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6303B1 - 근시 제어 광학부 및 항무스카린성 제제를 포함하는 렌즈 - Google Patents

근시 제어 광학부 및 항무스카린성 제제를 포함하는 렌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6303B1
KR102046303B1 KR1020130090714A KR20130090714A KR102046303B1 KR 102046303 B1 KR102046303 B1 KR 102046303B1 KR 1020130090714 A KR1020130090714 A KR 1020130090714A KR 20130090714 A KR20130090714 A KR 20130090714A KR 102046303 B1 KR102046303 B1 KR 1020463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drug
myopia
lenses
atrop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907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16851A (ko
Inventor
칼리드 쉐하브
아더 에이치. 쥬니어 쉐던
쉬 청
Original Assignee
존슨 앤드 존슨 비젼 케어,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존슨 앤드 존슨 비젼 케어,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존슨 앤드 존슨 비젼 케어,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400168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68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63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63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4Synthetic polymeric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5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even-membered rings, e.g. azelastine, pentylenetetrazole
    • A61K31/551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even-membered rings, e.g. azelastine, pentylenetetrazole having two nitrogen atoms, e.g. dilazep
    • A61K31/55131,4-Benzodiazepines, e.g. diazepam or clozap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468-Azabicyclo [3.2.1] octane; Derivatives thereof, e.g. atropine, coca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senses
    • A61P27/02Ophthalm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senses
    • A61P27/02Ophthalmic agents
    • A61P27/10Ophthalmic agents for accommodation disorders, e.g. myopia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 G02C7/04Contact lenses for the ey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008Introducing ophthalmic products into the ocular cavity or retaining products therein
    • A61F9/0017Introducing ophthalmic products into the ocular cavity or retaining products therein implantable in, or in contact with, the eye, e.g. ocular insert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2202/00Generic optical aspects applicable to one or more of the subgroups of G02C7/00
    • G02C2202/24Myopia progression preven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 G02C7/04Contact lenses for the eyes
    • G02C7/041Contact lenses for the eyes bifocal; multifoca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ublic Health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pidemiolog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Eyeglasses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Abstract

콘택트 렌즈와 같은 안과용 장치는 근시를 제어하는 것으로 또한 알려진 치료제와 조합된 근시 제어 광학부를 포함하여 약물 전달 메커니즘을 생성하여 개인에서 근시의 진행을 억제 또는 중단시킬 수 있다. 근시 제어 광학부를 포함하는 다수의 콘택트 렌즈가 아트로핀, 아트로핀 설페이트 모노하이드레이트, 및/또는 피렌제핀과 같은 치료제와 조합될 수 있다.

Description

근시 제어 광학부 및 항무스카린성 제제를 포함하는 렌즈 {LENS INCORPORATING MYOPIA CONTROL OPTICS AND MUSCARINIC AGENTS}
본 발명은 안과용 렌즈, 더욱 구체적으로는, 근시 진행을 늦추거나, 지연시키거나, 예방하도록 설계된 안과용 렌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안과용 렌즈는 아트로핀, 아트로핀 설페이트 모노하이드레이트 및 피렌제핀을 포함하는 항무스카린성 제제와 조합된 근시 제어 광학부(myopia control optics)를 포함하여 근시 진행 제어를 증가시키는 효과를 생성한다.
근시 또는 근시안은 이미지로부터의 광선이 망막에 도달하기 전의 점에 초점이 맞춰지는 눈의 광학 또는 굴절 결함이다. 근시는 일반적으로 안구의 축 길이가 너무 길거나 또는 각막의 전방 표면이 너무 가파르기(steep) 때문에 발생한다. 근시는 미국 인구의 최대 33 퍼센트, 세계적으로 일부에서는, 인구의 최대 75 퍼센트에 영향을 미친다. 이러한 굴절 이상의 원인은 알려져 있지 않으나; 유전적 요인과 환경적 요인의 조합으로 인한 것이 가능성이 크다. 마이너스 도수 구면 렌즈(minus powered spherical lens)가 근시를 교정하는 데 이용될 수 있다. 마이너스 도수 렌즈는 유입되는 광선을 발산(diverge)시켜 이미지의 초점을 뒤로 황반 상으로 이동시킨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바와 같이, 이러한 교정 렌즈는 근시를 치료하지만, 근시의 진행을 예방하지는 못한다.
특히 아동에서, 근시 진행을 늦추거나 지연시키는 다수의 방법이 제안되고 개발되어 왔다. 이들 방법은 다초점 렌즈의 사용, 하나 이상의 수차가 도입된 렌즈의 사용, 수차를 제어하는 렌즈의 사용, 축외 도수 렌즈(off axis power lens)의 사용, 각막 재성형(reshaping), 눈 운동, 및 약리학적 또는 약물 요법의 사용을 포함한다.
다초점 렌즈 및 수차를 갖는 렌즈의 사용은, 다수의 발표된 연구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렌즈가 착용자의 원거리 시력을 약화시킬 수 있고, 연령이 일치하는 대조군 그룹에 비해 축 연장(axial elongation) 또는 굴절차(refractive difference)의 치료 효능이 30 퍼센트 내지 50 퍼센트 정도로 제한된다는 점에서 다소 불리한 것으로 입증되었다. 상기에 기재된 다른 방법들은 또한, 각막 재성형에서와 같은, 불편감, 및 약리학적 또는 약물 요법에서와 같은, 잠재적으로 바람직하지 않은 부작용을 포함하는 불리한 점들을 겪는다. 특히, 비선택성 항무스카린성 제제인 아트로핀은 다수의 연구에서 근시의 치료에 유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현재 이용가능한 요법들의 불리한 점들을 최소화시키면서 원하는 효과를 달성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개별 요법의 이점들을 조합한, 근시 진행의 억제, 예방 및/또는 제어 중 적어도 하나를 위한 요법에 대한 필요성이 존재한다.
본 발명의, 근시 제어 광학부 및 선택성 또는 비선택성 항무스카린성 제제를 포함하는 콘택트 렌즈는 종래 기술과 관련된 다수의 불리한 점들을 해결한다.
일 태양에 따르면, 본 발명은 근시 진행의 억제, 예방 및/또는 제어 중 적어도 하나를 위한 안과용 렌즈에 관한 것이다. 상기 안과용 렌즈는 제1 재료로부터 형성되며 근시 제어 광학부를 포함하는 콘택트 렌즈, 및 상기 콘택트 렌즈를 형성하는 상기 제1 재료에 부착되거나 또는 포함되는 것 중 적어도 하나가 되는 혼합물에 포함되는 항무스카린성 제제를 포함하며, 상기 항무스카린성 제제는 미리 결정된 기간에 걸쳐 눈 안으로 용출되도록 구성된다.
전세계에서 수억 명이 그들의 눈의 굴절 이상을 교정하기 위해 안경 또는 콘택트 렌즈와 같은 교정 렌즈를 착용한다. 굴절 이상은 각막의 왜곡 및/또는 안구의 초점 길이와 눈의 굴절력의 부조화에 의해 야기된다. 예를 들어, 가파른 각막 또는 안구의 지나치게 긴 축 길이는 근시를 야기하며, 편평한 각막 또는 안구의 짧은 축 길이는 원시를 야기하고, 불규칙하거나 도넛형으로 만곡된 각막은 난시를 야기한다. 이러한 굴절 이상에 대한 현재의 표준 치료법은 콘택트 렌즈 또는 안경과 같은 교정 렌즈를 착용하는 것을 수반한다. 이러한 굴절 이상의 더욱 강력한 치료법에는 레이저 어블레이션 또는 유수정체 안내 렌즈(phakic intraocular lens)의 삽입을 이용한 각막의 재성형에 의해 환자에게 개선된 시력을 제공하는 것을 수반할 수 있는 안수술이 포함된다. 그러나, 이러한 장치, 기술 및/또는 절차는 단지 이러한 굴절 이상 또는 편차의 증상만을 다루며 안구의 축 연장 및 후속적인 근시의 증가를 고치지는 못한다. 이러한 외과적 개입은 또한 상당한 유해 사례 위험성(adverse event risk)을 제기할 수 있다. 또한, 임의의 이러한 장치 및/또는 기술을 통한 교정을 사용하더라도, 유전적 및 환경적 영향, 예를 들어, 컴퓨터 작업 및 비디오 게임을 포함하는 과도한 근초점 활동(near focus activity), 및 야외 활동의 결여는 눈의 성장에 추가로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 다시 말해, 근시가 계속해서 발전하고/하거나 악화된다.
본 발명은, 근시 진행의 억제, 예방 및/또는 제어 중 적어도 하나를 목적으로 하는, 선택성 또는 비선택성 약리학적 제제, 예를 들어, 아트로핀, 아트로핀 설페이트 모노하이드레이트, 피렌제핀, 및/또는 유사 기능 화합물과 근시 제어 광학부, 다초점/이중초점 광학부, 단초점 광학부, 및/또는 난시 광학부를 포함하는, 하이드로젤 재료, 예를 들어, 에타필콘 A 또는 실리콘 하이드로젤, 예를 들어, 나라필콘 A 및/또는 나라필콘 B, 갈리필콘 A 또는 세노필콘 A로 제조된 복합 콘택트 렌즈 제품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증가된 근시 제어 치료 성과뿐만 아니라 약리학적 효과 및 그에 따라 증가된 환자 허용성(patient acceptance)을 이용하기 위하여, 근시 제어 광학부와의 조합으로, 상기에 기재된 것들을 포함하는 다수의 선택성 또는 비선택성 길항제 화합물이 더 적고 더 안전한 용량, 예를 들어, 렌즈의 0.002 내지 0.83 중량%에 해당하는, 콘택트 렌즈당 0.0005 내지 0.5 ㎎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렌즈의 특별한 이점은 이러한 치료제가, 눈에 적용되는 치료제 0.25 ㎎에 해당하는, 용액 중 0.5 퍼센트 초과의 용량으로 이용될 때, 동공 확장을 야기하는 시각적 인공물이 최소화되거나 없이, 허용가능하고 기능적인 적응(accommodation)을 유지하면서, 광학부와 치료제 사이의 상승 효과로 인해 치료 효능이 증가된다는 점이다.
