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2008B1 - 커넥터 핀 삽입 장치 - Google Patents

커넥터 핀 삽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2008B1
KR102052008B1 KR1020180105060A KR20180105060A KR102052008B1 KR 102052008 B1 KR102052008 B1 KR 102052008B1 KR 1020180105060 A KR1020180105060 A KR 1020180105060A KR 20180105060 A KR20180105060 A KR 20180105060A KR 102052008 B1 KR102052008 B1 KR 1020520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n
cam
link
separation
clamp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50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근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텍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텍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텍스
Priority to KR10201801050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200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20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20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16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manufacturing contact members, e.g. by punching and by ben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nufacturing Of Electrical Conne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커넥터 핀 삽입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커넥터 핀 삽입 장치의 일 양태는, 핀을 하우징에 삽입하는 커넥터 핀 삽입 장치에 있어서: 다수개의 핀이 캐리어에 의하여 연결된 핀 결합체를 이송하는 핀 이송 유닛; 상기 핀 이송 유닛에 의하여 이송된 상기 핀 결합체에서 상기 핀을 분리하는 핀 분리 유닛; 및 상기 핀 분리 유닛에 의하여 분리된 상기 핀을 하우징 이송 유닛에 의하여 이송되는 하우징에 삽입하는 핀 삽입 유닛; 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커넥터 핀 삽입 장치{APPARATUS FOR INSERTING PIN TO CONNECTOR}
본 발명은 커넥터 핀 삽입 장치에 관한 것이다.
커넥터란, 기기 또는/및 부품 또는/및 전원의 연결을 위한 전장 부품으로, 일반적으로 절연 재질의 하우징 및 하우징에 삽입되는 1개 이상의 핀을 포함한다. 따라서 커넥터의 제조를 위해서는 하우징에 핀을 삽입하는 공정이 필요하고, 이를 자동화하기 위한 다양한 장치가 출시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커넥터 핀 삽입 장치는, 캐리어에 의하여 연결된 다수개의 핀을 캐리어로부터 분리한 후 하우징에 각각 삽입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60252호(명칭: 커넥터 밴도리어 핀 삽입 장치)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208585호(명칭: 커넥터 핀 삽입 장치)
본 발명은 보다 용이하고 정확하게 핀을 캐리어로부터 분리하여 하우징에 삽입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커넥터 핀 삽입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커넥터 핀 삽입 장치의 일 양태는, 핀을 하우징에 삽입하는 커넥터 핀 삽입 장치에 있어서: 다수개의 핀이 캐리어에 의하여 연결된 핀 결합체를 이송하는 핀 이송 유닛; 상기 핀 이송 유닛에 의하여 이송된 상기 핀 결합체에서 상기 핀을 분리하는 핀 분리 유닛; 및 상기 핀 분리 유닛에 의하여 분리된 상기 핀을 하우징 이송 유닛에 의하여 이송되는 하우징에 삽입하는 핀 삽입 유닛; 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양태에서, 상기 핀 분리 유닛은, 제1구동축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핀 분리 승강캠 및 핀 분리 하강캠; 상기 핀 분리 승강캠 및 핀 분리 하강캠의 캠면에 맞물려서 상기 핀 분리 승강캠 및 핀 분리 하강캠의 회전에 연동하여 제1회동축을 중심으로 기설정된 궤적으로 운동하는 핀 분리 링크; 및 상기 핀 분리 링크에 연결되어 승강 또는 하강하면서 상기 핀 이송 유닛에 의하여 이송되는 상기 핀 결합체에서 상기 캐리어를 절단하여 상기 핀을 분리하는 핀 분리 블럭; 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양태에서, 상기 핀 분리 승강캠의 캠면의 일부에는, 상기 핀 분리 블럭의 승강을 위하여 상기 핀 분리 링크를 회전시키는 승강 구간이 정의되고, 상기 핀 분리 하강캠의 캠면의 일부에는, 상기 핀 분리 블럭의 하강을 위하여 상기 핀 분리 링크를 회전시키는 하강 구간이 정의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양태에서, 상기 핀 분리 링크는, 상기 핀 분리 승강캠의 캠면에 맞물리는 승강 링크부; 상기 핀 분리 하강캠의 캠면에 맞물리는 하강 링크부; 및 상기 핀 분리 블럭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핀 연결되는 연결 링크부; 를 포함하고, 상기 승강 링크부 및 하강 링크부는, 상기 핀 분리 승강캠의 승강 구간 및 상기 핀 분리 