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13310A - 핀 삽입장치 - Google Patents

핀 삽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13310A
KR20220113310A KR1020220092495A KR20220092495A KR20220113310A KR 20220113310 A KR20220113310 A KR 20220113310A KR 1020220092495 A KR1020220092495 A KR 1020220092495A KR 20220092495 A KR20220092495 A KR 20220092495A KR 20220113310 A KR20220113310 A KR 202201133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n
assembled
punch
main shaft
c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924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희웅
배병흠
김창선
남성식
양재유
오세준
Original Assignee
(주)에이이엠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210130084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427227B1/ko
Application filed by (주)에이이엠테크 filed Critical (주)에이이엠테크
Publication of KR202201133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331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2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assembling or disassembling contact members with insulating base, case or sleev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04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forming connections by deformation, e.g. crimping tool
    • H01R43/048Crimping apparatus or processes
    • H01R43/055Crimping apparatus or processes with contact member feeding mechanis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16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manufacturing contact members, e.g. by punching and by bending

Abstract

본 발명은 핀바디(10); 상기 핀바디(10)에 조립되는 구동모터어셈블리(30); 상기 구동모터어셈블리(30)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메인샤프트(40); 상기 핀바디(10)에 조립되고 핀사출물(50)을 공급하는 공급유닛(200); 상기 핀바디(10)에 조립되고, 상기 메인샤프트(40)의 회전에 의해 작동되어 상기 핀사출불의 일부를 제거하는 펀치유닛(300); 상기 핀바디(10)에 조립되고, 상기 메인샤프트(40)의 회전에 의해 작동되어 상기 핀사출물의 하부를 지지하는 다이이동유닛(400); 상기 핀바디(10)에 조립되고, 상기 메인샤프트(40)의 회전에 의해 작동되어 상기 핀사출물을 홀딩시키는 홀딩유닛(500); 상기 핀바디(10)에 조립되고, 상기 메인샤프트(40)의 회전에 의해 작동되며, 커넥터하우징(20)으로 상기 핀사출물에서 분리된 핀단자를 밀어 이동시키는 푸셔(600);를 포함하는 핀삽입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핀 삽입장치{Pin inserter}
본 발명은 고속으로 작동될 수 있는 핀 삽입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산업 기술의 발달로 인해 다양한 전자 기계 장치들이 개발되어 인간 생활을 편리하고 풍요롭게 하고 있는데, 이러한 전자 기계 장치들은 단순히 기계적인 메카니즘으로만 동작하는 것이 아니고 다양한 제어 방식을 통해 더욱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동작한다.
따라서, 현대 산업에 사용되는 많은 전자 기계 장치들은 별도의 제어반과 같은 외부 기기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되거나 또는 다른 전자 기계 장치들과 상호 네트워크를 형성하도록 다른 기기들과도 다양하게 연결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기기들을 전기적으로 서로 연결하기 위한 도구로서 일반적으로 커넥터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커넥터는 통상 플라스틱 재질의 커넥터 하우징에 다수개의 커넥터 핀이 삽입 결합되는 형태로 형성되며, 서로 대응되는 암수 커넥터가 서로 체결됨으로써, 내부의 커넥터 핀이 전기적으로 접촉하며 전기적 신호가 전송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커넥터는 산업 전반에 걸쳐 널리 사용되고 있으므로, 별도의 제조 장치를 통해 대량 생산하는 방식으로 제작되고 있는데, 일반적으로 커넥터 하우징과 커넥터 핀이 별도의 장치를 통해 각각 독립적으로 제작된 후, 커넥터 핀 삽입 장치를 통해 커넥터 하우징에 다수개의 커넥터 핀을 삽입하는 방식으로 조립 제작되고 있다.
종래 기술에 의한 커넥터 핀 삽입 장치는 그 기술 수준이 초보적인 수준으로, 커넥터 핀을 삽입하는 과정에서 커넥터 핀에 손상이 가거나 또는 잘못된 위치에 커넥터 핀을 삽입하는 등의 이유로 불량률이 매우 높고, 시스템적으로 전체적인 공정 시간이 길게 구성되어 생산 효율 또한 매우 낮게 형성되는 등의 다양한 문제들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208585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689001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348813 대한민국 등록특허 10-2052010 대한민국 등록특허 10-2052008 대한민국 등록특허 10-2239497
본 발명은 핀의 불피요한 부분을 커팅한 후, 핀을 자동으로 하우징에 압입하여 조립할 수 있는 핀 삽입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핀바디(10); 상기 핀바디(10)에 조립되는 구동모터어셈블리(30); 상기 구동모터어셈블리(30)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메인샤프트(40); 상기 핀바디(10)에 조립되고 핀사출물(50)을 공급하는 공급유닛(200); 상기 핀바디(10)에 조립되고, 상기 메인샤프트(40)의 회전에 의해 작동되어 상기 핀사출불의 일부를 제거하는 펀치유닛(300); 상기 핀바디(10)에 조립되고, 상기 메인샤프트(40)의 회전에 의해 작동되어 상기 핀사출물의 하부를 지지하는 다이이동유닛(400); 상기 핀바디(10)에 조립되고, 상기 메인샤프트(40)의 회전에 의해 작동되어 상기 핀사출물을 홀딩시키는 홀딩유닛(500); 상기 핀바디(10)에 조립되고, 상기 메인샤프트(40)의 회전에 의해 작동되며, 커넥터하우징(20)으로 상기 핀사출물에서 분리된 핀단자를 밀어 이동시키는 푸셔(600);를 포함하는 핀삽입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핀바디(10)는, 평평하게 형성된 제 1 플로어바디(11); 상기 제 1 플로어바디(11)의 상측에 배치되는 제 2 플로어바디(12); 상기 제 2 플로어바디(12)의 상측에 배치되는 제 3 플로어바디(13); 상기 제 3 플로어바디(13)의 상측에 배치되는 제 4 플로어바디(14); 상기 제 1 플로어바디(11), 제 2 플로어바디(12), 제 3 플로어바디(13) 및 제 4 플로어바디(14)가 결합되는 제 1 버티컬바디(15) 및 제 2 버티컬바디(1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모터어셈블리(30)는, 상기 핀바디(10)에 조립된 모터브래킷(35); 상기 모터브래킷(35)에 조립된 모터(34); 상기 모터(34)의 모터축(34a)에 조립되는 제 1 구동부(31); 상기 메인샤프트(40)에 조립되고, 상기 제 1 구동부(31)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는 제 2 구동부(32); 상기 제 1 구동부(31) 및 제 2 구동부(32)를 연결하는 동력전달부재(3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인샤프트에 조립되어 회전되고, 상기 펀치유닛(300)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펀치캠(44); 상기 메인샤프트에 조립되어 회전되고, 상기 다이이동유닛(400)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다이캠(42); 상기 메인샤프트에 조립되어 회전되고, 상기 홀딩유닛(500)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홀딩캠(43); 상기 메인샤프트에 조립되어 회전되고, 상기 푸셔(600)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푸셔캠(4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핀사출물(50)은, 상기 커넥터하우징에 압입되고, 복수개가 이격되어 배치되는 핀단자(52)들; 상기 핀단자(52)의 끝단에 배치되어 복수개의 핀단자(52)들을 연결하는 엔드캐리어(54); 2개의 핀단자(52) 사이를 연결하는 사이드캐리어(55);를 포함하고, 상기 커팅유닛(300)의 작동을 통해 상기 엔드캐리어(54) 및 사이드캐리어(55)를 동시에 제거할 수 있다.
