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1566B1 - 세미 패치워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세미 패치워크 방법 - Google Patents

세미 패치워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세미 패치워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1566B1
KR102051566B1 KR1020180133663A KR20180133663A KR102051566B1 KR 102051566 B1 KR102051566 B1 KR 102051566B1 KR 1020180133663 A KR1020180133663 A KR 1020180133663A KR 20180133663 A KR20180133663 A KR 20180133663A KR 102051566 B1 KR102051566 B1 KR 1020515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mi
patchwork
molding
place
lamin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36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우정
김동화
전형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새한산업
주식회사 명진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새한산업, 주식회사 명진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새한산업
Priority to KR10201801336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156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15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15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7/00Tools as parts of machines covered by this subclass
    • B21D37/10Die sets; Pillar guides
    • B21D37/12Particular guiding equipment, e.g. pliers; Special arrangements for interconnection or cooperation of d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22/00Shaping without cutting, by stamping, spinning, or deep-drawing
    • B21D22/20Deep-draw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haping Metal By Deep-Drawing,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세미 패치워크 장치는, 길이가 서로 다른 장소재와 단소재에서, 상기 장소재보다 길이가 짧은 상기 단소재가 상기 장소재에 적층된 적층소재가 안착되는 하부금형; 및 상기 하부금형의 상측에 배치된 상부금형;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금형은, 상기 장소재를 하측으로 압박하여 성형하는 회전성형부재와, 상기 단소재를 하측으로 압박하여 성형하는 승강성형부재로, 상기 장소재와 단소재를 서로 다른 형상으로 성형한다.

Description

세미 패치워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세미 패치워크 방법{APPARATUS FOR SEMI PATCHWORK AND METHOD FOR SEMI PATCHWORK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세미 패치워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세미 패치워크 방법으로서, 복수 개의 소재를 패치워크하는 세미 패치워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세미 패치워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차체부품 제조공정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블랭크 소재(B)를 각각의 공정으로 프레스 성형한 후, 성형된 부품을 용접으로 접합하여 어셈블리로 차체부품을 제조하였으며, 이 경우 각각의 부품을 성형하기 위한 각각의 금형장치(D)를 제작하여야 하고, 나아가 각각의 성형으로 생산하여야 함에 따라, 생산성 저해요인 및 각각의 금형장치(D) 제작으로 인한 투자비가 크게 발생하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단점을 개선하기 위한 종래의 패치워크 제조공정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재질 또는 두께가 서로 다른 블랭크 소재(B) 두 매를 용접한 후, 동시에 프레스로 성형함으로써 부품제조공정에 필요한 금형장치(D) 제작수량 및 제조공정을 줄였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 동일형상을 가지는 두 개의 부품에 한해서만 적용이 가능한 단점을 가지고 있고, 또한 블랭크 소재(B)를 우선 용접 후 밴딩 또는 절곡 등을 위한 측면부 성형과정에 있어서, 용접된 양측부에 성형이 이루어짐으로써, 성형에 따른 가공경화로 양측부에 형성된 용접부(W)가 파손 또는 결함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55029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두 개의 소재를 하나의 금형장치로 성형하고 동시에 서로 다른 형상으로 성형할 수 있는 세미 패치워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세미 패치워크 방법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미 패치워크 장치는, 길이가 서로 다른 장소재와 단소재에서, 상기 장소재보다 길이가 짧은 상기 단소재가 상기 장소재에 적층된 적층소재가 안착되는 하부금형; 및 상기 하부금형의 상측에 배치된 상부금형;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금형은, 상기 장소재를 하측으로 압박하여 성형하는 회전성형부재와, 상기 단소재를 하측으로 압박하여 성형하는 승강성형부재를 구비하여, 상기 장소재와 단소재를 서로 다른 형상으로 성형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하부금형은, 상기 적층소재의 중간부분이 안착되어 지지되도록 상측으로 돌출된 안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금형은, 상기 안착부에 안착된 상기 적층소재의 중간부분 상면을 하강하여 압박 지지하는 지지부가 형성되며, 상기 회전성형부재는, 상기 지지부에 설치되며, 상기 단소재가 비접하는 상기 장소재의 양측부분을 하측 압박하여 상기 장소재를 성형시킨다.
