체를 구비한 것으로, 도 1과 같이 침전지 폭의 중앙을 통과하도록, 도 2와 같이 저벽(4)으로부터 오니 피트(5) 상에 걸치도록 고정되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기판은 오니 피트(5) 위를 막지 않도록 상기 피트(5) 위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설치되어 있지 않다. 13은 지지 부재로, 오니 피트(5) 내로부터 돌설되어 가이드 레일(12)을 아래에서 지지하고 있다(도 2 참조).
15는 물(수압) 구동식의 구동 실린더로, 그 전후 방향의 중간에 위치하는 실린더 본체(실린더 튜브; 16)와, 그 전후에 위치하는 실린더형 처리부(17)에 의해 1 개의 실린더를 구성한다. 이들 실린더 본체(16) 및 처리부(17)는 오니 소기 장치의 기체(18)를 구성한다. 이들 실린더 본체(16) 및 처리부(17)는 모두 실린더형으로, 이들에 의해 간략한 구조의 기체(18)가 구성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그 일부인 처리부(17)가 오니의 침입 방지와 제거를 위해 기능하는 유효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구동 실린더(15)는 에어 실린더 혹은 유압 실린더로 대체하여도 좋다. 구동 실린더(15)를 구동하기 위한 유체는 물, 에어, 기름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실린더 본체(16) 및 전후에 위치하는 처리부(17)는 모두 같은 지름(180 mm 전후)의 원통체로 형성된다. 그 중 실린더 본체(16)는 도 2에 도시하는 스트로크(S)를 확보할 수 있을 정도로 긴 것(S+α)으로 되며, 그 전후단에는 패킹 부착 실린더 헤드인 제1 플랜지(밀봉 접속부; 19)가 고착되어 있다. 실린더 본체(16)는 짧은 것 2 개 혹은 3 개 등 복수 개를 용접 일체화하여 형성하여도 좋다. 그 경우, 짧은 치수의 접속 슬리브를 실린더 상호 간에 장착하여 용접 일체화하는 것도 가능하다. 20은 전측 도수구, 21은 후측 도수구이다.
처리부(17)는 제1 플랜지(19)에 대한 제2 플랜지(22)와 단플랜지(밀봉부; 23)를 구비하고, 이들 플랜지(22, 23)에는 외부의 오니나 오수 등이 역침입하지 않는 패킹(24)을 장비한다. 처리부(17)의 내부는 처리실(처리 공간; 17a)이 되고, 또한, 단플랜지(23)에는 배수구(관통 구멍; 25)가 열려 있다. 제1 및 제2 플랜지(19, 22)는 도시하지 않는 고정구에 의해 서로 접합되어 있다. 처리부(17)는 도 4에서는 2 m 전후의 긴 것으로 되어 있지만, 수십 cm 정도의 짧은 것으로 해도 좋다. 이 경우, 도 7에 도시하는 긴 프레임(200)을 별도로 장착하여 이를 기체(18)의 일부로 구성할 수 있다.
27은 구동 실린더(15)의 구성 요소인 피스톤으로, 도 4와 같이 실린더 본체(16)의 전단에 있을 때는, 도 1 및 도 2의 소기(전진) 자세에 들어갔을 때에 대응한다. 도 4의 파선으로 나타내는 상태, 즉, 처리부(17)의 후단에 피스톤(27)이 있을 때는, 소기 자세로부터 비소기(후퇴) 자세로 전환되었을 때에 대응한다. 또한, 실제로는 피스톤(27)이 이동하는 것이 아니라, 실린더 본체(16) 및 처리부(17)가 이동한다.
28은 구동 실린더의 구성 요소인 금속(SUS제) 로드인 견인 심재로, 상기 견인 심재(28)의 축심 방향의 중심점에 피스톤(27)이 고정된다. 견인 심재(28)는 구동 실린더(15)의 내부로부터 제1 플랜지(19), 제2 플랜지(22)의 패킹(24)을 통하여 처리부(17) 내의 처리실(17a)에 연장되어 있다. 또한, 견인 심재(28)는 처리실(17a)로부터 단플랜지(23)의 패킹(24)을 통해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 견인 심재(28)의 전단부와 후단부는 가이드 레일(12) 상에 돌설되어 배치된 고정 브래킷(수지 부재; 29)의 통공(29a)에 통과되어,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견인 심재(28)의 전후단에 스토퍼(30)을 장비함으로써 이 스토퍼(30)가 고정 브래킷(29)에 닿음으로써 전진·후퇴 시에 각각 견인력을 받도록 되어 있다. 전측 스토퍼(30)는 전측 고정 브래킷(29)보다 더욱 전측에 설치되고, 후측 스토퍼(30)는 후측 고정 브래킷(29)보다 더욱 후측에 설치된다.