하강캠의 하강 구간에 교호되게 맞물린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양태에서, 상기 핀 삽입 유닛은, 상기 핀 분리 유닛에 의하여 분리된 상기 핀을 클램핑하는 핀 클램핑 모듈; 및 상기 핀 클램핑 모듈을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켜서 상기 핀을 상기 하우징에 삽입하는 핀 인서트 모듈; 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양태에서, 상기 핀 클램핑 모듈은, 제2구동축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상부 클램핑 캠 및 하부 클램핑 캠; 상기 상부 클램핑 캠의 캠면에 맞물려서 상기 상부 클램핑 캠의 회전에 연동하여 기설정된 궤적으로 승강 또는 하강하는 상부 클램핑 링크 및 상기 하부 클램핑 캠의 캠면에 맞물려서 상기 하부 클램핑 캠의 회전에 연동하여 기설정된 궤적으로 승강 또는 하강하는 하부 클램핑 링크; 상기 상부 클램핑 블럭에 연결되어 승강 또는 하강하고 상기 상부 클램핑 링크에 대하여 전진 또는 후진 가능하게 연결되는 상부 클램핑 블럭 및 상기 하부 클램핑 블럭에 연결되어 승강 또는 하강하고 상기 하부 클램핑 링크에 대하여 전진 또는 후진 가능하게 연결되는 하부 클램핑 블럭; 및 상기 핀의 클램핑을 위하여 상기 상부 클램핑 블럭에 연결되어 승강 또는 하강하는 상부 클램프 및 상기 하부 클램핑 블럭에 연결되어 승강 또는 하강하는 하부 클램프;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양태에서, 상기 상부 클램핑 캠 및 하부 클램핑 캠의 회전에 연동하여 상기 하부 클램핑 링크가 정지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 클램핑 링크가 승강하면, 상기 상부 클램프가 상기 핀의 하면이 접촉된 상기 하부 클램프와 인접되도록 상기 상부 클램핑 블럭에 대하여 회동하여 상기 핀이 클램핑된 후 상기 상부 클램핑 캠 및 하부 클램핑 캠의 회전에 연동하여 상기 상부 클램핑 블럭 및 하부 클램핑 블럭과 상기 상부 클램핑 링크 및 하부 클램핑 링크가 승강하고, 상기 상부 클램핑 캠 및 하부 클램핑 캠의 회전에 연동하여 상기 하부 클램핑 링크가 정지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 클램핑 링크가 하강하면, 상기 상부 클램프가 상기 하부 클램프와 이격되도록 상기 상부 클램핑 블럭에 대하여 회동하여 상기 핀이 언클램핑된 후 상기 상부 클램핑 캠 및 하부 클램핑 캠의 회전에 연동하여 상기 상부 클램핑 블럭 및 하부 클램핑 블럭과 상기 상부 클램핑 링크 및 하부 클램핑 링크가 하강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양태에서, 상기 상부 클램프는, 연동핀에 의하여 상기 하부 클램핑 블럭에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 클램핑 블럭에 연결된 제2회동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양태에서, 상기 핀 인서트 모듈은, 제1구동축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핀 인서트 전진 캠 및 핀 인서트 후진 캠; 및 상기 핀 인서트 전진 캠 및 핀 인서트 후진 캠의 회전에 연동하여 제3회동축을 중심으로 기설정된 궤적으로 운동하여 상기 핀이 상기 하우징에 삽입되도록 상기 핀이 클램핑된 상기 상부 클램핑 블럭 및 하부 클램핑 블럭을 전진 또는 후진시키는 핀 인서트 링크;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양태에서, 상기 핀 인서트 링크는, 상기 핀 인서트 전진 캠의 캠면에 맞물리는 전진 링크부; 상기 핀 인서트 후진 캠의 캠면에 맞물리는 후진 링크부; 및 상기 하부 클램핑 블럭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핀 연결되는 연결 링크부;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커넥터 핀 삽입 장치에서는, 핀 분리 유닛에 의하여 분리된 핀이 핀 삽입 유닛에 의하여 클램핑되어 하우징에 삽입된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핀의 분리, 클램핑 및 삽입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짐으로써, 보다 효율적으로 핀을 하우징에 삽입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핀의 분리, 클램핑 및 삽입을 위한 구동력을 전달을 위하여 다절 링크를 사용하지 않음으로써, 링크의 동작 신뢰성의 확보 및 소음의 저감을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커넥터 핀 삽입 장치를 보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핀 분리 유닛을 보인 단면도.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핀 삽입 유닛을 보인 단면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커넥터 핀 삽입 장치에 의한 핀 분리 과정을 보인 동작 상태도.
도 8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커넥터 핀 삽입 장치에 의한 핀 삽입 과정을 보인 동작 상태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핀 삽입 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커넥터 핀 삽입 장치를 보인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핀 분리 유닛을 보인 단면도이며,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핀 삽입 유닛을 보인 단면도이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커넥터 핀 삽입 장치(1)는, 핀 이송 유닛(미도시), 핀 분리 유닛(100) 및 핀 삽입 유닛(200)을 포함한다. 