여기에서, 상기 회전성형부재는, 상기 지지부에 회전되게 장착된 회전바; 및 상기 회전바에 연결되며, 상기 회전바의 회전 시 연동회전하면서 상기 장소재의 양측부분을 하측으로 압박하여 절곡시키는 누름바;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승강성형부재는, 상기 지지부에 승강되게 조립되고, 하강 시 상기 단소재의 양측부분 각각을 하측 압박하여 절곡시키며, 상기 단소재를 절곡시키는 과정에서 상기 단소재에 접하는 측면에는, 상기 단소재의 측부를 압박하여 성형시키는 성형요철부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승강성형부재의 승강을 가이드하도록, 상기 승강성형부재의 성형요철부와 형합되게 상기 지지부의 측면에는 형합요철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금형은, 상기 안착부의 양측 하부에 측방향으로 측부패널이 연장형성되고, 상기 측부패널에 안착되어 상기 안착부 측으로 슬라이드 왕복이동하는 이동지지부재를 가지며, 상기 이동지지부재는, 상기 안착부 측으로 이동 후 상기 승강성형부재가 하강 시 상기 성형요철부의 홈에 인입되면서, 상기 성형요철부와의 사이에 배치된 상기 단소재의 측부를 상기 성형요철부와 함께 압박하여 성형시키는 상부기둥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길이가 서로 다른 장소재와 단소재에서, 상기 장소재보다 길이가 짧은 상기 단소재를 상기 장소재에 적층시켜 적층소재를 만드는 소재적층공정; 상기 적층소재의 중간부분을 용접하는 소재중간 용접공정; 중간부분이 용접된 상기 적층소재를,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의 세미 패치워크 장치로 성형하는 소재성형공정; 및 성형되어 절곡된 상기 적층소재의 양측부를 용접하는 소재양측부 용접공정;을 포함하는 세미 패치워크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세미 패치워크 장치는, 회전성형부재와 승강성형부재를 가진 상부금형과, 이동지지부재를 가진 하부금형이 구성됨으로써, 하나의 금형장치 구성으로 두 개의 소재를 동시에 성형하면서, 아울러 서로 다른 형상으로 성형할 수 있음에 따라, 두 개의 소재를 각각 별도의 금형장치로 성형할 필요가 없으므로 금형장치의 갯수 및 이에 따른 제조공정을 줄일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비용과 시간을 고려한 생산적인 측면에 있어서 효율적인 장점을 지닌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세미 패치워크 방법은, 두 개의 소재가 적층된 적층소재를 성형 전에 중간부분만 용접하고, 이후 절곡되면서 성형된 양측부를 용접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성형 전에 양측부를 용접하여 성형에 따른 가공경화로 용접부가 파손되거나 용접부에 결함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차체부품 제조공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패치워크 제조공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세미 패치워크 공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세미 패치워크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은 도 5의 세미 패치워크 장치로 소재를 성형하는 공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세미 패치워크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다.
이하, 본 발명의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도면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세미 패치워크 공정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세미 패치워크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6 및 도 7은 도 5의 세미 패치워크 장치로 소재를 성형하는 공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세미 패치워크 장치(SP)는 하부금형(100)과, 상부금형(200)을 포함한다.
여기에서, 상기 하부금형(100)은 적층소재(30)가 안착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하부금형(100)에는 길이가 서로 다른 장소재(10)와 단소재(20)에서, 길이가 장소재(10)보다 짧은 단소재(20)가 장소재(10)에 적층된 적층소재(30)가 안착된다.
또한, 상기 상부금형(200)은 하부금형(100)의 상측에 배치된다.
이때, 상기 상부금형(200)은 장소재(10)를 하측으로 압박하여 성형하는 회전성형부재(220)와, 단소재(20)를 하측으로 압박하여 성형하는 승강성형부재(230)를 구비하여, 장소재(10)와 단소재(20)를 서로 다른 형상으로 성형한다.