첫째, 본 발명은 펀치유닛, 다이이동유닛 및 푸셔를 1개의 메인샤프트를 통해 회전되는 각 캠들을 통해 작동시키기 때문에, 상호 동작 시 오버랩 설정이 가능하고 고속으로 작동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둘째, 본 발명은 제 1 암간섭부 및 제 2 안간섭부가 메인샤프트에 결합되어 회전되는 캠의 상측면 및 하측에 밀착되어 강제 구속되기 때문에, 고속으로 작동되더라도 작동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셋째, 본 발명은 펀치유닛, 다이이동유닛 및 푸셔를 구동모터어셈블리를 통해 작동시키기 때문에 제작비용이 절감되고, 고속 작동에 따른 펀치유닛, 다이이동유닛 및 푸셔의 시간차에 따른 오작동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핀 삽입장치의 우측에서 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좌측에서 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하측에서 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의 하측에서 본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1의 정면도이고,
도 6은 도 1의 배면도이고,
도 7은 도 1의 좌측면도이고,
도 8은 도 1의 우측면도이고,
도 9는 도 1의 평면도이고,
도 10은 도 1의 저면도이고,
도 11은 도 1의 일부 확대도이고,
도 12는 도 5의 측단면도이고,
도 13은 커넥터하우징에 핀단자가 삽입된 사시도이고,
도 14는 도 1에 도시된 핀사출물의 평면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 발명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핀 삽입장치의 우측에서 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좌측에서 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하측에서 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의 하측에서 본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1의 정면도이고, 도 6은 도 1의 배면도이고, 도 7은 도 1의 좌측면도이고, 도 8은 도 1의 우측면도이고, 도 9는 도 1의 평면도이고, 도 10은 도 1의 저면도이고, 도 11은 도 1의 일부 확대도이고, 도 12는 도 5의 측단면도이고, 도 13은 커넥터하우징에 핀단자가 삽입된 사시도이고, 도 14는 도 1에 도시된 핀사출물의 평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핀 삽입장치는, 핀바디(10)와, 상기 핀바디(10)에 조립되는 구동모터어셈블리(30)와, 상기 구동모터어셈블리(30)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메인샤프트(40)와, 상기 핀바디(10)에 조립되고 핀사출물(50)을 공급하는 공급유닛(200)과, 상기 핀바디(10)에 조립되고, 상기 메인샤프트(40)의 회전에 의해 작동되어 핀단자에서 불필요한 부분을 제거하는 펀치유닛(300)과, 상기 핀바디(10)에 조립되고, 상기 메인샤프트(40)의 회전에 의해 작동되어 핀단자의 하부를 지지하는 다이이동유닛(400)과, 상기 핀바디(10)에 조립되고, 상기 메인샤프트(40)의 회전에 의해 작동되어 핀단자를 홀딩시키는 핀단자 홀딩유닛(500)과, 상기 핀바디(10)에 조립되고, 상기 메인샤프트(40)의 회전에 의해 작동되며, 커넥터하우징(20)으로 핀단자를 밀어 이동시키는 푸셔(600)를 포함한다.
상기 핀바디(10)는, 상하 방향으로 복수개의 측을 형성한다.
상기 핀바디(10)는, 평평하게 형성된 제 1 플로어바디(11)와, 상기 제 1 플로어바디(11)의 상측에 배치되는 제 2 플로어바디(12)와, 상기 제 2 플로어바디(12)의 상측에 배치되는 제 3 플로어바디(13)와, 상기 제 3 플로어바디(13)의 상측에 배치되는 제 4 플로어바디(14)와, 상기 제 1 플로어바디(11), 제 2 플로어바디(12), 제 3 플로어바디(13) 및 제 4 플로어바디(14)가 결합되는 제 1 버티컬바디(15) 및 제 2 버티컬바디(16)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버티컬바디(15) 및 제 2 버티컬바디(16)는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고, 본 실시예에서 제 1 버티컬바디(15)가 배치된 방향을 정면이라하고, 상기 제 2 버티컬바디(16)가 배치된 방향을 배면이라 정의한다.
상기 제 1 플로어바디(11), 제 2 플로어바디(12), 제 3 플로어바디(13) 및 제 4 플로어바디(14)는 전후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배치되고,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평면으로 볼 때, 제 1 플로어바디(11) 및 제 4 플로어바디(14)는 사각형 형상이고, 상기 제 2 플로어바디(12) 및 제 3 플로어바디(13)는 상하 방향으로 일부가 관통되는 관통부(12a)(13a)가 형성된다. 각 구분을 위해, 제 2 관통부(12a) 및 제 3 관통부(13a)라 정의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 2 관통부(12a) 및 제 3 관통부(13a)는 각 플로어바디(12)(13)의 우측면에서 좌측면 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홈 형태이다. 제 2 관통부(12a) 및 제 3 관통부(13a)에 상기 푸셔(600)의 구조물이 설치된다.
상기 구동모터어셈블리(30)는 제 2 버티컬바디(16)에 조립된 모터브래킷(35)과, 상기 모터브래킷(35)에 조립된 모터(34)와, 상기 모터(34)의 모터축(34a)에 조립되는 제 1 구동부(31)와, 상기 메인샤프트(40)에 조립되고, 상기 제 1 구동부(31)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는 제 2 구동부(32)와, 상기 제 1 구동부(31) 및 제 2 구동부(32)를 연결하는 동력전달부재(33)를 포함한다.
상기 모터브래킷(35)은 제 2 버티컬바디(16)의 배면에 조립되는 제 1 브래킷부(35a)와, 상기 제 1 브래킷부(35a)에서 후방 측으로 절곡된 제 2 브래킷부(35b)를 포함한다.
상기 모터(34)는 제 2 브래킷부(35b)에 조립되고, 모터(34)의 모터축(34a)은 상기 제 2 브래킷부(35b)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한다.