본 발명의 상기 및 다른 특징들과 이점들은 첨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들의 하기의 보다 구체적인 설명으로부터 명백할 것이다.
<도 1a 및 도 1b>
도 1a 및 도 1b는 아트로핀 설페이트 모노하이드레이트 및 아트로핀 각각의 화학 구조를 나타낸다.
<도 2>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아큐브(ACUVUE)(등록상표) 트루아이(TrueEye)(등록상표) 브랜드 콘택트 렌즈 및 원데이 아큐브(1-DAY ACUVUE)(등록상표) 모이스트(MOIST)(등록상표) 브랜드 콘택트 렌즈 둘 모두에서의 다양한 용매의 그래프적 설명이다.
<도 3a>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약물 로딩된 원데이 아큐브(등록상표) 모이스트(등록상표) 브랜드 콘택트 렌즈에 대한 투과율과 파장 사이의 관계를 그래프로 나타낸다.
<도 3b>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약물 로딩된 아큐브(등록상표) 트루아이(등록상표) 브랜드 콘택트 렌즈에 대한 투과율과 파장 사이의 관계를 그래프로 나타낸다.
<도 4a>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약물 로딩된 원데이 아큐브(등록상표) 모이스트(등록상표) 브랜드 콘택트 렌즈에서의 라이소자임 흡수를 그래프로 나타낸다.
<도 4b>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약물 로딩된 아큐브(등록상표) 트루아이(등록상표) 브랜드 콘택트 렌즈에서의 라이소자임 흡수를 그래프로 나타낸다.
<도 5>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약물 로딩된 원데이 아큐브(등록상표) 모이스트(등록상표) 브랜드 콘택트 렌즈로부터의 장기간 약물 방출을 그래프로 나타낸다.
<도 6>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약물 로딩된 원데이 아큐브(등록상표) 모이스트(등록상표) 브랜드 콘택트 렌즈로부터의 단기간 약물 방출을 그래프로 나타낸다.
<도 7>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약물 로딩된 아큐브(등록상표) 트루아이(등록상표) 브랜드 콘택트 렌즈로부터의 장기간 약물 방출을 그래프로 나타낸다.
<도 8>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약물 로딩된 아큐브(등록상표) 트루아이(등록상표) 브랜드 콘택트 렌즈로부터의 단기간 약물 방출을 그래프로 나타낸다.
<도 9>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산 조건으로부터 로딩된 아큐브(등록상표) 트루아이(등록상표) 브랜드 콘택트 렌즈 및 원데이 아큐브(등록상표) 모이스트(등록상표) 브랜드 콘택트 렌즈 둘 모두로부터의 12시간 기간에 걸친 아트로핀의 누적 방출을 그래프로 나타낸다.
<도 10a>
도 10a는 본 발명에 따른, 아큐브(등록상표) 트루아이(등록상표) 브랜드 콘택트 렌즈로부터의 다양한 농도의 아트로핀 설페이트 모노하이드레이트의 누적 방출을 그래프로 나타낸다.
<도 10b>
도 10b는 본 발명에 따른, 원데이 아큐브(등록상표) 모이스트(등록상표) 브랜드 콘택트 렌즈로부터의 다양한 농도의 아트로핀의 누적 방출을 그래프로 나타낸다.
<도 11a>
도 11a는 본 발명에 따른, 아트로핀 설페이트 모노하이드레이트 침지된 아큐브(등록상표) 트루아이(등록상표) 브랜드 콘택트 렌즈의 누적 방출을 그래프로 나타낸다.
<도 11b>
도 11b는 본 발명에 따른, 아트로핀 설페이트 모노하이드레이트 침지된 원데이 아큐브(등록상표) 모이스트(등록상표) 브랜드 콘택트 렌즈의 누적 방출을 그래프로 나타낸다.
<도 12>
도 12는 근시 제어 광학부를 포함하는 안과용 렌즈의 도식적 설명이다.
본 발명은 중간 내지 낮은 수준, 예를 들어, 콘택트 렌즈의 렌즈당 0.25 ㎎ 미만의 치료제, 예를 들어, 아트로핀 및/또는 피렌제핀을 근시 제어 콘택트 렌즈에 포함시켜 근시 진행을 효과적으로 늦추거나 중단시키는 것에 관한 것이다. 아트로핀은 천연 트로판 알칼로이드이고, 눈의 근육에서 발견되며 동공의 크기 및 수정체의 형상을 제어하는 데 관여하는 무스카린성 수용체를 차단함으로써 작용하는 비선택성 항무스카린성 제제로 분류된다. 연구들에서 점안(ocular instillation)에 의한 아트로핀이 근시의 치료에 유용한 것으로 입증되었다. 아트로핀의 점안은 체순환으로의 약물의 전달, 및 빈맥, 체온 증가 및 흥분(agitation)과 같은 유해 효과와 관련된 위험성을 야기한다. 따라서, 바람직한 전달 방법은 콘택트 렌즈를 통한 것일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근시의 진행을 늦추거나 중단시키기 위한, 선택성 또는 비선택성 길항제, 예를 들어, 아트로핀, 또는 유사 기능 화합물과 근시 제어 광학부를 포함하는, 하이드로젤 재료, 예를 들어, 에타필콘 A 또는 실리콘 하이드로젤, 예를 들어, 나라필콘 A 또는 B, 갈리필콘 A 또는 세노필콘 A로 제조된 복합 콘택트 렌즈 제품이다. 본질적으로, 낮은 용량의 근시 제어 약물을 근시 제어 광학부와 조합하면, 광학부 또는 약물 각각으로부터의 잠재적인 부작용이 감소되면서 더 큰 치료 효능을 야기하는 바람직한 효과가 얻어질 것이다. 게다가, 환자는 장치의 광학부에 의해 제공되는 근시의 굴절 교정으로부터 이득을 얻을 것이기 때문에, 아트로핀과 같은 약리학적 제제의 국소 점안과 비교하여 순응성(compliance)이 개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 형태의 설명에서는 용어를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예를 들어, 치료제가 1 중량 퍼센트로 기재된 경우, 이는 용액에서의 그의 농도이며, 결과적으로는 눈에 노출되는 치료제 0.5 ㎎에 해당하고, 이는 결과적으로는 콘택트 렌즈 중 약물 1.66 중량 퍼센트, 또는 중량이 약 30 ㎎인 에타필콘 A 렌즈의 경우 0.5 ㎎/렌즈에 해당한다. 따라서, 치료제가 0.5 중량 퍼센트로 기재된 경우, 이는 용액에서의 그의 농도이며, 결과적으로는 눈에 노출되는 치료제 0.25 ㎎에 해당하고, 이는 결과적으로 콘택트 렌즈 중 약물 0.83 중량 퍼센트, 또는 0.25 ㎎/렌즈에 해당하며, 치료제가 0.01 중량 퍼센트로 기재된 경우, 이는 용액에서의 그의 농도이며, 결과적으로는 눈에 노출되는 치료제 0.005 ㎎에 해당하고, 이는 결과적으로 콘택트 렌즈 중 약물 0.016 중량 퍼센트, 또는 0.005 ㎎/렌즈에 해당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2가지 형태, 즉, 아트로핀 및 아트로핀 설페이트 모노하이드레이트로 입수가능한 아트로핀과 같은 치료제를 적적한 용매 또는 용매 시스템, 예를 들어, 테트라하이드로푸란 (THF)과 물(1/3, v/v), 에탄올 (EtOH)과 물 (1/1, v/v), pH <2인 산성수, 글리세롤, 또는 바람직하게는 완충 식염수에 용해시킬 수 있다. 이어서, 약물/용매 혼합물을 콘택트 렌즈에 포함시킬 수 있다. 약물/용매를 콘택트 렌즈에 포함시키기 위하여, 탈이온수로 헹군 렌즈를, 용액 중에 약 0.001 중량 퍼센트 내지 약 0.50 중량 퍼센트 범위의 농도로 아트로핀 및/또는 아트로핀 설페이트 모노하이드레이트를 포함하는 완충 식염수가 들어 있는 용기, 예를 들어, 블리스터 패키지(blister package)에 넣을 수 있다. 일단 콘택트 렌즈를 블리스터 패키지 내의 용액에 넣었으면, 블리스터 패키지를 밀봉하고 살균한다. 블리스터 패키지 내의 렌즈는 약 1시간 내지 약 48시간 범위의 기간에 걸쳐 약물을 흡수한다. 일단 콘택트 렌즈가 환자의 눈에 배치되면, 아트로핀 및/또는 아트로핀 설페이트 모노하이드레이트가 소정 기간에 걸쳐 렌즈로부터 용출한다. 렌즈를 형성하는 재료뿐만 아니라 렌즈 상에 위치하는 임의의 추가적인 코팅이 약물 업로딩 메커니즘 및 타이밍을 결정한다.