종래기술에 따르면, 실질적으로 두 개의 소재를 성형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성형에 필요한 금형장치를 마련해야 하고, 아울러 각각의 독립적인 성형과정을 거쳐야 하기 때문에, 비용과 시간을 고려한 생산적인 측면에 있어서 비효율적인 단점이 있다. 참고로, 이때 금형장치는 상부금형과 하부금형으로 이루어진 하나의 세트를 지칭한다.
물론, 두 개의 소재를 하나의 금형장치로 성형할 수도 있는데, 이러한 경우 두 개의 소재가 동일한 형상으로만 성형되기 때문에, 두 개의 소재를 각각 다른 형상으로 성형하여 제조된 부품을 얻을 수 없는 한계점이 있다.
이와 같은 단점과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세미 패치워크 장치(SP)는 하나의 금형장치로 두 개의 소재를 서로 다른 형상으로 성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세미 패치워크 장치(SP)에서 상부금형(200)은, 길이가 서로 다른 장소재(10)와 단소재(20)로 이루어진 적층소재(30)에서 장소재(10)와 단소재(20)를 서로 다른 형상으로 성형하도록, 회전성형부재(220)와 승강성형부재(230)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하부금형(100)은 적층소재(30)의 중간부분(30a)이 안착되어 지지되도록 상측으로 돌출된 안착부(110)가 형성된다.
즉, 상기 적층소재(30)는 양측부(30b)가 안착부(110)에 안착되지 않고 안착부(110) 양측에서 공중에 떠있는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부금형(100)의 안착부(110) 상면이 적정한 크기를 가진다.
더욱 구체적으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층소재(30)에서 장소재(10)의 양측부(10b)가 안착부(110)에서 가장 많이 양측으로 길게 돌출되고, 장소재(10)의 상면에 적층된 단소재(20)의 양측부(20b)도 안착부(110)의 양측으로 장소재(10)의 측부보다는 짧게 돌출되어 배치된다.
이때, 상기 하부금형(100)은 비록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안착부(100)에 적층소재(30)를 센터링하기 위해 구성되는 센터링가이드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금형(200)은 안착부(110)에 안착된 적층소재(30)의 중간부분(30a) 상면을 하강하여 압박 지지하는 지지부(210)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금형(200)의 회전성형부재(220)는 지지부(210)에 설치되며, 단소재(20)가 비접하는 장소재(10)의 양측부(10b)를 하측 압박하여 장소재(10)를 성형시킨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회전성형부재(220)는 회전바(221)와 누름바(222)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회전바(221)는 지지부(210)에 회전되게 장착된다.
아울러, 상기 누름바(222)는 회전바(221)에 연결되며, 회전바(221)의 회전 시 연동회전하면서 장소재(10)의 양측부(10b)를 하측으로 압박하여 절곡시킨다.
바람직한 일예로서, 상기 회전바(221)는 두 개가 마련되어, 한 개씩 일단부가 지지부(210)의 전면부와 후면부 각각에 회전되게 연결되며, 상기 누름바(222)는 두 개 회전바(221)의 타단부를 연결하여 회전바(221)가 일단부를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면 함께 회전하는 구조를 취함에 따라, 도 6(c) 및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누름바(222)의 하강 회전 시 적층소재(30)에서 단소재(20)와 겹쳐지지 않은 장소재(10)의 양측부(10b)를 눌러서 하측으로 절곡시킨다.
한편, 상기 상부금형(200)의 승강성형부재(230)는 지지부(210)에 승강되게 조립되고, 하강 시 단소재(20)의 양측부(20b)분 각각을 하측 압박하여 절곡시킨다.
즉, 상기 승강성형부재(230)는 지지부(210)의 측면에 슬라이드 승강되는 조립구조를 취하며, 하강 시 적층소재(30)에서 단소재(20)의 측부를 눌러서 하측으로 절곡시킨다.