상기 제 1 구동부(31) 및 제 2 구동부(32)는 풀리 또는 스프라킷 형태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모터(34)의 회전력을 정밀하게 전달하기 위해, 상기 제 1 구동부(31) 및 제 2 구동부(32)이 치형을 갖는 스프라킷 형태로 제작된다.
상기 제 1 구동부(31) 및 제 2 구동부(32)의 회전축은 수직방향으로 배치된다. 상기 제 1 구동부(31)가 제 2 구동부(32) 보다 후방에 배치된다.
상기 제 1 구동부(31)가 제 2 구동부(32)는 동일한 높이에 배치된다.
상기 제 1 구동부(31)는 제 2 브래킷부(35b)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구동부(32)는 제 4 플로어바디(14)의 상측에 배치된다.
상기 제 1 구동부(31)에 상기 모터축(34a)이 조립되고, 상기 제 2 구동부(32)와 상기 메인샤프트(40)가 조립된다.
상기 동력전달부재(33)는 스프라킷의 치형에 조립되는 체인일 수 있다.
상기 동력전달부재(33)는 전후 방향으로 배치되고, 제 1 구동부(31) 및 제 2 구동부(32)의 외주면을 따라 회전될 수 있다.
상기 동력전달부재(33)의 텐션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동력전달부재(33)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는 장력조절수단이 더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장력조절수단은, 상기 제 2 브래킷부(35b)의 장력조절플레이트(33d)에 결합되고,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는 장력조절로드(33a)와, 상기 장력조절로드(33a)가 이동가능하게 조립되고, 상기 제 2 브래킷부(35b)에서 상측으로 돌출되는 장력조절서포터(33b)와, 상기 장력조절로드(33a)에 체결되어 상기 장력조절서포터(33b)에 지지되는 로드지지부(33c)를 포함한다.
상기 장력조절플레이트(33d)는 제 2 브래킷부(35b)의 상측면에 배치되고, 전후 방향으로 이동된 체결부재에 의해 상기 제 2 브래킷부(35b)에 체결고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장력조절로드(33a)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로드지지부(33c)는 상기 장력조절로드(33a)의 외주면에 나사결합되는 너트일 수 있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장력조절로드(33a)를 관통하는 핀홀이 형성되고, 상기 로드지지부가 상기 핀홀에 삽입되는 핀으로 제작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로드지지부(33c)를 회전시켜 상기 장력조절로드(33a)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고, 상기 장력조절플레이트(33d)와 제 2 브래킷부(35b)를 체결고정함으로써, 상기 동력전달부재(33)를 팽팽한 상태로 형성시킬 수 있다.
상기 로드지지부(33c)는 상기 장력조절로드(33a)에 나사결합되고, 상기 장력조절서포터(33b)에 지지된다.
상기 장력조절플레이트(33d) 및 제 2 브래킷부(35b)를 체결해제하여, 상기 동력전달부재(33), 제 1 구동부(31) 또는 제 2 구동부(32)의 수리 또는 교체할 수 있다.
상기 장력조절플레이트(33d)는 제 1 구동부(31) 및 제 2 브래킷부(35b)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모터축(34a)이 상기 장력조절플레이트(33d)를 관통하게 배치된다.
상기 제 2 구동부(32)에 조립되어 상기 제 2 구동부(32)를 수동으로 회전시키는 핸들(36)이 더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핸들(36)은 상기 제 2 구동부(32)의 상부에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구동부(32) 및 핸들(36) 사이에 회전감지원판(37)이 더 배치될 수 있고, 상기 회전감지원판(37)은 상기 제 2 구동부(32)와 동일 축에 조립되어 함께 회전된다.
상기 회전감지원판(37)에 회전량을 감지하기 위한 슬릿(37a)이 형성된다. 상기 슬릿(37a)은 반경방향으로 형성된다. 슬릿(37a)은 상기 회전감지원판(37)을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게 형성된다.
상기 슬릿(37a)과 오버랩되도록 포토센서(38)가 더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회전감지원판(37)이 상기 포토센서(38)로 삽입되고, 상기 포토센서(38)는 상기 슬릿(37a)을 관통하는 광원을 감지하여 상기 회전감지원판(37)의 회전량을 감지한다.
상기 포토센서(38)가 설치되는 센서브래킷(39)이 더 배치되고, 상기 센서브래킷(39)은 상기 제 4 플로어바디(14)의 상측면에 하단이 조립되고, 상단에 상기 포토센서(38)가 조립된다.
상기 포토센서(38)는 상기 메인샤프트(40)의 회전량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메인샤프트(40)의 회전중심은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 1 플로어바디(11), 제 2 플로어바디(12), 제 3 플로어바디(13) 및 제 4 플로어바디(14)를 각각 관통하게 배치된다.
상기 메인샤프트(40)와, 상기 제 1 플로어바디(11), 제 2 플로어바디(12), 제 3 플로어바디(13) 및 제 4 플로어바디(14)가 직교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메인샤프트(40)는 상기 모터(34)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고, 상기 제 1 플로어바디(11), 제 2 플로어바디(12), 제 3 플로어바디(13) 및 제 4 플로어바디(14)와의 마찰력을 저감하기 위해 베어링이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메인샤프트(40)에 상기 펀치유닛(300), 다이이동유닛(400), 홀딩유닛(500) 및 푸셔(600)를 작동시키는 각각의 캠이 조립된다.
상기 펀치유닛(300)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캠을 펀치캠(44)이라 하고, 상기 다이이동유닛(400)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캠을 다이캠(42)이라 하며, 상기 홀딩유닛(500)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캠을 홀딩캠(43)이라 하고, 상기 푸셔(600)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캠을 푸셔캠(41)이라 한다.
상기 푸셔캠(41)이 가장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다이캠(42)이 상기 푸셔캠(41)의 상측에 배치되며, 상기 홀딩캠(43)이 상기 다이캠(42)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펀치캠(44)이 상기 홀딩캠(43)의 상측에 배치된다.
하측에서 상측 방향으로 상기 푸셔캠(41), 다이캠(42), 홀딩캠(43), 펀치캠(44)이 순서대로 배치된다.
상기 메인샤프트(40)는 푸셔캠(41), 다이캠(42), 홀딩캠(43), 펀치캠(44)을 관통하게 배치되고, 상기 푸셔캠(41), 다이캠(42), 홀딩캠(43), 펀치캠(44)과 각각 결합되어, 상기 푸셔캠(41), 다이캠(42), 홀딩캠(43), 펀치캠(44)을 동시에 회전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푸셔캠(41) 및 다이캠(42)이 제 1 플로어바디(11) 및 제 2 플로어바디(12)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홀딩캠(43)은 제 2 플로어바디(12) 및 제 3 플로어바디(13)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펀치캠(44)은 상기 제 3 플로어바디(13) 및 제 4 플로어바디(14)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메인샤프트(40)의 축중심이 수직하게 배치되기 때문에, 상기 푸셔캠(41), 다이캠(42), 홀딩캠(43), 펀치캠(44)은 수평방향으로 회전된다.