근시 진행의 예방 또는 지연을 위해 이용할 수 있는 다수의 콘택트 렌즈가 있다. 예를 들어, 메네체스(Menezes)의 미국 특허 제7,637,612호에는, 양의 종구면 수차(positive longitudinal spherical aberration)를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 의해 둘러싸인 광학 구역의 중심에서 원거리 시력 도수(distance vision power)의 영역을 갖는 다초점 렌즈를 제공함으로써 근시 진행이 실질적으로 예방될 수 있음이 개시되어 있다. 렌즈의 이러한 적어도 하나의 영역은, 렌즈의 광학 중심에 가장 근접한 영역의 경계부로부터 그 영역의 최외측 경계부로 이동함에 따라 연속적으로 그리고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양의 종구면 수차를 제공한다.
각막교정(orthokeratology)은 중심의 각막의 형상을 계획적으로 변경시키도록 설계된 콘택트 렌즈를 피팅(fitting)하는 행위이다. 중심의 각막을 곡률이 더 평평하게 함으로써, 각막의 광학 도수가 감소된다. 이는 눈의 근시의 정도를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특수 설계된 경성 콘택트 렌즈를 전형적으로 하룻밤 동안 착용하고 아침에 빼낸다. 경성 렌즈에 의해 각막에 가해진 압력은 중심의 각막을 일시적으로 평평하게 만든다. 이러한 평탄화는 근시의 감소를 야기하며, 이는 그후 1 내지 3일에 걸쳐 서서히 역행한다. 1 내지 3일마다 렌즈를 착용한다. 연구들에서는, 각막교정 렌즈를 착용하는 환자에서 근시가 감소할 뿐만 아니라 근시 진행 속도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콜린스(Collins) 등의 미국 특허 출원 공개 제2010/0328604호는 각막교정 치료 전의 광학 도수로부터 각막교정 치료 후의 눈의 광학 도수를 빼서 유도되는 눈의 각막지형 또는 파면(wavefront) 측정을 사용하여 설계되며 따라서 근시의 진행을 늦추는 데 이용될 수 있는 렌즈를 개시한다. 각각의 렌즈는 에지 구역에 의해 추가로 둘러싸이는 주변 구역에 의해 둘러싸인 중심 광학 구역 및 착용자의 눈에 놓이는 오목한 표면을 포함한다. 광학 구역 내의 임의의 위치에서의 렌즈 도수는 각막교정 치료 전의 광학 도수로부터 각막교정 치료 후의 눈의 광학 도수를 빼서 구역 내의 각각의 위치에서의 광학 도수를 유도함으로써 유도된다.
콜린스 등의 미국 특허 제2010/0195044호는, 근시 진행을 늦추거나 중단시키도록, 근거리 및 원거리 시력뿐만 아니라 동공 크기에 대한 교정 인자(correction factor)에 따른 파면 측정을 사용하는 렌즈의 설계를 개시한다. 이 발명에서, 각각의 렌즈는 에지 구역에 의해 추가로 둘러싸이는 주변 구역에 의해 둘러싸인 중심 광학 구역을 갖는 볼록한 표면, 및 환자의 눈에 놓이는 오목한 표면을 포함한다. 광학 구역 내의 임의의 위치에서의 렌즈 도수는 정점 원거리 평균된 파면 유도된 도수에, 각각의 위치에서의 원거리 및 근거리 평균 파면 유도된 도수 사이의 차이 및 정점 근거리 및 원거리 파면 유도된 도수 사이의 차이의 1배수, 부분 배수 또는 다배수로부터 유도되는 교정치를 더한 합에 의해 설명된다. 추가로, 동공 크기에 기초하여 설계가 개량될 수 있다. 근거리 적응 수준(near accommodation level)에 대한 자연적 동공 크기는 전형적으로 원거리 적응 수준(distance accommodation level)에 대한 자연적 동공 크기보다 작다. 따라서, 중심와 시각(foveal vision)(축상)에 기초한 광학 설계의 경우, 근거리 파면에 기초하여 눈 성장을 제어하는 데 필요한 광학 도수의 변화는 근거리 파면이 측정된 때 존재하는 더 작은 동공에 상응하는 광학 구역 직경으로 제한될 수 있다. 이러한 내부 중심 영역의 외부에서, 광학 설계는 원거리 시력에 관련되는 것으로 복귀될 수 있다.
콜린스 등의 미국 특허 제6,045,578호는 양의 구면 수차를 유도함으로써 근시를 치료 및 예방하는 방법을 개시한다. 근시인 눈의 각막에, 렌즈 및 각막의 축으로부터 멀어질수록 굴절력이 증가되도록 외표면이 형성된 렌즈를 피팅한다. 렌즈의 중심부로 들어가는 근축 광선은 망막에 초점이 맞춰져 물체의 선명한 이미지를 생성한다. 각막의 주변부로 들어가는 주변 광선은 각막과 망막 사이의 평면에 초점이 맞춰져 망막 상의 이미지의 양의 구면 수차를 생성한다. 이러한 양의 구면 수차는, 눈의 성장을 억제하는 경향이 있어서 눈이 더 길게 성장하는 경향을 경감시키는, 눈에 대한 생리학적 효과를 제공한다.
콜린스 등의 미국 특허 출원 공개 제2009/0141235호는 근시 및 근시 진행과 관련된, 눈꺼풀에 의해 눈에 작용하는 소정의 힘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쇄시킴으로써 근시의 진행을 제어하기 위한 수단을 개시한다. 눈꺼풀 힘의 분산은, 윗 눈꺼풀 및 아랫 눈꺼풀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눈에 가해지는 힘을 흡수하는 것과 그 방향을 바꾸는 것 둘 모두를 포함한다. 눈꺼풀 힘의 분산은, 그렇지 않다면 윗 눈꺼풀 및 아랫 눈꺼풀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눈에 가해질 힘을, 눈이 아니라, 힘을 흡수하는 콘택트 렌즈로 분산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눈꺼풀 힘의 분산은, 그렇지 않다면 윗 눈꺼풀 및 아랫 눈꺼풀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눈에 가해질 힘을, 눈이 아닌 물체 및 근시에 영향을 주지 않는 눈의 영역으로 재분배하는 것을 포함한다. 두께, 모듈러스, 탄성중합체성 특성, 공압 특성(pneumatic property), 및 유압 특성을 포함하지만 이로 한정되지 않는 다수의 재료 특성이 눈꺼풀 힘을 분산시키는 데 이용될 수 있다. 윗 눈꺼풀 및 아랫 눈꺼풀에 의해 눈에 가해지는 힘의 분산은 렌즈를 전반적으로 두껍게 함으로써, 또는 하나 이상의 한정된 영역에서 렌즈를 두껍게 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렌즈를 두껍게 하는 것의 대안은 렌즈 재료의 모듈러스를, 또한 지역적으로 또는 전반적으로, 또는 하나 이상의 한정된 영역에서 변경시키는 것이다. 렌즈 재료의 모듈러스는 더 높거나 더 낮은 값으로 변경된다.
로프맨(Roffman) 등의 미국 특허 제5,448,312호는, 시각계에 의해 동시에 보이도록 의도된, 원거리 시력 및 근거리 시력을 위한 동심 구면 환상 구역(concentric spherical annular zone)들로 이루어지는 다초점 콘택트 렌즈 디자인을 개시한다. 근거리 구역의 존재는 착용자가 가까운 물체에 대해 눈의 초점을 맞출 수 있도록 하는 적응 노력을 사실상 감소시킨다.
울리(Wooley) 등의 미국 특허 제7,625,086호는, 시각계에 의해 동시에 보이도록 의도된, 원거리 시력 및 근거리 시력을 위한 동심 비구면 환상 구역들로 이루어진 다초점 콘택트 렌즈 설계 및 방법을 개시한다. 근거리 구역의 존재는 착용자가 가까운 물체에 대해 눈의 초점을 맞출 수 있도록 하는 적응 노력을 사실상 감소시킨다.
상기에 기재된 바와 같이, 근시의 진행을 예방하거나 늦추기 위해 치료제와 조합하여 이용할 수 있는 다수의 콘택트 렌즈 설계가 있다. 하기에 기재된 실험들은 아트로핀 및/또는 아트로핀 설페이트 모노하이드레이트와 같은 제제를 콘택트 렌즈에 포함시키는 것의 실현가능성을 나타낸다. 약물은 보통 근시 제어 광학부를 포함하는 콘택트 렌즈에 로딩될 것이지만, 하기에 기재된 실험은 약물 로딩의 다양한 파라미터 및 결과를 입증하기 위해 2가지 상이한 유형의 렌즈를 이용한다. 이용된 2가지 유형의 렌즈는 아큐브(등록상표) 트루아이(등록상표) 브랜드 콘택트 렌즈 (ATE) 및 원데이 아큐브(등록상표) 모이스트(등록상표) 브랜드 콘택트 렌즈 (1DAM)이다. ATE 렌즈는 실리콘 하이드로젤 중합체인 나라필콘 B를 포함하고, 원데이 렌즈는 고 수분 함량의 이온성 하이드로젤 중합체인 에타필콘 A와 폴리비닐피롤리돈 (PVP)을 포함한다. 실험에 이용되는, 아트로핀 설페이트 모노하이드레이트 및 아트로핀 둘 모두의 화학 구조가 도 1a 및 도 1b에 각각 나타나있다. 257 ㎚의 파장에서의 자외선 분광법을 이용하여 모든 샘플을 분석하였다.