통공(29a)은 견인 심재(28)에 상하의 이동을 허락하도록 상하로 긴 장공이나 나사산이 없는 구멍 등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하는 소기 시에는 견인 심재(28)의 좌측(전측)이 당겨져 전측 스토퍼(30)가 전측 고정 브래킷(29)에 닿는 한편, 견인 심재(28)의 우측(후측)은 스토퍼(30)를 고정 브래킷(29)에 닿게 하면 압축 작용이 일어나므로, 그것을 막기 위해 우측 방향으로 자유롭게 움직여 견인 심재(28)에 좌굴이 발생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그 때문에, 도 4의 우측에 e로 나타내듯이 고정 브래킷(29)과 스토퍼(30)의 사이에는 이동에 의한 틈(여유)이 마련되어 있다. 피스톤(27)이 도 4의 파선 상태, 즉, 비소기(후퇴)를 개시할 때에는, 후측 스토퍼(30)가 후측 고정 브래킷(29)에 닿아 견인 심재(28)의 좌측은 프리한 상태가 된다. 이에 따라, 견인 심재(28)에는 항상 단순한 인장력이 작용할 뿐이므로, 좌굴이 작용하지 않게 된다. 또한, 각 스토퍼(30)는 견인 심재(28)에 고정되어 있지만, 이동 조절 가능하게 해 두면 알맞은 틈(e)을 얻을 수 있게 된다. 고정 브래킷(29)과 스토퍼(30)의 상기 구성은 그것만으로 독립된 발명을 구성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고정 브래킷(29)과 스토퍼(30)의 구성은 도 6에 도시하듯이 처리부(17)를 구비하지 않는 구동 실린더(15)에 대해서도 적용할 수 있다.
기체(18)의 전후방향에서의 단부와 중간부에서, 기체(18)의 각 양측에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듯이 설치대(33)가 일체화되어 있다. 이들 설치대(33)를 통하여 전후 3쌍을 이루도록 주행 바퀴(34)가 장착되어 있어 가이드 레일(12) 상에서 전동하도록 되어있다. 또한, 가이드 레일(12)을 생략하여 주행 바퀴(34)를 직접 저벽(4) 상에서 전동시키도록 하여도 좋다. 설치대(33)의 다른 개소에는 베어링(35)이 좌우 한 쌍 고정되고, 이들 베어링(35)을 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삽통된 스크레이퍼 축(36)에는 오니 스크레이퍼(37)가 장착되어 있다.
이 오니 스크레이퍼(37)는 전후에 3매 설치되고, 그 전후의 간격은 L로 설정되며, 실선으로 나타내듯이 수직인 소기(전진) 자세와, 파선으로 나타내듯이 전측 상승의 비소기(후퇴) 자세는 자유로이 전환 가능하게 되어 있다. 상기 간격(L)은 피스톤(27)과 실린더 본체(16)에 의한 스트로크(S)보다는 짧게 설정되어 있다. 이들 3개의 오니 스크레이퍼(37)는 도 2에 나타내는 연동 레버(38)와 연동 링크(39)에 의해 연동하도록 되어 있다. 오니 스크레이퍼(37)와 연동 레버(38)는 스크레이퍼 축(36) 주위에 일체적으로 회전 가능하다.
40은 전 스토퍼(자세 전환 수단의 하나)로, 전단의 오니 스크레이퍼(37)가 전진하여 마지막 단계가 되었을 때에 연동 레버(38)와 닿아 오니 스크레이퍼(37)를 들어 올려 수평인 비소기 자세로 전환한다. 41은 후 스토퍼(자세 전환 수단의 하나)로, 후단의 오니 스크레이퍼(37)가 후퇴하여 마지막 단계가 되었을 때에 연동 레버(38)와 닿아 오니 스크레이퍼(37)를 수직인 소기 자세로 되돌리도록 작용한다. 상기 연동 레버(38) 혹은 연동 링크(39)에는, 소기 자세와 비소기 자세로의 변환 동작과 전환 후의 각 자세를 안정되게 유지하기 위한 밸런서 혹은 스프링을 자세 전환 수단의 하나로서 조합할 수 있다.
또한, 이 오니 소기 장치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하는 소기 자세에서는 오니 스크레이퍼(37)가 수직으로 되어 있고, 그 상태에서 전측 도수구(20)에 물이 주입되면, 실린더 본체(16) 및 처리부(17)가 앞쪽으로 움직이고, 스트로크(S)의 바로 앞까지 오면 전 스토퍼(40)에 의해 오니 스크레이퍼(37)가 들어 올려져 비소기 자세로 전환된다. 도 2의 실선의 소기 자세 상태 시의 스크레이퍼 축(36)의 위치가 A, B, C라고 하면, 파선의 비소기 자세 상태 시의 스크레이퍼 축(36)의 위치는 A1, B1, C1와 같이 된다. 따라서, 선단의 스크레이퍼 축(36; A1)은 오니 피트(5) 상에 오고, 오니 스크레이퍼(37)에 의해 오니를 오니 피트(5)에 긁어 떨어뜨린다. 한편, 2번째의 스크레이퍼 축(36; B1)과 3번째의 스크레이퍼 축(36; C1)은 각각 선단의 스크레이퍼 축(36; A) 및 2번째의 스크레이퍼 축(36; B)의 전방에 오고, 거기까지 오니를 긁어모으게 된다. 즉, 그 긁어모은 오니는 복귀하여 도 2와 같이 된 오니 스크레이퍼(37)에 의해 다음의 단계에서 전방으로 긁어모아지게 된다. 이것은 특개 2006-205147호 공보나 특개 2005-131627호 공보에서도 개시되어 있듯이 짧은 스트로크(S)라도 후방의 오니를 오니 피트(5)까지 확실히 긁어모을 수 있다는 점에서 유효한 방식으로 여겨진다. 또한, 길이(S)는 길이(L)보다 조금 길게 설정되어 있다.