다시 말해, 상기 적층소재(30)에서 장소재(10)의 측부는 회전성형부재(220)의 누름바(222) 회전에 의해 하측으로 압박되어 절곡되고, 누름바(222)에 의해 눌러지지 않은 단소재(20)의 측부는 승강성형부재(230)의 하강에 의해 하측으로 압박되어 절곡된다.
나아가, 상기 승강성형부재(230)의 승강을 가이드하도록, 승강성형부재(230)의 성형요철부(231)와 형합되게 지지부(210)의 측면에는 형합요철부(210a)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형합요철부(210a)는 승강성형부재(230)의 성형요철부(231)가 조립되는 부분으로서 성형요철부(231)가 접하도록 조립되면, 승강성형부재(230)가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차단되고 상하방향으로 수직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함에 따라, 승강성형부재(230)가 원활하면서도 안정적으로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승강성형부재(230)는 단소재(20)를 절곡시키는 과정에서 단소재(20)에 접하는 측면에, 단소재(20)의 측부를 압박하여 성형시키는 성형요철부(231)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성형요철부(231)는 단소재(20)의 측부 성형형상과 형합되는 구조를 취함으로써, 단소재(20)의 측부가 승강성형부재(230)에 의하여 하측으로 눌려서 하측으로 절곡 시, 성형요철부(231)가 단소재(20)의 측부 상면을 누르면서 성형시킴에 따라, 단소재(20)의 측부가 성형요철부(231)와 형합되는 성형형상을 이루게 된다.
물론, 이와 같은 단소재(20)의 측부 성형은, 승강성형부재(230)의 성형요철부(231)가 단소재(20)의 측부를 누를 때, 하부금형(100)도 하측에서 단소재(20)의 측부를 지지함으로써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상기 하부금형(100)은 안착부(110)의 양측 하부에 측방향으로 측부패널이 연장형성되고, 상기 측부패널에 안착되어 안착부(110) 측으로 슬라이드 왕복이동하는 이동지지부재(130)를 가진다.
이때, 상기 이동지지부재(130)는 승강성형부재(230)가 하강 시 성형요철부(231)의 홈에 인입되면서, 성형요철부(231)와의 사이에 배치된 단소재(20)의 측부를 성형요철부(231)와 함께 압박하여 성형시키는 상부기둥(131)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도 6(d)와 도 6(e) 및 도 7(d)와 도 7(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승강성형부재(230)의 성형요철부(231)가 단소재(20)의 측부 상면을 누를 때, 이동지지부재(130)의 상부기둥(131)이 단소재(20)의 측부 하면을 지지함으로써, 단소재(20)의 측부가 절곡되면서 측부에 성형형상이 형성된다.
그러면, 상술된 세미 패치워크 장치(SP)를 이용하여 두 개의 소재를 세미 패치워크하는 방법에 대해, 도 3 내지 도 8 중에서 도 6 내지 도 8을 주로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전체적으로, 상기 세미 패치워크 방법은 소재적층공정(S100), 소재중간 용접공정(S200), 소재성형공정(S300), 및 소재양측 용접공정(S400)을 순차적으로 거치면서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 소재적층공정(S100)은 단소재(20)를 장소재(10)에 적층시켜 적층소재(30)를 만드는 공정이다.
이와 같이 단소재(20)가 장소재(10)에 적층 시, 장소재(10)의 양측부(10b) 상면이 노출되도록 장소재(10)의 중간부분(30a)에 단소재(20)가 적층된다.
이어서, 적층소재(30)의 중간부분(30a)을 용접하는 소재중간 용접공정(S200)이 수행된다.
상기 소재중간 용접공정(S200)은 적층된 장소재(10)와 단소재(20)를 서로 고정시키도록 하기 위해 용접하는 공정으로서, 추후 적층소재(30)의 양측부(30b)를 절곡시키는 소재성형공정(S300)에 대비하여 적층소재(30)의 중간부분(30a)만을 먼저 용접하는 공정이다.