상기 핀 이송 유닛은, 다수개의 핀(P)이 캐리어(C)에 의하여 연결된 핀 결합체(PA)를 이송하고, 상기 핀 분리 유닛(100)은, 상기 핀 이송 유닛에 의하여 이송되는 상기 핀 결합체(PA)에서 상기 핀(P)을 분리한다. 그리고 상기 핀 삽입 유닛(200)은, 상기 핀 분리 유닛(100)에 의하여 분리된 상기 핀(P)을 하우징(H)에 삽입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핀 이송 유닛은, 예를 들면, 공급릴에 권취된 핀 결합체(PA)를 상기 핀 분리 유닛(100)을 향하여 연속적으로 공급하고, 상기 핀 분리 유닛(100)에 의하여 분리된 상기 핀(P)을 상기 핀 삽입 유닛(200)을 향하여 연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그리고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하우징 이송 유닛은, 상기 핀 삽입 유닛(200)에 의하여 상기 핀(P)의 삽입이 가능한 위치로 상기 하우징(H)을 이송한다. 이때, 상기 핀 이송 유닛에 의하여 이송되는 상기 핀(P)에 비하여 상기 하우징 이송 유닛에 의하여 이송되는 상기 하우징(H)이 상대적으로 상방에 위치된다. 이는, 상기 핀(P)을 상기 하우징(H)에 삽입하는 과정에서, 상기 핀 이송 유닛 및 핀 삽입 유닛(200) 사이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와 같은 상기 핀 이송 유닛 및 하우징 이송 유닛은, 종래 기술, 특히, 본원 발명의 출원인에 의하여 출원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60252호(명칭: 커넥터 밴도리어 핀 삽입 장치) 및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208585호(명칭: 커넥터 핀 삽입 장치)와 대동소이하므로, 이에 대한 도시 및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핀 분리 유닛(100)은, 핀 분리 승강캠(111) 및 핀 분리 하강캠(112), 핀 분리 링크(120) 및 핀 분리 블럭(130)을 포함한다. 상기 핀 분리 승강캠(111) 및 핀 분리 하강캠(112)은, 제1구동축(A1)에 결합되어 회전한다. 실질적으로, 상기 핀 분리 승강캠(111) 및 핀 분리 하강캠(112)은, 1개의 구동원의 구동력에 의하여 회전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핀 분리 링크(120)는, 상기 핀 분리 승강캠(111) 및 핀 분리 하강캠(112)의 캠면에 맞물려서 상기 핀 분리 승강캠(111) 및 핀 분리 하강캠(112)의 회전에 연동하여 제1회동축(120A)을 중심으로 기설정된 궤적으로 운동한다. 또한, 상기 핀 분리 블럭(130)은, 상기 핀 분리 링크(120)에 연결되어 승강 또는 하강하면서 상기 핀 이송 유닛을 따라서 이송하는 상기 핀 결합체(PA)에서 상기 캐리어(C)를 절단하여 상기 핀(P)을 분리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핀 분리 승강캠(111)의 캠면의 일부는, 상기 핀 분리 블럭(130)의 승강을 위하여 상기 핀 분리 링크(120)를 회전시키는 승강 구간을 정의한다. 그리고 상기 핀 분리 하강캠(112)의 캠면의 일부가, 상기 핀 분리 블럭(130)의 하강을 위하여 상기 핀 분리 링크(120)를 회전시키는 하강 구간을 정의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핀 분리 링크(120)가, 승강 링크부(121), 하강 링크부(122) 및 연결 링크부(123)를 포함한다. 상기 승강 링크부(121)는, 상기 핀 분리 승강캠(111)의 캠면에 맞물리고, 상기 하강 링크부(122)는, 상기 핀 분리 하강캠(112)의 캠면에 맞물린다. 상기 승강 링크부(121) 및 하강 링크부(122)의 선단에는, 상기 핀 분리 승강캠(111) 및 핀 분리 하강캠(112)의 캠면을 따라서 구름 운동하는 롤러(120R)가 각각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 링크부(123)는, 상기 핀 분리 블럭(130)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핀 연결된다. 예를 들면, 상기 핀 분리 링크(120)는, 상기 승강 링크부(121), 하강 링크부(122) 및 연결 링크부(123)가 각각 기설정된 각도로 분지되어 전체적으로 'Y'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승강 링크부(121) 및 하강 링크부(122)는, 상기 핀 분리 승강캠(111)의 승강 구간 및 상기 핀 분리 하강캠(112)의 하강 구간에 교호되게 맞물린다. 즉, 상기 승강 링크부(121)가 상기 핀 분리 승강캠(111)의 승강 구간에 맞물리면, 상기 하강 링크부(122)는, 상기 핀 분리 하강캠(112)의 하강 구간을 제외한 나머지 구간에 맞물린다. 또한, 상기 하강 링크부(122)가 상기 핀 분리 하강캠(112)의 하강 구간에 맞물리면, 상기 승강 링크부(121)는, 상기 핀 분리 승강캠(111)의 승강 구간을 제외한 나머지 구간에 맞물린다. 따라서, 상기 승강 링크부(121)가 상기 핀 분리 승강캠(111)의 승강 구간에 맞물린 경우에는, 상기 핀 분리 승강캠(111)의 회전에 연동하여 상기 핀 분리 링크(120)가 상기 제1회동축(120A)을 중심으로 기설정된 궤적으로 회동하면서 상기 핀 분리 블럭(130)이 승강한다. 반면에 상기 하강 링크부(122)가 상기 핀 분리 하강캠(112)의 하강 구간에 맞물린 경우에는, 상기 핀 분리 하강캠(112)의 회전에 연동하여 상기 핀 분리 링크(120)가 상기 제1회동축(120A)을 중심으로 기설정된 궤적으로 회동하면서 상기 핀 분리 블럭(130)이 하강한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핀 분리 링크(120), 실질적으로 상기 승강 링크부(121) 및 하강 링크부(122)가 각각 상기 핀 분리 승강캠(111) 및 핀 분리 하강캠(112)의 캠면에 각각 맞물린 상태이므로, 상기 핀 분리 링크(120)가 상기 핀 분리 승강캠(111) 및 핀 분리 하강캠(112)의 캠면에 맞물리도록 하기 위한 별도의 부재, 예를 들면,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 부재가 불필요하게 된다.