소기 자세로 전진하고 있는 상태 및 방향은 도 2에 화살표 X로 나타내고, 오니 스크레이퍼(37)가 들어 올려져 비소기 자세로 후퇴하고 있는 상태 및 방향은 도 2에 화살표 Y로 나타낸다. 상기 오니 스크레이퍼(37)가 들어 올려진 뒤 후측 도수구(21)로부터 물이 주입되면, 실린더 본체(16) 및 처리부(17)는 오른쪽으로 향하여 작동하고, 그 후퇴단에서 연동 레버(38)가 후 스토퍼(41)에 당접함으로써 전방 회전되면, 오니 스크레이퍼(27)는 수직인 소기 자세로 전환된다.
실린더 본체(16)의 앞쪽 양측에는 지주 가대(44)가 입설되어 있다. 이 지주 가대(44) 위에 입설된 지주(45)는 수면(7)보다 위에 돌출되고, 그 상단에는 도 3에 도시하는 파이프제의 횡가재(46)가 장착되어 있다. 이 횡가재(46)에는 노즐(47)이 배치되어 스컴 이송을 위한 물 분사가 일정한 타이밍(횡가재(46)가 도 2의 우측 방향으로 이동할 때)으로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물론, 노즐(47)로부터의 물 분사는 왕복 모든 행정에서 이루어지도록 하여도 좋다.
횡가재(45)의 한쪽의 단부에는 도 3과 같은 전환 밸브(48)가 설치되고, 그 일측에는 롤러 부착 전환 레버(49)가 부설되어 있다. 이 전환 레버(49)는 제1 전환 위치와 제2 전환 위치의 2 개의 위치를 유지 할 수 있는 방식이다. 이 전환 레버(49)에 대한 당접편(50)은 측벽(2)의 면으로부터 돌설되어 있다. 도 1, 도 2에 도시하듯이 당접편(50)은 전후의 2개소에 설치되어 있다.
51은 유체 급배 제어 수단이다. 상기 제어 수단(51)에서 52는 필터, 53은 제어 장치 부착 물 펌프이며, 수 처리 시설 내를 흐르는 혹은 저장되는 오수 혹은 정수를 펌프 업하여 다음의 플렉서블 타입의 송수 튜브(54)에 보내면서, 배관 스테이(55) 내를 통해서 상기 전환 밸브(48)의 포트에 급수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스컴 제거 장치(8)는 독자의 전동 혹은 물 실린더 등의 구동 수단(57)에 체인(58) 등을 통하여 구동 암(59)에 의해 둑(堰; 60)을 내리눌러 수면(7) 상의 부유 스컴을 삼키도록 되어 있다. 그 때문에, 수동 암(61)에 의한 조작이 구동 수단(57) 측과는 독립되어 가능하도록 되어 있지만, 상기 지주(45) 측의 접근에 의해 둑(60)이 내려가 연동하도록 하여 둑(60)의 부력으로 복귀 가능하게 구성하여도 좋다.
도 1 내지 도 4의 상태는 비소기(후퇴) 상태에서 복귀해 소기(전진) 상태로 전환된 타이밍을 나타낸다. 전환 레버(49)는 도 2와 같이 후측의 당접편(50)에 닿아 전환 밸브(48)를 도 3의 스트레이트 회로로 전환한다. 그에 따라, 지주(45) 내를 통과한 지주 내(지주 외라도 좋다) 배관(63)을 통해 전측 도수구(20)에 화살표 a와 같이 주수 되고, 또 후측 도수구(21)로부터는 화살표 a와 같이 배수되어 공급원으로 되돌아온다. 이 주수에 의해, 기체(18)는 도 2의 화살표 X 방향으로 전진한다. 선행하는 연동 레버(38)가 전 스토퍼(40)에 닿으면, 오니 스크레이퍼(37)는 수평한 비소기 자세로 전환된다. 이와 동시에 수면 상에서는 전환 레버(49)가 전측의 당접편(50)에 닿아 전환된다. 이에 의해, 전환 밸브(48)는 도 3의 크로스 회로로 전환된다. 따라서, 도 4에서의 후측 도수구(21)에 화살표 b와 같이 주수가 이루어지고, 전측 도수구(20)로부터 화살표 b와 같이 내부의 물이 배출되어 되돌아온다. 이 되돌아오는 물은 도 4의 b와 같이 스컴 이송으로 사용된다. 오니 스크레이퍼(37)가 들어 올려진 채 실린더 본체(16) 및 처리부(17)는 후퇴하고, 가장 뒤의 연동 레버(38)가 후 스토퍼(41)에 당접하여 앞쪽 방향으로 전환됨으로써 소기 자세가 된다. 노즐(47)로부터의 물 분사는 도 4의 되돌아온 물을 이용하고 있지만, 물 펌프(53)로부터 전환 밸브(48)를 통해 직접 분사하도록 해도 좋다.
전후의 처리부(17)에는 견인 심재(28)의 휨을 방지하는 기능이 있지만, 패킹(24) 개소에서의 접동은 상기한 바와 같이 마모의 원인이 되어 바람직하지 않다. 그 원인은 외부 오니나 오수의 유입에 의한 것이지만, 그 유입을 방지하기 위해, 처리부(17) 내에 상기와는 별도의 배관에 의해 주수하여 내부 세정을 하여 해결하는 방법 외에, 도 4에 도시하듯이 전측 도수구(20) 및 후측 도수구(21)로 통하는 조리개(64) 부착 바이패스관(65)을 통해 주수하고, 배수구(25)로부터 배수함으로써 상시 내부 세정하도록 하여도 좋다. 조리개(64)를 마련함으로써 처리부(17) 내로의 유량을 억제하고, 구동 실린더(15)로의 유량을 확보할 수 있다.