아트로핀 및/또는 아트로핀 설페이트 모노하이드레이트를 콘택트 렌즈에 로딩하는 데 적합한 용매를 결정하기 위하여, 아트로핀 및/또는 아트로핀 설페이트 모노하이드레이트를 용해하는 것으로 알려진 다양한 용매에서 팽윤(swelling)을 실시하였다. 물이 바람직한 용매이지만, 대안적인 용매에서 로딩할 필요가 있을 수 있고/있거나 대안적인 용매를 이용할 수 있음에 유의하는 것이 중요하다. 완충제 중에 보관한 결과로서 존재하는 임의의 염을 제거하기 위하여, 물을 3회 교환하여 3일 동안 렌즈를 물에 세척하였다. 이어서, 렌즈를 37℃ 오븐에서 48시간 동안 건조하고 칭량하였다. 각각의 렌즈에 대하여 3회 반복하여 수행하였다. 렌즈를 상기에 기재된 것들을 포함하는 다양한 용매에서 팽윤시키고, 팽윤 기간 후에 렌즈의 팽윤 질량을 결정하여 용매의 흡수를 결정하였다. 용매 함량을 하기와 같이 제공되는 방정식에 기초하여 결정하였다:
용매 함량 = (팽윤 질량 - 건조 질량) / (팽윤 질량) × 100%.
다양한 용매에서 두 약물, 아트로핀 (AT) 및 아트로핀 설페이트 모노하이드레이트 (ATSM)의 대략적인 용해도를 평가하였다. 본질적으로, 소정 용매를 기지의 양의 약물에 천천히 첨가하고 대략적인 용해도를 결정하였다.
팽윤 및 용해도 연구에 기초하여, 에탄올/물 및 THF/물 (1:3 v/v)을 사용하여 ATSM 및 AT를 각각 렌즈에 로딩하였다. 로딩을 위해, 팽윤 연구에서와 같이 렌즈를 물로 세척하고 건조하였다. 건조된 렌즈를 칭량하고 표 1에서 하기에 나타낸 로딩 용액에 넣었다. 렌즈를 4℃에서 48시간의 기간 동안 약물 용액 내에서 유지하였다. 로딩 후에, 렌즈를 건조하고 재칭량하여 흡수된 약물의 양을 결정하였다. 상이한 로딩 용액에 대해 렌즈에 흡수된 약물의 양이, 1DAM 렌즈에 대해서는 하기에 주어진 표 2에, 그리고 ATE 렌즈에 대해서는 하기에 주어진 표 3에 요약되어 있다. 아트로핀 설페이트 모노하이드레이트가 1DAM 렌즈에 상당히 더 높은 수준으로 로딩된 것을 제외하고는, 로딩 방법과 상관없이 두 렌즈 유형에 유사한 양이 로딩되었음에 유의한다. 그러나, 후속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는 바와 같이, 로딩 방법을 사용하여 렌즈 내의 약물의 양을 어느 정도는 제어할 수 있다.
Figure 112013069476246-pat00001
Figure 112013069476246-pat00002
Figure 112013069476246-pat00003
렌즈 특성의 변화 및 약물의 존재와 렌즈의 상호작용이 있었는지를 결정하기 위하여, 약물 로딩된 렌즈를 투명도 및 라이소자임 흡착에 대해 특성화하였다. 투명도의 경우, 350 및 700 ㎚ 사이에서 분광광도계로 흡수율을 측정하였다. 단백질 흡착 측정은 125-I 표지된 라이소자임을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단백질 흡착은 약물 방출 0, 2 및 8시간 후에 결정하였다. 투과 전자 현미경 또는 TEM 분석을 또한 수행하여 매트릭스 내의 약물 분산을 평가하였다.
5개의 약물 로딩된 렌즈를 모두 함께 1 mL의 인산염 완충 염수 (PBS)에 넣고, 34℃에서 진탕 수조에 넣었다. 규칙적인 간격으로 샘플을 취하고 신선한 PBS로 대체하였다. 방출 샘플을 분광광도계로 분석하여 농도를 결정하였다. 마찬가지로, 피크의 특성을 또한 검사하여 대조군 샘플 (새로 제조된, 적절한 완충 용액 중의 약물)에 비해 어떠한 변화가 있었는 지를 결정하였다. 상이한 로딩 농도를 사용하여 약물 로딩 및 방출을 제어하여, 제어 조건을 간단히 또는 용이하게 변경함으로써 약물의 방출 속도가 변경될 수 있는 지를 결정하였다. 다양한 약물 농도를 시험하였다. ATE 렌즈의 경우에는, 표 4에 기재된 바와 같이 다양한 농도로, 물 중 ATSM을 시험하거나 이용하였다. 1DAM의 경우에는, 다양한 농도로, 에탄올 및 물 (1:1) 중 AT를 시험하거나 이용하였다. ATE 렌즈로부터의 ATSM 방출의 경우에는, 렌즈를 로딩 용액으로부터 꺼내고 헹구어서, 느슨하게 물리적으로 흡착된 약물을 제거하였다. 1DAM 렌즈의 경우에는, 렌즈를 건조하여 임의의 잔류 에탄올을 제거하고 방출 연구 전에 재수화시켰다.
Figure 112013069476246-pat00004
또한, 약물의 방출을 위해 반복 기반으로 렌즈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따라서, 반복 기반으로, ATE 렌즈에 약물을 로딩하고 고갈시키고 이어서 재로딩하여, 방출 동력학이 단일 방출을 따르는 것과 유사한지를 결정하였다. 두 번째 로딩은 4℃에서 하룻밤동안 물 중 ATSM의 250 ㎎/mL 용액에서 일어났다. 로딩된 렌즈를 PBS에 담가서 임의의 느슨하게 흡착된 약물을 제거하고 이어서 37℃에서 PBS 중에서 방출시켰다.
용매 함량 연구의 결과가 도 2에 나타나있다. 도면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1DAM 렌즈는 에탄올 및 물 둘 모두에서 잘 팽윤하나, 당연히 실리콘 함량에 기초하며, ATE 렌즈는 THF 및 에탄올 둘 모두에서 양호한 팽윤을 나타내며, 물에서는 중간 정도의 팽윤을 나타낸다.
용해도 결과가 하기 표 5에 기재되어 있다. 아트로핀의 두 형태는 용해도에서 분명한 차이가 있으며, 두 약물 모두를 용해하는 분명한 경향을 나타내는 용매는 없었다. 흥미롭게도, 약물의 설페이트 모노하이드레이트 형태는 일반적으로 용매, 특히 수성 용매에서 훨씬 더 높은 용해도를 나타내는 반면, 약물의 비개질된 형태는 THF 및 에탄올에서 더욱 용해성이다. 글리세롤이 양호한 약물 용해도를 나타내었지만, 이러한 용매는 궁극적으로 렌즈로부터 제거하기가 어려울 것이므로 사용하지 않았음에 유의한다. 약물 로딩에서는, 높은 팽윤에 대한 요구와 원하는 약물 용해도의 균형을 이루기 위하여, THF와 물 및 에탄올과 물 (1:3, v/v)의 혼합물을 이용하였다.
Figure 112013069476246-pat00005
도 3a 및 도 3b에 요약되어 있는 투명도 결과는 다양한 약물 용매 조합을 사용하여 로딩하였을 때 대조군과 비교하여 어떠한 렌즈 재료의 투명도에도 변화가 없음을 입증한다. 그러므로, 아트로핀 또는 아트로핀 설페이트 모노하이드레이트의 존재 중 어느 것도 렌즈 재료의 투명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지 않음이 명백하다. 그러나, 산성 용액을 사용하여 ATE 렌즈를 로딩한 경우에 투명도가 다소 감소하였음에 유의하는 것이 중요하다.
단백질 (라이소자임) 흡착 결과가 도 4a 및 도 4b에 나타나있다. 당연히, 1DAM 렌즈가 일반적으로 ATE 렌즈보다 더 많은 단백질을 흡수하였다. 약물이 존재하는 경우, 시험된 로딩 방법에 따라 단백질 흡착에 있어서 일부 약간의 변화가 있었다. 예를 들어, 1DAM 렌즈는 에탄올성 또는 산성 용액 중 어느 하나에서 로딩되는 경우 처음에는 감소된 라이소자임 흡착을 나타내었으나, 렌즈에 결합된 라이소자임의 수준은 약물의 방출에 따라 증가하였다. 모든 방출 시간에서 그리고 모든 로딩 방법에 대해, ATE 렌즈에 결합된 단백질의 수준이 대조군에 비해 증가하는 경향이 있었다. 이러한 증가가 로딩 용매에 대한 노출의 결과인지 또는 약물의 존재 때문인지는 현재 알려져 있지 않다. 1DAM 렌즈에서는 아트로핀 및 아트로핀 설페이트 모노하이드레이트가 존재하는 경우 약간의 변화가 있지만, 비교적 작으며 용매 의존성인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ATE 렌즈의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약물이 존재하는 경우에, 라이소자임 흡수의 증가가 모든 방출 시간에서 관찰된다.
모든 샘플의 투과 전자 현미경 또는 TEM 분석이 매트릭스 내의 약물 입자의 균일한 분산을 입증하였음에 유의하는 것이 중요하다.