한편, 상기 핀 분리 블럭(130)에는, 핀 고정부(131) 및 캐리어 절단부(132)가 구비된다. 상기 핀 고정부(131)는, 상기 핀 분리 블럭(130)이 하강하면, 상기 핀 이송 유닛에 의하여 이송되는 상기 핀 결합체(PA)를 고정시킨다. 그리고 상기 캐리어 절단부(132)는, 상기 핀 분리 블럭(130)이 하강하면, 상기 핀 고정부(131)에 의하여 고정된 상기 핀 결합체(PA)에서 상기 캐리어(C)를 절단하여 상기 핀(P)을 분리한다. 예를 들면, 상기 핀 고정부(131)에 비하여 상기 캐리어 절단부(132)가 상대적으로 더 하강됨으로써, 상기 핀 고정부(131)에 의한 상기 핀 결합체(PA)의 고정 및 상기 캐리어 절단부(132)에 의한 상기 캐리어(C)의 절단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핀 삽입 유닛(200)이, 핀 클램핑 모듈(201) 및 핀 인서트 모듈(202)을 포함한다. 상기 핀 클램핑 모듈(201)은, 상기 핀 분리 유닛(100)에 의하여 분리된 상기 핀(P)을 클램핑한다. 그리고 상기 핀 인서트 모듈(202)은, 상기 핀 클램핑 모듈(201), 실질적으로 후술할 상부 클램핑 블럭(231) 및 하부 클램핑 블럭(232)을 전진 또는 후진시켜서 상기 핀(P)을 상기 하우징(H)에 삽입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핀 클램핑 모듈(201)은, 상부 클램핑 캠(211) 및 하부 클램핑 캠(212), 상부 클램핑 링크(221) 및 하부 클램핑 링크(222), 상부 클램핑 블럭(231) 및 하부 클램핑 블럭(232), 및 상부 클램프(241) 및 하부 클램프(242)를 포함한다. 상기 상부 클램핑 캠(211) 및 하부 클램핑 캠(212)은, 제2구동축(A2)에 결합되어 회전한다. 즉, 상기 상부 클램핑 캠(211) 및 하부 클램핑 캠(212)은, 1개의 구동원(미도시)의 구동력에 의하여 회전한다. 그리고 상기 상부 클램핑 링크(221) 및 하부 클램핑 링크(222)는, 상기 상부 클램핑 캠(211) 또는 상기 하부 클램핑 캠(212)의 캠면에 맞물려서 상기 상부 클램핑 캠(211)의 회전에 연동하여 기설정된 궤적으로 승강 또는 하강한다. 또한, 상기 상부 클램핑 블럭(231) 및 하부 클램핑 블럭(232)은, 상기 상부 클램핑 링크(221) 또는 하부 클램핑 링크(222)에 연결되어 승강 또는 하강하고, 상기 상부 클램핑 링크(221) 또는 하부 클램핑 링크(222)에 대하여 전진 또는 후진 가능하게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 클램핑 링크(221) 및 하부 클램핑 링크(222)에는, 상기 상부 클램핑 캠(211) 및 하부 클램핑 캠(212)의 캠면을 따라서 구름 운동하는 롤러(221R)(222R)가 각각 구비될 수 있다. 특히,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 클램핑 캠(211) 및 하부 클램핑 캠(212)의 캠면이 돌출되는 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상부 클램핑 링크(221) 및 하부 클램핑 링크(222)에 구비되는 상기 롤러(221R)(222R)가, 상기 상부 클램핑 캠(211) 및 하부 클램핑 캠(212)의 캠면 양측에 각각 맞물리는 한쌍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 클램프(241) 및 하부 클램프(242)는, 상기 핀(P)의 클램핑을 위하여 상기 상부 클램핑 링크(221) 또는 하부 클램핑 링크(222)에 연결되어 승강 또는 하강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상부 클램핑 캠(211) 및 하부 클램핑 캠(212)의 회전에 연동하여 상기 하부 클램핑 링크(222)가 정지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 클램핑 링크(221)가 승강하면, 상기 상부 클램프(241)가 상기 핀(P)의 하면이 접촉된 상기 하부 클램프(242)와 인접되도록 상기 상부 클램핑 블럭(231)에 대하여 회동한다. 따라서 상기 상부 클램프(241) 및 하부 클램프(242)에 의하여 상기 핀(P)이 클램핑된다. 그리고 상기 핀(P)이 상기 핀 이송 유닛의 상방에 위치되도록 상기 상부 클램핑 캠(211) 및 하부 클램핑 캠(212)의 회전에 연동하여 상기 상부 클램핑 링크(221) 및 하부 클램핑 링크(222)가 승강한다. 반면에 상기 핀(P)이 상기 하우징(H)에 삽입된 후에는, 상기 상부 클램핑 캠(211) 및 하부 클램핑 캠(212)의 회전에 연동하여 상기 하부 클램핑 링크(222)가 정지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 클램핑 링크(221)가 하강하면, 상기 상부 클램프(241)가 상기 하부 클램프(242)와 이격되도록 회동한다. 따라서 상기 상부 클램프(241) 및 하부 클램프(242)에 의하여 상기 핀(P)이 언클램핑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 클램핑 캠(211) 및 하부 클램핑 캠(212)의 회전에 연동하여 상기 상부 클램핑 링크(221) 및 하부 클램핑 링크(222)가 하강하여 상기 핀 이송 유닛에 의하여 이송되는 상기 핀(P)을 클램핑할 수 있게 위치된다.