배수구(25)로부터의 배수는 압수이므로, 견인 심재(28) 주위의 패킹(24) 앞에 상당하는 개소에 분사하면, 퇴적 오니가 처리실(17a) 내에 침입하는 것을 저지할 수 있다. 따라서, 배수구(25)는 도 5의 좌하란에 도시하듯이 단플랜지(23)의 중앙측에 개설할 수 있다. 또한, 처리부(17)의 선단 형상에 관해서는 견인 심재(28)에 직각인 평탄면이 아니라, 도 5의 좌하란에 파선으로 나타내듯이 반구형의 것으로 해 두면, 전방으로부터의 오니가 구면에 따른 형태로 배제되게 되어 처리실(17a) 내로의 침입을 저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 레일(12)은 저벽(4)과의 사이에 개재한 방진 고무 등의 완충재에 의해 지진 대책을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오니 스크레이퍼(37)는 수직과 수평으로 전환되지만, 종래에는 장치를 침전지 내에 설치하여 주행 테스트를 했을 때에 침전지 위에서 그 전환 상태를 확인할 수 없었다. 따라서, 그 확인을 위해 오니 스크레이퍼(37)가 전환되었을 때에 그것을 침전지 위에 알리기 위해, 예를 들면, 에어를 수중에 분사하거나 수상에서 소리를 발생시키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 실린더 본체(16)는 그 내주에 호닝 마무리가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현재 상태에서는 그 호닝 길이는 4 m 전후가 한도로 되어있다. 실린더 본체(16)로서는 도 4에 도시하듯이 4 m를 제법 넘어, 예를 들면, 9 m나 10 m의 긴 것을 필요로 하는 것이 통례이지만, 그러한 경우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호닝 완료된 짧은 것을 용접으로 잇대어 긴 실린더(16)에 마무리할 수 있다. 또한, 그 밖에 도 5에 도시하듯이 4 m 전후의 짧은 길이(La, Lb)의 실린더 본체(16a, 16b)를 복수개, 플랜지(65)로 접합하여 호닝 완료된 1개 실린더 본체(16)로 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 경우, 3개의 실린더 본체(16a, 16b, 16b)를 잇대고 있지만, 그 개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2개 혹은 4개 이상일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견인 심재(28)의 다른 실시형태로서는, 그 전체 혹은 일부를 카본 샤프트로 하여 실용화되어 있는 탄소 섬유(탄소 섬유 강화 탄소 복합 재료를 포함한다)나 그 외 나일론 섬유 등을 기재로 하여 성형된 로드형 부재로 할 수 있다. 이 경우, 표면에 코팅을 실시하여 미끄러짐 성능 등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견인 심재(28)는 중실형(中實狀)의 것이었지만, 유체 제어 수단의 일부로서 견인 심재(28)를 유체 통로를 가지는 파이프 형상의 물 혹은 에어의 배관용으로 구성할 수 있다. 견인 심재(28)을 파이프로 하는 경우, 도 4에서 전후단에 전환 밸브(48)로부터의 배관(튜브도 가능; 67)을 접속하고, 견인 심재(28)의 좌측 단부를 통해 피스톤(27)의 좌측 주입 영역에 물 혹은 에어를 도입 가능하게 한다. 한편, 견인 심재(28)의 우측 단부를 통해 피스톤(27)의 우측 주입 영역에 물 혹은 에어를 도입 가능하게 할 수 있어 구조의 간이화가 가능해진다. 이 경우, 전환 밸브(48)는 침전지의 위의 정위치에 설치해 두고, 그 전환 기구는 지주(45)의 전후진의 끝에 대향하는 검지 스위치와 그에 연동하는 밸브 전환 수단(솔레노이드 등)에 의해 간이하게 구성된다. 이와 같이 견인 심재(28)를 파이프 형상으로 함으로써, 급수 튜브(54)나 이동식 지주(45) 등의 가동한 수단에 의해 유체 제어 수단을 구성하고 있던 것이, 도 3과 같이 지주(45)를 이용하지 않고, 모두 정치식(定置式) 장치 및 배관으로 유체의 주입·배출이 가능하게 된다. 이 경우, 기체(18)의 전진단 및 후퇴단에 대향하도록 검지 스위치를 배치하여 전환 밸브(48)를 전환 연동시키도록 하면 유체의 주입·배출 제어가 가능해진다.
<처리부의 다른 실시형태>
도 7 및 도 8은 처리부(17)에 관한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낸다. 상기 실시형태는 구동 실린더(15)의 전단에 구비한 밀봉 접속부(19)의 더욱 전측에 마련한 처리부(17)를 선단으로 갈수록 가늘어진 포환각형(砲丸殼形)으로 형성했다. 이에 따라, 오니가 처리부(17)의 선단에 체류하지 않도록 배제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그 선단구는 분출구로서 기능하고, 견인 심재(28) 주위에 물 분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오니의 침입을 저지하고, 만일 침입하여도 배출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처리부(17)는 도 8의 하란에 도시하듯이 원추각형(円錐殼狀)으로 하여도 좋다. 어느 것으로 하여도 선단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도록 구성하면 된다.
또한, 이 처리부(17)는 그 형상 및 길이를 고려하면 기체(18)를 구성하지 않는다. 이 경우에는 구동 실린더(15) 측에서 전방으로 돌출하는 프레임(200)을 장착하여 기체(18)의 일부로 하고, 이 프레임(200)을 통해 주행 바퀴(34)나 도시하지 않는 오니 스크레이퍼(37) 등을 장착하는 것으로 한다. 이 프레임(200)의 선단은 반원형 혹은 산 모양으로 해둠으로써 전방으로부터의 오니를 나누어 처리부(17) 쪽으로 오니가 들어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프레임(200)은 판상의 부재에 의해 형성되고 도 8에서의 측면 보기에서는 견인 심재(28)를 덮고 있지만, 도 7에 도시하는 평면 보기에서는 견인 심재(28)가 노출한 상태가 된다.