상기 푸셔캠(41), 다이캠(42), 홀딩캠(43), 펀치캠(44)은 메인샤프트(40)을 중심으로 회전되고, 외주면의 형상을 통해 시간차를 형성시켜 상기 펀치유닛(300), 다이이동유닛(400), 홀딩유닛(500) 또는 푸셔(600)를 순차적으로 또는 동시에 작동시킬 수 있다.
도면에서는 푸셔캠(41), 다이캠(42), 홀딩캠(43) 및 펀치캠(44)의 형상이 동일하게 도시되었으나, 시간차를 형성시키는 상기 푸셔캠(41), 다이캠(42), 홀딩캠(43) 및 펀치캠(44)의 상측면 및 하측면의 형상은 각각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캠의 형상을 통해 회전 시간차를 형성시키는 기술은 당업자에게 일반적인 기술이기 때문에, 상기 푸셔캠(41), 다이캠(42), 홀딩캠(43) 및 펀치캠(44)의 형상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기술을 생략한다.
상기 핀사출물(50)은 핀단자(52)와, 상기 핀단자(52)를 고정하는 캐리어(54)(55)를 포함한다. 상기 핀사출물(50)은 롤형태로 감겨배치될 수 있고, 상기 캐리어(54)(55)를 커팅하여 핀단자(52)만을 남긴 후, 상기 커넥터하우징(20)에 밀어넣어 조립된다.
상기 핀사출물(50)에서 핀단자(52)는 좌우 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되고, 좌우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캐리어(54)(55)는 상기 핀단자(52)의 끝단에 배치되어 복수개의 핀단자(52)들을 연결하는 엔드캐리어(54)와, 2개의 핀단자(52) 사이를 연결하는 사이드캐리어(55)를 포함한다. 상기 펀치유닛(300)은 상기 엔드캐리어(54) 및 사이드캐리어(55)를 동시에 제거한다.
상기 공급유닛(200)은 제 1 버티컬바디(15) 측에 조립된 공급모터(210)와, 상기 공급모터(210)에 의해 회전되는 공급드럼(220)과, 상기 공급드럼(220)의 외주면을 따라 배치된 스프라킷(230)과, 상기 공급드럼(220)의 하측에 배치되고 핀사출물(50)이 거치되어 이동되는 공급베이스(24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공급모터(210)가 제 1 버티컬바디(15)의 우측으로 이격되어 배치되기 때문에, 상기 제 1 버티컬바디(15) 및 공급모터(210)를 연결하는 공급모터브래킷(215)이 더 배치된다.
상기 공급모터(210)의 모터축은 전후 방향으로 배치되고, 공급드럼(220)이 제 1 버티컬바디(15) 보다 전방에 배치된다.
상기 공급드럼(220)의 외주면을 따라 원형으로 스프라킷(230)이 배치된다. 상기 스프라킷(230)은 공급드럼(220)의 전단 및 후단에 각각 배치된다.
상기 공급드럼(220)의 회전 시, 상기 스프라킷(230)이 회전되고, 상기 스프라킷(230)의 치형 사이에 상기 핀단자(52)까 끼워질 수 있다.
상기 공급모터(210)는 상기 스프라킷(230)을 소정각도씩 회전시켜 핀단자(52)를 1개씩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공급베이스(240)는 상기 스프라킷(230)의 하측에 배치되고, 좌우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다. 상기 공급베이스(240)는 핀사출물(50)을 지지한다.
상기 펀치유닛(300)은, 상기 제 4 플로어바디(14)에 고정된 펀치베이스(310)와, 상기 펀치베이스(310)에 조립된 제 1 펀치축(320)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조립되고, 상기 펀치캠(44)과의 상호 간섭을 통해 상하 방향으로 왕복 각회전되는 펀치암(330)과, 상기 펀치암(330)과 상대회전 가능하게 조립되어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는 펀치블럭(340)과, 상기 펀치블럭(340) 및 펀치암(330)에 회전가능하게 조립되는 제 2 펀치축(335)과, 상기 펀치블럭(340)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는 펀치가이드블럭(350)과, 상기 펀치블럭(340) 및 펀치가이드블럭(350)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펀치블럭(340)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는 펀치가이드(360)를 포함한다.
상기 펀치블럭(340)이 상하 이동되어 상기 핀사출물(50)에서 엔드캐리어(54)및 사이드캐리어(55)를 제거할 수 있다.
상기 펀치베이스(310)는 제 4 플로어바디(14)의 저면에 고정되어 하측으로 돌출된다.
상기 제 1 펀치축(320)은 좌우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펀치베이스(310) 및 펀치암(330)을 회전가능하게 조립시킨다. 상기 펀치암(330)의 중간부분에 상기 제 1 펀치축(320)이 배치된다.
상기 펀치암(330)은, 펀치캠(44)과 밀착되고, 상기 펀치캠(44)의 회전에 의해 상측 또는 하측으로 각회전되는 암간섭부(331)(332)와, 상기 제 1 펀치축(320)이 관통되는 펀치축홀(미도시)과, 상기 제 2 펀치축(335)이 관통되는 블럭축홀(미도시)을 포함한다.
상기 암간섭부는, 상기 펀치캠(44)의 상측면과 접촉되어 상호 간섭을 형성하는 제 1 암간섭부(331)와, 상기 펀치캠(44)의 하측면과 접촉되어 상호 간섭을 형성하는 제 2 안간섭부(332)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암간섭부(331)에 제 1 암롤러(333)가 더 배치되고, 상기 제 1 암롤러(333)가 상기 펀치캠(44)의 상측면과 접촉되고, 상기 펀치캠(44)의 회전 시 롤러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마찰을 저감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2 암간섭부(332)에 제 2 암롤러(334)가 더 배치되고, 상기 제 2 암롤러(334)가 상기 펀치캠(44)의 하측면과 접촉되고, 상기 펀치캠(44)의 회전 시 롤러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마찰을 저감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제 1 암롤러(333) 또는 제 2 암롤러(334)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상기 펀치캠(44)에 접촉된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펀치암(330)은 제 1 펀치축(320)을 중심으로 상하 방향으로 각회전될 수 있다. 측면에서 볼 때, 상기 제 1 펀치축(320)의 전후 방향에 대한 제 1 수직축(H1)이 형성된다.