약물 방출 농도를 확립하기 위하여, 5개의 약물 로딩된 렌즈를 1 ml의 인산염 완충 염수 (PBS) 용액에 넣고 34 ˚C에서 진탕 수조에 넣었다. 1 ml 용액을 규칙적인 간격으로 취하고 신선한 PBS 용액으로 대체하였다. 용액의 샘플을 분광광도계로 분석하여 방출된 약물의 농도를 결정하였다.
도 5는 1DAM 렌즈로부터의 AT 및 ATSM의 느린 방출 또는 비폭발성(non-burst) 방출을 나타내며 도 6은 1DAM 렌즈로부터의 AT 및 ATSM의 폭발기 방출을 나타낸다. 1DAM 렌즈로부터의 방출에 대해 도 5에 나타낸 결과는 더 친수성인 ATSM 분자가 더 많은 양으로 더욱 빠르게 방출됨을 입증한다. 측정가능한 방출이 60시간 초과의 기간에 걸쳐 일어났다. 모든 경우의 방출이 신속한 폭발에 뒤따른 비교적 느린 점진적인 방출을 특징으로 하였다.
도 7은 ATE 렌즈로부터의 AT 및 ATSM의 느린 방출 또는 비폭발성 방출을 나타내며, 도 8은 ATE 렌즈로부터의 AT 및 ATSM의 폭발기 방출을 나타낸다. 도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ATE 렌즈를 이용하면 1DAM 렌즈와 비교하여 ATSM의 다소 더 낮은 방출 속도가 달성되었다. 다시 말해, 도면들을 비교하면, 약물 로딩이 대략 동일하였다는 사실에도 불구하고, 더 적은 양의 약물이 ATE 렌즈로부터 방출되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작은 초기 폭발 후에, ATE 렌즈로부터 모든 분자의 비교적 일정한 방출이 달성되었으며, ATE 렌즈가 거의 동일한 양의 AT 및 ATSM을 흡수하였다는 사실에도 불구하고, 방출은 매일의 착용 기간 내내 더 느렸다.
렌즈로부터의 약물 로딩/제어 방출을 증가시키는 수단으로서 고도로 산성인 용액을 시험하였다. 결과가 HCl 중 25 ㎎/mL 용액에서 로딩된 AT의 방출에 대해 나타나있다. 방출은 이러한 로딩에 의해 비교적 영향을 받지 않으며 그러므로 이는 아마도 방출 동력학을 변경시키는 효과적인 방법이 아닐 것임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경우의 방출은, 아마도 렌즈의 표면 상에서의 약물의 결정화로 인한, 극히 높은 폭발을 특징으로 하였다. 두 렌즈 유형 사이에 실제 차이는 없었다.
도 10a는 250 ㎎/mL 내지 10 ㎎/mL의 로딩 용액 농도를 사용한 ATE 렌즈로부터의 ATSM의 방출 속도를 나타내는 한편, 도 10b는 20㎎/mL 내지 5㎎/mL의 로딩 용액 농도를 사용한 1DAM 렌즈로부터의 AT의 방출 속도를 나타낸다. 도 10a 및 도 10b로부터, 로딩 농도를 변경하는 간단한 기술을 사용하여 아트로핀 및 아트로핀 설페이트 모노하이드레이트의 방출 속도를 제어하는 것이 가능함을 알 수 있다. 분명히, 눈에서 생리학적으로 적절한 농도를 얻는 것이, 간단한 변화에 의해 비교적 용이하게 달성될 수 있다.
상기에 간단히 기재된 바와 같이, 1일 1회 접안하는 0.5 퍼센트 아트로핀 점안액은 근시의 진행을 늦추는 데 있어서 효능을 나타낸다. 방울 부피가 50 ㎕이고 각각의 점안 시에 1 방울을 점안한다고 가정할 때, 매일 눈에 점안되는 아트로핀의 상응하는 양은 대략 0.5 ㎎이다. 그러나, 모든 점안액의 점안에서와 마찬가지로 이러한 부피의 95 퍼센트만큼이 손실된다. 또한, 콘택트 렌즈로부터 전달되는 경우에는 약물의 80 퍼센트만큼이 손실되는 것으로 또한 가정할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가정에 기초하면, 총 0.0005 내지 0.50 ㎎의 약물이 콘택트 렌즈로부터 전달되어야만 한다. 그러므로, 이러한 렌즈로부터 방출되는 양이 아트로핀을 사용하는 치료를 위해 적합하다는 것이 분명하다.
ATE 렌즈 및 1DAM 렌즈의 ATSM 용액에서의 팽윤에 의한 하루의 기간에 걸친 콘택트 렌즈로부터의 방출이 도 11a 및 도 11b에 각각 나타나있다. 분명히, 두 경우 모두에서, 렌즈가 아트로핀의 용액에서 팽윤될 수 있으며 약물을 방출할 수 있다. 이는 잠재적으로 적절한 약물 전달 방법일 수 있다.
이들 실험의 결과에 기초하면, 매일 착용 콘택트 렌즈로부터의 아트로핀 및 아트로핀 설페이트 모노하이드레이트 둘 모두의 방출은 촉망되는 약물 전달 방법을 나타내는 것으로 생각된다. 시험된 두 형태의 매일 착용 렌즈 둘 모두로부터의 약물 방출 동력학이 방출 매질에서 치료적으로 적합한 농도의 약물을 제공하도록 조정될 수 있었다. UV 분석에 의해 나타난 바와 같이 흡수 및 방출에 의한 약물의 화학 구조의 변화는 없었다. 그러나, 아마도 가장 흥미로운 결과는 수용액에서의 후속적인 팽윤에 의해 렌즈에 약물이 흡수되고 동일한 동력학으로 방출될 수 있다는 점이었다. 이는 재사용가능한 렌즈로부터의 방출이 또한 가능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다시 말해, 환자가 치료제의 용액을 제공받아 콘택트 렌즈를 소정 기간 동안 담근 다음 렌즈를 재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 기재된 바와 같이, 메네체스의 미국 특허 제7,637,612호는 근시 제어 광학부를 갖는 렌즈를 기재한다. 도 12는 메네체스의 예시적인 렌즈를 나타낸다.
도 12는 광학 구역(1202) 및 비광학, 렌즈상 구역(1204)을 갖는 렌즈(1200)를 나타낸다. 광학 구역(1202)은 중심 구역(1206) 및 주변 구역(1208)을 포함한다. 중심 구역(1206)은 렌즈의 광학 축의 중앙에 있으며, 렌즈의 광학 중심으로부터 측정되는 반경이 약 0.5 내지 2 ㎜, 바람직하게는 약 1 내지 1.5 ㎜이다. 중심 구역(1206) 내의 도수는 사실상 일정한 원거리 시력 도수이며 약 -0.50 디옵터 내지 약 -12.00 디옵터일 것이다. 주변 구역(1208)에서의 양의 도수의 부가로 인해, 중심구역 (1206)에서의 원거리 시력 도수에 대한 과교정(overcorrection)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착용자의 원거리 시력을 교정하는 데 필요한 것에 부가되는 도수를 의미한다. 과교정의 양은 중심 구역(1206)의 직경 및 제공된 양의 구면 수차의 크기에 따라 좌우될 것이다. 그러나, 전형적으로, 과교정은 약 0.25 내지 약 1.00 디옵터일 것이다.
주변 구역(1208)은 최내측 경계부(1210) 또는 렌즈의 광학 중심에 가장 근접한 경계부로부터 주변 구역(1208)의 최외측 경계부(1212)로 이동함에 따라 연속적으로 그리고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양의 종구면 수차를 제공한다. 주변 구역(1208)에서의 종구면 수차의 증가는, 렌즈의 광학 중심으로부터 약 2.5 ㎜의 반경에서, 약 0.25 내지 약 2 디옵터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약 0.5 내지 약 1.50 디옵터이다. 주변 구역(1208)은 약 0.5 내지 약 3.5 ㎜, 바람직하게는 약 1 내지 약 2 ㎜의 폭을 가질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 구역(1206)과 주변 구역(1208)은 그들 사이에 불연속적인 접합부(discrete junction)를 갖는 구역들이다. 대안적인 실시 형태에서, 사실상 일정한 원거리 시력 도수와 양의 종구면 수차 사이에는 불연속적인 접합부가 존재하지 않으며, 사실상 일정한 원거리 시력 도수 및 양의 종구면 수차 둘 모두가 하나의 구역을 형성한다.
본 발명의 렌즈를 설계하는 데 있어서, 양의 종구면 수차는 착용자의 눈의 수차의 교정을 초과하여 유도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해, 바람직하게는 렌즈 착용자의 구면 수차가 먼저 결정되고, 그 후 이러한 수차를 교정하는 데 필요한 구면 수차가 제공된다. 대안적으로, 0.1 D/㎟와 같은 집단 평균(population average)이 구면 수차로 사용될 수 있다. 구면 수차는 구매가능한 수차분석기(aberrometer)의 사용에 의한 것을 포함하나 이로 한정되지 않는 임의의 공지된 그리고 편리한 방법에 의해 측정될 수 있다.