<유로의 다른 실시형태>
도 9는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낸다. 침전지(202) 등 물 처리 시설 내를 흐르는 물, 혹은 저장된 수원(水源)으로부터의 물은 그대로는 구동 실린더(15)의 구동용으로서는 압력이 부족하다. 그 때문에, 수원의 물을 압력수로 할 필요가 있다. 도 9는 그것을 위한 방법을 나타낸다. 203은 구동 모터, 204는 물 펌프, 205는 제2 필터, 206은 수원(207) 내의 제1 필터로, 물 펌프 (204)가 구동되면 수원(207)으로부터의 저장수가 급수 배관(208)에 보내어지도록 되어 있다. 209는 어큐뮬레이터, 210은 제3 필터이며, 전환 밸브 (211)를 통해서 배관(212)에 통하고 있다. 전환 밸브(211)는 2 포지션 밸브 타입이며, 도시는 소기를 위해서 스트레이트 전환 포지션이 되어 있다. 213은 체크 밸브 부착 조리개 밸브로, 배관(214) 측에도 동일하게 설치되어 있다. 215는 리미트 스위치로, 기체(18)가 도의 좌단과 우단에 왔을 때에 각각 작동하도록 대향 배치되고, 이 스위치(215)에 의해 전환 밸브(211)가 포지션 전환 되도록 되어 있다. 전환 밸브(211)는 정지 포지션이 있는 3 포지션 밸브 타입으로 할 수도 있다.
상기 물 펌프(204)를 구동하는 데는, 솔러 발전 장치(216)에 의한 방법과, 풍력 발전 장치(217)에 의한 방법과, 수원 이용형 수차(218)에 의해 발전하는 방법이 있다. 이들 방법은 그 중의 하나라도 잘 조합하여도 좋다. 219는 배터리이다. 수차(218)에 의한 방법은 크랭크(220)를 통해 실린더(221)를 구동해 수원으로부터의 물을 압수로 변환하여 물 펌프(204)에 공급하는 방법으로 하여도 좋다. 이들 중 어느 하나, 혹은 병합하여 물 펌프(204)를 구동한다.
도 9에는, 소기 시에 배관(212)으로부터 이송된 물은 견인 심재(28)의 전단을 통해 견인 심재(28)의 내부 유로를 통과하고, 피스톤(27)과 밀봉 접속부(19)의 사이의 공간에 주입된다. 공간에 주입하기 위해 견인 심재(28)의 표면에는 도시하지 않는 구멍이 형성된다. 비소기 시에는 반대의 루트로 배관(212)으로부터 물이 배출된다. 견인 심재(28)의 후단에 접속되는 배관(214)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의 작용을 한다.
또한, 도 9 하란에 소기 자세 종료 시의 모습으로 도시하는 오니 소기 장치는 상기 실시형태와는 일부 다른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 장치는 저벽(4)에서의 침전지 폭의 중앙에 둥근 로드 형 혹은 둥근 파이프 형을 한 좌우 한 쌍으로 이루어지는 가이드 레일(12)을 평행이 되도록 고정 배치하고, 그 가이드 레일(12) 상에 기체(230) 측의 주행 바퀴(231)를 전동시킴으로써 전진·후퇴 운동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주행 바퀴(231)는 가이드 레일(12)에 대략 적합한 반원형 단면의 외주 홈을 가지는 것으로, 가이드 레일(12)에 대응한 좌우 한 쌍의 것을 전후 복수 쌍(도면의 예에서는 4 쌍) 기체(230)의 양측을 통해 배치한 것이다. 가이드 레일(12)은 외주가 둥글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오니가 상면에 고이지 않고 떨어지는 경향이 된다. 그 결과, 그 위를 전동하는 주행 바퀴(231)도 항상 오니 고임이 없는 상태로 주행 가능하게 되므로, 기체(230)는 후술하는 구동 실린더(234)를 포함해 안정 주행하고, 오니 스크레이퍼(238)까지도 좌우 흔들림이 적은 안정 자세를 유지하고, 찌꺼기를 줄여 확실하고 안정하게 오니를 긁어모을 수 있다.
이는 도 7 및 도 8에 도시하는 실시형태에서도 마찬가지로 말할 수 있다. 기체(230)는 전후에 밀봉 접속부(233)을 구비한 구동 실린더(234)를 침전지 폭의 중앙에서의 저벽(4)보다 조금 상측을 통과하도록 하여 구비하고, 이 예에서는 구동 실린더(234)가 앞부분의 기체 부분을 구성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동 실린더(234)를 기체(230)의 앞부분으로 구성한 경우, 기체(230)의 앞부분이 무거워지므로, 기체(230)가 안정 주행하고, 오니 스크레이퍼(238)도 찌꺼기가 적고, 확실한 긁어모음 운동을 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구동 실린더(234)는 기체(230)의 후측에 배치하여 기체의 뒷부분을 구성하는 것으로 하여도 좋다. 구동 실린더(234)를 기체(230)의 뒷부분으로 구성하면, 구동 실린더(234)의 전측의 밀봉 접속부(233)는 오니 침강량이 적은 곳을 진퇴하므로, 밀봉 접속부(233)로부터의 오니의 침입의 우려를 줄일 수 있다. 235는 전단 브래킷으로, 위에서 보면 전방으로 뻗은 좌우 한 쌍의 부재로 이루어지고, 이 전단 브래킷(235)을 통해 전단의 주행 바퀴(231)를 장비하고, 또한 베어링(236)을 통해 스크레이퍼 축(237) 및 오니 스크레이퍼(238)를 장착하고 있다. 239는 연동 레버, 240은 연동 링크이다. 제2 단째의 주행 바퀴(231)나 오니 스크레이퍼(238) 등은 구동 실린더(234)의 뒤쪽의 외주를 통해 장비되어 있다.