상기 제 2 펀치축(335)은 상기 펀치암(330)의 각회전 시, 펀치블럭(340) 및 펀치암(330)의 사이각을 보정하여, 상기 펀치블럭(340)이 상하 방향으로 직선이동될 수 있게 한다.
상기 펀치암(330)의 전단이 상기 제 1 버티컬바디(15)을 관통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 2 펀치축(335)이 상기 제 1 버티컬바디(15)보다 전방에 배치된다. 제 1 버티컬바디(15)를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는 버티컬개구부(15a)가 형성되고, 상기 펀치암(330)의 전단이 상기 제 1 버티컬바디(15)을 관통하게 배치된다.
상기 펀치가이드블럭(350)은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 1 버티컬바디(15)에 고정되고, 상기 제 1 버티컬바디(15)의 전방에 위치된다.
상기 펀치가이드블럭(350)은, 상기 제 1 버티컬바디(15)에 고정되고, 상기 펀치블럭(340)의 좌측에 배치된 제 1 사이드블럭(352)과, 상기 제 1 버티컬바디(15)에 고정되고, 상기 제 1 사이드블럭(352)과 이격되고, 상기 펀치블럭(340)의 우측에 배치된 제 2 사이드블럭(354)과, 상기 제 1 버티컬바디(15)에 고정되고, 상기 펀치블럭(340)이 관통되는 바텀블럭(356)을 포함한다.
상기 펀치가이드(360)는 엘엠가이드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펀치가이드(360)는 상기 펀치블럭(340)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고, 이동 시 마찰을 저감한다.
상기 펀치가이드(360)는 상기 펀치블럭(340) 및 제 1 사이드블럭(352) 사이에 배치되는 제 1 펀치가이드(미도시)와, 상기 펀치블럭(340) 및 제 2 사이드블럭(354) 사이에 배치되는 제 2 펀치가이드(미도시)를 포함한다.
상기 펀치블럭(340)의 상측이 상기 제 2 펀치축(335)과 회전가능하게 조립된다.
상기 펀치블럭(340)은 상기 제 2 펀치축(335)을 중심으로 소정각도 회전될 수 있고, 상기 펀치가이드(360)를 따라 하측으로 왕복 운동될 수 있다.
상기 펀치블럭(340)은, 상기 제 2 펀치축(335)이 조립되고, 상기 펀치가이드(360)를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는 메인펀치블럭(342)과, 상기 메인펀치블럭(342)에 조립되고, 하강 시, 상기 엔드캐리어(54) 및 사이드캐리어(55)를 제거하는 커팅블럭(344)을 포함한다.
상기 핀사출물(50)의 크기 및 형태가 변경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커팅블럭(344)은 교체가능한 구조이다. 상기 커팅블럭(344)의 형상은 핀사출물(50)의 엔드캐리어(54) 및 사이드캐리어(55) 형태 및 크기에 따라 교체될 수 있다.
상기 바텀블럭(356)은 상기 제 1 사이드블럭(352) 및 제 2 사이드블럭(354)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바텀블럭(356)은 상기 제 1 사이드블럭(352) 및 제 2 사이드블럭(354)에 고정되거나 상기 제 1 버티컬바디(15)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커팅블럭(344)은 바텀블럭(356)을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게 형성되고, 이를 위해 상기 바텀블럭(355)에 블럭홀(355)이 형성된다.
상기 다이이동유닛(400)은, 상기 제 2 플로어바디(12)에 고정된 다이베이스(410)와, 상기 다이베이스(410)에 회전가능하게 조립되고, 상기 다이캠(42)과의 상호 간섭을 통해 상하 방향으로 왕복 각회전되는 다이암(430)과, 상기 다이베이스(410) 및 다이암(430)에 상대회전 가능하도록 조립되는 제 1 다이축(420)과, 상기 다이암(430)과 상대회전 가능하게 조립되어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는 다이회전블럭(440)과, 상기 다이회전블럭(440) 및 다이암(430)에 회전가능하게 조립되는 제 2 다이축(435)과, 상기 다이회전블럭(440)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는 다이가이드블럭(450)과, 상기 다이회전블럭(440) 및 다이가이드블럭(450)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다이회전블럭(440)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는 다이가이드(미도시)를 포함한다.
상기 다이베이스(410)는, 상기 커팅블럭(344)의 하측에 배치되고, 핀사출물(50)을 하측에서 지지하는 다이서포터(412)와, 상기 다이서포터(412)에 조립되고, 상기 핀사출물(50)에서 분리된 엔드캐리어(54) 및 사이드캐리어(55)를 배출시키는 배출블럭(414)을 포함한다.
상기 다이서포터(412) 상측에 상기 핀사출물(50)이 거치된다.
상기 배출블럭(414)에 내부에 상기 분리된 엔드캐리어(54) 및 사이드캐리어(55)가 이송되는 배출통로(414a)가 형성되고, 상기 배출통로(414a)의 상측에 배출입구(415)가 형성된다.
상기 배출입구(415) 상측에 상기 커팅블럭(344)이 배치되고, 상기 커팅블럭(344)의 하강 시, 상기 핀사출물(50)에서 분리된 엔드캐리어(54) 및 사이드캐리어(55)가 상기 배출입구(415)으로 유입된 후, 상기 배출통로(414a)를 통해 이송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배출통로(414a)의 하측면이 개구되어 배출출구(417)가 형성된다. 상기 배출출구(417)의 하측에 바스켓(미도시)이 배치될 수 있고, 상기 배출된 엔드캐리어(54) 및 사이드캐리어(55)가 저장될 수 있다. 상기 배출출구(417)는 전방으로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배출블럭(414)이 상기 다이서포터(412) 보다 전방에 배치된다.
상기 다이암(430)은 상기 펀치암(330)과 유사한 형태이다.
상기 다이암(430)은, 다이캠(42)과 밀착되고, 상기 다이캠(42)의 회전에 의해 상측 또는 하측으로 각회전되는 암간섭부(431)(432)와, 상기 제 1 다이축(420)이 관통되는 펀치축홀(미도시)과, 상기 제 2 다이축(435)이 관통되는 블럭축홀(미도시)을 포함한다.
상기 다이회전블럭(440)은 다이서포터(412)와 결합되고, 상기 다이서포터(412)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다이회전블럭(440)은 후방에서 전방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축홈(445)이 형성되고, 상기 축홈(445)에 상기 제 2 다이축(435)이 회전가능하게 조립된다.
상기 홀딩유닛(500)은 캐리어(50)가 제거된 홀딩할 수 있다.