만약,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층소재(30)의 중간부분(30a) 뿐만 아니라 양측부(30b)도 성형전에 용접이 이루어진다면, 용접에 의하여 적층소재(30)의 양측부(30b)에 형성된 용접부(W)가 성형에 따른 가공경화로 파손 또는 결함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아울러 장소재(10)와 단소재(20)를 서로 다른 형상으로 성형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소재성형공정(S300) 전에는 적층소재(30)의 중간부분(30a)만을 먼저 용접한다. 이때, 적층소재(30)에서 용접된 부위는 용접부(W)로 지칭한다.
참고로, 상기 적층소재(30)의 중간부분(30a)은 구체적으로 상부금형(200)과 하부금형(100)에 의해 성형 시, 걸리지 않거나 슬라이드 마찰되지 않는 부분을 의미한다.
즉, 만약에 적층소재(30)의 중간부분(30a)과 대응되는 상부금형(200)과 하부금형(100)의 부분에 성형을 가하기 위한 요철부분, 즉 평평하지 않는 부분이 있다면, 적층소재(30)의 중간부분(30a)은 추후 상부금형(200)과 하부금형(100)으로 압박 시 걸리지 않거나 슬라이드 마찰되지 않는 부분으로 한정되며, 이와 같이 걸리지 않거나 마찰되지 않는 부분의 용접부는 추후 성형 시 가공경화에 의해 손상되지 않게 된다.
상기 소재중간 용접공정(S200)의 다음으로 소재성형공정(S300)이 수행되는데, 이러한 소재성형공정(S300)은 중간부분(30a)이 용접된 적층소재(30)를, 상술된 세미 패치워크 장치(SP)로 성형하는 공정이다.
구체적으로, 도 6(a) 및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장소재(10)와 단소재(20)가 순차적으로 적층된 적층소재(30)를 하부금형(100)의 안착부(110)에 안착시킨다.
이어서, 도 6(b) 및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금형(200)을 하강시켜 상부금형(200)의 지지부(210)가 적층소재(30)의 상면을 압박 지지하도록 한다.
다음으로, 도 6(c) 및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금형(200)의 회전성형부재(220)를 하측으로 회전함으로써, 장소재(10)의 양측부(10b)를 하측으로 눌러서 하측으로 절곡시킨다.
그 다음으로, 도 6(d) 및 도 7(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금형(100)의 이동지지부재(130)를 안착부(110) 측으로 이동시켜서, 단소재(20) 양측부(20b)의 하면을 지지하도록 한다.
마지막으로, 도 6(e) 및 도 7(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금형(200)의 승강성형부재(230)를 하강시켜 단소재(20)의 양측부(20b)를 하측으로 절곡시키면서, 승강성형부재(230)의 성형요철부(231)와 이동지지부재(130)의 상부기둥(131)에 의해 성형형상을 형성시킨다.
상기 소재성형공정(S300)이 끝나면, 성형되어 절곡된 적층소재(30)의 양측부(30b)를 용접하는 소재양측 용접공정(S400)이 수행됨으로써, 종국적으로 두 개의 소재가 하나의 금형장치에 의하여 서로 다른 성형형상으로 제조된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세미 패치워크 장치(SP)는, 회전성형부재(220)와 승강성형부재(230)를 가진 상부금형(200)과, 이동지지부재(130)를 가진 하부금형(100)이 구성됨으로써, 하나의 금형장치 구성으로 두 개의 소재를 동시에 성형하면서, 아울러 서로 다른 형상으로 성형할 수 있음에 따라, 두 개의 소재를 각각 별도의 금형장치로 성형할 필요가 없으므로 금형장치의 갯수 및 이에 따른 제조공정을 줄일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비용과 시간을 고려한 생산적인 측면에 있어서 효율적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세미 패치워크 방법은, 두 개의 소재가 적층된 적층소재(30)를 성형 전에 중간부분(30a)만 용접하고, 이후 절곡되면서 성형된 양측부(30b)를 용접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성형 전에 양측부(30b)를 용접하여 성형에 따른 가공경화로 용접부(W)가 파손되거나 용접부(W)에 결함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 장소재 10b : (장소재의)양측부