242는 구동 실린더(234)보다 작은 지름으로 긴 파이프로 한 접속 보디로, 기체(230)의 뒷부분을 구성하고, 그 전단은 구동 실린더(230)의 뒷부분인 밀봉 접속부(233)의 상부 위치에 플랜지를 통해 밀폐형이며 탈착 가능하게 접속된다. 접속 보디(242)의 후단은 밀폐되어 있다. 이 접속 보디(242)의 외주를 통해 제3 단째, 제4 단째가 되는 주행 바퀴(231)나 스크레이퍼 축(237), 오니 스크레이퍼(238) 및 연동 레버(239) 등을 장비한다. 전후의 연동 레버(239)는 연동 링크(240)에 의해 연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전방에 배치한 전 스토퍼(244)에 연동 레버(239)와 연동 링크(240)의 연결부가 닿음으로써, 도시한 소기 자세에서 앞쪽이 상승한 비소기 자세로 전환되고, 후방으로 복귀했을 때에는 도시하지 않는 후 스토퍼에 뒷부분의 연결부가 닿음으로써 소기 자세로 되돌아오게 되어 있다.
각 연동 레버(239)는 도시하지 않는 수압 실린더에 의해 동시 작동 가능하게 하여 오니 스크레이퍼(238)를 소기 자세와 비소기 자세로 전환 가능하게 할 수 있다. 그러나, 연동 레버(239)에 밸런서를 부착하여 전후로 전환하는 방식이 구조를 간략화할 수 있고, 또한, 트러블의 발생도 적어진다. 246은 로드형 견인 심재이고, 전후의 고정 수재(固定受材; 247)에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받아 멈추게 됨과 동시에, 전술한 바와 같이, 너트 등의 스토퍼(248)에 의해 좌굴이 발생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249는 피스톤으로, 견인 심재(246)에서의 구동 실린더(234) 내에 상당하는 위치에 내장되어 설치되어 있다. 이 견인 심재(246)는 전단에서 피스톤(249)의 바로 앞에 개통하는 유체 통로를 구비하여 상기 배관(212)에 연통하는 한편, 후단에서 피스톤(246)의 후측까지 개통하는 유체 통로를 구비하여 타방의 배관(214)에 연통하도록 되어 있다. 이 견인 심재(246)를 통한 연통 방식에 대신하여 도 9에 파선으로 나타내듯이 전측 도수구(250) 및 후측 도수구(251)에 배관(212, 214)을 각각 연통시키는 방식으로 하여도 좋다.
또한, 전환 밸브(211)의 복귀 포트로부터는 탱크 등의 용기에 실린더 수가 폐기 혹은 저장되도록 되어 있지만, 물 펌프(204)에 실린더 수를 되돌리고, 내순환시키는 방식으로 하여도 좋다. 이는 다른 실시형태에서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도 9의 유체 급배 제어 수단은 도 2에 도시하는 오니 소기 장치와 조합하여 구성할 수 있다.
1 침전지
2 측벽
3 단벽
4 저벽
5 오니 피트
12 가이드 레일
15 구동 실린더
16 실린더 본체
17 처리부
17a 처리실
18 기체
19 제1 플랜지
20 전측 도수구
21 후측 도수구
27 피스톤
28 견인 심재
29 고정 브래킷
30 스토퍼
37 오니 스크레이퍼
38 연동 레버
40 스토퍼
48 전환 밸브
49 전환 레버
50 당접편

Claims (9)

  1. 단변을 전후의 단벽으로 하고, 장변을 좌우의 측벽으로 하면서, 저벽을 구비하고, 이 저벽의 오니 소기 방향인 전측의 단벽측에 오니 피트를 구비하고 있는 직사각형 침전지에 배치되고,
    상기 저벽의 상측이며, 또한, 좌우 측벽 사이인 침전지 폭의 중앙을 따라서 전후 방향으로 진퇴하도록 배치되는 오니 소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저벽 상에서의 침전지 폭의 중앙을 따라서 배치된 가이드 레일과,
    로드 혹은 로드형 부재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침전지 폭의 중앙을 따라서 축 중심이 설정되도록 상기 저벽의 상측에 배치되는 견인 심재와,
    상기 견인 심재의 중심점에 장착된 피스톤과,
    전후에 밀봉 접속부를 구비한 통상체(筒狀體)로서 형성되고, 그 내부에 상기 피스톤을 내장한 구동 실린더에 의해 구성되는 기체로서, 상기 견인 심재가 전후의 밀봉 접속부를 관통하여 전후에 연장되도록 설치되는 기체와,
    상기 기체의 외부에 장착되고, 상기 가이드 레일에 따라 주행 가능한 주행 바퀴와,
    상기 기체에 복수 장착되고, 서로 연동 가능한 오니 스크레이퍼와,
    상기 기체의 전진 시에 상기 오니 스크레이퍼를 소기 자세로 전환하고, 후퇴 시에 비소기 자세가 되도록 전환하기 위한 자세 전환 수단과
    상기 구동 실린더의 적어도 상기 오니 소기 방향인 전측에, 상기 밀봉 접속부를 통하여 장착되는 처리부로서, 내부에 처리 공간을 가지며, 상기 견인 심재의 연장된 부분이 상기 처리 공간을 관통하도록 배치되는 처리부를 구비하고,