이를 위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상부 클램프(241)는, 연동핀(241P)에 의하여 상기 하부 클램핑 블럭(232)에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 클램핑 블럭(231)에 연결된 제2회동축(241A)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하부 클램핑 링크(222)가 정지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 클램핑 링크(221)가 승강 또는 하강하면, 상기 상부 클램프(241)가 상기 핀(P)의 클램핑 또는 언클램핑을 위하여 상기 제2회동축(241A)을 중심으로 기설정된 궤적으로 회동한다. 또한, 후술할 바와 같이, 상기 하부 클램핑 블럭(232)이 상기 핀 인서트 모듈(202)에 의하여 전진 또는 후진하면, 상기 상부 클램핑 블럭(231)도 이에 연동하여 전진 또는 후진하게 된다.
한편,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핀 인서트 모듈(202)이, 핀 인서트 전진 캠(251) 및 핀 인서트 후진 캠(252), 및 핀 인서트 링크(260)를 포함한다. 상기 핀 인서트 전진 캠(251) 및 핀 인서트 후진 캠(252)은, 상기 제1구동축(A1)에 결합되어 회전한다. 즉, 상기 핀 인서트 전진 캠(251) 및 핀 인서트 후진 캠(252)은, 상기 핀 분리 승강캠(111) 및 핀 분리 하강캠(112)과 함께, 1개의 구동원의 구동력에 의하여 회전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핀 인서트 링크(260)는, 상기 핀 인서트 전진 캠(251) 및 핀 인서트 후진 캠(252)의 회전에 연동하여 제3회동축(260A)을 중심으로 기설정된 궤적으로 운동하여 상기 핀(P)이 상기 하우징(H)에 삽입되도록 상기 상부 클램프(241) 및 하부 클램프(242)에 의하여 상기 핀(P)이 클램핑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 클램핑 블럭(231) 및 하부 클램핑 블럭(231)을 전진 또는 후진시킨다. 실질적으로, 상기 핀 인서트 모듈(202)은, 상기 상부 클램프(241) 및 하부 클램프(242)에 의하여 상기 핀(P)이 클램핑된 후 상기 핀 이송 유닛과 간섭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상부 클램핑 블럭(231) 및 하부 클램핑 블럭(232)이 상기 핀 이송 유닛의 상방에 위치된 상태 또는 상방에 위치되도록 승강하는 동작과 연동하여 상기 핀 클램핑 모듈(201)을 전진 또는 후진시킨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핀 인서트 링크(260)는, 전진 링크부(261), 후진 링크부(262) 및 연결 링크부(263)를 포함한다. 상기 전진 링크부(261)는, 상기 핀 인서트 전진 캠(251)의 캠면에 맞물리고, 상기 후진 링크부(262)는, 상기 핀 인서트 후진 캠(252)의 캠면에 맞물린다. 그리고 상기 연결 링크부(263)는, 상기 하부 클램핑 블럭(201)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핀 연결된다. 상기 전진 링크부(261) 및 후진 링크부(262)에는, 상기 핀 인서트 전진 캠(251) 및 핀 인서트 후진 캠(252)의 캠면을 따라서 구름 운동하는 롤러(260R)가 각각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 링크부(263)는, 상기 하부 클램핑 링크(222)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핀 연결된다. 예를 들면, 상기 핀 인서트 링크(260)는, 상기 제3회동축(260A)을 중심으로 상기 후진 링크부(262) 및 연결 링크부(263)가 연장되어 전체적으로 'L'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연결 링크부(263) 및 제3회동축(260A) 사이에 해당하는 상기 핀 인서트 링크(260)의 일측에 상기 전진 링크부(261)가 정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핀 클램핑 모듈(201)이 상기 핀(P)을 클램핑한 후 상기 핀(P)이 상기 핀 이송 유닛의 상방에 위치되도록 승강한 상태에서, 상기 핀 인서트 전진 캠(251) 및 핀 인서트 후진 캠(252)이 회전하면, 상기 핀 인서트 전진 캠(251)의 캠면에 맞물린 상기 전진 링크부(261)에 의하여 상기 핀 인서트 링크(260)가 상기 제3회동축(260A)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상기 상부 클램프(241) 및 하부 클램프(242)에 의하여 클램핑된 상기 핀(P)을 상기 하우징(H)에 삽입하기 위하여 상기 상부 클램핑 블럭(231) 및 하부 클램핑 블럭(232)이 전진한다. 실질적으로 상기 상부 클램핑 블럭(231) 및 하부 클램핑 블럭(232)은, 상기 상부 클램핑 링크(221) 및 하부 클램핑 링크(222)에 대하여 전진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상부 클램프(241) 및 하부 클램프(242)에 의하여 클램핑된 상기 핀(P)이 상기 하우징(H)에 삽입된 후에는, 상기 핀 인서트 전진 캠(251) 및 핀 인서트 후진 캠(252)이 회전하면, 상기 핀 인서트 후진 캠(252)의 캠면에 맞물린 상기 후진 링크부(262)에 의하여 상기 핀 인서트 링크(260)가 상기 제3회동축(260A)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상기 상부 클램핑 블럭(231) 및 하부 클램핑 블럭(232)이 상기 핀(P)을 클램핑하기 위한 위치로 후진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커넥터 핀 삽입 장치의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커넥터 핀 삽입 장치에 의한 핀 분리 과정을 보인 동작 상태도이고, 도 8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커넥터 핀 삽입 장치에 의한 핀 삽입 과정을 보인 동작 상태도이다.