20 : 단소재 20b : (단소재의)양측부
30 : 적층소재 30a : (적층소재의)중간부분
30b : (적층소재의)양측부 W : 용접부
SP : 세미 패치워크 장치
100 : 하부금형 110 : 안착부
120 : 측부패널 130 : 이동지지부재
131 : 상부기둥
200 : 상부금형 210 : 지지부
210a : 형합요철부 220 : 회전성형부재
221 : 회전바 222 : 누름바
230 : 승강성형부재 231 : 성형요철부
S100 : 소재적층공정 S200 : 소재중간 용접공정
S300 : 소재성형공정 S400 : 소재양측 용접공정

Claims (7)

  1. 길이가 서로 다른 장소재와 단소재에서, 상기 장소재보다 길이가 짧은 상기 단소재가 상기 장소재에 적층된 적층소재가 안착되는 하부금형; 및 상기 하부금형의 상측에 배치된 상부금형;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금형은, 상기 장소재를 하측으로 압박하여 성형하는 회전성형부재와, 상기 단소재를 하측으로 압박하여 성형하는 승강성형부재를 구비하여, 상기 장소재와 단소재를 서로 다른 형상으로 성형하며,
    상기 하부금형은, 상기 적층소재의 중간부분이 안착되어 지지되도록 상측으로 돌출된 안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금형은, 상기 안착부에 안착된 상기 적층소재의 중간부분 상면을 하강하여 압박 지지하는 지지부가 형성되며, 상기 회전성형부재는, 상기 지지부에 설치되며, 상기 단소재가 비접하는 상기 장소재의 양측부분을 하측 압박하여 상기 장소재를 성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미 패치워크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성형부재는,
    상기 지지부에 회전되게 장착된 회전바; 및
    상기 회전바에 연결되며, 상기 회전바의 회전 시 연동회전하면서 상기 장소재의 양측부분을 하측으로 압박하여 절곡시키는 누름바;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미 패치워크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성형부재는,
    상기 지지부에 승강되게 조립되고, 하강 시 상기 단소재의 양측부분 각각을 하측 압박하여 절곡시키며,
    상기 단소재를 절곡시키는 과정에서 상기 단소재에 접하는 측면에는, 상기 단소재의 측부를 압박하여 성형시키는 성형요철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미 패치워크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성형부재의 승강을 가이드하도록, 상기 승강성형부재의 성형요철부와 형합되게 상기 지지부의 측면에는 형합요철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미 패치워크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금형은, 상기 안착부의 양측 하부에 측방향으로 측부패널이 연장형성되고, 상기 측부패널에 안착되어 상기 안착부 측으로 슬라이드 왕복이동하는 이동지지부재를 가지며,
    상기 이동지지부재는,
    상기 안착부 측으로 이동 후 상기 승강성형부재가 하강 시 상기 성형요철부의 홈에 인입되면서, 상기 성형요철부와의 사이에 배치된 상기 단소재의 측부를 상기 성형요철부와 함께 압박하여 성형시키는 상부기둥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미 패치워크 장치.
  7. 길이가 서로 다른 장소재와 단소재에서, 상기 장소재보다 길이가 짧은 상기 단소재를 상기 장소재에 적층시켜 적층소재를 만드는 소재적층공정;
    상기 적층소재의 중간부분을 용접하는 소재중간 용접공정;
    중간부분이 용접된 상기 적층소재를, 제1항, 및 제3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의 세미 패치워크 장치로 성형하는 소재성형공정; 및
    성형되어 절곡된 상기 적층소재의 양측부를 용접하는 소재양측부 용접공정;
    을 포함하는 세미 패치워크 방법.