    유체 제어 수단에 의한 상기 구동 실린더 내로의 유체의 주입·배출에 의해 상기 기체를 상기 견인 심재에 따라 전진·후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하고,
    상기 기체의 이동시에, 상기 처리 공간 내로의 유체의 주입·배출을 행하도록 구성한 오니 소기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는 보조 실린더이며, 상기 밀봉 접속부가 설치되는 측과는 반대 측의 단부에 밀봉부가 설치되고, 상기 견인 심재가 밀봉부를 관통하도록 장착되고, 상기 밀봉부에는 보조 실린더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시키기 위한 관통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오니 소기 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견인 심재는 패킹을 통하여 밀봉 접속부나 밀봉부를 관통하도록 설치되는 오니 소기 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는 선단 측으로 갈수록 소경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오니 소기 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구동 실린더 내로의 유체의 주입·배출을 행하는 유로를 도중에 분기시켜 상기 처리 공간으로의 유체의 주입·배출을 행하는 분기 유로를 구성하고 있는 오니 소기 장치.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분기 유로에는 유로 조리개가 설치되어 있는 오니 소기 장치.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견인 심재의 전후 단부에서 견인 심재를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받아 멈추게 하는 수지 부재와,
    상기 견인 심재의 전단부 측의 상기 수지 부재보다 더욱 전측과, 상기 견인 심재의 후단부 측의 상기 수지 부재보다 더욱 후측에, 각각 설치되는 스토퍼를 구비하고,
    소기 시에 전측 스토퍼가 전측의 수지 부재에 당접하고, 비소기 시에 후측 스토퍼가 후측의 수지 부재에 당접함으로써, 상기 견인 심재의 이동 범위를 규제하고 있는 오니 소기 장치.
  8. 단변을 전후의 단벽으로 하고, 장변을 좌우의 측벽으로 하면서, 저벽을 구비하고, 이 저벽의 오니 소기 방향인 전측의 단벽측에 오니 피트를 구비하고 있는 직사각형 침전지에 배치되고,
    상기 저벽의 상측이며, 또한, 좌우 측벽 사이인 침전지 폭의 중앙을 따라서 전후 방향으로 진퇴하도록 배치되는 오니 소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저벽 상에서의 침전지 폭의 중앙을 따라서 배치된 가이드 레일과,
    로드 혹은 로드형 부재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침전지 폭의 중앙을 따라서 축 중심이 설정되도록 상기 저벽의 상측에 배치되는 견인 심재와,
    상기 견인 심재의 중심점에 장착된 피스톤과,
    전후에 밀봉 접속부를 구비한 통상체(筒狀體)로서 형성되고, 그 내부에 상기 피스톤을 내장한 구동 실린더에 의해 구성되는 기체로서, 상기 견인 심재가 전후의 밀봉 접속부를 관통하여 전후에 연장되도록 설치되는 기체와,
    상기 기체의 외부에 장착되고, 상기 가이드 레일에 따라 주행 가능한 주행 바퀴와,
    상기 기체에 복수 장착되고, 서로 연동 가능한 오니 스크레이퍼와,
    상기 기체의 전진 시에 상기 오니 스크레이퍼를 소기 자세로 전환하고, 후퇴 시에 비소기 자세가 되도록 전환하기 위한 자세 전환 수단과,
    상기 견인 심재의 전후 단부에서 견인 심재를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받아 멈추게 하는 수지 부재와,
    상기 견인 심재의 전단부 측의 상기 수지 부재보다 더욱 전측과, 상기 견인 심재의 후단부 측의 상기 수지 부재보다 더욱 후측에, 각각 설치되는 스토퍼를 구비하고,
    유체 제어 수단에 의한 상기 구동 실린더 내로의 유체의 주입·배출에 의해 상기 기체를 상기 견인 심재에 따라 전진·후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하고,
    소기 시에 전측 스토퍼가 전측의 수지 부재에 당접하고, 비소기 시에 후측 스토퍼가 후측의 수지 부재에 당접함으로써, 상기 견인 심재의 이동 범위를 규제하고 있는 오니 소기 장치.