먼저, 도 6을 참조하면, 핀 분리 유닛(100)이 핀(P)을 핀 결합체(PA)로부터 분리하기 위하여 핀 분리 링크(120), 실질적으로 하강 링크부(122)가 핀 분리 하강캠(112)의 하강 구간에 맞물려서 핀 분리 하강캠(112)의 회전에 연동하여 상기 핀 분리 링크(120)가 제1회동축(120A)을 중심으로 회동하면서 핀 분리 블럭(130)이 하강된다. 따라서 상기 핀 분리 블럭(130)에 의하여 핀 이송 유닛에 의하여 이송되어 분리를 위하여 소정의 위치에 위치된 상기 핀 결합체(PA)의 캐리어(C)가 절단됨으로써, 실질적으로 상기 핀(P)이 분리된다.
다음으로,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핀(P)의 분리가 완료되면, 상기 핀 분리 링크(120), 실질적으로 승강 링크부(121)가 상기 핀 분리 승강캠(111)의 승강 구간에 맞물려서 상기 핀 분리 링크(120)가 상기 제1회동축(120A)을 중심으로 회동하면서 상기 핀 분리 블럭(130)이 승강한다. 따라서 상기 핀 이송 유닛에 의하여 상기 핀(P)의 분리가 가능한 소정의 위치에 위치되도록 이송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핀 분리 유닛(100)에 의하여 분리된 상기 핀(P)은, 핀 삽입 유닛(200)에 의하여 하우징(H)에 삽입된다. 실질적으로 핀 클램핑 모듈(201)이 상기 핀(P)을 클램핑하고, 핀 인서트 모듈(202)이 상기 핀(P)이 상기 하우징(H)에 삽입되도록 상기 핀 클램핑 모듈(201)을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핀(P)을 클램핑하기 위하여 상부 클램핑 캠(211) 및 하부 클램핑 캠(212)이 회전하면, 이에 연동하여 하부 클램핑 링크(222)가 정지된 상태에서 상부 클램핑 링크(221)가 승강한다. 따라서 하부 클램프(242)가 상기 핀(P)의 저면에 접촉된 상태에서, 상부 클램프(241)가 제2회동축(241A)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상기 핀(P)의 상면에 접촉됨으로써, 상기 상부 클램프(241) 및 하부 클램프(242)에 의하여 상기 핀(P)이 클램핑된다.
다음으로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핀(P)이 클램핑된 상태에서, 상부 클램핑 캠(211) 및 하부 클램핑 캠(212)이 회전하면, 상기 상부 클램핑 링크(221) 및 하부 클램핑 링크(222)가 상기 핀(P)을 클램핑한 상태로 승강한다. 따라서 상기 상부 클램프(241) 및 하부 클램프(242)에 의하여 클램핑된 상기 핀(P)이 상기 핀 이송 유닛의 상방에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핀(P)이 클램핑되어 상기 상부 클램핑 링크(221) 및 하부 클램핑 링크(222)가 승강한 상태에서, 핀 인서트 전진 캠(251) 및 핀 인서트 후진 캠(252)이 회전하면, 상기 핀 인서트 전진 캠(251)의 캠면에 맞물린 전진 링크부(261)에 의하여 핀 인서트 링크(260)가 제3회동축(260A)을 중심으로 회동한다. 따라서, 상기 핀 인서트 링크(260)에 의하여 상부 클램핑 블럭(231) 및 하부 클램핑 블럭(232)이 전진하여 상기 핀(P)이 상기 하우징(H)에 삽입된다.
마지막으로,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핀(P)이 상기 하우징(H)에 삽입된 후에는, 상기 상부 클램핑 캠(211) 및 하부 클램핑 캠(212)의 회전에 연동하여 상기 하부 클램핑 링크(222)가 정지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 클램핑 링크(221)가 하강한다. 따라서, 상기 상부 클램프(241)가 상기 하부 클램프(242)와 이격되도록 회동하여 상기 상부 클램프(241) 및 하부 클램프(242)에 의하여 상기 핀(P)이 언클램핑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 클램핑 캠(211) 및 하부 클램핑 캠(212)의 회전에 연동하여 상기 상부 클램핑 링크(221) 및 하부 클램핑 링크(222)가 하강한다. 또한, 상기 핀 인서트 전진 캠(251) 및 핀 인서트 후진 캠(252)이 회전하면, 상기 핀 인서트 후진 캠(252)의 캠면에 맞물린 후진 링크부(262)에 의하여 상기 핀 인서트 링크(260)가 상기 제3회동축(260A)을 중심으로 회동한다. 따라서 상기 핀 클램핑 모듈(201)이 하강 및 후진하여 상기 핀(P)을 클램핑하기 위한 위치로 이동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첨부한 특허청구범위에 기초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핀 분리 유닛 111: 핀 분리 승강캠
112: 핀 분리 하강캠 120: 핀 분리 링크
130: 핀 분리 블럭 200: 핀 삽입 유닛
201: 핀 클램핑 모듈 202: 핀 인서트 모듈
211: 상부 클램핑 캠 212: 하부 클램핑 캠
221: 상부 클램핑 링크 222: 하부 클램핑 링크
231: 상부 클램핑 블럭 232: 하부 클램핑 블럭
241: 상부 클램프 242: 하부 클램프
251: 핀 인서트 전진 캠 252: 핀 인서트 후진 캠
260: 핀 인서트 링크

Claims (10)

  1. 다수개의 핀(P)이 캐리어(C)에 의하여 연결된 핀 결합체(PA)를 이송하는 핀 이송 유닛; 상기 핀 이송 유닛에 의하여 이송된 상기 핀 결합체(PA)에서 상기 핀(P)을 분리하는 핀 분리 유닛(100); 및 상기 핀 분리 유닛(100)에 의하여 분리된 상기 핀(P)을 하우징 이송 유닛에 의하여 이송되는 하우징(H)에 삽입하는 핀 삽입 유닛(200); 을 포함하는 커넥터 핀 삽입 장치에 있어서:
    상기 핀 삽입 유닛(200)은,
    상기 핀 분리 유닛(100)에 의하여 분리된 상기 핀(P)을 클램핑하는 핀 클램핑 모듈(201); 및
    상기 핀 클램핑 모듈(201)을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켜서 상기 핀(P)을 상기 하우징(H)에 삽입하는 핀 인서트 모듈(202); 을 포함하고,
    상기 핀 클램핑 모듈(201)은,
    제2구동축(A2)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상부 클램핑 캠(211) 및 하부 클램핑 캠(212);
    상기 상부 클램핑 캠(211)의 캠면에 맞물려서 상기 상부 클램핑 캠(211)의 회전에 연동하여 기설정된 궤적으로 승강 또는 하강하는 상부 클램핑 링크(221) 및 상기 하부 클램핑 캠(212)의 캠면에 맞물려서 상기 하부 클램핑 캠(212)의 회전에 연동하여 기설정된 궤적으로 승강 또는 하강하는 하부 클램핑 링크(222);
    상기 상부 클램핑 링크(221)에 연결되어 승강 또는 하강하고 상기 상부 클램핑 링크(221)에 대하여 전후진 가능하게 연결되는 상부 클램핑 블럭(231) 및 상기 하부 클램핑 링크(222)에 연결되어 승강 또는 하강하고 상기 하부 클램핑 링크(222)에 대하여 전후진 가능하게 연결되는 하부 클램핑 블럭(232); 및
    상기 핀(P)의 클램핑을 위하여 상기 상부 클램핑 블럭(231)에 연결되어 승강 또는 하강하는 상부 클램프(241) 및 상기 하부 클램핑 블럭(232)에 연결되어 승강 또는 하강하는 하부 클램프(242); 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 클램프(241)는, 연동핀(241P)에 의하여 상기 하부 클램핑 블럭(232)에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 클램핑 블럭(231)에 연결된 제2회동축(241A)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커넥터 핀 삽입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핀 분리 유닛(100)은,
    제1구동축(A1)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핀 분리 승강캠(111) 및 핀 분리 하강캠(112);
    상기 핀 분리 승강캠(111) 및 핀 분리 하강캠(112)의 캠면에 맞물려서 상기 핀 분리 승강캠(111) 및 핀 분리 하강캠(112)의 회전에 연동하여 제1회동축(120A)을 중심으로 기설정된 궤적으로 운동하는 핀 분리 링크(120); 및
    상기 핀 분리 링크(120)에 연결되어 승강 또는 하강하면서 상기 핀 이송 유닛에 의하여 이송되는 상기 핀 결합체(PA)에서 상기 캐리어(C)를 절단하여 상기 핀(P)을 분리하는 핀 분리 블럭(130); 을 포함하는 커넥터 핀 삽입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핀 분리 승강캠(111)의 캠면의 일부에는, 상기 핀 분리 블럭(130)의 승강을 위하여 상기 핀 분리 링크(120)를 회전시키는 승강 구간이 정의되고,
    상기 핀 분리 하강캠(112)의 캠면의 일부에는, 상기 핀 분리 블럭(130)의 하강을 위하여 상기 핀 분리 링크(120)를 회전시키는 하강 구간이 정의되는 커넥터 핀 삽입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핀 분리 링크(120)는,
    상기 핀 분리 승강캠(111)의 캠면에 맞물리는 승강 링크부(121);
    상기 핀 분리 하강캠(112)의 캠면에 맞물리는 하강 링크부(122); 및
    상기 핀 분리 블럭(130)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핀 연결되는 연결 링크부(123); 를 포함하고,
    상기 승강 링크부(121) 및 하강 링크부(122)는, 상기 핀 분리 승강캠(111)의 승강 구간 및 상기 핀 분리 하강캠(112)의 하강 구간에 교호되게 맞물리는 커넥터 핀 삽입 장치.
  5. 삭제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클램핑 캠(211) 및 하부 클램핑 캠(212)의 회전에 연동하여 상기 하부 클램핑 링크(222)가 정지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 클램핑 링크(221)가 승강하면, 상기 상부 클램프(241)가 상기 핀(P)의 하면이 접촉된 상기 하부 클램프(242)와 인접되도록 상기 상부 클램핑 블럭(231)에 대하여 회동하여 상기 핀(P)이 클램핑된 후 상기 상부 클램핑 캠(211) 및 하부 클램핑 캠(212)의 회전에 연동하여 상기 상부 클램핑 블럭(231) 및 하부 클램핑 블럭(232)과 상기 상부 클램핑 링크(221) 및 하부 클램핑 링크(222)가 승강하고,
    상기 상부 클램핑 캠(211) 및 하부 클램핑 캠(212)의 회전에 연동하여 상기 하부 클램핑 링크(222)가 정지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 클램핑 링크(221)가 하강하면, 상기 상부 클램프(241)가 상기 하부 클램프(242)와 이격되도록 상기 상부 클램핑 블럭(231)에 대하여 회동하여 상기 핀(P)이 언클램핑된 후 상기 상부 클램핑 캠(211) 및 하부 클램핑 캠(212)의 회전에 연동하여 상기 상부 클램핑 블럭(231) 및 하부 클램핑 블럭(232)과 상기 상부 클램핑 링크(221) 및 하부 클램핑 링크(222)가 하강하는 커넥터 핀 삽입 장치.