상기 홀딩유닛(500)은, 상기 제 2 플로어바디(12)에 고정된 홀딩베이스(510)와, 상기 홀딩베이스(510)에 회전가능하게 조립되고, 상기 홀딩캠(43)과의 상호 간섭을 통해 상하 방향으로 왕복 각회전되는 홀딩암(530)과, 상기 홀딩베이스(510) 및 홀딩암(430)에 상대회전 가능하도록 조립되는 제 1 홀딩축(520)과, 상기 홀딩암(530)과 상대회전 가능하게 조립되어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는 홀딩블럭(540)과, 상기 홀딩블럭(540) 및 홀딩암(530)에 회전가능하게 조립되는 제 2 홀딩축(535)과, 상기 홀딩블럭(540)의 상단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는 홀딩롤러(550)를 포함한다.
상기 홀딩베이스(510)는 제 2 플로어바디(12)의 상측면에 조립되고, 상측으로 돌출되게 배치된다.
상기 홀딩암(530)은 제 1 홀딩축(520)을 중심으로 전단 및 후단이 상하 방향으로 각회전될 수 있다.
상기 홀딩암(530)은 펀치암(330)의 구조와 유사하다.
상기 홀딩암(530)은, 홀딩캠(43)과 밀착되고, 상기 홀딩캠(43)의 회전에 의해 상측 또는 하측으로 각회전되는 홀딩간섭부(531)(532)와, 상기 제 1 홀딩축(520)이 관통되는 홀딩축홀(미도시)과, 상기 제 2 홀딩축(335)이 관통되는 블럭축홀(미도시)을 포함한다.
상기 홀딩암(530)은 홀딩블럭(540)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홀딩블럭(540)은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다이서포터(412) 및 제 1 버티컬바디(15) 사이에 배치되어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는 제 1 홀딩블럭(542)과, 상기 제 1 홀딩블럭(542)의 배면에 결합되고, 상기 홀딩암(530)이 제 2 홀딩축(535)을 통해 회전가능하게 조립되는 제 2 홀딩블럭(544)을 포함한다.
상기 제 2 홀딩블럭(544)에 상기 제 2 홀딩축(535)이 삽입되는 홀딩홈(545)이 형성된다.
상기 제 1 홀딩블럭(542)은 다이서포터(412) 및 제 1 버티컬바디(15) 사이에서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제 1 홀딩블럭(542)의 상단에 상기 홀딩롤러(550)가 조립된다.
상기 홀딩롤러(550)의 축방향은 좌우 방향으로 배치된다. 상기 홀딩롤러(550)는 상기 푸셔(600) 또는 핀단자(52)의 하측면을 지지할 수 있고, 상기 푸셔(600)의 전후 방향 슬라이드 이동 시 마찰을 저감한다.
상기 푸셔(600)는 핀단자(54)를 고정하고, 고정된 핀단자(54)를 전방으로 이동시켜 상기 하우징(20)에 압입할 수 있다.
상기 푸셔(600)는, 상기 제 1 플로어바디(11)에 고정된 푸셔베이스(610)와, 상기 푸셔베이스(610)에 회전가능하게 조립되고, 상기 푸셔캠(41)과의 상호 간섭을 통해 상하 방향으로 왕복 각회전되는 푸셔암(630)과, 상기 푸셔베이스(610) 및 푸셔암(630)에 상대회전 가능하도록 조립되는 제 1 푸셔축(620)과, 상기 푸셔암(630)과 상대회전 가능하게 조립되어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는 푸셔블럭(640)과, 상기 푸셔블럭(640) 및 푸셔암(630)에 회전가능하게 조립되는 제 2 푸셔축(635)과, 상기 제 3 플로어바디(13)에 배치된 어퍼베이스(650)와, 상기 어퍼베이스(650)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푸셔블럭(640)이 조립되고, 상기 푸셔블럭(640)에 전달된 작동력을 통해 상기 어퍼베이스(65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는 슬라이드블럭(660)과, 상기 슬라이드블럭(660) 및 어퍼베이스(65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슬라이드블럭(660)의 전후 방향 이동을 안내하는 슬라이드가이드(670)을 포함한다.
상기 푸셔암(630)은, 푸셔캠(41)과 밀착되고, 상기 푸셔캠(41)의 회전에 의해 상측 또는 하측으로 각회전되는 암간섭부(631)(332)와, 상기 제 1 푸셔축(620)이 관통되는 펀치축홀(미도시)과, 상기 제 2 푸셔축(635)이 관통되는 블럭축홀(미도시)을 포함한다.
상기 암간섭부는, 상기 푸셔캠(41)의 상측면과 접촉되어 상호 간섭을 형성하는 제 1 암간섭부(631)와, 상기 푸셔캠(41)의 하측면과 접촉되어 상호 간섭을 형성하는 제 2 안간섭부(632)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암간섭부(631)에 제 1 암롤러(633)가 더 배치되고, 상기 제 1 암롤러(633)가 상기 펀치캠(44)의 상측면과 접촉되고, 상기 푸셔캠(41)의 회전 시 롤러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마찰을 저감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2 암간섭부(632)에 제 2 암롤러(634)가 더 배치되고, 상기 제 2 암롤러(634)가 상기 푸셔캠(41)의 하측면과 접촉되고, 상기 푸셔캠(41)의 회전 시 롤러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마찰을 저감시킨다.
상기 푸셔암(630)은 상기 제 1 푸셔축(620) 및 암간섭부(631)(632)를 연결하는 제 1 푸셔바디(636)와, 상기 제 1 푸셔바디(636)와 교차되게 배치되고, 상기 제 1 푸셔바디(636) 및 제 2 푸셔축(635)를 연결하는 제 2 푸셔바디(637)를 포함한다.
제 1 푸셔바디(636)는 전후 방향으로 배치되고, 제 2 푸셔바디(637)는 상하 방향으로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 1 푸셔바디(636) 및 제 2 푸셔바디(637)는 일체로 제작되고, 직교하게 형성된다.
상기 제 1 푸셔바디(636)는 제 1 플로어바디(11) 및 제 2 플로어바디(12) 사이에 배치되고, 상하 방향으로 각회전된다.
상기 제 2 푸셔바디(637)는 제 2 플로어바디(12) 및 제 3 플로어바디(13)를 관통하게 배치되고, 전후 방향으로 각회전될 수 있다. 제 2 플로어바디(12) 및 제 3 플로어바디(13)에는 상기 제 2 푸셔바디(637)가 관통되는 홈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제 2 푸셔바디(637)는 상기 다이암(430) 및 푸셔암(630) 보다 우측에 배치된다.
상기 푸셔블럭(640)은 상기 제 2 푸셔축(635)과 회전가능하게 조립된다. 도며에서 푸셔블럭(640) 및 제 2 푸셔축(635)이 분리되어 도시되었으나, 이는 푸셔ㅇ아암(630)의 회전 전 위치와 회전 후 위치를 표시한 것일 뿐 실제로는 서로 조립된다.