KR1020180133663A 2018-11-02 2018-11-02 세미 패치워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세미 패치워크 방법 KR1020515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3663A KR102051566B1 (ko) 2018-11-02 2018-11-02 세미 패치워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세미 패치워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3663A KR102051566B1 (ko) 2018-11-02 2018-11-02 세미 패치워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세미 패치워크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51566B1 true KR102051566B1 (ko) 2019-12-05

Family

ID=690023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3663A KR102051566B1 (ko) 2018-11-02 2018-11-02 세미 패치워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세미 패치워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1566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37830A (ja) * 1999-02-16 2000-09-05 Punch Kogyo Kk ヘミング成形金型およびそれを用いたヘミング成形方法
JP2002263744A (ja) * 2001-03-06 2002-09-17 Toyota Motor Corp 金属成形品の絞り成形方法および絞り成形用プレス金型
KR20030005832A (ko) * 2001-07-10 2003-01-2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복합 프레스 금형
KR100955855B1 (ko) * 2008-02-26 2010-05-04 주식회사 세원정공 2매 이상 판재로 성형된 부품의 제조 방법
KR200455029Y1 (ko) 2008-12-31 2011-08-12 주식회사 동구기업 프레스 금형의 평면벤딩과 경사면포밍 동시성형장치
JP2017177115A (ja) * 2016-03-28 2017-10-05 新日鐵住金株式会社 プレス成形品、プレス成形方法及びその装置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37830A (ja) * 1999-02-16 2000-09-05 Punch Kogyo Kk ヘミング成形金型およびそれを用いたヘミング成形方法
JP4530440B2 (ja) * 1999-02-16 2010-08-25 パンチ工業株式会社 ヘミング成形金型
JP2002263744A (ja) * 2001-03-06 2002-09-17 Toyota Motor Corp 金属成形品の絞り成形方法および絞り成形用プレス金型
KR20030005832A (ko) * 2001-07-10 2003-01-2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복합 프레스 금형
KR100955855B1 (ko) * 2008-02-26 2010-05-04 주식회사 세원정공 2매 이상 판재로 성형된 부품의 제조 방법
KR200455029Y1 (ko) 2008-12-31 2011-08-12 주식회사 동구기업 프레스 금형의 평면벤딩과 경사면포밍 동시성형장치
JP2017177115A (ja) * 2016-03-28 2017-10-05 新日鐵住金株式会社 プレス成形品、プレス成形方法及びその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723578B (zh) 中空铝型材拼合圆弧板的搅拌摩擦焊接方法
JP6659380B2 (ja) プレス成形品の製造方法及びプレス成形装置
JP4630392B2 (ja) 車両用パネルのヘミング装置
JP6506054B2 (ja) サンルーフパネル用のレール成形装置
KR102051566B1 (ko) 세미 패치워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세미 패치워크 방법
KR101498997B1 (ko) 헤드레스트 스테이 홈 성형 및 벤딩 장치
EP146219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cremental forming
KR20120033752A (ko) 테일 게이트 인너 성형 방법
KR20130040998A (ko) 플레이트 벤딩 장치
JP6721544B2 (ja) プレス成形品の製造方法
KR101876442B1 (ko) 자동차의 루프프레임 조립체 제조용 지그
KR101955150B1 (ko) 용접을 이용한 알루미늄 거푸집의 제작방법
KR101891467B1 (ko) 알루미늄 거푸집 제작용 지그장치
JPH03230821A (ja) ヘミング用プレス型
JP3675714B2 (ja) 鉄道車両の妻の製作方法及び鉄道車両の車体
JP6124152B2 (ja) ロール成形機およびロール成形する方法
KR20120000454A (ko) 로봇 롤러 헤밍 장치
CN111014477B (zh) 集成式水平折弯压合机构
KR101397850B1 (ko) 도어 프레임커버의 압착장치 및 방법
KR102615002B1 (ko) 베어링 조립장치
KR101714071B1 (ko) 도어 프레임의 패킹채널 절곡장치
JP5360995B2 (ja) 張り出し成形金型及び張り出し成形方法
KR102565734B1 (ko) 조글단의 동시 성형이 가능한 프레스 성형장치
JP2013537111A (ja) 少なくとも一部が閉じられた中空異型材を短いサイクルタイムで製造する装置および方法
JP7054295B2 (ja) 管状部品のプレス成形方法及びこれに用いるo曲げ金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