구면, 비구면, 스플라인, 원뿔, 다항식 등을 포함하지만 이로 한정되지 않는 임의의 다수의 수학적 함수가 본 발명의 렌즈의 광학 구역을 설계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 중심 구역은 바람직하게는 구면이고, 중심 구역과 주변 구역 사이에 매끄러운 전이부가 존재한다. 이러한 매끄러운 전이부는 크기(magnitude)가 연속적인 수학 함수들과 1차 및 2차 도함수의 사용에 의해 확보될 수 있다.
아트로핀, 아트로핀 설페이트 모노하이드레이트 및 피렌제핀이 본 명세서에 기재되어 있으나, 항무스카린성 제제의 부류에 속하는 다른 제제가 이용될 있다. 예를 들어, 라세아니소다민(raceanisodamine), 사이클로펜톨레이트, 호마트로핀, 스코폴라민, 텔렌제핀(telenzepine), 누벤제핀(nuvenzepine) 및 리스펜제핀(rispenzepine)을 포함하는 다른 항무스카린성 제제가 본 발명에 따라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다른 부류의 약물 또는 치료제, 예를 들어, 아포모르핀, 브로모크립틴, 퀸피롤 및 레보도파를 포함하는 도파민 작용제가 또한 본 발명에 따라 이용될 수 있다.
상기한 발명은 아트로핀 및 아트로핀 설페이트 모노하이드레이트를 포함하는 항무스카린성 제제와 조합된 근시 제어 광학부를 포함하여 근시 진행 제어를 증가시키기 위한 상승 효과를 생성하는 안과용 렌즈, 특히 콘택트 렌즈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안과용 렌즈, 특히 콘택트 렌즈는 광범위한 치료제를 전달하는 데 이용될 수 있음에 유의하는 것이 중요하다. 예를 들어, 콘택트 렌즈는 수많은 질환 및 질병의 치료, 억제, 및 예방 중 하나 이상을 위한 다양한 약물 제형, 의약품 및/또는 활성제를 전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콘택트 렌즈는 아트로핀 설페이트, 호마트로핀, 스코폴라민 HBr, 사이클로펜톨레이트 HCl, 트로피카미드, 및 페닐에프린 HCl을 포함하는 산동제 및 조절마비제(cycloplegic)를 전달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콘택트 렌즈는 알러지의 치료, 억제, 및 예방 중 하나 이상을 위해 아젤라스틴 HCl, 에마다스틴 다이푸마레이트, 에피나스틴 HCl, 케토티펜 푸마레이트, 레보카바스틴 HCl, 올로파타딘 HCl, 페니라민 말레에이트, 및 안타졸린 포스페이트를 전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콘택트 렌즈는 비만 세포 안정화제, 예를 들어, 크로몰린 소듐, 로독사미드 트로메타민, 네도크로밀 소듐, 및 페르미롤라스트 포타슘을 전달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콘택트 렌즈는 덱사메타손 소듐 포스페이트, 덱사메타손, 플루오로메탈론, 플루오로메탈론 아세테이트, 로테프레드놀 에타보네이트, 프레드니솔론 아세테이트, 프레드니솔론 소듐 포스페이트, 메드리손, 리멕솔론, 및 플루오시놀론 아세토니드를 포함하는 코르티코스테로이드를 전달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콘택트 렌즈는 플루르바이프로펜 소듐, 수프로펜, 다이클로페낙 소듐, 케토롤락 트로메타민, 사이클로스포린, 라파마이신 메토트렉세이트, 아자티오프린, 및 브로모크립틴을 포함하는 비스테로이드계 항염증제를 전달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콘택트 렌즈는 토브라마이신, 목시플록사신, 오플록사신, 가티플록사신, 시프로플록사신, 젠타마이신, 설피속사졸론 다이올아민, 소듐 설프아세트아미드, 반코마이신, 폴리믹신 B, 아미카신, 노르플록사신, 레보플록사신, 설피속사졸 다이올아민, 소듐 설프아세트아미드 테트라사이클린, 독시사이클린, 다이클록사실린, 세파렉신, 아목시실린/클라불란테, 세프트리악손, 세픽심, 에리트로마이신, 오플록사신, 아지트로마이신, 젠타마이신, 설파다이아진, 및 피리메타민을 포함하는 항감염제를 전달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콘택트 렌즈는 디피베프린을 포함하는 에피네프린; 아프로클로니딘 및 브리모니딘을 포함하는 알파-2 아드레날린성 수용체; 베탁솔올, 카르테올올, 레보부놀올, 메티프라놀올, 및 티몰올을 포함하는 베타차단제; 카르바콜 및 필로카르핀을 포함하는 직접 축동제; 피소스티그민 및 에코티오페이트를 포함하는 콜린에스테라아제 억제제; 아세트아졸아미드, 브린졸아미드, 도르졸아미드, 및 메타졸아미드를 포함하는 탄산무수화효소 억제제; 라타노프로스트, 비마토프로스트, 트라보프로스트, 우노프로스톤, 시도포비르 및 트라보프로스트를 포함하는 프로스타글란딘 및 프로스타마이드를 포함하는, 녹내장의 치료, 억제, 및 예방 중 하나 이상을 위한 제제를 전달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콘택트 렌즈는 포미비르센 소듐, 포스카르넷 소듐, 간시클로비르 소듐, 발간시클로비르 HCl, 트라이플루리딘, 아시클로비르, 및 팜시클로비르를 포함하는 항바이러스제를 전달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콘택트 렌즈는 테트라카인 HCl, 프로파라카인 HCl, 프로파라카인 HCl 및 플루오레세인 소듐, 베녹시네이트 및 플루오레세인 소듐, 및 베녹스네이트 및 플루오렉손 다이소듐을 포함하는 국소 마취제를 전달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콘택트 렌즈는 플루코나졸, 플루시토신, 암포테리신 B, 이트라코나졸, 및 케토카오나졸을 포함하는 항진균제를 전달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콘택트 렌즈는 아세트아미노펜 및 코데인, 아세트아미노펜 및 하이드로코돈, 아세트아미노펜, 케토롤락, 이부프로펜, 및 트라마돌을 포함하는 진통제를 전달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콘택트 렌즈는 에페드린 염산염, 나파졸린 염산염, 페닐에프린 염산염, 테트라하이드로졸린 염산염, 및 옥시메타졸린을 포함하는 혈관수축제를 전달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콘택트 렌즈는 또한 비타민 A, 비타민 D 및 비타민 E, 루테인, 타우린, 글루타티온, 제아잔틴, 지방산 등을 포함하는 비타민, 산화방지제, 및 건강 기능 식품을 전달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임의의 치료제와 관련될 수 있는 임의의 잠재적인 밝은 광 시력 장애(bright light visual disturbance)를 감소시키는 기능을 하는 추가적인 물질 또는 제제를 콘택트 렌즈가 포함할 수 있음에 유의하는 것이 중요하다. 예를 들어, 광색제(photochromic agent)가 밝은 광 시력 장애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렌즈에 포함될 수 있다. 다른 대안적인 예시적인 실시 형태에서, 중성 필터 염료(neutral filter dye)가 밝은 광 시력 장애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렌즈에 포함될 수 있다.
가장 타당하며 바람직한 실시 형태로 여겨지는 것을 설명하고 기술하였지만, 기술된 특정 설계 및 방법으로부터 벗어나는 것이 해당 분야의 숙련자에게 제안될 것이며, 본 발명의 목적 및 범위로부터 벗어남 없이 사용될 수 있음이 명백할 것이다. 본 발명은 설명하고 기술된 특정 구성에만 국한된 것이 아니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과 일관성 있게 구성되어야 한다.