  8. 삭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핀 인서트 모듈(202)은,
    제1구동축(A1)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핀 인서트 전진 캠(251) 및 핀 인서트 후진 캠(252); 및
    상기 핀 인서트 전진 캠(251) 및 핀 인서트 후진 캠(252)의 회전에 연동하여 제3회동축(260A)을 중심으로 기설정된 궤적으로 운동하여 상기 핀(P)이 상기 하우징(H)에 삽입되도록 상기 핀(P)이 클램핑된 상기 상부 클램핑 블럭(231) 및 하부 클램핑 블럭(232)을 전진 또는 후진시키는 핀 인서트 링크(260); 를 포함하는 커넥터 핀 삽입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핀 인서트 링크(260)는,
    상기 핀 인서트 전진 캠(251)의 캠면에 맞물리는 전진 링크부(261);
    상기 핀 인서트 후진 캠(252)의 캠면에 맞물리는 후진 링크부(262); 및
    상기 하부 클램핑 블럭(232)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핀 연결되는 연결 링크부(263); 를 포함하는 커넥터 핀 삽입 장치.
KR1020180105060A 2018-09-04 2018-09-04 커넥터 핀 삽입 장치 KR1020520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5060A KR102052008B1 (ko) 2018-09-04 2018-09-04 커넥터 핀 삽입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5060A KR102052008B1 (ko) 2018-09-04 2018-09-04 커넥터 핀 삽입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52008B1 true KR102052008B1 (ko) 2019-12-04

Family

ID=690046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5060A KR102052008B1 (ko) 2018-09-04 2018-09-04 커넥터 핀 삽입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200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7227B1 (ko) 2021-09-28 2022-08-01 (주)에이이엠테크 핀 삽입장치
KR20220113310A (ko) 2021-09-28 2022-08-12 (주)에이이엠테크 핀 삽입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0252B1 (ko) 2011-05-31 2011-08-29 김근환 커넥터 밴도리어 핀 삽입 장치
KR101208585B1 (ko) 2012-09-20 2012-12-06 김근환 커넥터 핀 삽입 장치
CN107211635A (zh) * 2017-07-12 2017-09-29 河南科技大学 一种双凸轮连杆式自动取苗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0252B1 (ko) 2011-05-31 2011-08-29 김근환 커넥터 밴도리어 핀 삽입 장치
KR101208585B1 (ko) 2012-09-20 2012-12-06 김근환 커넥터 핀 삽입 장치
CN107211635A (zh) * 2017-07-12 2017-09-29 河南科技大学 一种双凸轮连杆式自动取苗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7227B1 (ko) 2021-09-28 2022-08-01 (주)에이이엠테크 핀 삽입장치
KR20220113310A (ko) 2021-09-28 2022-08-12 (주)에이이엠테크 핀 삽입장치
KR20220113309A (ko) 2021-09-28 2022-08-12 (주)에이이엠테크 핀 삽입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52010B1 (ko) 커넥터 핀 삽입 장치
KR101689001B1 (ko) 커넥터용 터미널 핀 커팅 및 삽입 장치
KR102052008B1 (ko) 커넥터 핀 삽입 장치
JP4704889B2 (ja) ワイヤハーネスの製造装置及び製造方法
RU2570400C2 (ru) Комплектование корпусов автомобильных аккумуляторов наборами электродных пластин
CN107394275B (zh) 一种电芯转接片焊接机
CN111771430B (zh) 带自动装填装置
KR101341445B1 (ko) 버퍼 스테이지를 갖는 에지 그립식 프리-얼라이너
KR101208585B1 (ko) 커넥터 핀 삽입 장치
CN113381267B (zh) 一种插接设备
KR100912838B1 (ko) 커넥터 고속 스티칭머신의 구동장치 및 이를 이용한 커넥터제작방법
CN112091601A (zh) 一种可对插针进行折弯加工的连接器组装装置
JP5955384B2 (ja) トップテープ装填装置およびテープ自動セット装置
CN210942645U (zh) 一种smt投首自动化设备
CN116247388A (zh) 一种镍氢电池全极耳正极集流盘焊接设备
CN113690102B (zh) 端子自动插接设备
CN114476216B (zh) 一种载具
US11214442B2 (en) Auxiliary carrier, carrier assembly and carrying apparatus
CN112247507B (zh) 一种用于汽车安全带的滑动开关端子安装设备
KR101771544B1 (ko) 전자부품용 핀 자동 삽입장치
CN108405765B (zh) 一种半导体集成电路自动切筋成型设备的装管装置
CN107819143B (zh) 一种自动电芯贴膜装置
JP2001057117A (ja) ワイヤーハーネスの製造における自動圧接装置及びその装置で使用するコネクタハウジング搬送用治具パレット
CN213084408U (zh) 运输装置
JP4305219B2 (ja) 電子部品供給用テープの接続用治具および接続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