상기 제 2 푸셔바디(637)의 전후 방향 각회전을 통해 상기 푸셔블럭(640)이 전후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푸셔블럭(640)은 상기 제 3 플로어바디(13)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게 배치되고, 상기 어퍼베이스(650) 및 슬라이드블럭(660)의 우측에 배치된다.
상기 푸셔블럭(640)은 제 2 푸셔축(635)가 회전가능하게 삽입되는 축홈(645)이 형성되고, 상기 축홈(645)은 하측을 향해 개구된다.
상기 푸셔블럭(640)의 좌측면이 상기 슬라이드블럭(660)에 조립된다.
상기 슬라이드블럭(660)은 상기 슬라이드가이드(670)에 조립되고, 상기 슬라이드가이드(670)를 따라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드가이드(670)는 엘엠가이드 일 수 있다.
상기 슬라이드블럭(660)은 상기 푸셔블럭(640)을 통해 구동력을 제공받아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고, 이 구동력을 통해 핀단자(54)를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슬라이드블럭(660)은 상기 슬라이드가이드(670)에 결합되고, 상기 제 1 버티컬바디(15)의 후방 측에 배치된 제 1 슬라이드부(662)와, 상기 제 1 슬라이드부(662)에서 전방으로 돌출되고, 상기 홀딩롤러(550)에 의해 하측이 지지되는 제 2 슬라이드부(664)와, 상기 제 2 슬라이드부(664)에서 전방 측으로 더 돌출되고, 상기 핀단자(54)를 가압하는 제 3 슬라이드부(666)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슬라이드부(662), 제 2 슬라이드부(664) 및 제 3 슬라이드부(666)는 수평하게 배치된다.
상기 제 1 슬라이드부(662)의 좌우 폭이 가장 넓고, 상기 제 3 슬라이드부(666)의 좌우 폭이 가장 좁으며, 상기 제 2 슬라이드부(664)의 폭이 그 중간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 3 슬라이드부(666)는 복수개 배열된 핀단자(54) 중 1개의 핀단자(54) 만을 밀어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핀단자(54)의 좌우 폭과 같거나 약간 크게 형성된다.
상기 제 3 슬라이드부(666)의 좌우 폭은 핀단자(54) 및 사이드캐리어(55)의 좌우 폭보다 작고, 상기 핀단자(54)의 폭보다 넓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3 슬라이드부(666)의 전단이 상기 핀단자(54)의 후단과 접촉될 수 있고, 상기 핀단자(54)의 후단을 상기 커넥터하우징(20)으로 밀어 상기 커넥터하우징(20)에 압입할 수 있다.
상기 제 2 슬라이드부(664)는 버티컬개구부(15a)를 관통하게 배치된다.
상기 제 3 슬라이드부(666)는 상기 펀치블럭(340) 및 다이회전블럭(440) 사이에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 3 슬라이드부(666)는 다이서포터(412) 및 배출블럭(414) 상측에 배치될 수 있고, 상기 메인펀치블럭(342)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핀 삽입장치의 작동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공급유닛(200)의 작동을 통해 스프라킷 형태의 제 1 구동부(31) 및 제 2 구동부(32)가 피치만큼 회전하여 핀사출물(50)을 커팅 위치까지 이송시킨다.
이후 상기 푸셔(600)가 1차 전진하고, 홀딩유닛(500)가 핀사출물(50)을 홀딩한다.
이후, 상기 다이이동유닛(400)의 다이회전블럭(440)이 상승하여 핀사출물(50)을 지지하고, 펀치유닛(300)의 펀치블럭(340)이 하강하여 핀사출물(50)에서 엔드캐리어(54) 및 사이드캐리어(55)를 동시에 제거한다.
상기 엔드캐리어(54) 및 사이드캐리어(55)의 제거 후에, 상기 펀치블럭(340)이 상승 및 다이회전블럭(440)이 하강이 실시되고, 상기 푸셔(600)의 제 3 슬라이드부(666)의 전단이 상기 핀단자(54)의 후단을 상기 커넥터하우징(20)으로 밀어 상기 커넥터하우징(20)에 압입한다.
이후 상기 제 3 슬라이드부(666)의 후진이 완료하면, 상기 공급유닛(200)이 핀사출물(50)을 다시 피치만큼 이송하고, 상술한 과정을 반복한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 : 핀바디 11 : 제 1 플로어바디
12 : 제 2 플로어바디 13 : 제 3 플로어바디
14 : 제 4 플로어바디 15 : 제 1 버티컬바디
16 : 제 2 버티컬바디 30 : 구동모터어셈블리
31 : 제 1 구동부 32 : 제 2 구동부
33 : 동력전달부재 34 : 모터
200 : 공급유닛 210 : 공급모터
220 ; 공급드럽 230 : 스프라킷
240 : 공급베이스 300 : 펀치유닛
310 : 펀치베이스 320 : 제 1 펀치축
330 : 펀치암 340 : 펀치블럭
350 : 펀치가이드블럭 360 : 펀치가이드
400 : 다이이동유닛 410 : 다이베이스
420 : 제 1 다이축 430 : 다이암
440 : 다이회전블럭 450 : 다이가이드블럭
500 : 홀딩유닛 510 : 홀딩베이스
520 : 제 1 홀딩축 530 : 홀딩암
540 : 홀딩블럭 550 : 홀딩롤러
600 : 푸셔 610 : 푸셔베이스
620: 제 1 푸셔축 630 : 푸셔암
640 : 푸셔블럭 650 : 어퍼베이스
660 : 슬라이드블럭 670 : 슬라이드가이드

Claims (5)

  1. 핀바디(10);
    상기 핀바디(10)에 조립되는 구동모터어셈블리(30);
    상기 구동모터어셈블리(30)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메인샤프트(40);
    상기 핀바디(10)에 조립되고 핀사출물(50)을 공급하는 공급유닛(200);
    상기 핀바디(10)에 조립되고, 상기 메인샤프트(40)의 회전에 의해 작동되어 상기 핀사출불의 일부를 제거하는 펀치유닛(300);
    상기 핀바디(10)에 조립되고, 상기 메인샤프트(40)의 회전에 의해 작동되어 상기 핀사출물의 하부를 지지하는 다이이동유닛(400);
    상기 핀바디(10)에 조립되고, 상기 메인샤프트(40)의 회전에 의해 작동되어 상기 핀사출물을 홀딩시키는 홀딩유닛(500);
    상기 핀바디(10)에 조립되고, 상기 메인샤프트(40)의 회전에 의해 작동되며, 커넥터하우징(20)으로 상기 핀사출물에서 분리된 핀단자를 밀어 이동시키는 푸셔(600);를 포함하는 핀삽입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핀바디(10)는,
    평평하게 형성된 제 1 플로어바디(11);
    상기 제 1 플로어바디(11)의 상측에 배치되는 제 2 플로어바디(12);
    상기 제 2 플로어바디(12)의 상측에 배치되는 제 3 플로어바디(13);
    상기 제 3 플로어바디(13)의 상측에 배치되는 제 4 플로어바디(14);
    상기 제 1 플로어바디(11), 제 2 플로어바디(12), 제 3 플로어바디(13) 및 제 4 플로어바디(14)가 결합되는 제 1 버티컬바디(15) 및 제 2 버티컬바디(16);를 포함하는 핀삽입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구동모터어셈블리(30)는,