Claims (14)

  1. 근시 진행의 억제, 예방 및/또는 제어 중 적어도 하나를 위한 안과용 렌즈로서, 상기 안과용 렌즈는,
    제1 재료로부터 형성되며 근시 제어 광학부를 포함하는 콘택트 렌즈; 및
    상기 콘택트 렌즈를 형성하는 상기 제1 재료에 부착되거나 또는 포함되는 것 중 적어도 하나가 되는 혼합물에 포함되는 항무스카린성 제제로서, 상기 항무스카린성 제제는 미리 결정된 기간에 걸쳐 눈 안으로 용출되도록 구성되는, 상기 항무스카린성 제제를 포함하고,
    상기 항무스카린성 제제는 아트로핀 설페이트 모노하이드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아트로핀 설페이트 모노하이드레이트의 0.0005 내지 0.5 mg이 콘택트 렌즈로부터 눈 안으로 용출되는, 안과용 렌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재료는 하이드로젤을 포함하는, 근시 진행의 억제, 예방 및/또는 제어 중 적어도 하나를 위한 안과용 렌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재료는 실리콘 하이드로젤을 포함하는, 근시 진행의 억제, 예방 및/또는 제어 중 적어도 하나를 위한 안과용 렌즈.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항무스카린성 제제 혼합물은 완충 식염수에 용해된 아트로핀 설페이트 모노하이드레이트를 포함하는, 근시 진행의 억제, 예방 및/또는 제어 중 적어도 하나를 위한 안과용 렌즈.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택트 렌즈에 포함된 광색제(photochromic agent)를 추가로 포함하는, 근시 진행의 억제, 예방 및/또는 제어 중 적어도 하나를 위한 안과용 렌즈.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택트 렌즈에 포함된 중성 필터 염료(neutral filter dye)를 추가로 포함하는, 근시 진행의 억제, 예방 및/또는 제어 중 적어도 하나를 위한 안과용 렌즈.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택트 렌즈는 매일 착용 렌즈를 포함하는, 근시 진행의 억제, 예방 및/또는 제어 중 적어도 하나를 위한 안과용 렌즈.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택트 렌즈는 재사용가능한 렌즈를 포함하는, 근시 진행의 억제, 예방 및/또는 제어 중 적어도 하나를 위한 안과용 렌즈.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KR1020130090714A 2012-07-31 2013-07-31 근시 제어 광학부 및 항무스카린성 제제를 포함하는 렌즈 KR10204630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3/563,322 2012-07-31
US13/563,322 US9827250B2 (en) 2012-07-31 2012-07-31 Lens incorporating myopia control optics and muscarinic agent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6851A KR20140016851A (ko) 2014-02-10
KR102046303B1 true KR102046303B1 (ko) 2019-11-19

Family

ID=488756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90714A KR102046303B1 (ko) 2012-07-31 2013-07-31 근시 제어 광학부 및 항무스카린성 제제를 포함하는 렌즈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9827250B2 (ko)
EP (1) EP2693259B1 (ko)
JP (4) JP2014032404A (ko)
KR (1) KR102046303B1 (ko)
CN (1) CN103576337B (ko)
AU (1) AU2013211446B2 (ko)
BR (1) BR102013019429A2 (ko)
CA (1) CA2822461C (ko)
RU (1) RU2560206C2 (ko)
SG (2) SG196752A1 (ko)
TW (1) TWI597069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118484A4 (en) * 2020-03-11 2024-05-15 Brien Holden Vision Institute Ltd OPHTHALMIC LENSES AND METHODS FOR CORRECTING, SLOWING, REDUCING AND/OR CONTROLLING THE PROGRESSION OF MYOPIA IN ASSOCIATED WITH THE USE OF ATROPINE OR RELATED COMPOUND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413506B2 (en) 2010-04-03 2019-09-17 Praful Doshi Medical devices including medicaments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same including enhancing comfort, enhancing drug penetration, and treatment of myopia
TWI588560B (zh) 2012-04-05 2017-06-21 布萊恩荷登視覺協會 用於屈光不正之鏡片、裝置、方法及系統
US9201250B2 (en) 2012-10-17 2015-12-01 Brien Holden Vision Institute Lenses, devices, methods and systems for refractive error
KR102199677B1 (ko) 2012-10-17 2021-01-08 브리엔 홀덴 비전 인스티튜트 리미티드 굴절 오류를 위한 렌즈들, 디바이스들, 방법들 및 시스템들
WO2014102829A1 (en) * 2012-12-31 2014-07-03 Mylan Laboratories Ltd. Crystalline atropine sulfate
US20160067238A1 (en) * 2013-05-06 2016-03-10 Philip Wu Pharmaceutical composition and uses thereof
US9421199B2 (en) 2014-06-24 2016-08-23 Sydnexis, Inc. Ophthalmic composition
WO2016172712A2 (en) 2015-04-23 2016-10-27 Sydnexis, Inc. Ophthalmic composition
US11382909B2 (en) 2014-09-05 2022-07-12 Sydnexis, Inc. Ophthalmic composition
JP5923640B1 (ja) * 2015-04-13 2016-05-24 国立大学法人大阪大学 近視進行抑制用コンタクトレンズの設計方法および製造方法
US10010502B2 (en) * 2015-05-19 2018-07-03 Amorphex Therapeutics Llc Device that delivers a sustained low-dose of a myopia-suppressing drug, while preserving pupillary function and accommodation
WO2016196367A1 (en) 2015-05-29 2016-12-08 Sydnexis, Inc. D2o stabilized pharmaceutical formulations
KR102336448B1 (ko) * 2015-06-10 2021-12-07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진 추출 전자 장치 및 방법
TWI587033B (zh) * 2015-09-15 2017-06-11 星歐光學股份有限公司 隱形眼鏡產品
US10371964B2 (en) 2015-09-15 2019-08-06 Largan Medical Co., Ltd. Contact lens product
US10845622B2 (en) 2015-09-15 2020-11-24 Largan Medical Co., Ltd. Multifocal contact lens and contact lens product
CN110320676A (zh) * 2015-09-15 2019-10-11 星欧光学股份有限公司 隐形眼镜产品
TWI702438B (zh) * 2015-10-29 2020-08-21 星歐光學股份有限公司 隱形眼鏡產品
JP2017080303A (ja) * 2015-10-30 2017-05-18 日油株式会社 薬物徐放性医療用コンタクトレンズ
TWI588562B (zh) * 2015-12-31 2017-06-21 星歐光學股份有限公司 隱形眼鏡
TWI587034B (zh) * 2016-02-04 2017-06-11 星歐光學股份有限公司 隱形眼鏡產品
KR102578476B1 (ko) 2016-04-11 2023-09-13 유니버시티 오브 캔버라 레보도파, 항산화제 및 수성 담체를 포함하는 안과 조성물
TWI639028B (zh) * 2016-09-02 2018-10-21 星歐光學股份有限公司 隱形眼鏡產品
TWI641892B (zh) * 2016-09-30 2018-11-21 星歐光學股份有限公司 隱形眼鏡及隱形眼鏡產品
KR20180116574A (ko) * 2017-04-17 2018-10-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US10698232B2 (en) 2017-06-23 2020-06-30 Largan Medical Co., Ltd. Contact lens and product thereof
JP2019020730A (ja) * 2017-07-13 2019-02-07 ロート製薬株式会社 多焦点ソフトコンタクトレンズ
AU2018304450B2 (en) 2017-07-20 2024-05-16 Seinda Pharmaceutical Guangzhou Corporation Composition and methods for the treatment of myopia
AU2018371787A1 (en) 2017-11-21 2020-11-05 Sydnexis, Inc. Ophthalmic composition and delivery device thereof
IT201800005599A1 (it) * 2018-05-22 2019-11-22 Lente a contatto morbida
US11209670B2 (en) * 2019-05-08 2021-12-28 Johnson & Johnson Vision Care, Inc Method for designing edge to edge photochromic soft contact lenses
US11092822B2 (en) * 2019-05-08 2021-08-17 Johnson & Johnson Vision Care, Inc. Photochromic soft contact lens with cosmetic and efficacy considerations
US11071724B2 (en) * 2019-05-17 2021-07-27 Ocular Science, Inc.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reating presbyopia
EP3979996A4 (en) * 2019-06-10 2023-06-14 Jenivision Inc.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THE TREATMENT OF EYE DISORDERS
CN115835905A (zh) * 2020-06-02 2023-03-21 纽约市哥伦比亚大学理事会 用于用选择性组胺h1-受体拮抗剂左卡巴斯汀及其衍生物预防和治疗近视的方法和组合物
WO2021252628A1 (en) * 2020-06-11 2021-12-16 The Trustees Of Columbia University In The City Of New York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preventing and treating myopia with trichostatin a, a histone deacetylase (hdac) inhibitor, and derivatives thereof
WO2021252636A1 (en) * 2020-06-11 2021-12-16 The Trustees Of Columbia University In The City Of New York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preventing and treating myopia with fingolimod, a sphingosine-1-phosphate receptor modulator, and derivatives thereof
CA3182397A1 (en) * 2020-06-11 2021-12-16 Andrei V. Tkatchenko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preventing and treating myopia with fenoterol hydrobromide, a .beta.2-adrenergic receptor agonist, and derivatives thereof
US20220137432A1 (en) * 2020-11-04 2022-05-05 Bausch + Lomb Ireland Limited Ophthalmic lens including a peripheral zone having an add-power offset and a spatially-modulated optical parameter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523299A (ja) * 2002-03-18 2005-08-04 ノバルティス アクチエンゲゼルシャフト シクロフルクタン、担体および薬物を含む局所用組成物
JP2008529606A (ja) * 2005-02-04 2008-08-07 オーバーン ユニバーシティ 接触薬物送達システム
JP2009132671A (ja) * 2007-11-09 2009-06-18 Rohto Pharmaceut Co Ltd 眼科用組成物
JP2010528339A (ja) * 2007-05-21 2010-08-19 ジョンソン・アンド・ジョンソン・ビジョン・ケア・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近視進行防止用眼科レンズ
US20110249234A1 (en) * 2010-04-13 2011-10-13 Duis Donnie J Contact lenses displaying reduced indoor glare

Family Cites Families (5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01967A (en) * 1973-09-10 1975-08-26 Union Corp Sustained release of atropine
SU977466A1 (ru) * 1979-11-06 1982-11-30 Киевский Ордена Трудового Красного Знамени Медицинский Институт Им.Акад.А.А.Богомольца Полиакриламидный гель дл медико-биологических целей и способ его получени
CA1295941C (en) 1985-08-16 1992-02-18 Rajan Bawa Sustained-release formulation comprising a hydrophobic polymer system
US4668506A (en) 1985-08-16 1987-05-26 Bausch & Lomb Incorporated Sustained-release formulation containing and amino acid polymer