  9. 단변을 전후의 단벽으로 하고, 장변을 좌우의 측벽으로 하면서, 저벽을 구비하고, 이 저벽의 오니 소기 방향인 전측의 단벽측에 오니 피트를 구비하고 있는 직사각형 침전지에 배치되고,
    상기 저벽의 상측이며, 또한, 좌우 측벽 사이인 침전지 폭의 중앙을 따라서 전후 방향으로 진퇴하도록 배치되는 오니 소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저벽 상에서의 침전지 폭의 중앙을 따라서 배치된 가이드 레일과,
    로드 혹은 로드형 부재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침전지 폭의 중앙을 따라서 축 중심이 설정되도록 상기 저벽의 상측에 배치되는 견인 심재와,
    상기 견인 심재의 중심점에 장착된 피스톤과,
    전후에 밀봉 접속부를 구비한 통상체(筒狀體)로서 형성되고, 그 내부에 상기 피스톤을 내장한 구동 실린더에 의해 구성되는 기체로서, 상기 견인 심재가 전후의 밀봉 접속부를 관통하여 전후에 연장되도록 설치되는 기체와,
    상기 기체의 외부에 장착되고, 상기 가이드 레일에 따라 주행 가능한 주행 바퀴와,
    상기 기체에 복수 장착되고, 서로 연동 가능한 오니 스크레이퍼와,
    상기 기체의 전진 시에 상기 오니 스크레이퍼를 소기 자세로 전환하고, 후퇴 시에 비소기 자세가 되도록 전환하기 위한 자세 전환 수단을 구비하고,
    유체 제어 수단에 의한 상기 구동 실린더 내로의 유체의 주입·배출에 의해 상기 기체를 상기 견인 심재에 따라 전진·후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하고, 유체의 주입·배출 유로는 상기 견인 심재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견인 심재의 단부와 상기 구동 실린더 내를 연통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니 소기 장치.
KR1020120097539A 2011-09-08 2012-09-04 오니 소기 장치 KR10149834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1-213396 2011-09-08
JP2011213396A JP2012110886A (ja) 2011-09-08 2011-09-08 汚泥掻寄装置
JP2012175102A JP5475071B2 (ja) 2011-09-08 2012-08-07 汚泥掻寄装置
JPJP-P-2012-175102 2012-08-0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8001A KR20130028001A (ko) 2013-03-18
KR101498341B1 true KR101498341B1 (ko) 2015-03-03

Family

ID=479186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7539A KR101498341B1 (ko) 2011-09-08 2012-09-04 오니 소기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498341B1 (ko)
CN (1) CN10298920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28597B (en) * 2013-05-09 2016-06-29 A&J Water Treat Ltd Settlement tank
CN105522108B (zh) * 2016-03-08 2018-02-16 湖州南丰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蜡模组树粘结机
KR102052913B1 (ko) * 2017-12-14 2019-12-11 주식회사 링콘테크놀로지 슬러지 수집기
CN108557914A (zh) * 2018-03-27 2018-09-21 苏州林信源自动化科技有限公司 一种污水处理池的污泥清除装置
CN112423856B (zh) * 2018-05-08 2022-07-19 布伦特伍德工业公司 头轴组件和相关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31627A (ja) * 2003-10-11 2005-05-26 Fujika:Kk 汚泥掻寄装置
JP2006205147A (ja) * 2004-12-27 2006-08-10 Fujika:Kk 掻寄排除装置
KR100755258B1 (ko) * 2006-12-13 2007-09-05 덕 용 김 자동 왕복식 슬러지 수집기
KR20070106845A (ko) * 2006-05-01 2007-11-06 삼성환경주식회사 슬러지 배출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0278B2 (ja) * 1980-09-18 1984-03-07 株式会社クボタ 汚泥掻寄機
JP3909538B2 (ja) * 1998-09-02 2007-04-25 株式会社日立プラントテクノロジー 汚泥掻寄機
JP4397606B2 (ja) * 2003-03-11 2010-01-13 株式会社日立プラントテクノロジー 汚泥掻寄機
CN101637673B (zh) * 2009-07-08 2012-02-01 中山市环保实业发展有限公司 一种刮泥机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31627A (ja) * 2003-10-11 2005-05-26 Fujika:Kk 汚泥掻寄装置
JP2006205147A (ja) * 2004-12-27 2006-08-10 Fujika:Kk 掻寄排除装置
KR20070106845A (ko) * 2006-05-01 2007-11-06 삼성환경주식회사 슬러지 배출장치
KR100755258B1 (ko) * 2006-12-13 2007-09-05 덕 용 김 자동 왕복식 슬러지 수집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989205B (zh) 2015-03-11
KR20130028001A (ko) 2013-03-18
CN102989205A (zh) 2013-03-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52250B2 (en) Sludge scraping apparatus
KR101498341B1 (ko) 오니 소기 장치
CN201535709U (zh) 轨道客车整车淋雨试验装置
CN203291577U (zh) 一种海水淡化污泥处理用压滤机
CN111117690A (zh) 一种用于危废油处理的过滤装置
DE102006039715A1 (de) Reinigungsvorrichtung mit einer Flutkammer
CA2807980C (en) Sludge scraping apparatus
CN110613962B (zh) 污水处理厂斜管沉淀池
CN202290662U (zh) 油缸清洗机
CN208442009U (zh) 一种高压清洗机
CN103316523B (zh) 一种无停修方形滤布滤池设备
CN111807569B (zh) 一种废水处理过程中前氧化及混凝沉淀装置
CN203400556U (zh) 一种污水处理过滤设备
CN101992840B (zh) 用在河道保洁船上的喷水装置
CN102139271B (zh) 清洗装置
KR102123049B1 (ko) 실린더형 수압 구동방식이 적용되는 침전지의 슬러지 수집기
CN102650121A (zh) 一种高压清洗车的污水回收装置
CN102989215A (zh) 立式自动压滤机的分块滤布运行系统
CN219425192U (zh) 垃圾桶自动清洗设备
CN107989010B (zh) 一种乏燃料贮存水池移动式撇沫装置
KR20100029003A (ko) 원수 혼입방지 슬러지 배출시스템
CN206262911U (zh) 一种蓄电池清洗机
CN114890646B (zh) 一种便于固液分离的水利工程用清淤装置
CN220513620U (zh) 一种污水预处理设备
RU2493922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ромывки внутренней поверхности труб в технологическом поток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