    상기 핀바디(10)에 조립된 모터브래킷(35);
    상기 모터브래킷(35)에 조립된 모터(34);
    상기 모터(34)의 모터축(34a)에 조립되는 제 1 구동부(31);
    상기 메인샤프트(40)에 조립되고, 상기 제 1 구동부(31)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는 제 2 구동부(32);
    상기 제 1 구동부(31) 및 제 2 구동부(32)를 연결하는 동력전달부재(33);를 포함하는 핀삽입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메인샤프트에 조립되어 회전되고, 상기 펀치유닛(300)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펀치캠(44);
    상기 메인샤프트에 조립되어 회전되고, 상기 다이이동유닛(400)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다이캠(42);
    상기 메인샤프트에 조립되어 회전되고, 상기 홀딩유닛(500)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홀딩캠(43);
    상기 메인샤프트에 조립되어 회전되고, 상기 푸셔(600)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푸셔캠(41);을 포함하는 핀삽입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핀사출물(50)은,
    상기 커넥터하우징에 압입되고, 복수개가 이격되어 배치되는 핀단자(52)들;
    상기 핀단자(52)의 끝단에 배치되어 복수개의 핀단자(52)들을 연결하는 엔드캐리어(54);
    2개의 핀단자(52) 사이를 연결하는 사이드캐리어(55);를 포함하고,
    상기 커팅유닛(300)의 작동을 통해 상기 엔드캐리어(54) 및 사이드캐리어(55)를 동시에 제거하는 핀삽입장치.
KR1020220092495A 2021-09-28 2022-07-26 핀 삽입장치 KR2022011331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7794 2021-09-28
KR20210127794 2021-09-28
KR1020210128599 2021-09-29
KR20210128599 2021-09-29
KR1020210130084A KR102427227B1 (ko) 2021-09-28 2021-09-30 핀 삽입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0084A Division KR102427227B1 (ko) 2021-09-28 2021-09-30 핀 삽입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3310A true KR20220113310A (ko) 2022-08-12

Family

ID=8280377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2493A KR20220113309A (ko) 2021-09-28 2022-07-26 핀 삽입장치
KR1020220092495A KR20220113310A (ko) 2021-09-28 2022-07-26 핀 삽입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2493A KR20220113309A (ko) 2021-09-28 2022-07-26 핀 삽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220113309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832136A (zh) * 2024-03-04 2024-04-05 深圳市锐铂自动化科技有限公司 碳化硅模块的自动插针机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8585B1 (ko) 2012-09-20 2012-12-06 김근환 커넥터 핀 삽입 장치
KR101348813B1 (ko) 2012-12-04 2014-01-08 (주)아세아에프에이 커넥터용 터미널 핀 커팅 및 삽입장치
KR101689001B1 (ko) 2014-09-30 2016-12-22 이금영 커넥터용 터미널 핀 커팅 및 삽입 장치
KR102052010B1 (ko) 2018-09-04 2019-12-04 주식회사 비텍스 커넥터 핀 삽입 장치
KR102052008B1 (ko) 2018-09-04 2019-12-04 주식회사 비텍스 커넥터 핀 삽입 장치
KR102239497B1 (ko) 2020-09-22 2021-04-14 주식회사 비텍스 캠을 이용한 커넥터핀 삽입 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8585B1 (ko) 2012-09-20 2012-12-06 김근환 커넥터 핀 삽입 장치
KR101348813B1 (ko) 2012-12-04 2014-01-08 (주)아세아에프에이 커넥터용 터미널 핀 커팅 및 삽입장치
KR101689001B1 (ko) 2014-09-30 2016-12-22 이금영 커넥터용 터미널 핀 커팅 및 삽입 장치
KR102052010B1 (ko) 2018-09-04 2019-12-04 주식회사 비텍스 커넥터 핀 삽입 장치
KR102052008B1 (ko) 2018-09-04 2019-12-04 주식회사 비텍스 커넥터 핀 삽입 장치
KR102239497B1 (ko) 2020-09-22 2021-04-14 주식회사 비텍스 캠을 이용한 커넥터핀 삽입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3309A (ko) 2022-08-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46091B2 (ja) 動力伝達チェーンのリンクとピンとの圧入方法および圧入装置
US4765052A (en) Method of fitting rubber stoppers on wires
FI65871C (fi) Anordning foer montering av elektriska anslutningsdon i kablar
KR102427227B1 (ko) 핀 삽입장치
KR20220113310A (ko) 핀 삽입장치
CN103069667B (zh) 用于端子压接机的进给机构
CN109317775B (zh) 全自动出线放线装置及led自动焊线设备
CN105621071A (zh) 自动备料系统
KR20060033477A (ko) 자동 임펠러 조립기
KR101060252B1 (ko) 커넥터 밴도리어 핀 삽입 장치
KR20160038863A (ko) 커넥터용 터미널 핀 커팅 및 삽입 장치
US20070101799A1 (en) Crimp height adjustment mechanism
KR102239497B1 (ko) 캠을 이용한 커넥터핀 삽입 장치
CN114865423A (zh) 一种连接器端子组装装置
CN109877574B (zh) 一种小五孔插座自动组装流水线
CN107413908B (zh) 一种贯流风扇叶轮自动组装成型机
CN109552714B (zh) Type-C连接器自动检测包装机
KR101147485B1 (ko) 단자 밴딩기
CN116559730A (zh) 一种正负极插针检验装置及其检验方法
CN113745942A (zh) 连接器自动组装检测一体机
JP2006228746A (ja) 二芯シールド線のためのクランプ装置
CN114147474A (zh) 逆止阀组装测试生产线
JP4043228B2 (ja) 灯具組立装置
JP2830688B2 (ja) 充填機への空チューブ整列供給装置
CN216097387U (zh) 一种用于膜片与挡水盘的组装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