JPH0429215A (ja) * 1990-05-25 1992-01-31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色識別機能付きコンタクトレンズおよびその製造方法
WO1993013777A1 (en) 1992-01-21 1993-07-22 Merck & Co., Inc. Method of using m1-selective antimuscarinic pyridobenzodiazepinones in axial myopia therapy
US5448312A (en) 1992-12-09 1995-09-05 Johnson & Johnson Vision Products, Inc. Pupil-tuned multifocal ophthalmic lens
US5691323A (en) * 1995-05-12 1997-11-25 Merck & Co., Inc. Muscarine antagonists
US6045578A (en) 1995-11-28 2000-04-04 Queensland University Of Technology Optical treatment method
KR980008226A (ko) 1996-07-05 1998-04-30 다케다 쿠니오 시각기능장애의 예방 및 치료제
US6822016B2 (en) * 2001-09-10 2004-11-23 Johnson & Johnson Vision Care, Inc. Biomedical devices containing internal wetting agents
DE60027594T2 (de) * 1999-12-06 2006-12-21 Per Faxe Manipulator zum Aufbringen einer Kontaktlinse auf das Auge und zum Entfernen der Kontaktlinse von dem Auge des Verwenders
CN2430714Y (zh) 1999-12-20 2001-05-16 程杰 人工虹膜镜
US20040058357A1 (en) * 2000-11-14 2004-03-25 Hermona Soreg System and method for assaying drugs
US20080194481A1 (en) * 2001-12-21 2008-08-14 Human Genome Sciences, Inc. Albumin Fusion Proteins
US20060100408A1 (en) 2002-03-11 2006-05-11 Powell P M Method for forming contact lenses comprising therapeutic agents
US20050208102A1 (en) 2003-04-09 2005-09-22 Schultz Clyde L Hydrogels used to deliver medicaments to the eye for the treatment of posterior segment diseases
US20050074497A1 (en) 2003-04-09 2005-04-07 Schultz Clyde L. Hydrogels used to deliver medicaments to the eye for the treatment of posterior segment diseases
US20050255144A1 (en) 2003-04-09 2005-11-17 Directcontact Llc Methods and articles for the delivery of medicaments to the eye for the treatment of posterior segment diseases
JP4812268B2 (ja) * 2004-08-03 2011-11-09 リンテック株式会社 揮発抑制剤、揮発性成分含有組成物および貼付剤
US8349352B2 (en) 2005-02-04 2013-01-08 Auburn University Therapeutic contact lenses with anti-fungal delivery
TWI410696B (zh) * 2005-02-15 2013-10-01 Univ Queensland 控制近視的方法與裝置
US9804295B2 (en) * 2005-05-05 2017-10-31 Novartis Ag Ophthalmic devices for sustained delivery of active compounds
US8440217B1 (en) * 2005-06-15 2013-05-14 Mawaheb M. EL-Naggar Method and system with contact lens product for treating and preventing adverse eye conditions
RU2351305C2 (ru) * 2006-03-03 2009-04-10 Наталья Викторовна Киреева Способ профилактики и лечения приобретенной близорукости
US20070254914A1 (en) * 2006-05-01 2007-11-01 Non-Profit Organization Chang Gung Memorial Hospital Low-concentration atropine solution for preventing myopia progression and preparing method thereof
JP5350258B2 (ja) * 2006-10-30 2013-11-27 ノバルティス アーゲー シリコーンヒドロゲルレンズにコーティングを施す方法
US7793535B2 (en) 2006-10-31 2010-09-14 Johnson & Johnson Vision Care, Inc. Devices and methods to simulate an ocular environment
US20080138408A1 (en) * 2006-11-13 2008-06-12 Siddharth Venkatesh Drug delivery system and method
WO2008060574A2 (en) 2006-11-13 2008-05-22 Auburn University Therapeutic contact lenses with anti-fungal delivery
US8969415B2 (en) * 2006-12-01 2015-03-03 Allergan, Inc. Intraocular drug delivery systems
CA2674076A1 (en) * 2006-12-26 2008-07-10 Qlt Plug Delivery, Inc. Drug delivery implants for inhibition of optical defects
US8690319B2 (en) 2007-05-21 2014-04-08 Johnson & Johnson Vision Care, Inc. Ophthalmic lenses for prevention of myopia progression
US7931369B2 (en) * 2007-07-13 2011-04-26 David Andrew Harris Tinted lens and method of making same
US7625086B2 (en) 2007-08-28 2009-12-01 Johnson & Johnson Vision Care, Inc. Method of designing multifocal contact lenses
SG151148A1 (en) 2007-10-05 2009-04-30 Singapore Health Services Pte Method and/or kit for determining response to muscarinic receptor antagonist treatment
US20110046033A1 (en) * 2008-01-31 2011-02-24 Jinzhong Zhang Multipurpose Lens Care Solution with Benefits to Corneal Epithelial Barrier Function
PT2285364E (pt) * 2008-05-07 2015-02-24 Univ California Reposição e enriquecimento terapêutico de lubrificação da superficie ocular
CN102047172B (zh) * 2008-06-06 2012-10-03 全球美好视觉公司 治疗非正视眼的软式隐形眼镜
CN100596332C (zh) 2008-08-20 2010-03-31 东南大学 载药隐形眼镜及其制备方法
CN103025312B (zh) * 2008-12-11 2016-08-10 麻省理工学院 接触透镜药物递送装置
WO2010083129A2 (en) 2009-01-13 2010-07-22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Implantable delivery vehicle for ocular delivery of muscarinic antagonists
MX2011007804A (es) * 2009-01-23 2011-12-06 Quadra Logic Tech Inc Suministro de liberación sostenida de uno o más agentes.
US8960901B2 (en) 2009-02-02 2015-02-24 Johnson & Johnson Vision Care, Inc. Myopia control ophthalmic lenses
CA2766647C (en) 2009-06-25 2018-03-20 Johnson & Johnson Vision Care, Inc. Design of myopia control ophthalmic lenses
ES2970433T3 (es) * 2009-08-13 2024-05-28 Acufocus Inc Método de fabricación de implantes intraoculares con máscara y lentes
US8697770B2 (en) * 2010-04-13 2014-04-15 Johnson & Johnson Vision Care, Inc. Pupil-only photochromic contact lenses displaying desirable optics and comfort
JP4768075B1 (ja) * 2010-08-25 2011-09-07 博紀 藤田 視力矯正用コンタクトレンズキット
US9046699B2 (en) 2012-03-13 2015-06-02 Johnson & Johnson Vision Care, Inc. Dynamic fluid zones in contact lenses
CN105722925B (zh) 2013-11-29 2018-02-16 松下知识产权经营株式会社 涂料组合物及使用了该涂料组合物的光扩散部件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523299A (ja) * 2002-03-18 2005-08-04 ノバルティス アクチエンゲゼルシャフト シクロフルクタン、担体および薬物を含む局所用組成物
JP2008529606A (ja) * 2005-02-04 2008-08-07 オーバーン ユニバーシティ 接触薬物送達システム
JP2010528339A (ja) * 2007-05-21 2010-08-19 ジョンソン・アンド・ジョンソン・ビジョン・ケア・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近視進行防止用眼科レンズ
JP2009132671A (ja) * 2007-11-09 2009-06-18 Rohto Pharmaceut Co Ltd 眼科用組成物
US20110249234A1 (en) * 2010-04-13 2011-10-13 Duis Donnie J Contact lenses displaying reduced indoor glar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118484A4 (en) * 2020-03-11 2024-05-15 Brien Holden Vision Institute Ltd OPHTHALMIC LENSES AND METHODS FOR CORRECTING, SLOWING, REDUCING AND/OR CONTROLLING THE PROGRESSION OF MYOPIA IN ASSOCIATED WITH THE USE OF ATROPINE OR RELATED COMPOUND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4032404A (ja) 2014-02-20
TW201410265A (zh) 2014-03-16
AU2013211446A1 (en) 2014-02-20
JP7192073B2 (ja) 2022-12-19
US20140036225A1 (en) 2014-02-06
JP2020024433A (ja) 2020-02-13
SG196752A1 (en) 2014-02-13
JP2022003412A (ja) 2022-01-11
TWI597069B (zh) 2017-09-01
CN103576337A (zh) 2014-02-12
JP2018132784A (ja) 2018-08-23
RU2013135765A (ru) 2015-02-10
BR102013019429A2 (pt) 2015-07-14
AU2013211446B2 (en) 2018-01-18
CA2822461C (en) 2020-07-28
EP2693259A1 (en) 2014-02-05
KR20140016851A (ko) 2014-02-10
CN103576337B (zh) 2018-01-19
SG10201801415TA (en) 2018-03-28
RU2560206C2 (ru) 2015-08-20
EP2693259B1 (en) 2018-02-21
US9827250B2 (en) 2017-11-28
CA2822461A1 (en) 2014-01-31
JP6980732B2 (ja) 2021-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192073B2 (ja) 近視制御光学素子及びムスカリン様作用薬を組み込むレンズの製造方法
Vincent et al. Optical considerations for scleral contact lenses: A review
AU2004296710B2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altering relative curvature of field and positions of peripheral, off-axis focal positions
AU2007212045B2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altering relative curvature of field and positions of peripheral, off-axis focal positions
KR102472774B1 (ko) 안과용 약학 조성물 및 이와 관련된 용도
EP3144720A2 (en) Contact lens product
CA2849366A1 (e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reating presbyopia, mild hyperopia, and irregular astigmatism
WO2016187426A1 (en) A device that delivers a sustained low-dose of a myopia-suppressing drug
KR102477686B1 (ko) 콘택트렌즈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몰드
KR20220066329A (ko) 근시 관리를 위한 콘택트 렌즈 솔루션
Mosuela et al. Contact lenses: clinical evaluation, associated challenges and perspectives
JP2023060362A (ja) 多焦点ソフトコンタクトレンズ
NZ623037B2 (e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reating presbyopia, mild hyperopia, and irregular astigmatis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